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703A -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703A
KR20230066703A KR1020210151967A KR20210151967A KR20230066703A KR 20230066703 A KR20230066703 A KR 20230066703A KR 1020210151967 A KR1020210151967 A KR 1020210151967A KR 20210151967 A KR20210151967 A KR 20210151967A KR 20230066703 A KR20230066703 A KR 20230066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eparation
pad
laparoscopic surgery
separa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지현
구호석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1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6703A/ko
Publication of KR2023006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17/4241Instruments for manoeuvring or retracting the uterus, e.g. during lapar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6Surgical swabs, e.g. for absorbency or packing body cavities during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2017/0212Cushions or pads, without holding arms, as tissue retainers, e.g. for retracting visc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22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flexible, e.g. fabrics, meshes,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37Cannulas with means for removing or absorbing fluid, e.g. wicks 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6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tissue or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복강 내 병변 부위에서 펼쳐져 수술부위와 비수술부위를 격리 및 분리되게 하는 분리막이 구비된 패드부재; 상기 패드부재의 테두리 내부에 일단이 설치 고정되고 타단은 테두리 외부에 노출되는 제거와이어가 구비된 제거체; 상기 패드부재가 외부에서 복강경 속으로 삽입 유도 및 분리되게 하는 클램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수술참가 전문인이 감소되는 환경에서 인접장기를 다치게 하지 않고 병변부위 만을 치료할 수 있고 동시에 시술자에게 충분한 시술공간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Peripheral organ separation devic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본 발명은 수술 보조인력이 감소되는 환경에서도 병변부위와 인접된 장기를 가려 수술자의 수술공간과 수술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은 산부인과를 비롯한 여러 외과계열 임상 진료과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시행되고 있는 최소 침습 수술의 대표적인 수술 기법으로, 복부에 작은 절개창을 낸 후, 절개된 구멍을 통하여 비디오카메라 및 수술 기구 등을 넣어 병변부위를 수술하는 것을 말한다.
복강경 수술의 진행은 환자의 배꼽부위를 절개하여 구멍이 형성되게 한 다음, 구멍을 통하여 카메라 및 수술 기구 등이 이동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투관침을 고정시키고, 투관침의 홀을 통하여 수술기구들을 복강 내로 이동시켜 수술을 시행하였는데, 수술 중 수술 부위 및 에서 출혈이 발생하거나, 수술 후 명확한 출혈 없이 혈액이 스며 나오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병변 부위를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병변위치를 찾는데 장기들이 다른 장기들과 유착되어 있으므로 병변부위를 찾는 과정과,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인접된 위치의 장기들로 수술진행이 방해되고 출혈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따라서 출혈부위의 지혈을 위하여 지혈 제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지혈 제제들은 개복수술 시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개발되어 있는 바, 복강경 수술 시에는 체내로의 운반이 원활하지 못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복강경 수술 시 병변부위 주변을 가로막아 수술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복강경용 지혈거즈 운반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91435호(이하 '선발명')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발명은 복강경 수술 시 투관침을 통과하여 지혈거즈를 체내로 운반하는 복강경용 지혈거즈 운반장치에 있어서, 내측면에 가이드로드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여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일측의 외주면을 따라 지혈거즈가 감겨져 구비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혈거즈를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혈거즈를 잘라내는 칼날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지혈거즈가 몸체부 내측에 보관된 상태로 투관침을 이동함으로써, 변형 및 손상 없이 체내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이동부가 몸체부로부터 이탈함과 동시에 그 탄성력에 의하여 지혈거즈가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지혈거즈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체내에 운반 가능하여 지혈효율이 증대 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의 선 발명의 구성은 몸체부를 투관침의 홀을 삽입시켜 몸체부의 손잡이가 투관침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술자 또는 스탭이 손잡이를 누르면 지혈거즈가 몸체부 하단으로 이탈됨과 동시에 탄성력으로 펼쳐지는 구성인 관계로 펼쳐지면서 벌어지는 이동철사에 의해 수술부위의 장기에 상처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철사 끝단에서 지혈거즈가 탄성력으로 펼쳐져 있게 되어 지혈거즈가 탄성력으로 벌어진 상태의 이동철사에서 분리시키기가 용이 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선 발명은 출혈을 흡수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므로 수술부위와 인접된 장기를 분리시켜 수술공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KR등록특허 10-1891435호(2018.08.17. 등록)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시에 복강 내에서 시술을 안전하게 진행됨은 물론 시술부위와 인접된 장기가 분리되게 하여 원활한 수술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술참가 인원이 감소되는 환경에서 시술부위와 인접장기가 분리되게 함으로 수술공간의 충분한 확보는 물론 인접장기에 상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강 내 병변 부위에서 펼쳐져 병변부위와 주변장기를 분리 및 혈액흡수 되는 분리패드가 구비된 패드부재; 상기 분리패드의 테두리 내부에 일단이 설치 고정되고 타단은 테두리 외부에 노출되는 제거와이어가 구비된 제거체; 상기 패드부재를 복강경 속으로 삽입 유도 및 분리되게 하는 클램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패드부재는, 일측면에 흡수대가 구비되고,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분리대가 구비되어 분리패드가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거체는, 상기 분리패드의 테두리 내에 설치되되, 상단테두리에 설치되는 제1와이어와, 하단테두리에 설치되는 제2와이어로 이루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클램프체는, 가느다란 탄성소재를 “ㄷ”형으로 절곡하여 상기 패드부재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탄성클립과, 상기 탄성클립의 하단의 고정단에 설치되는 제1캡과, 상기 탄성클립의 상단에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제2캡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클램프체는, 상기 탄성클립의 상단위치를 절곡하여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을 기준하여 하측에 상기 분리패드가 설치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제2캡이 상기 분리패드와 함께 이동되어 머무르는 해제공간이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2캡은, 상기 제2캡의 하단에 리브테가 돌설되게 하고, 상기 제2캡의 양측면과 리브테에 상기 탄성클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분리패드는, 상기 분리패드의 테두리 상하단이 오므라든 상태로 상기 탄성클립의 제1캡과 제2캡의 캡홀에 장착되고, 복강 내에서 상기 제1캡과 제2캡으로부터 분리되고 펼쳐져 수술되는 병변부위와 인접된 장기 사이가 차단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강 내의 시술을 인접장기를 다치게 하지 않고 병변부위 만을 치료할 수 있어 수술참가 전문인이 감소되는 환경에서도 복강수술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강 내의 병변부위와 주변 장기를 분리함으로써 전문 시술자에게 충분한 시술공간이 제공되는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리패드의 발췌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작용된 분리막투관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작용된 분리막투관기에 대한 조립상태도.
도 5은 본 발명의 분리막투관기에 대한 복강내에서 동작 상태도로 (a)는 분리 동작전 상태도, (b)는 분리 동작상태도, (c)는 분리막 인출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중 병변부위와 주변장기의 분리상태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패드부재를 자궁과 난소 사이에 적용한 예시상세도.
도 8는 본 발명의 패드부재의 사용 후 상태도인데 (a)는 수술 후 제거하기 위해 부피를 줄이기 전 상태이고 (b)는 부피를 줄인 상태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 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리패드의 발췌사시상태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복강 내 병변 부위에서 펼쳐져 수술부위와 비수술부위 및 주변장기를 격리 및 분리시키는 흡수대(150)와, 수분과 혈액이 흡수되게 하는 분리막(160)이 결합된 분리패드(120)로 이루어진 패드부재(100)가 구비되게 한다.
상기 패드부재(100)는, 복강으로 삽입되는 상태에서 펼쳐져 주변장기를 은폐시키기에 충분한 면적이 제공되는 구성으로, 일측면에 수분과 혈액이 흡수되는 소재로 압축된 흡수대(150)가 구비되고,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흡수된 수분 및 혈액의 누출을 차단하고 주변장기를 감싸며 복강 내에서 수술공간이 확보되게 하는 분리대(160)가 구비되는 분리패드(120)가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패드(120)는 흡수대(150)와 분리대(160)가 일체로 결합됨으로 형성되는 테두리(130)에는 수술진행 후 펼쳐진 분리패드(120)를 오므라 들게 하여 면적이 줄어들게 하여 복강경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제거체(200)가 구비된다.
상기 제거체(200)는 펼쳐진 분리패드(120)의 테두리(130)에 당김력을 제공하여 면적이 줄어들게 하는 제거와이어(210)가 설치되게 한다.
상기 제거와이어(210)는 분리패드(120)의 테두리(130) 중 상단테두리(130a)와 하단 테두리(130b)에 설치하는 것이 분리패드(120)의 면적을 오므라들게 하기에 바람직하여 상단테두리(130a)와 하단테두리(130b)에 제거와이어(210)가 설치되게 한다.
상기 제거와이어(210)를 분리패드(120)의 테두리(130)에 설치함에 있어 바람직하기로는 상단테두리(130a)에 제1와이어(220)가 설치되고, 하단테두리(130b)에 제2와이어(230)가 설치되게 한다.
상기 제1와이어(220)와 제2와이어(230)를 분리패드(120)의 상단테두리(130a)와 하단테두리(130b)에 설치하되, 제1, 제2와이어(220,230)의 일단을 분리패드(120)의 상,하단테두리(130a,130b)속으로 깊숙이 삽입되게 하여 고정되게 하고, 제1, 제2와이어(220,230))의 타단은 분리패드(12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작용된 분리막투관기에 대한 분해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분리막투관기에 대한 조립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분리막투관기는 상기 패드부재(100)를 환자의 복강경 속으로 삽입 유도되게 하는 클램프체(300)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체(300)는, 상기 패드부재(100)의 분리패드(120)가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가느다란 금속 또는 합성수지소재를 “ㄷ”형으로 절곡한 탄성클립(310)과, 상기 탄성클립(3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분리패드(120)를 복강속으로 공급 유도되게 제1, 제2캡(320,330)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클립(310)은 상기 제1,제2캡(320,330)이 조립될 수 있는 규격을 갖추도록 “ㄷ”형으로 절곡되며, 끝단의 고정단(312)으로 제1캡(320)이 조립된다.
또한, 탄성클립(310)의 상측부분을 절곡하여 내측공간으로 제2캡(33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걸림턱(315)이 돌출 형성되게 한다.
상기 걸림턱(315)을 탄성클립(310)의 상측부분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걸림턱(315)을 기준으로 탄성클립(310)에는 분리패드(120)의 장착공간(316)과, 장착된 분리패드(120)의 인출을 위한 해제공간(317)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클립(310)에 설치되는 제1캡(320)과 제2캡(330)에는 분리패드(120)가 조립되게 하는 캡홀(323,333)이 내경에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1캡(320)은 탄성클립(310)의 고정단(312)에 조립 설치되게 하고, 제2캡(330)은 의 하단에 제2캡 보다 큰 직경으로 리브테(331)가 돌출되게 형성하고, 제2캡(330)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클립(3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홀(332)이 형성되게 한다.
도 5은 본 발명 중 복강경 수술예시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막투관기에 대한 복강내에서 분리패드를 병변부위에 적용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환자의 복강경 속으로 삽입하기 위해 본 발명의 분리막투관기는 패드부재(100)의 분리패드(120)를 오무려 부피가 축소되게 하는 상태에서 하단을 클램프체(300)의 탄성클립(310)끝단에 설치된 제1캡(320)의 캡홀(323)에 삽입시키고, 분리패드(120)의 상단은 탄성클립(310)의 장착공간(316)으로 위치시키면서 제2캡(330)의 캡홀(333)에 삽입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패드부재(100)의 분리패드(120)는 탄상클립(310)에 조립된 제1캡(320)과 제2캡(330) 사이에 수직상태로 장착되므로 세균감염이 되지 않도록 포장하여 의료기관에 공급된다.
복강경 수술환자가 발생하면, 환자의 배꼽 부위에 싱글포트를 설치하고 수술도구와 장비를 싱글포트를 통해 병변부위에 접근시켜 수술을 진행한다.
복강경을 통한 병변부위를 수술함에 있어 병변부위 주변에 장기들이 밀착되어 있으므로 수술시야 및 수술공간 확보에 방해되므로 병변부위와 주변장기들 사이에 패드부재(100)를 사용하여 수술공간을 확보하고 동시에 수술시야가 확보되게 한다.
병변부위와 주변장기들 사이로 패드부재(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장된 본 발명의 분리막투관기를 선택하여 포장을 벗겨내어 패드부재(100)가 장착된 클램프체(300)를 싱글포트를 통해 환자의 복강 속으로 삽입되게 한다.
복강 속으로 삽입된 클램프체(300)를 병변부위로 이동시켜 클램프체(300)의 탄성클립(310) 또는, 제1캡(320)을 수술도구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또 다른 수술도구로 제2캡(330)을 잡아 상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탄성클립(310)의 장착공간(316)에 설치된 상기 제2캡(330)은 탄성클립(310)의 걸림턱(315)을 넘어 해제공간(317)으로 이동되어 제1캡(320)의 캡홀(323)에 끼워진 패드부재(100)의 분리패드(120)가 제1캡(320)의 캡홀(333)에서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해제공간(317)으로 제2캡(330)이 이동되어 분리패드(120)가 제1캡(320)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면 수술자는 수술도구를 이용하여 분리패드(120)를 당겨내면 제2캡(330)의 캡홀(323)에서 분리되어 복강속으로 공급된다.
복강속으로 공급된 분리패드(120)는 오므라든 상태이므로 이를 펼쳐서 면적이 확개되게 하여 병변부위와 주변장기 사이로 설치되게 한다.
상기 분리패드(120)는 도 7처럼 복강경을 통해 자궁과 난소부위를 수술하는 경우, 자궁과 난소사이에 분리패드를 설치하면 자궁과 난소사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수술조력자의 도움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병변위치에 대한 수술시야 및 수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8는 본 발명의 패드부재의 사용 후 상태도인데 (a)는 수술 후 제거하기 위해 부피를 줄이기 전 상태이고 (b)는 부피를 줄인 상태의 예시도이다.
병변부위에 대한 수술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분리패드(120)를 제거해야 하므로, 지궁과 난소사이에 펼쳐져 공간을 분리한 분리패드(120)를 수술도구로 잡고, 분리패드(120)의 테두리(130)에 설치된 제거체(200)의 제1와이어(220) 및 제2와이어(230)를 선택적 또는 순차적으로 잡아당기면 분리패드(120)는 오므라들어 면적이 축소되고, 제거와이어(210)를 잡아당김으로 면적이 오므라든 분리패드는 수술도구를 이용하여 싱글포트 밖으로 끌어내어 복강속에서 제거되는 상태가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패드부재 120 : 분리패드 130 : 테두리
130a: 상단테두리 130b: 하단테두리 150 : 흡수대
160 : 분리대 200 : 제거체 210 : 제거와이어
220 : 제1와이어 230 : 제2와이어 300 : 클램프체
310 : 탄성클립 312 : 고정단 315 : 걸림턱
316 : 장착공간 317 : 해제공간 320 : 제1캡
321 : 캡홀 323 : 캡홀 330 : 제2캡
331 : 리브테 332 : 가이드홀 333 : 캡홀

Claims (7)

  1. 복강 내 병변 부위에서 펼쳐져 병변부위와 주변장기를 분리 및 혈액흡수 되는 분리패드가 구비된 패드부재;
    상기 분리패드의 테두리 내부에 일단이 설치 고정되고 타단은 테두리 외부에 노출되는 제거와이어가 구비된 제거체;
    상기 패드부재를 복강경 속으로 삽입 유도 및 분리되게 하는 클램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2.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는,
    일측면에 흡수대가 구비되고,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분리대가 구비되어 분리패드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3.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체는,
    상기 분리패드의 테두리 내에 설치되되, 상단테두리에 설치되는 제1와이어와, 하단테두리에 설치되는 제2와이어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4.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체는,
    가느다란 탄성소재를 “ㄷ”형으로 절곡하여 상기 패드부재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탄성클립과,
    상기 탄성클립의 하단의 고정단에 설치되는 제1캡과,
    상기 탄성클립의 상단에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제2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5.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체는,
    상기 탄성클립의 상단위치를 절곡하여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을 기준하여 하측에 상기 분리패드가 설치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제2캡이 상기 분리패드와 함께 이동되어 머무르는 해제공간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6.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캡은,
    상기 제2캡의 하단에 리브테가 돌설되게 하고, 상기 제2캡의 양측면과 리브테에 상기 탄성클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7.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패드는,
    상기 분리패드의 테두리 상하단이 오므라든 상태로 상기 탄성클립의 제1캡과 제2캡의 캡홀에 장착되고, 복강 내에서 상기 제1캡과 제2캡으로부터 분리되고 펼쳐져 수술되는 병변부위와 인접된 장기 사이가 차단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KR1020210151967A 2021-11-08 2021-11-08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KR20230066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967A KR20230066703A (ko) 2021-11-08 2021-11-08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967A KR20230066703A (ko) 2021-11-08 2021-11-08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703A true KR20230066703A (ko) 2023-05-16

Family

ID=8654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967A KR20230066703A (ko) 2021-11-08 2021-11-08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670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435B1 (ko) 2017-04-05 2018-08-2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경용 지혈거즈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435B1 (ko) 2017-04-05 2018-08-2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경용 지혈거즈 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3231B2 (ja) 修正されたポート形状を含む発泡体導入システム
EP2630929B1 (en) Multi-portion wound protector
EP1204381B8 (en) A surgical access device
US20130190573A1 (en) Wound protector including flexible and rigid liners
US6589211B1 (en) Modified trocar and methods of use
US20090270789A1 (en) Suction dome for atraumatically grasping or manipulating tissue
US20090131751A1 (en) Anal surgical instrument guides
US8574155B2 (en) Expandable surgical access port
CA2904739C (en) Trocar surgical seal
CA2702419A1 (en) Flexible access assembly with reinforced lumen
KR101612718B1 (ko) 트로카
JP2020531227A (ja) 腟式アクセスのためのツール及び方法
US20150230788A1 (en) Re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y
US9247955B2 (en) Thoracic access port
JP4623067B2 (ja) 医療用処置用具
KR101665214B1 (ko) 복강경 밀봉 브릿지
KR20230066703A (ko) 복강경 수술 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KR20230066702A (ko) 복강경 수술시 주변장기 분리장치
EP2630926B1 (en) Two-part access port
JP4297710B2 (ja) 圧排器具
US12016526B2 (en) Mucous membrane lifting instrument and mucous membrane lifting method
KR102102531B1 (ko)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US9936958B2 (en) Zip clip
KR20230094323A (ko) 복강경 수술 공간의 기체 유출방지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