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330B1 - Auto Fire Alarm System Using Isolator and Loopback Signaling Line - Google Patents
Auto Fire Alarm System Using Isolator and Loopback Signaling L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4330B1 KR101814330B1 KR1020170022976A KR20170022976A KR101814330B1 KR 101814330 B1 KR101814330 B1 KR 101814330B1 KR 1020170022976 A KR1020170022976 A KR 1020170022976A KR 20170022976 A KR20170022976 A KR 20170022976A KR 101814330 B1 KR101814330 B1 KR 1018143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solator
- signal
- receiver
- signal line
- det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선로(Signaling Line Circuit)에 루프백(loopback) 경로를 적용하고, 신호선로상에 격리기(isolator)를 배치하여, 단선(Open) 고장은 물론이고 단락(short) 고장이 발생한 상황에서도 고장 발생에 인접한 신호선로를 차단함으로써, 단선 및 단락 고장으로 인한 작동불능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loopback path is applied to a signal line circuit, and an isolator is disposed on a signal line, so that a short failure occurs as well as an open fail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that can minimize the inoperable period due to breakage of a line and a short circuit by blocking a signal line adjacent to a fault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fault occurs.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은 화재로 인한 인적, 물적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화재 초기에 발생되는 열, 연기 및 불꽃 등을 탐지하여 소방대상물의 관계자 및 거주자에게 음향 장치로 통보하는 경보시스템이다. 또한, 소화시스템과 연동하여 관계자로 하여금 초기 소화를 가능하게 하며 피난시스템을 작동시켜 거주자를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도록 유도하고 방화구획 및 소화활동에 필요한 전기시스템을 제공한다.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is an alarm system that detects heat, smoke and flame generated in the early stage of a fire to notify personnel and residents of the fire control object to acoustic devices in order to prevent human and material disasters caused by fire. In addition, in cooperation with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enables the person concerned to initiate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induces residents to escape to a safe place, and provides an electrical system necessary for fire fighting and fire fighting activities.
우리나라와 일본은 신호방식에 따라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을 분류하고 있다. 각 경계구역의 발신기 등과 수신기를 실선(Hard Wire)배선으로 연결하여 화재신호를 접점신호로 주고 받는 방식을 P형 시스템이라고 하며,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중계기를 통하여 다중통신(Multiplexing) 방식으로 화재신호를 주고 받는 방식을 R형 시스템이라고 한다.Korea and Japan classify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s according to the signaling system. The P-type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of each boundary area are connected to the receiver by hard wire wiring to exchange the fire signal with the contact signal. The signaling line is multiplexed through a repeater The way in which fire signals are exchanged is called the R type system.
한편, 대형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커짐에 따라서, 초고층 거대 빌딩 및 각종 시설물 건설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대형 구조물에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은, 단지 화재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발생 지점과 상황의 변화를 확인할 수도 있어야 한다. 또한 최근에는 Lan, 인터넷, 광섬유 및 모바일 기기 등의 새로운 통신 기술이 보편화됨에 따라서, 다양한 통신시스템의 형태가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종류의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이 제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demand for large structures increases, the number of high-rise large-scale buildings and various facilities is increasing. In such a large structure,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should not only detect the fire, but also be able to confirm the exact point of occurrence and the change of situation. Recently, as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Lan, internet, optical fiber and mobile devices become popular, various communication system types are applied to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so a standard that can be applied to any kind of system is presented .
미국방재협회(NFPA,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에서 제정하고 있으며, 전 세계 각국의 소방안전기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NFPA 72(National Fire Alarm Code)의 2010년 개정판에서는,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앞서 언급한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을 가정하여, 신호선로회로(Signaling Line Circuits)에 대해서 Class X를 규정하고 있다. In the 2010 edition of the National Fire Alarm Code (NFPA) 72, which was enacted by th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and is affecting fire safety standards around the world,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ssuming that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can be applied, Class X is specified for signaling line circuits.
NFPA 72 (2010 개정판)에서 규정하고 있는 Class X는, 종래 2007 개정판에서 Class A Style 7인 경로(pathway)를 의미한다.Class X, as defined by NFPA 72 (2010 revision), refers to the
도 1에는 NFPA 72 (2010 개정판)에서 규정하고 있는 SLCs(Signaling Line Circuits) 성능표를 나타내었다. Figure 1 shows the performance of SLCs (Signaling Line Circuits) specified in NFPA 72 (2010 revision).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lass X는 신호선(Signaling Line)간의 단락(Wire-to-Wire short) 고장중인 상황에서도, 화재 경보 신호 수신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고 규정하고 있으며, 나머지 성능은 Class A와 동일하다. As can be seen from FIG. 1, Class X is designed to enable the function of receiving a fire alarm signal even in the event of a short circuit (wire-to-wire short) between signal lines, and the remaining performance is the same as Class A Do.
Class A의 주요 성능은, 단선(Single Open) 단일고장이나, 단선/지락(Open and Ground) 동시고장 중일 상황에서도, 화재 경보 신호 수신 기능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 성능은 신호선로(Signaling Line)을 루프백(Loopback) 경로(pathway)를 구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The main performance of Class A stipulates that it is possible to receive fire alarm signal even in case of single failure or simultaneous failure of open and ground. ) Can be implemented by constructing a loopback pathway.
도 2a에는 Class B를 만족하는 신호선로의 일반적인 방사형 경로(pathway) 형태가 적용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였다. FIG. 2A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to which a general radial path type of a signal line satisfying Class B is applied.
도 2a를 참조하면, 신호선로(500)의 일측은 수신기(100)에 연결되어있으며, 복수개의 감지기(200-1, 200-2, 200-3, 200)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 감지기는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신호를 발생하여 수신기에서 화재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2A, one side of the
도 2b에는 도 2a의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있어서, 단선(open) 고장과 단락(short)고장이 발생한 상황의 개념도를 도시하였다.FIG. 2B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ituation where an open failure and a short failure occur in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of FIG. 2A.
도 2b를 참조하면, 신호선로(500)에 단선(open)고장과 단락(short)고장이 발생하면, 선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므로, 감지기(200)와의 통신이 두절된다.Referring to FIG. 2B, if an open failure and a short failure occur in the
단선(open) 고장만 발생하게 되면, 발생하면, 신호선로에 배치 순서기반으로 고장 위치 이후에 위치하는 감지기(200-4)와 연결이 끊기게 되며, 단선고장 발생 지점이 수신기(100)에서 가까울 수록 통신이 두절되는 감지기의 수는 늘어날 수 있다.If an open fault only occurs, the connection to the detector 200-4 located after the fault location is disconnected based on the arrangement order on the signal line, and the closer the fault occurrence point is from the
단락(short) 고장은 단선고장에 비하여 훨씬 더 치명적이다. 단락고장은 단 한군데의 고장 발생으로도 신호선로 전체를 통신두절 상태로 만들고, 또한 단락고장에 비해서 고장위치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는 고장의 종류이다.Short faults are much more fatal than single faults. A short circuit failure is a kind of failure that makes the entire signal line to a state of communication disconnection even if only one fault occurs and also it is difficult to find a fault position as compared with a short circuit failure.
도3에는 도 2a의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있어서, 격리기(isolator, 400)가 적용된 상황에서 단선(open) 고장과 단락(short)고장이 발생한 상황의 개념도를 도시하였다.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ituation where an open fault and a short fault occur in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of FIG. 2A in a state where an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격리기(isolator,400)가 신호선로상에 감지기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단선 고장과 단락 고장 발생시에 고장 지점 이후의 신호선로를 분리시킴으로써, 수신기와 고장 위치 사이에 배치된 감지기와 수신기 자체를 보호하며, 해당 감지기의 작동을 정상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격리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단락(short) 고장 발생시, 신호선로 전체의 경보 시스템이 작동을 멈추는데 반해서, 도 3과 같이 격리기를 작동시킴으로써, 단락 고장 위치 이후의 신호선로를 분리시키게 되고, 일부 감지기의 기능은 정상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도 4에는 루프백(loopback) 방식 경로(pathway)를 구성한 자동화재탐지시스에, 단선(open) 고장과 단락(short)고장이 발생한 상황의 개념도를 도시하였다.FIG. 4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situation where an open fault and a short fault occur in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constituting a loopback pathway.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루프백(loopback) 경로를 적용하면, 감지기와 양방향 연결상태이므로, 단선 고장일 경우에는 모든 감지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락 고장일 경우에는 여전히 전체 신호선로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호선로 전체가 사용 불가한 상황이 개선되지 못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loopback path is applied, since the detector is bi-directionally connected, in the case of a single wire failure, all detectors operate normally and communication is possible. However, in the event of a short-circuit failure, the entire signal line is still affected,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entire signal line can not be used is not improved.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과 장치의 발전으로, 유무선의 다양형태인 통신기기들이 자동화자탐지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영향력 있는 소방안전기준인 NFPA 72에서는, 이미 단락(short) 고장 발생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경보 작동하는 Class X를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신호선로(Signaling Line Circuit)에 루프백(loopback) 경로를 적용하고, 신호선로상에 격리기(isolator)를 배치하여, 단선(Open) 고장은 물론이고 단락(short) 고장이 발생한 상황에서도 고장 발생에 인접한 신호선로를 차단함으로써, 단선 및 단락 고장으로 인한 작동불능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communication devices, which are various types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an be applied to an automotive person detection system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ystems and devices, NFPA 72, which is the most influential fire safety standard, Also defines Class X that normally operates as an alarm. Therefore, a loopback path is applied to the signaling line circuit, and an isolator is disposed on the signal line to cause a fault even in the case of a short failure as well as an open failu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that can minimize the inoperable period due to breakage of a line and a short circuit by blocking an adjacent signal lin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선로(500)에서 단선(open) 고장이나 단락(short) 고장이 발생하여도, 고장 인근에 배치된 격리기(400)가 작동하여, 고장 발생 선로 일부분을 정상선로 구역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고장 발생으로 인한 수신기와 감지기의 통신 불능한 구간을 최소화 하여, 단락 고장 상태에서도 화재경보가 가능한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또한 단락(short) 고장 발생시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short-circuit current)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정상 선로 구역의 감지기와 수신기를 회로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that can protect the detector and the receiver of the normal line area in a circuit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overcurrent or a short-circuit current in the event of a short fault, A fire detection system is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 연결되며 루프백(Loopback) 경로를 형성하는 신호선로(Signaling Line); 상기 신호선로 상에 배치되며 화재 상황을 감지하면 접점신호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신호 발생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신호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선로의 과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와, 상기 신호선로의 일측과 타측을 격리시키는 격리기릴레이(relay)와, 상기 전류센서 및 상기 격리기릴레이를 제어하는 격리기제어부 및, 상기 전류센서와 상기 격리기릴레이 및 상기 격리기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격리기전원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격리기를 포함하여, 상기 전류센서는 과전류가 감지하여 상기 격리기제어부에 과전류발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격리기제어부는 상기 과전류발생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격리기릴레이를 동작시켜서 상기 신호선로의 일측과 타측 서로 격리시키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 될 수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eiver comprising: a receiver;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receiver and forming a loopback path; A sensor disposed on the signal line and generating a fire generation signal including a contact signal when a fire situation is detected; An isolator relay disposed on the signal line so as to be seri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an overcurrent of the signal line, an isolator relay isol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gnal line, And an isolator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urrent sensor, the isolator relay, and the isolator control unit, wherein the current sensor detects an overcurrent And the isolator control unit operates the isolator relay based on the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to isolate the signal line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gnal line,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Lin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또한, 상기 격리기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감지기신호수신부 더 포함하여, 상기 감지기신호수신부는 상기 접점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격리기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solator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fire signal, and the detector signal receiver receives the contact sig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isolator controller.
그리고, 상기 감지기신호수신부는 상기 감지기의 연결 상태를 점검하는 감지기연결점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감지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격리기제어부에 감지기연결정상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onnection checking unit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nsor, and when the sensor is normally connected, transmits a sensor connection normal signal to the isolator control unit.
또한, 상기 격리기는 상기 감지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감지기전원복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격리기제어부로부터 감지기복구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기의 전원을 끔으로써 상기 감지기가 복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isolator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power recovery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detector so that the detector is recovered by receiving a detector recovery signal from the isolator controller an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detector. can do.
그리고, 상기 감지기가 통신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주소형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detector may be an address type sensor capable of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또는, 상기 감지기 및 상기 격리기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신호선로 상에 배치되며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 repeater disposed on the signal line so as to be serially connected to the detector and the isolator.
그리고, 상기 격리기는 상기 신호선로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격리기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격리기통신부는 상기 격리기제어부의 동작상태 및 상기 격리기제어부가 제어하는 모든 구성 요소의 작동상태를 포함하는 격리기정보 및, 과전류발생신호와 화재발생신호와 감지기연결정상신호 및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격리기제어부가 처리하는 모든 신호 정보인 격리기처리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solator may further include an isolator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wherein the isolator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n operation state of the isolator control unit and an operation state of all components controlled by the isolator control unit And an isolator process signal, which is all signal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isolator controller, including the overcurrent occurrence signal, the fire occurrence signal, the sensor connection normal signal and the unique number, to the receiver, And receiving the data.
또는, 상기 격리기는 고유번호설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격리기정보에 상기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solator may further comprise a unique number setting unit, wherein the unique number is assigned to the isolator information and is transmitted.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격리기정보를 표시하는 수신기표시부와 상기 수신기표시부를 제어하는 수신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solator information, and a receiv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ceiver display unit.
또는, 상기 수신기는 상기 격리기정보를 저장하는 수신기 메모리부와 관리자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수신기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memory unit for storing the separator information and a receiver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manager.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LTE 또는 WiFi를 포함한 무선통신AP(Access Point)를 더 구비하여, 상기 격리기릴레이가 동작할 경우, 상기 격리기정보를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receiver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AP (Access Point) including LTE or WiFi, and when the isolator relay operates, the receiver transmits the isolator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of the manager.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 연결되며 루프백(Loopback) 경로를 형성하는 신호선로(Signaling Line)상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격리기에 포함된 전류센서가 신호선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과전류발생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격리기에 포함된 격리기제어부가 상기 과전류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격리기제어부는 상기 과전류발생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격리기릴레이를 동작시켜서, 상기 신호선로의 일측과 타측 서로 격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 될 수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iver and a current sensor connected to the receiver and included in at least two isolators disposed on a signal line forming a loopback path, Detecting an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Wherein the isolator control unit receives the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and the isolator control unit operates the isolator relay based on the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to isolate the signal line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gnal l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loopback type signal line (signal line).
그리고, 상기 격리기제어부는 격리기통신부를 통하여, 일측과 타측에 인접한 또 다른 격리기 또는 수신기와 연결점검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연결점검신호를 기반으로 일측연결정보와 타측연결정보를 추출하여 하는 단계; 및 상기 일측연결정보와 타측연결정보가 모두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격리기릴레이의 동작을 해제하여 상기 신호선로의 일측과 타측을 다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solator control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connection check signal to another isolator or receiver adjacent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rough an isolator communication unit and extracts one side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onnection check signal ; And releasing the operation of the isolator relay and reconnec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gnal line when the one side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information are all determined to be normal.
또는, 상기 격리기제어부는 격리기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과전류발생신호와 격리기제어부의 동작상태 및 상기 격리기제어부가 제어하는 모든 구성 요소의 작동상태를 포함하는 격리기정보를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는 상기 격리기정보를 수신기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수신기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solator control unit transmits, to the receiver, the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and the isolator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isolator control unit and the operation state of all the components controlled by the isolator control unit through the isolator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separator information in a receiver memory unit and displaying the separator information on a receiver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격리기에 구비된 고유번호설정부가 고유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격리기제어부는 상기 상기 격리기정보에 상기 고유번호를 매칭하여 상기 수신기에 특정한 시간을 주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는 상기 격리기정보를 상기 신호선로의 일측과 타측에서 모두 측정하여 상기 수신기메모리에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Generating a unique number by a unique number setting unit provided in the isolator; The isolator control unit matching the unique number with the separato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the receiver; And th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measuring the isolator informatio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gnal line and storing the measured data in the receiver memory in a time series man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선로(500)에서 단선(open) 고장이나 단락(short) 고장이 발생하여도, 고장 인근에 배치된 격리기(400)가 작동하여, 고장 발생 선로 일부분을 정상선로 구역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고장 발생으로 인한 수신기와 감지기의 통신 불능한 구간을 최소화 하여, 단락 고장 상태에서도 화재경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open failure or a short failure occurs in the
또한 단락(short) 고장 발생시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short-circuit current)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정상 선로 구역의 감지기와 수신기를 회로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etector and receiver of the normal line area can be protected in a circuit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overcurrent or a short-circuit current in the event of a short fault.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도 1. NFPA 72 (2010 개정판)에서 규정하고 있는 SLCs(Signaling Line Circuits) 성능표.
도 2a. Class B를 만족하는 신호선로의 일반적인 방사형 경로(pathway) 형태가 적용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개념도
도 2b. 도 2a의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있어서, 단선(open) 고장과 단락(short)고장이 발생한 상황의 개념도
도 3. 도 2a의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있어서, 격리기(isolator, 400)가 적용된 상황에서 단선(open) 고장과 단락(short)고장이 발생한 상황의 개념도
도 4. 루프백(loopback) 방식 경로(pathway)를 구성한 자동화재탐지시스에, 단선(open) 고장과 단락(short)고장이 발생한 상황의 개념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개념도
도 6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지기 내장형 격리기의 개념도
도 6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중계기 내장형 격리기의 개념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격리기의 블럭 구성도
도 8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격리기의 격리기통신부(470) 및 격리기전원부(420) 통합회로의 블럭도
도 8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지기신호수신부(450) 및 감지기전원복구부(460) 통합회로의 블럭도
도 8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격리기릴레이(440)와 전류센서(430)의 블럭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 선로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주소형감지기(210)를 적용한 개념도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블럭 구성도Figure 1. Signaling Line Circuits (SLCs) Performance Table as defined by NFPA 72 (2010 revision).
2a. Concept of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pplying general radial pathway type of signal line satisfying Class B
2b. In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of FIG. 2A, the concept of a situation where an open failure and a short failure occur
3. In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of FIG. 2A, a concept of a situation where an open fault and a short fault occur in a state where an
Figure 4. Concept of a situation where an open fault and a short fault occur in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that constitutes a loopback pathway.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 conceptual diagram of a sensor-embedded isolator applied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A conceptual diagram of a repeater-embedded isolator applied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n isolator applied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A block diagram of an
8c. A block diagram of an integrated circuit of a
8d. A block diagram of an
9.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an
10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하였다.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은, 신호선로(500)을 루프백(loobpack) 경로(pathway)로 형성하고, 감지기(200)와 직렬 배치된 격리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루프백 경로로 형성된 신호선로(500)에 격리기(400)가 배치됨으로써, 단락 또는 단선 고장이 발생한 구간 외의 신호선로와 그 구간에 배치된 감지기는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즉, 단락(short) 고장 또는 단선(open) 고장이 발생한 구역에 인접한 두 개의 격리기가 고장 구역과 정상 구역의 신호선로를 격리시킴으로써 격리구역을 형성한다. Since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구역 A는 고장 구역을 포함하고 있는데, 정상 구역 B, C로부터 격리됨으로써, 정상구역 B와 C는 격리구역A에서 발생한 고장 특히 단락(short) 고장으로 인한 과전류로부터 보호되어 회로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리구역 A를 기준으로 수신기와 양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역 B와 구역 C가 모두 수신기와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isolation zone A includes a fault zone, which is isolated from the normal zones B and C, so that the zones B and C are protected from overcurrents due to faults occurring in the isolation zone A, So that circuit breakag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both Zone B and Zone C are capable of normal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er in the bidirectional connection with the receiver based on the isolation zone A.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은, 신호선로(500)에서 단선(open) 고장이나 단락(short) 고장이 발생하여도, 고장 인근에 배치된 격리기(400)가 작동하여, 고장 발생 선로 일부분을 정상선로 구역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고장 발생으로 인한 수신기와 감지기의 통신 불능한 구간을 최소화 하여, 단락 고장 상태에서도 화재경보가 가능한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단락(short) 고장 발생시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short-circuit current)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정상 선로 구역의 감지기와 수신기를 회로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open failure or a short failure occurs in the
격리기(400)은 그 내부에 과전류 또는 단락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430)를 포함하여 과전류를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격리기릴레이(440)에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격리기릴레이에 연결된 신호선로의 양측을 차단하게 된다. The
또한 감지기(200)로부터 접점신호를 포함하는 화재발생 신호를 인가 받아서 신호선로를 격리할 수도 있다. 화재 발생 위치의 감지기(200) 또는 신호선로는, 그 자체가 파손됨은 물론이고, 그 파손으로 인한 단락 고장이나 단선 고장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기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해당 감지기 위치를 미리 격리시킬 수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isolate the signal line by receiving a fire generation signal including the contact signal from the
단락 고장에 기인하는 단락전류나 과전류는 매우 큰 전류값로서, 관련 기기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단락 고장은 회로 개념에서 신호선로 양단의 부하저항이 0이 되는 회로로서, 일반적으로 누전이나 합선으로 표현된다. Short-circuit current or overcurrent due to short-circuit failure is a very large current value, and the related equipment may be damaged. A short circuit failure is a circuit in which the load resistance at both ends of a signal line becomes zero in a circuit concept, and is generally expressed by a short circuit or a short circuit.
신호선로에 사용되는 도선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도선이 매우 가늘 경우에는 단락(short) 순간에 고온으로 가열된 도선이 용융되어 단락 상태가 해소될 수도 있으나 그 반대로 용융 상태에서 신호선로 양단이 지속적으로 단락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과전류 또는 단락 전류가, 신호선로에 연결되어있는 각종 장치들이 파손됨으로써, 신호선로의 단락 상태가 해소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wire is very thin, the wire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may melt to short-circuit the wire at the moment of shorting. In contrast, when the wire is melted, both ends of the wire are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hort-circuited state. In this case, the overcurrent or the short-circuit current is broken and various devices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are broken, so that the short-circuited state of the signal line can be solved.
단락 고장과 그로 인한 과전류 또는 단락 전류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흐르는 전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하고 있는 격리기의 내부 전류센서(430)에서 과전류를 감지하는 시점에서부터, 격리기릴레이(440)가 동작하여 신호선로를 차단하는 시점까지의 소요시간 동안, 과전류에 노출된 장치들에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격리기에 사용되는 전기적 부품들의 최대 허용 전류는, 과전류 또는 단락 전류 예상치를 기반으로 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ort-circuit failure and the resulting overcurrent or short-circuit current refer to a current flowing during a very short period of time.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overcurrent is sensed by the internal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인가 받아서, 해당 감지기를 포함하는 신호선로를 미리 격리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과전류 또는 단락 전류에 의한 장치 파손을 미리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There is also an effect of previously preventing the device breakdown caused by the overcurrent or the short-circuit current by receiving the fire occurrence signal from the detector and isolating the signal line including the detector in advance.
또한, 격리기는 감지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있는지를 점검하는 감지기연결점검부를 포함하여, 감지기 연결 상태를 점검하여, 감지기연결정상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단선고장이나 단락 고장 외의 요인으로 인한 감지기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감지기연결정상신호 발생을 특정한 시간을 주기로 반복하고, 수신기에 전송하여 저장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 정상적인 상황의 변화를 파악하게 하여 가장 적절한 조치 방법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solator includes a sensor connection check section for checking whether the detection is normally connected, so that the detector connection state is checked to generate a sensor connection normal signal to check whether the detector is abnormal due to factors other than a wire breakage or short- It is possibl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epeat the occurrence of the sensor connection normal signal at a specific time interval, transmit it to the receiver, and store it so that it can be confirmed by the administrato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dentify a change in an abnormal situation and establish the most appropriate measure.
또한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은 중계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R형 수신기와 함께 사용되는 아날로그 감지기로부터 접점신호를 인가 받아서 통신신호로 전환하거나, P형 수신기와 함께 사용되며 실선(Hard wire)배선의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Also, as shown in FIG. 5,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peater. In general, a repeater is used to switch a communication signal by receiving a contact signal from an analog detector used with an R-type receiver, or to be used with a P-type receiver and to maintain the voltage of a hard wire wiring.
도 6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지기 내장형 격리기의 개념도를 도시하였으며, 도 6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중계기 내장형 격리기의 개념도를 도시하였다.6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nsor built-in isolator applied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B,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peater embedded type isolator applied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감지기와 중계기에 격리기(400)의 기능이 내장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종래의 감지기와 중계기가 설치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특정 구간마다 격리기를 추가로 설치할 경우에, 이미 설치된 감지기 또는 중계기를 제거하고 격리기를 설치하거나, 아니면 격리기 설치 위치를 다시 선택하고, 격리기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능의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설치 공간이 부족할 수도 있다. 6A and 6B, the function of the
도 6a와 도 6b에서 도시된 감지기 또는 중계기 내장형 격리기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감지기와 중계기를 탈거하고 교체할 수 있어서 설치의 편리성을 실현할 수 있고, 격리기 설치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 효율적일 수 있다. By using the detector or repeater built-in isolator shown in FIGS. 6A and 6B, it is possible to detach and replace the existing detector and the repeater so that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can be realized, and an additional space for installing the isolator is not required Therefore, space utilization can be efficient.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격리기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하였다.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n isolator applied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격리기(400)는 격리기전원부(420)를 비롯하여, 신호선로(500)에 흐르는 과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430)와, 격리기릴레이(440)와, 감기기(200)로부터 접점신호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감지기신호수신부(450)와 감지기의 정상적인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감지기연결점검부(451) 및 격리기제어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7, the
전류센서로부터 과전류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격리기제어부로 전달되고, 격리기 제어부는 격리기릴레이에 동작 신호를 전달하여 격리기를 작동한다. When an overcurrent is detected from the current sensor, the sens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solator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isolator relay to operate the isolator.
감지기신호수신부에서 수신된 감지기로부터의 접점신호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되면, 격리기제어부는 격리기릴레이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격리기통신부를 통하여 수신기에 전달할 수 잇다.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ncluding a contact signal from the detector received at the detector signal receiving unit is received, the isolator control unit can operate the isolator relay and transmit it to the receiver through the isolator communication unit.
고유번호설정부는 개별 격리기에 고유번호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신호선로(Signaling Line)에 설치된 모든 격리기 각각에, 서로 다른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격리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되는 모든 격리기 정보가 고유번호를 포함함으로써, 수신기 또는 관리자로하여 격리기 각각의 정보를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수신기에서 개별 격리기를 호출하거나 각종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도 있다.The unique number setting unit sets a unique number to each isolator, and assigns different unique numbers to each of the isolators installed in one signal line, and all the isolator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isolator communication unit By including the unique number, the information of each of the quarantine devices can be discriminated and confirmed as a receiver or an administrator. It is also possible to call individual isolators or transmit various control commands at the receiver based on the unique number.
감지기전원복구부(460)는 감지기의 전원을 끄고 다시 켜서 감지기의 동작상태를 초기상태로 복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detector
격리기제어부는 격리기의 모든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며, 화재발생신호 및 과전류 신호등을 모함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의 흐름을 제어한다. The isolator control controls the operation of all components of the isolator and controls the flow o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ll component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fire signal and the overcurrent signal.
격리기통신부는 격리기제어부 자체의 동작상태와 격리기제어부가 제어하는 구성요소의 동작상태를 포함하는 격리기의 내부 정보를 수신기로 전송하고 수신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The isolator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isolator includ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isolator control unit itself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ponent controlled by the isolation control unit to the receiver and receive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receiver.
도 8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격리기의 격리기통신부(470) 및 격리기전원부(420) 통합회로의 블럭도를 도시하였으며, 도 8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지기신호수신부(450) 및 감지기전원복구부(460) 통합회로의 블럭도를 도시하였다.8A is a block diagram of an
도 8a와 도 8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적용되는 격리기는 격리기 통신부와 격리기 전원부가 통합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감지기신호수신부와 감지기전원복구부를 통합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8A and 8B, the isolator applied to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solator communication unit and an isolator power unit, Can be configured as an integrated circuit.
통신out라인(Com+_Out)과 통신라인(Com+)은 신호선로(500)를 구성하는 1쌍의 The communication out line Com + _Out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m + are connected to a pair of
도 8a를 참조하면, 격리기통신부와 격리기전원부는 통신out라인(Com+_Out)과 통신라인(Com+)을 공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레귤레이터(Regulator, 421)는 +15전압을 생성하여 격리기릴레이(44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2레귤레이터(Regulator, 422)는 +3V전압을 생성하여 전류센서(430) 및 격리기제어부를 포함한 격리기 내부 회로의 전원을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8A, the isolator communicator and the isolator power source may be designed to share the communication outline (Com + _Out) and the communication line (Com +). The
또한 도 8a를 참조하면 격리기통신부(470)는, 통신out라인(Com+_Out)라인과 통신라인(Com+)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클럭(Clock)을 추출하는 제1클럭수신부(472-1) 및 제2클럭수신부(472-2)와 제1데이터수신부(473-1) 및 제2데이터수신부(473-2)를 포함할 수 있다. 8A, the
송신단(474)는 격리기제어부로부터 송신신호를 인가받아, 통신out라인(Com+_Out)라인과 통신라인(Com+)으로 송신신호를 전송한다. The transmitting
도 8b를 참조하면, 감지기신호수신부(450)는 감지기신호수신단(451)과 감지기연결점검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기신호수신단(451)과 감지기연결점검부(452)는 감지기(2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감지기연결포트(In1_+)를 공유하며, 각각의 출력 신호를 격리기제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감지기전원복구부(460)는 격리기제어부(410)로부터 감지기복구신호를 수신 받아, 감지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Referring to FIG. 8B, the detector
감지기신호수신단(451)과 감지기연결점검부(452) 및 감지기전원복구부(460)는 포토커플러(photocoupler)를 이용하여, 감지기 연결포트(In1_+)와 격리기제어부측 연결포트(/ln1, /ln1_Error, ln1_Reset)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격리기제어부와 감지기신호수신단과 감지기연결점검부 및 감지기전원복구부를 격리기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서, 전기적 잡음으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호 역방향으로의 신호 전달 가능성이 낮고, 각 장치마다의 접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회로 설계가 간편해질 수 있다.The detector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잡음차단용회로(455)와 역전압인가방지용회로(454)를 포함할 수 있다. 8B, the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리기와 루프 선로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주소형감지기(210)를 적용한 개념도를 도시하였다.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자동화재탐지시스템에 통신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주소형감지기를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형 수신기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서비스에 적용되는 주소형감지기는 자체적으로 고유신호를 생성하여 수신기에 전달하므로, 중계기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n address type sensor capable of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can be applied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address type detectors applied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ervice using an R type receiver generate a unique signal and transmit it to a receiver, so that a repeater may not be required.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따른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하였다.10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격리기(400)는 격리기제어부의 동작상태를 포함하여 격리기제어부가 제어하는 모든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포함하는 격리기정보와, 과전류발생신호와 화재발생신호와 감지기연결정상신호 및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격리기제어부가 처리하는 모든 신호정보인 격리기처리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한다. 10, the
감지지(200)는 접점신호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신호를 신호선로(500)에 발생하여 격리기및 수신기에 해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수신기는 감지기 및 격리기로부터 수신한 화재발생신호와 격리기정보 및 격리기처리신호를 수신 받는다. 수신기제어부(110)는 수신된 모든 정보를 수신기메모리부(140)에 시계열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격리기의 고유번호와 격리기정보 및 격리기처리신호를 매칭하여 저장 할 수 있다. 또한 감지기(200)를 주소형 감지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지기의 고유신호와 해당 감지기의 화재발생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The receiver receives the fire occur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detector and the isolator, and the isolator information and the isolator processing signal. The
또한 수신기는 7세그먼트LED를 포함하는 디지털세그먼트 표시 장치 또는 LCD를 포함하는 평면표시장치로 구비되는 수신기표시부에, 수신된 모든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관리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관리자로부터 수신기와 감지기 및 격리기 제어에 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자와 격리기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Further, the receiver can display all the received information on a receiver display provided with a flat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gital segment display device including a 7-segment LED or an LCD to allow an administrator to confirm the information,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anager and the isolation period can be enabled by providing the input unit that receives the control command related to the isolator control.
한편, 수신기에 무선통신 AP(Access Point)를 구비하여 관리자의 모바일기기로 수신기(100)가 수신하는 정보를 무선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알림 할 수 있다. 특히 관리자 모바일기기에 수신기표시부를 모사한 전용앱(App)을 설치하고, 수신기가 수신하는 정보를 다수의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게 함으로써, 현장 근무 관리자뿐만 아니라, 다수의 관리자에게 동일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Meanwhile, a wireless communication AP (Access Point) may be provided in the receiver to wirelessly transmit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100. 수신기
110. 수신기제어부 120. 수신기표시부 130. 수신기입력부
140. 수신기메모리부 150. 수신기무선통신AP
200. 감지기
300. 중계기
400. 격리기
410. 격리기제어부 420. 격리기전원부 430. 전류센서 440. 격리기릴레이
450. 감지기신호수신부 460. 감지기전원복구부 470. 격리기통신부
480. 고유번호 설정부
500. 신호선로100. Receiver
110.
140.
200. Detector
300. Repeater
400. Isolator
410.
450. Detector
480. The number setting unit
500. By signal line
Claims (15)
상기 수신기에 연결되며 루프백(Loopback) 경로를 형성하는 신호선로(Signaling Line);
상기 신호선로 상에 배치되며 화재 상황을 감지하면 접점신호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신호 발생하는 감지기; 및
상기 감지기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신호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선로의 과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와, 상기 신호선로의 일측과 타측을 격리시키는 격리기릴레이(relay)와, 상기 전류센서 및 상기 격리기릴레이를 제어하는 격리기제어부 및, 상기 전류센서와 상기 격리기릴레이 및 상기 격리기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격리기전원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격리기를 포함하여,
상기 전류센서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격리기제어부에 과전류발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격리기제어부는 상기 과전류발생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격리기릴레이를 동작시켜서 상기 신호선로의 일측과 타측 서로 격리시키고,
상기 격리기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감지기신호수신부 더 포함하여,
상기 감지기신호수신부는 상기 접점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격리기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receiving set;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receiver and forming a loopback path;
A sensor disposed on the signal line and generating a fire generation signal including a contact signal when a fire situation is detected; And
An isolator relay disposed on the signal line so as to be seri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 current sensor for detecting an overcurrent of the signal line, an isolator relay isol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gnal line, And an isolator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urrent sensor and the isolator relay and the isolator control unit,
The current sensor senses an overcurrent and transmits an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to the isolator control unit. The isolator control unit operates the isolator relay based on the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to isolat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gnal line,
Wherein the isolator further comprises a detector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fire signal,
Wherein the detector signal receiver receives the contact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act signal to the isolator controller.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solator and the loopback type signal line.
상기 감지기신호수신부는 상기 감지기의 연결 상태를 점검하는 감지기연결점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감지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격리기제어부에 감지기연결정상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signal rece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connection checking unit for check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sensor,
And a sensor connection norm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solator control unit when the sensor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상기 격리기는 상기 감지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감지기전원복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격리기제어부로부터 감지기복구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기의 전원을 끔으로써 상기 감지기가 복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solator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power recovery unit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of the detector,
And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wherein the detector is controlled to be recovered by receiving a detector reset signal from the isolator controller an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detector.
상기 감지기는 통신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주소형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ctor is an address type sensor capable of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상기 격리기와 직렬 연결되도록 상기 신호선로 상에 배치되며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peater disposed on the signal line so as to be serially connected to the isolator, wherein the repeater further comprises a repeate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상기 격리기는 상기 신호선로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격리기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격리기통신부는 상기 격리기제어부의 동작상태 및 상기 격리기제어부가 제어하는 모든 구성 요소의 작동상태를 포함하는 격리기정보 및, 과전류발생신호와 화재발생신호와 감지기연결정상신호 및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격리기제어부가 처리하는 모든 신호 정보인 격리기처리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solator further includes an isolator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isolator communication unit includes isolator information includ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solator control unit and an operation state of all components controlled by the isolator control unit, an overcurrent occurrence signal, a fire occurrence signal, a sensor connection normal signal, and a unique number And an isolator processing signal , which is all signal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isolation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and 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receiver, and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loopback type signal line.
상기 격리기는 고유번호설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격리기정보에 상기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8. The method of claim 7,
The isolator further comprises a unique number setting unit,
And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wherein the isolator information is given with the unique number.
상기 수신기는 상기 격리기정보를 표시하는 수신기표시부와 상기 수신기표시부를 제어하는 수신기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ceiver further comprises a receive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solator information and a receiv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ceiver display unit. ≪ RTI ID = 0.0 > [10] < / RTI >
상기 수신기는 상기 격리기정보를 저장하는 수신기 메모리부와 관리자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수신기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ceiver further comprises a receiver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solator information, and a receiver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manager,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isolator and a loopback type signal line.
상기 수신기는 LTE 또는 WiFi를 포함한 무선통신AP(Access Point)를 더 구비하여,
상기 격리기릴레이가 동작할 경우, 상기 격리기정보를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AP (Access Point) including LTE or WiFi,
Wherein the isolato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of the manager when the isolator relay operates, and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isolator and the loopback type signal line.
상기 격리기에 포함된 격리기제어부가 상기 과전류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격리기제어부는 상기 과전류발생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격리기릴레이를 동작시켜서, 상기 신호선로의 일측과 타측 서로 격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기제어부는 격리기통신부를 통하여, 일측과 타측에 인접한 또 다른 격리기 또는 수신기와 연결점검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연결점검신호를 기반으로 일측연결정보와 타측연결정보를 추출하여 하는 단계; 및
상기 일측연결정보와 타측연결정보가 모두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격리기릴레이의 동작을 해제하여 상기 신호선로의 일측과 타측을 다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운영방법.A current sensor included in at least two isolators disposed on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receiver and the receiver and forming a loopback path senses an overcurrent flowing in the signal line and transmits an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step;
A step in which the isolator controller included in the isolator receives the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The isolator control unit operates the isolator relay based on the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to isolate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gnal line; Lt; / RTI >
The isolator control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connection check signal to another isolator or receiver adjacent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rough an isolator communication unit and extracts one side connection information and other side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onnection check signal;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leasing the operation of the isolator relay and reconnec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gnal line when the one side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other side connection information are both determined to be normal. A method of operating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signaling line.
상기 격리기제어부는 격리기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과전류발생신호와 격리기제어부의 동작상태 및 상기 격리기제어부가 제어하는 모든 구성 요소의 작동상태를 포함하는 격리기정보를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는 상기 격리기정보를 수신기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수신기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운영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solator control unit transmits, to the receiver, the isolator information including the overcurrent generation signal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isolator control unit and the operation state of all the components controlled by the isolator control unit through the isolator communication unit; And
Wherein the receiver further comprises storing the quarantine information in a receiver memory and displaying the quarantine information on a receiver display. ≪ RTI ID = 0.0 > [10] < / RTI >
상기 격리기에 구비된 고유번호설정부가 고유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격리기제어부는 상기 상기 격리기정보에 상기 고유번호를 매칭하여 상기 수신기에 특정한 시간을 주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는 상기 격리기정보를 상기 신호선로의 일측과 타측에서 모두 측정하여 상기 수신기메모리에 시계열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와 루프백 타입 신호선로(Signaling Line)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의 운영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Generating a unique number by a unique number setting unit provided in the isolator;
The isolator control unit matching the unique number with the separato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the receiver; And
Wherein the receiver further comprises a step of measuring the isolator informatio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gnal line and storing the measured data in the receiver memory in a time series manner. A method of operating a fire detection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2976A KR101814330B1 (en) | 2017-02-21 | 2017-02-21 | Auto Fire Alarm System Using Isolator and Loopback Signaling L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2976A KR101814330B1 (en) | 2017-02-21 | 2017-02-21 | Auto Fire Alarm System Using Isolator and Loopback Signaling L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4330B1 true KR101814330B1 (en) | 2018-01-02 |
Family
ID=6100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2976A KR101814330B1 (en) | 2017-02-21 | 2017-02-21 | Auto Fire Alarm System Using Isolator and Loopback Signaling L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4330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0896B1 (en) * | 2019-09-23 | 2020-08-03 | 장상욱 | Warning bell of fire protection system able to self block based a problem occurs |
KR102140895B1 (en) * | 2019-09-23 | 2020-08-03 | 장상욱 | System for fire detection having a warning bell able to self block |
KR102238035B1 (en) * | 2020-08-03 | 2021-04-08 | 주식회사 이언시스템 | System for sensing invasion of security fence |
KR102255211B1 (en) * | 2020-06-19 | 2021-05-25 | 임종천 | Fire detection system with automatic recovery of communication loop |
KR102335154B1 (en) * | 2020-12-29 | 2021-12-06 | (주)전원테크 | Fire monitoring system that can check disconnec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65452A (en) * | 2000-03-16 | 2001-09-28 | Hochiki Corp | Line abnormality monitoring device |
-
2017
- 2017-02-21 KR KR1020170022976A patent/KR10181433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65452A (en) * | 2000-03-16 | 2001-09-28 | Hochiki Corp | Line abnormality monitoring devic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0896B1 (en) * | 2019-09-23 | 2020-08-03 | 장상욱 | Warning bell of fire protection system able to self block based a problem occurs |
KR102140895B1 (en) * | 2019-09-23 | 2020-08-03 | 장상욱 | System for fire detection having a warning bell able to self block |
KR102255211B1 (en) * | 2020-06-19 | 2021-05-25 | 임종천 | Fire detection system with automatic recovery of communication loop |
KR102238035B1 (en) * | 2020-08-03 | 2021-04-08 | 주식회사 이언시스템 | System for sensing invasion of security fence |
KR102335154B1 (en) * | 2020-12-29 | 2021-12-06 | (주)전원테크 | Fire monitoring system that can check disconne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4330B1 (en) | Auto Fire Alarm System Using Isolator and Loopback Signaling Line | |
KR101841727B1 (en) | Load short track inspection and operating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of the fire relay broadcasting equipment | |
CN105765812B (en) | Method for the electric fault in detection circuit | |
KR101919074B1 (en) | Electric fire prevention system | |
CN106063143B (en) | Including being coupled to the isolator of two-way communication loop and the EMS with communication recovery function | |
US6288637B1 (en) | Fire protection system | |
ES2634945T3 (en) | System and method of emergency operation of an alarm system | |
JP2024016274A (en) | booster | |
JP6110775B2 (en) |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 |
KR101214299B1 (en) | R type fire alarm control panel system capable of verifying false alarm and method thereof | |
JP2015087918A (en) |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 |
KR20200129975A (en) | Public Address System IOT for protecting short/open circuit | |
KR102294201B1 (en) | Repeater capable of monitoring disconnection and short circuit | |
JP3622401B2 (en) | Method of detecting short circuit in monitor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method for disaster prevention using the same, monitor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 |
EP3220583B1 (en) | Communications bus line isolator | |
KR102141990B1 (en) | Emergency Broadcast Line Checker Circuit Blocker of Subway-Railway Broadcasting Equipment | |
TWI740336B (en) | Warning system | |
KR20130027848A (en) | P type fire alarm control panel system capable of verifying false alarm and method thereof | |
CN116457669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otection circuits | |
KR100778297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7499374B2 (en) | Disaster Prevention System | |
JP6676803B2 (en) | First device power supply device and alarm system | |
JP2009055763A (en) | Network power transmission protector | |
JP7336891B2 (en) | Repeaters and fire alarm systems | |
JP2000244373A (en) | Repeater and network using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