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439A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439A
KR20230072439A KR1020220153281A KR20220153281A KR20230072439A KR 20230072439 A KR20230072439 A KR 20230072439A KR 1020220153281 A KR1020220153281 A KR 1020220153281A KR 20220153281 A KR20220153281 A KR 20220153281A KR 20230072439 A KR20230072439 A KR 20230072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s
battery
battery module
barrier rib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쇼 아베
다카히데 다케다
야스시 츠치다
마사키 고이케
고지 와타나베
유조 스즈키
마코토 오치
고스케 이와세
야스오 이케다
미오 다케노
세이이치 사쿠라모토
게이이치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7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전지 모듈(1)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각형 형상을 각각 갖는 복수의 전지 셀(100)과, 복수의 전지 셀(100)의 사이에 마련되고, 복수의 전지 셀(100) 간의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하는 격벽부(260, 270)을 구비한다. 격벽부(260, 270)는 제1 격벽부(260)와, 제1 격벽부(260)와 교호로 마련되고, 제1 격벽부(260)와는 다른 형상을 갖고, 제1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전지 셀(100)과의 사이에 냉각 공간을 각각 형성하는 제2 격벽부(2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본 기술은,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전지 셀이 적층된 전지 모듈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복수의 전지 셀 간에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격벽부(세퍼레이터)가 마련되고, 격벽부에 냉각풍을 위한 통로를 마련하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0-61982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62879호 공보).
그러나, 전지 모듈의 냉각 구조에 대해서는, 제조 비용의 한층 더한 저감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기술의 목적은, 제조 비용을 저감하면서 효율적인 냉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기술에 관계되는 전지 모듈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각형 형상을 각각 갖는 복수의 전지 셀과, 복수의 전지 셀 사이에 마련되고, 복수의 전지 셀 간의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하는 격벽부를 구비한다. 격벽부는, 제1 격벽부와, 제1 격벽부와 교호로 마련되고, 제1 격벽부와는 다른 형상을 갖고, 제1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전지 셀과의 사이에 냉각 공간을 각각 형성하는 제2 격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을 화살표 II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이 구비하는 유닛 및 엔드 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이 구비하는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닛을 화살표 V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이 구비하는 전지 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이 구비하는 전압 검출선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유닛을 VIII-V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IX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X-X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수, 양 등에 언급하는 경우, 특별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기술의 범위는 반드시 그 개수, 양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 요소는, 특별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기술에 있어서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구비한다(comprise)」 및 「포함한다(include)」, 「갖는다(have)」의 기재는, 오픈 엔드 형식이다. 즉, 어떤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에, 당해 구성 이외의 다른 구성을 포함해도 되고,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언급하는 작용 효과를 반드시 모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지」는, 리튬 이온 전지에 한정되지는 않고, 니켈 수소 전지 등 기타의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극」은 정극 및 부극을 총칭할 수 있다. 또한, 「전극판」은 정극판 및 부극판을 총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전지 셀의 적층 방향을 Y 방향으로서의 제1 방향, 전지 셀에 2개의 전극 단자가 나란하게 나열되는 방향을 X 방향으로서의 제2 방향, 전지 셀의 높이 방향을 Z 방향으로서의 제3 방향으로 한다.
도 1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을 화살표 II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이 구비하는 유닛 및 엔드 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전지 모듈(1)은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또는 전기 자동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 등의 차량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먼저, 전지 모듈(1)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모듈(1)은 복수의 유닛(10)과, 엔드 플레이트(400)와, 구속 부재(500)와, 하부 구속 부재(550)와, 배선 부재(600)와, 덕트(700)와, 접속 단자(800)를 구비한다.
복수의 유닛(10)은 제1 방향(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복수의 유닛(10)은 Y 방향으로 6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유닛(10)의 수량은, 2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유닛(10)은 2개의 엔드 플레이트(400)에 끼움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복수의 유닛(10)은 엔드 플레이트(400)에 압박되고, 2개의 엔드 플레이트(400) 사이에 구속되어 있다.
엔드 플레이트(400)는 복수의 유닛(10)의 Y 방향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다. 엔드 플레이트(400)는 전지 모듈(1)을 수납하는 팩 케이스 등의 기대에 고정된다. 엔드 플레이트(40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철로 구성되어 있다.
구속 부재(500)는 복수의 유닛(10) 및 엔드 플레이트(400)의 X 방향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다.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유닛(10) 및 엔드 플레이트(400)에 대하여 Y 방향의 압축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구속 부재(500)를 엔드 플레이트(400)에 걸림 결합시키고, 그 후에 압축력을 해방함으로써, 2개의 엔드 플레이트(400)를 접속하는 구속 부재(500)에 인장력이 작용한다. 그의 반작용으로서, 구속 부재(500)는 2개의 엔드 플레이트(400)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그 결과, 구속 부재(500)는 복수의 유닛(10)을 제1 방향(Y 방향)으로 구속한다.
구속 부재(500)는 판상부(510)와, 제1 플랜지부(520)와, 제2 플랜지부(530)를 포함한다. 구속 부재(500)는 예를 들어, 철로 구성되어 있다.
판상부(510)는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재이다. 판상부(510)에는, 복수의 개구부(511)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개구부(511)는 Y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511)는 X 방향에 있어서, 판상부(510)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520)는 복수의 유닛(10)의 측면으로부터 복수의 유닛(10)의 상면으로 돌아 들어간다. 제1 플랜지부(520)를 마련함으로써, 비교적 얇게 형성된 구속 부재(50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530)는 판상부(510)의 Y 방향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530)는 엔드 플레이트(400)에 고정된다. 제2 플랜지부(530)는 예를 들어, 볼트 체결 등의 공지된 고정 방법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400)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구속 부재(500)는 2개의 엔드 플레이트(400)를 서로 접속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구속 부재(550)는 복수의 유닛(10) 및 엔드 플레이트(400)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다. 하부 구속 부재(550)는 후술하는 전지 셀(100)을 저면측으로부터 보호한다. 하부 구속 부재(550)는 예를 들어, 철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 부재(600)는 Z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유닛(10)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배선 부재(600)는 X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유닛(10)의 각각의 중앙부를 통하여,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배선 부재(600)는 복수의 유닛(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 부재(600)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다.
덕트(700)는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덕트(700)는 Z 방향으로 보아서, 배선 부재(600)와 겹치는 위치에서 연장되어 있다. 덕트(700)는 Z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유닛(10)과, 배선 부재(6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800)는 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유닛(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800)는 Z 방향에서 보아서, 엔드 플레이트(400)와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 단자(800)는 전지 모듈(1)과, 전지 모듈(1)의 외부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등의 외부 배선을 접속한다.
다음으로, 유닛(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이 구비하는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닛을 화살표 V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10)의 각각은, 복수의 전지 셀(100)과, 지지 부재로서의 케이스(200)와, 버스 바(300)를 포함한다.
유닛(10)은 2개 이상의 전지 셀(100)을 포함하고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닛(10)은 짝수의 개수로서 4개의 전지 셀(10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유닛(10)의 각각에 구비되는 전지 셀(100)의 수는, 2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복수의 유닛(10)의 각각에 구비되는 전지 셀(100)의 수는, 홀수개여도 된다.
복수의 전지 셀(100)은 제1 방향(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복수의 전지 셀(100)은 Y 방향으로 4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유닛(10)의 배열 방향과, 복수의 유닛(10)의 각각에 있어서의 복수의 전지 셀(100)의 배열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다.
케이스(200)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는다. 케이스(200)는 복수의 전지 셀(100)을 수용하고 있다. 케이스(200)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는 구속 부재(500)에 의해 제1 방향(Y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는 전방 벽부(210)와, 후방벽부(220)와, 제1 측벽부(230)와, 제2 측벽부(240)와, 상면부(250)를 갖는다.
전방 벽부(210)는 한쪽의 구속 부재(500)에 인접하는 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벽부(210)에는, 복수의 제1 통기구(21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통기구(211)는 X 방향에 있어서, 전방 벽부(210)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벽부(220)는 X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전지 셀(100)을 사이에 두고서 전방 벽부(210)에 대향하는 면이다. 후방벽부(220)에는, 복수의 제2 통기구(221)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통기구(221)는 X 방향에 있어서, 후방벽부(220)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복수의 제2 통기구(221)의 각각은, 후술하는 연통 공간(280)에 의해, X 방향에 있어서 나란하게 대응하는 제1 통기구(211)와 연통하고 있다.
제1 측벽부(230) 및 제2 측벽부(240)는 제1 방향(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벽부(230)는 볼록부(231)를 갖고 있다. 볼록부(231)는 제2 측벽부(240)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측벽부(240)는 오목부(241)를 갖고 있다. 오목부(241)는 제1 측벽부(230)를 향하여 오목하게 되고, 볼록부(231)와 걸림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복수의 유닛(10)에 있어서, 인접하는 유닛(10)의 볼록부(231)와 오목부(241)가 각각 걸림 결합한다.
상면부(250)는 제1 벽부(251)와, 제2 벽부(252)와, 제3 벽부(253)와, 제4 벽부(254)와, 걸림 결합면(255)과, 구멍부(256)를 포함한다. 제1 벽부(251)는 X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2개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2 벽부(252), 제3 벽부(253), 및 제4 벽부(254)는 제1 벽부(251)에 대하여 X 방향의 양측에 마련되고, 버스 바(300)의 설치 장소를 구획한다. 제2 벽부(252)에는, 후술하는 전압 검출선(610)을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252A)가 형성된다. 걸림 결합면(255)에는, 구속 부재(500)의 제2 플랜지부(530)가 걸림 결합한다. 구멍부(256)는 후술하는 가스 배출 밸브(130)와 연통한다.
버스 바(300)는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버스 바(300)는 복수의 전지 셀(100)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6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이 구비하는 전지 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 셀(100)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이다. 전지 셀(100)은 각형 형상을 갖는다. 개개의 전지 셀(100)의 출력 밀도는, 예를 들어, 8000W/L 이상 정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셀(100)은 전극 단자(110)와, 하우징(120)과, 가스 배출 밸브(130)를 갖는다.
전극 단자(110)는 하우징(12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 단자(110)는 제1 방향(Y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X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2개의 전극 단자(110)로서, 정극 단자(111) 및 부극 단자(112)를 갖는다.
정극 단자(111) 및 부극 단자(112)는 X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다. 정극 단자(111) 및 부극 단자(112)는 X 방향에 있어서, 배선 부재(600) 및 덕트(7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2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전지 셀(100)의 외관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12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극체 및 전해액이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120)은 상면(121)과, 하면(122)과, 제1 측면(123)과, 제2 측면(124)과, 제3 측면(125)을 갖는다.
상면(121)은 Z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이다. 상면(121)에는, 전극 단자(110)가 배치되어 있다. 하면(122)은 제1 방향(Y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Z 방향)을 따라서 상면(121)에 대향하고 있다.
제1 측면(123) 및 제2 측면(124)의 각 측면은, Y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제1 측면(123) 및 제2 측면(124)의 각 측면은, 하우징(120)이 갖는 복수의 측면 중에서 가장 큰 면적을 갖는다. 제1 측면(123) 및 제2 측면(124)의 각 측면은, Y 방향으로 보아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제1 측면(123) 및 제2 측면(124)의 각 측면은, Y 방향으로 보아서, X 방향이 긴 쪽 방향이 되고, Z 방향이 짧은 쪽 방향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전지 셀(100)은 Y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지 셀(100, 100)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측면(123)끼리, 제2 측면(124)끼리가 마주 향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전지 셀(100)이 적층되는 Y 방향에 있어서, 정극 단자(111)와 부극 단자(112)가 교호로 나열되어 있다.
또한, 유닛(10)에 구비되는 전지 셀(100)의 수가 홀수개일 경우, Y 방향으로 인접하는 유닛(10) 사이에 있어서, 유닛(10)의 자세가 Z축을 중심으로 180° 반전되면 된다.
가스 배출 밸브(130)는 상면(121)에 마련되어 있다. 가스 배출 밸브(130)는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압이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에, 그 가스를 하우징(120)의 외부로 배출한다. 가스 배출 밸브(130)로부터의 가스는, 도 1 중의 덕트(700)에 흘러서, 전지 모듈(1)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이 구비하는 전압 검출선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 부재(600)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선(610)을 포함한다. 복수의 전압 검출선(610)은 버스 바(300)를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접속되어 있다. 전압 검출선(610)은 복수의 유닛(10)의 각각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압 검출선(610)은 유닛(10)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4의 유닛을 VIII-V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IX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X-X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로서의 케이스(200)는 격벽부를 더 갖는다. 격벽부는, 복수의 전지 셀(100)의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전지 셀(100) 간의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하는 세퍼레이터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격벽부는, 제1 격벽부(260)와, 제2 격벽부(270)를 갖는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제1 격벽부(260) 및 제2 격벽부(270)에 의해 전지 셀(100)이 끼움 지지된다. 케이스(200)는 제1 방향(Y 방향)으로 전지 셀(100)을 지지한다.
제1 격벽부(260)는 Y 방향에 있어서, 유닛(1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격벽부(260)는 유닛(10)에 수용된 4개의 전지 셀(100) 중, Y 방향의 중앙측에 배치된 2개의 전지 셀(100)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격벽부(260)는 케이스(200)의 내부에 있어서, Z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제2 격벽부(270)는 Y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격벽부(260)의 양측에, 전지 셀(10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2 격벽부(270)는 케이스(200)의 내부에 있어서, Z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제2 격벽부(270)는 박육부(271)와, 리브(272)를 갖는다. 박육부(271)는 제2 격벽부(270)에 있어서, Y 방향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다. 박육부(271)는 제2 격벽부(270)의 Z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상면부(250)측을 중심으로 하여 Z 방향을 따라서 4개 마련되어 있다. 리브(272)는 4개의 박육부(27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지 모듈(1)에 있어서, 제1 격벽부(260)와 제2 격벽부(270)가 제1 방향(Y 방향)으로 나열되어 교호로 배치된다. 제1 격벽부(260)와 제2 격벽부(27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제1 격벽부(260) 및 제2 격벽부(270)는 제1 방향(Y 방향)으로부터 전지 셀(100)에 맞닿는다. 이때, 제2 격벽부(270)와 전지 셀(100)의 접촉 면적(제2 면적)은 제1 격벽부(260)의 접촉면(제1 면적)보다도 작다.
격벽부에는, 제1 방향(Y 방향) 및 제3 방향(Z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공간(280)(냉각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격벽부에 있어서는, 제2 격벽부(270)의 양면에 복수의 연통 공간(280)이 마련되어 있다. 연통 공간(280)은 제2 격벽부(270)에 박육부(271) 및 리브(272)가 형성됨으로써, 전지 셀(100)이 수용된 케이스(200)의 내부를 연통하고 있다. 연통 공간(280)은 제1 통기구(211) 및 제2 통기구(221)와 연통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 공간(280)은 제2 방향(X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격벽부(270)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연통 공간(280)은 제2 방향(X 방향)에 있어서 개구부(511)와 연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통기구(211) 또는 제2 통기구(221)로부터 냉각풍을 도입하고, 연통 공간(280)에 냉각풍을 통류시킴으로써 케이스(200)에 수용된 전지 셀(100)을 냉각할 수 있다.
연통 공간(28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20)의 상면(121)과 하면(122) 사이의 중앙으로부터 상면(121)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Z 방향으로 나열된 4개의 연통 공간(281, 282, 283, 284) 중 상면(121)측에 마련되는 2개의 연통 공간(281, 282)이, 상면(121)과 하면(122) 사이의 중앙으로부터 상면(121)측에 위치하고 있다.
연통 공간(280)의 적어도 일부가, 상면(121)과 하면(122) 사이의 중앙으로부터 상면(121)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지지 부재로서의 케이스(200)의 무게 중심을 낮게 하여, 케이스(200)를 안정적으로 자립시킬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1)에 있어서는, 전지 셀(100)의 냉각에 기여하는 연통 공간(280)이 양면에 형성된 제2 격벽부(270)를 제1 방향(Y 방향)을 따라서 1개 걸러서 마련함으로써, 모든 전지 셀(100)에 동일한 냉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연통 공간(280)을 형성하지 않는 제1 격벽부(260)는 제2 격벽부(270)와 비교하면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 모듈(1)의 제조 비용의 저감 및 소형화를 실현하면서 효율적 또한 균일한 전지 셀(100)의 냉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지 모듈(1)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지 셀(100)을 제1 방향(Y 방향)으로 나열하여 케이스(200)에 수용하는 유닛(10)을 구성하고, 또한, 복수의 유닛(10)을 제1 방향(Y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하여 전지 모듈(1)을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전지 셀(100)의 각각을 1단위로 하여 전지 모듈(1)을 제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간소화의 예로서, 예를 들어, 작게 구성된 유닛(10)을 용접기에 통과시켜서 유닛(10) 내의 버스 바(300)의 용접을 행한 후, 다른 유닛(10)을 넘어가는 버스 바(300)를 개별로 접합함으로써, 용접 공정을 효율화할 수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1)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지 셀(100)을 케이스(200)에 수용하는 유닛(10)을 구성함으로써, 전지 모듈(1)을 유닛(10)의 단위로 용이하게 해체 또는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1)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지 셀(100)을 케이스(200)에 수용하는 유닛(10)을 구성함으로써, 전지 모듈(1)을 폐기할 때에, 전지 모듈(1)을 분할하고, 유닛(10)을 1단위로 하여 저전압화하여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전지 모듈(1)의 폐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1)에 있어서는, 전지 셀(100)을 유닛(10)의 구성을 통하여 구속 부재(500)에 의해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1)에 있어서는, 복수의 유닛(10)끼리를 버스 바(300)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유닛(10) 단위로 전지 모듈(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1)에 있어서는, 하나의 유닛(10)에 전압 검출선(610)을 하나 배치하기 때문에, 전압 검출선(610)을 전지 셀(100)의 각각에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지 모듈(1)을 저비용화할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1)에 있어서는, 하나의 유닛에 2개 이상의 전지 셀(100)을 포함하고, 2개 이상의 전지 셀(100)의 각각의 출력 밀도를 8000W/L 이상 정도로 함으로써, 유닛 단위로 소정의 전압 이상의 전원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8)

  1.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각형 형상을 각각 갖는 복수의 전지 셀과,
    상기 복수의 전지 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전지 셀 간의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하는 격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부는, 제1 격벽부와,
    상기 제1 격벽부와 교호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격벽부와는 다른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전지 셀과의 사이에 냉각 공간을 각각 형성하는 제2 격벽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지 셀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2개의 전극 단자를 각각 갖고,
    상기 냉각 공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공간은,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격벽부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전지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지 셀을 수용하여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 셀을 포함하는 유닛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복수의 상기 유닛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구속하는 구속 부재를 더 구비한, 전지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2개의 전지 셀을 지지하고, 상기 2개의 전지 셀 사이에 상기 제2 격벽부가 마련된, 전지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지 셀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나열되는 2개의 전극 단자를 각각 갖고,
    상기 냉각 공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전지 셀을 수용하여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 셀을 포함하는 유닛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복수의 상기 유닛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구속하는 구속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속 부재에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냉각 공간과 연속한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전지 모듈.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2개 이상의 전지 셀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전지 셀의 각각의 출력 밀도는 8000W/L 이상인, 전지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제1 면적을 가지고 인접하는 전지 셀에 맞닿고,
    상기 제2 격벽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제2 면적을 가지고 인접하는 전지 셀에 맞닿고,
    상기 제2 면적은 상기 제1 면적보다도 작은, 전지 모듈.
KR1020220153281A 2021-11-17 2022-11-16 전지 모듈 KR202300724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87142A JP2023074273A (ja) 2021-11-17 2021-11-17 電池モジュール
JPJP-P-2021-187142 2021-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439A true KR20230072439A (ko) 2023-05-24

Family

ID=8433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281A KR20230072439A (ko) 2021-11-17 2022-11-16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55228A1 (ko)
EP (1) EP4184661A1 (ko)
JP (1) JP2023074273A (ko)
KR (1) KR20230072439A (ko)
CN (1) CN1161373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9376B (zh) * 2023-08-23 2024-04-02 清安储能技术(重庆)有限公司 一种电池簇的风冷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5570B2 (ja) 2003-06-03 2010-0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集合電池
KR20060102851A (ko) * 2005-03-25 2006-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2010061982A (ja) 2008-09-03 2010-03-18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DE102009040147A1 (de) * 2009-09-04 2011-03-10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r Energiespeicher für Fahrzeuge und Verfahren zum Kühlen oder Erwärmen eines solche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s
FR3092936B1 (fr) * 2019-02-15 2022-03-04 Novares France Unité de batterie et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au moins une telle unité
JP2021187142A (ja) 2020-06-04 2021-12-13 株式会社エイ・ティ・エル 樹脂ブロック製造装置、樹脂製品製造方法および樹脂ブロック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74273A (ja) 2023-05-29
EP4184661A1 (en) 2023-05-24
US20230155228A1 (en) 2023-05-18
CN116137366A (zh)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107B1 (ko)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EP2650946B1 (en) Battery block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US9564663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JP2019525397A (ja) 電池サブ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サブモジュール、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EP2482361A1 (en) Battery pack
US11699818B2 (en) Battery pack
KR20230072439A (ko) 전지 모듈
KR20130001970A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40002112A (ko) 배터리 모듈
JPWO2020039626A1 (ja) 電池パック
JP7367182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電子デバイス及び自動車
US11509023B2 (en) Battery wiring module
CN111937180B (zh) 包括内部板的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及车辆
US20230207939A1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30170572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unit
US20230155197A1 (en) Battery module
JP7488243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23525009A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これを含む自動車
JP2024060671A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230046778A (ko) 친환경 자동차용 전지모듈
CN117321841A (zh) 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CN116565466A (zh) 电池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