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048A - 심근경색증 치료를 위한 치료 방법 및 제제 - Google Patents

심근경색증 치료를 위한 치료 방법 및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048A
KR20230066048A KR1020237011751A KR20237011751A KR20230066048A KR 20230066048 A KR20230066048 A KR 20230066048A KR 1020237011751 A KR1020237011751 A KR 1020237011751A KR 20237011751 A KR20237011751 A KR 20237011751A KR 20230066048 A KR20230066048 A KR 20230066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seq
sequence
ser
cdr1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지이헐라
게리 레드리히
Original Assignee
임플리싯 바이오사이언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20903245A external-priority patent/AU2020903245A0/en
Application filed by 임플리싯 바이오사이언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임플리싯 바이오사이언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6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9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4F(ab')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심근경색증 치료를 위한 CD14 길항제 항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심근경색증 치료를 위한 치료 방법 및 제제
본 출원은 2020년 9월 10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심근경색증 치료를 위한 치료 방법 및 제제(Therapeutic methods and agents for the treatment of myocardial infarction)"인 호주 임시 특허 출원 제202090324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심근경색증 치료를 위한 CD14 길항제 항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심장 질환, 특히 심근경색증(MI: Myocardial Infarction)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 및 이환율의 중요한 원인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매년 약 100만 건의 심근경색증이 발생하여 약 300,000 내지 400,000명이 사망한다. MI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경우, 장기적인 심장 손상이 발생하여, 기대 수명과 삶의 질이 감소할 수 있다.
MI는 허혈의 결과로서, 심장 근육 또는 심근의 조직 사멸(, 경색)을 지칭한다. 심근경색증은 심장으로의 혈액 공급이 근육의 산소 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할 때 발생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취약형 죽상경화반(vulnerable atherosclerotic plaque)의 파열 및 혈병(blot clot) 형성과 같은 관상동맥 폐색(또는 막힘)의 결과이다. 덜 일반적인 다른 원인은 관상동맥 색전증, 코카인-유발 허혈, 관상동맥 박리(coronary dissection) 및 관상동맥 연축(coronary vasospasm)을 포함한다.
MI는 치료 목적을 위해 2개의 범주로 나눌 수 있다: 비-ST-분절 상승 MI(NSTEMI: non-ST-segment elevation MI) 및 ST-분절 상승 MI(STEMI: ST-segment elevation MI). STEMI는 혈전 형성으로 주요 심외막 관상동맥 혈관이 완전히 폐쇄될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가장 심각한 형태이고, 생명을 위협하고, 신속하게 진단되고 치료되어야 하는 시간에 민감한 응급상황이다. STEMI의 경우, 응급 재관류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예를 들어 혈관성형술(angioplasty) 또는 스텐트 배치), 혈전용해제(예를 들어 스트렙토키나제, 아니스트레플라제 또는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tPA: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예를 들어 테넥테플라제, 레테플라제 또는 알테플라제)), 또는, 경우에 따라, 관상동맥 우회 이식 수술에 의해 달성된다. NSTEMI의 경우, 재관류는 경피 중재술 또는 관상동맥 우회 이식 수술을 통해 이루어지며; NSTEMI에서 섬유소용해 요법(fibrinolytic therapy)은 사용되지 않는다. 모든 MI 환자는 전형적으로 베타 차단제, 고강도 스타틴,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제 및/또는 혈소판 억제제(예를 들어 아스피린 및/또는 P2Y12 억제제 예를 들어 티클로피딘, 클로피도그렐, 티카그렐러 및 프라수그렐)로 치료된다.
이러한 개입에도 불구하고, 많은 MI 환자는 심장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는다. 심근 손상은 초기 호중구 유입에 이어 단핵구/대식세포 침윤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염증 캐스케이드의 활성화로 이어진다. MI 후 3 내지 5일 사이에 섬유아세포 활성화 및 진행성 흉터 침착과 함께 염증에서 복구로의 전환이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실 구조의 변화, 벽 얇아짐, 허혈성 승모판 역류 및 추가 심근세포 손실과 함께 병리학적 리모델링이 있다. MI에 따른 흉터 조직 및 심실 리모델링의 발달은 환자를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 및 심부전의 위험에 빠뜨린다. 실제로, MI 생존자의 적어도 5% 내지 10%가 MI 후 첫 12개월 이내에 사망하고, 거의 50%가 같은 해 내에 입원을 필요로 한다. MI를 앓고 있는 환자의 전반적인 예후는 MI에 따른 근육 손상의 정도와 그 손상과 관련된 불리한 리모델링에 달려있다. 초기 PCI 또는 섬유소용해 요법을 받는 환자에서 더 나은 결과가 보이지만, 근육 손상, 해로운 섬유증을 추가로 줄이고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MI를 치료하기 위한 추가 제제 및 방법이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항-CD14 길항제 항체의 투여에 의한 것과 같이 분화 클러스터 14(CD14: Cluster of Differentiation 14)를 표적화하는 것이 MI로 인한 심장 손상을 감소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다는 놀라운 결정으로부터 발생한다. 특히, MI의 가장 심각한 형태인, STEMI 이후 CD14 길항제 항체를 투여하면 수축기 기능, 수축 특성 및 심장의 혈역학적 기능을 개선하고(예를 들어 박출량(stroke volume), 심박출량(cardiac output), 박출 분율(ejection fraction), 박출 작업량(stroke work) 및 dV/dt 최대 증가, 및 dV/dt 최소 감소) 항체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경색 크기를 감소시키고 섬유증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본원에서 최초로 입증되었다. 심장 효율과 기능의 현저한 개선을 나타내는, 여러 MI 매개변수의 이러한 명확한 개선은 임의의 하나의 제제, 특히 CD14를 표적으로 하는 것이 MI 경색 크기 또는 수축 특성의 해로운 결과를 예방하거나 개선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하는 이전 연구 결과(예를 들어, 문헌[Arslan et al. Impact of CD14 deficiency on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mmunotherapy@Brisbane 2017, Brisbane, Australia, 10-12 May 2017] 참조)를 고려할 때 항-CD14 제제에 대해 놀라운 일이다.
손상-관련 분자 패턴(DAMP: 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 분자는 MI 동안 손상된 심근세포에 의해 방출되고 상주하는 전염증성 대식세포가 혈액에서 순환하는 백혈구(주로 호중구)를 유인하도록 한다. 손상되고 괴사된 세포의 식균 작용 후, 이러한 호중구는 조직 복구의 해결 단계를 촉진하는 아폽토시스를 겪는다. CD14는 순환 및 침윤하는 단핵구 및 대식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DAMP-유발 염증을 촉진하는 다수의 패턴 인식 수용체에 대한 중요한 보조인자이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CD14를 표적화하는 것이 MI와 관련된 과도한 염증을 감소시키고 후속 손상, 섬유증 및 심장의 재형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제안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CD14C 급성기(acute phase)(, MI 후 최대 72 내지 96시간)에서만 표적화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그렇게 하는 것이 이러한 단계 동안 전-염증성 "M1" 단핵구/대식세포의 효과를 표적화하고 감소시키면서, 회복, 항염증성 "M2" 단핵구/대식 세포가 후기 단계에서 조직 복구에서 기능하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제안된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유효량의 CD14 길항제 항체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대상체에서의 심근경색증(MI)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MI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CD14 길항제 항체의 용도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대상체에 MI 후 또는 MI 진단 후 최대 72시간(예를 들어, MI 후 또는 MI 진단 후 최대 12, 18, 24, 36 또는 48시간)에 투여된다. 일부 예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대상체에 1, 2, 3회 또는 그 이상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전신적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MI는 ST-분절 상승 MI(STEMI)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MI는 비-ST-분절 상승 MI(NSTEMI)이다.
일례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ESVDSFGNSFMH[SEQ ID NO: 7](3C10 L-CDR1)를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RAANLES[SEQ ID NO: 8](3C10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QSYEDPWT[SEQ ID NO: 9](3C10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를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SYAMS[SEQ ID NO: 10](3C10 H-CDR1)를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SISSGGTTYYPDNVKG[SEQ ID NO: 11](3C10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YYDYHY[SEQ ID NO: 12](3C10 H-CDR3)를 포함함;
(i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ESVDSYVNSFLH[SEQ ID NO: 13](28C5 L-CDR1)를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RASNLQS[SEQ ID NO: 14](28C5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QSNEDPTT[SEQ ID NO: 15](28C5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SDSAWN[SEQ ID NO: 16](28C5 H-CDR1)을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YISYSGSTSYNPSLKS[SEQ ID NO: 17](28C5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LRFAY[SEQ ID NO: 18](28C5 H-CDR3)를 포함함;
(ii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ESVDSYVNSFLH[SEQ ID NO: 13](IC14 L-CDR1)를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RASNLQS[SEQ ID NO: 14](IC14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QSNEDPYT[SEQ ID NO: 27](IC14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SDSAWN[SEQ ID NO: 16](IC14 H-CDR1)을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YISYSGSTSYNPSLKS[SEQ ID NO: 17](IC14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LRFAY[SEQ ID NO: 18](IC14 H-CDR3)를 포함함; 및
(iv)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QDIKNYLN[SEQ ID NO: 19](18E12 L-CDR1)을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YTSRLHS[SEQ ID NO: 20](18E12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RGDTLPWT[SEQ ID NO: 21](18E12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NYDIS[SEQ ID NO: 22](18E12 H-CDR1)를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VIWTSGGTNYNSAFMS[SEQ ID NO: 23](18E12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DGNFYLYNFDY[SEQ ID NO: 24](18E12 H-CDR3)를 포함함.
특정한 예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SPASLAVSLGQRATISCRASESVDSFGNSFMHWYQQKAGQPPKSSIYRAANLE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FCQQSYEDPWTFGGGTKLGNQ[SEQ ID NO: 1](3C10 VL); 및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VKPGGSLKLSCVASGFTFSSYAMSWVRQTPEKRLEWVASISSGGTTYYPDNVKGRFTISRDNARNILYLQMSSLRSEDTAMYYCARGYYDYHYWGQGTTLTVSS[SEQ ID NO: 2](3C10 VH);
(i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SPASLAVSLGQRATISCRASESVDSYVNSFLHWYQQKPGQPPKLLIYRASNLQ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CCQQSNEDPTTFGGGTKLEIK[SEQ ID NO: 3](28C5 VL); 및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QQSGPGLVKPSQSLSLTCTVTGYSITSDSAWNWIRQFPGNRLEWMGYISYSGSTS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GLRFAYWGQGTLVTVSA[SEQ ID NO: 4](28C5 VH);
(ii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SPASLAVSLGQRATISCRASESVDSYVNSFLHWYQQKPGQPPKLLIYRASNLQ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YCQQSNEDPYTFGGGTKLEIK[SEQ ID NO: 25](IC14 VL); 및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QQSGPGLVKPSQSLSLTCTVTGYSITSDSAWNWIRQFPGNRLEWMGYISYSGSTS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GLRFAYWGQGTLVTVSS[SEQ ID NO: 26](IC14 VH); 및
(iv)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TPSSLSASLGDRVTISCRASQDIKNYLNWYQQPGGTVKVLIYYTSRLHSGVPSRFSGSGSGTDYSLTISNLEQEDFATYFCQRGDTLPWTFGGGTKLEIK[SEQ ID NO: 5](18E12 VL); 및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ESGPGLVAPSQSLSITCTVSGFSLTNYDISWIRQPPGKGLEWLGVIWTSGGTNYNSAFMSRLSITKDNSESQVFLKMNGLQTDDTGIYYCVRGDGNFYLYNFDYWGQGTTLTVSS[SEQ ID NO: 6](18E12 VH).
일부 실시형태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인간화되거나 키메라이다.
특정한 예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하기를 포함한다: 아미노산 서열DIVLTQSPASLAVSLGQRATISCRASESVDSYVNSFLHWYQQKPGQPPKLLIYRASNLQ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YCQQSNEDPYTFGG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SEQ ID NO: 28]를 포함하는 경쇄; 및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DVQLQQSGPGLVKPSQSLSLTCTVTGYSITSDSAWNWIRQFPGNRLEWMGYISYSGSTS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GLRFAYWGQGTLVTVSS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KTYTCNVDHKPSNTKVDKRVESKYGPPCPSCPAPEF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QEDPEVQFNWYVDGVEVHNAKTKPREEQF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GLPSSIEKTISKAKGQPREPQVYTLPPSQ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RLTVDKSRWQEGNVFSCSVMHEALHNHYTQKSLSLSLGK[SEQ ID NO: 29].
특정한 실시형태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IC14이다.
CD14 길항제 항체는 보조제와 병용하여(예를 들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보조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보조제는 예를 들어, 섬유소용해제, 베타 차단제, 고강도 스타틴,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제 및 혈소판 억제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섬유소용해제는 스트렙토키나제, 아니스트레플라제 및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예를 들어 테넥테플라제, 레테플라제 또는 알테플라제) 중에서 선택된다. 추가 예에서, 베타 차단제는 아세뷰톨롤, 아테놀롤, 이소프롤롤, 메토프롤롤, 나돌롤, 네비볼롤 및 프로프놀롤 중에서 선택된다. 추가 예에서, 혈소판 억제제는 아스피린, P2Y12 억제제(예를 들어 티클로피딘, 클로피도그렐, 티카그렐러 또는 프라수그렐) 및 당단백질 IIb/IIIa 수용체 길항제 중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PCI는 대상체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예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예를 들어, PCI의 72시간 내에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만 본원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수술 7일 후 수축기 기능의 심초음파 평가의 그래프 표현이다. (a) 면적 변화. (b) 박출 분율. *p<0.05. 평균 ±SE.
도 2는 LPS 및 IFNγ로 자극된 iPSC-유래 M0(M0)로부터의 IL-1β, TNFα, IL-6 및 IL-8 수준의 그래프 표현이다. 배양물을 0.01 내지 1 μg/ml 농도의 IC14 mAb 또는 이소타입 대조군 mAb로 처리하였다. IL-1β, TNFα, IL-6 및 IL-8 전사체의 수준을 qPCR(M1)로 측정하였다. 각 mRNA의 임의 단위를 β-액틴에 대해 정규화하고 M0 세포에 대한 발현을 플롯팅하였다. 배양물을 0.01 내지 1 μg/ml 농도의 IC14 mAb 또는 이소타입 대조군 mAb로 처리하였다. (a) IL-1β. (b) TNFα. (c) IL-6. (d) IL-8.
도 3은 수술 7일 후 수축기 기능의 심초음파 평가의 그래프 표현이다. 면적 변화(a) 및 박출 분율(b). * p<0.05, ** p<0.01, *** P<0.001. 평균 ± SEM. (군: A: 이소타입, B: 3× 용량 항-CD14 Ab, C: 염수, D: 2× 용량 항-CD14 Ab).
도 4는 대조군(A: 이소타입 + C: 염수) 및 항-CD14 Ab군(B: 3× 용량 항-CD14 Ab + D: 2× 용량 항-CD14 Ab)과 병용된, 수술 7일 후 수축기 기능의 심초음파 평가의 그래프 표현이다.
도 5는 수술 7일 후 박출량(a) 및 심박출량(b)의 심초음파 평가의 그래프 표현이다 *p<0.05, **p<0.01, ***P<0.001. 평균 ± SEM. (군: A: 이소타입, B: 3× 용량 항-CD14 Ab, C: 염수, D: 2× 용량 항-CD14 Ab).
도 6은 수술 7일 후 좌심실 및 동맥 혈압의 혈역학적 평가의 그래프 표현이다. (군: A: 이소타입, B: 3× 용량 항-CD14 Ab, C: 염수, D: 2× 용량 항-CD14 Ab). Tx = 처리군(즉 B+D). *p<0.05, **p<0.01, ***P<0.001. 평균 ± SEM.
도 7은 수술 7일 후 대표적인 좌심실(LV) 압력-용적 루프의 그래프 표현이다. 각 루프는 하나의 전체 심장 주기 동안 용적 및 압력 측정을 나타낸다. (a) 이소타입 대조군의 대표적인 LV 압력-용적 루프. (b) 3× 용량 항-CD14군의 대표적인 LV 압력-용적 루프. (c) 염수 대조군의 대표적인 LV 압력-용적 루프. (d) 2× 용량 항-CD14군의 대표적인 LV 압력-용적 루프.
도 8은 수술 7일 후 심실 중앙 명시야 섹션으로부터 측정된 비-병변 영역(a) 및 병변 크기(b)의 그래프 표현이다 *p<0.05. 평균 ± SEM. (군: A: 이소타입, B: 3× 용량 항-CD14 Ab, C: 염수, D: 2× 용량 항-CD14 Ab).
도 9는 피크로시리우스 레드(Pic Red)로 염색된 심장의 좌심실의 대표적인 슬라이드를 보여주며, 여기서 콜라겐은 어두운 회색으로 표시되고 심근은 밝은 회색으로 표시된다. (a) 이소타입 대조군. (b) 3× 용량 항-CD14군. (C) 염수 대조군. (d) 2× 용량 항-CD14군.
도 10은 심실 중앙의 면역형광적으로-염색된 섹션으로부터 측정된 CD68 양성의 그래프 표현이다. *p<0.05. 평균 ± SEM. (a) 각 군의 CD68 양성. (b) A+C군 대 B+D군의 CD68 양성. (군: A: 이소타입, B: 3× 용량 항-CD14 Ab, C: 염수, D: 2× 용량 항-CD14 Ab).
1. 정의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임의의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방법 및 재료가 기술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하기 용어들이 아래에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관사 ("a" 및 "an")는 본 발명의 문법적 대상 중 하나 이상(, 적어도 하나)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로서, "요소"는 하나의 요소 또는 하나 초과의 요소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및/또는"은 대안적(또는)으로 해석될 때 조합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관련된 열거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을 의미하고 포함한다.
용어 "활성제" 및 "치료제"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질환 또는 장애의 적어도 한 가지 증상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거나 개선하는 제제를 지칭한다.
용어 "동시에 투여" 또는 "동시에 투여하는" 또는 "공동-투여하는" 등은 2개 이상의 제제를 함유하는 단일 조성물의 투여, 또는 별개의 조성물로서 및/또는 효과적인 결과가 모든 이러한 제제가 단일 조성물로서 투여될 때 수득되는 것과 동등하도록 충분히 짧은 기간 이내에 같은 시기에(contemporaneously) 또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별개의 경로에 의해 전달되는 각각의 제제의 투여를 지칭한다. "동시에"는, 제제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기에,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제형으로 함께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같은 시기에"는, 제제가 시간 면에서 근접하게 투여되는 것, 예를 들어, 하나의 제제가 다른 제제 전에 또는 후에 약 1분 이내에 내지는 약 1일 이내에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임의의 같은 시기가 유용하다. 그러나, 종종, 동시적으로 투여되지 않을 때, 제제는 약 1분 이내에 내지는 약 8시간 이내에, 적합하게는 약 1시간 미만 내지 약 4시간 이내에 투여될 것이다. 같은 시기에 투여될 때, 제제는 적합하게는 대상체 상에서 동일한 부위에 투여된다. 용어 "동일한 부위"는 정확한 위치를 포함하지만, 약 0.5 내지 약 15 센티미터 이내,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 센티미터 이내에 있을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별개로"는, 제제가 간격을 두고, 예를 들어 약 1일 내지 수 주 또는 수 개월의 간격을 두고 투여됨을 의미한다. 제제는 어떠한 순서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순차적으로"는, 제제가 순서대로, 예를 들어 수 분, 수 시간, 수 일 또는 수 주의 간격 또는 간격들을 두고 투여됨을 의미한다. 적절하다면, 제제는 정기적인 반복 사이클로 투여될 수 있다.
용어 "길항제 항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항체가 결합하는 항원(예를 들어, CD14)의 생물학적 활성을 저해하거나 저하시키는 항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길항제 항체는 수용체(예를 들어, CD14)와 리간드(예를 들어, DAMP 또는 PAMP) 사이의 상호작용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단할 수 있거나, 수용체의 3차 구조 변화 또는 하향 조절로 인해 상호작용을 실제로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CD14 길항제 항체는, CD14에 결합하고, 다운스트림 경로, 예컨대 톨-유사 수용체(TLR: Toll-like receptor) 신호전달 경로(예를 들어, TLR4 신호전달 경로) 및 TIR-도메인-함유 어댑터-유도 IFN-β(TRIF: TIR-domain-containing adapter-inducing IFN-β) 경로의 활성화, 또는 CD14 리간드(예를 들어, DAMP 또는 PAMP)에 의한 CD14 결합에 대한 세포성 반응(예를 들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포함한 전염증성 매개체의 생성)의 유도를 포함하여 CD14 작용제 활성을 임의의 유의미한 정도로 차단하거나, 저해하거나, 무효화시키거나, 길항시키거나, 억제시키거나, 저하시키거나 감소시키는(유의하게 포함) 항체를 포괄한다. 일부 예에서, 항체는 1가이고 CD14에만 결합한다. 다른 예에서, 항체는 2가이고 CD14와 다른 항원에 결합한다.
본원에서 용어 "항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 천연 발생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폴리클로날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예를 들어, 이중특이적(bispecific) 항체), 항체 단편, 또는 임의의 다른 항원-결합 분자가 요망되는 면역-상호활성을 나타내는 한 이들을 망라한다. 천연 발생 "항체"는 이의 범위 내에서, 이황화 결합에 의해 상호-연결된 적어도 2개의 중쇄(H) 및 2개의 경쇄(L)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한다. 각각의 중쇄는 중쇄 가변 영역(본원에서 VH로 약칭됨) 및 중쇄 불변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중쇄 불변 영역은 특이적인 CH 도메인(예를 들어, CH1, CH2 및 CH3)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경쇄는 경쇄 가변 영역(본원에서 VL로 약칭됨) 및 경쇄 불변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경쇄 불변 영역은 하나의 도메인, CL로 이루어진다. VH 및 VL 영역은 추가로, 프레임워크 영역(FR: framework region)이라고 하는 더욱 보존된 영역으로 개재된(interspersed) 상보성 결정 영역(CDR: 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이라고 하는 초가변성 영역으로 세분될 수 있다. 각각의 VH 및 VL은 하기 순서로 아미노-말단으로부터 카복시-말단으로 배열된 3개의 CDR 및 4개의 FR로 이루어진다: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 항체의 불변 영역은 면역계의 다양한 세포(예를 들어, 이펙터 세포) 및 전형적인 보체계의 제1 구성요소(C1q)를 포함한 숙주 조직 또는 인자로의 면역글로불린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항체는 임의의 이소타입(예를 들어, IgG, IgE, IgM, IgD, IgA 및 IgY), 부류(예를 들어, IgG1, IgG2, IgG3, IgG4, IgA1 및 IgA2), 아부류(subclass) 또는 이의 변형된 버전(예를 들어, L234A 및 L235A 이중 돌연변이를 보유하는 IgG1 이소타입(IgG1-LALA))의 것일 수 있다. 항체는 임의의 종, 키메라, 인간화 또는 인간의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제1 불변 영역 도메인(CH1)이 결여되지만 다른 무손상 중쇄를 보유하고 항원-결합 도메인을 통해 항원에 결합할 수 있는 동종체성(homomeric) 중쇄 항체(예를 들어, 낙타과 항체)이다. 항체-모듈러(modular) 인식 도메인(MRD: antibody-modular recognition domian) 융합에서 중쇄 및 경쇄의 가변 영역은, 관심 항원과 상호작용하는 기능적 결합 도메인을 함유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가변 도메인"(경쇄(VL)의 가변 도메인, 중쇄(VH)의 가변 도메인)은, 항원에의 항체의 결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경쇄 도메인 및 중쇄 도메인의 각각의 쌍을 의미한다. 가변 경쇄 도메인 및 중쇄 도메인은 동일한 일반적 구조를 갖고, 각각의 도메인은, 3개의 CDR 또는 "초가변 영역"에 의해 연결되는, 서열이 광범위하게 보존된 4개의 FR을 포함한다. FR은 β-시트 입체배좌를 채택하고 CDR은 β-시트 구조를 연결하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사슬에서 CDR은 FR에 의해 이의 3-차원 구조로 유지되고, 다른 사슬로부터의 CDR과 함께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용어 "항원-결합 부분"은 본원에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항원-결합을 담당하는 항체의 아미노산 잔기를 지칭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CDR로부터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CDR" 또는 "상보성 결정 영역"("초가변 영역"으로도 지칭됨)은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어,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에 기여하는 3-차원 루프 구조를 형성하는 항체의 경쇄 및 중쇄의 아미노산 서열을 지칭한다. 중쇄 및 경쇄의 각각의 가변 영역에 3개의 CDR이 존재하며, 이는 각각의 가변 영역에 대해 "CDR1", "CDR2", 및 "CDR3"으로 표기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CDR 세트"는, 항원에 결합하는 단일 가변 영역에서 발생하는 3개의 CDR의 군을 지칭한다. 이들 CDR의 정확한 경계는 상이한 시스템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되었다. Kabat에 의해 기재된 시스템(문헌[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87) 및 (1991)])은 항체의 임의의 가변 영역에 적용가능한 명확한 잔기 숫자매김 시스템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3개의 CDR을 정의하는 정확한 잔기 경계를 제공한다. 이들 CDR은 "Kabat CDR"로 지칭될 수 있다. Chothia 및 동료(문헌[Chothia and Lesk, 1987. J. Mol. Biol. 196: 901-917]; 문헌[Chothia et al., 1989. Nature 342: 877-883]))는, Kabat CDR 내의 소정의 아부분(sub-portion)이 아미노산 서열의 수준에서 큰 다양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동일한 펩티드 백본 입체배좌를 채택함을 밝혀내었다. 이들 아부분은 "L1", "L2", 및 "L3", 또는 "H1", "H2", 및 "H3"으로 표기되었으며, 여기서 "L" 및 "H"는 각각 경쇄 영역 및 중쇄 영역을 표기한다. 이들 영역은 "Chothia CDR"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Kabat CDR과 중첩되는 경계를 갖는다. Kabat CDR과 중첩되는 CDR을 정의하는 다른 경계는 Padlan(문헌[1995. FASEB J. 9: 133-139]) 및 MacCallum(문헌[1996. J. Mol. Biol. 262(5): 732-745])에 의해 기재되었다. 또 다른 CDR 경계 정의는 이들 시스템 중 하나를 엄격하게 따르지 않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Kabat CDR과 중첩될 것이며, 그렇긴 하지만 이들은, 특정 잔기 또는 잔기의 군 또는 심지어 전체 CDR이 항원 결합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예측 또는 실험적 발견의 측면에서 단축되거나 길어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프레임워크 영역" 또는 "FR"은 가변 영역에서 CDR을 뺀 잔여 서열을 지칭한다. 따라서, 항체의 경쇄 가변 도메인 및 중쇄 가변 도메인은 N-말단으로부터 C-말단까지 도메인 FR1, CDR1, FR2, CDR2, FR3, CDR3, 및 FR4를 포함한다. CDR 및 FR은 전형적으로, 문헌[Kabat, E. A.,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91)]의 표준 정의 및/또는 "초가변 루프"로부터의 잔기에 따라 결정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경쇄 가변 영역"("VL") 및 "중쇄 가변 영역"(VH)은, 각각의 항체에 대해 다양해진 1차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및 중쇄 각각의 N-말단에서의 영역 또는 도메인을 지칭한다. 항체의 가변 영역은 전형적으로, 경쇄 및 중쇄의 아미노 말단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이는 함께 폴딩되어 항원에 대한 3-차원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구조적 유사성에 기초한 VH 및 VL의 몇몇 아형은 예를 들어 Kabat 데이터베이스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정의되었다.
용어 "키메라 항체"는 하나의 종으로부터의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 서열 및 다른 종으로부터의 불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예컨대 인간 불변 영역에 연결된 뮤린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을 갖는 항체를 지칭한다.
비-인간(예를 들어, 설치류) 항체의 "인간화" 형태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래된 최소 서열을 함유하는 키메라 항체이다. 대부분의 경우, 인간화 항체는, 수혜자의 초가변 영역으로부터의 잔기가, 요망되는 특이성, 친화도, 및 수용력(capacity)을 갖는 비-인간 종(공여자 항체), 예컨대 마우스, 래트, 토끼 또는 비-인간 영장류의 초가변 영역으로부터의 잔기에 의해 대체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수혜자 항체)이다. 일부 상황에서,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프레임워크 영역(FR) 잔기는 상응하는 비-인간 잔기에 의해 대체된다. 그러므로, 인간화 항체의 FR 및 CDR은 모(parental)(, 공여자) 서열에 정확하게 상응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공여자 항체 CDR 또는 컨센서스 프레임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 삽입, 및/또는 결실에 의해 돌연변이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부위에서의 CDR 또는 FR은 공여자 항체 또는 컨센서스 프레임워크에 상응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이러한 돌연변이는 광범위하지 않을 것이고, 일반적으로 항원에의 결합에 관여하는 "주요(key) 잔기"를 피할 것이다. 통상,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의 인간화 항체 잔기가 모 FR 및 CDR 서열에 상응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컨센서스 프레임워크"는 컨센서스 면역글로불린 서열 내의 프레임워크 영역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컨센서스 면역글로불린 서열"은 관련된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계열 내의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아미노산(또는 뉴클레오티드)으로부터 형성되는 서열을 지칭한다(예를 들어, 문헌[Winnaker, From Genes to Clones (Verlagsgesellschaft, Weinheim, 1987)] 참조). 그러므로, "컨센서스 면역글로불린 서열"은 "컨센서스 프레임워크 영역" 및/또는 "컨센서스 CDR"을 포함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의 계열에서, 컨센서스 서열 내의 각각의 위치는 계열 내의 해당 위치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아미노산에 의해 점유된다. 2개의 아미노산이 동일하게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어느 것이든 컨센서스 서열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화 항체는 실적으로 모든 적어도 하나, 전형적으로 2개의 가변 도메인을 포함할 것이며, 여기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초가변 루프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것에 상응하고,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FR은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것이다. 인간화 항체는 선택적으로 또한,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Fc) 중 적어도 일부, 전형적으로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것을 포함할 것이다. 추가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문헌[Jones et al. (1986. Nature 321:522-525)], 문헌[Riechmann et al. (1988. Nature 332:323-329)] 및 문헌[Presta (1992. Curr. Op. Struct. Biol. 2:593-596)]을 참조한다. 인간화 항체는 IgM, IgG, IgD, IgA, 및 IgE, 및 비제한적으로 IgG1, IgG2, IgG3, 및 IgG4를 포함한 임의의 이소타입을 포함하여 임의의 부류의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인간화 항체는 하나 초과의 부류 또는 이소타입으로부터의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한 불변 도메인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기법을 사용하여 요망되는 이펙터 기능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주요 잔기"는, 특정 인간화 항체에서 항체의 결합 특이성 및/또는 친화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변 영역 내의 소정의 잔기를 지칭한다. 주요 잔기는 하기의 잔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CDR에 인접한 잔기, 잠재적인 글리코실화 부위(N-글리코실화 또는 O-글리코실화 부위일 수 있음), 희소(rare) 잔기, 항원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잔기, CDR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잔기, 표준(canonical) 잔기, 중쇄 가변 영역과 경쇄 가변 영역 사이의 접촉 잔기, 베르니에 구역(Vernier zone) 내의 잔기, 및 가변 중쇄 CDR1의 Chothia 정의와 제1 중쇄 프레임워크의 Kabat 정의 사이에서 중첩되는 영역 내의 잔기.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베르니에" 구역은, 문헌[Foote and Winter (1992. J. Mol. Biol. 224: 487-499)]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항원에 대한 CDR 구조를 조정하고 적합부(fit)를 미세-조정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잔기의 서브세트를 지칭한다. 베르니에 구역 잔기는 CDR의 기저를 이루는 층을 형성하고, CDR의 구조 및 항체의 친화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표준(canonical)" 잔기는, 둘 모두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되는 Chothia 등(문헌[1987. J. Mol. Biol. 196: 901-917]; 문헌[1992. J. Mol. Biol. 227: 799-817])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특정 표준 CDR 구조를 정의하는 프레임워크 또는 CDR 내의 잔기를 지칭한다. Chothia 등에 따르면, 많은 항체의 CDR의 결정적 부위는 아미노산 서열의 수준에서 큰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거의 동일한 펩티드 백본 입체배좌를 갖는다. 각각의 표준 구조는 주로, 루프를 형성하는 아미노산 잔기의 인접 분절(contiguous segment)에 대한 펩티드 백본 비틀림 각도(torsion angle)의 세트를 명시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공여자" 및 "공여자 항체"는 하나 이상의 CDR을 "수용기 항체"에 제공하는 항체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공여자 항체는, FR이 수득되거나 유래되는 항체와 상이한 종으로부터의 항체이다. 인간화 항체와 관련하여, 용어 "공여자 항체"는 하나 이상의 CDR을 제공하는 비-인간 항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수용기" 및 "수용기 항체"는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100%의, 하나 이상의 FR의 아미노산 서열을 제공하는 항체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용어 "수용기"는 불변 영역을 제공하는 항체 아미노산 서열을 지칭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용어 "수용기"는 FR 및 불변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항체 아미노산 서열을 지칭한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용어 "수용기"는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100%의, 하나 이상의 FR의 아미노산 서열을 제공하는 인간 항체 아미노산 서열을 지칭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용기는, 인간 항체의 하나 이상의 특이적인 위치에서 발생하지 않는 적어도 1, 적어도 2, 적어도 3, 적어도 4, 적어도 5, 또는 적어도 1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함유할 수 있다. 수용기 프레임워크 영역 및/또는 수용기 불변 영역은 예를 들어, 생식세포계 항체 유전자, 성숙한 항체 유전자, 기능적 항체(예를 들어,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항체, 개발중인 항체, 또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항체)로부터 유래되거나 수득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인간 항체"는 인간 생식세포계 면역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래되는 가변 영역 및 불변 영역을 갖는 항체를 포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인간 항체는 인간 생식세포계 면역글로불린 서열에 의해 코딩되지 않는 아미노산 잔기(예를 들어, 시험관 내에서 무작위 또는 부위-특이적 돌연변이형성에 의해 또는 생체 내에서 체세포 돌연변이에 의해 도입되는 돌연변이)를 예를 들어 CDR에 그리고 특히 CDR3에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인간 항체"는, 마우스와 같은 다른 포유류 종의 생식세포계로부터 유래된 CDR 서열이 인간 프레임워크 서열 상으로 이식된 항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 "중쇄 가변 영역 CDR1" 및 "H-CDR1"은 용어 "중쇄 가변 영역 CDR2" 및 "H-CDR2", 용어 "중쇄 가변 영역 CDR3" 및 "H-CDR3", 용어 "경쇄 가변 영역 CDR1" 및 "L-CDR1"; 용어 "경쇄 가변 영역 CDR2" 및 "L-CDR2" 및 용어 "경쇄 가변 영역 CDR3" 및 "L-CDR3" 항체 단편으로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상보성 결정 영역("CDR")은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한 Kabat 정의에 따라 정의된다. Kabat 정의는 항체에서 잔기를 숫자매김하는 표준이고, 이는 전형적으로 CDR 영역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문헌[Kabat et al., (1991), 5th edition, NIH publication No. 91-3242]).
항원 결합은 무손상 항체의 "단편" 또는 "항원-결합 단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용어는 둘 다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항체의 "항체 단편" 내에 포괄되는 결합 단편의 예는, VL, VH, CL 및 CH1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1가 단편인 Fab 단편; 힌지 영역에서 이황화 브릿지에 의해 연결된 2개의 Fab 단편을 포함하는 2가 단편인 F(ab')2 단편; VH 및 CH1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Fd 단편; 항체의 단일 아암(arm)의 VL 및 VH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Fv 단편; VH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단일 도메인 항체(dAb) 단편(문헌[Ward et al., 1989. Nature 341:544-546]); 및 단리된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체는 Fc 영역 중 모두 또는 일부가 결여된 항원-결합 단편이다.
"단일 사슬 가변 단편(scFv)"은, VL 영역 및 VH 영역이 쌍을 이루어서 1가 분자를 형성하는 단일 단백질 사슬이다(단일 사슬 Fv(scFv)로도 알려져 있음; 예를 들어, 문헌[Bird et al., 1988. Science 242:423-426]; 및 문헌[Huston et al., 1988. Proc. Natl. Acad. Sci. 85:5879-5883]) 참조). 2개의 도메인 VL 및 VH가 별도의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더라도, 이들은, 이들을 단일 단백질 사슬로 만들 수 있게 하는 인공 펩티드 링커에 의해 재조합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사슬 항체는 하나 이상의 항원 결합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이들 항체 단편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종래의 기법을 사용하여 수득되고, 단편은 무손상 항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성을 위해 스크리닝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모노클로날 항체" 및 약어 "MAb" 및 "mAb"는 실질적으로 상동성인 항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득되는 항체를 지칭하며, , 집단을 포함하는 개별 항체는 최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천연 발생 돌연변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고도로 특이적이고, 단일 항원에 대한 것이다. 더욱이, 전형적으로 상이한 결정기(에피토프)에 대해 상이한 항체를 포함하는 폴리클로날 항체 제제와는 대조적으로, 각각의 mAb는 항원 상의 단일 결정기에 대한 것이다. 수식어 "모노클로날"은 임의의 특정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도마를 포함한 항체-생성 세포의 단일 클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용어 "하이브리도마"는 일반적으로, 배양된 신생물 림프구와 모 세포의 특이적인 면역 잠재성을 발현하는 프라이밍된(primed) B-림프구 또는 T-림프구 사이의 세포-융합의 생성물을 지칭한다.
관심 항원(예를 들어, CD14)에 "결합하는" 항체는, 이러한 항체가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 또는 조직을 표적화하는 데 있어서 치료제로서 유용하고 다른 단백질과 유의하게 교차-반응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한 친화도로 항원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비-표적" 단백질에 대한 항체의 결합 정도는, 예를 들어, 형광 활성화된 세포 분류(FACS: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분석, 효소-연결 면역흡착 검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면역침전 또는 방사성면역침전(RIA: radioimmunoprecipitation)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특정 표적 단백질에 대한 항체, 올리고펩티드 또는 다른 유기 분자의 결합의 약 10% 미만일 것이다. 그러므로, CD14를 길항시키는 항체는 적합하게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케모카인을 포함한 전염증성 매개자의 생성을 저해하거나 저하시킨다. 표적 분자에 대한 항체의 결합과 관련하여, 특정 폴리펩티드 또는 특정 폴리펩티드 표적 상의 에피토프에 대한 "특이적 결합" 또는 "~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또는 "~에 특이적인"이라는 용어는, 비-특이적인 상호작용과 측정 가능하게 상이한 결합을 의미한다. 특이적 결합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결합 활성을 갖지 않는 유사한 구조의 분자인 대조군 분자의 결합과 비교하여 분자의 결합을 결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이적 결합은 표적, 예를 들어, 과량의 비-표지된 표적과 유사한 대조군 분자와의 경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브에 대한 표지된 표적의 결합이 과량의 비표지된 표적에 의해 경쟁적으로 저해되는 경우 특이적 결합이 표시된다. 항체가 결합하는 항원의 특이적인 영역은 전형적으로, "에피토프"로서 지칭된다. 용어 "에피토프"는 광범위하게는, 항체 또는 T-세포 수용체에 의해 특이적으로 인식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분자와 상호작용하는 항원 상의 부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에피토프는 아미노산 또는 탄수화물 또는 당 측쇄와 같은 분자의 활성 표면 기(grouping)이고, 일반적으로 특이적인 3-차원 구조적 특징, 뿐만 아니라 특이적인 전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실제로 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에피토프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문맥상 다르게 필요로 하지 않는 한, 단어 "포함하다(comprise)",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은 언급된 단계 또는 요소 또는 단계나 요소의 군의 포함을 내포하지만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요소 또는 단계나 요소의 군의 배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용어 "포함하는" 등의 사용은, 나열된 요소가 필요하거나 의무적이지만, 다른 요소가 선택적이고 존재할 수 있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로 구성되는"이란, 어구 "~으로 구성되는"에 따라오는 모든 것을 포함하고 이로 제한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어구 "~로 구성되는"은, 나열된 요소가 필요하거나 의무적이고, 다른 요소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이란, 어구 다음에 나열된 임의의 요소를 포함하고, 나열된 요소에 대해 개시내용에서 명시된 활성 또는 작용을 방해하거나 기여하지 않는 다른 요소로 제한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어구 "~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은, 나열된 요소가 필요하거나 의무적이지만, 다른 요소가 선택적이고 이러한 다른 요소가 나열된 요소의 활성 또는 작용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치지 않는지의 여부에 따라 존재할 수 있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것과 관련하여 "유효량"이란, 해당 병태의 증상 발생의 예방, 이러한 증상의 저지, 및/또는 기존의 증상의 치료에 효과적인 단일 용량으로 또는 시리즈의 일부로서, 이러한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제제 또는 조성물의 양을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효량은 치료될 개체의 연령, 건강 및 신체적 조건, 및 질환의 증상이 분명한지의 여부, 치료될 개체의 분류군(taxonomic group), 조성물의 제형, 의학적 상황의 평가, 및 다른 관련 인자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최적의 투여 스케쥴은 대상체의 신체에 축적된 약물을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최적의 투여량은 개별 대상체에서 상대적 약효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시험관 내생체 내 동물 모델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EC50 값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당업자는 최적의 투여량, 투여 방법 및 반복률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그 양은 일상적인 실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 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축기 기능(또는 심실 기능)과 관련하여, 용어 "증가하다" 또는 "증가하는" 등은 항-CD14 길항제 항체의 투여 후 MI를 갖는 대상체의 수축기 기능이 항체가 투여되지 않은 MI를 갖는 대상체와 비교하여 적어도 작지만 측정 가능한 증가를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증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축기 기능은 적어도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50%, 200% 또는 그 이상까지 증가한다. 반대로, 수축기 기능부전(또는 심실 기능부전)과 관련하여, "감소하다", "감소하는", "줄어들다" 또는 "줄어드는" 등은 항-CD14 길항제 항체의 투여 후 MI를 갖는 대상체의 수축기 기능부전이 항체가 투여되지 않은 MI를 갖는 대상체와 비교하여 적어도 작지만 측정 가능한 감소 또는 줄어듦을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감소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축기 기능은 적어도 20%, 30%, 40%, 50%, 60%, 70% 80% 또는 그 이상까지 감소한다. 수축기 기능(또는 기능부전)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일례에서, 수축기 기능은 심초음파검사에 의해 평가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2차원 또는 3차원 매개변수(예를 들어 이완기말 영역, 수축기말 영역, 면적 변화, 종단 분할 단축, 이완기말 용적, 수축기말 용적, 박출량, 심박출량, 및/또는 박출 분율)은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수축기 기능의 지표로 사용된다.
"단리된"이란, 물질의 본래의 상태에서 통상적으로 동반되는 구성요소가 실질적으로 또는 본질적으로 없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리간드"는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분자를 지칭한다.
용어 "심근경색증" 또는 MI는 허혈의 결과로서 심장 근육 또는 심근의 조직 사멸(, 경색)을 지칭한다. MI는 심근경색증의 제4 보편적 정의(문헌[Thygesen et al. 2018, Circulation, 138: e618-e651])에 제시된 것과 같은 허용된 기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진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 환경에서 급성 심근 손상의 존재가 급성 심근 허혈의 증거(예를 들어 ECG 또는 활동 중 또는 휴식 중 흉부, 상지, 하악골 또는 상복부 불편감과 같은 허혈성 증상의 존재, 또는 호흡곤란 또는 피로와 같은 허혈성 등가물)가 있는 비정상적인 심장 바이오마커(예를 들어 심장 트로포닌 I(cTnI) 및 T(cTnT)), 이에 따라 심근 손상은 cTn의 혈중 농도가 99백분위수 상한(URL: upper reference limit) 이상으로 증가할 때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됨)에 의해 감지될 때 MI가 진단될 수 있다.
MI는 병인 및 상황에 기초하여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유형 1: 원발성 관상동맥 사건(예를 들어, 플라크 파열, 미란 또는 균열로 인한 허혈에 의해 유발된 자발적 MI; 관상동맥 박리; 유형 2: 증가된 산소 요구량(예를 들어, 고혈압) 또는 감소된 공급(예를 들어, 관상동맥 연축 또는 색전증, 부정맥, 저혈압)으로 인한 허혈; 유형 3: 돌연 예상치 못한 심장사 관련됨; 유형 4a: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과 관련됨(cTn 값 > 5 × 99th 백분위수 URL을 갖는 심근경색증의 징후 및 증상) 유형 4b: 문서화된 스텐트 혈전증과 관련됨; 및 유형 5: 관상동맥 우회술과 관련됨(cTn 값 >10 × 99번째 백분위수 URL을 갖는 심근경색증의 징후 및 증상).
MI는 또한 ECG 상의 ST-분절 상승 또는 Q파의 존재 또는 부재에 의해, 각각,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STEMI) 또는 비-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non-STEMI)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간과 관련하여 "MI 후(post-MI)"라는 용어는 MI의 첫 번째 증상(예를 들어, 가슴의 압박 또는 조임; 가슴, 등, 턱, 및 상체의 다른 부위의 통증, 숨가쁨)이 시작된 후 기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MI 후 12시간"에 대한 언급은 MI 증상이 시작된 후 12시간을 의미한다.
기간과 관련하여 "MI 후 진단"이라는 용어는 병원 또는 다른 의료 시설에서 의사에 의한 것과 같은 MI 진단 후 기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MI 진단 후 12시간"에 대한 언급은 MI 진단 후 12시간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물질로 이루어진 약학적 비히클을 의미하며, , 물질은 임의의 또는 실질적인 부반응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선택된 활성제와 함께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담체는 부형제 및 다른 첨가제, 예컨대 희석제, 세정제, 착색제, 습윤 또는 유화 제제, pH 완충제, 보존제, 형질주입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본원에 제공되는 바와 같은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에스터, 아미드, 전구약물 또는 유도체는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염, 에스터, 아미드, 전구약물 또는 유도체이다.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 "유전 물질," "유전적 형태," "핵산" 및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RNA, cDNA, 게놈 DNA, 합성 형태 및 혼합된 중합체, 센스 가닥과 안티센스 가닥 둘 다를 지칭하고, 당업자가 쉽게 이해하게 될 바와 같이 화학적으로 또는 생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거나 비-천연 또는 유도체화된 뉴클레오티드 염기를 함유할 수 있다.
용어 "전염증성 매개자"는 염증을 선호하는 면역조절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제는 사이토카인, 예컨대 케모카인, 인터루킨(IL), 림포카인, 및 종양 괴사 인자(TNF), 뿐만 아니라 성장 인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전염증성 매개자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다. 전형적으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L-1α, IL-1β, IL-6, 및 TNF-α를 포함하며, 이들은 대체로 초기 반응을 담당한다. 다른 전염증성 매개자는 LIF, IFN-γ, IFN-β, IFN-α, OSM, CNTF, TGF-β, GM-CSF, TWEAK, IL-11, IL-12, IL-15, IL-17, IL-18, IL-19, IL-20, IL-8, IL-16, IL-22, IL-23, IL-31 및 IL-32를 포함한다(문헌[Tato et al., 2008. Cell 132:900; Cell 132:500, Cell 132:324]). 전염증성 매개자는 내인성 발열원(IL-1, IL-6, IL-17, TNF-α)으로서 작용하며, 대식세포와 중간엽(mesenchymal) 세포(섬유아세포, 상피 세포 및 내피 세포 포함) 둘 다에 의한 2차 매개자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합성을 상향조절하고, 급성기 단백질의 생성을 자극하거나, 염증성 세포를 유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용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은 TNF-α, IL-1 α, IL-6, IFNβ, IL-1β, IL-8, IL-17 및 IL-18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CD14 길항제 항체의 "단일 용량"이라는 지칭은, 대상체가 MI 후 단 1회 용량의 항체를 예를 들어 하나의 볼루스 주사 또는 하나의 별개의 주입으로 투여받음을 의미한다. 대상체가 추가의 MI를 앓는 경우, 대상체는 해당 추가의 MI에 대해 단일 용량의 항체를 투여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단일 용량이라는 지칭은, 대상체가 각각의 MI의 경우에 대해 단 1회 용량의 항체를 받음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신 투여" 또는 "전신적으로 투여되는" 또는 "전신 투여되는"은, 제제를 중추신경계 외부의 대상체 내로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신 투여는 척수 또는 뇌로 직접 투여하는 것 이외의 임의의 투여 경로를 포괄한다. 이와 같이, 척추강 내(intrathecal) 및 경막 외(epidural) 투여, 뿐만 아니라 두개 내 주사 또는 이식은 용어 "전신 투여" 또는 "전신적으로 투여되는" 또는 "전신 투여되는"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이 분명하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제(예를 들어 항체)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의의 허용되는 형태, 예컨대 정제, 액체, 캡슐, 분말 등으로; 정맥 내, 복강 내, 근육 내, 피하 또는 비경구 주사에 의해; 경피 확산 또는 전기영동에 의해; 그리고 미니펌프 또는 다른 이식된 연장 방출 장치 또는 제형에 의해 전신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신 투여는 복강 내, 정맥 내, 피하 및 비강 내 투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경로에 의해 수행된다.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대상체", "환자" 및 "개체"는 MI를 앓고 있는 임의의 대상체, 특히 척추동물 대상체, 보다 더 특히 포유류 대상체(예를 들어 인간)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치료", "치료하는" 등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 즉, MI를 앓은 대상체에서 요망되는 약물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효과를 수득하는 것을 지칭한다. "치료"란, MI의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영향(예를 들어 결과)을 개선하거나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한 예에서, 치료는 심장 근육에 대한 손상 개선 또는 예방(예를 들어, 심근; 예를 들어 경색 크기 제한, 섬유증 제한 또는 예방), 및/또는 심장 기능(예를 들어 수축기 기능, 수축 특성, 혈역학적 기능 등)의 감소 개선 또는 예방을 포함한다. "치료", "치료하다" 또는 "치료하는"이라는 지칭은, MI의 임의의 또는 모든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예방하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궁극적으로,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영향을 앓고 있을 수 있지만, 치료 부재와 비교하여 증상 또는 영향의 수 및/또는 중증도는 감소되고/감소되거나 심장 기능이 개선되거나 삶의 질이 개선된다.
본원에서 기재된 각각의 실시형태는 다르게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각각의 그리고 모든 실시형태에 준용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2. CD14 길항제 항체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MI 치료를 위한 CD14 길항제 항체를 포함하는 방법, 용도 및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MI 치료를 위한 CD14 길항제 항체를 포함하는 방법, 용도 및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CD14, 예를 들어 인간 CD14(예를 들어 인간 mCD14 또는 sCD14)에 결합하고 DAMP 또는 PAMP의 CD14로의 결합을 차단하고/하거나, CD14에 결합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비롯하여, 전염증성 매개자의 생산을 야기하는 CD14 작용제-매개된 반응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 임의의 CD14 길항제 항체를 고려한다. 이러한 CD14 길항제 항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임의의 것이 본 개시내용의 방법 및 용도에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CD14 길항제 항체는 CD14에 대한 CD14 작용제, 적합하게는 DAMP 또는 PAMP의 결합을 억제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 또는 감소시킨다. 이러한 유형의 예시적인 예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인간 CD14의 아미노산 7에서 아미노산 14까지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3C10 항체(문헌[van Voohris et al., 1983. J. Exp. Med. 158: 126-145]; 문헌[Juan et al., 1995. J. Biol. Chem. 270(29): 17237-17242]), CD14의 아미노산 57에서 아미노산 64까지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MEM-18 항체(문헌[Bazil et al., 1986. Eur. J. Immunol. 16(12):1583-1589]; 문헌[Juan et al., 1995. J. Biol. Chem. 270(10): 5219-5224]), 4C1 항체(문헌[Adachi et al., 1999. J. Endotoxin Res. 5: 139-146]; 문헌[Tasaka et al., 2003. Am. J. Respir. Cell. Mol. Biol.; 2003. 29(2):252-258]), 뿐만 아니라 LPS의 결합을 억제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28C5 및 23G4 항체, 및 LPS의 결합을 억제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18E12 항체(Leturcq 등의 미국특허 제5,820,858호, 제6,444,206호 및 제7,326,569호)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CD14 길항제 항체는 CD14의 TLR 예를 들어 TLR4로의 결합을 억제하여, CD14-작용제 매개 반응을 차단하며, 이의 설명적인 예는 국제특허공개 WO2002/42333호에 개시된 F1024 항체를 포함한다. 기타 CD14 길항제 항체는 단일-사슬 항체 scFv2F9 및 관련 인간-마우스 키메라 항체 Hm2F9(문헌[Tang et al. 2007,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9,375-386]; 및 문헌[Shen et al., 2014, DNA Cell Biol. 33(9): 599-604])을 포함한다. CD14 길항제 항체의 추가 예는 항-인간 CD14 18D11 IgG1 mAb, 18D11 IgG1 F(ab)'2 단편 및 키메라 r18D11 항체(IgG2/4)(예를 들어 문헌[Lau et al., 2013, J Immunol 191:4769-4777] 참조)를 포함한다. CD14 길항제 항체에 관한 각각의 상기 참조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CD14 길항제 항체는 전장 면역글로불린 항체 또는 온전한 항체의 항원-결합 단편일 수 있으며, 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Fab 단편, F(ab')2 단편, VH 및 CH1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Fd 단편, 항체의 단일 아암의 VL 및 VH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Fv 단편, VH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단일 도메인 항체(dAb) 단편(문헌[Ward et al., 1989. Nature 341:544-546]); 및 단리된 CDR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CD14 길항제 항체는 키메라, 인간화 또는 인간 항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미국특허 제5,820,858호에 개시된 항체의 VH 및 VL을 포함한다:
(1)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SPASLAVSLGQRATISC RASESVDSFGNSFMH WYQQKAGQPPKSSIY RAANLES 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FC QQSYEDPWT FGGGTKLGNQ[SEQ ID NO: 1](3C10 VL); 및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VKPGGSLKLSCVASGFTFS SYAMS WVRQTPEKRLEWVA SISSGGTTYYPDNVKG RFTISRDNARNILYLQMSSLRSEDTAMYYCAR GYYDYHY WGQGTTLTVSS[SEQ ID NO: 2](3C10 VH);
(2)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SPASLAVSLGQRATISC RASESVDSYVNSFLH WYQQKPGQPPKLLIY RASNLQS 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CC QQSNEDPTT FGGGTKLEIK[SEQ ID NO: 3](28C5 VL); 및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QQSGPGLVKPSQSLSLTCTVTGYSIT SDSAWN WIRQFPGNRLEWMG YISYSGSTSYNPSLKS 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 GLRFAY WGQGTLVTVSA[SEQ ID NO: 4](28C5 VH); 및
(3)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TPSSLSASLGDRVTISC RASQDIKNYLN WYQQPGGTVKVLIY YTSRLHS GVPSRFSGSGSGTDYSLTISNLEQEDFATYFC QRGDTLPWT FGGGTKLEIK[SEQ ID NO: 5](18E12 VL); 및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ESGPGLVAPSQSLSITCTVSGFSLT NYDIS WIRQPPGKGLEWLG VIWTSGGTNYNSAFMS RLSITKDNSESQVFLKMNGLQTDDTGIYYCVR GDGNFYLYNFDY WGQGTTLTVSS[SEQ ID NO: 6](18E12 VH);
또한 상기 항체 및 관련 항체의 VL 및 VH CDR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가 고려되며, 이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는 하기를 포함한다:
(1)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ESVDSFGNSFMH[SEQ ID NO: 7](3C10 L-CDR1)를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RAANLES[SEQ ID NO: 8](3C10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QSYEDPWT[SEQ ID NO: 9](3C10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SYAMS[SEQ ID NO: 10](3C10 H-CDR1)를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SISSGGTTYYPDNVKG[SEQ ID NO: 11](3C10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YYDYHY[SEQ ID NO: 12](3C10 H-CDR3)를 포함함;
(2)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ESVDSYVNSFLH[SEQ ID NO: 13](28C5 L-CDR1)를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RASNLQS [SEQ ID NO: 14](28C5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QSNEDPTT[SEQ ID NO: 15](28C5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SDSAWN[SEQ ID NO: 16](28C5 H-CDR1)을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YISYSGSTSYNPSLKS[SEQ ID NO: 17](28C5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LRFAY[SEQ ID NO: 18](28C5 H-CDR3)를 포함함;
(3)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ESVDSYVNSFLH[SEQ ID NO: 13](IC14 L-CDR1)를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RASNLQS [SEQ ID NO: 14](IC14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QSNEDPYT[SEQ ID NO: 27](IC14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SDSAWN[SEQ ID NO: 16](IC14 H-CDR1)을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YISYSGSTSYNPSLKS[SEQ ID NO: 17](IC14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LRFAY[SEQ ID NO: 18](IC14 H-CDR3)를 포함함; 및
(4)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QDIKNYLN[SEQ ID NO: 19](18E12 L-CDR1)을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YTSRLHS[SEQ ID NO: 20](18E12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RGDTLPWT[SEQ ID NO: 21](18E12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NYDIS[SEQ ID NO: 22](18E12 H-CDR1)를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VIWTSGGTNYNSAFMS[SEQ ID NO: 23](18E12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DGNFYLYNFDY[SEQ ID NO: 24](18E12 H-CDR3)를 포함함.
일부 실시형태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인간화된다. 이러한 유형의 설명적인 예에서, 인간화된 CD14 길항제 항체는 적절하게는 CD14 길항제 항체(예를 들어, 상기된 CD14 길항제 항체 중 하나)에 상응하는 공여자 CDR 세트, 및 인간 수용기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인간 수용기 프레임워크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주요 잔기에서 인간 생식계열 수용기 프레임워크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CDR에 인접한 잔기; 글리코실화 부위 잔기; 희소 잔기; 표준(canonical) 잔기; 중쇄 가변 영역과 경쇄 가변 영역 사이의 접촉 잔기; 베르니에 구역(Vernier zone) 내의 잔기; 및 Chothia-정의된 VH CDR1과 Kabat-정의된 제1 중쇄 프레임워크 사이에서 중첩되는 영역 내의 잔기. 인간화된 mAb의 생산 기술이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문헌[Jones et al., 1986. Nature 321: 522-525]; 문헌[Riechmann et al. 1988. Nature 332:323-329]; 문헌[Verhoeyen et al., 1988. Science 239: 1534-1536]; 문헌[Carter et al., 1992. Proc. Natl. Acad. Sci. USA 89: 4285-4289]; 문헌[Sandhu, JS., 1992. Crit. Rev. Biotech. 12: 437-462], 및 문헌[Singer et al., 1993. J. Immunol. 150: 2844-2857] 참조). 키메라 또는 뮤린 모노클로날 항체는 마우스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및 경쇄 가변 사슬의 마우스 CDR을 인간 항체의 상응하는 가변 도메인에 전달함으로써 인간화될 수 있다. 키메라 모노클로날 항체의 마우스 프레임워크 영역(FR)도 또한 인간 FR 서열로 대체된다. 단순히 마우스 CDR을 인간 FR로 옮기면 종종 항체 친화도가 감소하거나 심지어 손실되기 때문에, 뮤린 항체의 원래 친화도를 회복하기 위해 추가 변형이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이의 에피토프에 대한 양호한 결합 친화도를 갖는 항체를 얻기 위해 FR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인간 잔기를 뮤린 대응물로 대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Tempest et al. (1991. Biotechnology 9:266-271)] 및 문헌[Verhoeyen et al. (1988 상기)]를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뮤린 대응물과 다르고 하나 이상의 CDR 아미노산 잔기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인간 FR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후보가 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IC14 항체(문헌[Axtelle et al., 2001. J. Endotoxin Res. 7: 310-314]; 및 미국 특허 출원 제2006/0121574호, 이는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됨)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이다. IC14 항체는 인간 CD14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키메라(뮤린/인간)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IC14는 상기 언급된 뮤린 28C5로부터 유도되었으며 IgG4 중쇄를 포함한다(Leturcq 등의 미국특허 제5,820,858호, 제6,444,206호, 및 제7,326,569호, 및 문헌[Leturcq et al., 1996. J. Clin. Invest. 98: 1533-1538] 참조). 따라서, 일례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상기된 바와 같이, IC14 중쇄 및 경쇄 CDR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VL 도메인 및 VH 도메인을 포함하며, 여기서:
VL 도메인은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QSPASLAVSLGQRATISCRASESVDSYVNSFLHWYQQKPGQPPKLLIYRASNLQ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YCQQSNEDPYTFGGGTKLEIK[SEQ ID NO: 25];
VH 도메인은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LQQSGPGLVKPSQSLSLTCTVTGYSITSDSAWNWIRQFPGNRLEWMGYISYSGSTS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GLRFAYWGQGTLVTVSS[SEQ ID NO: 26];
VL 도메인은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DIVLTQSPASLAVSLGQRATISCRASESVDSYVNSFLHWYQQKPGQPPKLLIYRASNLQ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YCQQSNEDPYTFGGGTKLEIK[SEQ ID NO: 30];
VH 도메인은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DVQLQQSGPGLVKPSQSLSLTCTVTGYSITSDSAWNWIRQFPGNRLEWMGYISYSGSTS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GLRFAYWGQGTLVTVSS[SEQ ID NO: 31].
다른 예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IC14의 경쇄 및 중쇄를 포함하고, 여기서:
경쇄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QSPASLAVSLGQRATISCRASESVDSYVNSFLHWYQQKPGQPPKLLIYRASNLQ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YCQQSNEDPYTFGG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SEQ ID NO: 28];
중쇄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LQQSGPGLVKPSQSLSLTCTVTGYSITSDSAWNWIRQFPGNRLEWMGYISYSGSTS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GLRFAYWGQGTLVTVSS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KTYTCNVDHKPSNTKVDKRVESKYGPPCPSCPAPEF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QEDPEVQFNWYVDGVEVHNAKTKPREEQF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GLPSSIEKTISKAKGQPREPQVYTLPPSQ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RLTVDKSRWQEGNVFSCSVMHEALHNHYTQKSLSLSLGK[SEQ ID NO: 29];
경쇄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DIVLTQSPASLAVSLGQRATISCRASESVDSYVNSFLHWYQQKPGQPPKLLIYRASNLQ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YCQQSNEDPYTFGG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SEQ ID NO: 32];
중쇄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DVQLQQSGPGLVKPSQSLSLTCTVTGYSITSDSAWNWIRQFPGNRLEWMGYISYSGSTS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GLRFAYWGQGTLVTVSS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KTYTCNVDHKPSNTKVDKRVESKYGPPCPSCPAPEF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QEDPEVQFNWYVDGVEVHNAKTKPREEQF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GLPSSIEKTISKAKGQPREPQVYTLPPSQ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RLTVDKSRWQEGNVFSCSVMHEALHNHYTQKSLSLSLGK[SEQ ID NO: 33].
본원의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CD14의 추가 길항제 항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일반적으로 항체가 CD14를 직접적으로 길항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법은 항체가 CD14의 양 또는 작용제 활성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CD14의 양 또는 작용제 활성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 능력은 항체가 MI 치료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적합하게는 DAMP 또는 PAMP와 같은 CD14 작용제의 존재 하에 CD14, 이의 표면 상에 CD14를 발현하는 세포, 또는 CD14가 발현되는 핵산 서열과 접촉되며, 여기에서 작용제의 존재 하에 CD14의 양 또는 작용제 활성의 감소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항체가 CD14에 결합하고 CD14를 직접적으로 길항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CD14 작용제 활성의 감소 또는 억제는, 예를 들어 TLR 신호전달 경로(예를 들어, TLR4 신호전달 경로) 및 TRIF 경로와 같은 하류 경로의 활성화를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 또는 세포 반응의 유도(예를 들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비롯한 전염증성 매개자의 생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생체 내에서, 생체 외에서 또는 시험관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항체를 CD14 또는 이의 표면 상에 CD14를 발현하는 세포(예를 들어, 면역 세포)와 접촉하는 단계는 생체 내에서, 생체 외에서 또는 시험관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세포-기반 또는 무세포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은 이의 표면에 CD14를 발현하는 세포를 항체와 접촉시키고 세포와 항체의 접촉이 CD14의 양 또는 작용제 활성을 감소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기반 분석법에서, CD14 및/또는 항체는 숙주 세포에 대해 내인성(endogenous)일 수 있거나, 숙주 세포 또는 조직 내로 도입될 수 있거나, 발현 구축물 또는 벡터의 발현을 유도하거나 발현되도록 할 수 있게 하여 숙주 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거나 세포에서 내인성 유전자로부터의 발현을 자극하거나 활성화시켜 숙주 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세포-기반 방법에서, CD14 활성의 양은 제제가 세포에서 CD14의 양을 변경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항체의 존재 또는 부재에서, 예를 들어, 세포 내 CD14 발현의 조절 또는 세포 내 CD14 단백질의 불안정화를 통해, 또는 세포의 CD14 작용제 활성을 변경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항체의 존재 하에 세포 표면 상의 더 낮은 CD14 작용제 활성의 존재 또는 감소된 양의 CD14는 항체가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CD14의 길항제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일부 예에서, 항체가 다른 세포 성분, 적절하게는 CD14의 결합 파트너, 예컨대 분비되거나(예를 들어, MD2) 세포막 상에 위치하는(예를 들어 TLR4) CD14 결합 파트너에 대한 실질적인 또는 검출 가능한 결합이 결여되어 있는지 여부가 추가로 결정되며, 이에 따라 항체가 CD14의 특정 길항제인지 결정된다. 이러한 유형의 비제한적 예에서, 항체는 DAMP 또는 PAMP와 같은 CD14 작용제의 존재 하에 (1) 표면에 CD14를 발현하는 야생형 세포(예를 들어, 면역 세포, 예를 들어 대식세포), 및 (2) CD14 음성 세포(예를 들어, (1)에서와 동일하지만 CD14 유전자에서 기능 상실을 갖는 면역 세포)와 접촉된다. 항체가 야생형 세포의 CD14 작용제 활성을 억제하지만 CD14 음성 세포는 억제하지 않는 경우, 이는 항체가 CD14 특이적 길항제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형의 세포는 일상적인 절차나 동물을 사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잠재적인 CD14 길항제 항체는 예를 들어 동물 모델에서와 같이 생체 내에서 평가된다. 그러한 생체 내 모델에서, 항체의 효과는 순환(예를 들어, 혈액) 또는 심장, 또는 폐, 간, 신장 또는 뇌와 같은 다른 장기에서 평가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MI 모델은 항체의 활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CD14의 예시적인 길항제 항체는, 항체의 부재 시와 비교하여 CD14 활성 또는 수준을 적어도 5%, 적어도 10%, 적어도 25%,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5%, 또는 적어도 항체가 없는 경우에 비해 85% 이상 감소시킨다. 일부 예에서, 항체는 CD14 작용제 활성 또는 CD14의 수준이 항체의 존재 하에 더 이상 검출될 수 없도록 CD14 작용제 활성 또는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감소는 시험 중인 샘플에서, 또는 예를 들어 방법이 동물 모델에서 수행되는 경우에서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체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CD14의 특이적 길항제이다. 그러나, 이것은 CD14의 특정 길항제가 비-표적 길항 활성이 완전히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CD14의 특이적 길항제는, 비-CD14 세포 성분의 활성, 신호전달 또는 발현의 길항 작용이 직접 결합 및 CD14의 활성, 신호전달 또는 발현에 대한 그러한 제제의 효과의 15% 미만, 10% 미만, 5% 미만, 1% 미만, 또는 0.1% 미만이 되는 것과 같이, 다른 세포 성분에 대한 직접 결합 및 효과가 무시할 수 있거나 미미할 수 있다.
CD14의 수준 또는 양은 CD14 유전자의 발현을 평가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유전자 발현은 mRNA 생산 또는 수준 또는 단백질 생산 또는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mRNA 및 단백질과 같은 발현 생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확인되거나 정량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관심 mRNA를 특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혼성화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법은 PCR 또는 실시간 PCR 접근법을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있는 단백질을 식별하거나 정량화하는 방법은 해당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법은 웨스턴 블롯팅을 포함할 수 있다. CD14 유전자 발현의 조절은 항체의 존재 및 부재에서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항체가 없을 때 나타나는 수준과 비교하여 CD14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항체가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CD14의 적합한 길항제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길항제 항체를 확인하는 방법은 CD14의 작용제 활성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법은 말초 혈액 단핵 세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세포는 예를 들어 LPS로 자극에 반응하여 IL-1α, IL-6, TNF-α, IFN-β, IL-1β, IL-17 및 IL-8과 같은 사이토카인을 생산할 것이다. 따라서 방법은 말초 혈액 단핵 세포를 항체 또는 비히클과 조합하고 LPS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세포는 사이토카인과 같은 전-염증성 매개자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24시간) 인큐베이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해당 기간 동안 세포에 의해 생성된 IL-1α, IL-6, TNF-α, IFN-β, IL-1β, IL-17 및 IL-8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수준이 평가될 수 있다. 항체에 항-CD14 특성이 있는 경우,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생산은 비히클-처리된 세포에 비해 감소되어야 한다.
3. 보조제 및 개입
CD14 길항제 항체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활성제("보조제"라고도 함) 또는 MI 치료에 유용한 제제 및 개입과 같은 다른 개입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에 적합한 보조제는 예를 들어, 섬유소용해제, 베타 차단제, 고강도 스타틴(예를 들어 아토르바스타틴 또는 로수바스타틴),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제 및 혈소판 억제제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보조제는 베타 차단제(또는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길항제)이다. 적합한 베타-차단제는 비-선택적일 수 있거나 베타-1 선택적일 수 있다. 비-선택제는 베타-1 및 베타-2 수용체 둘 모두에 결합하여 두 수용체 모두를 통해 길항작용 효과를 유도한다. 비-선택적인 베타 차단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프로프놀롤, 카베딜롤, 소탈롤, 및 라베탈롤을 포함한다. 베타-1 수용체-선택적인 차단제는 베타-1 수용체에만 결합하며, 예를 들어, 아테놀롤, 비소프롤롤, 메토프롤롤, 및 에스몰롤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보조제는 예를 들어, 스트렙토키나제, 아니스트레플라제 또는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예를 들어 테넥테플라제, 레테플라제 또는 알테플라제)와 같은 섬유소용해제이다.
추가 예에서, 보조제는 혈소판 억제제, 예를 들어 아스피린, P2Y12 억제제(예를 들어 티클로피딘, 클로피도그렐, 티카그렐러 또는 프라수그렐) 또는 당단백질 IIb/IIIa 수용체 길항제이다.
또 다른 예에서, 보조제는 ACE 억제제이다. ACE 억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베나제프릴, 캅토프릴, 에날라프릴, 포시노프릴, 리시노프릴, 모엑시프릴, 페린도프릴, 퀴나프릴, 라미프릴 및 트란돌라프릴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항체의 투여는 개입, 예를 들어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관상동맥 혈관성형술로도 알려짐) 또는 관상동맥 우회술(CABG)과 함께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PCI는 MI 증상의 시작 후 12 내지 24시간 이내에 수행된다.
병용 치료가 요망되는 경우, CD14 길항제 항체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 또는 개입과 별도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는 예를 들어 2개 유형의 제제를 포함하는 단일 조성물 또는 약물학적 제형을 전신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또는 2개의 별도의 조성물 또는 제형을 동시간에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조성물은 CD14 길항제 항체 및 다른 보조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CD14 길항제 항체를 이용한 치료는 보조제를 이용한 치료를, 수분 내지 수시간 또는 심지어 수일 또는 수주 범위의 간격만큼 선행하거나 후속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항체 및 보조제는 서로 약 1 내지 12시간 내에 또는 서로 약 2 내지 6시간 내에 투여된다. 다른 상황에서, 치료 기간을 유의하게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1일 이상(예를 들어 1, 2, 3, 4, 5, 6, 7 또는 8일)이 각각의 투여 사이에 경과한다. 보조제가 CD14 길항제 항체와 별도로 투여되는 실시형태에서, 보조제는 CD14 길항제 항체에 사용되는 투여 방법과 상이한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개입(예를 들어 PCI)은 대상체 상에서 수행되며, 항체는 대상체에 PCI의 72시간 이내에, 예를 들어 개입의 12, 24, 36 또는 48시간에 또는 그 시간 이내에 투여된다.
2개 이상의 제제가 대상체에게 "함께" 또는 "동시에" 투여되는 경우, 이들 제제는 동일한 시기에 단일 조성물로서, 또는 동일한 시기에 별도의 조성물로서, 또는 별도의 시간에 별도의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4. 조성물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CD14 길항제 항체의 사용은 단독으로 또는 보조제와 병용되든지 간에, MI를 치료할 수 있다. CD14 길항제 항체 및 선택적으로 보조제는 그 자체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서 MI를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CD14 길항제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또한 제공된다.
CD14 길항제 항체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안정화제 또는 부형제(비히클)를 사용하여 종래의 방식으로 제형화되어,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을 특히 단백질 활성제와 관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담체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양립 가능하고 이의 수혜자(예를 들어 환자)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측면에서 "허용가능"하다. 적합한 담체는 전형적으로, 생리 식염수 또는 글리세롤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탄올 폴리올을 포함한다.
항체는 중성 또는 염 형태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산 부가염(자유 아미노기로 형성됨)을 포함하고, 이는 무기 산, 예컨대 염산 또는 인산, 또는 이러한 유기 산, 예컨대 아세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및 말레산으로 형성된다. 유리 카복실기로 형성되는 염은 또한, 무기 염기, 예컨대 소듐, 포타슘, 암모늄, 칼슘, 또는 페릭 하이드록사이드, 및 유기 염기, 예컨대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2-에틸아미노 에탄올, 히스티딘 및 프로카인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정맥 내, 근육 내, 피하, 또는 복강 내 투여를 포함한 전신 투여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고, 편리하게는 항체의 멸균 수용액을 포함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수혜자의 혈액과 등장성이다. 이러한 제형은 전형적으로, 생리학적으로 양립성인 성분, 예컨대 소듐 클로라이드, 글리신 등을 함유하고 생리학적 조건과 양립성인 완충된 pH를 갖는 물에서 고체 활성 성분을 용해시켜,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용액을 멸균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들은 단위 또는 다중-용량 용기, 예를 들어, 밀봉된 앰플 또는 바이알로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단백질, 당류(예를 들어 트레할로스), 아미노산, 무기산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안정화제를 혼입할 수 있다. 안정화제는 적절한 농도 및 pH로 수용액에서 사용된다. 수용액의 pH는 5.0 내지 9.0의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의 범위 내에서 조정된다. 항체를 제형화하는 데 있어서, 항흡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부형제는 전형적으로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제어 방출 조제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는 단백질과 복합체화하거나 이를 흡수하기 위해 중합체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제어 방출 제형에 적절한 중합체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노산, 폴리비닐, 피롤리돈,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한다. 제어 방출을 위한 다른 가능한 방법은 항체를 중합체성 물질, 예컨대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노산, 하이드로겔, 폴리(락트산) 또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입자 내로 혼입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들 제제를 중합체성 입자 내로 혼입하는 대신에, 이들 물질을 예를 들어 코아세르베이션 기법에 의해 또는 계면 중합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젤라틴-마이크로캡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마이크로캡슐 내에 각각, 또는 콜로이드 약물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리포솜, 알부민 미소구체, 마이크로에멀젼, 나노입자, 및 나노캡슐에 또는 마크로에멀젼에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CD14 길항제 항체 및 선택적으로 보조제는 또한, 에어로졸 형태로 기도에 직접 투여될 수 있다. 에어로졸로서 사용하기 위해, 용액 또는 현탁액 중의 본 발명의 억제제는 종래의 아쥬반트와 함께 적합한 추진체(propellant), 예를 들어 프로판, 부탄 또는 이소부탄과 같은 탄화수소 추진제와 함께 가압 에어로졸 용기에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질은 또한, 네뷸라이저 또는 애터마이저와 같은 비-가압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당업자는 제형이 이의 의도된 사용, , 투여 경로에 따라 일상적으로 설계됨을 인식할 것이다.
5. 치료 방법
본 개시내용은 MI가 있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치료적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MI는 STEMI이다. 다른 예에서, MI는 NSTEMI이다. 추가 예에서, MI는 1형, 2형, 3형, 4a형, 4b형 또는 5형 MI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대상체가 MI 특히 NSTEMI or STEMI, 및/또는 1형, 2형, 3형, 4a형, 4b형 또는 5형 MI를 갖는지 여부의 평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치료는 이들이 MI(선택적으로 앞서 언급한 유형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는 근거로 진행된다.
따라서, 대상체에서 MI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고려되며, 상기 방법은 CD14 길항제 항체, 및 선택적으로 보조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거나 개입(예를 들어 PCI)을 수행함으로써 수행된다. CD14 길항제 항체, 및 선택적으로 보조제(종합하여 본원에서 "치료제"로 지칭됨)는 대상체에서 의도된 목적, MI의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결과의 감소 또는 예방, 예를 들어 심장 근육에 대한 손상 감소 또는 예방, 및/또는 심장 기능 상실의 감소 또는 예방(예를 들어 수축기 기능부전의 감소 또는 예방)을 달성하기 위해 "유효량"으로 투여될 것이다. 환자에게 투여될 치료제의 용량은 대상체에서 유익한 반응을 달성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일부 예에서, 항체(선택적으로 보조제와 함께)의 투여는 항체가 투여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수축기 기능부전(또는 심실 기능부전)의 감소를 초래한다(, 항체가 투여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수축기 기능 또는 심실 기능이 증가함).
투여될 치료제의 양 또는 투약 빈도는 이의 진단(예를 들어 MI 유형 또는 이들에게 존재하는 증상), 대상체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일반적인 건강 조건을 포함하여 치료될 대상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투여를 위한 치료제의 정확한 양은 실무자의 판단에 의존할 것이다. 당업자는 일상적인 실험에 의해,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CD14 길항제 항체, 및 선택적으로 보조제의 효과적이며 무독성인 양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예에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CD14 길항제 항체의 양은 0.1 mg/kg 내지 50 mg/kg, 0.5 mg/kg 내지 40 mg/kg, 2 mg/kg 내지 20 mg/kg 또는 5 mg/kg 내지 10 mg/kg이다. 특정한 예에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CD14 길항제 항체의 양은 (또는 대략) 0.2, 0.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또는 50 mg/kg이다.
CD14 길항제 항체는 단일 용량 또는 다중 용량으로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단일 용량(예를 들어 단일 볼루스 주사 또는 단일 별개의 주입)으로서 투여된다. CD14 길항제 항체가 다중 용량으로서 투여되는 실시형태에서, 바람직하게는 3개 이하의 용량이 투여되고, 이들은 서로 약 6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60시간 또는 72시간 이내에 투여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단지 1, 2, 또는 3회 용량의 CD14 길항제 항체가 투여된다.
일부 예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MI 후 또는 MI 진단 후 최대 4일까지 임의의 시간에 대상체에 투여된다. 일례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MI 후 또는 MI 진단 후 최대 6, 8, 10, 12, 18, 24, 36, 48, 60, 72, 84 또는 96시간에 대상체에 투여된다. 예를 들어, CD14 길항제 항체는 MI 후 또는 MI 진단 후 최대 6, 8, 10, 12, 18, 24, 36, 48, 60, 72, 84 또는 96시간까지 단일 용량으로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MI 후 또는 MI 진단 후 최대 6, 8, 10, 12, 18, 24, 36, 48, 60, 72, 84 또는 96시간까지 2회 이상의 용량으로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량이 MI 후 또는 MI 진단 후 최대 24시간에 투여될 수 있고, 제2 용량이 이후 추가 24 내지 48시간에 투여될 수 있다.
특정한 예에서, CD14 길항제 항체는 대상체에 MI 후 2 내지 96시간, 4 내지 96시간, 6 내지 96시간, 2 내지 72시간, 4 내지 72시간, 6 내지 72시간, 2 내지 48시간, 4 내지 48시간, 6 내지 48시간, 2 내지 24시간, 4 내지 24시간, 6 내지 24시간, 2 내지 18시간, 4 내지 18시간, 6 내지 18시간, 2 내지 12시간, 4 내지 12시간, 또는 6 내지 12시간에 투여된다.
대상체가 PCI와 같은 개입을 받는 경우, CD14 길항제 항체는 PCI 시점에, 및/또는 PCI 후, 예를 들어 PCI의 6, 8, 10, 12, 18, 24, 36, 48, 60, 72, 84 또는 96시간 이내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쉽게 이해되고 실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위해,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이제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기재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STEMI에 따른 항-CD14 치료의 효과 평가(연구 1)
STEMI 7일 후 마우스 심장에 대한 항-CD14 길항제 항체의 2가지 상이한 투약 프로토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활성제는 biG53 F(Ab')2 항체로서, 현재 인간 연구에 사용되는(국제 특허 출원 PCT/US2020/043619호), 항-인간 CD14 mAb IC14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한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PAMP-의존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기능적으로 억제한다. 간단히 말해서, 결찰에 의한 심실 폐색 55분을 포함하는, STEMI 수술 직전에 수술 전 심초음파를 수행하였다. 재관류는 합자를 풀어 수술 후 1시간에 수행하였다. 마우스에 재관류 직전(정맥(i.v.) 용량) 및/또는 수술 후 24시간(복강내(i.p) 용량)에 5 μg/체중 g (즉, 약 150 μg/30g 마우스)의 biG53 F(Ab')2 용량을 투여하였으며, 단일 용량 또는 이중 용량이 투여되도록 투여하였다. 하기 마우스군을 연구에 포함하였다:
대조군: I/R, 1시간 비히클 I.V. + 24시간에 비히클 I.P. (n=8)
단일 용량: I/R, 1시간에 항-CD14 I.V., 24시간에 비히클 I.P.(n=8)(
이중 용량: I/R, 1시간에 항-CD14 I.V. + 24시간에 항-CD14 I.P.(n=8)
본 연구의 1차 종점은 STEMI 수술 후 7일차의 수축기 기능의 심초음파 검사였다. 심근 섬유증 및 CD68+ 세포 침윤의 순환 전염증성 마커 및 조직학도 또한 조사하였다.
A. 방법
무작위화 및 맹검
본 연구는 무작위 맹검 연구이다.
심근경색증 수술
총 33마리의 수컷 야생형 C57B16 마우스(2배치, 각각 n=15 및 n=18)에 8.5 내지 9.5 WOA에서 허혈-재관류 수술을 하였다. 간략하게, 마우스를 수술 부위 면도 및 삽관 전에 케타민(80 내지 100 mg/kg), 자일라진(10 내지 20 mg/kg) 및 아트로핀(1 내지 2 mg/kg) 혼합물로 마취시켰다. 멸균 가열 패드에서 마우스를 환기(분 당 100 내지 140 호흡에서 0.2 내지 0.3 ml)하고 멸균된 부피비카인(2 mg/kg)으로 준비된 수술 부위(왼쪽 가슴)를 멸균 기구를 사용하여 좌측 개흉술을 수행하기 전에 피내 투여하였다. 7-0 멸균 봉합사를 사용하여 좌심방 부속기에서 약 2 mm 아래에 있는 좌전하행 관상동맥을 결찰하고, 6-0 프롤렌 봉합사를 사용하여 외과적 폐쇄(내늑간부, 외피) 동안 멸균 루프를 사용하여 가역적으로 묶었다.
환기가 유지되는 동안 심전도(ECG) 및 직장 온도가 관찰되는 가열된 바이탈 사인 모니터링 스테이션으로 마우스를 옮겼다. 그런 다음 자발 호흡 재개 시 마우스를 발관하고 회복 우리로 돌려보냈다(온도의 행동 자동 조절을 통해 움직임을 장려하기 위해 기본 영역의 절반을 가열하였다. 좌전 하행 관상동맥 폐색 55분 후, 회복 중인 마우스에 biG53 F(Ab')2 또는 비히클을 재관류(결찰 해제) 직전 1시간에 I.V.로 주입하였다.
2마리의 마우스가 수술로부터 회복되기 전에 사망하였다. 수술 후 처음 5일 동안 나머지 모든 마우스를 하루에 2 내지 3회 모니터링하였다. 나머지 모든 마우스는 24시간 이내에 완전히 회복되었다(정상적인 행동 재개, 통증/불편감 모니터링의 기준 점수)(n=31, 수술된 마우스의 94%).
24시간에 심초음파에 의한 STEMI 모델 스크리닝: 상대 조직 변위
수술 후 24시간에, 나머지 31마리의 모든 마우스는 위험 영역을 평가하기 위해 심초음파를 받았다. 간략하게, 마우스를 이소플루란(유도: 실내 공기 중 3 내지 4.5%, 유지: 실내 공기 중 1 내지 2%)으로 마취하고 가열 및 연결식 ECG 플랫폼에 배치하였다. Vevo® 2100 시스템(Visualsonics, Fujifilm, 캐나다 소재)을 사용하여 초고주파 초음파 탐침(MS-550D)을 사용하여 Gated(EKG) 및 게이팅되지 않은 흉골연 장축(parasternal long-axis) 시네 루프를 얻었다. 모든 마우스가 예상대로 회복되었다. 제조업체의 VevoLAB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여 장축에서 활성 상대 방사형 조직 변위로부터 비활성을 식별하였다. 비활성/제로 상대 조직 변위는 허혈 영역/경색 크기에 대한 엄격한 대용물을 제공하고 작은/불규칙한 경색(예를 들어 결찰 누락 또는 관상동맥의 측부 분지로 인해 발생)이 있는 마우스를 제외하는데 사용되었다.
좌심실의 45 ± 10% 조직 변위를 갖는 마우스만을 연구에 포함시켰다(n=13, 배치 1; n=13, 배치 2). 외과적으로 회복된 총 26마리(84%)의 마우스를 모든 평가를 위해 연구에 포함시켰다(A군: n=10; B군, n=8; C군: n=8). 이 프로젝트에는 미리 정해진 추가 제외 기준(즉, 기술적으로 부족한 데이터)이 적용되었지만 추가로 제외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는 없었다.
7d에서 수축기 기능의 심초음파 분석
좌심실 심초음파 영상화를 수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 흉골연 장축 루프를 얻었다. 좌심실 이완기말 및 수축기말 영역을 심내막 경계에서 추적하였다. 이 영역에서, 이완기말, 수축기말 및 박출량; 심박출량 및 박출 분율을 소프트웨어(VevoLAB 3.2.5, Visualsonics, Fujifilm, 캐나다 소재) 내의 공식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7일차에 부검
수술 후 7일에 심초음파검사 후, 마우스를 심장 천자 전에 케타민, 자일라진 및 아트로핀으로 마취시키고 이차 안락사를 수행하였다(경추 탈구). 각 마우스에서 평균 1.1 ± 0.1 ml의 전혈을 채취하여 종합적인 부검을 수행하였다.
조직 수집(7일차) 및 조직학
4개의 챔버를 해부하기 전에 전체 심장을 절제하고 외과용 현미경(ZEISS OPMI Pico, Carl Zeiss Meditec AG, 독일 소재)을 사용하여 사진을 찍었다. 좌심실(LV)의 길이를 측정하고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에 고정하기 위해 종방향 중간점에서 횡단 절단하였다.
일단 48 내지 72시간 동안 고정하면, 각각의 LV를 파라핀 왁스에 포매하고 절단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블록을 전면 조직으로 트리밍하고 5× 4 μm 섹션을 5× 슬라이드에 걸쳐 수집하였다. 블록을 다시 250 μm로 트리밍하고 5× 4 μm 섹션을 첫 번째 섹션과 함께(동일한 5개의 슬라이드에 걸쳐) 수집하였다. 이러한 250 μm 트리밍 및 5× 4 μm 절편을 조직이 고갈될 때까지 또는 각 슬라이드에서 5개의 절편이 수집될 때까지 반복하였다.
명시야 스캐닝 전에 각각의 LV로부터 하나의 슬라이드에 대해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수행하였다. 암시야 스캐닝 전에 CD68(Abcam, Ab125212), 트로포닌 I(Invitrogen, MA5-12960) 및 DAPI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각 LV의 다른 슬라이드에서 면역형광 염색을 수행하였다. 모든 명시야 스캐닝은 각 LV에 대해 동일한 설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모든 암시야 스캐닝은 각 LV에 대해 동일한 설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Masson's Trichrome 및 면역형광 영상의 분석은 자동화된(매크로) 접근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Masson의 Trichrome 분석을 위해, 해부학적으로 동등한 심실 중앙 섹션(유두근 수준)을 빨간색과 파란색 채널을 분리하고 파란색 전용 영역(양성)을 빨간색/파란색 영역(음성)에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양성에 대한 임계값을 0~100 또는 0~130으로 설정하였고 총 조직 임계값은 0~230으로 설정하였다.
면역형광(CD68+ 세포) 분석을 위해, DAPI-염색된 핵(채널 1)을 사용하고 0~750의 평균 강도 역치 및 트로포닌 T(채널 3) 총 조직 임계값 150을 갖는 CD68 항체(채널 2)의 공동 국재화를 분석하여 세포 수분 배출을 수행하였다.
B. 결과
급성 심근경색증의 평가: 허혈 후 처음 24시간
수술 후 심초음파분석
이 파일럿 연구에 포함된 26마리의 모든 마우스는 심근경색증 수술 후 ST-상승/파괴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CG 기록은 각 군 간의 형태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 벽 변위의 심초음파 평가
각각의 심장(좌심실)에서의 성공적인 경색은 24시간에 상대 조직 변위의 심초음파 평가에 의해 재확인되었다. 상대 조직 변위 분석은 세 군의 마우스 간에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각각 44 ± 5, 47 ± 4, 44 ± 4; 평균 ± SD, p>0.05).
아급성 심근경색증의 평가: 허혈 후 7일
좌심실 용적 및 기능의 심초음파 평가
심장 박동수는 STEMI 수술 7일 후 심초음파 시점에 군 간에 유사하였다(표 1, p>0.05). 이중 용량 군은 심초음파 좌심실 면적 변화(LVAC; 대조군에서 21 ± 4 대 16 ± 3%, p<0.05) 및 종단 분할 단축(대조군에서 8.3 ± 1.4 대 6.4 ± 1.1%, p<0.05)(도 1 및 표 1)에 의해 평가된 바와 같이 개선된 수축기 기능을 가졌다. 유의하지 않은, 달리 중간 정도의 변화가 단일 용량 군에서 관찰되었다(p>0.05).
6% 박출 분율의 관련된, 아직 유의하지 않은 절대적인 증가가 이중 용량 군에서 관찰되었고(대조군에서 29 ± 7 대 23 ± 5, p>0.05), 수축기 기능이 약 25%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LVAC에서 관찰된 유의미한 약 30% 상대적 개선에 해당한다.
[표 1]
Figure pct00001
*대조군과 이중 용량군 사이에 p<0.05. NSD - 유의한 차이 없음
부검 생체 인식
모든 장기 중량측정 매개변수는 부검에서 군 간에 유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표 2). 대조군에 있는, 어느 처리군에도 있지 않은 한 마리의 마우스는 부검에서 심방 혈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STEMI 마우스 모델의 심부전에서 관찰된다.
혈청 분석
후속 ELISA 분석을 위한 분석물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각 군의 대표적인 샘플을 다중 분석법(R&D Systems, Mulitplex Tool)으로 분석하였다. 다중 분석은 검출 한계보다 작은 모든 값을 반환하였다(검출되지 않음; N.D.). TNF-알파 및 IL-1베타(Invitrogen, 88-7013-22)에 대한 고감도 ELISA 키트를 이후에 사용하였으며 표준 곡선은 약 2 pg/ml의 낮은 검출 한계(제조업체 권장 한계 8 pg/ml)로 확장되었다. 고감도 ELISA 범위와 내삽을 위한 표준 곡선의 성공적인 설정에도 불구하고, 두 분석 물질에 대한 모든 샘플 값은 검출 가능한 범위 미만이었다.
조직학
섬유증 면적(전체 면적의 퍼센트로서)의 반-정량적 분석을 제공하기 위해 간질 및 패치 섬유증을 시각화하고 이 영역을 비-섬유증 조직으로부터 식별하기 위해 각 군의 마우스의 심실 중앙의 Masson's trichrome 명시야 영상화를 수행하였다. 각 군에서 섬유증이 관찰되었지만, 군 간의 섬유증 퍼센트에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표 2).
[표 2]
Figure pct00002
평균 ± SD. NSD - 유의한 차이 없음
심실 중앙 섹션의 면역형광 영상화를 수행하여 CD68+ 세포를 시각화하고 전체 면적의 퍼센트로서 CD68+ 세포의 반-정량적 분석을 제공하였다. 유의한 경색-주위 CD68+ 세포 침윤이 심근에서 관찰되었지만,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표 3).
[표 3]
Figure pct00003
평균 ± SD. NSD - 유의한 차이 없음
C. 논의
후속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재관류)을 수반하는 STEMI는 급성/아급성기에서 과도한 심장 염증 및 작용하는 심장 근육 세포의 손실을 유도한다. 이것은 심부전의 발달로 이어지는 섬유증 및 심장 리모델링의 진행성 과정을 유발한다.
STEMI의 급성기 및 아급성기 전체에 걸쳐, 막대한 2상(bi-phasic) 염증 반응이 질환을 유발한 후 복구된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무딘" 약리학 제제로 이 염증을 억제하는데 초점을 맞춰왔다. 그러나, 이러한 항염증제는 손상 해결 및 조직 복구와 관련된 활동을 포함하여 백혈구의 모든 활동을 비선택적으로 억제하여 회복 과정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손상(회복 항염증제를 아끼면서)된 세포와 과정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개입은 급성 손상뿐만 아니라 심장 리모델링 정도 및 STEMI 후 심부전과 관련된 기능 상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손상-관련 분자 패턴(DAMP: 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 분자는 급성 STEMI 동안 손상된 심근세포에 의해 방출되고 상주하는 전염증성 대식세포가 혈액에서 순환하는 백혈구(주로 호중구)를 유인하도록 한다. 손상되고 괴사된 세포의 식균작용 후, 이러한 호중구는 조직 복구의 해결 단계를 촉진하는 아폽토시스를 겪는다. CD14는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DAMP-유발 염증을 촉진하는 다수의 패턴 인식 수용체에 대한 중요한 보조인자이다. CD14의 억제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지만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은 감소시키지 않는다.
본 연구는 CD14의 작용이 STEMI-연관 염증의 급성 상황에서 CD14를 좋은 치료 표적으로 만들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CD14의 단기간 억제는 심근경색증과 관련된 과도한 염증을 감소시키고 후속 손상, 섬유증 및 뮤린 심장의 리모델링을 완화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 연구는 CD14를 표적으로 삼는 것이 실제로 MI와 관련하여 치료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심초음파 - 항-CD14의 이중 용량 치료에 의한 좌심실 면적 변화 및 종단 분할 단축 모두에서 유의한 약 30% 상대적 개선이 높은 신뢰도로 관찰되었다. 모든 수집 및 분석을 맹검으로 수행하였으며, 복제된 관찰자 간 상관관계는 업계 최고의 표준이었다(기울기=1.0~1.1, r=0.94). 또한, 전체 심장 중량과 이완기말 상관관계는 이러한 결과의 신뢰도를 더욱 뒷받침하였다(r=0.9).
혈청 분석 및 조직학 - 7일 종점에서 다중 또는 고감도 ELISA 분석에 의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둘 다 검출되지 않았다. 이것은 M1-유사 특성을 가진 단백질 분해 대식세포의 시간적 단계적 급성 침윤과, 심근경색 후 4 내지 14일의 아급성 "해소 단계" 동안 무딤성을 감소시키는, 마우스에서 심근경색 후 처음 1 내지 3일 동안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부수적인 방출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순환 전염증성 바이오마커의 부재 하에, 7일차에 경색된 마우스 심장의 심근에서 CD68+ 세포의 관찰된 현저한 침윤은 이들 대식세포가 주로 M2-유사 특성을 갖고 손상된 심근의 해소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것은 또한 항-CD14 치료의 이중 용량 프로토콜이 M2-유사 대식세포의 침윤을 억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연구는 항-CD14 항체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STEMI 후 아급성 심장보호의 첫 번째 생체 내 증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심장보호 효과(7일차에 보존된 수축기 기능)는 이중 용량군(재관류 및 재관류 후 24시간 모두에서 5 μg/g 항-CD14 항체 제공)에서 가장 명확하게 관찰되었지만, 단일 용량군에서는 더 적은 정도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2
M1/M2 분화에서 CD14의 효과 평가
이전 연구는 항-CD14 치료가 MI 후 M2-유사 대식세포의 침윤을 억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CD14를 표적으로 하는 것이 M1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평가하기 위해, iPSC 유래 대식세포를 사용하여 M1 경로를 따라 분화를 차단하는, 인간 CD14에 특이적인 임상 등급 항체인 IC14의 능력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건강한 기증자로부터의 유도 만능 줄기 세포(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는 Cedars-Sinai Medical Center의 Board of Governors Regenerative Medicine Institute에서 iPSC 코어로부터 수득하였다. iPSC를 문헌[Yanagimachi et al. (PLoS One, 2013 8, 1-9)]의 프로토콜에 따라 M0 대식세포로 분화시켰다. 간략하게, iPSC를 36일 동안 5개의 순차적인 배양 단계로 처리하였으며, BMP4를 사용하여 초기 줄무늬 유사 세포를 유도한 다음, VEGF, SCF 및 염기성 FGF, 조혈 사이토카인을 이용한 조혈 세포의 후속 세대를 사용하여 KDR+CD34+ 혈관모세포-유사 세포를 생성하고, Flt-3 리간드, GM-CSF 및 M-CSF를 사용하여 단핵구 계통으로 분화하고 마지막으로 M-CSF, IFN-γ 및 IL-4를 사용하여 M0 대식세포로 분화시켰다.
유도된 M0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50,000개 세포의 농도로 플레이팅하여 M1 계통을 따라 iPSC를 분화시켰고, 2 ng/ml IFNγ(eBioscience) 및 1 ng/ml LPS(시그마)의 존재 하에 10% FBS를 포함하는 200 μl의 RPMI 1640에서 배양하였다. 60분 후 배양물을 IC14(Implicit Bioscience) 또는 인간 IgG4 대조군 항체(Biolegend)로 0.01 내지 1 μg/ml 범위에서 처리하였다. 추가 3시간 후 Trizol 시약 이후 Direct-zol RNA MiniPrep 키트(Zymo Research)를 사용하여 RNA 추출을 위해 세포를 수확하였다. 정량적 RTPCR(qRT-PCR) 실험은 SYBR Green이 포함된 One-Step RT-PCR 키트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Bio-Rad iQ5 다색 실시간 PCR 검출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행하였다.
B. 결과
M0 세포로 분화된 iPSC는 LPS 및 IFNγ 처리에 의해 M1 대식세포로 추가로 유도될 수 있다. 유도 시, M1 대식세포는 IL-1β, TNFα, IL-6 및 IL-8 전사체를 발현한다(도 2). LPS 및 IFNβ 자극은 자극 후 4시간에 측정된 바와 같이 이들 전사체의 수준을 급속히 증가시켰다. 이 연구는 M1 분화가 CD14에 의존하는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극 후 1시간에 이들 배양물에 IC14를 포함시키면 IL-1β, TNFα, IL-6 및 IL-8의 생성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억제는 이소타입 대조군 항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IC14로 mCD14를 차단한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했음을 나타낸다(도 2).
C. 논의
대식세포는 염증 과정의 개시 및 해결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염증 및 항-염증 역할을 한다. 이러한 뚜렷하고 반대되는 과정은 대식세포가 두 가지 표현형 중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는 제안으로 이어졌다; 고전적으로 활성화된(염증성) 대식세포(M1으로 지정) 또는 대안적으로 활성화된(또는 상처 치유) 대식세포(M2). 이러한 두 개의 반대되는 기능 상태로의 초기 분류는 지나치게 단순하여, 상태 자체의 복잡한 특성과 분극화 과정의 가소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오히려 기능적 상태의 연속체로서 대식세포 분극화를 고려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이제 대식세포 분극화는 여러 요인이 상호 작용하여 뚜렷한 활성화 상태를 생성하는 다인성 과정이라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활성화 상태는 그 자체가 가소적이며 변화하는 환경 영향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M1과 M2 표현형 사이의 균형의 변화는 많은 질병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암에서 종양 내 M2 대식세포의 존재와 감소된 M1/M2 비율은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다. 대조적으로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은 증가된 M1/M2 비율과 관련이 있다.
생체 내 대식세포 분극화는 다인성 과정으로 간주되지만, M1 분화는 사이토카인 및 TLR 작용제에 의한 염증 부위에서 발견되는 활성화를 복제하는 2개의 자극인 IFNγ 및 LPS를 사용한 자극에 의해 시험관 내에서 재현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iPSC 유래 대식세포를 사용하여 M1 경로를 따라 분화를 차단하는 IC14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IC14가 M1 분화 과정에서 네 가지 주요 염증 매개자인 TNFα, IL-1β, IL-6 및 IL-8 모두의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M1 대식세포의 발달을 차단하거나 대체 보호(M2) 경로를 따라 분극화를 촉진하면 MI 후 병적 염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실시예 3
항-CD14 치료 후 STEMI의 효과 평가(후속 연구)
STEMI 7일 후 항-CD14 길항제 항체의 2가지 추가 투약 프로토콜이 마우스 심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후속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항-CD14 길항제 항체는 biG53 항-마우스 항-CD14 mAb(즉, 실시예 1에서 사용된 biG53 F(Ab')2의 전체 항체 형태)였다. 이 마우스 항체는 실시예 2에 기재된 임상 항체(IC14)에 대한 대표적인 대체물이다. 간단히 말해서, 결찰에 의한 55분의 심실 폐색을 포함하는 STEMI 수술 직전에 수술 전 심초음파를 수행하였다. 재관류는 합자를 풀어 수술 후 1시간에 수행하였다. 마우스에 재관류 직전(정맥(i.v.) 용량) 및/또는 수술 후 8시간 내지 12시간(복강내(i.p) 용량), 및/또는 수술 후 24시간(복강내(i.p) 용량)에 7 μg/체중 g의 biG53 Amb 용량을 투여하였으며, 이중 용량 또는 삼중 용량이 투여되도록 투여하였다. 하기 마우스군을 연구에 포함하였다:
1군. I/R, 1시간에 비히클 I.V. + 8 내지 12시간에 비히클 I.P. + 24시간에 비히클 I.P.(염수 대조군)
2군. I/R, 1시간에 1× 이소타입 I.V. + 8 내지 12시간에 비히클 I.P. + 24시간에 이소타입 I.P.(2× 7 mg/kg 용량)(이소타입 대조군)
3군. I/R, 1시간에 1× 항-CD14 I.V. + 8 내지 12시간에 비히클 I.P + 24시간에 항-CD14 I.P.(2× 7 mg/kg 용량)
4군. I/R, 1시간에 1× 항-CD14 I.V. + 8 내지 12시간에 항-CD14 I.P. + 24시간에 항-CD14 I.P.(3× 7 mg/kg 용량)
본 연구의 1차 종점은 STEMI 수술 후 7일차의 수축기 기능의 심초음파 검사였다. 심근 섬유증 및 CD68+ 세포 침윤의 혈청 전염증성 마커(사이토카인) 및 조직학뿐만 아니라, 심장 카테터화 혈류역학 측정도 7일차에 또한 조사하였다.
A. 방법
무작위화 및 맹검
본 연구는 무작위 맹검 연구이다.
재관류가 있는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MI) 모델
1시간 허혈을 유도하기 위해 좌전 하행 관상동맥 결찰을 수행한 후, ST-상승 심근경색증을 초래하는 재관류를 수행하였다.
심전도(ECG)
3-리드 ECG 리드를 피부 아래에 배치하여 최대 5분의 ECG 추적을 기록하여 MI 직후 및 종점 카테터 삽입 동안 ST 상승을 확인하였다.
심초음파(24시간, MI 후 7일(D7))
마우스를 이소플루란(4.0% 유도, 1.6 내지 1.8% 유지)으로 마취시키고 좌심실(LV) 수축기 기능의 포괄적인 심초음파 연구를 Vevo2100 시스템즈(Visualsonics, Fujifilm)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24시간 심초음파를 분석하여 MI 모델 균질성 스크리닝을 위한 새로운 황금 표준인 플랫폼-검증 조직 변위 맵핑 기술로 허혈 영역 균질성을 확인하였다. 초고주파 흉골연 장축 루프(24시간 벽 변위 맵핑을 위한 게이트-EKV)의 모든 분석을 오프라인으로 수행하고 검증하였다.
혈액 샘플링 및 분석(MI 후 D7)
(혈액 수집을 위해) 심장 천자를 수행하고 상업용 멀티플렉스 면역분석 키트(Bio-Plex Pro, Bio-Rad Laboratories, Inc.)로 혈청 분석을 처리하였다.
부검 및 조직 수집(MI 후 D7)
심실(heart chamber), 폐, 신장, 간 및 비장의 중량을 포함한 모든 마우스에 대해 포괄적인 부검을 수행하였다. 일단 심장 해부(dissection)가 수행되면, 좌심실의 심실 중앙 횡단 고리를 조직학에 투입하고, 정점/경색된 심실은 향후 조사를 위해 -20℃에 보관하였다.
좌심실 조직학(MI 후 D7)
복합 절편화를 수행하여 좌(중앙) 심실 절편의 복제 슬라이드를 생성하였다. 맹검자가 조직을 처리, 포매, 염색, 영상화 및 분석하였다. 염색 프로토콜은 CD68, 트로포닌 T 및 DAPI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는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 & E), Masson's Trichrome, 피크로시리우스 레드 및 면역형광법을 포함하였다.
심장 카테터 삽입 및 혈역학적 평가(MI 후 D7)
마우스를 이소플루란(4.0% 유도, 1.6 내지 1.8% 유지)으로 마취하고 심장내 카테터를 우경동맥을 통해 상행 대동맥으로 통과시켜 동맥압을 측정한 후 좌심실로 진행하여 좌심실 압력과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간하(sub-hepatic) 공간을 통해 복부 대동맥을 압박하여 수축기말 및 이완기말 압력-용적 관계를 관찰하였다. 심장 천자 전에 우측 경정맥으로 고장성 식염수 주입(5 내지 10 μl)을 사용하여 병렬 전도도를 보정하였다. 그런 다음 알려진 부피의 교정 큐벳 웰에서 전도도 표준 곡선을 구성하기 위해 혈액을 사용하였다. 포괄적인 혈역학 분석을 오프라인에서 수행하고 검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모든 데이터를 Tukey 다중 비교 사후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사용하는 GraphPad Prism(V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Brown-Forsythe 검정 및 적절한 경우 Kruskal-Wallis(비모수적) 검정을 사용하여 보고된 모든 매개변수에 대해 분산의 동질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텍스트/표에서 평균 ± SD로 나타냈고, 비교를 위해 도면에서 평균 ± SEM으로 나타냈다.
제외 기준
외과적(모델) 또는 종점 기술 부족과 관련된 요인을 제외에 대한 유일한 근거로 전향적으로 정의하였다:
동물: 관찰된 ST-상승 부족(MI 수술 직후) 및/또는 상대 음벽 변위 <35 또는 >55%(24시간 에코)
종점: 분석을 위한 기술적으로 불충분한 영상화/기록, 예를 들어 카테터 삽입 실패, 조직 절편/염색 실패
재관류 수술(치료)에서 살아남지 못한 마우스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참고: 모든 사망(n=9)은 재관류 전에 발생하였다, 즉, 치료 후 조기에 사망한 동물은 없었다.
B. 결과
비맹검
그룹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후 맹검을 해제하였다. 군을 다음과 같이 식별하였다:
A. 이소타입 대조군
B. 3× 용량 항-CD14 Ab
C. 염수 대조군
D. 2× 용량 항-CD14 Ab
허혈성 손상의 평가: 수술 후 첫 24시간
수술 후 심전도
본 연구에 포함된 60마리의 모든 마우스(군 당 15마리)는 심근경색증 수술 후 ST-상승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대 벽 변위의 심초음파 평가
각각의 심장(좌심실)에서의 성공적인 경벽 경색은 24시간에 음성 상대 벽 변위의 심초음파 평가에 의해 재확인되었다. 음성 변위 <35 또는 >55 %를 가진 마우스를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군 간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 7일 후 좌심실 용적 및 기능에 대한 심초음파 평가
기준선에서 한 마리의 마우스에서 심초음파 이상이 관찰되었고 수술을 진행하지 않았다. 심박수는 STEMI 수술 7일 후 종점 심초음파 시점에서 군 간에 유사하였다(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ANOVA p=0.371). 확장기 및 수축기의 좌심실 영역은 흉골주위 장축에서 심내막 경계를 추적하여 측정하였다. 용적 값을 좌심실 형태의 이중 평면 가정을 기반으로 계산하였다. 항-CD14 항체를 투여한 마우스와 대조군 마우스 사이의 차이는 종단 분할 단축에서 관찰하였고(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 LV 면적 변화(심장 수축 기능 반영) 및 박출 분율(좌심실 밖으로 펌핑되는 혈액의 퍼센트 반영)(도 3 및 4). 이는 실시예 1에 기술된 연구의 결과를 확인시켜 주며, 두 연구 모두 항-CD14 Ab를 투여받은 마우스에서 박출 분율이 대략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된 박출량(각 심장 박동으로 배출되는 혈액의 용적을 반영) 및 심박출량(매분 펌핑되는 혈액의 용적을 반영)도 항-CD14 Ab를 투여한 마우스에서 관찰하였다(도 5).
수술 7일 후 좌심실 및 동맥 혈압의 혈역학적 평가
심박수는 STEMI 7일 후 카테터에 의한 혈역학적 평가 시점에 군 간에 유사하였다(심초음파 절차 직후,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ANOVA p=0.989).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항-CD14 항체를 투여한 군 사이의 시간 경과에 따른 LV 용적 변화(dV/dt 분; 수축 시 최대 좌심실 박출률 반영), dV/ dt 최대(이완 중 최대 LV 충전율을 반영함) 및 동맥 탄력(Ea)(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박출 작업량(평균 대동맥압 × 박출량의 함수임)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항-CD14 Ab를 투여받은 마우스에서 STEMI 후 심장의 더 효율적인 기능이 나타났다. 동맥 확장기, 수축기 또는 맥압에 대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수술 시(D0) 및 수술 후 7일의 생체 인식
모든 군은 수술 시(D0)에 나이가 유사했고 종점(D7)에서 유사한 경골 길이를 가졌다. 수술 시 체중은 군 B 및 D(항-CD14 Ab군;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에 비해 군 C(염수 대조군)에서 4 내지 6% 더 적었다. 이러한 작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종점(D7)에서도 관찰되었다. 군 D는 수술 7일 후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한 유일한 군이었다(1.9 ± 2.3% 대 D0, P<0.01).
이소타입 대조군 및 항-CD14 Ab군(군 A, 및 군 B 및 D)은 부검에서 유사한 장기 중량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군 C는 군 B 및/또는 D에 비해 심장, 좌/우 심실 및 신장 무게가 더 작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D7에서 측정된 모든 크기/부피 매개변수에 대해 수술 시 체중에 대해 조정하였다.
수술 후 7일의 조직학
명시야 조직학: 부검에서 해부된 심장을 심실 중앙에서 절단하였다. 분석을 위해, 병변(유리 벽을 포함한 흉터) 및 비-병변(심실 중격을 포함한 원격 조직) 영역을 피크로시리우스 레드로 염색한 절편을 사용하여 평가하여 전체 절편, 병변 및 비-병변 양성을 정량화하였다. 군 C(염수 대조군)와 D(2× 용량 항-CD14 Ab) 사이에서 총 섹션 양성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비-병변 영역 및 병변 크기(경색 크기를 나타냄)는 군 A 및 C(대조군) 대 B 및 D(항-CD14 Ab군) 사이에서 상이한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8 및 9). 이 조직학적 분석은 대조군 마우스와 비교하여 항-CD14 Ab를 투여받은 마우스의 심장에서 섬유증의 감소를 명확하게 입증하였다(도 9; 어두운 회색은 콜라겐(빨간색으로 염색됨)을 나타내고 밝은 회색은 심근(노란색으로 염색됨)을 나타낸다).
면역형광 조직학
전체 좌심실 중앙 섹션에서 총 세포 수 또는 CD68+ 세포 수 간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그러나, CD68 양성에서 A군과 C군(대조군) 대 D군(2× 용량 항-CD14 Ab) 사이에 차이가 관찰되었다(CD68+ 세포 수는 총 세포 수의 퍼센트로, 항-CD14 Ab를 받은 마우스는 감소된 CD68 양성을 나타냄(도 10).
수술 7일 후 혈청 분석
각 군으로부터 샘플의 무작위 서브세트(n=10)를 멀티플렉스(Bio-Plex Pro Mouse Cytokine Mulitplex Assay 및 Bio-Plex Pro TGF-β 3-plex Assay, Bio-Rad Laboratories)로 분석하였다. 수술 후 7일차에 혈청 분석 결과는 표 4와 같다: TNF-α-종양 괴사 인자 알파, IL-인터루킨, MCP - 단핵구 화학유인 단백질, TGF - 종양 성장 인자. § - 값이 제조업체에서 권장하는 검출 한계를 벗어남. F - 분산 테스트의 동질성 실패, 비모수 분석 사용. ND - 검출되지 않음. 평균 ± 표준 편차. 모든 분석 물질에 대해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늦은 시점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높으며, 차이는 MI의 처음 며칠 내에 더 많이 나타나고 전신 순환보다는 심장 조직 자체에 더 국한된다.
[표 4]
Figure pct00004
C. 논의
본 연구를 통해 STEMI 후 CD14 길항제 항체의 투여가 심장 보호 효과가 있음을 분명히 확인하였다. 이는 2회 용량군과 3회 용량군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연구에서 중요한 관찰 사항은 하기와 같다:
● 이소타입 대조군은 D7 대 염수 대조군에서 좌심실 수축기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항-CD14 Ab의 3차 용량은 모든 평가에서 2회 용량의 항-CD14 Ab 프로토콜과 비교하여 추가 효과가 없었다;
● 2회 용량의 항-CD14 Ab 치료는 이소타입 및 염수 대조군과 비교하여 D7에서 좌심실 수축기 기능(면적 변화 및 박출 분율[%])을 개선하였다;
● 3회 용량의 항-CD14 Ab 치료는 이소타입 대조군과 비교하여 D7에서 좌심실 수축기 기능(면적 변화 및 박출 분율[%])에서 2회 용량 항-CD14 Ab와 유사한 개선을 가져왔다;
● 2회 및 3회 용량 프로토콜 모두는 두 대조군에 비해 D7에서 박출량과 심박출량을 개선하였다;
● 2회 및 3회 용량 프로토콜 모두는 염수 대조군과 비교하여 D7에서 병변 크기(%), 섬유증 및 dV/dt 최소값(좌심실 박출률) 및 증가된 박출 작업량(압력-용적 루프 영역)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 두 가지 용량의 항-CD14 Ab는 두 대조군에 비해 D7에서 심근 CD68+ 세포 침윤을 감소시켰다.
본원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 특허, 특허 출원, 및 공보의 개시내용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본원에서 임의의 참조문헌의 인용은, 이러한 참조문헌이 본 출원에 대해 "선행 기술"로서 이용가능하다는 인정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목적은 본 발명을 임의의 하나의 실시형태 또는 특징의 구체적인 수집으로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측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시된 특정 실시형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모든 이러한 변형 및 변화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자 한다.
<110> Implicit Bioscience Limited <120> Therapeutic Methods and Agents for the Treatment of Myocardial Infarction <130> 35565773-TKU <150> 2020903245 <151> 2020-09-10 <160> 33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0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 Gln Ser Pro Ala Ser Leu Ala Val Ser Leu Gly Gln Arg Ala Thr Ile 1 5 10 15 Ser Cys Arg Ala Ser Glu Ser Val Asp Ser Phe Gly Asn Ser Phe Met 20 25 30 His Trp Tyr Gln Gln Lys Ala Gly Gln Pro Pro Lys Ser Ser Ile Tyr 35 40 45 Arg Ala Ala Asn Leu Glu Ser Gly Ile Pro Ala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Arg Thr Asp Phe Thr Leu Thr Ile Asn Pro Val Glu Ala Asp 65 70 75 80 Asp Val Ala Thr Tyr Phe Cys Gln Gln Ser Tyr Glu Asp Pro Trp Thr 85 90 95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y Asn Gln 100 105 <210> 2 <211> 105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 Leu Val Lys Pro Gly Gly Ser Leu Lys Leu Ser Cys Val Ala Ser Gly 1 5 10 15 Phe Thr Phe Ser Ser Tyr Ala Met Ser Trp Val Arg Gln Thr Pro Glu 20 25 30 Lys Arg Leu Glu Trp Val Ala Ser Ile Ser Ser Gly Gly Thr Thr Tyr 35 40 45 Tyr Pro Asp Asn Val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50 55 60 Arg Asn Ile Leu Tyr Leu Gln Met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65 70 75 80 Ala Met Tyr Tyr Cys Ala Arg Gly Tyr Tyr Asp Tyr His Tyr Trp Gly 85 90 95 Gln Gly Thr Thr Leu Thr Val Ser Ser 100 105 <210> 3 <211> 10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3 Gln Ser Pro Ala Ser Leu Ala Val Ser Leu Gly Gln Arg Ala Thr Ile 1 5 10 15 Ser Cys Arg Ala Ser Glu Ser Val Asp Ser Tyr Val Asn Ser Phe Leu 20 25 30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Pro Pro Lys Leu Leu Ile Tyr 35 40 45 Arg Ala Ser Asn Leu Gln Ser Gly Ile Pro Ala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Arg Thr Asp Phe Thr Leu Thr Ile Asn Pro Val Glu Ala Asp 65 70 75 80 Asp Val Ala Thr Tyr Cys Cys Gln Gln Ser Asn Glu Asp Pro Thr Thr 85 90 95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4 <211> 112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4 Leu Gln Gln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n Ser Leu Ser 1 5 10 15 Leu Thr Cys Thr Val Thr Gly Tyr Ser Ile Thr Ser Asp Ser Ala Trp 20 25 30 Asn Trp Ile Arg Gln Phe Pro Gly Asn Arg Leu Glu Trp Met Gly Tyr 35 40 45 Ile Ser Tyr Ser Gly Ser Thr Ser Tyr Asn Pro Ser Leu Lys Ser Arg 50 55 60 Ile Ser Ile Thr Arg Asp Thr Ser Lys Asn Gln Phe Phe Leu Gln Leu 65 70 75 80 Asn Ser Val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Tyr Cys Val Arg Gly 85 90 95 Leu Arg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Ala 100 105 110 <210> 5 <211> 101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5 Gln Th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Leu Gly Asp Arg Val Thr Ile 1 5 10 15 Ser Cys Arg Ala Ser Gln Asp Ile Lys Asn Tyr Leu Asn Trp Tyr Gln 20 25 30 Gln Pro Gly Gly Thr Val Lys Val Leu Ile Tyr Tyr Thr Ser Arg Leu 35 40 45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50 55 60 Tyr Ser Leu Thr Ile Ser Asn Leu Glu Gln Glu Asp Phe Ala Thr Tyr 65 70 75 80 Phe Cys Gln Arg Gly Asp Thr Leu Pro Trp Thr Phe Gly Gly Gly Thr 85 90 95 Lys Leu Glu Ile Lys 100 <210> 6 <211> 11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6 Leu Glu Ser Gly Pro Gly Leu Val Ala Pro Ser Gln Ser Leu Ser Ile 1 5 10 15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Asn Tyr Asp Ile Ser Trp 20 25 30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Gly Val Ile Trp 35 40 45 Thr Ser Gly Gly Thr Asn Tyr Asn Ser Ala Phe Met Ser Arg Leu Ser 50 55 60 Ile Thr Lys Asp Asn Ser Glu Ser Gln Val Phe Leu Lys Met Asn Gly 65 70 75 80 Leu Gln Thr Asp Asp Thr Gly Ile Tyr Tyr Cys Val Arg Gly Asp Gly 85 90 95 Asn Phe Tyr Leu Tyr Asn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Thr Leu 100 105 110 Thr Val Ser Ser 115 <210> 7 <211> 15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7 Arg Ala Ser Glu Ser Val Asp Ser Phe Gly Asn Ser Phe Met His 1 5 10 15 <210> 8 <211> 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8 Arg Ala Ala Asn Leu Glu Ser 1 5 <210> 9 <211> 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9 Gln Gln Ser Tyr Glu Asp Pro Trp Thr 1 5 <210> 10 <211> 5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0 Ser Tyr Ala Met Ser 1 5 <210> 11 <211> 1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1 Ser Ile Ser Ser Gly Gly Thr Thr Tyr Tyr Pro Asp Asn Val Lys Gly 1 5 10 15 <210> 12 <211> 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2 Gly Tyr Tyr Asp Tyr His Tyr 1 5 <210> 13 <211> 15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3 Arg Ala Ser Glu Ser Val Asp Ser Tyr Val Asn Ser Phe Leu His 1 5 10 15 <210> 14 <211> 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4 Arg Ala Ser Asn Leu Gln Ser 1 5 <210> 15 <211> 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5 Gln Gln Ser Asn Glu Asp Pro Thr Thr 1 5 <210> 16 <211> 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6 Ser Asp Ser Ala Trp Asn 1 5 <210> 17 <211> 1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7 Tyr Ile Ser Tyr Ser Gly Ser Thr Ser Tyr Asn Pro Ser Leu Lys Ser 1 5 10 15 <210> 18 <211> 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8 Gly Leu Arg Phe Ala Tyr 1 5 <210> 19 <211> 11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9 Arg Ala Ser Gln Asp Ile Lys Asn Tyr Leu Asn 1 5 10 <210> 20 <211> 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0 Tyr Thr Ser Arg Leu His Ser 1 5 <210> 21 <211> 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1 Gln Arg Gly Asp Thr Leu Pro Trp Thr 1 5 <210> 22 <211> 5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2 Asn Tyr Asp Ile Ser 1 5 <210> 23 <211> 1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3 Val Ile Trp Thr Ser Gly Gly Thr Asn Tyr Asn Ser Ala Phe Met Ser 1 5 10 15 <210> 24 <211> 12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4 Gly Asp Gly Asn Phe Tyr Leu Tyr Asn Phe Asp Tyr 1 5 10 <210> 25 <211> 10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14 VL (short) <400> 25 Gln Ser Pro Ala Ser Leu Ala Val Ser Leu Gly Gln Arg Ala Thr Ile 1 5 10 15 Ser Cys Arg Ala Ser Glu Ser Val Asp Ser Tyr Val Asn Ser Phe Leu 20 25 30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Pro Pro Lys Leu Leu Ile Tyr 35 40 45 Arg Ala Ser Asn Leu Gln Ser Gly Ile Pro Ala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Arg Thr Asp Phe Thr Leu Thr Ile Asn Pro Val Glu Ala Asp 65 70 75 80 Asp Val Ala Thr Tyr Tyr Cys Gln Gln Ser Asn Glu Asp Pro Tyr Thr 85 90 95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26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14 VH (short) <400> 26 Leu Gln Gln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n Ser Leu Ser 1 5 10 15 Leu Thr Cys Thr Val Thr Gly Tyr Ser Ile Thr Ser Asp Ser Ala Trp 20 25 30 Asn Trp Ile Arg Gln Phe Pro Gly Asn Arg Leu Glu Trp Met Gly Tyr 35 40 45 Ile Ser Tyr Ser Gly Ser Thr Ser Tyr Asn Pro Ser Leu Lys Ser Arg 50 55 60 Ile Ser Ile Thr Arg Asp Thr Ser Lys Asn Gln Phe Phe Leu Gln Leu 65 70 75 80 Asn Ser Val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Tyr Cys Val Arg Gly 85 90 95 Leu Arg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210> 27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14 L-CDR3 <400> 27 Gln Gln Ser Asn Glu Asp Pro Tyr Thr 1 5 <210> 28 <211> 2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14 light chain (short) <400> 28 Gln Ser Pro Ala Ser Leu Ala Val Ser Leu Gly Gln Arg Ala Thr Ile 1 5 10 15 Ser Cys Arg Ala Ser Glu Ser Val Asp Ser Tyr Val Asn Ser Phe Leu 20 25 30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Pro Pro Lys Leu Leu Ile Tyr 35 40 45 Arg Ala Ser Asn Leu Gln Ser Gly Ile Pro Ala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Arg Thr Asp Phe Thr Leu Thr Ile Asn Pro Val Glu Ala Asp 65 70 75 80 Asp Val Ala Thr Tyr Tyr Cys Gln Gln Ser Asn Glu Asp Pro Tyr Thr 85 90 95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Pro 100 105 110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Thr 115 120 125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Lys 130 135 140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Glu 145 150 155 160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Ser 165 170 175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Ala 180 185 190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Phe 195 200 205 Asn Arg Gly Glu Cys 210 <210> 29 <211> 4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14 heavy chain (short) <400> 29 Leu Gln Gln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n Ser Leu Ser 1 5 10 15 Leu Thr Cys Thr Val Thr Gly Tyr Ser Ile Thr Ser Asp Ser Ala Trp 20 25 30 Asn Trp Ile Arg Gln Phe Pro Gly Asn Arg Leu Glu Trp Met Gly Tyr 35 40 45 Ile Ser Tyr Ser Gly Ser Thr Ser Tyr Asn Pro Ser Leu Lys Ser Arg 50 55 60 Ile Ser Ile Thr Arg Asp Thr Ser Lys Asn Gln Phe Phe Leu Gln Leu 65 70 75 80 Asn Ser Val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Tyr Cys Val Arg Gly 85 90 95 Leu Arg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00 105 110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Cys Ser Arg 115 120 125 Ser Thr Ser Glu Ser Thr Ala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130 135 140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145 150 155 160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165 170 175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Leu Gly Thr Lys Thr 180 185 190 Tyr Thr Cys Asn Val Asp His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195 200 205 Arg Val Glu Ser Lys Tyr Gly Pro Pro Cys Pro Ser Cys Pro Ala Pro 210 215 220 Glu Phe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225 230 235 240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245 250 255 Asp Val Ser Gln Glu Asp Pro Glu Val Gln Phe Asn Trp Tyr Val Asp 260 265 270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Phe 275 280 285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290 295 300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Gly Leu 305 310 315 320 Pro Ser Ser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325 330 335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Gln Glu Glu Met Thr Lys 340 345 350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355 360 365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370 375 380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385 390 395 400 Arg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u Gly Asn Val Phe Ser 405 410 415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420 425 430 Leu Ser Leu Ser Leu Gly Lys 435 <210> 30 <211> 1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14 VL (full) <400> 30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Ser Leu Ala Val Ser Leu Gly 1 5 10 15 Gln Arg Ala Thr Ile Ser Cys Arg Ala Ser Glu Ser Val Asp Ser Tyr 20 25 30 Val Asn Ser Phe Leu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Pro Pro 35 40 45 Lys Leu Leu Ile Tyr Arg Ala Ser Asn Leu Gln Ser Gly Ile Pro Ala 50 55 60 Arg Phe Ser Gly Ser Gly Ser Arg Thr Asp Phe Thr Leu Thr Ile Asn 65 70 75 80 Pro Val Glu Ala Asp Asp Val Ala Thr Tyr Tyr Cys Gln Gln Ser Asn 85 90 95 Glu Asp Pro Tyr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31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14 VH (full) <400> 31 Asp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n 1 5 10 15 Se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Thr Gly Tyr Ser Ile Thr Ser Asp 20 25 30 Ser Ala Trp Asn Trp Ile Arg Gln Phe Pro Gly Asn Arg Leu Glu Trp 35 40 45 Met Gly Tyr Ile Ser Tyr Ser Gly Ser Thr Ser Tyr Asn Pro Ser Leu 50 55 60 Lys Ser Arg Ile Ser Ile Thr Arg Asp Thr Ser Lys Asn Gln Phe Phe 65 70 75 80 Leu Gln Leu Asn Ser Val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Tyr Cys 85 90 95 Val Arg Gly Leu Arg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100 105 110 Val Ser Ser 115 <210> 32 <211> 2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14 light chain (full) <400> 32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Ser Leu Ala Val Ser Leu Gly 1 5 10 15 Gln Arg Ala Thr Ile Ser Cys Arg Ala Ser Glu Ser Val Asp Ser Tyr 20 25 30 Val Asn Ser Phe Leu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Pro Pro 35 40 45 Lys Leu Leu Ile Tyr Arg Ala Ser Asn Leu Gln Ser Gly Ile Pro Ala 50 55 60 Arg Phe Ser Gly Ser Gly Ser Arg Thr Asp Phe Thr Leu Thr Ile Asn 65 70 75 80 Pro Val Glu Ala Asp Asp Val Ala Thr Tyr Tyr Cys Gln Gln Ser Asn 85 90 95 Glu Asp Pro Tyr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Arg 100 105 110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115 120 125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130 135 140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145 150 155 160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165 170 175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180 185 190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195 200 205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210 215 <210> 33 <211> 4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14 heavy chain (full) <400> 33 Asp Val Gln Leu Gln Gln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n 1 5 10 15 Se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Thr Gly Tyr Ser Ile Thr Ser Asp 20 25 30 Ser Ala Trp Asn Trp Ile Arg Gln Phe Pro Gly Asn Arg Leu Glu Trp 35 40 45 Met Gly Tyr Ile Ser Tyr Ser Gly Ser Thr Ser Tyr Asn Pro Ser Leu 50 55 60 Lys Ser Arg Ile Ser Ile Thr Arg Asp Thr Ser Lys Asn Gln Phe Phe 65 70 75 80 Leu Gln Leu Asn Ser Val Thr Thr Glu Asp Thr Ala Thr Tyr Tyr Cys 85 90 95 Val Arg Gly Leu Arg Phe Ala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100 105 110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115 120 125 Cys Ser Arg Ser Thr Ser Glu Ser Thr Ala Ala Leu Gly Cys Leu Val 130 135 140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Gly Ala 145 150 155 160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Ser Gly 165 170 175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Leu Gly 180 185 190 Thr Lys Thr Tyr Thr Cys Asn Val Asp His Lys Pro Ser Asn Thr Lys 195 200 205 Val Asp Lys Arg Val Glu Ser Lys Tyr Gly Pro Pro Cys Pro Ser Cys 210 215 220 Pro Ala Pro Glu Phe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225 230 235 240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245 250 255 Val Val Val Asp Val Ser Gln Glu Asp Pro Glu Val Gln Phe Asn Trp 260 265 270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275 280 285 Glu Gln Phe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290 295 300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305 310 315 320 Lys Gly Leu Pro Ser Ser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325 330 335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Gln Glu Glu 340 345 350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355 360 365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370 375 380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385 390 395 400 Leu Tyr Ser Arg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u Gly Asn 405 410 415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420 425 430 Gln Lys Ser Leu Ser Leu Ser Leu Gly Lys 435 440

Claims (20)

  1. 유효량의 CD14 길항제 항체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대상체에서의 심근경색증(MI: myocardial infarction) 치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는 대상체에 MI 후 최대 72시간에 투여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는 대상체에 MI 후 최대 12, 18, 24, 36 또는 48시간에 투여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는 대상체에 1, 2, 3 또는 그 이상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는 전신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I는 ST-분절 상승 MI(STEMI: ST-segment elevation MI)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I는 비-ST-분절 상승 MI(NSTEMI: non-ST-segment elevation MI)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는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ESVDSFGNSFMH[SEQ ID NO: 7](3C10 L-CDR1)를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RAANLES[SEQ ID NO: 8](3C10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QSYEDPWT[SEQ ID NO: 9](3C10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SYAMS[SEQ ID NO: 10](3C10 H-CDR1)를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SISSGGTTYYPDNVKG[SEQ ID NO: 11](3C10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YYDYHY[SEQ ID NO: 12](3C10 H-CDR3)를 포함함;
    (i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RASESVDSYVNSFLH[SEQ ID NO: 13](28C5 L-CDR1)를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RASNLQS[SEQ ID NO: 14](28C5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QSNEDPTT[SEQ ID NO: 15](28C5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SDSAWN[SEQ ID NO: 16](28C5 H-CDR1)을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YISYSGSTSYNPSLKS[SEQ ID NO: 17](28C5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LRFAY[SEQ ID NO: 18](28C5 H-CDR3)를 포함함;
    (ii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ESVDSYVNSFLH[SEQ ID NO: 13](IC14 L-CDR1)를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RASNLQS[SEQ ID NO: 14](IC14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QSNEDPYT[SEQ ID NO: 27](IC14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SDSAWN[SEQ ID NO: 16](IC14 H-CDR1)을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YISYSGSTSYNPSLKS[SEQ ID NO: 17](IC14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LRFAY[SEQ ID NO: 18](IC14 H-CDR3)를 포함함; 및
    (iv)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a) 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항체 VL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L-CDR1은 서열 RASQDIKNYLN[SEQ ID NO: 19](18E12 L-CDR1)을 포함하고; L-CDR2는 서열 YTSRLHS[SEQ ID NO: 20](18E12 L-CDR2)를 포함하고; L-CDR3은 서열 QRGDTLPWT[SEQ ID NO: 21](18E12 L-CDR3)를 포함함; 및 b) H-CDR1, H-CDR2 및 H-CDR3을 포함하는, 항체 VH 도메인,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여기서: H-CDR1은 서열 NYDIS[SEQ ID NO: 22](18E12 H-CDR1)를 포함하고; H-CDR2는 서열 VIWTSGGTNYNSAFMS[SEQ ID NO: 23](18E12 H-CDR2)를 포함하고; H-CDR3은 서열 GDGNFYLYNFDY[SEQ ID NO: 24](18E12 H-CDR3)를 포함함.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는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SPASLAVSLGQRATISCRASESVDSFGNSFMHWYQQKAGQPPKSSIYRAANLE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FCQQSYEDPWTFGGGTKLGNQ[SEQ ID NO: 1](3C10 VL); 및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VKPGGSLKLSCVASGFTFSSYAMSWVRQTPEKRLEWVASISSGGTTYYPDNVKGRFTISRDNARNILYLQMSSLRSEDTAMYYCARGYYDYHYWGQGTTLTVSS[SEQ ID NO: 2](3C10 VH);
    (i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SPASLAVSLGQRATISCRASESVDSYVNSFLHWYQQKPGQPPKLLIYRASNLQS 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CCQQSNEDPTTFGGGTKLEIK[SEQ ID NO: 3](28C5 VL); and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QQSGPGLVKPSQSLSLTCTVTGYSITSDSAWNWIRQFPGNRLEWMGYISYSGSTS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GLRFAYWGQGTLVTVSA[SEQ ID NO: 4](28C5 VH);
    (iii)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SPASLAVSLGQRATISCRASESVDSYVNSFLHWYQQKPGQPPKLLIYRASNLQ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YCQQSNEDPYTFGGGTKLEIK[SEQ ID NO: 25](IC14 VL); 및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QQSGPGLVKPSQSLSLTCTVTGYSITSDSAWNWIRQFPGNRLEWMGYISYSGSTS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GLRFAYWGQGTLVTVSS[SEQ ID NO: 26](IC14 VH); and
    (iv) 하기를 포함하는 항체: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L 도메인:
    QTPSSLSASLGDRVTISCRASQDIKNYLNWYQQPGGTVKVLIYYTSRLHSGVPSRFSGSGSGTDYSLTISNLEQEDFATYFCQRGDTLPWTFGGGTKLEIK[SEQ ID NO: 5](18E12 VL); 및
    하기 서열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VH 도메인:
    LESGPGLVAPSQSLSITCTVSGFSLTNYDISWIRQPPGKGLEWLGVIWTSGGTNYNSAFMSRLSITKDNSESQVFLKMNGLQTDDTGIYYCVRGDGNFYLYNFDYWGQGTTLTVSS[SEQ ID NO: 6](18E12 VH).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는 인간화되거나 키메라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는 하기를 포함하는, 방법: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DIVLTQSPASLAVSLGQRATISCRASESVDSYVNSFLHWYQQKPGQPPKLLIYRASNLQSGIPARFSGSGSRTDFTLTINPVEADDVATYYCQQSNEDPYTFGG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SEQ ID NO: 28]; 및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DVQLQQSGPGLVKPSQSLSLTCTVTGYSITSDSAWNWIRQFPGNRLEWMGYISYSGSTSYNPSLKSRISITRDTSKNQFFLQLNSVTTEDTATYYCVRGLRFAYWGQGTLVTVSSASTKGPSVFPLAPCSRSTSES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KTYTCNVDHKPSNTKVDKRVESKYGPPCPSCPAPEF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QEDPEVQFNWYVDGVEVHNAKTKPREEQF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GLPSSIEKTISKAKGQPREPQVYTLPPSQ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RLTVDKSRWQEGNVFSCSVMHEALHNHYTQKSLSLSLGK[SEQ ID NO: 29].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는 보조제와 병용하여 투여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 및 보조제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보조제는 섬유소용해제, 베타 차단제, 고강도 스타틴,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제 및 혈소판 억제제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섬유소용해제는 스트렙토키나제, 아니스트레플라제 및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예를 들어 테넥테플라제, 레테플라제 또는 알테플라제)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베타 차단제는 아세뷰톨롤, 아테놀롤, 이소프롤롤, 메토프롤롤, 나돌롤, 네비볼롤 및 프로프놀롤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혈소판 억제제는 아스피린, P2Y12 억제제(예를 들어 티클로피딘, 클로피도그렐, 티카그렐러 또는 프라수그렐) 및 당단백질 IIb/IIIa 수용체 길항제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CI는 대상체에서 수행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CD14 길항제 항체는 PCI의 72시간 이내에 투여되는, 방법.
  20. 대상체에서 인간 대상체에서 심근경색증(MI)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CD14 길항제 항체의 용도.
KR1020237011751A 2020-09-10 2021-09-10 심근경색증 치료를 위한 치료 방법 및 제제 KR202300660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0903245 2020-09-10
AU2020903245A AU2020903245A0 (en) 2020-09-10 Therapeutic methods and agents for the treatment of myocardial infarction
PCT/AU2021/051049 WO2022051814A1 (en) 2020-09-10 2021-09-10 Therapeutic methods and agents for the treatment of myocardial infar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048A true KR20230066048A (ko) 2023-05-12

Family

ID=80632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751A KR20230066048A (ko) 2020-09-10 2021-09-10 심근경색증 치료를 위한 치료 방법 및 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210750A1 (ko)
JP (1) JP2023540382A (ko)
KR (1) KR20230066048A (ko)
CN (1) CN116367858A (ko)
AU (1) AU2021339468A1 (ko)
IL (1) IL301172A (ko)
WO (1) WO2022051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2008A1 (en) * 2022-10-18 2024-04-25 Implicit Bioscience Limited Ag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myopathies
WO2024082009A1 (en) * 2022-10-18 2024-04-25 Implicit Bioscience Limited Ag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myopathi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8025A1 (en) * 1993-05-28 1994-12-08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cd14 mediated cell activation
AU3817899A (en) * 1998-04-15 1999-11-01 Inserm Therapy of atherosclerosis
US20020150882A1 (en) * 2001-04-16 2002-10-17 Andrew Devitt Antibody specific to CD14 and uses thereof
JP4364081B2 (ja) * 2004-07-14 2009-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EP4003518A4 (en) * 2019-07-25 2023-07-12 Implicit Bioscience Limited METHODS AND MEANS OF TREATMENT OF ACUTE NEUROINFLAMMATORY INJU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0750A1 (en) 2023-07-19
CN116367858A (zh) 2023-06-30
AU2021339468A1 (en) 2023-03-30
JP2023540382A (ja) 2023-09-22
WO2022051814A1 (en) 2022-03-17
IL301172A (en) 202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5707C2 (ru) Ингибиторы fgfr2 отдельно или в комбинации с иммуностимулирующими агентами в лечении рака
KR101438362B1 (ko) 췌장암을 치료하는 방법
JP5608635B2 (ja) 心不全処置のためのgm−csfの中和方法
AU2011309114B2 (en) Antihuman CCR7 antibodies, hybridoma, nucleic acid, vector, cell, medicinal composition, and antibody-immobilized carrier
KR20230066048A (ko) 심근경색증 치료를 위한 치료 방법 및 제제
AU2015369854A1 (en) Anti-CSF1R antibodies for treating PVNS
US11485786B2 (en) Anti-alpha-v integrin antibody for the treatment of fibrosis and/or fibrotic disorders
JP2022097637A (ja) 抗lgr5モノクローナル抗体の投与
JP2022515480A (ja) 掌蹠膿疱症の処置のための抗il-36r抗体
TW201720843A (zh) 用於治療纖維化及/或纖維化病症之抗-αV整合素抗體
CA3093740A1 (en) Anti-il-27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20220249610A1 (en) Methods and agents for treating acute neuroinflammatory injury
US20240002489A1 (en) Methods and agents for the treatment of ocular disease
JP2023502876A (ja) がんの治療のためのher2/4-1bb二重特異性融合タンパク質
WO2015083120A1 (en) USE OF IL-1β BINDING ANTIBODIES
US20210188959A1 (en) Osteopontin Monoclonal Antibodies for Cancer and Osteoporosis Immunotherapy
WO2021243396A1 (en) Therapeutic methods of using cd 14 antagonistic antibodies in treating conditions associated with a coronavirus infection including sars-cov-2 (covid-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