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865A -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 - Google Patents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865A
KR20230070865A KR1020210156879A KR20210156879A KR20230070865A KR 20230070865 A KR20230070865 A KR 20230070865A KR 1020210156879 A KR1020210156879 A KR 1020210156879A KR 20210156879 A KR20210156879 A KR 20210156879A KR 20230070865 A KR20230070865 A KR 20230070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ground
wheel
rail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홍
신승렬
박정욱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정원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원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정원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1015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0865A/ko
Publication of KR2023007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1/00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 B60F1/02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with rail and road wheels on the sam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03Multidirec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2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convertible, e.g. from road wheel to rail wheel; Wheels specially designed for alternative use on road and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12Roller-typ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51Handling of obstacles or difficult ter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5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haracterised by the ground engaging elements, e.g. wheel type
    • B62B2301/25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haracterised by the ground engaging elements, e.g. wheel type by using roller-shape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차축(100) 양단에 설치되는 레일바퀴(200);
상기 레일바퀴(200)의 외곽에 설치되는 지면바퀴(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레일바퀴(200)는 농작물 사이의 지면(G) 상부 통로에 설치되는 레일(10) 위를 활주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지면바퀴(300)는 레일(10)이 설치되지 않은 지면(G) 위를 활주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차축(10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지면바퀴(300)의 회전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면바퀴(300)에 설치된 보조바퀴(310)에 의하여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면바퀴(30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보조바퀴(310)는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multipurpose mobility for improving movement ability in smart farm}
본 발명은 최근 연구 및 수요가 급증하는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스마트팜용 모빌리티는 농작물 사이의 통로 간 이동이 용이하지 않았던 점에 착안하여 바퀴를 개선하여 인력으로도 쉽게 레일 상호간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가 설치된 스마트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팜 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팜에서 농작물 사이의 통로에는 자동화를 위해서 온습도를 측정하고 농약 및 물을 공급하는 모빌리티가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스마트팜용 모빌리티는 농작물 사이의 통로 지면 위를 활주하거나 레일 위를 활주하게 된다.
보통 상기 통로는 다수개가 농작물 사이에 병렬로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종래의 모빌리티는 그 크기 및 하중으로 인하여 통로 상호간 이동이 쉽지 않으며, 회전 반경 또한 커서 통로 상호간 이동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모빌리티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단지 차축에 설치되는 바퀴를 레일바퀴과 지면바퀴로 변경하여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레일과 지면을 쉽게 활주함과 동시에 인력만으로 통로간 이동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7831호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2020년 05월 27일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5823호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2020년 05월 2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최근 연구 및 수요가 급증하는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스마트팜용 모빌리티는 농작물 사이의 통로 간 이동이 용이하지 않았던 점에 착안하여 바퀴를 개선하여 인력으로도 쉽게 레일 상호간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가 설치된 스마트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부 차축(100) 양단에 설치되는 레일바퀴(200);
상기 레일바퀴(200)의 외곽에 설치되는 지면바퀴(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레일바퀴(200)는 농작물 사이의 지면(G) 상부 통로에 설치되는 레일(10) 위를 활주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지면바퀴(300)는 레일(10)이 설치되지 않은 지면(G) 위를 활주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차축(10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지면바퀴(300)의 회전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면바퀴(300)에 설치된 보조바퀴(310)에 의하여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면바퀴(30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보조바퀴(310)는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 연구 및 수요가 급증하는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스마트팜용 모빌리티는 농작물 사이의 통로 간 이동이 용이하지 않았던 점에 착안하여 바퀴를 개선하여 인력으로도 쉽게 레일 상호간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가 설치된 스마트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가 설치된 스마트팜 시스템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여러 각도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의 외면 케이싱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차축과 바퀴 그리고 레일만의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차축, 바퀴 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면바퀴의 시제품(試製品)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면바퀴의 시제품(試製品)을 차대 및 차축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는,
하부 차축(100) 양단에 설치되는 레일바퀴(200);
상기 레일바퀴(200)의 외곽에 설치되는 지면바퀴(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레일바퀴(200)는 농작물 사이의 지면(G) 상부 통로에 설치되는 레일(10) 위를 활주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지면바퀴(300)는 레일(10)이 설치되지 않은 지면(G) 위를 활주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축(10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지면바퀴(300)의 회전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면바퀴(300)에 설치된 보조바퀴(310)에 의하여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지면바퀴(30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보조바퀴(310)는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가 설치된 스마트팜 시스템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여러 각도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의 외면 케이싱을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차축과 바퀴 그리고 레일만의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차축, 바퀴 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면바퀴의 시제품(試製品)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면바퀴의 시제품(試製品)을 차대 및 차축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10)은 파이프로 구성하여 내부에 농약 또는 물 등의 이동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0)은 지면(G)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받침대(2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20)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데크(D) 쪽에 설치되는 받침대(20)에는 안전상 상기 레일바퀴(200) 또는 상기 지면바퀴(300)가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된 스토퍼(21)를 설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팜 시스템은 농작물 사이의 통로에는 자동화를 위해서 온습도를 측정하고 농약 및 물을 공급하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는 농작물 사이의 통로 지면 위를 활주하거나 레일 위를 활주하게 된다.
보통 상기 통로는 다수개가 농작물 사이에 병렬로 설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병렬도 설치된 다수개의 통로에 레일(10)을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레일(10) 또한 병렬로 다수개가 설치되도록 한다.
병렬로 설치된 다수개의 레일(10) 양단의 출발점 또는 종착점에는 지면(G) 보다는 레벨이 높은 이동데크(D)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데크(D)는 병렬로 설치된 다수개의 레일(10) 양단의 출발점 또는 종착점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도 7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의 하부 차축(100)에는 양단에 레일바퀴(200)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바퀴(200)의 외곽에 설치되는 지면바퀴(300)가 설치된다.
상기 지면바퀴(300)의 반경이 상기 레일바퀴(200)의 반경보다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가 지면(G) 또는 이동데크(D)를 활주할 때는 상기 레일바퀴(200)가 지면(G) 또는 이동데크(D)에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레일바퀴(200)는 통상적인 기차의 바퀴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지면바퀴(300)는,
휠프레임(320);
상기 휠프레임(3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바퀴(31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가 상기 이동데크(D)에 위치하면, 인력으로 옆으로 밀게되고 이때 보조바퀴(310)의 회전으로 다른 라인의 통로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바퀴(300)는,
제1유닛(U1);
상기 제1유닛(U1) 외곽에 설치되는 제2유닛(U2);
으로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닛(U1)과 상기 제2유닛(U2)은 각각,
휠프레임(320);
상기 휠프레임(3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바퀴(31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상기 휠프레임(3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바퀴(310) 상호간에는 구조상 간극이 발생하게 되는 데,
상기 제1유닛(U1)과 상기 제2유닛(U2)의 상호 설치 각도를 조정하여 상기 간극에 다른 유닛의 보조바퀴(310)가 위치하게 한다.
도 9와 같이,
상기 보조바퀴(310)는 라운드형으로 제작되어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1유닛(U1)과 상기 제2유닛(U2)의 결합체는 전체적으로 원의 모습으로 나타나므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주행시 성능저하가 나타나지 않는다.
도 4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 2대를 필요에 따라 옆으로 결합하여 운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2대 중 어느 1대만 레일(10) 위를 활주하게 하면 불필요한 레일(10)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레일(10) 위를 활주하지 않는 모빌리티는 지면(G) 위를 활주하도록 모빌리티 결합시 상호간의 하부 레벨링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가 설치된 스마트팜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병렬로 설치된 다수개의 레일(10) 중 어느 한 레일(10) 상에서의 작업을 마치고 상기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를 상기 이동데크(D)에 위치시키는 정차단계;
(2) 상기 이동데크(D) 상에서 상기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를 측면으로 이동시켜 다른 레일(10)의 출발점에 위치시키는 측면이동단계;
(3) 상기 다른 레일(10) 상에서 이동하며 작업하는 작업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론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모빌리티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단지 차축에 설치되는 바퀴를 레일바퀴과 지면바퀴로 변경하여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레일과 지면을 쉽게 활주함과 동시에 인력만으로 통로간 이동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G: 지면
D: 이동데크
10: 레일
20; 받침대
21: 스토퍼
100: 차축
200: 레일바퀴
300: 지면바퀴
310: 보조바퀴
320: 휠프레임
U1: 제1유닛
U2: 제2유닛

Claims (3)

  1. 하부 차축(100) 양단에 설치되는 레일바퀴(200);
    상기 레일바퀴(200)의 외곽에 설치되는 지면바퀴(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레일바퀴(200)는 농작물 사이의 지면(G) 상부 통로에 설치되는 레일(10) 위를 활주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지면바퀴(300)는 레일(10)이 설치되지 않은 지면(G) 위를 활주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
  2. 제1항에서,
    상기 차축(100)의 회전에 의한 상기 지면바퀴(300)의 회전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면바퀴(300)에 설치된 보조바퀴(310)에 의하여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
  3. 제2항에서,
    상기 지면바퀴(30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보조바퀴(310)는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1000).



KR1020210156879A 2021-11-15 2021-11-15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 KR20230070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879A KR20230070865A (ko) 2021-11-15 2021-11-15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879A KR20230070865A (ko) 2021-11-15 2021-11-15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865A true KR20230070865A (ko) 2023-05-23

Family

ID=8654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879A KR20230070865A (ko) 2021-11-15 2021-11-15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086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23A (ko) 2018-11-09 2020-05-22 (주)큐디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KR20200057831A (ko) 2018-11-14 2020-05-27 신성민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23A (ko) 2018-11-09 2020-05-22 (주)큐디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KR20200057831A (ko) 2018-11-14 2020-05-27 신성민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6484A1 (en) Robotic Work Tool System and a Charging Connector Arrangement for a Robotic Work Tool System
EP3663488B1 (de) Parkroboter für ein kraftfahrzeug
KR102398329B1 (ko) 이동 로봇의 충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377274A1 (de) Ankoppeleinrichtung und ankoppelverfahren
EP3663486B1 (de) Parkroboter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erartigen parkroboters
US9027189B2 (en) Brush height setting assembly and method
DE102011109597A1 (de) Flurförderzeug
DE102018221174A1 (de) Parkroboter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erartigen Parkroboters
DE102018221169B4 (de) Parkroboter für ein Kraftfahrzeug mit wenigstens zwei Radachsen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erartigen Parkroboters
DE102014212427A1 (de) Servicerobotersystem
DE202019000750U1 (de) Selbstfahrendes Fahrzeug zum Bewegen von Platten-Transportgestellen
EP3672465B1 (de) Omnidirektional mobile fahrplattform mit einer arbeitsvorrichtung
DE102021001971A1 (de) Mobiles Transportsystem
EP3559773B1 (de) Verfahren zur navigation und selbstlokalisierung eines sich autonom fortbewegenden bearbeitungsgerätes
DE102017104933B3 (de) Autonome selbstbewegende Arbeitsmaschine sowie autonomes selbstbewegendes Arbeitsmaschinensystem
KR20230070865A (ko) 이동성능을 개선한 스마트팜용 다목적 모빌리티
DE112013001814T5 (de) Automatische Oberleitungsführung
DE102012110581B4 (de) Verbessertes Reinraumshuttle
US7229032B1 (en) Irrigation drive unit
WO2020165068A1 (de) Vorrichtung, vorzugsweise autonome robotervorrichtung, zum mähen von gras
DE102017107141A1 (de) Verfahren zum positionsgenauen Aufnehmen und Abstellen eines Containers durch einen Portalhubstapler und Portalhubstapler dafür
DE102007020328A1 (de) In einem Gebäude selbst fahrender Automat
CN110406340A (zh) 移动底盘和机器人
DE102018221172A1 (de) Parkroboter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erartigen Parkroboters
EP2481333B1 (de) Willkürlich eine Fläche abfahrendes, mobiles Flächenbehandlungs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