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394A - 균일한 미세공극을 갖는 통기성 필름 - Google Patents

균일한 미세공극을 갖는 통기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394A
KR20230066394A KR1020237011644A KR20237011644A KR20230066394A KR 20230066394 A KR20230066394 A KR 20230066394A KR 1020237011644 A KR1020237011644 A KR 1020237011644A KR 20237011644 A KR20237011644 A KR 20237011644A KR 20230066394 A KR20230066394 A KR 20230066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filler
film
polymer blend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징야 리
리화 천
시룬 웡
창칸 정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6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32B27/2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the fillers creating voids or cavities, e.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3Solid polymers with solid and/or liqu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1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1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3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7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30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dimension
    • B32B2264/303Average diameter greater than 1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통기성(breathable) 필름 및 통기성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통기성 필름은, 폴리올레핀과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를 포함한다. 통기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를 압출하는 단계, 압출된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필름을 연신하여 통기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통기성 필름은 증가된 WVTR 값을 나타낼 수 있고, 개선된 미세공극 균일성을 제공하면서 충전제 탈락(dropping)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균일한 미세공극을 갖는 통기성 필름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통기성(breathable) 필름 및 통기성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에 관련된 것이다.
서론
통기성 필름은 신선한 농산물 포장, 유아용 기저귀, 성인 요실금 제품, 수술 가운 및 기타 위생 및 의료 용품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에 사용된다. 통기성 필름은 수증기의 통과를 허용하고 물방울 응축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증기 투과율(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을 제공하기 위해 미세다공성 모폴로지(morphology)(즉, 미세공극(micro-void))를 갖는다. 통기능(breathability) 또는 WVTR은 많은 통기성 필름의 중요한 특성인데, 그 이유는, 수증기의 투과를 허용하면서도 필름이 액체 장벽(barrier) 역할을 하여 보호 또는 편안함과 같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과일의 플라스틱 식품 포장에 사용되는 통기성 필름은 곰팡이의 성장을 유발하는 과일 상의 물방울 응축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통기성 필름은 전형적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충전제(예를 들어, CaCO3)를 혼입시키고, 캐스트(cast) 또는 취입(blown) 필름을 제조하고, 기계 방향 배향 롤을 통해, 텐터링(tentering)을 통해, 또는 맞물리는 기어를 통해 상기 캐스트 또는 취입 필름을 연신 또는 배향함으로써 제조되며, 이때 상기 필름은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 아래에서 기계 방향 또는 교차 방향 중 하나 또는 둘 다로 링 롤링되거나 점증적으로 연신된다. 미세공극은 부분적으로는 필름의 폴리올레핀 내로 충전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인해 생성된다. 기계 방향 배향 또는 맞물림 장치 사용과 같은 압출-후 공정 또한 충전제와 폴리올레핀 계면에서 충전제 입자 주변에 공동화(cavitation)를 일으켜 필름 내에 미세공극을 생성하는 데 기여한다.
미세공극의 수 및 이에 따른 WVTR 값은 충전제의 양과 연신량을 증가시키거나 조절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충전제의 양 및 연신량을 증가시키면 충전제 탈락(dropping) 문제(예를 들어, 통기성 필름 표면 상의 잔류 충전제 잔사)가 발생한다. 또한, 이것은, 미세공극의 균일성 부족 문제를 일으키고, 이는 WVTR의 불량한 균일성 및 필름이 찢어지거나 핀홀(pinhole)이 발생하는 경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높은 미세공극 및 수증기 투과 균일성, 더 적은 충전제 탈락, 및 증가되거나 개선된 WVTR을 갖는 필름을 제공하는 통기성 필름 제형 및 통기성 필름 제조 방법에 대한 강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기존의 통기성 필름에 비해 개선된 WVTR 및 미세공극 균일성뿐만 아니라 감소된 충전제 탈락을 나타내는 통기성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요구를 충족시킨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통기성 필름은,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더 높은 WVTR 및 더 적은 충전제 탈락과 같은 우수한 결과를 달성한다. 상기 필름은 비용이 많이 드는 추가 처리 단계 또는 라미네이션 단계 없이 재료들을 블렌딩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통기성 필름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상기 통기성 필름은 (a) 중합체 블렌드 및 (b) 충전제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 블렌드는 (i)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레핀; (ii)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운모, 활석, 실리카, 점토, 유리구(glass sphere), 이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은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7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충전제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충전제는 5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 중앙값(median particle size)(D50)을 갖는다.
본원에서는 또한 통기성 필름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통기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충전제, 및 폴리올레핀과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를 압출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은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7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충전제는 5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 중앙값(D50)을 갖고,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운모, 활석, 실리카, 점토, 유리구, 이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계; 압출된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을 기계 방향, 교차 방향 또는 둘 모두로 연신시켜 통기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실시형태는 하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통기성 필름의 미세공극의 특성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필름의 9개의 지정 영역 A1 내지 A9를 나타내는 통기성 필름 샘플의 SEM 이미지이다.
개시된 통기성 필름의 한 양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통기성 필름은 예를 들어 신선한 농산물 포장, 유아용 기저귀, 성인 요실금 제품, 수술용 가운 및 기타 위생 및 의료 용품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오히려, 이들 실시형태는 본 개시내용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 주제의 범위를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합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중합체성 화합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 용어 중합체는 (단지 한 가지 유형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독중합체라는 용어, 및 공중합체 또는 인터폴리머라는 용어를 포괄한다. 미량의 불순물(예를 들어, 촉매 잔사)이 중합체 내로 혼입되고/되거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중합체는 하나의 중합체, 중합체 블렌드, 또는 중합체 혼합물, 예컨대 중합 동안 동일반응계에서(in situ) 형성되는 중합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폴리올레핀"은, 중합된 형태로, 주요량의 올레핀 단량체, 예를 들어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중합체의 중량 기준)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에틸렌"은 에틸렌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주요량(>50 mol%) 포함하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공중합체"는 2개 이상의 단량체를 갖는 임의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적어도 하나의 공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에틸렌 공중합체의 예는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세공극"은, 필름의 표면을 중단시키는 통기성 필름 내의 작은 구멍(hole)을 의미한다.
용어 "포함하는", "비롯한", "갖는" 및 이들의 파생어는, 임의의 추가 구성요소, 단계 또는 절차의 존재를, 구체적으로 개시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배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용어 "포함하는"의 사용을 통해 청구된 모든 조성물은, 반대되는 언급이 없는 한, 임의의 추가 첨가제, 보조제 또는 화합물을 중합체성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포함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용어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은, 임의의 후속되는 설명의 범위로부터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또는 절차를 배제하여, 작동성(operability)에 필수적이지 않은 것들을 제외한다. 용어 "이루어진"은 구체적으로 기술되거나 나열되지 않은 구성요소, 단계 또는 절차를 배제한다.
통기성 필름의 중합체 블렌드
본원에 개시된 통기성 필름은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를 포함한다. 중합체 블렌드는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폴리올레핀은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74 중량%("wt.%")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틸렌 공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충전제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실시형태에서, 중합체 블렌드는 0.910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다. 본원에 0.910 내지 0.950 g/㎤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 범위가 개시되고 포함되며; 예를 들어, 중합체 블렌드는 0.910 내지 0.950 g/㎤, 0.910 내지 0.940 g/㎤, 0.910 내지 0.930 g/㎤, 0.910 내지 0.920 g/㎤, 0.915 내지 0.940 g/㎤, 0.915 내지 0.930 g/㎤, 또는 0.915 내지 0.920 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통기성 필름의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 공중합체 이외에, 본원에 기술된 통기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체 블렌드는 추가로, 프로필렌계 플라스토머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배향된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아크릴 이미드, 부틸 아크릴레이트, 과산화물(예를 들어, 퍼옥시중합체, 예컨대 퍼옥시올레핀), 실란(예를 들어, 에폭시실란), 반응성 폴리스티렌, 염소화된 폴리에틸렌,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이오노머 및 그래프트-개질된 중합체(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또는 0.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중합체 블렌드의 폴리올레핀
통기성 필름의 중합체 블렌드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폴리올레핀은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4 내지 7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 폴리올레핀의 34 내지 75 중량%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 범위가 개시되고 포함되며;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은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70 중량%, 40 내지 60 중량%, 40 내지 55 중량%, 또는 45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이거나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폴리에틸렌은 0.945 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 0.945 g/㎤ 이하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 범위가 포함되고 개시되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하한 0.870 g/㎤ 내지 상한 0.945, 0.935, 0.925, 0.920, 또는 0.915 g/㎤의 범위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이 중합체 블렌드의 일부인 실시형태에서, 폴리에틸렌의 용융 지수(I2)는 0.3 내지 10.0 g/10분, 0.3 내지 7.0 g/10분, 0.3 내지 5.0 g/10분, 0.3 내지 4.0 g/10분, 또는 1.0 내지 4.0 g/10분일 수 있다.
통기성 필름의 중합체 블렌드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에틸렌의 예는 예를 들어 ELITE™ 5220G를 비롯하여 상품명 ELITE™으로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것들을 포함한다.
중합체 블렌드의 에틸렌 공중합체
통기성 필름의 중합체 블렌드는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에틸렌 공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 1 내지 10 중량%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 범위가 개시되고 포함되며; 예를 들어, 에틸렌 공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2 내지 8 중량%, 3 내지 7 중량%, 또는 4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통기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에 특정 유형 및 양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은 폴리올레핀과 충전제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충전제 탈락을 감소시키고, WVTR을 증가시키고, 미세공극 개수 및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0 중량%의 공단량체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 아크릴레이트(EA), 부틸 아크릴레이트(B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공단량체 함량이 1 내지 40 중량%, 5 내지 35 중량%, 10 내지 30 중량%, 또는 15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에틸렌 공중합체는 0.1 내지 20 g/10분, 1 내지 20 g/10분, 5 내지 15 g/10분, 또는 6 내지 12 g/10분의 용융 지수(I2)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함량을 가질 수 있고, 0.1 내지 20 g/10분, 1 내지 20 g/10분, 5 내지 15 g/10분, 또는 6 내지 12 g/10분의 용융 지수(I2)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에틸렌 공중합체의 예는 ELVAX™ 470 및 ELVALOY™ AC 1820을 포함하며, 이들은 미시건주 미들랜드 소재의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통기성 필름의 충전제
통기성 필름은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운모, 활석, 실리카, 점토, 유리구, 이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충전제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충전제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 25 내지 55 중량%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 범위가 개시되고 포함되며; 예를 들어, 충전제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55 중량%, 30 내지 55 중량%, 40 내지 55 중량%, 또는 50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충전제는 5 미크론(마이크로미터(μm)로도 지칭됨) 미만의 입자 크기 중앙값(D50)을 갖는다. 본원에 5 미크론 미만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 범위가 개시되고 포함된다. 예를 들어, 충전제는 입자 크기 중앙값(D50)이 4 미크론 미만, 3 미크론 미만, 2 미크론 미만 또는 1 미크론 미만이거나 0.1 내지 4 미크론, 0.1 내지 3 미크론, 0.1 내지 2 미크론, 또는 0.1 내지 1 미크론 범위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통기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체 블렌드는 산화방지제(예를 들어, BASF에서 공급되는 IRGANOX® 1010 또는 IRGANOX® 1076과 같은 장애 페놀류), 포스파이트(예를 들어, 또한 BASF에서 공급되는 IRGAFOS® 168), 가공 보조제,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안료, 착색제, 정전기 방지 첨가제, 난연제, 미끄럼 방지제, 블록킹-방지 첨가제, 살생물제, 항균제 및 투명화제/조핵제(예를 들어, Milliken Chemical에서 입수 가능한 HYPERFORM™ HPN-20E, MILLAD™ 3988, MILLAD™ NX 8000)와 같은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준으로 필름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10 중량%,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5 중량% 범위,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 중량%,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3 중량%, 또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통기성 필름의 전체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부 실시형태에서, 20 밀(mil) 미만일 수 있다. 본원에 20 밀 미만의 모든 개별 값 및 하위 범위가 포함되고 개시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통기성 필름의 전체 두께는 15 밀 미만, 10 밀 미만, 8 밀 미만, 6 밀 미만, 4 밀 미만, 2 밀 미만, 또는 1.5 밀 미만일 수 있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통기성 필름의 전체 두께는 0.1 내지 6 밀, 0.1 내지 4 밀, 0.1 내지 2 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통기성 필름의 전체 두께는 0.1 내지 1.5 밀일 수 있다.
통기성 필름의 평량(basis weight)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부 실시형태에서, 8 내지 100 gsm일 수 있다. 통기성 필름의 평량은 필름의 원하는 특성, 필름의 최종 용도 적용례, 필름 제조에 이용가능한 장비, 적용례가 허용하는 비용 및 기타 요인을 비롯한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원에 8 내지 100 gsm의 모든 개별 값과 하위 범위가 포함되고 개시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통기성 필름은 8 내지 100 gsm, 8 내지 80 gsm, 8 내지 50 gsm, 8 내지 40 gsm, 8 내지 20 gsm, 20 내지 100 gsm, 20 내지 80 gsm, 또는 20 내지 50 gsm의 평량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WVTR은 조정 가능하며, 즉, WVTR은 의도된 용도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충전제의 양 및 선택 및 연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일정 범위에 걸쳐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충전제, 더 높은 수준의 에틸렌 공중합체 및 더 높은 수준의 연신으로 더 높은 WVTR을 얻는다. 본원에 기술된 특정 중합체 블렌드 제형으로 형성되지 않은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형성된 필름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필름은 동일한 연신비(예를 들어, 3, 5, 7의 연신비)로 연신되는 경우 및 동일한 유형 및 양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경우 놀랍고도 유의미하게 더 높은 WVTR값을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는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를 사용한 이러한 더 높은 WVTR 값의 현상을 입증한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아래에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적어도 100 g/m2*일 및 최대 10,000 g/m2*일의 WVTR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아래에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3:1의 연신비에서 100 g/m2*일 초과, 또는 대안적으로 200 g/m2*일 초과, 또는 대안적으로 300 g/m2*일 초과의 WVTR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아래에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5:1의 연신비에서 400 g/m2*일 초과, 또는 대안적으로 600 g/m2*일 초과, 또는 대안적으로 800 g/m2*일 초과, 대안적으로 1,000 g/m2*일 초과, 또는 대안적으로 1,200 g/m2*일 초과의 WVTR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아래에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7:1의 연신비에서 1,100 g/m2*일 초과, 또는 대안적으로 1,300 g/m2*일 초과, 또는 대안적으로 1,500 g/m2*일 초과, 대안적으로 1,700 g/m2*일 초과, 또는 대안적으로 1,900 g/m2*일 초과의 WVTR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0.5 내지 5 미크론, 또는 대안적으로 1 내지 3 미크론의 평균 직경의 미세공극을 가질 수 있으며, 미세공극의 평균 직경은 아래에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0.5 내지 10%, 또는 대안적으로 1 내지 8%의 미세공극 점유율(occupation percentage)(%)을 가질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3의 연신비에서 0.75 내지 3%, 또는 대안적으로 3의 연신비에서 1 내지 2%의 미세공극 점유율을 가질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필름은, 5의 연신비에서 1.5 내지 8%, 또는 대안적으로 5의 연신비에서 3 내지 7%의 미세공극 점유율을 가질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7의 연신비에서 4 내지 10%, 또는 대안적으로 7의 연신비에서 6 내지 9%의 미세공극 점유율을 가질 수 있다. 미세공극 점유율은 아래에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통기성 필름은 3의 연신비에서 평균 미세공극 면적에 대한 미세공극 면적의 상대 표준 편차(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로 표현되는 미세공극 균일성(uniformity)이 0.020 미만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미세공극 면적의 RSD가 0.010 미만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통기성 필름은 5의 연신비에서 평균 미세공극 면적에 대한 미세공극 면적의 상대 표준 편차(RSD)로 표현되는 미세공극 균일성이 0.012 미만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미세공극 면적의 RSD가 0.010 미만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통기성 필름은 7의 연신비에서 평균 미세공극 면적에 대한 미세공극 면적의 상대 표준 편차(RSD)로 표현되는 미세공극 균일성이 0.0050 미만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미세공극 면적의 RSD가 0.0020 미만일 수 있다. 미세공극 균일성 또는 평균 미세공극 면적에 대한 미세공극 면적의 상대 표준 편차는 아래에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통기성 필름은 여러 가지의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공정은 필름을 취입 또는 캐스트 필름으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름은 취입, 캐스트 또는 압출 코팅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통기성 필름은 기계 방향 연신, 교차 방향 연신, 링 롤링 연신, 냉간 연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연신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기계 방향 및/또는 교차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통기성 필름은 1:1 내지 10:1의 연신비로, 또는 대안적으로 2:1 내지 8:1의 연신비로 기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통기성 필름은 1:1 내지 10:1의 연신비로, 또는 대안적으로 2:1 내지 8:1의 연신비로 교차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적어도 1.4:1의 연신비로 기계 방향으로 연신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통기성 필름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충전제, 및 폴리올레핀과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를 압출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은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7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충전제는 입자 크기 중앙값(D50)이 5 미크론 미만이고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운모, 활석, 실리카, 점토, 유리구, 이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계; 압출된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을 기계 방향, 교차 방향 또는 둘 모두로 연신시켜 통기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통기성 필름이, 공압출되거나 또는 라미네이트로서의 추가 층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도 또한 고려된다. 이 추가 층은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추가적인 강도, 부직포와 같은 다른 기재에 대한 접착성, 및/또는 느낌 또는 외관과 같은 미적 특성을 제공하는 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은 필름/부직포 라미네이트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라미네이트에 사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부직포는 스펀레이드(spunlaid), 에어레이드(airlaid), 카딩된 웹(carded web) 또는 이들의 복합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을 갖는 라미네이트에 사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부직포 복합재는 3개의 스펀본드(spunbond) 빔(예를 들어, S/S/S), 스펀본드/멜트블로운(meltblown)/스펀본드 복합재(예를 들어, S/M/S) 등을 포함한다. 필름을 부직포에 결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예를 들어 본드형(bonded) 핫 멜트 접착제 라미네이션, 초음파 접합, 및 캘린더 또는 닙 롤을 통한 열 접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는 물품은 액체 불투과성이지만 통기성인 층으로서 일회용 위생 및 의료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는 물품의 예는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여성 위생 제품, 성인 요실금 제품, 의료용 드레이프, 의료용 가운, 수술복 등을 포함한다.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여성 위생 제품 및 성인 요실금 제품과 같은 물품에서 통기성 필름은 종종 백시트라고도 지칭된다. 의료 제품에서 통기성 필름은, 헬스 케어 종사자로부터 환자에게로 또는 그 반대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종 "배리어 층"이라고도 지칭된다. 통기성 필름은 본원의 교시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이러한 물품에 통합될 수 있다.
시험 방법
밀도
밀도는 ASTM D792에 따라 측정되며 그램/㎤(g/㎤)으로 표시된다.
용융 지수(I 2 )
용융 지수(I2)는 ASTM D-1238에 따라 190℃ 및 2.16 ㎏에서 측정된다. 이 값은, 10분당 용출된 그램에 해당하는 g/10분 단위로 보고된다.
수증기 투과율(WVTR)
수증기 투과율(WVTR)은 ASTM E96-16 및 GB/T12704.2(2009)의 표준 컵 방법을 기준으로 측정된다. 시험 접시에 증류수 10 ml를 채운다. 시험 접시에 시편을 부착하고 접시를 워셔(washer)와 링 캡(ring cap)으로 밀봉한다. 접시 조립체의 무게를 질량(Wa)으로 기록한다. 접시 조립체를 일정한 온도(40℃) 및 습도(60%)의 제어된 챔버에 배치한다. 4시간 후, 접시 조립체를 제어된 챔버에서 제거하고 칭량하며, 이 질량은 (Wb)로 기록한다. WVTR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pct00001
[g/m2*일]
WVTR: 수증기 투과율, [g/m2*일]
Wa: 시험 전 시험 접시 조립체의 질량, [g]
Wb: 시험 후 시험 접시 조립체의 질량, [g]
S: 시험 영역 = 0.0032 m2, [m2]
T: 시험 시간 = 4시간, [h]
미세공극 균일성 분석
단일 엣지 면도날을 사용하여 실시예 필름의 중간부에서 3 mm x 3 mm 샘플을 절단한다. 이어서 샘플을 샘플 홀더에 장착하고 탄소로 코팅한다. Hitachi S-3400N SEM을 이미지화를 위해 채택하고, HV 모드에서 BSE 이미지화한다. SEM의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가속 전압 5 ㎸, 작동 거리 6 mm, 최대치의 콘트라스트 설정, 스캔 영역 0.26 mm x 0.18 mm, 탄소 코팅 처리된 조리개 1. SEM의 이미지 처리 및 분석에 MATLAB(MathWorks R2017b, 64비트 버전)을 사용한다. 이미지 처리 툴박스(버전 9.3) 및 통계처리 및 장비 학습 툴박스(버전 10.1)가 MATLAB에서 사용된다. 다음의 이미지 분석 코드를 사용하여 미세공극 개수, 미세공극 점유율, 미세공극의 평균 직경 및 미세공극 균일성을 계산한다.
im2=im2bw(im1,0.4);
figure,imshow(im2);
i㎥=~im2;
im4 = imfill(i㎥,'holes');
im5=bwareaopen(im4,30);
stats = regionprops(im5,'Area', 'EquivDiameter');
필름 샘플 상에 A1부터 A9까지의 9개의 섹션 또는 영역을 지정한다. 도 1은 A1부터 A9까지의 9개의 섹션/영역을 나타내는 샘플 통기성 필름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다. 전술한 이미지 분석 코드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미세공극의 직경 및 각 섹션의 면적을 계산하여 필름 전체에 걸친 미세공극 분산을 특성분석한다. A1부터 A9까지의 전체 영역에 대해 미세공극의 개수와 미세공극의 평균 직경을 계산한다. 필름의 미세공극 균일성은 A1부터 A9까지의 평균 미세공극 면적에 대한 A1부터 A9까지의 미세공극 면적의 상대 표준 편차(RSD)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상대 표준 편차=
Figure pct00002
xi는 A1, A2, A3, A4, A5, A6, A7, A8 또는 A9의 미세공극 면적이고,
Figure pct00003
는 A1 내지 A9의 평균 미세공극 면적이다.
미세공극 점유율은, 스캔 영역 내의 미세공극 총 면적을 스캔 영역의 총 면적(0.26 mm x 0.18 mm)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미세공극 점유율을 %로 계산함으로써 계산된다. 각 필름 샘플에 대한 3개의 독립적인 시험이 수행되며, 이때 필름 샘플의 스캔 영역은 무작위로 선택되고 미세공극의 평균 개수, 미세공극 점유율, 미세공극의 직경 및 RSD가 보고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특징을 설명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사용된 재료
아래에서 논의되는 실시예의 통기성 필름에는 다음 재료가 포함되었다.
ELITE™ 5220G: 0.915 g/㎤의 밀도 및 3.5 g/10분의 용융 지수(I2)를 가지며 The Dow Chemical Company(미국 미시건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ELVALOY™ AC 1820: 에틸렌과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에틸렌 공중합체, 20 중량% 아크릴레이트 공단량체 함량, 0.942 g/㎤의 밀도 및 8 g/10분의 용융 지수(I2)를 가지며, The Dow Chemical Company(미국 미시건주 미들랜드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함.
FilmLink® 520: Imerys(프랑스 파리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입자 크기 중앙값(D50)이 2 미크론인 탄산칼슘 충전제.
Irganox® B900: BASF(독일 루드비히샤펜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산화방지제.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통기성 필름인 본 발명 실시예 1은 45 중량%의 ELITE™ 5220G, 5 중량%의 ELVALOY™ AC 1820, 및 50 중량%의 FilmLink® 520의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 제형으로 형성되며, 이때 중량%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 1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체 블렌드의 전체 밀도는 0.918 g/㎤이다.
비교예 1은 ELITE™ 5220G가 ELVALOY™ AC 1820을 대체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제형으로 형성된다. 즉, 비교예는 50 중량%의 ELITE™ 5220G, 및 50 중량%의 FilmLink® 520의 중합체 및 충전제 제형으로 형성되며, 이때 중량%는 중합체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의 재료가 이축 스크류 배합 라인을 통해 압출된다. 하나의 30 밀리미터 압출기와 3개의 25 밀리미터 압출기가 구비된 Dr. Collin 5층 캐스트 라인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압출하여 샘플을 제조한다. 모든 압출기는 동일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작동되므로, 개념적으로, 각 경우에, 생성된 필름은 단층 필름과 동등(equivalent)하다. 모든 필름 예 및 샘플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조건은 표 1 내지 표 3에 나와 있다. 압출 후, 필름을 재가열, 연신, 어닐링, 냉각하고, 롤 상에 권취한다. 연신비를 설정하고, 샘플 필름을 3:1, 5:1 및 7:1의 연신비로 기계 방향으로 배향시킨다. 샘플 필름을 비교예 1A(연신비 3:1), 비교예 1B(연신비 5:1), 비교예 1C(연신비 7:1), 본 발명 실시예 1A(연신비 3:1), 본 발명 실시예 1B(연신비 5:1) 및 본 발명 실시예 1C(연신비 7:1)로 지정한다. 모든 필름의 최종 평량은 18 gsm이다.
[표 1]
Figure pct00004
[표 2]
Figure pct00005
[표 3]
Figure pct00006
상이한 연신비에서의 각각의 상기 실시예 필름을 전술한 시험 방법에 따라 WVTR 값에 대해 시험한다. 아래 표 4는 그 결과를 제공한다. 결과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 1의 통기성 필름은 비교예 1의 통기성 필름에 비해 놀랍고도 유의미하게 더 높은 WVTR 값을 갖는다.
[표 4]
Figure pct00007
실시예 필름은 또한 충전제 탈락에 대해 가시적으로 검사된다. 본 발명 실시예 1A, 1B 및 1C가 비교예 1A, 1B 및 1C에 비해 놀랍고도 유의미하게 더 적은 충전제 탈락을 나타낸다는 것이 필름 검사로부터 쉽게 명백해진다.
미세공극의 개수, 미세공극 점유율, 미세공극의 평균 직경, 및 상대 표준 편차(RSD)로 표시되는 미세공극 균일성을 측정할 목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시험 방법에 따라 MATLAB을 사용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실시예 필름의 샘플을 분석한다. 표 5는 그 결과를 제공한다. 표 5의 결과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연신비에서 비교 필름과 비교할 때 본 발명 실시예 필름은, 본 발명의 필름이 많은 개수의 미세공극 및 더 높은 미세공극 점유율을 갖는 경우조차도, 놀랍도록 낮은 RSD를 가지며, 따라서 더 우수한 미세공극 균일성을 갖는다.
[표 5]
Figure pct00008
본원에 인용된 모든 문서, 존재한다면, 예컨대 상호-참조되거나 관련된 특허 또는 출원, 및 본 출원이 우선권 또는 이익을 주장하는 임의의 특허 출원 또는 특허는, 명시적으로 배제되거나 또는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포함된다. 모든 문서의 인용은, 이것이 본원에 개시되거나 청구된 임의의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거나 단독으로 또는 다른 참고 문헌과 조합되어 임의의 그러한 발명을 교시, 제시 또는 개시함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에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인용되어 포함된 문서에 있는 동일한 용어의 의미 또는 정의와 충돌하는 경우, 본원에서 해당 용어에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9)

  1. 통기성(breathable) 필름으로서,
    (a) 하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
    (i)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레핀;
    (ii)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틸렌 공중합체; 및
    (b)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운모, 활석, 실리카, 점토, 유리구, 이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충전제
    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은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7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충전제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충전제는 5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 중앙값(median particle size)(D50)을 갖는, 통기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0 중량%의 공단량체 함량을 갖는, 통기성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적어도 1.4:1의 연신비로 기계 방향으로 연신된 것인, 통기성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블렌드가 0.910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 통기성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가, 10 내지 3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 함량 및 0.1 내지 20 g/10분의 용융 지수(I2)를 갖는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통기성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8 내지 100 gsm의 평량을 갖는, 통기성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3의 연신비에서 적어도 300 g/m2*일의 WVTR을 갖는, 통기성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하기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통기성 필름: a) 0.5 내지 10%의 미세공극 점유율(micro-void occupation percentage); b) 0.5 내지 5 미크론의 평균 직경의 미세공극; 및 c) 3의 연신비에서 미세공극 면적의 상대 표준 편차 0.020 미만의 미세공극 균일성.
  9. 통기성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충전제, 및 폴리올레핀과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렌드를 압출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은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7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충전제는 5 미크론 미만의 입자 크기 중앙값(D50)을 갖고, 중합체 블렌드와 충전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운모, 활석, 실리카, 점토, 유리구, 이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계;
    압출된 중합체 블렌드 및 충전제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을 기계 방향, 교차 방향 또는 둘 모두로 연신시켜 통기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237011644A 2020-09-11 2021-09-07 균일한 미세공극을 갖는 통기성 필름 KR20230066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77008P 2020-09-11 2020-09-11
US63/077,008 2020-09-11
PCT/US2021/049197 WO2022055834A1 (en) 2020-09-11 2021-09-07 Breathable films having uniform micro-voi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394A true KR20230066394A (ko) 2023-05-15

Family

ID=7808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644A KR20230066394A (ko) 2020-09-11 2021-09-07 균일한 미세공극을 갖는 통기성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23048A1 (ko)
EP (1) EP4211188A1 (ko)
KR (1) KR20230066394A (ko)
CN (1) CN116018371A (ko)
WO (1) WO2022055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6751B (zh) * 2022-03-28 2023-07-1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烯烃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6421A (en) * 1997-04-02 2000-12-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ed-filled microporous fil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0773737B1 (ko) * 2006-05-10 2007-11-09 (주)대명화학 소음이 적고, 은폐력이 향상된 위생용 필름
EP3060600B1 (en) * 2013-10-25 2019-06-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olefin based films with improved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s
US11872740B2 (en) * 2015-07-10 2024-01-16 Berry Plastics Corporation Microporous breathable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microporous breathable film
WO2019061267A1 (en) * 2017-09-29 2019-04-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TWO-COMPONENT FIBERS, AND ASSOCIATED NON-WOVEN FABRICS, HAVING IMPROVED ELASTIC PERFORMANCE
JP7432603B2 (ja) * 2018-12-10 2024-02-16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少なくとも1つの二成分繊維を有するエアレイド基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1188A1 (en) 2023-07-19
US20230323048A1 (en) 2023-10-12
WO2022055834A1 (en) 2022-03-17
CN116018371A (zh)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6875C (en) Oriented polymeric microporous films
KR100718674B1 (ko) 통기성 필름
EP1218181B1 (en) Breathable multilayer films with breakable skin layers
WO2014088065A1 (ja) 透湿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80036B2 (ja) 改善された水蒸気透過速度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KR20230066394A (ko) 균일한 미세공극을 갖는 통기성 필름
KR102563725B1 (ko) 폴리올레핀계 탄성 필름 구조체, 라미네이트 및 이의 방법
WO2021157724A1 (ja) 伸縮フィルム
US20230151170A1 (en) Stretch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1261868A (ja)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40132680A1 (en) Non-breathable films including polymer blend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5013857B2 (ja) 透湿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197902B1 (ko)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KR20230132459A (ko) 신축 필름
JP4193658B2 (ja) 吸収性物品用バックシート材
KR20180071750A (ko) 통기성 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5154B1 (ko) 통기성과 인장강도가 향상된 통기성 필름의 제조방법
JP2002327081A (ja) 結露防止保護被覆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