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387A - 개선된 miRNA-204-5p 억제제 - Google Patents

개선된 miRNA-204-5p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387A
KR20230067387A KR1020210153431A KR20210153431A KR20230067387A KR 20230067387 A KR20230067387 A KR 20230067387A KR 1020210153431 A KR1020210153431 A KR 1020210153431A KR 20210153431 A KR20210153431 A KR 20210153431A KR 20230067387 A KR20230067387 A KR 20230067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na
polynucleotide
disease
sequence
nucleotide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장형주
계민정
김세인
이순제
강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앤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앤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앤엘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5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387A/ko
Publication of KR2023006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Nucle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5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DNA viruses
    • C12N2750/00011Details
    • C12N2750/14011Parvoviridae
    • C12N2750/14111Dependovirus, e.g. adenoassociated viruses
    • C12N2750/141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50/141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개선된 miRNA-204-5p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된 세포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하면, miRNA-204-5p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어,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miRNA-204-5p 억제제{Improved miRNA-204-5p inhibitor}
개선된 miRNA-204-5p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뇌질환은 특정 신경세포 집단의 점진적인 상실 및 단백질 응집체와 관련되어 정의되는 노화와 관계되는 질병으로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주요증상과 침범되는 뇌부위를 고려하여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등과 같이 구분된다. 이 질병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아직 근원적인 치료가 어렵고 발병원인도 명확하지 않지만, 신경세포의 기능장애가 질병의 병인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한편, 마이크로RNA(miRNA)는 20 내지 24개의 핵산으로 이루어진 단일 가닥의 올리고머로 핵산 순서 구조에 따라 일시적으로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자살, 분화, 분열, 대사 등 세포 내 신호 경로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암, 감염, 면역 질환 등의 여러 질병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 또한 miRNA에 의한 질병을 연구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단일가닥의 상보적인 핵산 올리고머(single stranded antisense oligonucleotide, ASO)인 anti-miRNA(antago-miR, blockmir), miRNA sponge 등의 miRNA 억제제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miRNA 억제제의 생체 내 불안정성과 질병 부위 표적화 능력 감소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phosphorothioates, Neutral backbones(phosphorodiamidate morpholino oligomer, PMO), 펩티드핵산(peptide nucleic acid, PNA), 2'-modifications(2'-O-methyl(2'-O-Me)), 2'-O-methoxyethyl(2'-O-MOE)), bridged rings(locked nucleic acid(LNA)) 등의 화학적으로 개질된 핵산, 리포좀, 고분자 및 단백질 복합체 등의 전달체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miRNA 억제제로서 터프 디코이(tough decoy)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이에 본 발명자들은 퇴행성 뇌질환에 효과가 있는 터프 디코이를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miRNA-204-5p에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2 개의 miRNA 결합 부위(miRNA-binding site, MBS)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벡터 또는 상기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벡터 또는 상기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miRNA-204-5p에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2 개의 miRNA 결합 부위(miRNA-binding site, MBS)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miRNA-204-5p" miRNA-204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miR-204-5p는 EphB2를 정확하게 표적으로 하여 EphB2 발현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해마 뉴런 세포의 표면에 발현되는 NMDA 수용체의 NR1 서브유닛의 발현이 감소되고, 수상돌기 밀도 감소를 초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miR-204-5p 핵산 분자는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성숙형 miRNA 분자는 주로 단일 가닥으로 존재하지만, 전구체 miRNA(pre-miRNA) 분자는 주로 이중가닥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부분적으로 자가-상보적인(예를 들어 스템- 및 루프-구조)구조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 (polynucleotide)"는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이다. RNA 게놈 서열, DNA (gDNA 및 cDNA) 및 이로부터 전사되는 RNA 서열을 포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터프 디코이(tough decoy)로 지칭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miRNA-204-5p는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miRNA 결합 부위는 상기 miRNA-204-5p와 완전히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것이거나 상기 miRNA-204-5p와 일부 상보적이지 않은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miRNA-204-5p의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서열도 포함하며,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엄격 조건 (stringent conditions) 하에서, 예를 들어, 상기 miRNA-204-5p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혼성화될 수 있는 서열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miRNA-204-5p와 완전히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miRNA-204-5p와 일부 상보적이지 않은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일부분에 miRNA-204-5p와 상보적이지 않은 서열이 삽입된 것이거나,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일부분이 miRNA-204-5p와 상보적이지 않은 서열로 변경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miRNA-204-5p와 일부 상보적이지 않은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경우, miRNA-204-5p와 상보적이지 않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miRNA-204-5p와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iRNA-204-5p와 일부 상보적이지 않은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miRNA 결합 부위는 miRNA-204-5p와 완전히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miRNA 결합 부위보다 구조 안정성이 더 높고 miRNA-204-5p와 더 잘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miRNA-204-5p와 일부 상보적이지 않은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서 3'말단의 9 및 10 번째 뉴클레오티드 사이 또는 10 및 11 번째 뉴클레오티드 사이에 1 내지 5 개의 miRNA-204-5p와 상보적이지 않은 서열이 삽입된 것이거나, 상기 miRNA 결합 부위의 3'말단의 9 내지 12 번째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miRNA-204-5p와 상보적이지 않은 서열로 변경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삽입되거나 변경된 서열은 miRNA-204-5p와 상보적이지 않은 서열이라면 가능하고, 특정 서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miRNA-204-5p와 일부 상보적이지 않은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3 내지 서열번호 15 중 어느 하나의 서열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miRNA-204-5p와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miRNA-204-5p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상보적"은 소정의 혼성화 또는 어닐링 조건,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안티센스 뉴클레오타이드가 miRNA-204-5p 표적에 선택적으로 혼성화 할 정도로 충분히 상보적인 것을 의미하며, 일부 또는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상보적(substantially complementary) 및 완전히 상보적 (perfectly complementary)인 것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보적이란, 완전히 상보적인 것은 아니지만, 표적 서열에 결합하여 본원에 따른 효과 즉, miR-204-5p의 활성을 저해하기에 충분한 효과를 낼 정도의 상보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용어 "상보적"은 상기 miRNA-204-5p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내의 miRNA 결합 부위(miRNA-binding site, MBS) 간의 염기 매칭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헤어핀 구조를 포함한 듀플렉스 구조를 가지는 경우, 센스 서열과 안티센스 서열 사이의 염기 매칭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miRNA-204-5p에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miRNA 결합 부위(miRNA-binding site, MBS)를 적어도 2 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 4, 6, 8 또는 10 개의 miRNA 결합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miRNA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miRNA 결합 부위는 서로 다른 서열로 구성된 것이거나, 서로 같은 서열로 구성된 miRNA 결합 부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헤어핀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miRNA 결합 부위는 센스 서열과 안티센스 서열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miRNA 결합 부위(miRNA-binding site, MBS)는 각각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15 중 어느 하나의 서열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miRNA 결합 부위의 양 말단에 링커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링커는 각각 AAC(서열번호 16), CAA(서열번호 17), ACC(서열번호 18) 및 CCA(서열번호 19)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복수개의 링커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링커는 서로 다른 서열로 구성된 것이거나, 서로 같은 서열로 구성된 링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각 miRNA 결합 부위의 사이에는 3 내지 30 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miRNA 결합 부위 사이에는 링커 서열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헤어핀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스템 부분 및/또는 루프 부분에 포함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양 말단에는 3 내지 20 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양 말단에는 링커 서열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헤어핀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3'말단 및 5'말단에 형성되는 스템 부분에 포함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서열에는 제한효소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일 구체예에 있어서 Esp3I(BsmBI) 제한효소 부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헤어핀 구조"는 스템-루프(stem-loop)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템 부분은 센스 서열과 안티센스 서열이 상보적인 결합을 이루고 있는 부분인 것일 수 있으나, 미스매치 등에 의해 쌍을 이루지 않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헤어핀 구조를 이루는 경우, 스템 부분 사이에 miRNA 결합 부위가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센스 서열과 안티센스 서열을 이어주는 연결 RNA 사슬은 "헤어핀 루프"로 지칭된다. 헤어핀 루프는 쌍을 형성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헤어핀 루프는 쌍을 형성하지 않은 적어도 2개, 적어도 3개, 적어도 4개, 적어도 5개, 적어도 6개, 적어도 7개, 적어도 8개, 적어도 9개, 적어도 10개, 적어도 20개, 적어도 23개 또는 그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어핀 구조는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오버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뉴클레오티드 오버행"은 예를 들어, 듀플렉스 구조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쌍을 형성하지 않은 뉴클레오티드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플렉스 구조에서 한 가닥의 3'-말단이 다른 가닥의 5'-말단을 넘어서서 연장되는 경우 또는 반대의 경우에, 뉴클레오티드 오버행이 존재한다. 상기 헤어핀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뉴클레오티드의 오버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오버행은 적어도 2개의 뉴클레오티드, 적어도 3개의 뉴클레오티드, 적어도 4개의 뉴클레오티드, 적어도 5개 또는 그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뉴클레오티드 오버행은 데옥시뉴클레오티드/뉴클레오시드를 포함하는 뉴클레오티드/뉴클레오시드 유사체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오버행은 센스 가닥, 안티센스 가닥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오버행의 뉴클레오티드(들)는 상기 헤어핀 구조의 안티센스 또는 센스 가닥 중 어느 하나의 5'-말단, 3'-말단 또는 둘 모두의 말단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벡터"는 그것이 연결되어 있는 다른 핵산을 수송할 수 있는 핵산 분자를 지칭한다. 벡터는, 단일-가닥, 이중-가닥, 또는 부분적 이중-가닥인 핵산 분자; 하나 이상의 자유 말단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 자유 말단이 없는 핵산 분자(예를 들어, 원형); DNA, RNA 또는 이들 둘 다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및 당업계에서 알려진 기타 다른 다양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재조합 벡터"란 적당한 숙주세포에서 목적 단백질 또는 목적 RNA을 발현할 수 있는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operably linked)"은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핵산 발현조절 서열과 목적하는 단백질 또는 RNA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이 기능적으로 연결(functional linkage)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프로모터와 단백질 또는 RNA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이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코딩하는 핵산 서열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재조합 벡터와의 작동적 연결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효소 등을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조절 요소"는 프로모터, 인핸서, 내부 리보솜 엔트리 부위(internal ribosomal 진입 site; IRES), 및 기타 다른 발현 제어 요소(예를 들어, 전사 종결 신호, 예컨대 폴리아데닐화 신호 및 폴리-U 서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 요소는, 예를 들어 문헌[Goeddel, GENE EXPRESSION TECHNOLOGY: METHODS IN ENZYMOLOGY 185,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 (1990)]에 기재되어 있다. 조절 요소는 많은 유형의 숙주 세포에서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구성적 발현을 지시하는 것들과 특정 숙주 세포에서만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발현을 지시하는 것들(예를 들어, 조직-특이적 조절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벡터는 하나 이상의 pol III 프로모터 (예를 들어, 1, 2, 3, 4, 5 개 또는 그 이상의 pol III 프로모터), 하나 이상의 pol II 프로모터(예를 들어, 1, 2, 3, 4, 5 개 또는 그 이상의 pol II 프로모터), 하나 이상의 pol I 프로모터(예를 들어, 1, 2, 3, 4, 5 개 또는 그 이상의 pol I 프로모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pol III 프로모터의 예들은, 이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U6 및 H1 프로모터를 포함한다. pol II 프로모터의 예들은, 이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레트로바이러스 라우스 육종 바이러스(Rous sarcoma virus; RSV) LTR 프로모터(선택적으로 RSV 인핸서와 함께),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MV) 프로모터(선택적으로 CMV 인핸서와 함께), SV40 프로모터,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프로모터, β-액틴 프로모터, 포스포글리세롤 키나아제(phosphoglycerol kinase; PGK) 프로모터, 및 EF1α 프로모터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는 AAV1, AAV2, AAV3, AAV4, AAV5, AAV6, AAV7, AAV8, AAV9, AAV10 및 AAV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AAV 벡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AV 벡터는 AAV 입자의 형태이다. 바이러스 벡터 및 바이러스 벡터 입자, 예를 들어, AAV로부터 유래되는 것들을 제조하고 변형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AAV 벡터는 AAV 게놈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AAV 게놈은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며, 이는 AAV 입자의 생산에 필요한 기능을 인코딩한다. 이러한 기능은 AAV 게놈을 AAV 입자로 캡시드화하는 것을 포함하여, 숙주 세포에서 AAV의 복제 및 패키징 사이클에서 작용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자연 발생 AAV는 복제-결핍성이며 복제 및 패키징 사이클을 완료하기 위해 인 트랜스 (in trans) 헬퍼 기능의 제공에 의존한다. AAV 게놈은 양성 또는 음성-센스의 단일-가닥 형태이거나, 대안적으로 이중-가닥 형태일 수 있다. 이중-가닥 형태의 사용은 표적 세포에서 DNA 복제 단계를 우회할 수 있게 하므로, 트랜스진 발현을 가속시킬 수 있다.
AAV 게놈은 AAV의 임의의 자연적으로 유래된 혈청형, 분리물 또는 클레드 (clade)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따라서, AAV 게놈은 자연 발생 AAV의 완전한 게놈일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자연에서 발생하는 AAV는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AV는 이들의 혈청형에 관하여 지칭된다. 혈청형은 AAV의 변이체 아종에 상응하는데, 이는 캡시드 표면 항원의 발현 프로파일 때문에, 다른 변이체 아종으로부터 이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독특한 반응성을 가지고 있다. 전형적으로, 특정 AAV 혈청형을 갖는 바이러스는 임의의 다른 AAV 혈청형에 특이적인 중화 항체와 효율적으로 교차-반응하지 않는다. AAV 혈청형은 AAV1, AAV2, AAV3, AAV4, AAV5, AAV6, AAV7, AAV8, AAV9, AAV10 및 AAV11, 및 또한 최근에 영장류 뇌에서 확인된 Rec2 및 Rec3과 같은 재조합 혈청형을 포함한다. 이러한 임의의 AAV 혈청형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AAV는 또한 클레드 또는 클론에 관하여 지칭될 수 있다. 이것은 자연적으로 유래된 AAV의 계통발생학적 관계를 지칭하며, 전형적으로 공통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AAV의 계통발생학적 그룹을 지칭하고, 이의 모든 자손을 포함한다. 추가로, AAV는 특정 분리물, 즉, 자연에서 발견되는 특정 AAV의 유전적 분리물에 관하여 지칭될 수 있다. 용어 유전적 분리물은 다른 자연 발생 AAV와 제한된 유전적 혼합을 겪은 AAV의 집단을 기술함으로써 유전적 수준에서 인지 가능한 별개의 집단을 정의한다.
당업자는 이들의 공통된 일반적인 지식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AAV의 적절한 혈청형, 클레드, 클론 또는 분리물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AAV) 벡터는 특정 세포에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는 재료들을 도입하여 제작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핵산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일시적 형질감염 (transient transfection), 미세주사, 형질도입 (transduction), 세포융합, 칼슘포스페이트 침전법, 리포좀 매개된 형질감염 (liposome-mediated transfection), DEAE 덱스트란-매개된 형질감염 (DEAE Dextran- mediated transfection), 폴리브렌-매개된 형질감염 (polybrene-mediated transfection), 전기침공법 (electroporation), 유전자 총 (gene gun) 및 세포 내로 핵산을 유입시키기 위한 다른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세포 내로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AAV에 삽입하여 발현벡터를 제작한 후, 이 벡터를 포장 (packaging) 세포에 형질도입하고, 형질도입된 포장세포를 배양한 후 여과하여 AAV 용액을 얻고, 이를 이용하여 뇌세포, 신경세포 및/또는 신경전구세포 등의 세포를 감염시킴으로써 세포에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도입할 수 있다.
AAV를 포함한 상기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수단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벡터는 목적 유전자 발현을 위한 요소 (elements)를 포함하는 것으로, 복제원점 (replication origin), 프로모터, 작동 유전자 (operator), 전사 종결 서열 (terminator)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숙주 세포의 게놈 내로의 도입을 위한 적절한 효소 부위 (예컨대, 제한 효소 부위) 및/또는 숙주 세포 내로의 성공적인 도입을 확인하기 위한 선별 마커 및/또는 단백질로의 번역을 위한 리보좀 결합 부위 (ribosome binding site; RBS), IRES (Internal Ribosome Entry Site)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상기 프로모터 이외의 전사 조절 서열 (예를 들어, 인핸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AAV 벡터에 서열번호 16 내지 서열번호 31 중 어느 하나의 서열이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이러한 서열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는 유전자 치료용 발현벡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러스 벡터는 원하는 세포, 조직 및/또는 기관으로 치료 유전자 또는 유전물질을 전달할 수 있는 바이러스 벡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유전자 치료 (gene therapy)"는 유전자 이상에 의하여 유발되는 각종 유전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유전자 이상이 있는 세포에 정상 유전자를 삽입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여 그의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형질전환"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DNA에 의하여 생물의 유전적인 성질이 변하는 것으로, 즉 생물의 어떤 계통의 세포에서 추출된 핵산의 일종인 DNA를 다른 계통의 살아있는 세포에 도입했을 때 DNA가 그 세포에 들어가서 유전형질이 변화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된 세포는 줄기세포, 전구세포 또는 동물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줄기세포는 구체적으로 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또는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줄기세포, 예컨대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중간엽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의 중간엽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의 신경줄기세포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는 자가 (autologous) 또는 타가, 또는 동종이계 (allogenic) 또는 이종 (Xenogenic) 세포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벡터 또는 상기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파킨슨 병, 헌팅턴 병, 경도인지장애 (mild cognitive impairment),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다운증후근, 아밀로이드성 뇌졸증 (stroke),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 (Dutch)형 아밀로이드증, 니만-픽병, 노인성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Spinocerebellar Atrophy), 뚜렛 증후군 (Tourette`s Syndrome), 프리드리히 보행실조 (Friedrich`s Ataxia), 마차도-조셉 병 (Machado-Joseph`s disease), 루이 소체 치매 (Lewy Body Dementia), 근육긴장이상 (Dystonia), 진행성 핵상 마비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및 전두측두엽 치매 (Frontotemporal Dementia)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병적 증상의 경감 또는 개선, 질환의 부위의 감소,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완화, 질환 상태 또는 증상의 개선, 경감 또는 안정화, 부분적 또는 완전한 회복, 생존의 연장, 기타 다른 이로운 치료 결과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용어 "예방"은 특정 질병을 갖지 않는 대상에게 작용하여 상기 특정 질병이 발병하지 않도록 하거나, 그 발병 시기를 늦추거나, 발병 빈도를 낮추는 모든 기작 및/또는 효과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로의 투여 시에 몇몇 유리한 효과를 부여하는 분자 또는 화합물을 지칭할 수 있다. 유리한 효과는 진단적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 질병, 증상, 장애 또는 병태의 개선; 질병, 증상, 장애 또는 질환의 발병의 감소 또는 예방; 및 일반적으로 질병, 증상, 장애 또는 병태의 대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에 더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향미제, 현탁제, 보존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적용되는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보조제들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약물의 제제화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표적 기관에 특이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표적 기관 특이적 항체 또는 기타 리간드를 상기 담체와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해 기술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유효량 또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직장, 정맥, 복막, 근육, 동맥, 경피, 비강 (Nasal), 흡입, 안구 또는 피하와 같은 경구 이외의 투여경로를 통한 투여를 의미할 수 있고, 병변부위 국소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이 위에서의 분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활성 성분을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 가능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개체의 CNS로 상기 조성물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CNS"는 척추동물 뇌 및 척수의 모든 세포 및 조직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용어에는 뉴런 세포, 신경아교세포, 별아교세포, 뇌척수액 (CSF), 간질 공간, 골, 연골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뇌실 영역에의 주사에 의해 직접 CNS 또는 뇌로는 물론, 정위 주사에 의하는 것과 같이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신경외과적 기술을 사용하여 바늘, 카테터 또는 관련 장치에 의해 선조체 (예컨대 선조체의 미상핵 또는 조가비핵), 척수 및 신경근 이음부 또는 소뇌 소엽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문헌 [Stein et al., J Virol 73:3424-3429, 1999]; [Davidson et al., PNAS 97:3428-3432, 2000]; [Davidson et al., Nat. Genet. 3:219-223, 1993]; 및 [Alisky and Davidson, Hum. Gene Ther. 11:2315-2329, 2000] 참조).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을 정맥내 주사, 뇌내 주사, 수막강내 주사, 선조체내 주사, 두개내 주사, 대조(cisterna magna) 주사 또는 뇌 외측 뇌실 주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은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물질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약리학적 활성 (예를 들면, 퇴행성 뇌질환 치료)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생리활성 물질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이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상기 물질을 단독 투여 하거나, 다른 물질과 함께 병용 투여, 또는 부가적으로 투여하는 것과는 구분된다. 즉,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는 퇴행성 뇌질환의 직접적인 치료 효과를 위한 단독의 유효성분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수성 또는 유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제제화를 위하여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리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전달체 (Carrier)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탄수화물, 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 (Glutathione)과 같은 항산화제 (Antioxidants), 킬레이트화제 (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 (Stabilizers)들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숙주 세포에의 상기 조성물의 도입을 위하여, 리포좀, 나노캡슐, 미세입자, 미세구체, 지질입자, 소포 등과 같은 전달 비히클이 사용될 수 있다.
리포좀의 형성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향상된 혈청 안정성 및 순환 반감기를 가지는 리포좀이 개발되었다 (U.S. 특허 제5,741,516호). 또한, 잠재적인 약물 담체로서의 리포좀 및 리포좀 유사 조제물의 다양한 방법들이 기술되어 있다 (U.S. 특허 제 5,567,434호; 5,552,157호; 5,565,213호; 5,738,868호 및 5,795,587호). 나노캡슐은 일반적으로 안정하고 재현가능한 방식으로 물질을 포획할 수 있다. 세포내 중합체 과부하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와 같은 초미세 입자 (0.1 ㎛ 가량의 크기)는 생체 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중합체를 사용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생분해성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나노입자가 사용 고려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 투여 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고,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1일 1 ug/kg/일 내지 1,OOO mg/kg/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일 또는 1회 투여량은 단위 용량 형태로 하나의 제제로 제제화되거나, 적절하게 분량하여 제제화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유를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 재조합 벡터인 경우 구체적으로 0.01 내지 500 mg을 함유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300 mg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의 경우, 구체적으로 103~1012 IU (10 내지 1010 PFU)를 함유할 수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105 내지 1010 IU를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 세포인 경우, 구체적으로 103 내지 108개를 함유할 수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 104 내지 107개를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 용량은 체중 1㎏당 재조합 벡터의 경우에는 0.05 내지 12.5 ㎎/㎏, 재조합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107 내지 1011 바이러스 입자 (105 내지 109 IU)/㎏, 세포의 경우에는 103 내지 106 세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재조합 벡터의 경우에는 0.1 내지 10 ㎎/㎏, 재조합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108 내지 1010 입자 (106 내지 108 IU)/㎏, 세포의 경우에는 102 내지 105세포/㎏일 수 있으며, 일일 1 내지 3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발병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약학적 유효량의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퇴행성 뇌질환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벡터 또는 상기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 (이하, '기능성 원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으로, 건강을 유지하거나 소정의 질병 또는 증상을 예방 및/또는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모든 식품을 의미하며, 최종 제품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컨대,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각종 식품, 음료 조성물, 식품 첨가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함량은 식품의 형태, 소망하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전체 식품 중량의 0.0001 내지 99 중량%, 0.0001 내지 95 중량%, 0.0001 내지 90 중량%, 0.0001 내지 80 중량%, 0.0001 내지 50 중량%, 0.001 내지 99 중량%, 0.001 내지 95 중량%, 0.001 내지 90 중량%, 0.001 내지 80 중량%, 0.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99 중량%, 0.01 내지 95 중량%, 0.01 내지 90 중량%, 0.01 내지 80 중량%, 0.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99 중량%, 0.1 내지 95 중량%, 0.1 내지 90 중량%, 0.1 내지 80 중량%, 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10 중량%, 1 내지 99 중량%, 1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1 내지 80 중량%, 1 내지 50 중량%, 1 내지 30 중량%, 1 내지 10 중량%, 10 내지 99 중량%, 10 내지 95 중량%, 10 내지 90 중량%, 10 내지 8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30 중량%, 25 내지 99 중량%, 25 내지 95 중량%, 25 내지 90 중량%, 25 내지 80 중량%, 25 내지 50 중량%, 25 내지 30 중량%, 40 내지 99 중량%, 40 내지 95 중량%, 40 내지 90 중량%, 40 내지 80 중량%, 40 내지 50 중량%, 50 내지 99 중량%, 50 내지 95 중량%, 5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0 중량%, 60 내지 99 중량%, 60 내지 95 중량%, 60 내지 90 중량%, 또는 60 내지 8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또는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치즈, 초콜릿등), 펙트산 또는 그의 염, 알긴산 또는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전체 건강 기능성 식품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명에 대해 기술한 용어 및 방법 등은 각 발명들 간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 양상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티드,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된 세포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하면, miRNA-204-5p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어,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miRNA-204-5p 터프 디코이를 처리하여 EphB2의 발현을 루시퍼라제 리포터 분석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miRNA-204-5p 억제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 실리코( in silico ) 분석을 통한 개선된 miRNA-204-5p 터프 디코이(Tough decoy: TuD) 후보 유전자 물질의 스크리닝
터프 디코이(Tough decoy: TuD)는 miRNA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표적 miRNA의 수준이 높은 환경에서는 거꾸로 miRNA의 표적이 되어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miRNA-204-5p와 완전히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miRNA 결합 부위(miRNA-binding site: MBS)를 갖는 터프 디코이 뿐만 아니라 miRNA 결합 부위의 구조 안정성이 증가되고 표적 miRNA인 miRNA-204-5p와의 결합 엔탈피가 낮은 터프 디코이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조 안정성이 증가되고 표적 miRNA인 miRNA-204-5p와의 결합 엔탈피가 낮은 터프 디코이는 miRNA-204-5p와 완전히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miRNA 결합 부위의 일부분에 비상보적인 염기서열을 삽입하거나 변경하여 벌지(bulge) 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얻었다. 상기 비상보적인 염기서열은 인 실리코 분석을 통해 스크리닝하였다.
무작위로 염기서열이 삽입되거나 변경된 131,072 개(2 X 48)의 후보 유전자 물질을 디자인하고 ViennaRNA package version 2.1.9 (https://www.tbi. univie.ac.at/RNA/index.html)에 포함되어 있는 RNAu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표적 miRNA인 miRNA-204-5p와 후보 물질의 결합에 대한 Opening 에너지를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Opening 에너지가 가장 낮은 14개의 후보 유전자 물질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후보 물질들은 마크로젠사에 유전자 합성을 의뢰하여 제작하였고, 합성된 유전자의 터프 디코이 부분을 AAV5 벡터에 클로닝(cloning)하였다.
번호 이름 서열 Opening
Energy
서열번호
Con AAV TD control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GGTTCGTACGTACACTGTTCACAAGTATTCTGGTCACAGAA
TACAACGGTTCGTACGTACACTGTTC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00 16
Ori AAV TD miR-204-5p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GAC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GAC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1.22 17
1 AAV TD miR-204-5p-ins (AAAA-ATGC)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GAAAAAC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GATGCAC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83 18
2 AAV TD miR-204-5p-ins (AAAA-GTGC)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GAAAAAC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GGTGCAC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83 19
3 AAV TD miR-204-5p-ins (AAAA-GCCA)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GAAAAAC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GGCCAAC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83 20
4 AAV TD miR-204-5p-ins (ATGC-AAAA)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GATGCAC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GAAAAAC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83 21
5 AAV TD miR-204-5p-ins (GTGC-AAAA)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GGTGCAC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GAAAAAC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83 22
6 AAV TD miR-204-5p-ins (GCCA-AAAA)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GGCCAAC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GAAAAAC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83 23
7 AAV TD miR-204-5p-ins (TCCT-CCCC)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GTCCTAC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GCCCCAC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5.81 24
8 AAV TD miR-204-5p-ins (CCTG-CCTG)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GCCTGAC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GCCTGAC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10.79 25
9 AAV TD miR-204-5p-mis (AAAA-CTGT)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AAAA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CTGT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34 26
10 AAV TD miR-204-5p-mis (AAAA-CTGG)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AAAA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CTGG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34 27
11 AAV TD miR-204-5p-mis (CTGT-AAAA)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CTGT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AAAA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34 28
12 AAV TD miR-204-5p-mis (CTGG-AAAA)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CTGG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AAAA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0.34 29
13 AAV TD miR-204-5p-mis (TCTT-TCTG)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CTT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CTG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5.92 30
14 AAV TD miR-204-5p-mis (TCCT-TCCT) AAGGATCCGACGGCGCTAGGATCATCAACAGGCATAGGATCCTAAAGGGAACAAGTATTCTGGTCACAGAATACAACAGGCATAGGATCCTAAAGGGAACAAGATGATCCTAGCGCCGTCTTTTTTGGAAAAGCTTAA 11.5 31
실시예 2: 루시퍼라제 리포터 분석(Luciferase reporter assay)을 통해 miRNA-204-5p 터프 디코이의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한 miRNA-204-5p 터프 디코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루시퍼라제 리포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HEK293T 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한 터프 디코이, miRNA-204 mimic 및 miRNA-204의 표적 단백질인 EphB2의 3’UTR을 포함하는 루시퍼라제 리포터를 Lipofectamine2000을 이용하여 트렌스펙션 하였고, Firefly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선별된 터프 디코이 각각의 miRNA-204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Transfection 24시간 전에, HEK293T 세포들을 24-well plate에 Triplicate로 씨딩하고, 각 웰에 1500 ng의 상기 터프 디코이와 50 ng의 3' UTR 루시퍼라제 리포터 벡터 및 50 nM의 miRNA-204 mimic들의 혼합물을 트랜스펙션하였다. 트랜스펙션 48시간 후에, 세포들을 용해하고 듀얼-루시퍼라제 리포터 분석 시스템 (Promega)으로 루미노미터(luminometer) (Varioskan Lux Reader - By Thermo Fisher Scientific) 상에서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Firefly 루시퍼라제에 대한 총 단백질의 비율을 각 웰에 대해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선별된 miRNA-204-5p와 비상보적인 miRNA 결합 부위를 서열을 갖는 터프 디코이가 miRNA-204-5p와 완전히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miRNA 결합 부위를 갖는 터프 디코이보다 EphB2의 발현이 높게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miRNA-204-5p와 비상보적인 miRNA 결합 부위를 서열을 갖는 터프 디코이가 miRNA-204-5p와 완전히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miRNA 결합 부위를 갖는 터프 디코이보다 miRNA-204를 더 잘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EpHB2, SIRT1 단백질 발현 분석을 통해 miRNA-204-5p 터프 디코이의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한 miRNA-204-5p 터프 디코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iRNA-204의 표적 단백질인 EphB2, SIRT1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일차 해마 뉴런(Primary hippocampal Neuron)에 miRNA-204-5p 터프 디코이를 처리하여 miRNA-204의 표적 단백질인 EphB2, SIRT1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트렌스펙션 24시간 전에, 일차 해마 뉴런을 6-well plate에 씨딩하고, 각 웰에 Fugene HD (Promega)와 miRNA-204-5p 터프 디코이의 혼합물을 트랜스펙션하였다. 트랜스펙션 48시간 후에, 세포들을 용해하고 총 RNA 또는 총 단백질을 추출하여 miRNA-204와 각 표적 단백질들의 발현을 qPCR과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4: 신경독소 처리한 파킨슨병 세포 모델에서 miRNA-204-5p 터프 디코이의 신경세포보호 효과 확인
파킨슨병을 유도하는 물질로 알려진 로테논, MPP+, 6-OHDA를 이용하여 파킨슨병 세포 모델을 제작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한 miRNA-204-5p 터프 디코이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로테논, MPP+, 6-OHDA를 신경세포에 처리하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신경세포를 손상시켜 신경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 신경모세포종 SH-SY5Y 세포는 한림대학교에서 분양받아서 사용하였으며, 10% fetal bovine serum (F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MEM:F12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SH-SY5Y 세포(2Х104 cells/well) 를 24-well plate에 분주하여 부착시킨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한 miRNA-204-5p 터프 디코이를 포함하는 AAV5를 7일간 전 처리하였다. 이 후 신경세포 독성을 유발하기 위하여 신경독소들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신경독소에 의해 유발된 독성에 대한 SH-SY5Y 세포보호 효능 확인을 위하여 MTT assay 또는 PI 염색 방법을 이용하여 SH-SY5Y 세포의 생존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신경세포의 도파민 형성에 필요한 티로신 히드록실라제(TH) 발현에 미치는 miRNA-204-5p 터프 디코이의 효과 확인
티로신 히드록실라제(TH) 효소는 아미노산인 티로신을 도파민의 전구물질인 L-DOPA로 전환시키는 효소로 신경세포의 도파민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이다.
SH-SY5Y 신경세포를 대상으로 TH 발현에 미치는 miRNA-204-5p 터프 디코이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레티노산(Retinoic acid)으로 SH-SY5Y신경세포를 도파민 신경세포(Dopaminergic neuron)로 분화 유도하면서 TH의 발현을 억제하는 27-OHC(11)와 miRNA-204-5p 터프 디코이를 함께 처리해주었다. 10일간 분화 유도 후, 웨스턴 블럿(western blot) 방법으로 TH 발현을 확인하였다.
<110> ANLBIO <120> Improved miRNA-204-5p inhibitor <130> PN210559KR <160> 3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NA-204-5p <400> 1 uucccuuugu cauccuaugc cu 22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NA-204-5p inhibitor <400> 2 aggcauagga ugacaaaggg aa 22 <210> 3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1 of miRNA-204-5p inhibitor <400> 3 aggcatagga tgaaaaacaa agggaa 26 <210> 4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2 of miRNA-204-5p inhibitor <400> 4 aggcatagga tgatgcacaa agggaa 26 <210> 5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3 of miRNA-204-5p inhibitor <400> 5 aggcatagga tggtgcacaa agggaa 26 <210> 6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4 of miRNA-204-5p inhibitor <400> 6 aggcatagga tggccaacaa agggaa 26 <210> 7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5 of miRNA-204-5p inhibitor <400> 7 aggcatagga tgtcctacaa agggaa 26 <210> 8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6 of miRNA-204-5p inhibitor <400> 8 aggcatagga tgccccacaa agggaa 26 <210> 9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7 of miRNA-204-5p inhibitor <400> 9 aggcatagga tgcctgacaa agggaa 26 <210> 1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8 of miRNA-204-5p inhibitor <400> 10 aggcatagga aaaaaaaggg aa 22 <210> 1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9 of miRNA-204-5p inhibitor <400> 11 aggcatagga ctgtaaaggg aa 22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10 of miRNA-204-5p inhibitor <400> 12 aggcatagga ctggaaaggg aa 22 <210> 1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11 of miRNA-204-5p inhibitor <400> 13 aggcatagga tcttaaaggg aa 22 <210> 1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12 of miRNA-204-5p inhibitor <400> 14 aggcatagga tctgaaaggg aa 22 <210> 1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dified sequence 13 of miRNA-204-5p inhibitor <400> 15 aggcatagga tcctaaaggg aa 22 <210> 16 <211> 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nker 1 <400> 16 aac 3 <210> 17 <211> 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nker 2 <400> 17 caa 3 <210> 18 <211> 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nker 3 <400> 18 acc 3 <210> 19 <211> 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nker 4 <400> 19 cca 3 <210> 20 <211> 1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control <400> 20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g gttcgtacgt acactgttca caagtattct 60 ggtcacagaa tacaacggtt cgtacgtaca ctgttcacaa gatgatccta gcgccgtctt 120 ttttggaaaa gcttaa 136 <210> 21 <211> 1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400> 21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gacaaaggga acaagtattc 60 tggtcacaga atacaacagg cataggatga caaagggaac aagatgatcc tagcgccgtc 120 ttttttggaa aagcttaa 138 <210> 22 <211> 1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insertion 1 <400> 22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gaaaaacaaa gggaacaagt 60 attctggtca cagaatacaa caggcatagg atgatgcaca aagggaacaa gatgatccta 120 gcgccgtctt ttttggaaaa gcttaa 146 <210> 23 <211> 1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insertion 2 <400> 23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gaaaaacaaa gggaacaagt 60 attctggtca cagaatacaa caggcatagg atggtgcaca aagggaacaa gatgatccta 120 gcgccgtctt ttttggaaaa gcttaa 146 <210> 24 <211> 1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insertion 3 <400> 24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gaaaaacaaa gggaacaagt 60 attctggtca cagaatacaa caggcatagg atggccaaca aagggaacaa gatgatccta 120 gcgccgtctt ttttggaaaa gcttaa 146 <210> 25 <211> 1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insertion 4 <400> 25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gatgcacaaa gggaacaagt 60 attctggtca cagaatacaa caggcatagg atgaaaaaca aagggaacaa gatgatccta 120 gcgccgtctt ttttggaaaa gcttaa 146 <210> 26 <211> 1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insertion 5 <400> 26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ggtgcacaaa gggaacaagt 60 attctggtca cagaatacaa caggcatagg atgaaaaaca aagggaacaa gatgatccta 120 gcgccgtctt ttttggaaaa gcttaa 146 <210> 27 <211> 1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insertion 6 <400> 27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ggccaacaaa gggaacaagt 60 attctggtca cagaatacaa caggcatagg atgaaaaaca aagggaacaa gatgatccta 120 gcgccgtctt ttttggaaaa gcttaa 146 <210> 28 <211> 1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insertion 7 <400> 28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gtcctacaaa gggaacaagt 60 attctggtca cagaatacaa caggcatagg atgccccaca aagggaacaa gatgatccta 120 gcgccgtctt ttttggaaaa gcttaa 146 <210> 29 <211> 1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insertion 8 <400> 29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gcctgacaaa gggaacaagt 60 attctggtca cagaatacaa caggcatagg atgcctgaca aagggaacaa gatgatccta 120 gcgccgtctt ttttggaaaa gcttaa 146 <210> 30 <211> 1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substitute 1 <400> 30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a aaaaaaggga acaagtattc 60 tggtcacaga atacaacagg cataggactg taaagggaac aagatgatcc tagcgccgtc 120 ttttttggaa aagcttaa 138 <210> 31 <211> 1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substitute 2 <400> 31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a aaaaaaggga acaagtattc 60 tggtcacaga atacaacagg cataggactg gaaagggaac aagatgatcc tagcgccgtc 120 ttttttggaa aagcttaa 138 <210> 32 <211> 1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substitute 3 <400> 32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c tgtaaaggga acaagtattc 60 tggtcacaga atacaacagg cataggaaaa aaaagggaac aagatgatcc tagcgccgtc 120 ttttttggaa aagcttaa 138 <210> 33 <211> 1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substitute 4 <400> 33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c tggaaaggga acaagtattc 60 tggtcacaga atacaacagg cataggaaaa aaaagggaac aagatgatcc tagcgccgtc 120 ttttttggaa aagcttaa 138 <210> 34 <211> 1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substitute 5 <400> 34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cttaaaggga acaagtattc 60 tggtcacaga atacaacagg cataggatct gaaagggaac aagatgatcc tagcgccgtc 120 ttttttggaa aagcttaa 138 <210> 35 <211> 1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AV TD miR-204-5p substitute 6 <400> 35 aaggatccga cggcgctagg atcatcaaca ggcataggat cctaaaggga acaagtattc 60 tggtcacaga atacaacagg cataggatcc taaagggaac aagatgatcc tagcgccgtc 120 ttttttggaa aagcttaa 138

Claims (20)

  1. miRNA-204-5p에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2 개의 miRNA 결합 부위(miRNA-binding site, MBS)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iRNA-204-5p는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iRNA 결합 부위는 상기 miRNA-204-5p와 완전히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것이거나 상기 miRNA-204-5p와 일부 상보적이지 않은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miRNA-204-5p와 완전히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인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miRNA-204-5p와 일부 상보적이지 않은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서 3'말단의 9 및 10 번째 뉴클레오티드 사이 또는 10 및 11 번째 뉴클레오티드 사이에 1 내지 5 개의 miRNA-204-5p와 상보적이지 않은 서열이 삽입된 것이거나, 상기 miRNA 결합 부위의 3'말단의 9 내지 12 번째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miRNA-204-5p와 상보적이지 않은 서열로 변경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miRNA-204-5p와 일부 상보적이지 않은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3 내지 서열번호 15 중 어느 하나의 서열로 구성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miRNA 결합 부위(miRNA-binding site, MBS)는 각각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15 중 어느 하나의 서열로 구성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iRNA 결합 부위의 양 말단에 링커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링커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16 내지 서열번호 19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miRNA 결합 부위의 사이에는 3 내지 30 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존재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양 말단에는 3 내지 20 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존재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3 내지 20 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는 Esp3I 제한효소 부위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뉴클레오티드.
  13. 청구항 1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재조합 벡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는 AAV1, AAV2, AAV3, AAV4, AAV5, AAV6, AAV7, AAV8, AAV9, AAV10 및 AAV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재조합 벡터.
  16. 청구항 1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 전구세포 및 동물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세포.
  18. 청구항 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청구항 13의 벡터 또는 청구항 16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파킨슨 병, 헌팅턴 병, 경도인지장애 (mild cognitive impairment), 대뇌 아밀로이드 맥관병증, 다운증후근, 아밀로이드성 뇌졸증 (stroke), 전신성 아밀로이드병, 더취 (Dutch)형 아밀로이드증, 니만-픽병, 노인성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Spinocerebellar Atrophy), 뚜렛 증후군 (Tourette`s Syndrome), 프리드리히 보행실조 (Friedrich`s Ataxia), 마차도-조셉 병 (Machado-Joseph`s disease), 루이 소체 치매 (Lewy Body Dementia), 근육긴장이상 (Dystonia), 진행성 핵상 마비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및 전두측두엽 치매 (Frontotemporal Dementia)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20. 청구항 1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청구항 13의 벡터 또는 청구항 16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10153431A 2021-11-09 2021-11-09 개선된 miRNA-204-5p 억제제 KR20230067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431A KR20230067387A (ko) 2021-11-09 2021-11-09 개선된 miRNA-204-5p 억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431A KR20230067387A (ko) 2021-11-09 2021-11-09 개선된 miRNA-204-5p 억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387A true KR20230067387A (ko) 2023-05-16

Family

ID=8654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431A KR20230067387A (ko) 2021-11-09 2021-11-09 개선된 miRNA-204-5p 억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73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46162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CN109831916A (zh) 治疗亨廷顿氏舞蹈病的组合物和方法
KR20180104075A (ko) IL4Rα, TRPA1, 또는 F2RL1을 표적화하는 RNA 복합체를 사용한 아토피 피부염 및 천식의 치료
JP2024500279A (ja) Rna編集組成物及び使用方法
US2022026576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mem176b or an expression or activity regulator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CN113056560B (zh) 能够实现反馈的合成基因、靶点种子匹配盒及其应用
KR20230067387A (ko) 개선된 miRNA-204-5p 억제제
JP2022527529A (ja) Atxn2発現を調節するためのオリゴヌクレオチド
US20230139408A1 (en) Antisense sequences for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CN114269925A (zh) Apoe4 rna特异性反式剪接核酶及其用途
US11781142B2 (en) AAV delivery of shRNA for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US10426846B2 (en) OLIG1 mini-promoters: PIe305
EP413714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degenerative brain disease, including glycine transporter as active ingredient
US20240132891A1 (en) Microrn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nervous system dysfunction
CN116814620A (zh) 用于抑制syn2a的多核苷酸、含有其的外泌体及其用途
US9689001B2 (en) NOV mini-promoters
CN118028371A (zh) 一种靶向转录激活Lama1基因的表达载体及其应用
CN117980480A (zh) 工程化引导rna和多核苷酸
KR20230123926A (ko) Dlx2 벡터
WO20241238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emoglobinopathies
JP2023543361A (ja) Neurod1及びdlx2ベクタ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