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329A -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329A
KR20230069329A KR1020210155263A KR20210155263A KR20230069329A KR 20230069329 A KR20230069329 A KR 20230069329A KR 1020210155263 A KR1020210155263 A KR 1020210155263A KR 20210155263 A KR20210155263 A KR 20210155263A KR 20230069329 A KR20230069329 A KR 20230069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exercise
control board
user
muscular endu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겸
최화영
Original Assignee
이대겸
최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겸, 최화영 filed Critical 이대겸
Priority to KR102021015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9329A/ko
Publication of KR2023006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63B21/401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된 특정 근육에 세밀한 힘이 집중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 끝단에는 지지플레이트(120)가 기립 고정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서 특정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베드(130)가 설치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드(130)의 사이에는 흔들림을 방지해주는 고정플레이트(140)가 지지플레이트(120)에 결속 고정된 베드 구조체(100)와, 상기 베드 구조체(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메인 컨트롤 보드(220)와, 서브 컨트롤 보드(230)가 안정적인 기립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210)가 구비되며, 그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단에는 커넥터(300)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위치 선택 홈(221)이 다수 개 형성된 메인 컨트롤 보드(220)가 설치 고정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220)의 좌, 우측에는 서브 컨트롤 보드(230)가 설치 고정된 컨트롤 박스(200)와,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220)에 위치 선택 홈(221)에 끼움 고정되되, 사용자의 운동부위 또는 신체조건, 운동 강도에 따라 위치를 임의 변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텐션 스프링(310)이 연결 고정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300)와, 상기 텐션 스프링(310)의 끝단에 연결 고정되며, 끝단에는 사용자의 손 또는 발에 안정적인 파지가 되도록 하는 홀더(410)가 결속 고정된 다수 개의 로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Selective static muscular endurance exercise equipment for spine correction}
본 발명은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선택된 특정 근육에 세밀한 힘이 집중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여러 가지 구조물들이 모여 상체의 체중을 버티는 인체의 대들보 역할을 하고 구부렸다 펴는 운동으로 상/하지와 더불어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관절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인 척수와 말초신경의 모양인 척추 신경근의 통로 역할 및 생존을 위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무기물질인 칼슘의 저장고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상적으로 옆에서 보았을 때 S자 모양으로 굴곡을 이루고 있으며 신체의 운동역학적인 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신체부위이다.
이러한 척추는, 골반 위에 추체를 한 단씩 올려놓고 추체간 충격완화 및 잘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해 추체 사이에 디스크가 들어있으며, 척추의 베이스가 되는 추체가 넘어지지 않도록 인대와 근육이 지지 및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척추는 나쁜 자세나 충격 등 인위적인 요소에 의하여 척추의 라인에 변형이 오게 되는데, 척추가 휘어지면 추체를 지지 및 고정하고 있는 인대와 근육도 변형된 척추의 형상대로 변하게 되고 척추의 변형상태가 장기간 지속 되면 인대와 근육이 변형된 상태로 굳어지면서 척추의 변형을 그대로 유지케 되며, 이는 디스크 발생 및 요통 등의 각종 질환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디스크 탈출에 의한 척추전만증이나 척추후만증 등 척추 디스크 병이나 척추관련 각종 질환으로 발전 됨으로써 일상생활 및 거동에 불편함을 겪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물리치료 및 수술 등의 치료가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하는데, 종래 척추의 교정을 위한 물리치료에는 척추교정용 기구를 활용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보편화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척추 교정용 기구들은 척추주변의 조직을 늘리기는 하나 실제로 척추 마디를 견인하는 신장기능이 미비하고 또는 불필요한 강제의 견인력으로 척추주변 조직인 근육의 긴장을 유발시키는 부작용 등 척추의 스트레칭 및 교정을 통한 물리치료 효과를 충분하게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꾸로 누운 자세로 매달리 듯 유지하여 척추의 변형을 바로 잡아주는 척추교정용 운동기구가 있으나, 이러한 기구는 통상 신체 지지부인 등판에 등을 기대면서 발을 클램핑 부에 끼워 고정 시킨 뒤 프레임의 측부에 장착고정된 안내 봉을 잡고 몸이 뒤로 젖혀지도록 인위적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신체가 뒤로 젖혀질 때 속도조절이 어려워 자연스럽게 뒤로 젖혀지기가 매우 힘들고 안정성이 떨어짐에 따라 체력이 약한 사람이나 노약자들의 입장에서는 매우 위험하여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416202호인 상체회동 운동기구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본체와, 사용자가 상체를 회동시키는 운동을 할 때 사용자에게 부하를 부여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 된 부하 부여부와, 사용자가 어깨를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부하 부여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부하가 가해지도록 어깨에 끼워지는 어깨 홀딩수단을 가지는 한편, 상기 부하 부여부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 된 어깨 착용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퍼들이나 재활운동 자들이 체형과 체중 등 신체조건에 맞게 상체회동운동을 함으로써 유연성과 근력을 효과적으로 증강시키고 재활운동의 효과를 기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 된 등록특허 10-0416202호는 단순히 사용자의 상체 중 어깨만을 회동시킴에 따라 어깨의 회동에 의해 척추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어깨를 돌리는 과정에서 등이 틀어지거나 등이 구부러지는 문제점에 의해 척추 전체에 대한 교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 10-0718349호인 근육 이완 및 관절유연성 운동기구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머리 위쪽에 운동 봉을 장착시키되 운동 봉은 관절부에 의해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운동 봉의 좌우 양쪽을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위아래 시소운동하고 앞뒤로 뒤틀리는 운동을 하도록 하여 어깨운동, 옆구리, 허리, 가슴, 등, 등의 신체의 상반신을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목등뼈근육 강화를 위한 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 된 바와 같은 등록특허 10-0718349호의 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비용 및 구입비용에 부담을 야기 시키게 되고, 사용자의 신체 중 운동 봉을 잡은 양손이 좌우 양측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역시 신체가 뒤틀리는 과정에서 어깨는 물론 등이 바르게 회전되지 않고 틀어지게 되어 척추의 올바른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16202호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18349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인식하여 그 해결책을 제안코자 하는 것으로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선택된 특정 근육에 세밀한 힘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고,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자극으로 인해 척추가 교정되도록 안내하는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S)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 끝단에는 지지플레이트(120)가 기립 고정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서 특정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베드(130)가 설치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드(130)의 사이에는 흔들림을 방지해주는 고정플레이트(140)가 지지플레이트(120)에 결속 고정된 베드 구조체(100)와, 상기 베드 구조체(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메인 컨트롤 보드(220)와, 서브 컨트롤 보드(230)가 안정적인 기립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210)가 구비되며, 그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단에는 커넥터(300)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위치 선택 홈(221)이 다수 개 형성된 메인 컨트롤 보드(220)가 설치 고정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220)의 좌, 우측에는 서브 컨트롤 보드(230)가 설치 고정된 컨트롤 박스(200)와,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220)에 위치 선택 홈(221)에 끼움 고정되되, 사용자의 운동부위 또는 신체조건, 운동 강도에 따라 위치를 임의 변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텐션 스프링(310)이 연결 고정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300)와, 상기 텐션 스프링(310)의 끝단에 연결 고정되며, 끝단에는 사용자의 손 또는 발에 안정적인 파지가 되도록 하는 홀더(410)가 결속 고정된 다수 개의 로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140)의 일측 끝단은 하체 운동과정에서 사용자가 양손을 파지한 상태로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핸들(14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드 구조체(100)와 컨트롤 박스(200)의 일측에는 스프링(310)과 연결된 로프(400)를 손 또는 발의 위치까지 저항 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 롤러(500)가 로프(400) 당 적어도 2개 이상 설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 컨트롤 보드(230) 각각에는 사용자가 컨트롤 박스(200) 방향으로 베드에 앉아 있을 때 양팔이 근지구력 운동을 시행할 수 있도록 홀드(231)가 결속된 로프(232)가 텐션 스프링(233)과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234)에 연결고정되되, 상기 커넥터(234)의 위치 변경이 선택적으로 용이하도록 위치 선택 홈(235)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는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선택된 특정 근육에 세밀한 힘이 집중될 수 있으며, 나아가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운동 자극을 통해 척추를 교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중 컨트롤 박스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중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는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베드 구조체(100)와, 상기 베드 구조체(100)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운동 강도를 사용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 박스(200) 및 컨트롤 박스(200)에 끼움 고정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300)와 그 커넥터(3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당김에 따른 근지구력 운동이 되도록 안내하는 다수개의 로프(4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드 구조체(1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안정적인 지지가 되도록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구비되며, 그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 끝단에는 지지플레이트(120)가 기립 고정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서 선택한 특정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베드(130)가 설치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드(130)의 사이에는 고정플레이트(140)가 지지플레이트(120)에 결속 고정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40)는 베드 구조체(1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에는 하체 운동과정에서 사용자가 양손을 파지한 상태로 신체를 지지하거나 지면 방향으로 엎드린 상태에서 양손으로 잡거나 또는 손바닥으로 지지하거나, 운동 부위에 따라 양발을 임시 올려놓을 수 있는 핸들(141)이 구성되되, 고정플레이트(14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드 구조체(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박스(200)는 도 1 내지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 보드(220)와, 서브 컨트롤 보드(230)가 안정적인 기립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21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단에는 커넥터(300)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위치 선택 홈(221)이 다수 개 형성된 메인 컨트롤 보드(220)가 설치 고정되며, 메인 컨트롤 보드(220)의 좌, 우측에는 서브 컨트롤 보드(230)가 설치 고정된 다.
상기 커넥터(300)는 로프(400)의 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메인 컨트롤 보드(220)에 위치 선택 홈(221)에 끼움 고정된다.
상기 위치 선택 홈(221)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행 10 내지 20열 간격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운동부위 또는 신체조건, 운동 강도에 따라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300)의 일측에는 운동 강도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텐션 스프링(310)이 연결 고정되며, 텐션 스프링(310)의 끝단에는 사용자의 손 또는 발에 안정적인 파지가 되도록 하는 홀더(410)가 결속 고정된 다수 개의 로프(400)가 연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드 구조체(100)와 컨트롤 박스(200)의 일측에는 스프링(310)과 연결된 로프(400)를 손 또는 발의 위치까지 저항 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 롤러(500)가 로프(400) 당 적어도 2개 이상 설치 고정됨으로써 로프(400)에 가해지는 마모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순수 텐션 스프링(310)에 의한 운동 강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컨트롤 보드(230) 각각에는 도 1 내지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트롤 박스(200) 방향으로 베드에 앉아 있을 때 양팔이 근지구력 운동을 시행할 수 있도록 홀드(231)가 결속된 로프(232)가 텐션 스프링(233)과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234)에 연결고정되되, 상기 커넥터(234)의 위치 변경이 선택적으로 용이하도록 위치 선택 홈(235)이 다수 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트롤 박스(200) 방향으로 베드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로프(232)를 당기면서 근지구력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로프(232,400)의 길이는 변하지 않고, 위치변경과 텐션 스프링(310)에 의해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1회 로프(232,400)를 당겼을 때 짧게는 10초 길게는 120초를 유지하는 운동을 반복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실시를 하여 척추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 발명의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S)는 트레이너를 통해 다양한 동작을 시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100: 베드 구조체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지지플레이트 130: 베드
140: 고정 플레이트 141: 핸들
200: 컨트롤 박스 210: 지지 플레이트
220: 메인 컨트롤 박스 221, 235: 위치 선택 홈
230: 서브 컨트롤 보드 231: 홀더
232, 400: 로프 233, 310: 텐션 스프링
234, 300: 커넥터

Claims (4)

  1.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 끝단에는 지지플레이트(120)가 기립 고정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서 특정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베드(130)가 설치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드(130)의 사이에는 흔들림을 방지해주는 고정플레이트(140)가 지지플레이트(120)에 결속 고정된 베드 구조체(100); 와,
    상기 베드 구조체(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메인 컨트롤 보드(220)와, 서브 컨트롤 보드(230)가 안정적인 기립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지지플레이트(210)가 구비되며, 그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단에는 커넥터(300)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위치 선택 홈(221)이 다수 개 형성된 메인 컨트롤 보드(220)가 설치 고정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220)의 좌, 우측에는 서브 컨트롤 보드(230)가 설치 고정된 컨트롤 박스(200); 와,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220)에 위치 선택 홈(221)에 끼움 고정되되, 사용자의 운동부위 또는 신체조건, 운동 강도에 따라 위치를 임의 변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텐션 스프링(310)이 연결 고정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300); 와,
    상기 텐션 스프링(310)의 끝단에 연결 고정되며, 끝단에는 사용자의 손 또는 발에 안정적인 파지가 되도록 하는 홀더(410)가 결속 고정된 다수 개의 로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40)의 일측 끝단은 하체 운동과정에서 사용자가 양손을 파지한 상태로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핸들(14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구조체(100)와 컨트롤 박스(200)의 일측에는 스프링(310)과 연결된 로프(400)를 손 또는 발의 위치까지 저항 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 롤러(500)가 로프(400) 당 적어도 2개 이상 설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트롤 보드(230) 각각에는 사용자가 컨트롤 박스(200) 방향으로 베드에 앉아 있을 때 양팔이 근지구력 운동을 시행할 수 있도록 홀드(231)가 결속된 로프(232)가 텐션 스프링(233)과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234)에 연결고정되되, 상기 커넥터(234)의 위치 변경이 선택적으로 용이하도록 위치 선택 홈(235)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KR1020210155263A 2021-11-12 2021-11-12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KR20230069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263A KR20230069329A (ko) 2021-11-12 2021-11-12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263A KR20230069329A (ko) 2021-11-12 2021-11-12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329A true KR20230069329A (ko) 2023-05-19

Family

ID=8654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263A KR20230069329A (ko) 2021-11-12 2021-11-12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932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202B1 (ko) 2002-03-30 2004-01-31 김성수 상체회동 운동기구
KR100718349B1 (ko) 2006-04-03 2007-05-18 황인철 근육이완 및 관절유연성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202B1 (ko) 2002-03-30 2004-01-31 김성수 상체회동 운동기구
KR100718349B1 (ko) 2006-04-03 2007-05-18 황인철 근육이완 및 관절유연성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8670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US7534200B1 (en) Apparatus for back therapy and multiple exercises
US7628734B1 (en) Exercising and physiotherapy system
US5176706A (en) Spinal curvature correction device
US20140221881A1 (en) Device for repetitive spine extension at selectable lumbar levels for stimulation of vertebral segments
US7104939B1 (en) Apparatus for back therapy and multiple exercises
WO2013168841A1 (ko)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
US20050079964A1 (en) Spherical back exerciser apparatus
KR101952162B1 (ko) 요가용 어셈블리
KR200463327Y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US8419594B2 (en) Exercise device for correcting posture
KR20230069329A (ko) 척추 교정을 위한 선택적 정적 근지구력 운동 기구
US11259986B1 (en) Reduced friction massage surfaces and exercise equipment
JP3106688U (ja) 捩じり運動健康器具
KR101861040B1 (ko) 상체 운동기능을 겸비한 다기능 교정용 상의
KR100758929B1 (ko) 척추 신경 활성기
PL391612A1 (pl) Urządzenie do leczenia skolioz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CN212700299U (zh) 一种拉筋辅助器械
JP6418693B2 (ja) 座位又は仰臥位で使用する運動器具
KR102323853B1 (ko) 척추측만 재활운동장치
RU2805791C1 (ru) Тренажёр для шеи
KR102244223B1 (ko) 척추 운동기
KR20100012180A (ko) 척추 운동 기구
CN101474471B (zh) 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