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181A - 카트리지 시스템, 음료 조제기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시스템, 음료 조제기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181A
KR20230071181A KR1020237013931A KR20237013931A KR20230071181A KR 20230071181 A KR20230071181 A KR 20230071181A KR 1020237013931 A KR1020237013931 A KR 1020237013931A KR 20237013931 A KR20237013931 A KR 20237013931A KR 20230071181 A KR20230071181 A KR 20230071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intermediate cap
cap
beverage
seal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크 그뤼거
군터 엠플
Original Assignee
프리지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지오 아게 filed Critical 프리지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7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78Ingredient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16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before dispensing, i.e. pre-mix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67D1/0022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43Mixing devices for liquids
    • B67D1/0044Mixing devices for liquids for mixing inside the dispensing nozzle
    • B67D1/0046Mix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78Ingredient cartridges
    • B67D1/0079Ingredient cartridges having their own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5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using elastic bags and pistons actuated by air or othe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27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by an ejection plu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27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by an ejection plunger
    • B67D7/0233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by an ejection plunger the plunger being gas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provided with coded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2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카트리지 시스템으로서, 카트리지 시스템은 음료 조제기에 삽입될 수 있고, 음료 물질로 충전된 저장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저장소와 유체 연결을 이룰 수 있는 혼합 챔버 및 혼합 챔버 내로 연장되는 유체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카트리지 시스템은 중간 캡을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제1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중간 캡은 제1 연결 수단에 상보적인 제1 정합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제1 정합 연결 수단은 제1 연결 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시스템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시스템, 음료 조제기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본 발명은 음료 제조용 카트리지 시스템으로부터 시작되며, 카트리지 시스템은 음료 조제기에 삽입될 수 있고, 카트리지 시스템은 음료 물질로 충전되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저장소와 유체 연결될 수 있는 혼합 챔버 및 혼합 챔버로 개방되는 유체 공급부를 갖는다.
이러한 시스템은 종래 기술로부터, 예를 들어, WO 2017 / 121 802 A1, WO 2017 / 121 801 A1, WO 2017 / 121 801 A1, WO 2017 / 121 799 A1, WO 2017 / 121 798 A1, WO 2017 / 121 797 A1, WO 2017 / 121 796 A1 및 WO 2019 / 002 293 A1으로부터 공지되며, 미리 분할된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음료를 생산하는 것은 카트리지를 삽입하고 시작 버튼만 누르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다. 그 후 음료 조제기는 완전 자동화된 방식으로, 특히 음료 물질을 미리결정된 양의 액체, 특히 냉수 및 탄산수와 혼합하여 음료 용기로 이송하여 생산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혼합 음료는 사용자가 훨씬 더 쉽고 빠르게, 그리고 적은 노력으로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다수의 상이한 카트리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대로 다양한 음료를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음료 조제기에서 카트리지 시스템을 사용하기 전에 음료 물질을 카트리지에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음료 물질의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카트리지 시스템을 통해 신뢰할 수 있고 재현 가능한 음료 제조 공정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조제기에 사용될 수 있고, 음료 물질의 유리한 저장 및/또는 고품질의 음료 제조가 가능한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카트리지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청구된 것과 같은 카트리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은 중간 캡의 도움으로 카트리지 시스템을 비용 효율적이고 유리한 기밀성(leaktightness)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비해 이점을 갖는다. 특히, 중간 캡은 카트리지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특히 저렴하고 자원 절약적인 밀봉 요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시스템의 제조가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공정이 시작되기 전에 음료 물질이 저장소 내에 남아 있고 긴 유통 기한과 일정한 향기를 위해 밀폐식으로 밀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카트리지를 밀봉하기 위해 필름과 같은 특히 얇은 밀봉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동시에 특히 중간 캡을 사용하여 밀봉 요소와 카트리지 사이의 누설 방지 및 안정적인 연결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 캡은 특히 밀봉 요소가 카트리지에 연결되기 전에 밀봉 요소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히 장점이다. 따라서,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에 부착하는 것은 중간 캡의 도움으로 준비되고 개선될 수 있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은 예를 들어, 밀봉 요소가 카트리지 상에 고정되는 영역에서 원치 않는 누설이 발생하지 않고 음료 제조 공정 중에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저장소를 비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제조될 음료의 맛을 손상시킬 위험 없이 추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상대적 배향 및 정렬이 중간 캡에 의해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 조제기에서 카트리지의 규정 가능한 정렬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음료 조제기에 삽입된 카트리지 시스템의 상태에서 카트리지 시스템에 적용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와 같은 정보 요소를 판독하는 데 유리하다.
중간 캡의 도움으로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에 고품질의 기밀성으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시스템의 운송 또는 저장 중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카트리지의 저장소를 밀봉하여 예를 들어, 카트리지로부터 가스나 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처럼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탄산 함량이 높은 액체 음료 물질을 저장소에 저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탄산 함량이 높을수록 제조될 음료의 맛과 카트리지의 최소 유통기한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일부 음료 물질은 카트리지의 저장소에 높은 내부 압력이 필요하며, 이는 특히 사전 탄산화를 통해 제공된다. 다른 음료 물질은 약간의 과압만 필요하거나 과압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중간 캡의 도움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중간 캡에 의해 영구적으로 또는 가역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유리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유리로 만들어진 본체를 갖는다.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전체 카트리지가 유리로 생산되고,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유리 카트리지 및/또는 유리 병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카트리지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생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카트리지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일반적인 벽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벽 두께가 0.01 내지 0.5 밀리미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 밀리미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 밀리미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0.05 밀리미터이고, 특히 최대 15 %의 허용 오차를 갖는 본체를 갖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본체는 예를 들어 딥 드로잉 또는 압출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20 ℃의 온도 및 1 bar의 외부 압력에서) 파열되지 않고, 최대 12 bar,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8 bar,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최대 6 bar의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소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밀리리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밀리리터,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60 밀리리터의 부피를 포함한다. 특히, 카트리지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탄산을 함유하는 액체 음료 물질을 갖는다. 액체 음료 물질은 탄산을 포함하지 않는 것도 대안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액체 음료 물질은 음료 농축액, 특히 시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카트리지 시스템의 혼합 캡으로서 이해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중간 캡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유리,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 및 전개는 종속 청구항 및 도면을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시스템은 밀봉 요소를 포함하도록 제공되며, 여기서 카트리지의 개구는 특히 카트리지 시스템의 초기 상태에서 밀봉 요소에 의해 폐쇄된다. 개구는 특히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이며, 따라서 카트리지 시스템의 초기 상태에서 본체는 카트리지 베이스 반대쪽 측면에서 밀봉 요소에 의해 폐쇄된다. 카트리지 시스템의 초기 상태는 음료 조제 전의 상태를 의미하지만, 카트리지 시스템의 제조가 이 상태에서 이미 완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요소는 카트리지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며, 이를 위해 카트리지, 특히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벽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밀봉 요소는 음료 제조 공정이 시작되기 전에 음료 물질이 저장소 내에 남아 있고 긴 유통 기한과 일정한 향을 위해 밀폐식으로 밀봉되도록 하는 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의 개구는 원형 디자인인 것이 바람직하게 생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개구는 (특히 최대 15 %의 허용 오차를 갖고서) 예를 들어, 직경이 10 내지 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 특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 ㎜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정합 연결 수단은 제1 연결 수단에 형상결합식으로(positively), 비형상결합식으로(nonpositively) 그리고/또는 재료적으로(materially) 연결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제1 연결 수단은 카트리지 주위로 연장되도록, 특히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벽 주위로 연장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제1 연결 수단은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벽의 외측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제1 정합 연결 수단은 중간 캡의 전체 원주, 특히 중간 캡의 내측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수단은 수나사산을 포함하고, 제1 정합 연결 수단은 암나사산을 포함하며, 카트리지와 중간 캡은 특히 카트리지의 수나사산과 중간 캡의 암나사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에 의해 중간 캡을 카트리지에 특히 높은 정밀도로 나사 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에 부착할 때 특히 유리한 위치에 밀봉 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높은 신뢰성으로 밀봉 요소와 카트리지 사이의 기밀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캡은 나사 캡으로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연결 수단은 제1 정합 연결 수단에의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래칭 홈 및/또는 하나 이상의 래칭 비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을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정합 연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래칭 홈 및/또는 하나 이상의 래칭 비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는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을 갖고 그리고/또는 중간 캡은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을 갖도록 제공되며, 카트리지와 중간 캡 사이의 상대적인 배향은 제1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의 도움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제1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은 카트리지 및 중간 캡의 연결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및 중간 캡의 상대적 배향 또는 정렬을 유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은 카트리지로부터 중간 캡의 원치 않는 해제를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하다. 특히, 제1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은 후속 래칭을 통해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그 결과 후속 나사풀림이 방지되고, 그리고/또는 래칭을 통해 카트리지에 대한 중간 캡의 고정된 상대적 배향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은, 특히 수직인 리브 및/또는 특히 수직인 홈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중간 캡의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은, 특히 수직인 리브 및/또는 특히 수직인 홈을 포함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특히, 원주 방향으로의 언더컷 또는 스프링 설형부도 제1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선호되는 경우, 수직 홈 및/또는 리브는 카트리지의 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은 카트리지의 수나사산의 일부로서 설계되거나, 그리고/또는 카트리지의 수나사산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은 중간 캡의 암나사산의 일부로서 설계되거나 중간 캡의 암나사산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카트리지와 중간 캡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는 중간 캡이 카트리지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게 가능하다. 그 결과, 카트리지와 중간 캡 사이의 회전 배향과,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과 카트리지 벽의 에지 및/또는 단부면 사이의 거리 또는 간격을 모두 규정할 수 있다.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과 카트리지 벽의 에지 및/또는 단부면 사이의 간격을 이렇게 정확하게 규정하면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 벽에 부착할 때 특히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 벽에 연결하는 공정에서, 중간 캡의 도움으로 밀봉 필름으로서 설계된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 벽의 단부면에 비교적 작은 공차로 정밀하게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이러한 정밀한 배열을 통해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 벽의 단부면에 유리하게 유도 용접 및/또는 접착식으로 접합할 수 있다.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 벽의 단부면에 전도성 용접하는 것도 대안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캡은 베이스 영역 및 중간 캡 벽을 구비하고, 중간 캡 벽은 특히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수직으로 그리고 베이스 영역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 캡은 컵 모양의 디자인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에 연결하기 위해, 밀봉 요소는 중간 캡의 컵 모양으로 배열되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왁스를 통해 중간 캡 상에 고정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게 구상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밀봉 요소는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 상에 고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생각될 수 있다. 그 후 중간 캡은 중간 캡에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밀봉 요소를 통해 카트리지에 연결, 특히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밀봉 요소는 특히 유도 용접 또는 접착식 접합에 의해 카트리지 벽, 특히 카트리지 벽의 단부면에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가 카트리지 상에 고정된 후에도 중간 캡은 카트리지에 연결된 상태로, 특히 나사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밀봉 요소는 카트리지 상에 고정된 후 축 방향으로 카트리지 벽과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 사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은 관통 개구를 가지며, 특히 베이스 영역의 관통 개구를 통해 피어싱 스파이크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개구가 제공된다. 음료를 조제하는 동안, 피어싱 스파이크는 중간 캡의 관통 개구를 통해 유리하게 안내될 수 있고 밀봉 요소를 관통 및/또는 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요소가 카트리지에 부착된 후 중간 캡을 카트리지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다. 관통 개구는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의 주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베이스 영역은 예를 들어 관통 개구 주위에 링 형태로만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의 관통 개구는 피어싱 스파이크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구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의 관통 개구는 적어도 7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의 직경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정합 연결 수단은 중간 캡 벽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는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벽의 에지와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특히, 밀봉 요소의 주변 에지 영역은 카트리지 벽의 에지와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 사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는 밀봉 필름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밀봉 필름의 주변 에지 영역은 카트리지 벽의 에지와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 사이에 배열된다. 밀봉 요소를 완전히 밀봉 필름으로서 설계하거나 밀봉 요소의 일부만 밀봉 필름으로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트리지 시스템의 초기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저장소는 밀봉 필름에 의해 밀폐식으로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료 제조 공정 중에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피어싱 스파이크에 의해 밀봉 필름이 쉽게 천공되어 저장소로부터 음료 물질을 가능한 한 빨리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혼합 챔버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 필름 또는 플라스틱 및/또는 알루미늄의 다층 필름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밀봉 필름은 발포체, 종이 및/또는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플라스틱, 및/또는 알루미늄, 및/또는 종이, 및/또는 발포체, 및/또는 기타 재료의 조합도 생각할 수 있다. 밀봉 필름으로서의 밀봉 요소의 설계는 바람직하게 특히 과압이 없거나 비교적 낮은 과압으로 저장소에 밀폐되는 음료 물질에 대해 가능하다. 특히 비용 효율적인 밀봉은 밀봉 필름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 특히 밀봉 필름이 카트리지, 특히 카트리지 벽에 접착식으로 접합, 밀봉 및/또는 용접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밀봉 요소는 카트리지 벽 상에 고정되어 카트리지 내부를 밀봉하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의 저장소를 밀봉한다. 이 경우, 밀봉 필름은 카트리지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평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벽의 에지의 단부면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밀봉 요소가 카트리지 벽 상에 크림핑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특히 밀봉 요소가 크림프 캡을 포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구조적 변경에 대한 필요 없이도 카트리지를 다른 밀봉 요소 및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에 장착하는 방법과 결합할 수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 시스템의 사용 가능성은 물론 특히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필름은 유도 용접에 의해 카트리지 벽의 에지 상에, 특히 카트리지 벽의 단부면 상에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이를 통해 밀봉 필름을 카트리지에 특히 기밀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비용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단부면에 전형적인 불규칙성이 있더라도 유도 용접을 사용하면 밀봉 필름과 카트리지 사이에 유리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카트리지, 특히 유리 카트리지는 핫 엔드 코팅 또는 콜드 엔드 코팅의 도움으로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카트리지에 대한 밀봉 필름의 유도 용접은 카트리지와 밀봉 필름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유도 용접 중에 녹는 밀봉 래커(sealing lacquer)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히 유리하고, 누설이 없으며, 비용 효율적인 밀봉을 달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밀봉 필름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카트리지 벽의 단부면 상에 고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는 플라스틱 캡을 포함하거나 플라스틱 캡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플라스틱 캡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또는 외부에 도포, 밀봉 또는 용접되는 밀봉 필름이 있는 보어 또는 펀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의 플라스틱 캡은 사출 성형의 도움으로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캡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된 부품이다. 여기서 플라스틱 캡은 크림프 캡, 래칭 캡 또는 나사 캡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플라스틱 캡은 피어싱 스파이크의 통과를 위해 약화부를 갖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약화부는 벽 두께 또는 두께가 감소된 플라스틱 캡의 영역이 바람직하다. 약화부는 피어싱 스파이크가 이 약화부의 영역에서 밀봉 요소를 개방하거나, 그리고/또는 관통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약화부는 플라스틱 캡의 형성 중에, 특히 사출 성형 중에 플라스틱 캡의 얇은 영역으로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선호도로서, 약화부는 플라스틱 캡의 사출 성형 중에 생성되며, 따라서 약화부를 생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캡의 임의의 추가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화부는 플라스틱 캡에서 전체 면적, 특히 원형 면적의 약화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형상도 약화부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화부를 링 형태 또는 원형 선으로서 설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캡은 플라스틱 캡을 포함하거나 플라스틱 캡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캡의 플라스틱 캡은 사출 성형의 도움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라스틱 캡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된 부품이다. 여기서 플라스틱 캡은 크림프 캡, 래칭 캡 또는 나사 캡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플라스틱 캡은 피어싱 스파이크의 통과를 위해 관통 개구, 펀칭 및/또는 약화부를 가질 수 있다. 약화부는 벽 두께 또는 두께가 감소된 플라스틱 캡의 영역이 바람직하다. 약화부는 피어싱 스파이크가 이 약화부의 영역에서 중간 캡을 개방하거나, 그리고/또는 관통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약화부는 플라스틱 캡의 형성 중에, 특히 사출 성형 중에 플라스틱 캡의 얇은 영역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선호도로서, 약화부는 플라스틱 캡의 사출 성형 중에 생성되며, 따라서 약화부를 생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캡의 임의의 추가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화부는 플라스틱 캡에서 전체 면적, 특히 원형 면적의 약화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형상도 약화부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화부는 링 형태 또는 원형 선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캡이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특히, 중간 캡은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고 이에 연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영구적으로 또는 가역적으로 중간 캡에 연결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캡이 제2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그리고/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제2 정합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되며, 여기서 제2 정합 연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제2 연결 수단과 형상결합식으로, 비형상결합식으로 그리고/또는 재료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정합 연결 수단은 제2 연결 수단과 상보적인 연결 수단인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중간 캡은 크림핑, 접착식 접합, 밀봉 및/또는 용접에 의해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래칭 홈, 및/또는 하나 이상의 래칭 비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 및/또는 수나사산을 포함하도록 제공되며, 여기서 제2 정합 연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래칭 홈, 및/또는 하나 이상의 래칭 비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 및/또는 암나사산을 포함한다. 언더컷 또는 언더컷들은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의 언더컷이다.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어, 중간 캡의 제2 연결 수단은 래칭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제2 정합 연결 수단의 래칭 비드와 상호 작용하는 래칭 홈을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제2 정합 연결 수단은 중간 캡 주위로 연장되도록, 특히 중간 캡의 외측 상에서 연장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제2 정합 연결 수단은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전체 원주 주위로, 특히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내측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캡이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그리고/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추가의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중간 캡과 카트리지 리셉터클 사이의 상대적 배향은 제2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의 도움에 의해 규정된다. 제2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은 카트리지 리셉터클과 중간 캡의 연결된 상태에서 중간 캡과 카트리지 리셉터클 사이의 상대적 배치 및 배향을 규정한다. 제2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은 카트리지 리셉터클과 중간 캡이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제2 연결 수단이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을 포함하거나, 그리고/또는 제2 정합 연결 수단이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제2 연결 수단은 특히 원주 방향으로 평평한 영역을 갖는 래칭 수단, 특히 래칭 비드 또는 래칭 홈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제2 정합 연결 수단은 래칭 수단, 특히 래칭 비드 또는 래칭 홈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는 상보적이고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으로 평탄화된 영역을 갖는다. 평탄화된 영역의 도움으로 중간 캡과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대한 비틀림 방지 수단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중간 캡 및/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평탄화된 부분을 포함하거나 평탄화된 부분이 없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중간 캡 및/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을 각각의 경우에 원주, 특히 원주 방향으로 평탄화된 부분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카트리지, 중간 캡 및/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상대적인 배향이 평탄화된 부분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비틀림 방지 수단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카트리지, 중간 캡 및/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각각 원주 방향으로 평탄한 부분이 없이 설계될 수 있으며, 특히 원형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수단의 도움으로 카트리지와 중간 캡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밀봉 수단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카트리지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밀봉 요소의 상부 측과 중간 캡, 특히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밀봉 수단이 중간 캡과 카트리지 사이의 전이부, 특히 밀봉 요소의 영역에서 밀봉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밀봉 수단은 밀봉부로서의 기능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카트리지, 밀봉 요소 및/또는 중간 캡의 제조 공차를 보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수단은 밀봉 요소의 일부로서 설계되고, 그리고/또는 밀봉 수단은 밀봉 요소와 분리된 요소로서, 특히 카트리지와 중간 캡 사이에 배열되는 요소가 제공된다. 따라서 밀봉 수단은 밀봉 요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밀봉 요소와 분리된 구성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밀봉 수단에는 다양한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다양한 유형의 고무 및/또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료가 고려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수단은 밀봉 링, 보어를 갖는 전체 영역 밀봉 수단 및/또는 발포체를 갖도록 제공된다. 밀봉 수단은 삽입 가능한 요소로서 설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삽입 가능한 요소(예를 들어, 밀봉 링)는 카트리지, 특히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의 방향을 향하는 카트리지의 단부 면과 중간 캡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밀봉 수단은 O-링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밀봉 수단은 피어싱 스파이크의 전체 영역에 걸쳐 보어/애퍼처로 설계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밀봉 수단은 밀봉 요소의 일부로서 설계되거나, 그리고/또는 밀봉 요소에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특히 카트리지로부터 반대쪽을 향하는 밀봉 요소의 상부측에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밀봉 수단은 밀봉 요소의 상부 측, 특히 밀봉 요소의 주변 외부 영역에 배열되는 밀봉 요소의 발포체(또는 발포 영역)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 가능하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밀봉 수단, 예를 들어 오링 및/또는 발포체가 카트리지와 중간 캡 사이의 제1 연결 수단 및/또는 정합 연결 수단의 영역에 배열 및/또는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카트리지와 중간 캡 사이의 추가 밀봉은 예를 들어, 다성분 플라스틱, 특히 2성분 플라스틱의 도움으로 중간 캡을 구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수단은 특히 다성분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바람직하게는 2성분 플라스틱 사출 성형의 도움으로 중간 캡의 일부로서 설계되는 것으로 상정 가능하다. 따라서 밀봉 수단은 중간 캡 또는 중간 캡의 일부와 일체적으로(즉, 중간 캡의 구성 요소로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정 가능하다. 특히, 여기서 중간 캡(또는 중간 캡의 적어도 일부)과 밀봉 수단은 2성분 사출 성형의 도움으로 공동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밀봉 수단의 영역은 중간 캡의 나머지 부분과는 상이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밀봉 수단의 영역은 중간 캡의 나머지 부분보다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으로 상정 가능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밀봉 수단(특히, 중간 캡의 구성요소로서)은 카트리지 벽의 단부면의 방향을 향하는 중간 캡의 영역, 특히 카트리지 벽의 단부면 및/또는 밀봉 요소에 인접한 중간 캡의 영역으로서 구현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밀봉 수단(특히, 중간 캡의 구성요소 또는 별도의 인서트로서)이 카트리지 벽의 측면/반경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카트리지 벽의 단부 면과 원주 사이의 모따기 및/또는 반경에 대해 배열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의 밀봉 수단의 도움으로 중간 캡과 카트리지 리셉터클 사이에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특히, 추가의 밀봉 수단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간 캡과 카트리지 리셉터클 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추가의 밀봉 수단이 중간 캡과 카트리지 리셉터클 사이의 전이부를 밀봉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추가의 밀봉 수단은 밀봉부로서의 기능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중간 캡 및/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제조 공차를 보상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의 밀봉 수단은 밀봉 링, 특히 O-링을 갖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의 밀봉 수단은 중간 캡의 제2 연결 수단의 영역 및/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제2 정합 연결 수단의 영역에 배열되도록 제공된다. 특히, 추가의 밀봉 수단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2 연결 수단과 제2 정합 연결 수단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2 연결 수단은 래칭 홈, 래칭 비드, 언더컷 및/또는 수나사산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제2 정합 연결 수단은 래칭 홈, 래칭 비드, 언더컷 및/또는 암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 제2 연결 수단과 제2 정합 연결 수단의 도움으로 중간 캡과 카트리지 리셉터클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은 추가의 밀봉 수단에 의해 밀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는 본체, 특히 컵 모양의 디자인의 본체를 포함하도록 제공되며, 본체는 카트리지 벽의 도움으로 일측이 폐쇄되는 카트리지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고, 본체는 특히 저장소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벽과 카트리지 베이스는 특히 일체형으로서 설계된다.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카트리지 벽은 적어도 카트리지 벽의 주요 영역에서 원통형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카트리지 벽과 카트리지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벽과 카트리지 베이스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도 다른 대안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플라스틱으로 생산되는 기본 구조체를 갖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저비용 생산이 달성되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구조체는 개방 측이 카트리지 방향으로 배향되는 컵 모양의 구성을 가지며, 음료 유출구 개구와 외측으로 개방된 스파이크 가이드가 카트리지의 반대편에 위치한 바닥 측에 형성되고, 유체 공급부가 기본 구조체의 바닥 측 또는 측벽에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유체 공급부가 카트리지의 저장소가 아니라 저장소와 분리된 혼합 챔버로 개방되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음료 제조 과정에서 음료 조제기가 유체 공급부에 의해 역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체가 저장소를 통과하지 않고 음료 물질과 유체가 서로 분리되어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혼합 챔버로 전달된다. 유체는 혼합 챔버로 직접 전달되는 반면, 음료 물질은 유체와 독립적으로 혼합 챔버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 특히 스파이크 가이드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피어싱 스파이크가 배열되며, 피어싱 스파이크는 피어싱 스파이크가 밀봉 요소, 특히 밀봉 필름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후퇴 위치와 피어싱 스파이크가 밀봉 요소, 특히 밀봉 필름을 관통하여 저장소로 돌출되는 확장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다. 확장 위치에서 피어싱 스파이크는 특히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에 있는 관통 개구를 통해 안내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시스템의 초기 상태에서 피어싱 스파이크는 후퇴 위치에 있으며, 그 결과 저장소는 밀봉 요소, 특히 밀봉 필름에 의해 밀폐식으로 밀봉되고 카트리지의 밀봉 요소를 개방하기 위해 후퇴 위치로부터 확장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확장 위치에서 밀봉 요소는 피어싱 스파이크에 의해 천공되거나 사전 펀칭이 찢어져 음료 물질이 밀봉 요소를 통과하여 특히 피어싱 스파이크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채널을 통해 혼합 챔버로 통과한다. 따라서 음료 조제기에서 이전에는 아로마 밀폐 방식으로 폐쇄되어 있던 카트리지를 쉽고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특히 저장소에서 유체 공급부에 직접 작용하는 과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음료 조제기의 역오염이 방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음료 조제기에 가역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혼합 챔버 구성은 혼합 챔버가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 시스템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데 유리하다. 이렇게 하면 교환 가능한 일회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카트리지 시스템의 일부만 음료 물질과 접촉하기 때문에 음료 물질로 인한 음료 조제기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어싱 스파이크의 외벽은 밀봉 요소가 관통되었을 때 혼합 챔버의 방향으로 음료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채널을 갖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시스템, 특히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방향, 특히 혼합 카트리지의 방향으로 밀봉 필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체를 갖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음료 제조 과정에서 저장소에 압력이 축적될 때 밀봉 필름의 찢어짐이 방지된다. 지지 구조체는 특히 혼합 챔버의 바닥으로부터 저장소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밀봉 필름이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놓이는 기둥 모양, 다리 모양, 격자 모양 또는 원통형 구조체를 포함한다. 밀봉 필름이 지지 구조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도 대안적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특히 중간 캡의 관통 개구 또는 관통 보어가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본 발명의 변형에서는 더욱 그렇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어싱 스파이크는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 베이스 부분과 저장소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어싱 부분을 포함하도록 제공되며, 여기서 피어싱 부분은 비스듬히 절단된 원뿔 형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피어싱 부분은 또한, 비스듬히 절단된 원뿔의 비스듬한 절단면이 실질적으로 저장소를 향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절단면의 타원형 원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 요소를 천공하기 위한 절단 에지를 나타낸다. 절단된 원뿔을 비스듬히 절단하여 생성되는 절단면은 밀봉 요소를 충분히 적은 힘으로 쉽게 절단하며, 또한 그렇지 않으면 원치 않는 방식으로 음료를 오염시킬 수 있는, 밀봉 요소로부터 임의의 부스러기 또는 떨어져 나온 조각이 잘려 나오지 않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밀봉 요소 천공은 유리하게 밀봉 요소의 재료가 저장소의 방향으로 최대로 돌출된 절단 에지가 형성되는 피어싱 스파이크의 측면을 매끄럽게 절단하여 절단되는 형태이며, 피어싱 부분의 절단면 영역에서 밀봉 요소의 절단 재료는 여전히 밀봉 요소의 나머지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롤업되거나 함께 접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피어싱 스파이크는 베이스부와 피어싱부 사이에 배열된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는 절두 원출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중간부 사이에 원주 어깨부가 형성되고, 피어싱부와 중간부 사이에 원주 에지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정적인 피어싱 스파이크가 유리하게 형성된다. 에지의 형성은 에지 위로 연장되는 경우 측면 채널이 저장소 측에 확대된 입구를 가지므로 혼합 챔버의 방향으로 음료 물질의 이송이 더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어깨부는 피어싱 스파이크가 확장 위치에 있을 때 스파이크 가이드의 멈춤부에 맞닿아 카트리지의 방향으로 피어싱 스파이크의 확장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복수의 측면 채널을 갖도록 제공되며, 각각의 측면 채널은 피어싱 부분의 영역 및 중간 부분의 영역에서 피어싱 스파이크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경우 측면 채널은 각각 특히 피어싱 스파이크의 외부면으로 도입되는 한쪽이 개방된 홈의 형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채널은 피어싱 스파이크의 절단면과 관련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방 원주 영역에 형성된다. 이는 측면 채널이 재료에 절단부가 생성된 밀봉 요소 천공의 측면에 배열되고 절단된 재료가 여전히 나머지 밀봉 요소에 연결된 반대쪽에는 배치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음료 물질은 비교적 방해받지 않고 측면 채널로 흐를 수 있다.
측면 채널의 단면 및/또는 측면 채널의 수는 음료 물질의 점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측면 채널은 혼합 챔버의 방향으로 음료 물질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점도가 높으면 복수의 측면 채널 또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을 갖는 측면 채널이 사용되는 반면, 점도가 낮으면 더 적은 수의 측면 채널 또는 더 작은 단면을 갖는 측면 채널이 제공된다. 따라서 각각의 카트리지에 대해 정합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어싱 스파이크는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리브 형태의 비틀림 방지 수단을 갖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피어싱 스파이크가 후퇴 위치로부터 확장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피어싱 스파이크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측면 채널이 혼합 챔버의 음료 유출구로부터 반대쪽을 향하고 특히 유체 공급부를 향하는 피어싱 스파이크의 측면에 배열되도록 보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혼합 챔버 내에서 음료 물질과 유체의 향상된 혼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어싱 스파이크는 카트리지 비움 디바이스인 통합 압축 공기 라인을 갖도록 제공되며, 압축 공기 라인은 피어싱 스파이크를 따라, 특히 피어싱 스파이크의 제1 단부로부터 피어싱 스파이크의 제2 단부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 가지 기능이 피어싱 스파이크에 유리하게 통합된다: 1. 피어싱 스파이크는 밀봉 요소를 천공하여 카트리지를 개방하기 위한 피어싱부를 포함하고; 2. 피어싱 스파이크는 음료 물질이 혼합 챔버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측면 채널을 포함하고; 3. 피어싱 스파이크는 압축 공기를 저장소로 분사하기 위한 통합 압축 공기 라인을 포함하여 결과적으로 음료 물질이 압력 하에 혼합 챔버로 밀려들어간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공기 공급원에 연결하기 위한 압축 공기 연결부가 제2 단부에 형성되고, 압축 공기를 저장소로 분사하기 위한 압축 공기 유출구가 제1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통합된 카트리지 비움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우선 압축 공기가 외부로부터 저장소로 유입될 수 있는 하나의 압축 공기 라인만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음료 물질이 압축 공기에 의해 저장소로부터 혼합 챔버로 밀려 나오도록 구성된다. 압축 공기는 특히 음료 조제기에 의해 제공된다. 카트리지 시스템이 음료 조제기에 삽입되는 즉시 압축 공기 공급원이 압축 공기 연결부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 비움 디바이스가 특히 카트리지 시스템이 삽입될 때 즉시 압력을 받기 때문에 음료 조제기 방향으로의 역오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따라서 음료 물질이 압축 공기 라인의 방향, 특히 음료 조제기의 압축 공기 공급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음료 물질은 저장소로부터 혼합 챔버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공기 유출구가 절단면의 개구로서 구성되도록 제공된다. 이는 저장소로 유입되는 공기가 측면 채널로부터 떨어진 피어싱 스파이크의 측으로 유입되어 음료 물질이 혼합 챔버로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저장소에 소용돌이가 형성되어 저장소에 잔류물이 거의 남지 않고 비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공기 연결부는 특히 베이스 부분의 개구로서 구성되며, 베이스 부분은 카트리지 리셉터클 외부로부터 압축 공기 연결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축 공기 라인과 압축 공기 공급원의 연결이 선호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파이크 가이드는 피어싱 스파이크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가이드 채널을 갖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의 가이드 채널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절두 원추형으로 구성되며, 카트리지를 향하는 가이드부의 단부에 원주 방향 멈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멈춤부는 피어싱 스파이크의 저장소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멈춤부는 특히 직경이 축소된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퇴 위치로부터 확장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피어싱 스파이크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유리하게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채널의 벽 내에 비틀림 방지 수단으로서 리브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피어싱 스파이크의 원하지 않는 비틀림을 방지한다. 가이드 부분은 혼합 챔버 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 챔버의 바닥으로부터 카트리지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어싱 스파이크는 플라스틱 부품, 특히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통해 비용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피어싱 스파이크가 금속 부품으로서 및/또는 세라믹 및/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도 대안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어싱 스파이크는 카트리지 시스템이 음료 조제기에 삽입될 때 음료 조제기의 해제 요소에 의해 후퇴 위치로부터 확장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챔버는 음료 물질과 유체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유출구를 구비하고, 카트리지 시스템은 음료가 음료 유출구로부터 휴대용 용기로 직접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음료 물질 또는 생산된 음료가 음료 조제기의 어느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으므로, 음료 조제기의 임의의 (역)오염을 어느 정도 피할 수 있다. 유체는 혼합 챔버로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는 압력 하에서 혼합 챔버로 유입된다. 유체는 특히 음료 조제기에 의해 제공된다. 카트리지 시스템이 음료 조제기에 삽입되는 즉시 유체 공급원이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해당 유체 연결부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연결부는 유체 라인을 통해 혼합 챔버에 유체 연결된다. 이는 카트리지 시스템이 삽입될 때 유체 연결부가 특히 즉시 압력을 받기 때문에 음료 물질이 유체 라인 방향, 특히 음료 조제기의 유체 공급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 조제기 방향으로의 역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음료 물질과 음료는 혼합 챔버로부터 음료 유출구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유체는 특히 물, 바람직하게는 가압, 냉각 및/또는 탄산 식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챔버에 혼합 구조가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혼합 구조체는 음료 물질과 유체의 향상된 혼합을 유리하게 보장한다. 이를 위해, 혼합 구조체는 특히 혼합 챔버로 유입되는 유체가 소용돌이치도록 구성된다. 혼합 구조체는 혼합 챔버의 바닥에 있는 유체 공급 영역에 배열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리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따라서 혼합 리브는 유체에 대한 장벽 역할을 하며, 그 결과 유체가 소용돌이쳐서 음료 물질과 더 잘 혼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 유닛에 의해 냉각되는 유체가 유체 공급부에 공급되도록 제공되며, 여기서 냉장 유닛은 음료 조제기의 일부이거나 음료 조제기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냉장고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카트리지가 냉각되지 않고 실온에 있을 때에도 차가운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시스템을 기존 냉장고에 통합하면 냉장고의 기존 냉장 유닛을 음료 조제기로 효율적으로 공동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흔히 미국식 냉장고라고도 함)로 알려진 것의 경우 전면에 시스템을 통합할 수 있는 충분한 설치 공간이 있다. 음료 조제기는 이러한 냉장고에 대한 개조 세트(retrofitting set)가 될 수 있다. 냉장 유닛은 압축기 냉각 유닛, 흡수기 냉각 유닛 또는 열전기 냉각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보네이터에 의해 탄산이 첨가되는 유체가 유체 공급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카보네이터는 음료 조제기의 일부일 수 있으며, 카보네이터는 CO2 카트리지용 리셉터클과 CO2 카트리지로부터 유체에 CO2를 첨가하기 위한 공급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하게도, 시스템으로 탄산 청량 음료를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카보네이터가 외부 CO2 연결부를 갖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료 조제기에 관한 것이다. 카트리지 시스템은 음료 조제기에 삽입될 수 있다. 음료 조제기에 카트리지 시스템이 삽입된 상태에서 음료가 조제될 수 있다. 조제가 완료된 후, 카트리지 시스템은 음료 조제기로부터 다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 카트리지 및 중간 캡은 제1 공정 단계에 제공되고,
-- 제1 공정 단계 이후에 제2 공정 단계에서, 카트리지와 중간 캡은 카트리지의 제1 연결 수단 및 중간 캡의 제1 정합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공정 단계 전 중간 단계에서, 밀봉 요소, 특히 밀봉 필름이 중간 캡 상에 배열되거나, 그리고/또는 중간 캡 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정된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 특히 밀봉 필름은 제2 공정 단계 전 중간 단계에서 왁스 및/또는 플라스틱에 의해 중간 캡 상에 고정되고, 특히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것으로 상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밀봉 요소, 특히 밀봉 필름은 제2 공정 단계 전 중간 단계에서 클램핑 및/또는 래칭에 의해 중간 캡에 고정되는 것이 구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중간 캡이 카트리지에 연결되기 전에 중간 캡에 부착된다. 따라서 밀봉 요소는 제2 공정 단계에서 중간 캡 상에 배열되며, 그 결과 중간 캡이 카트리지에 부착될 때(제2 공정 단계에서) 밀봉 요소를 함께 가져갈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카트리지 상에 밀봉 요소를 특히 유리하게 배치 및/또는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후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에 단단하고 기밀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상의 밀봉 요소를 특히 유리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캡 상에 고정된 밀봉 요소가 제2 공정 단계에서 카트리지 벽의 에지에 접착식으로 접합, 밀봉 및/또는 용접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것이 예상된다,
-- 제2 공정 단계의 제1 부분 단계에서, 카트리지와 중간 캡은 카트리지의 제1 연결 수단 및/또는 중간 캡의 제1 정합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 특히 서로 나사 체결된다,
-- 제1 부분 단계에 따른 제2 공정 단계의 제2 부분 단계에서, 중간 캡 상에 고정된 밀봉 요소는 유도 용접에 의해 카트리지, 특히 카트리지 벽의 에지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2 공정 단계의 제2 부분 단계에서 카트리지 벽의 에지와 밀봉 요소 사이의 연결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도 용접에 의해 형성된다. 유도 용접은 높은 부착 품질로 밀봉 요소를 비용 효율적으로 부착하여 카트리지의 저장소가 밀봉 요소에 의해 특히 유리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폐쇄되어 밀봉되도록 보장한다. 이 경우, 카트리지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리를 포함한다. 특히, 밀봉 요소는 밀봉 필름을 포함하거나 밀봉 필름으로서 설계된다. 제2 공정 단계의 제1 부분 단계에서 카트리지 벽의 에지의 단부면에 밀봉 필름을 배치 및 고정함으로써, 제2 공정 단계의 제2 부분 단계에서 밀봉 필름을 카트리지에 특히 유리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필름을 카트리지에 부착하는 동안의 누설은 중간 캡의 사용에 의해 감소되거나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밀봉 요소가 제2 공정 단계의 제2 부분 단계에서 카트리지 벽의 에지에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카트리지, 특히 유리 카트리지는 제1 공정 단계 또는 그 이전에 핫 엔드 코팅 또는 콜드 엔드 코팅의 도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정 단계의 제2 부분 단계에서의 유도 용접은 카트리지와 밀봉 요소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유도 용접 중에 용융되는 밀봉 래커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공정 단계 전에 발포 층이 중간 캡 및/또는 밀봉 요소 상에 배열되는 것으로 상정된다. 바람직한 옵션으로서, 발포 층은 합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유도 용접을 통해 밀봉 요소, 특히 밀봉 필름을 카트리지 벽의 에지에 부착하는 것을 특히 유리하게 만든다. 발포 층의 도움으로 카트리지 벽의 에지(또는 카트리지 벽의 단부면)의 표면 불규칙성을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보정할 수 있으므로 밀봉 요소를 카트리지에 부착하는 동안 높은 수준의 기밀성을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발포 층은 밀봉 요소, 특히 밀봉 필름의 일부일 수 있으므로, 발포 층은 중간 캡 및/또는 밀봉 요소에 별도로 배열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공정 단계 이전, 동안 및/또는 이후에 제3 공정 단계에서, 중간 캡과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중간 캡의 제2 연결 수단 및/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제2 정합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상정된다. 예를 들어, 중간 캡의 제2 연결 수단은 래칭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제3 공정 단계에서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제2 정합 연결 수단의 래칭 비드에 연결되는 래칭 홈을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공정 단계가 제2 공정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는 변형에서, 중간 요소에 이미 연결된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중간 캡을 통해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공정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중간 단계에서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생산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의 유입에 의해 높은 가압을 거치지 않는 카트리지 시스템의 일부는 저비용 제조 공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생산되므로, 전체 생산 비용을 낮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공정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되는 추가의 중간 단계에서 피어싱 스파이크가 생성되어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스파이크 가이드에 도입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공정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추가의 중간 단계에서 밀봉 요소가 밀봉 필름,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 필름 또는 플라스틱 및/또는 알루미늄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펀칭 및/또는 절단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시트의 도움으로 밀봉 요소를 제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공정 단계 전에, 제1 연결 수단, 특히 래칭 홈, 래칭 비드, 언더컷 및/또는 수나사산이 카트리지, 특히 카트리지 벽에 형성되는 것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공정 단계 전에, 제1 정합 연결 수단, 특히 래칭 홈, 래칭 비드, 언더컷 및/또는 암나사산이 중간 캡 상에 생성되는 것이 추가로 상정될 수 있다. 중간 캡과 카트리지는 특히 제1 연결 수단 및 제1 정합 연결 수단의 도움으로 연결된다. 제2 공정 단계에서, 중간 캡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암나사산을 통해 카트리지의 수나사산에 나사 체결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벽이 중간 캡 주위로 크림핑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결 수단, 특히 래칭 홈, 래칭 비드, 언더컷 및/또는 수나사산이 제3 공정 단계 이전에, 특히 제2 공정 단계 이전에 중간 캡 상에 형성되는 것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구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공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공정 단계 이전에, 특히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사출 성형 중에, 제2 정합 연결 수단, 특히 래칭 홈, 래칭 비드, 언더컷 및/또는 암나사산이 카트리지 리셉터클 상에 생성되는 것이 추가로 상정될 수 있다. 중간 캡과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특히 제2 연결 수단 및/또는 제2 정합 연결 수단의 도움으로 연결된다.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벽이 중간 캡 주위로 크림핑되거나, 그리고/또는 중간 캡 벽이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벽 주위로 크림핑되는 것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제1 공정 단계에서 또는 제1 공정 단계 이전에, 특히 컵 형태인 카트리지 또는 적어도 카트리지의 본체는 유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카트리지가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체 또는 카트리지가 알루미늄으로 생산되는 변형에서, 본체 또는 카트리지는 딥 드로잉 또는 압출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본체는 원통형 카트리지 벽이 카트리지 베이스에 의해 한쪽이 폐쇄되는 컵 모양의 디자인이 바람직하며, 특히 카트리지 벽과 카트리지 베이스는 일체형 디자인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벽과 카트리지 베이스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둘 다 유리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카트리지가 복수의 개별 부품으로 생산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벽과 카트리지 베이스는 예를 들어, 제1 공정 단계에서 서로, 특히 기밀하게 연결된 별도의 부품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 및 음료 조제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과 관련하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장점 및 실시예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제기와 관련하여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제기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장점 및 실시예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제기의 경우,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과 관련하여 또는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장점 및 실시예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한 내용, 특징 및 장점은 도면 및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캡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입구 영역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사시도, 개략적인 단면도 및 일반적인 작동 원리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 밀봉 요소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 중간 캡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부품에는 항상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되므로, 일반적으로 각각에 대해서는 한 번만 언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예시한다. 카트리지(2)는 컵 모양의 중공형 본체(2')를 포함하며, 본체의 도움으로 음료 물질(7)을 위한 저장소(6)가 형성된다. 여기서, "컵 모양의 디자인"이란 본체(2')가 카트리지 베이스(2''')(도 5b 참조)와 카트리지 베이스(2''')로부터 특히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방향으로 직각으로 돌출된 카트리지 벽(2'')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카트리지 벽(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이고 포위형 디자인인 반면, 이 예에서 카트리지 베이스(2''')는 원형 구성을 갖는다. 카트리지(2)의 본체(2') 또는 카트리지(2) 자체는 유리 병의 도움으로 또는 적어도 유리 병의 도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2)의 저장소(6)는 음료 물질(7)로 충전될 수 있다.
축 방향으로 카트리지 베이스(2''')의 반대측에, 카트리지(2)는 개구(90)를 가지며, 이 개구는 밀봉 필름(18'')으로서 설계된 밀봉 요소(18)에 의해 폐쇄된다. 예를 들어, 개구(90)의 직경은 피어싱 스파이크(73)의 치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그러나, 개구(90)는 또한 피어싱 스파이크(73)보다 클 수도 있다. 개구(90)는 카트리지 벽(2'')의 에지(2'''')로 둘러싸여 있다. 중간 캡(60)은 카트리지(2)의 이 입구 영역에서 카트리지(2) 주위에 장착된다. 중간 캡(60)은 베이스 영역(61)과 중간 캡(60)의 베이스 영역(61)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는 중간 캡 벽(62)을 포함한다. 그 결과, 중간 캡(60)은 컵 모양으로 디자인된다. 중간 캡 벽(62)은 카트리지 벽(2'')의 에지(2'''')보다 큰 반경을 가지며, 따라서 중간 캡 벽(62)은 카트리지 벽(2'')을 중심으로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다. 베이스 영역(61)은 피어싱 개구(63)를 포함하며, 이는 피어싱 스파이크(73)의 통과를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어싱 스파이크(73)는 중간 캡(60)을 관통하여 밀봉 요소(18)까지 전진하여 이를 천공, 관통 및/또는 개방할 수 있다.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 벽(2') 주위에 수나사산(20')으로서 설계되어 카트리지(2)를 위한 나사산 입구를 형성하는 제1 연결 수단(20)을 갖는다. 중간 캡(60)은 암나사산(21')으로서 설계된 제1 정합 연결 수단(21)을 포함한다. 중간 캡(60)은 암나사산(21')을 통해 카트리지(2)의 수나사산(20')에 나사 체결된다. 중간 캡(60)의 한 가지 장점은, 밀봉 필름(18'')이 중간 캡(60)의 도움으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2)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밀봉 필름(18'')은 중간 캡(60)이 카트리지(2)에 나사 체결되기 전에 중간 캡(60) 상에 고정된다. 특히, 밀봉 필름(18'') 은 왁스 및/또는 플라스틱(및/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재료의 도움으로)에 의해 중간 캡(60) 내부의 베이스 영역(61)에 접착식으로 결합된다. 중간 캡(60)이 카트리지(2) 상에 나사로 체결될 때,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 캡(60)에 연결된 밀봉 필름(18'')은 카트리지(2)의 개구(90) 위 및 카트리지 벽(2'')의 에지(2'''')에 있는 카트리지 벽(2'')의 단부면(5) 상에 위치 및/또는 고정된다. 이어서, 밀봉 필름(18'')은 바람직하게는 유도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 카트리지 벽(2'')의 단부면(5)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밀봉 요소(18)를 단부면(5)에 접착식으로 접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2)의 저장소(6)는 밀봉 요소(18)에 의해 밀봉된다.
따라서 중간 캡(60)은 나사 캡으로서 설계되고, 특히 유리하게는 밀봉 필름(18')을 카트리지(2)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나사 캡이 카트리지(2)에 나사 체결된 후 밀봉 필름(18'')이 카트리지(2)에 유도적으로 밀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카트리지(2)는 유리 병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플라스틱 카트리지, 예를 들어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병도 카트리지(2)로서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2)에 연결된 중간 캡(60)은 더 나아가 카트리지 리셉터클(10)에 연결된다. 연결은 중간 캡(60)의 제2 연결 수단(22)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의 도움으로 형성되며, 이 제2 정합 연결 수단은 제2 연결 수단(60)과 상보적이다. 이를 위해, 제2 연결 수단(22)은 래칭 홈(22')을 포함하며, 이는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의 래칭 비드(23')와 상호 작용하여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이 함께 래칭되도록 한다. 여기서, 래칭 홈(22')은 중간 캡 벽(62)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고, 래칭 비드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기본 구조체(10')의 측벽(10''')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중간 캡(60)은 선택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기본 구조체(10')의 측벽(10''')과 중첩되는 에지 영역(64)을 포함한다. 돌출 에지 영역(64)은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상에 중간 캡(60)을 추가적으로 고정하거나, 그리고/또는 밀봉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영역(64)은 크림핑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에지 영역(64)의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하여,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을 중간 캡(60)에 연결하기 위해 많은 다른 형상들이 생각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2)는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중간 캡(60)은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6)을 포함한다. 제1 및/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 26)의 도움으로 카트리지(2)와 중간 캡(60) 사이의 상대적인 배향―카트리지(2) 상에 중간 캡(60)이 나사로 조여진 상태에서―이 규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편으로는, 밀봉 필름(18'')을 카트리지(2)에 후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카트리지(2) 상에 밀봉 필름(18'')을 특히 정확하고 재현 가능한 위치로 배치하고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한편으로, 중간 캡(60)과 카트리지(2) 사이의 규정된 배향은 카트리지(2)를 항상 동일한 배향으로 음료 조제기에 삽입하는 것을 유리하게 만든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카트리지 시스템(1), 특히 카트리지(2)에 적용된 QR 코드와 같은 정보 요소는 음료 기계에 삽입된 카트리지 시스템(1)의 상태를 유리하게 판독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 26)의 도움으로, 중간 캡(60)이 카트리지(2)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2)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은 특히 수직 리브 및/또는 수직 홈을 포함한다. 중간 캡(60)의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6)은 상보적인 수직 리브 및/또는 상보적인 수직 홈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언더컷 또는 스프링 설형부와 같은 다른 제1 및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 또한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로 구상될 수 있다. 카트리지(2)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의 개략적인 예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중간 캡(60)이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이 추가의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을 포함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은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연결된 상태에서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사이의 상대적 배향을 규정한다.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은 도 2를 참조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수단(22)의 래칭 홈(22')의 도움으로 형성되고, 추가의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은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의 래칭 비드(23')의 도움으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캡(6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예시한다. 특히,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제2 정합 연결 수단(23)과 상호작용하는 중간 캡(60)의 제2 연결 수단(22)이 예시된다. 제2 연결 수단(22)은 래칭 홈(22')을 포함하며, 이 래칭 홈은 중간 캡(60)의 전체 둘레 주위로 연장된다. 그러나, 래칭 홈(22')의 반경방향 범위, 즉 래칭 홈(22')의 깊이는 중간 캡(60)의 원주 주위에서 일정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간 캡(60)의 한쪽(도 2의 우측)에 있는 래칭 홈(22')의 반경방향 범위는 반대쪽(도 2의 좌측)에 있는 래칭 홈(22')보다 크다. 따라서, 래칭 홈(22')은 중간 캡(60)의 반대쪽보다 중간 캡(60)의 한쪽에서 더 깊게 형성된다. 그 결과, 제2 연결 수단(22)은 동시에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으로서 설계된다. 래칭 홈(22')의 다양한 반경방향 범위(즉, 깊이)로 인해,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래칭 비드(23')와 상호 작용할 때 래칭 홈(22')에 대해 규정된 배향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래칭 비드(23')도 래칭 홈(22')의 반경방향 범위와 상보적인 방식으로 변화하는 반경방향 범위(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따라서 래칭 수단(22', 23')은 각각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평탄화된 영역을 포함한다. 평탄화된 영역에 의해,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을 위한 비틀림 방지 수단이 형성된다. 중간 캡(60)이 카트리지 리셉터클(10)에 연결될 때,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사이의 규정된 상대 배향이 유리하게 설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의 입구 영역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예시한다. 카트리지(2)는 수나사산(20')으로서 설계된 제1 연결 수단(20)을 포함한다. 수나사산(20')은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을 가지며,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은 특히 하나 이상의 수직 홈(25') 및/또는 리브(25'')를 포함한다. 상보적인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6), 예를 들어 상보적인 리브 및/또는 홈이 중간 캡(60)의 암나사산(21')에 제공된다. 중간 캡(60)이 카트리지(2)에 연결될 때, 중간 캡(60)과 카트리지(2) 사이에 규정된 상대 배향이 유리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및/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 26)은 중간 캡(60)이 카트리지(2)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4에는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만 예시되어 있고, 카트리지(2)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중간 캡(60)은 에지 영역(64)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기본 구조체(10')의 측벽(10''')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에지 영역(14)을 포함한다. 에지 영역(14)은 중간 캡 벽(62) 아래로 연장되며, 중간 캡 벽(62)과 중첩된다. 에지 영역(14)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상에 중간 캡(60)을 고정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밀봉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에지 영역(14)은 크림핑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사시도, 개략적인 단면도 및 일반적인 작동 원리를 도시한다.
묘사된 카트리지 시스템(1)은 음료(70)를 제조하기 위해 음료 조제기(도시되지 않음)에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카트리지 시스템(1)은 음료 물질(7)로 충전되는 카트리지(2)와, 특히 중간 캡(60)을 통해 카트리지(2)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을 구비한다. 음료 조제기 내에서, 대응하는 음료(70)는 음료 물질(7)과 이하의 문맥에서 유체 공급원(41)으로 지칭되는 추가 수원(water source)의 도움으로 만들어진다. 이 경우, 카트리지(2)는 바람직하게는 특정 음료 부분, 예를 들어 원하는 음료(70)가 충전되어 있는 음료 잔을 만드는 데 필요한 미리 분배된 양의 음료 물질(7)로 충전되어 있다. 음료 물질(7)은 특히 시럽 형태의 액체 및 탄산 음료 농축액이다.
원칙적으로, 특히 복수의 상이한 카트리지 시스템(1)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 카트리지(2) 또는 저장소(6)는 상이한 음료(70)를 제조하기 위해 상이한 음료 물질(7)로 충전된다. 시스템(1)의 사용자가 특정 음료(70)를 마시고자 할 때, 그는 복수의 상이한 카트리지 시스템(1) 중에서 원하는 음료(70)를 제조하기 위한 대응하는 음료 물질(7)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을 선택하고, 이를 음료 조제기의 저장 유닛에 삽입하고, 예를 들어 시작 버튼을 누르거나 적절한 방식으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제스처 또는 음성 제어 또는 휴대 전화의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료 조제기에서 음료 제조 과정을 시작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새로운 카트리지 시스템(1)이 유지 유닛에 삽입되는 것이 감지될 때 음료 제조 공정이 자동으로 시작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경우에, 원하는 음료(70)가 자동으로 제조되고, 음료 용기로 이송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 후, 다 사용한 카트리지 시스템(1)은 제거되어 폐기된다. 이제 음료 조제기는 다시 한 번 원하는 새 카트리지 시스템(1)으로 충전되어 추가 음료(70)를 제조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음료 물질(7)은 바람직하게는 카페인, 탄산, 과일 및/또는 설탕 탄산음료 및 주스, 맥주(혼합) 음료 또는 다른 알코올 또는 비알코올(혼합) 음료와 같은 청량 음료용 액체 프리믹싱 성분을 포함한다.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2)의 바람직하게는 포위형인 제1 연결 수단(20) 및 중간 캡(60)의 바람직하게는 포위형인 제1 정합 연결 수단(21)을 통해 중간 캡(60)에 연결, 바람직하게는 나사 체결된다. 이후, 중간 캡(60)은 카트리지 리셉터클(10)에 연결된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특히 본체(2')의 생산 후, 카트리지(2)에 음료 물질(7)을 충전한 후 및/또는 밀봉 요소(18)의 적용에 의해 저장소(6)를 폐쇄한 이후 및/또는 동안 및/또는 이전에 카트리지(2)에 및/또는 중간 캡(60)에 연결된다. 제1 연결 수단(20) 및/또는 제1 정합 연결 수단(21)은 바람직하게는 제1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카트리지(2)와 중간 캡(60)을 위한 비틀림 방지 디바이스가 형성된다. 카트리지 벽(2'') 및 중간 캡(60)은 추가로 접착식으로 접합, 용접 및/또는 함께 가압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바람직하게는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을 구비하며, 이는 중간 캡(60)의 상보적인 제2 연결 수단(22)에 연결된다. 제2 정합 연결 수단(23)과 제2 연결 수단(22)은 예를 들어, 상보적인 래칭 홈 및 래칭 비드일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나사산일 수도 있다. 제2 정합 연결 수단(23) 및/또는 제2 연결 수단(22)의 도움 및/또는 추가 요소의 도움으로,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사이의 상대적인 배향을 고정하고 규정하기 위한 비틀림 방지 디바이스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카트리지(2)는 (20 ℃의 온도 및 1 bar의 외부 압력에서) 파열되지 않고 최대 12 bar,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bar,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8 bar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최대 6 bar의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소(6)는 10 내지 500 밀리리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밀리리터, 매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60 밀리리터의 부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음료 생산 공정 동안 저장소(6)에 유체 연결되는 혼합 챔버(8)를 가지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카트리지 비움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음료 물질(7)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장소(6)로부터 혼합 챔버(8)로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트리지 비움 디바이스는 압축 공기 라인(40)을 포함한다. 압축 공기 라인(40)의 한쪽 단부는 압축 공기 라인(40)으로 압축 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음료 조제기의 압축 공기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는 압축 공기 연결부(42)에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는 저장소(6)의 방향으로 개방된 압축 공기 유출구로 이어져 저장소(6)로 압축 공기를 도입한다. 압축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음료 물질(7)이 혼합 챔버(8)로 밀려 들어간다. 압축 공기 라인(40)은 피어싱 스파이크(73)의 내부에서, 압축 공기 공급원에 연결하기 위한 외부 압축 공기 연결부(42)로부터 피어싱 스파이크의 팁의 영역에 있는 압축 공기 유출구(43)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상정될 수 있다.
음료 조제기의 유체 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유체 공급부(12)는 또한 혼합 챔버(8)로 이어진다. 유체 공급부는 퀵 커플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체 공급부(12)를 음료 조제기의 유체 공급원에 연결할 수 있다. 퀵 커플링은 예를 들어 카트리지 시스템(1)이 유지 유닛에 삽입될 때, 유체 공급부(12)를 통해 유체 공급원과 혼합 챔버(8) 사이에 유체 연결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음료 생산 공정 동안, 유체, 특히 냉각 및 탄산 식수는 이 유체 연결을 통해 유체 공급부(12)로부터 혼합 챔버(8)로 전달된다. 또한, 음료 생산 공정 동안, 음료 물질(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소(6)로부터 혼합 챔버(8)로 이동한다. 음료 물질(7)이 혼합 챔버(8) 내의 유체와 혼합된 결과, 음료(70)가 형성되고, 그 후 음료는 음료 유출구(11)를 통해 혼합 챔버(8)를 떠난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음료 유출구(11)를 가지며, 이를 통해 혼합 챔버(8) 내에서 생성된 음료(70)가 혼합 챔버(8)를 떠나고, 특히 음료 조제기의 일부가 음료(70)와 접촉하지 않고 음료 용기로 직접 이송된다(묘사되지 않음).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 조제기의 역 오염이 방지된다. 음료 용기는 특히 음료 유출구(11)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음료 제조 공정이 완료된 후, 카트리지 시스템(1)이 유지 유닛으로부터 제거되어 음료 조제기에 새롭고 사용하지 않은 카트리지 시스템(1)이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선택적으로 래칭 연결을 해제하여 사용된 카트리지(2) 및 중간 캡(60)으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카트리지(2) 및/또는 중간 캡(60)에 클립으로 고정됨으로써 재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2)도 재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특히, 카트리지(2)는 새로운 음료 물질(7)로 충전되고 밀봉 요소(18)로 밀봉될 수 있는 것으로 상정 가능하다. 또한, 특히 중간 캡(60)의 도움으로 새로운 밀봉 필름(18'')을 새로운 카트리지(2)에 부착하기 위해 중간 캡(60)을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 더 생각할 수 있다.
저장소(6)와 혼합 챔버(8) 사이의 유체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피어싱 스파이크(73)가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파이크 가이드(80)를 갖는다. 밀봉 요소(18)는 피어싱 스파이크(73)가 밀봉 요소(18)로부터 떨어져 있는 후퇴 위치(도 5b 참조)와 피어싱 스파이크(73)가 밀봉 요소(18)를 관통하고 저장소(6)로 돌출되는 확장 위치 사이로 이동되는 변위 가능한 피어싱 스파이크(73)에 의해 천공된다. 후퇴 위치로부터 확장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피어싱 스파이크(73)는 피어싱 스파이크(73)가 밀봉 요소(18)를 관통하기 전에 중간 캡(60)의 피어싱 개구(63)를 통과한다.
피어싱 스파이크(73)의 외벽에는 밀봉 요소(18)가 관통될 때 음료 물질(7)을 저장소(6)로부터 혼합 챔버(8)의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측면 채널(71)이 제공된다. 측면 채널(71)은 한쪽이 개방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의 형태로 구성된다. 밀봉 요소(18)가 관통된 후, 측면 채널(71)은 저장소(6)에 유체 연결되어 음료 물질(7)이 혼합 챔버(8)의 방향으로 관통된 밀봉 요소(18)의 에지 주위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측면 채널(71)의 단면 및/또는 측면 채널(71)의 수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음료 물질(7)의 점도에 맞게 조정되어, 측면 채널(71)이 혼합 챔버(8)의 방향으로의 음료 물질(7)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제한한다. 점도가 높은 경우, 복수의 측면 채널(71) 및/또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을 갖는 측면 채널(71)이 사용되는 반면, 점도가 낮은 경우, 더 적은 수의 측면 채널(71) 및/또는 더 작은 단면을 갖는 측면 채널(71)이 제공된다.
또한 피어싱 스파이크(73)에는 카트리지 비움 디바이스 역할을 하는 압축 공기 라인(40)이 통합되어 있다. 압축 공기 라인(40)은 피어싱 스파이크(73)가 확장 위치에 있을 때 피어싱 스파이크(73)의 단부에 있는 저장소(6)로 연결된다.
특히 저장소(6)로부터 떨어져 있는 피어싱 스파이크(73)의 측면에는 압축 공기 연결부(42)가 형성되며, 따라서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고 음료 조제기의 압축 공기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어싱 스파이크(73)는 카트리지 시스템(10)이 음료 조제기에 삽입되는 동안 또는 삽입된 후에 또는 음료 제조 공정이 시작된 후에, 바람직하게는 피어싱 스파이크(73)가 밀리는 대상인 유지 유닛의 고정 해제 요소에 의해 후퇴 위치로부터 확장 위치로 이송된다. 피어싱 스파이크(71)는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공급원 및 압축 공기 공급원 모두는 카트리지 시스템(1)이 음료 조제기에 삽입되거나 음료 제조 공정이 시작되는 즉시, 특히 밀봉 요소(18)가 관통되기 전에 각각 유체 공급부(12) 및 압축 공기 연결부(42)에 직접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카트리지 시스템(1)의 삽입 직후에 유체 공급부(12) 및 카트리지 비움 디바이스가 과압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음료 조제기 방향으로의 역오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이는 음료 물질(7)이 각각 유체 공급원 및 압축 공기 공급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음료 물질(7)은 밀봉 요소(18)가 개방되자마자 저장소(6)로부터 혼합 챔버(8)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도 5c 참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컵 모양 구성을 갖는 기본 구조체(10')를 포함한다. 이 컵 모양의 구성의 개방 측은 카트리지(2)의 방향을 가리키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트리지(2)와 중간 캡(60)을 수용한다. 반대쪽 바닥 측(10'')에서, 기본 구조체(10')는 음료 유출구 개구(11)와 외측으로 개방된 스파이크 가이드(80)를 갖는다. 유체 공급부(12)는 기본 구조체(10')의 측벽(10''') 상에 형성된다. 특히, 기본 구조체(10')는 플라스틱 부품으로 구성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예시한다. 카트리지(2)는 음료 물질(7)을 위한 저장소(6)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의 본체(2') 또는 카트리지(2) 자체는 특히 유리로 또는 유리의 도움을 받아 제조된다. 중간 캡(60)은 카트리지(2)의 입구 영역에서 카트리지(2)에 부착된다. 중간 캡(60)은 베이스 영역(61)과 베이스 영역(61)으로부터 돌출되어 카트리지(2)의 입구 영역에서 카트리지 벽을 둘러싸는 중간 캡 벽(62)을 포함한다. 베이스 영역(61)은 피어싱 스파이크(73)의 통과를 위해 제공되는 피어싱 개구(63)를 포함한다. 피어싱 개구(63)는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피어싱 개구(63) 또는 각진 또는 타원형 피어싱 개구(63)를 생각할 수 있다. 피어싱 개구(63)는 피어싱 스파이크(73)의 치수와 일치하거나, 그리고/또는 피어싱 스파이크(73)가 통과할 때 후자를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피어싱 스파이크(73)는 피어싱 개구(63)를 통과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 요소(18)까지 전진하여 밀봉 요소를 천공, 관통 및/또는 개방할 수 있다. 특히, 밀봉 요소(18)는 밀봉 필름(18'')으로서 설계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에서, 피어싱 스파이크(73)는 확장 위치에 있으며, 피어싱 스파이크(73)는 밀봉 요소(18)를 관통하여 저장소(6)로 돌출되어 있다.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 벽(2'')에 수나사산(20')으로서 설계된 제1 연결 수단(20)을 갖는다. 중간 캡(60)은 암나사산(21')으로서 설계된 제1 정합 연결 수단(21)을 포함한다. 중간 캡(60)은 암나사산(21')을 통해 카트리지(2)의 수나사산(20')에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중간 캡(60)은 나사 캡으로서 설계된다. 원주형 밀봉 링(16') 형태의 밀봉 수단(16)이 중간 캡(60)의 베이스 영역(61)과 카트리지(2)의 단부면(5) 사이에 형성된다. 카트리지(2)와 중간 캡(60) 사이의 전이부는 밀봉 링(16')에 의해 밀봉되므로, 이 전이부를 통해 카트리지 시스템(1)으로부터 액체가 유출되지 않다. 또한, 밀봉 링(16')은 카트리지(2) 및/또는 중간 캡(60)의 제조 공차의 균형을 맞추거나 보정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추가의 밀봉 수단(17)은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사이에 배치되고,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사이의 전이부를 밀봉하여,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사이의 전이부를 통해 액체가 카트리지 시스템(1)으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또한, 추가의 밀봉 수단(17)은 특히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 모두가 회전 대칭되도록 설계되거나, 그리고/또는 비틀림 방지를 위한 평평한 부분이 없는 경우에,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사이의 비틀림 방지 디바이스(마찰)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서로에 대한 원치 않는 비틀림으로부터 특히 유리한 보호를 달성하기 위해, 단단한 구성요소(특히 중간 캡 및/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와 부드러운 구성요소(특히 추가의 밀봉 수단(17)) 사이에 치형부를 형성하는 것이 선택적으로 상정될 수 있다. 추가의 밀봉 수단(17)은 예를 들어, 2성분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사출 성형되거나 추가 부품으로서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임의의 원하는 위치, 특히 홈에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추가의 밀봉 수단(17)은 원주형 밀봉 링(17')으로서 설계된다. 추가의 밀봉 수단(17)은 특히 제2 연결 수단(22) 및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의 영역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2 연결 수단(22)은 래칭 홈(22')으로서 설계될 수 있고,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은 래칭 비드(23')로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연결 수단(22)은 예를 들어 래칭 비드로서 설계될 수 있고,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은 래칭 홈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제2 연결 수단(22) 및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을 통해 서로 체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시스템(1)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7에 따른 실시예는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밀봉 요소(18)는 밀봉 필름(18'')으로서 설계되고, 카트리지(2)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유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링(16')으로서 설계된 밀봉 수단(16)은 카트리지(2)의 단부면(5)과 중간 캡(60)의 베이스 영역(61) 사이에 배열된다. 또한, 밀봉 링(17')으로서 설계된 추가의 밀봉 수단(17)은 중간 캡(60)과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사이의 전이부를 밀봉하기 위해 제2 연결 수단(22)과 제2 정합 연결 수단(23) 사이에 배열된다. 제2 연결 수단(22)은 중간 캡(60)의 래칭 홈(22')으로서 설계되고,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은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래칭 비드(23')로서 설계된다.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와 달리, 중간 캡(60)은 제1 정합 연결 수단(21)의 도움으로 카트리지(2)에 래치 및/또는 스냅되며, 특히 나사 체결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카트리지(2)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 입구의 플랜지 영역 또는 래칭 비드로서 설계된 제1 연결 수단(20)을 갖는다. 밀봉 수단(16) 및 추가의 밀봉 수단(17)의 경우, 도 6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구성, 기능 및 이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 요소(18)의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를 예시한다. 밀봉 요소(18)는 플라스틱 캡으로서 설계되고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캡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의 도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캡은 크림프 캡, 래칭 캡 또는 나사 캡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트리지에 크림프, 래칭 또는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밀봉 요소(18), 특히 플라스틱 캡은 피어싱 스파이크(73)의 통과를 위해 약화부(18'''')를 갖는다. 약화부(18'''')는 특히 플라스틱 캡의 인접한 영역과 비교하여 두께가 감소된 플라스틱 캡의 영역이다. 약화부(18'''')는 플라스틱 캡의 형성 중에,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중에, 플라스틱 캡의 얇아진 영역으로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약화부를 생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캡의 추가적인 후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도 8에 도시된 플라스틱 캡은 밀봉 요소(18)로서, 예를 들어, 전술한 중간 캡(60)의 상이한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플라스틱 캡은 밀봉 요소(18)로서, 예를 들어 전술한 밀봉 수단(16) 및 추가의 밀봉 수단(17)에 대한 상이한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 또는 전체 영역 밀봉 수단(16)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단은 별도의 인서트로서 또는 2성분 사출 성형의 도움으로 밀봉 요소(18)의 일부로서 또는 중간 캡(60)의 일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의 밀봉 수단(17)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단은 별도의 인서트로서 또는 2성분 사출 성형의 도움으로 중간 캡(60)의 일부 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일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캡(60)의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중간 캡(60)은 특히 약화부(60') 및/또는 프리펀칭을 갖는 플라스틱 캡으로서 설계된다. 이 경우, 중간 캡(60)은 중간 캡(60)의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피어싱 개구(63)를 갖지 않을 수 있다. 피어싱 개구(63)는 피어싱 스파이크(73)가 약화부(60') 영역에서 중간 캡(60)의 베이스 영역(61)을 개방함으로써 생성된다. 따라서 피어싱 개구(63)는 특히 피어싱 스파이크(73)가 밀봉 요소(18)를 개방하기 전에, 약화부의 영역(60')에서 중간 캡(60)을 관통 및/또는 삽입하는 피어싱 스파이크(73)의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다. 도 9에 도시된 플라스틱 캡은 예를 들어, 전술한 카트리지 시스템(1)의 상이한 실시예와 함께 중간 캡(60)으로서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플라스틱 캡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밀봉 수단(16) 및 추가의 밀봉 수단(17)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중간 캡(60)으로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 또는 전체 영역 밀봉 수단(16)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단은 별도의 인서트로서 또는 2성분 사출 성형의 도움으로 밀봉 요소(18)의 일부 또는 중간 캡(60)의 일부로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추가의 밀봉 수단(17)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단은 별도의 인서트로서 또는 2성분 사출 성형의 도움으로 중간 캡(60)의 일부 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일부로서 설계된다.
1 카트리지 시스템
2 카트리지
2' 본체
2'' 카트리지 벽
2''' 카트리지 베이스
2'''' 카트리지 벽의 에지
5 단부면
6 저장소
7 음료 물질
8 혼합 챔버
10 카트리지 리셉터클
10' 기본 구조체
10'' 바닥 측
10''' 기본 구조체의 측벽
11 음료 유출구
12 유체 공급부
14 기본 구조체의 측벽의 에지 영역
16 밀봉 수단
16' 밀봉 링
17 추가의 밀봉 수단
17' 밀봉 링
18 밀봉 요소
18'' 밀봉 필름
18'''' 밀봉 요소의 약화부
20 제1 연결 수단
20' 수나사산
21 제1 정합 연결 수단
21' 암나사산
22 제2 연결 수단
22' 래칭 홈
23 제2 정합 연결 수단
23' 래칭 비드
25 제1 비틀림 방지 수단
25' 홈
25'' 리브
26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
40 압축 공기 라인
42 압축 공기 연결부
43 압축 공기 유출구
60 중간 캡
60' 중간 캡의 약화부
61 중간 캡의 베이스 영역
62 중간 캡 벽
63 관통 개구
64 중간 캡의 에지 영역
70 음료
71 측면 채널
73 피어싱 스파이크
80 스파이크 가이드
90 개구

Claims (38)

  1. 음료(70)를 제조하기 위한 카트리지 시스템(1)으로서, 상기 카트리지 시스템(1)은 음료 조제기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카트리지 시스템(1)은 음료 물질(7)로 충전되는 저장소(6)를 포함하는 카트리지(2) 및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상기 저장소(6)와 유체 연결을 이룰 수 있는 혼합 챔버(8) 및 상기 혼합 챔버(8) 내로 개방되는 유체 공급부(12)를 갖는 카트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시스템은 중간 캡(60)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2)는 제1 연결 수단(20)을 갖고, 상기 중간 캡(60)은 상기 제1 연결 수단(20)과 상보적인 제1 정합 연결 수단(21)을 가지며, 상기 제1 정합 연결 수단(21)은 상기 제1 연결 수단(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시스템(1)은 밀봉 요소(18)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2)의 개구(90)는 특히 상기 카트리지 시스템(1)의 초기 상태에서 상기 밀봉 요소(18)에 의해 폐쇄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합 연결 수단(21)은 상기 제1 연결 수단(20)에 형상결합식으로(positively), 비형상결합식으로(nonpositively) 그리고/또는 재료적으로(materially) 연결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수단(20)은 수나사산(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합 연결 수단(21)은 암나사산(21')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2) 및 상기 중간 캡(60)은 특히 상기 카트리지(2)의 수나사산(20') 및 상기 중간 캡(2)의 암나사산(2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가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을 갖고, 그리고/또는 상기 중간 캡(60)이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6)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2)와 상기 중간 캡(60) 사이의 상대적 배향이 상기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 및/또는 상기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6)의 도움으로 규정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은, 특히 수직인 리브(25'') 및/또는 특히 수직인 홈(25')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중간 캡(60)의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6)은 특히 수직인 리브 및/또는 특히 수직인 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5)은 상기 카트리지(2)의 수나사산(20')의 일부로서 설계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카트리지(2)의 수나사산(20')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추가의 제1 비틀림 방지 수단(26)은 상기 중간 캡(60)의 상기 암나사산(21')의 일부로서 설계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중간 캡(60)의 상기 암나사산(21')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캡(60)은 베이스 영역(61) 및 중간 캡 벽(62)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 캡 벽(62)은 특히 상기 베이스 영역(61)으로부터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베이스 영역(6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 캡(60)은 바람직하게는 컵 모양으로 디자인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캡(60)의 상기 베이스 영역(61)은 특히, 상기 베이스 영역(61)의 피어싱 개구(63)를 통해 피어싱 스파이크(73)를 통과시키기 위한 피어싱 개구(63)를 갖는, 카트리지 시스템(1).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합 연결 수단(21)이 상기 중간 캡 벽(62) 상에 배열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18)는 상기 카트리지(2)의 카트리지 벽(2'')의 에지(2'''')와 상기 중간 캡(60)의 상기 베이스 영역(61) 사이에 배열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18)는 밀봉 필름(18'')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필름(18'')은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 필름 또는 플라스틱 및/또는 알루미늄의 다층 필름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18), 특히 상기 밀봉 필름(18'')은 상기 카트리지(2), 특히 상기 카트리지 벽(2'')에 접착식 접합, 밀봉 및/또는 용접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필름(18'')은 유도 용접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벽(2'')의 에지(2''''), 특히 상기 카트리지 벽(2'')의 단부면(5) 상에 고정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캡(60)이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에 연결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캡(60)은 제2 연결 수단(22)을 갖고, 그리고/또는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을 가지며, 상기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결 수단(22)에 형상결합식으로, 비형상결합식으로 그리고/또는 재료적으로 연결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수단(22)은 하나 이상의 래칭 홈(22') 및/또는 하나 이상의 래칭 비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 및/또는 수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합 연결 수단(23)은 하나 이상의 래칭 홈 및/또는 하나 이상의 래칭 비드(23')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 및/또는 암나사산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캡(60)이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을 가지고 그리고/또는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이 추가의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을 가지며, 상기 중간 캡(60)과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사이의 상대적 배향은 상기 제2 비틀림 방지 수단 및/또는 추가의 제2 비틀림 방지 수단의 도움으로 규정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16)의 도움으로 상기 카트리지(2)와 상기 중간 캡(60) 사이에 밀봉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밀봉 수단(17)의 도움으로 상기 중간 캡(60)과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 사이에 밀봉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는 특히 컵 모양 디자인의 본체(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2')는 카트리지 베이스(2''')에 의해 일측이 폐쇄되는 카트리지 벽(2'')의 도움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는 특히 상기 저장소(6)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특히 완전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기본 구조체(10')를 갖는, 카트리지 시스템(1).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구조체(10')는 컵 모양의 구성을 가지며, 그 개방 측은 상기 카트리지(2)의 방향으로 배향되고, 음료 유출구 개구(11) 및 외측으로 개방된 스파이크 가이드(80)가 상기 카트리지(2)의 반대쪽에 위치한 바닥 측(10'') 상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 공급부(12)가 상기 기본 구조체(10')의 바닥 측(10'') 또는 측벽(10''')에 형성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5. 제24항에 있어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피어싱 스파이크(73)가 상기 스파이크 가이드(80) 내에 배열되고, 상기 피어싱 스파이크(73)는 상기 피어싱 스파이크(73)가 상기 밀봉 요소(18)로부터 떨어져 있는 후퇴 위치와 상기 피어싱 스파이크(73)가 상기 밀봉 요소(18)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소(6)로 돌출되는 확장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카트리지 시스템(1).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스파이크(73)의 외벽은 상기 밀봉 요소(18)가 관통되었을 때 상기 혼합 챔버(8)의 방향으로 음료 물질(7)을 운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채널(71)을 갖는, 카트리지 시스템(1).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스파이크(73)는 통합 압축 공기 라인(40)을 가지며, 상기 압축 공기 라인(40)은 상기 피어싱 스파이크(73)의 내부에서, 압축 공기 공급원에 연결하기 위한 외부 압축 공기 연결부(42)로부터 상기 피어싱 스파이크의 팁 영역에 있는 압축 공기 유출구(43)로 연장되고, 상기 저장소(6)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설계된, 카트리지 시스템(1).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챔버(8)는 상기 음료 물질(7)과 유체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음료(70)가 배출되는 음료 유출구(11)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 유출구(11)로부터 상기 음료(70)가 휴대용 용기로 직접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 시스템(1).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것과 같은 카트리지 시스템(1)을 포함하는 음료 조제기.
  30.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것과 같은 카트리지 시스템(1)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 제1 공정 단계에서, 상기 카트리지(2) 및 상기 중간 캡(60)이 제공되고,
    -- 상기 제1 공정 단계 이후 제2 공정 단계에서, 상기 카트리지(2) 및 상기 중간 캡(60)은 상기 카트리지(2)의 제1 연결 수단(20) 및 상기 중간 캡(60)의 제1 정합 연결 수단(2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공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 단계 전 중간 단계에서, 밀봉 요소(18), 특히 밀봉 필름(18'')이 상기 중간 캡(60)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중간 캡(60) 상에 고정되는, 공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18), 특히 밀봉 필름(18'')은 상기 제2 공정 단계 전 상기 중간 단계에서, 왁스 및/또는 플라스틱에 의해 상기 중간 캡(60) 상에 고정, 특히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공정.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캡(60) 상에 고정된 상기 밀봉 요소(18)는 상기 제2 공정 단계에서 상기 카트리지 벽(2'')의 에지(2'''')에 접착식으로 접합, 밀봉 및/또는 용접되는, 공정.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공정 단계의 제1 부분 단계에서, 상기 카트리지(2) 및 상기 중간 캡(60)은 상기 카트리지(2)의 제1 연결 수단(20) 및/또는 상기 중간 캡(60)의 제1 정합 연결 수단(2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특히 서로 나사 체결되고,
    -- 상기 제1 부분 단계에 이은 상기 제2 공정 단계의 제2 부분 단계에서, 상기 중간 캡(60) 상에 고정된 상기 밀봉 요소(18)는 유도 용접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2)에, 특히 상기 카트리지 벽(2'')의 에지(2'''')에 연결되는, 공정.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 단계 전에, 발포 층이 상기 중간 캡(60)에 그리고/또는 상기 밀봉 요소(18) 상에 배열되는, 공정.
  36.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 단계 이전, 동안 및/또는 이후의 제3 공정 단계에서, 상기 중간 캡(60) 및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이 상기 중간 캡의 제2 연결 수단(22) 및/또는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제2 정합 연결 수단(23)에 의해 연결되는, 공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정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중간 단계에서,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은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공정.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피어싱 스파이크(73)가 상기 제3 공정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되는 추가의 중간 단계에서 생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10)의 스파이크 가이드(80)에 도입되는, 공정.
KR1020237013931A 2020-10-22 2021-10-21 카트리지 시스템, 음료 조제기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KR202300711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13333.6 2020-10-22
DE102020213333 2020-10-22
DE102020213332 2020-10-22
DE102020213332.8 2020-10-22
DE102020215357 2020-12-04
DE102020215357.4 2020-12-04
DE102020215361 2020-12-04
DE102020215361.2 2020-12-04
DE102021202396.7 2021-03-11
DE102021202395 2021-03-11
DE102021202394 2021-03-11
DE102021202394.0 2021-03-11
DE102021202396 2021-03-11
DE102021202395.9 2021-03-11
PCT/EP2021/079271 WO2022084476A1 (de) 2020-10-22 2021-10-21 Kartuschensystem;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rtuschen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181A true KR20230071181A (ko) 2023-05-23

Family

ID=7841400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938A KR20230071182A (ko) 2020-10-22 2021-10-21 카트리지 시스템, 음료 조제기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KR1020237013944A KR20230071183A (ko) 2020-10-22 2021-10-21 카트리지 시스템, 음료 조제기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KR1020237013931A KR20230071181A (ko) 2020-10-22 2021-10-21 카트리지 시스템, 음료 조제기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938A KR20230071182A (ko) 2020-10-22 2021-10-21 카트리지 시스템, 음료 조제기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KR1020237013944A KR20230071183A (ko) 2020-10-22 2021-10-21 카트리지 시스템, 음료 조제기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20230355029A1 (ko)
EP (3) EP4232399A1 (ko)
JP (3) JP2023550003A (ko)
KR (3) KR20230071182A (ko)
CN (2) CN116348409A (ko)
AU (3) AU2021363626A1 (ko)
BR (3) BR112023002759A2 (ko)
CA (3) CA3196440A1 (ko)
IL (3) IL300710A (ko)
WO (3) WO20220844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667A (en) * 1979-10-12 1981-12-22 The Coca-Cola Company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syrup package, valving system, and carbonator therefor
US6554165B2 (en) * 2001-03-15 2003-04-29 Cactrus Drink Systems Inc. Beverage dispenser
GB0129176D0 (en) * 2001-12-06 2002-01-23 Dca Design Int Ltd Improvements in and realting to a medicament cartridge assembly
EP2017221A1 (en) * 2007-07-19 2009-01-21 Nestec, Ltd.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GB201321295D0 (en) * 2013-12-03 2014-01-15 Hodges & Drake Design Ltd Apparatus for dispensing a flavour alcoholic beverage
ES2939370T3 (es) 2016-01-12 2023-04-21 Freezio Ag Sistema de dispensador con soporte para cartucho
DK3644802T3 (da) 2017-06-26 2021-08-02 Freezio Ag Anordning til fremstilling af en drik
US20210000289A1 (en) * 2017-11-27 2021-01-07 Freezio Ag Cartridge receptacle, cartridge system,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55029A1 (en) 2023-11-09
BR112023002759A2 (pt) 2023-05-02
JP2023550003A (ja) 2023-11-30
CA3196483A1 (en) 2022-04-28
AU2021367157A1 (en) 2023-03-09
AU2021363626A1 (en) 2023-03-09
WO2022084477A1 (de) 2022-04-28
CA3196440A1 (en) 2022-04-28
JP2023547586A (ja) 2023-11-13
CN116348409A (zh) 2023-06-27
BR112023002568A2 (pt) 2023-05-02
KR20230071182A (ko) 2023-05-23
BR112023002767A2 (pt) 2023-05-02
AU2021366312A1 (en) 2023-03-16
CN116438134A (zh) 2023-07-14
IL300710A (en) 2023-04-01
IL300303A (en) 2023-04-01
JP2023542793A (ja) 2023-10-12
EP4232399A1 (de) 2023-08-30
US20230329476A1 (en) 2023-10-19
IL300713A (en) 2023-04-01
WO2022084476A1 (de) 2022-04-28
EP4232397A1 (de) 2023-08-30
CA3196468A1 (en) 2022-04-28
KR20230071183A (ko) 2023-05-23
US20230348253A1 (en) 2023-11-02
EP4232398A1 (de) 2023-08-30
WO2022084475A1 (de)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4725A1 (en) Cartridge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rtridge System
CN108495808B (zh) 用于制造饮料的盒接收座、盒系统、饮料制备机和方法
US20220287495A1 (en) Cartridge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rtridge System
KR20230071181A (ko) 카트리지 시스템, 음료 조제기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CN116507577A (zh) 筒系统、饮料制备机和用于制造筒系统的方法
CA3221133A1 (en) Cartridge system comprising a cartridge closed by a va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