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569A -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569A
KR20230072569A KR1020210158670A KR20210158670A KR20230072569A KR 20230072569 A KR20230072569 A KR 20230072569A KR 1020210158670 A KR1020210158670 A KR 1020210158670A KR 20210158670 A KR20210158670 A KR 20210158670A KR 20230072569 A KR20230072569 A KR 2023007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avoidance
passenger
avoidance system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월
이화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569A/ko
Priority to US17/988,254 priority patent/US20230150487A1/en
Priority to CN202211459521.4A priority patent/CN116137110A/zh
Priority to DE102022212267.4A priority patent/DE102022212267A1/de
Publication of KR2023007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9Number of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3Posture, e.g. hand, foot, or seat position, turned or inc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0Longitudinal speed
    • B60W2720/106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54/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754/1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754/30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 차량을 구동하는 구동부,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및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여 차량 내 입석 승객이 감지되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passenger accident preven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에 대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의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작동 시, 차량 내부에 탑승해 있는 승객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에 대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Forward Collision Avoidance Assist; FCA)은 자동 비상 제동 장치로도 불리며, 전방 충돌 경고에서 한 차원 진화한 시스템이다.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은 전방의 차량이나 보행자와의 충돌상황을 미리 감지하고, 앞차 또는 보행자와 충돌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해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보내고 차량의 제동을 제어한다.
그런데, 다중 이용 차량에 적용된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 승객의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용 버스의 경우, 입석으로 탑승한 승객이 있을 수 있고, 차량 이동 중 승객이 이동하거나, 버스가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 승객이 하차하기 위해 먼저 일어서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에 의해 급정거가 이루어지는 경우, 다수 승객이 부상당한 사례가 존재한다. 특히 2층 버스의 경우, 승객이 2층에서 1층으로 이동 중에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이 작동하여 추락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객의 착좌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켜 승객의 사고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그에 대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 차량을 구동하는 구동부,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및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여 차량 내 입석 승객이 감지되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는 승객이 차량내로 진입시 승객을 감지하고 해당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승객 카운트 센서, 좌석에 승객이 착석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착좌 감지 센서 및 시트 벨트의 잠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벨트 착용 감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승객 카운트 센서에서 감지된 승객 탑승수에서 상기 착좌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착좌 승객수를 차감하여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착좌 감지 센서와 상기 벨트 착용 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해당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상기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경고하는 음성 안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는 차량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 차량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 센서 및 차량 주위를 촬영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 센서, 상기 거리 센서 및 상기 광학 카메라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키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없고, 미착용 시트 벨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더 증가된 설정된 선제 충돌 소요 시간을 적용하여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차량 감속율보다 더 감소된 설정된 선제 차량 감속율을 적용하여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설정된 차간 거리 선제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전에 상기 스마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키는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속 센서 및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충돌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충돌 소요 시간이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길면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차간 거리보다 길게 설정된 차간 거리를 적용하여 상기 스마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설정된 환경 선제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전에 상기 스마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키는 환경 선제 작동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는 외기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외기온 센서, 레인 센서 및 차량 주위 물체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외기온 센서, 상기 레인 센서 또는 상기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설정된 환경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경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승객이 차량내로 진입시 승객을 감지하고 해당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승객 카운트 센서, 좌석에 승객이 착석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착좌 감지 센서, 시트 벨트의 잠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벨트 착용 감지 센서, 차량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 차량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 센서 및 차량 주위를 촬영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 카메라를 포함하는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 차량을 구동하는 구동부,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및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여 차량 내 입석 승객이 감지되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기가 상기 승객 카운트 센서에서 감지된 승객 탑승수에서 상기 착좌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착좌 승객수를 차감하여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착좌 감지 센서와 상기 벨트 착용 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해당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속 센서, 상기 거리 센서 및 상기 광학 카메라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없고, 미착용 시트 벨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더 증가된 설정된 선제 충돌 소요 시간을 적용하고,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차량 감속율보다 더 감소된 설정된 선제 차량 감속율을 적용하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속 센서 및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충돌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충돌 소요 시간이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길면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전에 상기 스마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키는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는 외기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외기온 센서 및 차량 주위 물체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기가 상기 외기온 센서, 상기 레인 센서 또는 상기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설정된 환경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전에 상기 스마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키는 환경 선제 작동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출발 전에 상기 제어기가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량의 출발을 금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차량에 탑승한 입석 승객이 있는 경우, 차량의 가속량을 제한하여 타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주행 중에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Forward Collision Avoidance Assist; FCA)시스템의 부가기능 작동에 따라 정상 작동과 대비하여 차속 및 차량 감속률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종합적으로 입석 승객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은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연관되어 나열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 차량을 구동하는 구동부(80),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부(90), 상기 구동부(80) 및 상기 제동부(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Forward Collision Avoidance Assist; FCA; 44) (이하 'FCA 시스템'이라 명한다.) 및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여 차량 내 입석 승객이 감지되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80)는 일반적인 엔진, 엔진 및 모터 또는 모터로 구성된 차량의 구동을 위한 구성이며, 상기 제동부(90)는 물리적인 브레이크, 오토 브레이크 및/또는 브레이크와 회생 제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CA 시스템(44)은 전방의 차량이나 보행자와의 충돌상황을 미리 감지하고, 앞차 또는 보행자와 충돌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해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보내고 차량의 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FCA 시스템(44)은 상기 제동부(90) 또는 상기 제동부(90)와 상기 구동부(8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는 승객이 차량내로 진입시 승객을 감지하고 해당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승객 카운트 센서(12), 좌석에 승객이 착석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착좌 감지 센서(14) 및 시트 벨트의 잠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벨트 착용 감지 센서(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객 카운트 센서(12)는, 예를 들어 광학 센서로서 승객이 승차 및 하차하는 차량 도어 인근에 배치되어 승차 및 하차하는 승객을 카운팅 하고, 해상 신호를 상기 제어기(42)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착좌 감지 센서(14)는, 예를 들어 광학 센서 또는 압력 센서로서 차량의 시트 또는 시트 인근에 배치되어 승객이 시트에 앉은 상태를 감지하여 해상 신호를 상기 제어기(42)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벨트 착용 감지 센서(16)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또는 전류 감지 센서로서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해상 신호를 상기 제어기(42)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2)는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승객 카운트 센서(12)에서 감지된 승객 탑승수에서 상기 착좌 감지 센서(14)에서 감지된 착좌 승객수를 차감하여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42)는 승객이 시트 벨트의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착좌 감지 센서(14)와 상기 벨트 착용 감지 센서(16)의 출력 신호에 따라 해당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는 액셀의 개도 상태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액셀 개도 센서(30)와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센서(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상기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상황판(112, 114)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알림판(116, 11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황판(112, 114)에는 차량의 좌석별로 승객의 착좌 상태 및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승객의 착좌 상태 및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제1 상황판(112) 및 제2 상황판(114)에 나타낼 수 있고, 또는 2층 버스의 경우, 차량의 1층 및 2층의 승객의 착좌 상태 및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상기 제1 상황판(112) 및 제2 상황판(114)에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에 대한 경고를 제1 알림판(116)에 나타내거나,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제한을 제2 알림판(118)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에 대한 경고는 예를 들어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상황을 미리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안내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제한은, 예를 들어 탑승객 보호를 위해 엔진 rpm의 제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구획된 별개의 디스플레이 일 수도 있고,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복수 개의 상황 또는 경고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 등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경고하는 음성 안내 시스템(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안내 시스템(110)은 운전자에 대한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또는 제한, 승객에게 착좌 경고, 시트 벨트의 착용 경고 등의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는 차량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18), 차량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 센서(20) 및 차량 주위를 촬영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 카메라(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20)는 예를 들어 레이더(radar)로서 전방의 차량 또는 보행자 등을 감지하여 해상 신호를 상기 제어기(42)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차속 센서(18), 상기 거리 센서(20) 및 상기 광학 카메라(22)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은 예를 들어 차량의 현재 주행 상황에 따라 다른 차량, 보행자 또는 물체와 충돌 위험이 예상되는 조건을 의미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제어기(42)가 수행하는 제어 모드에 대하여 검토한다.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10)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없고, 미착용 시트 벨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FCA 시스템(44)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차속 센서(18), 상기 거리 센서(20) 및 상기 광학 카메라(22)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승객 카운트 센서(12), 상기 착좌 감지 센서(14) 및 상기 벨트 착용 감지 센서(16)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의 유무 및 미착용 시트 벨트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FCA 시스템(44)의 정상적 작동은,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42)가 충돌 위험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음성 안내 시스템(110)을 통해 경고하고, 상기 제어기(42)가 충돌 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구동부(90)의 출력을 제한하고, 상기 제동부(90)를 작동시키며, 또한 상기 제어기(42)가 충돌 위험이 임박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동부(90)의 긴급 제동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FCA 시스템(44)을 미리 작동시키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42)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더 증가된 설정된 선제 충돌 소요 시간을 적용하여 상기 FCA 시스템(44)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42)가 계산된 충돌 예상 시간 전에 설정된 정상 작동 시간(t1)에 상기 구동부(90)의 출력을 제한하고, 상기 제동부(90)를 작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42)가 상기 정상 작동 시간(t1)보다 먼저 선제 시간(t2)에 미리 상기 구동부(90)의 출력을 제한하고, 상기 제동부(9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제 시간(t2)은 상기 정상 작동 시간(t1)의 2배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경우, 상기 FCA 시스템(44)이 정상적인 시간(t1)에 작동하면 승객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져 상해 가능성이 있으나,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42)가 선제 시간(t2)에 미리 상기 구동부(90)의 출력을 제한하고, 상기 제동부(90)를 작동시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는 현재 차속, 차량이나 보행자 등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충돌 예상 시간 1초전 상기 FCA 시스템(44)을 작동시킨다면,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충돌 예상 시간 2초전 상기 FCA 시스템(44)을 미리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치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42)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차량 감속율(a1)보다 더 감소된 설정된 선제 차량 감속율(a2)을 적용하여 상기 FCA 시스템(44)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제 차량 감속율(a2)은 상기 차량 감속율(a1)의 1/2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감속율이 -6m/s2 이라면 상기 선제 차량 감속율(a2)는 -3m/s2 으로 설정되어 승객에게 가해지는 관성력을 줄임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46; ASCC; Advanced Smart Cruise Contr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46; 이하 ASCC 시스템)은 상기 차속 센서(18), 상기 거리 센서(20) 및 상기 광학 카메라(22)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선행 차량이 없을 때는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로 정속 주행을 하고, 선행 차량이 인식될 경우 전방 차량의 속도와 거리를 감지해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10)에 따라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설정된 차간 거리 선제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전에 상기 ASCC 시스템(46)을 미리 작동시키는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차속 센서(18) 및 상기 거리 센서(2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충돌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충돌 소요 시간이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길면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계산된 현재 충돌 소요 시간이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 이하이면, 상기 FCA 시스템(44)을 작동시켜 충돌을 회피하고, 계산된 현재 충돌 소요 시간이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길면, 상기 ASCC 시스템(46)을 미리 작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서서히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의 상기 선제 시간(t2)일 수 있으며, 계산된 현재 충돌 소요 시간(t3)이 상기 선제 시간(t2) 이하이면, 상기 FCA 시스템(44)을 작동시키고, 상기 선제 시간(t2)보다 길면 상기 ASCC 시스템(46)을 미리 작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서서히 줄일 수 있다.
상기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차간 거리보다 길게 설정된 차간 거리를 적용하여 상기 ASCC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없고, 미착용 시트 벨트가 없는 경우에는 설정된 상기 제어기(42)가 상기 차속 센서(18) 및 상기 거리 센서(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방 차량의 속도와 해당 차량의 속도 차를 고려하여 설정된 거리(L1)인 경우에 상기 ASCC 시스템(46)을 작동시킨다. 그러나,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으면, 상기 제어기(42)가 상기 차속 센서(18) 및 상기 거리 센서(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방 차량의 속도와 해당 차량의 속도 차를 고려하여 설정된 거리(L2)인 경우에 상기 ASCC 시스템(46)을 미리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에서의 차간 거리(L2)는 정상적 상황의 설정된 거리(L1)의 2배 일 수 있다.
즉, 입석 승객 등이 있는 경우, 상기 ASCC 시스템(46)을 미리 작동시키면 승객에게 가해지는 관성력을 줄임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는 외기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외기온 센서(24), 레인 센서(26) 및 차량 주위 물체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29; BSD; Blind Spot Detection Syste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10)에 따라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설정된 환경 선제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전에 상기 ASCC 시스템(46)을 미리 작동시키는 환경 선제 작동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외기온 센서(24), 상기 레인 센서 또는 상기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환경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환경 선제 작동 모드는 우천, 적설 등 날씨가 좋지 않거나, 차량 옆으로 다른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 작동하는 모드로서,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전에 미리 상기 ASCC 시스템(46)을 작동시켜 차속을 줄임으로써, 승객에게 가해지는 관성력을 줄이고,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환경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SCC 시스템(46)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맑은 날씨이고, 인접 차량이 없는 경우에 설정된 차속의 1/2 로 목표 차량 속도를 설정하여 차속을 미리 줄임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2)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예를 들어, ECU (Engine Control Unit 또는 Electronic Control Unit) 또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일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은 메모리(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1에서, 상기 제어기(42), 상기 FCA 시스템(44) 및 상기 ASCC 시스템(46)을 별개의 구성으로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어기(42), 상기 FCA 시스템(44) 및 상기 ASCC 시스템(46)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구성으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제어기(42), 상기 FCA 시스템(44) 및/또는 상기 ASCC 시스템(46)은 하나의 통합 제어부(40)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2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는 상기 FCA 시스템(44) 및 상기 ASCC 시스템(46)의 작동시의 경고 또는 작동 상태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차량이 시동 온 되면,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는 차량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해당 신호를 상기 제어기(42) 또는 상기 통합 제어부(40)로 출력한다(S10).
상기 제어기(42)는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를 모니터링(S12)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승객 카운트 센서(12)에서 감지된 승객 탑승수에서 상기 착좌 감지 센서(14)에서 감지된 착좌 승객수를 차감하여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42)는 승객이 시트 벨트의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S14)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착좌 감지 센서(14)와 상기 벨트 착용 감지 센서(16)의 출력 신호에 따라 해당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2), 상기 FCA 시스템(44) 및/또는 상기 ASCC 시스템(46)은 하나의 통합 제어부(40)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어기(42), 상기 FCA 시스템(44) 및 상기 ASCC 시스템(46)이 분리된 별개의 구성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기(42)가 차량의 출발 전에 설정된 차량의 출발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0), 상기 제어기(42)가 상기 차량의 출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구동부(80) 및 상기 제동부(90)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량의 출발을 금지시키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S22 단계는 주차 오토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기(42)가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20) 상기 차량의 출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 판단하고, 차량의 출발을 금지시킬 수 있다(S22).
그리고,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통해 이를 경고하고(S24), 상기 음성 안내 시스템(110)을 통해 안내할 수도 있다(S26).
상기 제어기(42)가 상기 차량의 출발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하면(S20), 상기 액셀 개도 센서(30)와 상기 브레이크 센서(32)의 작동 상태를 검출(S30)하여 운전자의 출발 의지를 확인하고, 상기 액셀 개도 센서(3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주차 오토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S32).
여기서,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10)는 차량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해당 신호를 상기 제어기(42) 또는 상기 통합 제어부(40)로 출력을 유지한다(S10).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S40)한다.
즉,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차속 센서(18), 상기 거리 센서(20) 및 상기 광학 카메라(22)의 출력 신호에 따라 충돌이 예상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2)는 모니터링 된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와 해당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판단한다(S50).
즉,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승객 카운트 센서(12)에서 감지된 승객 탑승수에서 상기 착좌 감지 센서(14)에서 감지된 착좌 승객수를 차감하여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착좌 감지 센서(14)와 상기 벨트 착용 감지 센서(16)의 출력 신호에 따라 해당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판단한다(S50).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S40),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없고, 미착용 시트 벨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50), 상기 FCA 시스템(44)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를 수행한다(S60).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S40),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50),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를 수행한다(S1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42)가 상기 정상 작동 시간(t1)보다 먼저 선제 시간(t2)에 미리 상기 구동부(90)의 출력을 제한하고, 상기 제동부(90)를 작동시켜 차량의 급격한 제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상기 ASCC 시스템(46)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의 작동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ASCC 시스템(46)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에 앞서 상기 ASCC 시스템(46)을 미리 작동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기(42)가 상기 차속 센서 및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충돌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과 비교하여 설정된 차간 거리 선제 작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상기 차간 거리 선제 작동 조건은 앞서 설명한 계산된 충돌 소요 시간(t3)이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t2) 보다 길면 상기 차간 거리 선제 작동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기(42)가 상기 FCA 시스템(44)의 작동 전에 상기 ASCC 시스템(46)을 미리 작동시키는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120).
상기 제어기(42)는 환경 선제 작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S130), 상기 환경 선제 작동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14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외기온 센서(24), 상기 레인 센서 또는 상기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환경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2)는 상기 환경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SCC 시스템(46)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예를 들어 정상 상황에서의 차속보다 차속을 미리 줄임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출발 가능 상태 유무를 판단하여 승객의 안전사고를 우선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차량 운행 중,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여 타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FCA 시스템(44)의 부가적 기능 작동에 따라 정상 작동과 대비하여 차속 및 차량 감속률을 줄여 승객을 보호하고, FCA 시스템(44) 작동 시, 차량에 입석해 있는 승객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 12: 승객 카운트 센서
14: 착좌 감지 센서 16: 벨트 착용 감지 센서
18: 차속 센서 20: 거리 센서
22: 광학 카메라 24: 외기온 센서
26: 레인 센서 28: BSD 시스템
30: 액셀 개도 센서 32: 브게이크 센서
40: 통합 제어부 42: 제어기
44: FCA 시스템 46: ASCC 시스템
50: 메모리 80: 구동부
90: 제동부 100: 디스플레이 시스템
110: 음성 안내 시스템

Claims (20)

  1. 차량의 작동 상태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
    차량을 구동하는 구동부;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및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여 차량 내 입석 승객이 감지되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는
    승객이 차량내로 진입시 승객을 감지하고 해당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승객 카운트 센서;
    좌석에 승객이 착석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착좌 감지 센서; 및
    시트 벨트의 잠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벨트 착용 감지 센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승객 카운트 센서에서 감지된 승객 탑승수에서 상기 착좌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착좌 승객수를 차감하여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착좌 감지 센서와 상기 벨트 착용 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해당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상기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을 더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경고하는 음성 안내 시스템;
    을 더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는
    차량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
    차량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 센서; 및
    차량 주위를 촬영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 카메라;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속 센서, 상기 거리 센서 및 상기 광학 카메라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키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
    를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없고, 미착용 시트 벨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더 증가된 설정된 선제 충돌 소요 시간을 적용하여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차량 감속율보다 더 감소된 설정된 선제 차량 감속율을 적용하여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설정된 차간 거리 선제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전에 상기 스마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키는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속 센서 및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충돌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충돌 소요 시간이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길면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차간 거리보다 길게 설정된 차간 거리를 적용하여 상기 스마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14. 제7항에 있어서,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드는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설정된 환경 선제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전에 상기 스마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키는 환경 선제 작동 모드;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는
    외기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외기온 센서;
    레인 센서; 및
    차량 주위 물체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외기온 센서, 상기 레인 센서 또는 상기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설정된 환경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경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줄이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17. 승객이 차량내로 진입시 승객을 감지하고 해당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승객 카운트 센서, 좌석에 승객이 착석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착좌 감지 센서, 시트 벨트의 잠김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벨트 착용 감지 센서, 차량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 차량 전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 센서 및 차량 주위를 촬영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 카메라를 포함하는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 차량을 구동하는 구동부,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및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 또는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여 차량 내 입석 승객이 감지되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제어기가 상기 승객 카운트 센서에서 감지된 승객 탑승수에서 상기 착좌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착좌 승객수를 차감하여 상기 차량 내 승객의 착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착좌 감지 센서와 상기 벨트 착용 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해당 좌석의 시트 벨트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속 센서, 상기 거리 센서 및 상기 광학 카메라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없고, 미착용 시트 벨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더 증가된 설정된 선제 충돌 소요 시간을 적용하고,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정상 모드에서의 설정된 차량 감속율보다 더 감소된 설정된 선제 차량 감속율을 적용하는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 선제 작동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속 센서 및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충돌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충돌 소요 시간이 설정된 충돌 소요 시간보다 길면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전에 상기 스마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키는 차간 거리 선제 작동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은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작동 상태 측정부는
    외기온을 측정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외기온 센서 및 차량 주위 물체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가 상기 외기온 센서, 상기 레인 센서 또는 상기 사각 지대 감지 경고 시스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설정된 환경 선제 작동 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작동 전에 상기 스마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을 미리 작동시키는 환경 선제 작동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차량의 출발 전에 상기 제어기가 차량 내 입석 승객이 있거나 미착용 시트 벨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량의 출발을 금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10158670A 2021-11-17 2021-11-17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72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670A KR20230072569A (ko) 2021-11-17 2021-11-17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7/988,254 US20230150487A1 (en) 2021-11-17 2022-11-16 Vehicle passenger accident preven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202211459521.4A CN116137110A (zh) 2021-11-17 2022-11-17 车辆乘客事故预防系统及其控制方法
DE102022212267.4A DE102022212267A1 (de) 2021-11-17 2022-11-17 System zur Verhinderung von Unfällen von Fahrgästen und ein Steuerungsverfahren dafü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670A KR20230072569A (ko) 2021-11-17 2021-11-17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569A true KR20230072569A (ko) 2023-05-25

Family

ID=8614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670A KR20230072569A (ko) 2021-11-17 2021-11-17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50487A1 (ko)
KR (1) KR20230072569A (ko)
CN (1) CN116137110A (ko)
DE (1) DE1020222122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670A (ko) 2020-06-24 2021-12-31 유한회사 예원농업회사법인 목재 부스러기로 만들어진 고형연료 제조방법 및 고형연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212267A1 (de) 2023-05-17
CN116137110A (zh) 2023-05-19
US20230150487A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234B2 (en) Automotive collision mitigation apparatus
US81505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or mitigating vehicle collisions
US10843687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mitigating a forward collision between road vehicles
US809527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direction of travel in a motor vehicle
CN106564502B (zh) 用于测定机动车的驾驶员的适应性反应时间的方法和装置
JP5197572B2 (ja) 安全機能の作動解除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915019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reversible belt tensioner of a safety belt in a motor vehicle
US20090102277A1 (en) Automatic Brake Control Device
US20070297288A1 (en) Start Assist System for Motor Vehicles
JP2008121583A (ja) 車両制御装置
CN113135182B (zh) 驾驶辅助装置
KR101711549B1 (ko) 차량 주정차시의 측후방 위험감지를 통한 오토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4303083A1 (en) Drive assistance device
JP2013082298A (ja) 車両の衝突時安全装置
KR20190074502A (ko) 차량용 능동형 안전벨트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257373B2 (en) Avoidance of collision with cross-traffic
US8855866B2 (en) Rear end advanced collision technology
CN112703134B (zh) 用于对自身车辆进行紧急制动的方法和紧急制动系统
JP4084318B2 (ja) 緊急ブレーキ装置
US9545896B2 (en) Motor vehicle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JP2013133071A (ja) 車両の非常点滅表示灯制御装置
JP5904157B2 (ja) 制御装置
EP2743144A2 (en) GPS data for improving pedestrian protection
JP2006117046A (ja) 乗員保護システム、及び乗員保護装置
KR20230072569A (ko) 차량 승객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