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476A -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476A
KR20230065476A KR1020210151076A KR20210151076A KR20230065476A KR 20230065476 A KR20230065476 A KR 20230065476A KR 1020210151076 A KR1020210151076 A KR 1020210151076A KR 20210151076 A KR20210151076 A KR 20210151076A KR 20230065476 A KR20230065476 A KR 20230065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product
user interface
facility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현
김민규
박아련
김창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10151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5476A/ko
Publication of KR20230065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복수의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기준이 되는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와 매칭하여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가공한 가공 데이터를 산출하며, 공정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의 제품 생산 지표를 산출하는 처리부와,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에 각각 대응하는 가상의 공장 화면, 생산 라인 화면 및 설비 화면과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드릴 다운 모니터링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USER INTERFACE PROVIDING DEVICE FOR SMART FACTORY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본 발명은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 고령화로 인해 숙련된 노동자들이 점차 줄어들게 되었고, 트렌드가 빠르게 변하면서 제품의 수명 주기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었다. 여기에 소비자들의 니즈가 다변화 및 다양화되면서 개인 맞춤형 생산이 요구되고 경제 구조가 제조업에서 정보 기술(IT)을 포함한 서비스업 중심으로 옮겨가면서 전통적인 제조업은 큰 타격을 입게 되어 제조업의 혁신이 요구되었고, 이로 인해 스마트 팩토리가 등장했다
스마트 팩토리는 설계 및 개발, 제조 및 유통 등 생산 과정에 디지털 자동화 솔루션이 결합된 정보 통신 기술(ICT)을 적용하여 생산성, 품질,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지능형 생산 공장으로 공장 내 설비와 기계에 사물 인터넷(IoT)을 설치하여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 스스로 제어할 수 있게 만든 공장이다.
이러한 스마트 팩토리의 설비에서는 대량의 공정 데이터가 발생하는데, 종래의 데이터 관리 기술로는 이와 같은 대량의 공정 데이터를 관리 및 처리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종래의 공정 자동화 기술은 각각의 공정 별로만 자동화가 이뤄져 있어 전체 공정을 유기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스마트 팩토리는 ICT 기술 덕분에 모든 설비나 장치가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후 공정 간 데이터를 자유롭게 연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최적의 생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팩토리의 설비들을 효과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기 위해 설비 종합 효율(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OEE)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설비 종합 효율이란 설비의 운영 효율성을 관리하는 지표로서, 현장의 설비들이 가동, 성능 및 품질 측면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척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설비 종합 효율은 시간 가동률, 성능 가동률 및 양품 가동률의 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가동률은 비계획 손실을 기초로 결정되고, 성능 가동률은 정지 손실 및 지연 손실을 기초로 결정되고, 양품 가동률은 불량 손실을 기초로 결정된다.
종래에는, 설비 종합 효율을 계산하기 위해, 작업자가 설비의 지연 및 불량 손실 시간 등을 직접 수작업으로 측정 및 기록하고, 그 결과 값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측정의 불편함과 제약 사항 등으로 인해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워 신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측정 행위를 위한 별도의 자원이 소모되어 이중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설비 종합 효율이 일일 결산 형태로 계산됨에 따라 이상 상황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라인 및 설비에서 생성되는 공정 데이터를 단순히 표 형태로 제공할 뿐이어서 사용자의 편의성 및 가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 제품 생산 지표를 드릴 다운 모니터링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 제품 생산 지표를 분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유저 인터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복수의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기준이 되는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와 매칭하여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가공한 가공 데이터를 산출하며, 공정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의 제품 생산 지표를 산출하는 처리부와,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에 각각 대응하는 가상의 공장 화면, 생산 라인 화면 및 설비 화면과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드릴 다운 모니터링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처리부는 공장 화면, 생산 라인 화면 및 설비 화면에 공정 데이터를 맵핑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제품 생산 지표를 영역 별로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품 생산 지표의 화면 구성, 위치 및 순서를 편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로 제품 생산 지표를 비교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제품 생산 지표를 계층 구조로 표시하여 핵심 성과 지표에 영향을 주는 제품 생산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공정 흐름에 따른 과거의 제품 생산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생산 라인에서 제품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공정 에러 발생 시 에러가 발생된 생산 라인 및 설비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생산 지표는 제품 생산 현황, 설비 종합 효율, 시간 가동률, 성능 가동률, 양품 가동률, 비계획 손실, 정지 손실, 지연 손실 및 불량 손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사용자가 제품 생산 지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품 생산 지표를 산출하는데 이용된 공정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설비 신호는 부품 투입 신호, 제품 출하 신호, 설비 온/오프 신호, 설비 정지 신호, 설비 고장 신호를 포함하고, 공정 데이터는 설비 상태 데이터 및 제품 시험 결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복수의 공장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공장의 공장 화면 및 제품 생산 지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선택된 공장의 복수의 생산 라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생산 라인의 생산 라인 화면 및 제품 생산 지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선택된 생산 라인의 복수의 설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설비의 설비 화면 및 제품 생산 지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의 제품 생산 지표를 가상 화면으로 표시하여 드릴 다운 모니터링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 제품 생산 지표를 분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러 발생 시 에러가 발생된 설비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며, 에러 발생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과거 공정 이력 및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제조 공정 성과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제조 공정 데이터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조 공정 데이터 관리 장치가 적용된 도 1의 제조 공정 성과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지연 손실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불량 손실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조 공정 데이터 관리 장치가 적용된 도 1의 제조 공정 성과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불량 손실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불량 손실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이용해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 제품 생산 지표를 드릴 다운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품 생산 지표를 계층 구조로 표시한 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공정 흐름에 따른 과거의 제품 생산 지표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품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설비를 표시한 화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제조 공정 성과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 성과 관리 장치는 입력부(110), 제1 저장부(120), 제2 저장부(130), 처리부(140) 및 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팩토리 내에는 제품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설비들이 존재하는데, 입력부(110)는 복수의 설비들 별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복수의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는 설비 자체 또는 설비에 장착된 센서에서 타임 스탬프, 설비 ID 및 제품 ID 중 적어도 하나가 부여되어 반복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을 의미하고, 설비 ID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가 생성된 설비 이름을 의미하고, 제품 ID는 설비 ID에 해당하는 설비에서 생산된 제품 이름을 의미한다.
설비 신호는 설비 내로 부품이 투입되는 부품 투입 신호, 설비 내에서 부품이 조립된 후 제품이 출하되는 제품 출하 신호, 설비 정지 신호, 설비 온/오프 신호 및 설비 고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공정 데이터는 설비 상태 데이터 및 제품 시험 결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 상태 데이터는 설비 신호를 기초로 도출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20)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저장부(130)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기준이 되는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기간 시스템 또는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처리부(140)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 설비 ID(Identification) 및 제품 ID 별로 분류하여 제1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부(140)는 타임 스탬프, 설비 ID(Identification) 및 제품 I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관계성 있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처리부(140)는 특정 설비 신호를 입력 받으면 타임 스탬프, 설비 ID 및 제품 ID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와 매칭하여 제품 제조 공정의 손실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손실 정보는 비계획 손실 정보, 정지 손실 정보, 지연 손실 정보 및 불량 손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산출부(150)는 처리부(140)에 의해 산출된 손실 정보를 기초로 설비 종합 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 종합 효율(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OEE)이란 설비의 운영 효율성을 관리하는 지표로서, 현장의 설비들이 가동, 성능 및 품질 측면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척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설비 종합 효율은 시간 가동률, 성능 가동률 및 양품 가동률의 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가동률은 비계획 손실을 기초로 결정되고, 성능 가동률은 정지 손실 및 지연 손실을 기초로 결정되고, 양품 가동률은 불량 손실을 기초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 성과 관리 장치는, 종래의 지연 손실 등을 수작업으로 측정하여 설비 종합 효율을 계산하는 방식과 달리 설비에서 발생되는 설비 신호 등을 기초로 지연 손실 등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설비 종합 효율을 계산하기 때문에, 설비 종합 효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 설비를 더욱더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제조 공정 데이터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 데이터 관리 장치는 입력부(110), 제1 저장부(120), 제2 저장부(130), 제1 처리부(140), 제2 처리부(145) 및 제3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전술한 제조 공정 성과 관리 장치에 적용되는 장치로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입력부(110)는 제품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10)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복수의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는 설비(10) 자체 또는 설비(10)에 장착된 센서에서 출력될 수 있다.
설비 신호는 설비(10) 내로 부품이 투입되는 부품 투입 신호, 설비(10) 내에서 부품이 조립된 후 제품이 출하되는 제품 출하 신호, 설비 정지 신호, 설비 온/오프 신호 및 설비 고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공정 데이터는 설비 상태 데이터 및 제품 시험 결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20)는 설비에서 타임 스탬프, 설비 ID 및 제품 ID 중 적어도 하나가 부여된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원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저장부(130)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기준이 되는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기간 시스템 또는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처리부(140)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 설비 ID(Identification) 및 제품 ID 별로 분류하여 제1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부(140)는 타임 스탬프, 설비 ID(Identification) 및 제품 I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관계성 있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이고, 설비 ID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가 생성된 설비 이름이고, 제품 ID는 설비 ID에 해당하는 설비에서 생산된 제품 이름을 의미한다.
제1 처리부(140)는 특정 설비 신호를 입력 받으면 타임 스탬프, 설비 ID 및 제품 ID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와 매칭하여 가공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공 데이터는 비계획 손실 정보, 설비 정지 손실 정보, 지연 손실 정보 및 제품 불량 손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저장부(160)는 제1 처리부(140)에 의해 산출된 가공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45)는 사용자 단말(50)의 요청에 의해 제3 저장부(160)에 저장된 가공 데이터를 열람 및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50)은 전술한 설비 종합 효율을 산출하는 산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45)는 사용자 단말(50)의 요청에 의해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원시 데이터와 제2 저장부(130)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직접 열람 및 분석하여 가공 데이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 데이터 관리 장치는, 설비에서 발생되는 원시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 설비 ID 및 제품 ID 등으로 관계성을 최소화하여 저장하고, 타임 스탬프, 설비 ID 및 제품 ID를 기초로 원시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와 매칭하여 데이터 관계성에 관한 정보를 갖는 가공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설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대량의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계성에 관한 정보만 업데이트하여 원시 데이터의 수정 없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조 공정 데이터 관리 장치가 적용된 도 1의 제조 공정 성과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지연 손실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지연 손실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제품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10)에서 타임 스탬프, 설비 ID 및 제품 ID 중 적어도 하나가 부여되어 복수의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가 반복적으로 출력하면(S11), 입력부(110)는 설비(10)로부터 반복적으로 출력된 복수의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제1 저장부(120)는 타임 스탬프, 설비 ID 및 제품 ID 중 적어도 하나가 부여된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원시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1 처리부(140)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 설비 ID(Identification) 및 제품 ID 별로 분류하여 제1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S12).
먼저, 제1 처리부(140)는 설비 신호를 확인하여(S13) 설비 신호가 제품 출하 신호인 경우 캘린더 DB(131)를 확인하여 제품 출하 신호가 조업 시간에 발생한 것인지 판단한다(S14).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품 출하 신호가 조업 시간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해 제품 출하 신호의 발생 시간에 생성된 제품 ID가 제1 저장부(120)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5).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품 출하 신호의 발생 시간에 생성된 제품 ID가 제1 저장부(120)에 존재하는 경우, 제품 ID가 작업 목록 DB(132)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6).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품 ID가 작업 목록 DB에 존재하는 경우, 제품 ID에 해당하는 제품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S17). 여기서, 제1 처리부(140)는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제품 ID의 제품 시험 결과 데이터를 제품 기준 정보 DB(134)에 저장된 기준 시험값과 비교하여 제품의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품이 적합한 경우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현재 및 이전의 제품 출하 신호 사이의 시구간을 산출한다(S18).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설비 상태 데이터에서 설비(10)의 정지 및 오프 시간을 확인하고, 캘린더 DB(131)에서 휴게 시간을 확인하고, 손실 집계 DB(133)에서 설비(10)의 계획 정지 및 비계획 정지 시간을 확인한다.
다음, 제1 처리부(140)는 확인한 설비(10)의 정지 및 오프 시간과, 휴게 시간과 계획 정지 및 비계획 정지 시간을 시구간에서 제외하여 순수 작업 시간을 산출한다(S19).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산출한 순수 작업 시간을 제품 기준 정보 DB(134)에 저장된 표준 작업 시간과 비교하여(S20) 지연 손실 정보를 산출한다(S21).
여기서, 제1 처리부(140)는 순수 작업 시간이 표준 작업 시간 보다 크면 순수 작업 시간 및 표준 작업 시간의 차이값을 지연 손실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산출한 지연 손실 정보를 제3 저장부(160)의 생산 정보 기록 DB(161)에 저장한다.
다음, 제2 처리부(145)는 제3 저장부(160)에 저장된 지연 손실 정보를 열람 및 분석한다.
도 5는 도 2의 제조 공정 데이터 관리 장치가 적용된 도 1의 제조 공정 성과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불량 손실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불량 손실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품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10)에서 복수의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가 타임 스탬프, 설비 ID 및 제품 ID 중 적어도 하나가 부여되어 반복적으로 출력되면(S31), 입력부(110)는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복수의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제1 저장부(120)는 타임 스탬프, 설비 ID 및 제품 ID 중 적어도 하나가 부여된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원시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1 처리부(140)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 설비 ID(Identification) 및 제품 ID 별로 분류하여 제1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S32).
먼저, 제1 처리부(140)는 설비 신호를 확인하여(S33) 설비 신호가 제품 출하 신호인 경우 캘린더 DB(131)를 확인하여 제품 출하 신호가 조업 시간에 발생한 것인지 판단한다(S34).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품 출하 신호가 조업 시간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해 제품 출하 신호의 발생 시간에 생성된 제품 ID가 제1 저장부(120)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5).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품 출하 신호의 발생 시간에 생성된 제품 ID가 제1 저장부(120)에 존재하는 경우, 제품 ID가 작업 목록 DB(132)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6).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품 ID가 작업 목록 DB에 존재하는 경우, 제품 ID에 해당하는 제품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S37). 여기서, 제1 처리부(140)는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제품 ID의 제품 시험 결과 데이터를 제품 기준 정보 DB(134)에 저장된 기준 시험값과 비교하여 제품의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품이 부적합한 경우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현재 및 이전의 제품 출하 신호 사이의 시구간을 산출한다(S38).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품이 부적합 경우 상기 시구간을 제품의 불량 손실 정보로 산출한다(S39).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산출한 불량 손실 정보를 제3 저장부(160)의 생산 정보 기록 DB(161)에 저장한다.
다음, 제2 처리부(145)는 제3 저장부(160)에 저장된 불량 손실 정보를 열람 및 분석한다.
한편, 제1 처리부(140)는, 제품이 부적합 경우, 제1 저장부(120)에서 제품의 제품 ID, 타임 스탬프, 시험 결과 데이터 및 부품 조립 정보를 확인하고, 제품 기준 정보 DB(134)에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부품 ID를 확인하고, 서플라이어 정보 DB(미도시)에서 부품 ID에 해당하는 부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제1 처리부(140)는 제품의 제품 ID, 타임 스탬프, 시험 결과 데이터 및 부품 조립 정보와, 부품 ID와, 부품 정보를 조합한 제품의 불량 손실 정보를 조합하여 제3 저장부(160)의 불량 관리 DB(163)에 저장한다.
다음, 제3 처리부(147)는 제3 저장부(160)에 저장된 불량 손실 정보를 기초로 제품의 불량 패턴을 분석한다. 그리고, 제3 처리부(147)는 분석한 제품의 불량 패턴 정보를 기간 시스템(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공정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기초로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을 관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는 입력부(110), 저장부(130), 처리부(140) 및 표시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51)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5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입력부(110)는 설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복수의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기준이 되는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처리부(140)는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와 매칭하여 설비 신호 및 공정 데이터를 가공한 가공 데이터를 산출하며, 공정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의 제품 생산 지표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품 생산 지표는 제품 생산 현황, 설비 종합 효율, 시간 가동률, 성능 가동률, 양품 가동률, 비계획 손실, 정지 손실, 지연 손실 및 불량 손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이용해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 제품 생산 지표를 드릴 다운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표시부(51)는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에 각각 대응하는 가상의 공장 화면(12), 생산 라인 레이아웃 화면(14), 생산 라인 화면(17) 및 설비 화면(23)과 제품 생산 지표(13)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레이아웃, 생산 라인 및 설비 별 제품 생산 지표(13)를 드릴 다운 모니터링(Drill Down Monitoring)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한다.
여기서, 드릴 다운 모니터링 방법이란 모니터링 대상을 가장 요약된 레벨로부터 가장 상세한 레벨까지 계층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 더 상세한 정보를 찾기 위해 관련 텍스트나 아이콘 등을 클릭하여 마치 뚫고 들어가듯이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
표시부(5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51)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40)는 표시부(51)에 표시된 가상의 공장 화면(12), 생산 라인 레이아웃 화면(14), 생산 라인 화면(17) 및 설비 화면(23)에 공정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맵핑할 수 있다. 여기서, 생산 라인 레이아웃 화면(14)은 복수의 층별 레이아웃 화면(15)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1)는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레이아웃, 생산 라인 및 설비 별로 제품 생산 지표(13)를 비교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을 생산하는 복수의 공장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표시부(51)의 공장 선택 화면(11)에 표시된 복수의 공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표시부(51)는 선택된 공장에 대응하는 가상의 공장 화면(12)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표시부(51)는 선택된 공장의 제품 생산 지표(13)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생산 지표(13)는 해당 공장의 실시간 제품 생산 현황 및 라인 가동률 등을 포함한 대표 생산 지표일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제품 생산 현황은, 해당 공장에서 실시간으로 생산된 제품 수와 목표 생산 제품 수에 대한 현재 생산 제품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진도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 가동률은 해당 공장에 포함되는 복수의 생산 라인에 대한 현재 가동 중인 생산 라인의 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표시부(51)에 표시된 공장 화면(12)을 선택하면 해당 공장에 구비된 복수의 생산 라인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복수의 생산 라인 레이아웃 화면(14)이 공장 화면(12)과 함께 표시부(51)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복수의 생산 라인 레이아웃 화면(14)은 사용자가 공장 화면(12) 선택 시 팝-업(pop-up)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생산 라인 레이아웃은 공장에 구비된 층별 생산 라인 레이아웃일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생산 라인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생산 라인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생산 라인 레이아웃 화면(14)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생산 라인 레이아웃 화면(14)은 사용자가 생산 라인 레이아웃 선택 시 팝-업(pop-up)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1)는 선택된 생산 라인 레이아웃의 제품 생산 지표(1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생산 라인 레이아웃에 구비된 복수의 생산 라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생산 라인에 대응하는 가상의 생산 라인 화면(17)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생산 라인 화면(17)은 사용자가 생산 라인 선택 시 팝-업(pop-up)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1)는 선택된 생산 라인의 제품 생산 지표(13)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생산 지표(13)는 해당 생산 라인의 실시간 제품 현황 및 라인 가동률 등을 대표 생산 지표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51)는 그래프, 숫자 및 문자 등을 이용해 제품 생산 지표(13) 중 대표 생산 지표 예컨대, 실시간 생산 현황, 실시간 라인 현황, 실적 택(Tact) 타임 및 공정 부적합률를 영역 별로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생산 현황은 해당 생산 라인에서 실시간으로 생산된 제품 수와 목표 생산 제품 수에 대한 현재 생산 제품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진도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라인 현황은 설비 종합 효율(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OEE)과 설비 종합 효율을 산출하는데 이용되는 시간 가동률, 성능 가동율 및 양품 가동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적 택(Tact) 타임은 해당 생산 라인에서 요구하는 생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하나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공정 부적합률은 제품의 품질 검사 결과 해당 생산 라인에서 현재 생산된 제품 수에 대해 부적합으로 결정된 제품 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시부(51)는 생산량 예측, 설비 알람, 다운 타임, 생산 원가 및 중복 작업 등을 나타내는 부수적 생산 지표를 위젯 화면(19)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생산량 예측은 생산 라인에서 조업 시간 중 생산 가능한 제품의 생산량을 예측한 지표이고, 설비 알람은 생산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설비 별로 설비 고장 등의 경고 알람 수를 나타낸 지표이다. 그리고, 다운 타임은 생산 라인이 중단된 시간을 나타낸 지표이고, 생산 원가는 생산 라인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직접 가공비를 나타낸 지표이고, 중복 작업은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 불필요한 중복된 작업으로 인한 지표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51)는 사용자가 제품 생산 지표(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품 생산 지표를 산출하는데 이용된 공정 및 가공 데이터(2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 데이터 및 가공데이터(20)는 사용자가 제품 생산 지표(13) 선택 시 팝-업(pop-up)될 수 있으며, 숫자, 그래프 및 문자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51)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품 생산 지표(13)의 화면 구성, 위치 및 순서를 편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21)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51)는 위젯 화면(19)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위젯 화면(19)을 통해 선호하는 위젯을 선택하여 표시하고, 위젯의 위치 및 순서를 편집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생산 라인에 구비된 복수의 설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설비에 대응하는 설비 화면(23)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 화면(23)는 사용자가 설비 선택 시 팝-업(pop-up)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설비가 복수 개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가 복수의 설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해당 설비에 대응하는 설비 화면(23)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51)는 선택된 설비의 제품 생산 지표(13)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생산 지표(13)는 해당 설비의 실시간 생산 수량, 부적합 수량, 실적 택(Tact) 타임, 워크 오더(Work Order) 정보, 설비 레시피 및 에러 현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생산 수량은 해당 설비에서 실시간으로 생산된 제품 수를 의미하고, 부적합 수량은 해당 설비에서 생산된 제품의 품질 검사 결과 부적합으로 결정된 제품 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실적 택 타임은 해당 설비에서 요구하는 생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하나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워크 오더 정보는 해당 설비에서의 작업 대상인 제품의 제품명 및 제품 ID를 포함한다. 그리고, 설비 레시피는 해당 설비에서 부품을 조립하는데 이용되는 부품 및 설비의 파라미터(예컨대, 용량, 주파수 및 전압)를 의미하고, 에러 현황은 해당 설비에서 실시간 또는 금일 발생된 에러의 개수를 의미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품 생산 지표를 계층 구조로 표시한 화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51)는 제품 생산 지표를 계층 구조로 표시하여 핵심 성과 지표에 영향을 주는 제품 생산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51)는 핵심 성과 지표에 악영향을 주는 제품 생산 지표와 좋은 영향을 주는 제품 생산 지표를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핵심 성과 지표에 영향을 주는 제품 생산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51)는 제품 생산 지표 값에 따라 색상으로 구분하여 좋음(녹색), 보통(노란색) 및 나쁨(빨간색)으로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설비 종합 효율(OEE)이 74.4%, 시간 가동률이 100%, 성능 가동률이 77.4%, 양품 가동률이 96.3%인 경우, 표시부(51)는 설비 종합 효율(OEE)은 노란색, 시간 가동률은 녹색, 성능 가동률은 빨간색, 양품 가동률은 노란색으로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간 가동률이 설비 종합 효율(OEE)에 좋은 영향을 주는 제품 생산 지표로 확인할 수 있고, 성능 가동률이 설비 종합 효율(OEE)에 좋은 영향을 주는 제품 생산 지표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1)는 핵심 성과 지표를 공장, 생산 라인 레이아웃, 생산 라인 및 설비 별로 계층화하여 표시하고, 각 라인 및 설비 별 핵심 성과 지표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핵심 성과 지표에 영향을 주는 설비 및 라인을 공정 흐름 별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공정 흐름에 따른 과거의 제품 생산 지표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51)는 공정 흐름에 따른 과거의 제품 생산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품 생산 시간대를 설정하고 재생 버튼을 선택하면 설정된 생산 시간대에 해당하는 과거의 생산 지표를 공정 흐름에 따라 표시하는 과거 공정 흐름 화면(28)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공정 흐름에 따라 공정 별 생산 지표를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공정 별 생성 지표 화면(30)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과거의 핵심 성과 지표에 영향을 주는 제품 생산 지표를 공정 흐름 별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품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한 화면이다. 여기서, 도 17은 2차원 화면이고 도 18은 3차원 화면이다.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설비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표시부(51)는 생산 라인에서 제품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 중 제품 경로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1)는 생산 라인에서 에러가 발생한 설비(23)를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표시부(51)는 공정 에러 발생 시 에러가 발생된 생산 라인 및 설비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생산 라인에서 에러가 발생되어 활성화된 설비(23)를 선택하면 선택된 설비(23)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51)는 에러가 발생된 설비(23)에서 특정 에러 발생 포인트(24)를 활성화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에러 발생 포인트(24)의 공정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기초로 에러 발생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의 제품 생산 지표를 가상 화면으로 표시하여 드릴 다운 모니터링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 제품 생산 지표를 분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에러 발생 시 에러가 발생된 설비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며, 에러 발생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과거 공정 이력 및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입력부
120: 제1 저장부
130: 제2 저장부
140: 처리부
150: 산출부

Claims (15)

  1. 설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복수의 설비 신호 또는 공정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설비 신호 또는 공정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기준이 되는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설비 신호 또는 공정 데이터를 상기 메타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설비 신호 또는 공정 데이터를 가공한 가공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공정 데이터 또는 가공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의 제품 생산 지표를 산출하는 처리부; 및
    상기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에 각각 대응하는 가상의 공장 화면, 생산 라인 화면 및 설비 화면과 상기 제품 생산 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드릴 다운 모니터링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공장 화면, 생산 라인 화면 및 설비 화면에 상기 공정 데이터를 맵핑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영역 별로 분리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품 생산 지표의 화면 구성, 위치 및 순서를 편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공장, 생산 라인 및 설비 별로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비교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계층 구조로 표시하여 핵심 성과 지표에 영향을 주는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공정 흐름에 따른 과거의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생산 라인에서 상기 제품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공정 에러 발생 시 에러가 발생된 상기 생산 라인 및 설비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생산 지표는
    제품 생산 현황, 설비 종합 효율, 시간 가동률, 성능 가동률, 양품 가동률, 비계획 손실, 정지 손실, 지연 손실 및 불량 손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품 생산 지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산출하는데 이용된 상기 공정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표시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신호는 부품 투입 신호, 제품 출하 신호, 설비 온/오프 신호, 설비 정지 신호, 설비 고장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 데이터는 설비 상태 데이터 및 제품 시험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공장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공장의 상기 공장 화면 및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표시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상기 공장의 상기 복수의 생산 라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생산 라인의 상기 생산 라인 화면 및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표시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상기 생산 라인의 복수의 설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기 설비의 상기 설비 화면 및 상기 제품 생산 지표를 표시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1020210151076A 2021-11-05 2021-11-05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20230065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076A KR20230065476A (ko) 2021-11-05 2021-11-05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076A KR20230065476A (ko) 2021-11-05 2021-11-05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476A true KR20230065476A (ko) 2023-05-12

Family

ID=8638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076A KR20230065476A (ko) 2021-11-05 2021-11-05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54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5487B2 (en) Interactive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cess model analysis
CN107085415B (zh) 过程控制网络中的规则构建器
CN100383780C (zh) 机器管理系统
US80056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performing corrective measures in a process plant using monitoring data with corrective measures data
US92014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function in a process plant using monitoring data with criticality evaluation data
TWI286785B (en) Method for interaction with status and control apparatus
US20080320409A1 (en) Tightly-Coupled Synchronized Selection, Filtering, and Sorting Between Log Tables and Log Charts
US99905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rror detection and diagnostics visualization
US85948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a machine tool operating characteristics
EP3296830B1 (en) Plant state displaying apparatus, plant state displaying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plant state
US81039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ation of time-based events
US20100076809A1 (en) Asset optimization reporting in a process plant
JP2013101622A (ja) グラフィック再検査ユーザ設定インタフェース
US6720194B1 (en) Semiconductor characterization and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JP2008305419A (ja) プロセス性能監視とプロセス装置監視および制御への統合
CN110414838A (zh) 一种烟草工艺质量管控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20040189717A1 (en) Intelligent drill-down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976289A (zh) 生产线kpi监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EP1220097A2 (en) Apparatus management method,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management program product
KR20230065476A (ko)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공정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20230065478A (ko)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제조 공정 성과 관리 장치
CN115689126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30065477A (ko)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제조 공정 데이터 관리 장치
US10268562B1 (en) Advanced manufacturing insight system for semiconductor application
US11281183B2 (en) Unifi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achining of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