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393A -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 Google Patents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393A
KR20230072393A KR1020220081229A KR20220081229A KR20230072393A KR 20230072393 A KR20230072393 A KR 20230072393A KR 1020220081229 A KR1020220081229 A KR 1020220081229A KR 20220081229 A KR20220081229 A KR 20220081229A KR 20230072393 A KR20230072393 A KR 20230072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unit
conveyor
unloa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진
박종삼
정병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씨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씨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씨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23007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articul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5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provided with separating means for releasing the gripped object afte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25J17/02Wrist joints
    • B25J17/0283Three-dimension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2Arms exte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1Other article loading or unloa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은, 적재함 내에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기 위한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으로서,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고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는 로봇 팔 장치 및 본체 프레임에 의해 장착되고 로봇 팔 장치의 사이에 마련되며, 로봇 팔 장치에 의해 하차된 화물이 안착되며, 안착된 화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CARGO UNLOADING AUTOMATION MACHI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물 하차 자동화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3년간 택배 물동량은 매년 10~13%씩 증가했으나 택배 평균 배송단가는 매년 2~3%씩 하락하고 있어 물류 산업에서 자동화는 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 되고 있다. 현재 택배 공정 중 상당 부분은 벨트 소터 등 장비를 이용한 물류 센터 내 자동화가 적용되어 있지만 차량의 적재함에서 각종 택배 화물을 내리는 하차 작업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그리고, 전국적인 1일 택배 수요량 처리를 위해 허브 터미널의 간선 화물 트럭은 통상 1대당 2천여개의 화물을 적재하여 2명의 작업자가 1시간 내에 모두 하차해야 한다. 이는 택배 허브 터미널의 여러 작업 중 가장 강도가 높아 작업자들의 기피 작업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간선 화물 트럭의 하차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적재함 내 화물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하차시킬 수 있는 로봇 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은, 적재함 내에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기 위한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으로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는 로봇 팔 장치;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로봇 팔 장치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로봇 팔 장치에 의해 하차된 화물이 안착되며, 안착된 상기 화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전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로봇 팔 장치의 동작과 연동되어 높이 및 경사 중 하나 이상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제1 컨베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베이어부는, 상기 로봇 팔 장치의 하차 모드 및 상기 로봇 팔 장치에 의해 하차될 화물의 적재된 위치에 따라 높이 및 경사 중 하나 이상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로봇 팔 장치는, 상기 화물과의 거리, 상기 화물의 적재 패턴, 상기 화물의 적재 위치, 및 상기 화물의 종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다운 스윕(down sweep) 모드, 측면 스윕(side sweep) 모드, 흡착 모드, 및 클램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하차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전단에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의 후방에서 상기 진입부의 폭 보다 좁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이송부; 상기 진입부의 후방에서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진입부의 후방에서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입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하차된 화물을 후방으로 전달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양측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마련되고 상기 제1 진입부,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를 통해 후방으로 전달되는 화물들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바깥측 테두리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바깥측 테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되다가 중심부를 향하여 모아져 상기 이송부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2 롤러를 구비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좌측에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좌측 사선 방향으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3 롤러를 구비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의 우측에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우측 사선 방향으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4 롤러를 구비하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후방에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2 컨베이어부; 및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후방에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3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5 롤러; 상기 제5 롤러의 좌측에서 좌측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6 롤러; 및 상기 제5 롤러의 우측에서 우측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7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3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3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8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하차되는 화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롤러, 상기 제5 롤러, 및 상기 제8 롤러는 제1 이송 속도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3 롤러, 상기 제4 롤러, 상기 제6 롤러, 및 상기 제7 롤러는 상기 제1 이송 속도보다 느린 제2 이송 속도로 동작시키며, 상기 제1 롤러,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2 이송 속도보다 느린 제3 이송 속도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는, 하부로 수직하게 접힘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적재된 화물의 폭과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폭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 하부로 수직하게 접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은 다축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로봇 팔 장치를 구비하며, 로봇 팔 장치가 하차 컨베이어 벨트, 흡착 수단, 및 클램프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적재된 화물의 위치, 화물의 적재 패턴, 및 화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운 스윕(down sweep) 모드, 측면 스윕(side sweep) 모드, 흡착 모드, 및 클램핑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하차 모드로 동작하여 적재 화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로봇 팔 장치의 사이에 컨베이어 장치가 마련됨으로써, 한 쌍의 로봇 팔 장치를 통해 하차시킨 화물을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이 적재함 내부로 진입하여 화물을 하차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팔 장치의 암 유닛에서 각 축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유닛의 일측부 및 타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착 패드부가 전진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클램핑부가 전진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이 적재함에서 적재 화물을 하차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에서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에서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서 화물의 이송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장치의 제1 측면부가 하부로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이 적재함 내부로 진입하여 화물을 하차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로봇 팔 장치(102), 컨베이어 장치(104), 궤도 장치(106), 및 본체 프레임(108)을 포함할 수 있다.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적재함(50) 내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이하, 적재 화물이라 지칭할 수 있음)들을 하차하거나 하차 후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적재함(50)은 화물 차량(예를 들어, 간선 화물차 등)에 장착되는 적재함일 수도 있고 컨테이너일 수도 있다.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적재함(50)의 입구에서 적재함 내의 적재 화물을 하차시킬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50)의 내부로 진입하여 적재함 내의 적재 화물을 하차시킬 수도 있다.
또한,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화물의 적재 패턴, 화물의 적재 위치, 화물의 종류 등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화물의 하차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장비(예를 들어, 비전 센서 또는 라이다(Lidar) 또는 비전 및 라이다의 융합 센서, 스캐너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 팔 장치(102)는 본체 프레임(108)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로봇 팔 장치(102)는 본체 프레임(108)의 양측에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로봇 팔 장치(102)는 사람의 팔처럼 한 쌍으로 동작하여 적재함 내 벌크 형태로 쌓여 있는 박스, 비닐 파우치, 및 마대 등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하차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로봇 팔 장치(102)는 적재함 내 적재 화물을 컨베이어 장치(104) 측으로 하차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4)는 본체 프레임(108)에 장착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4)는 본체 프레임(10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4)는 본체 프레임(108)에서 로봇 팔 장치(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4)는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된 적재 화물을 본체 프레임(108)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4)는 로봇 팔 장치(102)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4)의 전단부는 로봇 팔 장치(102)의 동작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 장치(104)의 전단부는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되려고 하는 적재 화물의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될 수 있다.
궤도 장치(106)는 본체 프레임(108)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궤도 장치(106)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궤도 장치(106)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을 적재함 입구로 이동시키거나 적재함 내부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08)은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08)은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 바, 그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 프레임(108)은 로봇 팔 장치(102)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08)은 컨베이어 장치(104)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08)은 궤도 장치(106)의 상부에서 궤도 장치(106)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08)에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에 동력을 제공하고,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장치들을 포함하는 전장 함(108a)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08)에는 로봇 팔 장치(102) 및 궤도 장치(106) 중 하나 이상에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 탱크(108b)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08)에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니터(108c)가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팔 장치(102)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팔 장치(102)의 암 유닛에서 각 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로봇 팔 장치(102)는 암 유닛(arm unit)(111) 및 핸드 유닛(113)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 팔 장치(102)는 적재함 내 화물의 적재 패턴, 화물의 적재 위치, 및 화물의 종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하차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하차 모드는 적재함 내 화물을 하차시키기 위한 동작 모드로서, 예를 들어, 하차 모드에는 다운 스윕(down sweep) 모드, 측면 스윕(side sweep) 모드, 흡착 모드, 및 클램핑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암 유닛(111)은 본체 프레임(108)의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암 유닛(111)은 다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암 유닛(111)은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암 유닛(111)은 다축 회전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암 유닛(111)은 6축 자유도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암 유닛(111)은 제1 축부(111-1), 제2 축부(111-2), 제3 축부(111-3), 제4 축부(111-4), 제5 축부(111-5), 및 제6 축부(1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부(111-1)는 본체 프레임(108)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축부(111-1)는 제1 방향(①)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축부(111-2)는 제1 축부(111-1)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축부(111-2)는 제2 방향(②)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축부(111-3)는 제2 축부(111-2)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축부(111-3)는 제3 방향(③)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4 축부(111-4)는 제3 축부(111-3)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4 축부(111-4)는 제4 방향(④)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5 축부(111-5)는 제4 축부(111-4)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5 축부(111-5)는 제5 방향(⑤)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6 축부(111-6)는 제5 축부(111-5)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6 축부(111-6)는 제6 방향(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①) 내지 제6 방향(⑥)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암 유닛(111)은 5개의 축 방향으로 회전 하면서 전진 및 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핸드 유닛(113)은 암 유닛(111)의 단부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핸드 유닛(113)은 적재 화물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적재 화물을 컨베이어 장치(104) 측으로 하차시키는 부분이다. 핸드 유닛(113)은 제6 축부(111-6)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핸드 유닛(113)이 암 유닛(111)에 연결되어 있는 바, 핸드 유닛(113)은 암 유닛(111)의 동작에 따라 암 유닛(111)과 함께 5개의 축 방향으로 회전 하면서 전진 및 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로봇 팔 장치(102)가 6축 자유도를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적재함 내 모든 범위를 커버하여 적재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유닛(113)의 일측부 및 타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핸드 유닛(113)은 컨베이어 벨트(121), 흡착 수단(123), 및 클램프 수단(125)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 유닛(113)의 일측부에는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가 장착될 수 있다. 로봇 팔 장치(102)를 사람의 팔로 비유할 때 핸드 유닛(113)의 일측부는 손바닥으로 비유할 수 있다.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는 암 유닛(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는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는 순환 회전되도록 루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는 본체 프레임(108) 방향 측으로(즉,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에서 각 핸드 유닛(113)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는 본체 프레임(108) 방향 측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가 본체 프레임(108) 방향 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한 쌍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 사이에서 한 쌍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와 접촉하는 적재 화물들이 본체 프레임(108) 방향 쪽으로 쓸려 내려가면서 컨베이어 장치(104) 측으로 하차되게 된다. 즉,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는 스윕(sweep) 모드에 사용되는 것으로, 로봇 팔 장치(102)의 하차 모드가 다운 스윕(down sweep) 모드 또는 측면 스윕(side sweep) 모드일 때 사용될 수 있다.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의 표면에는 적재 화물을 쓸어 내릴 때, 적재 화물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요철 패턴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 패턴부(121a)는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의 표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철 패턴부(121a)는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핸드 유닛(113)의 타측부에는 흡착 수단(123) 및 클램프 수단(125)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로봇 팔 장치(102)를 사람의 팔로 비유할 때 핸드 유닛(113)의 타측부는 손등으로 비유할 수 있다. 핸드 유닛(113)의 타측부에서 흡착 수단(123)과 클램프 수단(125)은 각각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흡착 수단(123) 및 클램프 수단(125)은 각각 핸드 유닛(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흡착 수단(123) 및 클램프 수단(125)은 핸드 브라켓(127)을 통해 핸드 유닛(113)에 장착될 수 있다. 핸드 브라켓(127)의 양측은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드 브라켓(127)은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와 흡착 수단(123) 및 클램프 수단(125)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흡착 수단(123)은 적재함 내의 적재 화물을 흡착하여 하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흡착 수단(123)은 로봇 팔 장치(102)의 하차 모드가 흡착 모드인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착 수단(123)은 핸드 유닛(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착 수단(123)은 흡착 패드부(123a) 및 흡착 구동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 패드부(123a)는 적재 화물을 흡착시키는 부분이다. 흡착 패드부(123a)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흡착 패드부(123a)의 일단은 각각 장착 플레이트(123a-2)에 고정될 수 있다. 장착 플레이트(123a-2)는 흡착 구동부(123b)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흡착 패드부(123a)가 복수 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착 패드부(123a)의 단부에는 적재 화물을 진공 흡착하는 석션 컵(123a-1)이 마련될 수 있다. 석션 컵(123a-1)은 다양한 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도록 자바라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착 구동부(123b)는 흡착 패드부(123a)를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흡착 구동부(123b)는 흡착 패드부(123a)가 적재 화물을 흡착하도록 진공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착 패드부(123a)가 전진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흡착 구동부(123b)는 흡착 모드 시 흡착 패드부(123a)를 전진 이동시켜 적재 화물을 흡착하도록 할 수 있다. 흡착 구동부(123b)는 흡착된 적재 화물을 하차시킨 흡착 패드부(123a)를 후진 이동하여 원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흡착 패드부(123a)가 전진 이동하여 적재 화물을 흡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착 패드부(123a)가 고정된 상태에서 핸드 유닛(111)이 적재 화물 측으로 이동한 후 흡착 패드부(123a)을 통해 적재 화물을 흡착할 수도 있다.
클램프 수단(125)은 적재함 내의 적재 화물을 집어서 하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클램프 수단(125)은 로봇 팔 장치(102)의 하차 모드가 클램핑 모드인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 수단(125)은 핸드 유닛(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 수단(125)은 클램핑부(125a) 및 클램프 구동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부(125a)는 적재 화물을 집어드는 부분이다. 이때, 적재 화물의 종류는 마대 자루일 수 있다. 즉, 클램핑부(125a)는 적재 화물 중 마대 자루를 집어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핑부(125a)의 단부는 집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 구동부(125b)는 클램핑부(125a)를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클램핑부(125a)가 전진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클램프 구동부(125b)는 클램핑 모드 시 클램핑부(125a)를 전진 이동시켜 적재 화물을 집도록 할 수 있다. 클램프 구동부(125b)는 적재 화물을 하차시킨 클램핑부(125a)를 후진 이동하여 원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클램핑부(125a)가 전진 이동하여 적재 화물을 집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램핑부(125a)가 고정된 상태에서 핸드 유닛(111)이 적재 화물 측으로 이동한 후 클램핑부(125a)을 통해 적재 화물을 클램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이 적재함에서 적재 화물을 하차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비전 센서 등을 통해 화물과의 거리, 화물의 적재 패턴, 화물의 적재 위치, 및 화물의 종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화물과의 거리에 따라 화물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적재된 화물의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화물의 적재 높이에 따라 컨베이어 장치(104)의 전단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적재된 화물 중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의 높이에 기반하여 컨베이어 장치(104)의 전단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로봇 팔 장치(102)가 적재된 화물 중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부터 하차시키게 되는 바, 적재된 화물 중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을 안전하게 받아 낼 수 있는 높이로 컨베이어 장치(104)의 전단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적재된 화물 중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을 하차시키기 위해 로봇 팔 장치(102)를 해당 화물의 상부로 위치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재된 화물 중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이 박스 형태이고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의 상부에 로봇 팔 장치(102)의 진입 공간이 확보된 경우, 로봇 팔 장치(102)는 다운 스윕(down sweep) 모드로 동작하여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다. 이때, 로봇 팔 장치(102)는 적재된 화물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화물들을 다운 스윕 모드로 하차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을 참조하면, 로봇 팔 장치(102)가 다운 스윕(down sweep) 모드를 통해 적재된 화물 중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을 컨베이어 장치(104) 측으로 하차시키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다운 스윕 모드는 핸드 유닛(113)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를 대상 화물(즉, 하차시킬 화물)의 상부에서 대상 화물과 마주보도록 배치시킨 상태(즉,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의 표면이 대상 화물의 상부에서 대상 화물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태)에서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를 본체 프레임(108) 방향 측으로 회전하여 대상 화물을 아래로 쓸어 내리도록 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다운 스윕 모드를 통해 하차시킬 화물의 개수 또는 화물의 위치 등에 따라 한 쌍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가 모두 다운 스윕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고, 그 중 어느 하나만 다운 스윕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로봇 팔 장치(102)가 측면 스윕(side sweep) 모드를 통해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로봇 팔 장치(102)는 적재된 화물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화물들을 다운 스윕 모드로 하차시킨 후,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화물들을 측면 스윕 모드로 하차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재된 화물 중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이 박스 형태이고 최상단에 위치한 화물의 측부에 로봇 팔 장치(102)의 진입 공간이 확보된 경우, 로봇 팔 장치(102)는 측면 스윕 모드로 동작하여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측면 스윕 모드는 한 쌍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 사이에 하나 이상의 대상 화물이 위치하도록 하고, 한 쌍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를 대상 화물(즉, 하차시킬 화물)의 양측부에서 대상 화물과 마주보도록 배치시킨 상태(즉,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의 표면이 대상 화물의 측부에서 대상 화물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태)에서 한 쌍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를 본체 프레임(108) 방향 측으로 회전하여 대상 화물을 아래로 쓸어 내리도록 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봇 팔 장치(102)는 핸드 유닛(113)을 적재된 화물의 측부 공간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도 14의 (a)). 다음으로, 로봇 팔 장치(102)는 핸드 유닛(113)의 한 쌍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가 대상 화물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도 14의 (b)). 다음으로, 로봇 팔 장치(102)는 한 쌍의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를 본체 프레임(108) 방향 측으로 회전하여 대상 화물을 아래로 하차시킬 수 있다(도 14의 (c)). 이때,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적재된 화물들이 하차됨에 따라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를 상호 안쪽으로 모으면서 측면 스윕 모드로 계속 동작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로봇 팔 장치(102)가 클램핑 모드를 통해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하차해야 할 화물의 종류에 따라 로봇 팔 장치(102)를 클램핑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차해야 할 화물의 종류가 마대 자루 또는 파우치 등과 같이 클램프 수단(125)을 통해 잡을 수 있는 화물인 경우,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로봇 팔 장치(102)를 클램핑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물의 종류가 마대 자루인 경우(도 15의 (a)), 로봇 팔 장치(102)는 핸드 유닛(113)을 대상 화물 측으로 이동시킨 후 클램프 수단(125)의 클램핑부(125a)을 통해 대상 화물을 붙잡을 수 있다(도 15의 (b)). 이때, 대상 화물과의 거리에 따라 클램핑부(125a)를 전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로봇 팔 장치(102)는 대상 화물을 아래로 잡아 당겨 대상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다(도 15의 (c)).
도 16을 참조하면, 로봇 팔 장치(102)가 흡착 모드를 통해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로봇 팔 장치(102)는 화물의 적재 높이 및 화물의 종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흡착 모드로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화물이 최하단 또는 최상단에 위치하고 화물이 박스 형태인 경우, 로봇 팔 장치(102)는 흡착 모드를 통해 대상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다. 도 16에서는 대상 화물이 최하단에 위치하는 박스 형태인 경우 흡착 모드로 화물을 하차시키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로봇 팔 장치(102)는 흡착 수단(123)의 흡착 패드부(123a)를 통해 대상 화물을 흡착할 수 있다(도 16의 (a)). 이때, 대상 화물과의 거리에 따라 흡착 패드부(123a)를 전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로봇 팔 장치(102)는 대상 화물을 흡착시킨 상태에서 대상 화물을 컨베이어 장치(104)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16의 (b)). 다음으로, 로봇 팔 장치(102)는 흡착 패드부(123a)에서 대상 화물을 탈착시켜 대상 화물을 컨베이어 장치(104)에 하차시킬 수 있다(도 16의 (c)).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다축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를 구비하며, 로봇 팔 장치(102)가 하차 컨베이어 벨트(121), 흡착 수단(123), 및 클램프 수단(125)을 구비함으로써, 적재된 화물의 위치, 화물의 적재 패턴, 및 화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운 스윕(down sweep) 모드, 측면 스윕(side sweep) 모드, 흡착 모드, 및 클램핑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하차 모드로 동작하여 적재 화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에서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에서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장치(104)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4)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된 화물들을 싱귤레이팅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컨베이어 장치(104)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된 화물들을 자동 정렬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4)는 제1 컨베이어부(104-1), 제2 컨베이어부(104-2), 및 제3 컨베이어부(10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부(104-1)는 컨베이어 장치(104)의 전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부(104-1)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되는 화물을 받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부(104-1)는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컨베이어부(104-1)는 경사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컨베이어부(104-1)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의 하차 모드 및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를 통해 하차시킬 화물의 적재함 내 위치에 따라 높이 및 경사 중 하나 이상이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컨베이어부(104-1)는 하차되는 화물을 안전하게 받아줄 수 있는 높이 및 경사를 가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부(104-1)는 진입부(131), 제1 측면부(133), 제2 측면부(135), 가이드부(137), 및 이송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진입부(131)는 제1 컨베이어부(104-1)의 전단에 마련될 수 있다. 진입부(131)는 기 설정된 제1 폭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진입부(131)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되는 화물들을 후방의 이송부(139)로 전달하도록 복수 개의 제1 롤러(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들은 제1 컨베이어부(104-1)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들은 진입부(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33)는 진입부(131)의 후방에서 이송부(137)의 일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33)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되는 화물들을 후방으로 전달하도록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부(135)는 진입부(131)의 후방에서 이송부(137)의 타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부(135)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되는 화물들을 후방으로 전달하도록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7)는 제1 컨베이어부(104-1)의 양측부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37)는 진입부(131), 제1 측면부(133), 및 제2 측면부(135)에 안착되어 후방으로 전달되는 화물들을 이송부(139) 측으로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부(137)는 제1 측면부(133)의 바깥측 테두리 및 제2 측면부(133)의 바깥측 테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되다가 중심부를 향하여 모아져 이송부(137)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37)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된 화물들이 제1 컨베이어부(104-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송부(139)는 진입부(131)의 후방에서 제1 측면부(133)와 제2 측면부(135)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139)는 진입부(131)의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송부(139)는 진입부(131), 제1 측면부(133), 및 제2 측면부(135)를 통해 전달되는 화물들을 후방의 제2 컨베이어부(104-2)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송부(139)는 제1 이송부(139-1), 제2 이송부(139-2), 및 제3 이송부(13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139-1)는 이송부(139)의 중심부에서 이송부(13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송부(139-1)는 제1 컨베이어부(104-1)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되고, 이송부(13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2 롤러(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부(139-2)는 제1 이송부(139-1)의 좌측에서 이송부(13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송부(139-2)는 좌측 사선 방향으로 마련되고 이송부(13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3 롤러(c)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이송부(139-3)는 제1 이송부(139-1)의 우측에서 이송부(13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3 이송부(139-2)는 우측 사선 방향으로 마련되고 이송부(13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4 롤러(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송부(139-2)가 좌측 사선 방향의 제3 롤러(c)들을 포함하고, 제3 이송부(139-2)가 우측 사선 방향의 제4 롤러(d)들을 포함함으로써, 제1 컨베이어부(104-1) 상의 화물들이 이송부(139)의 중심(즉, 제1 이송부(139-1))으로 모이면서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제2 컨베이어부(104-2)는 제1 컨베이어부(104-1)의 후방에서 컨베이어 장치(1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부(104-2)는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컨베이어부(104-1)는 제2 컨베이어부(104-2)의 단부에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부(104-2)의 중심부에는 제2 컨베이어부(104-2)의 폭 방향과 평행하고, 제2 컨베이어부(10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5 롤러(e)들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부(104-2)의 양측부에는 제6 롤러(f) 및 제7 롤러(g)가 마련될 수 있다. 제6 롤러(f)는 제5 롤러(e)의 좌측에서 좌측 사선 방향으로 제2 컨베이어부(10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7 롤러(g)는 제5 롤러(e)의 우측에서 우측 사선 방향으로 제2 컨베이어부(10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부(104-3)는 제2 컨베이어부(104-2)의 후방에서 컨베이어 장치(1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부(104-3)의 폭은 제2 컨베이어부(104-2)의 폭과 대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부(104-3)는 제3 컨베이어부(104-3)의 폭 방향과 평행하고, 제3 컨베이어부(10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8 롤러(h)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서 화물의 이송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장치(104)는 제1 구간 내지 제11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구간(①)은 진입부(131)가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구간(②)은 제1 이송부(139-1) 중 전단부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3 구간(③)은 제1 이송부(139-1) 중 후단부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4 구간(④)은 제2 이송부(139-2)가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5 구간(⑤)은 제3 이송부(139-3)가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6 구간(⑥)은 제1 측면부(133)가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7 구간(⑦)은 제2 측면부(135)가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8 구간(⑧)은 제2 컨베이어부(104-2)의 제5 롤러(e)들이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9 구간(⑨)은 제2 컨베이어부(104-2)의 제6 롤러(f)들이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0 구간(⑩)은 제2 컨베이어부(104-2)의 제7 롤러(g)들이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1 구간(⑪)은 제3 컨베이어부(104-3) 즉, 제8 롤러(h)가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 장치(104)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되는 화물들을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4) 상에 안착되는 화물들을 감지한 경우, 컨베이어 장치(104)는 전 구간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화물들은 도 1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컨베이어 장치(104)의 중심부로 자동 정렬되면서 후방으로 이송되게 된다.
한편, 컨베이어 장치(104)는 한 쌍의 로봇 팔 장치(102)에 의해 하차된 화물들을 싱귤레이팅 하기 위해 각 구간 별로 화물의 이송 속도(또는 컨베이어 벨트나 롤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구간(②), 제3 구간(③), 제8 구간(⑧), 및 제11 구간(⑪)은 제1 이송 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구간(④), 제5 구간(⑤), 제9 구간(⑨), 및 제10 구간(⑩)은 제1 이송 속도보다 느린 제2 이송 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간(①), 제6 구간(⑥), 및 제7 구간(⑦)은 제2 이송 속도보다 느린 제3 이송 속도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제1 측면부(133) 및 제2 측면부(135)는 하부로 수직하게 접힘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33) 및 제2 측면부(135)는 이송부(139)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장치(104)의 제1 측면부(133)가 하부로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의 (a)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0의 (b)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을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여기서는, 제1 측면부(133)가 하부로 접히는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제2 측면부(133)도 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측면부(133)는 적재된 화물의 폭과 제1 컨베이어부(104-1)의 폭 간의 차이에 따라 하부로 수직하게 접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100)은 적재된 화물의 폭과 제1 컨베이어부(104-1)의 폭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제1 측면부(133)를 하부로 접어서 제1 측면부(133)가 차지하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제1 측면부(133)가 차지하던 공간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측면부(133)가 차지하던 공간을 작업자 진입 통로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102 : 로봇 팔 장치
104 : 컨베이어 장치
104-1 : 제1 컨베이어부
104-2 : 제2 컨베이어부
104-3 : 제3 컨베이어부
106 : 궤도 장치
108 : 본체 프레임
108a : 전장함
108b : 유압 탱크
108c : 모니터
111 : 암 유닛
111-1 : 제1 축부
111-2 : 제2 축부
111-3 : 제3 축부
111-4 : 제4 축부
111-5 : 제5 축부
111-6 : 제6 축부
113 : 핸드 유닛
121 : 컨베이어 벨트
121a : 요철 패턴부
123 : 흡착 수단
123a : 흡착 패드부
123a-1 : 석션 컵
123a-2 : 장착 플레이트
123b : 흡착 구동부
125 : 클램프 수단
125a : 클램핑부
125b : 클램프 구동부
131 : 진입부
133 : 제1 측면부
135 : 제2 측면부
137 : 가이드부
139 : 이송부
139-1 : 제1 이송부
139-2 : 제2 이송부
139-3 : 제3 이송부

Claims (13)

  1. 적재함 내에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기 위한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으로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적재된 화물을 하차시키는 로봇 팔 장치;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로봇 팔 장치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로봇 팔 장치에 의해 하차된 화물이 안착되며, 안착된 상기 화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전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로봇 팔 장치의 동작과 연동되어 높이 및 경사 중 하나 이상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제1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부는,
    상기 로봇 팔 장치의 하차 모드 및 상기 로봇 팔 장치에 의해 하차될 화물의 적재된 위치에 따라 높이 및 경사 중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봇 팔 장치는,
    상기 화물과의 거리, 상기 화물의 적재 패턴, 상기 화물의 적재 위치, 및 상기 화물의 종류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다운 스윕(down sweep) 모드, 측면 스윕(side sweep) 모드, 흡착 모드, 및 클램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하차 모드를 결정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전단에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의 후방에서 상기 진입부의 폭 보다 좁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이송부;
    상기 진입부의 후방에서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진입부의 후방에서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진입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제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하차된 화물을 후방으로 전달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양측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마련되고 상기 제1 진입부,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를 통해 후방으로 전달되는 화물들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바깥측 테두리 및 상기 제2 측면부의 바깥측 테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되다가 중심부를 향하여 모아져 상기 이송부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2 롤러를 구비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좌측에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좌측 사선 방향으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3 롤러를 구비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의 우측에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우측 사선 방향으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4 롤러를 구비하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후방에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2 컨베이어부; 및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후방에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3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5 롤러;
    상기 제5 롤러의 좌측에서 좌측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6 롤러; 및
    상기 제5 롤러의 우측에서 우측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7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3 컨베이어부의 폭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3 컨베이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제8 롤러를 포함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하차되는 화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롤러, 상기 제5 롤러, 및 상기 제8 롤러는 제1 이송 속도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3 롤러, 상기 제4 롤러, 상기 제6 롤러, 및 상기 제7 롤러는 상기 제1 이송 속도보다 느린 제2 이송 속도로 동작시키며, 상기 제1 롤러,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2 이송 속도보다 느린 제3 이송 속도로 동작시키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는,
    하부로 수직하게 접힘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적재된 화물의 폭과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폭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 하부로 수직하게 접히도록 마련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KR1020220081229A 2021-11-15 2022-07-01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KR202300723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6284 2021-11-15
KR1020210156284 2021-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393A true KR20230072393A (ko) 2023-05-24

Family

ID=8654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229A KR20230072393A (ko) 2021-11-15 2022-07-01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3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78911B (zh) 装卸货设备以及装卸货系统
US20230166792A1 (en) Running gear
US4578013A (en) Device for picking up loose articles
KR20210044846A (ko) 로봇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시스템
CN113291774A (zh) 装卸货一体机及集装箱自动装卸货系统
CN112027658A (zh) 上料设备、上料方法及电子产品零部件检测系统
CA3161361A1 (en) Case reorientation system and method
CN207511402U (zh) 一种分拣设备
KR20210152649A (ko) 다중 흡착 그리퍼 이송 장치
KR20230072393A (ko)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CN114408501A (zh) 一种3d智能视觉卸货机器人
US11167940B2 (en) Depalletizing device for depalletizing a transport receptacle from a storage surface
US11285605B2 (en) End effector for engaging the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of parcels
KR20230072391A (ko) 로봇 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KR102490492B1 (ko) 자동 화물 운반장치
KR20240026375A (ko) 적재 화물 하차를 위한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KR20240026376A (ko) 화물 하차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KR20240026374A (ko) 궤도 장치를 구비한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CN113940196A (zh) 采摘机器人、采摘方法、采摘机构及装箱机构
EP2780238B1 (en) A packaging assembly
KR20240026377A (ko) 적재함 내 화물의 하차를 위한 화물 하차 자동화 방법 및 화물 하차 자동화 머신
CN111071559A (zh) 一种打包装置
CN217024565U (zh) 自动货物装卸系统
CN214269391U (zh) 一种半自动式码垛机
US2024000986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utomated pick and place sor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