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328A - 외륜 구동형 추진기 - Google Patents

외륜 구동형 추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328A
KR20230067328A KR1020210153317A KR20210153317A KR20230067328A KR 20230067328 A KR20230067328 A KR 20230067328A KR 1020210153317 A KR1020210153317 A KR 1020210153317A KR 20210153317 A KR20210153317 A KR 20210153317A KR 20230067328 A KR20230067328 A KR 20230067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ver
case
outer whee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601B1 (ko
Inventor
박성현
김기성
Original Assignee
박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현 filed Critical 박성현
Priority to KR102021015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6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4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non-rotating ducts or rings, e.g. adjustable for steering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16Control of attitude or depth by direct use of propeller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001Shrouded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추진력 발생 수단들이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용이하게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외륜 구동형 추진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외륜 구동형 추진기는 프로펠러인 블레이드 부재를 내측에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어 장치 파손 등 각종 안전 사고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자석과 코일 등 추진 동력 발생을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부품들이 케이스부라는 또 다른 필수적 부품과 일체형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모터 장치가 필요치 아니하게 되어 모터 등이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추진기 제품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외륜 구동형 추진기{Outer wheel drive type thruster}
본 발명은 외륜 구동형 추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이동체에 회전력 발생을 기반으로 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추진기인 외륜 구동형 추진기에 관한 것이다.
추진기는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풍력 발생에 기반한 양력 내지 추력을 발생시켜, 해당 추진기가 적용된 대상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추진기는 선박, 잠수정, 항공기, 수륙 양용체 그 외 지상에서의 각종 이동 수단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비행/수중/수상/수륙양용 드론과 같은 다양한 무인 이동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추진기의 일 예로, 선행하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3-0010513 호에는 3절 링크 벡터추진기 및 그 제작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르면 프로펠러의 틸트각이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는 추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는 기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따르면, 프로펠러의 전체 구조는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어 이로 인해 프로펠러가 충분히 보호되기 어려울 수 있고, 무엇보다도 프로펠러 회동을 위한 추진 모터가 상당한 길이를 가진 채 별도로 마련되어야 하여 이로 인해 추진기의 소형화가 다소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3-0010513 호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추진력 발생 수단들이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용이하게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외륜 구동형 추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륜 구동형 추진기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추진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자석 부재를 포함하는 자력 발생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자석 부재들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코일 다발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다발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자석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자계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자계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부재가 회동하도록 하는 전기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진부는, 상기 블레이드 부재와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테두리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기 내륜 부재와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륜 부재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자석 수납 커버와, 상기 자석 수납 커버에 내부 중공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자석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부재는, 상기 자석 수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 수납부는, 상기 자석 수납 커버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일측에 자석 출입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 부재는, 상기 자석 출입 개구를 통해 상기 자석 수납부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자석 수납부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자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자석 수납 커버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코일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다발은, 상기 코일 권취부에 권취되며, 상기 외륜 구동형 추진기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코일 권취부를 위치 고정 및 지지하는 중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제 1 외륜 커버와, 상기 제 1 외륜 커버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제 1 외륜 커버와 마주한 경우 내측이 상기 제 1 외륜 커버의 내측과 상호 연통되는 제 2 외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륜 구동형 추진기는, 프로펠러인 블레이드 부재를 내측에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어 장치 파손 등 각종 안전 사고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자석과 코일 등 추진 동력 발생을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모터 기능 관련 부품들이 케이스부라는 또 다른 필수적 부품과 일체형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터 기능을 위한 부품들이 차지하는 공간들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어 추진기 제품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제 1 외륜 커버와 제 2 외륜 커버로 나뉘어 조립 및 분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품 조립성이 확보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 내측의 부품에 대한 유지 보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륜 구동형 추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륜 구동형 추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륜 구동형 추진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륜 구동형 추진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A-A'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B-B'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C-C'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4에 도시된 추진부 및 자력 발생부간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추진부, 자력 발생부 및 전기자 구동부간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륜 구동형 추진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륜 구동형 추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륜 구동형 추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륜 구동형 추진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륜 구동형 추진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외륜 구동형 추진기(1000)는 일종의 덕트 형상의 케이스 내측에 프로펠러 블레이드가 구비된 전체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덕트 구조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자계가 조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펠러 블레이드가 케이스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전체적 추진기 구동 원리 구현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외륜 구동형 추진기(1000)는 케이스부(100), 베어링부(200), 중간 지지부(300), 추진부(400), 자력 발생부(500) 및 전기자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A-A'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며, 이를 더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부(100)는 전체적으로 일종의 덕트 형상과 같이 양단이 개구된 내부 중공형 원통 구조를 지닐 수 있으며, 제 1 외륜 커버(110)와 제 2 외륜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외륜 커버(110)는 제 1 커버 바디(111)와, 제 1 개구 받침부(112)와, 제 1 기류 통과 개구(113)와,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와, 제 1 중간부 안착부(115)와, 제 1 케이스측 결합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커버 바디(111)는 중공 구조를 가지고 양 단이 개구된 원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개구 받침부(112)는 상기 제 1 커버 바디(111)의 어느 일측 개구단 내주면 둘레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1 커버 바디(111)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개구 받침부(112)의 내주면 둘레 부분 내측에는 소정의 직경 또는 폭을 지닌 제 1 기류 통과 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베어링 안착부(114)는 상기 제 1 커버 바디(111)의 내측에서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류 통과 개구(113)와 연통되며, 상기 제 1 기류 통과 개구(113)와 계단형으로 마련되도록 상기 제 1 기류 통과 개구(113)의 직경 또는 폭보다 더 큰 직경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어링 안착부(114)는 후술할 베어링부(200)의 높이 또는 길이에 대응되는 높이 또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아울러 베어링부(200)의 직경 또는 폭에 대응되는 직경 또는 폭을 지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중간부 안착부(115)는 상기 제 1 커버 바디(111)의 내측에서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와 연통되며, 상기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와 계단형으로 마련되도록 상기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의 직경 또는 폭보다 더 큰 직경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중간부 안착부(115)는 후술할 중간 지지부(300)의 높이 또는 길이에 대응되는 높이 또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아울러 중간 지지부(300)의 직경 또는 폭에 대응되는 직경 또는 폭을 지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측 결합부(116)는 상기 제 1 커버 바디(111)의 타단 내측 테두리, 즉 상기 제 1 중간부 안착부(115)의 말단 내측 테두리를 따라 함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 1 외륜 커버(110)의 내측에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제 1 개구 받침부(112)와,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와, 제 1 중간부 안착부(115)와, 제 1 케이스측 결합부(116)가 상호 다단형으로 배치되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외륜 커버(120)는 제 2 커버 바디(121)와, 제 2 개구 받침부(122)와, 제 2 기류 통과 개구(123)와, 제 2 베어링 안착부(124)와, 제 2 중간부 안착부(125)와, 제 2 케이스측 결합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커버 바디(121)와, 제 2 개구 받침부(122)와, 제 2 기류 통과 개구(123)와, 제 2 베어링 안착부(124)와, 제 2 중간부 안착부(125)는 각기 상술한 제 1 커버 바디(111)와, 제 1 개구 받침부(112)와, 제 1 기류 통과 개구(113)와,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와, 제 1 중간부 안착부(115)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외륜 커버(120)는 상기 제 1 외륜 커버(110)에 전체적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앞서 나열된 제 2 외륜 커버(120)의 구성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 1 외륜 커버(11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다만, 제 1 케이스측 결합부(116)와 달리, 상기 제 2 케이스측 결합부(126)는 상기 제 1 케이스측 결합부(116)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측 결합부(116)의 함몰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 2 커버 바디(121)의 타측 개구단, 즉 제 2 중간부 안착부(125)의 말단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 케이스측 결합부(116, 126)가 상호 끼움결합 됨으로써 양 외륜 커버(110, 120)가 상호 조립될 수 있고, 또는 양 케이스측 결합부(116, 126)가 상호 이격됨으로써 양 외륜 커버(110, 120)가 상호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술한 끼움 결합 방식에 기초한 제품의 분해 용이성이 향상되어 케이스부(100) 내측의 부품에 대한 유지 보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 외륜 커버(110, 120)가 상호 조립된 경우, 양 케이스측 결합부(116, 126)간 결합면에 대하여 양 외륜 커버(110, 120)는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각적, 직관적 측면에서 내부 구조 파악, 조립 순서 파악 등 장치 유지 보수 등을 위한 전체적 장치 구조 이해 과정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6은 도 3에 도시된 B-B'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며, 이를 더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부(200)는 일종의 볼 베어링 구조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기 바깥 바퀴 부재(210)와, 리테이너 부재(220)와, 볼 부재(230)와, 내측 바퀴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깥 바퀴 부재(210)는 볼 베어링에서 일종의 바깥 바퀴에 대응되는 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깥 바퀴 부재(210)는 상기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와 상기 제 2 베어링 안착부(124) 각각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와 상기 제 2 베어링 안착부(124)는 상호 대등한 구성이므로, 일 예로서 상기 베어링부(200)에 대해서는 주로 제 1 베어링 안착부(114)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다만,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에 설치되는 베어링부(200)에 관한 사항은 당연히 제 2 베어링 안착부(124)에 설치되는 베어링부(200)에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바깥 바퀴 부재(210)는 상기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의 중공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 구조 및 치수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둘레 방향측 외주면이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의 둘레 방향 벽면과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 1 개구 받침부(112)와 제 1 베어링 안착부(114)간 결합관계를 고려하면, 제 1 기류 통과 개구(113)와 마주하는 바깥 바퀴 부재(210)의 개구측 둘레면은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개구 받침부(112)와 상호 마주한 채 면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바깥 바퀴 부재(210)에는 상술한 면접촉에 의한 이탈 방지력 내지 받침 지지력이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 부재(220)는 볼 베어링에서 일종의 리테이너에 대응되는 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깥 바퀴 부재(2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 부재(220)는 그 외직경이 상기 바깥 바퀴 부재(210)의 내직경보다 소정 크기 이상 작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외측 둘레면은 바깥 바퀴 부재(210)의 내측 둘레면과 상호간 직경차에 대응되는 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 부재(230)는 볼 베어링에서의 볼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 부재(2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리테이너 부재(220)의 내측과 외측에 그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이때, 리테이너 부재(220)의 외측으로 노출된 각 볼 부재(230)의 일부분은 바깥 바퀴 부재(210)의 내주면과 면접촉한 채 구름 운동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바퀴 부재(240)는 볼 베어링에서 일종의 내측 바퀴에 대응되는 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 부재(2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바퀴 부재(240)는 그 외직경이 상기 리테이너 부재(220)의 내직경보다 소정 크기 이상 작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외측 둘레면은 리테이너 부재(220)의 내측 둘레면과 상호간 직경차에 대응되는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리테이너 부재(220)의 내측으로 노출된 각 볼 부재(230)의 일부분은 상기 내측 바퀴 부재(240)의 외주면과 면접촉한 채 구름 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부(200)는 일종의 볼 베어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바깥 바퀴 부재(210)가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와 제 1 개구 받침부(112)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 바퀴 부재(240)에 회전력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내측 바퀴 부재(240)는 볼 부재(230)가 제공하는 회전력 내지 마찰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할 수 있으며, 그 회전축은 케이스부(100)의 동심축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지지부(300)는 제 1 중간 커버(310)와, 제 2 중간 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중간 커버(310)는 제 1 외륜 커버(110) 또는 제 2 외륜 커버(120)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설명을 위한 일 예로 상기 제 1 중간 커버(310)가 제 1 외륜 커버(11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중간 커버(310)는 제 1 중간 바디(311)와, 제 1 베어링측 받침부(312)와, 중간 커버측 결합홈(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중간 바디(311)는 둘레 부분이 전술한 제 1 중간부 안착부(115)의 둘레측 벽면과 면접촉할 수 있는 일종의 링 내지 원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단이 개구된 내부 중공 구조를 지닐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중간 바디(311)는 상기 제 1 중간부 안착부(115)의 길이 또는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높이를 지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베어링측 받침부(312)는 상기 제 1 중간 바디(311)의 일단, 즉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의 개구면과 마주하는 제 1 중간 바디(311)의 단부 내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중간 바디(311)의 직경 또는 폭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베어링측 받침부(312)의 내측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베어링부(200)의 개구와 상호 연통되는 소정 크기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스부(100)의 외측과 중간 지지부(300)의 내측 개구는 상호 연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베어링측 받침부(312)는 베어링부(200)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할 수 있는 크기를 지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베어링부(200)의 나머지 개구면에도 상기 제 1 베어링측 받침부(312)에 의한 받침 내지 위치 고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로써, 베어링부(200)의 둘레면과 일단과 타단측인 양 개구면에는 각기 제 1 베어링 안착부(114), 제 1 개구 받침부(112) 및 상기 제 1 베어링측 받침부(312)와의 면접촉에 의한 받침 내지 위치 고정력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통해 베어링부(200)는 케이스부(100) 내측에서 완전히 위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간 커버측 결합홈(313)은 제 1 외륜 커버(110)의 타단측, 즉 제 1 케이스측 결합부(116)측에 위치한 상기 제 1 중간 바디(311)의 타단측 둘레면을 따라 함몰 형성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중간 커버(320)는 제 2 외륜 커버(12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 2 중간 바디(321)와, 제 2 베어링측 받침부(322)와, 중간 커버측 결합 돌기(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중간 바디(321)와 제 2 베어링측 받침부(322)는 그 각각이 상술한 제 1 중간 바디(311)와 제 1 베어링측 받침부(312)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 1 중간 커버(310)와 제 2 중간 커버(320)는 상호 전체적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지닌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 2 중간 바디(321)와 제 2 베어링측 받침부(322)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 1 중간 바디(311)와 제 1 베어링측 받침부(312)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다만, 중간 커버측 결합홈(313)과 달리, 상기 중간 커버측 결합 돌기(323)는 제 2 외륜 커버(120)의 타단측, 즉 제 2 케이스측 결합부(126)측에 위치한 제 2 중간 바디(321)의 타단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커버측 결합홈(313)의 함몰 구조에 대응되는 돌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커버측 결합 돌기(323)는 상기 중간 커버측 결합홈(313)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면에 대하여 양 중간 커버(310, 320)는 상호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양 중간 커버(310, 32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중간 지지부(300)의 내측에는 코일 수용부(301)가 중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은 도 3에 도시된 C-C'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4에 도시된 추진부 및 자력 발생부간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더 참조하여 상기 추진부(400) 및 상기 자력 발생부(50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더 참조하면, 상기 추진부(400)는 추진 축(410)과, 블레이드 부재(420)와, 내륜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진 축(410)은 소정의 길이를 지닌 일종의 회전 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부재(420)는 상기 추진 축(4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프로펠러 블레이드 구조가 복수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륜 부재(430)는 내부가 중공되고 양 단이 개구된 일종의 덕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륜 부재(430)는 그 내주면이 상기 블레이드 부재(420)의 테두리면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 부재(420)와 내륜 부재(430)는 상호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추진 축(410)과 내륜 부재(430)의 동심선은 케이스부(100)의 내측에서 케이스부(100)의 동심선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륜 부재(430)의 양 단부측 둘레면은 그 적어도 일부가 각기 양 내측 바퀴 부재(240) 각각의 내주면과 면접촉하여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력 발생부(500)는 자석 수납 커버(510)와, 자석 수납부(520)와, 자석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 수납 커버(510)는 상기 내륜 부재(430)의 둘레 방향측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자석 수납 커버(510)는 양 베어링부(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 수납부(520)는 상기 자석 수납 커버(510)에 내부 중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수납부(520)는 상기 자석 수납 커버(5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 개의 자석 수납부(520)는 상호간 공간적으로 구획 내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자석 수납부(520)의 적어도 일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자석 출입 개구(5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 부재(530)는 영구 자석 외 각종 자석 종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석 수납부(52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자석 수납부(5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자석 부재(530)는 상술한 자석 출입 개구(521)를 통해 자석 수납부(52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자석 수납부(52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석 출입 개구(521) 구성을 통해 상기 자석 부재(530)가 일종의 모듈 방식으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추진부, 자력 발생부 및 전기자 구동부간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를 더 참조하여 상기 전기자 구동부(6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전기자 구동부(600)는 코일 권취부(610)와 코일 다발(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권취부(610)는 상기 자석 수납 커버(51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상술한 내륜 부재(430)와 베어링부(200)간 결합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코일 권취부(610)는 중간 지지부(300)의 코일 수용부(301)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일 권취부(610)에는 상기 중간 지지부(300)에 의한 기밀성 및 위치 고정력이 부여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권취부(610)가 상기 코일 수용부(301) 내측에 수용되면, 제 1 베어링측 받침부(312)와 제 2 베어링측 받침부(322)의 말단면이 자석 수납 커버(5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중간 지지부(300)의 양 개구면은 완전히 밀폐되므로, 이로써 전기자 구동부(600)에 대한 기밀성이 확보 내지 증진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중간 지지부(300)의 모든 외표면인 둘레측 외측 테두리면과 양 개구측 외측 테두리면은 제 1 중간부 안착부(115)와 제 2 중간부 안착부(125) 및 베어링부(200)와 밀착하게 되고, 또한 상기 베어링부(200)의 나머지 표면은 제 1 개구 받침부(112)와 제 2 개구 받침부(122) 및 제 1 베어링 안착부(114)와 제 2 베어링 안착부(124)에 밀착 및 지지되므로, 이와 같은 밀착 및 지지 구조를 통해 상기 중간 지지부(300)가 전기자 구동부(600)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코일 수용부(301), 즉 조립된 상태의 중간 지지부(300) 내측의 중공 구조는 코일 권취부(610)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 다발(620)은 각 코일 권취부(610)에 권취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그 내측에 마련된 자석 부재(530)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상기 자석 부재(530)가 추진 축(410)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자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자계 형성에 대응하여 자석 부재(530)들이 회전함에 따라, 이와 결합된 내륜 부재(430) 및 블레이드 부재(420)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되어 회전력 발생에 의한 추진력 발생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자기장 조성 과정을 통해 내륜 부재(430)와 블레이드 부재(420)에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내륜 부재(430)를 접촉 지지하는 내측 바퀴 부재(240)에도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바퀴 부재(240)로 전달된 회전력은 이와 접촉하는 볼 부재(230)에도 전달되어, 전술한 베어링부(200)의 볼 베어링 원리에 따라 내측 바퀴 부재(240) 또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전기자 구동부(600)와 자력 발생부(500)간 전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회전 자계가 발생하는 경우, 블레이드 부재(420), 내륜 부재(430) 및 베어링부(200)의 내측 바퀴 부재(240)는 케이스부(100)의 길이 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케이스부(100) 및 다른 구성들은 이러한 회전체를 보호하고 그 이탈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과 코일 등 추진 동력 발생을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부품들이 덕트라는 또 다른 필수적 부품과 일체형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모터 장치가 필요치 아니하게 되어 모터 등이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추진기 제품의 소형화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블레이드 부재(420)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풍력은 케이스부(100)의 양 말단, 즉 제 1 기류 통과 개구(113)와 제 2 기류 통과 개구(123)를 통해 케이스부(100)의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외륜 구동형 추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 뿐만이 아닌,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에 의한 외륜 구동형 추진기
100 : 케이스부
110 : 제 1 외륜 커버
111 : 제 1 커버 바디
112 : 제 1 개구 받침부
113 : 제 1 기류 통과 개구
114 : 제 1 베어링 안착부
115 : 제 1 중간부 안착부
116 : 제 1 케이스측 결합부
120 : 제 2 외륜 커버
121 : 제 2 커버 바디
122 : 제 2 개구 받침부
123 : 제 2 기류 통과 개구
124 : 제 2 베어링 안착부
125 : 제 2 중간부 안착부
126 : 제 2 케이스측 결합부
200 : 베어링부
210 : 바깥 바퀴 부재
220 : 리테이너 부재
230 : 볼 부재
240 : 내측 바퀴 부재
300 : 중간 지지부
301 : 코일 수용부
310 : 제 1 중간 커버
311 : 제 1 중간 바디
312 : 제 1 베어링측 받침부
313 : 중간 커버측 결합홈
320 : 제 2 중간 커버
321 : 제 2 중간 바디
322 : 제 2 베어링측 받침부
323 : 중간 커버측 결합 돌기
400 : 추진부
410 : 추진 축
420 : 블레이드 부재
430 : 내륜 부재
500 : 자력 발생부
510 : 자석 수납 커버
520 : 자석 수납부
521 : 자석 출입 개구
530 : 자석 부재
600 : 전기자 구동부
610 : 코일 권취부
620 : 코일 다발

Claims (5)

  1.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추진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자석 부재를 포함하는 자력 발생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자석 부재들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코일 다발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다발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자석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자계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자계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 부재가 회동하도록 하는 전기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륜 구동형 추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상기 블레이드 부재와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테두리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기 내륜 부재와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륜 부재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자석 수납 커버와, 상기 자석 수납 커버에 내부 중공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자석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부재는,
    상기 자석 수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륜 구동형 추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수납부는,
    상기 자석 수납 커버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일측에 자석 출입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 부재는,
    상기 자석 출입 개구를 통해 상기 자석 수납부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자석 수납부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륜 구동형 추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자석 수납 커버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코일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다발은,
    상기 코일 권취부에 권취되며,
    상기 외륜 구동형 추진기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기 코일 권취부를 위치 고정 및 지지하는 중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륜 구동형 추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제 1 외륜 커버와, 상기 제 1 외륜 커버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제 1 외륜 커버와 마주한 경우 내측이 상기 제 1 외륜 커버의 내측과 상호 연통되는 제 2 외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륜 구동형 추진기.
KR1020210153317A 2021-11-09 2021-11-09 외륜 구동형 추진기 KR10254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317A KR102548601B1 (ko) 2021-11-09 2021-11-09 외륜 구동형 추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317A KR102548601B1 (ko) 2021-11-09 2021-11-09 외륜 구동형 추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328A true KR20230067328A (ko) 2023-05-16
KR102548601B1 KR102548601B1 (ko) 2023-06-27

Family

ID=8654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317A KR102548601B1 (ko) 2021-11-09 2021-11-09 외륜 구동형 추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6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494A (ko) * 1992-04-29 1993-11-22 엠. 피. 린치 이중 프로펠러를 갖는 내충격성의 수중 추진장치
KR20130010513A (ko) 2010-10-26 2013-01-29 한국해양연구원 3절 링크 벡터추진기 및 그 제작방법
KR20180016223A (ko) *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엑스팀오션 제트 드라이브
KR101868410B1 (ko) * 2018-03-23 2018-07-19 (주)제타크리젠 파공응급복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494A (ko) * 1992-04-29 1993-11-22 엠. 피. 린치 이중 프로펠러를 갖는 내충격성의 수중 추진장치
KR20130010513A (ko) 2010-10-26 2013-01-29 한국해양연구원 3절 링크 벡터추진기 및 그 제작방법
KR20180016223A (ko) *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엑스팀오션 제트 드라이브
KR101868410B1 (ko) * 2018-03-23 2018-07-19 (주)제타크리젠 파공응급복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601B1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8259B1 (en)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for underwater vehicle
CN109643928B (zh) 用于无人机的电机及包括该电机的无人机
US8074922B2 (en) Discoidal flying craft
US20120093668A1 (en) Rim driven thruster having propeller drive modules
EP3290731B1 (en) Drone with magnet fluid sealed bearing unit and drive motor having the bearing unit
US20170082115A1 (en) Electric supercharger
JP7269722B2 (ja) モータ一体型流体機械及び垂直離着陸機
US11180247B2 (en) Drone motor and drone comprising same
JPH02219433A (ja) 電気モーター
KR102548601B1 (ko) 외륜 구동형 추진기
US11117652B2 (en) Motor for drone and drone including same
KR102491350B1 (ko) 드론용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US11916435B2 (en) Split electric machine for retrofit hybrid propulsion systems
JP7238674B2 (ja) 推力発生装置
EP2594479A1 (en) Rim driven thruster having propeller drive modules
US20220181931A1 (en) Rotor for electric motor
JP5097743B2 (ja) 電動機
US20240149996A1 (en) A propulsion assembly for a marine vessel
CN114303304A (zh) 反向旋转差动电动马达组件
KR102670791B1 (ko) 림 구동형 회전 장치
KR20240068083A (ko) 전기 구동형 워터 제트 추진기
JP6250527B2 (ja) ファンモータ
CN216086349U (zh) 一种液冷式电机装置和自动设备
CN220544842U (zh) 旋翼驱动电机及飞行器
US11670982B2 (en) Motor apparatus having a motor coo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