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312A -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 Google Patents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312A
KR20120019312A KR1020100082656A KR20100082656A KR20120019312A KR 20120019312 A KR20120019312 A KR 20120019312A KR 1020100082656 A KR1020100082656 A KR 1020100082656A KR 20100082656 A KR20100082656 A KR 20100082656A KR 20120019312 A KR20120019312 A KR 2012001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respiration rate
carbon dioxide
function according
rat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병혁
강동환
김박사
유훈선
소윤환
김광호
김민성
노영수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312A/ko
Publication of KR2012001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01V9/007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by detecting gases or particles representative of underground layers at or near the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토양의 기본 측정값을 기초로 해당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을 유추할 수 있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양 온도와 이산화탄소 변화량과 토양 함수비와 토양 페하 및 토양 유기탄소량으로 토양 호흡률을 유추할 수 있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MONITORING METHOD OF CARBON DIOXIDE RESPIRATION RATE IN SOIL}
본 발명은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토양의 기본 측정값을 기초로 해당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을 유추할 수 있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기 중의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우려는 지구온난화 및 지구 탄소순환과 관련하여 현 인류에게는 최고의 관심사항이 되었다. 녹색식물에 의한 대기권의 탄소를 생물권으로 가져오는 독립영양 고정(fixation)과 탄소를 다시 대기권으로 돌려보내는 호흡(respiration) 사이의 균형을 정량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구상의 대부분의 호흡활동은 토양에서 일어나며, 토양호흡은 유기잔류물의 분해, 뿌리호흡 및 토양유기물(soil organic matter)의 느린 분해에 의한 것이다1). 18세기에 시작된 토지의 개간 및 경작은 토양호흡을 가속화하였으며, 1950년대까지 대기권 이산화탄소 축적의 가장 큰 요인이 되었다. 자연에서 이산화탄소의 두 가지 주된 생물학적 수지는 광합성에 의한 고정과 지구적인 호흡인데, 매년 대기 탄소의 7% 정도를 서로 역방향으로 운반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 전체적인 관점은 규모가 작고 정의가 용이한 생태계의 탄소순환을 이해하는 골격을 제공한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토양유기탄소의 저장량, 온실가스의 토양호흡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발생량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985년 이후부터 수행된 토양호흡 관련 연구문헌들이 1990년까지는 10편 이하로 출판되었으나 1991년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2002년 이후에는 연간 150편 이상의 연구물들이 출판되었다. 국내에서 수행된 토양호흡 관련 연구논문(학위논문 포함)은 2000년 이전에는 단 3편이었으며, 2000년 이후 이산화탄소의 토양호흡(soil respiration) 관련 연구로는 고흥만 인공습지에서 갯벌의 토양유기탄소와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변동관측 연구, 갯벌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과 배출특성 연구, 논에서 이산화탄소 교환, 산림에서 이산화탄소 교환 등이 있다. 또한 폐회로 역학 챔버 시스템(closed dynamic chamber system)을 이용한 토양호흡 연구와 여러 가지 토양호흡 관측기기의 비교 연구 등을 포함한 30편 정도의 연구가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의 기본 측정값을 기초로 이산화탄소 호흡률을 유추할 수 있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토양과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의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의 토양 함수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의 페하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01
)는,
Figure pat00002
이고, 상기
Figure pat00003
는 상기 토양의 이산화탄소 농도이다.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의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의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04
)는,
Figure pat00005
이고, 상기
Figure pat00006
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의 토양 온도이다.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07
)는,
Figure pat00008
이고, 상기
Figure pat00009
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의 토양 온도이다.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 중 논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10
)는,
Figure pat00011
이고, 상기
Figure pat00012
는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토양 함수비이다. 상기 토양 중 논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13
)는,
Figure pat00014
이고, 상기
Figure pat00015
는 상기 토양 중 논의 토양 함수비이다.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16
)는,
Figure pat00017
이고, 상기
Figure pat00018
는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이다.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의 페하(pH)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 중 논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19
)는,
Figure pat00020
이고, 상기
Figure pat00021
는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페하이다. 상기 토양 중 논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22
)는,
Figure pat00023
이고, 상기
Figure pat00024
는 상기 토양 중 논의 페하이다.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25
)는,
Figure pat00026
이고, 상기
Figure pat00027
는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페하이다.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28
)는,
Figure pat00029
이고, 상기
Figure pat00030
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량이다.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31
)는,
Figure pat00032
이고, 상기
Figure pat00033
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량이다.
본 발명은 토양 온도와 이산화탄소 변화량과 토양 함수비와 토양 페하 및 토양 유기탄소량으로 토양 호흡률을 유추할 수 있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이 적용된 지역의 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갯벌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논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갯벌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논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산림 부지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토양 호흡 챔버(200), 및 토양 온도 센서(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토양의 이산화탄소를 분석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분석기로서, 이산화탄소 분석기(Environmental Gas Monitor, EGM-4; PP Systems)를 사용하였으며 본체(100)에는 이산화탄소량 측정을 위한 적외선가스분석기(infrared gas analyzer; IRGA)가 탑재되어 있다.
토양 호흡 챔버(200)는 토양에서 배출되고 흡수되는 이산화탄소를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쇄형 역학 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폐쇄형 역학 챔버로 SRC-1(PP systems)을 사용한다. 이러한 토양 호흡 챔버(200)는 토양에 직접 설치되며, 토양 호흡 챔버(200) 내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토양호흡을 산정하게 된다. 토양 표면에 토양 호흡 챔버(200)가 설치되면 토양에서 대기로 이산화탄소의 방출 또는 흡수가 일어나며, 이로 인해 토양 호흡 챔버(200) 내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때, 아래의 수학식1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토양 호흡률을 산정한다.
Figure pat00034
수학식1에서
Figure pat00035
는 이산화탄소의 토양 호흡률[
Figure pat00036
]이며,
Figure pat00037
는 챔버의 체적[
Figure pat00038
],
Figure pat00039
는 측정 시간 간격[
Figure pat00040
],
Figure pat00041
는 챔버가 설치된 토양의 표면적[
Figure pat00042
],
Figure pat00043
는 챔버 내 이산화탄소의 초기농도[
Figure pat00044
],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시간 이후의 이산화탄소 농도[
Figure pat00047
]이다.
토양 온도 센서(300)는 토양에 삽입하여 토양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양 온도 프로브(STP-1, PP systems)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의 측정은 적외선 기체 분석법을 이용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해 측정을 하므로 측정의 정확도가 높다. 또한, 주기적으로 자동 영점 보정을 수행하여 최적의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시스템을 이용한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시스템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이 적용된 지역의 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갯벌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논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갯벌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고,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논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산림 부지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에서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와,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분석하는 단계(S2)와, 토양 함수비를 분석하는 단계(S3)와, 토양의 페하를 분석하는 단계(S4)와,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분석하는 단계(S5)와,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농주리 일대의 연안 생태계인 갯벌과 논 및 산림 부지에서 관측을 수행하였으며, 갯벌과 논 및 산림 부지에서의 토양 호흡 측정과 시료 채취는 2009년 1월 10일에 수행되었다. 또한, 측정이 수행된 지점은 갯벌 6개 지점(W3, W7, W13, W17, W23 및 W27), 논 3개 지점(P1, P2 및 P3) 및 산림 3개 지점(F1, F2 및 F3)으로 총 12개 지점이다.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는 이산화탄소 호흡률을 관측할 토양의 온도와 대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갯벌과 논 및 산림 부지의 이산화탄소 호흡률을 관측하였으며, 관측된 결과를 표1에 정리하였다.
샘플 번호 대기 온도
()
토양 온도
()
토양 함수비
(%)
토양 페하 SOC
(%)
갯벌 W3 -2.0 0.5 100.70 8.00 0.92
W7 -2.0 0.5 116.39 7.94 1.02
W13 -2.7 0.7 71.72 8.23 0.89
W17 -3.6 0.2 61.00 8.20 0.79
W23 -3.1 1.0 74.40 8.06 1.07
W27 -1.8 1.0 90.15 8.07 1.58
P1 1.7 5.5 22.85 6.91 2.02
P2 1.7 3.1 22.28 6.51 2.10
P3 1.6 2.9 24.05 6.75 1.31
산림 지대 F1 -2.2 7.7 6.63 5.84 4.00
F2 -2.2 6.1 5.63 5.85 5.01
F3 -1.5 6.4 3.36 5.16 3.42
표1을 참조하면, 갯벌과 논 및 산림 부지에서 현장 측정된 토양의 평균온도는 섭씨 0.6도, 섭씨 3.8도, 및 섭씨 6.7도였으며, 해당 지역 대기의 평균온도는 섭씨 -2.5도, 섭씨 1.7도, 및 섭씨 -1.9도였다. 토양이 대기에 비해 섭씨 2도 이상 높았으며, 산림 부지에서는 낙엽 등에 의한 보온효과로 인해 섭씨 8도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토양과 대기의 온도는 온실가스(green house gas) 방출(emission) 및 흡수(uptake) 작용의 중요한 지배인자(controlling factor)로서 그 의미가 크다. 뿌리온도(root temperature)와 뿌리 호흡률(root respiration rate)의 관계는 저온에서는 온도 상승에 따라 호흡률이 지수형으로 증가하지만, 섭씨 45도 내지 섭씨 50도 이상의 고온에서는 호흡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생태계에서 온도에 대한 토양 호흡률 민감도는 함수(moisture) 조건, 뿌리와 근권 호흡, 토양유기물질(soil organic matter)의 함량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분석하는 단계(S2)는 이산화탄소 호흡률을 관측할 토양의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분석한다. 이는 전술된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챔버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챔버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120초 동안 27회 반복 측정되며, 각각의 관측지점에서 2회씩 수행되었다. 아래의 표2는 동일 지점에서 12회 관측된 이산화탄소의 평균농도와 관측지점 및 부지별 이산화탄소의 평균 농도를 정리한 것이다.
측정 번호 첫 번째 두 번째 평균 전체 평균
갯벌 W3 369 378 374 370
W7 374 367 371
W13 365 367 366
W17 358 372 365
W23 382 377 380
W27 352 377 365
P1 370 382 376 370
P2 373 364 369
P3 366 364 365
산림 지대 F1 390 389 390 385
F2 380 384 382
F3 388 379 384
표2를 참조하면, 연안 갯벌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의 범위는 352 내지 382ppm, 지점별 평균은 365 내지 380ppm, 부지 전체의 평균은 370ppm으로 나타났다. 논 부지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의 범위는 364 내지 382ppm, 지점별 평균은 365 내지 376ppm, 부지 전체의 평균은 370ppm으로 나타났다. 산림 부지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의 범위는 379 내지 390ppm, 지점별 평균은 382 내지 390ppm, 부지 전체의 평균은 385ppm으로서 3개 부지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안 갯벌과 논 부지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유사하였으며, 산림 부지에서는 이산화탄소의 평균농도가 15ppm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림 부지에서 나무뿌리에 의한 토양호흡과 토양 표면에 쌓여있는 낙엽 등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방출에 의한 것이다.
표3은 갯벌과 논 및 산림 부지에서 측정된 관측지점 및 시기별 이산화탄소의 토양 호흡률을 정리한 것이다.
측정 번호 첫 번째 두 번째 평균 전체 평균
갯벌 W3 -16 7 -4 -8
W7 -13 -38 -25
W13 -73 12 -30
W17 29 11 20
W23 19 44 31
W27 -48 -31 -39
P1 -5 -35 -20 -25
P2 -14 -74 -44
P3 -47 24 -12
산림 지대 F1 - 106 106 38
F2 38 62 50
F3 -30 -55 -42
표 3을 참조하면, 갯벌에서 토양 호흡률의 범위는 -73 내지 44mg/m2/hr, 평균은 -8mg/m2/hr로 나타나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갯벌로 흡수되고 있다. 측정시기가 겨울이어서 토양 및 대기의 온도가 매우 낮았으며, 이로 인해 갯벌 내에서 미생물과 동물 플랑크톤의 활동이 감소하여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적었기 때문이다. 논 부지에서 이산화탄소 토양 호흡률의 범위는 -74 내지 24mg/m2/hr, 평균은 -25mg/m2/hr로 나타났다. 논 또한 이산화탄소가 대기에서 토양으로 흡수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은 갯벌과 동일한 기작에 의한 것이다. 산림 부지에서 이산화탄소의 토양 호흡률은 -55 내지 106mg/m2/hr, 평균은 38mg/m2/hr로 나타났다. 산림 부지의 F1 지점에서의 첫 번째 측정된 토양 호흡률은 관측 오차로 판단되어 분석에서 제외시켰다. 산림 부지에서는 평균적으로 토양에서 대기로의 이산화탄소 방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산림의 뿌리호흡(root respiration)에 의한 요인과 토양 표면에 쌓여있는 낙엽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활동에 의한 요인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산림 부지 내 F3 지점에서 이산화탄소의 토양 호흡률이 -42mg/m2/hr로 나타난 것은 측정 지점의 표면에 낙엽 등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주변에 나무가 없었기 때문이다.
토양 함수비를 분석하는 단계(S3)는 이산화탄소 호흡률을 관측할 토양의 토양 함수비를 분석한다. 이는, 해당 토양이 물을 함유하고 있는 비율을 측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표1을 참조하면, 갯벌 부지 내 6개 지점의 함수비는 61.00 내지 116.39%의 범위로서, 부지 평균은 85.73% 이었다. 논과 산림 부지의 평균함수비는 23.06%와 5.21%로서 낮았다. 부지 내 측정지점별 함수비의 차이는 갯벌에서 높았으며, 논 부지에서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이는 연구지역의 논 부지 내 수분함량이 공간적으로 균질함을 의미한다. 함수비는 토양 내에서 미생물 활동을 지배하는 요소로서, 일반적으로 함수비가 60% 전후에서 가장 높은 미생물 활동도를 나타낸다. 실내실험에서는 미생물 활동에 최적인 함수비 조건에서 토양 호흡률이 최대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다양한 현장연구 사례에서는 함수비가 최소이거나 최대인 경우에는 토양에서 이산화탄소 방출이 극히 제한됨을 보였다.
토양의 페하를 분석하는 단계(S4)는 이산화탄소 호흡률을 관측할 토양의 수소이온농도(hydrogen ion concentration, 이하 페하(pH)라 함)를 분석한다. 표1을 참조하면, 토양별 평균 페하는 갯벌 8.08, 논 6.72 및 산림 5.62로 나타났으며, 3개 부지의 관측지점별 페하 값의 편차는 낮았다. 토양에서 박테리아는 페하 4 내지 9, 균류(fungi)는 페하 4 내지 6 범위에서 성장한다. 본 연구지역 내 3개 부지 모두에서 박테리아의 성장은 가능하지만, 균류는 산림 부지에서만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Kowalenko 등은 페하 7 이하의 토양에서는 페하가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의 생산량(방출량)이 많아지고, 페하 7 이상의 토양에서는 페하가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의 생산량이 적어지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지역의 논과 산림 부지에서는 페하에 따라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증가할 것이고, 갯벌 부지에서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분석하는 단계(S5)는 이산화탄소 호흡률을 관측할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분석한다. 표1을 참조하면, 토양별 평균 유기탄소량은 갯벌 1.04%, 논 1.81%, 산림 4.14%로 분석되어 산림 부지에서의 유기탄소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림 부지에서는 낙엽 등이 토양화 되면서 많은 유기물질이 토양 내에 축적되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조사된 갯벌 퇴적물 내 유기탄소량은 동해안 영일만 지역에서 평균 1.00%와 0.73%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의 갯벌 부지 내 평균 유기탄소량은 1.04%로서 동해안 갯벌에 비해서는 약간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일반 토양의 실트와 점토 함량이 높을수록 토양 유기탄소량이 증가하게 된다.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토양 유기탄소량이 많을수록 미생물 활동에 의한 토양에서 대기로의 이산화탄소 호흡률이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는 전술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와,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분석하는 단계(S2)와, 토양 함수비를 분석하는 단계(S3)와, 토양의 페하를 분석하는 단계(S4), 및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분석하는 단계(S5)에서 구해진 토양의 온도와 이산화탄소 변화량과 토양 함수비와 페하 및 유기탄소량과, 해당 토양의 호흡률을 기초로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한다. 이러한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1)와,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2)와,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3)와,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4)와,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5)를 포함한다.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1)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1)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와 이에 따른 토양 호흡률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한다.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1)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이 진행된 토양에서 관측된 챔버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토양 호흡률의 함수를 추정하며, 토양 호흡률과 토양 온도, 토양 함수비, 페하 및 유기 탄소량의 함수적인 관계에서 산출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48
)는 아래의 수학식2와 같다.
Figure pat00049
여기서,
Figure pat00050
는 측정된 토양의 이산화탄소 농도(ppm)이다.
챔버 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은 선형함수의 관계에서 기울기는 3.29이며, 원 자료와 회귀직선 간의 결정 계수는 0.39이다.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2)는 토양으로부터 이산화탄소의 방출(emission)과 흡수(uptake) 조건으로 자료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회귀분석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2)는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2-1), 및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2-2)를 포함한다.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2-1)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51
)는 아래의 수학식3과 같다.
Figure pat00052
여기서,
Figure pat00053
는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의 토양 온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에서 이산화탄소의 방출 조건에서는 토양 온도에 의한 호흡률이 지수형(exponential)으로 증가하는 함수가 가장 적합(결정계수(R2)=0.90)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2-2)에서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54
)는 아래의 수학식4와 같다.
Figure pat00055
여기서,
Figure pat00056
는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의 토양 온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흡수 조건에서 추정된 직선함수의 결정계수는 0.08 정도로 매우 낮으나, 토양 온도의 상승에 따른 호흡률이 감소하는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났다.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3)는 갯벌과 논 및 산림 부지의 자료균으로 분류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다.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는 갯벌과 논 산림 부지의 자료군으로 분류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이에 따라,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3)는 갯벌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3-1)와, 논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3-2), 및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3-3)를 포함한다.
갯벌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3-1)에서 도 6을 참조하면, 갯벌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57
)는 아래의 수학식5와 같다.
Figure pat00058
여기서,
Figure pat00059
는 갯벌의 토양 함수비이다.
논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3-2)에서 도 7(a)를 참조하면, 논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60
)는 아래의 수학식6과 같다.
Figure pat00061
여기서,
Figure pat00062
는 논의 토양 함수비이다.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3-3)에서 도 7(b)를 참조하면,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63
)는 아래의 수학식7과 같다.
Figure pat00064
여기서,
Figure pat00065
는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이다.
갯벌과 논 및 산림 부지에서 모두 선형함수가 가장 적합하다. 또한, 추정된 선형회귀함수와의 결정계수는 갯벌에서 낮았으며 산림 자료에서 0.99로서 매우 높았다. 논과 산림 부지의 함수비는 25% 이하로서 낮았으며, 이러한 조건에서는 함수비의 증가에 따라 호흡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지역의 갯벌 부지에서는 60% 이상의 함수비를 보였으며, 이러한 조건은 혐기성(anaerobic)에 가까우며 미생물의 활동도가 호기성(aerobic) 조건에 비해 약화되므로 함수비가 증가할수록 호흡률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갯벌 자료에서 추정된 선형회귀함수의 기울기는 -0.67 정도로서 토양 함수비의 증가에 따라 호흡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토양의 함수비가 매우 낮고 유기탄소량이 높은 산림 부지에서 함수비의 변화는 미생물 활동에 지배적인 요인이 될 것이며, 이로 인해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가 활발하여 이산화탄소의 방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논과 산림 부지 자료의 선형회귀함수 기울기는 각각 16.32와 44.45 정도이었으며, 이는 동일한 함수비의 변화 조건에서 토양유기탄소량이 많은 산림 부지의 호흡률이 2.5배 이상 높음을 의미한다.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4)는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는 갯벌과 논 및 산림 부지별 자료군을 이용하여 회구분석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4)는 갯벌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4-1)와, 논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4-2), 및 산림 부지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4-3)를 포함한다.
갯벌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4-1)에서 도 8을 참조하면, 갯벌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66
)는 아래의 수학식8과 같다.
Figure pat00067
여기서,
Figure pat00068
는 갯벌의 토양 페하이다.
논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4-2)에서 도 9(a)를 참조하면, 논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69
)는 아래의 수학식9와 같다.
Figure pat00070
여기서,
Figure pat00071
는 논의 토양 페하이다.
산림 부지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4-3)에서 도 9(b)를 참조하면, 산림 부지의 토양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72
)는 아래의 수학식10과 같다.
Figure pat00073
여기서,
Figure pat00074
는 산림 부지의 토양 페하이다.
표1을 참조하면, 갯벌에서는 6개 지점 모두 페하 7을 초과하였으며, 논과 산림 부지에서는 페하 7 미만이었다.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5)는 토양에서 이산화탄소의 방출과 흡수 조건으로 분류된 자료군에 대해 회구분석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5)는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5-1), 및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5-2)를 포함한다.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5-1)에서 도 10(a)를 참조하면, 토양이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조건의 자료에서는 토양 유기탄소가 많을수록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75
)는 아래의 수학식11과 같다.
Figure pat00076
여기서,
Figure pat00077
는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량이다.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S6-5-2)에서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 유기탄소량이 많을수록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증가하며,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78
)는 아래의 수학식1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79
여기서,
Figure pat00080
는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토양 유기 탄소량이다. 또한, 대기에서 토양으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이 증가하면 토양 유기탄소량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양 온도와 이산화탄소 변화량과 토양 함수비와 토양 페하 및 토양 유기탄소량으로 토양 호흡률을 유추할 수 있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 200: 토양 호흡 챔버
300: 토양 온도 센서

Claims (21)

  1. 토양과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의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량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의 토양 함수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의 페하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의 유기탄소량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81
    )는,
    Figure pat00082

    이고,
    상기
    Figure pat00083
    는 상기 토양의 이산화탄소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의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84
    )는,
    Figure pat00085

    이고,
    상기
    Figure pat00086
    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의 토양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 토양 온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87
    )는,
    Figure pat00088

    이고,
    상기
    Figure pat00089
    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의 토양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 중 논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90
    )는,
    Figure pat00091

    이고,
    상기
    Figure pat00092
    는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토양 함수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토양 중 논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93
    )는,
    Figure pat00094

    이고,
    상기
    Figure pat00095
    는 상기 토양 중 논의 토양 함수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96
    )는,
    Figure pat00097

    이고,
    상기
    Figure pat00098
    는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토양 함수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의 페하(pH)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토양 중 논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099
    )는,
    Figure pat00100

    이고,
    상기
    Figure pat00101
    는 상기 토양 중 갯벌의 페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토양 중 논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102
    )는,
    Figure pat00103

    이고,
    상기
    Figure pat00104
    는 상기 토양 중 논의 페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페하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105
    )는,
    Figure pat00106

    이고,
    상기
    Figure pat00107
    는 상기 토양 중 산림 부지의 페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108
    )는,
    Figure pat00109

    이고,
    상기
    Figure pat00110
    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에 따른 토양 호흡률 함수(
    Figure pat00111
    )는,
    Figure pat00112

    이고,
    상기
    Figure pat00113
    는 상기 토양에서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는 조건에서 상기 토양의 유기 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KR1020100082656A 2010-08-25 2010-08-25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KR20120019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656A KR20120019312A (ko) 2010-08-25 2010-08-25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656A KR20120019312A (ko) 2010-08-25 2010-08-25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12A true KR20120019312A (ko) 2012-03-06

Family

ID=4612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656A KR20120019312A (ko) 2010-08-25 2010-08-25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31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8551A (zh) * 2012-07-26 2012-11-14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有机碳矿化培养装置和利用该装置无土测定土壤有机碳矿化速率的方法
CN105004853A (zh) * 2015-08-05 2015-10-28 中国科学院寒区旱区环境与工程研究所 一种区分生物土壤结皮及其下层土壤基础呼吸的方法
CN105301178A (zh) * 2015-11-30 2016-02-03 北京林业大学 一种室内模拟干湿交替响应下测定土壤呼吸的实验方法
CN105588932A (zh) * 2016-01-14 2016-05-18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估算土壤总呼吸释放碳量的方法
CN106124730A (zh) * 2016-06-14 2016-11-16 甘肃省治沙研究所 一种对荒漠灌丛沙堆土壤呼吸平均速率的观测方法
CN108120821A (zh) * 2017-12-20 2018-06-05 河南大学 一种土壤异养呼吸环装置及其设置方法
CN114994284A (zh) * 2022-06-21 2022-09-02 南开大学 不同植被类型土壤基础呼吸速率的间接测定方法
CN114982606A (zh) * 2022-05-26 2022-09-02 河南省景观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园林土壤智慧管理方法、装置、计算机及存储介质
KR20230065715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우리아이오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8551A (zh) * 2012-07-26 2012-11-14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有机碳矿化培养装置和利用该装置无土测定土壤有机碳矿化速率的方法
CN102778551B (zh) * 2012-07-26 2014-09-03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无土测定土壤有机碳矿化速率的方法
CN105004853A (zh) * 2015-08-05 2015-10-28 中国科学院寒区旱区环境与工程研究所 一种区分生物土壤结皮及其下层土壤基础呼吸的方法
CN105301178A (zh) * 2015-11-30 2016-02-03 北京林业大学 一种室内模拟干湿交替响应下测定土壤呼吸的实验方法
CN105588932A (zh) * 2016-01-14 2016-05-18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估算土壤总呼吸释放碳量的方法
CN106124730A (zh) * 2016-06-14 2016-11-16 甘肃省治沙研究所 一种对荒漠灌丛沙堆土壤呼吸平均速率的观测方法
CN106124730B (zh) * 2016-06-14 2019-02-05 甘肃省治沙研究所 一种对荒漠灌丛沙堆土壤呼吸平均速率的观测方法
CN108120821A (zh) * 2017-12-20 2018-06-05 河南大学 一种土壤异养呼吸环装置及其设置方法
KR20230065715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우리아이오 토양 내 용존 유기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형 측정기
CN114982606A (zh) * 2022-05-26 2022-09-02 河南省景观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园林土壤智慧管理方法、装置、计算机及存储介质
CN114994284A (zh) * 2022-06-21 2022-09-02 南开大学 不同植被类型土壤基础呼吸速率的间接测定方法
CN114994284B (zh) * 2022-06-21 2023-09-05 南开大学 不同植被类型土壤基础呼吸速率的间接测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9312A (ko) 토양의 이산화탄소 호흡률 관측 방법
Xu et al. Soil‐surface CO2 efflux and its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a young ponderosa pine plantation in northern California
Wang et al. Methane fluxes measured by eddy covariance and static chamber techniques at a temperate forest in central Ontario, Canada
Reth et al. The effect of soil water content, soil temperature, soil pH-value and the root mass on soil CO 2 efflux–a modified model
Neftel et al. N2O exchange over managed grassland: Application of a quantum cascade laser spectrometer for micrometeorological flux measurements
Kosugi et al.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in soil respiration in a Southeast Asian tropical rainforest
Clark Sources or sinks? The responses of tropical forests to current and future climate and atmospheric composition
Desai et al. Landscape-level terrestrial methane flux observed from a very tall tower
Yim et al. Comparison of field methods for measuring soil respiration: a static alkali absorption method and two dynamic closed chamber methods
Lou et al. Carbon dioxide flux in a subtropical agricultural soil of China
Felber et al.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ations of the acetylene inhibition technique to determine total denitrification losses
Kumar et al. Estimation of green house gas emissions from Koteshwar hydropower reservoir, India
Hilton et al. Geomorphic control on the δ 15 N of mountain forests
Huang et al.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a commercial cornfield (Zea mays) measured using the eddy covariance technique
Biasi et al. Microbial respiration in Arctic upland and peat soils as a source of atmospheric carbon dioxide
Pearson et al. Effects of temperature rise and water-table-level drawdown on greenhouse gas fluxes of boreal sedge fens
Makita et al. Tree species effects on microbial respiration from decomposing leaf and fine root litter
Zhang et al. Responses of seasonal and diurnal soil CO2 effluxes to land-use change from paddy fields to Lei bamboo (Phyllostachys praecox) stands
Nishimura et al.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s in net carbon dioxide flux throughout the year from soil in paddy field
Sun et al. Carbon dioxide and methane fluxes: seasonal dynamics from inland riparian ecosystems, northeast China
Dhillon et al. Accurate and precise measurement of organic carbon content in carbonate-rich soils
Hoyos-Santillan et al. Root oxygen loss from Raphia taedigera palms mediates greenhouse gas emissions in lowland neotropical peatlands
Song et al. Effects of soil moisture, temperature,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soil respiration and nitrous oxide emission during maize growth period in northeast China
Toma et al.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emporal variation in annual carbon dioxide and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an unfertilized bare field on Gray Lowland soil in Mikasa, Hokkaido, Japan
Wang et al. Applicability of a gas analyzer with dual quantum cascade lasers for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N2O, CH4 and CO2 fluxes from cropland using the eddy covariance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