KR20230072817A -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817A
KR20230072817A KR1020210159433A KR20210159433A KR20230072817A KR 20230072817 A KR20230072817 A KR 20230072817A KR 1020210159433 A KR1020210159433 A KR 1020210159433A KR 20210159433 A KR20210159433 A KR 20210159433A KR 20230072817 A KR20230072817 A KR 20230072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tack
stacks
controller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광
권순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817A/ko
Priority to US17/961,487 priority patent/US20230155146A1/en
Publication of KR2023007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19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28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during shut-dow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 H01M8/0430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applied during shut-dow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44Concentration; Density
    • H01M8/04447Concentration; Density of an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74Current
    • H01M8/04589Current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79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955Shut-off or shut-down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연료전지스택으로 구성된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컨트롤러가, 상기 연료전지시스템의 요구전력인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과 연료전지스택들의 평균 가용전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스택 중 구동해야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갯수인 구동 스택 갯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순위와 구동 스택 갯수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분배받을 연료전지스택인 구동 대상 스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과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를 기초로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Method for distributing power in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시스템을 구성하는 연료전지스택들에 효율적으로 요구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시스템은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연료전지스택 내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발전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연료전지스택과, 연료전지스택에 연료인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공급장치, 및 연료전지스택에 전기화학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종래의 연료전지시스템은 복수의 연료전지스택을 구비한다. 연료전지시스템은 전기에너지의 출력을 요구받으면 연료전지스택에 대한 총 요구전력을 연료전지스택의 갯수를 기반으로 나누어 전체 연료전지스택에 균등하게 분배하고, 각각의 연료전지스택은 분배받은 요구전력을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그런데, 연료전지시스템 내 연료전지스택 중에 비가역 고장이 발생한 연료전지스택인 제1스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스택이 분배받은 요구출력보다 작은 전력을 출력함으로 인하여 연료전지시스템의 총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개특허 제10-2018-0069940호 공개특허 제10-2018-00677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전지스택들의 상태에 따라 각 연료전지스택에 효율적으로 요구전력을 분배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은 복수의 연료전지스택으로 구성된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으로서: 컨트롤러가, 상기 연료전지시스템의 요구전력인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과 연료전지스택들의 평균 가용전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스택 중 구동해야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갯수인 구동 스택 갯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순위와 구동 스택 갯수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분배받을 연료전지스택인 구동 대상 스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과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를 기초로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구동 중에 비가역 고장 스택이 발생하면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구동을 중단하고 나머지 스택 중 구동순위가 가장 높은 연료전지스택을 대체 구동 스택으로 결정하여 상기 대체 구동 스택을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나머지 스택은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스택 중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을 제외한 연료전지스택이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대체 구동 스택에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은 상기 구동 대상 스택 중 유효 촉매 담지량비가 정해진 제1담지량비 이하인 연료전지스택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구동 중에 비가역 고장 스택이 발생하면,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구동을 중단하고 나머지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상향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나머지 스택은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서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을 제외한 연료전지스택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구동 중에 비가역 고장 스택이 발생하면,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정해진 최소 요구전력으로 하향 조정하고 나머지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정해진 최대 요구전력으로 상향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나머지 스택은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서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을 제외한 연료전지스택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각 연료전지스택의 제1가중치와 제2가중치를 기초로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중치는 연료전지스택 내 수소농도를 기초로 결정하고, 상기 제2가중치는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를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체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로 나눈 값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가중치에 제2가중치를 곱한 값인 총 가중치의 크기 순으로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연료전지스택의 제3가중치를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에 곱한 값으로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각 연료전지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3가중치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각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를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전체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로 나눈 값으로 결정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들의 상태에 따라 각 연료전지스택에 효율적으로 요구전력을 분배함으로써 연료전지시스템의 출력 저하 및 연료전지스택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명칭이 동일한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순서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전지시스템은 복수의 연료전지스택(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연료전지스택(110)은 모터(1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연결된다. 상기 모터(130)는 차량의 주행 구동력을 발생하는 장치이며, 연료전지스택(110)으로부터 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연료전지스택(110)은 컨버터(120)를 통해 모터(1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버터(120)는 연료전지스택(110)으로부터 받은 전류 및 전압을 제어하여 모터(130)에 공급할 수 있다. 모터(130)가 사용하고 남은 전력은 배터리(140)에 충전된다.
상기 컨버터(120)와 모터(130) 사이에는 인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는 컨버터(120)에서 전달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모터(13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컨버터(120)와 배터리(140) 사이에는 전력변환 컨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연료전지시스템 내 연료전지스택(110)들은 각기 다른 컨버터(120)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컨버터(120)는 컨트롤러(150)의 지령에 따라 연료전지스택(110)의 전력생성량(즉, 가용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용전력은 연료전지스택(110)이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력을 의미한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각각의 컨버터(120)를 통해 연료전지스택(110)들의 전압 및 전류를 개별 제어함으로써 연료전지스택(110)들의 가용전력 간에 차이를 둘 수 있으며, 연료전지시스템 내 연료전지스택(110) 중 적어도 일부의 연료전지스택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컨버터(120)는 연료전지 차량에 일반적으로 장착되는 FDC(Fuel cell DC-DC Convert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차량에 탑재된 컨트롤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차량에 탑재된 컨트롤러 중 선택된 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 차량에 구비되는 VCU(Vehicle Control Unit)이거나 또는 FCU(Fuel cell Control Unit)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VCU와 FCU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모터(130)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총 요구전력(system total demand power)을 결정한다.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은 컨트롤러(150)가 연료전지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연료전지스택(110)에 분배하는 총 요구전력이다.
상기 연료전지시스템에서 출력하는 가용전력이 모터(130)의 구동에 필요한 시스템 총 요구전력보다 낮은 경우,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140)가 보조 전원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연료전지스택(110)의 갯수에 따라 연료전지시스템 내 전체 연료전지스택(110)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상태에 따라 선택된 연료전지스택에 개별적으로 분배한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스택(110)의 컨디션에 따라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개별 요구전력을 결정한다. 상기 개별 요구전력은 컨트롤러(150)가 각 연료전지스택(110)에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전력요구량이다. 연료전지시스템 내 연료전지스택(110)들은 분배된 개별 요구전력에 따라 서로 다른 가용전력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이 시작되기 전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150)는 모터(130)의 구동을 요구하는 운전자의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모터(130)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산출하여 결정한다(S10).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시스템 내 연료전지스택(110)에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분배하기 위하여, 먼저 연료전지시스템 내 모든 연료전지스택(110)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진단한다(S11).
상기 연료전지시스템 내 연료전지스택(11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컨트롤러(150)의 지령을 받아 상기 모터(130)의 구동을 위한 가용전력을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진단하기 위하여 수소농도 추정부와 열화 추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소농도 추정부는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수소농도 값을 추정하여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열화 추정부는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가역 열화 값 및 비가역 열화 값을 추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소농도 값과 가역 열화 값 및 비가역 열화 값은 연료전지스택(110)의 출력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상기 가역 열화 값은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이고, 상기 비가역 열화 값은 연료전지스택의 유효 촉매 담지량비이다.
연료전지스택 내 수소농도 값을 추정하여 결정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18-0069940호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연료전지스택 내 수소농도 값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료전지스택 내 수소농도 값은 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스택(110)의 수소농도 값을 기반으로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제1가중치(W1)를 결정하고,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 값을 기반으로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제2가중치(W2)를 결정한다. 상기 제1가중치(W1)와 제2가중치(W2)는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구동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가중치(weight factor)이다.
컨트롤러(150)는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수소농도 값이 사전에 정해진 제1농도값 이상이면 제1가중치(W1)를 '1'로 결정하고,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수소농도 값이 상기 제1농도값 미만이면 제1가중치(W1)를 '0'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농도값은 57%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시스템 내 전체 연료전지스택(110)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이하, '전체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라고 함)를 "1"로 정하고, 연료전지시스템 내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를 노멀라이즈(normalize)하여 계산한다.
다시 말해, 상기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체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A1)에 대한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A2)의 비율을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제2가중치(W2)로 계산하여 결정한다(아래 식 1 참조).
식 1: W2 = A2/A1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A2)는 연료전지스택(110)의 촉매 전체 면적 중 촉매 반응 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촉매 반응 면적은 연료전지스택(110)의 전기 생성을 위한 전기화학반응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전극 촉매의 면적을 의미한다. 상기 촉매 반응 면적은 연료전지스택의 최소 셀 전압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최소 셀 전압은 연료전지스택을 구성하는 단위 셀들의 전압 값 중 최소 값이다. 상기 단위 셀들의 전압은 셀 전압 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전체 면적은 사전에 정해진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체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A1)는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촉매 반응 면적의 합을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촉매 전체 면적의 합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비가역 열화가 발생한 연료전지스택의 경우 촉매 담지량이 '0'이거나 또는 '0'에 가까운 상태이기 때문에, 비가역 열화가 발생한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A2)는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결정하면 상기 제1가중치(W1) 및 제2가중치(W2)를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결정하고, 상기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를 기초로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구동순위를 결정한다(S12).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0)는 제1가중치(W1)에 제2가중치(W2)를 곱한 값인 총 가중치(TW = W1×W2)의 크기 순으로 연료전지스택(110)의 구동순위를 결정한다. 컨트롤러(150)는 상기 총 가중치(TW) 값이 클수록 연료전지스택의 순위를 상위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총 가중치(TW) 값이 작을수록 연료전지스택의 순위를 하위값으로 결정한다.
컨트롤러(150)는 총 가중치(TW) 및 구동순위가 높을수록 연료전지스택의 컨디션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며, 컨디션이 양호할수록 연료전지스택의 출력성능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기초로 전체 연료전지스택(110) 중 구동해야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갯수(즉, 구동 스택 갯수)를 결정한다(S13).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0)는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연료전지스택(110)들의 평균 가용전력으로 나눈 값 이상의 최소 정수로 상기 구동 스택 갯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이 '9'이고 상기 평균 가용전력이 '3'이면 상기 구동 스택 갯수는 '3'이 되며,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이 '10'이고 상기 평균 가용전력이 '3'이면 상기 구동 스택 갯수는 '4'가 된다.
컨트롤러(150)는 상기 구동 스택 갯수와 연료전지스택(110)들의 구동순위를 기반으로 전체 연료전지스택(110) 중에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분배받을 연료전지스택(즉, 구동 대상 스택)을 결정한다.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시스템 내 복수의 연료전지스택(110)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구동 대상 스택으로 결정한다.
컨트롤러(150)는 구동순위가 가장 높은 연료전지스택부터 상기 구동 스택 갯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 대상 스택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상기 구동 스택 갯수를 2개로 결정한 경우, 구동순위가 가장 높은 연료전지스택과 그 다음으로 구동순위가 높은 연료전지스택을 구동 대상 스택으로 선택 결정한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상기 구동 스택 갯수를 1개로 결정하면, 전체 연료전지스택(110) 중 누적구동시간이 가장 짧은 연료전지스택을 구동 대상 스택으로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 모두 할당한다. 상기 누적구동시간은 연료전지스택(110)들이 차량에 장착된 이후 최초 구동시점부터 누적 카운트한 구동시간이다.
즉, 컨트롤러(150)는 구동 스택 갯수가 1개이면 구동 대상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으로 결정한다. 연료전지시스템에 요구되는 전력요구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구동 스택 갯수는 1개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은 연료전지스택의 애노드 내 수소농도가 상기 제1농도값 이상으로 확보되고 비가역 열화가 발생하지 않은 연료전지스택이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시스템 총 요구전력(Ptotal)과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각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를 기초로 개별 요구전력을 결정한다(S14). 즉, 상기 결정한 개별 요구전력은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각 연료전지스택에 할당하는 전력요구량이다.
아래 식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50)는 시스템 총 요구전력(Ptotal)에 각 연료전지스택의 제3가중치(W3)를 곱한 값으로 각 연료전지스택의 개별 요구전력(Pn)을 계산하고 결정한다.
식 2: Pn = Ptotal × W3
여기서, 상기 제3가중치(W3)는 각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A2)를 구동 대상 스택의 전체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A3)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여 결정한다(아래 식 3 참조).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전체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A3)는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각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반응 면적의 합을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각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전체 면적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결정한다.
식 3: W3 = A2/A3
이어서,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구동이 시작된 이후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50)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구동이 시작된 이후에도 각 구동 대상 스택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진단한다(S20).
컨트롤러(150)는 각 구동 대상 스택의 상태를 기초로 비가역 고장이 발생한 연료전지스택(즉, 비가역 고장 스택)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21).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은 비가열 열화로 인하여 가용전력이 감소한 연료전지스택이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시스템 내 전체 연료전지스택(110) 중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을 대신하여 구동할 대체 구동 스택이 있는지를 판단하고(S22), 대체 구동 스택이 있으면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구동 중에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구동을 중단하고 나머지 스택 중 구동순위가 가장 높은 연료전지스택을 상기 대체 구동 스택으로 결정한다(S23). 이때, 상기 나머지 스택은 전체 연료전지스택(110) 중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을 제외한 스택이다.
컨트롤러(150)는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구동을 중단하는 경우, 연료전지시스템의 가용출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대체 구동 스택에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분배하여 상기 대체 구동 스택을 구동시키거나(S24), 또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서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을 제외한 나머지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상향 조정한다.
컨트롤러(150)는 상기 나머지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상향 조정함으로써 상기 나머지 스택이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가용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상기 나머지 스택의 가용전력을 상향 제어함으로써 연료전지시스템의 가용출력을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이 발생하기 전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시스템 내 전체 연료전지스택(110) 중에 상기 대체 구동 스택이 없으면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정해진 최소 요구전력으로 하향 조정한다. 연료전지시스템 내 전체 연료전지스택(110)이 구동 대상 스택으로 결정되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시스템 내에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을 대신하여 구동할 대체 구동 스택은 존재하지 않는다.
컨트롤러(150)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구동 중에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이 발생하고 상기 대체 구동 스택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정해진 최소 요구전력으로 감소시키고 동시에 나머지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정해진 최대 요구전력으로 상향 조정한다(S25). 상기 나머지 스택은 구동 대상 스택에서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을 제외한 스택이다. 상기 나머지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나머지 스택의 가용전력이 개별 요구전력을 추종하면서 증가하게 되며, 결국 연료전지시스템의 가용출력을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이 발생하기 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고장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내 연료전지시스템의 정비를 진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구동 대상 스택이 2개이고 연료전지시스템을 구성하는 연료전지스택(110)의 총 갯수도 2개인 경우, 상기 구동 대상 스택 중 하나가 비가역 고장 스택이라고 판단하면 나머지 스택이 정해진 최대 가용전력을 출력하도록 상기 나머지 스택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연료전지시스템의 가용전력 저하를 최소화한다.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을 계속 구동시키는 경우, 비가역 고장 스택 내 촉매가 소실되거나 비가역 고장 스택 내 전해질막에 구멍이 발생하는 등의 영구적인 손상이 더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컨트롤러(150)는 비가역 고장 스택의 발생을 인지하면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구동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최소 요구전력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비가역 고장 스택의 영구적인 손상이 더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비가역 고장 스택의 영구적인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각 연료전지스택(110)의 상태에 따른 실시간 구동순위가 변동되는 경우, 변동된 구동순위를 기반으로 구동 대상 스택을 교체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스택의 유효 촉매 담지량비를 기초로 비가역 고장 스택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촉매 담지량비는 연료전지스택의 전극에 남아있는 실제 촉매 담지량을 사전에 정해진 초기 촉매 담지량으로 나눈 값이다. 상기 초기 촉매 담지량은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소실이 발생하기 전 촉매 담지량이다. 상기 실제 촉매 담지량은 연료전지스택의 평균 셀 전압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평균 셀 전압은 연료전지스택을 구성하는 단위 셀들의 평균 전압 값이다.
연료전지스택의 비가역 열화는 전극 촉매의 양이 감소하거나 전해질막에 구멍이 발생하는 등으로 인하여 출력성능이 감소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컨트롤러(150)는 연료전지스택의 유효 촉매 담지량비가 정해진 제1담지량비 이하이면 연료전지스택의 비가역 열화로 인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1담지량비는 '0'에 근사한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10 : 연료전지스택
120 : 컨버터
130 : 모터
140 : 배터리
150 : 컨트롤러

Claims (9)

  1. 복수의 연료전지스택으로 구성된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으로서,
    컨트롤러가, 상기 연료전지시스템의 요구전력인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과 연료전지스택들의 평균 가용전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스택 중 구동해야 하는 연료전지스택의 갯수인 구동 스택 갯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순위와 상기 구동 스택 갯수를 기초로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을 분배받을 연료전지스택인 구동 대상 스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과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를 기초로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구동 중에 비가역 고장 스택이 발생하면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구동을 중단하고 나머지 스택 중 구동순위가 가장 높은 연료전지스택을 대체 구동 스택으로 결정하여 상기 대체 구동 스택을 구동하며, 상기 나머지 스택은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스택 중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을 제외한 연료전지스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대체 구동 스택에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은 상기 구동 대상 스택 중 유효 촉매 담지량비가 정해진 제1담지량비 이하인 연료전지스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구동 중에 비가역 고장 스택이 발생하면,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구동을 중단하고 나머지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상향 조정하며, 상기 나머지 스택은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서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을 제외한 연료전지스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구동 중에 비가역 고장 스택이 발생하면,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정해진 최소 요구전력으로 하향 조정하고 나머지 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정해진 최대 요구전력으로 상향 조정하며, 상기 나머지 스택은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서 상기 비가역 고장 스택을 제외한 연료전지스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각 연료전지스택의 제1가중치와 제2가중치를 기초로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제1가중치는 연료전지스택 내 수소농도를 기초로 결정하고, 상기 제2가중치는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를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체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로 나눈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가중치에 제2가중치를 곱한 값인 총 가중치의 크기 순으로 연료전지스택의 구동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연료전지스택의 제3가중치를 상기 시스템 총 요구전력에 곱한 값으로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각 연료전지스택의 개별 요구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제3가중치는 상기 구동 대상 스택에 포함된 각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를 상기 구동 대상 스택의 전체 촉매 유효반응 면적비로 나눈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KR1020210159433A 2021-11-18 2021-11-18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KR20230072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433A KR20230072817A (ko) 2021-11-18 2021-11-18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US17/961,487 US20230155146A1 (en) 2021-11-18 2022-10-06 Method of distributing power in fuel ce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433A KR20230072817A (ko) 2021-11-18 2021-11-18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817A true KR20230072817A (ko) 2023-05-25

Family

ID=8632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433A KR20230072817A (ko) 2021-11-18 2021-11-18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55146A1 (ko)
KR (1) KR202300728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740A (ko) 2016-12-10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80069940A (ko) 2016-12-15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애노드의 수소농도 추정방법 및 추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740A (ko) 2016-12-10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80069940A (ko) 2016-12-15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애노드의 수소농도 추정방법 및 추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55146A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8850B2 (en) Fuel cell system and fuel cell vehicle
US8044534B2 (en) Method of controlling DC/DC converter, method of controlling DC/DC converter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
KR101349874B1 (ko) 선박 추진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8273490B2 (en) Fuel cell system
JP502262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バッテリユニット
JP543419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
JP476116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010085467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440066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EP2784906B1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20150042156A1 (en) Vehicle electric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vehicle
JP5786952B2 (ja) 燃料電池の出力制御装置
JP5732596B2 (ja) 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の動作を制御する方法
KR20190049021A (ko) 재생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90673A (ko)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19035169A1 (ja) 電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493524A (zh) 燃料电池系统
US8604637B2 (en) Method for high voltage bus control in fuel cell vehicles
JP5081738B2 (ja) 燃料電池車両
JP652074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230072817A (ko) 연료전지시스템의 전력 분배 방법
JP4699489B2 (ja) 燃料電池車両
JP471032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13644300B (zh) 燃料电池系统及其控制方法、非暂时性存储介质
JP201310986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