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936A -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936A
KR20230069936A KR1020237009610A KR20237009610A KR20230069936A KR 20230069936 A KR20230069936 A KR 20230069936A KR 1020237009610 A KR1020237009610 A KR 1020237009610A KR 20237009610 A KR20237009610 A KR 20237009610A KR 20230069936 A KR20230069936 A KR 20230069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ning
choroid
suppressing
violet light
choro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얀 장
기와코 모리
도시히데 구리하라
가즈오 쓰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쓰보타 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쓰보타 라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쓰보타 라보
Publication of KR2023006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9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non-laser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non-coherent light or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61N2005/0648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the light being directed to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360㎚∼400㎚ 범위 내의 파장의 보라색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그 보라색광을 조사하여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하는 장치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이 장치는, 보라색광의 방사 조도와 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기초한 가령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병 망막증, 황반부종, 안정피로, 망막혈관 폐색증, 삼각증후군, 중심성 장액성 맥락망막증, 망막색소변성증, 노안, 및 백내장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안질환에 적용할 수 있고, 그 예방이나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보라색광(violet light)의 조사에 의해 맥락막의 비박화(菲薄化)를 억제하여 건강한 눈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맥락막은, 소위 백목 부분인 공막의 내측의 막이다. 이러한 맥락막은, 그 내부의 혈관에서 안구나 망막에 산소나 양분을 보급하고 있다. 한편, 맥락막은, 비박화함으로써 눈의 혈류가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눈의 혈류의 80% 정도는 맥락막의 혈류이며, 눈의 건강 유지나 기능 향상, 안질환의 진행이나 개선에 크게 관여하는 것 등이 보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Nickla, D.L.& Wallman, J. The multifunctional choroid. Prog Retin Eye Res 29, 144-168, doi:10.1016/j.preteyeres. 2009.12.002(2010). Mori, K. et al. Scientific reports 9, 295, doi:10.1038/s41598-018-36576-w (2019).
본 발명은,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는, 360㎚∼400㎚ 범위 내의 파장의 보라색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보라색광을 조사하여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라색광의 방사(放射) 조도와 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가진다.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에 있어서,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기초한, 가령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병 망막증, 황반부종, 안정(眼精) 피로, 망막혈관 폐색증, 삼각증후군, 중심성 장액성 맥락망막증, 망막색소변성증, 노안, 및 백내장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안질환을 적용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에 있어서,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기초한, 폐색성 동맥경화증, 폐색성 혈전혈관염, 당뇨병, 심근경색, 협심증, 뇌경색, 수족의 냉감, 통증, 탈모, 이명, 어깨 결림, 부종, 냉병, 생리 불순, 자율신경의 교란, 만성 피로, 졸음, 및 변비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신 증상 및 질환을 적용 대상으로 한다.
(2)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방법은, 360㎚∼400㎚ 범위 내의 파장의 보라색광을 조사하여,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라색광의 방사 조도와 조사 시간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에서의 적용 대상을 동일하게 적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눈의 혈류의 대부분이 흐르는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할 수 있고,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기초한 다양한 증상이나 질환의 개선이나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맥락막의 두께를 나타내는, 실험 1의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2] 마우스에서의 공막 비박화 억제의 유도 사진이다.
[도 3] 공막 두께의 측정에 관한 설명도이며, 시신경 유두의 위치를 「0」으로 하고, 시신경 유두로부터의 위쪽(+측) 및 아래쪽(-측) 300㎛의 위치에서 공막 두께를 측정했다.
[도 4] 공막의 두께를 나타내는, 실험 2의 결과의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예나 응용예를 포함한다.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은, 360㎚∼400㎚ 범위 내의 파장의 보라색광을 발광하고, 그 보라색광을 조사하여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한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후술하는 실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의 혈류의 대부분이 흐르는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할 수 있고, 안구나 망막에 산소나 양분을 충분히 보급 가능하게 하고,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기초한 다양한 증상이나 질환의 개선이나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라색광을 조사하여, 맥락막의 비박화를 적어도 억제하는 것에 특징이 있고, 「비박화를 적어도 억제」에는, 맥락막의 비박화의 억제 외에, 맥락막이 두꺼워지는 것(두께 증가)도 포함된다. 이러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나 두께 증가는 맥락막의 혈류를 유지 또는 증대시키므로, 보라색광의 사용(조사)은,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기초한 다양한 증상의 개선이나 질환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견은, 종래에는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고, 본 발명자가 처음으로 발견했다.
(보라색광)
보라색광은 360∼400㎚의 범위 내의 파장을 말한다. 보라색광을 조사한다란, 360∼400㎚의 파장 범위의 전부 또는 일부의 광을 조사한다는 의미이다. 보라색광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지만, 그러한 광원은, 상기 파장 범위 내의 모든 파장을 조사하는 것이라도 되고, 그 파장 범위 내의 일부(특정 범위)의 파장을 조사하는 것이라도 되고, 그 파장 범위 내에 피크 파장을 가진 스펙트럼을 조사하는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일부의 파장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일부의 범위밖에 조사하지 않는 광원을 이용해도 되고, 넓은 파장 범위의 광을 필터로 차광하여 일부의 파장의 광만을 조사하는 광원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360∼400㎚의 범위 내의 보라색광을 포함하는 것이면, 360㎚ 미만의 광을 포함하는 광원이라도 되고 400㎚을 넘는 광을 포함하는 광원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360㎚ 부근이나 400㎚ 부근에서는, 360㎚ 미만의 광을 조금 포함하는 광원이라도 상관없고, 400㎚을 넘은 광을 조금 포함하는 광원이라도 상관없다. 특히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360∼400㎚의 범위 내에 극대 피크가 있는 보라색광 광원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375∼380㎚에 극대 피크가 있는 보라색광 광원이 바람직하다.
보라색광의 파장 범위(360∼400㎚)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출시된 광원의 입수 용이성의 면에서, 예를 들면 380㎚에 피크를 가지는 광원이나 365∼380㎚의 범위 내에 피크를 가지는 광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보라색광 이외의 광에 대해서는, 보라색광과 함께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이라도 되고, 보라색광만을 조사하는 광원이라도 된다. 통상은, 보라색광만을 조사하는 광원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보라색광 이외의 광으로서는, 예를 들면 400㎚을 넘는 광이나, 360㎚ 미만의 광이라도 된다. 다만, 315㎚ 이하의 광은 눈으로의 악영향이 우려되므로, 안전을 고려하면 350㎚ 미만의 광은 극력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라색광의 방사 조도는 0.01∼5mW/㎠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사 조도의 범위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mW/㎠의 범위 내이고, 눈에 보다 안전한 범위로서 장시간의 조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실험에서는, 0.4mW/㎠(400μW/㎠)의 방사 조도로 조사하고 있고, 이것을 중심으로 한 바람직한 범위로서, 0.1∼0.8mW/㎠로 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장치는, 설치형의 조사 장치 또는 조명 장치라도 되고, 휴대형의 조사 장치 또는 조명 장치라도 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낮은 방사 조도로 조사할 수 있으므로, 휴대형의 조사 장치 또는 조명 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페이스 마스크와 같은 면전 배치형의 장치나 안경 등의 장치로 하면, 일상 생활 중에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사 장치」란, 보라색광을 적어도 조사하는 장치의 의미로 사용하고, 「조명 장치」란, 보라색광과 백색광을 함께 조사하는 장치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보라색광의 조사 시간은, 그 효과를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된다. 일례로서는, 후술하는 마우스에 대한 실시예에서는 3시간 조사한 실험에서 결과를 얻고 있지만, 인간에 대해서는, 평소의 생활이 있으므로 생활에 지장이 없는 시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일당 몇시간(예를 들면, 1∼5시간)을 들 수 있다. 그 기간으로서, 몇주간(예를 들면, 2∼8주간)부터 몇개월(예를 들면, 2∼6개월)로 해도 된다. 이러한 시간과 기간으로 보라색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생활환경 중에서 무리하지 않고, 일상적으로 약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광은 임의로 간헐적(일정 간격 또는 부정기 간격)으로 하거나, 연속적으로 하거나 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조사 형태를 고려하여, 조사 시간이나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 기구)
제어 기구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발광을 제어하는 기구로서, 눈의 표면에서의 보라색광의 방사 조도를 상기 범위(0.01∼5mW/㎠)에서 조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제어 기구는, 그 방사 조도에 따른 조사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라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방사 조도나 조사 방식(연속, 일정 간격 등)에서의 제어나, 1일당의 조사 시간이나, 그 기간 제어(예를 들면, 매일, 격일 등)을 행하는 제어 기구를 예로 들 수 있다. 제어 기구는 광원과 일체인 것이라도 되고, 광원과는 별체의 제어 장치라도 된다. 일체인 것이란, 예를 들면 LED와 제어 회로가 일체로 되어 광원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이며, 별체의 것이란, 예를 들면 LED로 이루어지는 광원과, 그 LED의 발광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하고 있는 경우이다.
제어 기구에는 타이머 장치(시계를 포함함), 기억 장치(메모리), 표시 장치(표시 패널), 통신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면 1일당의 조사 시간을 제어하거나, 반복 조사하는 경우의 정보를 기억하거나, 이들을 액정 패널에 표시하거나, 스마트 폰이나 PC와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에서의 제어나 데이터 축적을 행하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병원이나 의사에게 데이터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면, 떨어진 장소에 있어도 병원이나 의사에 의한 관리가 가능해지고, 적절한 관리나, 처리 지도를 행할 수 있다.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은, 맥락막의 비박화를 적어도 억제한다. 「적어도」란, 보라색광의 조사에 의해 맥락막이 얇아지는 것은 적어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보라색광의 조사에 의한 맥락막의 두께의 유지(비박화 억제) 외에, 맥락막이 두꺼워지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현시점에서의 맥락막 내의 혈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맥락막이 두꺼워지는 것에 의해, 현시점에서의 맥락막 내의 혈류 상태를 개선하고, 보다 혈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혈류의 개선은 눈의 건강 상태를 개선할 수 있고, 눈의 혈류 상태에 기인하는 안질환의 개선이나 치료를 기대할 수 있고, 눈의 혈류 상태에 기인하는 전신 증상 및 질환의 개선이나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번의 실험에서 확인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수단은, 맥락막의 비박화에 따르는 다른 안질환, 구체적으로는, 맥락막의 비박화가 눈의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는 안질환, 전신 증상, 및 질환의 진행 예방적 효과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기초한 안질환으로서는, 가령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병 망막증, 황반부종, 안정피로, 망막 혈관 폐색증, 삼각증후군, 중심성 장액성 맥락망막증, 망막색소변성증, 노안, 백내장을 들 수 있다. 또한,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의한 전신 증상 및 질환으로서는, 폐색성 동맥경화증, 폐색성 혈전혈관염, 당뇨병, 심근경색, 협심증, 뇌경색, 수족의 냉감, 통증, 탈모, 이명, 어깨 결림, 부종, 냉병, 생리 불순, 자율신경의 교란, 만성 피로, 졸음, 변비 등을 들 수 있다.
(공막의 비박화 억제)
본 발명에 관련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은, 맥락막의 비박화를 적어도 억제하고 또한, 후술하는 실험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막의 비박화도 억제할 수 있다. 공막의 비박화 억제는, 보라색광의 조사에 의해 공막이 얇아지는 것은 적어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보라색광의 조사에 의한 공막의 두께의 유지(비박화 억제) 외에, 공막이 두꺼워지는 경우를 포함해도 된다. 공막의 비박화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안축(眼軸) 길이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고, 안구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생기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라색광의 조사에 의해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와 공막의 비박화 억제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으므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와 혈류 향상에 의해 공막으로의 산소나 영양의 공급이 증가되고(유지되고), 공막의 세포외 매트릭스의 리모델링이 적절하게 행해져, 공막의 비박화 억제와 안구의 형상 유지를 실현할 수 있다는 상승(相乘)적인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 1]
생후 3주령의 마우스(C57BL6/J, 니혼 클레아 가부시키가이샤)에, 좌안 0D (「D」는 Diopter의 약자이며, 렌즈의 굴절력의 단위임) 및 우안 -30D의 렌즈(레인보우 콘택트, 가부시키가이샤 레인보우 옵티컬 켄큐쇼)를 장착(도 2 참조)하고, 맥락막 비박화 억제를 유도했다. 렌즈의 장착은, 두개에 지주를 세워 설치하고, 치과용 시멘트(Super-Bond, 선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로 고정했다. 지주는, 후술하는 조절 기구를 너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맥락막 비박화 억제의 유도는, 마우스를 VL(+)군과 VL(-)군으로 랜덤하게 나누어, 각 군 5마리에서 개시했다. 여기에서의 「VL」은 보라색광의 약자다. VL(-)군은, 배경광으로서 50Lux전후의 5000켈빈 형광등을 매일 아침 8시부터 밤 20시까지 조사하고, VL(+)군은, 상기의 배경광에 더하여, 360∼400㎚의 파장에서 400μW/㎠의 보라색광(LED 광원: 니치아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형번: NSPU510CS, 피크 파장: 375㎚)을 매일 17시부터 20시까지 추가 조사했다. 조사를 3주간 계속하고, 조사 전후의 마우스 안구의 굴절률, 안축 길이 및 맥락막 두께를 측정하고, 그 변화량을 계산했다.
사용한 상기 광원은 375㎚에 피크 파장을 가지고, 그 피크 파장의 분광 방사 조도를 1(100%)로 했을 때의 360㎚에서의 상대 분광 방사 조도가 0.025(2.5%) 미만이며, 400㎚에서의 상대 분광 방사 조도도 0.025(2.5%) 미만의 광원이다.
(맥락막의 계측 방법)
맥락막은 장소에 따라 두께가 상이하므로, SD-OCT(EnvisuR4310, Leica, Germany)를 사용하고, 마우스의 맥락막을 시신경 중심으로 반경 0.5㎜의 circle에서 측정했다. Image J(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USA)에서 맥락막의 면적을 계측(비특허문헌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계측)하고, 그 값을 원주율로 나눔으로써 평균의 맥락막 두께를 구했다.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세로축은 맥락막의 두께이며, VL(-)군과 VL(+)군에서의 좌안 0D와 우안 -30D의 결과를 비교했다. 도 1의 결과로부터, 보라색광을 추가 조사한 VL(+)군의 마우스는, 보라색광을 추가 조사하지 않은 VL(-)군의 마우스에 비하여, 우안 좌안의 모두 조사 후의 맥락막의 두께가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우안 -30D에서는, 보라색광을 추가 조사하지 않는 VL(-)군의 마우스는 맥락막이 얇아져 비박화하고 있었지만, 보라색광을 추가 조사한 VL(+)군에서는 맥락막의 두께가 증가하고 있고, 그 차이는 지극히 현저하게 되어 있었다. 이 결과는, 보라색광의 조사가 맥락막의 두께를 증가시켜 맥락막의 혈류가 향상되도록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눈의 혈류의 80%는 맥락막의 혈류에 의하기 때문에, 맥락막이 두꺼워지는 것에 의해 눈의 혈류가 개선되고, 보다 혈류가 흐르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눈의 혈류 상태에 기인하는 안질환의 개선이나 치료를 기대할 수 있고, 눈의 혈류 상태에 기인하는 전신 증상 및 질환의 개선이나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실험 2]
실험 1과 같이 생후 3주령의 마우스(C57BL6/J, 니혼 클레아 가부시키가이샤)를 사용했다. 랜덤하게 나눈 마우스는, 각 군 5마리씩, (i) 백색광(WL)을 조사한 렌즈 미장착군(No lens군), 0D군(「D」는 Diopter의 약자이고, 렌즈의 굴절력의 단위임. 양 눈에 실험 1과 동일한 0D 렌즈를 도 2와 같이 장착한 군), 및 -30D군(양 눈에 실험 1과 동일한 -30D 렌즈를 도 2와 같이 장착한 군), 및 (ii) 보라색광(VL)을 조사한 렌즈 미장착군(No lens군), 0D군(상기와 동일), 및 -30D군(상기와 동일)로 했다. 렌즈의 장착은 실험 1과 동일하다. 여기에서의 「백색광의 조사」는, 배경광으로서 50Lux 전후의 5000켈빈 형광등을 매일 아침 8시부터 밤 20시까지 조사한 태양(態樣)이다. 「보라색광의 조사」는, 상기의 배경광에 더하여, 360∼400㎚의 파장으로 400μW/㎠의 보라색광(LED 광원: 니치아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형번: NSPU510CS, 피크 파장: 375㎚)을 매일 17시부터 20시까지 추가 조사한 태양이다. 모두 조사를 3주간 계속하고, 조사 후의 마우스의 공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그리고, 사용한 상기 광원은 375㎚에 피크 파장을 가지고, 그 피크 파장의 분광 방사 조도를 1(100%)로 했을 때의 360㎚에서의 상대 분광 방사 조도가 0.025(2.5%) 미만이며, 400㎚에서의 상대 분광 방사 조도도 0.025(2.5%) 미만의 광원이다.
(공막의 계측 방법)
실험 후, 안구를 C57BL6J 마우스로부터 적출했다. 적출한 안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인산 완충액으로 하룻밤 고정하고, 마이크로톰(REM-710, Yamato Kohki, 사이타마, 일본)에 의해, 시신경 유두가 보이는 위치에서 수평절단의 파라핀 절편(두께 약 3㎛)으로 슬라이스했다. 다음으로, 그 절편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하고, BX53 현미경(올림푸스, 도쿄, 일본)을 이용하여 가시화했다. 공막 두께는, cellSens 소프트웨어(Olympus)를 사용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신경 유두로부터 300㎛의 장소(상방(+)과 하방(-))의 2점에서, 각 군 5마리의 공막 두께를 계측했다.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공막 비박화 억제를 유도한 눈(WL 조사, -30D 장착)보다도, VL을 조사한 눈(WL 및 VL 조사, -30D 장착)의 공막 두께가 두꺼워지고, 비박화 억제 효과가 보였다. 공막이 비박화되는 것에 의해 안축 길이의 신장이 진행되지만, 실험 2의 결과와 같이 공막의 비박화가 억제됨으로써, 안축 길이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고, 안구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로부터, VL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실험 1의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두께 증가도 포함함)에 더하여, 공막의 비박화 억제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효과(혈류 유지, 혈류 개선)에 더하여, 상기한 공막의 비박화 억제 효과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맥락막의 비박화는 공막의 비박화를 발생시키고, 안구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어, 안축 길이의 신장이 생긴다고 생각되고 있지만,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로부터, 맥락막과 공막을 동시에 비박화 억제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와 혈류 향상에 의해 공막으로의 산소나 영양의 공급이 증가되고(유지되고), 공막의 세포외 매트릭스의 리모델링이 적절하게 행해져, 공막의 비박화 억제와 안구의 형상 유지를 실현할 수 있었다.

Claims (8)

  1. 360㎚∼400㎚ 범위 내의 파장의 보라색광(violet light)을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보라색광을 조사하여 맥락막의 비박화(菲薄化)를 억제하는,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라색광의 방사 조도와 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가지는,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기초한, 가령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병 망막증, 황반부종, 안정피로, 망막혈관 폐색증, 삼각증후군, 중심성 장액성 맥락망막증, 망막색소변성증, 노안, 및 백내장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안질환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혈류 부전 또는 혈류 저하에 기초한, 폐색성 동맥경화증, 폐색성 혈전혈관염, 당뇨병, 심근경색, 협심증, 뇌경색, 수족의 냉감, 통증, 탈모, 이명, 어깨 결림, 부종, 냉병, 생리 불순, 자율신경의 교란, 만성 피로, 졸음, 및 변비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신 증상 및 질환을 적용 대상으로 하는,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막의 비박화를 동시에 억제하는,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6. 360㎚∼400㎚ 범위의 파장의 보라색광을 조사하고, 눈의 맥락막의 비박화를 억제하는,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라색광의 방사 조도와 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의 적용 대상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방법.
KR1020237009610A 2020-09-16 2021-09-16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 KR202300699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55389 2020-09-16
JP2020155389 2020-09-16
PCT/JP2021/034202 WO2022059757A1 (ja) 2020-09-16 2021-09-16 脈絡膜の菲薄化抑制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936A true KR20230069936A (ko) 2023-05-19

Family

ID=8084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610A KR20230069936A (ko) 2020-09-16 2021-09-16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64441A1 (ko)
EP (1) EP4215241A4 (ko)
KR (1) KR20230069936A (ko)
CN (1) CN116194180A (ko)
TW (1) TW202224653A (ko)
WO (1) WO20220597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6171A1 (en) * 2005-03-14 2006-09-14 Michael Gertner Devices, methods and kits for radiation treatment via a target body surface
US20110202114A1 (en) * 2008-08-08 2011-08-18 Line Kessel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lens related disorders
US10823982B2 (en) * 2014-06-03 2020-11-03 Tsubota Laboratory, Inc. Myopia treatment device
US20170361124A1 (en) * 2016-06-21 2017-12-21 Soraa, Inc. Treatment of eye condition using adjustable light
US20180345034A1 (en) * 2017-06-06 2018-12-06 Peter Butzloff Myopia inhibition apparatus and ocular method
US11213693B2 (en) * 2018-04-27 2022-01-04 Seoul Viosys Co., Ltd. Light source for eye therapy an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CN114502120A (zh) * 2019-07-31 2022-05-13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将图像投射到视网膜上的设备
EP4057053A1 (en) * 2021-03-08 2022-09-14 Essilor International Ophthalmic set for myopia progression contro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ri, K. et al. Scientific reports 9, 295, doi:10.1038/s41598-018-36576-w (2019).
Nickla, D.L.& Wallman, J. The multifunctional choroid. Prog Retin Eye Res 29, 144-168, doi:10.1016/j.preteyeres. 2009.12.002(2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4653A (zh) 2022-07-01
US20230364441A1 (en) 2023-11-16
CN116194180A (zh) 2023-05-30
EP4215241A1 (en) 2023-07-26
WO2022059757A1 (ja) 2022-03-24
EP4215241A4 (en)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2997B2 (ja) 損傷又は疾患組織の非侵襲的治療のための、多重波長光線療法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067087A1 (en)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for multi-wavelength photobiomodulation for ocular treatments
Tan et al. Micropulse transscleral diode laser cyclophotocoagulation in the treatment of refractory glaucoma
Muqit et al. Pain responses of Pascal 20 ms multi-spot and 100 ms single-spot panretinal photocoagulation: Manchester Pascal Study, MAPASS report 2
KR20200016362A (ko) 시신경 자극 시스템 및 방법
Javaid et al.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laucoma associated with Sturge–Weber syndrome
US1176635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novel retinal irradiance distribution modification to improve and restore vision without producing corneal vitrification
Gawne et al. The effects of intensity, spectral purity and duty cycle on red light‐induced hyperopia in tree shrews
JP7210060B2 (ja) 脈絡膜の菲薄化抑制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Schmid et al. Relationship between intraocular pressure and eye growth in chick
Winn et al. Effect of β‐adrenoceptor antagonists on autonomic control of ciliary smooth muscle
KR20230069936A (ko) 맥락막의 비박화 억제 장치 및 방법
RU2476193C1 (ru) Способ лазерного лечения макулярных друз при возрастной макулодистрофии
US1198666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optogenetic device using filtering and associated devices
EP400839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using a command law for the radiant power of a light source and associated devices
US1197494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novel retinal irradiance distribution modification to improve and restore vision without producing corneal vitrification
WO2024090566A1 (ja) バイオレットライトによる網膜変性の進行抑制及び治療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装置
JP2024504245A (ja) 角膜硝子化を生じることなく視力を改善し回復させる新規性のある網膜放射照度分布修正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2023011076A (ja) 光照射装置
Sallam et al. Proliferative and advanced diabetic retinopathy
NZ730040B2 (en) Multi-wavelength phototherap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non-invasive treatment of damaged or diseased t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