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093A - 플라스틱 봉투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093A
KR20230067093A KR1020210152814A KR20210152814A KR20230067093A KR 20230067093 A KR20230067093 A KR 20230067093A KR 1020210152814 A KR1020210152814 A KR 1020210152814A KR 20210152814 A KR20210152814 A KR 20210152814A KR 20230067093 A KR20230067093 A KR 20230067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s
joint
pulling guide
guide pa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인
Original Assignee
김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인 filed Critical 김병인
Priority to KR102021015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093A/ko
Publication of KR2023006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16Elements constricting the neck of the bag
    • B65D33/165Flexible elongated elements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bags or sacks ; Fastening thereof to the bag before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발명은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봉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2매의 평판형 플라스틱 시트(11, 12)를 접합하여 형성시키되 상방에 개구부(2)가 형성되게 하는 수용부(1)와; 개구부(2)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구부려 접합시키어 공간부(23, 24)를 가지게 하여서 된 제1 및 제2 바인딩부(21, 22)와; 제1 및 제2 바인딩부(21, 22)의 공간부(23, 24) 내에 각각 상하로 설치되는 상위밴드(31, 32)와 하위밴드(41, 42)와; 2매의 플라스틱필름(11, 12)의 좌우단을 접합하여 수용부(1)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제1바인딩부(21)와 제2바인딩부(22)의 좌우단 및 그 내부에 설치되는 밴드들의 좌우단을 한꺼번에 접합하되, 제1바인딩부(21)와 제2바인딩부(22)의 상위밴드(31, 32)들은 상위 밴드들끼리 하위밴드(41, 42)들은 하위 밴드들끼리 수용부(1)의 좌우단과 함께 합동으로 접합되게 하여서 된 합동접합부(51, 52, 53, 54)와; 상기 합동접합부(51)에 접하며, 상기 상위밴드(31, 32)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 당김을 안내하게 하는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합동접합부(54)에 접하며 상기 하위밴드(41, 42)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 당김을 안내하게 하는 타향당김안내부(7);로 구성되고,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의 내측 합동접합부(51)와 타향당김안내부(7)의 내측 합동접합부(54)는, 그 둘레 수용부(1)에 절취선(8)을 형성시켜, 둘레와 함께, 수용부(1)로부터의 분리 이탈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타향당김안내부(7)는 당김위치를 명확하기 하기 위하여 상하측에 각각 홈(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봉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봉투{PLASTIC BAG}
발명은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묶어서 밀봉할 수 있는 플라스틱 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비닐백은 청결성 및 편의성이 높아 가정용 내지는 주방용, 여행용 등 다목적적으로 개발되어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장난감, 문구, 서적 등 일반적인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주방에서는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여행용 물품의 포장 또는 수납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백 내에 물품을 담고 난 후 신선도 측면에서나 내부에 담긴 물품이 이탈하지 않도록 개방부를 밀봉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서 비닐백의 개구부를 닫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개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끈 또는 고무줄 등으로 비닐백을 묶거나 비닐백에 지퍼를 형성하여 비닐백을 열고 닫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종래 비닐백을 밀봉하는 다양한 방법이 공지된 바 있으나 보다 쉽고 편리하게 비닐백을 밀봉할 수 있는 비닐백에 대한 고안이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공개특허 제10-2009-0056033호는, 비닐봉투의 투입구에 상하 2개의 조임용 끈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가이드부의 양단부는 조임용 끈과 함께 비닐봉투에 접합되고, 조임용 끈이 접합된 비닐봉투의 가이드부 양 측은 조임용 끈을 가이드부에서 용이하게 분리시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절취선이 각각 형성되어, 비닐봉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조임용 끈이 비닐봉투에 접합되어 있어서 조임용 끈이 비닐봉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비닐봉투를 사용할 때 절취선을 따라 비닐봉투에서 조임용 끈의 단부를 뜯어내 2개 조임용 끈을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비닐봉투의 투입구를 밀폐시키도록 하여서 되는 비닐봉투를 개시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49020호 '플라스틱 봉투'를 출원한 바 있다. 제10-2021-0049020호는 상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게 하는 수용부); 개구부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구부려 접합시키어 공간부를 가지게 하여서 된 제1 및 제2 바인딩부의 공간부 내에 각각 상하로 설치되는 상위밴드와 하위밴드; 제1바인딩부와 제2바인딩부의 좌우단 및 그 내부에 설치되는 밴드들의 좌우단을 한꺼번에 접합되게 하여서 된 합동접합부; 상기 상위밴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의 일측 단부가 외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당김을 안내하게 하는 외향당김안내부; 상기 하위밴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의 타측 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측 당김을 안내하게 하는 타향당김안내부; 및, 합동접합부는, 그 둘레 수용부에 절취선으로 되는 절취활성화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용과 밀폐가 용이하고 생산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제10-2021-0049020호는 당김안내부가 돌출되어 제조시 추가적인 공정이 소요되는 개선할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0-2021-0049020호의 개량발명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6033호 공개일자 2009년06월03일 미국 특허공개 제US2018/0050843호공개일자 2018년02월2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49020호 '플라스틱 봉투' 공개일자 2021년05월04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비닐백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제조와 포장이 용이한 플라스틱 봉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2매의 평판형 플라스틱 시트(11, 12)를 접합하여 형성시키되 상방에 개구부(2)가 형성되게 하는 수용부(1)와; 상기 (2)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구부려 접합시키어 공간부(23, 24)를 가지게 하여서 된 제1 및 제2 바인딩부(21, 22)와; 상기 및 제2 바인딩부(21, 22)의 공간부(23, 24) 내에 각각 상하로 설치되는 상위밴드(31, 32)와 하위밴드(41, 42)와; 2매의 상기 틱필름(11, 12)의 좌우단을 접합하여 수용부(1)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제1바인딩부(21)와 제2바인딩부(22)의 좌우단 및 그 내부에 설치되는 밴드들의 좌우단을 한꺼번에 접합하되, 제1바인딩부(21)와 제2바인딩부(22)의 상위밴드(31, 32)들은 상위 밴드들끼리 하위밴드(41, 42)들은 하위 밴드들끼리 수용부(1)의 좌우단과 함께 합동으로 접합되게 하여서 된 합동접합부(51, 52, 53, 54)와; 상기 합동접합부(51)에 접하며, 상기 상위밴드(31, 32)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 당김을 안내하게 하는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합동접합부(54)에 접하며 상기 하위밴드(41, 42)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 당김을 안내하게 하는 타향당김안내부(7);로 구성되고,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의 내측 합동접합부(51)와 타향당김안내부(7)의 내측 합동접합부(54)는, 그 둘레 수용부(1)에 절취선(8)을 형성시켜, 둘레와 함께, 수용부(1)로부터의 분리 이탈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타향당김안내부(7)는 당김위치를 명확하기 하기 위하여 상하측에 각각 홈(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봉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비닐백을 개폐할 수 있는 플라스틱 봉투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봉투는 좌우측에 외향당김안내부와 타향당김안내부를 가져서 사용자가 양측으로 당기기 위해 손으로 잡아야 할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당김안내부를 돌출시키지 아니하면서 상하측에 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당기는 부분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하면서도, 금형크기의 확장이 필요 없고 한 번의 사출프레스 공정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제조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포장용 플라스틱 봉투는 다량이 묶어서 유통되고 사용되기 때문에 적측성이 중요한 바, 상기 돌출되는 부위를 제거함으로써 높은 적층성을 확보하여 판매를 위한 포장 및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구부 발췌 중심 상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위밴드와 하위밴드를 당긴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봉투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양 단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상하 각 한 쌍의 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봉투는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비닐백을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매의 평판형 플라스틱 시트(11, 12)를 접합하여 형성시키되 상방에 개구부(2)가 형성되게 하는 수용부(1)와;
상기 (2)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구부려 접합시키어 공간부(23, 24)를 가지게 하여서 된 제1 및 제2 바인딩부(21, 22)와;
상기 및 제2 바인딩부(21, 22)의 공간부(23, 24) 내에 각각 상하로 설치되는 상위밴드(31, 32)와 하위밴드(41, 42)와;
2매의 상기 틱필름(11, 12)의 좌우단을 접합하여 수용부(1)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제1바인딩부(21)와 제2바인딩부(22)의 좌우단 및 그 내부에 설치되는 밴드들의 좌우단을 한꺼번에 접합하되, 제1바인딩부(21)와 제2바인딩부(22)의 상위밴드(31, 32)들은 상위 밴드들끼리 하위밴드(41, 42)들은 하위 밴드들끼리 수용부(1)의 좌우단과 함께 합동으로 접합되게 하여서 된 합동접합부(51, 52, 53, 54)와;
상기 합동접합부(51)에 접하며, 상기 상위밴드(31, 32)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 당김을 안내하게 하는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합동접합부(54)에 접하며 상기 하위밴드(41, 42)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 당김을 안내하게 하는 타향당김안내부(7);로 구성되고,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의 내측 합동접합부(51)와 타향당김안내부(7)의 내측 합동접합부(54)는, 그 둘레 수용부(1)에 절취선(8)을 형성시켜, 둘레와 함께, 수용부(1)로부터의 분리 이탈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타향당김안내부(7)는 당김위치를 명확하기 하기 위하여 상하측에 각각 홈(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봉투를 제공한다.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타향당김안내부(7)에 접하여 형성되는 합동접합부(51, 54)는 다른 합동접합부(52, 53)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봉투의 개구부의 크기를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타향당김안내부(7) 역시 대응되는 밴드들과 수용부를 한번에 접합시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합동접합부(51, 54)는의 크기가 작은 것은 봉투의 내구성 등의 문제에 해가되지 아니한다.
위에서는 수용부(1)가 2 매의 시트(11, 12)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한 장의 시트에 복수의 접힘선 및 결합선을 삽입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수용부(1)는 원통형으로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에서 2 매의 시트라 함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양 측의 시트라고 하는 정도의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절취선(8)은 외력을 가할 때,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타향당김안내부(7)에 의해 수용부(1)의 개구부(2) 양단으로부터 쉽게 절취 분리되어, 밴드가 양 쪽으로 쉽게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구부 발췌 중심 상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2)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구부려 접합시키어 공간부(23, 24)를 가지게 하여서 된 제1 및 제2 바인딩부(21, 22)를 가지며, 상기 및 제2 바인딩부(21, 22)의 공간부(23, 24) 내에 각각 상하로 설치되는 상위밴드(31, 32)와 하위밴드(41, 42)의 구성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기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타향당김안내부(7)를 당기게되면 상기 상위밴드(31, 32)와 하위밴드(41, 42)가 슬라이딩되면서 당겨지게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비닐백을 개폐할 수 있는 플라스틱 봉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봉투는 좌우측에 외향당김안내부(6)와 타향당김안내부(7)를 가져서 사용자가 양측으로 당기기 위해 손으로 잡아야 할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당김안내부를 돌출시키지 아니하면서 상하측에 홈(9)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당기는 부분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하면서도, 금형크기의 확장이 필요 없고 한 번의 사출프레스 공정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제조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위밴드와 하위밴드를 당긴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봉투의 사용방법은 이하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 봉투 좌우측에 설치된 외향당김안내부(6)와 타향당김안내부(7)를 손으로 잡고 양 쪽 외향으로 당기면, 합동접합부(51, 54) 둘레의 절취선(8)을 따라 절취활성화부(9)가 절취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31,32; 41,42)가 외방으로 당겨지면서 개구부(2)를 조이게 되며, 조여진 개구부(2)는 길어 진 밴드로 봉투를 묶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편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봉투를 닫을 수 있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부호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지 않고도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 것일 뿐, 그 형상이나 구조를 도면에 도시된 바로 한정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1: 수용부
2: 개구부
21:제1바인딩부
22: 제2바인딩부
23, 24: 공간부
31,32,41,42: 밴드
51, 52, 53, 54: 합동접합부
6: 외향당김안내부
7: 타향당김안내부
8: 절취선
9: 홈

Claims (1)

  1. 2매의 평판형 플라스틱 시트(11, 12)를 접합하여 형성시키되 상방에 개구부(2)가 형성되게 하는 수용부(1)와;
    상기 (2)의 상단부를 하향으로 구부려 접합시키어 공간부(23, 24)를 가지게 하여서 된 제1 및 제2 바인딩부(21, 22)와;
    상기 및 제2 바인딩부(21, 22)의 공간부(23, 24) 내에 각각 상하로 설치되는 상위밴드(31, 32)와 하위밴드(41, 42)와;
    2매의 상기 틱필름(11, 12)의 좌우단을 접합하여 수용부(1)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제1바인딩부(21)와 제2바인딩부(22)의 좌우단 및 그 내부에 설치되는 밴드들의 좌우단을 한꺼번에 접합하되, 제1바인딩부(21)와 제2바인딩부(22)의 상위밴드(31, 32)들은 상위 밴드들끼리 하위밴드(41, 42)들은 하위 밴드들끼리 수용부(1)의 좌우단과 함께 합동으로 접합되게 하여서 된 합동접합부(51, 52, 53, 54)와;
    상기 합동접합부(51)에 접하며, 상기 상위밴드(31, 32)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 당김을 안내하게 하는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합동접합부(54)에 접하며 상기 하위밴드(41, 42) 중 적어도 하나의 밴드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측 당김을 안내하게 하는 타향당김안내부(7);로 구성되고,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의 내측 합동접합부(51)와 타향당김안내부(7)의 내측 합동접합부(54)는, 그 둘레 수용부(1)에 절취선(8)을 형성시켜, 둘레와 함께, 수용부(1)로부터의 분리 이탈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외향당김안내부(6)와 상기 타향당김안내부(7)는 당김위치를 명확하기 하기 위하여 상하측에 각각 홈(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봉투.

KR1020210152814A 2021-11-09 2021-11-09 플라스틱 봉투 KR20230067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814A KR20230067093A (ko) 2021-11-09 2021-11-09 플라스틱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814A KR20230067093A (ko) 2021-11-09 2021-11-09 플라스틱 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093A true KR20230067093A (ko) 2023-05-16

Family

ID=8654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814A KR20230067093A (ko) 2021-11-09 2021-11-09 플라스틱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709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033A (ko) 2007-11-29 2009-06-03 박상희 비닐봉투
US20180050843A1 (en) 2015-04-15 2018-02-22 Norgesposen As Bag
KR20210049020A (ko) 2020-12-09 2021-05-04 김병인 플라스틱 봉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033A (ko) 2007-11-29 2009-06-03 박상희 비닐봉투
US20180050843A1 (en) 2015-04-15 2018-02-22 Norgesposen As Bag
KR20210049020A (ko) 2020-12-09 2021-05-04 김병인 플라스틱 봉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04875A (ja) ばら製品のためのバッグを形成する薄いひだ付きシートから作られる包装体
KR101142090B1 (ko) 김밥 포장지
KR100771250B1 (ko) 김밥 포장지
KR20230067093A (ko) 플라스틱 봉투
KR20210049020A (ko) 플라스틱 봉투
KR200485184Y1 (ko) 절취 사용식 봉함구조를 갖는 비닐봉지
US4200132A (en) Moisture proof bag closure
KR200488287Y1 (ko) 하부 절취 사용식 봉함구조를 갖는 비닐봉지
US2794745A (en) Infusion bag
JP3076271U (ja) 包装用袋
KR101913031B1 (ko) 쇼핑백 겸용 포장백
WO2017037759A1 (ja) 折り畳み収納袋
JP3116125U (ja) 直方体用包装袋
JP2007112504A (ja) 手提げ袋
CN220411169U (zh) 包装盒
CN107902198B (zh) 一种易拆快递包装盒
US2794744A (en) Infusion bag
JP2015077984A (ja) 四面体状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15357B2 (ja) ゆで卵包装袋
CN219928199U (zh) 一种自锁包装结构
CN216402444U (zh) 一种贴合型包装纸盒
JP2007253973A (ja) 包装箱
KR100787781B1 (ko) 김밥 포장지
KR20240008109A (ko) 묶음 끈을 갖는 비닐봉투
KR0129708B1 (ko) 재사용이 가능한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