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736A - Semi-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djusting velocity of door - Google Patents

Semi-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djusting velocity of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736A
KR20230069736A KR1020210156073A KR20210156073A KR20230069736A KR 20230069736 A KR20230069736 A KR 20230069736A KR 1020210156073 A KR1020210156073 A KR 1020210156073A KR 20210156073 A KR20210156073 A KR 20210156073A KR 20230069736 A KR20230069736 A KR 20230069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lt
pulley
gea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0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6536B1 (en
Inventor
황정연
Original Assignee
황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연 filed Critical 황정연
Priority to KR102021015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536B1/en
Publication of KR2023006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7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5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automatic apparatus (100) for a door for controlling the closing speed, comprising: a mainframe (100) having a rail groove formed inside; a fixed plate (120) inserted into the mainframe (110), and having a plurality of pulleys (121) formed on one side; a moving plate (130) inserted into the mainframe (110), and formed apart from the fixed plate (120) at a preset interval,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formed on one side; a length control unit (14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120) and having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130),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by being compressed or restored by an external force; a wire (15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door (10), and having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120) by being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and a speed control unit (160)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of the door (10). Therefore, the closing speed can be partly or wholly reduced.

Description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SEMI-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DJUSTING VELOCITY OF DOOR}Semi-automatic device for controlling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SEMI-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DJUSTING VELOCITY OF DOOR}

본 발명은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수동을 열고,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면서 닫힘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with adjustable closing spe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capable of adjusting the closing speed while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utomatically.

슬라이딩도어장치는 모터와 레일을 이용하는 자동으로 슬라이딩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자동식 슬라이딩도어장치와, 손 등으로 직접 슬라이딩도어를 여는 수동식 슬라이딩도어장치가 있다. 자동식은 편리함이 장점이나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수동식은 적은 비용이 드나 편리함이 떨어진다는 것이 단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설치 비용을 낮추면서 동시에 자동식 슬라이딩도어장치만큼의 편리함을 유지할 수 있는 반자동식 슬라이딩도어장치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The sliding door device includes an automatic sliding door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or closes the sliding door using a motor and a rail, and a manual sliding door device that directly opens the sliding door by hand. The automatic type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ce, but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 lot of cost for installation, and the manual type has the disadvantage of low cost but low convenience. In this situation, interest in a semi-automatic sliding door device that can maintain as much convenience as an automatic sliding door device while lowering installation costs is emerging.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8537호(2020년 10월 15일 등록)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 자동식 도어에 비해 구조를 단순화시켜 크기를 감소시키고,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도어의 종류, 무게, 설치위치에 따라 도어의 닫히는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Among the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68537 (registered on October 15, 2020) relates to a semi-automatic door using a gas spring and a movable pulley, which simplifies the structure compared to an automatic door, reduces the size, and manufactures Techniques are disclosed that seek to reduce costs and maintenance costs. However, the prior ar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control the change in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depending on the type, weight,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oor.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동력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면서 닫힘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closing speed control type door capable of adjusting the closing speed while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without power.

또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면서 부분적으로 속도를 감속할 수 있는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closing speed adjustable door that can partially reduce the speed while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또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면서 전체적으로 속도를 감속할 수 있는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closing speed adjustable door that can reduce the speed as a whole while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는 내측에 레일홈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에 삽입되되, 일측에 복수의 제1 도르래(121)가 형성되는 고정판(120)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고정판(12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의 제2 도르래(131)가 형성되는 이동판(130)과, 일측이 상기 고정판(12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판(130)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140)과, 일측이 도어(10)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상기 제1 도르래(121) 및 복수의 상기 제2 도르래(131)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판(120)에 연결되는 와이어(150)와, 상기 도어(1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160)를 포함한다.The semi-automatic device for closing speed-adjustable d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rame 100 having a rail groov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first pulleys inserted into the body frame 110 on one side ( 121) is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frame 110,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lat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are formed on one side A moving plate 130,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12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130, and a length adjusting unit 140 having a variable length while being compressed or restored by an external force, and one side A wire 150 connected to the door 10, the other side of which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20, and the door ( 10) includes a speed control unit 160 for adjusting the moving speed.

또한, 상기 속도조절부(16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130)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완충부(161)와, 일측이 상기 완충부(161)에 연결되는 완충와이어(162)와, 상기 고정판(120)의 타측에 도르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와이어(162)의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 도르래(121) 또는 상기 완충부(161)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도르래(16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ed control unit 160 moves along the inner side of the body frame 100, and a buffer unit 161 located adjacent to the moving plate 130 and one side of the buffer unit 161 The connected buffer wire 162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120 are formed in a pulley shape, and the other side of the buffer wire 162 is connected to move the first pulley 121 or the buffer unit 161 It may include an adjustment pulley 163 for adjusting.

또한, 상기 조절도르래(163)는 일측에 상기 완충와이어(152)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외통부(163-1)와, 상기 외통부(163-1)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내측면으로 기어홈(163-21)이 형성되는 내통부(163-2)와, 상기 내통부(163-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외측면에 기어치(163-31)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163-21)과 맞물리는 기어볼트(163-3)와, 일측이 상기 외통부(163-1)를 탄성지지하고, 타측이 상기 기어볼트(163-3)를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기어홈(163-21)에 상기 기어볼트(163-3)가 맞물리도록 하는 제1 탄성지지부(163-4)를 포함하며, 상기 외통부(163-1)가 상기 제1 탄성지지부(163-4)를 압축하면서 회전하면 상기 기어볼트(163-3)가 상기 기어홈(163-21)으로부터 이탈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ing pulley 163 has an outer cylinder portion 163-1 on one side of which the buffer wire 152 passes through and is fixed,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cylinder portion 163-1, and has a gear groove 163 on the inner surface. -21) is formed in the inner cylinder portion 163-2,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cylinder portion 163-2, and gear teeth 163-3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form the gear groove 163-21. A gear bolt 163-3 meshed with, one side elastically supporting the outer cylinder portion 163-1, and the other side elastically supporting the gear bolt 163-3 to the gear groove 163-21. It includes a first elastic support part 163-4 for engaging the gear bolt 163-3, and when the outer cylinder 163-1 rotates while compressing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163-4, the gear bolt (163-3) can be separated from the gear groove (163-21) to rotate.

또한, 상기 조절도르래(163)는 상기 기어볼트(163-3)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하는 무브볼트(163-5)와, 상기 기어볼트(163-3)의 내측에 수용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도르래(121)에 탄성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무브볼트(163-5)에 탄성지지되는 제2 탄성지지부(16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브볼트(163-5)를 회전시 상기 제2 탄성지지부(163-6)가 상기 제1 도르래(121)에 접촉하여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ing pulley 163 is accommodated inside the move bolt 163-5 coupled to the screw thread formed inside the gear bolt 163-3 and the gear bolt 163-3, and one side i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support part 163-6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pulley 121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move bolt 163-5 at the other side, and rotating the move bolt 163-5 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163-6 may contact the first pulley 121 to restrict rotation.

이에 따라, 무동력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면서 닫힘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losing speed while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without power.

또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면서 부분적으로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ed can be partially reduced while the door closes automatically.

또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면서 전체적으로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all speed can be reduced while the door is automatically clo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가 도어 및 도어프레임 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 중 속도조절부에 대한 세부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속도조절부 중 조절도르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조절도르래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조절도르래 중 내통부와 기어볼트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조절도르래의 제2 탄성지지부와 제1 도르래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2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와이어가 도어에 고정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door and a door frame of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closing speed adjus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mi-automatic device for adjusting the closing speed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view of a speed control unit of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closing speed control type door according to FIG. 2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adjusting pulley among speed adjusting parts of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djusting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according to FIG. 2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justing pulley according to FIG. 4;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gear bolt of the adjusting pulley according to FIG. 4;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econd elastic support part and a first pulley of the control pulley according to FIG. 4 .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djusting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according to FIG. 2 .
9 to 11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fixing a wire of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closing speed adjustable according to FIG. 2 to the doo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user or operator or a precedent. Therefore, the meaning of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when specifical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llows the definition, and when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가 도어 및 도어프레임 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 중 속도조절부에 대한 세부상세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속도조절부 중 조절도르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조절도르래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조절도르래 중 내통부와 기어볼트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조절도르래의 제2 탄성지지부와 제1 도르래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2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door and a door frame in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closing speed adjus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a closing speed control typ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mi-automatic device, FIG. 3 is a detailed detailed view of a speed control unit among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closing speed-adjustable door according to FIG. 2, and FIG. 4 is a speed of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closing speed-adjustable door according to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justing pulley according to FIG. 4, and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cylinder and the gear bolt of the adjusting pulley according to FIG. 4. 7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elastic support and the first pulley of the adjusting pulley according to FIG. 4, and FIG. This is an example for doing thi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용 도어용 반자동장치(100)는 도어(10)와 연결되는 도어프레임(20)에 삽입된다. 여기서 도어(10)는 미닫이도어, 여닫이도어, 연동도어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반자동장치(100)는 도어프레임(20) 내부에 있는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어(10)의 개수는 1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자동장치(100)는 3개 이상의 도어(10)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반자동장치(100)는 도어(10)의 상부와 수평하게 위치하거나, 도어(10)의 측부와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반자동장치(100)는 도어프레임(20)의 상부 또는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도어프레임(20) 측의 공간을 줄이게 하기 위함이다. 반자동장치(100)는 도어프레임(20)에 볼트로 고정되며, 그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8 ,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for controlling the closing speed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door frame 20 connected to the door 10 . Here, the door 10 is used as a meaning encompassing all sliding doors, casement doors, and interlocking doors.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capable of moving along a rail inside the door frame 20 . In this case, the number of doors 10 may be one or more.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can also be used for three or more doors 10.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may be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top of the door 10 or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side of the door 10. In other words,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may be formed on the top or side of the door frame 20 . This is to reduce the space on the side of the door frame 20 by minimizing the volume.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is fixed to the door frame 20 with bolts, and its position can be vari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용 도어용 반자동장치(100)는 본체프레임(110), 고정판(120), 이동판(130), 길이조절부(140), 와이어(150) 및 속도조절부(16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for adjusting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rame 110, a fixing plate 120, a moving plate 130, a length adjusting unit 140, and a wire 150 and a speed control unit 160.

본체프레임(110)은 단면이 사각인 프레임으로 내측에 고정판(120), 이동판(130), 길이조절부(140), 와이어(150) 및 속도조절부(160)를 수용한다.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에는 레일이 형성된다. 이는 고정판(120), 이동판(130) 등이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프레임(110)의 길이 및 크기는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110)은 도어프레임(2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body frame 110 is a frame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and accommodates a fixing plate 120, a moving plate 130, a length adjusting unit 140, a wire 150, and a speed adjusting unit 160 therein. A rail is formed inside the body frame 110 . This allows the fixed plate 120, the moving plate 130, etc. to move inward through sliding coupling. The length and size of the body frame 110 may be varied by user's design. The body frame 110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door frame 20 .

또한, 본체프레임(110)의 개구된 양단에는 각각 제1 마감캡(111) 및 제2 마감캡(112)이 삽입된다. 제1 마감캡(111) 및 제2 마감캡(112)은 본체프레임(110)의 양단을 마감하면서 결합공이 형성되어 본체프레임(110)을 도어프레임(20)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마감캡(111) 및 제2 마감캡(112)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감캡(111)은 고정판(120)과 결합되어 고정판(12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first closing cap 111 and a second closing cap 112 are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body frame 110 that are opened, respectively. The first closing cap 111 and the second closing cap 112 close both ends of the body frame 110 while forming coupling holes so that the body frame 110 can be bolted to the door frame 20 to be fixed. . The first closing cap 111 and the second closing cap 112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The first closing cap 111 serves to fix the fixing plate 120 by being coupled with the fixing plate 120 .

고정판(120)은 본체프레임(11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판(12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관통공이 타공될 수 있다. 고정판(120)에는 복수의 제1 도르래(121)가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도르래(121)는 후술하는 와이어(150)가 권취된다. 이러한 복수의 제1 도르래(121)는 중심축이 고정판(120)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도르래(121)들은 본체프레임(110)과 수평하게 위치한다.The fixing plate 12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and fixed. The fixing plate 1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perforated. A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are formed on the fixing plate 120 . In this case, a wire 150 to be described later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are formed so that the central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fixing plate 120 . In other words, the first pulleys 121 are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body frame 110 .

또한, 복수의 제1 도르래(121)는 고정판(12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120)은 도어프레임(20)에 고정되어 그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도르래(121)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와이어(15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도르래(121)에는 와이어(150)가 한바퀴를 감아서 권취될 수 있다. 이는 도어(10)의 닫힘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판(120)에는 제1 가이드롤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롤러(122)는 와이어(150)를 도 10과 같이 여닫이형 도어프레임(20)에 연결할 때, 회전지지구(30)에 의해 회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120 . The fixing plate 120 is fixed to the door frame 20 and its position is maintained constant.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is is to prevent the wires 150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e wire 150 may be wound by winding one turn around the at least one first pulley 121 . This is to adjust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10 . A first guide roller 122 may be formed on the fixing plate 120 . When connecting the wire 150 to the hinged door frame 20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guide roller 122 serves to guide the rotation support member 30 to rotate.

이동판(130)은 본체프레임(110)의 일측에 수평하게 위치한다. 이동판(130)은 고정판(12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동판(1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관통공이 타공될 수 있다. 이동판(130)에는 복수의 제2 도르래(131)가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제2 도르래(131)는 후술하는 와이어(150)가 권취된다. 이러한 복수의 제2 도르래(131)는 중심축이 이동판(130)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 도르래(131)들은 본체프레임(110)과 수평하게 위치한다. 복수의 제2 도르래(131)는 이동판(13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판(130)은 후술하는 길이조절부(140)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된다.The moving plate 130 is position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 The moving plate 13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lat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oving plate 13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perforated. A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are formed on the moving plate 130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are wound with a wire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are formed so that their central axes ar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plate 130 . In other words, the second pulleys 131 are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body frame 110 . A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late 130 . The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130 is changed by a length adjusting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고정판(120)의 복수의 제1 도르래(121)와 이동판(130)의 복수의 제2 도르래(131)의 개수에 따라 와이어(150)가 이들을 경유하는 길이가 가변된다. 다시 말해, 와이어(150)는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도르래(121)와 복수의 제2 도르래(131) 사이를 왕복하면서 권취된다. 왕복하는 와이어(150)의 회선수에 따라 후술하는 길이조절부(140)의 가변길이에 따른 와이어(150)의 동작거리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150)의 회선수가 4번이면, 길이조절부(140)의 가변길이 대비 와이어(150)와 연결되는 도어(10)의 이동거리는 4배로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of the fixed plate 1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of the moving plate 130, the length of the wire 150 passing through them varies. In other words, the wire 150 is wound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 The operation distance of the wire 150 according to the variabl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140 described later is var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nes of the reciprocating wire 150 .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circuits of the wire 150 is 4, the moving distance of the door 10 connected to the wire 150 may be increased four times compared to the variabl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140 .

또한, 이동판(130)의 일측에는 제2 가이드롤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롤러(132)는 이동판(13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롤러(132)는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프레임(110)의 내측벽의 레일을 따라 제2 가이드롤러(132)가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롤러(132)는 베어링이 삽입된 합성수지재 롤러이며, 이동판(130)의 이동시 저항과 소음을 최소화하고, 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guide roller 13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late 130 . For example, the second guide roller 132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late 130 . The second guide roller 132 may be mov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frame 110 . In this case, the second guide roller 132 may move along the rail of the inner wall of the body frame 110 . The second guide roller 132 is a synthetic resin roller into which bearings are inserted, and can minimize resistance and noise and minimize power loss when the moving plate 130 moves.

길이조절부(140)는 일측이 고정판(120)과 연결되고, 타측이 이동판(130)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길이조절부(140)는 내부에 탄성스프링이 삽입되거나, 유압에 의해서 외력에 의한 압력을 완충시키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로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길이조절부(140)는 외력에 의해 압축된 후,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길이가 가변된다. 이 경우, 길이조절부(140)의 일측에 연결된 고정판(120)은 그 위치가 가변되지 않으나, 이동판(130)은 길이조절부(140)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된다. 길이조절부(140)는 도어(10)가 개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며, 이 경우 그 충격을 완충시킨다. 길이조절부(140)는 외력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그 길이가 복원되면서 도어(10)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이동한다.One side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1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130 . For example, the length adjust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with an elastic spring inserted therein or a shock absorber that buffers pressure caused by an external force by hydraulic pressure. In other words, after being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length adjusting unit 14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restoring force and the length is varie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fixed plate 1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140 is not variable, but the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130 is varied according to the length adjusting unit 140 . The length adjusting part 140 is compressed as the door 10 moves to be opened, and in this case, the impact is cushioned. The length adjusting unit 140 moves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10 while restoring its length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와이어(150)는 일측이 도어(10)에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판(12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15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50)는 고정판(120)의 복수의 제1 도르래(121)와 이동판(130)의 복수의 제2 도르래(131)를 경유하면서 권취된다. 와이어(150)는 도어(10)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판(120)과 이동판(130)의 간격을 압축시킨다. 이 경우, 고정판(120)과 이동판(130) 사이에 연결되는 길이조절부(140)도 같이 압축이 된다.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해 도어(10)가 개방이동하는 경우, 길이조절부(1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도어(10)가 폐쇄이동하도록 하여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한다.One side of the wire 150 is connected to the door 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20 . For example, the wire 1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wire 150 is wound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of the fixed plate 1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of the moving plate 130 . The wire 150 compresses the space between the fixed plate 120 and the moving plate 13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oor 10 . In this case, the length adjustment unit 140 connected between the fixed plate 120 and the moving plate 130 is also compressed. For example, when the door 10 is opened and moved by an external force, the door 10 is moved closed aga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140 so that it is automatically closed.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50)의 일측은 고정판(1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여 도어(10)와 연결된다. 와이어(150)의 타측은 고정판(120)의 복수의 제1 도르래(121)를 통해 이동판(130)에 위치한 복수의 제2 도르래(131)에 권취된다. 이어서, 와이어(150)는 다시 복수의 제1 도르래(121) 중 권취되지 않은 제1 도르래(121)에 권취되어 다시 복수의 제2 도르래(131) 중 권취되지 않은 제2 도르래(131)에 권취된다. 이 후, 와이어(150)는 고정판(120)의 일측에 고정연결된다. 이 경우, 와이어(150)는 보굿의 제1 도르래(1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적어도 한바퀴 이상 감겨진 상태로 권취될 수 있다. 이는 도어(10)의 닫힘 속도를 늦추기 위함이다.More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wire 150 is connected to the door 10 by moving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20 to the other side. The other side of the wire 150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located on the moving plate 130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of the fixed plate 120 . Subsequently, the wire 150 is again wound around the unwound first pulley 121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and then again wound around the unwound second pulley 131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do. After that, the wire 150 is fix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20 . In this case, the wire 150 may be wound around at least one of the first pulleys 121 of the bogood in a state where it is wound at least one turn. This is to slow down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10 .

또한, 와이어(150)는 도어(10)에 연결된 고정볼트(151)의 홈으로 절곡되어 삽입되고, 고정나사(152)가 고정볼트(151)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볼트(151)와 고정나사(152)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을 통해 와이어(150)를 밀착시킬 수 있다. 고정볼트(151)는 도어(10)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나사(152)에는 일자홈 또는 십자홈이 형성되어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150 may be bent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fixing bolt 151 connected to the door 10, and the fixing screw 152 may be coupled and fixed to the fixing bolt 151. In this case, the fixing bolt 151 and the fixing screw 152 are threaded so that the wire 15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through screw coupling. The fixing bolt 151 may be bolted to the door 10 . A straight groove or a cross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xing screw 152 so as to be rotated and fixed.

이 경우, 고정볼트(151)는 도어브라켓(153)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브라켓(153)은 도어의 일측에 볼트결합되는 평판의 부재이다. 도어브라켓(153)에는 복수의 볼트공(153-1)이 형성되고, 볼트공(153-1)에는 복수의 완충롤러(153-2)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완충롤러(153-2)는 도어프레임(20) 내측에 접촉하여 가이드하는 롤러이다. 이는 도어프레임(20) 내부를 따라 도어(10)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도어(10)의 폭이나 길이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롤러를 장착하기 위해 볼트공(153-1)이 여러 개로 타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bolt 151 may also be formed on the door bracket 153. The door bracket 153 is a member of a flat plate that is bolted to one side of the door. A plurality of bolt holes 153-1 may be formed in the door bracket 153, and a plurality of buffer rollers 153-2 may be coupled to the bolt holes 153-1. The plurality of buffer rollers 153-2 are rollers that contact and guide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20. This is to allow the door 10 to slide along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20 . In this case, several bolt holes 153-1 may be drilled in order to mount the rollers in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width or length of the door 10.

속도조절부(160)는 도어(10)의 이동속도를 조절한다. 속도조절부(160)는 도어(10)가 닫히는 일부 구간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전체 구간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속도조절부(160)는 도어(10)의 닫힘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도어(10)가 도어프레임(20)과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소음을 유발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속도조절부(160)는 완충부(161), 완충와이어(162) 및 조절도르래(163)를 포함한다.The speed controller 160 controls the moving speed of the door 10 . The speed control unit 160 may reduce the speed of a part of the section in which the door 10 is closed or the speed of the entire section. The speed controller 160 reduces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10, thereby minimizing damage or noise caused by collision of the door 10 with the door frame 20. More specifically, the speed control unit 160 includes a buffer unit 161, a buffer wire 162 and an adjustment pulley 163.

완충부(161)는 본체프레임(100)의 내측을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어, 완충부(161)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161)는 이동판(130)과 이웃하여 위치한다. 완충부(161)는 이동판(130)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완충부(161)는 이동판(130)에 의해 이동하여 제2 마감캡(112)에 의해 스토핑된다. 완충부(161)에는 완충와이어(162)의 일측이 연결된다. 다시 말해, 완충부(161)는 완충와이어(162)의 일측을 지지하면서 도어(10)의 닫힘속도를 줄일 수 있다.The buffer part 161 moves along the inner side of the body frame 100 . For example, the buffer unit 161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The buffer unit 161 is located adjacent to the moving plate 130 . The position of the shock absorber 161 may be changed by the moving plate 130 . The buffer part 161 is moved by the moving plate 130 and is stopped by the second closing cap 112. One side of the buffer wire 162 is connected to the buffer unit 161 . In other words, the buffer unit 161 can reduce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10 while supporting one side of the buffer wire 162 .

완충와이어(162)는 금속재일 수 있다. 완충와이어(162)는 일측이 완충부(161)에 연결되고, 타측이 조절드르래(163)와 연결된다. 완충와이어(162)는 와이어(150)와 달리 제1 도르래(121) 및 제2 도르래(131)와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 경우, 완충와이어(162)는 와이어(150)와는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와이어(162)의 길이는 사용자의 설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Buffer wire 162 may be a metal material. One side of the buffer wire 162 is connected to the buffer unit 16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ulley 163. Unlike the wire 150, the buffer wire 162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121 and the second pulley 131. In this case, the buffer wire 162 is preferably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ire 150. The length of the buffer wire 162 may vary according to the user's design.

또한, 완충와이어(162)에는 완충스프링(162-1)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완충와이어(162)는 연성이 거의 없으나, 완충스프링(162-1)에 의해 도어(10)가 닫힐 때 늘어나면서 속도를 감속시키고,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완충스프링(162-1)의 길이나 탄성력은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특히, 완충스프링(162-1)은 완충와이어(162)가 연결된 조절도르래(163)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uffer spring 162-1 is connected to the buffer wire 162. The buffer wire 162 has almost no ductility, but is stretched when the door 10 is closed by the buffer spring 162-1 to slow down the speed and absorb shock. The length or elastic force of the buffer spring 162-1 may be varied by a user's design. In particular, the buffer spring 162-1 serves to buffer with its own elastic force when the control pulley 163 to which the buffer wire 162 is connected does not rotate.

조절도르래(163)는 고정판(120)의 타측에 도르래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절도르래(163)는 완충와이어(162)의 타측이 연결되어 제1 도르래(121) 또는 완충부(161)의 이동을 조절하게 된다. 조절도르래(163)는 회전시 완충와이어(162)를 감거나 풀면서 도어(10)의 닫힘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도르래(163)가 고정시 완충와이어(162)에 연결된 완충스프링(162-1)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10)의 닫힘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절도르래(163)는 외통부(163-1), 내통부(163-2), 기어볼트(163-3) 및 제1 탄성지지부(163-4)를 포함한다.The control pulley 163 is formed in a pulley shape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120. The control pulley 16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uffer wire 162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first pulley 121 or the buffer unit 161. When the control pulley 163 rotates,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10 can be adjusted by winding or unwinding the buffer wire 162 . When the control pulley 163 is fixed,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10 can be adjus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uffer spring 162-1 connected to the buffer wire 162. More specifically, the adjusting pulley 163 includes an outer cylinder part 163-1, an inner cylinder part 163-2, a gear bolt 163-3, and a first elastic support part 163-4.

또한, 조절도르래(163) 중 외통부(163-1)는 원통형 도르래 형상으로 일측에 형성된 연결공(163-11)을 통해 완충와이어(162)가 관통하여 고정된다. 외통부(163-1)는 고정판(120)의 하부측으로 형성되어 제1 도르래(121)와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외통부(163-1)의 내측에는 내통부(163-2), 기어볼트(163-3) 및 제1 탄성지지부(163-4)가 수용된다. 외통부(163-1)가 회전시 외주면에는 완충와이어(162)가 권취될 수 있다. 외통부(163-1)에는 중앙에 볼트홈(163-12)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홈(163-12)을 통해 외통부(163-1)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ylinder part 163-1 of the adjusting pulley 163 has a cylindrical pulley shape and a buffer wire 162 passes through and is fixed through a connecting hole 163-11 formed on one side. The outer cylinder 163-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plate 120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pulley 121. The inner cylinder part 163-2, the gear bolt 163-3, and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163-4 are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cylinder part 163-1. When the outer cylinder 163-1 rotates, a buffer wire 162 may b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bolt groove 163-12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cylinder 163-1. The outer cylinder portion 163-1 may be tightened or loosened through the bolt groove 163-12.

또한, 조절도르래(163) 중 내통부(163-2)는 외통부(163-1)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이 경우, 내통부(163-2)는 외통부(163-1)와 결합한다. 이에 따라, 내통부(163-2)는 외통부(163-1)에 밀착되며, 같이 움직이게 된다. 다시 말해, 내통부(163-2)가 회전하면 외통부(163-1)도 회전하고, 내통부(163-2)가 회전하지 않으면 외통부(163-1)도 회전하지 않게 된다. 내통부(163-2)이 내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기어볼트(163-3)가 삽입된다. 내통부(163-2)의 내측에는 단면이 단차진 기어홈(163-21)이 형성된다. 기어홈(163-21)은 기어볼트(163-3)의 기어치(163-31)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inner tube portion 163-2 of the adjusting pulley 163 is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tube portion 163-1. In this case, the inner cylinder part 163-2 is coupled to the outer cylinder part 163-1. Accordingly, the inner cylinder part 16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ylinder part 163-1 and moves together. In other words, when the inner cylinder part 163-2 rotates, the outer cylinder part 163-1 also rotates, and if the inner cylinder part 163-2 does not rotate, the outer cylinder part 163-1 does not rotate either. A through hole is formed inside the inner tube portion 163-2 to insert the gear bolt 163-3. A gear groove 163-21 having a stepped cross section is formed inside the inner cylinder 163-2. The gear groove 163-21 is coupled with the gear teeth 163-31 of the gear bolt 163-3.

또한, 조절도르래(163) 중 기어볼트(163-3)는 내통부(163-2)에 삽입되어 고정판(120)을 관통한다. 기어볼트(163-3)는 고정판(120)에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기어볼트(163-3)는 외측면에 기어치(163-31)가 형성된다. 기어치(163-31)가 기어홈(163-21)과 맞물리게 되면 내통부(163-2) 및 외통부(163-1)는 그 움직임이 구속되어 회전하지 않게 된다. 기어치(163-31)가 기어홈(163-21)을 이탈하게 되면 내통부(163-2) 및 외통부(163-1)는 그 움직임이 구속되지 않아 완충와이어(162)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gear bolt 163-3 of the adjusting pulley 163 is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portion 163-2 and passes through the fixing plate 120. One end of the gear bolt 163-3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fixing plate 120. Gear teeth 163-3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ear bolt 163-3. When the gear tooth 163-31 engages with the gear groove 163-21, the movement of the inner tube portion 163-2 and the outer tube portion 163-1 is restricted and does not rotate. When the gear tooth 163-31 leaves the gear groove 163-21, the movement of the inner cylinder 163-2 and the outer cylinder 163-1 is not restricted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ffer wire 162. will do

또한, 조절도르래(163) 중 제1 탄성지지부(163-4)는 일측이 외통부(163-1)를 탄성지지하고, 타측이 기어볼트(163-3)를 탄성지지한다. 제1 탄성지지부(163-4)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어홈(163-21)에 기어볼트(163-3)가 맞물리도록 한다. 외통부(163-1)가 제1 탄성지지부(163-4)를 압축하면서 회전하면 기어볼트(163-3)가 기어홈(163-21)으로부터 이탈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통부(163-1), 내통부(163-2), 기어볼트(163-3) 및 제1 탄성지지부(163-4)를 이용하여 탄성와이어(162)가 외통부(163-1)에 감기거나 풀리게 함으로써 도어(10)의 닫힘속도 중 특히 종속을 부분적으로 느리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portion 163-4 of the adjusting pulley 163 elastically supports the outer cylinder portion 163-1 and the other side elastically supports the gear bolt 163-3.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163-4 engages the gear bolt 163-3 with the gear groove 163-21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When the outer cylinder 163-1 rotates while compressing the first elastic support 163-4, the gear bolt 163-3 separates from the gear groove 163-21 and rotates. In this way, the elastic wire 162 is connected to the outer tube portion 163-1 by using the outer tube portion 163-1, the inner tube portion 163-2, the gear bolt 163-3, and the first elastic support portion 163-4. By winding or unwinding the door 10,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10, in particular, can be partially slowed down.

또한, 조절도르래(163)는 무브볼트(163-5) 및 제2 탄성지지부(16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브볼트(163-5)는 기어볼트(163-3)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한다. 이 경우, 무브볼트(163-5)는 외통부(163-1)의 중앙 볼트홈과 동일축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볼트홈을 통해 외통부(163-1) 외에 무브볼트(163-5)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무브볼트(163-5)의 내측에는 단차진 홈이 형성되며, 외측홈에는 제1 탄성지지부(163-4)가 수용된다. 내측홈에는 무브볼트(163-5) 및 제2 탄성지지부(163-6)가 수용된다. 무브볼트(163-5)는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2 탄성지지부(163-6)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pulley 163 may further include a move bolt 163-5 and a second elastic support part 163-6. The move bolt 163-5 is coupled to a screw thread formed inside the gear bolt 163-3. In this case, the move bolt 163-5 is located on the same axis as the central bolt groove of the outer cylinder 163-1. Accordingly, the move bolt 163-5 in addition to the outer cylinder 163-1 may be tightened or loosened through the bolt groove. A stepped groove is formed inside the move bolt 163-5, and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163-4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groove. The move bolt 163-5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163-6 are accommodated in the inner groove. The move bolt 163-5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econd elastic support 163-6 while rotating along the screw thread.

제2 탄성지지부(163-6)는 기어볼트(163-3)의 내측에 수용되고, 일측이 제1 도르래(121)에 탄성지지되고, 타측이 무브볼트(163-5)에 탄성지지된다. 제2 탄성지지부(163-6)는 무브볼트(163-5)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무브볼트(163-5)가 회전하면서 제2 탄성지지부(163-6)를 밀어내면 제2 탄성지지부(163-6)가 제1 도르래(121)에 접촉하여 회전을 제한한다. 다시 말해, 도 7과 같이, 복수의 제1 도르래(121) 중 어느 하나가 제2 탄성지지부(163-6)와 접촉하여 마찰하게 됨으로써 회전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도어(10)의 닫힘속도가 전체적으로 감속하게 된다.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163-6 is received inside the gear bolt 163-3, one sid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pulley 121, and the other sid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move bolt 163-5. The position of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163-6 is varied by the move bolt 163-5. For example, when the move bolt 163-5 pushes the second elastic support 163-6 while rotating, the second elastic support 163-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ulley 121 to limit rotation.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7 ,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comes into contact with and rubs against the second elastic support 163-6, thereby limiting rotation. Accordingly,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10 is reduced as a whole.

도 8에서 조절도르래(163)의 회전에 의해 완충와이어(162) 및 완충스프링(162-1)이 조절도르래(163)에 감겨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완충와이어(162)와 연결된 완충부(161)의 위치도 가변되게 된다. 이후, 도어(10)가 닫히게 되는 경우 이동판(130)이 완충부(161)를 밀면서 전전하려 하는 경우 완충와이어(162) 및 완충스프링(162-1)에 의해 속도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도어(10)의 닫힘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도어(10)의 무게, 크기, 길이 등에 따라 속도조절부(160)의 설정을 가변시켜 도어(10)의 닫힘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8,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 pulley 163 is rotated so that the buffer wire 162 and the buffer spring 162-1 are wound around the control pulley 163.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buffer unit 161 connected to the buffer wire 162 is also changed. Thereafter, when the door 10 is closed and the moving plate 130 tries to rotate while pushing the buffer unit 161, the speed is reduced by the buffer wire 162 and the buffer spring 162-1. Accordingly,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10 is reduced. Accordingly,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10 may be adjusted by varying the setting of the speed control unit 160 according to the weight, size, length, and the like of the door 10 .

도 9 내지 도 11은 도 2에 따른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와이어가 도어에 고정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9 to 11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fixing a wire of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closing speed adjustable according to FIG. 2 to the door.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프레임(20)에는 회전지지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구(30)는 와이어(150)가 연결되어 지지하면서, 도어(10)의 회동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회전지지구(30)는 와이이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도어(10)를 90°에서 180°까지 개방시키고,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to 11 , a rotation support 30 may be formed in the door frame 20 . The rotation support 3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10 while supporting the wire 150 connected thereto. The rotation support 30 serves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twisted. Accordingly, the door 10 can be opened from 90° to 180° and automatically closed.

도어(10)가 여닫이 방식의 경우에는 도어(10)에 고정구(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50)는 조임구(41)와 고정플레이트(42) 사이로 연결된다. 이 경우, 고정플레이트(42)는 일측에 돌출된 나사산 형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플레이트(42)의 돌기에는 와이어(15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임구(41)로 고정플레이트(42)의 돌기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이게 되면 와이어(150)가 고정된다.When the door 10 is an opening type, it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10 through a fixture 40 . The wire 150 is connected between the fastener 41 and the fixing plate 42. In this case, the fixing plate 42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in the form of a screw thread protruding from one side. In this case,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wire 150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fixing plate 42 . The wire 150 is fixed when tightened to the protrusion of the fixing plate 42 with the fastener 41 in a screwing manner.

또한, 도 11과 같이 도어(10)가 미닫이 방식의 경우에는 고정플레이트(42)에는 복수의 볼트공(43)이 형성되어 도어(10)에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고정플레이트(42)에는 완충롤러(44)가 형성된다. 완충롤러(44)는 도어(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 도어프레임(20)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플레이트(42)의 돌기에는 걸림홈(45)이 형성되어 와이어(150)가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조임구(41)로 고정플레이트(42)의 돌기를 조이게 되면 고정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 when the door 10 is of a sliding type, a plurality of bolt holes 43 are formed in the fixing plate 42 to enable bolt coupling to the door 10 . A buffer roller 44 is formed on the fixed plate 42 . The buffer roller 44 can minimize friction with the door frame 20 when the door 10 moves in a sliding manner. In this case, a hooking groove 45 is formed on the protrusion of the fixing plate 42 so that the wire 150 can be hooked. Then, when the projections of the fixing plate 42 are tightened with the fastener 41, it is fix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ntended to cover obv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xamples.

10 : 도어
11 : 제1 도어
12 : 제2 도어
13 : 제3 도어
20 : 도어프레임
30 : 회전지지구
40 : 고정구
41 : 조임구
42 : 고정플레이트
43 : 볼트공
44 : 완충롤러
45 : 걸림부
100 : 반자동장치
110 : 본체프레임
111 : 제1 마감캡
112 : 제2 마감캡
120 : 고정판
121 : 제1 도르래
122 : 제1 가이드롤러
130 : 이동판
131 : 제2 도르래
132 : 가이드롤러
140 : 길이조절부
150 : 와이어
151 : 고정볼트
152 : 고정나사
153 : 도어브라켓
153-1 : 볼트공
153-2 : 완충롤러
160 : 속도조절부
161 : 완충부
162 : 완충와이어
162-1 : 완충스프링
163 : 조절도르래
163-1 : 외통부
163-11 : 연결공
163-12 : 볼트홈
163-2 : 내통부
163-21 : 기어홈
163-3 : 기어볼트
163-31 : 기어치
163-4 : 제1 탄성지지부
163-5 : 무브볼트
163-6 : 제2 탄성지지부
10: door
11: first door
12: second door
13: third door
20: door frame
30: rotation support
40: fixture
41: fastener
42: fixed plate
43: bolt ball
44: buffer roller
45: hanging part
100: semi-automatic device
110: body frame
111: first closing cap
112: second closing cap
120: fixed plate
121: first pulley
122: first guide roller
130: moving plate
131: second pulley
132: guide roller
140: length adjustment unit
150: wire
151: fixing bolt
152: fixing screw
153: door bracket
153-1: bolt hole
153-2: buffer roller
160: speed control unit
161: buffer part
162: buffer wire
162-1: buffer spring
163: control pulley
163-1: outer tube
163-11: connector
163-12: bolt home
163-2: inner tube
163-21: gear groove
163-3: gear bolt
163-31: gear teeth
163-4: first elastic support
163-5: Move Bolt
163-6: second elastic support

Claims (4)

내측에 레일홈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100);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에 삽입되되, 일측에 복수의 제1 도르래(121)가 형성되는 고정판(120);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고정판(12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의 제2 도르래(131)가 형성되는 이동판(130);
일측이 상기 고정판(12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판(130)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140);
일측이 도어(10)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상기 제1 도르래(121) 및 복수의 상기 제2 도르래(131)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판(120)에 연결되는 와이어(150); 및
상기 도어(1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160)를 포함하는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100).
A body frame 100 having rail grooves formed therein;
A fixing plate 120 inserted into the body frame 110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moving plate 130 inserted into the body frame 110,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lat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length adjustment unit 14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12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130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while being compressed or restored by an external force;
A wire 15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door 10 and the other side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2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31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20; and
A semi-automatic device (100) for a closing speed control type door comprising a speed controller (160) for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of the door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부(16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130)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완충부(161);
일측이 상기 완충부(161)에 연결되는 완충와이어(162); 및
상기 고정판(120)의 타측에 도르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와이어(162)의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 도르래(121) 또는 상기 완충부(161)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도르래(163)를 포함하는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100).
According to claim 1,
The speed control unit 160,
A buffer unit 161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body frame 100 and located adjacent to the moving plate 130;
A buffer wire 162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uffer part 161; and
It is formed in a pulley shape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120, and the other side of the buffer wire 162 is connected to adjust the first pulley 121 or the control pulley 163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buffer part 161 A semi-automatic device (100) for a closing speed-adjustable doo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도르래(163)는,
일측에 상기 완충와이어(152)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외통부(163-1);
상기 외통부(163-1)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내측면으로 기어홈(163-21)이 형성되는 내통부(163-2);
상기 내통부(163-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외측면에 기어치(163-31)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163-21)과 맞물리는 기어볼트(163-3); 및
일측이 상기 외통부(163-1)를 탄성지지하고, 타측이 상기 기어볼트(163-3)를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기어홈(163-21)에 상기 기어볼트(163-3)가 맞물리도록 하는 제1 탄성지지부(163-4)를 포함하며,
상기 외통부(163-1)가 상기 제1 탄성지지부(163-4)를 압축하면서 회전하면 상기 기어볼트(163-3)가 상기 기어홈(163-21)으로부터 이탈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100).
According to claim 2,
The adjusting pulley 163,
An outer cylinder portion 163-1 on one side of which the buffer wire 152 passes through and is fixed;
an inner cylinder portion 163-2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cylinder portion 163-1 and having a gear groove 163-21 formed therein;
a gear bolt 163-3 inserted into the inner cylinder 163-2 and having gear teeth 163-3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engage with the gear groove 163-21; and
The gear bolt 163-3 is engaged with the gear groove 163-21 while one side elastically supports the outer cylinder portion 163-1 and the other side elastically supports the gear bolt 163-3. 1 includes an elastic support (163-4),
Closing speed control type in which the gear bolt 163-3 separates from the gear groove 163-21 and rotates when the outer cylinder 163-1 rotates while compressing the first elastic support 163-4. Semi-automatic device for doors (1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도르래(163)는,
상기 기어볼트(163-3)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하는 무브볼트(163-5); 및
상기 기어볼트(163-3)의 내측에 수용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도르래(121)에 탄성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무브볼트(163-5)에 탄성지지되는 제2 탄성지지부(16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브볼트(163-5)를 회전시 상기 제2 탄성지지부(163-6)가 상기 제1 도르래(121)에 접촉하여 회전을 제한하는 닫힘속도 조절형 도어용 반자동장치(100).
According to claim 3,
The adjusting pulley 163,
a move bolt (163-5) coupled to a screw thread formed inside the gear bolt (163-3); and
A second elastic support part 163-6 accommodated inside the gear bolt 163-3, one sid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pulley 121, and the other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move bolt 163-5 ) further including,
When the move bolt (163-5) is rotated, the second elastic support (163-6) contacts the first pulley (121) to limit rotation (100).
KR1020210156073A 2021-11-12 2021-11-12 Semi-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djusting velocity of door KR1026265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073A KR102626536B1 (en) 2021-11-12 2021-11-12 Semi-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djusting velocity of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073A KR102626536B1 (en) 2021-11-12 2021-11-12 Semi-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djusting velocity of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736A true KR20230069736A (en) 2023-05-19
KR102626536B1 KR102626536B1 (en) 2024-01-17

Family

ID=8654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073A KR102626536B1 (en) 2021-11-12 2021-11-12 Semi-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djusting velocity of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53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57B1 (en) * 2011-02-21 2011-09-28 (주)이에프코리아 Semiautomatic door
KR102168537B1 (en) * 2019-08-14 2020-10-21 주식회사 삼흥정밀 Semiautomatic sliding door using gas spring and running blo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57B1 (en) * 2011-02-21 2011-09-28 (주)이에프코리아 Semiautomatic door
KR102168537B1 (en) * 2019-08-14 2020-10-21 주식회사 삼흥정밀 Semiautomatic sliding door using gas spring and running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536B1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1016B1 (en) Counterbalancing device for a swinging furniture door
CN107546033B (en) Annular coil winding machine
KR101958219B1 (en) Door hinge
US20100258986A1 (en) Damping device for movable furniture parts
US20120260577A1 (en) Linear actuator particularly for sliding doors and for sliding door or window closure elements in general
US20120180399A1 (en) Coil spring counterbalance
KR200190938Y1 (en) Door-hinge device having auto-locking function
KR20230069736A (en) Semi-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djusting velocity of door
CN109681061B (en) Hinge with buffering and resetting functions and shower room door using hinge
US6694674B2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10230670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Closer Of The Sliding Door
KR101884786B1 (en) 3 linkage door
KR101079673B1 (en) Hinge device for a door
KR101831849B1 (en) Sliding door having closing method
KR20160001744U (en) Roller for sliding door
KR102567363B1 (en) Semi-automatic apparatus for door
JPS6367437A (en) Speed regulating mechanism
CN220117957U (en) Double-direction sliding door buffer and sliding door
KR102116350B1 (en) Both direction interlocking device of hinged door
CN220451637U (en) Invisible hinge with adjustable door closing force
KR0139201Y1 (en) Control apparatus of wire tension of a vertical automatic blind
CN212583483U (en) Door system
CN219910427U (en) Three-dimensional adjustable hidden hinge
CN217326895U (en) Inclined block adjusting type window moving pulley
US3662808A (en) Bifold door hard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