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806A -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806A
KR20230068806A KR1020210154963A KR20210154963A KR20230068806A KR 20230068806 A KR20230068806 A KR 20230068806A KR 1020210154963 A KR1020210154963 A KR 1020210154963A KR 20210154963 A KR20210154963 A KR 20210154963A KR 20230068806 A KR20230068806 A KR 20230068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vestment
project
execution
inve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영
정태길
Original Assignee
크립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립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립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4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806A/ko
Publication of KR2023006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창업자의 창업 프로젝트를 복수의 단계로 분할한 후 단계별로 투자자의 투자금에 해당하는 가상 화폐를 분할 투자하여 투자금을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투자자가 원하는 시점에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해당 투자금에 상응하는 지분 거래를 지원하여 창업자가 안정적으로 투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자자를 특정할 수 없는 가상화폐를 투자자가 익명으로 창업자의 사업에 투자금으로서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 가상화폐의 사용처를 실물경제로 확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자자의 투자금을 창업자의 사업에 대한 개발 로드맵에 따라 복수의 개발 단계로 분할한 후 개발 단계별로 산출되는 창업자의 결과물에 대한 제 3 자의 승인 완료시에만 다음 개발 단계에 배분된 가상화폐가 창업자에게 이체되어 집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투자금을 창업자의 사업에 일시에 집행함에 따른 위험 부담을 경감시켜 투자자를 보호하면서 가상화폐를 이용한 사업 투자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ep by step investment based on virtual currency}
본 발명은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다양한 사업 프로젝트를 복수의 단계로 분할한 후 단계별로 투자자의 투자금에 해당하는 가상 화폐를 분할 투자하여 투자자의 안전성을 도모하면서도 사업자가 안정적으로 투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크라우드 펀딩이나 엔젤 투자와 같이 창업자의 사업을 공개하여 투자자를 모집하고 이러한 창업자와 투자자 사이를 중개하는 투자 중개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창업자들은 이러한 투자 중개 시스템을 통해 투자자의 자금을 유치하여 사업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창업자는 투자자의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다수의 투자자와 개별 계약을 체결해야 하고 투자 자금에 따른 지분 분배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투자 절차가 상당히 복잡한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업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투자자가 계약한 투자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해당 투자자가 투자 자금을 마련할 때까지 사업 프로젝트가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창업자의 사업에 투자하는 투자자 역시 창업자와 마찬가지로 복잡한 계약 과정을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창업자의 사업 프로젝트 진행 과정이 순조롭지 않아 사업을 신뢰할 수 없는 경우에도 투자자는 투자금을 계약에 따라 투입해야 하므로 신뢰할 수 없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투자금을 일부도 회수하지 못하게 되어 투자자의 위험 부담이 상당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위험 부담으로 인해 투자자는 창업자의 사업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을 점점 꺼리게 되므로, 기존의 창업 투자를 위한 각종 투자 중개 시스템은 창업자와 투자자 사이에 안전한 투자를 보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가 가치저장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러한 가상화폐의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화폐는 사용처에 대한 인프라가 부족하여 실물 경제에 사용되는 비율이 극히 저조하고 단순 투기자본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상화폐를 실물경제에 사용할 수 있는 대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2371호
본 발명은 창업자의 사업 아이템에 대해 가상 화폐로 익명으로 투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익명 투자자의 가상 화페로 투자 자금을 쉽게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도 가치저장수단으로 거래되나 사용처를 찾기 어려운 가상 화폐를 창업자의 사업 아이템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가상 화폐를 실물경제와 연계시킴으로써 창업자와 투자자의 만족도를 모두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자한 사업의 추진 현황을 여러 단계로 관리하고, 가상 화폐로 투자하는 익명 투자자의 투자 자금 역시 여러 단계로 배분한 후, 투자자가 특정 단계에서 사업 진행 내용이 불만족인 경우 투자 자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투자자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투자 자금에 따른 지분을 투자자 사이에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투자자가 자금을 회수하는 경우 다른 투자자의 자금으로 창업자의 사업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지원하여 가상화폐 기반의 안정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를 특정할 수 없는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창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창업자의 사업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복수의 서로 다른 개발 단계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집행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트 정보와 매칭 저장하는 계좌 관리부 및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대한 투자를 위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계좌 관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한 후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투자금 입금시 상기 투자금을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에 배분하고,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특정 개발 단계의 자금 인출 요청에 대한 인출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인출 요청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인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에 배분된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자금이 상기 창업자 단말에 지급되도록 집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화폐가 입금될 상기 창업자 단말에 대응되는 전자 지갑의 주소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지갑에 상기 특정 집행 단계에 배분된 하나 이상의 가상 화폐를 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된 하나 이상의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스마트 계약에 따라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투자금을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 각각에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하거나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투자금이 입금되거나 상기 인출 요청 정보에 따른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자금 집행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 이전에 생성된 기존 블록과 해시 기반으로 연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에스코로 계좌에 투자금을 입금한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와 대응되도록 상기 투자금의 인출 권리에 대한 인출권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에 이체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인출권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자 지갑에 대응되는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출권 정보 및 상기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투자금에 대한 회수 요청을 위한 회수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에스크로 계좌에서 자금 집행이 완료된 집행 단계를 제외한 나머지 집행 단계를 식별하고, 상기 나머지 집행 단계에 배분된 가상화폐를 대상으로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따른 회수 요청 금액만큼의 가상화폐를 상기 제 1 전자 지갑에 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따른 회수 요청 금액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신규 투자금이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되는 경우 상기 신규 투자금을 입금한 제 2 전자 지갑의 주소를 식별하고, 상기 인출권 관리부와 연동하여 신규 투자금에 상응하는 인출권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 2 전자 지갑의 주소로 이체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응되는 인출권 정보를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단위 인출권 정보로 분할하고, 상기 특정 집행 단계의 자금이 집행된 경우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전체 지분 중 상기 특정 집행 단계에 대응되는 자금을 기초로 투자자의 소유 지분을 산출하고, 자금 집행이 완료된 상기 특정 집행 단계에 대응되며 투자자 단말의 전자지갑에 지급된 단위 인출권 정보를 상기 소유 지분에 대응되는 프로젝트 토큰으로 변환하며, 상기 프로젝트 토큰을 거래 대상으로 하는 토큰 거래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토큰 거래 장치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 토큰에 대한 거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개발 단계별 결과물을 인증하는 인증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특정 개별 단계의 결과물에 대한 결과 정보 수신시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의 다음 집행 단계에 대한 자금의 집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투자자를 특정할 수 없는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창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창업자의 사업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창업자별 프로젝트 정보를 포함하는 사업 목록 정보를 생성하여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업 목록 정보에서 선택된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복수의 서로 다른 개발 단계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집행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와 매칭 저장하고,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투자금 입금시 상기 투자금을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에 배분하고,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창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특정 개발 단계의 자금 인출 요청에 대한 인출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인출 요청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인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에 배분된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자금이 상기 창업자 단말에 지급되도록 자금을 집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자자를 특정할 수 없는 가상화폐를 투자자가 익명으로 창업자의 사업에 투자금으로서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 가상화폐의 사용처를 실물경제로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자자의 투자금을 창업자의 사업에 대한 개발 로드맵에 따라 복수의 개발 단계로 분할한 후 개발 단계별로 산출되는 창업자의 결과물에 대한 제 3 자의 승인 완료시에만 다음 개발 단계에 배분된 가상화폐가 창업자에게 이체되어 집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투자금을 창업자의 사업에 일시에 집행함에 따른 위험 부담을 경감시켜 투자자를 보호하면서 가상화폐를 이용한 사업 투자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가상화폐 기반으로 창업자의 사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 복잡한 계약 절차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창업자가 쉽게 안정적으로 투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창업자 및 투자자 모두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창업자의 사업 프로젝트에 투자한 투자자가 창업자의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중간 결과물이 흡족하지 않거나 긴급하게 자금이 필요할 때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되어 복수의 단계로 배분된 자금 중 집행되지 않은 자금을 대상으로 투자금의 적어도 일부를 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투자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투자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규 투자자가 기존 투자자를 대신하여 자금을 투입하여 창업자의 사업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창업자가 용이하게 신규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창업자의 안정적인 프로젝트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창업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투자금을 입금한 투자자가 해당 투자금의 인출 권리를 다른 투자자와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안정적인 투자금 운용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인출권 발행 및 거래 지원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의 프로젝트 토큰 발행 및 거래 지원에 대한 동작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업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를 실행하려는 창업자의 창업자 단말 및 상기 프로젝트에 투자하려는 투자자의 투자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발행하는(생성하는) 각종 정보를 거래 대상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거래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업자 단말과 투자자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각 블록체인의 노드(nod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상기 창업자 단말 및 투자자 단말과 송수신하는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트랜잭션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블록을 상기 창업자 단말 및 투자자 단말에 분산시켜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다수의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블록으로 구성하고 해시(hash)를 이용하여 여러 블록(block)들을 체인처럼 연결하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의미하거나, 피투피(P2P) 네트워크 분산 환경에서 블록체인의 참여자(피어, peer)인 노드(node)들의 디지털 장비에 블록을 분산시켜 저장함으로써,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공동으로 관리하는 상기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복수의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은 트랜잭션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트랜잭션 정보는 단위 작업 또는 단위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연산함수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창업자 단말 및 복수의 투자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으며, 창업자의 사업에 대한 개발 로드맵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프로젝트 정보를 투자자 단말에 제공하여 투자자자 해당 프로젝트 정보를 참고하여 창업자의 사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창업자와 투자자를 중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투자 중개시 투자금을 투자자가 보유한 가상화폐로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투자자가 보유한 가상화폐가 실물 경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이러한 가상화폐를 이용한 투자 중개시 창업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안전 투자가 보장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가상화폐는 암호화폐 또는 디지털 화폐로도 일컬어지며, 실물이 없이 온라인 상에서 거래되는 화폐를 의미하며, 이러한 가상 화폐의 일례로서 비트코인(Bitcoin)이나 이더리움(Ethereum) 등과 같은 다양한 코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화폐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에서 실행하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포함된 작업 증명등과 같은 합의 알고리즘을 기초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 생성시에 블록을 생성한 노드에 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는 상기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개인키를 저장하며 상기 개인키를 기초로 상기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공개키로 구성된 전자지갑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개키는 상기 전자지갑의 주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가상화폐나 가상화폐에 준하는 정보에 대한 '이체'는 가상화폐가 입금되는 전자지갑의 주소에 대응되는 공개키로 입금 대상인 가상화폐에 대한 거래 내역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거래 내역 정보를 상기 가상화폐를 송금하는 전자지갑에 저장된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생성된 트랜잭션 정보를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공유하고, 이러한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창업자 단말 및 투자자 단말 각각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한 상태의 단말 제어부인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부가 포함된 창업자 단말 또는 투자자 단말에 대응되는 전자지갑을 생성하고 해당 전자지갑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창업자 단말 및 투자자 단말을 대신하여 상기 창업자 단말 및 투자자 단말 각각의 전자지갑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미리 설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상기 창업자 단말 또는 투자자 단말을 블록체인의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별도의 개발 단계 검증 업체 서버(500)에 프로젝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개발 단계 검증 업체 서버에 전송하고, 각 개발 단계의 완료시 상기 검증 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발 단계 완료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실질적인 창업자의 프로젝트 단계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가상화폐 기반 안전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창업자 단말 및 투자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10)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와, 상기 창업자 단말 및 투자자 단말 사이에 안전 투자를 보장하기 위한 에스크로(escrow) 계좌를 생성하는 계좌 관리부(130)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계좌 관리부(13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어부(15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이동통신 서비스, 블루투스(Bluetooth), LoRa(Long Rang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창업자의 사업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정보는 사업명, 사업 내용, 개발 로드맵, 창업자 식별정보, 창업자의 블록체인 기반 전자지갑 주소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 정보 수신시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20)는 D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창업자별 프로젝트 정보를 기초로 사업 목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투자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 대상 사업에 대한 투자 대상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사업 목록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업 목록 정보에서 투자 대상으로 선택한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사업에 대한 안전 투자를 위한 에스크로 계좌가 개설되도록 상기 계좌 관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계좌 관리부(13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서 개발 로드맵을 확인하고, 상기 개발 로드맵에 따라 복수의 서로 개발 단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좌 관리부(130)는 상기 복수의 개발 단계와 각각 대응되며 투자금을 각 개발 단계에 맞추어 배분하기 위한 복수의 집행 단계를 상기 복수의 개발 단계와 각각 대응되도록 생성한 후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프로젝트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좌 관리부(13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 생성시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응되는 선택 정보를 전송한 투자자 단말로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스크로 계좌는 상기 투자자의 가상화폐가 입금되며 특정 창업자와 특정 투자자 사이의 안전 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개설되는 고유 전자지갑의 주소를 포함하되 해당 고유 전자지갑의 주소로 입금되는 가상화폐가 상기 복수의 개발 단계에 배분되어 상기 복수의 개발 단계 각각의 시작시마다 지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개발 단계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집행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계좌 정보를 수신한 상기 투자자 단말의 투자자는 상기 투자자 단말을 이용하여 투자금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 화폐를 상기 계좌 정보에 따른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를 확인하여 상기 투자자 단말이 입금한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투자금 입금이 확인된 경우 상기 투자금을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포함된 복수의 집행 단계에(또는 복수의 집행 단계 각각에) 배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50)는 투자금으로 가상 화폐 100개가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되고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포함된 복수의 집행 단계가 5단계(제 1 내지 제 5 집행 단계)로 구성된 경우, 제 1 집행 단계에 20개를 배분(또는 할당)하고, 제 2 집행 단계에 20개를 배분하며, 제 3 집행 단계에 20개를 배분하고, 제 4 집행 단계에 20개를 배분하고, 제 5 집행 단계에 20개를 배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를 구성하는 복수의 집행 단계가 4개의 단계로 설정될 때 4:3:2:1의 비율로 배분되도록 상기 프로토콜에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투자금인 가상 화폐 100개가 입금된 4개의 집행 단계로 구성되는 에스크로 계좌에 대해 제 1 집행 단계에 40개를 배분(또는 할당)하고, 제 2 집행 단계에 30개를 배분하며, 제 3 집행 단계에 20개를 배분하고, 제 4 집행 단계에 10개를 배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창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포함된 특정 개발 단계의 자금 인출 요청에 대한 인출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 요청 정보는 상기 특정 개발 단계에 대해 소요 금액, 계획서 및 증빙 자료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인출 요청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인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개발 단계에 대해 투자 승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자금 인출(또는 투자)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의 특정 개발 단계에 대한 자금 인출 승인(또는 투자 승인)시 상기 프로젝트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에스크로 계좌를 상기 저장부(1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자금 인출 승인(또는 투자 승인)이 완료된 상기 인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프로젝트 정보에서 상기 창업자의 전자지갑 주소를 식별하고, 상기 확인된 에스크로 계좌에서 상기 인출 요청 정보에 따른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를 확인하여 상기 특정 집행 단계에 배분된 하나 이상의 가상 화폐를 포함하는 자금을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상기 창업자(또는 창업자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로 이체시킴으로써, 특정 집행 단계의 자금이 상기 창업자 단말에 지급되도록 상기 특정 집행 단계의 자금을 집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하거나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투자금이 입금되거나 상기 인출 요청 정보에 따른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자금 집행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이전에 생성된 기존 블록과 상기 블록을 해시 기반으로 연결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20)에는 상기 블록이 기록되는 분산원장(또는 공유원장)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블록 중 어느 하나에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에 대한 트랜잭션이 미리 설정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투자금 입금에 따른 트랜잭션 발생시 상기 스마트 계약에 따라 상기 투자금을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 각각에 배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스마트 계약에 따라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투자금을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에 균등하게 배분하거나 적어도 일부 집행 단계에 배분되는 자금이 다른 집행 단계에 배분된 자금과 상이하도록 투자금을 상이한 비율로 배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개발 단계별 결과물을 인증하는 인증 장치(2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특정 개발 단계의 개발 완료에 따른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결과물에 대한 결과 정보 수신시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인증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 장치(200)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업체에 대응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개발 단계 검증 업체 서버(500)에 전송하고, 각 개발 단계의 완료시 상기 검증 업체 서버(500)로부터 수신되는 개발 단계 완료 정보를 직접 또는 상기 인증 장치(200)를 통해서 수신 및 검증한 후 검증 결과를 인출 조건중 하나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발 단계 검증 업체 서버(500)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포함된 단계별 완료 정보와 산출물에 대한 내역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검사한 후 해당 기준에 따른 검사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개발 단계의 성공 여부를 포함하는 개발 단계 완료 정보를 제공하는데, 추가적으로 개발 단계 완성을 위한 추가 기간 필요나 추가 자금 소요, 창업자의 개발 상태 등에 대한 의견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장치(200)는 상기 개발 단계 검증 업체 서버(500)가 제공하는 개발 단계 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검사 결과 정보의 신뢰성을 확인(개발 단계 검증 업체의 개인키로 서명된 정보인지 등을 확인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함)하고 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며, 관련 의견 정보 역시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투자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공시할 수 있고, 신뢰성이 담보되고 블록체인에 관련 정보를 저장한 이후 해당 개발 단계 완료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 정보에 따른 개발 단계 완료 승인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인증 장치(200)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승인 완료 정보) 수신시에만 상기 특정 개발 단계의 결과물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특정 개발 단계의 결과물에 대한 승인 완료시에만 상기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의 다음 집행 단계에 대한 인출 요청 정보에 대해 인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의 다음 집행 단계에 대한 자금의 집행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인증 장치(200)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에 대한 승인 거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결과물에 대한 승인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결과물에 대한 승인이 완료되기 전까지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다음 집행 단계에 대한 인출 요청 정보를 거부하거나 무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투자자를 특정할 수 없는 가상화폐를 투자자가 익명으로 창업자의 사업에 투자금으로서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 가상화폐의 사용처를 실물경제로 확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자자의 투자금을 창업자의 사업에 대한 개발 로드맵에 따라 복수의 개발 단계로 분할한 후 개발 단계별로 산출되는 창업자의 결과물에 대한 제 3 자의 승인 완료시에만 다음 개발 단계에 배분된 가상화폐가 창업자에게 이체되어 집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투자금을 창업자의 사업에 일시에 집행함에 따른 위험 부담을 경감시켜 투자자를 보호하면서 가상화폐를 이용한 사업 투자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가상화폐 기반으로 창업자의 사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 복잡한 계약 절차가 요구되지 않아 창업자가 쉽게 안정적으로 투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창업자 및 투자자 모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투자금을 복수의 집행 단계에 배분한 후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개발 단계와 각각 대응되며 집행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집행 단계별 자금을 투자자가 중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권을 생성하여 투자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투자자가 창업자의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특정 개발 단계의 결과물이 흡족하지 않은 경우 투자자가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 이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집행 단계에 배분된 자금을 상기 인출권을 이용하여 중도 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이러한 인출권을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투자자와 거래하여 투자금을 별도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창업자의 사업에 투자한 투자자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창업자의 사업에 투자된 자금을 인출권 거래를 통해 다른 투자처에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투자금을 입금한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를 식별하며,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투자금 입금시 해당 투자금이 출자된 상기 제 1 전자지갑의 주소와 대응되도록 상기 투자금의 인출 권리에 대한 인출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출권 정보를 상기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로 이체(또는 이전)시켜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하는 인출권 관리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권 정보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투자금을 원하는 시점에 인출할 수 있는 권리를 증명하는 수단이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독자적으로 발행하는 가상화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투자금이 입금되면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투자금을 인출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한 인출권 정보를 상기 인출권 관리부(140)와 연동하여 생성하고, 상기 인출권 정보를 상기 투자금이 출자된 상기 제 1 전자지갑의 주소로 이체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권 정보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 및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투자금에 대한 투자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투자금을 입금한 상기 제 1 전자지갑의 주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특정 개발 단계에 대한 상기 결과 정보 수신시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프로젝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개발 단계 중 상기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개발 단계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결과 정보에 접근하는 투자자 단말로 상기 결과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투자자 단말에 대응되는 투자자는 상기 결과 정보에 따른 결과물을 확인하여 투자 지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결과물이 흡족하지 않거나 자금 이용이 필요한 상기 제 1 전자 지갑에 대응되는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출권 정보 및 상기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투자금에 대한 회수 요청에 대한 회수 요청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에스크로 계좌에서 집행이 완료된 집행 단계를 제외한 나머지 집행 단계를 식별하고, 상기 나머지 집행 단계에 배분된 가상화폐를 대상으로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따른 회수 요청 금액만큼의 가상화폐를 상기 제 1 전자 지갑에 이체시킬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포함된 복수의 집행 단계 중 자금 집행이 완료된 하나 이상의 집행 단계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 중 자금 집행이 완료된 하나 이상의 집행 단계를 제외한 다른 하나 이상의 집행 단계를 나머지 집행 단계로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따른 회수 요청 금액이 전체 투자금의 10%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의 상기 나머지 집행 단계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집행 단계 각각에 배분된 자금에서 일부 금액을 회수하여 상기 회수 요청 금액을 충족시킨 후 상기 충족된 회수 요청 금액을 상기 제 1 전자지갑의 주소로 이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따른 회수 요청 금액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신규 투자금이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되는 경우 상기 신규 투자금을 입금한(출자한) 제 2 전자 지갑의 주소를 식별하고, 상기 인출권 관리부(140)와 연동하여 신규 투자금에 상응하는 인출권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 2 전자지갑의 주소로 이체(또는 이전)시켜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투자금 일부를 회수한 제 1 전자지갑의 주소에 대응되는 제 1 투자자의 에스크로 계좌에 상기 제 1 투자자가 회수한 금액에 상응하는 금액을 신규 투자자인 제 2 투자자가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투자자에게도 역시 제 2 투자자가 투자한 금액을 회수할 수 있는 권리인 인출권 정보를 발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따른 회수 요청 금액이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지갑으로 반환(환불 또는 지급)이 완료되면,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출권 정보에 포함된 투자금 정보에 따른 기존 투자금에서 상기 회수 요청 금액을 차감한 최종 투자금으로 상기 인출권 정보의 투자금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인출권 정보에 포함된 투자금 정보에 따른 투자금 내에서만 투자자의 투자금을 반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인출권 정보를 거래 대상으로 하는 거래 풀(pool)인 인출권 거래용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인출권 중개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인출권 정보를 지급받은 투자자가 상기 인출권 중개 장치에서 상기 인출권 정보를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특정 에스크로 계좌에 대응되는 특정 투자자 단말로부터 전자지갑 주소에 이체된 특정 인출권 정보에 대한 인출권 거래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인출권 거래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인출권 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인출권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인출권 거래 장치(300)에 전송하여 상기 인출권 정보를 거래 대상으로 상기 인출권 거래 장치(3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권 거래 장치(300)는 타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출권 정보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인출권 정보에 대한 구매를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인출권 정보에 대한 구매 처리에 따른 거래 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 완료 정보는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거래 대상인 인출권 정보, 상기 타 투자자 단말에 대응되는 전자지갑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인출권 거래 장치(300)에서 상기 특정 투자자 단말의 인출권 정보를 구매한 타 투자자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 및 거래 대상인 인출권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완료 정보 수신시 상기 거래 완료 정보에 포함된 인출권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거래 완료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투자자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를 식별하고, 상기 특정 투자자 단말의 인출권 정보를 상기 타 투자자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로 이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거래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인출권 정보에 포함된 특정 투자자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를 상기 타 투자자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로 변경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창업자의 사업 프로젝트에 투자한 투자자가 창업자의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중간 결과물이 흡족하지 않거나 긴급하게 자금이 필요할 때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되어 복수의 단계로 배분된 자금 중 집행되지 않은 자금을 대상으로 투자금의 적어도 일부를 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투자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 투자자가 기존 투자자를 대신하여 자금을 투입하여 창업자의 사업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창업자가 용이하게 신규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창업자의 안정적인 프로젝트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창업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투자금을 입금한 투자자가 해당 투자금의 인출 권리를 다른 투자자와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안정적인 투자금 운용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에스크로 계좌를 구성하는 복수의 집행 단계 중 창업자 단말에 자금이 제공되어 자금 집행이 완료된 집행 단계에 배분된 자금에 상응하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사업에 대한 지분을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응되는 투자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지분을 별도의 거래 풀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어부(150)는 창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출 요청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여 투자 승인시 상기 특정 집행 단계에 배분된 자금을 상기 창업자 단말에 대응되는 전자지갑으로 이체하여 상기 특정 집행 단계의 자금을 집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특정 집행 단계가 포함된 에스크로 계좌에 대응되는 인출권 정보를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단위 인출권 정보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인출권 정보는 복수의 집행 단계 중 어느 하나에 배분된 자금에 대한 인출 권리가 설정된 정보일 수 있으며, 복수의 서로 다른 단위 인출권 정보는 상호 간 서로 다른 집행 단계의 자금에 대한 인출 권리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특정 집행 단계의 자금이 집행된 경우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전체 지분 중 상기 특정 집행 단계에 대응되는 자금을 기초로 투자자의 소유 지분을 산출하고, 자금 집행이 완료된 상기 특정 집행 단계에 대응되며 투자자 단말의 전자지갑에 지급된 단위 인출권 정보를 상기 소유 지분에 대응되는(상응하는) 프로젝트 토큰으로 변환하여 상기 투자자 단말에 프로젝트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토큰은 상기 단위 인출권 정보를 지분으로 변환한 상기 단위 인출권 정보와 상이한 종류의 가상화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단위 인출권 정보를 상기 프로젝트 토큰으로 변환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하면서 상기 블록을 공유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단위 인출권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 토큰을 생성한 후 상기 단위 인출권 정보를 삭제하여 상기 단위 인출권 정보를 프로젝트 토큰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 토큰을 미리 설정된 약정 비율에 따라 상기 창업자의 전자 지갑 및 상기 투자자의 전자 지갑에 배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 토큰을 거래 대상으로 하는 거래 풀인 토큰 거래용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토큰 거래 장치(400)와 통신망을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투자자 단말의 상기 프로젝트 토큰에 대한 토큰 거래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토큰 거래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투자자 단말에 지급된 프로젝트 토큰을 상기 토큰 거래 장치(4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큰 거래 장치(400)는 상기 투자자 단말의 프로젝트 토큰을 다른 투자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토큰 거래용 웹 사이틀 통해 거래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트 토큰 거래 완료시 토큰 거래 완료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토큰 거래 완료 정보 수신시 상기 토큰 거래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투자자 단말의 프로젝트 토큰을 구매한 특정 단말의 전자지갑 주소로 상기 투자자 단말의 프로젝트 토큰을 이체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토큰은 상기 창업자가 진행하는 사업의 유망성 및 가치에 따라 해당 프로젝트 토큰의 가치가 변동될 수 있어, 마치 주식과 같이 상기 프로젝트 토큰이 거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토큰 거래 장치(400)는 상기 프로젝트 토큰의 가치 변화에 대한 거래 현황 정보를 상기 토큰 거래 장치(400)에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이나 사용자 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투자자를 특정할 수 없는 가상 화폐 기반 안전 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우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창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창업자의 사업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창업자별 프로젝트 정보를 포함하는 사업 목록 정보를 생성하여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고(S2),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업 목록 정보에서 선택된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 수신시(S3)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복수의 서로 다른 개발 단계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집행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와 매칭 저장하고,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4).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투자금 입금시(S5) 상기 투자금을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에 배분하고(S6),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특정 개발 단계의 자금 인출 요청에 대한 인출 요청 정보 수신시(S7) 상기 인출 요청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인출 조건을 만족할 때(S8) 상기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에 배분된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자금이 상기 창업자 단말에 지급되도록 자금을 집행할 수 있다(S9).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메모리 등의 저장부(120),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하드웨어, 명령어 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내지 이들의 조합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계좌 관리부
140: 인출권 관리부 150: 제어부
200: 인증 장치 300: 인출권 거래 장치
400: 토큰 거래 장치

Claims (8)

  1. 투자자를 특정할 수 없는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창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창업자의 사업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복수의 서로 다른 개발 단계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집행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트 정보와 매칭 저장하는 계좌 관리부; 및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대한 투자를 위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계좌 관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한 후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투자금 입금시 상기 투자금을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에 배분하고,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특정 개발 단계의 자금 인출 요청에 대한 인출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인출 요청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인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에 배분된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자금이 상기 창업자 단말에 지급되도록 집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개발 단계 검증 업체 서버에 전송하고, 각 개발 단계의 완료시 상기 검증 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발 단계 완료 정보를 수신 및 검증한 후 검증 결과를 인출 조건중 하나로 적용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화폐가 입금될 상기 창업자 단말에 대응되는 전자 지갑의 주소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지갑에 상기 특정 집행 단계에 배분된 하나 이상의 가상 화폐를 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하거나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투자금이 입금되거나 상기 인출 요청 정보에 따른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자금 집행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 이전에 생성된 기존 블록과 해시 기반으로 연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화폐 기반 안전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된 하나 이상의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스마트 계약에 따라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투자금을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 각각에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화폐 기반 안전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스코로 계좌에 투자금을 입금한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와 대응되도록 상기 투자금의 인출 권리에 대한 인출권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에 이체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인출권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자 지갑에 대응되는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출권 정보 및 상기 제 1 전자 지갑의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된 투자금에 대한 회수 요청을 위한 회수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에스크로 계좌에서 자금 집행이 완료된 집행 단계를 제외한 나머지 집행 단계를 식별하고, 상기 나머지 집행 단계에 배분된 가상화폐를 대상으로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따른 회수 요청 금액만큼의 가상화폐를 상기 제 1 전자 지갑에 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화폐 기반 안전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따른 회수 요청 금액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신규 투자금이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되는 경우 상기 신규 투자금을 입금한 제 2 전자 지갑의 주소를 식별하고, 상기 인출권 관리부와 연동하여 신규 투자금에 상응하는 인출권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 2 전자 지갑의 주소로 이체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화폐 기반 안전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응되는 인출권 정보를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단위 인출권 정보로 분할하고, 상기 특정 집행 단계의 자금이 집행된 경우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전체 지분 중 상기 특정 집행 단계에 대응되는 자금을 기초로 투자자의 소유 지분을 산출하고, 자금 집행이 완료된 상기 특정 집행 단계에 대응되며 투자자 단말의 전자지갑에 지급된 단위 인출권 정보를 상기 소유 지분에 대응되는 프로젝트 토큰으로 변환하며, 상기 프로젝트 토큰을 거래 대상으로 하는 토큰 거래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토큰 거래 장치를 통해 상기 프로젝트 토큰에 대한 거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화폐 기반 안전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개발 단계별 결과물을 인증하는 인증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특정 개별 단계의 결과물에 대한 결과 정보 수신시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의 다음 집행 단계에 대한 자금의 집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화폐 기반 안전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8. 서비스 제공 장치의 투자자를 특정할 수 없는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창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창업자의 사업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창업자별 프로젝트 정보를 포함하는 사업 목록 정보를 생성하여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업 목록 정보에서 선택된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복수의 서로 다른 개발 단계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집행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크로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와 매칭 저장하고,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대한 계좌 정보를 상기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투자금 입금시 상기 투자금을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에스크로 계좌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집행 단계에 배분하고,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대응되는 창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프로젝트 정보에 따른 특정 개발 단계의 자금 인출 요청에 대한 인출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인출 요청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인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특정 개발 단계에 대응되는 특정 집행 단계에 배분된 하나 이상의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자금이 상기 창업자 단말에 지급되도록 자금을 집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금을 집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개발 단계 검증 업체 서버에 전송하고, 각 개발 단계의 완료시 상기 검증 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발 단계 완료 정보를 수신 및 검증한 후 검증 결과를 인출 조건중 하나로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54963A 2021-11-11 2021-11-11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68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63A KR20230068806A (ko) 2021-11-11 2021-11-11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63A KR20230068806A (ko) 2021-11-11 2021-11-11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806A true KR20230068806A (ko) 2023-05-18

Family

ID=8654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963A KR20230068806A (ko) 2021-11-11 2021-11-11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8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371A (ko) 2018-12-12 2020-06-22 애니팬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371A (ko) 2018-12-12 2020-06-22 애니팬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콘텐츠 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9422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上の交換を実施するためのトークン化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9511150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介して資産関連活動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20065273A (ko)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KR101918446B1 (ko) 이중보안 블록체인 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65271A (ko)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는 판매자 단말 장치 및 시스템
KR102137784B1 (ko)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48547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483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가치 교환 거래 시스템
KR20230068806A (ko) 가상 화폐 기반 단계별 투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49998B1 (ko) 멀티 체인 레이어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68808A (ko) 가상 화폐 기반 투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65274A (ko)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는 참여자 단말 장치 및 시스템
KR20200048551A (ko) 실질 경제 가치와의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52A (ko) 금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48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50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
KR20200048482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가치 교환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48527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048492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경제 가치 거래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48530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시스템
KR20200048487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경제 가치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20230214796A1 (en) Real-time multiple-access exchange-party-free counterparty-secure exchange
KR20200048554A (ko) 실질 경제 가치 교환 거래 규칙을 적용하기 위한 단말 장치
KR20200048553A (ko) 용역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46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