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042A -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042A
KR20230065042A KR1020210150826A KR20210150826A KR20230065042A KR 20230065042 A KR20230065042 A KR 20230065042A KR 1020210150826 A KR1020210150826 A KR 1020210150826A KR 20210150826 A KR20210150826 A KR 20210150826A KR 20230065042 A KR20230065042 A KR 20230065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belongings
information
los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박기희
이창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5042A/ko
Publication of KR2023006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9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giving information to passengers inside the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두고 내린 물건을 승객에 알려 소지품의 분실 위험을 방지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 승객이 탑승시, 승객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하고;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여부를 판단하며;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판단시, 하차 승객에 소지품을 분실하였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passenger's belongings}
본 발명은 차량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두고 내린 물건을 승객에 알려 소지품의 분실 위험을 방지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까운 미래에는 현재의 버스나 택시와 같은 대중 교통수단이 자율주행 자동차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저출산 및 고령화 추세로 인해 노년층의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자율주행 자동차가 대중교통으로 활용시, 노약자의 경우에 승/하차 시간이 길어지고, 소지한 물건을 차량에 두고 하차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차량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소지품을 두고 하차하는 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승객에게 알려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하차 제어가 필요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040015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두고 내린 물건을 승객에 알려 소지품의 분실 위험을 방지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의 구성은, 제어기가, 차량에 승객이 탑승시, 승객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제어기가,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분실판단단계; 제어기가,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판단시, 하차 승객에 소지품을 분실하였음을 알리는 분실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단계에서는,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외형으로부터 추정 가능한 소지품 정보와 승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단계에서는, 차량과 무선통신을 통해 승객이 소지한 개인 무선단말기를 검출하여 승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단계에서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품을 등록한 경우, 승객이 등록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소지품을 등록한 승객이 하차하는 경우, 등록된 소지품을 하차 승객에 알릴 수 있다.
하차 승객이 개인 무선단말기를 소지한 경우, 개인 무선단말기를 통해 등록된 소지품을 알릴 수 있다.
하차 승객이 등록된 소지품의 공개 알림을 허용하는 경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등록된 소지품을 알릴 수 있다.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하차 목적지를 등록하는 경우, 하차 승객이 하차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하차 목적지를 하차 승객에 알릴 수 있다.
상기 분실알림단계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를 통해 소지품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하차하는 경우, 해당 승객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를 분실물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하차하는 경우, 하차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에 차량 정보와, 분실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하차 목적지에 차량을 정차하여 소지품을 찾는 동안 대기할 수 있다.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았는지 판단하고;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 해당 승객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를 분실물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의 구성은, 차량에 승객이 탑승시, 승객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판단시, 하차 승객에 소지품을 분실하였음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는,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외형으로부터 추정 가능한 소지품 정보와 승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는, 차량과 무선통신을 통해 승객이 소지한 개인 무선단말기가 검출되어 승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품을 등록하는 경우, 승객이 등록한 소지품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는,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이거나, 개인이 소지한 무선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하차하는 경우, 하차하는 승객의 소지품과 승객 탑승시 저장된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이 두고 내린 소지품을 승객에 알리게 됨으로써, 소지품의 분실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과정의 흐름을 예시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서 차량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승객의 소지품 및 분실물 목록을 예시한 도면.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은, 차량에 승객이 탑승시, 승객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10);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20);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판단시, 하차 승객에 소지품을 분실하였음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예컨대, 차량 내외부에 카메라(10,20)가 설치되어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과 함께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승객의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가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아울러,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움직임을 카메라(10,20)에 의해 촬영하고, 승객이 차량 출입문에 접근하여 하차 대기하는 경우, 판단부(120)에 의해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하는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차량의 시트에 시트센서(40)가 장착되어 승객의 착좌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시트에 착좌한 승객이 일어서는 것을 감지한 경우, 이를 차량 하차 여부 판단에 활용할 수 있다.
즉, 승객이 하차하는 경우, 하차하는 승객의 소지품과 승객 탑승시 저장된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승객이 하차하면서 두고 내리는 소지품이 있는지 판단한다.
이에, 하차하는 승객이 소지품을 두고 내리는 경우, 승객이 두고 내린 소지품을 하차하는 승객에 알리게 됨으로써, 소지품의 분실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110)에는,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외형으로부터 추정 가능한 소지품 정보와 승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카메라(10,20)를 통해 촬영된 승객의 외형 정보를 기반으로 승객의 정보를 기록하고, 승객의 외형으로부터 추정 가능한 손에 드는 물건(쇼핑백), 가방 및 외투 등의 소지품 정보를 기록한다.
이때에, 소지품 정보의 등록을 통해 승객이 두고 내린 소지품이 소지품인지 쓰레기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지품이 음식물, 동물 유기, 영유아 유기 등인지 판단할 수 있고, 위험물 등 보안 측면에서 의심이 되는 물품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소지품의 종류에 따라 소지품의 알림 수준을 다양화할 수 있고, 또한 승객의 탑승시 승객의 탑승을 거부하는 알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110)에는, 차량과 무선통신을 통해 승객이 소지한 개인 무선단말기(300)가 검출되어 승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개인 무선단말기(300)는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등의 전자기기일 수 있는 것으로, 승객의 옷이나 가방 내부에 개인 무선단말기(300)를 휴대한 경우, 이는 카메라(10,20)를 통해 검출할 수 없다.
이에,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면, 개인 무선단말기(300)가 차량과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승객의 정보를 차량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 무선단말기(300)는 차량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여야 하는 것으로, UWB센서(30)에 의해 센싱되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저장부(110)에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품을 등록하는 경우, 승객이 등록한 소지품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승객이 차량에 탑승 전 또는 탑승 후, 고가의 물건과 같이 분실하고 싶지 않은 물건이나 우산 등과 같이 분실의 우려가 높은 소지품의 경우 개인 무선단말기(300) 또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소지품 등록기계 등을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에, 소지품을 등록한 승객이 하차하는 경우, 등록된 소지품을 하차 승객에 알릴 수 있다.
하차 승객에게 소지품 목록을 알리는 방법의 예시로서, 하차 승객이 개인 무선단말기(300)를 소지한 경우, 개인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등록된 소지품을 알릴 수 있다.
다만, 하차 승객이 등록된 소지품의 공개 알림을 허용하는 경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등록된 소지품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차량의 출입문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하차 대기시 승객이 최대한 바라보기 편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되는 승객의 소지품 및 분실물 목록을 예시한 도면으로, 승객이 소지품으로 우산, 가방, 스마트폰을 등록한 경우, 등록된 소지품 목록이 차량의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하차 목적지를 등록하는 경우, 하차 승객이 하차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하차 목적지를 하차 승객에 알릴 수 있다.
즉, 승객의 하차 목적지를 개인 무선단말기(300) 또는 차량의 설치된 등록기기에 설정한 경우에, 승객이 하차하기 N분 전에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알릴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장치(200) 대신에 승객의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개인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알릴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알림부는,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00)이거나, 개인이 소지한 무선단말기(300)일 수 있는 것으로, 승객의 소지품 목록, 분실물 목록을 비롯하여 하차 목적지 등을 하차하는 승객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분실알림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하차하는 경우, 해당 승객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를 분실물로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객에게 차량에 두고 내리는 소지품이 있음을 알린 후에,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10,20) 및/또는 UWB센서(30) 등을 이용하여 승객의 거동을 검출함으로써, 승객이 두고 내린 소지품을 찾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내리는 경우, 승객의 정보와 함께,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승객이 앉은 위치정보 등을 분실물 정보로 등록함으로써, 추후에 승객이 등록된 분실물 정보를 기반으로 소지품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분실알림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하차하는 경우, 하차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에 차량 정보와, 분실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차량에 등록된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에 메세지 형태로 분실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에 분실물 찾기 어플이 설치된 경우 해당 어플을 통하여 분실물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추후에 승객이 분실한 소지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은 상기 분실알림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하차 목적지에 차량을 정차하여 소지품을 찾는 동안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승객의 안전을 위해 하차 목적지에 정차 후에 승객이 소지품을 찾는 동안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10,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고 하차한 것으로 판단시, 승객 하차 후 조향모듈(400)과 가속페달 및 감속페달(500)의 제어를 통해 차량의 운행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분실알림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았는지 판단하고;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 해당 승객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를 분실물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카메라(10,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못하고 하차한 것으로 판단시, 승객의 정보와 함께,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승객이 앉은 위치정보 등을 분실물 정보로 등록함으로써, 추후에 승객이 등록된 분실물 정보를 기반으로 소지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더 나아가, 차량에 등록된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에 메세지 형태로 분실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에 분실물 찾기 어플이 설치된 경우 해당 어플을 통하여 분실물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추후에 승객이 분실한 소지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의 구성은, 제어기(100)가, 차량에 승객이 탑승시, 승객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제어기(100)가,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분실판단단계; 제어기(100)가,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판단시, 하차 승객에 소지품을 분실하였음을 알리는 분실알림단계;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0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정보저장단계에서는,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외형으로부터 추정 가능한 소지품 정보와 승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저장단계에서는, 차량과 무선통신을 통해 승객이 소지한 개인 무선단말기(300)를 검출하여 승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저장단계에서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품을 등록한 경우, 승객이 등록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에, 소지품을 등록한 승객이 하차하는 경우, 등록된 소지품을 하차 승객에 알릴 수 있다.
그리고, 하차 승객이 개인 무선단말기(300)를 소지한 경우, 개인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등록된 소지품을 알릴 수 있다.
또한, 하차 승객이 등록된 소지품의 공개 알림을 허용하는 경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등록된 소지품을 알릴 수 있다.
더불어,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하차 목적지를 등록하는 경우, 하차 승객이 하차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하차 목적지를 하차 승객에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실알림단계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00) 또는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소지품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하차하는 경우, 해당 승객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를 분실물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하차하는 경우, 하차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에 차량 정보와, 분실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하차 목적지에 차량을 정차하여 소지품을 찾는 동안 대기할 수 있다.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았는지 판단하고;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 해당 승객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를 분실물로 등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제어과정의 흐름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율주행이 이루어지는 차량에 승객이 승차하는 경우, 차량의 내외부에 탑재된 카메라(10,20)를 이용하여 승객의 외형으로부터 승객을 구분할 수 있는 승객 정보와 함께, 해당 승객의 외형으로부터 추정 가능한 승객의 소지품을 검출하여 소지품 정보를 저장한다(S10).
이와 함께, 차량에 탑재된 UWB센서(30)를 이용하여 승객이 소지한 개인 무선단말기(300)와 통신을 통해 해당 승객의 정보를 저장한다(S20).
이 후, 차량의 운행과정에서 승객이 하차하기 위해 출입문 앞으로 이동하여 대기하는지 판단한다(S30). 이때에, 승객의 하차 판단은 UWB센서(30)를 통해 승객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하차 대기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승객을 촬영하는 카메라(10,20)의 영상정보를 이용해서도 승객의 하차 대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S30단계의 판단 결과, 승객이 하차 대기하는 경우, 하차 대기하는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대기하는 승객이 두고 내리는 소지품이 있는지 판단한다(S40).
S40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에 두고 내리는 분실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시, 차량 출입문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하차 승객이 두고 내리는 소재품이 있음을 안내한다(S50).
이 후, 하차 승객이 내리고자 하는 하차 목적지에 정차하면(S60), 하차 대기했던 승객이 분실물을 찾아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이때에, 승객이 분실물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지 여부의 판단은 UWB센서(30)를 통해 승객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승객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승객을 촬영하는 카메라(10,20)의 영상정보를 이용해서도 승객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70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승객이 분실물을 찾으러 이동하는 경우, 승객이 분실물을 찾는 동안 정차 상태로 대기한다(S80).
그리고, 분실물을 찾으러 이동했던 승객이 분실물을 찾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
S90단계의 판단 결과, 승객이 분실물을 찾지 못한 경우, 해당 승객의 정보와 함께,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승객이 앉은 위치정보 등을 분실물 정보로 등록하여, 추후에 승객이 등록된 분실물 정보를 기반으로 소지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S100).
이와 함께, 해당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에 차량 정보와, 분실물 정보를 전송하여 승객이 분실한 소지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어서,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하게 되면, 자율주행에 필요한 조향모듈(400) 및 가감속페달(500)을 제어하여 차량의 운행을 지속하게 된다(S110).
아울러, S70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승객이 분실물을 찾으러 이동하지 않고, 바로 하차하는 경우, 해당 승객의 정보와 함께,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승객이 앉은 위치정보 등을 분실물 정보로 등록하여, 추후에 승객이 등록된 분실물 정보를 기반으로 소지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S100).
물론, 이 경우에도 해당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에 차량 정보와, 분실물 정보를 전송하여 승객이 분실한 소지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한편, 차량에 승객이 승차시, S10단계 및 S20단계와 함께, 승객이 개인 무선단말기(300) 또는 차량에 탑재된 등록기계 등을 이용하여 승객의 소지품을 등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S120단계의 판단 결과, 승객이 소지품을 등록하는 경우, 차량의 운행과정에서 승객이 하차하기 위해 출입문 앞으로 이동하여 대기하는지 판단한다(S130).
이에, S130단계의 판단 결과, 승객이 하차 대기하는 경우, 하차 대기하는 승객이 소지품을 공용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안내하는 것을 허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S140단계의 판단 결과, 소지품을 공용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안내하는 것을 허용한 경우,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와 함께, 차량의 디스플레이장치(200)에 등록된 소지품 목록을 안내한다(S150).
반면, 공용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안내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은 경우,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300)에만 등록된 소지품 목록을 안내한다(S16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하차하는 경우, 하차하는 승객의 소지품과 승객 탑승시 저장된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이 두고 내린 소지품을 승객에 알리게 됨으로써, 소지품의 분실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내부카메라
20 : 외부카메라
30 : UWB센서
40 : 시트센서
100 : 제어기
110 : 저장부
120 : 판단부
200 : 디스플레이장치
300 : 무선단말기
400 : 조향모듈
500 : 가속페달 및 감속페달

Claims (26)

  1. 제어기가, 차량에 승객이 탑승시, 승객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단계;
    제어기가,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분실판단단계;
    제어기가,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판단시, 하차 승객에 소지품을 분실하였음을 알리는 분실알림단계;를 포함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단계에서는,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외형으로부터 추정 가능한 소지품 정보와 승객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단계에서는,
    차량과 무선통신을 통해 승객이 소지한 개인 무선단말기를 검출하여 승객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저장단계에서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품을 등록한 경우, 승객이 등록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소지품을 등록한 승객이 하차하는 경우, 등록된 소지품을 하차 승객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하차 승객이 개인 무선단말기를 소지한 경우, 개인 무선단말기를 통해 등록된 소지품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하차 승객이 등록된 소지품의 공개 알림을 허용하는 경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등록된 소지품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하차 목적지를 등록하는 경우, 하차 승객이 하차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하차 목적지를 하차 승객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실알림단계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를 통해 소지품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하차하는 경우, 해당 승객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를 분실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하차하는 경우, 하차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에 차량 정보와, 분실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하차 목적지에 차량을 정차하여 소지품을 찾는 동안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실알림단계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았는지 판단하고;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 해당 승객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를 분실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14. 차량에 승객이 탑승시, 승객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하차 승객의 소지품 분실 판단시, 하차 승객에 소지품을 분실하였음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외형으로부터 추정 가능한 소지품 정보와 승객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차량과 무선통신을 통해 승객이 소지한 개인 무선단말기가 검출되어 승객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품을 등록하는 경우, 승객이 등록한 소지품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소지품을 등록한 승객이 하차하는 경우, 등록된 소지품을 하차 승객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하차 승객이 개인 무선단말기를 소지한 경우, 개인 무선단말기를 통해 등록된 소지품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하차 승객이 등록된 소지품의 공개 알림을 허용하는 경우,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등록된 소지품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하차 목적지를 등록하는 경우, 하차 승객이 하차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하차 목적지를 하차 승객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22.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이거나, 개인이 소지한 무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23.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실알림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하차하는 경우, 해당 승객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를 분실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24.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분실알림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않고 하차하는 경우, 하차 승객의 개인 무선단말기에 차량 정보와, 분실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2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실알림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하차 목적지에 차량을 정차하여 소지품을 찾는 동안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2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실알림 후에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와 탑승시 저장된 하차 승객의 소지품 정보를 비교하여,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았는지 판단하고;
    하차 승객이 소지품을 찾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 해당 승객 정보와 함께 소지품 정보를 분실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KR1020210150826A 2021-11-04 2021-11-04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 KR20230065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826A KR20230065042A (ko) 2021-11-04 2021-11-04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826A KR20230065042A (ko) 2021-11-04 2021-11-04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042A true KR20230065042A (ko) 2023-05-11

Family

ID=8637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826A KR20230065042A (ko) 2021-11-04 2021-11-04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50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015A (ko) 2015-10-02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분실물 예방 서비스 제공장치,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015A (ko) 2015-10-02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분실물 예방 서비스 제공장치,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90609B (zh) 乘客辅助装置、方法以及程序
US102278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trunk of vehicl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KR100999084B1 (ko) 엘리베이터 제어를 위한 비디오 지원 시스템
CN107871351B (zh) 用于控制车辆出口的设备、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GB2556165A (en) Passenger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GB2556399A (en) Passenger validation systems and methods
WO2018046015A1 (zh) 车辆报警方法、装置及终端
US20210373569A1 (en) Delivery system, delivery method and delivery device
JP2018144686A (ja) 搭乗者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59916B2 (ja) 物体追跡方法、物体追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2634558A (zh) 防止由不当方从车辆取走物品的系统和方法
JP2019067012A (ja) 車両制御装置、車両、及び自動配車方法
KR20230065042A (ko) 승객의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시스템
KR101947040B1 (ko) 테일 게이트 작동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098127A1 (en) Driver device locking
US20200193734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vehicle
US11208831B2 (en) Luggage lock device
JP7392829B2 (ja) 停車位置制御システム、停車位置制御方法及び停車位置制御装置
CN111311919B (zh) 服务器、车载装置、非易失性存储介质、信息提供系统、提供信息的方法,以及车辆
US118235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3195853B (zh) 车辆控制方法、车辆控制装置以及车辆控制系统
JP2021162959A (ja) 収容領域管理装置
US11037449B2 (en) Autonomous bus silent alarm
JP2019153184A (ja) 自動運転車両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13643B2 (ja) 逸失防止サーバー装置、逸失防止システム、車載機、逸失防止端末および逸失防止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