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507A -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및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 - Google Patents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및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507A
KR20230064507A KR1020210194505A KR20210194505A KR20230064507A KR 20230064507 A KR20230064507 A KR 20230064507A KR 1020210194505 A KR1020210194505 A KR 1020210194505A KR 20210194505 A KR20210194505 A KR 20210194505A KR 20230064507 A KR20230064507 A KR 20230064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pellent
antibacterial
pet
oddmac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훈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
Publication of KR2023006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5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organometallic compounds;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boron, silicon, selenium or tellurium atoms
    • D06M13/51Compounds with at least one carbon-metal or carbon-boron, carbon-silicon, carbon-selenium, or carbon-tellurium bond
    • D06M13/513Compounds with at least one carbon-metal or carbon-boron, carbon-silicon, carbon-selenium, or carbon-tellurium bond with at least one carbon-silicon bon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06M13/328Amines the amino group being bound to an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
    • D06M13/33Amines the amino group being bound to an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 containing halogen ato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400/00Specific information on the treatment or the process itself not provided in D06M23/00-D06M23/18
    • D06M2400/01Creating covalent bondings between the treating agent and the fibr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및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는 ODDMAC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상기 항균성 발수제와 혼합된 것으로 BI (blocked isocyanate)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은 ODDMAC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PET 섬유를 침지하여 패딩(padding)하는 단계, 상기 패딩된 PET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PET 섬유를 큐어링(cur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및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Antimicrobial and water repellent processing agent for PET fiber, processing method to impart antimicrobial and water repellent property to PET fiber and functional PET fiber having antimicrobial and water repellent property}
본 발명은 소정의 대상체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제와 이를 이용한 가공 처리 방법 및 기능성이 부여된 대상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 부재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제와 이를 이용한 섬유 부재의 가공 처리 방법 그리고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섬유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생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항균성 및 자가 세정 성능 등과 관련된 기능성 섬유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항균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항균 가공이란, 섬유 상에 미생물 또는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가공을 말한다. 일상 생활에서 음식물 또는 비말 등 다양한 오염 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섬유 상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특정 용도로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섬유 의료용품들인 침대시트, 환자복, 수술복 등은 2차 감염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 세균으로부터 보호·차단 가능한 기능성 섬유소재로 제조할 필요가 있다. 병원 내에서는 각종 내성균(MRSA, VRSA, VRE)에 의한 감염 문제, 항생물질 내성 녹농균 감염에 의한 욕창, 병원성 대장균 O-157, 비브리오, 살모넬라, 칸피로박타 및 황색포도구균에 의한 식중독 등 유해 미생물이 원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방어 대책이 요구된다.
항균 가공 섬유에 이용되는 항균제로는 유기 금속계, 과니신계, 할로시알릴요소계, 페놀계, 지방산 에스테르계, 천연계(키토산, 히노키치올 등) 등이 있으며, 크게 유기계와 무기계로 나눠질 수 있다. 무기계 항균제는 인체 유해성 논란으로 전세계적으로 금속산화물이나 금속 내구성 항균제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유기계 항균제로서 대표적인 은(Ag) 기반 항균제의 경우, 고가이며 제한된 응용 분야에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위생관리 제품은 대부분 일회용이지만 제품 특성상 일회성 사용이 불가능한 제품과 세탁 후 재사용이 가능하더라도 한번 사용할 때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제품(의료시설 침구 및 환자복 등)의 경우, 오염물질에 대한 방오 및 발수 성능이 요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건강관리/위생 제품의 개발에 있어서, 혈액, 병원균에 대한 차단력이 우수하며 미생물 오염 방지를 위한 박테리아 장벽을 가지면서 인체 적용시 수증기는 밖으로 배출하는 투과성을 통해 쾌적성을 높일 수 있는 발수 가공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발수 가공이란, 섬유 표면에 낮은 표면에너지를 갖는 물질을 도포하여 섬유 표면에 떨어진 물방울이 작은 흡착 면적을 가짐으로써 퍼지지 않고 쉽게 이탈하는 성질을 부여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발수 가공제로는 분자 구조 중에 퍼플루오르알킬기(perfluoroalkyl group) [CF3(CF2)n-]를 함유한 불소계 물질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불소계 발수제에 대한 유해성이 논란이 됨에 따라, 불소계 발수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친환경적 섬유용 발수제로 적용이 가능한 비불소계 발수 가공제가 주목받고 있다. 비불소계 발수제의 종류로는 실리콘계 발수제와 덴드리머(dendrimer), 왁스계 발수 가공제가 있는데, 실리콘계 발수제는 우수한 열안정성 및 섬유와의 우수한 친화도로 인해 세탁/드라이크리닝 시 비교적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최근에는 항균성과 발수성을 동시에 발현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불소계 발수제와 은(Ag)계 항균제를 혼합하여 발수 및 항균 처리를 한 경우에는 발수제에 의한 항균제의 기능 봉쇄로 항균성 발현에 상당한 제한이 있으며, 은이온을 과량 사용할 경우, 이온성에 의해 발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기술에서는 항균 및 발수성을 동시에 갖는 소재를 제조하기 위해 섬유 및 직물 위에 항균 특성을 갖는 가공제(화합물)로 항균층을 형성하고 항균층 위에 발수성을 갖는 가공제(화합물)로 발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 경우, 항균성과 발수성 발현을 위한 코팅층의 두께가 두꺼워져 제품이 보다 슬림화되고 있는 추세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내지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방법 및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얇은 코팅층 구현으로 피가공제(섬유)의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우수한 항균성 및 발수성을 발현할 수 있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가공제를 이용하는 것으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가공 처리 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제로서, ODDMAC [octadecyl dimethyl(3-triethoxy silylpropyl) ammonium chloride]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상기 항균성 발수제와 혼합된 것으로, BI (blocked isocyanate)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가 제공된다.
상기 ODDMAC와 상기 BI는 약 1:5 내지 5:1 범위의 몰비(mole ratio)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가공제는 용매로서 에탄올(ethano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DDMAC와 상기 에탄올의 총량에 대한 상기 ODDMAC의 농도는 약 5∼25 wt%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으로서, ODDMAC [octadecyl dimethyl(3-triethoxy silylpropyl) ammonium chloride]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PET 섬유를 침지하여 패딩(padding)하는 단계; 상기 패딩된 PET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PET 섬유를 큐어링(cur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혼합용액에서 상기 ODDMAC와 상기 BI는 약 1:5 내지 5:1 범위의 몰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은 용매로서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에서 상기 ODDMAC와 상기 에탄올의 총량에 대한 상기 ODDMAC의 농도는 약 5∼25 wt%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약 60∼85℃의 온도에서 약 3∼8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큐어링은 약 130∼150℃의 온도에서 약 2∼15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 및 상기 PET 섬유의 표면에 결합된 것으로,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ODDMAC [octadecyl dimethyl(3-triethoxy silylpropyl) ammonium chloride]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가 제공된다.
상기 기능성 물질에서 상기 ODDMAC와 상기 BI의 총량 대비 상기 ODDMAC의 함량은 약 70∼80 wt%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내지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방법 및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얇은 코팅층 구현으로 피가공제(섬유)의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우수한 항균성 및 발수성을 발현할 수 있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한 가공제를 이용해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가공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한 가공 처리 방법을 통해서 우수한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항균 및 발수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친환경적 가공제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서, 섬유 표면 내 99.9% 이상의 항균성과 발수 기능을 동시에 갖는 친환경적 섬유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사람의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닿거나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의류, 생활용품 등에 세이프-핸들링(safe-handling) 및 청정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표면 코팅 기술로서, 타 산업 분야로의 파급 효과 및 부가가치 창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에 함유될 수 있는 항균성 발수제 및 가교제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4는 미가공된 PET(즉, untreated PET) 섬유에 대한 접촉각(물접촉각)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5는 ODDMAC를 포함하되 BI (blocked isocyanate)는 포함하지 않는 가공제를 사용해서 PET 섬유를 가공 처리한 경우, 큐어링 온도 조건에 따른 접촉각 특성 변화를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6은 ODDMAC를 포함하되 BI (blocked isocyanate)는 포함하지 않는 가공제를 사용해서 PET 섬유를 가공 처리한 경우, 큐어링 온도 조건에 따른 접촉각 특성 변화를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7은 ODDMAC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포함하는 가공제를 사용해서 PET 섬유를 가공 처리한 경우, 세탁 횟수에 따른 접촉각 특성 변화를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8은 미가공된 PET 섬유(즉, 미처리된 PET 섬유)와 130℃의 큐어링 조건으로 ODDMAC로 처리된 PET 섬유에 대해 항균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9는 ODDMAC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포함하는 가공제를 사용해서 PET 섬유를 가공 처리한 경우, 세탁 횟수에 따른 항균 특성 변화를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제(즉,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가 제공된다. 상기 가공제는 항균성 발수제 및 상기 항균성 발수제와 혼합된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성 발수제는 ODDMAC [octadecyl dimethyl(3-triethoxy silylpropyl) ammonium chloride]이거나 ODDMAC를 주요 구성물질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BI (blocked isocyanate)이거나 BI를 주요 구성물질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에 함유될 수 있는 항균성 발수제 및 가교제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도면은 ODDMAC의 화학 구조를 보여주고, (B)도면은 BI (blocked isocyanate)의 화학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제는 상기 항균성 발수제로 ODDMAC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교제로 BI (blocked isocyanat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도면에 구조식으로 도시된 ODDMAC는 제4급 암모늄염계 항균제(유기 실리콘 제4급 암모늄염계 항균제)일 수 있다. ODDMAC는 암모늄에 트리메톡실기를 결합시킨 항균제일 수 있다. 아울러, ODDMAC에 존재하는 긴 알킬 체인(long alkyl chain)에 의해, ODDMAC이 결합된 PET 섬유의 표면은 발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ODDMAC에 존재하는 alkoxy siloxane의 자중합으로 인해 형성된 PET 섬유 표면의 박막으로 인해, ODDMAC는 비교적 저농도에서도 PET 섬유에 '초소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ODDMAC는 항균제이면서 동시에 발수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ODDMAC는 비불소계 발수제일 수 있다.
ODDMAC의 구조식에서 알 수 있듯이, ODDMAC에서 alkoxy siloxane 골격의 유기 폴리머가 서로 중합하여 견고하고 얇은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ODDMAC의 트리메톡실기가 PET 섬유 표면에 있는 수산기와 탈에탄올 반응을 하여 공유 결합 혹은 이온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4급 암모늄염 항균제를 PET 섬유 표면에 부착시켜 고정(고착)시킴과 동시에 유기 실리콘의 그래프트(graft) 중합에 의해 PET 섬유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ODDMAC가 포함되는 유기 실리콘 제4급 암모늄염계 항균제는 대사 장애를 일으킬 위험이 있는 무기계/금속계 항균제에 비하여 급성 독성, 피부 자극성에 대해 안전하며 내구성 또한 비교적 우수할 수 있다.
도 1의 (B)도면에 구조식으로 도시된 BI (blocked isocyanat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제의 가교제로서 적용될 수 있다. 적절한 가교제 물질이 적정량으로 존재할 때, ODDMAC가 PET 섬유와 화학적으로 보다 잘 결합될 수 있다. BI (blocked isocyanate)와 같은 적절한 가교제 물질을 사용하고, 아울러, 공정 조건을 적절히 조절할 경우, PET 섬유의 표면에 ODDMAC이 화학적으로 잘 결합될 수 있고, 항균 및 발수 특성의 세탁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제에서 ODDMAC와 BI (blocked isocyanate)는 약 1:5 내지 5:1 정도 범위의 몰비(mole ratio)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1:5 내지 5:1의 범위는 1∼5 : 5∼1 범위로 표현될 수 있다. 가교제인 BI (blocked isocyanate)의 몰비가 1 미만인 경우, 가공 처리된 PET 섬유의 세탁 후, 발수성(접촉각 특성으로 평가)이 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세탁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가교제인 BI (blocked isocyanate)의 몰비가 5 이상인 경우, ODDMAC과 PET 섬유 간 화학적 결합 효과가 저하되어 항균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제에서 ODDMAC와 BI (blocked isocyanate)의 몰비는 약 1:5 내지 5:1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제는 용매로서 에탄올(ethanol)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공제는 에탄올 용매에 ODDMAC와 BI (blocked isocyanate)가 혼합된 용액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ODDMAC와 상기 에탄올의 총량에 대한 상기 ODDMAC의 농도는, 예컨대, 약 5∼25 wt%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가공 처리 공정이 용이할 수 있고 비교적 우수한 항균 및 발수성을 구현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ODDMAC는 에탄올에 용해된 상태로 판매되는 용액 제품일 수 있고, 상기 용액 제품에 적정량의 에탄올을 더 추가하고, BI (blocked isocyanate)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가공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용액 제품은, 예를 들어, octadecyl dimethyl(3-trimethoxy silylpropyl)ammonium chloride (72% in ethanol, Biosafe SIO6619.2) 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처리 방법은 ODDMAC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마련하는 단계(S10), 상기 혼합용액에 PET 섬유를 침지하여 패딩(padding)하는 단계(S20), 상기 패딩된 PET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S30) 및 상기 건조된 PET 섬유를 큐어링(curing)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ODDMAC와 BI (blocked isocyanate)가 첨가된 용액을 상온 또는 그와 유사한 온도 조건에서 수 분 내지 수십 분 동안(예컨대, 약 10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용액(즉, 실시예에 따른 가공제)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에서 ODDMAC와 BI (blocked isocyanate)는 약 1:5 내지 5:1 정도 범위의 몰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1:5 내지 5:1의 범위는 1∼5 : 5∼1 범위로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ODDMAC와 BI (blocked isocyanate)는 1:1, 2:1, 3:1, 4:1 또는 5:1의 몰비(ODDMAC:BI)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은 용매로서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혼합용액에서 상기 ODDMAC와 상기 에탄올의 총량에 대한 상기 ODDMAC의 농도는 약 5∼25 wt% 정도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한 상기 혼합용액(가공제)의 제조방법은 예시적인 것이고, 경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S20 단계에서 상기 혼합용액에 PET 섬유를 침지함으로써, 상기 PET 섬유를 패딩(padding)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ET 섬유로는, 예를 들어, 150 데니어(denier) 의류용 PET 정련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딩 공정은, 예를 들어, 상온 또는 그와 유사한 온도 조건에서 수 분 내지 수십 분 동안(예컨대, 약 5분 또는 약 1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딩 공정 후 wet pick-up은, 예컨대, 약 100% (wt%) 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패딩 공정의 구체적인 조건들은, 경우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상기 패딩된 PET 섬유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 공정은 약 60∼85℃ 정도의 온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공정은, 예컨대, 약 3∼8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 조건을 만족할 때, PET 섬유에 대한 ODDMAC의 결합 특성이 향상될 수 있고, 세탁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다.
S40 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PET 섬유를 큐어링(curing)할 수 있다. 상기 큐어링 공정은 약 130∼150℃ 정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어링 공정은, 예컨대, 약 2∼1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큐어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공 처리된 PET 섬유의 항균 및 발수 특성에 대한 우수한 세탁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큐어링 온도가 약 130℃ 미만이거나 약 150℃를 넘는 경우에는 세탁 후 발수성(즉, 소수성 표면 유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한 건조 및 큐어링 공정을 통해서 PET 섬유의 표면에 상기 가공제가 고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건조 및 큐어링 과정에서 ODDMAC 성분이 PET 섬유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와 탈에탄올 반응을 하면서 공유 결합 또는 이온 결합을 형성하고 PET 섬유 표면에 고착될 수 있다. 이때, BI (blocked isocyanate) 성분은 PET 섬유에 대한 ODDMAC 성분의 화학적 결합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 등을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큐어링이 완료된 PET 섬유에서 미고착된 가공제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큐어링이 완료된 PET 섬유를 세척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세척 공정은, 예를 들어, 에탄올 및 증류수 등을 이용해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큐어링이 완료된 PET 섬유를 에탄올로 약 1∼3회 정도 세척할 수 있고, 증류수로 약 1∼3회 정도 세척(수세)할 수 있다. 상기 세척 공정 후, 상기 PET 섬유는 상온 내지 상온과 유사한 온도에서 수 시간 내지 수십 시간(예컨대, 약 24 시간) 동안 건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세척 공정 및 세척 후 건조 공정의 구체적인 조건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 처리 방법은 ODDMAC(10)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BI (blocked isocyanate)(20)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혼합용액(100)을 마련하는 단계(A), 상기 혼합용액(100)에 PET 섬유(200)를 침지하여 패딩(padding)하는 단계(B), 상기 패딩된 PET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C) 및 상기 건조된 PET 섬유를 큐어링(curing)하는 단계(D)를 포함할 수 있다. (C)단계의 건조 공정은 소정의 건조기(dryer)를 이용해서 수행할 수 있고, (D)단계의 큐어링은 소정의 텐터(tenter)를 이용해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 및 텐터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각 단계의 구체적인 방법 및 조건 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의 (E)는 가공 처리가 완료된 PET 섬유(200A)를 보여준다. 가공 처리가 완료된 PET 섬유(200A)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일 수 있다. 가공 처리가 완료된 PET 섬유(200A)는 기재가 되는 PET 섬유(즉, B단계의 200) 및 상기 PET 섬유의 표면에 결합된 기능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ODDMAC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기능성 코팅 물질(코팅제)', '기능성 결합 물질' 또는 '기능성 복합물'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에서 상기 ODDMAC와 상기 BI의 총량 대비 상기 ODDMAC의 함량은, 예컨대, 약 70∼80 wt%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우수한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가질 수 있고, 세탁 내구성 향상에도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99.9% 이상의 우수한 항균성 및 120° 이상(또는 130° 이상)의 접촉각(물접촉각)에 대응하는 우수한 발수성을 가지면서, 아울러, 우수한 세탁 내구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원단)를 구현할 수 있다.
PET 섬유는 의류용 뿐 아니라 그 용도가 확대되어 산업 소재 분야에서도 각광을 받는 재료 중의 하나이다. PET 섬유는 폴리에스테르가 갖고 있는 적절한 강도, 우수한 구김 회복성, 염색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독으로도 탁월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지닌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함으로써, 의복이나 방호복, 의료용 침구 등에 대해서 보호 기능을 강화시켜줄 수 있다. 그 밖에도 PET 섬유가 적용되는 광범위한 분야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내지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방법 및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얇은 코팅층 구현으로 피가공제(섬유)의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우수한 항균성 및 발수성을 발현할 수 있는,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가공제를 이용해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는 가공 처리 공정을 통해, 우수한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고 아울러 우수한 세탁 내구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를 구현할 수 있다.
PET 섬유(원단)에 대한 ODDMAC 기반 가공제의 처리 최적 공정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큐어링 온도별(90℃, 110℃, 130℃, 150℃)로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세탁 내구성 향상을 위해 가교제로 BI (blocked isocyanate)를 첨가한 최적 조건의 샘플에 대해서는 각각 세탁을 1회 및 5회 진행한 후, 발수 및 항균 특성을 평가하였다. 세탁 내구성 평가 시 사용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APG (alkyl polyglucoside)였다.
또한, ODDMAC를 처리한 PET 섬유의 발수성 및 발수성 유지에 대한 큐어링 시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물방울 낙하 후 30초가 지난 시점의 접촉각을 추가적으로 측정하여 소수성 표면의 유지 조건을 확인하였다. 이때, 시험 조건은 아래와 같았다.
< 시험 조건 >
* 접촉각 측정 범위 : 0°∼ 180°
* 표면장력 측정 범위 : 0.01 ∼ 2000 mN/m
* 샘플 테이블 사이즈 : X축×Y축×Z축 (100mm×104mm×42mm)
도 4는 미가공된 PET(즉, untreated PET) 섬유에 대한 접촉각(물접촉각)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가공된 PET(즉, 미처리된 PET) 섬유는 소재 특성상 부분적인 소수성(hydrophobic) 특성을 갖지만 물방울이 떨어짐과 동시에 접촉각을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발수 특성을 나타냈다.
도 5는 ODDMAC를 포함하되 BI (blocked isocyanate)는 포함하지 않는 가공제를 사용해서 PET 섬유를 가공 처리한 경우, 큐어링 온도 조건에 따른 접촉각 특성 변화를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5의 (a)는 ODDMAC로 PET 섬유를 처리하되 90℃에서 10분 동안 큐어링을 진행한 경우의 PET 섬유에 대한 접촉각 특성(물방울 낙하 직후의 특성)을 보여준다. (b)는 (a)와 동일한 조건에서 물방울 낙하 후 30초가 지난 시점의 접촉각 특성을 보여준다. (c)는 ODDMAC로 PET 섬유를 처리하되 110℃에서 10분 동안 큐어링을 진행한 경우의 PET 섬유에 대한 접촉각 특성(물방울 낙하 직후의 특성)을 보여준다. (d)는 (c)와 동일한 조건에서 물방울 낙하 후 30초가 지난 시점의 접촉각 특성을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미처리된 PET 샘플과 비교했을 때, 90℃ 및 110℃에서 10분간 큐어링한 샘플들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발수 특성을 나타내었지만, 시간 경과에 따른 소수성 표면 유지 특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90℃ 조건의 경우 소수성 표면 특성이 유지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ODDMAC를 포함하되 BI (blocked isocyanate)는 포함하지 않는 가공제를 사용해서 PET 섬유를 가공 처리한 경우, 큐어링 온도 조건에 따른 접촉각 특성 변화를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6의 (a)는 ODDMAC로 PET 섬유를 처리하되 130℃에서 10분 동안 큐어링을 진행한 경우의 PET 섬유에 대한 접촉각 특성(물방울 낙하 직후의 특성)을 보여준다. (b)는 (a)와 동일한 조건에서 물방울 낙하 후 30초가 지난 시점의 접촉각 특성을 보여준다. (c)는 ODDMAC로 PET 섬유를 처리하되 150℃에서 10분 동안 큐어링을 진행한 경우의 PET 섬유에 대한 접촉각 특성(물방울 낙하 직후의 특성)을 보여준다. (d)는 (c)와 동일한 조건에서 물방울 낙하 후 30초가 지난 시점의 접촉각 특성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미처리 PET 샘플(도 4) 및 90℃, 110℃에서 큐어링한 PET 샘플(도 5)과 비교했을 때, 130℃ 및 150℃에서 10분간 큐어링한 샘플들은 약 130° 이상의 큰 접촉각에 대응하는 우수한 표면 소수성을 발현하였으며, 시간이 지난 이후에도 여전히 높은 발수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150℃에서 처리한 PET 원단은 130℃ 조건에서 처리한 PET 원단과 비교하였을 때, 30초가 지났을 때 접촉각이 다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약 130℃에서 약 10분간 큐어링 처리하는 것을 최적 또는 최적에 가까운 공정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ODDMAC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포함하는 가공제를 사용해서 PET 섬유를 가공 처리한 경우, 세탁 횟수에 따른 접촉각 특성 변화를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이때, 큐어링 조건(온도 및 시간)은 모두 130℃, 10분이었다.
도 7의 (a)는 ODDMAC 및 BI를 포함하는 가공제로 PET 섬유를 처리하되 130℃에서 10분 동안 큐어링을 진행한 경우의 PET 섬유를 1회 세탁한 후, 접촉각 특성(물방울 낙하 직후의 특성)을 보여준다. (b)는 (a)와 동일한 조건에서 물방울 낙하 후 30초가 지난 시점의 접촉각 특성을 보여준다. (c)는 ODDMAC 및 BI를 포함하는 가공제로 PET 섬유를 처리하되 130℃에서 10분 동안 큐어링을 진행한 경우의 PET 섬유를 5회 세탁한 후, 접촉각 특성(물방울 낙하 직후의 특성)을 보여준다. (d)는 (c)와 동일한 조건에서 물방울 낙하 후 30초가 지난 시점의 접촉각 특성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ODDMAC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포함하는 가공제로 처리하고 130℃에서 10분 동안 큐어링 처리한 PET 섬유는 모두 우수한 세탁 내구성을 보였으며 시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높은 표면 소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ODDMAC의 농도와 크게 상관 없이 큐어링 처리 온도 조건에 따라, 130℃ 이상의 큐어링 조건에서 130° 이상의 접촉각(θ)에 대응하는 초소수성 표면(즉, 발수성 표면)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PET 섬유(원단) 자체의 소수성과 ODDMAC에 존재하는 긴 알킬 체인(long alkyl chain)의 존재로 인하여 발현된 특성일 수 있다. ODDMAC에 존재하는 alkoxy siloxane의 자중합으로 인해 형성된 PET 섬유 표면의 박막으로 인하여 ODDMAC의 농도가 비교적 낮더라도 초소수성이 발현될 수 있다.
ODDMAC 기반의 가공제로 처리한 PET 섬유(원단)의 항균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 균주 그람 양성균인 S. aureus 및 그람 음성균인 E. coli를 사용해서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항균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시험 조건은 아래와 같았다.
< 시험 조건 >
* 실험 균주 : S. aureus, E. coli
* 실험 방법 : 디스크 확산법
도 8은 미가공된 PET 섬유(즉, 미처리된 PET 섬유)와 130℃의 큐어링 조건으로 ODDMAC로 처리된 PET 섬유에 대해 항균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PET 섬유에 대한 세탁 과정 없이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8의 (a)는 미처리된 PET 섬유에 대한 시험 결과이고, (b)는 ODDMAC로 처리된 PET 섬유에 대한 시험 결과이다.
도 8을 참조하면, ODDMAC로 처리된 PET 섬유는 미처리된 PET 섬유와는 확연히 다른 항균 특성을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DDMAC 처리 직후 항균 특성이 발현될 수 있다.
그러나, ODDMAC로 처리된 PET 섬유에 대한 세탁 횟수가 증가하면, S. aureus와 그람 음성균인 E. coli의 균 활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ODDMAC 처리된 PET 섬유의 세탁 횟수가 증가할수록, 일부 ODDMAC가 PET 섬유로부터 탈락하여 PET 섬유 표면의 소수성이 감소하고, 그로 인해 친수성의 특성이 증가하여 PET 표면에 처리된 ODDMAC와 균의 접촉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일 수 있다.
도 9는 ODDMAC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포함하는 가공제를 사용해서 PET 섬유를 가공 처리한 경우, 세탁 횟수에 따른 항균 특성 변화를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이때, 큐어링 조건(온도 및 시간)은 모두 130℃, 10분이었다. 도 9의 (a) 및 (c)는 1회 세탁 후의 결과이고, (b) 및 (d)는 5회 세탁 후의 결과이다. 또한, (a) 및 (b)는 S. aureus에 대한 결과이고, (c) 및 (d)는 E. coli에 대한 결과이다.
도 9를 참조하면, ODDMAC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포함하는 가공제를 사용해서 PET 섬유를 가공 처리한 경우, 세탁 횟수가 늘어나더라도, S. aureus 및 E. coli 균 모두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제를 사용하고 적절한 공정 조건을 적용할 경우, 우수한 항균성 및 세탁 내구성을 갖는 PET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내지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방법 및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얇은 코팅층 구현으로 피가공제(섬유)의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우수한 항균성 및 발수성을 발현할 수 있는,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한 가공제를 이용해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가공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한 가공 처리 방법을 통해서 우수한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공정(한가지 공정)을 이용해서, PET 섬유의 표면에 항균 및 발수 특성을 모두 부여할 수 있으므로, 공정 시간을 줄이고 제조 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항균 및 발수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친환경적 가공제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서, 섬유 표면 내 99.9% 이상의 항균성과 120°이상(또는 130°이상)의 접촉각에 대응하는 발수 기능을 동시에 갖는 친환경적 섬유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사람의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닿거나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의류, 생활용품 등에 세이프-핸들링(safe-handling) 및 청정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표면 코팅 기술로서, 타 산업 분야로의 파급 효과 및 부가가치 창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및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ODDMAC
20 : BI
100 : 혼합용액
200 : PET 섬유
200A : 가공 처리된 PET 섬유
S10∼S40 : 단계들

Claims (11)

  1.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제로서,
    ODDMAC [octadecyl dimethyl(3-triethoxy silylpropyl) ammonium chloride]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상기 항균성 발수제와 혼합된 것으로, BI (blocked isocyanate)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DDMAC와 상기 BI는 1:5 내지 5:1 범위의 몰비(mole ratio)로 혼합된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제는 용매로서 에탄올(ethanol)을 포함하는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ODDMAC와 상기 에탄올의 총량에 대한 상기 ODDMAC의 농도는 5∼25 wt% 인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5.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으로서,
    ODDMAC [octadecyl dimethyl(3-triethoxy silylpropyl) ammonium chloride]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PET 섬유를 침지하여 패딩(padding)하는 단계;
    상기 패딩된 PET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PET 섬유를 큐어링(cur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에서 상기 ODDMAC와 상기 BI는 1:5 내지 5:1 범위의 몰비로 혼합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은 용매로서 에탄올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용액에서 상기 ODDMAC와 상기 에탄올의 총량에 대한 상기 ODDMAC의 농도는 5∼25 wt% 인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60∼85℃의 온도에서 3∼8분 동안 수행하는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큐어링은 130∼150℃의 온도에서 2∼15분 동안 수행하는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10.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 및
    상기 PET 섬유의 표면에 결합된 것으로,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ODDMAC [octadecyl dimethyl(3-triethoxy silylpropyl) ammonium chloride]를 구비하는 항균성 발수제 및 BI (blocked isocyanate)를 구비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에서 상기 ODDMAC와 상기 BI의 총량 대비 상기 ODDMAC의 함량은 70∼80 wt% 범위인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
KR1020210194505A 2021-11-03 2021-12-31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및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 KR20230064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528 2021-11-03
KR20210149528 2021-1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507A true KR20230064507A (ko) 2023-05-10

Family

ID=8638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505A KR20230064507A (ko) 2021-11-03 2021-12-31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및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5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686B2 (en) Disinfectant composition for textile and related substrates, and method of treating a substrate to provide disinfecting antibacterial, antiviral and antifungal, wash durable, optionally enhanced with multifunctional properties
CA2539385C (en) Treated textile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textiles
US9986742B2 (en) Durable antimicrobial treatments for textiles and other substrates
JP2016535179A5 (ko)
Kantouch et al. Salicylic acid and some of its derivatives as antibacterial agents for viscose fabric
Patil et al. Durable superhydrophobic and antimicrobial cotton fabrics prepared by electrostatic assembly of polyhexamethylene biguanide and subsequent hydrophobization
CN110644235B (zh) 一种防紫外、抗菌丝绸面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409491B1 (ko) 항균 및 항취 기능을 갖는 친환경 의류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098418A1 (en)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coatings made by curing such coating compositions
KR20230064507A (ko) Pet 섬유용 항균성 및 발수성 부여 가공제, pet 섬유에 항균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가공 처리 방법 및 항균성 및 발수성을 갖는 기능성 pet 섬유
JP5300625B2 (ja) 花粉付着防止能と花粉アレルゲン不活化能を有する繊維布帛
Hong et al. Photocatalytic functional cotton fabrics containing benzophenone chromophoric groups
Khoddami et al. Simultaneous applic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with different crease resistant finishes
Liu et al. Nonleaching Antimicrobial Cotton Fabrics Finished with Hyperbranched Polylysine
Nguyen Multifunctional smart textiles: influences of hydrophobic additional finishes on antimicrobial treated cotton fabric
Abo-Shosha et al. Easy care finishing of knitted cotton fabric in presence of a reactive-type antibacterial agent
KR101302488B1 (ko) 클로헥시딘의 코팅을 통한 항균성 섬유의 제조방법
Kan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Fibrous Materials
Hassan et al. Durable antimicrobial and insect-resist wool fabrics by treating with microencapsulated antimicrobial and insect-resist agents
Karcı et al.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and Water Repellent/Hydrophobic (easy-cleaning) Properties on Cotton Fabrics Using Nanocoating Processes. J Fashion Technol Textile Eng 5: 1
Jahangiri et al.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zycrobial on cotton and cotton/polyester blend fabrics in the presence of the different dyes and treatments
KR20220125057A (ko) 항균능 및 대전방지능을 갖는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JPH0782663A (ja) 抗菌性繊維の製造方法
WO2022103649A3 (en) Use of siliceous quaternary amines in durable antimicrobial treatment of textile for use in healthcare environment
JP2001089983A (ja) 衛生性に優れる合成繊維製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