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715A -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 Google Patents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715A
KR20230065715A KR1020210151551A KR20210151551A KR20230065715A KR 20230065715 A KR20230065715 A KR 20230065715A KR 1020210151551 A KR1020210151551 A KR 1020210151551A KR 20210151551 A KR20210151551 A KR 20210151551A KR 20230065715 A KR20230065715 A KR 20230065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unit
organic carbon
prob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2948B1 (ko
Inventor
박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아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아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아이오
Priority to KR1020210151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9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6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내에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탐침봉이 구비되며, 탐침봉으로부터 전기전도도, 온도, 수분량, pH의 정보를 획득하여,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량을 측정할 수 있는 이동형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Mobile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ing dissolved organic carbon in soil}
본 발명은 토양 내에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탐침봉이 구비되며, 탐침봉으로부터 전기전도도, 온도, 수분량, pH의 정보를 획득하여,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량을 측정할 수 있는 이동형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토양 유기물을 보전하여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토양 유기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지구에 존재하는 토양 내 탄소 양은 약 2,500 illion ton으로서 대기에 존재하는 800 billion ton, 식물에 존재하는 560 billion ton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양에 용존된 탄소는 지표면 식물체에 전재하는 탄소량의 약 3~5배를 차지하고 있으며, 탄소순환에 있어, 이산화탄소 또는 메탄 등의 발생 요인이 될 수 있다.
농업적으로 토양 유기탄소는 질소비료 추천을 위한 질소공급 능력의 지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토양의 질을 평가하는 핵심 요인으로 토양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토양 유기탄소는 일반경작지의 건토의 약 1~3%를 차지하는 상대적으로 적은 량에도 불구하고 토양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토양내의 유기탄소는 토양의 보수력과 보비력을 증진시키고, 토양의 물리적 구조형성과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토양 수분 및 양분의 이동 메카니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고되고 있다.
또한, 토양내 유기탄소는 질소나 인산 등 양분의 공급 뿐만 아니라 토양 중 양분의 유효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토양 중 유기물의 증가는 토양 미생물의 활동을 활성화 시키며 식물의 병저항성을 증가시키고, 생산성을 높이는 등 토양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이처럼 토양내 유기탄소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토양 유기탄소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습식연소법 (wet combustion)과 건식연소법(dry combustion)이 사용되고 있다. 습식연소법은 산화제인 크롬산을 이용하여 토양 중 유기탄소를 산화시켜 얻어지는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여 토양 유기탄소의 양을 추정하는 방법이며, 건식연소법은 고온 (800~1000℃)을 이용하여 토양 중 탄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적외선 가스분석기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정량하여 토양 유기탄소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측정 방법 중 습식연소법은 토양 유기탄소를 과다추정하게 되는 점과 독성 화학물질의 사용으로 인한 취급상의 어려움 및 다양하고 불균일한 형태의 유기탄소의 불완전한 산화로 인한 분석 정확도 저하와 실험 후 폐 용액의 처리 문제 등의 단점이 있었고, 건식연소법은 토양 중에 탄산석회 (calcium carbonate: CaCO3) 또는 고토석회 (dolomitic limestone: CaMg(CO3)2)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무기탄소가 토양유기탄소의 측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 두 가지 문제점으로는 샘플링한 토양만 측정하기 때문에 토양의 용존 유기 탄소의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는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토양내의 유기탄소량을 계측할 수 있는 토양분석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344255호 '잔디밭 식생 지역의 이산화탄소 관측 및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등록일자 2013.12.17)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9312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등록일자 2012.03.0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토양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기반으로 토양 내 용존된 유기탄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토양 분석기는 토양으로부터 전기전도도, 온도, 습도, pH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가 토양에 일정깊이 삽입되는 탐침부(100); 상기 탐침부(1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분석하는 측정부(200); 상기 측정부(200)에서 분석된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이미지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100)는 상면에 파지부(111)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입되는 다수의 수용홈(112)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일단 일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일면으로부터 노출 또는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홈(112)을 출입하는 다수의 탐침봉(120);을 포함하되, 상기 탐침봉(120)은 전기전도도 계측센서(101), 수분량 측정센서(102), 온도 측정센서(103), pH 측정센서(104)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200)는 토양 내 용존된 유기탄소량을 측정하는 유기탄소계산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탐침부(10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탐침봉(120)의 출입을 제어하는 탐침봉제어수단(1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탐침봉제어수단(130)은 상기 탐침봉(1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131); 상기 제1 기어부(131)와 맞물려 구동하는 제2 기어부(132); 및 상기 제2 기어부(132)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수용홈(112)의 가장자리에 상기 탐침봉(120)의 출입 시 상기 수용홈(112)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그리며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정의 탄성력으로 상기 탐침봉(120)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가드부(1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바렴의 상기 탐침봉(120)과 상기 수용홈(112)의 내측면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탐침봉(120), 타단이 상기 수용홈(11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상기 각각의 센서들과 연결되는 연결선(151)이 구비되고, 상기 탐침봉(120)의 이동에 따라 피치의 간격이 조절되는 코일 형상의 전선가이드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토양 내에 용존된 탄소 함량을 계산하기 위해 토양 내의 전기전도도, 수분, 온도, pH 농도를 계측하여 탄소 함량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토양 내에 용존 탄소량의 함유량 측정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 변수 기법 중 하나인 다변량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토양 내 용존된 유기 탄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탐침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탐침부의 작동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의 탐침봉에 설치된 센서의 장착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토양 분석기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탐침부(100), 측정부(200) 및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한다.
탐침부(100)는 토양에 일정깊이로 삽입된다. 탐침부(100)는 토양에 삽입된 상태에서 토양으로부터 다양한 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탐침부(100)에 구비된 센서는 토양으로부터 전기전도도(EC), 수분, 온도, 토양의 산성도(pH) 정도를 계측한다.
탐침부(100)에서 계측하여 획득한 데이터는 측정부(200)로 전송되어 계산된다. 측정부(200)가 탐침부(1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는 총 4가지이며, 탐침부(100)는 토양에 용존된 수분과 용존된 물질에 대한 온도, 그리고 이온성 물질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고, 이온성 물질에 따라서 산성도(pH)를 측정한다. 즉, 토양내 용존된 유기탄소 및 무기탄소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용존된 전체 물질이 아닌 각 물질의 특성을 고려한 측정인자를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토양내 용존된 유기탄소를 측정할 수 있는 인자에 대한 센서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였다.
탐침부(100)에서 측정한 총 4가지의 데이터 (전기전도도(EC), 토양 내의 수분량, 온도, pH)를 전달받아 토양 내 용존된 유기탄소량을 계산/측정하는 유기탄소계산부(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측정부(200)는 탐침부(100)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이용하여 토양내 용존된 유기탄소를 측정한다. 즉, 측정부(200)는 탐침부(100)에서 측정한 4가지 데이터값을 기반으로 용존 유기 탄소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4가지 데이터를 모두 변수에 참여시키는 다변량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유기 탄소량을 확인할 수 있다.
유기 탄소량을 확인 하기 위해서는 각 측정 센서에 대한 상관 관계로 이용한다. 각 측정 센서에 대한 유기 탄소와의 상관 관계를 확인 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 기법을 이용하는 데, 다변량분석(Multivariate analysis)이란 여러 현상이나 사건에 대한 측정치를 개별적으로 분석하지 않고 동시에 한번에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을 말한다. 즉 여러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다변량 분석 기법은 데이터마이닝기법(data mining) 중 하나로써, 분류분석기법(Classific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측정부(200)에서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토양의 산화반응을 통해 탄소함량을 계산하는 토양 유기물 함량 분석법(Tyurin method)을 사용할 수 있다.
토양 유기물 함량 분석법은 토양을 강력한 산화제인 K2Cr2O7으로 산화시키고 산화를 위해 소모된 산화제의 양으로부터 탄소함량을 알아내고, 그 탄소함량에 1.724 즉, 토양부식 중 탄소함량(57%)의 비를 곱해서 유기물의 양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즉, 토양의 유기탄소는 산화반응 시 이산화탄소와 수소이온 및 전자가 분해된다. 이때 전자는 K2Cr2O7의 Cr6+과 반응하여 Cr3+으로 환원시킨다. 이때 소모된 Cr6+양을 측정하여 탄소함량을 계산할 수 있다.
측정부(200)는 상기 토양의 산화반응으로 인해 토양내 유기탄소량을 측정한다. 토양의 산화반응은 전기전도도(EC)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전기전도도는 토양의 수분의 양에 따라 계측값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탐침부(100)를 통해 토양의 수분량, 온도를 더 측정하여 전기전도도의 측정값을 오차를 줄이고, 토양의 pH 정도를 더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기탄소량의 값을 측정 및 보정한다.
한편, 측정부(200)의 일실시예로, 탐침부(100)로부터 획득한 토양의 pH를 통해 토양에 포함된 유기탄소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수소이온은 산화반응에서 발생되는 전자와 결합하고, 수소환원 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때 측정부(200)가 환원되는 전자의 양을 계산하여 토양에 포함된 유기탄소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200)의 측정 프로세스의 일실시예로, 탐침부(100)가 토양에 삽입되어, 토양의 전기전도도(EC), 중량, 수분량, 탄소량을 포함하는 토양의 총량을 측정한다. 이후 토양의 총량에서 수분을 뺀 값을 토양의 총량으로 나누고, 나눈 값에 전기전도도(EC) 값을 빼주면 토양에 포함된 탄소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200)에서 계산된 유기탄소량과 pH 정도에 따라 토양에 포함된 유기탄소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유기탄소량 값을 활용하여 유기탄소량 값을 보정한다.
pH 정도에 따라 유기탄소량을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토양 유기물 함량 분석법(Tyurin method)을 활용하고, 토양의 pH 정도에 따라 토양 중에 포함된 수소이온(H+)의 양은 변화하므로 pH 정도에 따라 유기탄소량의 측정값은 변동된다.
그리고 측정부(200)는 별도의 무인이동체에 장착되어 탐침부(100)와 함께 무선으로 조종되어 이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측정부(200)에서 분석된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기 위한 장치이며,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시각화된 이미지를 표출하는 시각화부(310)를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육안으로 측정된 토양의 탄소량, 온도, 습도, pH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0)는 GPS와 연동되어 측정되는 현재 위치를 시각화부(310)를 통해 지도상에 나타낼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탐침부(100)는 하우징(110) 및 탐침봉(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상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에 해당하는 파지부(111)가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수용홈(112)이 형성된다. 수용홈(112)는 하우징(11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탐침봉(120)은 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토양으로부터 전기전도도, 온도, 습도, pH량 등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탐침봉(12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일단이 수용홈(112)에 삽입되고, 타단이 지면에 삽입된다. 탐침봉(120)이 지면에 효과적으로 삽입되기 위해서 타단은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탐침봉(120)은 외부의 동력원에 의해 수용홈(112)의 내부에 출입이 가능하다.
즉, 하우징(110)은 사용자가 파지한 후 이동되는데, 하우징(110)이 이동할 때 탐침봉(120)은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되고, 지면에 삽입될 때, 하우징(110)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된다. 이때, 하우징(110)은 소정의 중량을 가지며, 사용자가 파지부(1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소정압력으로 하우징(110)을 가압하면 탐침봉(120)이 지면에 삽입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다수의 탐침봉(120)은 각각 전기전도도 계측센서(101), 수분량 측정센서(102), 온도 측정센서(103) 및 pH 계측센서(104)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센서 이외에 토양으로부터 다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측정을 위한 다양한 센서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수의 탐침봉(120) 중 전기전도도 계측센서(101)는 토양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그리고, 수분량 측정센서(102) 및 온도센서(103)는 토양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수분 및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탐침봉(120)의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pH 계측센서(104)는 토양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토양으로부터 pH정도를 측정한다. pH를 계측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pH지시약(indicator)을 이용한 방법과 유리전극(glass electrode)을 이용한 방법, 수소 전극법, 안티몬(antimony) 전극법, 퀸히드론(quinhydrone) 전극법이 있다. 유리 전극법으로 pH를측정하기 위해서는 유리전극과 비교전극(reference electrode)이 필요하고 두 전극사이에서발생하는 전위차(potential)를 계측하여 증폭 및 변환함으로써 pH를 측정한다.
한편, 본 발명은 유리전극법을 사용하며, 상기 탐침봉(120) 중 어느 하나의 pH 계측센서(104)에 해당하는 탐침봉(120)에는 pH 계측센서(104)와 토양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탐침봉(120)의 원활한 삽입을 유도하고, pH 계측센서(104)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호가드(10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4 참조)
보호가드(104-1)는 끝단이 원뿔형상을 이루고, 측면에 pH 계측센서(104)의 센서모듈이 노출되며, 토양이 유입되는 측정홈(104-1h)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탐침부(100)는 탐침봉제어수단(130)을 더 포함한다. 탐침봉제어수단(130)은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탐침봉(110)의 출입을 제어하는 목적을 갖는다.
탐침봉제어수단(130)의 일실시예로, 제1 기어부(131), 제2 기어부(132) 및 구동부(133)를 포함한다.
제1 기어부(131)는 탐침봉(12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탐침봉(120)의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렉(rack)기어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기어부(132)는 제1 기어부(131)와 맞물려 구동하는 피니어 기어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33)는 제2 기어부(13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제2 기어부(132)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모터일 수 있다.
탐침봉제어수단(130)의 다른실시예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엑츄에이터일 수 있다. 엑츄에이터의 일단이 탐침봉(120)과 연결되며, 엑츄에이터의 구동으로 탐침봉(120)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출입할 수 있다.
한편, 수용홈(112)의 가장자리에는 가드부(140)가 더 구비된다. 가드부(140)는 탐침봉(120)의 출입 시 수용홈(112)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가드부(140)는 유연한 재질인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수용홈(112)의 가장자리에 가드부(140)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별도의 고정브라켓(14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가드부(140)는 일측단이 탐침봉(120)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탐침봉(120)이 수용홈(112)의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때 수용홈(112)의 개방된 개구부를 차단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다른 효과도 가질 수 있다. 가드부(140)는 바람직하게 소정의 곡률반경을 그리며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탐침봉(120)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가드부(140)의 밀착력을 보다 확보해줄 수 있다.
그리고, 수용홈(112)의 일측에는 탐침봉제어수단(130)이 수용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S)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탐침봉(120)과 수용홈(112)의 내측면 사이에 전선가이드부(150)가 더 구비된다. 전선가이드부(150)는 일단이 탐침봉(120)의 후단, 타단이 수용홈(112)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전선가이드부(150)의 내부에는 탐침봉(120)에 구비된 각각의 센서와 연결되는 전선(151)이 수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선가이드부(150)는 소정의 피치를 갖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탐침봉(120)의 이동에 따라 전선가이드부(150)의 피치간격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즉, 탐침봉(120)은 하우징(110)의 외부를 출입할 때, 탐침봉(120)의 센서들과 연결된 연결선(151)도 탐침봉(120)과 함께 이동하여야 한다. 이때, 탐침봉(120)의 이동에 따라 전선가이드부(150)의 피치가 조절되면서 탐침봉(120)과 연결된 전선(151)은 단선 없이 탐침봉(120)에 구비된 각각의 센서들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토양 내에 용존된 탄소 함량을 계산하기 위해 토양의 수분, 온도 pH 농도를 계측하여 탄소 함량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탐침부 200 : 측정부
3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토양으로부터 전기전도도, 온도, 습도, pH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가 토양에 일정깊이 삽입되는 탐침부(100);
    상기 탐침부(1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분석하는 측정부(200);
    상기 측정부(200)에서 분석된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이미지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100)는 상면에 파지부(111)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입되는 다수의 수용홈(112)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일단 일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일면으로부터 노출 또는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홈(112)을 출입하는 다수의 탐침봉(120);을 포함하되,
    상기 탐침봉(120)은 전류 계측센서(101), 수분량 측정센서(102), 온도 측정센서(103), pH 측정센서(104)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200)는 토양 내 용존된 유기탄소량을 측정하는 유기탄소계산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10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탐침봉(120)의 출입을 제어하는 탐침봉제어수단(1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탐침봉제어수단(130)은 상기 탐침봉(1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131);
    상기 제1 기어부(131)와 맞물려 구동하는 제2 기어부(132); 및 상기 제2 기어부(132)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1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탐침봉(120)의 출입 시 상기 수용홈(112)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그리며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정의 탄성력으로 상기 탐침봉(120)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가드부(1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봉(120)과 상기 수용홈(112)의 내측면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탐침봉(120), 타단이 상기 수용홈(11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상기 각각의 센서들과 연결되는 연결선(151)이 구비되고, 상기 탐침봉(120)의 이동에 따라 피치의 간격이 조절되는 코일 형상의 전선가이드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KR1020210151551A 2021-11-05 2021-11-05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KR10262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551A KR102622948B1 (ko) 2021-11-05 2021-11-05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551A KR102622948B1 (ko) 2021-11-05 2021-11-05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15A true KR20230065715A (ko) 2023-05-12
KR102622948B1 KR102622948B1 (ko) 2024-01-09

Family

ID=8638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551A KR102622948B1 (ko) 2021-11-05 2021-11-05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4491A (zh) * 2023-09-22 2023-12-12 山东联创高科自动化有限公司 一种变频器电流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060Y1 (ko) * 1995-12-05 1999-12-15 이구택 고온 다층용용액의 용질 용해량 측정장치
KR20100095096A (ko) * 2009-02-20 2010-08-30 정명주 토양 수분 측정 장치
KR20110013834A (ko) * 2009-08-04 2011-02-10 서정수 토양정보 무선전송장치
KR20120019312A (ko) 2010-08-25 2012-03-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KR20120036552A (ko) * 2010-10-08 2012-04-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휴대용 토양 물리성 측정장치
KR101344255B1 (ko) 2013-01-25 2013-12-2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잔디밭 식생 지역의 이산화탄소 관측 및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358259B1 (ko) * 2013-07-17 2014-02-05 경기도 굴착형 토양 수분 측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060Y1 (ko) * 1995-12-05 1999-12-15 이구택 고온 다층용용액의 용질 용해량 측정장치
KR20100095096A (ko) * 2009-02-20 2010-08-30 정명주 토양 수분 측정 장치
KR20110013834A (ko) * 2009-08-04 2011-02-10 서정수 토양정보 무선전송장치
KR20120019312A (ko) 2010-08-25 2012-03-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KR20120036552A (ko) * 2010-10-08 2012-04-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휴대용 토양 물리성 측정장치
KR101344255B1 (ko) 2013-01-25 2013-12-2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잔디밭 식생 지역의 이산화탄소 관측 및 분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358259B1 (ko) * 2013-07-17 2014-02-05 경기도 굴착형 토양 수분 측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4491A (zh) * 2023-09-22 2023-12-12 山东联创高科自动化有限公司 一种变频器电流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7214491B (zh) * 2023-09-22 2024-02-09 山东联创高科自动化有限公司 一种变频器电流检测装置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948B1 (ko)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80094B (zh) 分析物感测装置
US7383072B2 (en) Sweat sensor system and method of characterizing the compositional analysis of sweat fluid
Henriksen et al. Measurement of net fluxes of ammonium and nitrate at the surface of barley roots using ion-selective microelectrodes
AU674474B2 (en) An analytical system for monitoring a substance to be analyzed in patient-blood
US117934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ammonia and ammonium in fluids
US869107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easuring device having at least one probe, which has at least one ion selective electrode
KR102622948B1 (ko)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WO2010008480A3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alytes using large scale fet arrays
US20210033558A1 (en) Method for correcting two measured values from different analytical measuring devices and measuring poin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10761052B2 (en) Method of recalibrating a device for assessing concentration of at least one analyte ion in a liquid
Kim et al. PVC membrane-based portable ion analyzer for hydroponic and water monitoring
WO20230766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il analysis
US9927268B2 (en) Oxidation/reduction measurement
EP0704054B1 (en) Determining gas concentration
US4391775A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particular species of chlorine in a water sample
Martínez et al. Multivariate standard addition for the analysis of overlapping voltammetric signals in the presence of matrix effects: application to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hydroquinone and catechol
JP5189934B2 (ja) 溶存酸素センサ
JPH1014402A (ja) 土壌養分計測器
Hicks et al. Initial Trade Study for In-line Silver Sensor for Spacecraft Potable Water Systems
Birnhack et al. Accurate approach for determining fresh-water carbonate (H2CO3⁎) alkalinity, using a single H3PO4 titration point
US20240044758A1 (en) Portable compound trace detection device
GB2495851A (en) Patch for measuring markers in sweat to monitor heat acclimatisation
RU20840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вод в скважинах
KR100328979B1 (ko) 다중채널 폐하/이온 측정장치
Barbolani et al. Use of potentiometry with imposed current for the determination of chlorine in breakpoint chlor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