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525A -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525A
KR20230072525A KR1020210156971A KR20210156971A KR20230072525A KR 20230072525 A KR20230072525 A KR 20230072525A KR 1020210156971 A KR1020210156971 A KR 1020210156971A KR 20210156971 A KR20210156971 A KR 20210156971A KR 20230072525 A KR20230072525 A KR 20230072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power
informa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근배
Original Assignee
(유)엘파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엘파워닉스 filed Critical (유)엘파워닉스
Priority to KR1020210156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525A/ko
Publication of KR2023007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관방송시스템의 랙 캐비닛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비상상황에서 전관방송이 끊기지 않도록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for emergency broadcasting}
본 발명은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관방송시스템의 랙 캐비닛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비상상황에서 전관방송이 끊기지 않도록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관방송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은 사무실 빌딩이나 호텔 등 단일 건물이나 인접건물에서 원하는 지역의 전체, 층별, 구역별 방송을 하되, 화재 등 비상시에도 사용되도록 설계된 방송시스템으로서, 여러 가지의 각기 다른 음원(예컨대, Cassette Deck, CDP, 또는 자동방송 장비)을 동시에 송출하여 각 지역이나 구역별로 각기 다른 음원을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건물의 규모나 그 필요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설계된다.
이러한 전관방송시스템 중 특히 학교 등에 설치되는 방송시스템은 중앙 방송실에 송신 장치를 설치하고, 각 학급 등에 수신 장치를 설치하며, 각 수신 장치에 스피커 또는 텔레비젼 등을 연결시킴으로써, 중앙 방송실에서 각 학급으로 방송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학교 방송 시스템 등에서도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오디오 방송뿐만 아니라, 영상 및 자막 방송도 함께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관방송시스템은 사내방송 시스템 또는 구내방송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전관방송시스템은 평소에는 업무 수행에 관련된 일상적인 메세지를 전달하는 수단이고 화재, 사고, 지진 등의 비상 상황에서는 대피안내 방송 등의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며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전관방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장비들 중에는 AC 입력전원과 DC 입력전원을 병용하는 방식을 채택한 장치들이 있다. 이때, AC 입력전원은 해당 전관방송 장비의 일반적인 동작을 위한 전원이고, DC 입력전원은 화재, 사고, 지진 등의 비상 상황에서 AC 입력전원의 공급이 끊어진 경우를 대비하여 배터리 등으로 마련된 것이다. 이는 어떠한 경우에도 비상 상황에 대한 대피안내 방송은 제공되어야 한다는 고려에서 마련된 것이다.
비상 상황이 언제 발생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 전관방송 장비에는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축전지 등의 보조전원장치를 연결하여 DC 입력전원을 항시 활성화시킨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보조전원장치는 전관방송 시스템의 본체와 독립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여 통합적인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축전지의 경우 축전지의 상태확인이 힘들어 장기간 미사용으로 인해 실제 비상상황에서 제 기능을 유지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조전원장치는 상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전원장치의 수명은 매우 짧은 편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보조전원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1220호 “비상방송용 기기의 설치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관방송시스템의 랙 캐비닛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비상상황에서 전관방송이 끊기지 않도록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관방송시스템의 랙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의 각 구성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랙 캐비닛에 설치되되, 내부가 중공인 형태로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비상상황 시 전관방송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정전류(CC), 정전압(CV)으로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하는 SMPS 회로블록; 상기 배터리부에서 제공되는 AC 전원을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의 각 구성에 공급하는 외부 AC 전원 분배기 및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어 대전력을 출력할 수 있는 대전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는 전원이 충전되는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상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셀을 수용하는 배터리홀더; 상기 배터리셀들의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수단; 상기 배터리셀의 전압을 체크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이 충전되고 방전되도록 하고 배터리 잔량정보를 생성하는 BMS 및 상기 배터리셀과 상기 BMS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MS는 상기 배터리부에 구비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정보가 기준 온도에 도달 시, 상기 배터리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전원 차단에 대한 결과값으로 자동 차단정보를 생성하는 자동차단부 및 상기 자동 차단정보 및 배터리 잔량정보를 상기 케이스 외측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배터리상태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MS는 상기 배터리셀의 개별 단위 또는 군 단위로 전압을 검출하여 충방전 효율이 낮은 불량 배터리셀 또는 불량 배터리셀이 포함된 배터리셀 군을 검출하여 불량 배터리정보를 생성하는 불량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상태알림부는 상기 불량검출부로부터 상기 불량 배터리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불량 배터리셀을 교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화재진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진압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화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화재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화재 발생을 판단하여 진압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화재진압제어부 및 상기 화재진압제어부로부터 판단된 상기 진압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진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센서, 불꽃감지센서, 빛감지센서 및 연기감지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진압수단은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및 청정약제 중 하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외면에 접촉되되, 배열방향을 따라 굴곡지도록 형성되며,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되는 냉각부재; 상기 냉각부재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냉각돌기; 상기 배터리부의 외면을 형성하되, 상기 냉각돌기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상기 냉각부재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냉각판; 상기 케이스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열방출부재 및 상기 냉각판의 외면에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열방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냉각이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방출부재는 판형태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열방출홀이 형성된 열방출몸체 및 상기 열방출홀에 삽입되어 상기 열방출몸체와 결합되고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 열이 방출되는 표면적이 넓어지는 열방출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는 비상상황에서 전관방송이 끊기지 않도록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관방송시스템의 랙 캐비닛의 구조의 변화를 주지 않고 쉽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납축전지 대신 리튬이온 배터리셀을 사용하여 배터리 수명이 연장되고, 중량 및 부피가 감소되어 소형화, 경량화될 수 있다.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셀의 고효율 충방전 능력으로 인해 전기료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배터리셀과 BMS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부를 통해 효율적으로 배터리부의 열을 방출하여 배터리부의 충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가 전관방송시스템의 랙 캐비닛에 방송장치와 함께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면 케이스를 제거한 도 2를 도시한 회전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후면도.
도 6은 도 2의 배터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회전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상면 프레임을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6에서 베터리셀 및 배터리 홀더의 모습을 도시한 일부 분리사시도.
도 10은 배터리부,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에 열방출바가 설치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상면 케이스를 제거한 도 11에 열방출바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배터리부에 열전도방지부재가 제외된 냉각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의 (a)는 도 13에서 상측구성(상면 프레임, 연결수단, 배터리홀더, BMS 및 인터페이스 회로)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의 (b)는 도 14의 (b)에서 일측 배터리셀 군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a)의 평면도.
도 16은 도 13에서 배터리부가 제거된 냉각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분리사시도.
도 18은 도 16에서 냉각부재 및 냉각돌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을 보다 명확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전선을 제외하고 도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가 전관방송시스템의 랙 캐비닛에 방송장치와 함께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면 케이스를 제거한 도 2를 도시한 회전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후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배터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회전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상면 프레임을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서 베터리셀 및 배터리 홀더의 모습을 도시한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배터리부,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는 전관방송시스템의 랙 캐비닛(R)에 설치되어 전관방송시스템의 각 구성인 방송장치(B)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는 케이스(10), 배터리부(20), SMPS 회로블록(30), 외부 AC 전원 분배기(40) 및 대전력단자(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관방송시스템의 랙 캐비닛(R)에 설치되되, 내부가 중공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일체화되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20, 30, 40 및 5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판이 조립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면판(11), 후면판(12), 제1 측면판(15) 및 제2 측면판(16)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판(11)은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가 랙 캐비닛(R)에 설치된 뒤,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판(11)은 손잡이(110) 및 디스플레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10)는 전면판(11)의 전면에 형성되되,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를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110)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은 모두 사용가능하며, 전면판(11)과 결합력이 높고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를 전측으로 끌어당길 때 무게를 견디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전면판(11)의 전면에 형성되어 배터리부(20)로부터 전달받은 자동 차단정보, 배터리 잔량정보 및 불량 배터리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차단정보, 배터리 잔량정보 및 불량 배터리정보에 관해서는 도 10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EPD, Electrophoretic Display),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istal Display),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OrganicLight-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1)는 자동 차단정보, 배터리 잔량정보 및 불량 배터리정보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1)는 배터리 잔량정보를 심볼, 기호, 문자, 숫자, 이모티콘, %, V(Voltage)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자동 차단정보, 배터리 잔량정보 및 불량 배터리정보를 순차적으로 점멸하는 동시에 나타나도록 하거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전체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수동으로 각 정보(자동 차단정보, 배터리 잔량정보 및 불량 배터리정보)에 해당하는 화면을 전환할 수 있는 설정버튼 및 정보를 새로 전달받는 새로고침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판(12)은 외부 AC 전원 분배기(40) 및 대전력단자(50)가 관통하여 설치되어 랙 캐비닛(R)의 다수 개의 방송장치(B)들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후면판(12)은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오프스위치, 휴즈, AC 입력단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AC 전원 분배기(40) 및 대전력단자(50)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측면판(15) 및 제2 측면판(16)은 케이스(10)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랙 캐비닛(R)과 일정공간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판(15) 및 제2 측면판(16)은 하나 이상에 팬(17) 및 환풍홀(18) 둘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팬(17)은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의 구성 중 열이 발산되는 구성을 냉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팬(17)은 열이 발산되는 부분과 인접한 구역의 제1 측면판(15) 또는 제2 측면판(16)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팬(17)은 부착된 면에 원형의 환풍홀(18)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팬(17)는 열이 발산되는 SMPS 회로블록(30)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환풍홀(18)은 제1 측면판(15) 및 제2 측면판(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환풍홀(18)은 제1 측면판(15) 및 제2 측면판(16)의 각각에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고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부(2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비상상황 시 전관방송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부(20)는 복수의 에너지저장장치셀이 배열을 갖추어 형성되는 모듈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배열은 직렬배열, 병렬배열, 원형배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저장장치셀은 전기 에너지를 내부에 저장하여 필요 시 외부로 공급하는 장치로 배터리 셀, 커패시터 셀 및 슈퍼커패시터 셀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과 같이 베터리 셀이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부(20)는 프레임(21), 배터리셀(22), 배터리홀더(23), 연결수단(24), BMS(25) 및 인터페이스 회로(2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프레임(21)은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 프레임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프레임이 조합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1)은 나머지 구성과 체결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프레임(21)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21)이 복수의 프레임(21)의 조합으로 구성될 경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프레임(210) 및 하면 프레임(2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복수의 프레임의 형태는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프레임(21)의 구성은 다양하게 조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1)은 측면 프레임, 정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21)의 일면은 인터페이스 회로(26)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면 프레임(211)은 절연되고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하측에 맞닿는 케이스(10)의 하면판(14)에 전기가 전달되지 않고 케이스(10)가 이동할 때 배터리부(20)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전관방송시스템에서 비상전원을 위해 사용하는 납축전지는 2차 전지의 일종으로 내부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삽입되고 전해액이 충진된 다수의 셀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납축전지는 방전 및 충전작용에 의하여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의 사용과정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전해액에 포함된 물이 증발하면서 일부 황산이 함께 누출되고, 증류수 충진 중에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증류수가 넘치면서 황산이 함께 누출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납축전지는 이론적으로 5년 내지 10년의 수명을 가진다고 알려져있지만 실제로는 2 내지 3년만에 폐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배터리부(20)는 배터리셀(22)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중량 및 부피를 줄여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환경에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는 납축전지보다 3 내지 5배 수명이 길며,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볍고, 자연 방전율이 낮으며(리튬이온 배터리 4%/월, 납축전지 1%/월), 주변 온도에 강하고, 부식과 누액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납축전지를 사용할 때보다 안전하며 전기료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의 산화 환원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고, 천천히 긴 시간 동안 전력을 충방전할 수 있어, 비상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등의 대량의 전압을 충방전할 수 있고 전원공급을 장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셀(22)은 다수개로 형성되고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셀(22)은 원통형 배터리셀(22)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코인형, 파우치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셀(22)은 재활용한 배터리셀(22)을 사용하여 환경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셀(22)은 전기차에 대량으로 사용되는데 배터리 수명이 7 내지 10년 정도로 새배터리셀로 교체하면서 많은 폐배터리셀이 나오게 된다. 폐배터리셀은 전기차에서 사용하기엔 충방전 효율이 낮지만, 본 발명의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에서 충방전 효율을 측정한 뒤 기준치를 상회하는 폐배터리셀에 한해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리튬이온배터리셀의 재활용 비율이 약 5%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에 폐배터리셀이 활용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배터리홀더(23)는 배터리셀(22)의 상하면에 배치되어 배터리셀(22)을 수용할 수 있다.
배터리홀더(23)는 배터리셀(22)의 열을 견디고 배터리셀(22)을 수용하고 보호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배터리홀더(23)는 배터리셀(22)을 중심으로 상하측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홀더(23)는 배터리셀(22)과 맞닿는 부분에 배터리셀(22)의 끝단이 수용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배터리홀더(23)는 배터리셀(22)을 사이에 두고 적층될 수 있고, 적층된 상태에서 연결수단(24)이 용접되어 각 구성이 상하방향으로 상호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홀더(23)는 배터리셀(22)의 배열에 따라 조립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에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홀더(23)는 연결수단(24)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어 용접되도록 외측으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홀더(23)는 외면에 형성된 돌기를 통해 연결수단(24)이 돌기와 돌기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연결수단(24)는 배터리셀(22)의 음극단자 또는 양극단자의 중앙에 배치되어 용접될 수 있다.
연결수단(24)은 배터리셀(22)들의 전극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수단(24)은 한 쌍의 배터리홀더(23)가 다수개의 배터리셀(22)과 적층된 뒤, 상하부에 배치되어 배터리셀(22)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수단(24)은 길이를 가지는 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절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결수단(24)은 니켈,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전극연결수단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연결수단(24)은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셀(22)을 군 단위로 연결하고 인터페이스 회로(26)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군 단위는 사용자의 요구와 충방전하고자 하는 전압값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하다.
BMS(25)는 배터리셀(22)의 전압을 체크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이 충전되고 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BMS는 배터리 잔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BMS(25)은 battery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배터리관리시스템으로 불리며, 본 명세서에서는 BMS로 칭하기로 한다.
BMS(25)는 인터페이스 회로(26)와 연결되어 배터리셀(22)의 과충전(Overcharge), 과방전(Overdischarge), 과전류(Overcurrent) 및 단락(short-cicuit)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BMS(25)는 배열되어 있는 배터리셀(22) 각각에 균일하게 충전과 방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BMS(25)는 배터리셀(22)의 전압값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11), 사용자 단말(M)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셀(22)이 과열될 시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BMS는 자동차단부(250) 및 배터리상태알림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단부(250)는 배터리부(20)에 구비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정보가 기준 온도에 도달 시, 배터리부(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전원 차단에 대한 결과값으로 자동 차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는 배터리부(20)에서 열이 많이 발생하는 지점에 설치되되, 좁은 공간에도 부착될 수 있도록, 코인형, 박막형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온도센서는 프레임(21)과 배터리홀더(23)사이에 형성되거나, 이웃하는 배터리셀(22)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온도센서의 부착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배터리상태알림부(251)는 자동 차단정보 및 배터리 잔량정보를 케이스(10) 외측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11) 및 사용자 단말(M)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차단정보는 자동차단부(250)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부(20)로부터 전원공급이 차단되었다는 정보일 수 있다. 배터리상태알림부(251)는 전원공급이 차단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후속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상태알림부(251)는 마이컴에 의해 배터리 잔량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1) 및 사용자 단말(M)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배터리의 잔량을 상시적으로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BMS(25)는 불량검출부(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량검출부(252)는 배터리셀(22)의 개별 단위 또는 군 단위로 전압을 검출하여 충방전 효율이 낮은 불량 배터리셀(22) 또는 불량 배터리셀이 포함된 배터리셀 군을 검출하여 불량 배터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량검출부(252)는 인터페이스 회로(26)를 통해 배터리셀(22)의 개별 단위 또는 군 단위로 전압을 수집하고 충전 전압 혹은 방전 전압이 낮은 개별 배터리셀 또는 배터리셀 군을 선별할 수 있다. 이때, 불량검출부(252)는 기설정된 기준 충방전 전압값이 저장될 수 있다. 불량검출부(252)는 측정된 전압값과 기준 충방전 전압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전압값이 기준 충방전 전압값보다 낮은 값일 때 해당 개별 배터리셀 또는 배터리셀 군에 대한 불량 배터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불량 배터리정보는 불량 배터리셀 또는 불량 배터리셀 군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불량 배터리정보는 개별 배터리셀 또는 배터리셀 군이 번호로 저장될 경우, 불량 배터리셀 또는 불량 배터리셀 군의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상태알림부(251)는 불량검출부(252)로부터 불량 배터리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11) 및 사용자 단말(M)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불량 배터리셀을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상태알림부(251)는 디스플레이부(111) 및 사용자 단말(M)에 불량 배터리정보를 번호로 출력하거나, 배터리셀(22)의 배열 이미지에서 불량 배터리셀 또는 불량 배터리셀 군의 위치를 색, 점멸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불량검출부(252)는 사용자가 충방전 효율이 낮은 배터리셀(22)의 개수와 구역을 파악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부(20)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M)은 통신이 가능하고 휴대가 가능한 장치로, 스마트폰의 형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에 기재된 기능을 할 수 있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형태도 가능하다.
인터페이스 회로(26)는 배터리셀(22)과 BMS(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회로(26)는 다수개의 연결수단(24)과 연결되고 각 연결수단(24)이 BMS(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패턴화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회로(26)는 종래의 연결수단(24)과 BMS(25)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공정상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회로(26)는 시리얼 통신이 가능한 마이컴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컴은 전관방송시스템의 메인 컨트롤과 상호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마이컴은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에서 생성하는 정보들을 전관방송시스템의 메인컨트롤에 전달하여 전관방송시스템이 통합적으로 방송장비(B) 및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컨트롤은 사용자가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장치들을 통합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는 BMS를 통해 배터리셀(22)의 전압값 및 측정온도정보를 전달받아 자동 차단정보 및 불량 배터리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1) 및 사용자 단말(M)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터페이스 회로(26)의 마이컴을 통해 메인컨트롤에 전달하여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11) 및 사용자 단말(M)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회로(26)는 하기에서 설명할 화재 감지정보, 진압제어정보, 화재 감지정보 및 진압 제어정보 중 하나이상을 마이컴을 통해 메인컨트롤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의 정보들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회로(26)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11) 및 사용자 단말(M)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SMPS 회로블록(30)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정전류(CC), 정전압(CV)으로 배터리부(20)에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SMPS는 Switching Mode Power Supply의 약자로 본 명세서에서 약자인 SMPS를 사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SMPS 회로블록(30)은 BMS(25)로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SMPS 회로블록(30)은 종래의 외부 전원을 BMS(25)에 하나씩 연결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결해주며, 외부 전원과 BMS(25) 사이에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외부 AC 전원 분배기(40)는 배터리부(20)에서 제공되는 AC 전원을 전관방송시스템의 방송장치(B)에 공급할 수 있다. 외부 AC 전원 분배기(4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여러 방송장치(B)에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외부 AC 전원 분배기(40)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전원 분배기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외부 AC 전원 분배기(40)는 케이스(10)의 후면판(12)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AC 전원 분배기(40)는 AC 분배회로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대전력단자(50)는 배터리부(20)와 연결되어 대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대전력단자(50)는 케이스(10)의 후면판(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DC 전원이 필요할 경우,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는 화재진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진압부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재진압부는 감지센서, 화재진압제어부 및 화재진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다수개로 형성되되,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고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화재 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온도센서, 불꽃감지센서, 빛감지센서 및 연기감지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케이스(10) 내부의 사방에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센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센서는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배터리부(20), SMPS 회로블록(30) 및 전선의 연결지점 등에 인접하게 부착될 수 있다. 불꽃감지센서 및 빛감지센서는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점을 향하게 배치되되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기감지센서는 케이스(10) 내부의 상면판(13)에 부착되어 상측으로 향하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감지센서가 감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화재진압제어부는 감지센서로부터 화재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화재 발생을 판단하여 진압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진압제어부는 감지센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전달되는 화재 감지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에 대한 기준값은 기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재진압제어부는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을 화재 감지정보로 전달받을 수 있고, 기설정된 온도값과 측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기설정된 온도값보다 측정된 온도값이 높을 경우 진압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진압제어부는 불꽃감지센서 및 빛감지센서로부터 광원값을 화재감지정보로 전달받을 수 있고, 기설정된 광원값과 측정된 광원값과 비교하여 기설정된 광원값보다 측정된 광원값이 클 경우 진압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재진압제어부는 연기감지센서로부터 연기가 감지되었다는 화재감지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이를 바로 진압 제어정보로 생성하여 화재진압수단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화재진압제어부는 진압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1) 및 사용자 단말(M)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화재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화재진압수단은 화재진압제어부로부터 판단된 진압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화재진압수단은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및 청정약제 중 하나를 분사하여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의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다. 이에 랙 캐비닛(R)에 불이 옮겨 붙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화재진압수단은 케이스(10)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에도 설치 가능하다. 이때, 케이스(10)는 환풍홀(18)을 막는 환풍막음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화재진압수단이 화재를 진압하는 동안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환풍막음부재는 화재진압제어부로부터 진압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작동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동력원으로 실린더,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에 열방출바가 설치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면 케이스를 제거한 도 11에 열방출바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배터리부에 열전도방지부재가 제외된 냉각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의 (a)는 도 13에서 상측구성(상면 프레임, 연결수단, 배터리홀더, BMS 및 인터페이스 회로)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4의 (b)에서 일측 배터리셀 군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a)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에서 배터리부가 제거된 냉각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6에서 냉각부재 및 냉각돌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는 냉각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부(6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부(60)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냉각부(60)는 복수의 배터리셀(22)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부(60)는 냉각부재(61), 냉각돌기(62), 냉각판(63), 냉각이음부(65) 및 열전도방지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재(61)는 복수의 배터리셀(22)의 외면에 접촉되되, 배열방향을 따라 굴곡지도록 형성되며,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부재(61)는 배열되어 있는 배터리셀(22)의 사이에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냉각돌기(62)는 냉각부재(61)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배터리부(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냉각돌기(62)는 냉각부재(61)의 내주면으로 전달된 배터리셀(22)의 열을 전달받아 배터리부(20)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냉각판(63)은 배터리부(20)의 외면을 형성하되, 냉각돌기(62)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냉각부재(61)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냉각판(63)은 길이방향을 따라 냉각홀(630)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홀(630)은 냉각돌기(62)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각홀(630)은 삽입된 냉각돌기(62)와 접촉되어 열을 전달받아 냉각이음부(65)를 통해 열방출부재(64)로 전달할 수 있다.
열방출부재(64)는 케이스(10)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방출부재(64)는 열방출몸체(640) 및 열방출바(6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는 열방출부재(64)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은 열방출부재(6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열방출몸체(640)는 판형태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열방출홀(6400)이 형성되어 열방출바(64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열방출몸체(640)는 냉각이음부(65)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케이스(10)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열방출바(641)는 열방출홀(6400)에 삽입되어 열방출몸체(640)와 결합되고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 열이 방출되는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열방출바(641)가 열방출몸체(640)에 다수개 형성될 경우, 열방출바(641)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열이 방출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열방출바(641)는 'ㅏ' 자 형태로 형성되어 중단부의 돌출부가 열방출몸체(640)의 열방출홀(6400)에 삽입되면서 열방출몸체(640)와 접촉되고, 열방출몸체(640)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이음부(65)는 냉각판(63)의 외면에 형성되되, 일측이 열방출부재(64)와 연결되어 배터리셀(22)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냉각이음부(65)는 판형태로 형성되되, 냉각판(63)과 열방출부재(64)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방지부재(66)는 관통홀에 열방출부재(64)가 설치되도록 해주는 체결수단일 수 있다. 열전도방지부재(66)는 열전도성이 거의 없는 소재로 형성되어 배터리셀(22)로부터 전달된 열이 케이스(10)로 전달되지 않고 열방출부재(64)만을 통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열전도방지부재(66)는 열방출부재(64)가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냉각부(60)는 각 구성이 열전도율이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배터리부(20)의 충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배터리셀(22)은 충방전을 하는데 있어 충방전 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적정 온도가 있다. 배터리셀(22)은 저온과 고온에서 충방전이 오래 걸리거나 충방전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냉각부(60)는 배터리셀(22)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대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오히려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의 배터리셀(22)의 효율을 낮추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부(60)는 배터리셀(22)과 접촉하여 열을 전달받는 냉각부재(61)로 중간정도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알루미늄, 구리를 사용할 수 있다. 냉각판(63) 및 냉각이음부(65)는 냉각부재(61)의 소재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사용하고, 열방출부재(64)는 냉각부(60)의 다른 구성들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60)는 배터리셀(22)이 효율적으로 충방전할 수 있는 온도를 유지하면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10 : 케이스
11 : 전면판
110 : 손잡이
111 : 디스플레이부
112 : 후면판
13 : 상면판
14 : 하면판
15 : 제1 측면판
16 : 제2 측면판
17 : 팬
18 : 환풍홀
20 : 배터리부
21 : 프레임
210 : 상면 프레임
211 : 하면 프레임
22 : 배터리셀
23 : 배터리홀더
24 : 연결수단
25 : BMS
250 : 자동차단부
251 : 배터리상태알림부
252 : 불량검출부
26 : 인터페이스 회로
30 : SMPS 회로블록
40 : AC 전원 분배기
50 : 대전력단자
60 : 냉각부
61 : 냉각부재
62 : 냉각돌기
63 : 냉각판
630 : 냉각홀
64 : 열방출부재
640 : 열방출몸체
6400 : 열방출홀
641 : 열방출바
65 : 냉각이음부
66 : 열전도방지부재
B : 방송장치
M : 사용자 단말
R : 랙 캐비닛

Claims (8)

  1. 전관방송시스템의 랙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의 각 구성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랙 캐비닛에 설치되되, 내부가 중공인 형태로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비상상황 시 전관방송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정전류(CC), 정전압(CV)으로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하는 SMPS 회로블록;
    상기 배터리부에서 제공되는 AC 전원을 상기 전관방송시스템의 각 구성에 공급하는 외부 AC 전원 분배기 및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어 대전력을 출력할 수 있는 대전력단자를 포함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전원이 충전되는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상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셀을 수용하는 배터리홀더;
    상기 배터리셀들의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수단;
    상기 배터리셀의 전압을 체크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이 충전되고 방전되도록 하고 배터리 잔량정보를 생성하는 BMS 및
    상기 배터리셀과 상기 BMS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MS는,
    상기 배터리부에 구비된 온도센서의 측정온도정보가 기준 온도에 도달 시, 상기 배터리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전원 차단에 대한 결과값으로 자동 차단정보를 생성하는 자동차단부 및
    상기 자동 차단정보 및 배터리 잔량정보를 상기 케이스 외측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배터리상태알림부를 포함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MS는,
    상기 배터리셀의 개별 단위 또는 군 단위로 전압을 검출하여 충방전 효율이 낮은 불량 배터리셀 또는 불량 배터리셀이 포함된 배터리셀 군을 검출하여 불량 배터리정보를 생성하는 불량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상태알림부는,
    상기 불량검출부로부터 상기 불량 배터리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불량 배터리셀을 교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화재진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진압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화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화재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화재 발생을 판단하여 진압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화재진압제어부 및
    상기 화재진압제어부로부터 판단된 상기 진압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진압수단을 포함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온도센서, 불꽃감지센서, 빛감지센서 및 연기감지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진압수단은,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및 청정약제 중 하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외면에 접촉되되, 배열방향을 따라 굴곡지도록 형성되며,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되는 냉각부재;
    상기 냉각부재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냉각돌기;
    상기 배터리부의 외면을 형성하되, 상기 냉각돌기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상기 냉각부재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냉각판;
    상기 케이스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열방출부재 및
    상기 냉각판의 외면에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열방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냉각이음부를 포함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재는,
    판형태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열방출홀이 형성된 열방출몸체 및
    상기 열방출홀에 삽입되어 상기 열방출몸체와 결합되고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 열이 방출되는 표면적이 넓어지는 열방출바를 포함하는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KR1020210156971A 2021-11-15 2021-11-15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KR20230072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971A KR20230072525A (ko) 2021-11-15 2021-11-15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971A KR20230072525A (ko) 2021-11-15 2021-11-15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525A true KR20230072525A (ko) 2023-05-25

Family

ID=8654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971A KR20230072525A (ko) 2021-11-15 2021-11-15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5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018B1 (ko) *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기반의 다원화 방송 제어 시스템
KR102633023B1 (ko) *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이용한 소비전력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018B1 (ko) *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기반의 다원화 방송 제어 시스템
KR102633023B1 (ko) * 2023-08-03 2024-02-02 국제시스템(주)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이용한 소비전력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2525A (ko) 비상방송용 전원공급장치
US11831189B2 (en) Battery quick-change device of portable power station
KR20180113809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909014B2 (en) High voltage battery rack
US9434272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1684736B1 (ko)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 과충전 방지 장치
KR101549172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어셈블리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장치
CN108428944A (zh) 电池模组结构
JP3176029U (ja) リチウム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セット
US20200388816A1 (en) Battery pack
US20180076439A1 (en) Battery pack
CN111162596A (zh) 一种多功能可扩展移动充电电源及光伏电源箱
KR101021623B1 (ko) 정전보상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 장치
KR20220048858A (ko) 배터리 팩
KR20200076909A (ko) 조립 구조가 개선되고 멀티셀렉팅 기능의 배터리관리시스템을 포함한 배터리팩
CN107134831B (zh) 一种矿用锂离子蓄电池电源
KR20160087105A (ko) 전지 수명을 표시하는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KR101550790B1 (ko) 배터리셀의 전극연결부재
CN114447459B (zh) 混合型电池
KR102582440B1 (ko) 배터리 충전장치
CN217562725U (zh) 一种不断电更换电池的用电设备
CN211296292U (zh) 一种多功能可扩展移动充电电源及光伏电源箱
CN218769703U (zh) 锂电池
KR101446745B1 (ko) 엔블록 클립 형태의 리튬 이차전지 팩 전용의 충전 홀더
JP2013070557A (ja) 太陽光発電の給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