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896A -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896A
KR20230071896A KR1020210157541A KR20210157541A KR20230071896A KR 20230071896 A KR20230071896 A KR 20230071896A KR 1020210157541 A KR1020210157541 A KR 1020210157541A KR 20210157541 A KR20210157541 A KR 20210157541A KR 20230071896 A KR20230071896 A KR 20230071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cility
mobile terminal
inspection
data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영호
박상서
김종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5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1896A/en
Publication of KR20230071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8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설비 관리 장치는 전력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력설비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생성하는 설비 모듈;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설비 모듈로부터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력설비의 관리 데이터와 점검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cility module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power facility and generating inspection data for the power facility; and a mobile terminal that collects inspection data from the facility modul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management data and inspection data of the power facility to the management server.

Description

전력설비 관리 장치{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설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태그를 통해 전력설비의 점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력설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전력설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managing power facilitie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facility inspection data through an IoT-based tag.

현재 점검자가 전력설비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점검자가 전력설비 점검대상 목록 및 점검표를 가지고 현장에서 순시, 점검, 진단 및 검사를 시행하고 그 점검결과를 점검표에 기록한 후, 해당 시스템에 점검결과를 개별로 접속하여 입력한다.In order for the current inspector to inspect power facilities, the inspector conducts patrol, inspection, diagnosis, and inspection on site with a list of power facility inspection targets and a checklist, records the inspection results in the checklist, and records the inspection results in the system individually. connect and enter

이러한 방식은 효율성이 떨어지고 현장 점검 후 점검자의 결과입력시까지 점검결과 공유가 불가하며, 점검결과 분실시에는 재검검해야 하는 등 중복점검으로 불필요한 업무가 발생한다.This method is inefficient, and inspection results cannot be shared until the inspector inputs the results after the on-site inspection, and unnecessary work occurs due to duplicate inspection, such as re-inspection when inspection results are lost.

또한, 현장에서 전력설비를 찾기 위해서는 점검자가 설비번호찰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점검표에 설비기입후 점검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변호찰 표기내용이 자외선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번호찰 표시내용 확인에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electric facilities on site, the inspector visually checks the facility number tag, fills in the facility in the checklist, and then inspects it.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dditional time to check the number plate marking contents because it may occur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number plate marking contents may occur due to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ultraviolet rays.

또한, 점검자는 순시, 점검, 진단, 검사와 관련된 현장 사진이나 결과 사진 등의 증빙을 점검표와 별도로 관리해야 하고, 파일이름과 별도의 저장장치로 관해야 하는 등 업무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다.In addition, inspectors have to manage evidence such as on-site photos or result photos related to patrols, inspections, diagnoses, and inspections separately from checklists, and have to store file names and separate storage devices, reducing work efficiency.

게다가, 결과 등록도 점검자 또는 시스템 사용자가 점검결과를 개별 입력하고 증빙파일은 시스템 등록절차에 따라 여러 단계의 프로세서로 업무처리를 수행하여 결과 등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result registration checker or system user individually inputs the inspection result and the proof file is processed by a multi-step processor according to the system registration procedure, so it takes a lot of time to register the resul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103501호(2020.09.02)의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Smart Control Field Control Panel for Power Distribution'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03501 (2020.09.0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태그를 통해 전력설비의 점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력설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전력설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managing power facilitie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spection data of power facilities through an IoT-based tag.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 관리 장치는 전력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생성하는 설비 모듈;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설비 모듈로부터 상기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전력설비의 관리 데이터와 상기 점검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cility module for monitoring a state of power facilities and generating inspection data for the power facilities; and a mobile terminal that collects the inspection data from the facility modul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management data and the inspection data of the power facility to a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상기 설비 모듈은 상기 전력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점검 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모바일 단말을 인식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관리 데이터와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력설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cilit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power facility and detecting the inspection data; a communication unit recognizing the mobile terminal and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management data and the inspectio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power facility.

본 발명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력설비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누설전류 센서, 상기 전력설비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 상기 전력설비의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부하전류 센서, 상기 전력설비의 계통조류를 측정하는 계통조류 센서, 및 상기 전력설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kage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leakage current of the power facility, a vibration sensor for measuring vibration of the power facility, a load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the load current of the power facility, and a system flow of the power facilit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ystem flow sensor for measuring and a tilt sensor for measuring the tilt of the power facility.

본 발명의 상기 점검 데이터는 상기 전력설비의 식별 데이터, 상기 센서부의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센서부의 계측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pection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data of the power facility, log data of the sensor unit, and measurement data of the sensor unit.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액티브 모드와 패시브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식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설비 모듈을 표시하고, 상기 패시브 모드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설비 모듈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operates in any one of an active mode and a passive mode, and in the active mode, transmits recogn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inspectio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and the display unit In the passive mode, the inspec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command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quipment modul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상기 통신부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oT-based tag.

본 발명의 상기 관리 데이터는 전력설비 번호, 전산화 번호, 전력설비 규격, 설치일자, 공사명, 시공업체명, 순시일자, 순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nagement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wer facility number, a computerized number, a power facility standard, an installation date, a construction name, a construction company name, a tour date, and a tour operator.

본 발명의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전력설비의 점검위치, 점검자, 및 점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tores at least one of an inspection location, inspector, and inspection time of the power facility.

본 발명의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순시, 점검, 진단, 검사에 따른 결과 등록처리를 위한 점검표 및 점검결과 입력화면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a checklist and an inspection result input screen for instantaneously inspecting, inspecting, diagnosing, and registering results of the inspection of the power facility.

본 발명의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전력설비의 관리 데이터와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전력설비의 식별정보와 매칭시킨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data and the inspection data of the power facility are generated as one file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 관리 장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태그를 통해 전력설비의 점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력설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An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ceives inspection data of power facilities through an IoT-based tag to manage power faciliti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 관리 장치는 점검자의 수작업과 업무 처리 프로세스를 최소화하여 전력설비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력설비 데이터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An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inspectors' manual work and work process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ower facility management and enable effective management of power facility data.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모듈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사시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화면 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facilit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installation of a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관리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모듈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정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사시도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의 설치 예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화면 예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facilit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facilit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of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관리 장치는 설비 모듈(20), 모바일 단말(30), 및 관리 서버(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cility module 20, a mobile terminal 30, and a management server 40.

설비 모듈(20)은 전력설비(10)에 설치된다. The facility module 20 is installed in the power facility 10 .

전력설비(10)는 전주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순시, 점검, 진단, 및 검사 대상이 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wer facility 10 may be installed on electric poles, etc.,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subject to patrol, inspection, diagnosis, and inspection, for example.

설비 모듈(20)은 전력설비(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력설비(10)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검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30)에 전달한다.The facility module 20 monitors the state of the power facility 10, generates inspection data for the power facility 1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spectio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도 2 를 참조하면, 설비 모듈(20)은 센서부(21), 제어부(22), 통신부(23) 및 표시부(2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a facility module 20 includes a sensor unit 21 , a control unit 22 , a communication unit 23 and a display unit 24 .

센서부(21)는 전력설비(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점검 데이터를 검출한다. The sensor unit 21 detects inspection data b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power facility 10 .

센서부(21)로는 전력설비(10)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누설전류 센서, 전력설비(10)가 설치된 전주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 전력설비(10)의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부하전류 센서, 전력설비(10)의 계통조류를 측정하는 계통조류 센서, 및 전력설비(10)가 설치된 전주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가 채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nsor unit 21 includes a leakage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the leakage current of the power facility 10, a vib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electric pole in which the power facility 10 is installed, and a load current for measuring the load current of the power facility 10. A sensor, a system flow sensor for measuring the system flow of the power facility 10, and a tilt sensor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electric pole in which the power facility 10 is installed may be employed,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여기서, 진동 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동 정보를 토대로 전력설비(10)가 설치되는 전주의 균열 또는 도괴 정보가 검출될 수 있다. Here, based on the vib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crack or collaps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ole on which the power facility 10 is installed can be detected.

기울기 센서로 측정된 기울기로 전력설비(10)가 설치된 전주의 기울기나 기울지 진행율이 검출될 수 있다. The tilt or tilt progress rate of the electric pole in which the power facility 10 is installed may be detected by the tilt measured by the tilt sensor.

점검 데이터에는 상기한 센서부(21)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 전력설비(10)의 식별 데이터(Identification,ID), 및 센서부(21)의 로그 데이터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spection data may includ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1, identification data (Identification, ID) of the power facility 10, and log data of the sensor unit 21,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여기서, 전력설비(10)의 식별 데이터는 전력설비(10)를 구분하여 전력설비(10)를 인식하고 해당 계측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power facility 10 distinguishes the power facility 10 so that the power facility 10 can be recognized and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data can be recorded.

통신부(23)는 모바일 단말(30)을 인식하고 모바일 단말(3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3 recognizes the mobile terminal 30 and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30 .

통신부(23)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태그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3 may be an IoT-based tag.

통신부(23)는 모바일 단말(30)과 태깅되면 통신부(23)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30)에 점검 데이터를 송신한다. When tagged with the mobile terminal 30, the communication unit 23 transmits inspectio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3.

통신부(23)는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설비(10)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5 , the communication unit 23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wer facility 10 .

또한, 통신부(23)는 모바일 단말(30)에 인식정보를 전달하여 모바일 단말(30)을 인식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3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30 to recognize the mobile terminal 30 .

통신부(23)는 배터리를 내장하여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저압전원 또는 태양광 소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3 has a built-in battery and can use the power of the battery, but can also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a low voltage power source or a photovoltaic device.

제어부(22)는 통신부(23)에 의해 모바일 단말(30)이 인식되면 관리 데이터와 점검 데이터를 통신부(23)를 통해 모바일 단말(30)에 전달한다. When the mobile terminal 30 is recogniz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3, the control unit 22 transmits management data and inspectio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

제어부(22)는 통신부(23)와 유선 이외에도 무선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22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3 wirelessly as well as wired.

제어부(22)는 액티브 모드와 패시브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한다.The controller 22 selectively operates in one of an active mode and a passive mode.

액티브 모드에서, 제어부(22)는 통신부(23)를 통해 인식정보를 송출하여 모바일 단말(30)을 인식한다. 모바일 단말(30)이 인식됨에 따라, 제어부(22)는 점검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30)로 전송하고 표시부(24)를 통해 설비 모듈(20)의 동작 상태를 안내한다. 표시부(2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n the active mode, the control unit 22 transmits recogn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 to recognize the mobile terminal 30 . As the mobile terminal 30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22 transmits inspectio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30 and guid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module 20 through the display unit 24 . The display unit 24 will be described later.

패시브 모드에서, 제어부(22)는 모바일 단말(30)로부터의 지령 정보에 따라 점검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30)로 전송하고 표시부(24)를 통해 설비 모듈(20)의 동작 상태를 안내한다.In the passive mode, the control unit 22 transmits inspectio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30 according to command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30 and guid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module 20 through the display unit 24.

관리 데이터에는 전력설비(10) 번호, 전산화 번호, 전력설비(10) 규격, 설치일자, 공사명, 시공업체명, 순시일자, 및 순시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도는 것은 아니다. The management data may include a power facility 10 number, a computerized number, a power facility 10 standard, an installation date, a construction name, a construction company name, a tour date, and a tour operator,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제어부(22)는 상기한 센서부(21)에 의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 전력설비(10)의 식별 데이터, 및 센서부(21)의 로그 데이터를 통신부(23)를 통해 모바일 단말(30)로 전달한다.The control unit 22 transmits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1,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power facility 10, and the log data of the sensor unit 21 to the mobile terminal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 convey

모바일 단말(3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설비 모듈(20)로부터 점검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고, 전력설비(10)의 관리 데이터와 점검 데이터를 관리 서버(40)에 전달한다. The mobile terminal 30 collects and stores inspection data from the facility module 2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management data and inspection data of the power facility 10 to the management server 40 .

모바일 단말(30)은 점검자가 소지하여 현장에서 전력설비(10)의 설비 모듈(20)로부터 관리 데이터와 점검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obile terminal 30 is carried by an inspector to manage management data and inspection data from the facility module 20 of the power facility 10 in the field.

모바일 단말(30)은 스마트 단말이나 랩탑 컴퓨터 등이 채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bile terminal 30 may be a smart terminal or a laptop computer,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표시부(24)는 전력설비(10)를 표시한다. 제어부(22)가 액티브 모드 또는 패시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표시부(24)는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됨으로써 점검자가 전력설비(10)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play unit 24 displays the power equipment 10 . When the control unit 22 operates in an active mode or a passive mode, the display unit 24 is turned 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2 so that an inspector can easily recognize the power facility 10.

표시부(24)는 LED 램프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표시부(24)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play unit 24 may employ an LED lamp or the like, and the type of the display unit 2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바일 단말(30)은 내부에 전력설비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More specifically, the mobile terminal 30 is loaded with an application for power facility management therein.

도 6 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30)은 점검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승인된 점검자만이 접속이 가능한 보안성이 확보된 방식으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6 ,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by an inspector, the mobile terminal 30 allows log-in in a secure manner in which only authorized inspectors can access.

예컨대, 도 6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자의 ID를 입력하고, 이외에도 비밀번호와 전화번호 및 생체정보(지문이나 홍채)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6, an inspector's ID is input, and a password, phone number, and biometric information (fingerprint or iris) can be used to log in.

아울러, 점검자만이 접속이 가능한 보안성이 확보된 로그-인 방식으로 로그-인하도록 함으로써, 점검위치, 점검자, 점검시간 등에 대한 점검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logging in in a secure log-in method in which only the inspector can access, the inspection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location, inspector, inspection time, etc. can be secured.

이어 도 6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30)은 설정범위내 전력설비(10)를 자동으로 스캔하여 표출한다. 이때, 점검자는 점검대상이 되는 전력설비(10)를 선택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b) of FIG. 6, the mobile terminal 30 automatically scans and displays the power facilities 10 within the set range. At this time, the inspector may select the power facility 10 to be inspected.

점검대상이 되는 전력설비(10)가 선택되면, 모바일 단말(30)은 해당 전력설비(10)의 점검이력을 수신한다. When the power facility 10 to be inspected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30 receives the inspection history of the power facility 10 .

한편, 모바일 단말(30)은 자동 스캔을 기반으로 한 점검대상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점검자로부터 직접 전주번호 등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30 may select an inspection target based on automatic scanning, or may directly receive a telephone pole number or the like from an inspector.

전력설비(10)가 선택되고 전력설비(10)의 설비 모듈(20)과 접근하면, 모바일 단말(30)은 도 6 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대상이 되는 전력설비(10)의 기본 정보를 화면상에 자동으로 팝-업(Pop-up)하고, 업무를 위한 메뉴, 예컨대 이력보기 또는 점검표 작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power facility 10 is selected and approaches the facility module 20 of the power facility 10, the mobile terminal 30, as shown in (c) and (d) of FIG. Basic information of the facility 10 is automatically popped up on the screen, and a menu for work, such as a history view or a checklist, can be selected.

또한, 모바일 단말(30)은 점검자가 팝-업된 전력설비(10)에 대한 업무유형이 선택되면, 도 6 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업무 순시, 점검, 진단, 검사 등에 맞는 결과등록 처리를 위한 점검표와 점검결과 입력화면을 표출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30, when the inspector selects the type of work for the pop-up power facility 10, as shown in (e) of FIG. 6, results suitable for patrol, inspection, diagnosis, inspection, etc. A checklist for registration processing and a check result input screen are displayed.

이때, 모바일 단말(30)은 설비 모듈(20)로부터 점검 데이터를 전달받아 점검표에 입력 및 저장한다.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30 receives inspection data from the facility module 20 and inputs and stores the inspection data in the inspection list.

또한, 관련 증빙이 필요시, 점검자의 조작에 의해 모바일 단말(30)은 촬영기능으로 전력설비(10)를 촬영하고, 해당 이미지와 설비모듈의 진단결과가 연동되어 전력설비(10)의 식별정보와 연결된 파일로 저장된다. In addition, when related evidence is required, the mobile terminal 30 photographs the power facility 10 by the operation of the inspecto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10 is interlocked with the image and the diagnosis result of the facility module. It is saved as a file associated with .

즉, 모바일 단말(30)은 전력설비(10)의 관리 데이터와 점검 데이터를 전력설비(10)의 식별정보와 매칭시킨 하나의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mobile terminal 30 may generate a single file in which management data and inspection data of the power facility 10 are match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10 .

모바일 단말(30)은 업무완료가 선택되면 최종 결과인 상기한 파일을 전송기능을 통하여 관리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ask completion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30 may transmit the file, which is the final result, to the management server 40 through a transmission function.

관리 서버(40)는 모바일 단말(30)로부터 전송된 파일을 저장한다. 이때, 관리 서버(40)와 연결된 콘솔(50)을 통해 다른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다른 점검자가 유사한 업무를 중복으로 수행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40 stores file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 . At this time, other users can check in real time through the console 50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other inspectors from repeatedly performing similar task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태그를 통해 전력설비의 점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력설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inspection data of power facilities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IoT-based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power facilities can be manag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관리 장치는 점검자의 수작업과 업무 처리 프로세스를 최소화하여 전력설비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력설비 데이터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inspectors' manual work and work processing processes to improve power facility management efficiency and enable effective management of power facility data.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Even if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the implementation of features discuss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n apparatus or program). The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The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a processor, which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for example, a computer, microprocessor,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 전력설비 20: 설비 모듈
21: 센서부 22: 제어부
23: 통신부 24: 표시부
30: 모바일 단말 40: 관리 서버
50: 콘솔
10: power facility 20: facility module
21: sensor unit 22: control unit
23: communication unit 24: display unit
30: mobile terminal 40: management server
50: console

Claims (10)

전력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점검 데이터를 생성하는 설비 모듈;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설비 모듈로부터 상기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전력설비의 관리 데이터와 상기 점검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전력설비 관리 장치.
A facility module that monitors the state of power facilities and generates inspection data for the power facilities; and
A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mobile terminal that collects the inspection data from the facility modul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management data and the inspection data of the power facility to a management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모듈은
상기 전력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점검 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모바일 단말을 인식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관리 데이터와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력설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acility module
a sensor unit for monitoring a state of the power facility and detecting the inspection data;
a communication unit recognizing the mobile terminal and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management data and the inspectio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ower facilit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력설비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누설전류 센서, 상기 전력설비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 상기 전력설비의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부하전류 센서, 상기 전력설비의 계통조류를 측정하는 계통조류 센서, 및 상기 전력설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or unit
A leakage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the leakage current of the power facility, a vib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power facility, a load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the load current of the power facility, a system flow sensor for measuring the system current of the power facility, and at least one of a tilt sensor for measuring the tilt of the power facilit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데이터는
상기 전력설비의 식별 데이터, 상기 센서부의 로그 데이터 및 상기 센서부의 계측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spection data
The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data of the power facility, log data of the sensor unit, and measurement data of the sensor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액티브 모드와 패시브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식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설비 모듈을 표시하고, 상기 패시브 모드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설비 모듈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Selectively operate in either active mode or passive mode,
In the active mode,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the inspec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quipment modul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in the passive mode, commands from the mobile terminal are transmitted. The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nspectio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facility module through the display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관리 장치.The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n IoT-based ta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데이터는
전력설비 번호, 전산화 번호, 전력설비 규격, 설치일자, 공사명, 시공업체명, 순시일자, 순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nagement data
A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ower facility number, a computerized number, a power facility standard, an installation date, a construction name, a construction company name, a tour date, and a tour ope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전력설비의 점검위치, 점검자, 및 점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rminal
The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inspection location, inspector, and inspection time of the power faci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순시, 점검, 진단, 검사에 따른 결과 등록처리를 위한 점검표 및 점검결과 입력화면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rminal
A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a checklist and an inspection result input screen for registration processing of results of inspection, inspection, diagnosis, and inspection of the power faci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전력설비의 관리 데이터와 상기 점검 데이터를 상기 전력설비의 식별정보와 매칭시킨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rminal
The power facility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single file matching the power facility management data and the inspection data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wer facility, and transmitting the file to the management server.
KR1020210157541A 2021-11-16 2021-11-16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KR202300718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541A KR20230071896A (en) 2021-11-16 2021-11-16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541A KR20230071896A (en) 2021-11-16 2021-11-16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896A true KR20230071896A (en) 2023-05-24

Family

ID=8654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541A KR20230071896A (en) 2021-11-16 2021-11-16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189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8401B2 (en) Remote sharing of measurement data
US83962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assets in a processing or other environment
US20210302267A1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data management terminal for a laser gas detector
JP2016535885A (en) Method and system for a general purpose wireless platform for asset monitoring
CN111656419A (en) Security device inspection
CN103646438A (en) Routing inspection method and routing inspection system with image uploading function
KR101869697B1 (en) 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
CN111179461A (e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ased routing inspection record generation method an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9032685A (en) 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 inspection system
KR101480784B1 (en) River Facility Maintenance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3913150B (en) Intelligent electric energy meter electronic devices and components consistency detecting method
KR102011713B1 (en) Continuous structure defec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584485B1 (en) Elevator safety system using mobile device
US11520793B2 (en) Servicing, diagnosing, logging, and surveying building equipment assets
JP2007183813A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JP2023164663A (en) Maintenance support method, maintenance support system, and power storage operation system
CN110751055B (en) Intelligent manufacturing system
KR20230071896A (en) Power facility management apparatus
US2021009951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5190151A (en) Power inspec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18147546A1 (en) System for maintaining and safety-managing infrastructure measurement instrument by using mobile application
US11886897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inspection support system
TWM557889U (en) Sub-area ticket checking system
TW202018560A (en) Equipment checking device and equipment checking system
JP2019008654A (en)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