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504A - 튜닝 요소를 지닌 멀티 컴포넌트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튜닝 요소를 지닌 멀티 컴포넌트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504A
KR20230070504A KR1020237013645A KR20237013645A KR20230070504A KR 20230070504 A KR20230070504 A KR 20230070504A KR 1020237013645 A KR1020237013645 A KR 1020237013645A KR 20237013645 A KR20237013645 A KR 20237013645A KR 20230070504 A KR20230070504 A KR 20230070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b head
tuning element
axis
crow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트레비스 디 밀레만
Original Assignee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23007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63B53/0412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7Heads with special crown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02Resonance frequency related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butyl or halobuty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ilicon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8Golf club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obtaining a variable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주된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멀티 재료 우드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실시예가 여기에서 설명된다. 멀티 재료 우드 타입 클럽 헤드는 가격 페이스, 크라운, 힐, 토우 및 솔(sole)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금속제 구성요소와, 크라운 대부분 및 힐, 토우 및 솔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비금속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클럽 헤드는 크라운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튜닝 요소를 더 포함하고, 튜닝 요소는 클럽 헤드의 진동 핫스팟에서의 진폭 진동을 1 내지 7 데시벨만큼 감쇠시킨다.

Description

튜닝 요소를 지닌 멀티 컴포넌트 골프 클럽 헤드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2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3/127,869호 및 2020년 9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3/082,925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개시 모두의 내용은 전체가 참조에 의해 여기에 완전히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골프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멀티 컴포넌트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 디자인은 진동 및 음향 반응과 같은 다수의 성능 특징을 고려한다. 진동 또는 음향 반응은 골프 클럽의 소리 및 느낌에 대응한다. 가격 시, 골프 클럽은 다양한 상이한 진폭을 포함하는 다양한 고유 주파수(진동의 “모드”로도 또한 알려져 있음)로 진동한다. 클럽 헤드 디자인 및 구성은 다양한 고유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이한 진폭을 결정한다. 진폭이 높은 고유 주파수가 “주된” 것으로 간주되고, 골프 클럽의 소리에 가장 크게 기여한다. 주된 주파수의 진폭이 너무 높으면, 클럽 헤드는 골퍼에게 너무 크고 불쾌한 소리를 낼 수 있다. 가격 시에 음향적으로 보다 만족스러운 반응을 제공하기 위해, 주된 진동이 감쇠되어야 한다(즉, 상기한 진동의 진폭이 감소되어야 한다). 그러나, 진동 감쇠 수단은 통상 무게중심(CG) 및 관성 모멘트(MOI)와 같은 질량 특성에 악영향을 주는 위치에서 골프 클럽에 상당량의 질량을 추가할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골프 클럽 헤드의 주된 진동을 감쇠시키고, 클럽 헤드의 질량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바람직한 진동 반응을 제공하는 경량의 수단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우드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클럽 헤드의 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금속제 제1 구성요소, 비금속제 제2 구성요소 및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도 1의 클럽 헤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금속제 제1 구성요소, 비금속제 제2 구성요소 및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도 1의 클럽 헤드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복수 개의 층을 포함하는 튜닝 요소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복수 개의 사분면을 획정하는 도 1의 클럽 헤드의 크라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복수 개의 진동 핫스팟을 포함하는 도 1의 클럽 헤드의 크라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은 크라운 로케이팅 피쳐를 더 포함하는 도 1의 클럽 헤드의 크라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b는 복수 개의 진동 핫스팟을 더 포함하는 도 8a의 클럽 헤드의 크라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도 1의 클럽 헤드로부터의 제2 구성요소의 후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경량의 크라운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멀티 재료 구성을 지닌 우드 타입 클럽 헤드(예컨대, 드라이버, 페어웨이 우드 또는 하이브리드)에 관한 것이다. 클럽 헤드가 골프공 가격을 겪으면, 튜닝 요소는 고유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높은 진폭을 감쇠 또는 감소시켜, 개선된 음향 반응 및 바람직한 “보다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한다. 튜닝 요소는 고유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높은 진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 설정된다. 튜닝 요소는 클럽 헤드에 상당량의 질량을 추가하지 않고 클럽 헤드의 음향 반응을 개선한다. 크라운 튜닝 요소는, 전체 클럽 헤드 디자인이 최대화된 클럽 헤드 관성 모멘트 및 낮은 후방의 무게중심 위치와 같은 바람직한 질량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골프공 가격 중에 클럽 헤드 사운드와 느낌을 개선하는 경량의 요소 또는 저질량 요소이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튜닝 요소 및 튜닝 요소 위치는 클럽 헤드 조립 전에 크라운에 대한 정확한 배치로 인해 복합재 골프 클럽 헤드 구성에 유익하다. 더욱이, 튜닝 요소는 클럽 헤드 조립 프로세스 중에 사용되는 열원으로 인해 구조적 무결성을 잃지 않는다. 예컨대, 금속 구성요소와 복합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클럽 헤드가 조립되기 전에 복합재 구성요소 상에 위치 설정된다. 통상, 멀티 컴포넌트 클럽 헤드 구성에 있어서, 복합재 구성요소는 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나 기계적 수단을 통해 금속 구성요소에 고정된다. 복합재 조립 프로세스에서는 열원이 빠지고, 이에 의해 튜닝 요소의 구조적 무결성을 유지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모든 금속 클럽 헤드는 단일체로서 주조되고, 이 경우 페이스 플레이트가 단일체에 용접된다. 페이스 플레이트 용접은 열원을 필요로 하며, 이는 금속 골프 클럽 헤드의 내부 공동 내에 배치되는 임의의 튜닝 요소의 구조적 무결성(예컨대, 용융물)에 영향을 준다. 본 개시에 설명하는 튜닝 요소는 구조적 무결성을 잃어버리지 않거나 재료 특성을 변경하지 않고 크라운 상에 정확하게 위치한다.
예컨대, 클럽 헤드는 제1 구성요소가 금속제 재료로 형성되고 제2 구성요소가 비금속제 재료로 형성되는 2 구성요소 디자인을 포함한다. 제1 구성요소는 하중 지탱 구조와 클럽 헤드 질량 대부분을 포함한다. 제1 구성요소는 가격 페이스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후방 연장 솔 부분 또는 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한다. 솔 연장부를 갖는 제1 구성요소는 중량 조정을 위한 제거식 웨이트를 수용하고, 클럽 헤드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리브와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를 둘러싸서, 크라운 대부분과, 클럽 헤드의 힐, 토우 및 솔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량의 복합재 구조를 포함한다.
튜닝 요소는 주된 고유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높은 진폭을 해결한다. 주된 고유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높은 진폭은 클럽 헤드의 비금속 또는 복합재 구성요소에서 나타난다. 예컨대, 주된 고유 주파수는 복합재 구성요소의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부분에서 나타난다.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은 얇거나 최소 두께로 이루어진 복합재 구성요소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재 구성요소의 얇은 부분은 주된 고유 주파수의 높은 진폭을 포함한다.
튜닝 요소는 음향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제2 구성요소의 크라운 부분에 위치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튜닝 요소는 주된 고유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진폭을 감쇠시키기 위해 크라운의 후방 휠 부분에 위치 설정된다. 튜닝 요소는 5000 Hz를 초과하는 주된 고유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높은 진폭을 해결한다. 멀티 재료 구성과 크라운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는, 튜닝 요소가 없는 유사한 멀티 컴포넌트 클럽 헤드와 비교했을 때에 주된 주파수의 진폭을 1 내지 7 데시벨만큼 감소시킨다. 크라운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는 무게중심 및 관성 모멘트 특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우수한 사운드 제어를 제공한다. 골프공 가격 중에 멀티 컴포넌트 클럽 헤드를 위한 음향 반응을 개선하는 크라운 튜닝 요소에 관한 다수의 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단수 형태,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존재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기 위해 호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문맥상 달리 명확히 나타내지 않는다면 복수 개의 그러한 아이템이 존재할 수 있다.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파라메터(예컨대, 양 또는 조건의 파라메터)의 모든 수치값은, “약”이 실제로 수치값 뒤에 기재되던지 그렇지 않던지 간에,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약”은, 언급된 수치값이 약간의 부정확성을 (값에서의 정확도에 어느 정도 접근하게: 값에 대략 또는 상당히 근사하게: 거의)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약”에 의해 규정되는 부정확성이 그 통상의 의미로 당업계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다면, 여기에서 사용되는 “약”은 상기한 파라메터를 측정 및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변동을 나타낸다. 추가로, 범위의 개시는 모든 값의 개시 및 전체 범위 내에서 더 분할된 범위의 개시를 포함한다. 범위 내의 각각의 값 및 범위의 엔드포인트 모드는 이로써 별개의 실시예로서 개시된다. “포함”,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며, 이에 따라 언급된 아이템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아이템의 존배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아이템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양한 아이템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사용될 때, 이러한 표기는 단순히 편의를 위한 것이지, 아이템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만약 존재한다면, “제1”, “제2”, “제3”, “제4”, “제5” 등의 용어는 유사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지, 반드시 특정 순차적인 또는 연대순의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들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예컨대 여기에 예시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설명되는 것과 다른 순서로 작동 가능한 적절한 조건 하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다. 더욱이, “포함한다”, “갖는다”라는 용어 및 이들의 변형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공정, 방법, 시스템, 물품, 디바이스 또는 장치가 반드시 이들 요소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되거나 상기 공정, 방법, 시스템, 물품,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 고유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만약 존재한다면,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부”, “저부”, “위”, “아래” 등의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반드시 영구적인 상대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들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또는 제조 물품의 실시예들이, 예컨대 여기에 예시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설명되는 것과 다른 방위로 작동 가능한 적절한 조건 하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다. 일관성과 명확성을 위해,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방향성 인용은, 참조된 골프 클럽 헤드가, 클럽 헤드를 위해 미리 정해진 로프트각 및 라이각이 달성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편평한 지면 상에 놓이는 것을 가정한다.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 또는 “전방부”는 일반적으로 (지면에 수직하게 봤을 때에) 골프 클럽 헤드 가격면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을 일컫는다. 반대로, 클럽 헤드의 후방부는 가격면의 반대측에 있고, 가격면 뒤에 있는 것 및/또는 가격 시에 가격면 뒤를 따르는 골프 클럽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한다”, “커플링되는”, “커플링” 등의 용어는 2개 이상의 요소들을 기계적으로나 다른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광의로 이해되어야만 하고 이를 일컫는다. 커플링(기계적이든 다른 방식으로든)은 임의의 시간 동안, 예컨대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 또는 일시적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골프 클럽의 “로프트”나 “로프트각”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적절한 로프트 및 라이 머신으로 측정된, 클럽 페이스와 샤프트 사이에 형성된 각을 일컫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드라이버 골프 클럽 헤드”는 대략 16도 미만, 대략 15도 미만, 대략 14도 미만, 대략 13도 미만, 대략 12도 미만, 대략 11도 미만, 또는 대략 10도 미만의 로프트각을 포함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에서 여기에서 사용되는 “드라이버 골프 클럽 헤드”는 대략 400 cc를 초과, 대략 425 cc를 초과, 대략 445 cc를 초과, 대략 450 cc를 초과, 대략 455 cc를 초과, 대략 460 cc를 초과, 대략 475 cc를 초과, 대략 500 cc를 초과, 대략 525 cc를 초과, 대략 550 cc를 초과, 대략 575 cc를 초과, 대략 600 cc를 초과, 대략 625 cc를 초과, 대략 650 cc를 초과, 대략 675를 cc 초과, 또는 대략 700 cc를 초과하는 체적으로 이루어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드라이버의 체적은 대략 400 cc 내지 600 cc, 대략 425 cc 내지 500 cc, 대략 500 cc 내지 600 cc, 대략 500 cc 내지 650 cc, 대략 550 cc 내지 700 cc, 대략 600 cc 내지 650 cc, 대략 600 cc 내지 700 cc, 또는 대략 600 cc 내지 800 cc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페어웨이 우드 골프 클럽 헤드”는 대략 35도 미만, 대략 34도 미만, 대략 33도 미만, 대략 32도 미만, 대략 31도 미만, 또는 대략 30도 미만의 로프트각을 포함한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페어웨이 우드 클럽 헤드의 로프트각은 대략 12도를 초과, 대략 13도를 초과, 대략 14도를 초과, 대략 15도를 초과, 대략 16도를 초과, 대략 17도를 초과, 대략 18도를 초과, 대략 19도를 초과, 또는 대략 20도를 초과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페어웨이 우드의 로프트각은 12도 내지 35도, 15도 내지 35도, 20도 내지 35도 또는 12도 내지 30도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페어웨이 우드 골프 클럽 헤드”는 대략 400 cc 미만, 대략 375 cc 미만, 대략 350 cc 미만, 대략 325 cc 미만, 대략 300 cc 미만, 대략 275 cc 미만, 대략 225 cc 미만, 또는 대략 200 cc 미만의 체적으로 이루어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페어웨이 우드의 체적은 대략 150 cc 내지 200 cc, 대략 150 cc 내지 250 cc, 대략 150 cc 내지 300 cc, 대략 150 cc 내지 350 cc, 대략 150cc 내지 400 cc, 대략 300 cc 내지 400 cc, 대략 325 cc 내지 400 cc, 대략 350 cc 내지 400 cc, 대략 250 cc 내지 400 cc, 대략 250 내지 350 cc, 또는 대략 275 내지 375 cc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골프 클럽 헤드”는 대략 40도 미만, 대략 39도 미만, 38도 미만, 대략 37도 미만, 대략 36도 미만, 대략 35도 미만, 대략 34도 미만, 대략 33도 미만, 대략 32도 미만, 대략 31도 미만, 또는 대략 30도 미만의 로프트각을 포함한다. 더욱이 여러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의 로프트각은 대략 16도를 초과, 대략 17도를 초과, 대략 18도를 초과, 대략 19도를 초과, 대략 20도를 초과, 대략 21도를 초과, 대략 22도를 초과, 대략 23도를 초과, 대략 24도를 초과, 또는 대략 25도를 초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페어웨이 우드 골프 클럽 헤드”는 대략 200도 미만, 대략 175도 미만, 대략 150도 미만, 대략 125도 미만, 대략 100도 미만, 또는 대략 75도 미만의 로프트각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의 체적은 대략 100 cc 내지 150 cc, 대략 75 cc 내지 150 cc, 대략 100 cc 내지 125 cc, 또는 대략 75 cc 내지 125 cc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데시벨”이라는 용어는 진동 진폭의 단위를 일컫는다. 진동의 데시벨은 로그 스케일로 측정된다. 데시벨 스케일의 로그 특징으로 인해, 진폭의 데시벨의 선형 증가는 선형 스케일로 측정했을 때에 진동 진폭(또는 “진동 에너지”)의 기하급수적 증가와 상관 관계가 있다. 이와 같이, 진동 진폭 데시벨값의 감소 및/또는 증가는 심지어 1 또는 2 데시벨만큼이라도 진동 진폭 크기의 현저한 감소 및/또는 증가와 상관 관계가 있다.
다른 피쳐(feature) 및 양태는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을 고려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임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는 그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아래의 설명에 기술되거나 도면에 예시된 구성요소들의 상세나 실시예 및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는 다른 실시예도 지원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시행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 본 개시를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 증가물 및 변형을 커버하는 것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구문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 제한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멀티 컴포넌트 클럽 헤드에 관한 포괄적인 설명
주된 고유 주파수의 높은 진폭을 감쇠시키는 튜닝 요소 구조 및 그 유리한 이점을 설명하기 전에, 아래에서는 멀티 컴포넌트 또는 복합재 클럽 헤드 구성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 -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됨 - 을 참고하면, 도 1 내지 도 9는 멀티 재료 우드 타입 골프 클럽 헤드를 다양한 시각으로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클럽 헤드(100)는 함께 고정되어 실적으로 폐쇄된 중공 내부 체적을 획정하는 제1 구성요소(120)와 제2 구성요소(122)를 포함한다. 클럽 헤드(100)는 가격 페이스(102), 전방 단부(104), 전방 단부(104) 반대측의 후방 단부(106), 크라운(108), 크라운(108) 반대측의 솔(110), 힐 단부(114) 및 힐 단부(114) 반대측의 토우 단부(112)를 포함한다. 클럽 헤드(100)의 전방 단부(104)는 가격 페이스(102)와 선단 에지(115)를 포함한다. 클럽 헤드(100)는 크라운과 솔 사이에서 위치하여 이들에 접하는 스커트 또는 후미 에지(118)를 더 포함하고, 스커트는 클럽 헤드의 힐 단부(114) 근처에서부터 토우 단부(112) 근처로 연장된다.
클럽 헤드(100)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드라이버, 페어웨이 우드 또는 하이브리드와 같은 우드 타입 클럽 헤드이다. 가격 페이스(102)와 본체(101)는 클럽 헤드(100)의 내부 공동을 획정한다. 본체(101)는 크라운(108), 솔(110), 힐 단부(114), 토우 단부(112), 후방 단부(106) 및 전방 단부(104)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본체(101)는 클럽 헤드(100)의 전방 단부(104) 상에 개구를 획정하고, 가격 페이스(102)는 개구 내에 위치 설정되어 클럽 헤드(101)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격 페이스(102)는 전방 단부(104)의 둘레에 걸쳐 연장되고, 크라운(108), 솔(110), 힐(112) 및 토우(114) 중 적어도 하나에 걸쳐 연장되는 가격 페이스 복귀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가격 페이스 복귀부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가격 페이스(102)의 복귀부는 본체(101)에 고정되어 클럽 헤드(100)를 형성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100)는 컵 페이스 또는 페이스 랩 구성과 유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럽 헤드(100)는 호젤 구조(105)를 포함한다. 호젤 구조(105)는 호젤 슬리브와 골프 샤프트를 수용할 수 있고, 호젤 슬리브는 골프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의 단부에 커플링될 수 있다. 호젤 슬리브는 복수 구성으로 호젤 구조와 커플링 가능하고, 이에 의해 골프 샤프트가 복수의 각도로 호젤 구조에 고정 가능하다.
클럽 헤드(100)는 제거식 웨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웨이트 포트(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웨이트 포트(119)는 솔(110) 및/또는 스커트(118)에 위치할 수 있다. 제거식 웨이트는 관성 모멘트(MOI) 특성과 무게중심(CG)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가격 페이스(102)는 골프공을 가격하도록 된 가격면(103)을 포함한다. 가격면(103)은 페이스 중심 또는 기하학적 중심(116)도 또한 획정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페이스 중심(116)은 가격면(103)의 기하학적 중심점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접근법에서, 가격면(103)의 페이스 중심(116)은 미국 골프 협회(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USGA)와 같은 골프 감독 기구의 규정에 따라 위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클럽 헤드(100)는 클럽 헤드(10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솔(110)에 접선방향인 지면 평면(2000)을 획정한다. 가격면(103)의 페이스 중심(116)은 x축(1050), y축(1060) 및 z축(1070)을 갖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형성한다. x축(1050)은 지면 평면(2000)에 평행하게 힐 단부(114) 근처에서 토우 단부(112) 근처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페이스 중심(116)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수평축이다. y축(1060)은 지면 평면(200)에 수직하게 솔(110) 근처에서 크라운(108) 근처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페이스 중심(116)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수직축이다. y축(1060)은 x축(1050)에 수직이다. z축(1070)은 지면 평면(2000)에 평행하게 전방 단부(104) 근처에서 후방 단부(106) 근처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페이스 중심(116)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수평축이다. z축(1070)은 x축(1050) 및 y축(1060)에 수직이다. x축(1050)은 힐 단부(114)를 향해 양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y축(1060)은 크라운(108)을 향해 양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z축(1070)은 후방 단부(106)를 향해 양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6을 참고하면, 클럽 헤드(100)는 좌표 시스템 내에 획정되는 복수 개의 사분면을 더 포함한다. 클럽 헤드(100)는 어드레스 시에 선단 에지(115)에 접선방향이고 지면 평면(2000)에 수직한 전방 단부 기준면(500)을 획정한다. 클럽 헤드(100)는 후방 에지(106)에 접선방향이고 전방 단부 기준면(500)에 평행한 후방 단부 기준면(600)을 획정한다. 클럽 헤드(100)는 전방 단부 기준면(500)과 후방 단부 기준면(600) 사이의 중간에 획정되는 중간면(550)을 더 획정하고, 중간면(550)은 전방 단부 기준면(500) 및 후방 단부 기준면(600) 모두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부 또는 크라운에서 봤을 때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럽 헤드(100)는 중간면(550) 및 YZ 평면에 의해 분할되는 복수 개의 사분면을 획정하고, YZ 평면은 y축 및 x축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으로서 규정된다. 클럽 헤드(100)는 전방 토우 사분면(170), 후방 토우 사분면(172), 전방 힐 사분면(174) 및 후방 힐 사분면(176)을 획정한다. 전방 토우 사분면(170)은 중간면(500) 전방에 그리고 YZ 평면의 토우측에 위치한다. 후방 토우 사분면(172)은 중간면(500) 후방에 그리고 YZ 평면의 토우측에 위치한다. 전방 힐 사분면(174)은 중간면(500) 전방에 그리고 YZ 평면의 힐측에 위치한다. 후방 힐 사분면(176)은 중간면(500) 후방에 그리고 YZ 평면의 힐측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럽 헤드(100)는 무게중심(CG)(1000)을 더 포함한다. 여러 실시예에서, 무게중심(1000)은 앞서 규정한 좌표 시스템 내에 위치한다. 무게중심(1000)은 x축(1050), y축(1060) 및 z축(1070) 상의 위치로 이루어진다. 무게중심(1000)은 CG x축(2050), CG y축(2060) 및 CG z축(2070)을 갖는 좌표 시스템의 원점을 더 획정한다. CG x축(2050)은 힐 단부(114) 근처에서 토우 단부(112) 근처로 CG(1000)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CG y축(2060)은 크라운(108) 근처에서 솔(110) 근처로 CG(1000)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CG y축(2060)은 CG x축(2050)에 수직이다. CG z축(2070)은 전방 단부(104) 근처에서 후방 단부(106) 근처로 CG(1000)를 관통하여, CG x축(2050) 및 CG y축(2060) 모두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CG x축(2050)은 x축(1050)에 평행이고, CG y축(2060)은 y축(1060)에 평행이며, CG z축(2070)은 z축(1070)에 평행이다. 여러 실시예에서, 무게중심(1000)은 전략적으로 클럽 헤드(100)의 솔(110)과 후방 단부(106) 측에 위치 설정된다.
클럽 헤드(100)는 CG x축(2050)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Ixx)(즉,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와 CG y축(2060)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Iyy)(즉,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를 더 포함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와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관용성이 높은 클럽 헤드를 제공하도록 증가되거나 최대화된다. 클럽 헤드(100)는 높은 관성 모멘트 Ixx 와 높은 관성 모멘트 Iyy를 포함한다. 높은 관성 모멘트 Ixx 와 높은 관성 모멘트 Iyy는 느낌, 관용성 및 플레이어빌리티(playability)가 개선된 클럽 헤드(100)를 제공한다.
제1 구성요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럽 헤드(100)는 멀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클럽 헤드(100)는 금속제 재료로 형성된 제1 구성요소(120)를 포함한다. 제1 구성요소(120)는 하중 지탱 구조와 클럽 헤드(100) 질량 대부분을 구성하여, 반복된 골프공 충돌을 견딘다. 제1 구성요소(120)는 골프공과 충돌하고, 클럽 헤드(100)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제1 구성요소(120)는 웨이트 조정을 위한 제거식 웨이트를 수용하고 클럽 헤드 후방부에 위치하는 웨이트 포트(119)를 포함하고, 클럽 헤드(100)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리브와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성요소는 가격 페이스(102)를 갖는 전방 단부(104), 호젤 구조(105), 및 가격 페이스(102)의 둘레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귀부(124)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120)는 단일 구조 또는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구성요소(102)는 단일 재료로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제1 구성요소(120)는 별도로 형성된 가격 페이스 인서트를 수용할 수 있고, 이 인서트는 클럽 헤드(100)의 전방 단부에 있는 개구에 고정될 수 있다. 별도로 형성된 가격 페이스는 제1 구성요소의 금속제 재료와 상이한 금속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성요소(120)의 복귀부(124)는 크라운(108), 솔(110), 호젤 구조(105), 힐 단부(114) 및 토우 단부(112)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 구성요소(120)는 복귀부(124)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 후방 연장부(160)를 더 포함한다.
솔 후방 연장부(160)는 솔(110)의 일부를 형성하고, 클럽 헤드(100)의 복귀부(124)와 후방 단부(106) 사이에서 연장된다. 솔 후방 연장부(160)는 클럽 헤드 길이 대부분에 걸쳐 연장되고, 클럽 헤드 길이는 z축(1070)에 평행하게 선단 에지(115)에서 후미 에지(118)까지 측정된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 후방 연장부(160)는 중량 조정성을 위한 웨이트 포트(119) 및/또는 클럽 헤드(100)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구조를 포함한다.
클럽 헤드(100)의 제1 구성요소(120)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강, 강 합금, 스테인리스 강 합금, 니켈, 니켈 합금, 코발트, 코발트 합금, 티타늄 합금, 비정질 금속 합금 또는 기타 유사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구성요소(120)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Ti-8Al-1Mo-1V 합금, 17-4 스테인리스강, C300, C350, Ni(니켈)-Co(코발트t)-Cr(크롬)-강 합금, 565 강, AISI 타입 304나 AISI 타입 630 스테인리스강, 17-4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합금, 예컨대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Ti-6-4, Ti-3-8-6-4-4, Ti-10-2-3, Ti 15-3-3-3, Ti 15-5-3, Ti 185, Ti 6-6-2, Ti-7s, Ti-9s, Ti-92, T9s+, 또는 Ti-8-1-1 티타늄 합금, 비정질 금속 합금, 또는 기타 유사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성요소
클럽 헤드(100)는 경량의 비금속제 재료로 형성된 제2 구성요소(122)를 더 포함한다. 제2 구성요소(122)는 크라운 질량을 감소시키고, 추가의 자유재량에 의한 질량이 제1 구성요소(120) 및/또는 제거식 웨이트에 분배되게 할 수 있다. 제2 구성요소(122)는 단일 재료를 갖는 단일 구조 또는 구성요소로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튜닝 요소는 주된 고유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높은 진폭을 감쇠시키기 위해 제2 구성요소(122)에 접착 또는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성요소(122)는 크라운(108) 대부분, 힐 단부(114), 토우 단부(112), 솔(110), 후방 단부(106) 및 스커트(118)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2 구성요소(122)는 크라운 부분(150), 솔 토우 부분(152a) 및 솔 힐 부분(152b)을 포함한다. 제2 구성요소(122)는 제1 구성요소(1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제2 구성요소(122)는 제1 구성요소(120)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이 경우 제2 구성요소(122)는 복귀부(124) 및 제1 구성요소(120)의 솔 후방 연장부(160)에 접한다. 솔에서 봤을 때, 제1 구성요소(120)는 제2 구성요소(122) 사이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 구성요소(120)의 솔 후방 연장부(160)는 제2 구성요소(122) 사이로 연장되는데, 이 경우 제2 구성요소(122)는 솔(110)의 힐 부분(152b)과 솔(110)의 토우 부분(152a)을 형성한다.
제2 구성요소(122)는 접합면에서 제1 구성요소(120)에 고정된다. 제2 구성요소(122)는 접착제 또는 기계적 수단을 통해 접합면에서 제1 구성요소(120)에 고정될 수 있다. 접합면은 제1 구성요소(120)와 제2 구성요소(122) 사이의 결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접합면은 오목한 립일 수 있고, 이 경우 오목한 립은 복귀부(124)의 둘레와 솔 후방 연장부(160)를 따라 연장된다. 오목한 립은 제1 구성요소(120)와 제2 구성요소(122)의 조합된 중첩 두께와, 2개의 구성요소를 함께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클럽 헤드(100)의 외면으로부터 오목할 수 있다.
제2 구성요소(122)는 전술한 복수 개의 사분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럽 헤드(100)는 전방 토우 사분면(170), 후방 토우 사분면(172), 전방 힐 사분면(174) 및 후방 힐 사분면(176)을 획정한다. 제2 구성요소(122)의 일부는 전방 토우 사분면(170)과 전방 힐 사분면(174)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구성요소(122)는 전체적으로 후방 토우 사분면(172)과 후방 힐 사분면(176)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구성요소(122)[즉, 제2 구성요소(122)의 표면적] 대부분은 중간면(550)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구성요소(122) 표면적의 50%, 55%, 60%, 65%, 70%, 75%, 80%, 85%, 또는 90% 넘게 중간면(550)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면(550) 후방에 위치하는 제2 구성요소(122) 표면적은 55 내지 95 %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여전히, 중간면(550) 후방에 위치하는 제2 구성요소(122) 표면적은 50% 내지 70%, 55% 내지 75%, 60% 내지 80%, 65% 내지 85%, 70% 내지 90%, 또는 75% 내지 95%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중간면(550) 후방에 위치하는 제2 구성요소(122) 표면적은 50%, 55%, 60%, 65%, 70%, 75%, 80%, 85%, 90%, 또는 95%일 수 있다.
제2 구성요소(122)는 제1 구성요소(120)의 재료보다 낮은 밀도의 재료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122)는 폴리머 수지 및 보강 섬유로 형성된 복합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성요소(122) 복합재는 충전 열가소성 수지(FT) 또는 섬유 보강 복합재(FRC)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122)는 FRC와 함께 접합되는 FT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열가소성 수지(FT)는 통상 원하는 형상으로 사출 성형된다. 충전 열가소성 수지(FT)는 열가소성 수지 및 무작위적으로 배향된 비연속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섬유 보강 복합재(FRC)는 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수지 함침(프리프레그) 시트로 형성된다. 섬유 보강 복합재(FRC)는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를 지닌 실시예에서,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이미드, PA6 또는 PA66과 같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카보네이트, 산업용 폴리우레탄 및/또는 기타 유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재 재료의 경우 강도 및 중량을 2개의 주요 특성으로 고려하지만, 적절한 복합재 재료는 음향 속성과 같은 부차적인 이점을 나타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PPS 및 PEEK는 클럽 헤드가 충돌될 때에 일반적으로 금속성 사운딩 음향 반응을 방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강 섬유는 탄소 섬유(또는 탄소 단섬유), 유리 섬유(또는 유리 단섬유), 흑연 섬유(또는 흑연 단섬유)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필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합재 재료는 강도, 내구성 및/또는 중량을 추가하는 임의의 보강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성요소(122)를 형성하는 복합재 재료(조합된 수지 및 섬유)의 밀도는 약 1.15 g/cc 내지 약 2.02 g/cc 범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합재 재료 밀도는 약 1.20 g/cc 내지 약 1.90 g/cc, 약 1.25 g/cc 내지 약 1.85 g/cc, 약 1.30 g/cc 내지 약 1.80 g/cc, 약 1.40 g/cc 내지 약 1.70 g/cc, 약 1.30 g/cc 내지 약 1.40 g/cc, 또는 약 1.40 g/cc 내지 약 1.45 g/cc 범위이다.
제2 구성요소 재료 - 충전 열가소성 수지(FT)
FT 재료에서, 폴리머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디자인에 중량 절감 이익을 제공하면서 통상적인 사용을 버틸 수 있도록 충분히 높은 재료 강도 및/또는 강도/중량비를 갖는 1종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해야만 한다. 구체적으로, 디자인과 재료는 골프공의 총 중량에 거의 기여하지 않으면서, 가격 페이스와 골프공의 충돌 중에 부여되는 응력을 효율적으로 견디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폴리머는 항복 시에 약 60 MPa를 초과하는 인장 강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니트). 폴리머 수지가 보강 섬유와 조합될 때, 결과적인 복합재 재료는 항복 시에 약 110 MPa를 초과하거나, 약 180 MPa을 초과하거나, 약 220 MPa를 초과하거나, 약 260 MPa을 초과하거나, 약 280 MPa을 초과하거나, 또는 약 290 MPa를 초과하는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절한 복합재 재료는 항복 시에 약 60 MPa 내지 약 350 MPa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 섬유는 복수의 분포된 불연속 섬유(즉, “단섬유”)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 섬유는 섬유 구성 길이가 약 3 mm 내지 25 mm인 불연속적인 “장섬유”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불연속적인 “장섬유”는 섬유 구성 길이가 약 3 mm 내지 14 mm이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섬유 길이는 몰딩 프로세스 이전에 약 12.7 mm(0.5 인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강 섬유는 섬유 구성 길이가 약 0.01 mm 내지 3 mm인 불연속적인 “단섬유”를 포함한다. 어느 한 경우(단섬유나 장섬유), 주어진 길이는 미리 혼합된 길이이며, 몰딩 프로세스 중에 파손으로 인해 일부 섬유는 최종 구성요소에서 설명한 범위보다 짧을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일부 구성에서, 불연속적인 단섬유는 약 10보다 크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보다 크고 약 1500 미만인 종횡비(예컨대, 섬유의 길이/직경)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용되는 불연속 단섬유의 특정 타입과 무관하게, 소정 구성에서 복합재 재료는 약 0.01 mm 내지 약 25 mm 또는 약 0.01 mm 내지 14 mm의 섬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합재 재료는 약 4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또는 약 55 중량% 내지 70 중량%의 폴리머 수지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구성요소의 복합재 재료는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섬유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합재 재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섬유 함량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합재 재료는 약 10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약 15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약 20 중량% 내지 약 25 중량%, 약 25 중량% 내지 약 30 중량%, 약 30 중량% 내지 약 35 중량%, 약 35 중량% 내지 약 40 중량%, 약 40 중량% 내지 약 45 중량%, 약 4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50 중량% 내지 약 55 중량%, 또는 약 55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섬유 함량을 갖는다.
제2 구성요소(122)가 충전 열가소성 수지(FT) 재료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122)는 폴리머 수지와 보강 섬유 모두를 포함하는 복합재 펠릿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보강 섬유는 사출 성형 프로세스 이전에 수지 내에 매립될 수 있다. 펠릿은 제2 구성요소(122)를 형성하도록 용융되고 빈 몰드 내로 주입될 수 있다. FT 복합재 재료는 약 210 ℃ 내지 약 280 ℃의 용융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합재 재료는 약 250 ℃ 내지 약 270 ℃의 용융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구성요소(122)가 FT 재료로 이루어진 실시예에서, 섬유의 적어도 50 %가 크라운(110)의 중심 구역에서 전후 방향으로 대략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섬유는 가격 페이스(170)에 대략적으로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FT 재료는 섬유 정렬 방향으로 최대 강도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섬유가 대략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배향됨으로써 클럽 헤드(100)의 내구성이 증가한다. 섬유는 골프공 충돌 중에 발생하는 크라운(108) 내의 압축 응력을 처리하기 위해 대략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섬유 정렬은 사출 성형 프로세스 동안에 몰드 내에서의 재료 흐름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122)는 장섬유 보강 TPU 재료(FT 재료의 예)로 형성될 수 있다. 장섬유 TPU는 약 40 중량%의 긴 탄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장섬유 TPU는 탄소 단섬유 화합물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장섬유 TPU는 고온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고온 기후에서 사용 및/또는 보관되는 골프 클럽 헤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장섬유 TPU는 또한 고인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통상의 금속 구성요소를 대체하는 기능도 또한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섬유 TPU는 약 26,000 MPa 내지 약 30,000 MPa 또는 약 27,000 MPa 내지 약 29,000 MPa의 인장 탄성률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섬유 TPU는 약 21,000 MPa 내지 약 26,000 MPa 또는 약 22,000 MPa 내지 약 25,000 MPa의 굴곡 탄성률을 포함한다. 장섬유 TPU 재료는 (파단점에서) 약 0.5 % 내지 약 2.5 %의 인장신율을 나타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합 TPU 재료의 인장신율은 약 1.0 % 내지 약 2.0 %, 약 1.2 % 내지 약 1.4 %, 약 1.4 % 내지 약 1.6 %, 약 1.6 % 내지 약 1.8 %, 약 1.8 % 내지 약 2.0 %일 수 있다.
제2 구성요소 재료 - 섬유 보강 복합재(FRC)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122)는 섬유 보강 복합재(FRC)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FRC 재료는 대체로 폴리머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단방향 또는 다방향 섬유 직물층을 포함한다. 충전 열가소성 수지(FT) 재료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보강 섬유와 달리, FRC에서 사용되는 섬유의 최대 치수는 실질적으로 FT 재료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크고/길 수 있고, 폴리머와 별개의 연속 직물로서 마련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 및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로 형성되는 경우, 폴리머는 용융 시에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더라도 포함된 연속적인 섬는를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다. 보강 섬유는 75 g/㎡ 내지d 150 g/㎡의 면적 중량[길이 곱하기 폭 면적당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FRC 재료는 일반적으로, 강성을 제공하도록 섬유를 원하는 배열로 배치한 다음, 섬유 재료를 충분한 양의 폴리머 재료로 함침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FT 재료는 약 45 체적%를 초과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5 체적%를 초과하는 수지 함량을 가질 수 있는 반면, FRC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체적% 미만, 또는 바람직하게는 약 35 체적% 미만의 수지 함량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FRC의 수지 함량은 24 체적% 내지 45 체적%일 수 있다.
FRC 재료는 통상 폴리머 기재로서 2 부분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지만, 기재로서 열가소성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여러 경우, FRC 재료는 최종 제조 이전에 미리 준비되고, 이러한 중간 재료는 통상 프리프레그라고 한다. 열경화성 폴리머가 사용될 때, 프리프레그는 부분적으로 중간 형태로 경화되고, 최종 경화는 프리프레그가 최종 형상으로 성형되고 나면 일어난다. 열가소성 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 프리프레그는 후속하여 가열되고 최종 형상으로 몰딩될 수 있는 냉각된 열가소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FRC 제2 구성요소(122)는 복수의 층(복수의 층상물이라고도 함)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층은 프리프레그로서 동일한 두께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동일한 두께일 수 있다. 복수 층의 각각의 층은 단방향 섬유 직물(UD) 또는 다방향 섬유 직물(이따금 직포라고 함)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 층은 적어도 3개의 UD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 및 제3 층은 베이스층에 대해 각질 수 있다. 0도로 배향된 베이스층의 경우, 제2 층 및 제3 층은 베이스층으로부터 +/-45도로 배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층들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0도, +45도, -45도, +90도, -90도로 배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층은 FRC 제2 구성요소(122)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통상 꼭대기층으로서 위치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방향 직포층을 포함한다.
제2 구성요소 재료 - 혼합 재료
제2 구성요소(122)는, 섬유 보강 복합재 탄성층과 성형 열가소성 수지 구조층 모두를 포함하는 혼합 재료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성형 열가소성 수지 구조층은 충전 열가소성 수지 재료(FT)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FT는 열가소성 재료 전반에 걸쳐 매립되는 불연속 유리, 탄소 또는 아라미드 폴리머 섬유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컨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또는 PA6이나 PA66과 같은 폴리아미드와 같은 TUP일 수 있다. 섬유 보강 복합재 탄성층은 폴리머 수지(또는 기재)에 매립되는 직조 유리, 탄소 섬유 또는 아라미드 폴리머 섬유 보강층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층의 폴리머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섬유 보강 복합재 탄성층의 폴리머 수지는 몰딩된 열가소성 구조층의 수지와 동일한 열가소성 재료이다. 즉, 섬유 보강 탄성층과 몰딩 구조층은 공통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탄성층 및 구조층을 형성함으로써 층들 사이에 강력한 화학 결합이 가능해진다. 이들 실시예에서, 탄성층 및 구조층은 중간 접착제 사용 없이 접합될 수 있다. 특별한 일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122)의 탄성층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에 매립된 탄소 섬유 직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구성요소(122)의 구조층은 충전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제2 구성요소(122)는 압출되거나, 사출 블로우 몰딩되거나, 3D 프린팅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성형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튜닝 요소
전술한 멀티 재료 클럽 헤드(100)는 튜닝 요소(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 재료 클럽 헤드는 모든 금속 클럽 헤드의 음향 반응과 비교했을 때에 상이한 사운드 또는 음향 반응을 포함한다. 튜닝 요소(130)는 멀티 재료 클럽 헤드(100)를 위한 원하는 음향 반응 및 바람직한 “보다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경량, 비금속제의 제2 구성요소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다시피, 그리고 도 4a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튜닝 요소(130)는 주된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에 의해 클럽 헤드(100)의 사운드 및 느낌 특징을 개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100)는 튜닝 요소가 없는 유사한 멀티 재료 클럽 헤드에 비해 1 내지 7 데시벨만큼의 주된 진동 진폭의 감소를 포함한다. 클럽 헤드(100)는 클럽 헤드 무게중심(1000) 위치와 관성 모멘트에 대한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우수한 사운드 제어를 포함한다. 튜닝 요소(130)는 진동 및 사운드를 제어하기 위해 목표 위치에 배치된다. 튜닝 요소(130)는 클럽 헤드에 바람직하지 않은 사운드 또는 느낌을 생성하는 주된 충돌 진동의 진폭을 감쇠시킨다. 튜닝 요소(130)는 주된 진동을 겪는 클럽 헤드(100)의 부분 상에 위치할 수 있고, 그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튜닝 요소(130)는, 튜닝 요소(130)가 목표 위치에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을 국소적으로 감쇠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5000 Hz를 초과하는 주파수의 고진폭 진동을 목표로 한다. 클럽 헤드(100)는 주어진 주파수에서 최대 70 데시벨의 최대 진폭을 포함할 수 있고, 튜닝 요소(130)를 포함함으로써 진폭을 1 내지 7 데시벨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장 큰 충돌 진동이 발생하는 위치[즉, 클럽 헤드(100)의 진동 “핫스팟”(140)]를 목표로 하고 튜닝 요소(130)를 상기 핫스팟(140)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튜닝 요소(130)는, 핫스팟(14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질량이 보다 큰 튜닝 요소와 동일한 감쇠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비교적 작은 질량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클럽 헤드(100)의 사운드 및 느낌은, 클럽 헤드(100)의 질량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경량의 튜닝 요소(130)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개선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닝 요소(130)는 제2 구성요소(122) 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튜닝 요소(130)는 제2 구성요소(122)의 토우 부분(152a) 또는 제2 구성요소(122)의 힐 부분(152b) 반대측에 위치하고, 클럽 헤드(100)의 크라운(108) 대부분을 형성하는 제2 구성요소(122)의 부분(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크라운(108)의 내부면(127)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크라운(108)의 후방 힐 부분 상에 위치 설정된다. 여러 다른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크라운(108)의 후방 토우 부분 상에 위치 설정된다. 크라운(108) 상의 튜닝 요소의 위치는 진동 핫스팟(140)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튜닝 요소(130)는 제1 구성요소(122)의 내부면(127)에 용이하게 커플링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럽 헤드(100)의 멀티 컴포넌트 속성은 제2 구성요소(122)의 내부면에 대한 튜닝 요소(130)의 용이한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튜닝 요소(130)가, 내부 공동(128)이 실링되기 전에 제2 구성요소(122)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 컴포넌트 클럽 헤드 구성에 있어서, 제2 구성요소(122)는 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나 기계적 수단을 통해 제1 구성요소(120)에 고정된다. 튜닝 요소(130)는 제2 구성요소(122)를 제1 구성요소(1200에 고정하기 전에 부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구성요소(120, 122)들을 고정하는 것과 연관된 가열 프로세스 - 이 가열 프로세스는 튜닝 요소(130)의 구조적 무결성에 손상을 입힘 - 가 없기 때문이다.
튜닝 요소(130)는 주된 충돌 진동을 감쇠시키고 소산하기 위해 클럽 헤드(100)의 일부[예컨대 제2 구성요소(122)의 내부면(127)]에 부착 가능한 경량 부재이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접착제, 에폭시 등을 통해 제2 구성요소(122)의 내부면(127)에 부착될 수 있다. 튜닝 요소(130)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튜닝 요소(130)는 3층 구조 또는 2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닝 요소(130)는 3층 구조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닝 요소는 접착제층(134), 접착층(134) 반대측의 보강층(138) 및 접착층(134)과 보강층(138) 사이에 개재된 감쇠층(136)을 포함한다. 접착층(134)은 튜닝 요소(130)의 저부면을 형성할 수 있고, 튜닝 요소(130)를 제2 구성요소(122)의 내부면(127)에 접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3층 실시예에서, 감쇠층(136)은 운동 에너지를 열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진동을 소산시키도록 구성된 점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감쇠층은 엘라스토머,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또는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E), 또는 점탄성 특성을 지닌 다른 적절한 재료와 같은 임의의 점탄성 폴리머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보강층(138)은, 튜닝 요소(130)에 상당량의 질량을 추가하지 않고 튜닝 요소(130)에 강성을 제공하도록 높은 인장 강도를 포함하는 얇은 재료층을 포함한다. 여러 실시예에서, 보강층(138)은 폴리머 재료, 복합재 재료 또는 유리 섬유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층(138)은 폴리머 수지에 매립되는 유리 섬유 직물, 탄소 섬유, 아라미드 폴리머 섬유 보강층과 같은 섬유 보강 복합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에서, 보강층(138)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호일,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티타늄 합금,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경량 금속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층(138)은 튜닝 요소에 강성을 제공하는 높은 인장 강도를 포함한다. 여러 길시예에서, 보강층(138)의 인장 강도는 약 60 MPa를 초과하거나, 약 110 MPa를 초과하거나, 약 180 MPa을 초과하거나, 약 220 MPa를 초과하거나, 약 260 MPa을 초과하거나, 약 280 MPa을 초과하거나, 또는 약 290 MPa를 초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절한 복합재 재료는 항복 시에 약 60 MPa 내지 약 350 MPa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골프공과의 충돌 시, 클럽 헤드(100)는 굴곡되고 진동한다. 마찬가지로, 보강층(138)도 또한 충돌 시에 굴곡되고 진동할 것이다. 제2 구성요소(122)와 보강층(138)의 굴곡 및 진동은, 제2 구성요소(122)의 내부면과 보강층(138) 사이에 구속되는 감쇠층(136)에 전단력을 부여할 것이다. 진동에 의해 형성되는 전단력은 감쇠층(136)의 점탄성 재료를 연신시킨다. 감쇠층(136)의 점탄성 속성은 진동의 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튜닝 요소(130)는 핫스팟(140)에서 발생된 진동 에너지를 소산시킨다.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서, 튜닝 요소(130)는 2층 구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2층 구조는, 2층 구조에 보강층(138)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다른 실시예의 3층 구조와 유사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2층 구조는 단지 접착층(134)과 감쇠층(136)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감쇠층(136)은 클럽 헤드(100)의 내부 공동(128)에 노출되고, 보강 부재(138)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감쇠층(13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점탄성 폴리머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앞서 열거한 폴리머에 추가하여, 2층 구조의 감쇠층(136)은 대안으로서 발포체, 아크릴 발포체, 펠트 또는 폴리머계 접착제와 같은 감쇠 특성을 지닌 기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클럽 헤드(100)에 부착 가능한 임의의 경량 재료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VHB(Very High Bond) 테이프 또는 비금속제 제2 구성요소(122)에 접합 가능한 다른 고접합 테이프와 같은 폴리머계 테이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폴리머계 접착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제2 구성요소(122)에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플라스틱층과 같은 보호층으로 둘러싸이는 폴리머 또는 폴리머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하나 이상의 테이프층, 하나 이상의 접착제층, 하나 이상의 에폭시층, 하나 이상의 발포체층, 하나 이상의 점탄성층, 하나 이상의 펠트층, 하나 이상의 복합층, 하나 이상의 폴리머층, 하나 이상의 접착층, 하나 이상의 유리 섬유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튜닝 요소(130)는 클럽 헤드(100)의 전체 질량에 비해 적은 양의 질량을 제공하는 저밀도로 이루어진 경량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럽 헤드(100)에 튜닝 요소(130)를 추가하는 것은 전체 클럽 헤드 질량에 현저한 영향을 주지 않거나, 관성 모멘트(MOI) 및 무게중심(CG) 위치를 포함하여 클럽 헤드(100)의 질량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튜닝 요소(130)는 0.5 g/㎤ 내지 2 g/㎤ 범위의 저밀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밀도는 0.5 g/㎤ 내지 1.0 g/㎤, 0.75 g/㎤ 내지 1.25 g/㎤, 1.0 g/㎤ 내지 1.5 g/㎤, 1.25 g/㎤ 내지 1.75 g/㎤, 또는 1.5 g/㎤ 내지 2.0 g/㎤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밀도는 0.5 g/㎤ 내지 1.5 g/㎤, 0.6 g/㎤ 내지 1.6 g/㎤, 0.7 g/㎤ 내지 1.7 g/㎤, 0.8 g/㎤ 내지 1.8 g/㎤, 0.9 g/㎤ 내지 1.9 g/㎤, 또는 1.0 g/㎤ 내지 2.0 g/㎤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밀도는 대략 0.5 g/㎤, 0.6 g/㎤, 0.7 g/㎤, 0.8 g/㎤, 0.9 g/㎤, 1.0 g/㎤, 1.1 g/㎤, 1.2 g/㎤, 1.3 g/㎤, 1.4 g/㎤, 또는 1.5 g/㎤일 수 있다.
튜닝 요소(130)는 0.5 그램 내지 10 그램의 질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질량은 0.5 그램 내지 8 그램, 0.5 그램 내지 6 그램, 또는 0.5 그램 내지 4 그램이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질량은 0.5 그램 내지 10 그램, 0.5 그램 내지 8 그램, 0.5 그램 내지 6 그램, 0.5 그램 내지 4 그램 또는 0.5 그램 내지 2.0 그램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질량은 2 그램 내지 10 그램, 2 그램 내지 8 그램, 2 그램 내지 6 그램, 또는 2 그램 내지 5 그램이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질량은 대략 0.5 그램, 대략 1 그램, 대략 1.5 그램, 대략 2 그램, 대략 2.5 그램, 또는 대략 3 그램이다.
그 경량 속성에도 불구하고, 튜닝 요소(130)는 골프 클럽 헤드(100)에 상당한 감쇠 효과를 제공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튜닝 요소(130)는 5000 Hz를 초과하는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진동 진폭을 1 내지 7 데시벨만큼 감쇠시킬 수 있다. 튜닝 요소(130)의 경량 속성은 클럽 헤드(100) 질량 특성을 현저히 변경하지 않으면서 감쇠 효과가 일어나게 할 수 있다.
튜닝 요소 위치 설정
전술한 바와 같이, 튜닝 요소(130)는 대량의 질량을 요구하지 않고 원치 않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시키기 위해 클럽 헤드 본체(100)의 목표 위치에 전략적으로 위치한다. 튜닝 요소(130)의 위치는 클럽 헤드(100)의 진동 핫스팟(140) 위치에 대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7을 참고하면, 핫스팟(140)은 여기에서 클럽 헤드(100)의 고유 주파수에서 최대 진동 진폭을 겪는 클럽 헤드(100)의 위치로서 규정된다. 핫스팟(140)은 클럽 헤드(100)의 진동 반응에 기초하여 규정된다. 튜닝 요소(130)는 핫스팟(140)과 정렬된다. 핫스팟(140)은 클럽 헤드(100)의 전체 음향 반응에 대해 가장 많은 진동을 포함하는 클럽 헤드(100)의 영역으로, 통상 큰 및/또는 날카로운 사운드에 기여한다. 핫스팟(140)의 위치를 결정하고 튜닝 요소(130)를 상기 핫스팟(140)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상당한 진동이 감쇠될 수 있고, 클럽 헤드(100)의 전체 음향 반응이 개선될 수 있다[즉, 클럽 헤드(100)는 보다 뮤트되고, 조용하며, 및/또는 둔탁한 소리를 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위치는, 핫스팟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사분면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위치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다시피 크라운(108)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진동 로케이팅 피쳐(185)에 대응할 수 있다.
핫스팟(140) 위치는 클럽 헤드(100)에 대한 통상의 모드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분석을 통해, 클럽 헤드(100)의 하나 이상의 고유 주파수뿐만 아니라 각 고유 주파수의 “형상”[즉, 주어진 고유 주파수에서의 클럽 헤드(100)의 다양한 영역 내의 진동 진폭]도 또한 결정된다. 진동 핫스팟(140)은 주어진 고유 주파수에서의 클럽 헤드의 최고 진동 진폭 영역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로케이팅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1000)는 5000 Hz 내지 6500 Hz 범위의 고유 주파수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100)는 3000 Hz 내지 4000 Hz, 3500 Hz 내지 4500 Hz, 4000 Hz 내지 5000 Hz, 4500 Hz 내지 5500 Hz, 5000 Hz 내지 6000 Hz, 5500 Hz 내지 6500 Hz, 또는 6000 Hz 내지 7000 Hz의 고유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는 3000 Hz 내지 3500 Hz, 3500 Hz 내지 4000 Hz, 4000 Hz 내지 4500 Hz, 4500 Hz 내지 5000 Hz, 5000 Hz 내지 5500 Hz, 5500 Hz 내지 6000 Hz, 6000 Hz 내지 6500 Hz, 또는 3000 Hz 내지 4000 Hz의 고유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모드 분석을 통해 결정되는 것과 같은, 주어진 고유 주파수에서의 클럽 헤드 상의 다양한 위치에 있어서의 진동 진폭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보다 어두운 음영 영역은 진동 진폭이 보다 큰 영역에 대응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핫스팟(140)은 클럽 헤드(100)의 후방 힐 사분면(176)에서 발생한다. 튜닝 요소(130)는 핫스팟(140)과 주위 영역에서 발생하는 주된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즉, 주된 진동의 진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핫스팟(140)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튜닝 요소(130)를 핫스팟(140) 위치에 직접 배치하는 것에 의해, 튜닝 요소(130)는, 그 밖의 위치에 위치하는 튜닝 요소보다 핫스팟(140)에서 발생하는 주된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쇠시킨다. 핫스팟(140) 위치에 튜닝 요소(130)를 정확히 배치함으로써, 튜닝 요소(130)는 상당량의 질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당한 감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예컨대, 5000 Hz 내지 6500 Hz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고진동 진폭은 충돌 시에 골프 클럽 헤드(100)에 바람직하지 않은 음향 반응을 유발한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를 적용하기 전, 주어진 주파수에서의 최대 진동 진폭은 대략 66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67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68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69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70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71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72 데시벨을 초과할 수 있다.
튜닝 요소(130)는 핫스팟(140)에서 발생하는 주된 진동을 감소시키는 상당한 감쇠 효과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고유 주파수에서의 최대 진폭을 1 데시벨 내지 7 데시벨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고유 주파수에서의 최대 진폭을 1 데시벨 내지 3 데시벨, 2 데시벨 내지 4 데시벨, 3 데시벨 내지 5 데시벨, 4 데시벨 내지 6 데시벨, 또는 5 데시벨 내지 7 데시벨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고유 주파수에서의 최대 진폭을 대략 1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2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3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4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5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6 데시벨을 초과하거나, 7 데시벨을 초과하는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데시벨 스케일은 진폭의 로그 표현이기 때문에, 1 또는 2 데시벨의 감소조차도 진동 에너지의 상당한 감소와 상관 관계가 있다. 진폭의 로그 표현의 일례로서, 아래의 표 1은, 골프 클럽(100)이 겪는 진동 에너지의 선형 크기를 골프 클럽 헤드(100)가 겪는 통상의 피크 진폭과 관련된 데시벨값에 연관짓는다.
Figure pct00001
표 1에서 알 수 있다시피, 1 데시벨의 진폭 감소(예컨대, 70 데시벨에서 69 데시벨로의 감소)는 10. 9 %의 진동 에너지 감소를 초래한다. 이와 유사하게, 예컨대 6 데시벨의 진폭 감소(즉, 70 데시벨에서 64 데시벨로의 감소)는 50 %의 진동 에너지 감소를 초래한다. 마찬가지로, 10 데시벨의 감소(즉, 70 데시벨에서 60 데시벨로의 감소)는 68 %의 진동 에너지 감소를 초래한다. 상기한 주어진 고유 주파수[즉, 5000 Hz를 초과하는 고유 주파수]에서의 진동 에너지의 현저한 감소는 클럽 헤드(100)의 음향 반응에 대한 현저한 개선을 초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100)는 동일한 고유 주파수 또는 상이한 고유 주파수에서 상이한 위치의 다수의 핫스팟(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는 제1 핫스팟(140) 위치에 대응하는 제1 튜닝 요소(130)와, 제2 핫스팟(140) 위치에 대응하는 제2 튜닝 요소(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럽 헤드(100)는 후방 힐 사분면(176)에 위치하는 제1 핫스팟(140)과, 후방 토우 사분면(172)에 위치하는 제2 핫스팟(140)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닝 요소(130)의 위치는 클럽 헤드(100)의 사분면 시스템과 관련하여 특징 지어질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는 후방 힐 사분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전방 토우 사분면(170), 후방 토우 사분면(172), 전방 힐 사분면(174), 후방 힐 사분면(176), 또는 이들의 조합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단일 사분면 내에만, 예컨대 전방 토우 사분면(170) 내에만, 후방 토우 사분면(172) 내에만, 전방 힐 사분면(174) 내에만, 또는 후방 힐 사분면(176) 내에만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 토우 사분면(17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방 토우 사분면(17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 힐 사분면(174)에,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방 힐 사분면(176)에 위치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닝 요소(130)의 일부가 후방 힐 사분면(176)에 위치할 수 있고, 튜닝 요소의 일부가 전방 힐 사분면(174)에 위치할 수 있다. 기타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는 부분적으로 후방 토우 사분면(172)에 그리고 부분적으로 전방 토우 사분면(170)에 위치할 수 있다.
튜닝 요소(130)의 위치는 또한 튜닝 요소의 중심 위치와 관련하여 특징 지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닝 요소(130)는 튜닝 요소(130)의 둘레 에지들 사이의 중간에 튜닝 요소 중심점(132)을 획정할 수 있다. 튜닝 요소 중심점(132)은 튜닝 요소의 가장 힐측 위치 또는 에지와 튜닝 요소(30)의 가장 토우측 위치 또는 에지 사이의 힐 대 토우 거리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이와 유사하게, 튜닝 요소 중심점(132)은 튜닝 요소의 최전방 위치 또는 에지와 튜닝 요소(30)의 최후방 위치 또는 에지 사이의 전방 대 후방 거리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튜닝 요소(130)는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임의의 기타 형상 또는 기하 형상일 수 있다. 튜닝 요소(130)의 형상과 무관하게, 중심점(132)은 가장 힐측 범위와 가장 토우측 범위 사이의 중간 지점과, 튜닝 요소(130)의 최전방 범위와 최후방 범위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서 규정된다.
추가로, 튜닝 요소(130)의 위치는 튜닝 요소 중심점(132)을 포함하는 사분면과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닝 요소 중심점(132)은 후방 힐 사분면(176)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 중심점(132)은 전방 토우 사분면(170), 후방 토우 사분면(172) 또는 전방 힐 사분면(174)에 위치할 수 있다.
튜닝 요소(130)의 위치는 또한 전방 단부 기준면(500)과 튜닝 요소 중심점(132) 사이의 전방 대 후방 또는 오프셋 거리(D1)와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오프셋 거리(D1)는 Z축(1070) 방향으로 전방 단부 기준면(500)에서 튜닝 요소 중심점(132)까지 측정된 수직 거리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 기준면(500)과 튜닝 요소 중심점(132) 사이의 오프셋 거리(D1)는 대략 1.5 인치 내지 2.5 인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 기준면(500)과 튜닝 요소 중심점(132) 사이의 오프셋 거리(D1)는 1.5 인치 내지 2.0 인치, 1.75 인치 내지 2.25 인치 또는 2.0 인치 내지 2.5 인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 기준면(500)과 튜닝 요소 중심점(132) 사이의 오프셋 거리(D1)는 1.5 인치 내지 1.7 인치, 1.6 인치 내지 1.8 인치, 1.7 인치 내지 1.9 인치, 1.8 인치 내지 2.0 인치, 1.9 인치 내지 2.1 인치, 2.0 인치 내지 2.2 인치, 2.1 인치 내지 2.3 인치, 2.2 인치 내지 2.4 인치, 또는 2.3 인치 내지 2.5 인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 기준면(500)과 튜닝 요소 중심점(132) 사이의 오프셋 거리(D1)는 대략 1.7 인치, 대략1.8 인치, 대략1.9 인치, 대략 2.0 인치, 대략 2.1 인치, 대략 2.2 인치, 또는 대략 2.3 인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럽 헤드는 클럽 헤드 진동 핫스팟(140)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피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크라운(108) 상에 복수 개의 로케이팅 피쳐(185)를 포함하는 멀티 컴포넌트 클럽 헤드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복수 개의 로케이팅 피쳐(185)는 각각 크라운(108)의 외부면에 오목한 영역(186)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로케이팅 피쳐(185)는 크라운의 인접한 오목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오목한 영역(186)을 분리하는 에지(188)를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팅 피쳐(185)는 이와 달리 매끄럽고 균일한 형상의 크라운 표면에 불연속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핫스팟의 위치에 영향을 준다. 상기한 불연속부는 진동 핫스팟(140)이 생성되는 공통 영역인데, 그 이유는 불연속부가 크라운(108)의 다른 영역보다 더 진동하는 경향이 있는 약간 취약한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도 8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멀티 재료 클럽 헤드(100)의 핫스팟(140)은 로케이팅 피쳐(185)에 근접하게 존재한다. 클럽 헤드(100)의 크라운(108)에 로케이팅 피쳐(185)를 포함하는 것은 클럽간 핫스팟(140) 위치 변동성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핫스팟은 로케이팅 피쳐(185)의 포함으로 인해 제조 중에 보다 반복성 있고 정확하게 배치된다. 핫스팟을 정확하고 반복성 있게 배치하는 능력은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튜닝 요소(130)의 배치를 초래한다.
핫스팟(140)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로케이팅 피쳐(185)는 또한 크라운(108)의 내부면(127)에 있는 자연 정렬 피쳐로서 배증될 수 있어, 제조 중에 튜닝 요소(130)의 정확하고 반복성 있는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케이팅 피쳐(185)의 에지(188)가 제2 구성요소(122)의 내부면(127)에서 내부 공동(128)으로 연장되고, 클럽 헤드(100) 외부면 상의 오목한 영역(186)은 내부면(127)으로부터 내부 공동(128) 내로의 돌출부(180)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180)는 튜닝 요소(130)의 원하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정렬 피쳐로서의 역할을 한다. 돌출부(180)는 튜닝 요소(130)가 접착되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에지(188)는 튜닝 요소의 배치를 배향시킬 수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케이팅 피쳐(185)는 크라운(18)의 일관된 특정 위치에 발생하는 핫스팟(140)에 영향을 준다. 로케이팅 피쳐(185)는 또한 크라운(108)의 내부면(127) 상에서 핫스팟(140)과 동일한 위치의 정렬 피쳐로서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180)를 형성한다. 돌출부(180)는 핫스팟(140) 위치와 연관 있기 때문에, 튜닝 요소(130)는 핫스팟(14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확한 위치에서 반복성 있고 정확하게 돌출부(18)와 정렬될 수 있다.
추가의 사운드 이점
주된 진동의 진폭을 감쇠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튜닝 요소(130)의 포함은 또한 충돌 후 틀럽 헤드(100)가 진동하는 시간양에도 또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튜닝 요소(130)는 고진폭 진동이 발생하는 지속 시간뿐만 아니라 진동 응답의 총 지속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진동 응답의 총 지속 시간은 “서스테인(sustanin)” 단계 및 “릴리스(release)” 단계로 분리될 수 있다. 서스테인 단계는 충돌 시에 시작하여, 응답이 최대 진폭값의 20 % 미만으로 떨어질 때 종료되는 시간 간격을 일컫는다. 서스테인 단계는 주된 진동이 발생하는 시간양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 응답이 비교적 긴 서스테인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충돌 시의 사운드는 더 크게 인식된다. 이와 달리, 서스테인 단계의 지속 기간 감소는, 최대 진폭이 동일하게 유지되더라도 충돌 시에 인식되는 사운드가 더 뮤트되게 한다. 릴리스 단계는, 진동 응답이 최대 진폭의 20 % 미만으로 떨어졌을 때(즉, 서스테인 단계의 종료 시에) 시작하여 클럽 헤드(100)가 진동을 멈출 때에 종료하는 시간 간격을 일컫는다. 릴리스 단계는 덜 중요한 진동이 발생하는 시간양을 특징으로 한다. 연장된 릴리스 단계는 클럽 헤드(100)의 “메아리치는” 작용에 기여할 수 있다. 아래의 다양한 예에서 설명하다시피, 튜닝 요소(130)의 포함은 클럽 헤드(100) 진동 응답의 서스테인 및 릴리스 단계 지속 기간 모두를 감소시켜, 충돌 시에 보다 기분 좋은 사운드를 생성한다.
튜닝 요소가 없는 여러 종래기술의 클럽 헤드에서, 진동 응답의 총 지속 시간은 대략 36 밀리초 내지 대략 40 밀리초 범위일 수 있고, 서스테인 지속 기간은 대략 8 밀리초 내지 대략 12 밀리초 범위일 수 있으며, 릴리스 지속 기간은 대략 27 밀리초 내지 대략 31 밀리초 범위일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튜닝 요소(130)의 포함은 진동 응답의 총 지속 시간을, 1 밀리초 넘게, 2 밀리초 넘게, 3 밀리초 넘게, 4 밀리초 넘게, 5 밀리초 넘게, 6 밀리초 넘게, 7 밀리초 넘게, 9 밀리초 넘게, 9 밀리초 넘게, 또는 10 밀리초 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진동 응답 지속 기간의 감소는 충돌 후에 보다 뮤트되고 메아리가 덜한 음향 반응을 초래한다.
무게중심 및 관성 모멘트 특성
클럽 헤드(100)의 진동 핫스팟(140)에 대한 튜닝 요소(130)의 정확한 위치는, 튜닝 요소(130)가 소량의 질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현저한 진동 감쇠 및 음향 개선을 제공한다. 튜닝 요소(130)의 경량 속성으로 인해, 튜닝 요소(130)는 관성 모멘트 특성이 무게중심(1000) 위치와 같은 클럽 헤드(100)의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크라운(108) 상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튜닝 요소(130)의 배치(즉, 크라운 배치)를 포함하는 고려사항은 통상 크라운(108)에 질량을 추가하는데, 이는 무게중심(CG)과 관성 모멘트(MOI) 특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경량 튜닝 요소(130)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100)는 유리한 무게중심(1000) 위치와 증가된 관성 모멘트 특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량의 튜닝 요소(130)를 포함하는 멀티 컴포넌트 클럽 헤드(100)는 낮고 후방에 있는 무게중심(1000) 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량의 튜닝 요소(130)를 포함하는 멀티 컴포넌트 클럽 헤드(100)는 높은 관성 모멘트(Ixx 및 Iy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량의 튜닝 요소(130), 낮고 후방에 있는 무게중심(100) 위치 및 높은 관성 모멘트를 포함하는 멀티 컴포넌트 클럽 헤드(100)는 우수한 사운드 제어, 느낌 및 플레이어빌리티를 제공한다.
유리한 무게중심(1000) 위치 및 높은 관성 모멘트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클럽 헤드(100)는 제거식 웨이트(119), 얇은 크라운(108) 및/또는 비금속 재료로 형성된 경량의 크라운(108)과 같은 클럽 헤드 질량 특성에 영향을 주는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조는 낮고 후방에 있는 CG 위치와 높은 관성 모멘트 특성을 달성하도록 질량 특성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구조는 사운드 제어를 제공하는 크라운 튜닝 요소(130)와 조합될 수 있는 중량 조정 또는 중량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크라운 튜닝 요소(130)는 무게중심(1000) 및 관성 모멘트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크라운 튜닝 요소(130)는 무게중심(1000) 위치와 관성 모멘트에 최소한의 영향을 준다[즉, CG를 전방 단부(104)를 향해 전방으로 그리고 크라운(108)을 향해 상방으로 최소한으로 이동시키고, 튜닝 요소(130)를 갖는 클럽 헤드(100)와 튜닝 요소가 없는 클럽 헤드 간의 MOI 퍼센터지 차가 작게 한다.] 크라운 튜닝 요소(130)는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에 비해 실질적인 사운드 제어 이익을 제공하면서, 무게중심(1000) 및 관성 모멘트 특성에 최소한의 영향을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무게중심(1000)은 x축(1050), y축(1060) 및 z축(1070)을 갖는 페이스 센터(116)를 획정하는 좌표 시스템 내에 위치한다. x축(1050)은 힐 단부를 향해 양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y축(1060)은 크라운을 향해 양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z축(1070)은 후방 단부(106)를 향해 양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클럽 헤드(100)는 바람직하게는 “아래 후방” 또는 “하부 후방” CG 위치[즉, CG를 클럽 헤드의 솔 및 후방을 향해 위치 설정함]를 포함한다. 상기한 아래 후방 CG 위치는 퍼포먼스가 보다 높은 클럽 헤드를 초래하는 개선된 론치(launch) 특징을 제공한다. 크라운 튜닝 요소(130)의 포함은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에 비해 무게중심(1000) 위치에 최소한의 영향을 준다. 아래에서는 하부 후방 CG 위치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무게중심(1000) 위치가 설명된다.
클럽 헤드(100)는, 크라운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에 비해 변위된 CG x축(1050) 위치, CG y축(1060) 위치 및 CG z축(1070) 위치(이후, “CG” 위치라고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여러 실시예에서 크라운 튜닝 요소(130)를 갖는 클럽 헤드(100)의 CG 위치는 크라운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의 CG 위치의 0. 5 % 내지 5 %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크라운 튜닝 요소(130)를 갖는 클럽 헤드(100)의 CG 위치는 크라운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의 CG 위치의 0. 5 % 내지 2.5 % 또는 2.5 % 내지 5 %일 수 있다. 예컨대, 크라운 튜닝 요소(130)를 갖는 클럽 헤드(100)의 CG 위치는 크라운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의 CG 위치의 0. 5 %, 1 %, 2 %, 3 %, 4 % 또는 5 %일 수 있다.
드라이버의 경우, CG(1000)는 -2 mm 내지 6 mm 범위의 x축(1050) 위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2 mm 내지 2 mm 또는 2 mm 내지 6 mm 범위의 x축(1050) 위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CG(1000)는 -2 mm, -1.5 mm, -1 mm, 0 mm, 1 mm, 1.5 mm, 2 mm, 2.5 mm, 3 mm, 3.5 mm, 4 mm, 4.5 mm, 5 mm, 5.5 mm, 또는 6 mm의 x축(1050) 위치를 포함한다.
페어웨이 우드에 있어서, CG(1000)는 - 7 mm 내지 1 mm 범위의 x축(1050) 위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예에서, CG(1000)는 -7 mm 내지 -3 mm, 또는 -3 mm 내지 1 mm 범위의 x축(1050) 위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CG(1000)는 -7 mm, -6 mm, -5 mm, - 4 mm, -3 mm, -2 mm, -1 mm, 0 mm, 0.5 mm, 또는 1 mm의 x축(1050) 위치를 포함한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CG(1000)는 - 5 mm 내지 2 mm 범위의 x축(1050) 위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5 mm 내지 -1 mm, 또는 -1 mm 내지 2 mm 범위의 x축(1050) 위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또한, CG(1000)는 -4 mm 내지 0 mm, -3 mm 내지 1 mm, 또는 -2 mm 내지 2 mm 범위의 x축(1050) 위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CG(1000)는 -5 mm, -4 mm, -3 mm, -2.5 mm, -2 mm, -1.5 mm, -1 mm, -0.5 mm, 0 mm, 0.5 mm, 1 mm, 1.5 mm, 또는 2 mm의 x축(1050) 위치를 포함한다.
드라이버의 경우, CG(1000)는 -4 mm 내지 -10 mm 범위의 y축(1060) 위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4 mm 내지 -7 mm, 또는 -7 mm 내지 -10 mm 범위의 y축(1060) 위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Cg(1000)는 -4 mm, -5 mm, -6 mm, -7 mm, -8 mm, -9 mm, 또는 -10 mm의 y축(1060) 위치를 포함한다.
페어웨이 우드의 경우, CG(1000)는 -3 mm 내지 -12 mm 범위의 y축(1060) 위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3 mm 내지 -7 mm, 또는 -7 mm 내지 -12 mm 범위의 y축(1060) 위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CG(1000)는 -3 mm, -4 mm, -5 mm, -6 mm, -7 mm, -8 mm, -9 mm, -10 mm, -11 mm 또는 -12 mm의 y축(1060) 위치를 포함한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CG(1000)는 -3 mm 내지 -12 mm 범위의 y축(1060) 위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3 mm 내지 -8 mm, 또는 -8 mm 내지 -12 mm 범위의 y축(1060) 위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또한, CG(1000)는 -4 mm 내지 8 mm, -5 mm 내지 -9 mm, -6 mm 내지 -10 mm, -7 mm 내지 -11 mm, 또는 -8 mm 내지 -12 mm 범위의 y축(1060) 위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CG(1000)는 -3 mm, -4 mm, -5 mm, -6 mm, -7 mm, -8 mm, -9 mm, -10 mm, -11 mm 또는 -12 mm의 y축(1060) 위치를 포함한다.
드라이버의 경우, CG(1000)는 38 mm를 초과하거나, 40 mm를 초과하거나, 42 mm를 초과하거나, 45 mm를 초과하거나, 48 mm를 초과하는 z축(107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38 mm 내지 55 mm 범위의 z축(107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38 mm 내지 45 mm 또는 45 mm 내지 55 mm 범위의 z축(107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CG(1000)는 38 mm, 39 mm, 40 mm, 41 mm, 42 mm, 43 mm, 44 mm, 45 mm, 46 mm, 47 mm, 48 mm, 49 mm, 50 mm, 또는 55 mm의 z축(105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페어웨이 우드의 경우, CG(1000)는 25 mm를 초과하거나, 28 mm를 초과하거나, 30 mm를 초과하는 z축(107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25 mm 내지 40 mm 범위의 z축(107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25 mm 내지 32 mm 또는 32 mm 내지 40 mm의 z축(107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CG(1000)는 25 mm, 30 mm, 31 mm, 32 mm, 33 mm, 34 mm, 34 mm, 35 mm, 36 mm, 37 mm, 38 mm, 39 mm 또는 40 mm의 z축(1070) 위치를 포함한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CG(1000)는 15 mm를 초과하거나, 18 mm를 초과하거나, 20 mm를 초과하거나, 22 mm를 초과하거나, 24 mm를 초과하는 z축(107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15 mm 내지 30 mm 범위의 z축(107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CG(1000)는 15 mm 내지 25 mm 또는 25 mm 내지 30 mm의 z축(107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또한, CG(1000)는 16 mm 내지 26 mm, 17 mm 내지 27 mm, 18 mm 내지 28 mm, 19 mm 내지 29 mm, 또는 20 mm 내지 30 mm 범위의 z축(1070)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CG(1000)는 15 mm, 16 mm, 17 mm, 18 mm, 19 mm, 20 mm, 21 mm, 22 mm, 23 mm, 24 mm, 25 mm 또는 30 mm의 z축(1070) 위치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무게중심(1000)은 CG x축(2050), CG y축(2060) 및 CG z축(2070)을 갖는 좌표 시스템의 원점을 획정한다. CG x축(2050)은 x축(1050)에 평행이고, CG y축(2060)은 y축(1060)에 평행이며, CG z축(2070)은 z축(1070)에 평행이다. 또한, 클럽 헤드(100)는 CG x축(1050)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Ixx)(즉,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와 CG y축(1060)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Iyy)(즉,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를 포함한다.
MOI가 클수록 클럽 헤드에서 가격 페이스(102)의 중심(116)으로부터 오프셋된 충돌에 대한 관용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클럽 헤드(100)의 관성 모멘트는 증가 또는 최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I는 클럽 헤드(100)의 둘레 질량 분포 특성이다. 일반적으로, CG x축(1050)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Ixx)와 CG y축(1060)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Iyy)를 최대화하기 위해 클럽 헤드(100)의 자유재량의 질량이 클럽 헤드(100) 전반에 걸쳐 전략적으로 할당된다. 크라운 튜닝 요소(130)의 포함은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에 비해 관성 모멘트 특성에 최소한의 영향을 준다. 아래에서는, 높은 관용성을 제공하는 바람직한 관성 모멘트값이 설명된다.
튜닝 요소(130)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100)는, 크라운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와 비교하여 상이한 관성 모멘트(Ixx)와 관성 모멘트(Iyy)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여러 실시예에서 크라운 튜닝 요소(130)를 갖는 클럽 헤드(100)의 관성 모멘트는 크라운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의 관성 모멘트의 0. 5 % 내지 5 %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크라운 튜닝 요소(130)를 갖는 클럽 헤드(100)의 관성 모멘트는 크라운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의 관성 모멘트의 0. 5 % 내지 2.5 % 또는 2.5 % 내지 5 %일 수 있다. 예컨대, 크라운 튜닝 요소(130)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100)의 관성 모멘트는 크라운 튜닝 요소(130)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의 관성 모멘트의 0.5 %, 1 %, 2 %, 3 %, 4 % 또는 5 %일 수 있다.
드라이버의 경우, 여러 실시예에서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대략 30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325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3500 g-㎠, 대략 375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40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425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4500 g-㎠ 초과하거나, 대략 475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5000 g-㎠를 초과할 수 있다.
드라이버의 경우, 다른 실시예에서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3000 g-㎠ 내지 5000 g-㎠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3000 g-㎠ 내지 4000 g-㎠ 또는 4000 g-㎠ 내지 5000 g-㎠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3000 g-㎠, 3100 g-㎠, 3200 g-㎠, 3300 g-㎠, 3400 g-㎠, 3500 g-㎠, 3600 g-㎠, 3700 g-㎠, 3800 g-㎠, 3900 g-㎠, 4000 g-㎠, 4100 g-㎠, 4200 g-㎠, 4300 g-㎠, 4400 g-㎠, 4500 g-㎠, 4600 g-㎠, 4700 g-㎠, 4800g-㎠, 4900 g-㎠, 또는 5000 g-㎠일 수 있다.
페어웨이 우드의 경우, 여러 실시예에서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대략 12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13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1400 g-㎠, 대략 15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16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17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18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1900 g-㎠를 초과할 수 있다.
페어웨이 우드의 경우, 다른 실시예에서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1200 g-㎠ 내지 2200 g-㎠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1200 g-㎠ 내지 1700 g-㎠ 또는 1700 g-㎠ 내지 2200 g-㎠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1200 g-㎠, 1300 g-㎠, 1400 g-㎠, 1500 g-㎠, 1600 g-㎠, 1700 g-㎠, 1800 g-㎠, 1900 g-㎠, 2000 g-㎠, 2100 g-㎠, 또는 2200 g-㎠일 수 있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여러 실시예에서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대략 88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89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900 g-㎠, 대략 91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92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93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94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95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960 g-㎠를 초과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다른 실시예에서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880 g-㎠ 내지 1500 g-㎠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880 g-㎠ 내지 1200 g-㎠ 또는 1200 g-㎠ 내지 1500 g-㎠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또한,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900 g-㎠ 내지 1300 g-㎠, 1000 g-㎠ 내지 1400 g-㎠, 또는 1100 g-㎠ 내지 1500 g-㎠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는 880 g-㎠, 900 g-㎠, 920 g-㎠, 930 g-㎠, 940 g-㎠, 950 g-㎠, 960 g-㎠, 970 g-㎠, 980 g-㎠, 990 g-㎠, 1000 g-㎠, 1020 g-㎠, 1100 g-㎠, 1200 g-㎠, 1300 g-㎠, 1400 g-㎠, 또는 1500 g-㎠일 수 있다.
드라이버의 경우, 여러 실시예에서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대략 45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48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5000 g-㎠, 대략 51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525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55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575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6000 g-㎠를 초과할 수 있다.
드라이버의 경우, 다른 실시예에서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4500 g-㎠ 내지 6000 g-㎠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4500 g-㎠ 내지 5200 g-㎠ 또는 5200 g-㎠ 내지 6000 g-㎠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4500 g-㎠, 4600 g-㎠, 4700 g-㎠, 4800 g-㎠, 4900 g-㎠, 5000 g-㎠, 5100 g-㎠, 5200 g-㎠, 5300 g-㎠, 5400 g-㎠, 5500 g-㎠, 5600 g-㎠, 5700 g-㎠, 5800g-㎠, 5900 g-㎠, 또는 6000 g-㎠일 수 있다.
페어웨이 우드의 경우,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대략 27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28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2900 g-㎠, 대략 30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31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32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3300 g-㎠를 초과할 수 있다.
페어웨이 우드의 경우,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2700 g-㎠ 내지 3500 g-㎠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2700 g-㎠ 내지 3100 g-㎠ 또는 3100 g-㎠ 내지 3500 g-㎠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또한,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2700 g-㎠ 내지 3200 g-㎠ 또는 3200 g-㎠ 내지 3500 g-㎠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2700 g-㎠, 2800 g-㎠, 2900 g-㎠, 3000 g-㎠, 3100 g-㎠, 3200 g-㎠, 3300 g-㎠, 3400 g-㎠, 또는 3500 g-㎠일 수 있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여러 실시예에서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대략 24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25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2600 g-㎠, 대략 27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28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2900 g-㎠를 초과하거나, 대략 3000 g-㎠를 초과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다른 실시예에서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2400 g-㎠ 내지 3200 g-㎠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2400 g-㎠ 내지 2700 g-㎠ 또는 2700 g-㎠ 내지 3200 g-㎠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또한,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2400 g-㎠ 내지 2900 g-㎠, 2500 g-㎠ 내지 3000 g-㎠, 2600 g-㎠ 내지 3100 g-㎠, 또는 2700 g-㎠ 내지 3200 g-㎠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힐 대 토우 관성 모멘트(Iyy)는 2400 g-㎠, 2500 g-㎠, 2600 g-㎠, 2700 g-㎠, 2800 g-㎠, 2850 g-㎠, 2900 g-㎠, 2950 g-㎠, 3000 g-㎠, 3100 g-㎠ 또는 3200 g-㎠일 수 있다.
드라이버의 경우, 조합된 관성 모멘트[즉,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와 힐 대 솔 관성 모멘트(Iyy)의 합]는 8000 g-㎠를 초과하거나, 8500 g-㎠를 초과하거나, 9000 g-㎠를 초과하거나, 9500 g-㎠를 초과하거나, 10000 g-㎠를 초과하거나, 11000 g-㎠를 초과하거나, 12000 g-㎠를 초과할 수 있다.
페어웨이 우드의 경우, 조합된 관성 모멘트[즉,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와 힐 대 솔 관성 모멘트(Iyy)의 합]는 4000 g-㎠를 초과하거나, 4100 g-㎠를 초과하거나, 4200 g-㎠를 초과하거나, 4300 g-㎠를 초과하거나, 4400 g-㎠를 초과하거나, 4500 g-㎠를 초과하거나, 4600 g-㎠를 초과하거나, 4700 g-㎠를 초과하거나, 4800 g-㎠를 초과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조합된 관성 모멘트[즉, 크라운 대 솔 관성 모멘트(Ixx)와 힐 대 솔 관성 모멘트(Iyy)의 합]는 3500 g-㎠를 초과하거나, 3600 g-㎠를 초과하거나, 3700 g-㎠를 초과하거나, 3800 g-㎠를 초과하거나, 3900 g-㎠를 초과하거나, 4000 g-㎠를 초과하거나, 4100 g-㎠를 초과하거나, 4200 g-㎠를 초과할 수 있다.
예 1
일례에서, 튜닝 요소가 없는 대조 멀티 재료 페어웨이 우드 타입 클럽 헤드의 충돌 시에 고유 주파수의 진폭을 측정하여, 각각 크라운의 내부면에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예시적인 멀티 재료 페어웨이 우드 타입 클럽 헤드와 비교하였다. 대조 클럽 헤드는 후방 힐 사분면(176)에서 크라운의 힐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5860 Hz의 고유 주파수에서의 핫스팟을 포함하였다. 제1 예시적인 멀티 재료 클럽 헤드는 대조 클럽의 핫스팟 위치에(즉, 후방 힐 사분면에) 배치되는 1 그램의 튜닝 요소를 포함하였다. 마찬가지로, 제2 예시적인 멀티 재료 클럽 헤드는 대조 클럽의 핫스팟 위치에 배치되는 2 그램의 튜닝 요소를 포함하였다. 대조 클럽 헤드와 제1 및 제2 예시적인 클럽 헤드의 5860 Hz의 고유 주파수의 진폭을 비교하였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예시적인 클럽 헤드는 각각 대조 클럽의 고유 주파수의 진폭에 있어서 감소를 겪었다. 제1 예시적인 클럽 헤드는 진폭에 있어서 2 데시벨의 감소를 포함하였고, 제2 예시적인 클럽 헤드는 진폭에 있어서 6 데시벨의 감소를 포함하였다. 달리 말하자면, 제1 예시적인 클럽 헤드는 5860 Hz 고유 주파수의 진동 에너지에 있어서 20.5 % 감소를 포함하였고, 제2 예시적인 클럽 헤드는 5860 Hz 고유 주파수의 진동 에너지에 있어서 50 % 감소를 포함하였다. 대조 클럽 헤드에서 제1 및 제2 예시적인 클럽 헤드에 이르기까지 진동 에너지에 있어서의 급격한 감소는, 제1 및 제2 예시적인 클럽 헤드가 각각 대조 클럽의 음향 반응보다 부드럽고 뮤트된 음향 반응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추가로, 제1 예시적인 클럽 헤드와 제2 예시적인 클럽 헤드의 진동 응답 지속 시간을 대조 클럽 헤드의 진동 응답 지속 시간과 비교하는 테스트를 행하였다. 각각의 클럽 헤드의 진동 응답의 총 지속 시간, 서스테인 단계 지속 시간 및 릴리스 단계 지속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총 지속 시간은 클럽 헤드와 공의 충돌에서부터 클럽 헤드 진동이 멈출 때까지의 시간양을 일컫는다. 서스테인 단계의 지속 시간은, 진동 응답이 피크 진동 진폭의 20 % 내로 소모되는 시간양을 일컫는다. 릴리스 단계의 지속 시간은 서스테인 지속 기간의 종료에서부터(즉, 진동이 크 피크 진폭의 20 % 미만으로 떨어졌을 때부터) 총 진동 응답의 종료까지의 시간양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보다 긴 지속 시간을 지닌 진동 응답은 짤•Š 지속 시간을 지닌 진동 응답보다 큰 것으로 인식된다. 보다 긴 서스테인 단계는 보다 오래 보다 큰 사운드를 내는 응답에 기여하는 반면, 보다 긴 릴리스 단계는 연장된 “메아리 치는” 작용에 기여한다. 아래의 표 3은 각 클럽 헤드 진동에 관한 시간 응답의 서스테인 지속 시간, 릴리스 지속 시간 및 총 지속 시간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는 대조 클럽보다 약간 짧은(0.29 밀리초 짧은) 총 진동 응답을 경험하였고, 2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는 대조 클럽보다 6.74 밀리초 짧은(18.2 % 짧은) 총 진동 응답을 경험하였다.
각각의 클럽 헤드의 사운드에 관한 전체적인 인식에 가장 의미 있게 기여하는 서스테인 단계를 참고하면, 2개의 예시적인 클럽 헤드는 대조 클럽에 비해 현저한 개선을 나타냈다. 1 그램 튜닝 요소를 지닌 클럽 헤드의 서스테인 단계는 대조 클럽 헤드의 서스테인 단계보다 1.73 밀리초 짧았고(18.1 % 짧았고), 2 그램 튜닝 요소를 지닌 클럽 헤드의 서스테인 단계는 대조 클럽 헤드의 서스테인 단계보다 6.62 밀리초 짧았다(69.1% 짧았다).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클럽 헤드에서의 주된 진동의 진폭이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주된 진동의 지속 시간이 현저히 짧아졌다. 주된 진동의 감소된 진폭과 보다 짧은 지속 시간의 조합은 충돌 시에 보다 부드럽고 보다 만족스러운 음향 반응을 지닌 클럽 헤드를 형성한다.
예 2
제2 예에서, 튜닝 요소가 없는 대조 멀티 재료 페어웨이 우드 타입 클럽 헤드의 충돌 시에 고유 주파수의 진폭을 측정하여, 크라운의 내부면에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제3 예시적인 멀티 재료 페어웨이 우드 타입 클럽 헤드와 비교하였다. 대조 클럽 헤드는 후방 토우 사분면에서 크라운의 토우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6147 Hz의 고유 주파수에서의 핫스팟을 포함하였다. 제3 예시적인 멀티 재료 클럽 헤드는 대조 클럽의 핫스팟 위치에(즉, 후방 토우 사분면에) 배치되는 2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하였다. 대조 클럽 헤드와 제3 예시적인 클럽 헤드의 6147 Hz의 고유 주파수의 진폭을 비교하였다.
대조 클럽 헤드의 6147 Hz 핫스팟의 진폭은 67 데시벨이고, 제3 예시적인 클럽 헤드의 6147 Hz의 진폭은 단지 62.5 데시벨이었다. 이러한 대조 클럽과 제3 예시적인 클럽 헤드 간의 4.5 데시벨만큼의 차이는 6147 Hz의 주된 고유 주파수에서의 진동 에너지의 40.5 %의 감소에 해당한다. 대조 클럽 헤드에서 제1 및 제2 예시적인 클럽 헤드에 이르기까지 진동 에너지에 있어서의 급격한 감소는, 제3 예시적인 클럽 헤드가 대조 클럽의 음향 반응보다 부드럽고 뮤트되며 만족스러운 음향 반응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추가로, 제3 예시적인 클럽 헤드의 진동 응답 지속 시간을 대조 클럽 헤드의 진동 응답 지속 시간과 비교하는 테스트를 행하였다. 각각의 클럽 헤드의 진동 응답의 총 지속 시간, “서스테인” 단계 지속 시간 및 “릴리스” 단계 지속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아래의 표 4은 각 클럽 헤드 진동에 관한 시간 응답의 서스테인 지속 시간, 릴리스 지속 시간 및 총 지속 시간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토우 사분면에 2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제3 예시적인 클럽 헤드는 대조 클럽보다 10.04 밀리초 짧은(27 % 짧은) 총 진동 응답을 경험하였다. 클럽 헤드의 사운드에 관한 전체적인 인식에 가장 의미 있게 기여하는 서스테인 단계를 참고하면, 제3 예시적인 클럽 헤드는 대조 클럽에 비해 현저한 개선을 나타냈다. 1 그램 튜닝 요소를 지닌 클럽 헤드의 서스테인 단계는 대조 클럽 헤드의 서스테인 단계보다 6.96 밀리초 짧았다(72.7% 짧았다).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클럽 헤드에서의 주된 진동의 진폭이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주된 진동의 지속 시간이 현저히 짧아졌다. 주된 진동의 감소된 진폭과 보다 짧은 지속 시간의 조합은 충돌 시에 보다 부드럽고 보다 만족스러운 음향 반응을 지닌 클럽 헤드를 형성한다.
예 3
대조 페어웨이 우드 타입 클럽 헤드와, 예 1의 제1 및 제2 예시적인 페어웨이 우드 타입 골프 클럽 헤드의 질량 특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클럽의 무게중심(CG) 위치와 관성 모멘트(MOI)를 비교하여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것의 영향을 결정하였다. 아래의 표 5는 지면 평면에 대해 양의 방향으로 측정된 Y방향(CGy)에서의 무게중심 위치, 선단 에지로부터 음의 후방 방향으로 측정된 Z방향에서의 무게중심 위치, CG x축(Ixx)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 및 CG y축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Iyy)를 보여준다.
Figure pct00005
Y방향에 대하여, 1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CG 위치가 대조 클럽보다 단지 0.12 mm 높게 상승된다(대조 클럽 CG 높이에 대해 단지 2.7 % 증가). 마찬가지로, 2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CG위치가 대조 클럽보다 단지 0.25 mm 높아진다(CG 높이가 단지 5.7 % 증가).
Z방향에 대하여, 2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CG 위치가 대조 클럽보다 단지 0.13 mm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대조 클럽 CG 깊이에 대해 단지 0.44% 감소). 마찬가지로, 2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CG 위치가 대조 클럽보다 단지 0.25 mm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CG 깊이가 단지 0.85% 감소). 튜닝 요소를 포함하더라도, 예시적인 클럽 헤드는 여전히 하부 후방 CG 위치를 유지한다.
CG x축을 중심으로 한 클럽 헤드 모멘트에 대하여, 1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Ixx가 단지 14 g*㎠ 감소하게 된다(대조 클럽 헤드에 대해 Ixx가 단지 0.89 % 감소). 마찬가지로, 2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Ixx가 단지 30 g*㎠ 감소하게 된다(Ixx가 단지 1.9 % 감소).
CG y축을 중심으로 한 클럽 헤드 모멘트에 대하여, 1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Iyy가 단지 16 g*㎠ 감소하게 된다(대조 클럽 헤드에 대해 Iyy가 단지 0.54% 감소). 마찬가지로, 2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Iyy가 단지 35 g*㎠ 감소하게 된다(Iyy가 단지 1.18% 감소). 튜닝 요소를 포함하더라도, 예시적인 클럽 헤드는 여전히 높은 관성 모멘트를 유지한다.
앞서 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 그램 튜닝 요소 및 2 그램 튜닝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클럽 헤드의 진동 응답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본 예는, 이러한 진동에 관한 개선이 클럽 헤드의 질량 특성에 미미한 영향을 주는 경량의 튜닝 요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클럽 헤드의 진동 응답은 높은 퍼포먼스로 이어지는 질량 특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제어 및 개선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청구되는 요소의 교체는 재구성을 이루는 것이지 보수가 아니다. 추가로, 이점, 다른 장점 및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다. 이점, 장점,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을 형성하게 하거나 보다 유리해질 수 있는 임의의 요소 또는 요소들은 임의의 청구항 또는 청구항 전부의 임계적이거나, 필요하거나, 필수적인 피쳐 또는 요소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골프 규칙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예컨대, 새로운 규정이 채택되거나 이전 규칙이 미국 골프 협회(USGA), Royal and Ancient Golf Club of St. Andrews (R&A) 등과 같은 골프 표준 단체 및/또는 관리 기관에 의해 제거되거나 수정될 수 있음), 여기에 기술된 장치, 방법 및 제품과 관련된 골프 장비는 특정 시기에 골프 규칙에 부합할 수도 있고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제품에 관련된 골프 장비는 적합하거나 부적합한 골프 장비로서 광고되고, 판매되고, 및/또는 판매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장치, 방법 및 제품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더욱이,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와 한계는 실시예 및/또는 제한이 (1)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청구되지 않고; (2) 균등론 하에서 청구범위의 표현 요소 및/또는 제한과 동등하거나 잠재적으로 동등한 경우에 공중에 기부되지 않는다.
항 1: 골프 클럽 헤드로서, 크라운, 크라운 반대측의 솔, 힐 단부, 힐 단부 반대측의 토우 단부, 선단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크라운과 솔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커트; 금속으로 형성되고 가격 페이스, 가격 페이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귀부 및 복귀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로서, 가격 페이스는 가격 페이스 중심을 포함하고, 이 가격 페이스 중심은,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힐 단부에서 토우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과, 크라운에서 솔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을 포함하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획정하며, y축은 x축 및 가격 페이스에서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z축에 수직하고, z축은 x축 및 y축 모두에 수직한 것인 제1 구성요소;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중공 내부 공동을 둘러싸도록 제1 구성요소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제2 구성요소로서, 크라운 대부분을 형성하고, 스커트 주위를 둘러싸서, 힐 단부, 토우 단부 및 솔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인 제2 구성요소; 선단 에지에 접선 방향이고, 어드레스 위치에서 솔에 접선방향인 것으로 규정되는 지면 평면에 수직한 전방 단부 기준면; 후방 단부에 접선 방향이고 전방 단부 기준면에 평행한 후방 단부 기준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전방 단부 기준면과 후방 단부 기분면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y축 및 z축을 따라 연장되는 YZ 평면으로서, 평면도로 클럽 헤드를 봤을 때, 중간면과 YZ 평면의 교차로 인해 클럽 헤드가, 전방 토우 사분면, 전방 힐 사분면, 후방 토우 사분면 및 후방 힐 사분면으로 분할되는 것인 YZ 평면; 및 후방 힐 사분면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튜닝 요소를 포함하며, 튜닝 요소는 접착제층, 접착제층 반대측의 보강층 및 접착제층과 보강층 사이에 개재된 감쇠층을 포함하고, 보강층은 유리 직물을 포함하며, 감쇠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클럽 헤드는 후방 힐 사분면 내에, 클럽 헤드에 튜닝 요소가 없는 경우에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 위치로서 규정되는 핫스팟을 포함하고,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5000 Hz 내지 6500 Hz이며, 튜닝 요소는 핫스팟 상에 위치 설정되고,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며,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가 고유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 최대 진폭은 튜닝 요소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에 비해 적어도 2 데시벨만큼 감소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2: 제1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튜닝 요소의 가장 힐측 부분과 튜닝 요소의 가장 토우측 부분 사이의 중간 및 튜닝 요소의 최전방 부분과 튜닝 요소의 최후방 부분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튜닝 요소 중심점을 더 포함하고, 튜닝 요소 중심점은 후방 힐 사분면 내에 위치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3: 제2항에 있어서, z축에 평행하게 전방 단부 기준면과 튜닝 요소 중심점 사이에서 측정된 오프셋 거리가 1.5 인치 내지 2.0 인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4: 제1항에 있어서, 제2 구성요소는 골프 클럽의 크라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 구성요소 크라운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5: 제1항에 있어서, 크라운의 외부면에 오목한 부분을 획정하는 로케이팅 피쳐를 더 포함하고, 이 로케이팅 피쳐는 오목한 부분을 크라운의 인접한 오목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에지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6: 제5항에 있어서, 크라운의 오목한 부분 반대측에 있고 제2 구성요소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정렬 피쳐를 더 포함하고, 튜닝 요소는 정렬 피쳐에 고정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7: 제1항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5500 Hz 내지 6000 Hz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8: 제1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제2 구성요소의 내부면에 접착식으로 커플링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9: 제1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0.5 그램 내지 4 그램의 질량을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10: 제1항에 있어서, 200 cc 미만의 클럽 헤드 체적을 더 포함하고, 골프 클럽 헤드는,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지면 평면에 평행하고 힐 단부에서 토우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CG x축 및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솔에서 크라운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CG y축을 포함하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획정하는 무게중심을 포함하고, 골프 클럽 헤드는 1500 g*㎠를 초과하는, CG x축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 Ixx를 포함하며, 골프 클럽 헤드는 2900 g*㎠를 초과하는, CG y축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 Iyy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11: 골프 클럽 헤드로서, 크라운, 크라운 반대측의 솔, 힐 단부, 힐 단부 반대측의 토우 단부, 선단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크라운과 솔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커트; 금속으로 형성되고 가격 페이스, 가격 페이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귀부 및 복귀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로서, 가격 페이스는 가격 페이스 중심을 포함하고, 이 가격 페이스 중심은,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힐 단부에서 토우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과, 크라운에서 솔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을 포함하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획정하며, y축은 x축 및 가격 페이스에서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z축에 수직하고, z축은 x축 및 y축 모두에 수직한 것인 제1 구성요소;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중공 내부 공동을 둘러싸도록 제1 구성요소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제2 구성요소로서, 크라운 대부분을 형성하고, 스커트 주위를 둘러싸서, 힐 단부, 토우 단부 및 솔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 구성요소; 선단 에지에 접선 방향이고, 어드레스 위치에서 솔에 접선방향인 것으로 규정되는 지면 평면에 수직한 전방 단부 기준면; 후방 단부에 접선 방향이고 전방 단부 기준면에 평행한 후방 단부 기준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전방 단부 기준면과 후방 단부 기분면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y축 및 z축을 따라 연장되는 YZ 평면으로서, 평면도로 클럽 헤드를 봤을 때, 중간면과 YZ 평면의 교차로 인해 클럽 헤드가, 전방 토우 사분면, 전방 힐 사분면, 후방 토우 사분면 및 후방 힐 사분면으로 분할되는 것인 YZ 평면; 및 후방 토우 사분면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튜닝 요소를 포함하며, 튜닝 요소는 접착제층, 접착제층 반대측의 보강층 및 접착제층과 보강층 사이에 개재된 감쇠층을 포함하고, 보강층은 유리 직물을 포함하며, 감쇠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클럽 헤드는 후방 힐 사분면 내에, 클럽 헤드에 튜닝 요소가 없는 경우에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 위치로서 규정되는 핫스팟을 포함하고,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5000 Hz 내지 6500 Hz이며, 튜닝 요소는 핫스팟 상에 위치 설정되고,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며,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가 고유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 최대 진폭은 튜닝 요소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에 비해 적어도 2 데시벨만큼 감소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12: 제11항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6000 Hz 내지 6000 Hz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13: 제11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튜닝 요소의 가장 힐측 부분과 튜닝 요소의 가장 토우측 부분 사이의 중간 및 튜닝 요소의 최전방 부분과 튜닝 요소의 최후방 부분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튜닝 요소 중심점을 더 포함하고, 튜닝 요소 중심점은 후방 힐 사분면 내에 위치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14: 제11항에 있어서, 200 cc 미만의 클럽 헤드 체적을 더 포함하고, 골프 클럽 헤드는,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지면 평면에 평행하고 힐 단부에서 토우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CG x축 및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솔에서 크라운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CG y축을 포함하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획정하는 무게중심을 포함하고, 골프 클럽 헤드는 1500 g*㎠를 초과하는, CG x축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 Ixx를 포함하며, 골프 클럽 헤드는 2900 g*㎠를 초과하는, CG y축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 Iyy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15: 골프 클럽 헤드로서, 크라운, 크라운 반대측의 솔, 힐 단부, 힐 단부 반대측의 토우 단부, 선단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크라운과 솔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커트; 금속으로 형성되고 가격 페이스, 가격 페이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귀부 및 복귀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로서, 가격 페이스는 가격 페이스 중심을 포함하고, 이 가격 페이스 중심은,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힐 단부에서 토우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과, 크라운에서 솔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을 포함하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획정하며, y축은 x축 및 가격 페이스에서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z축에 수직하고, z축은 x축 및 y축 모두에 수직한 것인 제1 구성요소;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중공 내부 공동을 둘러싸도록 제1 구성요소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제2 구성요소로서, 크라운 대부분을 형성하고, 스커트 주위를 둘러싸서, 힐 단부, 토우 단부 및 솔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 구성요소; 선단 에지에 접선 방향이고, 어드레스 위치에서 솔에 접선방향인 것으로 규정되는 지면 평면에 수직한 전방 단부 기준면; 후방 단부에 접선 방향이고 전방 단부 기준면에 평행한 후방 단부 기준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전방 단부 기준면과 후방 단부 기분면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y축 및 z축을 따라 연장되는 YZ 평면으로서, 평면도로 클럽 헤드를 봤을 때, 중간면과 YZ 평면의 교차로 인해 클럽 헤드가, 전방 토우 사분면, 전방 힐 사분면, 후방 토우 사분면 및 후방 힐 사분면으로 분할되는 것인 YZ 평면; 및 후방 힐 사분면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튜닝 요소를 포함하며, 튜닝 요소는 접착제층, 접착제층 반대측의 보강층 및 접착제층과 보강층 사이에 개재된 감쇠층을 포함하고, 보강층은 유리 직물을 포함하며, 감쇠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클럽 헤드는 후방 힐 사분면 내에, 클럽 헤드에 튜닝 요소가 없는 경우에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 위치로서 규정되는 핫스팟을 포함하고,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5000 Hz 내지 6500 Hz이며, 튜닝 요소는 핫스팟 상에 위치 설정되고,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며,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가 고유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 최대 진폭은 튜닝 요소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에 비해 적어도 2 데시벨만큼 감소되며,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은 65 데시벨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16: 제15항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5500 Hz 내지 6000 Hz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17: 제15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튜닝 요소의 가장 힐측 부분과 튜닝 요소의 가장 토우측 부분 사이의 중간 및 튜닝 요소의 최전방 부분과 튜닝 요소의 최후방 부분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튜닝 요소 중심점을 더 포함하고, 튜닝 요소 중심점은 후방 힐 사분면 내에 위치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18: 제15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0.5 g/㎤ 내지 1.5 g/㎤의 밀도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19: 제15항에 있어서, 보강층은 60 MPa을 초과하는 인장 강도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항 20: 제16항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대략 5860 Hz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본 개시의 다양한 피쳐 및 장점은 후속하는 청구범위에 기술되어 있다.

Claims (20)

  1. 골프 클럽 헤드로서,
    크라운, 크라운 반대측의 솔(sole), 힐 단부, 힐 단부 반대측의 토우 단부, 선단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크라운과 솔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커트;
    금속으로 형성되고 가격 페이스, 가격 페이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귀부 및 복귀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로서, 가격 페이스는 가격 페이스 중심을 포함하고, 이 가격 페이스 중심은,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힐 단부에서 토우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과, 크라운에서 솔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을 포함하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획정하며, y축은 x축 및 가격 페이스에서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z축에 수직하고, z축은 x축 및 y축 모두에 수직한 것인 제1 구성요소;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중공 내부 공동을 둘러싸도록 제1 구성요소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제2 구성요소로서, 크라운 대부분을 형성하고, 스커트 주위를 둘러싸서, 힐 단부, 토우 단부 및 솔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 구성요소;
    선단 에지에 접선 방향이고, 어드레스 위치에서 솔에 접선방향인 것으로 규정되는 지면 평면에 수직한 전방 단부 기준면;
    후방 단부에 접선 방향이고 전방 단부 기준면에 평행한 후방 단부 기준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전방 단부 기준면과 후방 단부 기분면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y축 및 z축을 따라 연장되는 YZ 평면으로서, 평면도로 클럽 헤드를 봤을 때, 중간면과 YZ 평면의 교차로 인해 클럽 헤드가, 전방 토우 사분면, 전방 힐 사분면, 후방 토우 사분면 및 후방 힐 사분면으로 분할되는 것인 YZ 평면; 및
    후방 힐 사분면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튜닝 요소
    를 포함하며,
    튜닝 요소는 접착제층, 접착제층 반대측의 보강층 및 접착제층과 보강층 사이에 개재된 감쇠층을 포함하고,
    보강층은 유리 직물을 포함하며,
    감쇠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클럽 헤드는 후방 힐 사분면에, 클럽 헤드에 튜닝 요소가 없는 경우에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 위치로서 규정되는 핫스팟을 포함하고,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5000 Hz 내지 6500 Hz이며,
    튜닝 요소는 핫스팟 상에 위치 설정되고,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며,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가 고유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 최대 진폭은 튜닝 요소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에 비해 적어도 2 데시벨만큼 감소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튜닝 요소의 가장 힐측 부분과 튜닝 요소의 가장 토우측 부분 사이의 중간 및 튜닝 요소의 최전방 부분과 튜닝 요소의 최후방 부분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튜닝 요소 중심점을 더 포함하고,
    튜닝 요소 중심점은 후방 힐 사분면 내에 위치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z축에 평행하게 전방 단부 기준면과 튜닝 요소 중심점 사이에서 측정된 오프셋 거리가 1.5 인치 내지 2.0 인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제2 구성요소는
    클럽 헤드의 크라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 구성요소 크라운 부분;
    클럽 헤드의 힐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구성요소 힐 부분; 및
    클럽 헤드의 토우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구성요소 토우 부분
    을 더 포함하고, 튜닝 요소는 크라운 부분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크라운의 외부면에 오목한 부분을 획정하는 로케이팅 피쳐를 더 포함하고, 이 로케이팅 피쳐는 오목한 부분을 크라운의 인접한 오목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에지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크라운의 오목한 부분 반대측에 있고 제2 구성요소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정렬 피쳐(feature)를 더 포함하고, 튜닝 요소는 정렬 피쳐에 고정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5500 Hz 내지 6000 Hz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제2 구성요소의 내부면에 접착식으로 커플링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9. 제1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0.5 그램 내지 4 그램의 질량을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0. 제1항에 있어서,
    200 cc 미만의 클럽 헤드 체적을 더 포함하고,
    골프 클럽 헤드는,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지면 평면에 평행하고 힐 단부에서 토우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CG x축 및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솔에서 크라운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CG y축을 포함하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획정하는 무게중심을 포함하고,
    골프 클럽 헤드는 1500 g*㎠를 초과하는, CG x축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 Ixx를 포함하며,
    골프 클럽 헤드는 2900 g*㎠를 초과하는, CG y축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 Iyy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1. 골프 클럽 헤드로서,
    크라운, 크라운 반대측의 솔, 힐 단부, 힐 단부 반대측의 토우 단부, 선단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크라운과 솔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커트;
    금속으로 형성되고 가격 페이스, 가격 페이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귀부 및 복귀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로서, 가격 페이스는 가격 페이스 중심을 포함하고, 이 가격 페이스 중심은,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힐 단부에서 토우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과, 크라운에서 솔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을 포함하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획정하며, y축은 x축 및 가격 페이스에서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z축에 수직하고, z축은 x축 및 y축 모두에 수직한 것인 제1 구성요소;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중공 내부 공동을 둘러싸도록 제1 구성요소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제2 구성요소로서, 크라운 대부분을 형성하고, 스커트 주위를 둘러싸서, 힐 단부, 토우 단부 및 솔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 구성요소;
    선단 에지에 접선 방향이고, 어드레스 위치에서 솔에 접선방향인 것으로 규정되는 지면 평면에 수직한 전방 단부 기준면;
    후방 단부에 접선 방향이고 전방 단부 기준면에 평행한 후방 단부 기준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전방 단부 기준면과 후방 단부 기분면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y축 및 z축을 따라 연장되는 YZ 평면으로서, 평면도로 클럽 헤드를 봤을 때, 중간면과 YZ 평면의 교차로 인해 클럽 헤드가, 전방 토우 사분면, 전방 힐 사분면, 후방 토우 사분면 및 후방 힐 사분면으로 분할되는 것인 YZ 평면; 및
    후방 토우 사분면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튜닝 요소
    를 포함하며,
    튜닝 요소는 접착제층, 접착제층 반대측의 보강층 및 접착제층과 보강층 사이에 개재된 감쇠층을 포함하고,
    보강층은 유리 직물을 포함하며,
    감쇠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클럽 헤드는 후방 힐 사분면 내에, 클럽 헤드에 튜닝 요소가 없는 경우에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 위치로서 규정되는 핫스팟을 포함하고,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5000 Hz 내지 6500 Hz이며,
    튜닝 요소는 핫스팟 상에 위치 설정되고,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며,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가 고유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 최대 진폭은 튜닝 요소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에 비해 적어도 2 데시벨만큼 감소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2. 제11항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6000 Hz 내지 6500 Hz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3. 제11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튜닝 요소의 가장 힐측 부분과 튜닝 요소의 가장 토우측 부분 사이의 중간 및 튜닝 요소의 최전방 부분과 튜닝 요소의 최후방 부분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튜닝 요소 중심점을 더 포함하고,
    튜닝 요소 중심점은 후방 토우 사분면 내에 위치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4. 제11항에 있어서,
    200 cc 미만의 클럽 헤드 체적을 더 포함하고,
    골프 클럽 헤드는,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지면 평면에 평행하고 힐 단부에서 토우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CG x축 및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솔에서 크라운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CG y축을 포함하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획정하는 무게중심을 포함하고,
    골프 클럽 헤드는 1500 g*㎠를 초과하는, CG x축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 Ixx를 포함하며,
    골프 클럽 헤드는 2900 g*㎠를 초과하는, CG y축을 중심으로 한 관성 모멘트 Iyy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5. 골프 클럽 헤드로서,
    크라운, 크라운 반대측의 솔, 힐 단부, 힐 단부 반대측의 토우 단부, 선단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 후방 단부 및 크라운과 솔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커트;
    금속으로 형성되고 가격 페이스, 가격 페이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귀부 및 복귀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요소로서, 가격 페이스는 가격 페이스 중심을 포함하고, 이 가격 페이스 중심은,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에 힐 단부에서 토우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과, 크라운에서 솔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을 포함하는 좌표 시스템을 위한 원점을 획정하며, y축은 x축 및 가격 페이스에서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격 페이스 중심을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z축에 수직하고, z축은 x축 및 y축 모두에 수직한 것인 제1 구성요소;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중공 내부 공동을 둘러싸도록 제1 구성요소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제2 구성요소로서, 크라운 대부분을 형성하고, 스커트 주위를 둘러싸서, 힐 단부, 토우 단부 및 솔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2 구성요소;
    선단 에지에 접선 방향이고, 어드레스 위치에서 솔에 접선방향인 것으로 규정되는 지면 평면에 수직한 전방 단부 기준면;
    후방 단부에 접선 방향이고 전방 단부 기준면에 평행한 후방 단부 기준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전방 단부 기준면과 후방 단부 기분면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면;
    지면 평면에 수직하고 y축 및 z축을 따라 연장되는 YZ 평면으로서, 평면도로 클럽 헤드를 봤을 때, 중간면과 YZ 평면의 교차로 인해 클럽 헤드가, 전방 토우 사분면, 전방 힐 사분면, 후방 토우 사분면 및 후방 힐 사분면으로 분할되는 것인 YZ 평면; 및
    후방 힐 사분면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튜닝 요소
    를 포함하며,
    튜닝 요소는 접착제층, 접착제층 반대측의 보강층 및 접착제층과 보강층 사이에 개재된 감쇠층을 포함하고,
    보강층은 유리 직물을 포함하며,
    감쇠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클럽 헤드는 후방 힐 사분면 내에 클럽 헤드에 튜닝 요소가 없는 경우에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 위치로서 규정되는 핫스팟을 포함하고,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5000 Hz 내지 6500 Hz이며,
    튜닝 요소는 핫스팟 상에 위치 설정되고,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며,
    튜닝 요소를 포함하는 클럽 헤드가 고유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 최대 진폭은 튜닝 요소가 없는 유사한 클럽 헤드에 비해 적어도 2 데시벨만큼 감소되고,
    고유 주파수의 최대 진폭은 65 데시벨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6. 제15항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5500 Hz 내지 6000 Hz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7. 제15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튜닝 요소의 가장 힐측 부분과 튜닝 요소의 가장 토우측 부분 사이의 중간 및 튜닝 요소의 최전방 부분과 튜닝 요소의 최후방 부분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튜닝 요소 중심점을 더 포함하고,
    튜닝 요소 중심점은 후방 힐 사분면 내에 위치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8. 제15항에 있어서, 튜닝 요소는 0.5 g/㎤ 내지 1.5 g/㎤의 밀도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9. 제15항에 있어서, 보강층은 60 MPa을 초과하는 인장 강도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20. 제16항에 있어서, 골프 클럽 헤드의 고유 주파수는 대략 5860 Hz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KR1020237013645A 2020-09-24 2021-09-24 튜닝 요소를 지닌 멀티 컴포넌트 골프 클럽 헤드 KR20230070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82925P 2020-09-24 2020-09-24
US63/082,925 2020-09-24
US202063127869P 2020-12-18 2020-12-18
US63/127,869 2020-12-18
PCT/US2021/071594 WO2022067341A1 (en) 2020-09-24 2021-09-24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with tuning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504A true KR20230070504A (ko) 2023-05-23

Family

ID=8073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645A KR20230070504A (ko) 2020-09-24 2021-09-24 튜닝 요소를 지닌 멀티 컴포넌트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25844B2 (ko)
EP (1) EP4217079A4 (ko)
JP (1) JP2023542533A (ko)
KR (1) KR20230070504A (ko)
GB (1) GB2614502A (ko)
WO (1) WO2022067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7341A1 (en) * 2020-09-24 2022-03-31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with tuning element
US11806592B2 (en) * 2020-12-23 2023-11-07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30181976A1 (en) * 2021-12-10 2023-06-15 Wilson Sporting Goods Co. Golf club head having a composite face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75268C (nl) 1975-04-22 1984-10-16 Zeevenhooven Bv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van aan de vuurvaste binnenbekleding van een metaalgietpan of houder aangebrachte afzettingen.
US5141230A (en) 1990-08-10 1992-08-25 Antonious A J Metal wood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weighting system
US5106086A (en) * 1991-10-23 1992-04-21 Acosta Richard J Vibration dampener for rackets
JP2526923Y2 (ja) 1992-09-22 1997-02-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5419559A (en) 1994-04-04 1995-05-30 Lisco, Inc. Metal wood with sound dampener bar
US6074308A (en) * 1997-02-10 2000-06-13 Domas; Andrew A. Golf club wood head with optimum aerodynamic structure
JP3612435B2 (ja) 1999-03-12 2005-01-19 美津濃株式会社 金属製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6575845B2 (en) * 1999-11-01 2003-06-10 Callaway Golf Company Multiple material golf club head
US6739983B2 (en) * 1999-11-01 2004-05-25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with customizable center of gravity
US6623378B2 (en) * 2001-06-11 2003-09-23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golf club head
JP2003339922A (ja) 2002-05-27 2003-12-0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4016654A (ja) * 2002-06-19 2004-01-22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6945877B2 (en) 2003-02-24 2005-09-20 K.K.Endo Seisakusho Golf club
US20050109190A1 (en) * 2003-11-26 2005-05-26 Aviation Devices & Electronic Components, Inc. Dampening material for a drum
JP2006102053A (ja) * 2004-10-04 2006-04-20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854666B2 (en) 2004-10-13 2010-12-21 Sri Sports Limited Structural response modifying features for a golf club head
JP4639749B2 (ja) * 2004-10-20 2011-02-23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6130065A (ja) * 2004-11-05 2006-05-25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109842B2 (en) 2005-08-23 2012-02-07 Bridgestone Sports Co., Ltd. Hollow golf club head
JP2007167622A (ja) 2005-12-22 2007-07-05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009525B2 (ja) 2005-12-26 2012-08-22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986133B2 (en) * 2012-09-14 2015-03-24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flexure
TWM313006U (en) * 2006-12-11 2007-06-01 Fu Sheng Ind Co Ltd Strengthened structure for lightweight cover of golf club head
JP5183156B2 (ja) 2007-11-07 2013-04-1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803067B2 (en) 2008-02-21 2010-09-28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head
US7914393B2 (en) * 2008-05-30 2011-03-29 Cobra Golf, Inc. Golf club head with sound tuning
US7959522B2 (en) * 2008-08-12 2011-06-14 Dick's Sporting Goods, Inc. Golf driver head with exchangeable rear sections
US8062151B2 (en) * 2008-08-15 2011-11-22 Nike, Inc. Golf club head and system
US7850545B2 (en) 2008-08-22 2010-12-14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US7749104B2 (en) 2008-12-08 2010-07-06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head
US8007369B2 (en) 2008-12-15 2011-08-30 Cobra Golf, Inc. Golf club head with stiffening and sound tuning composite member
JP2010240115A (ja) 2009-04-03 2010-10-28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1136110A (ja) 2009-12-29 2011-07-14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110183776A1 (en) 2010-01-27 2011-07-28 Breier Joshua G Golf club head with sound tuning
JP5638847B2 (ja) * 2010-06-21 2014-12-1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643597B2 (ja) 2010-10-22 2014-12-1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902912B2 (ja) 2011-10-31 2016-04-1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JP5886652B2 (ja) 2012-02-16 2016-03-16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977959B2 (ja) * 2012-03-05 2016-08-24 日東電工株式会社 制振シート
US9011980B1 (en) * 2012-03-17 2015-04-21 Studio Lab, LLC Dampe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US9101811B1 (en) * 2012-06-08 2015-08-11 Callaway Golf Company CG height adjustability by conformal weighting
US8926450B2 (en) * 2012-06-11 2015-01-06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US9174103B2 (en) * 2013-03-14 2015-11-03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optimized for sound
US9889346B2 (en) * 2014-06-20 2018-02-13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impact-influencing body features
US10099093B2 (en) 2014-08-26 2018-10-16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11779819B2 (en) * 2014-08-26 2023-10-10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JP6503714B2 (ja) 2014-12-08 2019-04-24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086239B2 (en) 2015-11-18 2018-10-02 Acushnet Company Multi-material golf club head
US10596427B2 (en) * 2017-12-08 2020-03-24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US20230027166A1 (en) * 2017-12-08 2023-01-2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JP2020043948A (ja) 2018-09-18 2020-03-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WO2020180735A1 (en) * 2019-03-01 2020-09-10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Hollow body club heads with filler materials
CN114269440B (zh) * 2019-07-22 2023-12-12 Vt超科有限责任公司 用于运动装备的阻尼器以及包括阻尼器的运动装备
WO2022067341A1 (en) * 2020-09-24 2022-03-31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with tuning element
US20220126175A1 (en) * 2020-10-27 2022-04-28 Acushnet Company Multi-material golf club head
US20220126176A1 (en) * 2020-10-27 2022-04-28 Acushnet Company Multi-material golf club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7079A4 (en) 2024-04-24
JP2023542533A (ja) 2023-10-10
GB2614502A (en) 2023-07-05
US20220088450A1 (en) 2022-03-24
WO2022067341A1 (en) 2022-03-31
EP4217079A1 (en) 2023-08-02
US11925844B2 (en) 2024-03-12
GB202305273D0 (en) 202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49119A1 (en) Golf club
KR102487019B1 (ko) 혼합 재료 골프 클럽 헤드
KR20230070504A (ko) 튜닝 요소를 지닌 멀티 컴포넌트 골프 클럽 헤드
US11541290B2 (en)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US7549933B2 (en) Golf club head
US7367900B2 (en) Golf club head
US11642576B2 (en) Golf club
US20230107930A1 (en)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US20240131404A1 (en)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US20240024741A1 (en)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US20230027166A1 (en)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US11969632B2 (en) Mixed material golf club head
WO2021016555A1 (en)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JP2023505066A (ja) 複数要素ゴルフクラブヘッ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