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320A - Display deve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e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320A
KR20230072320A KR1020210158927A KR20210158927A KR20230072320A KR 20230072320 A KR20230072320 A KR 20230072320A KR 1020210158927 A KR1020210158927 A KR 1020210158927A KR 20210158927 A KR20210158927 A KR 20210158927A KR 20230072320 A KR20230072320 A KR 20230072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rain
electrode
region
conta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기상
남경진
이종원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320A/en
Publication of KR2023007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3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comprises: a substrate; a buffer layer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n a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buffer layer and including a channel region, a source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channel regions, and a drain region; a gate electrode positioned on the active layer; a source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and a drai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region. The source region includes a source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source region and a first source conductive region and a second source conductive region surrounding the source contact hole. The drain region includes a drain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drain region and a first drain conductive region and a second drain conductive region surrounding the drain contact hol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n aperture ratio.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DISPLAY DEVE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ISPLAY DEVE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명세서는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 aperture ratio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표시장치는 TV, 휴대폰, 노트북 및 태블릿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된다. 이를 위해, 표시장치의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Display devices ar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mobile phones, laptops, and tablets. To this end, research to develop thinning, lightening, and low power consumption of display devices is being continued.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또는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예로 들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d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 EW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이 가운데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에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영역과 복수의 화소영역에 대응한 복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유기발광소자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이므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크며, 명암비 및 색재현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Among the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 areas arranged in a display area where images are displayed and a plurality of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ixel areas.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a self-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by itsel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dvantages in that it has a fast response speed, high luminous efficiency, luminance and viewing angle, and excellent contrast ratio and color gamut compared t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부와, 발광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하고 있다. 회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이 기판의 반대 방향, 즉, 기판의 배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인 경우, 상기 회로부가 배치된 영역에서는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지 못한다. 이에 따라, 회로부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만큼 개구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and a circuit unit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unit. The circuit unit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and a storage capacitor. When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bottom emission method in which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is emit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ubstrate, that is,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area where the circuit unit is disposed does not emit light to the outside. .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erture ratio decreases by the area where the circuit unit is disposed.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해결 과제는 배면 발광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발광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 aperture ratio by increasing an area of a light emitting region in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명은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면적을 축소시켜 발광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전체 정전용량 또한 증가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o this end,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total capacitance of the storage capacitor while increasing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by reducing the area occupied by the storage capacitor.

또한,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구성하는 유전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apacitance of the storage capacitor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dielectric constituting the storage capacitor.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명은 발광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켜 개개의 화소에서 동일한 휘도로 구현하기 위한 전류의 소비는 감소시킴으로써 유기발광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increase the lifespa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for implementing the same luminance in individual pixels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아울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링 형상의 컨택 구조를 도입하여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액티브층 사이를 면으로 접속시켜 컨택 연결 안정성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mote contact connection stability by introducing a ring-shaped contact structure to connect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and an active layer with a plane.

더불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도입하여 액티브층의 손실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reduce the amount of loss in the active layer by introducing a photoresist pattern using a halftone mask.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Solving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Furth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is specifica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위치하고,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층; 상기 액티브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역은 상기 소스 영역을 관통하는 소스 컨택홀 및 상기 소스 컨택홀을 둘러싸는 제1 소스 도체화 영역 및 제2 소스 도체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드레인 영역을 관통하는 드레인 컨택홀 및 상기 드레인 컨택홀을 둘러싸는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 및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isplay device includes a substrate; a buffer layer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n active layer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and including a channel region, a source region disposed with the channel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drain region; a gate electrode positioned on the active layer; a source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and a drai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region. wherein the source region includes a source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source region, a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a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surrounding the source contact hole, and the drain region comprises the drain reg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rain contact hole penetrating, and a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and a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surrounding the drain contact hole.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는 기판 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 상에 액티브층 및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액티브층을 관통하여 상기 버퍼층 내에 소스 컨택홀 및 드레인 컨택홀을 형성하도록 식각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층 상에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되, 상기 소스 영역은 상기 소스 컨택홀을 둘러싸는 제1 소스 도체화 영역 및 제2 소스 도체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드레인 컨택홀을 둘러싸는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 및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전극,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액티브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ing a buffer layer on a substrate; forming an active layer and a gate insulating film on the buffer layer; etching to form a source contact hole and a drain contact hole in the buffer layer through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the active layer; A source region and a drain region are formed on the active layer with a channel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ource region including a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a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surrounding the source contact hole; , forming the drain region to include a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and a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surrounding the drain contact hole; and forming a source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a drai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region, and a gate electrode positioned on the active layer. do.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면적을 축소시켜 발광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rea occupied by a storage capacitor may be reduced to increase an area of a light emitting region, thereby improving an aperture ratio.

또한,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면적은 축소시키면서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구성하는 유전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이점으로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capacitance of the storage capacitor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dielectric constituting the storage capacitor while reducing the area occupied by the storage capacitor.

또한, 발광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켜 개개의 화소에서 동일한 휘도로 구현하기 위한 전류의 소비는 감소시킴으로써 유기발광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킴으로써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이점으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life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for implementing the same luminance in individual pixels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아울러, 액티브층에 링 형상의 컨택 구조를 도입하여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액티브층 사이를 면과 면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troducing a ring-shaped contact structure into the active layer and connecting the source electrode or drain electrode and the active layer face to face,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connecting the active layer.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a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I', II-II', III-III', IV-IV', V-V' 및 VI-VI'방향을 따라 잘라내어 나타내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X'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I-I', II-II', III-III', IV-IV', V-V' 및 VI-VI'방향을 따라 잘라내어 나타내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3c는 도 3a의 X부분을 평면에서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8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단면도들이다.
1A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II', II-II', III-III', IV-IV', VV', and VI-VI' directions of FIG. 1A.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X' of FIG. 1A.
3A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3B is cross-sectional views cut along II', II-II', III-III', IV-IV', VV', and VI-VI' directions of FIG. 3A.
FIG. 3C is a plan view showing part X of FIG. 3A.
4 to 18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is specifica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is specifica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own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is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is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so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the case where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cluding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on top of', 'on top of', 'at the bottom of', 'next to', etc. Or, unless 'directly' is us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a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continue to', 'after ~', 'before', etc., 'immediately' or 'directly' As long as ' is not used, non-continuous cases may also be includ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can be implemented together in an association relationship. may be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ac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I', II-II', III-III', IV-IV', V-V' 및 VI-VI'방향을 따라 잘라내어 나타내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a의 'X' 부분을 평면에서 나타내보인 도면이다.1A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directions II', II-II', III-III', IV-IV', V-V', and VI-VI' of FIG. 1A. And FIG. 2 is a view showing part 'X' of FIG. 1A in a plan view.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기판(100)이 배치된 하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의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표시장치(10)는 광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되는 발광 영역(194)과, 유기발광소자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 소자들이 구비된 회로부를 포함한다. 발광 영역(194) 및 구동 회로 소자들은 복수의 서브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다. 표시 영역에 배치된 서브 화소 각각은 회로부에 배치되는 구동 회로 소자 및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A, 1B, and 2 ,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bottom emission type display device that emits light in a downward direction where a substrate 100 is disposed. . Such a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light emitting region 194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mitting light is disposed, and a circuit unit provided with driving circuit elements for supplying driving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The light emitting area 194 and the driving circuit elements are arranged in a display area where a plurality of sub-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an image is displayed. Each of the sub-pixels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includes a driving circuit elemen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 the circuit unit.

구동 회로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T),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포함한다. 회로부를 구성하는 구동 회로 소자들은 발광 영역(194)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된다.The driving circuit element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T and a storage capacitor Cst. The driving circuit elements constituting the circuit unit are disposed in the area other than the light emitting area 194 .

박막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전극(164), 소스 전극(166), 드레인 전극(168) 및 액티브층(125)을 포함한다. The thin film transistor T includes a gate electrode 164 , a source electrode 166 , a drain electrode 168 and an active layer 125 .

게이트 전극(164)은 액티브층(125)의 채널 영역(CH)과 중첩하여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164)과 액티브층(125)의 채널 영역(CH)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130)이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164)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또는 구리(Cu)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164), 소스 전극(166), 드레인 전극(168)은 게1 게이트 금속(161) 및 제2 게이트 금속(163)이 적층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164 overlaps the channel region CH of the active layer 125 . A gate insulating laye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164 and the channel region CH of the active layer 125 . The gate electrode 164 is any on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neodymium (Nd), or copper (Cu). It may be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made of one or an alloy thereof. The gate electrode 164, the source electrode 166, and the drain electrode 168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gate metal 161 and a second gate metal 163 are stacked.

액티브층(125)은 채널 영역(CH)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소스 영역(SA) 및 드레인 영역(DA)을 구비한다. 채널 영역(CH)은 게이트 절연막(130)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164)과 중첩하게 배치된다.The active layer 125 includes a source region SA and a drain region DA facing each other with the channel region CH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hannel region CH is disposed to overlap the gate electrode 164 with the gate insulating layer 130 interposed therebetween.

소스 전극(166)은 액티브층(125)의 소스 영역(S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168)은 액티브층(125)의 드레인 영역(DA)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드레인 전극(168)은 평탄화막(182) 및 층간 절연막(176)을 관통하여 형성된 화소 컨택홀(184)을 통해 제1 전극(186)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전극(168)은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22)을 관통하는 차광 컨택홀(154)을 통해 광차단층(105)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소스 전극(166) 및 드레인 전극(168)은 게이트 전극(164)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동일한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전극(164)과 동일한 평면(layer)에 위치한다.The source electrode 16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SA of the active layer 125 , and the drain electrode 16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region DA of the active layer 125 . The drain electrode 168 contact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86 through the pixel contact hole 184 formed through the planarization layer 182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76 . In addition, the drain electrode 168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blocking layer 105 through the light blocking contact hole 154 penetrating the first buffer layer 1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 The source electrode 166 and the drain electrode 168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gate electrode 164 and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layer) as the gate electrode 164 through an etching process using the same mask.

액티브층(125)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액티브층(125)은 인듐 갈륨 징크 옥사이드(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계 및 인듐 징크 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계 등의 산화물 반도체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tive layer 125 includes at least one of amorphous silicon, polycrystalline silicon, and an oxide semiconductor. For example, the active layer 12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xide semiconductor materials such as 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 and indium zinc oxide (IZO).

액티브층(125)에 구비된 소스 영역(SA) 및 드레인 영역(DA) 각각은 제1 소스 도체화 영역(127) 및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129)을 포함한다. 제1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7, 129)은 각각 게이트 절연막(130)을 패터닝하기 위해 건식 식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액티브층(125)의 노출 부위에 형성된다. 제1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7, 129)과 액티브층(125)의 채널 영역(CH) 사이에는 제2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6, 128)이 배치된다. 제2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6, 128)은 각각 제1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7, 129)이 형성된 상태에서 게이트 전극(164), 소스 전극(166) 및 드레인 전극(168)을 패터닝하기 위해 건식 식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1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7, 129)의 노출 부위에 형성된다. 제2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6, 128)은 건식 식각 과정에서 액티브층에 대해 두께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초기 형성된 액티브층(125) 및 제1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7, 129)의 표면보다 낮은 두께를 가진다.Each of the source region SA and the drain region DA provided in the active layer 125 includes a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127 and a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129 . The first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7 and 129 are formed on exposed portions of the active layer 125 during dry etching to pattern the gate insulating layer 130 , respectively. Second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6 and 128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7 and 129 and the channel region CH of the active layer 125 . The second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6 and 128 include the gate electrode 164, the source electrode 166, and the drain electrode 168 in a state where the first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7 and 129 are formed,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dry etching for patterning, it is formed on exposed portions of the first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7 and 129 . In the second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6 and 128, as thickness loss occurs in the active layer during the dry etching process, the initially formed active layer 125 and the first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7 and 129 has a thickness lower than the surface of

소스 전극(166) 및 드레인 전극(168) 각각은 제1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7, 129)과 중첩하여 배치된다. 도 1a의 X 부분을 평면에서 나타내보인 도 2를 참조하면, 소스 전극(168)은 제1 소스 도체화 영역(127)과 중첩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소스 전극(168)이 제1 소스 도체화 영역(127)과 중첩된 X1 영역을 확대한 부분을 참조하면, 제1 소스 도체화 영역(127)과 제2 소스 도체화 영역(126)은 서로 맞닿는 모서리부에서 접촉 포인트(CP)가 발생함에 따라 면 접촉이 아닌 점 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류 경로(Ci) 또한 이 접촉 포인트(CP)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면 접촉이 아닌 점 접촉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스 전극(166)과의 연결이 불안정할 수 있다. 이는 드레인 전극(168)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Each of the source electrode 166 and the drain electrode 168 overlaps the first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7 and 129 . Referring to FIG. 2 showing the X portion of FIG. 1A on a plan view, the source electrode 168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127 . Specifically, referring to an enlarged portion of the X1 region where the source electrode 168 overlaps the first source conducting region 127, the first source conducting region 127 and the second source conducting region 126 As a contact point (CP) occurs at the corner where the silver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point contact rather than surface contact is made. And the current path (C i ) is also made through this contact point (CP). In this case, since point contact is made instead of surface contact, connection with the source electrode 166 may be unstable. This may also occur in the drain electrode 168 in the same way.

액티브층(125)과 기판(100) 사이에는 광차단층(105)이 형성된다. 광차단층(105)은 액티브층(125)과 중첩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적어도 액티브층(125)의 채널 영역(CH)과 중첩되도록 한다. 광차단층(105)은 차광 컨택홀(154)을 통해 표면이 일부 노출되어 드레인 전극(168)을 통해 액티브층(125)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A light blocking layer 105 is formed between the active layer 125 and the substrate 100 . The light blocking layer 105 is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active layer 125 and overlaps at least the channel region CH of the active layer 125 . A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105 may be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light blocking contact hole 154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125 through the drain electrode 168 .

광차단층(105)은 스토리지 하부 전극(110) 및 배선 전극(115)과 동일한 평면 상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선 전극(115)은 전원 공급 라인(VDL), 데이터 라인(DL) 및 기준전원 공급 라인(Vref)을 포함하며, 제1 방향(X), 예를 들어 수평라인으로 배열되어 있다. 일 예에서, 광차단층(105)은 제1 금속층(102) 및 제2 금속층(104)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차단층(105)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또는 구리(Cu) 등의 불투명한 금속 재료의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layer 10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plane as the storage lower electrode 110 and the wiring electrode 115 . Here, the wire electrode 115 includes a power supply line VDL, a data line DL, and a reference power supply line Vref, and i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X, for example, a horizontal line. In one example, the light blocking layer 105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metal layer 102 and a second metal layer 104 are stacked. In addition, the light blocking layer 105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of opaque metal materials such as molybdenum (Mo), aluminum (Al), titanium (Ti), or copper (Cu), or an alloy thereof.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22)이 광차단층(105), 스토리지 하부 전극(110), 배선 전극(115) 상에 배치된다.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22)은 유기발광소자 방향으로 수분 또는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수소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한다.The first buffer layer 1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are disposed on the light blocking layer 105 , the storage lower electrode 110 , and the wiring electrode 115 . The first buffer layer 1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block penetration of moisture or oxygen towar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from impurities such as hydrogen.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22)을 사이에 두고 스토리지 하부 전극(110) 및 스토리지 상부 전극(172)이 중첩되어 형성된다. 즉, 스토리지 하부 전극(110) 및 스토리지 상부 전극(172) 사이에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22)이 적층된 다중층 구조의 유전체로 배치된다. 이 때, 스토리지 하부 전극(110)은 광차단층(105)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스토리지 상부 전극(172)은 액티브층(125)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스토리지 상부 전극(172)은 제2 버퍼층(122) 상에 단면으로 바라볼 때, 평판(plate) 형상을 가진다.The storage capacitor Cst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lower storage electrode 110 and the upper storage electrode 172 with the first buffer layer 1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between the lower storage electrode 110 and the upper storage electrode 172, the first buffer layer 1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are stacked to form a multi-layer dielectric structure. In this case, the storage lower electrode 11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light blocking layer 105 , and the storage upper electrode 172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ctive layer 125 . When viewed cross-section on the second buffer layer 122, the storage upper electrode 172 has a plate shape.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정전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스토리지 하부 전극(110) 및 스토리지 상부 전극(172)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는 방법이 있다. 즉, 유전체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정전용량은 반비례하여 감소하며, 유전체의 두께가 얇을수록 정전용량이 증가한다.As one of the methods for increasing the capacitance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there is a method of short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torage lower electrode 110 and the storage upper electrode 172 . That is, as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increases, the capacitance de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and as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decreases, the capacitance increases.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서는 유전체로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22)이 적층된 구조를 도입한다. 여기서 제1 버퍼층(120)은 제1 두께의 실리콘질화물(SiNx)로 형성하고, 제2 버퍼층(122)은 제1 버퍼층(120)보다 두꺼운 제2 두께의 실리콘산화물(SiOx)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버퍼층(120)은 1000Å 내지 1500Å의 제1 두께로 형성하고, 제2 버퍼층(122)은 2700Å 내지 3300Å의 제2 두께로 형성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uffer layer 1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are stacked as dielectrics is introduced. Here, the first buffer layer 120 is formed of silicon nitride (SiNx)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is formed of silicon oxide (SiOx) having a second thickness thicker than the first buffer layer 120 . For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 120 is formed to a first thickness of 1000 Å to 1500 Å,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is formed to a second thickness of 2700 Å to 3300 Å.

이에 따라, 제1 버퍼층(120)의 유전율은 약 6.9이고, 제2 버퍼층(122)의 유전율은 약 3.9임에 따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정전용량 값은 0.0011*상수인 값을 가진다. 정전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차지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발광 영역(194)의 면적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개구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since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first buffer layer 120 is about 6.9 and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second buffer layer 122 is about 3.9,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has a value that is 0.0011 * constant. When the area occupied by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increased to improve capacita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erture ratio decreases as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194 decreases.

게이트 전극(164), 소스 전극(166) 및 드레인 전극(168)과 동일한 평면에 패드 전극(174)이 배치된다. 패드 전극(174)은 게이트 전극(164), 데이터 라인(DL), 전원 공급 라인(VDL) 및 기준전원 공급 라인(Vref) 각각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패드 전극(174)이 전원 공급 라인(VDL)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실시예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패드 전극(174)이 데이터 라인(DL) 및 기준전원 공급 라인(Vref) 각각에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ad electrode 174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gate electrode 164 , the source electrode 166 , and the drain electrode 168 . The pad electrode 174 serves to supply driving signals to each of the gate electrode 164, the data line DL, the power supply line VDL, and the reference power supply line Vref.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d electrode 174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VDL has been present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pad electrodes 174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data line DL and the reference power supply line Vref.

패드 전극(174)은 게이트 전극(164), 소스 전극(166) 및 드레인 전극(168) 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패드 전극(174) 상에는 패드 전극(174)의 부식을 방지하는 패드 커버 전극(188)이 배치된다.The pad electrode 174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gate electrode 164, the source electrode 166, and the drain electrode 168. A pad cover electrode 188 preventing corrosion of the pad electrode 174 is disposed on the pad electrode 174 .

수평라인인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전원 공급 라인(VDL), 데이터 라인(DL) 및 기준전원 공급 라인(Vref)에 대응하여 수직라인인 제2 방향(Y)으로 스캔라인(SCAN1, SCAN2)이 배치된다. 스캔라인(SCAN1, SCAN2)은 서브 화소 상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동안 각 수평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스캔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스캔라인(SCAN1) 및 서브 화소 상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를 초기화하는 동안 각 수평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제 2 스캔라인(SCAN2)을 포함한다.In response to the power supply line (VDL), data line (DL), and reference power supply line (Vref)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X), which is a horizontal line, scan lines (SCAN1) in a second direction (Y), which is a vertical line, SCAN2) is placed. While the scan lines SCAN1 and SCAN2 supply data signals to the sub-pixels, the first scan line SCAN1 supplies scan signals for selecting each horizontal line and data signals supplied to the sub-pixels during initialization. and a second scan line (SCAN2) supplying a signal for selecting each horizontal line.

층간 절연막(176) 및 평탄화막(182)이 게이트 전극(164), 소스 전극(166), 드레인 전극(168) 및 스토리지 상부 전극(172)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층간 절연막(176) 및 평탄화막(182)은 무기 절연물질 또는 유기 절연물질 가운데 선택하여 이루어진다.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76 and a planarization film 182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gate electrode 164 , the source electrode 166 , the drain electrode 168 , and the upper storage electrode 172 are formed.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76 and the planarization film 182 are formed by selecting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층간 절연막(176) 상에는 컬러 필터(180)가 배치된다. 컬러 필터(180)은 발광 영역(194)과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컬러 필터(180)는 각 서브 화소에 배정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180)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가운데 하나일 수 있다.A color filter 180 is dispos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76 . The color filter 180 is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light emitting region 194 . The color filter 180 may represent a color assigned to each sub-pixel. For example, the color filter 180 may be one of red (R), green (G), and blue (B).

평탄화막(182)은 기판(100) 상에 평탄한 표면을 구성하기 위해 형성하며, 아크릴 수지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182)은 드레인 전극(168)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화소 컨택홀(184)을 더 포함한다. The planarization film 182 is formed to form a flat surface on the substrate 100, and may be made of acrylic resin or the like. The planarization layer 182 further includes a pixel contact hole 184 exposing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drain electrode 168 .

평탄화막(182) 및 화소 컨택홀(184) 상에 제1 전극(186)이 배치되어 드레인 전극(168)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1 전극(186)은 뱅크(190)에 구비된 뱅크 홀(192)의해 형성된 발광 영역(194) 및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소자와 중첩되도록 평탄화막(182) 상에 배치된다. 발광 영역(194)의 폭(EAW1)은 뱅크 홀(192)의 크기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A first electrode 186 is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182 and the pixel contact hole 184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68 . The first electrode 186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182 so as to overlap the driving circuit element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region 194 formed by the bank hole 192 provided in the bank 190,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placed on The width EAW1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194 may be defined by the size of the bank hole 192 .

제1 전극(186)은 인듐-주석-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또는 인듐-아연-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제1 전극(186)은 애노드 전극 또는 화소 전극으로도 지칭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86 includes a transparent metal oxid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The first electrode 186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anode electrode or a pixel electrode.

유기 발광층(198)은 뱅크 홀(192)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186)과 접속하면서 뱅크(190)의 상부면으로 연장하여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198)은 정공수송층(HTL), 발광층(EML) 및 전자수송층(ETL)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유기 발광층은 정공차단층(HBL), 정공주입층(HIL), 전자 차단층(EBL) 및 전자 주입층(EI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98)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며, 컬러 필터(180)에 의해 색상이 나타낼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98 exte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 19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86 exposed by the bank hole 192 . The organic emission layer 198 has a stacked structure of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The organic emissio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hole blocking layer (HBL), a hole injection layer (HIL), an electron blocking layer (EB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98 is made of an organic material that emits white light, and a color may be displayed by the color filter 180 .

유기 발광층(198) 상에는 제2 전극(199)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전극(186), 유기 발광층(198) 및 제2 전극(199)으로 구성된 유기발광소자(OLED)가 형성된다. 제2 전극(199)은 표시영역 상에서 인접하는 화소들과 공통적으로 접촉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며, 공통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A second electrode 199 is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98 . According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omposed of the first electrode 186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98 and the second electrode 199 is formed. The second electrode 199 serves to apply a voltage by commonly contacting adjacent pixels on the display area,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ommon electrode or a cathode electro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서는 소스 전극(166) 및 드레인 전극(168) 각각에 중첩하여 배치된 제1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7, 129)과 제2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6, 128) 사이의 연결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로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22)의 이중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도입함에 따라, 정전용량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7 and 129 and the second source/drain conductors overlap each of the source electrode 166 and the drain electrode 168. Connection instability between the image regions 126 and 128 may occur. In addition, as a structure in which a double layer of the first buffer layer 1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is introduced as a dielectric is introduced,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capacitance.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7, 129)과 제2 소스/드레인 도체화 영역(126, 128)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액티브층 사이의 연결 안정성을 확보하고, 또한, 발광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켜 개구율을 개선하면서 정전용량도 증가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7 and 129 and the second source/drain conductor regions 126 and 128 is increased so that the source electrode or the drain electrode A display device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active layers and increasing capacitance while improving an aperture ratio by increasing an area of a light emitting reg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도 3a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I-I', II-II', III-III', IV-IV', V-V' 및 VI-VI'방향을 따라 잘라내어 나타내보인 단면도들이다. 그리고 도 3c는 도 3a의 X부분을 평면에서 나타내보인 도면이다.3A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3B is cross-sectional views cut along II', II-II', III-III', IV-IV', V-V', and VI-VI' directions of FIG. 3A. And Figure 3c is a view showing the X portion of Figure 3a in a plane.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는 유기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광원이 기판(200)이 배치된 하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하부 발광 방식의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표시장치(20)는 광을 방출하는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되는 발광 영역(294)과, 유기발광소자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 소자들이 구비된 회로부를 포함한다. 발광 영역(294) 및 구동 회로 소자들은 복수의 서브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다. 표시 영역에 배치된 서브 화소 각각은 회로부에 배치되는 구동 회로 소자 및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A to 3C ,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bottom emission type display device in which a light source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emitted in a downward direction where the substrate 200 is disposed. . Such a display device 20 includes a light emitting region 294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mitting light is disposed, and a circuit unit provided with driving circuit elements for supplying driving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The light emitting area 294 and the driving circuit elements are arranged in a display area where a plurality of sub-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an image is displayed. Each of the sub-pixels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includes a driving circuit elemen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 the circuit unit.

구동 회로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T),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포함한다. 회로부를 구성하는 구동 회로 소자들은 발광 영역(294)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된다.The driving circuit element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T and a storage capacitor Cst. The driving circuit elements constituting the circuit unit are disposed in the area other than the light emitting area 294 .

박막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전극(264)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통해 전원 공급 라인(VDL)으로부터 발광 소자로 구동 전류를 공급 및 제어함으로써 유기발광 소자의 발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박막트랜지스터(T)의 게이트 전극(264)이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연결되므로, 박막트랜지스터(T)는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충전전압에 기초하여 턴온된다. 즉,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박막트랜지스터(T)는 다음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까지 일정한 전류가 공급되어 유기발광소자가 발광을 유지할 수 있다. The thin film transistor T may control light emiss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supplying and controlling driving current from the power supply line VDL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through a data signal supplied to the gate electrode 264 . Here, since the gate electrode 264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connected to the storage capacitor Cst,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turned on based o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That is, by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a constant current is suppli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 until the next data signal is supplied, so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an maintain light emission.

박막 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전극(264), 소스 전극(266), 드레인 전극(268) 및 액티브층(225)을 포함한다.The thin film transistor T includes a gate electrode 264 , a source electrode 266 , a drain electrode 268 and an active layer 225 .

게이트 전극(264)은 액티브층(225)의 채널 영역(CH)과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64)과 액티브층(225)의 채널 영역(CH)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23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30)은 실리콘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64)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또는 구리(Cu)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264 may overlap the channel region CH of the active layer 225 . A gate insulating layer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264 and the channel region CH of the active layer 225 .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The gate electrode 264 is any on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neodymium (Nd), or copper (Cu). It may be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made of one or an alloy thereof.

소스 전극(266)은 제2 버퍼층(222) 내에 형성된 소스 컨택홀(262)을 통해 액티브층(225)의 소스 영역(SA)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드레인 전극(268)은 제2 버퍼층(222) 내에 형성된 드레인 컨택홀(260)을 통해 액티브층(225)의 드레인 영역(DA)과 접속된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T)의 드레인 전극(268)은 평탄화막(282) 및 층간 절연막(280)을 관통하게 형성된 화소 컨택홀(284)을 통해 제1 전극(286)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전극(268)은 제1 버퍼층(220) 및 제2 버퍼층(222)을 관통하는 차광 컨택홀(254)을 통해 광차단층(205)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소스 전극(266) 및 드레인 전극(268)은 게이트 전극(264)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게이트 전극(264)과 동일한 평면(layer)에 위치한다.The source electrode 26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SA of the active layer 225 through a source contact hole 262 formed in the second buffer layer 222 . The drain electrode 268 is connected to the drain region DA of the active layer 225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260 formed in the second buffer layer 222 . In addition, the drain electrode 268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in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286 through the pixel contact hole 284 formed to penetrate the planarization layer 282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80. . In addition, the drain electrode 268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through the light blocking contact hole 254 penetrating the first buffer layer 2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 The source electrode 266 and the drain electrode 268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gate electrode 264 and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layer) as the gate electrode 264 .

액티브층(225)은 채널 영역(CH)을 사이에 두고 마주게 위치하는 소스 영역(SA) 및 드레인 영역(DA)을 구비한다. 채널 영역(CH)은 게이트 절연막(230)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264)과 중첩하게 배치된다. The active layer 225 includes a source region SA and a drain region DA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channel region CH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hannel region CH is disposed to overlap the gate electrode 264 with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interposed therebetween.

일 예에서, 액티브층(225)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층(225)은 인듐 갈륨 징크 옥사이드(IGZO)계 및 인듐 징크 옥사이드(IZO)계 등의 산화물 반도체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액티브층(225)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active layer 22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morphous silicon, polycrystalline silicon, or an oxide semiconductor. For example, the active layer 22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xide semiconductor materials such as 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 and indium zinc oxide (IZO). In addition, the active layer 225 may be formed of another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known in the art.

액티브층(225)에 구비된 소스 영역(SA)은 소스 영역(SA)을 관통하는 소스 컨택홀(262) 및 소스 컨택홀(262)을 둘러싸는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 및 제2 소스 도체화 영역(227)을 포함하고, 드레인 영역(DA)은 드레인 영역(DA)을 관통하는 드레인 컨택홀(260) 및 드레인 컨택홀(260)을 둘러싸는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8) 및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229)을 포함한다. The source region SA provided in the active layer 225 includes a source contact hole 262 passing through the source region SA, a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surrounding the source contact hole 262, and a second It includes a source conductor region 227, and the drain region DA includes a drain contact hole 260 penetrating the drain region DA and a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8 surrounding the drain contact hole 260. and a second drain conductorization region 229 .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 및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8) 각각은 소스 컨택홀(262) 또는 드레인 컨택홀(260)의 모서리 상부를 둘러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소스 도체화 영역(227) 및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229)은 각각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 및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8)의 외곽을 둘러싸게 위치한다.Each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and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8 is formed to surround an upper corner of the source contact hole 262 or the drain contact hole 260 . Also,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227 and the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229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and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8 , respectively.

일 예에서,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 및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8)은 링 형상을 가진다. 도 3a의 X부분을 평면에서 나타내보인 도 3c를 참조하면, 소스 전극(266)은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에서 일 측면의 노출된 면과 면접촉하게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소스 전극(266)이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과 면접촉된 X1 영역을 확대한 부분을 참조하면, 소스 컨택홀(262)을 둘러싸는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이 제2 소스 도체화 영역(227)과 면 접촉으로 접촉 포인트(CP)가 발생한다. 그리고 전류 경로(Ci) 또한 이 접촉 포인트(CP)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이 제2 소스 도체화 영역(227)과 면 접촉으로 이루어지고, 소스 전극(266) 또한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에서 일 측면의 노출된 면과 면접촉함에 따라, 소스 전극(266)과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드레인 전극(268)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and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8 have a ring shape. Referring to FIG. 3C showing the X portion of FIG. 3A on a plane, the source electrode 266 is positioned in surface contact with an exposed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 Specifically, referring to an enlarged portion of the X1 region where the source electrode 266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source conducting region 226, the first source conducting region 226 surrounding the source contact hole 262 A contact point CP is generated by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227 . And the current path (C i ) is also made through this contact point (CP). That is,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227, and the source electrode 266 is also ex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As it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surface, it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266 . This may also occur in the drain electrode 268 in the same way.

액티브층(225)과 기판(200) 사이에는 광차단층(205)이 형성된다. 광차단층(205)은 액티브층(225)과 중첩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적어도 액티브층(225)의 채널 영역(CH)과 중첩되도록 배치한다. 광차단층(205)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T)를 보호할 수 있다. 광차단층(205)은 차광 컨택홀(254)을 통해 표면이 일부 노출되어 드레인 전극(268)을 통해 액티브층(225)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A light blocking layer 205 is formed between the active layer 225 and the substrate 200 .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is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active layer 225 and is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the channel region CH of the active layer 225 .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may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T from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may be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light blocking contact hole 254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225 through the drain electrode 268 .

광차단층(205)은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및 배선 전극(215)과 동일한 평면 상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선 전극(215)은 전원 공급 라인(VDL), 데이터 라인(DL) 및 기준전원 공급 라인(Vref)을 포함하며, 제1 방향(X), 예를 들어 수평라인로 배열되어 있다. 일 예에서, 광차단층(205)은 제1 금속층(202) 및 제2 금속층(204)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차단층(205)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또는 구리(Cu) 등의 불투명한 금속 재료의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layer 20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plane as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and the wiring electrode 215 . Here, the wiring electrode 215 includes a power supply line VDL, a data line DL, and a reference power supply line Vref, and i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X, for example, a horizontal line. In one example,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metal layer 202 and a second metal layer 204 are stacked. In addition,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of opaque metal materials such as molybdenum (Mo), aluminum (Al), titanium (Ti), or copper (Cu), or an alloy thereof.

제1 버퍼층(220) 및 제2 버퍼층(222)은 광차단층(205),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배선 전극(215) 상에 배치된다. 제1 버퍼층(220) 및 제2 버퍼층(222)은 기판(200)으로부터 상부에 형성될 유기발광소자 방향으로 수분 또는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기판(200)에서 유출되는 수소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buffer layer 2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are disposed on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 the lower storage electrode 210 , and the wiring electrode 215 . The first buffer layer 2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block moisture or oxygen from penetrating from the substrate 200 towar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o be formed thereon, and prevent impurities such as hydrogen from flowing out of the substrate 200. It serves to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the subsequent process.

제1 버퍼층(220)은 제1 두께의 실리콘질화물(SiNx)로 형성하고, 제2 버퍼층(222)은 제1 버퍼층(220)보다 두꺼운 제2 두께의 실리콘산화물(SiOx)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버퍼층(220)은 500Å 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The first buffer layer 220 is formed of silicon nitride (SiNx)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is formed of silicon oxide (SiOx) having a second thickness thicker than the first buffer layer 220 . For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 220 is formed to a thickness greater than 500 Å.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III-III')에서 제1 버퍼층(220) 및 제2 버퍼층(222)을 관통하는 차광 컨택홀(254)이 배치되고, 드레인 전극(268)이 차광 컨택홀(254)을 채우며 광차단층(205)과 접속될 수 있다.In the thin film transistor region III-III', a light blocking contact hole 254 penetrating the first buffer layer 2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is disposed, and the drain electrode 268 fills the light blocking contact hole 254. It may be connected to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1 버퍼층(220)을 사이에 두고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및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이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은 제2 버퍼층(222)을 관통하는 스토리지 컨택홀(257)을 채우고 제2 버퍼층(222)의 상부면을 일부 덮도록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storage capacitor Cst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lower electrode 210 and a storage upper electrode 272 are disposed with the first buffer layer 22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torage upper electrode 272 may fill the storage contact hole 257 penetrating the second buffer layer 222 and extend to partiall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ffer layer 222 .

스토리지 컨택홀(257)은 바닥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경사진 측면부를 가진다.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이 스토리지 컨택홀(257)을 채우게 형성됨에 따라,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은 바닥부는 제1 버퍼층(220)과 접촉하고, 측면부는 제2 버퍼층(222)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제1 버퍼층(220) 및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 사이에는 메인 캐패시터가 형성되고,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제2 버퍼층(222) 및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 사이에는 보조 캐패시터가 형성되어 보조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이 메인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에 추가되어 총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The storage contact hole 257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and has an inclined side surface. As the storage upper electrode 272 is formed to fill the storage contact hole 257,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upper electrode 272 contacts the first buffer layer 220 and the side portion contacts the second buffer layer 222. Accordingly, a main capacitor is formed between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the first buffer layer 220, and the storage upper electrode 272, and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the second buffer layer 222, and the storage upper electrode 272 ), an auxiliary capacitor may be formed between the capacitance of the auxiliary capacitor and the capacitance of the main capacitor, so that the capacitance of the total capacitor may increase.

게이트 전극(264), 소스 전극(266), 드레인 전극(268)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와 동일한 평면에 패드 전극(274)이 배치되어 있다.The pad electrode 274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gate electrode 264, the source electrode 266, the drain electrode 268, and the storage capacitor Cst.

패드 전극(274)은 게이트 전극(264), 데이터 라인(DL), 전원 공급 라인(VDL) 및 기준전원 공급 라인(Vref) 각각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는 패드 전극(274)이 전원 공급 라인(VDL)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실시예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패드 전극(274)은 데이터 라인(DL) 및 기준전원 공급 라인(Vref)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ad electrode 274 serves to supply driving signals to each of the gate electrode 264, the data line DL, the power supply line VDL, and the reference power supply line Vref.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d electrode 274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VDL has been present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pad electrodes 274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data line DL and the reference power supply line Vref.

패드 전극(274)은 게이트 전극(264), 소스 전극(266), 드레인 전극(268)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패드 전극(274) 상에는 패드 전극(274)의 부식을 방지하는 패드 커버 전극(288)이 배치된다. 패드 커버 전극(288)은 제1 전극(286)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The pad electrode 274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gate electrode 264, the source electrode 266, the drain electrode 268, and the storage capacitor Cst. A pad cover electrode 288 preventing corrosion of the pad electrode 274 is disposed on the pad electrode 274 . The pad cover electrode 288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286 .

수평라인인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전원 공급 라인(VDL), 데이터 라인(DL) 및 기준전원 공급 라인(Vref)에 대응하여 수직라인인 제2 방향(Y)으로 스캔라인(SCAN1, SCAN2)이 배치된다. 스캔라인(SCAN1, SCAN2)은 서브 화소 상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동안 각 수평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스캔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스캔라인(SCAN1) 및 서브 화소 상에 공급하는 데이터 신호를 초기화하는 동안 각 수평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제 2 스캔라인(SCAN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 라인(VDL) 및 기준전원 공급라인(Vref) 각각은 둘 이상의 수직라인, 즉, 스캔라인(SCAN1, SCAN2)에 대응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power supply line (VDL), data line (DL), and reference power supply line (Vref)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X), which is a horizontal line, scan lines (SCAN1) in a second direction (Y), which is a vertical line, SCAN2) is placed. While the scan lines SCAN1 and SCAN2 supply data signals to the sub-pixels, the first scan line SCAN1 supplies scan signals for selecting each horizontal line and data signals supplied to the sub-pixels during initialization. A second scan line SCAN2 supplying a signal for selecting each horizontal line may be included. Here, each of the power supply line VDL and the reference power supply line Vref may correspond to two or more vertical lines, that is, scan lines SCAN1 and SCAN2.

층간 절연막(276) 및 평탄화막(282)이 게이트 전극(264), 소스 전극(266), 드레인 전극(268) 및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이 형성된 기판(200) 상에 배치된다. 층간 절연막(276) 및 평탄화막(282)은 무기 절연물질 또는 유기 절연물질 가운데 선택하여 이루어진다.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276 and a planarization film 282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200 on which the gate electrode 264 , the source electrode 266 , the drain electrode 268 , and the upper storage electrode 272 are formed.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76 and the planarization film 282 are formed by selecting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층간 절연막(276) 상에 컬러 필터(280)이 배치된다. 컬러 필터(280)은 발광 영역(294)과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컬러 필터(280)는 각 서브 화소에 배정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280)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가운데 하나일 수 있다.A color filter 280 is dispos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76 . The color filter 280 is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 The color filter 280 may represent a color assigned to each sub-pixel. For example, the color filter 280 may be one of red (R), green (G), and blue (B).

평탄화막(282)은 평탄한 표면을 구성하기 위해 형성하며, 아크릴 수지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282)은 드레인 전극(268)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화소 컨택홀(284)을 더 포함한다. The planarization film 282 is formed to form a flat surface and may be made of acrylic resin or the like. The planarization layer 282 further includes a pixel contact hole 284 exposing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drain electrode 268 .

제1 전극(286)이 평탄화막(282) 및 화소 컨택홀(284) 상에 배치되어 드레인 전극(268)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1 전극(286)은 뱅크(290)에 구비된 뱅크 홀(292)의해 형성된 발광 영역(294) 및 박막 트랜지스터(T),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소자와 중첩되도록 평탄화막(282) 상에 배치된다. A first electrode 286 is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82 and the pixel contact hole 284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268 . The first electrode 286 is a planarization film (which overlaps with the driving circuit element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formed by the bank hole 292 provided in the bank 290, the thin film transistor T, and the storage capacitor Cst). 282) is placed on it.

제1 전극(286)은 인듐-주석-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또는 인듐-아연-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제1 전극(286)은 애노드 전극 또는 화소 전극으로도 지칭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286 includes a transparent metal oxid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The first electrode 286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anode electrode or a pixel electrode.

한편, 발광 영역(294)의 폭(EAW2)은 뱅크 홀(292)의 크기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2 버퍼층(222)을 관통하여 배치된 스토리지 컨택홀(257)을 게이트 전극(264)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된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이 채우게 형성됨에 따라, 게이트 전극(264)과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idth EAW2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may be defined by the size of the bank hole 292 .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orage upper electrode 272 form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gate electrode 264 through the storage contact hole 257 disposed through the second buffer layer 222. ) is formed to fill, it may be disposed overlapping with the gate electrode 264 .

이에 따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차지하는 면적이 게이트 전극(264)이 차지하는 면적과 중첩되는 부분이 있어 회로부에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감소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면적만큼 발광 영역(294)에서의 폭(EAW3)이 증가하여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영역(294)의 폭(EAW1)은 적어도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영역(194)의 폭(EAW) 및 증가된 폭(EAW3)만큼 증가하여 전체 발광 영역(294)의 면적이 증가한다. Accordingly, since the area occupied by the storage capacitor Cst partially overlaps the area occupied by the gate electrode 264 , the area occupied by the storage capacitor Cst in the circuit unit may be reduced. In addition, the width EAW3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may increase by at least the reduced area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so that the area may increase. That is, the width EAW1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creased by at least the width EAW and the increased width EAW3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19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the entire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increases.

발광 영역(294)의 면적이 증가되면 각각의 화소에서 동일한 휘도로 구현하기 위한 전류의 소비는 감소함에 따라 유기발광소자의 수명이 증가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영역(294)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is increased, current consumption for implementing the same luminance in each pixel is reduced, and thus the life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lso, as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increases, the aperture ratio can be improved.

유기 발광층(298)은 뱅크 홀(292)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286)과 접속하면서 뱅크(290)의 상부면으로 연장하여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298)은 정공수송층(HTL), 발광층(EML) 및 전자수송층(ETL)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유기 발광층은 정공차단층(HBL), 정공주입층(HIL), 전자 차단층(EBL) 및 전자 주입층(EIL)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98 exte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 29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286 exposed by the bank hole 292 . The organic emission layer 298 has a stacked structure of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The organic emissio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hole blocking layer (HBL), a hole injection layer (HIL), an electron blocking layer (EB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유기 발광층(298)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며, 컬러 필터(280)에 의해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98 is made of an organic material that emits white light, and can display colors by the color filter 280 .

뱅크(290)는 화소가 형성될 영역의 발광 영역(294)을 정의하는 경계 영역으로 각각의 서브 화소들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뱅크(290)는 인접하는 화소의 다른 컬러의 광이 서로 혼합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 역할을 한다.The bank 290 is a boundary region defining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of the region where pixels are to be formed, and serves to divide each sub-pixel. In addition, the bank 290 serves as a barrier to prevent light of different colors from adjacent pixels from being mixed and output.

유기 발광층(298) 상에는 제2 전극(300)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전극(286), 유기 발광층(298) 및 제2 전극(300)으로 구성된 유기발광소자(OLED)가 형성된다. A second electrode 300 is disposed on the organic emission layer 298 . According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286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98 and the second electrode 300 is formed.

제2 전극(300)은 표시영역 상에서 인접하는 화소들과 공통적으로 접촉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전극(300)은 공통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전극(30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또는 인듐-아연-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300)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은(Ag) 또는 알루미늄(Al) 및 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합금으로 구성된 반투과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300 serves to apply a voltage by commonly contacting adjacent pixels on the display area. The second electrode 30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ommon electrode or a cathode electrode. In one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300 may include a transparent metal oxid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300 may include a translucent metal material composed of molybdenum (Mo), tungsten (W), silver (Ag), or aluminum (Al) and an allo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m.

이와 같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배면 발광 방식의 표시장치에서 발광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면적을 축소시켜 발광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키면서도 전체 정전용량 값은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링 형상의 컨택 구조를 도입하여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액티브층 사이를 면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perture ratio may be improved by increasing an area of a light emitting region in a bottom emission type display device. To this end, the area occupied by the storage capacitor may be reduced to increase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and increase the total capacitance value. In addition, by introducing a ring-shaped contac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tably connect the source electrode or drain electrode and the active layer by contacting each other with a surfa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내지 도 18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단면도들이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18은 도 3a에서 I-I', II-II', III-III', IV-IV', V-V' 및 VI-VI' 방향을 따라 잘라내어 나타내보인 단면도들이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4 to 18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to 18 are cross-sectional views cut along II', II-II', III-III', IV-IV', V-V', and VI-VI' directions in FIG. 3A. In addition, components identical or similar to those of FIGS. 3A to 3C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4를 참조하면, 기판(200) 상에 광차단층(205),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및 배선 전극(215)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기판(200) 상에 제1 금속층(202) 및 제2 금속층(204)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1 금속층(202) 및 제2 금속층(204) 상에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광차단층(205),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및 배선 전극(215)을 형성한다. 여기서 광차단층(205)은 이후 형성될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과 중첩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차단층(205)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에서, 배선 전극(215)은 전원 공급 라인(VDD), 데이터 라인(DL) 또는 기준 전원 공급 라인(Vref)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light blocking layer 205 , a storage lower electrode 210 , and a wiring electrode 215 are formed on a substrate 200 . Specifically, a first metal layer 202 and a second metal layer 204 are formed on the substrate 200 . Next, a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using a mask are performed on the first metal layer 202 and the second metal layer 204 to form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and the wiring electrode 215. . Here,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active layer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o be formed later.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serves to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from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In one example, the wiring electrode 215 may be any one of a power supply line (VDD), a data line (DL), or a reference power supply line (Vref).

기판(200)은 평판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기판(200)은 투광성 기판일 수 있다. 기판(200)은 유리 또는 강화 유리와 같은 단단한 물질로 구성하거나 플라스틱 재질의 플렉서블(flexible)한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ubstrate 200 may be made of a flat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substrate 200 may be a light-transmitting substrate. The substrate 200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glass or tempered glass or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last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광차단층(205),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및 배선 전극(215)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금속층(202) 및 제2 금속층(204)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또는 구리(Cu) 등의 불투명한 금속 재료의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ght blocking layer 205,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and the wiring electrode 215 may be formed using the same material. In one example, the first metal layer 202 and the second metal layer 204 ar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of opaque metal materials such as molybdenum (Mo), aluminum (Al), titanium (Ti) or copper (Cu), or It may be made of an alloy of these.

도 5를 참조하면, 기판(200) 상에 제1 버퍼층(220) 및 제2 버퍼층(222)을 형성한다. 제1 버퍼층(220) 및 제2 버퍼층(222)은 광차단층(205),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및 배선 전극(215)을 덮도록 형성한다. 제1 버퍼층(220) 및 제2 버퍼층(222)은 기판(200)으로부터 상부에 형성될 유기발광소자 방향으로 수분 또는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기판(200)에서 유출되는 수소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및 제2 버퍼층(220, 222)은 광차단층(205),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및 배선 전극(215)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5 , a first buffer layer 220 and a second buffer layer 222 are formed on a substrate 200 . The first buffer layer 2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are formed to cover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and the wiring electrode 215 . The first buffer layer 2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block moisture or oxygen from penetrating from the substrate 200 towar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o be formed thereon, and prevent impurities such as hydrogen from flowing out of the substrate 200. It serves to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the subsequent process.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uffer layers 220 and 222 serve to insulate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and the wiring electrode 215 .

제1 버퍼층(220) 및 제2 버퍼층(222)은 실리콘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버퍼층(220)은 제1 두께의 실리콘질화물(SiNx)로 형성하고, 제2 버퍼층(222)은 제1 버퍼층(220)보다 두꺼운 제2 두께의 실리콘산화물(SiOx)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퍼층(220)은 1000Å 내지 1500Å의 제1 두께로 형성하고, 제2 버퍼층(222)은 2700Å 내지 3300Å의 제2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buffer layer 2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In one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 220 is formed of silicon nitride (SiNx)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is formed of silicon oxide (SiOx) having a second thickness thicker than the first buffer layer 220 . can do. For example, the first buffer layer 220 may be formed to a first thickness of 1000 Å to 1500 Å,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may be formed to a second thickness of 2700 Å to 3300 Å.

여기서 제1 버퍼층(220)은 500Å 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노드 하부 전극(2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버퍼층(220)이 500Å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면, 이후 공정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1 버퍼층(220)이 제거되어 스토리지노드 하부 전극(210)의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그러면 이후 형성될 스토리지노드 상부 전극과 스토리지노드 하부 전극(210) 사이에 단락(short)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500Å 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buffer layer 220 is formed to a thickness greater than 500 Å. For example, if the first buffer layer 220 positioned above the lower electrode 210 of the storage node is formed to a thickness less than 500 Å, the first buffer layer 220 is removed in the course of subsequent processing steps to form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node. A surface of the electrode 210 may be exposed. Then, since a short may occur between the upper electrode of the storage node and the lower electrode 210 of the storage node to be formed later, the thickness of the storage node is preferably greater than 500 Å.

제2 버퍼층(222) 상에는 액티브층(225)이 위치한다. 액티브층(225)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층(225)은 인듐 갈륨 징크 옥사이드(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계 및 인듐 징크 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계 등의 산화물 반도체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액티브층(225)을 형성하 수 있다.An active layer 225 is positioned on the second buffer layer 222 . The active layer 22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morphous silicon, polycrystalline silicon, or an oxide semiconductor. For example, the active layer 22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xide semiconductor materials such as 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 and indium zinc oxide (IZO). In addition, the active layer 225 may be formed of another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known in the art.

도 6을 참조하면, 액티브층(225)이 형성된 기판(200)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230)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230)은 실리콘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gate insulating layer 230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200 on which the active layer 225 is formed.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다음에 게이트 절연막(230)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한다. 계속해서 하프톤 마스크를 통해 포토레지스트막 상에 선택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노광 공정 및 노광 공정에 의해 변성된 포토레지스트막을 제거하는 현상 공정을 진행한다. 그러면 게이트 절연막(230)의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포토레지스트막이 모두 제거된 복수의 오픈 영역(234, 236, 238, 240) 및 게이트 절연막(230) 위에 포토레지스트막이 잔류하는 하프톤 영역(242)이 구비된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이 형성된다. 일 예에서, 하프톤 영역(242)이 배치된 부분은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이 형성된 캐패시터 영역(V-V')이다.Next, a photoresist film is appli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230 . Subsequently, an exposure process of selectively irradiating light onto the photoresist film through a halftone mask and a development process of removing the photoresist film modified by the exposure process are performed. Then, the plurality of open regions 234 , 236 , 238 , and 240 from which the photoresist layer is completely removed to expose the surface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and the halftone region 242 where the photoresist layer remains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are formed. The provided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 is formed. In one example, the portion where the halftone region 242 is disposed is a capacitor region V−V′ where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is formed.

도 7을 참조하면,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을 이용하여 1차 패터닝 공정을 진행한다. 1차 패터닝 공정은 습식 식각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의 복수의 오픈 영역(234, 236, 238, 240)에 의해 표면이 노출된 게이트 절연막(230)이 식각되어 복수의 GI홀(244, 246, 248, 250)이 형성된다. 일 예에서, 1차 패터닝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GI홀(244, 246, 248, 250)은 이후 차광 컨택홀, 소스 컨택홀, 드레인 컨택홀, 데이터 컨택홀이 형성될 영역의 위치를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하프톤 영역(242)은 초기 깊이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게 형성되지만, 하부의 게이트 절연막(230)은 노출되지 않고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이 잔류한다.Referring to FIG. 7 , a first pattern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 . The first patter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 wet etching method. Then, the gate insulating film 230 whose surface is exposed by the plurality of open regions 234, 236, 238, and 240 of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 is etched to form a plurality of GI holes 244, 246, 248, and 250. is formed In one example, the plurality of GI holes 244, 246, 248, and 250 formed in the first patterning process serve to align positions of regions where light blocking contact holes, source contact holes, drain contact holes, and data contact holes are to be formed. do Here, the halftone region 242 is formed to have a depth greater than the initial depth, but the lower gate insulating layer 230 is not exposed and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 remains.

제1 GI홀(244)은 게이트 절연막(230)의 노출면을 모두 식각하고 제2 버퍼층(222)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GI홀(246), 제3 GI홀(248) 및 제4 GI홀(250)에는 게이트 절연막(230)의 노출면을 모두 식각하고 액티브층(225)이 노출되는 노출 영역(e1, e2, e3)이 발생한다.The first GI hole 244 may be formed by etching the entire exposed surface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and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buffer layer 222 . In the second GI hole 246, the third GI hole 248, and the fourth GI hole 250, all exposed surfaces of the gate insulating film 230 are etched and the active layer 225 is exposed. , e3) occurs.

도 8을 참조하면,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의 두께 일부를 제거하는 1차 애싱(ashing) 공정을 진행한다. 1차 애싱 공정은 산소(O2)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1차 애싱 공정을 진행하면 캐패시터 영역(V-V')의 하프톤 영역(242)에 잔류하는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이 제거되어 게이트 절연막(230)의 표면이 노출된다. 1차 애싱 공정을 진행하고 남아 있는 잔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은 초기 도포하여 형성된 상부면(i1)의 위치로부터 낮아진 위치에 상부면(i2)이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8 , a first ashing process of removing a part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 is performed. The primary 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oxygen (O 2 ) plasma. When the primary ashing process is performed,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 remaining in the halftone region 242 of the capacitor region V-V′ is removed to expose the surface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The upper surface i2 of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remaining after the first ashing process is lowered from the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i1 formed by the initial application.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잔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을 식각마스크로 한 2차 패터닝 공정을 진행한다. 여기서 도 9b는 도 9a의 A부분을 평면에서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이하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b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액티브층(225) 상부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막(230) 및 잔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S. 9A and 9B , a secondary pattern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as an etch mask. Here, FIG. 9B is a view showing part A of FIG. 9A on a plan view. Hereinafter,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FIG. 9B , for ease of explanation,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disposed on the active layer 225 and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are omitted.

2차 패터닝 공정은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건식 식각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플라즈마 처리는 헬륨(He), 수소(H2) 또는 아르곤(Ar) 가스에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진행할 수 있다. 2차 패터닝 공정을 진행하면 제1 GI홀(244, 도 8 참조)의 바닥면의 제2 버퍼층(222)이 제거되어 노출된 제1 버퍼층(220)까지 식각되어 광차단층(205)의 표면이 노출되는 차광 컨택홀(254)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ary patter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 dry etching method such as plasma treatment. In one example, the plasma treatment may proceed by generating a plasma discharge in helium (He), hydrogen (H2), or argon (Ar) gas. When the secondary patterning process is performe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I hole 244 (see FIG. 8) is removed and etched to the exposed first buffer layer 220 so that the surfac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205 is formed. An exposed light blocking contact hole 254 may be formed.

또한, 제2 GI홀(246), 제3 GI홀(248) 및 제4 GI홀(250)에 의해 액티브층(225)이 노출되는 노출 영역(e1, e2, e3)에서는 건식 식각 공정에 의해 1차 도체화하여 최초 도체화 영역(225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층(225)을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하는 경우, 산소의 함유량에 따라 전도 특성이 달라지게 되며, 플라즈마 처리를 진행하면 산화물 반도체 내의 산소 함유량이 감소되어 산화물 반도체의 저항이 낮아지면서 도체화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posure regions e1, e2, and e3 where the active layer 225 is exposed by the second GI hole 246, the third GI hole 248, and the fourth GI hole 250, a dry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The first conductor region 225a may be formed by primary conductorization. For example, when the active layer 225 is formed of an oxide semiconductor, conduction characteristics vary depending on the content of oxygen, and when the plasma treatment is performed, the oxygen content in the oxide semiconductor is reduced and the resistance of the oxide semiconductor is lowered,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resistance of the oxide semiconductor. can get angry

도 9b를 참조하면, 2차 패터닝 과정에서 형성된 최초 도체화 영역(225a)은 제1 가로폭(W1) 및 제1 세로폭(L1)을 가지며, 액티브층(225)으로 주변이 둘러싸여 있어 고립된 아일랜드(isla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9B , the first conductive region 225a formed in the secondary patterning process has a first horizontal width W1 and a first vertical width L1, and is surrounded by an active layer 225 to be isolated. It may have an island shape.

한편, 1차 도체화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액티브층(225)의 최초 도체화 영역(225a)은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h1)만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손실된 두께(h1)만큼 도체화되지 않은 액티브층(225)의 측면부 일부(S)가 노출된다. 그러나 최초 도체화 영역(225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액티브층(225)은 게이트 절연막(230) 및 잔여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으로 덮여 있음에 따라, 액티브층(225)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 loss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region 225a of the active layer 225 forme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primary conductor may occur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h1. A part of the side surface S of the active layer 225 that is not conductive by the loss of thickness h1 is exposed. However, sinc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active layer 225 except for the first conductive region 225a is covered with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and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no loss of the active layer 225 occurs. don't

또한, 캐패시터 영역(V-V')영역에서는 1차 애싱 공정에 의해 표면이 노출되어 있던 게이트 절연막(230)은 건식 식각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모두 식각되고, 제2 버퍼층(222)이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식각되어 제2 버퍼층(222) 내부에 바닥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트렌치(256)가 형성된다. 여기서 캐패시터 영역(V-V')의 제2 버퍼층(222)은 모두 제거되지 않고,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상부에 일부 잔류한다.In addition, in the capacitor region (V-V′) region, the gate insulating film 230, the surface of which was exposed by the primary ashing process, is all etched during the dry etching process, an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is removed from the surface. Etched by a predetermined depth, a trench 256 is formed in the second buffer layer 222, the width of whic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Here, all of the second buffer layer 222 in the capacitor region V-V′ is not removed, and a portion of the second buffer layer 222 remains on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잔류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을 식각마스크로 3차 패터닝 공정을 진행한다. 3차 패터닝 공정은 습식 식각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습식 식각 방식은 불화암모늄(NH4F) 용액 및 불화수소(HF) 용액을 혼합한 BOE(buffered oxide etchant) 용액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BOE 용액은 실리콘 산화물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A and 10B , a third pattern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residual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as an etch mask. The tertiary patter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 wet etching method. In one example, the wet etching method may be performed using a buffered oxide etchant (BOE) solution in which an ammonium fluoride (NH 4 F) solution and a hydrogen fluoride (HF) solution are mixed. The BOE solution can selectively etch silicon oxide.

3차 패터닝 공정을 진행하면 캐패시터 영역(V-V')에서는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 상부에 일부 잔류하고 있는 제2 버퍼층(222, 도 9a 참조)이 제거되어 제1 버퍼층(220)이 노출되는 스토리지 컨택홀(257)이 형성된다. 3차 패터닝 과정에서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진 제1 버퍼층(220)이 BOE 용액의 식각 정지막 역할을 함에 따라, 식각을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리지 컨택홀(257)은 제1 버퍼층(220)이 노출되는 바닥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tapered) 경사를 가진다.When the tertiary patterning process is performed, the second buffer layer 222 (see FIG. 9A) partially remain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is removed in the capacitor region V-V′, and the first buffer layer 220 is exposed. A storage contact hole 257 is formed. In the tertiary patterning process, as the first buffer layer 220 made of silicon nitride serves as an etch stop film for the BOE solution, etching can proceed uniformly. Here, the storage contact hole 257 is tapered and inclined towards the bottom where the first buffer layer 220 is exposed.

여기서 제1 버퍼층(220)은 실리콘 산화물(SiOx)로 이루어진 제2 버퍼층(222)보다 상대적으로 식각 속도가 느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SiNx)을 포함하여 형성됨에 따라 BOE 용액을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에서 하부의 스토리지노드 하부 전극(21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since the first buffer layer 220 is formed by including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lower etching rate than the second buffer layer 222 made of silicon oxide (SiOx), for example, silicon nitride (SiNx), wet etching using a BOE solution In the process, the lower electrode 210 of the storage node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도 9a의 제2 GI홀(246), 제3 GI홀(248) 및 제4 GI홀(250)에 의해 액티브층(225)이 노출되어 있던 노출 영역(e1, e2, e3)에서는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도체화 영역(225a)이 BOE 용액에 의해 모두 제거된다. 또한, 최초 도체화 영역(225a)이 제거되고 노출된 제2 버퍼층(222)도 표면으로부터 식각됨에 따라 제2 버퍼층(222) 내에 복수의 컨택홀(260, 262, 264)이 형성된다. 컨택홀(260, 262, 264)은 소스/드레인 컨택홀(260, 262) 및 데이터 컨택홀(264)을 포함한다. In the exposure regions e1, e2, and e3 where the active layer 225 is exposed by the second GI hole 246, the third GI hole 248, and the fourth GI hole 250 of FIG. 9A, in FIG. 10A As shown, the first conductive area 225a is completely removed by the BOE solution. In addition, as the first conductive region 225a is removed and the exposed second buffer layer 222 is also etched from the surface, a plurality of contact holes 260 , 262 , and 264 are formed in the second buffer layer 222 . The contact holes 260 , 262 , and 264 include source/drain contact holes 260 and 262 and data contact holes 264 .

3차 패터닝 공정에서 BOE 용액에 노출된 게이트 절연막(230) 및 액티브층(225)은 측면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 두께(r1)만큼 리세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도체화 과정에 의해 액티브층(225)의 측면부의 일부분(S)이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분(S)을 통해 BOE 용액이 침투하여 액티브층(225)의 손실을 유발함에 따라, 액티브층(225)이 측면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In the tertiary patterning process,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and the active layer 225 exposed to the BOE solution may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r1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side surface. Specifically, a portion (S) of the side surface of the active layer 225 is exposed by the primary conductorization process, and the BOE solution penetrates through this portion (S) to cause loss of the active layer 225. , the active layer 225 may be recessed inward from the side surface.

다시 도 10b를 참조하면, 최초 도체화 영역(225a)이 제거되어 형성된 컨택홀들(260, 262, 264) 각각은 액티브층(225)으로 둘러싸여 고립된 아일랜드(islan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컨택홀들(260, 262, 264) 각각은 최초 도체화 영역(225a)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 두께(r1)만큼 리세스됨에 따라 제1 가로폭(W1) 및 제1 세로폭(L1)보다 넓은 제2 가로폭(W2) 및 제2 세로폭(L2)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잔류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은 BOE 용액에 의해 제거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손실되지 않고 남아 있음에 따라, 언더컷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0B , each of the contact holes 260 , 262 , and 264 formed by removing the first conductive region 225a may have an isolated island shape surrounded by the active layer 225 . Here, each of the contact holes 260, 262, and 264 is recessed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r1 in an in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conductive region 225a, so that the first horizontal width W1 and the first vertical width L1 are smaller than each other. It may be formed to have a wide second horizontal width W2 and a wide second vertical width L2. In addition, the residual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may have an undercut shape as it is not removed by the BOE solution or remains without loss.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기판(200) 상에 2차 애싱 공정을 진행한다. 2차 애싱 공정은 산소(O2) 가스, 육불화황(SF6) 가스 및 사불화탄소(CF4) 가스를 포함하는 식각 가스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 a secondary ash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substrate 200 . The secondary 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n etching gas including oxygen (O2) gas, sulfur hexafluoride (SF 6 ) gas, and carbon tetrafluoride (CF 4 ) gas.

2차 애싱 공정에 의해 잔류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의 폭이 감소되고, 이와 함께 잔류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 하부의 게이트 절연막(230)의 끝단부가 내측 방향으로 소정 폭(r2)만큼 리세스된다. 그러면 게이트 절연막(230)의 끝단부가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폭(r2)만큼 액티브층의 말단부(tip, 225t)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2차 애싱 공정에서 노출된 액티브층의 말단부(225t)도 함께 애싱되어 최초 형성된 액티브층의 두께와 대비하여 약 20% 낮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he width of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is reduced by the secondary ashing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the end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under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has a predetermined width r2 in the inward direction. Recessed as much as Then, the surface of the tip 225t of the active layer may be exposed by a width r2 in which the end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is recessed inward. In addition, the end portion 225t of the active layer exposed in the secondary ashing process may also be ashed to have a thickness about 20% 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ctive layer.

다시 도 11b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막(230) 및 잔류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은 노출된 액티브층의 말단부(225t)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액티브층(225)을 덮고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층의 말단부(225t)는 내측에 컨택홀(260, 262, 264)이 배치된 형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액티브층(225)의 말단부는 컨택홀(260, 262, 264) 각각의 모서리 상부를 평면에서 바라볼 때 링 형상으로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1B ,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and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cover the active layer 225 except for the exposed end portion 225t of the active layer. According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stal end 225t of the active layer appears in a shape in which the contact holes 260, 262, and 264 are disposed. That is, the distal end of the active layer 225 may be formed to surround upper corners of each of the contact holes 260 , 262 , and 264 in a ring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액티브층의 말단부(225t) 상에 2차 도체화 공정을 수행하여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 및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8)을 형성한다. 2차 도체화 공정은 불순물 이온을 공급하는 이온주입공정 방법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12A and 12B, a second conductorization process is performed on the end portion 225t of the active layer exposed to the outside to form a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and a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8. form The secondary conductoriz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n ion implantation process method for supplying impurity ions or plasma treatment.

예를 들어, 불순물 이온을 공급하는 이온주입공정은 보론(Boron) 이온 또는 포스포러스(Phosphorus) 이온을 노출되어 있는 액티브층의 말단부(225t) 상에 주입함으로써 이 부분을 도체화 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플라즈마 처리는 불순물 이온을 플라즈마화시켜 액티브층의 말단부(225t) 상에 플라즈마화된 이온을 공급하여 진행할 수 있다. 2차 도체화 공정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액티브층의 말단부(225t)만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브층(225)의 노출되지 않은 다른 부분은 2차 도체화 공정을 진행하는 동안 게이트 절연막(230) 및 잔류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으로 덮여있음에 따라 도체화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an ion implantation process for supplying impurity ions, boron ions or phosphorus ions are implanted onto the exposed end portion 225t of the active layer to make the portion conductive. In another example, the plasma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converting impurity ions into plasma and supplying the plasma-generated ions to the end portion 225t of the active layer. The secondary conductorization process may selectively proceed only to the end portion 225t of the active layer exposed to the outside. Here, other non-exposed portions of the active layer 225 are not conductive because they are covered with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and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during the secondary conductorization process.

다시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은 각각의 컨택홀(260, 262, 264)이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의 내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컨택홀(260, 262, 264) 각각의 모서리 상부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체화 영역(225b)의 외측은 게이트 절연막(230) 및 잔류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이 적층된 구조로 둘러싸여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2B ,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has contact holes 260 , 262 , and 264 dispo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 (260, 262, 264)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upper part of each corner. In addition, the outside of the first conductive region 225b is surrounded by a structure in which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and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are stacked.

도 13을 참조하면, 스트립(strip) 공정을 진행하여 잔류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232a)을 제거한다. 계속해서 스트립 공정으로 표면이 노출된 게이트 절연막(230)을 포함하는 기판(200) 상면에 게이트 금속층(265)을 형성한다. 게이트 금속층(265)은 제1 게이트 금속층(261) 및 제2 게이트 금속층(263)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금속층(265)은 패드 영역(I-I'), 캐패시터 영역(V-V') 및 배선 영역(VI-VI')까지 연장하여 기판(200)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 strip process is performed to remove the remaining first photoresist pattern 232a. Subsequently, a gate metal layer 26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00 including the gate insulating layer 230 whose surface is exposed through the strip process. The gate metal layer 265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gate metal layer 261 and a second gate metal layer 263 are stacked. The gate metal layer 265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200 to extend to the pad region I-I', the capacitor region V-V', and the wiring region VI-VI'.

일 예에서, 제1 게이트 금속층(261) 및 제2 게이트 금속층(263)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또는 구리(Cu)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one example, the first gate metal layer 261 and the second gate metal layer 263 may be made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It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made of any on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eodymium (Nd) or copper (Cu) or an alloy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포토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게이트 금속층(265, 도 13a 참조)을 패터닝함으로써, 게이트 전극(264), 소스 전극(266), 드레인 전극(268),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 및 패드 전극(274)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식각 공정은 건식 식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64), 소스 전극(266), 드레인 전극(268),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 및 패드 전극(274)은 동일한 게이트 금속층(265)을 패터닝하여 형성함에 따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동일한 층(layer)에 형성될 수 있다.14A and 14B, the gate electrode 264, the source electrode 266, and the drain electrode 268 are patterned by patterning the gate metal layer 265 (see FIG. 13A) through a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using a photo mask. ), the storage upper electrode 272 and the pad electrode 274 may be formed. Here, the etching process may proceed with dry etching. The gate electrode 264, the source electrode 266, the drain electrode 268, the upper storage electrode 272, and the pad electrode 274 are formed by patterning the same gate metal layer 265, and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can be formed on the same layer.

일 예에서, 게이트 전극(264)을 형성하기 위해 건식 식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3차 도체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264)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게이트 전극(264)과 중첩하는 부분에는 게이트 절연막(230)이 남고, 액티브층(225) 가운데 게이트 전극(264)이 덮여 있지 않은 영역은 게이트 절연막(230)도 함께 제거되어 액티브층(225)의 표면이 노출된다. 건식 식각에서 적용되는 식각 가스는 노출된 액티브층(225)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식각 가스와 접촉된 액티브층(225)의 표면 부분에 대한 선택적 도체화가 이루어져 제2 소스 도체화 영역(227) 및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229)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tertiary conductorization may be performed during dry etching to form the gate electrode 264 .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gate electrode 264, the gate insulating film 230 remains at a portion overlapping the gate electrode 264, and the region of the active layer 225 that is not covered by the gate electrode 264 is the gate. The insulating layer 230 is also removed to expose the surface of the active layer 225 . In dry etching, the etching gas applie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xposed surface of the active layer 225 . Then, selective conduction is performed 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active layer 225 that is in contact with the etching gas, so that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227 and the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229 may be formed.

여기서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에서 소스 전극(266)으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은 도체화 과정에서 노출된 액티브층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8) 가운데 드레인 전극(268)으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은 도체화 과정에서 노출된 액티브층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portion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not covered by the source electrode 266, loss of the exposed active layer may occur during the conduction process. Also, a portion of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8 that is not covered with the drain electrode 268 may lose an active layer exposed during the conduction process.

이에 따라,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은 소스 전극(266)과 면접촉하고 있는 제1 부분 및 소스 전극(266)으로 덮여 있지 않은 제2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9)은 드레인 전극(268)과 면접촉하고 있는 제1 부분 및 드레인 전극(268)으로 덮여 있지 않은 제2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may include a first portion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ource electrode 266 and a second portion not covered by the source electrode 266 . Also,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9 may include a first portion in surface contact with the drain electrode 268 and a second portion not covered by the drain electrode 268 .

여기서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 및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9) 각각의 제2 부분은 제1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상부면이 위치한다. 일 예에서,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 및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9) 각각의 제2 부분은 상술한 2차 애싱 공정에서 남아 있던 두께와 대비하여 약 40% 낮은 두께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 및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9) 각각의 제2 부분은 최초 형성된 액티브층의 두께와 대비하여 약 40% 낮은 두께를 가진다.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and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9 is loca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In one example, the second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and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9 has a thickness that is about 40% lower than the thickness remaining in the secondary ashing process. Accordingly, the second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and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9 has a thickness about 40%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active layer.

다른 예에서는, 게이트 전극(264)을 형성한 이후에, 노출된 액티브층(225)의 표면 상에 이온 주입에 의한 도핑을 진행하여 제2 소스 도체화 영역(227) 및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229)을 형성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fter forming the gate electrode 264, doping by ion implantation is perform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active layer 225 to form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227 and the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227. (229) can be formed.

이러한 도체화 과정에 의해 제2 소스 도체화 영역(227) 및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229)이 형성되지 않은 게이트 전극(264) 하부의 액티브층(225)에는 채널 영역(CH)이 배치될 수 있다.A channel region CH is disposed in the active layer 225 under the gate electrode 264 on which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227 and the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229 are not formed by this conducting process. can

따라서, 박막트랜지스터 영역(III-III')에는 액티브층(225), 게이트 전극(264), 소스 전극(266), 드레인 전극(268) 및 소스 전극(266)과 드레인 전극(268) 사이에 위치한 채널 영역(CH)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다.Therefore, in the thin film transistor region III-III', the active layer 225, the gate electrode 264, the source electrode 266, the drain electrode 268, and the source electrode 266 and the drain electrode 268 are disposed. A thin film transistor (TFT) including a channel region (CH) is formed.

여기서 소스 전극(266)은 하부에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과 면접촉하고 소스 컨택홀(262)을 일부 채우게 형성된다. 또한, 드레인 전극(268)은 하부에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229)과 면접촉하고 드레인 컨택홀(260)을 일부 채우게 형성된다. 그러면 A 부분을 평면에서 바라볼 때,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 컨택홀(262)을 둘러싸는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이 제2 소스 도체화 영역(2257)과 면 접촉으로 접촉 포인트(CP)가 발생한다. 그리고 전류 경로(Ci) 또한 이 접촉 포인트(CP)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이 제2 소스 도체화 영역(2257)과 면 접촉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스 전극(266)과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소스 전극(266)은 제1 소스 도체화 영역(226)에서 일 측면의 노출면을 덮으면서 위치한다. 이는 드레인 전극(268)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Here, the source electrode 266 is form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and partially fills the source contact hole 262 . In addition, the drain electrode 268 is form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9 and partially fills the drain contact hole 260 . Then, when part A is viewed from a plane, as shown in FIG. 3C,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surrounding the source contact hole 262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2257. A contact point (CP) occurs. And the current path (C i ) is also made through this contact point (CP). That is, since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2257, it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266. In addition, the source electrode 266 is positioned while covering an exposed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6 . This can also be applied to the drain electrode 268 in the same way.

캐패시터 영역(V-V')에는 스토리지 컨택홀(257)을 채우는 스토리지노드 상부 전극(272)이 형성됨에 따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형성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1 버퍼층(220)을 유전체층으로 하여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과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이 제1 버퍼층(220)의 상, 하부에 중첩하여 배치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 상부 전극(272)은 스토리지 컨택홀(257)을 모두 채우고 제2 버퍼층(222)의 상부면을 일부 덮도록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리지노드 상부 전극(272)의 바닥부는 제1 버퍼층(220)과 접촉하고, 측면부는 제2 버퍼층(220)과 접촉하는 형상을 가진다.As the storage node upper electrode 272 filling the storage contact hole 257 is formed in the capacitor region V-V′,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formed. 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and the upper storage electrode 272 on and under the first buffer layer 220 using the first buffer layer 220 as a dielectric layer. The storage node upper electrode 272 may be formed by extending to partiall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ffer layer 222 after fully filling the storage contact hole 257 . Accordingly,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node upper electrode 272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uffer layer 220 and the sid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buffer layer 220 .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전압을 충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torage capacitor Cst serves to maintain light emiss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charging a voltage and supplying a current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이때,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유전체로 제1 버퍼층(220)의 단일층을 도입하고 있다. 제1 버퍼층(220)은 실리콘질화물(SiNx)로 구성되며, 1000Å 내지 1500Å의 제1 두께로 이루어진다. 실리콘질화물(SiNx)의 유전율은 약 6.9임에 따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정전용량 값은 0.0069*상수 값을 가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storage capacitor Cs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uses a single layer of the first buffer layer 220 as a dielectric. The first buffer layer 220 is made of silicon nitride (SiNx) and has a first thickness of 1000 Å to 1500 Å. Since the permittivity of silicon nitride (SiNx) is about 6.9,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has a constant value of 0.0069*.

또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보인 도14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캐패시터(Cs)는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의 바닥부에서는 제1 버퍼층(220)과 접촉하여 스토리지 하부 전극(210)과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 사이에 제1 버퍼층(220)을 매개로 메인 캐패시터(c1)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스토리지노드 상부 전극(272)의 양측면부는 제2 버퍼층(220)과 접촉하여 스토리지노드 하부 전극(210)과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 사이에 제2 버퍼층(222)를 매개로 보조 캐패시터(c2, c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평판형상을 가지는 메인 캐패시터(c1) 이외에도 보조 캐패시터(c2, c3)가 형성됨에 따라, 보조 캐패시터 용량이 메인 캐패시터 용량에 추가되어 총 캐패시터 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 14B showing an enlarged portion B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the storage capacitor C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 first buffer layer ( 220), the main capacitor c1 is formed between the storage lower electrode 210 and the storage upper electrode 272 with the first buffer layer 220 as a medium. In addi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torage node upper electrode 272 contact the second buffer layer 220 so that an auxiliary capacitor ( c2, c3) are formed. Accordingly, as the auxiliary capacitors c2 and c3 are formed in addition to the main capacitor c1 having a flat plate shape, the auxiliary capacitor capacitance is added to the main capacitor capacitance, so that the total capacitor capacitance may increase.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유전체로 제1 버퍼층(120) 및 제2 버퍼층(122)의 이중층을 도입하고 있다. 여기서 제1 버퍼층(120)은 실리콘질화물로 이루어지고 제2 버퍼층(122)은 실리콘산화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리콘질화물의 유전율은 약 6.9인 반면, 실리콘산화물의 유전율은 약 3.9이다. 또한, 제1 버퍼층(120)은 1000Å 내지 1500Å의 제1 두께를 가지게 형성하고, 제2 버퍼층(12)은 2700Å 내지 3300Å의 제2 두께를 가지게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캐패시터 용량은 0.0011*상수 값을 가지게 된다.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ouble layer of the first buffer layer 120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is introduced as a dielectric. Here, the first buffer layer 120 is made of silicon nitride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2 is made of silicon oxide. Here, the dielectric constant of silicon nitride is about 6.9, whereas the dielectric constant of silicon oxide is about 3.9. In addition, the first buffer layer 120 is formed to have a first thickness of 1000 Å to 1500 Å,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2 is formed to have a second thickness of 2700 Å to 3300 Å. Accordingly, the capacitor capacity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constant value of 0.0011*.

즉, 유전체로 제1 버퍼층(220)의 단일층으로 도입한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캐패시터 용량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보다 약 6배 이상 증가된 캐패시터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전체로 제1 버퍼층(220)의 단일층으로 도입하는 경우, 제1 버퍼층 및 제2 버퍼층의 이중층으로 도입하는 경우보다, 발광 소자의 발광을 상대적으로 오래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capacitor capacity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troduced as a single layer of the first buffer layer 220 as a dielectric is about 6 times or more than that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 increased capacitor capacity can be secured. Accordingly, when the dielectric is introduced as a single layer of the first buffer layer 220,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maintained for a relatively longer time than when the dielectric is introduced as a double layer of the first buffer layer and the second buffer layer.

도 15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264), 소스 전극(266), 드레인 전극(268) 및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이 형성된 기판(200) 상에 층간 절연막(276) 및 평탄화막(282)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276)은 게이트 전극(264), 소스 전극(266), 드레인 전극(268), 액티브층(225) 및 스토리지 상부 전극(272)의 표면을 모두 덮을 수 있는 충분한 두께로 형성한다. 여기서 패드 전극(274)이 형성된 패드 영역(I-I')에는 층간 절연막(276) 및 평탄화막(282)이 형성되지 않는다. 층간 절연막(276)은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화물(SiOx)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276 and a planarization film 282 are formed on the substrate 200 on which the gate electrode 264, the source electrode 266, the drain electrode 268, and the upper storage electrode 272 are formed. form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76 is formed to a thickness sufficient to cover all surfaces of the gate electrode 264, the source electrode 266, the drain electrode 268, the active layer 225, and the storage upper electrode 272. Here,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76 and the planarization film 282 are not formed in the pad region II' where the pad electrode 274 is forme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76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ide (SiOx).

다음에 층간 절연막(276) 상에는 컬러 필터(280)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층간 절연막(280) 상에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안료를 도포하고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발광 영역에 대응하도록 컬러 필터(280)를 형성한다. 컬러 필터(280)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마스크 공정은 3회의 마스크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Next, a color filter 280 is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76 . To this end, red (R), green (G), and blue (B) pigments are appli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80, and a mask process is performed to form a color filter 280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When the color filter 280 is made of red (R), green (G), and blue (B) colors, the mask process may require three mask processes.

컬러 필터(280)가 배치된 층간 절연막(276) 상에는 평탄화막(282)이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막(282)은 하부의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기판(200) 상의 표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지게 형성할 수 있다. 평탄화막(282)은 아크릴 수지와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평탄화막(282) 및 층간 절연막(280)을 패터닝하여 드레인 전극(268)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화소 컨택홀(284)을 형성한다. A planarization layer 282 may be dispos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76 on which the color filter 280 is disposed. The planarization layer 282 may be formed to have a sufficient thickness to planarize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00 while serving to protect underlying devices. The planarization layer 282 may be formed by coating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crylic resin. Next, a pixel contact hole 284 exposing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drain electrode 268 is formed by patterning the planarization layer 282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80 .

도 16을 참조하면, 평탄화막(282) 위에 제1 전극(286)을 형성한다. 제1 전극(286)은 화소 컨택홀(284)에 노출된 드레인 전극(268)을 통해 게이트 전극(26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286)은 인듐-주석-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또는 인듐-아연-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금속 산화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86)은 애노드 전극 또는 화소 전극으로도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286)은 패드 영역(I-I')까지 연장하여 패드 전극(274)의 노출면을 덮어 패드 전극(274)의 부식을 방지하는 패드 커버 전극(288)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a first electrode 286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82 . The first electrode 28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264 through the drain electrode 268 exposed through the pixel contact hole 284 . The first electrode 286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etal oxid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The first electrode 286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anode electrode or a pixel electrode. Here, the first electrode 286 may be formed as a pad cover electrode 288 that extends to the pad region II′ and covers the exposed surface of the pad electrode 274 to prevent corrosion of the pad electrode 274. .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전극(286)이 형성된 평탄화막(282) 상에 뱅크 홀(292)이 구비된 뱅크(290)를 형성한다. 뱅크(290)는 뱅크 홀(292)을 통해 제1 전극(286)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면서 나머지 부분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 a bank 290 having a bank hole 292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82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286 is formed. The bank 290 may be formed to cover a remaining portion while exposing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286 through the bank hole 292 .

이를 위해, 평탄화막(282)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절연막 상에 패터닝 공정을 진행하여 뱅크 홀(292)을 형성한다. 뱅크(290)는 화소가 형성될 영역의 발광 영역(294)을 정의하는 경계 영역으로 각각의 서브 화소들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뱅크(290)는 인접하는 화소의 다른 컬러의 광이 서로 혼합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 역할을 한다. 뱅크(290)는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화물(SiOx)등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 또는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유기 절연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82 and a pattern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to form the bank hole 292 . The bank 290 is a boundary region defining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of the region where pixels are to be formed, and serves to divide each sub-pixel. In addition, the bank 290 serves as a barrier to prevent light of different colors from adjacent pixels from being mixed and output. The bank 290 may be formed using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ide (SiOx)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imide.

뱅크(290)는 패드 커버 전극(288)으로 덮여 있는 패드 전극(274)을 노출하게 패드 영역(I-I')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The bank 290 may be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pad area II′ to expose the pad electrode 274 covered by the pad cover electrode 288 .

도 18을 참조하면, 뱅크(290)에 의해 정의된 발광 영역(294) 상에 유기 발광층(298) 및 제2 전극(30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 전극(286), 유기 발광층(298) 및 제2 전극(300)으로 구성된 유기발광소자(OLED)가 구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298) 및 제2 전극(300)은 패드 영역(I-I')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98 and a second electrode 300 are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region 294 defined by the bank 290 . According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286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98 and the second electrode 300 may be configur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98 and the second electrode 300 may be formed in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pad area I-I'.

유기 발광층(298)은 뱅크 홀(292)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286)과 직접 접속하게 형성한다. 일 예에서, 유기 발광층(298)은 제1 전극(286)의 노출면을 따라 뱅크(290)의 상부면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유기 발광층(298)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며, 컬러 필터(280)에 의해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The organic emission layer 298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286 exposed through the bank hole 292 . In one example, the organic emission layer 298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 290 alo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286 . In one examp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98 is made of an organic material that emits white light, and can display colors by the color filter 280 .

유기 발광층(298)은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공수송층(HTL), 발광층(EML) 및 전자수송층(ETL)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정공수송층(HTL), 발광층(EML) 및 전자수송층(ETL)과 함께, 정공차단층(HBL), 정공주입층(HIL), 전자 차단층(EBL) 및 전자 주입층(EIL)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rganic emission layer 298 may include a stacked structure of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a hole transport layer (HTL), a light emitting layer (EML)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together with a hole blocking layer (HBL), a hole injection layer (HIL), an electron blocking layer (EB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제2 전극(300)은 유기 발광층(298)과 접속되어 유기 발광층(298)의 노출면을 모두 덮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300)은 표시영역 상에서 인접하는 화소들과 공통적으로 접촉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300)은 캐소드 전극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98 to cover the entire exposed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98 . The second electrode 300 may be formed as a common electrode that commonly contacts adjacent pixels on the display area and applies a voltage thereto. The second electrode 30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athode electrode.

일 예에서, 제2 전극(30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또는 인듐-아연-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금속 산화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전극(300)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은(Ag) 또는 알루미늄(Al) 및 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합금으로 구성된 반투과 금속 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3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etal oxid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Alternatively, the second electrode 300 may be formed of a translucent metal material composed of molybdenum (Mo), tungsten (W), silver (Ag) or aluminum (Al) and an alloy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m.

이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면적을 축소시켜 발광 영역의 면적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전체 정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구성하는 유전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스토리지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켜 개개의 화소에서 동일한 휘도로 구현하기 위한 전류의 소비는 감소시킴으로써 유기발광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액티브층에 링 형상의 컨택 구조를 도입하여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액티브층 사이를 면과 면으로 접속시켜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rea occupied by the storage capacitor may be reduced to increase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and the total capacitance of the storage capacitor. In addition, capacitance of the storage capacitor may be increased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dielectric constituting the storage capacitor. In addition, the life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required to realize the same luminance in individual pixels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In addition, by introducing a ring-shaped contact structure into the active layer,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connecting the source electrode or drain electrode and the active layer by plane-to-plane connection.

10, 20: 표시장치 100, 200: 기판
105, 205: 광차단층 110, 210: 스토리지 하부 전극
115, 215: 배선 전극 120, 220: 제1 버퍼층
122, 222: 제2 버퍼층 125, 225: 액티브층
130, 230: 액티브층 226: 제1 소스 도체화 영역
227: 제2 소스 도체화 영역 228: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
229: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 Cst: 스토리지 캐패시터
272: 스토리지 상부 전극 180, 280: 컬러 필터
186, 286: 제1 전극 190, 290: 뱅크
198, 298: 유기 발광층 199, 300: 제2 전극
10, 20: display device 100, 200: substrate
105, 205: light blocking layer 110, 210: storage lower electrode
115, 215: wiring electrode 120, 220: first buffer layer
122, 222: second buffer layer 125, 225: active layer
130, 230: active layer 226: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227: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228: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229: second drain conductor area Cst: storage capacitor
272: storage upper electrode 180, 280: color filter
186, 286: first electrode 190, 290: bank
198, 298: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99, 300: second electrode

Claims (22)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에 위치하고, 채널 영역, 상기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액티브층;
상기 액티브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영역은 상기 소스 영역을 관통하는 소스 컨택홀 및 상기 소스 컨택홀을 둘러싸는 제1 소스 도체화 영역 및 제2 소스 도체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드레인 영역을 관통하는 드레인 컨택홀 및 상기 드레인 컨택홀을 둘러싸는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 및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Board;
a buffer layer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n active layer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and including a channel region, a source region disposed with the channel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drain region;
a gate electrode positioned on the active layer;
a source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and
a drai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region; including,
The source region includes a source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source region and a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a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surrounding the source contact hole;
The drain region includes a drain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drain region and a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and a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surrounding the drain contac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은 각각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 및 상기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의 노출된 면과 면접촉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xposed surfaces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컨택홀 또는 드레인 컨택홀은 상기 버퍼층까지 연장하여 위치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ource contact hole or the drain contact hole extends to the buffer layer and is located in the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은 상기 버퍼층까지 연장된 상기 소스 컨택홀 또는 드레인 컨택홀까지 연장되고, 상기 소스 컨택홀 또는 드레인 컨택홀의 측면과 접촉하게 위치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ource electrode or the drain electrode extends to the source contact hole or the drain contact hole extending to the buffer layer and is positioned to contact a side surface of the source contact hole or the drain contac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에서 일 측면의 노출면을 덮으면서 위치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에서 일 측면의 노출면을 덮으면서 위치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ource electrode is positioned while covering an exposed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the drain electrode is positioned while covering the exposed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스 도체화 영역은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의 외곽을 둘러싸게 위치하고,
상기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은 상기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의 외곽을 둘러싸게 위치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The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은 상기 소스 전극과 면접촉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은 상기 드레인 전극과 면접촉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includes a first portion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ource electrode and a second portion excluding the first portion;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includes a first portion in surface contact with the drain electrode and a second portion excluding the first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의 제1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상부면이 위치하고,
상기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의 제2 부분은 상기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의 제1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상부면이 위치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 display device in which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portion of the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 및 상기 제2 소스 도체화 영역은 상기 소스 컨택홀의 상부 모서리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 및 상기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은 상기 드레인 컨택홀의 상부 모서리부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지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surround upper corners of the source contact hole;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and the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have a ring shape surrounding upper corners of the drain contac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또는 상기 드레인 전극은 각각 상기 소스 컨택홀 또는 상기 드레인 컨택홀의 일부를 채우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ource electrode or the drain electrode fills a portion of the source contact hole or the drain contact hole,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스토리지 하부 전극;
상기 스토리지 하부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1 버퍼층;
상기 스토리지 하부 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버퍼층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스토리지 컨택홀이 구비된 제2 버퍼층; 및
상기 스토리지 컨택홀을 채우는 스토리지 상부 전극으로 이루어진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strate,
a storage lower electrode positioned on the substrate;
a first buffer layer on the storage lower electrode;
a second buffer layer disposed on the storage lower electrode and having a storage contact hole exposing a portion of a surface of the first buffer layer; and
and a storage capacitor formed of a storage upper electrode filling the storage contact ho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컨택홀은 상기 제1 버퍼층이 노출된 바닥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경사진 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스토리지 상부 전극은 상기 스토리지 컨택홀을 채우고 상기 제2 버퍼층의 표면 일부까지 연장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storage contact hole has an inclined side portion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a bottom portion where the first buffer layer is exposed, and the storage upper electrode fills the storage contact hole and extends to a portion of a surface of the second buffer lay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상부 전극의 바닥부는 상기 제1 버퍼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스토리지 하부 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스토리지 상부 전극의 측면부는 상기 제2 버퍼층과 접촉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upper electrode overlaps the storage lower electrode with the first buffer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ide portion of the storage upper electrode contacts the second buffer lay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상부 전극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고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버퍼층은 제1 두께의 제1 유전율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하며, 상기 제2 버퍼층은 상기 제1 버퍼층보다 두꺼운 제2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1 유전율보다 낮은 제2 유전율을 가지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storage upper electrode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gate electrode and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first buffer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first permittivity of a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buffer layer has a second thickness thicker than the first buffer layer and a second permittivity lower than the first permittivit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하부 전극과 상기 스토리지 상부 전극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 버퍼층은 500Å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buffer layer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lower electrode and the storage upper electrode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500 Å.
기판 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 상에 액티브층 및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액티브층을 관통하여 상기 버퍼층 내에 소스 컨택홀 및 드레인 컨택홀을 형성하도록 식각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층 상에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되,
상기 소스 영역은 상기 소스 컨택홀을 둘러싸는 제1 소스 도체화 영역 및 제2 소스 도체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은 상기 드레인 컨택홀을 둘러싸는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 및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 전극,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액티브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orming a buffer layer on the substrate;
forming an active layer and a gate insulating film on the buffer layer;
etching to form a source contact hole and a drain contact hole in the buffer layer through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the active layer;
Forming a source region and a drain region positioned on the active layer with a channel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ource region includes a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a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surrounding the source contact hole;
forming the drain region to include a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and a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surrounding the drain contact hole; and
and forming a source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a drai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region, and a gate electrode positioned on the active lay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 및 상기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의 노출된 면과 각각 면접촉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6,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xposed surfaces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respectivel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은 상기 버퍼층까지 연장된 상기 소스 컨택홀 또는 드레인 컨택홀까지 연장되고, 상기 소스 컨택홀 또는 드레인 컨택홀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소스 컨택홀 또는 드레인 컨택홀의 일부를 채우게 형성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6,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extends to the source or drain contact hole that extends to the buffer layer, and fills a portion of the source or drain contact hole while contacting a side surface of the source or drain contact ho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에서 일 측면의 노출면을 덮게 형성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에서 일 측면의 노출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6,
The source electrode is formed to cover an exposed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the drain electrode is formed to cover an exposed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 및 상기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은 상기 소스 컨택홀 및 상기 드레인 컨택홀 각각의 상부 모서리부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지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6,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have a ring shape surrounding upper corners of the source contact hole and the drain contact hole, respectivel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스 도체화 영역은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드레인 도체화 영역은 상기 제1 드레인 도체화 영역의 외곽을 둘러싸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second source conductor region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the second drain conductor region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first drain conductor reg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컨택홀 및 상기 드레인 컨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소스 컨택홀 및 상기 드레인 컨택홀 각각의 상부 모서리부를 둘러싸고 있는 상기 액티브층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된 액티브층을 도체화하여 상기 제1 소스 도체화 영역 및 상기 제1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6,
Forming the source region and the drain region,
After forming the source contact hole and the drain contact hole,
etching the gate insulating layer to expose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active layer surrounding upper corners of the source contact hole and the drain contact hole; and
and forming the first source conductor region and the first drain region by conducting the exposed active layer.
KR1020210158927A 2021-11-17 2021-11-17 Display deve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KR202300723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27A KR20230072320A (en) 2021-11-17 2021-11-17 Display deve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27A KR20230072320A (en) 2021-11-17 2021-11-17 Display deve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320A true KR20230072320A (en) 2023-05-24

Family

ID=8654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927A KR20230072320A (en) 2021-11-17 2021-11-17 Display deve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32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6877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231830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354639B1 (en)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919094B1 (en) Display device
JP2019121598A (en)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90042395A (en) Large Area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2013054863A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9010893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112205B (en)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10783490A (en) Display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4488557B2 (en) EL display device
KR2020008791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10752247A (en) Display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4343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1001575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8004819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3707725A (en) Thin film transisto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210467845U (en) Display panel
CN115472655A (en) Display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230072320A (en) Display deve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KR20160053383A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2003088A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220006679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10004356A (en) Display device having an oxide semiconductor pattern
US11997891B2 (en) Display substr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