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869A -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869A
KR20230064869A KR1020210150428A KR20210150428A KR20230064869A KR 20230064869 A KR20230064869 A KR 20230064869A KR 1020210150428 A KR1020210150428 A KR 1020210150428A KR 20210150428 A KR20210150428 A KR 20210150428A KR 20230064869 A KR20230064869 A KR 20230064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air
valu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7681B1 (en
Inventor
박인철
정운혁
한재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크앤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크앤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크앤아이티
Priority to KR102021015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681B1/en
Publication of KR20230064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8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측정부;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부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facility that generates air pollutants, and includes a first measuring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a second measuring unit disposed in an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that blocks or reduces air pollutant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air and checks whether the prevention facility is operating; and a monitoring unit receiving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is operating.

Description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remote management method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air pollutant discharge prevention facilities.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급격하게 증가된 생산력으로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자연환경의 훼손이 급증하고 에너지 소비도 과도해졌다. 그에 따라 화석연료의 배기가스 인한 공해, 대기오염,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 등 수많은 환경문제가 발생하였고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As the economy developed by leaps and bounds and the population increased exponentially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productivit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9th century,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increased rapidly and energy consumption increased. Accordingly, numer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pollution caused by exhaust gas from fossil fuels, air pollution, ozone layer destruction, and global warming have occurred and are becoming problems worldwide.

최근에는 각 국가별로 자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각 국가별로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규제하고 있으며, 인접국간에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로 분쟁이 발생하기도 하고, 전자제품의 수출입시 환경유해물질의 규제가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기존 도시의 오염도 및 신설되는 산업시설이나 교통량 증가에 따른 대기오염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each country regulates the emiss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s in order to protect the health and environment of its citizens. Disputes sometimes arise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over the emiss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s. Regulations are in place. In addition, studies on methods for evaluating air pollution impacts due to pollution levels of existing cities and new industrial facilities or traffic increases are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우리나라에서도 대기 및 대기 오염에 대하여, 70년대부터 개별 매체별 관리에 근간하여 환경오염시설 허가제를 실시하여 왔다. 그런데, 그동안의 환경오염시설 허가제는 획일적 배출기준에 의해 형식적으로 환경허가를 하여, 비효율적이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오염물질 배출을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경제성 있는 최적의 환경관리기법을 바탕으로, 사업장 스스로 환경관리 역량을 높이고 기술발전을 이끌수 있도록, 2017년부터 통합환경관리제도가 시행된다.Regarding air and air pollution in Korea, since the 1970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facility permit system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management by individual media. However, the existing environmental polluting facility permit system formally grants environmental permits based on uniform emission standards, which is inefficient and does not reflect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Therefore, an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will be implemented from 2017 so that workplaces can enhance their environmental management capabilities and lead technological development based on economical and optimal environmental management techniques while effectively reducing pollutant emissions.

새로운 통합환경관리제도에서는 환경정책기본법에 따른 환경기준을 포함하는 환경의 질 목표수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추가 오염배출에 따른 오염수준을 판단하는 배출영향분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배출영향분석은 추가 오염배출에 따른 오염수준을 판단하여, 주민의 건강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허가조건 부여 및 허가배출기준 수립의 근거가 될 수 있다.In the new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 emission impact analysis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ollution caused by additional pollutant emissions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level of environmental quality, including the environmental standards according to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This emission impact analysis determines the level of pollution caused by additional emission of pollutants, and can be the basis for granting permission conditions and establishing emission standards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health and environment of residents.

즉, 업종별 최대배출기준 이하에서 오염물질 배출로 인해 주변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허가배출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경우 최대배출기준을 허가배출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고, 반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경우 환경의 질 목표수준이 달성될 수 있도록 최대배출기준 이하에서 허가배출기준을 도출하여야 한다.In other words, the permitted emission standards may vary according to the impact on the surroundings due to the emission of pollutants below the maximum emission standards for each industry. If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is insignificant, the maximum emission standard can be set as the permitted emission standard. Conversely, if the environmental impact is large, the permitted emission standard must be derived below the maximum emission standard so that the target level of environmental quality can be achieved.

등록특허공보 제10-0661595호 “대기오염배출원 계획의 결정지원시스템”은 대기오염과 관련된 행정, 건설, 시설운영 및 연구 등의 업무수행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지리정보수단, 데이터베이스수단, 내장된 환경모델에 적용함으로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모델관리 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추론엔진을 내장하여 모델관리수단으로 추론결과를 전달하는 규칙 및 지식기반수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식기반수단은 모델 파라미터(지형, 오염농도, 평균화 시간, 배출 물질특성, 플럼높이등)와 모델(ISC, ADMS, AERMOD 등)들을 적절히 선정하는 것을 돕도록 추론엔진에 의해 전문가 시스템 쉘과 연결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661595 “Air Pollution Emission Source Plan Decision Support System”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asks such as administration, construction, facility operation, and research related to air pollution. Geographical information means, database means, model management means for performing simulation by applying to built-in environmental models, rules and knowledge-based means for transmitting inference results to model management means by embedd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outside and inference engine, and user It includes an interface means, wherein the knowledge-based means provides information to the inference engine to help properly select model parameters (topography, pollutant concentration, averaging time, discharge material characteristics, plume height, etc.) and models (ISC, ADMS, AERMOD, etc.)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with an expert system shell has been disclosed.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8127호 “대기 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지형 상태 등을 고려하여 미래의 기상 정보를 예측하고, 이 예측된 미래 기상 정보와 오염원 배출 정보에 기반하여 미래 대기 오염물질의 농도 분포를 모니터링하는데 적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기상 모델링 모듈과, 각 대기 오염물질별로 미래 대기 오염물질의 농도 분포를 각각 예측하는 모델링 수단과, 위성사진이 결합된 각 오염원별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진 매핑 모듈과, 생성된 각 오염원별 분포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염원 정보 DB와,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대기 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되었다.Publication No. 10-2009-0098127 “Air pollut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predicts future meteorological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opographical conditions, etc., and predicts future air pollutant emis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redicted future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d pollutant emission information. The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suitable for monitoring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ollutants. A meteorological modeling module, a modeling means for predicting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future air pollutants for each air pollutant, and a photo mapping module for generating distribution data for each pollution source combined with satellite images, and distribution data for each generated pollutant An air pollutan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pollutant source information DB for storing and a control unit has been disclosed.

등록특허공보 제10-1507397호 “대기 모델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지형 및 기상자료를 이용한 기상모델과 점, 선, 면 오염원 배출량을 산정하는 배출량 모델 등을 이용하여 과거, 현재 및 미래에 대한 대기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 정도를 모델링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Patent Registration No. 10-1507397 “Atmospheric Modeling Service Provision System” uses a meteorological model using topography and meteorological data and an emission model that calculates point, line, and surface pollution source emissions, etc. for past, present, and future air pollution A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by model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by a material is disclosed.

등록특허공보 제10-0661595호 “대기오염배출원 계획의 결정지원시스템”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661595 “Air Pollution Source Plan Decision Support System”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8127호 “대기 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Publication No. 10-2009-0098127 “Air pollut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등록특허공보 제10-1507397호 “대기 모델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07397 “Atmospheric Modeling Service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중, 소 규모의 사업장에서도 쉽게 도입 및 운영 할 수 있는 대기 오염물질 관리 하드웨어, 운영 소프트웨어 일체로 그간 오프라인으로 수행하던 운영, 관리, 통제에 대한 업무를 전산화하고, 대기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방지시설에 대한 오염물질과 방지시설의 가동상태 그리고 방지시설 이전 단계의 설비 가동 상태를 원격, 실 시간 측정하여 대기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관리와 운영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air pollutant management hardware and operating software that can be easily introduced and operated even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nd computerizes operations, management, and control tasks that have been performed offline,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s by remotely and real-time measuring pollutant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prevention facilitie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facilities prior to prevention facilitie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remote management method.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측정부;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n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facility generating air pollutants, and includes a first measuring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a second measuring unit disposed in an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that blocks or reduces air pollutant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air and checks whether the prevention facility is operating; and a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a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nd determine whether the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is in operation.

이때,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이 설정된 측정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미동작 여부를 통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nitoring unit determines that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is not operating whe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deviate from the set measurement range, and thus the air pollutant generating facility is not affected. You can notify whether it works.

이때, 상기 제1 측정부는,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의 가동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제1 전류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미세 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제2 전류계; 및 상기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easurement unit includes a first ammeter for measuring an operating current value of a facility generating air pollutants, and the second measurement unit measures fine dust discharged into the air through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a fine dust measuring sensor; a second ammeter for measuring an operating current value of the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and a thermometer disposed in the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air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또한,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 상기 제1 전류계의 측정 값, 상기 제2 전류계의 측정 값 및 상기 온도계의 측정 값을 임시로 저장하는 자동화 제어장비(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및 상기 자동화 제어 장비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 상기 제1 전류계의 측정 값, 상기 제2 전류계의 측정 값 및 상기 온도계의 측정 값을 전달 받아 상기 감시부로 전송하는 통신 장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easuring unit may include an automation control devic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temporarily stor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ammeter,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ammeter,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thermometer. , PLC); and a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ammeter,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cond ammeter, and the measured values of the thermometer from the automation control device and transmit them to the monitoring unit. can

한편,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미세 먼지 측정 센서 및 상기 온도계가 배치되는 측정기 하우징; 및 상기 자동화 제어 장비 및 상기 통신 장비가 배치되는 제어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measuring instrument housing in which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and the thermometer are disposed; and a controller housing in which the automation control equipment and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re disposed.

아울러, 상기 측정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배기단과 연결되는 형태로서, 상기 배기단에서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관 및 흡기된 공기를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배기단으로 돌려 보내는 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er housing is connected to the exhaust end of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and may include an intake pipe for intake air from the exhaust end and an exhaust pipe for returning the intake air to the exhaust end of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

또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에 기초하여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량을 시뮬레이션하는 배출량 계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may include an emission calculator for simulating an emission amount of air pollutants based on a measurement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이때, 상기 배출량 계산기는,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8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일산화질소(NO)값을 산정하고,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531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이산화질소(NO2)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일산화질소(NO)값과 이산화질소(NO2)값을 합하고, 1ppb = 0.001ppm, 1ppm = 100mg/S㎥을 적용하여 mg/S㎥ 단위의 질소 산화물 배출값으로 환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mission calculator calculates the nitrogen monoxide (NO) value by applying a rate of 0.8 ppb per 1 μg / m 3 of the measured fine dust value, and applying a rate of 0.531 ppb per 1 μg / m 3 of the measured fine dust value to calculate the nitrogen dioxide (NO 2 ) value, add the calculated nitrogen monoxide (NO) value and nitrogen dioxide (NO 2 ) value, and apply 1ppb = 0.001ppm, 1ppm = 100mg/S㎥ to obtain nitrogen in mg/S㎥ unit It is preferable to convert to oxide emission values.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측정부;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부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으로서, (a)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mote management method for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facility generating air pollutants, and includes a first measurement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a second measuring unit disposed in an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that blocks or reduces air pollutant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air and checks whether the prevention facility is operating; And a monitoring unit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is operating. As a remote management method of a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ies, (a ) as being placed in a facility generating air pollutants, confirming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b) determining whether the air pollutant is discharged into the air by being placed in an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that blocks or reduces the emission of air pollutants into the air; and (c) receiving a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a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nd confirming whether the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is operating.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에 의하면, 중, 소 규모의 사업장에서도 쉽게 도입 및 운영 할 수 있는 대기 오염물질 관리 하드웨어, 운영 소프트웨어 일체로 그간 오프라인으로 수행하던 운영, 관리, 통제에 대한 업무를 전산화하므로, 대기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방지시설에 대한 오염물질과 방지시설의 가동상태 그리고 방지시설 이전 단계의 설비 가동 상태를 원격, 실 시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대기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관리와 운영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계를 통하여 오염물질 배출 시설의 가동과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각각 인식하므로 배출 방지 시설을 고의로 가동하지 않는 것을 원격으로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remot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pollutant management hardware and operating software that can be easily introduced and operated even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re operated offline. Since the tasks for management and control are computerized, it is possible to remotely and real-time measure the pollutant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revention facilitie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ies in the previous stage of the prevention facilities for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ies, in real time. Efficiency i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emissions can be improved. Specifically, since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emission facility and the operation of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are recognized through the ammeter, it is possible to remotely determine that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is not intentionally op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와 대기 오염 물질 발생 시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lutant discharge prevention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ir pollutio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and an air pollutant generating facility.
3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management method for air pollutant discharge prevention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1000)은 제1 측정부(100), 제2 측정부(200) 및 감시부(3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lutant discharge prevention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remote management system 1000 for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asuring unit 100 , a second measuring unit 200 and a monitoring unit 300 .

제1 측정부(100)는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한다.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먼지(TSP)가 대기 오염물질에 해당한다.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은 제조업체의 생산 라인일 수도 있고, 소각장일 수도 있다. 언급한 외에도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가운데 배출 규제 또는 관리가 필요한 시설은 어느 것이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에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measuring unit 100 is disposed in the facility A that generates air pollutants and checks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Nitrogen oxides (NOx), sulfur oxides (SOx) and dust (TSP) are air pollutants. The facility (A) generating air pollutants may be a manufacturer's production line or may be an incinerator. In addition to the above mentioned, among facilities generating air pollutants, any facility requiring emission control or management may be included in the facility (A) generating air polluta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배출 방지 시설(B)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에서 배출하는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시설이다. 탈황 장치, 질소 산화물 저감장치, 매연 저감장치 등이 배출 방지 시설(B)에 해당한다.The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B) is a facility that blocks or reduces air pollutants emitted from the facility (A) that generates air pollutant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A desulfurization device, a nitrogen oxide abatement device, a particulate abatement device, etc. fall under emission prevention facilities (B).

배출 방지 시설(B)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의 배기라인(예를 들자면 굴뚝)에 배치되어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먼지(TSP) 등이 환경 기준치(「대기관리권역법」 제9조제2항 제8호)를 초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is placed in the exhaust line (eg chimney) of the facility (A) that generates air pollutants, so that nitrogen oxides (NOx), sulfur oxides (SOx) and dust (TSP) are reduced to environmental standards ( Prevent emissions in excess of the 「Air Management Area Act」 Article 9 Paragraph 2 Subparagraph 8).

제2 측정부(200)는 배출 방지 시설(B)에 배치되어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한다. 감시부(300)는 제1 측정부(100)의 측정값 및 제2 측정부(200)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배출 방지 시설(B)의 가동 여부를 확인한다.The second measuring unit 200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B) and checks whether the prevention facility is in operation. The monitoring unit 300 receives and analyzes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and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200 to determine whether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is operating.

제1 측정부(100)의 측정값 및 제2 측정부(200)는 각각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 및 배출 방지 시설(B)에 위치하고, 감시부(300)는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C)에 위치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출 방지 시설(B)을 구비하는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을 사업장(F-1, F-2 및 F-n)이라고 부르기로 하겠다.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and the second measurement unit 200 are located in a facility (A) and an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that generate air pollutants, respectively, and the monitoring unit 300 manages air pollution in an integrated manner. It is located in the center (C).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acilities (A) that generate pollutants equipped with discharge prevention facilities (B) will be referred to as workplaces (F-1, F-2, and F-n).

도 2는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와 대기 오염 물질 발생 시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1000)은 다수의 사업장(F-1, F-2 및 F-n)을 관리 및 감시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ir pollutio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and an air pollutant generating facility. As described in FIG. 2 , the air pollutant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managing and monitoring a plurality of workplaces (F-1, F-2, and F-n).

감시부(300)는 제1 측정부(100)의 측정값과 제2 측정부(200)의 측정값이 설정된 측정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배출 방지 시설(B)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즉, 사업장)에 미동작 여부를 통보한다. 즉,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사업장의 담장자에게 주의 알람을 제공한다.The monitoring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is not operating whe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200 deviate from the set measurement range, thereby air pollution. Notify the facility generating the substance (i.e., the workplace) whether it is inoperative. That is, if the permissible standard is exceeded, a warning alarm is provided to the person in charge of the business.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주의 통보가 가능하다.For example, a warning notice can be made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 주의 알람: 감시부(300)에서 계산된 값이 시스템에 등록된 항목별 허용 범위 10% 이내로 근접할 경우 "의 알람 (담당자에게 주의 알람 제공)- Warning alarm: When the value calculated by the monitoring unit 300 approaches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10% for each item registered in the system, an alarm of " (a warning alarm is provided to the person in charge)

- 경고 알람: 계산된 값이 시스템에 등록된 항목별 허용 범위초과 할 경우

Figure pat00001
경고 알람 (담당자에게 경고 알람 제공)- Warning alarm: when the calculated value exceeds the permissible range for each item registered in the system
Figure pat00001
Warning alarm (provides a warning alarm to the person in charge)

- 알람의 형태: Email, SMS, 앱 알람, 소리, 모니터 화면 메시지 오픈- Type of alarm: Email, SMS, app alarm, sound, monitor screen message open

- 알람 선택 방법: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C)”에서 선택된 알람형태로 알람 제공- How to select an alarm: Provide an alarm in the form of an alarm selected in the “Air Pollutio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C)”

감시부(300)는 제1 측정부(100)의 측정값과 제2 측정부(200)의 측정값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배출 방지 시설(B)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3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B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200 .

예를 들어 아래 각 조건에 해당한다면 배출 방지 시설(B)의 노후화 또는 점검, 또는 교체가 필요하다는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if each of the conditions below is met, it can be recognized as a sign that the emission control facility (B) is obsolete or needs to be inspected or replaced.

Case 1: 방지시설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이 시스템에서 설정한 허용 범위 이내 이고, 월별 미세먼지 농도가 허용 범위를 초과할 경우Case 1: When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prevention facility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set by the system, and the monthly fine dust concentration exceeds the allowable range

Case 2: 방지시설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이 시스템에서 설정한 허용 범위 이내 이고, 월별 미세먼지 농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경우Case 2: When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prevention facility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set by the system, and the monthly fine dust concentration continues to rise

Case 3: 배출시설의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방지시설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의 변화가 없을 경우 Case 3: In case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emission facility continuously rises, and there is no change in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prevention facility

Case 4: 배출시설의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의 변화가 없고, 방지시설 전류사용량 월별 평균값이 지속적으로 상승Case 4: There is no change in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emission facility, but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prevention facility continues to rise

제1 측정부(100)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의 가동 전류값을 측정하는 제1 전류계(110)를 포함한다. 제1 전류계(110)는 시설(A)의 전력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이 가동되는지 여부를 측정한다.The first measur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ammeter 110 that measures an operating current value of the facility A generating air pollutants. The first ammeter 1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facility A to measure whether the facility A generating air pollutants is operating.

측정된 가동 전류 값 또는 전력량 값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C)에 위치하는 감시부(300)로 전달된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측정부(100)가 직접 감시부(30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도 3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전류계(110)에서 측정된 값이 제2 측정부(200)를 경유하여(즉, 제2 측정부의 통신 장비를 통해) 감시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The measured operation current value or power consumption value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unit 300 located in the air pollutio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C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nitoring unit 300, or th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ammeter 110 passes through the second measurement unit 200 as described in FIG. (ie, through the communication equipment of the second measuring unit)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unit 300.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측정부(200)는 제2 전류계(210),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 온도계(230), 자동화 제어 장비(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통신 장비(250), 측정기 하우징(H1) 및 제어기 하우징(H2)을 포함한다.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에 따라 제2 측정부(200)는 질소 산화물 측정센서, 황 산화물 측정 센서, 일산화 탄소 측정 센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measurement unit 200 includes a second ammeter 210, a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220, a thermometer 230,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 communication equipment 250, It includes a measuring instrument housing (H1) and a controller housing (H2). Depending on the facility A that generates air pollutants, the second measuring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nitrogen oxide measuring sensor, a sulfur oxide measuring sensor, a carbon monoxide measuring sensor, and the like.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는 배출 방지 시설(B)을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미세 먼지를 측정한다. 즉,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가스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측정한다.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는 미세먼지 간이 측정 장치로서 PLC에 인식 가능한 센서 (PM2.5, PM10 측정 센서)인 것이면 충분하다.The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220 measures the fine dust discharged into the air through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In other words, it measure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gas emitted from the workplace. The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220 is a simple fine dust measurement device, and it is sufficient if it is a sensor (PM2.5, PM10 measurement sensor)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PLC.

온도계(230)는 배출 방지 시설(B)을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공기(즉, 배출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온도는 "온도와 1기압 조건 1 mol의 가스 부피"를 계산을 위한 온도 측정용으로 사용된다.The thermometer 23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ir (ie, exhaust ga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after passing through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The measured temperature is used for temperature measurement to calculate "the gas volume of 1 mol under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1 atm".

제2 전류계(210)는 배출 방지 시설(B)의 가동 전류 값을 측정한다. 즉, 제2 전류계(210)를 통해 배출 방지 시설(B)의 가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second ammeter 210 measures the operating current value of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That i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B) is operating through the second ammeter 210 .

자동화 제어장비(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240)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의 측정 값, 제1 전류계(110)의 측정 값, 제2 전류계(210)의 측정 값 및 온도계(230)의 측정 값을 수신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임시로 저장한 후 통신 장비(250)에 전달한다.The automation control equipment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240) measures the measured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220,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ammeter 110,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ammeter 210,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thermometer 230 The value is received, temporarily stor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250 .

통신 장비(250)는 자동화 제어 장비(240)로부터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의 측정 값, 제1 전류계(110)의 측정 값, 제2 전류계(210)의 측정 값 및 온도계(230)의 측정 값을 전달 받아 감시부(300)로 전송한다. 통신 장비(250)와 감시부(300)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환경부 지정 VPN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munication equipment 250 measures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220,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ammeter 110,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cond ammeter 210, and the thermometer 230 from the automation control equipment 240. The value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unit 300 .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50 and the monitoring unit 300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and more preferably, they are connected using a VPN network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측정기 하우징(H1)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 및 온도계(230)가 배치되는 밀폐형 하우징이다. 측정기 하우징(H1)는 배출 방지 시설(B)의 배기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The meter housing H1 is a sealed housing in which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220 and the thermometer 230 are disposed. The meter housing (H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exhaust end of the anti-emission facility (B).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정기 하우징(H1)은 배출 방지 시설(B)의 배기단과 연결되는 형태로서, 배기단에서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관(L1) 및 흡기된 공기를 배출 방지 시설의 배기단으로 돌려 보내는 배기관(L2)을 포함한다. 흡기관(L1) 및 배기관(L2)에는 각각 흡기팬 및 배기팬이 구비되나 간결한 도시를 위해 흡기/배기팬은 도시 생략하였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asuring instrument housing (H1) is connected to the exhaust end of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and returns the intake pipe (L1) for intake air from the exhaust end and the intake air to the exhaust end of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It includes a sending exhaust pipe (L2). An intake fan and an exhaust fan are provided in the intake pipe L1 and the exhaust pipe L2, respectively, but the intake/exhaust fans are omitted for concise illustration.

자동화 제어 장비(240) 및 통신 장비(250)는 제어기 하우징(H2)에 배치된다.The automation control equipment 240 and communication equipment 250 are disposed in the controller housing H2.

한편, 감시부(300)는 배출 방지 시설(B)을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미세 먼지의 측정값으로부터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의 값을 추정하는 배출량 계산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nitoring unit 300 may include an emission calculator (not shown) for estimating values of nitrogen oxides and sulfur oxides from measured values of fine dust discharged into the air through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배출량 계산기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220)에서 측정된 미세 먼지 값을 시뮬레이션하여, 기타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의 값을 추정한다. 미세 먼지 값에 미리 계산된 각각의 파라메터를 적용하여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의 값을 mg/S㎥ 단위로 환산하여 계산할 수 있다.The emission calculator simulates the value of 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220 to estimate values of nitrogen oxide and sulfur oxide, which are other pollutants. It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each pre-calculated parameter to the value of fine dust and converting the values of nitrogen oxides and sulfur oxides in units of mg/S㎥.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출량 계산기는,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8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일산화질소(NO)값을 산정하고,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531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이산화질소(NO2)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일산화질소(NO)값과 이산화질소(NO2)값을 합하고, 1ppb = 0.001ppm, 1ppm = 100mg/S㎥을 적용하여 mg/S㎥ 단위의 질소 산화물 배출값으로 환산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mission calculator calculates the nitrogen monoxide (NO) value by applying a ratio of 0.8 ppb per 1 μg / m 3 of the measured fine dust value, and 1 μg / m 3 of the measured fine dust value. The rate of 0.531 ppb Calculate the nitrogen dioxide (NO 2 ) value by applying , add the calculated nitrogen monoxide (NO ) value and the nitrogen dioxide (NO 2 ) value, and apply 1ppb = 0.001ppm, 1ppm = 100mg/S㎥ to obtain the unit of mg/S㎥ of nitrogen oxide emissions.

또한, 배출량 계산기는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382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이산화황(SO2)값을 산정하고,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5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삼산화황(SO2)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이산화황(SO2)값과 삼산화황(SO2)값을 합하고, 1ppb = 0.001ppm, 1ppm = 100mg/S㎥을 적용하여 mg/S㎥ 단위의 황산화물 배출값으로 환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ission calculator calculates the sulfur dioxide (SO 2 ) value by applying a rate of 0.382 ppb per 1 μg/m3 of the measured fine dust value, and applying a rate of 0.5 ppb per 1 μg/m3 of the measured fine dust value to calculate sulfur trioxide Calculate the (SO 2 ) value, add the calculated sulfur dioxide (SO 2 ) value and sulfur trioxide (SO 2 ) value, and apply 1ppb = 0.001ppm, 1ppm = 100mg/S㎥ to calculate sulfur oxide emissions in mg/S㎥ unit value can be conver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 내디 도 3에서 설명된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1000)을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제1 측정부(100), 제2 측정부(200) 및 감시부(300)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management method for air pollutant discharge prevention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1000 described in FIG. 1 and 3 is implemented time-sequentially,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the second measuring unit 200 and The par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nitoring unit 300 is also applied as it is to this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은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의 가동 여부 확인 단계(S100), 배출 방지 시설(B)의 가동 여부 확인 단계(S200) 및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A)의 가동 전류값 및 배출 방지 시설(B)의 가동 전류값을 비교하여 수신하여 배출 방지 시설(B)의 실제 가동 여부를 확인 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remote management method for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ies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the facility (A) generating air pollutants is operating (S100), checking whether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is operating (S200), and Comparing and receiving the operating current value of the facility (A) generating air pollutants and the operating current value of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and confirming whether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B) is actually operating (S300). .

S100 단계는, 제1 측정부(100)에 의해 수행되고, S200 단계는, 제2 측정부(200)에 의해 수행되고, S300 단계는, 감시부(200)에 의해 수행된다.Step S100 is performed by the first measuring unit 100 , step S200 is performed by the second measuring unit 200 , and step S300 is performed by the monitoring unit 200 .

제1 측정부(100), 제2 측정부(200) 및 감시부(300)는 앞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irst measurement unit 100, the second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monitoring unit 30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overlapping contents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에 의하면, 전류계를 통하여 오염물질 배출 시설의 가동과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각각 인식하므로 배출 방지 시설을 고의로 가동하지 않는 것을 원격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대기 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의 방지시설에 대한 오염물질과 방지시설의 가동상태 그리고 방지시설 이전 단계의 설비 가동 상태를 원격, 실 시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대기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관리와 운영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mote management method for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emission facility and the operation of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are recognized through an ammeter, it is possible to remotely determine that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is not intentionally operated. . In other words, efficiency i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s can be measured remotely and in real time for pollutant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prevention facilitie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facilities prior to prevention facilities for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ies. can increase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100 : 제1 측정부
200 : 제2 측정부
300 : 감시부
A : 오염물질 발생 시설
B : 배출 방지 시설
C : 대기오염 통합 관리 센터
1000: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100: first measuring unit
200: second measuring unit
300: monitoring unit
A: Facility generating pollutants
B: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C: Air Pollution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Claims (9)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측정부;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부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A first measuring unit that is disposed in a facility generating air pollutants and checks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a second measuring unit disposed in an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that blocks or reduces air pollutant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air and checks whether the prevention facility is operating; and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onitoring unit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is opera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이 설정된 측정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이 가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미동작 여부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nitoring unit,
Whe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deviate from the set measurement range, determining that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is not operating and notifying the facility generating the air pollutants whether or not it is not operating Characterized by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부는,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의 가동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제1 전류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을 통과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미세 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전류 값을 측정하는 제2 전류계; 및
상기 배출 방지 시설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measuring unit,
A first ammeter for measuring an operating current value of a facility generating the air pollutants,
The second measuring unit,
a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fine dust discharged into the air through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a second ammeter for measuring an operating current value of the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and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ermomete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from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 상기 제1 전류계의 측정 값, 상기 제2 전류계의 측정 값 및 상기 온도계의 측정 값을 임시로 저장하는 자동화 제어장비(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및
상기 자동화 제어 장비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 상기 제1 전류계의 측정 값, 상기 제2 전류계의 측정 값 및 상기 온도계의 측정 값을 전달 받아 상기 감시부로 전송하는 통신 장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measuring unit,
Automatic control equipment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temporarily stor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ammeter,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ammeter,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thermometer; and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ammeter,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ammeter,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thermometer from the automation contro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value to the monitoring unit. Characterized by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부는,
상기 미세 먼지 측정 센서 및 상기 온도계가 배치되는 측정기 하우징; 및
상기 자동화 제어 장비 및 상기 통신 장비가 배치되는 제어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measuring unit,
a measuring instrument housing in which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and the thermometer are disposed; and
Air pollutant discharge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housing in which the automation control equipment and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re dispos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배기단과 연결되는 형태로서, 상기 배기단에서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관 및 흡기된 공기를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배기단으로 돌려 보내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er housing,
It is a form connected to the exhaust end of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and includes an intake pipe for intake air from the exhaust end and an exhaust pipe for returning the intake air to the exhaust end of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값에 기초하여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량을 시뮬레이션하는 배출량 계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monitoring unit,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mission calculator for simulating the emission of air pollutants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계산기는,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8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일산화질소(NO)값을 산정하고,
측정된 미세 먼지 값 1 ㎍/㎥ 당 0.531 ppb 의 비율을 적용하여 이산화질소(NO2)값을 산정하고, 산정된 일산화질소(NO)값과 이산화질소(NO2)값을 합하고, 1ppb = 0.001ppm, 1ppm = 100mg/S㎥을 적용하여 mg/S㎥ 단위의 질소 산화물 배출값으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emission calculator,
Calculate the nitrogen monoxide (NO) value by applying a ratio of 0.8 ppb per 1 μg / ㎥ of the measured fine dust value,
The nitrogen dioxide (NO 2 ) value was calculated by applying a ratio of 0.531 ppb per 1 μg/㎥ of the measured fine dust value, and the calculated nitrogen monoxide (NO ) value and the nitrogen dioxide (NO 2 ) value were added together, 1 ppb = 0.001 ppm,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remot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applying 1ppm = 100mg / S㎥ to convert the nitrogen oxide emission value in mg / S㎥ unit.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1 측정부;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측정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감시부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으로서,
(a) 대기 오염 물질을 발생하는 시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에 배출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저감하는 배출 방지 시설에 배치되어 상기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배출 방지 시설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 원격 관리 방법.
A first measuring unit that is disposed in a facility generating air pollutants and checks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a second measuring unit disposed in an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that blocks or reduces air pollutant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air and checks whether the prevention facility is operating; And a monitoring unit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nd checking whether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is operating. As a remote management method of a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lutant emission prevention facilities,
(a) as being placed in a facility generating air pollutants, confirming whether the facility is operating;
(b) determining whether the air pollutant is discharged into the air by being placed in an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that blocks or reduces the emission of air pollutants into the air; and
(c) receiving a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measurement unit and a measurement value of the second measurement unit and confirming whether the emission prevention facility is in operation.
KR1020210150428A 2021-11-04 2021-11-04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87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428A KR102587681B1 (en) 2021-11-04 2021-11-04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428A KR102587681B1 (en) 2021-11-04 2021-11-04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69A true KR20230064869A (en) 2023-05-11
KR102587681B1 KR102587681B1 (en) 2023-10-11

Family

ID=8637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428A KR102587681B1 (en) 2021-11-04 2021-11-04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68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595B1 (en) 2004-07-01 2006-12-27 박옥현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ir pollution source planning: ApspDSS
KR20090098127A (en) 2008-03-13 2009-09-17 (주)바이오텔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130114929A (en) * 2012-04-10 2013-10-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Vehicle ventil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for measuring contaminant using co sensing
KR101507397B1 (en) 2012-08-20 2015-04-07 주식회사 나인에코 System for providing atmospheric modeling system service
KR20210123135A (en) * 2020-04-02 2021-10-13 (주)두일테크 IoT-based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595B1 (en) 2004-07-01 2006-12-27 박옥현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ir pollution source planning: ApspDSS
KR20090098127A (en) 2008-03-13 2009-09-17 (주)바이오텔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130114929A (en) * 2012-04-10 2013-10-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Vehicle ventil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for measuring contaminant using co sensing
KR101507397B1 (en) 2012-08-20 2015-04-07 주식회사 나인에코 System for providing atmospheric modeling system service
KR20210123135A (en) * 2020-04-02 2021-10-13 (주)두일테크 IoT-based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681B1 (en)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10019A1 (en) Atmospheric pollution source mapping and tracking of pollutants by using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having high space-time resolution
KR101507397B1 (en) System for providing atmospheric modeling system service
KR102450820B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mall Business Sites with Air Pollutants Emiss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EP36924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ssociated with an entity
KR20110077040A (en) Micro-scale air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s therefore
CN105588805A (en) Traceable emission remote-measuring system and traceable emission remote-measuring method
CN110147383A (en) Determine the method and device of pollutant source type
GB2574045A (en) A system for detecting air pollution
US20120297974A1 (en) System for collecting polluted air, device for collecting polluted air and method thereof
KR1018828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power plant considering atmospheric environmental conditions
CN107194194A (en) One kind become more meticulous environmental protection management cloud service system
KR102587681B1 (en)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ir pol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10016476A (en) The realtim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large air pollutant discharging facilities
CN109709010A (en) The atmospheric falling dust of expansible integrated design monitors system
KR100383046B1 (en) Airwatch system
KR101634212B1 (en) Management system for self-measurement information of air pollution emission sources
KR20050122623A (en) Potable airwatch system
RU2697571C1 (en) Automated system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prediction of atmospheric air pollution of industrial region
Morris et al. Application of distributed urban sensor networks for actionable air quality data
Hester et al. Air quality management
Tatavarti Ambient Air Quality Monitoring: Impetus, Complexities, Challenges and Solutions
Sturtevant Q u ce and content S
KR102355115B1 (en) Evaluat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fine dust reduction policy
US11854366B1 (en) Leak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of utilizing same
TWI765430B (en) Inspection mechanism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vironmental s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