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553A - 용역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용역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553A
KR20200048553A KR1020180130730A KR20180130730A KR20200048553A KR 20200048553 A KR20200048553 A KR 20200048553A KR 1020180130730 A KR1020180130730 A KR 1020180130730A KR 20180130730 A KR20180130730 A KR 20180130730A KR 20200048553 A KR20200048553 A KR 20200048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transaction
owner
recipient
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웅
문영일
Original Assignee
(주)디지털골드익스체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털골드익스체인지 filed Critical (주)디지털골드익스체인지
Priority to KR102018013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8553A/ko
Publication of KR20200048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역으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제1 암호 화폐로부터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을 위한 상기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제1 암호 화폐를 전송받을 수신자의 등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제2 암호 화폐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의 내용에 따라 수신자의 등급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규칙을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거래 규칙에 기초하여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암호 화폐는 용역으로 교환 가능하며 용역의 제공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된다.

Description

용역으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METHOD FOR APPLYING TRANSACTION RULES OF CRYPTOCURRENCY CONVERTIBLE WITH SER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ING IT}
본 발명은 용역과 같은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서 규정된 거래 규칙에 따라 거래를 처리하는 단말 장치와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물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디지털 암호화폐의 일종인 비트코인(bitcoin)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비트코인이란 2009년 나카모토 사토시(Satoshi Nakamoto)가 만든 디지털 통화로서, 통화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중앙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대신, 비트코인의 거래는 P2P 네트워크(peer-to peer network) 기반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공개 키(public key)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거래를 수행한다.
이처럼 현물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디지털 암호화폐에는 비트코인과 더불어,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리플 등이 있으며, 이들의 공통된 특징은 거래자가 비트코인을 포함하는 디지털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거래한 거래내역의 장부가 전자지갑에 저장되며, 상기 장부는 일정 단위로 블록화 및 해쉬 변환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해쉬 비교에 의해 검증 가능한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암호 화폐는 현재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리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개별 블록은 해쉬 변환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pack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내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참여자들이 화폐를 거래한 거래내역, 그리고 이전 블록의 해시 값, 난이도, 논스(nonce) 등일 수 있으며. 매 블록은 바로 전 블록의 해시 값을 담고 있으며, 이렇게 이어진 블록들은 시간 순으로 발생한 이체 내역들을 담고 있는 하나의 블록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그 네트워크에 접속된 노드들을 통해 하나의 거래 장부가 공유될 수 있으며, 그 거래 장부는 불특정 다수의 노드들에 의해 검증 형성되는 블록체인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거래 장부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노드 단말들 모두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유 검증 및 보존되는 바, 거래 시스템을 유지하고자 하는 과반의 노드들에 의해 거래 장부의 위변조는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해킹 등의 공격행위의 대상이 특정 단말이 아닌 불특정 다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거래 시스템 자체가 되어야 하고, 행위 자체가 거래 시스템 자체를 파괴하는 바, 해킹 비용에 대비한 이득가치가 낮아 해킹 자체의 성립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중앙 통제 없이도 신뢰성있는 암호화폐의 분산거래를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형성된 암호 화폐는 그 가치의 불안정성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상의 한계로 발생되는 승인 시간 지연으로 인한 실 사용의 불편함으로 인해, 실제 경제에서 활발한 사용으로 이어지기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그 불안정성과 익명성으로 인해 국가 단위에서 법적으로 사용을 제한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특히, 그 근본적 원인인 가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형성된 암호 화폐를 특정한 법정 화폐 또는 다른 암호 화폐에 담보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그 가치가 법정 화폐와 동일하게 되는 형태의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방식 등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담보 안정화 방식들은 담보가 되는 다른 화폐가 다시 요구되며, 이로 인해 그 다른 화폐의 가치 변동성과 동일한 변동성을 되는바, 가치변동성이 전이되고 담보되는 것일 뿐, 암호 화폐 자체에 대한 실질적 문제점이 해결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과도한 안정화는 보유에 대한 수익성이나 화폐 거래에 대한 필요성을 낮추어, 보유자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암호 화폐 자체의 가치 안정화와 함께, 거래에 의한 가치 창출과, 실제 경제생활에서의 사용성 향상을 함께 달성하지 못하는 근본적 문제점은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673073호 (2016.10.31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용역 등과 같은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을 적용하여 전송을 제한하는 방법과,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용역으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제1 암호 화폐로부터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을 위한 상기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1 암호 화폐를 전송받을 수신자의 등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암호 화폐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의 내용에 따라, 상기 수신자의 등급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규칙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거래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암호 화폐는 용역으로 교환 가능하며, 상기 용역의 제공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산 거래를 기반으로 발행 및 유통되는 제1 암호 화폐를 발행하되, 상기 제1 암호 화폐에 대응하는 실 경제 가치 변환 비율에 따라 전환 가능한 제2 암호 화폐를 발행하고, 상기 제2 암호 화폐는 실 경제 가치의 지급 준비 프로세스에 따라, 실 경제 가치에 대응하는 가치 지급 처리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실 경제 가치에 의한 암호 화폐 자체의 가치 안정화와 함께, 거래에 의한 가치 창출과, 실제 경제생활에서의 사용성 향상을 함께 가져올 수 있는 블록 체인 기반의 실 경제 가치 연동 암호 화폐 교환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 화폐의 전송을 요청한 거래자의 등급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규칙을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서 확인하여 그에 따라 암호 화폐의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암호 화폐의 거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용역 등과 같은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암호 화폐를 전송받을 수신자의 등급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등급의 수신자에 대해서만 암호 화폐의 전환을 위한 전송을 허용함으로써,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 관련 거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서비스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거래자의 등급 정보에 따른 거래 규칙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암호 화폐의 전송 가능 여부를 등급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반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암호 화폐의 전송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거래자 단말(10)들에 의해 형성된 블록체인 메쉬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서버 장치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거래자 단말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거래자 단말은 자신의 노드 접속에 따른 계정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방식으로 공유되는 거래 장부 데이터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 화폐의 거래가 필요한 경우, 각 거래자 단말은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에 기록될 거래 정보를 각 거래자 단말에게 전파할 수 있다.
또한, 각 거래자 단말은 이와 같이 구비된 거래 장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한 거래 시스템 프로세스를 위/변조할 수 없도록 처리하여,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사전 공유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에는 사후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블록 체인화된 거래 시스템 프로세스와, 이에 따라 정의되는 암호 화폐별 속성, 발행 조건, 거래 조건, 소각 조건 및 거래자별 권한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반한 프로세스가 처리되거나, 암호 화폐 거래에 대응하는 승인 처리에 따라, 예를 들어 일정 비율 이상의 노드 단말로부터의 승인이 처리된 경우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그 정보가 공유됨으로써, 암호 화폐의 거래 및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는 일정 시간 또는 단위에 대응하는 블록별로 현재의 블록이 이전에 생성된 블록에 대한 해시값을 포함하도록 하여 복수의 블록이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블록 체인(block chain) 데이터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장부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 검증은 상기 블록 체인의 해시값 검증에 따라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거래자 단말에서는 다음 블록의 해시값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 및 검증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록 체인의 보안 안정성은 데이터를 공유하는 공유자들의 시스템 참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공유자 단말 사이의 공유에 대한 내역 및 화폐 발급/거래 내역 등을 포함하는 거래 정보 블록이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위변조 방지를 위한 해시값을 순차적으로 블록 체인화하기 위한 거래 검증(작업증명) 처리가 각 거래자 단말에서 분산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각 처리부 및 모듈들은, 이와 같이 구성된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메인 넷으로 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한 탈중앙 어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이를 구성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는 메인 넷 기반의 제1 암호 화폐 및 실질 가치 연동 제2 암호 화폐의 발행, 거래, 전환 및 관리 처분과, 상기 메인 넷 기반으로 기 발행된 다른 암호 화폐간 거래 서비스와, 법정 화폐간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실질 가치 연동 제2 암호 화폐의 실질 가치 교환 및 소각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바, 이에 대하여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 시스템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거래자 단말(300)을 포함하며,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400), 금융 서버(500) 및 실질 가치 제공 장치(200)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 처리 및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분산 거래를 기반으로 발행 및 유통되는 제1 암호 화폐를 발행할 수 있으며, 발행된 제1 암호 화폐 데이터는 거래자 단말(300)로 유통될 수 있다. 거래자 단말(300)은 제1 암호 화폐를 다른 법정 화폐 또는 암호 화폐로 매입/매각 처리하거나,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상기 제1 암호 화폐에 대응하는 실 경제 가치 변환 비율에 따른 제2 암호 화폐 전환 요청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 요청에 따른 제2 암호 화폐를 발행하여 거래자 단말(300)로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암호 화폐는 실 경제 가치의 지급 준비 프로세스에 따라, 실 경제 가치에 대응하는 가치 지급 처리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실 경제 가치는 실질적인 재화 및 용역의 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거래자 단말(300)은 제2 암호 화폐에 대응한 가치 지급 요청을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가치 지급 요청이 수신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실질 가치 제공 장치(200) 로 가치 지급에 대응하는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여, 실질 가치 제공 장치(200)에서는 그 수량에 따른 실질적 재화 또는 용역 이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지급 프로세스가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암호 화폐는 다른 암호 화폐 및 법정 화폐간 거래가 가능하여 그 가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으나,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에 따른 실질 재화 및 용역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바, 실질 경제 가치 제공에 의한 연동성이 부가됨으로써 그 가치 변동성은 안정적이고 조절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암호 화폐는 실질적 재화 또는 용역의 가치에 따라 그 수량 및 발행량이 결정될 수 있으며,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그 발행을 위한 지급 준비 프로세스를 사전에 처리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에 언제든 제2 암호 화폐를 실질 경제 가치로서의 재화 또는 용역으로 전환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환된 제2 암호 화폐는 소각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실질 가치 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재화 또는 용역은 다양한 형태가 예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가치가 세계적, 역사적으로 안정적으로 인정되는 금이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질 가치 제공 장치(200)는 금 거래소 서버 또는 금 보관소 서버와 같은 금 거래 장치가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금 시세 정보에 따라, 제1 암호 화폐 교환 비율에 대응하는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암호 화폐에 대응하는 수량의 금 구매 요청을 실질 가치 제공 장치(200)로 전달하거나, 지급 준비 프로세스에 따라 이미 구입된 금 교환 상품권에 따른 금 배송 요청을 실질 가치 제공 장치(200)로 전달하거나, 지급 준비 프로세스에 따라 이미 구입 및 보관된 실물 금의 배송 요청을 실질 가치 제공 장치(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거래자 단말(300)에서는 직접적으로 금을 보유하거나 하지 않더라도, 언제든 금으로 교환 가능한 분산 거래 장부 기반의 제2 암호 화폐를 보유하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자산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실질 가치의 대상은 더욱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는 바, 제2 암호 화폐는 금 이외에도 귀금속류(은동 다이아몬드), 자산성 재화(상품권, 명품, 골동품 등), 자산성 용역(성형시술권, 안마, 교육 등)의 제공에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질 가치 제공 장치(200)는 각 실질 가치의 형태 및 속성에 따른 개별적 제공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400)은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발행 및 유통되는 제1 암호 화폐의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과, 이에 따른 제2 암호 화폐의 실질 가치 전환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급준비율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지급준비율이 유지됨에 따라, 거래 플랫폼과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폐 유통량 및 지급 준비금의 분석 및 조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400)은 예측 모델에 기초한 지급준비 필요여부를 결정하거나, 지급준비 필요성에 대응하는 정책 프로세스를 조건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상황별 적절한 정책 결정 및 수행에 따른 금융 서버(500)로의 자금 조달 처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따라, 제1 암호 화폐는 안정적으로 발행 및 유통될 수 있으며, 실질 가치 시세에 연동한 제2 암호 화폐로 전환될 수 있고, 제2 암호 화폐는 필요 시점에 실질 가치로 전환 지급될 수 있는 바, 이는 실 경제 가치에 의한 암호 화폐 자체의 가치 안정화와 함께, 거래에 의한 가치 창출과, 실제 경제생활에서의 사용성 향상을 함께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암호 화폐 발행, 관리 및 거래 플랫폼을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처리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서비스 처리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교환 서비스 처리부(110), 제어부(130), 통신부(120), 사용자 입력부(140), 메모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처리부(110)는 제1 암호 화폐 관리부(111), 제2 암호 화폐 관리부(112), 화폐 전환 처리부(113), 지급 준비부(114), 실질 가치 교환 처리부(115), 소각 처리부(116),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 및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단말(1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4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입력 정보를 입력받아, 교환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요청된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교환 서비스 처리부(110)를 통해, 전술한 암호 화폐의 발행, 거래, 화폐 전환, 실질 가치 교환, 소각 등의 처리들을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전술한 교환 서비스 처리에 따른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고, 이에 대응하는 승인 결과에 따라, 암호 화폐 거래 정보가 거래 장부 데이터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교환 서비스 처리부(110)의 암호 화폐 처리에 대한 프로세스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암호 화폐 관리부(111)는, 제1 암호 화폐의 발행 및 거래 서비스에 따른 보유량 관리 처리를 수행한다.
제1 암호 화폐 관리부(111)는 제1 암호 화폐를 발행함에 있어서, 초기 발행량을 내부 보유량과 외부 유통량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내부 보유량의 경우, 지급 준비부(114)의 지급준비율 조절 관리를 위해 필요한 수량으로서, 예를 들어 별도의 보관 권한을 갖는 중앙 은행 계정으로 전달 및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유통량의 경우 거래자 단말(300)로 유통되는 보유량으로서,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 및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에 의한 매각 또는 매입 프로세스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거래자는 통상적으로 외부 유통량에 대한 매입/매각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 및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는 각각 법정 화폐 또는 다른 암호 화폐에 대응한 제1 암호 화폐의 거래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바, 각 거래 서비스부(117, 118)는 제1 암호 화폐의 법정 화폐간 거래가와, 제1 암호 화폐와 다른 암호 화폐간 거래가를 시장에 의해 각각 결정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제1 암호 화폐의 매입/매각 또는 다른 암호 화폐로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암호 화폐는 거래소에서의 각 판매자 및 구매자간 자율적 거래에 의해 그 거래가가 형성될 수 있다. 거래 서비스부(117, 118)는 사용자의 계정에 보유된 제1 암호 화폐를 법정 화폐 또는 다른 암호화폐로 교환하거나, 보유한 법정 화폐 또는 다른 암호화폐를 제1 암호 화폐로 교환되도록 하는 거래 서비스를 직접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거래소를 통한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암호 화폐는 거래 서비스에 의한 자율적 거래에 의해 결정되는 시장 가치를 가지며, 고유의 변동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암호 화폐는 가능한 수량만큼 제2 암호 화폐로 전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암호 화폐는 실물 경제상의 실질 가치로 교환 가능한 바, 제2 암호 화폐의 가치는 실질 경제상의 가치와 동일할 수 있고, 실질 가치의 변동성은 매우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호 화폐는 금일 수 있으며, 제2 암호 화폐 1개 단위 수량에 대한 금 1g의 지급 비율은 1:1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암호 화폐의 거래가는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으며, 제2 암호 화폐로의 교환 비율 및 전환 가능한 수량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제 거래가에 따라 제1 암호 화폐 1개 단위 수량으로 1개의 제2 암호 화폐를 전환받을 수 있었다면, 제1 암호 화폐의 거래가 상승에 따라, 오늘은 1개 단위 수량으로 2개의 제2 암호 화폐로 전환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 제2 암호 화폐는 금 시세에 따른 가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바, 그 변동성은 금 가치의 변화에만 의존되어 안정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암호 화폐의 거래가의 시장가치적 변동성이 존재하더라도, 그 실질 가치 변화는 제2 암호 화폐의 안정적 변동성에 의해 제어될 수 있게 되는 바, 급격한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이 방지되고, 가치 변동성의 조절 및 거래 시스템의 안정적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암호 화폐는 일정 전환량과 전환 비율에 따라 제2 암호 화폐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환 비율은 제1 암호 화폐의 거래가와 제2 암호 화폐에 대응하여 교환 가능한 실질 가치 재화 또는 용역의 시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암호 화폐 1개 단위 수량으로 교환 가능한 실질 가치를 금 1g 이라 할때, 제1 암호 화폐는 일정 수량만큼 제2 암호 화폐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일정 수량은 제2 암호 화폐로 교환 가능한 금의 중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권한 및 등급에 따라 제1 암호 화폐 중 제2 암호 화폐로 전환 가능한 수량은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암호 화폐에서 제2 암호 화폐로의 교환 비율은 제1 암호 화폐 거래가, 교환 가능 금 중량 및 금 시세에 의해 산출될 수 있으며, 교환에 따른 제2 암호 화폐 전환 수량은 [제1 암호 화폐 단위당 제2 암호 화폐 전환 수량 = (교환 가능 금 중량) x (금 중량당 최고 시세가) / (거래 단위당 제1 암호 화폐 최저 거래가)] 와 같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암호 화폐 관리부(112)는, 제2 암호 화폐의 발행 및 보유량 관리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제2 암호 화폐 관리부(112)는 지급 준비부(114)의 지급 준비 정보에 따라 발행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급 준비 정보는 지급 준비금 정보로서, 지급 가능한 금의 수량 정보 또는 금을 구매 가능한 현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암호 화폐 관리부(112)는 지급 준비금에 기초하여, 일정 보유량을 유지하면서 금 지급이 가능한 수량만큼의 발행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행 가능량은 지급 준비금이 유통된 제1 암호 화폐의 시가총액 대비 일정 비율 이상 유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암호 화폐 관리부(112)는 발행 가능한 제2 암호 화폐를 실 경제 가치에 대응하는 가치 지급 또는 교환 처리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암호 화폐는 거래자 단말(300)의 제1 암호 화폐에 대응한 화폐 전환 요청에 따라 발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폐 전환 처리부(113)는 상기 지급 준비 정보에 따른 전환 가능량을 미리 산출하고, 제1 암호 화폐 중 전환 가능한 제2 암호 화폐 수량을 결정하여 제2 암호 화폐 관리부(112) 및 거래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암호 화폐 관리부(112)는 화폐 전환 처리부(113)에서 결정된 수량만큼의 제2 암호 화폐를 발행할 수 있으며, 발행된 제2 암호 화폐는 실질 가치대상과 동일한 지급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실질 가치 교환 처리부(115)는, 거래자 단말(300)로부터 이러한 제2 암호 화폐의 지급 또는 교환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수량만큼의 실질 가치 제공 요청을 전술한 가치 제공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질 가치 교환 처리부(115)는 제2 암호 화폐에 대응하는 중량만큼의 금 또는 골드바가 거래자 단말(300)에 대해 등록된 배송지로 배송되도록 하는 배송 요청 정보를 가치 제공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실질 가치 교환 처리부(115)는 거래자 단말(300)로부터 전달받을 거래자에 대응하는 자격 정보 또는 개인 증명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실질 가치 지급 또는 교환 증빙에 이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질 가치 교환 처리부(115)에서의 교환 처리가 완료된 제2 암호 화폐는 소각 처리부(116)에 의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전량 소각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1 암호 화폐 관리부(111)는 제2 암호 화폐로 전환된 제1 암호 화폐에 대하여, 내부 보유량으로의 전환 관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내부 보유량은 외부 유통되는 수량은 아니나, 지급 준비부(114)에서의 지급 준비율 산출에 의한 조절에 이용되는 바, 전체적 시스템 및 인플레이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실행 가능한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되어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코드이고, 상기 실행 시에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미리 정해진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행의 결과인 실행 결과값의 무결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부터 산출된 상기 실행 결과값에 대한 합의(consensus)에 의하여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을 지칭한다.
스마트 컨트랙트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 또는 협상의 실행 및 시행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말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전체 프로세스가 자동화되어 법적 계약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기존 블록체인 1.0의 가상화폐 저장 기능은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복수의 가상화폐 중 이더리움(ethereum)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을 통해 글로벌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개발자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고, 가상화폐 등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방대함 때문에 협의가 잘 진행되지 않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SNS, 이메일 및 전자 투표 등의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는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더리움은 계정 관리, 통화 발생 및 채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마트 게약과 EVM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는 분산 애플리케이션(Distributed Applictaion, Dapp)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최초 발안자인 Nick Szabo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신뢰할 수 없는 컴퓨터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기계 간의 고도로 발달된 자동 계약 이행 방법으로 정의하였으며, 블록체인 위에 부동산 계약, 온라인 투표 및 헬스케어 등의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확장했다.
현재 블록체인 2.0에서 가장 주목하는 기술은 스마트 컨트랙트다. 비트코인에서도 스마트 컨트랙트는 가능하였으나 if 조건문만을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원하는 계약 사항을 만드는 것에 제약 사항이 존재하였다.
반면, 스마트 컨트랙트로 잘 알려진 이더리움은 튜링 완전성(turing completeness)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에 프로그래밍을 하는 정도까지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거래 또는 계약 사항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기존 계약은 법적 전문가에 의해 인쇄된 문서에 법적 언어를 포함하고, 제3 자에 대한 의존이 높았다. 또한, 전통적인 계약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분쟁이 생기면 사법 제도에 의지하여야 함으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다만,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디지털 언어를 통해 작성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계약에서 계약 당사자의 의무, 혜택 및 벌금을 명시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규칙 및 결과를 정의할 수 있고, 프로그래밍에 의해 개발되어 시스템에 의해 강제적으로 계약이 이행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 화폐의 전송을 요청한 거래자의 등급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규칙을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서 확인하여 그에 따라 암호 화폐의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암호 화폐의 거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암호 화폐의 거래를 위한 전송을 요청받고(S500 단계), 상기 암호 화폐의 전송을 요청한 거래자의 등급 정보가 확인된다(S510 단계).
여기서, 상기 암호 화폐는 블록체인 기반의 다양한 암호 화폐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암호 화폐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암호 화폐는 또 다른 암호 화폐인 제2 암호 화폐로 전환 가능하며, 또 다른 암호 화폐인 제2 암호 화폐는 금 등과 같은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하며 실 경제 가치의 지급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되는 암호 화폐일 수 있다.
거래자는 단말 장치를 통해 자신이 보유한 암호 화폐를 거래하기 위한 전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해당 거래자에게는 각각 서로 다른 권한을 가지는 복수의 등급들 중 하나의 등급이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등급들은 오너(Owner) 등급, 투자자(inverstor) 등급, 일반 등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거래 관련 권한에 따라 더욱 다양한 등급들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등급 정보는 투자자 등급을 포함하며, 확인된 등급 정보가 투자자 등급인 경우, 해당 거래자가 보유한 암호 화폐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거래가 제한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의 거래 규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자자 등급의 거래자가 보유한 암호 화폐 중 거래가 제한되는 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되어, 암호 화폐의 보유 시작 시점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된 후 거래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기간이 경과되기 전까지의 거래 제한 기간 동안 해당 거래자가 추가 보유하게되는 암호 화폐는, 거래 제한 기간 동안 전체 거래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급 정보는 상위 투자자 등급 및 일반 등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반 등급의 거래자가 보유한 암호 화폐는 거래 제한 없이 전송이 가능할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위 투자자 등급의 거래자로부터 암호 화폐를 전송받은 일반 등급의 거래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거래가 제한되는 투자자 등급으로 전환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의 거래 규칙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급 정보는 오너 등급 및 중앙은행 등급을 더 포함하며, 오너 등급의 거래자는 다른 거래자의 등급을 변경 가능하며, 중앙은행 등급의 거래자는 오너 등급의 거래자에게만 암호 화폐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의 거래 규칙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급 정보는, 거래 규칙과 관련된 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위 오너 등급과 관리자 등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든 등급의 거래자에게 상기 암호 화폐를 제한 없이 전송 가능한 거래소 등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등급 관련 정보와 등급별 거래 규칙(예를 들어, 전송 제한 사항 등)은 해당 암호 화폐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거래자의 암호 화폐 전송 요청시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에 따라 해당 거래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다.
거래자의 등급 정보가 확인되면, 해당 암호 화폐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에 따라, 해당 거래자의 등급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규칙이 확인된다(S52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에 포함된 거래 규칙은, 등급 정보, 등급별 암호 화폐 전송 제한 규칙, 등급 전환 규칙, 등급별 권한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S520 단계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확인된 거래 규칙에 기초하여, 암호 화폐의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가 결정된다.
도 6은 거래자의 등급 정보에 따른 거래 규칙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거래자의 등급은 오너(Owner), 상위 투자자(Super investor), 투자자(inverstor), 일반(Anonymous), 거래소(CEX) 및 중앙은행(Central Bank)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거래자의 전자 지갑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복수의 등급들 중 하나가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등급들에 대해서는 각각 상이한 거래 규칙이 정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등급별 상이한 거래 규칙에 대한 내용은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등급들은 서로 암호 화폐를 전송 가능한 상대방 등급이 상이하거나, 일부 등급에 대해서는 암호 화폐의 전송에 일정 제한(Lock-up)이 있는 등, 암호 화폐의 거래 관련 권한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암호 화폐 전송 규칙에 대해 등급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너(Owner) 등급의 경우, 모든 등급, 즉 상위 투자자(Super investor), 투자자(inverstor), 일반(Anonymous), 거래소(CEX) 및 중앙은행(Central Bank) 등급으로 암호 화폐를 수량 제한 없이 전송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오너(Owner) 등급은, 암호 화폐의 전송 이외에, 암호 화폐의 거래와 거래자의 등급 및 권한을 관리하고 암호 화폐 전송을 전체적으로 제어 및 관리하여 암호 화폐의 전체 거래 프로세스를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해 실행시키고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역할의 수행을 위해, 오너(Owner) 등급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등급들로 세분화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오너 권한을 가지는 등급들에는, 오너(Owner) 이외에, 상위 오너(Super Owner), 히든 오너(Hidden Owner) 및 관리자(Admin)가 포함될 수 있다.
오너(Owner) 등급은, 모든 등급으로의 암호 화폐 전송 이외에, 거래 정지, 레드/화이트 리스트(Red/White List) 관리, 잘못 전송된 암호 화폐의 반환, 거래 시작의 결정(SetOpenInTime), 암호 화폐의 소각(burn) 및 유통정지(stash), 중앙은행(Central Bank)와의 거래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오너(Owner) 등급의 경우, 위급 상황 발생시 암호 화폐의 전체 거래를 정지시키는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위 오너(Super Owner) 등급은, 오너(Owner) 등급의 상위 등급으로서, 나머지 등급들, 즉 오너(Owner), 상위 투자자(Super investor), 투자자(inverstor), 일반(Anonymous), 거래소(CEX) 및 중앙은행(Central Bank) 등급들에 대한 역할 변경 및 지정, 권한 추가 및 삭제 등 모든 권한을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오너(Owner) 등급과 상위 오너(Super Owner) 등급은, 동일 거래자에게 부여될 수 있다.
한편, 히든 오너(Hidden Owner)는 상위 오너(Super Owner)에 대한 탈취 또는 해킹이 발생하는 경우 상위 오너(Super Owner)에 대한 권한 이양이 가능한 등급으로서, 즉 자신인 히든 오너(Hidden Owner) 등급에 대한 역할 이관과 상위 오너(Super Owner)에 대한 역할 변경 및 지정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히든 오너(Hidden Owner)에 해당하는 전자지갑의 계정은 하드 지갑(Cold Wallet)으로 보관되어, 탈취 또는 해킹으로부터 완벽히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권한을 가지는 오너(Owner), 상위 오너(Super Owner), 히든 오너(Hidden Owner) 등급들은 각각, 1인의 거래자에게 부여될 수 있다.
관리자(Admin) 등급은 여러명의 거래자들에게 부여될 수 있으며, 각각의 관리자(Admin)는 오너(Owner)의 역할들 중 일부, 예를 들어 위급 상황에서의 거래 정지, 레드/화이트 리스트(Red/White List) 관리 및 중앙은행(Central Bank)을 제외한 모든 등급으로의 암호 화폐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중앙은행(Central Bank) 등급은, 암호 화폐의 통화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오너(Owner) 등급의 거래자에게로만 암호 화폐를 수량 제한 없이 전송할 수 있다.
즉, 중앙은행(Central Bank)이 보유하는 암호 화폐는 실제 유통되지 않으며, 필요시(예를 들어, 암호 화폐 가치가 급격히 상승 또는 감소하는 경우)에만 오너(Owner) 등급으로 전송되어 유통됨으로써 해당 암호 화폐의 외부 유통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오너(Owner) 등급으로부터 중앙은행(Central Bank) 등급으로 전송되는 암호 화폐는, 소각되지 아니하고 중앙은행(Central Bank)이 보유하게되나, 실질적으로는 소각의 효과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중앙은행(Central Bank)의 암호 화폐 통화 조절 기능을 위해, 중앙은행(Central Bank) 등급의 단말 장치는 지급준비율 통제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투자자(inverstor) 등급은, 중앙은행(Central Bank) 등급을 제외한 모든 등급으로의 암호 화폐 전송이 가능하나, 전송 가능한 기간 또는 수량 등이 제한될 수 있다.
즉, 투자자 등급의 거래자가 보유한 암호 화폐는 미리 설정된 비율의 일부 수량에 대해서만 거래가 가능하도록 제한되며, 상기 거래 가능한 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보유 시작 시점부터 일정 거래 제한 기간이 지나면 전체 수량에 대한 전송이 가능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자자(inverstor) 등급의 경우, 암호 화폐의 보유 시작 시점부터 2개월(60일)이 경과한 시점부터 최초 보유량의 10%를 전송 가능하며, 3개월(90일)이 경과한 시점부터 최초 보유량의 20%를 전송 가능하며, 1개월 마다 10%씩 전송 가능량이 증가되어, 암호 화폐의 보유 시작 시점부터 11개월이 경과한 시점부터는 최초 보유량 전체에 대한 거래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다만, 거래 제한 기간(예를 들어, 암호 화폐의 보유 시작 시점부터 11개월) 동안, 암호 화폐를 추가로 전송받는 경우, 추가 전송된 암호 화폐의 수량에 대해서는 해당 거래 제한 기간 동안에는 일부라도 전송이 제한되어, 추가 전송된 암호 화폐에 대해서는 해당 거래 제한 기간이 지난 후에나 거래가 가능하게 규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위 투자자(Super investor) 등급은 투자자(inverstor) 등급과 일반(Anonymous) 등급으로만 암호 화폐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일반(Anonymous) 등급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은행(Central Bank)을 제외한 모든 등급으로 수량 제한없이 암호 화폐를 전송할 수 있으나, 상위 투자자(Super investor) 등급으로부터 암호 화폐를 전송받으면 일반(Anonymous) 등급은 투자자(inverstor) 등급으로 자동 전환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에 규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위 투자자(Super investor) 등급은 일반(Anonymous) 등급에 대해 투자자(Super investor) 등급으로 전환시켜 암호 화폐의 거래 제한을 설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위 투자자(Super investor) 등급의 거래자에 대한 감시가 오너(Owner) 등급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거래가 제한되는 투자자(inverstor) 등급의 거래자의 경우, 일반(Anonymous) 등급의 전자지갑을 추가로 생성하여 암호 화폐를 보관함으로써, 일정 기간동안 암호 화폐의 전송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거래소(CEX) 등급은, 중앙은행(Central Bank)을 제외한 모든 등급으로 수량 제한없이 암호 화폐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스마트 컨트랙트과 연동해 상기한 바와 같은 거래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암호 화폐를 전송받을 수신자의 등급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등급의 수신자에 대해서만 암호 화폐의 전환을 위한 전송을 허용함으로써,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 관련 거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반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방법 중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제1 암호 화폐로부터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을 위한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을 요청받고(S1400 단계), 상기 제1 암호 화폐를 전송받을 수신자의 등급 정보가 확인된다(S1410 단계).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암호 화폐는 일정 전환 비율에 따라 제2 암호 화폐로 전환 가능하며, 제2 암호 화폐는 금과 같은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한 실 경제 가치 연동 암호 화폐일 수 있다.
한편, 제2 암호 화폐는 상기 실 경제 가치의 지급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암호 화폐를 보유한 거래자는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제1 암호 화폐를 특정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자의 등급 정보는,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오너(Owner), 상위 투자자(Super investor), 투자자(inverstor), 일반(Anonymous), 거래소(CEX) 및 중앙은행(Central Bank)를 포함하는 복수의 등급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각 등급에 대한 제1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은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며, 해당 등급별 거래 규칙은 제1 암호 화폐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2 암호 화폐에 대해서도, 등급별 거래 규칙이 제2 암호 화폐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 후, 제2 암호 화폐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에 따라, 수신자의 등급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규칙이 확인된다(S1420 단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을 위한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은 오너(Owner) 등급의 수신자에게만 가능하도록 거래 규칙이 스마트 컨트랙트에 정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암호 화폐를 보유한 일반(Anonymous) 등급 또는 투자자(inverstor) 등급의 거래자가, 실 경제 가치와 연동되는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을 위해, 전환하고자 하는 제1 암호 화폐를 오너(Owner) 등급으로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투자자(inverstor) 등급의 경우,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을 위해 오너(Owner) 등급의 수신자에게 전송 가능한 제1 암호 화폐의 수량은 시간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수신자의 등급에 따른 거래 규칙에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확인된 후, 확인된 거래 규칙에 기초하여,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가 결정된다(S1430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을 위한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은 오너(Owner) 등급의 거래자를 수신인으로 하는 경우에만 허용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에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자의 등급이 오너(Owner) 등급인 경우 상기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이 허용되나, 수신자의 등급이 오너(Owner) 등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S1430 단계에서의 결정 결과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을 위한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이 허용되어 해당 제1 암호 화폐가 오너(Owner) 등급의 수신자에게 전송되면, 전송된 제1 암호 화폐에 상응하는 제2 암호 화폐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제2 암호 화폐는 오너(Owner) 등급의 수신자가 보유하게 되며, 상기 생성된 제2 암호 화폐가 오너(Owner) 등급의 수신자로부터 제1 암호 화폐를 전송한 거래자에게 전송되도록 처리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암호 화폐는 오너(Owner) 등급의 거래자로부터 일반(Anonymous) 등급 또는 투자자(inverstor) 등급의 거래자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1 암호 화폐로부터 전환된 제2 암호 화폐를 보유한 거래자는, 금 등과 같은 실 경제 가치로 교환하기 위해, 제2 암호 화폐를 오너(Owner) 등급의 거래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암호 화폐로부터 실 경제 가치로의 교환을 위한 제2 암호 화폐의 전송이 요청되면, 제2 암호 화폐를 전송받을 수신자의 등급 정보가 확인되며, 제2 암호 화폐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에 따라 수신자의 등급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규칙이 확인되고, 확인된 거래 규칙에 기초하여 제2 암호 화폐의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 경제 가치로의 교환을 위한 제2 암호 화폐의 전송은 오너(Owner) 등급의 거래자를 수신인으로 하는 경우에만 허용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에 규정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수신자의 등급이 오너(Owner) 등급인 경우 상기 제2 암호 화폐의 전송이 허용되나, 수신자의 등급이 오너(Owner) 등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2 암호 화폐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실 경제 가치로의 교환을 위한 제2 암호 화폐의 전송이 허용되어 해당 제2 암호 화폐가 오너(Owner) 등급의 수신자에게 전송되면, 전송된 제2 암호 화폐에 상응하는 실 경제 가치가 제2 암호 화폐를 전송한 거래자에게 지급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 경제 가치의 지급 후, 오너(Owner) 등급의 수신자는 거래자로부터 전송된 제2 암호 화폐가 소각처리 되도록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암호 화폐는 일반(Anonymous) 등급 또는 투자자(inverstor) 등급의 거래자로부터 오너(Owner) 등급의 거래자로만 전송될 수 있으며, 제2 암호 화폐의 전송 및 그에 따른 금 등의 실 경제 가치 지급 절차가 완료되면, 오너(Owner) 등급의 거래자가 전송받은 제2 암호 화폐는 소각처리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 경제 가치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스마트 컨트랙트과 연동해 상기한 바와 같은 거래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9)

  1. 용역으로 교환 가능한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을 적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암호 화폐로부터 제2 암호 화폐로의 전환을 위한 상기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1 암호 화폐를 전송받을 수신자의 등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암호 화폐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의 내용에 따라, 상기 수신자의 등급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규칙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거래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암호 화폐는 용역으로 교환 가능하며, 상기 용역의 제공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되는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정보는
    오너 등급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자의 등급 정보가 상기 오너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이 허용되도록 결정하는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수신자의 등급 정보가 상기 오너 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을 제한하는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 화폐가 상기 오너 등급의 수신자에게 전송된 후, 상기 전송된 제1 암호 화폐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암호 화폐가 상기 오너 등급의 수신자에게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제2 암호 화폐가 상기 오너 등급의 수신자로부터 상기 제1 암호 화폐의 전송을 요청한 거래자에게 전송되도록 처리되는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 화폐로부터 상기 용역으로의 교환을 위한 상기 제2 암호 화폐의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2 암호 화폐를 전송받을 수신자의 등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암호 화폐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의 내용에 따라, 상기 수신자의 등급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규칙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거래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암호 화폐의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정보는
    오너 등급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자의 등급 정보가 상기 오너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암호 화폐의 전송이 허용되도록 결정하는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 화폐가 상기 오너 등급의 수신자에게 전송된 후, 상기 전송된 제2 암호 화폐에 상응하는 용역이 제공되면, 상기 오너 등급의 수신자에게 전송된 상기 제2 암호 화폐는 소각되도록 처리되는 암호 화폐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포함된 단계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KR1020180130730A 2018-10-30 2018-10-30 용역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730A KR20200048553A (ko) 2018-10-30 2018-10-30 용역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730A KR20200048553A (ko) 2018-10-30 2018-10-30 용역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553A true KR20200048553A (ko) 2020-05-08

Family

ID=7067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730A KR20200048553A (ko) 2018-10-30 2018-10-30 용역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85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8547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483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가치 교환 거래 시스템
KR20200048552A (ko) 금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51A (ko) 실질 경제 가치와의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50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
KR20200048548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30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시스템
KR20200048527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048521A (ko) 블록체인 기반 발행 가능량 결정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048525A (ko) 블록체인 기반 발행 가능량 결정 시스템
KR20200048553A (ko) 용역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54A (ko) 실질 경제 가치 교환 거래 규칙을 적용하기 위한 단말 장치
KR20200048555A (ko) 실질 경제 가치 교환 거래 규칙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
KR20200048549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을 위한 단말 장치
KR20200048492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경제 가치 거래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48546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487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경제 가치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48482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가치 교환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48540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시스템
KR20200048537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048536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048538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00048539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를 위한 서버
KR20200048535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시스템
KR20200048526A (ko) 블록체인 기반 지급 준비율 제어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