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836A - 심재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심재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836A
KR20230071836A KR1020210156737A KR20210156737A KR20230071836A KR 20230071836 A KR20230071836 A KR 20230071836A KR 1020210156737 A KR1020210156737 A KR 1020210156737A KR 20210156737 A KR20210156737 A KR 20210156737A KR 20230071836 A KR20230071836 A KR 20230071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chamber
unit
presen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855B1 (ko
Inventor
윤정숙
김석
한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Priority to KR102021015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855B1/ko
Publication of KR2023007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에서 발생한 산업폐기물인 심재에 압력을 가하여 재생할 수 있는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심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회전함에 따라 심재를 파쇄하는 파쇄부와 파쇄부와 연결되며, 심재를 여과하는 여과부와 여과부와 연결되며, 여과된 심재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심재 재생 장치{Apparatus for Recycling of Core Material}
본 발명은 단열재에서 발생한 산업폐기물인 심재에 압력을 가하여 재생할 수 있는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일측에는 글라스울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글라스울을 파쇄하는 파쇄날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분쇄처리된 글라스울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토출구 하측에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쇄장치 내에서 파쇄처리된 후 토출된 글라스울을 이송시키는 제 1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제 1 컨베이어수단에 의해 이송된 글라스울을 저장하는 호퍼부재와, 상기 호퍼부재의 하측에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호퍼부재 측에서 토출된 글라스울을 재이송시키는 제 2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제 2 컨베이어수단의 상측에 발열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글라스울을 가열해 1차적으로 용융시키는 제 1 가열장치와, 상기 제 2 컨베이어수단의 하측에 단차를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컨베이어수단을 통해 이송된 글라스울을 공급받아 연속적으로 재이송시키는 제 3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제 3 컨베이어수단의 상측에 발열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3 컨베이어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글라스울을 가열해 2차적으로 용융시키는 제 2 가열장치와, 상기 제3 컨베이어벨트의 단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가열장치를 통해 용융된 글라스울을 수집하는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폐수지· 폐암면· 폐유리섬유 등을 분쇄기 안에서 잘게 부수는분쇄과정과, 잘게 부수어진 이들 원료들을 강한 공기압을 이용하여 혼합기 안으로 이송하는이송과정과, 이들 이송되어온 원료들을 냉각장치가 부착된 혼합기 안에서 접착제와 배합하여 겔상태의 반제품으로 만드는혼합과정과, 이들 겔상태의 반제품을 다시 강한 불연성 질소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성형· 경화 라인으로 이송하는이송과정과, 겔상태로 이송되어온 반제품을 성형· 경화 라인에서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라인 상판에 부착된 금형 또는 목형으 로 두드려 주거나, 또는 겔(gel) 상태로 이송되어온 반제품을 밀폐된 몰드에 넣고 발포시켜 필요한 형상으로 성형· 경화하는성형· 경화 과정과, 성형· 경화된 패널을 필요한 규격으로 절단하는절단과정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폐 유리섬유 휄트를 침봉을 갖는 드럼이 회전하면서 페 유리섬유 휄트를 이송시키는 동안 휄트의 상단 면에 다른 속도를 갖는 가이드 로울러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페 유리섬유의 휄트의 개섬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섬방법이 진행되기 전에 폐 유리섬유 휄트에 윤활제를 분무하면서 동시에 진동을 가하는 1차 개섬을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및 공급연료의 혼합물의 연소로써 방출되는 에너지를 수단으로 하여 용융되며, 생산된 용융재가 임의의 방향으로 암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침전되어지도록 불연속 섬유로 가늘게 만들어지며, 용융재의 일부는 암면 폐기물로부터 유래되는 재생재로서 암면 폐기물을 사용함으로써 암면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암면 폐기물을 용융시키기 위하여 연료의 연소로써 작동되는 하나의 추가 용융장치가 사용되며, 상술한 추가 용융장치에서 생성된 재생 용융재는 상술한 용융조에 공급되며, 상술한 추가 용융장치의 재생배기가수는 용융조 배기가스로 공급되고 그와 함께 상술한 용융조를 위한 연소가스와의 열교환에 유입되어 형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2-0095627 A (2012년08월29일) KR 10-2021-0122495 A (2021년10월12일) KR 10-2003-0012552 A (2003년02월12일) KR 10-1996-0700970 A (1996년02월24일)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창호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창호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심재(10)를 내부에 수용하며, 회전함에 따라 심재(10)를 파쇄하는 파쇄부(100); 상기 파쇄부(100)와 연결되며, 심재(10)를 여과하는 여과부(400); 상기 여과부(400)와 연결되며, 여과된 심재(10)를 분리하는 분리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파쇄부(100); 여과부(400); 분리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파쇄부(100)에 형성되며, 심재(10)를 내부에 수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챔버(200); 상기 회전챔버(20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심재(1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3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파쇄부(100); 여과부(400); 분리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회전챔버(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심재(10)가 투입되는 투입구(210); 상기 회전챔버(200)의 내측에 결합되며, 스크류로 형성되어 심재(10)를 파쇄하는 제 1블라인드(2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파쇄부(100); 여과부(400); 분리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회전챔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400)로 연장되는 연장챔버(230); 상기 연장챔버(23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챔버(200)에서 파쇄된 심재(10)를 이동시키는 제 2블라인드(2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파쇄부(100); 여과부(400); 분리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여과부(400)에 형성되며, 파쇄된 심재(10)를 여과하는 거름망(410); 상기 거름망(4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여과된 심재(10)가 수용되는 여과함체(4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파쇄부(100); 여과부(400); 분리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분리부(500)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여과부(400)에 결합되어 여과된 심재(10)가 이동하는 이동함체(510); 상기 이동함체(510)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심재(10)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분리챔버(5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파쇄부(100); 여과부(400); 분리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이동함체(5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동축(511); 상기 이동축(511)의 외측에 결합되며, 스크류로 형성되어 심재(10)를 이동시키는 이동블레이드(51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파쇄부(100); 여과부(400); 분리부(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분리챔버(5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심재(10)가 여과되는 여과필터(521); 상기 여과필터(521)에 형성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52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에서 분리되는 산업폐기물인 심재를 회전시켜 원활히 파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심재를 스크류로 형성되는 블라인드에서 회전력으로 뭉친 것을 풀어서 파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심재를 거름망에 의하여 여과함에 따라 여과되지 않은 심재는 다시 파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심재를 이송함과 동시에 파쇄함에 따라 보다 작은 크기로 파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진동을 발생시켜 여과필터에서 파쇄된 심재가 크기에 따라 분리되는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심재 재생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심재 재생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심재 재생 장치의 단면사시도.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의 단면도.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부의 단면도.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챔버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있어서, 심재(10)를 내부에 수용하며, 회전함에 따라 심재(10)를 파쇄하는 파쇄부(100); 상기 파쇄부(100)와 연결되며, 심재(10)를 여과하는 여과부(400); 상기 여과부(400)와 연결되며, 여과된 심재(10)를 분리하는 분리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심재(10)는 단열재에 형성되는 글라스 울(Glass Wool)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심재(10)는 서로 뭉쳐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심재 재생 장치는 단열재에 사용되어 폐기되는 심재(10)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재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심재 재생 장치는 단열재 등 다양하게 사용되는 심재(10)를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심재(10)는 글라스울(glass wool)로 형성된다. 이때, 글라스울은 단열재에 사용된 후 폐기되는 산업폐기물로 소다 성분이 많은 저융점(低融點)의 유리를 섬유상(纖維狀)으로 뽑아내서 만든 것으로, 내열성과 높은 인장 강도(引張强度)를 지니고 있고 매우 뛰어난 전기적(電氣的)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보온재, 내화재, 여과재, 절연재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글라스울은 재활용하지 못하여 산업폐기물로 버려질 경우 환경 오염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에서 글라스울로 형성되는 심재(10)를 파쇄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심재(10)는 도 1을 참조하면, 파쇄부(100)에서 파쇄되는 것으로 파쇄부(100)는 글라스울을 내부에서 회전시켜 압력으로 뭉쳐져 형성되는 심재(10)를 푸는 것이다. 그리고 파쇄부(100)의 회전력에 의하여 파쇄되는 심재(10)는 여과부(400)에서 불순물과 함께 여과되고 여과되지 않은 심재(10)는 파쇄부(100)에서 다시 파쇄되는 것이다. 또한, 여과부(400)에서 여과된 심재(10)는 분리부(500)에서 원하는 크기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열재에서 폐기되는 심재(10)를 파쇄하여 여과함에 따라 재생 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100)에 형성되며, 심재(10)를 내부에 수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챔버(200); 상기 회전챔버(20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심재(1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회전챔버(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회전챔버(200)에 형성되며, 내부를 점검하는 점검도어(250);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회전챔버(200)에 형성되며, 전류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켜 심재(1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도조절장치(260);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챔버(20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대(310); 상기 지지대(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챔버(2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320);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회전챔버(200)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회전유닛(330); 상기 회전유닛(33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챔버(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파쇄부(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파쇄부(100)는 심재(10)를 회전력에 의하여 파쇄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쇄부(100)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심재(10)를 내부에 수용하며, 회전함에 따라 회전력에 의하여 심재(10)를 파쇄하는 회전챔버(200)가 형성된다. 이때, 심재(10)는 뭉쳐서 회전챔버(200)에 수용됨에 따라 회전챔버(200)가 회전하면 심재(10)가 회전력에 의하여 풀어지며 파쇄된다. 그리고 회전챔버(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장치(300)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심재(10)가 회전챔버(200)의 회전력에 의하여 파쇄되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회전챔버(200)는 온도조절장치(260)가 형성되며, 열선 등으로 형성됨에 따라 전류에 의하여 회전챔버(200)의 온도를 상승시켜 심재(10)의 파쇄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챔버(200)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회전장치(300)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회전장치(300)는 지면에서 회전챔버(200)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대(310)와 지지대(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챔버(2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장치(300) 중 여과부(400) 측면으로 형성되는 회전장치(300)는 회전챔버(200)의 단부 외측면을 감싸는 회전유닛(330)이 형성되며, 회전유닛(330)은 회전모터(340)에 의하여 회전챔버(20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회전유닛(330)은 기어에 의하여 회전챔버(2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레일, 톱니 형상의 기어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쇄부(100)는 내부에 심재(10)가 수용되며, 회전함에 따라 심재(10)를 파쇄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회전챔버(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심재(10)가 투입되는 투입구(210); 상기 회전챔버(200)의 내측에 결합되며, 회전함에 따라 심재(10)를 파쇄하는 제 1블라인드(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10)는 상기 회전장치(3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투입관(211)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라인드(220)는 상기 회전챔버(200)의 내부에 스크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라인드(220)의 일면에 형성되며,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돌기;를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라인드(22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심재(10)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챔버(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회전챔버(200)는 회전함에 따라 심재(10)를 회전력으로 파쇄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챔버(200)는 도 4를 참조하면, 일단부에 형성되는 투입구(210)를 통해 심재(10)가 수용되며, 수용된 심재(10)는 회전챔버(200) 내부에 형성되는 제 1블라인드(220)에 의하여 심재(10)를 파쇄한다. 이때, 투입구(210)는 회전챔버(2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회전장치(3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투입관(211)에 형성되는 것으로 투입관(211)은 회전장치(300)와 회전챔버(200)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투입관(211)은 회전챔버(200)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투입구(210)로 투입된 심재(10)는 회전챔버(200)의 타단부로 이동한다.
제 1블라인드(220)는 외주면이 회전챔버(200)의 내측에 결합되며, 스크류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챔버(200)가 회전할 때 심재(10)가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블라인드(220)는 일면에 마찰돌기가 돌출되어 심재(10)가 마찰력에 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파쇄되거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블라인드(220)의 내주면에는 절단날이 형성되며, 심재(10)가 이동할 때 엉켜서 회전챔버(200)의 회전을 방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단날은 심재(10)가 이동할 때 절단시킴에 따라 심재(10)가 보다 효과적으로 파쇄되는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회전챔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400)로 연장되는 연장챔버(230); 상기 연장챔버(23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챔버(200)에서 파쇄된 심재(10)를 이동시키는 제 2블라인드(24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연장챔버(230)는 상기 회전챔버(200)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연장챔버(230)의 일단부는 상기 제 1블라인드(220)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연장챔버(230)는 상기 회전장치(3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 2블라인드(240)는 스크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장챔버(2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연장챔버(230)는 회전챔버(200)에서 파쇄된 심재(10)를 여과부(400)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장챔버(230)는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챔버(200)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여과부(400)로 연장되는 것으로 심재(10)를 투입하는 투입구(210)와 타단부에 형성되어 회전챔버(200)에서 파쇄된 심재(10)를 여과부(400)로 이송한다. 그리고 연장챔버(230)는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챔버(200)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회전챔버(200)와 여과부(400)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장치(3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회전챔버(200) 내부에 수용되는 연장챔버(230)의 일단부는 제 1블라인드(220)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 1블라인드(220)가 회전할 때 심재(10)가 연장챔버(230) 내부로 수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장챔버(230)의 내측면에는 제 2블라인드(240)의 외주면이 결합됨에 따라 회전챔버(200) 또는 연장챔버(230)가 회전할 때 스크류로 형성되는 제 2블라인드(240)가 회전함에 따라 파쇄된 심재(10)가 이송된다. 그리고 심재(10)는 제 2블라인드(240)에 의하여 보다 작은 크기로 파쇄되어 여과부(400)로 이송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장챔버(230)는 회전챔버(200) 내부의 심재(10)가 수용되며, 제 2블라인드(240)에 의하여 여과부(400)로 파쇄된 심재(10)를 이송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400)에 형성되며, 파쇄된 심재(10)를 여과하는 거름망(410); 상기 거름망(4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여과된 심재(10)가 수용되는 여과함체(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410)은 상기 연장챔버(230)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410)에 형성되며, 여과되지 않은 심재(10)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여과함체(420)는 하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여과함체(420)의 하단은 상기 분리부(500)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과부(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여과부(400)는 파쇄부(100)에서 파쇄된 심재(10)를 여과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과부(400)는 도 4를 참조하면, 파쇄부(100)에서 파쇄된 심재(10)를 여과하는 거름망(410)이 형성되며, 거름망(410)은 파쇄된 심재(10)를 이송하는 연장챔버(23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거름망(410)은 연장챔버(230)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연장챔버(230)에서 이송되는 심재(10)가 하부로 하강하는 것이다. 그리고 거름망(410)은 연장챔버(230)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심재(10)가 막히지 않고 원활히 하부의 여과함체(420)로 여과되어 관통한다. 이때, 거름망(410)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여과되지 않은 심재(10)를 배출할 수 있으며, 배출된 심재(10)는 회전챔버(200)에서 다시 파쇄되는 것이다. 그리고 거름망(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여과함체(420)는 하부로 심재(10)가 집중되도록 하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여과함체(420)의 하부는 분리부(500)와 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심재(10)가 여과함체(420)에서 분리부(500)로 이송되는 것이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500)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여과부(400)에 결합되어 여과된 심재(10)가 이동하는 이동함체(510); 상기 이동함체(510)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심재(10)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분리챔버(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이동함체(5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동축(511); 상기 이동축(511)의 외측에 결합되며, 스크류로 형성되어 심재(10)를 이동시키는 이동블레이드(512);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이동함체(51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이동함체(510)는 일 단부가 상기 여과함체(4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분리챔버(5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511)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레이드(512)를 회전시키는 이동모터(5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리부(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분리부(500)는 여과부(400)에서 여과된 심재(10)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부(500)는 도 5를 참조하면, 일단부가 여과함체(420)에 결합되는 이동함체(510)에 의하여 심재(10)가 이동하며, 이동함체(510)는 타단부가 분리챔버(5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여과함체(420)는 여과함체(420)의 하부에서 분리챔버(520)의 상부로 심재(10)를 이동하기 위하여 사선으로 형성되며, 심재(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이동축(511)과 이동블레이드(512)가 형성된다. 이때, 이동축(511)은 이동함체(5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동모터(513)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이동축(511)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블레이드(512)가 회전한다. 그리고 이동블레이드(512)는 제 1블라인드(220) 또는 제 2블라인드(240)와 달리 내주면이 이동축(511)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심재(1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심재(10)는 회전력에 의하여 여과부(400)에서 여과된 심재(10)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파쇄되어 분리부(500)로 이동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심재 재생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분리챔버(5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심재(10)가 여과되는 여과필터(521); 상기 여과필터(521)에 형성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522);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521)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장치(522)는 동력에 의하여 여과필터(521)에 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분리챔버(520)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필터(521)에서 여과되지 않은 심재(10)를 배출하는 배출장치(523);를 포함한다.
(실시예 7-5) 본 발명의 심재 재생 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분리챔버(520)의 하단에 형성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체(5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리챔버(5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분리챔버(520)는 이동함체(510)에 결합되어 공급된 심재(10)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챔버(520)는 도 6을 참조하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521)가 형성되며, 여과필터(521)는 복수로 형성될 경우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여과필터(521)의 상부에는 배출장치(523)가 형성되며, 배출장치(523)는 분리챔버(520)의 외측에 형성되어 여과필터(521)에서 여과되지 않은 심재(10)를 배출하는 것이다. 이때, 여과되지 않고 배출된 심재(10)는 회전챔버(200)에서 다시 파쇄하여 심재(10)를 여과한다. 그리고 분리챔버(520)는 진동발생장치(522)가 형성되며, 진동발생장치(522)는 모터 등에 의하여 충격을 발생시켜 여과필터(521)에서 심재(10)를 투과시킨다. 여기서, 진동발생장치(52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임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분리챔버(520)의 하단에는 탄성체(524)가 형성되어 분리챔버(520)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챔버(520)는 파쇄된 심재(10)를 여과하여 재생하는 특징을 가진다.
10: 심재 100: 파쇄부
200: 회전챔버 210: 투입구
211: 투입관 220: 제 1블라인드
230: 연장챔버 240: 제 2블라인드
250: 점검도어 260: 온도조절장치
300: 회전장치 310: 지지대
320: 베어링 330: 회전유닛
340: 회전모터 400: 여과부
410: 거름망 420: 여과함체
500: 분리부 510: 이동함체
511: 이동축 512: 이동블레이드
513: 이동모터 520: 분리챔버
521: 여과필터 522: 진동발생장치
523: 배출장치 524: 탄성체

Claims (8)

  1. 심재(10)를 내부에 수용하며, 회전함에 따라 심재(10)를 파쇄하는 파쇄부(100);
    상기 파쇄부(100)와 연결되며, 심재(10)를 여과하는 여과부(400);
    상기 여과부(400)와 연결되며, 여과된 심재(10)를 분리하는 분리부(500);를 포함하는 심재 재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100)에 형성되며, 심재(10)를 내부에 수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챔버(200);
    상기 회전챔버(20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심재(1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300);를 포함하는 심재 재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챔버(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심재(10)가 투입되는 투입구(210);
    상기 회전챔버(200)의 내측에 결합되며, 스크류로 형성되어 심재(10)를 파쇄하는 제 1블라인드(220);를 포함하는 심재 재생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챔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400)로 연장되는 연장챔버(230);
    상기 연장챔버(23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챔버(200)에서 파쇄된 심재(10)를 이동시키는 제 2블라인드(240);를 포함하는 심재 재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400)에 형성되며, 파쇄된 심재(10)를 여과하는 거름망(410);
    상기 거름망(4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여과된 심재(10)가 수용되는 여과함체(420);를 포함하는 심재 재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500)에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여과부(400)에 결합되어 여과된 심재(10)가 이동하는 이동함체(510);
    상기 이동함체(510)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심재(10)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분리챔버(520);를 포함하는 심재 재생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함체(5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동축(511);
    상기 이동축(511)의 외측에 결합되며, 스크류로 형성되어 심재(10)를 이동시키는 이동블레이드(512);를 포함하는 심재 재생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리챔버(5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심재(10)가 여과되는 여과필터(521);
    상기 여과필터(521)에 형성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522);를 포함하는 심재 재생 장치.
KR1020210156737A 2021-11-15 2021-11-15 심재 재생 장치 KR102558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37A KR102558855B1 (ko) 2021-11-15 2021-11-15 심재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37A KR102558855B1 (ko) 2021-11-15 2021-11-15 심재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836A true KR20230071836A (ko) 2023-05-24
KR102558855B1 KR102558855B1 (ko) 2023-07-25

Family

ID=8654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737A KR102558855B1 (ko) 2021-11-15 2021-11-15 심재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8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0970A (ko) 1993-07-05 1996-02-24 훌탁 암면 폐기물을 재생 출발재로 사용함으로써 암면을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12552A (ko) 2001-08-01 2003-02-12 김병수 폐 유리섬유 휄트의 개섬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95627A (ko) 2011-02-21 2012-08-29 김성민 글라스울의 재생장치
KR101717258B1 (ko) * 2015-12-18 2017-03-17 주식회사 오성테크 폐 퍼라이트 원료 재생방법
KR101805768B1 (ko) * 2016-05-24 2017-12-07 주식회사 성진플랜트 오염토양을 세척,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정량 공급시스템
KR20210122495A (ko) 2020-04-01 2021-10-12 한라산업 주식회사 폐수지·폐암면·폐유리섬유 등을 재활용하여 조립식건축용 단열재 패널을 제조·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0970A (ko) 1993-07-05 1996-02-24 훌탁 암면 폐기물을 재생 출발재로 사용함으로써 암면을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12552A (ko) 2001-08-01 2003-02-12 김병수 폐 유리섬유 휄트의 개섬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95627A (ko) 2011-02-21 2012-08-29 김성민 글라스울의 재생장치
KR101717258B1 (ko) * 2015-12-18 2017-03-17 주식회사 오성테크 폐 퍼라이트 원료 재생방법
KR101805768B1 (ko) * 2016-05-24 2017-12-07 주식회사 성진플랜트 오염토양을 세척,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정량 공급시스템
KR20210122495A (ko) 2020-04-01 2021-10-12 한라산업 주식회사 폐수지·폐암면·폐유리섬유 등을 재활용하여 조립식건축용 단열재 패널을 제조·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855B1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92868B (zh) 一种生活垃圾环保处理再生能源系统及工艺
CN207126647U (zh) 一种废弃边角料粉碎回收装置
KR20090045272A (ko) 고형화 처리 방법 및 고형화 처리 장치
KR100982072B1 (ko) 폐플라스틱과 슬러지를 합성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CN204841846U (zh) 玻璃棉粉碎机
KR102558855B1 (ko) 심재 재생 장치
CN100513112C (zh) 汽车和电子废弃橡塑再生回用工艺
KR102505591B1 (ko) 각 2개의 믹싱존과 환기구를 가지는 폐합성수지 재생 압출장치
KR20190115605A (ko) 고주파히팅부를 구비한 이종수지 재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생방법
CN205522104U (zh) 一种车载废旧泡沫加工装置
CN106397829A (zh) 一种基于超临界二氧化碳的废橡胶再生方法及装置
CN108247909B (zh) 环保节能废旧材料粉碎设备
KR100365953B1 (ko) 폐비닐의 재생방법 및 폐비닐 펠렛 성형장치
KR101905001B1 (ko)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
CN215843391U (zh) 一种废旧橡胶制品裂解炭黑的分离装置
CN105436189A (zh) 生活垃圾无害化生产线
EP1550537A1 (en) Method for processing polyvinyl butyral resin and method for reusing laminated glass
KR101019216B1 (ko) 이동식 발포폴리스티렌 제품 재생장치
JP3892366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装置
KR20050074666A (ko) 폐 플라스틱 재생을 위한 압출장치
KR20110090464A (ko) 폐비닐을 이용한 재생연료 제조장치
EP3411153B1 (en) Process for preparing automotive shredder fibre residue pellets
CN220219288U (zh) 一种塑料废物回收重熔设备
KR200347017Y1 (ko) 폐 플라스틱 재생을 위한 압출장치
KR100682321B1 (ko) 폐기물 압출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