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321A - Isolator for divid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fire detecting system in case of the line has a shoir circuit - Google Patents

Isolator for divid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fire detecting system in case of the line has a shoir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321A
KR20230072321A KR1020210158928A KR20210158928A KR20230072321A KR 20230072321 A KR20230072321 A KR 20230072321A KR 1020210158928 A KR1020210158928 A KR 1020210158928A KR 20210158928 A KR20210158928 A KR 20210158928A KR 20230072321 A KR20230072321 A KR 20230072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line
isolator
fire
communic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건호
김필영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태산전자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산전자, 한국소방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주)태산전자
Priority to KR102021015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321A/en
Publication of KR2023007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3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6Monitoring of the line circuits, e.g. signalling of line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solator for line separation when a communication line of a fire detection system is short-circuited. More specifically, in a fire monitoring facility which comprises: a fire detection unit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line and disposed locally; and a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fire detector, a plurality of isolators installed on the communication line are further included. When a local failure of the communication line occurs, isolators located before and after a corresponding failure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isolators partially block the communication line and enable communication lines besides the blocked communication line to be normally operated. Each isolator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failure point from the same among the isolators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blocking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with an ID of the corresponding isolator to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Description

화재 감지 시스템의 통신선로 단락시 선로 분리를 위한 아이솔레이터{Isolator for divid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fire detecting system in case of the line has a shoir circuit} Isolator for divid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fire detecting system in case of the line has a shoir circuit}

본 발명은 통신선로 단락시 선로 분리를 위한 아이솔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감지부와 화재 정보 수신부, 중계기 등이 유기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폐 통신선로에서 상기 통신 선로의 일부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장애 발생 지점에 인접하는 아이솔레이터들이 해당 장애 발생지점을 포함하는 통신선로를 차단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화재 정보 수신부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차단된 통신선로 이외의 통신선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solator for line separation in the event of a short circuit in a communication line, and more particularly, in a closed communication line configured to organically communicate a fire detection unit, a fire information reception unit, a repeater, etc. in a fire detection system. When a failure occurs, isolators adjacent to the failure point block the communication line including the failure point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it to the fire information receiver, so that communication lines other than the blocked communication line operate normally. made it possible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발생시 화재감지기가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 정보 수신부에 화재위치를 표시해주고, 연동된 경종이나 음향장치로 화재사실을 통보하고 소화설비를 작동시켜 초기소화 및 화재 조기진압을 위한 소방활동의 개시를 알리는 가장 중요한 소방설비이다.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utomatically detects a fire when a fire occurs,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fire on the fire information receiver, notifies the fact of the fire with an interlocked alarm bell or sound device, and activates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to perform firefighting for initial extinguishing and early suppression of the fire. It is the most important firefighting equipment that informs the start of an activity.

R형 시스템은 자동화재 탐지설비 중 고유의 신호로 화재발생의 신호를 알려주는 통신계통의 자동화재 탐지설비이다. 2017년부터 고층건축물에만 적용하던 아날로그감지기의 사용이 공동주택 전체에 확대 적용함으로써 통신시스템 안전성에 대한 부분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The R-type system is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at informs the signal of fire occurrence with a unique signal among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ies. Since 2017, the use of analog detectors, which were only applied to high-rise buildings, has been expanded to all apartment houses, and the safet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s being further emphasized.

일반적으로 통신라인은 송배전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회선을 분기하여 사용하고 있다. 정상상황이 아닌 회선의 단락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해당 통신 선로의 전체에 통신장애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이러한 장애는 현장에서 선로의 분기 등을 통하여 해소되어야 하는데, 분기 선로를 모색해야 하는 어려움에 봉착될 수 있다. In general, communication lines are composed of a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method, and the lines are branched and used as needed. When a short-circuit situation occurs, which is not a normal situation,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in the entire communication line. may encounter

통신선로의 단락상황 발생시 예상되는 어려움은 다음과 같다. The expected difficulties in the event of a short-circuit situation in the communication line are as follows.

첫째, 정확한 원인지점 인지가 불가하다. 따라서, 통신시스템 문제해결을 위한 운영관리의 어려움이 발생된다.First,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the exact cause point. Therefore, difficulties arise in operation management for solving communication system problems.

둘째, 원인이 해소되지 않으면 소방설비 미작동으로 인한 소방설비의 신뢰성 하락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특히, 화재시 소방시스템의 통신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소방설비의 작동 실패로 인해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건물의 초고층화, 대형화, 지하화 등의 추세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그 규모가 과거에 비하여 더욱 커질 수 있다. Second, if the cause is not resolved, the reliability of firefighting equipment will inevitably decrease due to non-operation of firefighting equipment. In particular, when a communication failure of the fire fighting system occurs during a fi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worst case scenario leading to human casualties may occur due to an operation failure of the fire fighting equipment. In particular, the scale of damage to life and property in the event of a fire may be greater than in the past due to the trend of high-rise, large-scale, and underground buildings.

그러므로, 이러한 분기 선로를 별도로 모색하지 않고도 통신 장애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be made in the direction of solving the communication failure without separately seeking such a branch lin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방설비의 정확한 동작을 위한 통신시스템 구축을 위해 실용적이며, 신뢰성 및 당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아이솔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actical for building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accurate operation of firefighting equipment, and the purpose of providing an isolator that can give reliability and legitimacy do.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신선로에 의하여 연결되며 국부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와 연결되는 화재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통신선로에 복수개 설치되는 아이솔레이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아이솔레이터 중 통신선로의 국부적 장애시 해당 장애 지점의 전후에 위치하는 아이솔레이터에 의하여 통신선로가 부분적으로 차단되고, 차단된 통신선로 이외의 통신선로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며, 상기 아이솔레이터 중에서 상기 장애지점을 중심으로 그 전후의 각 아이솔레이터는 해당 아이솔레이터의 ID와 함께 통신선로의 차단 정보가 화재 정보 수신부로 전송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의 통신선로 단락시 선로 분리를 위한 아이솔레이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locally disposed fire detection units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line, and a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unit, wherein the communication line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isolator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isolators, and in case of local failure of the communication line among the plurality of isolators, the communication line is partially blocked by the isolator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point of failure, and the communication line other than the blocked communication line is normally Among the isolators, each isolator before and after the point of failure functions to transmit blocking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together with the ID of the corresponding isolator to the fire information receiver. Provides an isolator for line separation.

상기 통신선로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수집되는 화재정보를 화재 정보 수신부로 전송하는 중계기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epeater installed on the communica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ransmitting fir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to a fire information reception unit.

상기 아이솔레이터는 상기 중계기에 대한 통신선로의 장애시 이를 차단 및 제어하는 제1아이솔레이터와, 상기 화재 감지부에 대한 통신선로의 장애시 이를 차단 및 제어하는 제2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solator includes a first isolator that blocks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to the repeater when there is a failure, and a second isolator that blocks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line to the fire detector when there is a failure.

상기 아이솔레이터에는 통신선로의 신호 입력단(+), 신호 출력단(+), 위 입력단과 출력단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 또는 출력단을 통해서 통신선로의 장애 신호가 화재 정보 수신부로 입력되면, 장애신호가 발생된 통신선로와 연결되는 입력단 또는 출력단을 제외하고 정상상태의 통신선로와 연결된 출력단 또는 입력단이 공통의 단자와 통신루프를 구성하여 해당 통신루프를 통해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solator includes a signal input terminal (+) of the communication line, a signal output terminal (+), and a terminal (-) to which the above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are connected in common, and the failure signal of the communication line is transmitted to the fire information receiver through the input terminal or output terminal. If input as, excluding the input or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where the error signal occurred, the output or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in normal state forms a comm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loop so that commun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loop. It is desirable to do

상기 화재 정보 수신부에는, 통신선로의 국부적 장애 발생시 그 전후에 위치하여 통신선로를 차단한 아이솔레이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표시 점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xed display lighting unit positioned before and after the communication line when a local failure occurs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isolator blocking the communication lin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로의 국부적인 장애시 회선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아이솔레이터를 개발하여 선로의 장애에도 불구하고 소방설비의 정확한 동작을 위한 통신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며, 이로써, 소방설비의 운용시 실용성, 신뢰성 및 당위성이 부여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developing an isolator capable of electrically separating lines in case of local failure of the line, it is possible to build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accurate operation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despite the line failure. In the operation of facilities, practicality,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are expected.

도 1은 본 발멸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자동화재탐지설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정상상태에서의 통신선로와 아이솔레이터의 배치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일부 통신선로에서 단락이 발생되었음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아이솔레이터 신호전달 또는 전류흐름을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솔레이터 구성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communication lines and isolators in a normal state in FIG. 1 in detail.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at a short circuit has occurred in some communication lines in FIG. 2 .
4 is a circuit diagram for signal transmission or current flow in an iso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iso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멸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자동화재탐지설비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정상상태에서의 통신선로와 아이솔레이터의 배치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서 일부 통신선로에서 단락이 발생되었음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아이솔레이터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솔레이터 구성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communication lines and isolators in a normal state in FIG. 1 in detail.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at a short circuit has occurred in some communication lines in FIG. 2, FIG. 4 is an isolator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so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이솔레이터는 입력 및 출력의 전기적인 신호를 중간에 완충장치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기능을 갖는 장비를 의미한다. 아이솔레이터는 통신선로(170)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소방 설비가 연결된 통신선로(170)에서는 그 기능이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An isolator mean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electrically separating input and output electrical signals by using a shock absorber in the middle. The isolator can be used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communication line 170, and in particular, its function can be treated as very important in the communication line 170 to which firefighting equipment is connected.

본 발명은 통신선로(170)에 의하여 연결되며 국부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화재 감지부(150)와, 상기 화재 감지부(150)와 연결되는 화재 정보 수신부(110),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통신선로(170)에 복수개 설치되는 아이솔레이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아이솔레이터 중 통신선로(170)의 국부적 장애시 해당 장애 지점의 전후에 위치하는 아이솔레이터에 의하여 통신선로(170)가 부분적으로 차단되고, 차단된 통신선로(170) 이외의 통신선로(170)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며, 상기 아이솔레이터 중에서 상기 장애지점을 중심으로 그 전후의 각 아이솔레이터는 해당 아이솔레이터의 ID와 함께 통신선로(170)의 차단 정보가 화재 정보 수신부(110)로 전송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의 통신선로(170) 단락시 선로 분리를 위한 아이솔레이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fir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units 150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line 170 and disposed locally, and a fire information receiver 110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unit 150. , A plurality of isolator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line 170 are further included, and in the event of a local failure of the communication line 170 among the plurality of isolators, the communication line 170 is partially blocked by the isolator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corresponding failure point. The communication line 170 other than the blocked communication line 170 is normally operated, and each isolator before and after the isolator centered on the point of failure among the isolators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170 with the ID of the corresponding isolator. It provides an isolator for line separation when the communication line 170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is short-circuit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nctions so that the block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은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위한 화재 정보 수신부(110), 소방설비(140)를 제어하는 중계기(120), 이러한 중계기(120)의 선로차단 및 제어의 역할을 해주는 아이솔레이터, 중계기(120)에 연결되는 수동조작함, 배연창, 발신기, 스트로브, 방화셔터 등 소방설비(140),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50), 화재 감지부(150)간에 연결되는 통신선로(170)의 선로차단 및 제어의 역할을 해주는 감지 타입의 아이솔레이터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fire detec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entire system, a relay 120 for controlling firefighting equipment 140, and a line of the relay 120 Isolator that plays a role of blocking and control, manual operation box connected to repeater 120, smoke window, transmitter, strobe, firefighting equipment 140 such as fire shutter, fire detection unit 150 that detects fire, fire detection unit It consists of a sensing type isolator that serves to block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line 170 connected between (150).

상기 화재 정보 수신부(110)는 통신선로(170)(통신루프)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된 것으로, 통신선로(170)를 통해 화재 감지부(150)로부터 화재정보를 전송받으며, 화재 발생시 온도, 온도의 변화, 가연성 물질의 연소로 인한 가스 발생여부, 가스 농도 등이 포함된 화재정보를 분석하여 화재 감지부(150)가 설치된 공간의 화재발생 여부를 분석한다.The fire information receiver 110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170 (communication loop), and receives fire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170, and when a fire occurs, th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It analyzes whether a fire occurs in the space where the fire detection unit 150 is installed by analyzing fire information including changes in , gas generation due to combustion of combustible materials, gas concentration, and the like.

그리고 화재 정보 수신부(110)는 아이솔레이터로부터 차단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차단정보를 통해 지속적으로 단락 등 통신선로(170)의 이상 상태 발생을 확인한다.Further,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receives blocking information from the isolator and continuously checks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of the communication line 170, such as a short circuit, through the blocking information.

화재 정보 수신부(110)는 도 3과 같이, 단선된 지점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아이솔레이터로부터 제공된 차단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단선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화재 정보 수신부(110)는 단선 위치를 외부의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점검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analyzes the block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solators located in front and rear of the disconnection point,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isconnection. At this time,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may output the location of the disconnection through an external video output device or transmit it to the inspecto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마찬가지로, 화재 정보 수신부(110)는 단선된 지점이 A 아이솔레이터와 B 아이솔레이터의 사이에 위치한 경우, 단선된 지점의 전방에 위치한 A 아이솔레이터로부터 제공된 차단정보와 단선된 지점의 후방에 위치한 B 아이솔레이터로부터 제공된 차단정보를 분석하여 단선 위치를 파악한다.Similarly, when the disconnection point is located between isolator A and isolator B,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provides block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isolator A located in front of the disconnection point and isolation provided from isolator B located behind the disconnection point. Analyze th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isconnection.

본 발명의 통신선로(170)에는 이러한 차단정보를 각 아이솔레이터로 전송받고, 소화설비로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더 연결 및 구비될 수 있다. 통신모듈은 통신선로(170) 감독자의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통신네트워크는 LAN, WAN, 인터넷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특별한 제한은 없다.A communication module may be further connected and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line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tasks such as receiving such blocking information to each isolator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be connected to the supervisor'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17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used at this tim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LAN, WAN, and Internet,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아이솔레이터로부터 전송되는 단선에 따른 통신선로(170) 구간 차단정보는 이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모듈에 의하여 분석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모듈에 의하여 아이솔레이터의 단선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단선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된 단선위치는 화재 정보 수신부(110) 또는 감독자의 단말기로 전송되어 적의 조치될 수 있다.Communication line 170 section block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isconnection transmitted from the isolator may be analyzed by a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it. By analyzing the dis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isolator by this analysis module, the location of the dis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determined. The detected disconnection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or the supervisor's terminal so that an enemy action can be taken.

아이솔레이터의 통신선로(170) 차단은 화재 정보 수신부(110)의 차단신호 전송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으며, 화재 정보 수신부(110)에 의하여 차단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아이솔레이터 사이의 통신선로(170)는 차단될 수 있다. Blocking of the communication line 170 of the isolator can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 blocking signal from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and when the blocking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the communication line 170 between the corresponding isolators will be blocked. can

아울러, 차단하고자 하는 아이솔레이터가 지정되면 화재 정보 수신부(110)와 해당 아이솔레이터 사이에 배치된 통신선로(170)는 차단되며, 이를 위해서 화재 정보 수신부(110)는 차단신호를 통신선로(170)를 통해 해당 아이솔레이터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an isolator to be blocked is designated, the communication line 170 disposed between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and the corresponding isolator is blocked. To this end,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transmits a blocking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170. to the corresponding isolato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중계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120)는 통신선로(170)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 감지부(150)로부터 수집되는 화재정보를 화재 정보 수신부(1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epeaters 120 . The repeater 120 is installed on the communication line 1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unit 150, and transmits fir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50 to the fir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0 play a role

상기 중계기(120)는 특정 감시영역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화재 감지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중계기(120)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화재 정보 수신부(110)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repeater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units 150 distributed in a specific monitoring area. Such a repeater 120 may be us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아이솔레이터는 내부에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와 전류센서로부터 제공된 차단신호에 따라 통신선로(170)를 차단하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센서는 이상전류나 단락 등을 모니터링하며, 해당 지점이 포함된 통신선로(170)의 차단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차단신호를 릴레이로 제공한다.The isolator may include a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overcurrent or short-circuit current and a relay for blocking the communication line 170 according to a cutoff signal provided from the current sensor. The current sensor monitors an abnormal current or a short circuit, generates a cutoff signal of the communication line 170 including the corresponding point, and provides the cutoff signal to a relay.

그리고 릴레이는 전류센서로부터 차단신호가 수신되면 이상전류나 단락전류가 유입된 방향의 통신선로(170)를 차단한다.The relay blocks the communication line 17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normal current or short-circuit current flows when the block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urrent sensor.

한편, 상기 아이솔레이터는 상기 중계기(120)에 대한 통신선로(170)의 장애시 이를 차단 및 제어하는 제1아이솔레이터(130)와, 상기 화재 감지부(150)에 대한 통신선로(170)의 장애시 이를 차단 및 제어하는 제2아이솔레이터(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isolator includes the first isolator 130 for blocking and controlling communication line 170 for the repeater 120 when there is a failure, and the communication line 170 for the fire detection unit 150 when there is a failu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isolator 160 for blocking and controlling it.

여기서, 아이솔레이터는 내부적으로 통신선로(170)의 신호 입력단과 신호 출력단이 공통의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입력단 또는 출력단을 통해서 장애신호가 화재 정보 수신부(110)로 입력되면, 장애신호가 발생된 입력단 또는 출력단을 제외하고 정상인 출력단 또는 입력단이 공통의 단자와 통신루프를 구성하여 해당 통신루프를 통해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일부 통신선로(170)가 차단되어도 나머지 통신선로(170)를 통하여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Here, in the isolator, the signal input terminal and the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line 170 are internally connected to a common terminal, and when a failure signal is input to the fire information receiver 110 through the input terminal or output terminal, the input terminal where the failure signal is generated Alternatively, except for the output terminal, a normal output terminal or input terminal may configure a comm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loop so that commun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loop. Thus, even if some of the communication lines 170 are blocked, communication can be normally performed through the remaining communication lines 170 .

상기 화재 정보 수신부(110)에는, 통신선로(170)의 국부적 장애 발생시 그 전후에 위치하여 통신선로(170)를 차단한 아이솔레이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고장표시 점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fault display lighting unit positioned before and after the communication line 170 when a local failure occur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isolator blocking the communication line 170 can be checked.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위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110 : 화재 정보 수신부 120 : 중계기
130 : 제1아이솔레이터 140 : 소방설비
150 : 화재 감지부 160 : 제2아이솔레이터
170 : 통신선로
110: fire information receiver 120: repeater
130: first isolator 140: firefighting equipment
150: fire detection unit 160: second isolator
170: communication line

Claims (5)

통신선로에 의하여 연결되며 국부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화재 감지부와,
상기 화재 감지부와 연결되는 화재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통신선로에 복수개 설치되는 아이솔레이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아이솔레이터 중 통신선로의 국부적 장애시 해당 장애 지점의 전후에 위치하는 아이솔레이터에 의하여 통신선로가 부분적으로 차단되고, 차단된 통신선로 이외의 통신선로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도록 하며,
상기 아이솔레이터 중에서 상기 장애지점을 중심으로 그 전후의 각 아이솔레이터는 해당 아이솔레이터의 ID와 함께 통신선로의 차단 정보가 화재 정보 수신부로 전송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의 통신선로 단락시 선로 분리를 위한 아이솔레이터.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units connected by communication lines and locally disposed;
In a fir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fire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unit,
A plurality of isolator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line are further included,
In the case of a local failure of a communication line among the plurality of isolators, the communication line is partially blocked by the isolator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point of failure, and the communication line other than the blocked communication line operates normally,
Among the isolators, each isolator before and after the failure point functions to transmit communication line block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D of the corresponding isolator to the fire information receiver. isolator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선로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수집되는 화재정보를 화재 정보 수신부로 전송하는 중계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의 통신선로 단락시 선로 분리를 위한 아이솔레이터.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peater installed on the communica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ransmitting fir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to the fire information reception unit. Isolator for line sepa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솔레이터는 상기 중계기에 대한 통신선로의 장애시 이를 차단 및 제어하는 제1아이솔레이터와,
상기 화재 감지부에 대한 통신선로의 장애시 일르 차단 및 제어하는 제2아이솔레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의 통신선로 단락시 선로 분리를 위한 아이솔레이터.
According to claim 2,
The isolator includes a first isolator for blocking and controlling the failure of the communication line for the repeater;
A second isolator that blocks and controls the fire in case of failure of the communication line for the fire detection unit;
Isolator for line separation when the communication line short circuit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솔레이터에는 통신선로의 신호 입력단(+), 신호 출력단(+), 위 입력단과 출력단이 공통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 또는 출력단을 통해서 통신선로의 장애 신호가 화재 정보 수신부로 입력되면, 장애신호가 발생된 통신선로와 연결되는 입력단 또는 출력단을 제외하고 정상상태의 통신선로와 연결된 출력단 또는 입력단이 공통의 단자와 통신루프를 구성하여 해당 통신루프를 통해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의 통신선로 단락시 선로 분리를 위한 아이솔레이터.
According to claim 1,
The isolator includes a signal input terminal (+) of a communication line, a signal output terminal (+), and a terminal (-) to which the above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are connected in common,
When the failure signal of the communication line is input to the fire information receiver through the input or output terminal, the output terminal or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in normal state, except for the input terminal or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in which the failure signal occurred, is connected to a common terminal. An isolator for line separation when a communication line is shorted in a fire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configuring a communication loop so that commun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loo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정보 수신부에는,
통신선로의 국부적 장애 발생시 그 전후에 위치하여 통신선로를 차단한 아이솔레이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고장표시 점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의 통신선로 단락시 선로 분리를 위한 아이솔레이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e information receiver,
When a local failure of the communication line occurs, a fault display lighting unit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isolator that blocks the communication line can be checked;
Isolator for line separation when the communication line short circuit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KR1020210158928A 2021-11-17 2021-11-17 Isolator for divid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fire detecting system in case of the line has a shoir circuit KR202300723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28A KR20230072321A (en) 2021-11-17 2021-11-17 Isolator for divid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fire detecting system in case of the line has a shoir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28A KR20230072321A (en) 2021-11-17 2021-11-17 Isolator for divid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fire detecting system in case of the line has a shoir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321A true KR20230072321A (en) 2023-05-24

Family

ID=8654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928A KR20230072321A (en) 2021-11-17 2021-11-17 Isolator for divid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fire detecting system in case of the line has a shoir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32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727B1 (en) Load short track inspection and operating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of the fire relay broadcasting equipment
JP3885823B2 (en) Power interruption system
KR101796054B1 (en) Smart fire perception system using ip network
KR101935693B1 (en) Earthquake disaster system using iot module and led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814330B1 (en) Auto Fire Alarm System Using Isolator and Loopback Signaling Line
KR101364813B1 (en) Fires prevention system of smart type
KR102181819B1 (en) Information conversion device of iot fire monitor
JP2023040256A (en) fire alarm system
KR20210020392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type fire control panel
KR101775489B1 (en) Monitoring system of power supply apparatus for fire fighting equipment
CN106802622A (en) Fire-fighting equipment power supply smart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based on bus structures
KR101145414B1 (en) Fire alarm system linked power monitoring unit
KR20090082800A (en) Fire detection system
KR20230072321A (en) Isolator for dividing the communication line of fire detecting system in case of the line has a shoir circuit
KR102060467B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peaker line, and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327158B1 (en) Remote firefighting management system using CCTV image
KR20040087995A (en) Network Fire Preven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JP3622401B2 (en) Method of detecting short circuit in monitor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method for disaster prevention using the same, monitor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KR100312077B1 (en) Relay system of apparatus for fire detection and control
KR20110045111A (en) A Wireless transmitter that sended SMS to manager case by fire
JP7336248B2 (en)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fire detector
JP2002331042A (en) Preoperating sprinkle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KR102646188B1 (en) Fire warning system comprising early fire warning and evacuation for multi use facility
KR101028753B1 (en) Fire alarm system using power monitoring with communication function
KR100969206B1 (en) P-type control panel capable of self diagn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