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260A -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260A
KR20230067260A KR1020210153161A KR20210153161A KR20230067260A KR 20230067260 A KR20230067260 A KR 20230067260A KR 1020210153161 A KR1020210153161 A KR 1020210153161A KR 20210153161 A KR20210153161 A KR 20210153161A KR 20230067260 A KR20230067260 A KR 20230067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rder
user
produc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563B1 (ko
Inventor
강형석
강민석
박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트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트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트로봇
Priority to KR1020210153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56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5316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85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주문을 입력받아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 유닛을 포함하는 생산 모듈, 및 상기 생산 모듈에 의해 제조된 상기 생산 제품을 이동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로봇 유닛을 포함하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산 모듈과 상기 이송 모듈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다.

Description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Multi module combination typ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모듈과 생산 모듈이 결합 형성되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로봇은 다수의 관절 자유도를 갖는 관절 구조에 액추에이터 모터, 서보 모터 등을 통해 관절에 움직임을 제공하고 있다. 로봇의 관절 구조에 따라 소정 물체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편리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로봇은 산업계에서 점차적으로 필수적이 구성요소가 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산업 경향에 따르면, 비대면 형식의 서비스 제공 방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예시적으로, 식음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에서는 키오스크(kiosk)를 도입하여, 식음료 제조자가 키오스크를 통해 전달받은 주문에 따라 식음료를 제조 및 제공할 수 있다. 키오스크의 도입은 사용자의 주문 실수를 방지하며, 식음료 제조자가 사용자의 주문을 받는 과정에서 소요하는 시간을 감소시켜, 단위시간 당 더욱 많은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키오스크의 도입을 넘어, 완전한 무인형 점포의 도입이 산업계에서 고려되고 있다. 예시적으로, 키오스크를 통해 주문 및 결제를 완료하면, 서비스 머신에서 제품이 제공되는 방식의 도입이 고려되고 있다. 종래에, 완제품을 제공하는 자동판매기가 존재하였으나, 최근에는 제조음료, 즉석조리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무인형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KR 10-2093088 B1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송 모듈과 생산 모듈을 포함하고, 이송 모듈과 생산 모듈을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안전하게 생산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생산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주문을 입력받아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 유닛을 포함하는 생산 모듈, 및 상기 생산 모듈에 의해 제조된 상기 생산 제품을 이동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로봇 유닛을 포함하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산 모듈과 상기 이송 모듈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 모듈은, 그 하부에 전방방향으로 이동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모듈은, 그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봇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전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시 유닛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생산 유닛 및 상기 로봇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며 상기 로봇 유닛이 동작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보호 윈도우, 및 상기 보호 윈도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보호 윈도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에 대향되는 외부공간에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구획하며 상기 보호 윈도우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서브 보호 윈도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시 유닛은 상부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트레이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서빙 트레이는 상기 이송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문결제 모듈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인증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빙 트레이는 상기 주문결제 모듈로부터 입력된 주문옵션에 따라, 복수의 생산 제품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한꺼번에 제공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모듈은, 상기 로봇 유닛이 거치되는 로봇 거치부, 및 상기 로봇 거치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고,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전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산 모듈은, 외부를 향해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정비 도어, 및 상기 이송 모듈 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정비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문결제 모듈에서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비용이 결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제품 생산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에 따라 생산 제품이 배치된 서빙 트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문결제 모듈에서 제1 사용자의 제1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하는 단계, 상기 제1 주문에 대응되는 제1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주문결제 모듈에서 제2 사용자의 제2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하는 단계, 상기 제1 생산 제품을 제1 서빙 트레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주문에 대응되는 제2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주문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생산 제품을 제2 서빙 트레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문결제 모듈에서 순차제공 옵션과 일괄제공 옵션을 포함하는 주문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문옵션에 따라, 생산 제품들을 동일한 서빙 트레이 또는 상이한 서빙 트레이들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문결제 모듈에서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생산 제품들을 설정된 상기 주문옵션에 기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서빙 트레이들을 제어하여 상기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과 후술할 구체적인 내용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는, 이송 모듈과 서비스 모듈이 결합 형성되고, 이송 모듈과 생산 모듈은 착탈 결합되도록 형성되므로, 사업자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생산 제품을 적용할 수 있어 범용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이송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 유닛을 포함하므로, 공간활용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심미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송 모듈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보호 윈도우를 포함하므로, 생산 제품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이전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송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서빙 트레이를 포함하여, 생산 제품을 안전하게 보관하다가, 사용자의 인증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생산 제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동작하므로, 생산 제품이 외부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송 모듈은 수납 유닛의 상부에 회전 개방되는 전시 유닛을 포함하므로, 관리자는 이송 모듈의 내부공간의 위생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송 모듈은 로봇 거치부의 양측에 형성된 테이블부를 포함하여, 상기 테이블부는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전 개방되어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의 전방에서 관리자가 생산 모듈에 배치된 생산 유닛에 용이하게 접근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생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 정비 도어와, 이송 모듈 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정비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관리자는 생산 유닛을 정비하기 위해 생산 유닛을 모듈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정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주문결제 후 사용자의 인증에 따라 선택적으로 생산 제품이 제공되도록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제어하므로, 사용자가 제공받을 생산 제품이 외부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주문옵션에 따라, 복수의 음료를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고, 먼저 생산된 생산 제품부터 먼저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이다.
도 2는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중 전시 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에서 수납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에서 테이블부가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중 생산 모듈에서 외부에 형성되는 메인 정비 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중 생산 모듈에서 이송 모듈측에 형성되는 서브 정비 도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의 이송 모듈과 생산 모듈이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받는 소비자일 수 있다. 또한, ‘정비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정비하는 정비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는 이송 모듈(100), 생산 모듈(200), 및 주문결제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결제 모듈(300)은 사용자로부터 주문을 입력받고,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산 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생산 모듈(200)은 사용자의 주문에 대응되는 종류, 및 수량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생산 모듈(200)에 의해 생산된 제품(이하, ‘생산 제품’으로 칭한다)은 이송 모듈(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부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이송 모듈(100)은 사용자의 주문에 따라 자동 제어되는 로봇 유닛(110)에 의해 생산 제품을 생산 모듈(200)에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송 모듈(100)은 생산 모듈(200)의 구성들의 동작에 따라 생산 제품이 제조되는 과정, 및 생산 제품이 파지되어 전달되는 과정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로봇 유닛(110)은 다관절 로봇 암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로봇 유닛(110)은 4관절 로봇 암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봇 유닛(110)은 2차원 평면이동 또는 3차원 입체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며, 제1 위치에 배치된 물체를 제2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생산 제품의 제조 및 제공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생산 모듈(200)은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생산 모듈(200)은 적어도 하나의 생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생산 유닛은 커피 머신, 아이스크림 머신, 즉석조리식품 제조 머신(예를 들면, 튀김 머신) 등 다양한 제품 생산 머신일 수 있다. 생산 제품은 상기 생산 유닛에 의해 생산되고, 이송 모듈(10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주문결제 모듈(300)은 사용자로부터 주문을 입력받고,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비용을 사용자에게 결제요청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문결제 모듈(300)은 스크린(31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310)은 사용자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310)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가 제공가능한 생산 제품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310)에 터치 입력을 통해 제공받고자 하는 생산 제품의 종류와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문결제 모듈(300)은 스크린(310) 일측에 배치되는 결제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영역(320)은 결제수단의 접촉,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결제영역(320)은 모바일 결제수단과 통신할 수 있는 NFC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결제영역(320)은 카드의 IC칩을 감지할 수 있는 삽입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영역(320)은 카드의 마그네틱 라인을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 통과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영역(320)에서 사용자가 결제를 완료하면, 주문에 대응되는 생산 제품이 생산 모듈(200)에서 생산된다.
이하에서는, 이송 모듈(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 중 전시 유닛(120)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는 이송 모듈(100)을 포함한다. 이송 모듈(100)은 로봇 유닛(110)을 포함하여 생산 모듈(200)로부터 제조된 생산 제품을 이동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시적으로, 로봇 유닛(110)은 4관절 로봇 암일 수 있으며, 로봇 유닛(110)은 그 말단에 생산 제품의 파지 및 이송을 위한 파지부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 제품은 식품, 음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생산 제품은 일반적으로 용기에 담겨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로봇 유닛(110)은 파지부를 통해 생산 제품이 담긴 용기를 파지하고, 생산 제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로봇 유닛(110)은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컨트롤 박스(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이송 모듈(100)은 전시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시 유닛은 이송 모듈(100)의 일면 상부에 형성되고, 전술한 로봇 유닛(110)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시 유닛(120)은 사용자와 로봇 유닛(110)을 이격시킬 수 있다. 전시 유닛(120)은 사용자와 로봇 유닛(110)을 이격시켜 로봇 유닛(110)이 동작하는 내부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시 유닛(120)은 보호 윈도우(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윈도우(121)는 후술하는 로봇 유닛(110)의 동작 및 생산 유닛(210)의 동작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찰,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호 윈도우(121)는 유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아크릴 창일 수도 있다. 보호 윈도우(121)는 사용자가 로봇 유닛(110), 및 생산 유닛(210)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공간(S)이 이격되므로, 생산 제품이 제조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 보호 윈도우(121)는 내부공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보호 윈도우(121)가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이송 모듈(100)의 내부공간(S)을 촬영하는 카메라(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내부공간(S)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로봇 유닛(110)과 생산 유닛(210)의 동작을 디스플레이 패널 타입의 보호 윈도우(121)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시 유닛(120)은 상부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시 유닛(120)은 일면 상부에 힌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시 유닛(120)은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 전시 유닛(120)을 개방하기 위해, 보호 윈도우(121)의 하측에 전시 유닛 손잡이(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전시 유닛 손잡이(122)는 일방향으로 소정 두께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시 유닛(120)을 개방함으로써, 정비자는 내부공간(S)에 접근할 수 있고, 내부공간(S)에 배치된 로봇 유닛(110)을 정비하거나, 내부공간(S)의 위생을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시 유닛(120)의 일 구성인 서빙 트레이(123, 124)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전시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서빙 트레이(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트레이(123, 124)는 단수 또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빙 트레이(123, 124)는 제1 서빙 트레이(123)와, 상기 제1 서빙 트레이(123)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제2 서빙 트레이(12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트레이(123, 124)는 보호 윈도우(121)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영역(1231, 124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영역(1231, 1241)은 생산 모듈(200)에서 제조된 생산 제품이 이송 모듈(100)의 로봇 유닛(110)에 의해 배치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영역(1231, 1241)은 내부공간(S)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빙 트레이(123, 124)는 보호 윈도우(121)를 기준으로 제1 영역에 대향되는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영역(1232, 12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1232, 1242)은 외부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빙 트레이(123, 124)는 제1 영역(1231, 1241)과 제2 영역(1232, 1242)을 구획하며, 보호 윈도우(121)와 함께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서브 보호 윈도우(1233, 12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브 보호 윈도우(1233, 1243)에 의해, 제1 영역(1231, 1241)과 제2 영역(1232, 1242)이 나눠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빙 트레이(123, 124)의 제1 영역(1231, 1241)과 제2 영역(1232, 1242)은 각각 180° 범위의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영역(1231, 1241)과 제2 영역(1232, 1242) 사이에 서브 보호 윈도우(1233, 1243)가 형성된다. 서브 보호 윈도우(1233, 1243)는 보호 윈도우(121)와 함께 내부공간(S)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이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빙 트레이(123, 124)의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주문결제 모듈(3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주문이 입력되면, 생산 모듈(200)은 생산 제품을 제조하고, 이송 모듈(100)의 로봇 유닛(110)은 생산 제품을 서빙 트레이(123, 124)의 제1 영역(1231, 1241)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로봇 유닛(110)은 제1 서빙 트레이(123)의 제1 영역(1231)에 생산 제품을 배치할 수도 있고, 제2 서빙 트레이(124)의 제1 영역(1241)에 생산 제품을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로봇 유닛(110)은 제1 서빙 트레이(123)의 제1 영역(1231) 및 제2 서빙 트레이(124)의 제1 영역(1241) 중 생산 제품이 배치되지 않은 서빙 트레이(123, 124)에 생산 제품을 배치할 수 있다. 서빙 트레이(123, 124)의 제1 영역(1231, 1241)에 생산 제품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는 내부공간(S)에 추가로 구비된 제품 감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판단될 수 있으며, 제품 감지 센서는 거리 감지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생산 제품의 주문과 결제를 완료하면, 주문결제 모듈(300)은 사용자 식별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식별번호는 주문순서를 나타내는 주문번호, 상기 주문번호를 소정 패턴으로 나타내는 식별체(바코드, QR드 등),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한 비밀번호, 및 결제수단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생산 제품을 수령하기 위해, 주문결제 모듈(300)에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주문결제 모듈(300)에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주문결제 모듈(300)은 이송 모듈(10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산 제품이 배치된 서빙 트레이(123, 124)는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생산 제품이 제1 서빙 트레이(123)의 제1 영역(1231)에 배치된 경우,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1 서빙 트레이(123)가 회전될 수 있다. 제1 서빙 트레이(123)가 회전됨에 따라, 제1 서빙 트레이(123)의 제1 영역(1231)은 외부로 노출되고, 제1 서빙 트레이(123)의 제2 영역(1232)은 내부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서빙 트레이(123)의 제1 영역(1231)에 배치된 생산 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생산 제품이 제공된 후, 제1 서빙 트레이(123)는 다시 회전하여 제1 서빙 트레이(123)의 제1 영역(1231)은 내부공간에 형성되고, 제1 서빙 트레이(123)의 제2 영역(1232)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식별번호 인증에 의해 생산 제품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 식별번호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생산 제품이 내부공간에 형성된 제1 영역(1231, 1241)에 배치되므로, 생산 제품이 외부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빙 트레이(123)는 그 하부에 배치된 제1 서브 모터(M2)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제2 서빙 트레이(124)는 그 하부에 배치된 제2 서브 모터(M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1 서브 모터(M2) 및 제2 서브 모터(M3)에 의한 서빙 트레이(123, 124)의 회전속도는, 생산 제품이 훼손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문옵션에 따라 생산 제품이 배치 및 제공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서빙 트레이(123, 124)는 사용자로부터 주문결제 모듈(300)에 입력된 주문옵션에 따라, 복수의 생산 제품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한꺼번에 제공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주문옵션은 순차제공 옵션 및 일괄제공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2개의 생산 제품을 주문하고 순차제공 옵션을 선택한 경우, 이송 모듈(100)의 로봇 유닛(110)은 제조된 제1 생산 제품을 제1 서빙 트레이(123)의 제1 영역(1231)에 배치하고, 제조된 제2 생산 제품을 제2 서빙 트레이(124)의 제1 영역(1241)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1 생산 제품을 제공받기 위해, 제2 생산 제품이 제조 완료되기 이전에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으며, 제1 서빙 트레이(123)는 회전되어 제1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2 생산 제품이 제2 서빙 트레이(124)의 제1 영역(1241)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추가 사용자 인증을 진행함에 따라, 제2 서빙 트레이(124)는 회전되어 제2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사용자가 2개의 생산 제품을 주문하고 일괄제공 옵션을 선택한 경우, 이송 모듈(100)의 로봇 유닛(110)은 제조된 제1 생산 제품과 제조된 제2 생산 제품을 제1 서빙 트레이(123)의 제1 영역(1231) 및 제2 서빙 트레이(124)의 제1 영역(1241) 중 어느 하나에 함께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주문결제 모듈(300)은 제2 생산 제품의 배치가 완료된 이후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번호 입력에 따라 서브 모터(M2, M3)를 제어하여 생산 제품들이 배치된 서빙 트레이(123, 124)를 회전시켜 생산 제품들을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빙 트레이(123, 124)는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이전에, 생산 제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가 내부공간(S)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공간(S)의 위생을 청결하게 유지하며,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의 로봇 유닛(110)과 생산 유닛(21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의 수납 유닛(1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에서 수납 유닛(13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는 수납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 유닛(130)은 이송 유닛(100) 중 전시 유닛(12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수납 유닛(130)은 나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납 유닛(130)은 전방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되고, 후방방향으로 이동되어 폐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납 유닛(130)은 슬라이드 방식의 수납 구조를 적용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수납 유닛(13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131)을 가질 수 있다. 수납공간(131)은 수납 유닛(130)의 상부부분으로부터 하부부분을 향해 소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납공간(131)은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구획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 수납 유닛(130)은 도어 형식의 수납 구조를 적용하여, 수납공간(131)은 수납 유닛(130)의 전면부분으로부터 후면부분을 향해 소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수납 유닛(130)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방향으로 이동 및 탈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 모듈(100)은 수납 유닛(130)을 포함함으로써, 정비 및 생산 제품의 제조를 위해 필요한 재료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의 전체적인 심미성 또한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로봇 거치부(140)와 테이블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에서 테이블부(150)가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 중 이송 모듈(100)은 로봇 유닛이 거치되는 로봇 거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유닛(110)이 생산 유닛(210)들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 가능하도록, 로봇 거치부(140)는 내부공간(S) 중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로봇 거치부(140)는 로봇 유닛(11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로봇 거치용 개구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 거치용 개구부(141)의 상부에는 로봇 유닛(110)의 작용부(암, 및 파지부)가 배치되고, 로봇 거치용 개구부(141)의 하부에는 로봇 유닛(110)의 구동부(메인 모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봇 거치부(140)의 적어도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테이블부(150)는 로봇 거치부(1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테이블부(151)와, 로봇 거치부(14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테이블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부(150)는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생산 모듈(200)에 배치된 생산 유닛(210)들을 정비하기 위해, 정비자는 이송 모듈(100) 측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이 때, 테이블부(150)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전 개방되어, 정비자가 생산 유닛(210)의 전면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정비자는 전술한 수납 유닛(130)을 이송 모듈(100)로부터 완전히 탈거하고, 테이블부(150)를 회전 개방하여 생산 유닛(210)들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하고,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 중 생산 모듈(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 중 생산 모듈(200)에서 외부에 형성되는 메인 정비 도어(220)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는 생산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생산 모듈(200)은 사용자로부터 주문을 입력받아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 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생산 유닛(210)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생산 모듈(200)은 제1 생산 유닛(211), 제2 생산 유닛(212), 및 제3 생산 유닛(2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생산 유닛(211)은 컵 디스펜서, 제2 생산 유닛(212)은 아이스 메이커, 제3 생산 유닛(213)은 커피 브루잉 머신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생산 유닛(210)은 제1 생산 유닛(211), 제2 생산 유닛(212), 및 제3 생산 유닛(213)의 기능이 일체화된 단일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생산 유닛(2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를 적용하고자 하는 사업지에 부합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어떠한 머신이라도 될 수 있다.
한편, 생산 모듈(200)은 생산 유닛(210)의 정비, 재료 충전, 고장수리 등을 위해 외부를 향해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정비 도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메인 정비 도어(220)는 생산 모듈(200)의 제1 외면에 형성되는 제1 메인 정비 도어(221), 제2 외면에 형성되는 제2 메인 정비 도어(222), 제2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메인 정비 도어(22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 메인 정비 도어(223), 및 제3 외면에 형성되는 제4 메인 정비 도어(2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메인 정비 도어(220)의 개수와 크기는 임의적이며, 생산 유닛의 수, 정비자의 정비 편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 중 생산 모듈(200)에서 이송 모듈(100)측에 형성되는 서브 정비 도어(230)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비자는 이동 모듈(100) 측으로 생산 유닛(210)에 접근하여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정비자의 용이한 정비를 위해, 생산 모듈(200)은 이송 모듈(100) 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정비 도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브 정비 도어(230)는 생산 유닛(210)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서브 정비 도어(230)는 제1 생산 유닛(211)에 대응되는 제1 서브 정비 도어(231), 제2 생산 유닛(212)에 대응되는 제2 서브 정비 도어(232), 및 제3 생산 유닛(213)에 대응되는 제3 서브 정비 도어(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정비 도어(230)가 형성됨으로써, 정비자는 생산 유닛(210)의 전면을 정비하기 위해 생산 모듈(200)의 후방에서 생산 유닛(210)을 회전시키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즉, 정비자는 수납 유닛(130)을 탈거하고 테이블부(150)를 회전 개방하며, 정비가 필요한 생산 유닛(210)에 대응되는 서브 정비 도어(230)를 개방함으로써, 편리하게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정비 도어(230)는 정비자의 정비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정비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도 1의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의 이송 모듈(100)과 생산 모듈(200)이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생산 모듈(200)과 이송 모듈(100)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를 도입할 때, 필요한 생산 유닛(210)이 탑재된 생산 모듈(200)을 이송 모듈(100)과 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들을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송 모듈(100)의 배면측(190)과 생산 모듈(200)의 정면측(290)이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한 후, 결합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양 모듈(100, 200)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송 모듈(100)이 적용되는 다양한 서비스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다양한 형태의 생산 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언급하거나,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술한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1)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문결제 모듈에서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주문결제 모듈에 나타는 메뉴를 통해 생산 제품을 확인하고, 생산 제품의 필요한 종류 및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문결제 모듈은 사용자의 주문에 대응되는 비용에 대해 사용자에게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문에 대응되는 비용이 결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주문에 대응되는 비용이 결제되었으면, 주문결제 모듈은 생산 모듈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생산 유닛이 생산 제품을 제조하도록 하고, 이송 모듈이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반면, 주문에 대응되는 비용이 소정 시간 동안 결제되지 않은 경우, 주문을 취소하여 다른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주문결제 모듈은 사용자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번호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번호일 수 있다. 사용자 식별번호는 주문번호, 사용자의 임시 비밀번호, 식별체(바코드, QR코드), 카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식별번호의 저장이 완료되면, 주문에 대응되는 제품 생산을 시작하는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생산 유닛은 생산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주문이 1 잔의 아이스 아메리카노인 경우, 생산 유닛은 일회용 컵을 디스펜싱하고, 상기 일회용 컵에 얼음을 토출하고, 에스프레소 원액을 추출하여 생산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제품의 생산을 완료하는 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생산 모듈은 제품의 생산을 완료할 수 있다. 이 때, 생산 모듈에 포함된 생산 유닛은 생산 제품을 제조 완료하고, 이송 모듈에 포함된 로봇 유닛은 생산 제품이 담긴 용기를 이동시켜 서빙 트레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주문결제 모듈이 주문에 대응되는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받는 단계(S160)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번호는 결제가 완료된 후 저장된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주문번호, 임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결제카드를 결제영역에 태그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70)가 수행될 수 있다.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70)는, 사용자 인증에 따라 주문에 대응되는 생산 제품이 배치된 서빙 트레이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생산 제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생산 제품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기 이전에 보호 윈도우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으며, 생산 제품이 외부 환경에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보 입력을 알람하는 단계(S18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주문번호가 호출되도록 하거나, 소정 디스플레이 화면에 주문번호가 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 입력을 알람하는 단계(S180)를 통해 생산 제품이 제조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가 연속적으로 주문을 수령한 경우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 제1 사용자의 제1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하는 단계(S210)와, 제1 주문에 대응되는 제1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S220)가 수행된다. 즉, 제1 사용자의 제1 주문이 입력되어 결제가 완료되면, 생산 모듈은 제1 주문에 대응되는 제1 생산 제품을 제조하고, 주문결제 모듈은 다른 사용자의 후속 주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주문결제 모듈에서 제2 사용자의 제2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하는 단계(S23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주문결제 모듈은 제1 주문에 대응되는 제1 생산 제품이 제조 완료되기 이전에도 상이한 제2 주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전의 주문에 대응되는 생산 제품을 기다리지 않고 생산 제품을 주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생산 제품을 제공받기까지의 대기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이후, 제1 생산 제품을 제1 서빙 트레이에 배치하는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생산 제품은 제1 서빙 트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제1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내부공간(S)에 보관될 수 있다.
한편, 제1 생산 제품이 배치된 후, 제2 주문에 대응되는 제2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S25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생산 제품이 배치 완료되면,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는 제1 사용자가 제1 생산 제품을 수령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제2 생산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제1 주문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받는 단계(S26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어 제1 사용자 인증이 진행되면, 제1 생산 제품이 배치된 제1 서빙 트레이가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제1 생산 제품을 제공(S270)할 수 있다. 소정 시간 동안 제1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1 생산 제품은 제1 서빙 트레이에 그대로 배치되고, 이후 완성된 제2 생산 제품은 제2 서빙 트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S280)될 수 있다. 배치된 제2 생산 제품은 제2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내부공간(S)에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사용자의 주문을 연속으로 입력받아 생산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사용자가 각각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함으로써, 주문이 지연되지 않고 사용자는 생산 제품을 더욱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문결제 모듈에서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S310)를 포함한다. S310 단계는 전술한 S110 단계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주문결제 모듈에서 순차제공 옵션과 일괄제공 옵션을 포함하는 주문옵션을 설정하는 단계(S320)가 수행될 수 있다. 주문옵션을 설정하는 단계(S320)에 따라, 사용자는 먼저 제조된 생산 제품을 우선 제공받고, 나중에 제조된 생산 제품을 이후에 제공받을 수 있다. 반면, 일괄제공 옵션을 선택한 경우, 해당 주문에 대응되는 생산 제품들이 모두 제조 완료된 후, 사용자는 생산 제품들을 한꺼번에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주문결제 모듈에서 결제 완료를 판단하는 단계(S330)가 수행된다. S330 단계는 전술한 S120 단계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주문옵션에 따라, 생산 제품들을 동일한 서빙 트레이 또는 상이한 서빙 트레이들에 배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문옵션에 대응되도록 생산 제품이 제공되도록 이송 모듈의 로봇 유닛이 생산 제품을 서빙 트레이에 배치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에 부합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주문결제 모듈에서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의 입력에 따라, 생산 제품들을 주문옵션에 기설정된 방식으로 서빙 트레이들을 제어하여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옵션에 따라 제공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문옵션에 따라 생산 제품을 서빙 트레이에 배치하는 과정, 및 사용자에게 생산 제품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S3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순차제공 옵션을 설정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340)가 수행된다. 사용자가 순차제공 옵션을 선택한 경우, 복수의 생산 제품들 중 제1 생산 제품을 제조하여 제1 서빙 트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S351)할 수 있다. 제1 생산 제품이 제1 서빙 트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된 이후, 생산 모듈은 제2 생산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S352)하여,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어 사용자 인증이 진행된 경우 제1 서빙 트레이가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제1 생산 제품을 우선적으로 제공(S353)할 수 있다.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할 것을 알람하는 단계(S354)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2 생산 제품이 제조되면 제2 생산 제품은 제2 서빙 트레이에 배치(S355)될 수 있다. 다만, 제1 생산 제품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2 생산 제품은 제조될 수 있으며, 제2 제조 제품은 제2 서빙 트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S356)하여,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어 사용자 인증이 진행된 경우 제2 서빙 트레이가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제2 생산 제품을 제공(S357)할 수 있다.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할 것을 알람하는 단계(S358)가 수행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S320 단계에서 일괄제공 옵션을 선택한 경우, 복수의 생산 제품들이 제조되어 하나의 서빙 트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제품 생산을 완료(S361)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S362)하여,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어 사용자 인증이 진행된 경우 서빙 트레이가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생산 제품들을 일괄적으로 제공(S363)할 수 있다. 소정 시간동안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할 것을 알람하는 단계(S364)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문옵션에 따라 사용자의 의사에 부합하는 순서로 생산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한편, S330, S352, S356, S362 단계는 전술한 S160 단계와 동일하고, S354, S358, S364 단계는 전술한 S180 단계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100: 이송 모듈 200: 생산 모듈
110: 로봇 유닛 120: 전시 유닛
121: 보호 윈도우 122: 전시 유닛 손잡이
123: 제1 서빙 트레이 124: 제2 서빙 트레이
130: 수납 유닛 131: 수납공간
140: 로봇 거치부 141: 로봇 거치용 개구부
150: 테이블부 151: 제1 테이블부
152: 제2 테이블부 160: 컨트롤 박스
210: 생산 유닛 220: 메인 정비 도어
230: 서브 정비 도어
300: 주문결제 모듈

Claims (12)

  1. 사용자에게 생산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주문을 입력받아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 유닛을 포함하는 생산 모듈; 및
    상기 생산 모듈에 의해 제조된 상기 생산 제품을 이동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로봇 유닛을 포함하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산 모듈과 상기 이송 모듈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듈은,
    그 하부에 전방방향으로 이동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듈은,
    그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봇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전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시 유닛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생산 유닛 및 상기 로봇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며 상기 로봇 유닛이 동작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보호 윈도우; 및
    상기 보호 윈도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보호 윈도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에 대향되는 외부공간에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구획하며 상기 보호 윈도우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서브 보호 윈도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시 유닛은 상부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빙 트레이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서빙 트레이는 상기 이송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주문결제 모듈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인증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빙 트레이는 상기 주문결제 모듈로부터 입력된 주문옵션에 따라, 복수의 생산 제품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한꺼번에 제공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듈은,
    상기 로봇 유닛이 거치되는 로봇 거치부; 및
    상기 로봇 거치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고,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전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산 모듈은,
    외부를 향해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정비 도어; 및
    상기 이송 모듈 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정비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문결제 모듈에서 사용자의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비용이 결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제품 생산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주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 식별번호에 따라 생산 제품이 배치된 서빙 트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문결제 모듈에서 제1 사용자의 제1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하는 단계;
    상기 제1 주문에 대응되는 제1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주문결제 모듈에서 제2 사용자의 제2 주문을 입력받고 결제하는 단계;
    상기 제1 생산 제품을 제1 서빙 트레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주문에 대응되는 제2 생산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주문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식별번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생산 제품을 제2 서빙 트레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문결제 모듈에서 순차제공 옵션과 일괄제공 옵션을 포함하는 주문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문옵션에 따라, 생산 제품들을 동일한 서빙 트레이 또는 상이한 서빙 트레이들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문결제 모듈에서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생산 제품들을 설정된 상기 주문옵션에 기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서빙 트레이들을 제어하여 상기 생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53161A 2021-11-09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6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61A KR102668563B1 (ko) 2021-11-09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61A KR102668563B1 (ko) 2021-11-09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260A true KR20230067260A (ko) 2023-05-16
KR102668563B1 KR102668563B1 (ko) 2024-05-23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823B1 (ko) * 2023-10-04 2024-04-26 주식회사 택트레이서 이송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088B1 (ko) 2020-01-15 2020-03-24 박노섭 무인 커피음료 제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088B1 (ko) 2020-01-15 2020-03-24 박노섭 무인 커피음료 제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823B1 (ko) * 2023-10-04 2024-04-26 주식회사 택트레이서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8912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JP7146761B2 (ja) 無駄のない自動販売機
CA3036858C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
CN109804416A (zh) 模块化自动售货机
US20210374815A1 (en) An automated store
US20210380342A1 (en) Multi-Temperature Automated Storage, Retrieval and Delivery System
NO337261B1 (no) Salgsautomat
US20110010255A1 (en) Dispensing and mixing line and method for products
CN107610335A (zh) 一种多功能自动售卖机
JP2012018661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5402867B2 (ja) 物品送入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並びにロボット
KR20230067260A (ko)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N114007469A (zh) 物品保管装置
KR102668563B1 (ko) 모듈 결합형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5610B1 (ko) 자동판매기 및 그의 무선충전 단말 판매방법
JP7364684B2 (ja) ストッカ及びストッカシステム
CN111243182A (zh) 一种支持线上点单的现制现售系统
WO2022093114A1 (en) Automatic beverage vending machine
US20070202242A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edible greeting cards
WO2021248039A1 (en) Multi-temperature, automated storage, retrieval and delivery system
KR100989544B1 (ko) 약품 자동판매기
CN112820020A (zh) 自动售货机及其出货方法
JP2018163393A (ja) 自動販売機
AU2021106476A4 (en) Integrated robotic vending machine
JP7205083B2 (ja) 自動販売機の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