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614A -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614A
KR20230069614A KR1020210155798A KR20210155798A KR20230069614A KR 20230069614 A KR20230069614 A KR 20230069614A KR 1020210155798 A KR1020210155798 A KR 1020210155798A KR 20210155798 A KR20210155798 A KR 20210155798A KR 20230069614 A KR20230069614 A KR 20230069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area
region
page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김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태 filed Critical 김정태
Priority to KR102021015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9614A/ko
Priority to PCT/KR2022/017423 priority patent/WO2023085721A1/ko
Publication of KR2023006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은, 인쇄 만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마다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만화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디지털 만화의 각 페이지 영상을 기준 영역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준 영역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영역은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컷 영역, 상기 페이지 영상 내의 모든 콘텐츠를 포함하는 시퀀스 영역 및 상기 페이지 영상에 대응하는 페이지 영역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evice for providing digital comic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 만화로부터 획득된 디지털 만화를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물 형식의 출판이 주를 이루었던 출판 시장은 점차 디지털 형식의 출판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기존에 인쇄물 형식으로 출판되었던 만화책이나 만화 잡지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활용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인쇄 만화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으로는 스캐너를 이용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인쇄 만화의 각 페이지를 스캐너로 스캔하면 인쇄 만화의 각 페이지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적절히 가공하여 디지털 만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된 디지털 만화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전자책 리더기 등과 같이 비교적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큰 디지털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때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휴대전화와 같이 비교적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작은 디지털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때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만화는 웹툰에 비하여 시선 흐름이 복잡하다. 따라서 디지털 만화를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했을 때,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를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맞추어 단순히 축소만 하는 경우,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여백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디스플레이의 상단과 하단에 많은 여백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의 크기가 축소됨에 따라, 가독성이 떨어진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4-0072321 (발명의 명칭: 만화 프레임의 분할 방법 및 분할된 만화 프레임을 휴대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공개일: 2014년 6월 13일)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쇄 만화에 기초한 디지털 만화를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은, 인쇄 만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마다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을 컴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만화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디지털 만화의 각 페이지 영상을 기준 영역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준 영역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 영역은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컷 영역, 상기 페이지 영상 내의 모든 콘텐츠를 포함하는 시퀀스 영역 및 상기 페이지 영상에 대응하는 페이지 영역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쇄 만화에 기초한 디지털 만화를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때,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쇄 만화에 기초한 디지털 만화를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인쇄 만화를 기초로 획득된 디지털 만화에서의 시선 흐름과 웹툰에서의 시선 흐름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인쇄 만화를 기초로 획득된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 및 해당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가 축소되어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된 모습을 비교하여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페이지 영상에서 시퀀스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디지털 만화에 포함되어 있는 페이지 영상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6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출입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먼저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한다. 용어의 설명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한정하지 않는 한, 이하 설명되는 용어들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 영상은 페이지 영역(10), 컷 영역(20), 씬 영역(30), 시퀀스 영역(40) 및 말풍선 영역(50)을 포함한다.
페이지 영역(10)은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 영상의 전체 영역을 의미한다. 즉, 페이지 영상의 크기는 곧 페이지 영역(10)의 크기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페이지 영역(10)은 하나 이상의 컷 영역(20)을 포함할 수 있다.
컷 영역(20)은 컷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컷은 이야기의 최소 단위이다. 컷은 콘텐츠를 포함한다. 콘텐츠로는 그림 및 글을 예로 들 수 있다. 컷 영역(20)은 직선 및 곡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컷 영역(20)은 연속된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는 도형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연속된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는 도형 중에서도 직선이 차지하는 비율이 기준이 이상인 도형 또는 외곽선의 곡률반경이 기준치 미만인 도형이 컷 영역(20)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페이지 영역(10) 내에는 연속된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는 컷 영역(20)이 포함될 수도 있지만, 연속된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지 않는 컷 영역(21)이 포함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컷과 컷 주변 간에는 명암의 차이가 높거나 색상의 차이가 높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명암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점들을 연결하여 가상의 외곽선을 형성하고, 가상의 외곽선에 근거하여 컷 영역(21)을 구분할 수도 있다.
하나의 컷 영역(20)은 하나의 페이지 영역(10) 전체를 자치할 수도 있고, 연속된 두 페이지 영역을 모두 차지할 수도 있다. 연속된 두 페이지 영역이란 인쇄 만화를 펼쳤을 때 보여지는 두 페이지에 각각 대응하는 페이지 영상의 페이지 영역을 말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컷 영역(20)은 '샷 영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컷 영역(20)은 후술될 씬 영역(30) 또는 시퀀스 영역(40)을 구성할 수 있다.
씬 영역(30)은 페이지 영역(10) 내에 포함된 컷들 중에서 독자가 집중하여 보는 영역을 말한다. 일 예로, 제1 컷 영역 내에 제2 컷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컷 영역은 씬 영역(30)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컷 영역의 외곽선이 제1 컷 영역과 인접한 제2 컷 영역의 외곽선과 만나는 경우, 제1 컷 영역의 외곽선과 제2 컷 영역의 외곽선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은 씬 영역(30)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컷 영역의 외곽선과 제1 컷 영역과 인접한 제2 컷 영역의 그림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경우, 제1 컷 영역의 외곽선, 제2 컷 영역의 외곽선, 및 그림 외곽선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은 씬 영역(30)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컷 영역의 외곽선과 제1 컷 영역과 인접한 제2 컷 영역의 외곽선이 말풍선 영역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경우, 제1 컷 영역의 외곽선, 제2 컷 영역의 외곽선, 및 말풍선 영역의 외곽선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은 씬 영역(30)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씬 영역은 컷 영역 내 다른 컷 영역의 포함 여부, 컷 영역과 다른 컷 영역의 연결 여부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씬 영역은 컷 영역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다.
시퀀스 영역(40)은 페이지 영역(10) 내의 모든 콘텐츠를 포함하는 영역을 말한다. 다시 말해, 시퀀스 영역(40)은 페이지 영역(10)에서 상하 여백 및 좌우 여백을 제외한 영역을 말한다. 때문에 시퀀스 영역(40)은 페이지 영역(1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시퀀스 영역(40)의 외곽선은 페이지 영역(10)의 외곽선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컷 영역들을 구성하는 외곽선들 중에서 페이지 영역(10)의 외곽선에 가까운 외곽선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말풍선 영역(50)은 문자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말한다. 말풍선 영역(50)은 컷 영역(2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컷 영역(20)의 외곽선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컷 영역(20)의 외곽선으로부터 돌출된 말풍선 영역(50)은 인접한 컷 영역(21)의 외곽선을 침범할 수도 있다. 말풍선 영역(50)은 정해진 형상을 가지지는 않는다. 그 대신, 말풍선 영역(50)은 거의 대부분 말풍선 영역(50)의 주변과에 비하여 다른 명암 또는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말풍선 영역(50)은 주변과의 명암 대비 또는 색상 대비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말풍선 영역(50)에 대해서는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이 수행될 수 있다. 말풍선 영역(50)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및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로 제공하고,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만화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휴대전화와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 및 디지털 만화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식별 정보 및 설정 정보를 기초로, 기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만화를 사용자 단말(100)에 적합하게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디지털 만화의 각 페이지 영상을 기준 영역별로 가공할 수 있다. 기준 영역은 컷 영역, 시퀀스 및 페이지 영역 중에서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영역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를 고려하여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디지털 만화를 서비스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1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100)은 위에 예시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도시되지 않음) 간의 무선 통신, 사용자 단말(100)과 다른 사용자 단말(도시되지 않음)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외부 서버(도시되지 않음) 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부(111), 이동 통신(112), 무선 인터넷(113), 근거리 통신(114), 위치 정보부(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로는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사용자 단말(100) 내 정보, 사용자 단말(100)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 (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 (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센서들 중에서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부(153), 광 출력부(15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 단말(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wired/wireless 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wired/wireless data part), 메모리 카드 포트(memory card 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입출력 포트(Audio Input/Output port), 비디오 입출력 포트(Video Input/Output port), 이어폰 포트(earphone por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사용자 단말(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application),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기능, 전화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기능, 메시지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사용자 단말(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5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영역 검출부(210), 문자 인식부(220), 효과 처리부(230), 제어부(140), 데이터베이스(250) 및 통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사용자 단말(100)로 디지털 만화를 서비스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제1 데이터베이스,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제3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 및 디지털 만화에 대한 설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기기에 할당되어 있는 시리얼 넘버, 기기를 만든 제조사, 기기의 명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직접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디지털 만화에 대한 설정 정보는 디지털 만화의 표시 방식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만화에 적용되는 기준 영역에 대한 정보, 기준 영역에 적용할 효과의 종류 및 개수, 표시 전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표시 전환 이벤트는 사용자로부터 표시 전환 명령이 수신된 경우, 기준 영역을 표시한 후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또는 표시 전환 명령에 의해 기준 영역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기준 영상의 특정 지점이 디스플레이의 특정 지점에 도달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예시된 경우들 중에서 표시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는 기준은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전환 명령은 음성 명령 및 제스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 명령은 싱글 탭(Single Tab), 더블 탭(Double Tab), 프레스(Press), 딥 프레스(Deep Press), 팬(Pan), 스와이프(Swipe), 플릭(Flick), 스크롤(Scroll) 및 드래그(Drag)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전환 이벤트는 페이지 영상 전환 이벤트 및 컷 영역 전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지 영상 전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제스처 명령과 컷 영역 전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제스처 명령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는 인쇄 만화에 대응하는 디지털 만화를 저장한다. 한 권의 인쇄 만화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며, 디지털 만화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을 포함한다. 각각의 페이지 영상은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디지털 만화에는 하나 이상의 레이블이 레이블링될 수 있다.
일 예로, 레이블은 디지털 만화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기 위한 카테고리 레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레이블은 이용 가능한 연령에 대한 카테고리 레이블, 출판 국가에 대한 카테고리 레이블, 출판 언어에 대한 카테고리 레이블, 장르에 대한 카테고리 레이블, 주제에 대한 카테고리 레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레이블은 시선 흐름 정보 레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시선 흐름 정보 레이블은 페이지 영상에서 시선의 흐름이 시작되는 컷 영역을 알려주는 레이블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한국에서 출판된 인쇄 만화는 페이지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넘기는 형태이기 때문에 인쇄 만화를 펼쳤을 때 시점 흐름은 왼쪽 페이지에서부터 시작하여 오른쪽 페이지로 이동한다. 또한, 페이지 내에서는 해당 페이지의 좌상측부터 시점 흐름이 시작되어 우상측, 좌하측, 좌우측의 순서로 진행된다. 따라서,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 영상에서도 좌상측부터 시점 흐름이 시작되어 우상측, 좌하측, 우하측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에 비하여, 일본에서 출판된 인쇄 만화는 페이지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넘기는 형태이기 때문에 인쇄 만화를 펼쳤을 때 시점 흐름은 오른쪽 페이지에서부터 시작하여 왼쪽 페이지로 이동한다. 또한, 페이지 내에서는 해당 페이지의 우상측부터 시점 흐름이 시작되어, 좌상측, 우하측, 좌하측의 순서로 진행된다. 따라서,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 영상에서도 우상측부터 시점 흐름이 시작되어 좌상측, 우하측, 좌하측의 순서로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 만화는 인쇄 만화가 출판된 국가에 따라서, 전체적인 시점 흐름의 방향 및 시점 흐름의 시작 위치가 다르다. 따라서, 시선 흐름이 시작되는 컷 영역의 정보를 시선 흐름 정보 레이블로써 디지털 만화에 레이블링하면, 각 페이지 영상에서 시선 흐름이 시작되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영상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영상 처리에 소요되는 리소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예시한 것 외에도, 디지털 만화에는 더 다양한 종류의 레이블이 레이블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 데이터베이스는 페이지 영상의 말풍선 영역(50)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는 글꼴, 크기 및 효과 중 하나 이상이 사용자 단말(100)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된 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영역 검출부(210)는 디지털 만화의 각 페이지 영상에서 영역을 검출한다. 여기서 영역이라 함은, 앞서 설명한 페이지 영역(10), 컷 영역(20), 씬 영역(30), 시퀀스 영역(40) 및 말풍선 영역(50)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검출부(210)는 하나의 페이지 영상을 대상으로 영역을 검출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검출부(210)는 연속된 두 페이지 영상을 대상으로 영역을 검출한다. 연속된 두 페이지 영상이란, 인쇄 만화를 펼쳤을 때 보여지는 두 페이지에 각각 대응하는 페이지 영상을 말한다. 연속된 두 페이지 영상을 대상으로 영역을 검출하는 경우, 연속된 두 페이지 영상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컷 영역도 하나의 컷 영역으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컷 영역을 기준으로 디지털 만화를 디스플레이한다고 했을 때, 디지털 만화의 내용을 보다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다. 하나의 페이지 영상 및 연속된 두 페이지 영상 중에서 어떤 것을 영역 검출 대상으로 할 것인지는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될 수 있다.
영역 검출 대상이 결정된 상태에서, 영역 검출부(210)는 가장 먼저 컷 영역(20, 21)을 검출한다. 이때, 영역 검출부(210)는 외곽선을 포함하는 컷 영역(20)과 외곽선을 포함하지 않는 컷 영역(21)을 모두 검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검출부(210)는 페이지 영상에서 윤곽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윤곽선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컷 영역(20)을 검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검출된 윤곽선들 중에서 연속된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연속된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에는 컷 영역(20)을 구분하는 외곽선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외곽선도 함께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영역 검출부(210)는 검출된 영역들 중에서, 외곽선에 포함되어 있는 직선의 비율이 기준치 이상인 영역만 컷 영역(20)으로 검출한다. 이후, 영역 검출부(210)는 검출된 컷 영역(20)을 제외한 영역들 중에서 콘텐츠를 포함하는 영역도 컷 영역(21)으로 검출한다. 이와 같이 하면, 외곽선이 정의되어 있지 않은 컷 영역(21)이 검출 대상에서 제외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영역 검출부(210)는 외곽선이 정의되어 있지 않은 컷 영역(21)을 검출하기 위하여, 페이지 영상을 회색조(grayscale)로 변환할 수 있다. 그 다음, 주변과의 명암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점들을 연결하여 가상의 외곽선을 생성하고, 가상의 외곽선에 근거하여 컷 영역(21)을 검출한다.
컷 영역(20, 21)을 검출한 후, 영역 검출부(210)는 말풍선 영역(50)을 검출한다. 검출된 말풍선 영역(50)에 대해서는 후술될 문자 인식부(220)에 의해 광학 문자 인식이 수행될 수 있다.
컷 영역(20, 21) 및 말풍선 영역(50)을 검출한 후, 영역 검출부(210)는 검출된 컷 영역(10)에 기초하여 씬 영역(30)을 검출한다.
일 예로, 제1 컷 영역 내에 제2 컷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컷 영역은 씬 영역(30)으로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컷 영역의 주변에 제2 컷 영역이 존재한다고 하자. 이때, 제1 컷 영역의 외곽선과 제2 컷 영역의 외곽선이 서로 만나는 경우, 제1 컷 영역의 외곽선과 제2 컷 영역의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 전체가 씬 영역(30)으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컷 영역과 제2 컷 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컷 영역에 속한 그림이나 말풍선 영역이 다른 하나의 컷 영역을 침범하는 경우, 제1 컷 영역과 제2 컷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 전체가 씬 영역(30)으로 검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검출된 컷 영역들마다 해당 컷 영역이 포함하는 정보량을 산출하였을 때, 기준치 이상의 정보량을 포함하는 컷 영역이 씬 영역(30)으로 검출될 수 있다. 왜냐하면, 씬 영역(30)은 페이지 영역(10)에서 독자가 집중하여 보는 영역이므로, 직선, 곡선, 색상 등에 대한 정보가 다량으로 포함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씬 영역(40)을 검출한 후, 영역 검출부(210)는 검출된 컷 영역들 중에서 페이지 영역(10)의 외곽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컷 영역들에 기초하여 시퀀스 영역(40)을 검출한다.
컷 영역(20, 21), 씬 영역(30), 시퀀스 영역(40) 및 말풍선 영역(50) 등의 영역 검출이 완료되면, 영역 검출부(210)는 컷 영역(20, 21) 및 씬 영역(30)에 독자의 시선 흐름에 따른 순차 번호를 할당한다. 일 예로, 디지털 만화의 출판 언어가 한국어라면, 페이지 내에서 독자의 시선 흐름은 페이지의 좌상측부터 시작되어, 우상측, 좌하측, 우하측의 순서로 이동한다. 따라서 영역 검출부(210)는 페이지 영상 내에서 컷 영역(20, 21)의 위치 및 씬 영역(30)의 위치를 고려하여, 시선 흐름에 대응하는 순차 번호를 할당한다.
한편, 순차 번호는 페이지 영상마다 새롭게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순차 번호는 연속된 두 페이지 영상마다 새롭게 할당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순차 번호는 디지털 만화에 포함되어 있는 페이지 영상들 전체를 대상으로 할당될 수 있다.
할당된 순차 번호들 중에서 독자의 시선 흐름이 시작되는 지점에 배치된 컷 영역 또는 씬 영역의 정보는 시선 흐름 정보 레이블로서 디지털 만화에 레이블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페이지 영상에서 모든 영역이 검출된 후에 컷 영역 및 씬 영역에 순차 번호가 할당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순차 번호는 씬 영역의 검출이 완료된 후에 할당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컷 영역(20, 21) 및 씬 영역(30)에 독자의 시선 흐름에 따른 순차 번호가 할당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모든 페이지 영상마다 씬 영역(30)이 반드시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씬 영역(30)을 미포함하는 페이지 영상의 경우, 컷 영역(20, 21)만을 대상으로 순차 번호가 할당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컷 영역(20, 21) 및 씬 영역(30)을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씬 영역(30)은 페이지 영상에서 검출된 컷 영역들 중에서도 특정 기준에 부함하는 컷 영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컷 영역(20, 21)에 순차 번호를 할당한다'하는 것은 컷 영역(20, 21) 및 씬 영역(30)을 대상으로 순차 번호가 할당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영역 검출부(210)는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대량의 페이지 영상을 학습데이터(training data)로 활용하여 사전에 학습될 수 있다. 학습 방법으로는 지도학습 또는 비지도학습이 사용될 수 있다. 지도학습의 경우, 컷 영역, 말풍선 영역, 씬 영역 및 시퀀스 영역에 대한 정보가 페이지 영상에 레이블링되어 있는 레이블링 데이터가 학습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비지도학습의 경우, 레이블이 없는 다량의 페이지 영상을 대상으로 영역 검출을 수행한 다음, 영역 검출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사람이 판단하여 인공지능 모델에 피드백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문자 인식부(220)는 페이지 영상에서 검출된 말풍선 영역(50)을 대상으로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수행하여 문자를 인식한다. 인식된 문자 데이터는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는 추후 글꼴, 크기 및 효과 중 하나 이상이 사용자 단말(100)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된 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효과 처리부(230)는 페이지 영상, 페이지 영상에서 검출된 영역, 페이지 영상에서 인식된 문자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영상 효과를 적용한다. 영상 효과로는 확대, 축소, 위치 이동, 나타나는 방향, 흔들림, 블러링, 투명도 조절, 숨김 처리, 숨김 해제 및 오버레이를 예로 들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예시된 영상 효과들은 단독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의 영상 효과가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특정 대상에 대하여 적용할 효과의 개수 및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도 있고, 영상 효과가 적용되는 대상의 크기,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정보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60)는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100)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상,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역 검출부(210), 문자 인식부(220) 및 효과 처리부(230) 중에서 하나 이상은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페이지 영상에서 시퀀스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왼쪽에 도시된 것은 페이지 영상이다. 그리고 도 7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은 페이지 영상에서 검출된 시퀀스 영역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페이지 영상은 제1 컷 영역 내지 제4 컷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컷 영역 내지 제4 컷 영역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 영상을 휴대전화와 같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페이지 영역(10)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즉, 제1 컷 영역 내지 제4 컷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여백이 발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페이지 영상에서 컷 영역들을 검출한 다음, 검출된 컷 영역들에 기초하여 시퀀스 영역을 검출한다. 이하, 시퀀스 영역을 검출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의 (A)는 페이지 영상에서 검출된 컷 영역들의 기존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퀀스 영역이 검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B)는 페이지 영상에서 검출된 컷 영역들을 페이지 영역 내에서 수평 이동시켜 중앙 정렬한 후, 정렬된 컷 영역들을 구성하는 외곽선들 중에서 가장 최외곽에 위치한 외곽선들에 기초하여 시퀀스 영역이 검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B)의 경우, 제3 컷 영역과 제4 컷 영역은 가로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앙 정렬을 위한 수평 이동에서 제외된다.
도 7의 (C)는 (B)의 상태에서,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보다 짧은 가로 길이를 갖는 제1 컷 영역과 제2 컷 영역이 시퀀스 영역에 맞추어 확대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제1 컷 영역과 제2 컷 영역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동시에 확대되되, 제1 컷 영역의 가로 길이 및 제2 컷 영역의 가로 길이가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확대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디지털 만화에 포함되어 있는 페이지 영상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페이지 영상들은 출판 언어가 일본어인 인쇄 만화를 펼첬을 때 보여지는 두 페이지에 각각 대응하는 페이지 영상들을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5는 도 8에 도시된 페이지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우측에 도시된 것은 제1 페이지 영상(60)이고, 좌측에 도시된 것은 제1 페이지 영상(60)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제2 페이지 영상(70)이다. 제1 페이지 영상(60) 및 제2 페이지 영상(70)은 인쇄 만화를 펼쳤을 때 보여지는 페이지의 순서와 일치하도록 도시된 것이다.
제1 페이지 영상(60)은 총 7개의 컷 영역(61, 62, 63, 64, 65, 66, 67)을 포함한다. 제2 페이지 영상(70)은 총 6개의 컷 영역(71, 72, 73, 74, 75, 76)을 포함한다.
예시된 페이지 영상들은 출판 언어가 일본어이므로 독자의 시선 흐름은 우측의 제1 페이지(60)에서 좌측의 제2 페이지(70)로 흐른다. 또한, 각각의 페이지 영상에서 독자의 시선 흐름은 우상측의 컷 영역부터 시작하여, 좌상측, 우하측, 우좌측의 순서로 진행된다. 즉, 제1 페이지 영상(60)의 경우, 시선 흐름은 61, 62, 63, 64, 65, 66, 67의 순서로 진행된다. 그리고 제2 페이지 영상(70)의 경우, 시선 흐름은 71, 72, 73, 74, 75, 76의 순서로 진행된다.
제1 페이지 영상(60)에서 제2 컷 영역(62)과 제3 컷 영역(63)은 서로 완벽하게 구분된 것이 아니라, 말풍선 영역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컷 영역(62)과 제3 컷 영역(63)은 하나의 씬 영역으로 검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컷 영역(64)과 제5 컷 영역(65)도 말풍선 영역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4 컷 영역(64)과 제5 컷 영역(65)은 하나의 씬 영역으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제6 컷 영역(66)과 제7 컷 영역(67)은 말풍선 영역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6 컷 영역(66)과 제7 컷 영역(67)은 하나의 씬 영역으로 검출될 수 있다.
제2 페이지 영상(70)에서 제3 컷 영역(73)을 제외한 컷 영역들(71, 72, 74, 45, 46)은 연속된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 컷 영역(73)은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지는 않지만, 인접한 컷 영역들(71, 72, 74, 75, 76) 및 여백과의 명암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영역과의 명암 차이에 근거하여 제3 컷 영역(73)이 검출될 수 있다.
컷 영역 및 씬 영역에는 독자의 시선 흐름에 따른 순차 번호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제1 페이지 영상(60)의 경우, 제1 컷 영역(61), 제2 컷 영역(62)과 제3 컷 영역(63)을 포함하는 씬 영역, 제4 컷 영역(64)과 제5 컷 영역(65)을 포함하는 씬 영역, 및 제6 컷 영역(66)과 제7 컷 영역(67)을 포함하는 씬 영역에 각각 '1', '2', '3' 및 '4'의 순차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제2 페이지 영상(70)의 경우, 제1 내지 제6 컷 영역(71, 72, 73, 74, 75, 76)에 각각 '5', '6', '7', '8' 및 '9'의 순차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제1 페이지 영상(60)의 하단에 배치된 컷 영역들(66, 67)과 제2 페이지 영상(70)의 하단에 배치된 컷 영역들(74, 75, 76)을 포함하는 영역이 하나의 씬 영역으로 검출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독자의 시선 흐름은 제1 페이지 영상(60)의 제1 컷 영역(61)에서 시작하여, 제2 컷 영역(62)과 제3 컷 영역(63)을 포함하는 씬 영역, 제4 컷 영역(64)과 제5 컷 영역(65)을 포함하는 씬 영역, 제2 페이지 영상(70)의 제1 컷 영역(71), 제2 컷 영역(72), 제3 컷 영역(73), 및 두 페이지 영상(60, 70)의 하단에 배치된 씬 영역의 순서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시선 흐름에 맞추어, 순차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즉, 두 페이지 영역의 하단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씬 영역에 대해서는 마지막 순차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페이지 영상들은 기준 영역별로 영상 효과가 적용된 후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기준 영역은 컷 영역, 시퀀스 영역 및 페이지 영역 중에서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되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영상 효과로는 확대, 축소, 위치 이동, 나타나는 방향, 흔들림, 블러링, 투명도 조절, 숨김 처리, 숨김 해제 및 오버레이를 예로 들 수 있다. 예시된 영상 효과들은 단독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영상 효과가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기준 영역이 컷 영역인 경우, 컷 영역을 분할하여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제1 페이지 영역(60)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페이지 영상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2 페이지 영역(70)이 디스플레이된 후 제2 페이지 영역(70)을 대상으로 영상 효과가 적용된다.
우선, 제2 페이지 영역(70)의 컷 영역들(71, 72, 73, 74, 75, 76)이 분할된다. 그리고 분할된 컷 영역들(71, 72, 73, 74, 75, 76)은 각 컷 영역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되, 순차 번호에 맞추어 차례로 이동된다. 그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 영역들(71, 72, 73, 74, 75, 76) 간에는 상하 방향으로 컷 간격이 생성된다. 도 9는 제1 컷 영역(1)과 제2 컷 영역(72)의 사이, 그리고 제2 컷 영엿(72)과 제3 컷 영역(73)의 사이에 상하 방향의 컷 간격이 생성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분할된 컷 영역들의 위치가 종래의 웹툰과 유사해지도록 재배치된다.
한편, 생성된 컷 간격은 기준치 이상일 수 있다. 컷 간격에 대한 기준치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컷 영역들의 크기와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모두 고려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9는 분할된 컷 영역들(71, 72, 73, 74, 75, 76)의 재배치 과정을 도시한 것이기 때문에 제4 컷 영역(74), 제5 컷 영역(75) 및 제6 컷 영역(76) 간에는 컷 간격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모든 컷 영역들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제4 컷 영역(74)과 제5 컷 영역(75)의 사이, 제5 컷 영역(75)과 제6 컷 영역(76)의 사이에도 상하 방햐의 컷 간격이 생성된다.
위치가 이동된 후 컷 영역들은 일정 비율로 확대된다. 이때, 컷 영역의 확대 비율은 컷 영역의 가로 길이 및/또는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컷 영역(71)의 경우, 세로 길이에 비하여 가로 길이가 길다. 따라서 제1 컷 영역(71)의 확대 비율은 제1 컷 영역(71)의 가로 길이가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만약, 제1 컷 영역(71)의 가로 길이가 사용자 단말(100)의 가로 길이와 동일한 상태라면, 제1 컷 영역(71)의 확대는 생략된다. 다른 예로, 제1 컷 영역(71)의 확대가 생략되는 대신, 제1 컷 영역(71)의 크기를 확대한 후, 확대된 제1 컷 영역(71)의 일부 영역을 잘라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영상 효과가 적용된 컷 영역들은 차례로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순서에 해당하는 컷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세로 길이의 최상단, 중앙 및 최하단 중에서 사전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순서에 해당하는 컷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의 좌측, 중앙 및 우측 중에서 사전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컷 영역별로 디스플레이 위치가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페이지 영상(70)의 웹툰 형식을 따르도록 재배치하였을 때, 최상단에 배치된 컷 영역, 최하단에 배치된 컷 영역, 그리고 나머지 컷 영역들은 디스플레이 위치가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페이지 영상(70)의 제1 컷 영역(71)은 디스플레이의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컷 영역(71)이 디스플레이의 상단 방향으로 사라지면서 제2 컷 영역(72)이 디스플레이의 하단에서 부터 표시되기 시작한다. 이후, 제2 컷 영역(72)은 디스플레이의 세로 길이 중앙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후,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제3 컷 영역(73), 제4 컷 영역(74) 및 제5 컷 영역(75)은 도 10의 (A), (B), (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세로 길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0의 (C)와 같이, 제5 컷 영역(75)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6 컷 영역(76)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제6 컷 영역(76)은 마지막 순차 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컷 영역이므로, 도 10의 (D)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세로 길이 중앙이 아닌, 디스플레이의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컷 영역 전환 이벤트는 사용자가 컷 영역 전환 명령을 입력한 경우, 또는 현재의 컷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이후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또는 컷 영역 전환 명령에 의해 컷 영역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컷 영역의 특정 지점이 디스플레이의 특정 지점에 도달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컷 영역 전환 명령은 음성 명령 및 제스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컷 영역 전환 명령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은 페이지 영상 전환 명령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과는 구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르면, 컷 영역들이 일정 비율로 확대되므로, 컷 영역에 대한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분할된 컷 영역들의 위치가 순차 번호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재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분할된 컷 영역들은 수평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분할된 컷 영역들이 수평 방향으로 재배치된 경우, 재배치된 컷 영역들은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왼쪽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사라지거나, 디스플레이의 오른쪽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왼쪽으로 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재배치된 컷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된 후 확대되는 경우르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재비치된 컷 영역들이 일정 비율로 확대된 후,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11은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기준 영역이 시퀀스 영역인 경우, 시퀀스 영역에 대해서만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지털 만화를 실행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우선, 도 11의 (A)와 같이, 제1 페이지 영상(60)의 원본 영상이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다. 이후, 도 10의 (B)와 같이, 제1 페이지 영상(60)의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가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제1 페이지 영상(60)의 시퀀스 영역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10의 (B)의 상태에서, 페이지 영상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1 페이지 영상(60)의 시퀀스 영역에 적용되었던 영상 효과(확대)가 사라지면서 도 11의 (A)와 같이, 제1 페이지 영상(60)의 원본 영상이 다시 표시된다. 그리고 도 11의 (C)와 같이, 제2 페이지 영상(70)의 원본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도 11의 (D)와 같이, 제2 페이지 영상(70)의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가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제2 페이지 영상(70)의 시퀀스 영역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11에서, (A)에서 (B)로의 화면 전환, (B)에서 (A)로의 화면 전환, (A)에서 (C)로의 화면 전환, (C)에서 (D)로의 화면 전환은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다. 즉, 현 단계의 화면과 다음 단계의 화면이 단절되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현 단계의 화면에서 다음 단계의 화면으로의 변화 과정이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페이지 영상 전환 이벤트는 사용자가 페이지 영상 전환 명령을 입력한 경우, 또는 제1 페이지 영상(60)이 디스플레이된 후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페이지 영상 전환 명령은 음성 명령 및 제스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지 영상 전환 명령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은 컷 영역 전환 명령에 대응하는 제스처 명령과 구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1의 (A)와 같이, 제1 페이지 영상(60)의 원본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도 11의 (C)와 같이, 제2 페이지 영상(70)의 원본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르면, 페이지 영상의 원본 영상에서 제거된 여백만큼 시퀀스 영역이 일정 비율로 확대되므로, 시퀀스 영역에 대한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제2 페이지 영상(70)의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가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제2 페이지 영상(70)의 시퀀스 영역이 확대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시퀀스 영역의 세로 길이가 디스플레이의 세로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시퀀스 영상이 확대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2 페이지 영상(70)의 좌우 여백이 상하 여백에 비하여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가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시퀀스 영역이 확대된다. 반대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페이지 영상(70)의 상하 여백이 좌우 여백에 비하여 작다면, 제2 페이지 영상(70)의 세로 길이가 디스플레이의 세로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시퀀스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도 12는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기준 영역이 시퀀스 영역인 경우, 시퀀스 영역 및 컷 영역에 대해서 영상 효과를 적용하되, 컷 영역들의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 1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11의 (D)와 같은 상태 즉, 제2 페이지 영역(70)의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가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제2 페이지 영상(70)의 시퀀스 영역이 확대되어 표시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제2 페이지 영상(70)의 컷 영역들에는 차례로 영상 효과(예를 들어, 확대)가 적용되고, 영상 효과가 적용된 컷 영역을 제외한 시퀀스 영역에 대해서도 영상 효과(예를 들어, 블러링)가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D)의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2 페이지 영상(70)의 제1 컷 영역(71)의 크기가 일정 비율로 확대된다. 이 때, 제1 컷 영역(71)의 외곽선들 중 시퀀스 영역의 외곽선에 포함되는 부분은 그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제1 컷 영역(71)의 크기가 확대된다. 이와 동시에, 확대된 제1 컷 영역(71)을 제외한 나머지 시퀀스 영역들은 블러링(Blurring)된다. 그 결과, 도 12의 (A)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12의 (A)의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확대되었던 제1 컷 영역(71)은 원래 크기로 복귀된다. 그리고 제2 컷 영역(72)의 크기가 일정 비율로 확대된다. 이 때, 제2 컷 영역(71)의 외곽선들 중 시퀀스 영역의 외곽선에 포함되어 있는 외곽선은 그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제2 컷 영역(72)의 크기가 확대된다. 이와 동시에, 확대된 제2 컷 영역(72)을 제외한 나머지 시퀀스 영역은 블러링(Blurring)된다. 그 결과, 도 12의 (B)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12의 (B)의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제3 컷 영역(73), 제4 컷 영역(74), 제5 컷 영역(75) 및 제6 컷 영역(76)이 기존의 위치를 유지한 채 차례로 확대된다. 그 결과, 도 12의 (C), (D), (E), (F)의 화면이 차례로 디스플레이 된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제3 컷 영역(73)은, 제3 컷 영역(73)의 외곽선을 이루는 변들 중에서 좌측에 위치한 변이 시퀀스 영역의 외곽선에 포함되는 부분이므로, 좌측 변의 위치가 유지된 채, 제3 컷 영역(73)의 크기가 확대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2의 (D)를 참조하면, 제4 컷 영역(74)은, 제4 컷 영역(74)의 외곽선을 이루는 변들 중에서 우측 변과 하측 변이 모두 시퀀스 영역의 외곽선에 포함된다. 따라서, 제4 컷 영역(74)에서 우측 변의 위치와 하측 변의 위치가 고정된 채로, 제4 컷 영역(74)의 크기가 확대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2의 (E)를 참조하면, 제5 컷 영역(75)은, 제5 컷 영역(75)의 외곽선을 이루는 변들 중에서 하측 변이 시퀀스 영역의 외곽선에 포함되므로, 제5 컷 영역(75)의 하측 변의 위치가 유지된 채, 제5 컷 영역(57)의 크기가 확대된다.
도 12의 (F)를 참조하면, 제6 컷 영역(76)은, 제6 컷 영역(76)의 외곽선을 이루는 변들 중에서 우측 변과 하측 변이 모두 시퀀스 영역의 외곽선에 포함되므로, 제6 컷 영역(76)의 우측 변의 위치와 하측 변의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제6 컷 영역(76)이 확대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컷 전환 이벤트는 영상 효과가 적용된 컷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후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컷 영역 전환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발생된다. 이 때, 컷 영역 전환 명령은 페이지 영상 전환 명령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스처로서, 싱글 탭(Single Tab), 더블 탭(Double Tab), 프레스(Press), 딥 프레스(Deep Press), 팬(Pan), 스와이프(Swipe), 플릭(Flick), 스크롤(Scroll) 및 드래그(Drag) 등이 있다고 하자. 만약, 페이지 영상 전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스처가 싱글 탭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라면, 컷 전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스처는 더블 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입력하려는 명령과 그에 대응하는 제스처는 사전에 지정될 수 있으며, 사전 지정된 제스처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대상인 컷 영역을 순차 번호에 따라 차례로 확대시키는 것 외에도, 다른 영상 효과 예를 들면, 흔들림 효과가 추가로 적용되거나 확대 효과 없이 단독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대상인 컷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해서는 블러링 외에도, 다른 영상 효과 예를 들면, 투명도 조절 및 숨김 처리 효과 중 하나가 적용되거나 블러링과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기준 영역이 시퀀스 영역인 경우, 시퀀스 영역 및 컷 영역에 대해서 영상 효과를 적용하되, 컷 영역들의 위치를 중앙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 1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방법과 비교될 수 있다. 도 12는 제2 페이지 영상(70)의 컷 영역들(71, 72, 73, 74, 75, 76)이 기존의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차례로 확대되었다. 이에 비하여, 도 13은 제2 페이지 영상(70)의 컷 영역들(71, 72, 73, 74, 75, 76)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또는 시퀀스 영역의 정중앙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차례로 확대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1의 (D)의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2 페이지 영상(70)의 제1 컷 영역(71)이 디스플레이의 정중앙으로 이동된 후, 그 크기가 일정 비율로 확대된다. 이와 동시에, 확대된 제1 컷 영역(71)을 제외한 나머지 시퀀스 영역은 블러링된다. 그 결과, 도 13의 (A)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13의 (A)의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동 및 확대되었던 제1 컷 영역(71)은 원래의 위치 및 크기로 복귀된다. 그리고 제2 컷 영역(72)이 디스플레이의 정중앙으로 이동된 후, 그 크기가 일정 비율로 확대된다. 이와 동시에, 확대된 제2 컷 영역(72)을 제외한 나머지 시퀀스 영역은 블러링된다. 그 결과, 도 13의 (B)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도 13의 (B)의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제3 컷 영역(73), 제4 컷 영역(74), 제5 컷 영역(75) 및 제6 컷 영역(76)이 디스플레이의 정중앙으로 차례로 이동된 후, 확대된다. 그리고 확대된 컷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시퀀스 영역은 블러링된다. 그 결과,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13의 (C), (D), (E), (F)의 화면이 차례로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대상인 컷 영역을 순차 번호에 따라 차례로 이동 및 확대시키는 것 외에도, 다른 영상 효과 예를 들면, 흔들림 효과가 추가로 적용되거나, 확대 효과 대신 흔들림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대상인 컷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해서는 블러링 외에도 다른 영상 효과 예를 들면, 투명도 조절 및 숨김 처리 효과 중 하나가 적용되거나 블러링과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기준 영역이 컷 영역인 경우, 컷 영역을 분할하지 않고, 페이지 영상에 영상 효과(예를 들어, 위치 이동)를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방법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방법과 비교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제2 페이지 영상(70)의 컷 영역들(71, 72, 73, 74, 75, 76)을 분할하고, 분할된 컷 영역들을 순차 번호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재배치한 후에, 재배치된 컷 영역들을 차례로 확대하였다. 이에 비하여, 도 14는 기준 영역이 컷 영역인 경우, 제2 페이지 영상(70)의 컷 영역들(71, 72, 73, 74, 75, 76)의 분할 및 재배치 없이, 순차 번호에 해당하는 컷 영역의 중심이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2 페이지 영역(70) 전체 또는 시퀀스 영역 전체를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 페이지 영상(60)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페이지 영상 전환 이벤트(예를 들어, 스크롤)가 발생되면, 제1 페이지 영상(60)은 원래의 크기로 축소된 후 위쪽 방향으로 사라진다. 그리고 도 14의 (A)와 같이, 제2 페이지 영상(70)이 원본 영상이 디스플레이의 아래쪽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가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확대된다. 그 결과, 도 14의 (B)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14의 (B)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 14의 (C)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4의 (C)는 제2 페이지 영상(70)에서 제1 컷 영역(71)의 중심이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페이지 영역의 위치가 이동된 후,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C)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 14의 (D)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4의 (D)는 제2 컷 영역(72)의 중심이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페이지 영역의 위치가 이동된 후,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D)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 14의 (E)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4의 (E)는 제3 컷 영역(73)의 중심이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페이지 영역의 위치가 이동된 후,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E)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 14의 (F)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4의 (F)는 제4 컷 영역(74)의 중심이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페이지 영역의 위치가 이동된 후,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F)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 14의 (G)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4의 (G)는 제5 컷 영역(75)의 중심이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페이지 영역의 위치가 이동된 후,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G) 상태에서,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 14의 (H)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4의 (H)는 제5 컷 영역(75)의 중심이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페이지 영역의 위치가 이동된 후,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컷 영역 전환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표시 대상인 컷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이동되면서 확대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여기서, 첫 번째 컷 영역 전환 이벤트를 제외하고 나머지 컷 영역 전환 이벤트들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대상인 컷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중심이 아닌, 디스플레이의 최상단, 최하단, 왼쪽, 오른쪽 중에서 사전 지정된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를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에 맞추어 확대한 후, 표시 대상인 컷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차하도록 이동되면서 확대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4의 (B)의 화면 대신, 페이지 영역 전체 또는 시퀀스 영역 전체가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나 세로 길이와 상관없이 사전 지정된 비율로 확대될 수 있다. 이처럼 페이지 영역 또는 시퀀스 영역 전체가 확대된 상태에서 표시 대상인 컷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페이지 영역 또는 시퀀스 영역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5는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제6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기준 영역이 컷 영역인 경우, 컷 영역을 분할하지 않고, 표시 대상인 컷 영역과 표시 대상인 컷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해서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방법은 도 14에 도시된 방법과 비교될 수 있다. 도 14는 표시 대상인 컷 영역의 중심이 디스플레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페이지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중심에 위치한 컷 영역을 확대하였다. 도 15는 도 14와 동일하되,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한 컷 영역을 제외한 영역들이 블러링된다는데 차이가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디지털 만화를 저장한다(S501). 디지털 만화는 인쇄 만화의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역을 포함한다.
이후,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페이지 영상마다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을 검출한다(S503). 상기 S5030 단계는, 연속된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제1 영역들 중에서 외곽선을 구성하는 직선의 비율이 기준치 이상인 제2 영역들과 해당 페이지 영상에서 제2 영역들을 제외한 영역 중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3 영역들을 각 페이지 영상의 컷 영역들로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컷 영역들에 독자의 시선 흐름에 대응하는 순차 번호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순차 번호를 할당하는 단계에서, 순차 번호는 컷 영역 및 씬 영역을 대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검출된 하나 이상의 컷 영역에 기초하여, 페이지 영상마다 시퀀스 영역을 검출한다(S505). 상기 S505 단계에서, 시퀀스 영역은 다양한 방법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일 예로, 검출된 컷 영역들의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퀀스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검출된 컷 영역들을 페이지 영상 내에서 수평 이동시켜 중앙 정렬한 상태에서 시퀀스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검출된 컷 영역들을 페이지 영상 내에서 수평 이동시켜 중앙 정렬한 상태에서 크기가 가장 큰 컷 영역을 제외한 컷 영역들의 크기를 일정 비율로 확대한 상태에서 시퀀스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디지털 만화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S507).
이후,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 및 디지털 만화의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각 페이지 영상을 기준 영역별로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례로 디스플레이한다(S509).
기준 영역은 컷 영역, 시퀀스 영역 및 페이지 영역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로는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만화의 설정 정보란 디지털 만화의 페이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의미한다. 설정 정보로는, 기준 영역에 대한 정보, 기준 영역에 적용할 영상 효과의 개수 및 종류를 예로 들 수 있다. 기준 영역은 컷 영역, 시퀀스 영역 및 페이지 영역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된 기준 영역에 영상 효과를 적용한다(S511). 영상 효과는 확대, 축소, 위치 이동, 나타나는 방향, 흔들림, 블러링, 투명도 조절, 숨김 처리, 숨김 해제 및 오버레이를 예로 들 수 있다. 영상 효과는 단독으로 적용되거나 둘 이상이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 도 1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 16에서 일부 단계는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그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기준 영역이 페이지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S505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S509 단계와 S511 단계는 그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즉, 페이지 영상의 기준 영역에 영상 효과를 적용한 다음, 영상 효과가 적용된 기준 영역을 할당되어 있는 순차 번호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설명에서 도 5의 사용자 단말(100)과 도 6의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2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나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더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전술한 실시 예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명령을 포함하는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매체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매체들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매체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 기록 매체(예를 들면, CD-ROM, Blu-Ray, DVD)와 같은 기록 매체, 반송파(carrier wave)와 같은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들은 분산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므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전송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단지 일 예로써, 처리 요소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요소는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 분산 및/또는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Claims (21)

  1. 인쇄 만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마다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만화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디지털 만화의 각 페이지 영상을 기준 영역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준 영역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영역은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컷 영역, 상기 페이지 영상 내의 모든 콘텐츠를 포함하는 시퀀스 영역 및 상기 페이지 영상에 대응하는 페이지 영역 중에서 하나인,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은 하나 이상의 씬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씬 영역은 기준치 이상의 정보량을 포함하는 단일 컷 영역, 내부에 컷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단일 컷 영역, 말풍선 영역이나 콘텐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둘 이상의 단일 컷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마다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마다, 연속된 외곽선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들 중에서 외곽선을 구성하는 직선의 비율이 기준치 이상인 제2 영역들과 상기 페이지 영상에서 상기 제2 영역들을 제외한 영역 중에서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3 영역들을 각 페이지 영상의 컷 영역들로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컷 영역들에 시선 흐름에 대응하는 순차 번호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 중에서 연속된 제1 페이지 영상 및 제2 페이지 영상 전체를 대상으로, 상기 제1 영역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페이지 영상 및 상기 제2 페이지 영상은 상기 인쇄 만화를 펼쳤을 때 보여지는 두 페이지들에 각각 대응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마다 검출된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의 배치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배치가 유지된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의 외곽선을 구성하는 변들 중에서 각 페이지 영상의 외곽선에 가장 근접한 변들에 기초하여, 상기 시퀀스 영역을 검출하는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마다 검출된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을 각 페이지 영상 내에서 수평 이동시켜 중앙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정렬된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의 외곽선을 구성하는 변들 중에서 상기 각 페이지 영상의 외곽선에 가장 근접한 변들에 기초하여, 상기 시퀀스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시퀀스 영역 내에, 상기 시퀀스 영역의 외곽선과 중첩하는 부분이 없는 제1 컷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컷 영역의 가로 길이가 상기 검출된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에 부합하도록 상기 제1 컷 영역을 확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준 영역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시퀀스 영역의 가로 길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에 부합하도록 상기 시퀀스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상기 시퀀스 영역의 세로 길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세로 길이에 부합하도록 상기 시퀀스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된 시퀀스 영역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확대된 시퀀스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컷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순차 번호에 맞추어, 상기 확대된 시퀀스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컷 영역에 차례로 제1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상 효과는
    위치 이동, 확대, 숨김 처리, 숨김 해제 및 흔들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효과의 적용 대상인 제1 컷 영역의 외곽선을 구성하는 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이 상기 시퀀스 영역의 외곽선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의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의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컷 영역의 크기를 일정 비율로 확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효과의 적용 대상인 제1 컷 영역의 중심이 상기 시퀀스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컷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위치가 이동된 제1 컷 영역의 크기를 일정 비율로 확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된 시퀀스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컷 영역 중에서 표시 대상인 제1 컷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시퀀의 영역의 위치를 차례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효과의 적용 대상인 제1 컷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제2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상 효과는 블러링, 투명도 조절 및 숨김 처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준 영역에 영상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영역이 상기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로 길이와는 상관없이 상기 페이지 영역의 크기를 사전 지정된 비율로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확대된 페이지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컷 영역 중에서 표시 대상인 제1 컷 영역의 중심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확대된 시퀀스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에 위치한 상기 제1 컷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블러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전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영역에 적용된 영상 효과를 취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전환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표시 전환 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후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표시 전환 명령에 의해 상기 기준 영상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기준 영상의 특정 지점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특정 지점에 도달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전환 명령은 음성 명령 또는 제스처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제스처 명령은 싱글 탭(Single Tab), 더블 탭(Double Tab), 프레스(Press), 딥 프레스(Deep Press), 팬(Pan), 스와이프(Swipe), 플릭(Flick), 스크롤(Scroll) 및 드래그(Drag)를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19. 인쇄 만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마다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마다 검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컷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상마다 시퀀스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만화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디지털 만화의 각 페이지 영상을 기준 영역별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기준 영역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영역은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컷 영역, 상기 페이지 영상 내의 모든 콘텐츠를 포함하는 시퀀스 영역 및 상기 페이지 영상에 대응하는 페이지 영역 중에서 하나인,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페이지 영상을 기준 영역별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영역이 상기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인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컷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분할된 컷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순차 번호에 맞추어 상기 하나 이상의 분할된 컷 영역을 기준 방향을 따라 차례로 이동시켜, 상기 하나 이상의 분할된 컷 영역 간에 기준치 이상의 컷 간격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할된 컷 영역은
    각 컷 영역의 중심점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 가상의 수평선, 또는 가상의 대각선을 따라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KR1020210155798A 2021-11-12 2021-11-12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69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798A KR20230069614A (ko) 2021-11-12 2021-11-12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17423 WO2023085721A1 (ko) 2021-11-12 2022-11-08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798A KR20230069614A (ko) 2021-11-12 2021-11-12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614A true KR20230069614A (ko) 2023-05-19

Family

ID=8633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798A KR20230069614A (ko) 2021-11-12 2021-11-12 디지털 만화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9614A (ko)
WO (1) WO202308572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321A (ko) 2012-11-30 2014-06-13 (주)모비루스 만화 프레임의 분할 방법 및 분할된 만화 프레임을 휴대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249A (ko) * 2002-04-19 2003-10-30 (주)보고소프트 무선인터넷 기반에서 만화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에제공하여 풍경화형의 만화이미지를 스크롤하면서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KR101968977B1 (ko) * 2012-09-26 2019-04-15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카툰 제공 시스템, 카툰 제공 장치 및 카툰 제공 방법
KR101726844B1 (ko) * 2015-03-25 2017-04-13 네이버 주식회사 만화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8930A (ko) * 2016-07-05 2016-12-06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만화 컨텐츠의 이미지컷 정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321A (ko) 2012-11-30 2014-06-13 (주)모비루스 만화 프레임의 분할 방법 및 분할된 만화 프레임을 휴대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721A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935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92240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CN109739361B (zh) 基于眼睛跟踪的可见度提高方法和电子装置
EP309375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801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KR2018012943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193771B (zh) 会议系统、信息处理装置以及显示方法
CN112181226B (zh) 用于提供内容的方法和装置
US10248878B2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as well as electronic device and keyboard thereof
US20160041965A1 (en) Improved data entry systems
US9165185B2 (e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f text in an image according to a prioritized processing sequence
US20110154249A1 (en) Mobile device and related control method for external output depending on user interaction based on image sensing module
US20120133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ctionary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JP2010067104A (ja) 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CN104106035A (zh) 用户界面调节方法及利用该方法的用户终端机
US94363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viewing comic book electronic publications
JP2006107048A (ja) 視線対応制御装置および視線対応制御方法
WO2015130875A1 (en) Improved data entry systems
US201201271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display
US1001314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WO2005096760A2 (en) Portable reading device with mode processing
CN111338558B (zh) 电子书手写笔记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0248346A1 (zh) 文字的检测
KR20190063853A (ko) 입력 필드의 이동 방법 및 장치
US11474683B2 (en) Portable device and screen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