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682A - 두침욕 장치 및 샴푸 대접 - Google Patents

두침욕 장치 및 샴푸 대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682A
KR20230067682A KR1020237013162A KR20237013162A KR20230067682A KR 20230067682 A KR20230067682 A KR 20230067682A KR 1020237013162 A KR1020237013162 A KR 1020237013162A KR 20237013162 A KR20237013162 A KR 20237013162A KR 20230067682 A KR20230067682 A KR 20230067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neck
treated
pers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히코 타다
사무카와 나미 기타무라
마사미 안도
카미카와 유코 시무라
모리타 아야 시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라 벨몬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6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45D19/10Backward lavabo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45D19/08Adaptations of wash-ba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21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68Pr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피시술자에게 있어 쾌적함과 아울러,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지장이 없는 시술을 행할 수가 있는 두침욕 장치를 제공한다. 두침욕 장치(25)는, 통 본체부(26)와, 주측부(28)의 앞쪽측에 부착된 정류부(40)를 가지고 있다. 정류부(40)는, 주측 본체부(41)의 상부에 연접된 대치부(42)와, 이 대치부(42)의 좌우 양측이 절결됨으로써 형성된 수류부(43)와, 이 수류부(43)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유도부(45)를 가지고 있다. 두침욕 장치(25)의 바닥부(27)는, 샴푸 대접(1)의 바닥면(2)보다도 상방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두침욕 장치 및 샴푸 대접
본 발명은 두피의 마사지(massage) 등에 이용되는 두침욕(頭浸浴) 장치, 및 이 두침욕 장치가 구비된 샴푸 대접(bowl)에 관한 것이다.
종래, 헤어 살롱(hair salon) 등의 이미용(理美容) 시설에는 피시술자의 두발을 세정하기 위한 샴푸 대접이 있다. 피시술자는, 샴푸 대접에 두부(頭部)를 두고, 피시술자의 측방이나 두정부측(頭頂部側)으로부터 시술자에 의해 시술된다. 샴푸 대접에 있어서의 시술은, 예를 들면 샴푸나 두피(scalp) 마사지 등이 있고, 시술에 따라서는 수십분으로부터 1시간 정도를 필요로 한다.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시술의 때에, 피시술자의 목이 샴푸 대접의 가장자리에 직접 맞닿으면, 피시술자는 목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샴푸 대접 부착형 베개(이하, 「공지문헌 1 발명」이라고 적는다.)는, 샴푸 대접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피시술자의 목이 직접 샴푸 대접의 가장자리에 맞닿지 않게 쿠션의 역할을 달성한다.
한편, 시술자는, 시술 외에도 많은 업무를 안고 있어, 예를 들면 청소, 도구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 전화 응대, 내점 예약의 확인 등을 해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시술자는, 장시간의 시술에 구속되면, 그 동안은 다른 업무를 행할 수가 없다. 따라서, 피시술자에게 있어 쾌적함과 아울러,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지장이 없는 시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술로서 예를 들면, 피시술자의 두부에 탕수를 계속 걸치는 것이나, 두부를 탕수에 계속 담그는 것(이하, 「두침욕」이라고 적는다.)이 생각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3185374호 공보
상기한 공지문헌 1 발명은, 피시술자의 목과 샴푸 대접의 가장자리의 사이에 부착되기 때문에, 당해 발명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샴푸 대접의 바닥에 대한 피시술자의 두부의 위치가 높아지게 된다. 이 경우, 탕수(湯水)를 샴푸 대접에 모아도, 수위가 피시술자의 두부에 이르기 전에, 탕수가 흘러넘쳐 샴푸 대접의 가장자리로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두부가 탕수에 잠기지 않는다. 만일, 피시술자의 두부까지 흘러넘치지 않고 수위를 올릴 수가 있는 경우라도, 대량의 탕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다. 즉, 피시술자에게 있어 쾌적함과 아울러,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지장이 없는 시술을 행할 수가 있는 두침욕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피시술자가 시술되는 샴푸 대접의 바닥면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주연(周緣)에 연접됨과 아울러 상방을 향해 뻗은 주측부(周側部)를 가지고, 상기 주측부가, 상기 샴푸 대접의 측면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피시술자의 목이 재치되는 목 재치부와 대치(對峙)하는 부위인 목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피시술자의 두부를 잠그기 위한 탕수가 고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만수시에 있어서 상기 피시술자의 후두부를 잠글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상기 목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시술자의 목과 접촉하지 않고 대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상기 바닥면에 맞닿는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상기 측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상기 샴푸 대접의 배수구와 감합(嵌合)하는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상기 목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시술자의 목과 대치하는 대치부와, 상기 대치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대치부로부터 상기 하방을 향해 절결(切缺 : notch)된 수류부(水流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주측부(周側部)를 가지고, 상기 목 재치부와 대치하는 부위가 절결되어 공극이 형성된 통(桶) 본체부와, 상기 공극에 있어서 착탈되는 상기 목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목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시술자의 목과 대치하는 대치부와, 상기 대치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대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결(切缺 : notch)된 수류부(水流部)와, 상기 수류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뻗음과 아울러 선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출(張出)된 유도부(誘導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상기 수류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를 향해 상기 수류부보다도 얕게 절결된 도랑부(groove portion)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상기 수류부가, 당해 수류부보다도 하방을 향해 절결됨으로써, 상기 목 재치부가 배치되는 피배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샴푸 대접은, 상기한 두침욕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피시술자가 시술되는 샴푸 대접의 바닥면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주연(周緣)에 연접됨과 아울러 상방을 향해 뻗은 주측부(周側部)를 가지고, 주측부가, 샴푸 대접의 측면 가장자리에 있어서 피시술자의 목이 재치되는 목 재치부와 대치하는 부위인 목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피시술자의 두부를 잠그기 위한 탕수가 고인다. 즉, 샴푸 대접에 있어서, 두침욕 장치에 탕수가 모인다. 두침욕 장치의 목 가장자리부가, 샴푸 대접의 목 재치부와 대치하기 때문에, 피시술자가, 목 재치부에 목을 두면, 두부가 탕수에 잠긴다. 그 사이, 피시술자는, 두부가 탕수에 잠김으로써 릴렉스(relax) 할 수가 있고, 또 두부와 함께 두발(頭髮)이 탕수에 잠김으로써, 두발의 더러움이 떨어진다. 한편,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시술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에게 있어 쾌적함과 아울러,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지장이 없는 시술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샴푸 대접의 바닥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바닥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샴푸 대접에 직접 탕수를 모으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량의 탕수로 충분하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만수시에 있어서 피시술자의 후두부를 잠글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피시술자의 후두부가 탕수에 잠겨 피시술자를 릴렉스 시킨다. 따라서, 피시술자에게 있어 쾌적함과 아울러,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지장이 없는 시술을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목 가장자리부가, 피시술자의 목과 접촉하지 않고 대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목 재치부와 목과의 사이에 탕수를 흘릴 수가 있다. 피시술자는, 목의 뒤 언저리를 탕수가 계속 흐름으로써, 릴렉스 할 수가 있다. 또, 탕수가 계속 흐름으로써, 시술이 계속되기 때문에, 피시술자에게 있어 쾌적함과 아울러,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지장이 없는 시술을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바닥면에 맞닿는 다리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안정되게 샴푸 대접에 설치할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측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다리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안정되게 샴푸 대접에 설치할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샴푸 대접의 배수구와 감합하는 다리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안정되게 샴푸 대접에 설치할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목 가장자리부가, 피시술자의 목과 대치하는 대치부와, 대치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대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결된 수류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탕수가 모여 수위가 상승하면, 수위가 대치부에 이르기 전에, 탕수는, 대치부의 양측인 수류부로부터 흐른다. 즉, 탕수는, 피시술자의 목의 뒤 언저리를 계속 흐른다. 따라서, 피시술자를 릴렉스 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바닥부와 주측부를 가지고, 목 재치부와 대치하는 부위가 절결되어 공극이 형성된 통 본체부와, 공극에 있어서 착탈되는 목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목 가장자리부가, 피시술자의 목과 대치하는 대치부와, 대치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대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결된 수류부와, 수류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뻗음과 아울러 선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출된 유도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시술의 종류나, 피시술자의 체격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이나 크기의 목 가장자리부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 탕수는, 흐르는 힘에 의해 유도부로부터 선단부에 이르러 흐르고, 선단부에 있어서, 피시술자의 목의 뒤 언저리를 향해 계속 흐른다. 따라서, 피시술자를 릴렉스 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수류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바닥부를 향해 수류부보다도 얕게 절결된 도랑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만일, 피시술자의 체격이 크고, 목의 뒤 언저리에서 수류부가 막혀 탕수가 수류부로부터 흐르는 것이 방해된 경우라도, 탕수가 도랑부로 흐름으로써, 체격이 큰 피시술자의 목의 뒤 언저리에 탕수를 흘릴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는, 수류부가, 당해 수류부보다도 하방을 향해 절결됨으로써, 목 재치부가 배치되는 피배치부를 가지고 있다. 즉, 샴푸 대접에 목 재치부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목 재치부가 피배치부에 배치됨으로써, 목 재치부가 수류부와 간섭하지 않는다. 탕수는, 목 재치부로부터 흐르고, 피시술자의 목의 뒤 언저리를 계속 흐른다. 따라서, 피시술자를 릴렉스 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샴푸 대접은, 두침욕 장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두침욕 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을 상방으로부터 본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두피 마사지용 장치가 부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가 샴푸 대접에 부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를 하방으로부터 본 하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두피 마사지용 장치가 부착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두피 마사지용 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앞쪽측으로부터 본 전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두피 마사지용 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안쪽측으로부터 본 후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두피 마사지용 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변형 상태가 나타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에 있어서의 통(桶) 본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에 있어서의 통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에 있어서의 통 본체의 전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에 있어서의 통 본체의 후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에 있어서의 통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가 샴푸 대접에 부착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가 샴푸 대접에 부착된 상태의 전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가 샴푸 대접에 부착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가 샴푸 대접에 부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XXX-XXX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가 샴푸 대접에 부착된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XXXI-XXXI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가 샴푸 대접에 부착된 상태의 후면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를 이용한 시술을 설명하는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를 이용한 시술을 설명하는 상면 설명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두침욕 장치를 이용한 시술을 설명하는 측면 단면 설명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변형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37은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변형예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부착된 상태의 측면 단면 확대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일부가 나타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일부가 나타난 후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일부가 나타난 하면도이다.
도 41은 도 39의 XXXXI-XXXXI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일부의 종단면이 나타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39의 XXXXII-XXXXII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일부의 횡단면이 나타난 상면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39의 XXXXIII-XXXXIII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일부의 횡단면이 나타난 상면 단면도이다.
도 44는 도 39의 XXXXIV-XXXXIV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에 착탈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일부의 횡단면이 나타난 상면 단면도이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샴푸 대접 및 두침욕 장치의 설명이다. 샴푸 대접에는, 시술에 이용되는 시술 장치로서 두피 마사지용 장치나 두침욕 장치 등이 부착된다. 도 1 및 2는 샴푸 대접(bowl)(1)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두피 마사지용 장치(10)가 샴푸 대접(1)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와 두침욕 장치(25)가 샴푸 대접(1)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샴푸 대접(1)의 깊이 방향을 상하(Up, Down)로 하고, 샴푸 대접(1)에 피시술자(50)의 두부가 놓여진 경우의 두정부측을 안쪽측(Back), 반대측인 수부측(首部側)을 앞쪽측(Front)으로 하고, 횡폭 방향을 측방(Left Side, Right Side)으로 한다.
도 1 및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샴푸 대접(1)은, 피시술자(50)가, 이미용 의자 등의 시술대(도시 생략)에 있어서 얼굴을 위를 향해 가로누운 상태로 두부를 두고, 시술을 받기 위한 것이다(도 32, 참조). 시술은, 예를 들면 샴푸, 두피 마사지, 염색(color), 파마(permanent), 아이메이크업(eye make-up) 시술 등이 포함된다. 샴푸 대접(1)은, 예를 들면 바닥면(2)과 측면(3)으로 구성된 거의 반구(半球) 형상의 대접(bowl)이다. 바닥면(2)에는, 원통 형상의 배수구(4)가 형성되고, 측면(3)의 내측에는, 급탕수가 방출되는 샤워 헤드(5)나, 급탕수의 지수전(止水栓)(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측면(3)에 있어서의 전면측은, 함몰되고, 측면(3)에 있어서의 다른 부위보다도 낮게 형성되고, 피시술자의 목이 실리는 목 재치부로서의 목 재치구(載置具)(7)가 부착되어 있다. 목 재치구(7)는, 측면(3)과 나란히 줄지어 있는 것 같은 형상의 제1 재치부(8)와, 이 제1 재치부(8)보다도 후방에 배치된 반구 형상의 제2 재치부(9)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재치부(9)는, 좌우 한 벌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재치부(8)에는, 피시술자(50)의 목이 재치되고, 제2 재치부(9)에는, 피시술자(50)의 목덜미(項), 목덜미의 머리털이 난 어름(襟足), 뒷덜미(首筋), 목덜미의 머리털이 난 어름(襟足) 등 (이하, 「목덜미 등」이라고 적는다.)이 재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샴푸 대접(1)은, 시술의 종류에 따라, 두피 마사지용 장치(10)나 두침욕 장치(25)가 부착된다. 여기서, 두피 마사지용 장치(10) 및 두침욕 장치(25)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10)가 샴푸 대접(1)에 부착된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 내지 도 25는 두침욕 장치(25)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6 내지 도 31은 두침욕 장치(25)가 샴푸 대접(1)에 부착된 상태의 외관 및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내지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두피 마사지용 장치(10)는, 샤워 헤드(5)가 접속되는 피접속부(11)와, 이 피접속부(11)에 연결된 유로부(13)와, 이 유로부(13)에 연결된 토수부(18)와, 유로부(13)에 연결되어 샴푸 대접(1)에 부착되는 착탈부(20)를 가지고 있다. 피접속부(11)는, 상하로 뻗은 원통 형상으로서, 상부에 개구부(12)를 가지고, 하부가 유로부(13)에 연결되어 있다. 개구부(12)는, 샤워 헤드(5)를 고정하기 위한 착탈 고정 수단(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착탈 고정 수단은, 예를 들면 끈이나 밴드로 샤워 헤드(5)를 묶어 붙이는 것, 샤워 헤드(5)를 위로부터 눌러 붙이는 추(錘)로서의 두침욕 장치(25), 개구부(12)와 샤워 헤드(5)가 나합하는 나사 구조, 기계적 감합, 개구부(12)를 고무제 등으로 함으로써 개구부(12)와 샤워 헤드(5)의 마찰을 일으키게 하기 위한 소재의 선택 등이다.
유로부(13)는, 피접속부(11)의 하부와 연결된 제1 유로부(14)와, 이 제1 유로부(14)의 선단인 제1 선단부(15)에 연결된 제2 유로부(16)를 가지고 있다. 각 유로부(14, 16)는, 내측이 공동이며, 내측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유로부(14)는, 피접속부(11)를 중심으로서 좌우 한 벌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유로부(14)는, 피접속부(11)로부터 좌우를 향해 뻗음과 아울러 전방을 향해 만곡 또는 굴곡하고, 제1 선단부(15)가 상방을 향해져 있다. 제1 선단부(15)는, 힌지부(hinge portion)(23)와 축지지부(軸支持部)(24)를 가지고 있다. 힌지부(23)는, 제2 유로부(16)를 회전시키고, 또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이고, 이 힌지부(23)를 통해 제2 유로부(16)가 연결되어 있다. 힌지부(23)는, 제2 유로부(16)의 가동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규제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축지지부(24)는, 각 제1 선단부(15)의 후부에 형성된 도랑(groove)이며, 두침욕 장치(25)가 부착될 때에 이용된다(도 31, 참조).
제2 유로부(16)는, 좌우의 제1 선단부(15)로부터 상방을 향해 뻗음과 아울러 측방을 향해 만곡 또는 굴곡하고, 선단인 제2 선단부(17)에 있어서 연접되어 있다. 제2 선단부(17)는, 하부에 토수부(吐水部)(18)가 연결되어 있다. 토수부(18)의 토수구(吐水口)(19)는, 샴푸 대접(1)이 있는 하방을 향해져 있다. 착탈부(20)는, 샴푸 대접(1)의 바닥면(2)에 맞닿는 제1 착탈부(21)와 샴푸 대접(1)의 배수구(4)에 접속되는 제2 착탈부(22)를 가지고 있다. 제1 착탈부(21)는, 제1 선단부(15)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고, 나사 구조 등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다. 제2 착탈부(22)는, 판 형상이며, 피접속부(11)의 직하에 있어서 제1 유로부(14)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2 착탈부(22)는, 예를 들면 고무제, 실리콘제 등이다.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두피 마사지용 장치(10)는, 샴푸 대접(1)에 부착된다. 즉,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제2 착탈부(22)가, 샴푸 대접(1)의 배수구(4)에 삽입되고, 제2 착탈부(22)의 측면이 배수구(4)의 내면에 맞닿음으로써, 제2 착탈부(22)가 배수구(4)에 감합된다(도 30 및 31, 참조). 배수구(4)가 원통인 것에 반해, 제2 착탈부(22)는 판 형상이기 때문에, 제2 착탈부(22)와 배수구(4)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따라서, 탕수는 이 간극을 지나서 배수구(4)로부터 배수된다. 제1 착탈부(21)는, 샴푸 대접(1)의 바닥면(2)에 맞닿아져 각 유로부(14, 16)를 지지한다. 따라서, 각 유로부(14, 16)는, 각 착탈부(21, 22)에 의해 3점으로 지지된다. 또한, 사용시에는, 샴푸 대접(1)의 샤워 헤드(5)가, 피접속부(11)에 접속된다(도 30, 참조).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유로부(16)는, 힌지부(23)를 통해, 제1 유로부(14)에 대해서 각도가 변화한다. 즉, 제2 유로부(16)는, 후방을 향해 경사진다. 힌지부(23)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영역이 한정되고, 소정의 각도를 넘어 변화하는 것이 방해된다. 소정의 각도는, 제2 유로부(16)의 자세가 수직인 경우를 0도(度)로 했을 때, 예를 들면 후방을 향해 25도 내지 35도, 바람직하게는, 30도 정도이며, 또 전방을 향해 5도 내지 15도, 바람직하게는 10도 정도이다. 가동 영역이 과도하게 큰 경우, 두피 마사지용 장치(10)가, 샴푸 대접(1)에 부착될 때, 샴푸 대접(1)의 측면(3) 등에 접촉하여 설치 작업이 방해되는 경우가 있다.
제2 유로부(16)는, 힌지부(23)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2 유로부(16)가 회전할 때의 축 그 자체의 위치가 변화한다.
도 16 내지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두침욕 장치(25)는, 예를 들면 세면기 등에 근사하고, 약간 깔때기 모양으로 오그라든 통(桶) 형상이며, 통 본체부(26)와 목 가장자리부로서의 정류부(40)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도 16 내지 도 20은, 정류부(40)가 통 본체부(26)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1 내지 도 25는, 두침욕 장치(25)로서 정류부(40)가 통 본체부(26)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통 본체부(26)는, 바닥부(27)와, 이 바닥부(27)의 주연에 연접됨과 아울러 상방을 향해 뻗은 주측부(28)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27)는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주측부(28)의 일부는, 절결되어 있다. 바닥부(27)가 높이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바닥부(27)의 안쪽측의 외측에, 우묵하게 패인 공간(29)이 형성되어 있다. 즉, 바닥부(27)의 안쪽측에는, 상방을 향해 뻗은 저측부(底側部)(30)가 연접되고, 이 저측부(30)의 안쪽측에는, 단저부(段底部)(31)가 연접되어 있다. 바닥부(27)의 하면에는, 자립하기 위한 복수의 다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32)의 개수, 형상, 길이, 위치 등은 임의이다. 바닥부(27)의 거의 중앙에는, 배수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 구멍(33)에는, 마개(34)(도 30, 참조)가 착탈된다.
주측부(28) 중에서, 앞쪽측으로서, 목 재치구(7)와 대치하는 부위는, 절결되어 목 가장자리 공극(4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목 가장자리 공극(48)에는, 정류부(整流部)(40)가 착탈된다. 주측부(28) 중에서, 목 가장자리 공극(48) 이외의 부위인 외연부(外緣部)(35)는, 외면에 축돌부(軸突部)(36)가 형성되어 있다. 축돌부(36)는, 좌우 한 벌로 구성되고, 저측부(30)보다도 앞쪽측에 있어서, 측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외연부(35)의 상연으로서, 앞쪽측인 목 가장자리 공극(48)의 근방에는, 좌우 한 벌의 도랑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외연부(35) 중에서, 목 가장자리 공극(48)의 근방에는, 목 가장자리 공극(48)의 형상을 따라, 복수의 작은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정류부(40)는, 예를 들면 고무제, 실리콘제, 우레탄제 등의 얇은 판 형상이며, 붙박이 부재(47)에 의해 통 본체부(26)의 주측부(28)에 고정되어 목 가장자리부를 담당한다. 붙박이 부재(47)는, 목 가장자리 공극(48)을 따른 형상이며, 정류부(40)를 주측부(28)와의 사이에 끼워 나사 등을 통해 고정시킨다. 정류부(40)는, 주측부(28)에 고정되는 주측(周側) 본체부(41)와, 이 주측 본체부(41)의 상부에 연접된 대치부(42)와, 이 대치부(42)의 좌우 양측이 절결됨으로써 형성된 수류부(43)와, 이 수류부(43)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유도부(45)를 가지고 있다. 대치부(42)는, 주측 본체부(41)의 상단부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대치부(42)의 좌우 양측이, 주측 본체부(41)를 향해 하방으로 절결됨으로써, 수류부(43)는, 대치부(42)보다도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수류부(43)는, 주측 본체부(41)을 향해 더 하방으로 절결됨으로써, 피배치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배치부(44)는, 목 재치구(7)의 제2 재치부(9)가 배치된다(도 26, 참조). 유도부(45)는, 주측 본체부(41)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뻗음과 아울러, 선단부인 유도 선단부(46)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출(張出)되어 있다. 정류부(40)와의 관계에 있어서, 도랑부(38)의 위치는, 외연부(35)의 둘레 방향을 따라, 피배치부(44)(수류부(43)) 및 유도 선단부(46)보다도 외측에 배치되고, 또 외연부(35)로부터 바닥부(27)를 향해 수류부(43)보다도 얕게 절결되어 있다.
도 26 내지 도 3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두침욕 장치(25)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10)가 부착되어 있는 샴푸 대접(1)에 부착된다.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접속부(11)는, 샴푸 대접(1)의 샤워 헤드(5)가 접속되어 있고, 두침욕 장치(25)의 단저부(段底部)(31)가, 샤워 헤드(5)의 위에 실린다. 즉, 두침욕 장치(25)가,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착탈 고정 수단을 담당한다. 또한, 착탈 고정 수단은, 끈이나 밴드 등과 병용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다. 두침욕 장치(25)의 축돌부(36)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축지지부(24)에 계지된다. 한편, 두침욕 장치(25)의 정류부(40)는, 목 재치구(7)의 제2 재치부(9)에 부착된다. 즉, 정류부(40)의 피배치부(44)에 제2 재치부(9)가 끼워져 피배치부(44)가 폐색함과 아울러, 제2 재치부(9)가 수류부(43)로 바뀐다. 정류부(40)의 대치부(42)는, 제2 재치부(9)끼리의 사이에 끼워진다. 유도부(45)는, 제2 재치부(9)의 외주를 따라 끼워진다. 정류부(40)는, 목 재치구(7)의 제1 재치부(8)와 대치한다. 두침욕 장치(25)의 바닥부(27)는, 샴푸 대접(1)의 바닥면(2)보다도 상방에 배치되고, 바닥부(27)의 배수 구멍(33)에 마개(34)가 부착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두피 마사지용 장치(10) 및 두침욕 장치(25)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본 실시 형태의 작용과 아울러 설명한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시술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32 내지 도 3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시술자(50)가 얼굴을 위를 향해 가로누운 상태로 두부를 샴푸 대접(1)에 둔다. 이 때에 피시술자(50)의 목은, 목 재치구(7)의 제1 재치부(8)에 재치된다. 또한, 피시술자(50)의 목덜미 등이 제2 재치부(9)에 재치된다. 피시술자(50)의 두발은 시술의 전에 샤워 헤드(5)로부터의 탕수로 적셔진다. 두발이 미리 적셔짐으로써, 시술에 있어서 탕수가 두발로 튀어오르는 것이 억제된다. 만일, 두발이 건조한 상태로 시술을 하면, 두피 마사지용 장치(10)로부터 방출된 탕수는, 두발에 맞닿아 튀어올라 피시술자(50)의 안면이나 의복에 비산하는 경우가 있다.
피시술자(50)의 두부가 샴푸 대접(1)에 재치된 상태로, 두피 마사지용 장치(10)가 샴푸 대접(1)에 부착된다.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제2 유로부(16)는, 후방으로 넘어뜨려진 상태로 부착된다. 제2 유로부(16)가 후방에 넘어뜨려짐으로써, 토수부(吐水部)(18)가 피시술자(50)의 안면과 대치하지 않는 자세로 두피 마사지용 장치(10)가 샴푸 대접(1)에 부착된다. 만일, 제2 유로부(16)가 수직 상태로 두피 마사지용 장치(10)가 샴푸 대접(1)에 부착되면, 다른 시술시에 토수부(18)에 남아 있던 탕수가, 피시술자(50)의 안면이나 의복에 걸칠 경우가 있다.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피접속부(11)에, 샤워 헤드(5)가 접속된다. 착탈 고정 수단이, 예를 들면 밴드 등이면, 샤워 헤드(5)가 피접속부(11)에 묶어 붙여진다. 두침욕 장치(25)는, 후두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에 부착됨과 아울러 샤워 헤드(5)의 위에 실린다. 두침욕 장치(25)가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에 부착됨으로써, 밴드 등과 합친 착탈 고정 수단이 실현된다. 또한, 두침욕 장치(25)가, 후두부의 하방에 배치될 때, 피시술자(50)가 장발인 경우, 피시술자(50)의 두부가 들어 올려지고, 두발이 모두 두침욕 장치(25)의 내측에 수용된다.
피시술자(50)의 두부가 배치된 샴푸 대접(1)에, 두피 마사지용 장치(10) 및 두침욕 장치(25)가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제2 유로부(16)는, 후방으로 넘어뜨려진 채로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50)의 두정부 측에 배치되어 두피나 두발의 언저리와는 대치하고 있지 않다. 한편, 두침욕 장치(25)의 대치부(42)는, 피시술자(50)의 목덜미 등과 대치한다. 이 때에 대치부(42)는, 목덜미 등과 접촉하지 않고, 목덜미 등과 대치부(42)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빈다. 또한, 각 재치부(7, 8)에, 목이나 목덜미 등의 어느 부위가 재치될지는, 피시술자(50)의 체격에 따라 약간 다르다.
샴푸 대접(1)의 지수전(止水栓)(6)이 조작되어 탕수가 공급되면, 탕수는, 샤워 헤드(5)로부터 방출된다. 샤워 헤드(5)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피접속부(11)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탕수는, 피접속부(11)로부터, 제1 유로부(14), 제2 유로부(16)를 거쳐, 토수부(18)의 토수구(19)로부터 방출된다. 방출된 탕수는, 피시술자(50)의 두부에 맞닿지 않고, 두침욕 장치(25)에 모여져 간다. 수위가 두침욕 장치(25)의 바닥부(27)로부터 서서히 상승하면, 후두부가 탕수에 적당히 잠겨, 수위가 목 재치구(7)의 제2 재치부(9)에 이르면, 탕수는, 제2 재치부(9)를 따라 좌우로 우회하고(도 33의 수류(水流)(51), 참조), 제2 재치부(9)의 좌우로부터 두침욕 장치(25)의 외측으로 흘러넘쳐 흐른다(도 34의 수류(52), 참조). 이 때에 탕수는, 대치부(42)를 넘어 흐르지 않는다. 제2 재치부(9)에는, 피시술자(50)의 목덜미 등이 재치되어 있기 때문에, 탕수는, 제2 재치부(9)를 따름과 아울러 목덜미 등을 흐른다. 목덜미 등은, 정지한 수면에 잠겨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 흐르는 탕수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50)는, 목덜미 등에 대해 불안감을 갖지 않고, 수류를 느껴 릴렉스 할 수가 있다.
탕수가 흐르는 힘에 의해서는, 탕수는, 제2 재치부(9)로부터 유도부(45)에도 돌아, 유도 선단부(46)로부터 목덜미 등을 향해 흐른다(도 33의 수류(53), 참조). 탕수가 적절하게 목덜미 등을 향해지기 때문에, 피시술자(50)를 릴렉스(relax) 시킬 수가 있다.
수위가 제2 재치부(9)에 이르면, 만수가 되는데, 이 만수시에 있어서, 피시술자(50)의 후두부가 탕수에 잠겨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50)를 릴렉스 시킬 수가 있다. 또, 두부와 아울러 두발이 탕수에 잠김으로써, 두발의 더러움이 떨어진다.
후두부가 탕수에 적당하게 잠긴 후, 또는 탕수가 제2 재치부(9)의 좌우로부터 두침욕 장치(25)의 외측으로 흘러넘쳐 흐른 후, 제2 유로부(16)의 각도가 조절되고, 토수구(19)로부터 방출된 탕수가 두피나 두발의 언저리에 맞닿는 위치에, 제2 유로부(16)가 배치된다. 탕수는, 두피나 두발의 언저리에 맞닿고, 두발을 거쳐서 두정부측으로 흐른다(도 34의 수류(54), 참조). 피시술자(50)는, 후두부가 탕수에 잠긴 후, 또는 목덜미 등이 탕수에 노출된 후에, 두피나 두발의 언저리가, 토수구(19)로부터의 탕수로 적당하게 자극되기 때문에, 목덜미 등에 있어서의 유수를 적절하게 느낄 수가 있다. 만일, 토수구(19)로부터의 탕수가, 두피나 두발의 언저리에 맞닿으면서 두침욕 장치(25)에 고이면, 목덜미 등이 탕수에 노출되기 전에, 두피나 두발의 언저리가 자극되어, 피시술자(50)는, 목덜미 등에 있어서의 감각이 희미해지는 경우가 있다.
시술의 동안에, 피시술자(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부가 탕수에 잠겨, 목덜미 등을 탕수가 흐름으로써, 릴렉스 할 수가 있고, 한편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시술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50)에 있어 쾌적함과 아울러,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지장이 없는 시술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만일, 시술자가 시술을 행하는 경우라도, 두피 마사지용 장치(10)가 샤워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시술자는, 샤워 헤드(5)를 파지할 필요가 없이 양손으로 시술을 할 수 있다.
또, 샴푸 대접(1)의 바닥면(2)보다도 높은 위치에 두침욕 장치(25)의 바닥부(27)가 배치되기 때문에(도 34, 참조), 샴푸 대접(1)에 직접 탕수를 모으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량의 탕수로 충분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침욕 장치(25)에 있어서의 정류부(40)의 피배치부(44)에, 목 재치구(7)의 제2 재치부(9)가 끼워진다(도 26, 참조). 즉, 샴푸 대접(1)에 목 재치구(7)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2 재치부(9)가 피배치부(44)에 배치됨으로써, 제2 재치부(9)가 정류부(40)와 간섭하지 않는다.
시술이 끝나면, 지수전(6)이 조작되어 탕수가 멈춰진다. 제2 유로부(16)가 후방으로 넘어뜨려져 피시술자(50)의 두부와 대치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유로부(13)에 잔류한 탕수가 토수구(19)로부터 적하되어도, 탕수가 두부에 맞닿는 것이 방해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침욕 장치(25)의 바닥부(27)에 배수 구멍(33)이 형성되어 마개(34)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도 30, 참조), 마개(34)를 뽑음으로써, 배수 구멍(33)으로부터 배수할 수가 있다.
두침욕 장치(25)가, 두피 마사지용 장치(10)로부터 떼어내진다. 샤워 헤드(5)가, 두피 마사지용 장치(10)로부터 떼어내진다. 피시술자의 젖은 두발은, 타올 등의 섬유제 부재로 수분이 흡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침욕 장치(25)의 정류부(40)가 붙박이 부재(47)를 통해 착탈되는 구조이기 때문에(도 16 내지 도 25, 참조), 시술의 종류나 피시술자(50)의 체격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의 정류부(40)를 착탈할 수가 있다. 또, 정류부(40)는, 고무제, 실리콘제, 우레탄제 등의 얇은 판 형상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변형하고, 교환이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침욕 장치(25)에 있어서의 외연부(35)의 상연(上緣)으로서, 앞쪽측인 목 가장자리 공극(48)의 근방에는, 좌우 한 벌의 도랑부(38)가 형성되어 있다(도 22, 참조). 도랑부(38)의 위치는, 외연부(35)의 둘레 방향을 따라, 피배치부(44)(수류부(43)) 및 유도 선단부(46)보다도 외측에 배치되고, 또 도랑부(38)는, 외연부(35)로부터 바닥부(27)를 향해 수류부(43)보다도 얕게 절결되어 있다. 만일, 피시술자(50)의 체격이 크고, 두침욕 장치(25)의 대치부(對峙部)(42)가 피시술자(50)의 목덜미 등과 접촉한 경우, 제2 재치부(9)가 목덜미 등으로 막아져 탕수가 목덜미 등을 흐르는 것이 방해되는데, 수류부(43)보다도 얕은 도랑부(38)로부터 탕수가 흐름으로써, 체격이 큰 피시술자(50)의 목덜미 등에 탕수를 흘릴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두침욕 장치(25)는, 피배치부(44)가 형성되지 않고, 수류부(43)를 가진다(도 21 및 22, 참조). 이 경우, 수위가, 두침욕 장치(25)의 바닥부(27)로부터 서서히 상승하여, 수류부(43)에 이르면, 대치부(42)보다도 낮은 수류부(43)로부터 두침욕 장치(25)의 외측으로 흘러넘쳐 흐른다. 이 때에 대치부(42)가 수류부(43)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탕수는, 대치부(42)를 넘어 흐르지 않는다. 수류부(43)는, 피시술자의 목덜미 등과 대면하고 있기 때문에, 탕수는, 피시술자의 목덜미 등을 흐른다. 이 경우, 제2 재치부(9)는 있어도 없어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로 이용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효과를 설명한다.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제2 유로부(16)는, 제1 유로부(14)의 제1 선단부(15)로부터 상방을 향해 뻗음과 아울러 측방을 향해 만곡 또는 굴곡하고 있다(도 7, 참조). 이 구성에 의해, 제2 유로부(16)가, 피시술자(50)의 두부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제1 선단부(15)는, 힌지부(23)를 가지고, 제2 유로부(16)는, 힌지부(23)를 통해, 제1 유로부(14)에 대해서 각도가 변화한다(도 15, 참조). 이 구성에 의해, 토수부(18)의 위치가 변화하고, 토수구(19)로부터 방출되는 탕수가 두피에 맞닿는 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다. 또, 샴푸 대접(1)에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힌지부(23)는, 제2 유로부(16)의 가동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유로부(16)의 가동 영역이 한정되고, 소정의 각도를 넘어 변화하는 것이 방해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탕수가 피시술자(50)의 안면에 걸치는 일이 없다.
제2 유로부(16)는, 힌지부(23)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시술자(50)의 머리털이 난 언저리의 위치에 따라, 제2 유로부(16)가 적절하게 배치된다.
다음에,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의 변형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5 내지 도 37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110)가 나타나 있다. 도 35 및 36은 두피 마사지용 장치(110)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37은 두피 마사지용 장치(110)의 제2 착탈부(122)가 샴푸 대접(1)의 배수구(4)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이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와 다른 구성이 주로 설명되고, 두피 마사지용 장치(10)와 같은 구성은 같은 부호를 가지고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
도 35 및 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두피 마사지용 장치(110)의 제2 착탈부(122)는, 앞쪽 측면 및 안쪽 측면의 하부로부터, 앞쪽측 및 안쪽측을 향해 돌출된 한 벌의 플랜지부(155)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55)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거의 반원형이다. 플랜지부(155)는, 측방으로부터 보아, 상면인 평탄 상면부(156)와 하면인 경사 하면부(157)를 가지고 있다. 평탄 상면부(156)는, 평탄한 반원 판 형상이며, 경사 하면부(157)는, 외측 선단으로부터 제2 착탈부(122)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하방을 향해 경사져 있다.
도 3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착탈부(122)가, 샴푸 대접(1)의 배수구(4)에 삽입되면, 플랜지부(155)는, 배수구(4)의 개구 상단부보다도 깊은 위치에서, 또한 배수구(4)의 내면과 간극을 두어 배치된다. 배수구(4)로부터 배수되는 탕수는, 배수구(4)의 안에 부착된 망상의 모발 수집도구(도시 생략)를 통과한다. 이 때에 탕수는, 평탄 상면부(156)로부터, 경사 하면부(157)를 거쳐서 배수구(4)의 하방으로 흐른다. 즉, 흐른 탕수는, 헤어 캐처(catcher)에 맞닿음으로써, 피시술자(50)에 있어 불쾌한 소리를 발하는 경우가 있는데, 탕수가 플랜지부(155)를 통해 배수됨으로써, 탕수가 낙하하기 시작하는 위치가, 샴푸 대접(1)의 바닥면(2)보다도 낮은 경사 하면부(157)의 하단으로 내내려가기 때문에, 탕수가 낙하하기 시작하는 위치로부터 모발 수집도구에 맞닿을 때까지의 거리도 짧게 된다. 따라서, 플랜지부(155)가 없이 바닥면(2)으로부터 탕수가 낙하하기 시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음 효과가 발휘되어 피시술자(50)는, 불쾌한 소리를 느끼는 일이 없이 릴렉스(relax)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두침욕 장치만이 샴푸 대접에 부착된다. 이 경우, 두침욕 장치의 다리부는, 길게 형성되고 샴푸 대접의 바닥면에 있어서 자립한다. 또, 두피 마사지용 장치에 대신하여, 받침대가 샴푸 대접에 설치되고, 이 받침대 상에 두침욕 장치가 재치된다. 두피 마사지용 장치가 없어도, 두침욕이면, 만일 시술자가 시술을 행하는 경우라도, 시술자는, 양손으로 시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적합하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다리부는 훅(hook) 형상이며, 샴푸 대접의 측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구조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다리부는, 샴푸 대접의 배수구에 감합하는 형상이며, 예를 들면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제2 착탈부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다른 실시 형태는, 다리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대치부가, 피시술자의 목덜미 등에 약간 접촉한다.
다른 실시 형태는, 수류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정류부를 가지지 않고, 정류부에 상당하는 부위로서 통 본체부에 정류부와 동등 형상의 목 가장자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는, 도랑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마개가 정류부와 일체이다. 즉, 정류부의 하단부가 배수 구멍까지 뻗고, 당해 하단부에 마개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제2 유로부는, 좌우의 한쪽에만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의 제2 착탈부의 형상이, 거의 원통 형상이며, 일부에, 배수구와의 사이에 간극을 생기게 하는 절결, 패임, 우묵하게 패임, 도랑 등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간극이, 배수의 유로로 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탕수는, 샤워 헤드나 다른 급수 기구 등으로부터 두침욕 장치에 직접 공급된다. 즉, 탕수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를 거치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목 재치구가 부착되지 않고, 목 재치구에 상당하는 부위로서 샴푸 대접에 있어서의 측면에, 목 재치구와 동등 형상의 목 재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토수부(18)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8 내지 도 44는, 토수부(18)가 나타나 있다. 도 38 내지 도 40은, 토수부(18)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41 내지 도 44는, 토수부(18)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토수부(18)는, 두피 마사지용 장치(10, 110)를 구성하는 부재이며, 두피 마사지용 장치(10, 110)는 이하의 구성이다.
샴푸 대접(1)에 부착되어 샤워 헤드(5)가 접속되는 피접속부(11)와, 이 피접속부(1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뻗은 유로부(13)와, 이 유로부(13)의 선단에 연결된 토수부(18)를 가지고, 토수부(18)의 하면에 형성된 토수구(19)는, 피시술자(50)의 이마에 있어서의 두발의 언저리를 본뜬 U자 형상이며, 샤워 헤드(5)로부터의 탕수가 유로부(13)을 지나서 토수부(18)에 이르러, 토수구(19)로부터 방출된다.
토수구(19)로부터 방출되는 탕수는, 토수구(19)로부터 피시술자(50)의 이마에 맞닿을 때까지, 토수구(19)의 U자 형상을 따라 중단되지 않고 연속하고 있다.
토수부(18) 내의 유로에는, 상하로 나란히 줄지어 있는 계층이 형성되어 있다.
계층끼리의 연락로는, 상층측과 하층측에서 서로 엇갈려서 어긋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8 내지 도 4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토수부(18)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보아 타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입체물이며, 상부에 유로 접속부(200)를 가지고, 하면부에 토수구(19)를 가지고 있다. 유로 접속부(200)는, 한 벌로 구성되고, 유로부(13)의 제2 선단부(17)와 연결된다(도 5, 참조). 토수구(19)는, 피시술자(50)의 이마에 있어서의 두발의 언저리를 본뜬 U자 형상이며, 측방을 향해 U자의 선(線) 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다. 또한, 유로 접속부는, 단일이라도 좋다. 또, 토수구는, 복수의 구멍이 U자 형상으로 병렬한 것이라도 좋다.
도 4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토수부(18)는, 내부에 유로를 가지고, 유로에는, 상하로 나란히 줄지어 있는 삼단의 계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로는, 토수구(19)의 내측으로부터 유로 접속부(200)에 접속된 통 형상의 주유로부(主流路部)(201)와, 이 주유로부(201)의 하단에 연접되어 좌우로 뻗은 U자 형상의 계층 유로부(202)로 실현되고, 계층 유로부(202)의 하류측이 토수구(19)에 통하고 있다. 계층 유로부(202)는, 내측에 2개의 구획편이 형성되고 있고, 이 제1 구획편(203) 및 제2 구획편(204)에 의해 상하 삼단의 계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층의 개수는, 2단이라도 좋고, 4단 이상이라도 좋다. 구획편의 개수는, 계층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계층은, 주유로부(201)에 통한 상단층 유로(205)와, 이 상단층 유로(205)의 하류측에 통한 중단층 유로(206)와, 이 중단층 유로(206)의 하류측에 통한 하단층 유로(207)와, 이 하단층 유로(207)의 하류측으로부터 토수구(19)에 통한 토수구 연락로(208)와, 상단층 유로(205)와 중단층 유로(206)의 사이가 제1 구획편(203)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형성된 상중(上中) 연락로(209)와, 중단층 유로(206)와 하단층 유로(207)의 사이가 제2 구획편(204)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형성된 중하(中下) 연락로(210)로 구성되어 있다. 계층끼리의 각 연락로(209, 210)는, 상층측과 하층측에서 서로 엇갈려서 어긋나 있다. 즉, 제1 구획편(203)이 후방(도 41에 있어서 우측)을 향해 장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중(上中) 연락로(209)는, 상단층 유로(205)의 후부 및 중단층 유로(206)의 후부(도 41에 있어서 오른쪽 가까이)에 통하고 있고, 한편 제2 구획편(204)이 전방(도 41에 있어서 왼쪽)을 향해 장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중하 연락로(210)는, 중단층 유로(206)의 전부(前部) 및 하단층 유로(207)의 전부(도 41에 있어서 왼쪽 가까이)에 통하고 있다. 따라서, 상중 연락로(209)와 중하 연락로(210)는, 전후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유로는, 계층 유로부(202) 내에 있어서 전후로 사행(蛇行)하고 있다.
계층끼리의 각 연락로(209, 210)의 전후 폭은, 하층을 따라 좁아지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2에 나타난 상중 연락로(209)의 전후 폭보다도, 도 43에 나타난 중하 연락로(210)의 전후 폭이 좁게 형성되고, 중하 연락로(210)의 전후 폭보다도, 도 44에 나타난 토수구 연락로(208)의 전후 폭 및 도 40에 나타난 토수구(19)의 전후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도 4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하 연락로(210)에서는, 중앙 부위(211)의 전후 폭보다도, 좌우 측방 부위(212)의 전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토수부(18)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토수부(18)의 효과를 작용과 아울러 설명한다.
두피 마사지용 장치(10, 110)에 공급된 탕수는, 토수부(18)에 있어서, 주유로부(201), 계층 유로부(202)를 거쳐, 토수구(19)로부터 방출된다. 계층 유로부(202)에서는, 탕수는, 상단층 유로(205), 상중 연락로(209), 중단층 유로(206), 중하 연락로(210), 하단층 유로(207), 토수구 연락로(208)를 사행하여, 토수구(19)로부터 U자 형상으로 방출된다. 토수구(19)로부터 방출되는 탕수는, 토수구(19)로부터 피시술자의 이마에 맞닿을 때까지, 토수구(19)의 U자 형상을 따라 수벽(水壁)과 같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하고 있다. 환언하면, 토수구(19)의 U자 형상을 따라 중단되지 않고 연속한 탕수는, 커튼(curtain) 또는 유리면과 같기도 하다. 특히, 중하 연락로(210)에서는, 중앙 부위(211)의 전후 폭보다, 좌우 측방 부위(212)의 전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탕수의 유량은, 중앙 부위(211)보다도 좌우 측방 부위(212)가 많게 되고, 중단되지 않고 연속한 U자 형상으로 된다.
탕수는, 피시술자(50)의 두피나 두발의 언저리에 맞닿고, 두발을 거쳐 두정부측으로 흐른다(도 34의 수류(54), 참조). 피시술자(50)는, 두피나 두발의 언저리가, 토수구(19)로부터의 탕수로 적당하게 자극되어 릴렉스 할 수가 있다. 한편,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시술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50)에 있어 쾌적함과 아울러, 시술자가 다른 업무를 행하여도 지장이 없는 시술을 행할 수가 있다. 특히, 탕수가, 중단되지 않고 연속한 U자 형상이기 때문에, 피시술자(50)는,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 없다. 또한, 만일 탕수가 중단되거나 샤워와 같이 복수의 구멍으로부터 개개로 방출되거나 한 경우, 피시술자(50)는, 탕수가 중단되어 두피나 두발의 언저리에 맞닿아 있는 것을 감각적으로 알기 때문에, 위화감을 느끼고, 잡념이 릴렉세이션(relaxation)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일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샴푸 대접(bowl) 2 : 바닥면
3 : 측면 4 : 배수구
5 : 샤워 헤드 6 : 지수전(止水栓)
7 : 목 재치구(首載置具)(목 재치부(首載置部))
8 : 제1 재치부 9 : 제2 재치부
10, 110 : 두피(scalp) 마사지용 장치
11 : 피접속부
12 : 개구부(開口部) 13 : 유로부(流路部)
14 : 제1 유로부 15 : 제1 선단부
16 : 제2 유로부 17 : 제2 선단부
18 : 토수부(吐水部) 19 : 토수구(吐水口)
20 : 착탈부(着脫部)
21 : 제1 착탈부 22, 122 : 제2 착탈부
23 : 힌지부(hinge portion) 24 : 축지지부(軸支持部)
25 : 두침욕 장치 26 : 통(桶) 본체부
27 : 바닥부(底部) 28 : 주측부(周側部)
29 : 우묵하게 패인 공간
30 : 저측부(底側部) 31 : 단저부(段底部)
32 : 다리부(脚部) 33 : 배수 구멍
34 : 마개(栓)
35 : 외연부(外緣部) 36 : 축돌부(軸突部)
38 : 도랑부 39 : 작은 구멍
40 : 정류부(整流部)(목 가장자리부(首緣部))
41 : 주측(周側) 본체부
42 : 대치부(對峙部) 43 : 수류부
44 : 피배치부 45 : 유도부
46 : 유도 선단부 47 : 붙박이 부재
48 : 목 가장자리(首緣) 공극 50 : 피시술자
52~54 : 수류(水流)
155 : 플랜지부
156 : 평탄 상면부 157 : 경사 하면부
200 : 유로 접속부 201 : 주유로부(主流路部)
202 : 계층 유로부
203 : 제1 구획편(區劃片) 204 : 제2 구획편
205 : 상단층 유로 206 : 중단층 유로
207 : 하단층 유로 208 : 토수구 연락로
209 : 상중(上中) 연락로 210 : 중하(中下) 연락로
211 : 중앙 부위(中央部位)
212 : 좌우 측방 부위(左右側方部位)

Claims (11)

  1. 피시술자가 시술되는 샴푸 대접의 바닥면보다도 상방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주연에 연접됨과 아울러 상방을 향해 뻗은 주측부를 가지고,
    상기 주측부가, 상기 샴푸 대접의 측면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피시술자의 목이 재치되는 목 재치부와 대치하는 부위인 목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피시술자의 두부를 잠그기 위한 탕수가 고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침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만수시에 있어서 상기 피시술자의 후두부를 잠글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침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시술자의 목과 접촉하지 않고 대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침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맞닿는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침욕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침욕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샴푸 대접의 배수구와 감합하는 다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침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시술자의 목과 대치하는 대치부와,
    상기 대치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대치부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해 절결된 수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침욕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주측부를 가지고, 상기 목 재치부와 대치하는 부위가 절결되어 공극이 형성된 통 본체부와,
    상기 공극에 있어서 착탈되는 상기 목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목 가장자리부가,
    상기 피시술자의 목과 대치하는 대치부와,
    상기 대치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대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결된 수류부와,
    상기 수류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뻗음과 아울러 선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출된 유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침욕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를 향해 상기 수류부보다도 얕게 절결된 도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침욕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가, 당해 수류부보다도 하방을 향해 절결됨으로써, 상기 목 재치부가 배치되는 피배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침욕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두침욕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대접.
KR1020237013162A 2021-01-21 2022-01-19 두침욕 장치 및 샴푸 대접 KR20230067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07970 2021-01-21
JP2021007970 2021-01-21
PCT/JP2022/001714 WO2022158472A1 (ja) 2021-01-21 2022-01-19 頭浸浴装置及びシャンプーボウ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682A true KR20230067682A (ko) 2023-05-16

Family

ID=8254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162A KR20230067682A (ko) 2021-01-21 2022-01-19 두침욕 장치 및 샴푸 대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82300A1 (ko)
JP (1) JPWO2022158472A1 (ko)
KR (1) KR20230067682A (ko)
CN (1) CN116437834A (ko)
WO (1) WO202215847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374B2 (ja) 1992-06-26 2001-07-09 新神戸電機株式会社 アルカリ蓄電池用ペースト式カドミウム陰極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613539Y1 (ko) * 1959-05-26 1961-05-26
JPS5038271Y2 (ko) * 1971-09-04 1975-11-06
US4901378A (en) * 1989-01-19 1990-02-20 Lealyce Reddell Shampoo basin
JPH0617604U (ja) * 1992-08-19 1994-03-08 和泉電気株式会社 水だれ防止構造付き洗髪槽
WO1995004484A1 (en) * 1993-08-11 1995-02-16 Killey, Andrew, John Hair washing support
JP4990667B2 (ja) * 2007-04-06 2012-08-01 有限会社ターレス 頭皮洗浄装置
JP2011153522A (ja) * 2011-05-20 2011-08-11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薬液供給装置
JP3185374U (ja) 2013-05-29 2013-08-15 久忠 山内 シャンプーボウル取付型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374B2 (ja) 1992-06-26 2001-07-09 新神戸電機株式会社 アルカリ蓄電池用ペースト式カドミウム陰極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158472A1 (ko) 2022-07-28
CN116437834A (zh) 2023-07-14
EP4282300A1 (en) 2023-11-29
WO2022158472A1 (ja)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79656A (en) Portable hair wash sink
WO2007114369A1 (ja) シャワー浴装置
KR20230067682A (ko) 두침욕 장치 및 샴푸 대접
JP6997959B2 (ja) 浴槽
JP2007222415A (ja) 洗髪機能を備えた浴槽装置
EP1992246B1 (en) Scalp washing device
JP2008178650A (ja) シャワー浴装置
JP2024014322A (ja) 頭浸浴方法
JP6924361B2 (ja) 浴槽
KR200466096Y1 (ko) 머리받침기능을 구비한 샴푸 보조장치
JP6801515B2 (ja) 浴槽
JP6963204B2 (ja) 浴槽
JP3996681B2 (ja) シャワー装置
KR100934126B1 (ko) 좌욕기구
JP6919227B2 (ja) 浴槽
JP2001104191A (ja) 浴 槽
KR102177659B1 (ko) 샴푸용 머리 받침대
KR20140056894A (ko) 샴푸용 목받침대
KR200431470Y1 (ko) 머리 세척용 의자에 부착된 얼굴 가림장치
JP4281115B2 (ja) シャワー浴装置
JP2007252701A (ja) 浴槽装置
JP2007159674A (ja) シャンプーボール装置
JP3201257U (ja) 冷ショックを受けない断熱マット
JP3100560B2 (ja) 支持体および自動洗髪機
JPH11101010A (ja) ユニットバスル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