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363B1 - Semi-automatic apparatus for door - Google Patents

Semi-automatic apparatus for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363B1
KR102567363B1 KR1020210048251A KR20210048251A KR102567363B1 KR 102567363 B1 KR102567363 B1 KR 102567363B1 KR 1020210048251 A KR1020210048251 A KR 1020210048251A KR 20210048251 A KR20210048251 A KR 20210048251A KR 102567363 B1 KR102567363 B1 KR 10256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mi
pulleys
fixing plat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2020A (en
Inventor
황정연
Original Assignee
황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연 filed Critical 황정연
Priority to KR102021004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363B1/en
Publication of KR2022014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0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8Gas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반자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가이드하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반자동장치는, 일측에 복수의 제1 도르래가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의 제2 도르래가 형성되는 이동판과, 일측이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판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와, 일측이 상기 도어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상기 제1 도르래 및 복수의 상기 제2 도르래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를 개방이동시 상기 길이조절부를 압축시키고, 상기 길이조절부가 복원되면서 자동으로 상기 도어가 폐쇄이동하도록 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nd a semi-automatic device installed on a door frame for guiding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late on one side of which a plurality of first pulleys are formed,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xing plate. A moving plat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pulleys formed on one side,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and a length adjusting unit having a variable length while being compressed or restored by an external forc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oor, the other side is wound around a plurality of the first pulleys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pulleys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and compresses the length adjusting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and moved, and the length adjusting unit It includes a wire that allows the door to close and move automatically while being restored.

Description

도어용 반자동장치{SEMI-AUTOMATIC APPARATUS FOR DOOR}Semi-automatic device for doors {SEMI-AUTOMATIC 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반자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수동을 열고,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manually opening and automatically closing a door.

가스스프링은 충전밸브를 통하여 질소 등 비활성 가스가 소정 압력으로 충전된 가스 챔버를 가진 실린더와, 이러한 실린더 내측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피스톤과 이에 연결된 피스톤로드로 구성된다. 가스스프링은 외부에서 피스톤로드로 가해지는 힘이 피스톤에 가해지는 가스 챔버 내의 가스 반발력보다 클 때 피스톤로드가 후진이동되고, 이후 외부의 힘보다 가스 반발력이 클 때 피스톤로드가 전진이동되면서 원상태로 되돌아오는 장치이다.The gas spring consists of a cylinder having a gas chamber filled with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hrough a filling valve, a piston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and slidingly moved, and a piston rod connected thereto.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piston rod from the outside is greater than the gas repelling force in the gas chamber applied to the piston, the piston rod moves backward, and when the gas repulsive forc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force, the piston rod moves forwar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device that comes

한편, 슬라이딩도어장치는 모터와 레일을 이용하는 자동으로 슬라이딩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자동식 슬라이딩도어장치와, 손 등으로 직접 슬라이딩도어를 여는 수동식 슬라이딩도어장치가 있다. 자동식은 편리함이 장점이나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수동식은 적은 비용이 드나 편리함이 떨어진다는 것이 단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설치 비용을 낮추면서 동시에 자동식 슬라이딩도어장치만큼의 편리함을 유지할 수 있는 반자동식 슬라이딩도어장치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door device includes an automatic sliding door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or closes the sliding door using a motor and a rail, and a manual sliding door device that opens the sliding door directly with a hand. The automatic type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ce, but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 lot of cost for installation, and the manual type has the disadvantage of low cost but low convenience. In this situation, interest in a semi-automatic sliding door device that can maintain as much convenience as an automatic sliding door device while lowering installation costs is emerging.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8537호(2020년 10월 15일 등록)는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 자동식 도어에 비해 구조를 단순화시켜 크기를 감소시키고,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도어의 상부에 형성된 도어프레임과는 별도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도어의 상부에 큰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특정 프레임을 사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현재 생산되는 도어나 기존에 설치된 도어에 접목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Among the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68537 (registered on October 15, 2020) relates to a semi-automatic door using a gas spring and a movable pulley, which simplifies the structure compared to an automatic door, reduces the size, and manufactures Techniques are disclosed that seek to reduce costs and maintenance costs.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needs to be installed at a location separate from the door fram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a large space must be secur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and a specific frame must be used. Accordingly, there is a limit to grafting to currently produced doors or existing installed doors.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동력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용 반자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that automatically closes a door without power.

또한, 도어의 상부나 측부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이용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어용 반자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by using minimal space on the top or side of the door.

또한, 미닫이도어, 여닫이도어, 연동도어에 설치하여 반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어용 반자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that can be used semi-automatically by installing in a sliding door, a casement door, or an interlocking door.

또한, 2중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도어의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폐쇄되도록 할 수 있는 도어용 반자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that can be quickly closed even when the door weighs a lot by using a double restoring force.

또한, 도어를 개방시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용 반자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that allows free entry and exit by fixing the do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open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가이드하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반자동장치는, 일측에 복수의 제1 도르래가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의 제2 도르래가 형성되는 이동판과, 일측이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판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와, 일측이 상기 도어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상기 제1 도르래 및 복수의 상기 제2 도르래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를 개방이동시 상기 길이조절부를 압축시키고, 상기 길이조절부가 복원되면서 자동으로 상기 도어가 폐쇄이동하도록 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A semi-automatic device installed in a door frame for guiding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ulleys formed on one side,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first pulleys on one side. 2 A moving plate on which a pulley is formed,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and a length adjusting unit having a variable length while being compressed or restored by an external force, one side connected to the door, and the other side It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compresses the length adjusting part when opening and moving the door, and automatically moves the door closed while the length adjusting part is restored. contains wire

또한, 상기 고정판은, 일측에 중심축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하부를 관통하여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late may have a first guide protrusion having a central ax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thereof to guide the wire to pass through upper and lower portions.

또한, 상기 도어가 제1 도어, 제2 도어 및 제3 도어로 서로 연동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상기 제2 도어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고정형인 상기 제1 도어가 연결되고, 타측에 이동형인 상기 제3 도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3 도어가 이동시 상기 제2 도어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s interlock with each other as a first door, a second door, and a third door, the first door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door connected to the wire, and the first door fixed to one side is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The movable third door is connected to, and when the third door moves, the second door may further include an interlocking unit to mov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무동력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or may be automatically closed without power.

또한, 도어의 상부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이용하며, 기존에 설치된 도어의 상부 프레임에 삽입함으로써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universally by minimizing the space above the door and inserting it into the upper frame of the existing door.

또한, 미닫이도어, 여닫이도어, 연동도어에 설치하여 반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semi-automatically by installing it on sliding doors, casement doors, and interlocking doors.

또한, 2중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도어의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double restoring force, it can be quickly closed even when the door is heavy.

또한, 도어를 개방시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it is possible to freely enter and exit the door by fixing it at a certain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 중 고정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 중 이동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가 미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가 여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와이어가 도어브라켓과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에 스토퍼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에 연동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xing plate of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ving plate of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4 to 6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is installed on a sliding door.
7 and 8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is installed in a casement door.
FIG. 9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a wire of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is connected to a door bracket.
FIG.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stopper is added to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
11 and 12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the addition of an interlocking unit to the semi-automatic door device according to FIG. 1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user or operator or a precedent. Therefore, the meaning of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when specifical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llows the definition, and when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 중 고정판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 중 이동판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가 미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가 여닫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1에 따른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의 와이어가 도어브라켓과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xing plate among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and FIG.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moving plate, FIGS. 4 to 6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is installed on a sliding door, and FIGS. 7 and 8 are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stalled in the casement door, and FIG.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wire of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according to FIG. 1 is connected to the door bracket.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100)는 도어(10)와 연결되는 도어프레임(20)에 삽입된다. 여기서 도어(10)는 미닫이도어, 여닫이도어, 연동도어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반자동장치(100)는 도어프레임(20) 내부에 있는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어(10)의 개수는 1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자동장치(100)는 3개 이상의 도어(10)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반자동장치(100)는 도어(10)의 상부와 수평하게 위치하거나, 도어(10)의 측부와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반자동장치(100)는 도어프레임(20)의 상부 또는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도어프레임(20) 측의 공간을 줄이게 하기 위함이다. 반자동장치(100)는 도어프레임(20)에 볼트로 고정되며, 그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9 , a semi-automatic device 100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door frame 20 connected to the door 10 . Here, the door 10 is used as a meaning encompassing all sliding doors, casement doors, and interlocking doors.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capable of moving along a rail inside the door frame 20 . In this case, the number of doors 10 may be one or more.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can also be used for three or more doors 10.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may be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top of the door 10 or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side of the door 10. In other words,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may be formed on the top or side of the door frame 20 . This is to reduce the space on the side of the door frame 20 by minimizing the volume.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is fixed to the door frame 20 with bolts, and its position can be vari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100)는 고정판(110), 이동판(120), 길이조절부(130) 및 와이어(1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반자동장치(100)는 사각의 본체프레임(100-1) 내측에 고정판(110), 이동판(120), 길이조절부(130) 및 와이어(140)가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late 110, a moving plate 120, a length adjusting unit 130, and a wire 140. In this case,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may include a fixing plate 110, a moving plate 120, a length adjusting unit 130, and a wire 140 inside the square body frame 100-1.

고정판(110)은 본체프레임(100-1)의 일측에 수평하게 위치한다. 고정판(1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관통공이 타공될 수 있다. 고정판(110)에는 복수의 제1 도르래(111)가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도르래(111)는 후술하는 와이어(140)가 권취된다. 이러한 복수의 제1 도르래(111)는 중심축이 고정판(110)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도르래(111)들은 본체프레임(100-1)과 수평하게 위치한다. 복수의 제1 도르래(111)는 고정판(1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110)은 도어프레임(20)에 고정되어 그 위치가 유지된다.The fixing plate 110 is position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00-1. The fixing plate 1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perforated. A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are formed on the fixing plate 110 . In this case, a wire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are formed so that the central axis is perpendicular to the fixing plate 110. In other words, the first pulleys 111 are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body frame 100-1. A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110 . The fixing plate 110 is fixed to the door frame 20 and its position is maintained.

또한, 고정판(110)의 일측에는 제1 가이드롤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판(110)은 일측이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롤러(112)는 중심축이 고정판(110)과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가이드롤러(112)의 중앙에는 와이어(140)가 권취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판(110)에 제1 가이드롤러(112)가 위치하는 부위는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 가이드롤러(112)는 고정판(110)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와이어(140)를 타측면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고정판(110)은 도어(10)와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키면서 도어(10)와 와이어(140)를 최소한의 공간 상에서 연결시키기 위함이다.In addition, a first guide roller 1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10 . In this case, the fixing plate 110 may be formed in a stepped shape on one side.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guide roller 112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ixing plate 110 .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guide roller 112 to allow the wire 140 to be wound. In this case, the portion where the first guide roller 112 is located in the fixing plate 11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first guide roller 112 serves to guide the wire 140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10 to the other side. This is to connect the door 10 and the wire 140 in a minimum space while the fixing plate 110 is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door 10 .

또한, 고정판(110)의 일측에는 제1 마감캡(113)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마감캡(113)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감캡(113)은 고정판(110)의 일단에 결합하여 제1 가이드롤러(112)를 고정판(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제1 마감캡(113)은 고정판(110)과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마감캡(113)에는 결합공(113-1)이 형성되어 도어프레임(20)에 볼트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고정판(110)이 도어(10)와 수평한 위치에서 도어프레임(20)에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losing cap 113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10 . The first closing cap 113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The first closing cap 113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xing plate 110 to prevent the first guide roller 1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110 . In this case, the first closing cap 113 may be fixed to the fixing plate 110 and bolt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 coupling hole 113-1 is formed in the first closing cap 113 so that it can be bolted to the door frame 20. Accordingly, the fixing plate 110 may be coupled to the door frame 20 at a position horizontal to the door 10 .

이동판(120)은 본체프레임(100-1)의 일측에 수평하게 위치한다. 이동판(120)은 고정판(11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동판(12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관통공이 타공될 수 있다. 이동판(120)에는 복수의 제2 도르래(121)가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제2 도르래(121)는 후술하는 와이어(140)가 권취된다. 이러한 복수의 제2 도르래(121)는 중심축이 이동판(120)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 도르래(121)들은 본체프레임(100-1)과 수평하게 위치한다. 복수의 제2 도르래(121)는 이동판(12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판(120)은 후술하는 길이조절부(130)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된다.The moving plate 120 is position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100-1. The moving plate 12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late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oving plate 1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perforated. A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are formed on the moving plate 120 . In this case, a wire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are formed so that their central axes ar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plate 120 . In other words, the second pulleys 121 are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body frame 100-1. A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late 120 . The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120 is changed by a length adjust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고정판(110)의 복수의 제1 도르래(111)와 이동판(120)의 복수의 제2 도르래(121)의 개수에 따라 와이어(140)가 이들을 경유하는 길이가 가변된다. 다시 말해, 와이어(140)는 복수의 제1 도르래(111)의 복수의 제2 도르래(121) 사이를 왕복하면서 각각 다른 제1 도르래(111) 및 제2 도르래(121)에 권취된다. 왕복하는 와이어(140)의 회선수에 따라 후술하는 길이조절부(130)의 가변길이에 따른 와이어(140)의 동작거리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140)의 회선수가 4번이면, 길이조절부(130)의 가변길이 대비 와이어(140)와 연결되어 도어(10)의 이동거리는 4배로 증가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of the fixed plate 1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of the moving plate 120, the length of the wire 140 passing through them varies. In other words, the wire 140 is wound around different first pulleys 111 and second pulleys 121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of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 The operating distance of the wire 140 according to the variabl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var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nes of the reciprocating wire 140 .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urns of the wire 140 is 4, the moving distance of the door 10 can be increased four times by being connected to the wire 140 compared to the variabl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130 .

또한, 이동판(120)의 일측에는 제2 가이드롤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롤러(122)는 이동판(12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롤러(122)는 본체프레임(100-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프레임(100-1)의 내측벽에는 제2 가이드롤러(122)를 가이드하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롤러(122)는 베어링이 삽입된 합성수지재 롤러이며, 이동판(120)의 이동시 저항과 소음을 최소화하고, 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guide roller 12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late 120 . For example, the second guide roller 122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late 120 . The second guide roller 122 can be mov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frame 100-1. In this case, a rail for guiding the second guide roller 122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frame 100-1. The second guide roller 122 is a synthetic resin roller into which bearings are inserted, and can minimize resistance and noise and minimize power loss during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120 .

길이조절부(130)는 일측이 고정판(110)과 연결되고, 타측이 이동판(120)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길이조절부(130)는 내부에 탄성스프링이 삽입되거나, 유압에 의해서 외력에 의한 압력을 완충시키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로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길이조절부(130)는 외력에 의해 압축된 후,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길이가 가변된다. 이 경우, 길이조절부(130)의 일측에 연결된 고정판(110)은 그 위치가 가변되지 않으나, 이동판(120)은 길이조절부(130)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된다. 길이조절부(130)는 도어(10)가 개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압축되며, 이 경우 그 충격을 완충시킨다. 길이조절부(130)는 외력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그 길이가 복원되면서 도어(10)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이동한다.One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1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120 . For example, the length adjustmen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with an elastic spring inserted therein or a shock absorber that buffers pressure caused by an external force by hydraulic pressure. In other words, after being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length adjusting unit 13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restoring force and the length is varie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11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130 is not variable, but the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120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length adjustment unit 130 . The length adjusting part 130 is compressed as the door 10 moves to be opened, and in this case, the impact is cushioned. The length adjusting unit 130 moves so that the door 10 is automatically closed while restoring its length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와이어(140)는 일측이 도어(10)에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판(11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14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40)는 고정판(110)의 복수의 제1 도르래(111)와 이동판(120)의 복수의 제2 도르래(121)를 경유하면서 권취된다. 와이어(140)는 도어(10)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판(110)과 이동판(120)의 간격을 압축시킨다. 이 경우, 고정판(110)과 이동판(120) 사이에 연결되는 길이조절부(130)도 같이 압축이 된다.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해 도어(10)가 개방이동하는 경우, 길이조절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도어(10)가 폐쇄이동하도록 하여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한다.One side of the wire 140 is connected to the door 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10 . For example, the wire 14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wire 140 is wound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of the fixed plate 1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of the moving plate 120 . The wire 140 compresses the space between the fixed plate 110 and the moving plate 1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oor 10 . In this case, the length adjustment unit 130 connected between the fixed plate 110 and the moving plate 120 is also compressed. For example, when the door 10 is opened and moved by an external force, the door 10 is moved closed aga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130 so that it is automatically closed.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40)의 일측은 고정판(110)의 제1 가이드롤러(112)에 의해 고정판(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여 도어(10)와 연결된다. 와이어(140)의 타측은 고정판(110)의 복수의 제1 도르래(111)를 통해 이동판(120)에 위치한 복수의 제2 도르래(121)에 권취된다. 이어서, 와이어(140)는 다시 복수의 제1 도르래(111) 중 권취되지 않은 제1 도르래(111)에 권취되어 다시 복수의 제2 도르래(121) 중 권취되지 않은 제2 도르래(121)에 권취된다. 이 후, 와이어(140)는 고정판(110)의 일측에 고정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wire 140 moves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10 to the other side by the first guide roller 112 of the fixing plate 110 and is connected to the door 10 . The other side of the wire 140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located on the moving plate 120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of the fixed plate 110 . Subsequently, the wire 140 is again wound around the unwound first pulley 111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and then again wound around the unwound second pulley 121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do. After that, the wire 140 is fix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10 .

또한, 와이어(140) 중 고정판(110)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1 탄성스프링(14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판(110)과 와이어(140) 사이에는 제1 탄성스프링(141)이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도어(10)를 인위적으로 폐쇄이동시 와이어(140)가 늘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탄성스프링(141)은 길이조절부(130)의 길이가 가변되는 경우 와이어(140)에 의한 거리에 추가적인 이동거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탄성스프링(141)은 와이어(14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1 탄성스프링(141)의 길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elastic spring 141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wire 140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10 . In other words, the first elastic spring 14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xing plate 110 and the wire 140 . This is to minimize a phenomenon in which the wire 140 is stretched when the door 10 is artificially moved to close.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spring 141 may serve to provide an additional movement distance to the distance by the wire 140 when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130 is changed.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spring 141 serves to prevent the wire 140 from being twisted.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first elastic spring 141 may be varied by a user's setting.

또한, 와이어(140)는 도어(10)에 연결된 고정볼트(142)의 홈으로 절곡되어 삽입되고, 고정나사(143)가 고정볼트(142)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볼트(142)와 고정나사(143)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을 통해 와이어(140)를 밀착시킬 수 있다. 고정볼트(142)는 도어(10)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나사(143)에는 일자홈 또는 십자홈이 형성되어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140 may be bent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fixing bolt 142 connected to the door 10, and the fixing screw 143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bolt 142 to be fixed. In this case, the fixing bolt 142 and the fixing screw 143 are threaded so that the wire 14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through screw coupling. The fixing bolt 142 may be bolted to the door 10 . A straight groove or a cross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xing screw 143 so as to be rotated and fixed.

이 경우, 도 9와 같이 고정볼트(142)는 도어브라켓(144)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브라켓(144)은 도어의 일측에 볼트결합되는 평판의 부재이다. 도어브라켓(144)에는 복수의 볼트공(144-1)이 형성되고, 볼트공(144-1)에는 복수의 완충롤러(144-2)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완충롤러(144-2)는 도어프레임(20) 내측에 접촉하여 가이드하는 롤러이다. 이는 도어프레임(20) 내부를 따라 도어(10)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도어(10)의 폭이나 길이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롤러를 장착하기 위해 볼트공(144-1)이 여러 개로 타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 the fixing bolt 142 may be formed on the door bracket 144 . The door bracket 144 is a member of a flat plate that is bolted to one side of the door. A plurality of bolt holes 144-1 may be formed in the door bracket 144, and a plurality of buffer rollers 144-2 may be coupled to the bolt holes 144-1. The plurality of buffer rollers 144 - 2 are rollers that contact and guide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20 . This is to allow the door 10 to slide along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20 . In this case, several bolt holes 144-1 may be drilled in order to mount the rollers in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width or length of the door 10.

한편,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도어용 반자동장치(100)가 여닫이 도어(10)에 연결되는 경우 도어(1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도어(10)가 90°각도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도어(10)가 180°각도로 회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고정판(110)에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롤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어(10)가 회동되는 방향에 따라 와이어(14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제1 가이들롤러 사이에 와이어(140)가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도어프레임(20)에는 회전지지구(30)가 형성된다. 회전지지구(30)는 와이어(140)가 연결되어 지지하면서, 도어(10)의 회동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회전지지구(30)는 와이이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도어(10)를 90°에서 180°까지 개방시키고,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7 and 8 , when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for a door is connected to the casement door 10, the rotation angle of the door 10 may be adjus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the door 10 may rotate at an angle of 90°. As shown in FIG. 8 ,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the door 10 at an angle of 180°. In this case, a pair of first guide rollers 112 may be formed on the fixing plate 110 . This is to allow the wire 140 to be plac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0 is rotated. In other words, the wire 140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irst guide rollers. In this case, the rotation support 30 is formed on the door frame 20 . The rotation support 3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10 while the wire 140 is connected and supported. The rotation support 30 serves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twisted. Accordingly, the door 10 can be opened from 90° to 180° and automatically clos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100)는 완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ock absorber 150.

완충부(150)는 이동판(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동판(120)의 이동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완충부(150)는 제2 탄성스프링(151)으로 형성되거나, 길이조절부(130)와 같은 형태의 공압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로 구현되는 보조길이조절부(152)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완충부(150)의 타측에는 제2 마감캡(123)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마감캡(123)은 본체프레임(100-1)의 일측에 결합하여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 경우, 제2 마감캡(123)에는 결합공(113-1)이 형성되어 도어프레임(20)과 볼트결합될 수 있다.The buffer unit 1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late 120 and serves to buffer an impact when the moving plate 120 moves. For example, the buffer unit 150 is formed of a second elastic spring 151 or an auxiliary length adjusting unit 152 implemented as a pneumatic shock absorber of the same type as the length adjusting unit 130. It could be. In this case, the second closing cap 123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hock absorber 150 . The second closing cap 12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frame 100-1 and its position is fixed. In this case, a coupling hole 113-1 is formed in the second closing cap 123 so that it can be bolted to the door frame 20.

또한, 완충부(150)는 제2 마감캡(123)에 의해 고정되면서 이동판(120)이 이동시 이를 복원시키도록 당기는 힘이 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어(10)가 이동하여 길이조절부(130)가 압축된 경우, 완충부(150)는 그 길이가 확장된다. 도어(10)의 외력이 해제된 경우, 1차적으로 길이조절부(13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2차적으로 완충부(150)에 의해 그 위치로 보다 쉽게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10)가 개방된 후 빠르게 도어(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buffer unit 150 is fixed by the second closing cap 123, a pulling force may act to restore it when the moving plate 120 moves. For example, when the door 10 is moved and the length adjustment unit 130 is compressed, the length of the buffer unit 150 is extended. When the external force of the door 10 is released, it is primarily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130, and secondarily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more easily by the buffer unit 150. . Accordingly, after the door 10 is opened, the door 10 can quickl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10은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에 스토퍼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a stopper is added to the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according to FIG. 1 .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100)는 스토퍼(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10,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60.

스토퍼(160)는 이동판(120)과 자력에 의해 결합하여 이동한다. 이 경우, 이동판(120)의 일측과 스토퍼(160)의 일측에는 각각 자석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60)는 이동판(120)와 함께 이동한다. 스토퍼(160)는 도어(10)를 강제로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체결볼트(161)를 통해 본체프레임(100-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프레임(100-1)의 하부에는 체결볼트(1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60)가 본체프레임(100-1) 고정되는 경우 이동판(120)의 이동이 제한되어 도어(10)의 이동이 멈추고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0)를 장시간 개방해야 하는 경우 스토퍼(160)를 이용하여 손쉽게 개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stopper 160 moves by being coupled with the moving plate 120 by a magnetic force. In this case, magnet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late 120 and one side of the stopper 160, respectively. The stopper 160 moves together with the moving plate 120 . The stopper 160 may be fixed to the body frame 100-1 through fastening bolts 161 when the door 10 is forcibly kept ope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frame 100-1 so that the fastening bolt 161 can be inserted. When the stopper 160 is fixed to the body frame 100-1,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120 is restrict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door 10 stops and the open state can be maintained. Accordingly, when the door 10 needs to be opened for a long time, the open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using the stopper 160 .

도 11 및 도 12는 도 1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에 연동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1 and 12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the addition of an interlocking unit to the semi-automatic door device according to FIG. 1 .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반자동장치(100)는 연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12 ,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for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locking unit 170.

연동부(170)는 복수의 도어(10)를 서로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이 경우, 복수의 도어(10)는 그 위치가 고정되는 제1 도어(11), 중간에 위치하여 이동하는 제2 도어(12), 이동형인 제3 도어(13)로 구현할 수 있다. 연동부(170)는 제2 도어(12)의 상부에 형성된다. 연동부(170)는 제3 도어(13)가 이동시 제2 도어(12)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이 경우, 와이어(140)는 일측이 제2 도어(12) 또는 연동부(170)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 제3 도어(13)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제2 도어(12)를 잡아당겨 그 위치를 복원시키게 한다. 이 경우, 반자동장치(100)의 본체프레임(100-1)은 제1 도어(11)가 위치하는 라인 상의 도어프레임(20)에 위치하고, 일측이 제1 도어(11)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롤러(112)는 고정판(110)에 일면에 복수의 제1 도르래(111)와 같은 평면에 설치되고, 일측이 고정판(1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같은 레일 상이 다른 이웃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도어(12)와 와이어(140)를 연결하기 위함이다.The interlocking unit 170 moves the plurality of doors 10 by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doors 10 may be implemented as a first door 11 whose position is fixed, a second door 12 located in the middle and moving, and a third door 13 which is movable. The interlocking part 17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door 12 . The interlocking unit 170 allows the second door 12 to interlock and move when the third door 13 moves.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wire 1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oor 12 or the interlocking part 170 . In other words, when the third door 13 moves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second door 12 is pulled to restore its position. In this case, the body frame 100-1 of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is located on the door frame 20 on the line where the first door 11 is located, and one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oor 11. In addition, the first guide roller 112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ixed plate 110 on the same plane as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and one side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fixed plate 110. This is to connect the second door 12 and the wire 140 moving along the other neighboring rail on the same rail.

보다 구체적으로, 연동부(170)는 바닥판(171), 제1 풀리(172), 제2 풀리(173), 체인(174), 제1 가이드부(175) 및 제1 가이드부(176)를 포함한다. 바닥판(171)은 길이 방향의 프레임으로 일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삽입공에는 제2 도어(12)에 고정된 피봇이 삽입되어 바닥판(171)과 연결된다. 바닥판(171)의 상부에는 제1 풀리(172), 제2 풀리(173), 제1 가이드부(175), 제1 가이드부(176) 및 체인(174)이 위치한다. 제1 풀리(172) 및 제2 풀리(173)는 일종의 회전체로 바닥판(171)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풀리(172)와 제2 풀리(173)는 바닥판(171)과 수평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회전한다. 제1 풀리(172) 및 제2 풀리(173)는 후술하는 체인(174)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interlocking unit 170 includes the bottom plate 171, the first pulley 172, the second pulley 173, the chain 174, the first guide unit 175 and the first guide unit 176 includes The bottom plate 171 is a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ser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A pivot fixed to the second door 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171 . A first pulley 172 , a second pulley 173 , a first guide part 175 , a first guide part 176 , and a chain 174 are positioned above the bottom plate 171 . The first pulley 172 and the second pulley 173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171 as a kind of rotating body. The first pulley 172 and the second pulley 173 are positioned and rot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plate 171 . The first pulley 172 and the second pulley 173 ar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by a chain 174 to be described later.

연동부(170)의 체인(174)은 폐루프로 형성되어 제1 풀리(172)와 제2 풀리(173)를 연결한다. 체인(174)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체인(174)은 제1 풀리(172)와 제2 풀리(173)가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체인(174)의 양 측에는 제1 가이드부(175) 및 제1 가이드부(176)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175) 및 제1 가이드부(176)는 체인(174)에 연결되어 회동한다. 제1 가이드부(175)와 제1 가이드부(176)는 각각 제1 도어(11)의 피봇과 제3 도어(13)의 피봇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도어(11), 제2 도어(12) 및 제3 도어(13)가 서로 연동하게 된다. 제1 가이드부(175) 및 제1 가이드부(176)는 체인(174)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가이드부(175)와 제1 가이드부(176)는 제1 풀리(172) 및 제2 풀리(173)에 의해 그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The chain 174 of the interlocking unit 170 is formed as a closed loop to connect the first pulley 172 and the second pulley 173 . The chain 174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chain 174 allows the first pulley 172 and the second pulley 173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 first guide part 175 and a first guide part 17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ain 174 . The first guide part 175 and the first guide part 176 are connected to the chain 174 and rotate. The first guide part 175 and the first guide part 176 are connected to the pivot of the first door 11 and the pivot of the third door 13,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door 11, the second door 12 and the third door 13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first guide part 175 and the first guide part 17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hain 174 and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he movement range of the first guide part 175 and the first guide part 176 is limited by the first pulley 172 and the second pulley 173 .

연동부(170)에 따른 제1 도어(11), 제2 도어(12) 및 제3 도어(13)의 움직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닫혀진 상태의 제3 도어(13)가 외력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가이드부(175)가 이동하고, 이에 따라 반대편의 제1 가이드부(176)가 체인(174)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가이드부(175)가 제1 풀리(172)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며, 제1 가이드부(176)의 경우 제1 도어(11)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반작용 힘에 의해 제2 도어(12)도 제3 도어(13)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도어(12)에 연결된 와이어(140)가 잡아당겨지면서 길이조절부(130)가 압축된다.The movement of the first door 11, the second door 12, and the third door 13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unit 17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When the third door 13 in a closed state moves in an open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guide part 175 moves, and accordingly, the opposite first guide part 176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chain 174. will move to In this case, the first guide part 175 moves until it contacts the first pulley 172,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guide part 176, since the first door 11 is fixed, the second The door 12 also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hird door 13. In this case, while the wire 140 connected to the second door 12 is pulled, the length adjustment unit 130 is compressed.

다음으로, 제3 도어(13)에 외력이 해제되면 길이조절부(13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면서 제2 도어(12)를 원래의 위치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 경우, 제2 도어(12)가 이동하면서 체인(174)이 회전하게 되며, 일측에 연결된 제1 가이드부(175)가 이동하게 된다. 제1 가이드부(175)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그와 연결된 제3 도어(13)가 닫히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3개의 도어가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며, 동시에 반자동으로 도어(10)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Next,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on the third door 13, the length adjustment unit 130 pulls the second door 12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restoring it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is case, while the second door 12 moves, the chain 174 rotates, and the first guide unit 175 connected to one side moves. As the first guide part 175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third door 13 connected thereto also moves in the clos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three doors mov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door 10 can be closed semi-automatically.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ntended to cover obv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xamples.

10 : 도어
11 : 제1 도어
12 : 제2 도어
13 : 제3 도어
20 : 도어프레임
30 : 회전지지구
100 : 반자동장치
100-1 : 본체프레임
110 : 고정판
111 : 제1 도르래
112 : 제1 가이드롤러
113 : 제1 마감캡
113-1 : 결합공
120 : 이동판
121 : 제2 도르래
122 : 제2 가이드롤러
123 : 제2 마감캡
124 : 제1 자석
130 : 길이조절부
140 : 와이어
141 : 제1 탄성스프링
142 : 고정볼트
143 : 고정나사
144 : 도어브라켓
144-1 : 볼트공
144-2 : 완충롤러
150 : 완충부
151 : 제2 탄성스프링
152 : 보조길이조절부
160 : 스토퍼
161 : 제2 자석
162 : 볼트
170 : 연동부
171 : 바닥판
172 : 제1 풀리
173 : 제2 풀리
174 : 체인
175 : 제1 가이드부
176 : 제2 가이드부
10: door
11: first door
12: second door
13: third door
20: door frame
30: rotation support
100: semi-automatic device
100-1: body frame
110: fixed plate
111: first pulley
112: first guide roller
113: first closing cap
113-1: coupling hole
120: moving plate
121: second pulley
122: second guide roller
123: second closing cap
124: first magnet
130: length adjustment unit
140: wire
141: first elastic spring
142: fixing bolt
143: fixing screw
144: door bracket
144-1: bolt ball
144-2: buffer roller
150: buffer part
151: second elastic spring
152: auxiliary length adjusting unit
160: stopper
161: second magnet
162: Bolt
170: interlocking part
171: bottom plate
172: first pulley
173: second pulley
174: chain
175: first guide unit
176: second guide unit

Claims (3)

도어(10)를 가이드하는 도어프레임(20)에 설치되는 반자동장치(100)에 있어서,
일측에 복수의 제1 도르래(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중심축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롤러(112)가 형성되는 고정판(110);
상기 고정판(11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의 제2 도르래(121)가 형성되고, 타측에 복수의 제2 가이드롤러(122)가 형성되어 본체프레임(100-1)의 내측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판(120);
일측이 상기 고정판(11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판(120)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조절부(130);
일측이 상기 도어(10)에 연결되고, 타측이 복수의 상기 제1 도르래(111) 및 복수의 상기 제2 도르래(121)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판(110)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10)를 개방이동시 상기 길이조절부(130)를 압축시키고, 상기 길이조절부(130)가 복원되면서 자동으로 상기 도어(10)가 폐쇄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1 가이드롤러(112)를 통해 상기 고정판(110)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와이어(140); 및
일측에 자석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120)과 자력에 의해 결합하여 이동하되, 체결볼트(161)를 통해 상기 본체프레임(100-1)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판(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60)를 포함하는 도어용 반자동장치(100).
In the semi-automatic device 100 installed in the door frame 20 for guiding the door 10,
A fixing plate 110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formed on one side and a first guide roller 112 having a central ax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It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late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are formed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second guide rollers 122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body frame 100-1 Moving plate 120 moving along the rail formed on the inside of the;
a length adjustment unit 13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11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120 and having a variable length while being compressed or restored by an external forc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oor 10, and the other side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first pulleys 11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121 and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10, and the door 10 When opening, the length adjusting part 130 is compressed, and the length adjusting part 130 is restored so that the door 10 automatically closes and moves, and the fixing plate 110 through the first guide roller 112. ) Wire 140 mov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nd
A magnet is formed on one side to move by being coupled with the moving plate 120 by magnetic force, but fixed to the body frame 100-1 through a fastening bolt 161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120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including a stopper 160 (1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가 제1 도어(11), 제2 도어(12) 및 제3 도어(13)로 서로 연동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140)와 연결되는 상기 제2 도어(12)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고정형인 상기 제1 도어(11)가 연결되고, 타측에 이동형인 상기 제3 도어(13)가 연결되며, 상기 제3 도어(13)가 이동시 상기 제2 도어(12)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연동부(170)를 더 포함하는 도어용 반자동장치(100).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oor 10 interlocks with the first door 11, the second door 12, and the third door 13, the top of the second door 12 connected to the wire 140 formed, the fixed first door 11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movable third door 1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when the third door 13 moves, the second door 12 A semi-automatic device for a door (100) further comprising an interlocking unit (170) for interlocking movement.
KR1020210048251A 2021-04-14 2021-04-14 Semi-automatic apparatus for door KR102567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251A KR102567363B1 (en) 2021-04-14 2021-04-14 Semi-automatic apparatus for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251A KR102567363B1 (en) 2021-04-14 2021-04-14 Semi-automatic apparatus for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020A KR20220142020A (en) 2022-10-21
KR102567363B1 true KR102567363B1 (en) 2023-08-14

Family

ID=8380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251A KR102567363B1 (en) 2021-04-14 2021-04-14 Semi-automatic apparatus for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36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657A (en) * 2002-04-08 2003-10-24 Frontier:Kk Self-closing device of sliding door
KR102067703B1 (en) * 2019-09-06 2020-02-25 주식회사 삼흥정밀 Semiautomatic three linkage door using gas spring and running bloc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845B1 (en) * 2014-07-23 2016-09-26 (주)아도 Triple door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657A (en) * 2002-04-08 2003-10-24 Frontier:Kk Self-closing device of sliding door
KR102067703B1 (en) * 2019-09-06 2020-02-25 주식회사 삼흥정밀 Semiautomatic three linkage door using gas spring and running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020A (en)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5213C (en) Integrated sliding door/panel system
KR101197538B1 (en) Control device for opening/closing in door or drawer
KR20020062973A (en) W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ruck
KR102567363B1 (en) Semi-automatic apparatus for door
KR101958219B1 (en) Door hinge
CN105507720A (en) Bi-directional damper and moving door adopting same
KR102180018B1 (en) Door system for preventing swigng
KR101710692B1 (en) bidirectional damping device of the sliding door
KR101079673B1 (en) Hinge device for a door
KR100898194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CN215212958U (en) Door closing buffer
CN113047722A (en) Door closing buffer
USRE47627E1 (en) Hinged rail for barrier operators
KR101447728B1 (en) Open-and-close method of sliding door
KR101156645B1 (en) Control device have series damper
KR102626536B1 (en) Semi-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djusting velocity of door
KR101148120B1 (en)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door
JP3647276B2 (en) Sliding door device
KR100459049B1 (en) Door hinge apparatus being able to control selectively damping pressure and rotation degree
CN220434515U (en) Buffer type door closing hinge
JPH0715988Y2 (en) Sliding door device
CN100476156C (en) Mounting unit for a window or a door
CN213330518U (en) Pause type door absorber
KR200292316Y1 (en) Hydraulic hinge for fire-door
KR101197547B1 (en) Control device have tension reg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