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431A -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4431A KR20230064431A KR1020210150015A KR20210150015A KR20230064431A KR 20230064431 A KR20230064431 A KR 20230064431A KR 1020210150015 A KR1020210150015 A KR 1020210150015A KR 20210150015 A KR20210150015 A KR 20210150015A KR 20230064431 A KR20230064431 A KR 202300644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
- eco
- manufacturing
- friendly
- detachab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385 bacteri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97 foam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17 pol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1/00—Table linen
- A47G11/003—Table-cloth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with polyvinylchloride or its copolymerisation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98—Detached foot rests for under des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로 제조되는 매트,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매트의 하면이 안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를 형성하는 탁자 프레임 및 상기 매트의 하면 및 상기 상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를 사용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매트 제조단계, 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에 다수개의 다리를 결합시켜 탁자 프레임을 제조하는 탁자 프레임 제조단계, 상기 매트의 하면 및 상기 탁자 프레임의 상면에 다수의 탈부착 부재를 부착하는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 및 상기 매트와 상기 탁자 프레임을 상기 탈부착 부재가 대응하도록 배치시키고, 압착하여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를 사용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매트 제조단계, 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에 다수개의 다리를 결합시켜 탁자 프레임을 제조하는 탁자 프레임 제조단계, 상기 매트의 하면 및 상기 탁자 프레임의 상면에 다수의 탈부착 부재를 부착하는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 및 상기 매트와 상기 탁자 프레임을 상기 탈부착 부재가 대응하도록 배치시키고, 압착하여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가 사용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매트 자체의 우수한 탄력성 및 완충성으로 안전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친환경 안전 매트가 탈부착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유치원, 어린이집 혹은 학교와 같이 유아나 어린이가 있는 실내에는 충격이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구의 모서리나 건물 기둥의 모서리 등 사고가 예상되는 모서리에 모서리 보호대를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구의 모서리나 건물 기둥의 모서리에 사용되는 모서리 보호대는 통상적으로 우레탄 발포 성형방법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발포성형 모서리 보호대 자체에 쿠션감이 생김으로써 부상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포 성형되는 모서리 보호대의 표면에는 다양한 종류 및 색상 혹은 재질로 된 표피재를 함께 부착하여 만들어지는데, 사용 목적이나 사용 용도 혹은 설치 장소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두께나 무늬 혹은 장식 패턴 등이 형성된 제품을 선택 사용하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모서리 보호대를 대신하여, 매트, 시트 쿠션 등을 모서리에 부착하는 가구들이 생산되고 있으며, 사용 편의성을 위해 매트, 시트 쿠션 등이 일체화되어 생산되는 가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구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12957호 '쿠션 패드 일체형 책상'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모서리 보호대, 매트, 시트 쿠션 등에 적용되는 우레탄 폼은 화재 시 불에 잘 타고 유해물질 및 유해가스를 발생시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황변현상과 경화가루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서리 보호대, 매트, 시트 쿠션 등을 가구에 고정할 시,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데,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할 경우에는 가구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때 가구 프레임에 점착 성분이 잔류하거나 가구 프레임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의 독성으로 아이들에게 유해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며 설치 시 가구 프레임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탄력성 및 완충성이 우수한 매트를 적용한 가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를 사용하고, 매트 자체의 우수한 탄력성 및 완충성으로 안전한 특성을 가지는 친환경 안전 매트가 탈부착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는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로 제조되는 매트,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매트의 하면이 안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를 형성하는 탁자 프레임 및 상기 매트의 하면 및 상기 상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탈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트는,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는 복수의 내장재층을 포함하는 내장재,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와 복지 섬유로 이중 구조를 가지는 친환경 섬유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가 코팅된 친환경 합성피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장재를 감싸도록 접착되는 외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는, 상기 매트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보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 어셈블리는, 상기 매트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와 연결되는 제1 단위매트, 상기 다리 및 상기 제1 단위매트 사이에 형성되어 폴딩 구조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매트의 상기 다리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리 방향으로 회동하는 거치부재, 상기 매트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매트와 연결되는 제2 단위매트, 상기 제1 단위매트와 상기 제2 단위매트 사이에 형성되어 폴딩 구조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단위매트 또는 상기 제2 단위매트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위매트와 상기 제2 단위매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하느 상기 탁자 프레임은, 상기 탈부착 부재가 구비되는 상기 상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탈부착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삽탈되는 탈부착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 어셈블리는, 양 끝 단면에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탈부착 부재가 구비되는 나선 홈 및 상기 나선 홈 내부에 상기 나선 홈 보다 작은 폭으로 대응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부 홈을 형성하는 몸체부재 및 상기 내부 홈에 안착되되, 구부러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홈으로부터 삽탈되도록 구비되는 제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는, 상기 탁자 프레임의 하방에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물건을 받치는 받침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 어셈블리는, 상기 상판에 일면이 노출되도록 매립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권취부재, 상기 권취부재에 권취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프 및 물건이 올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프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은, 상기 권취부재가 노출되는 면에, 다수개의 돌출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재는, 노출되는 면에 힌지 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다수개의 돌출돌기 사이로 삽탈되는 고정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를 사용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매트 제조단계, 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에 다수개의 다리를 결합시켜 탁자 프레임을 제조하는 탁자 프레임 제조단계, 상기 매트의 하면 및 상기 탁자 프레임의 상면에 다수의 탈부착 부재를 부착하는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 및 상기 매트와 상기 탁자 프레임을 상기 탈부착 부재가 대응하도록 배치시키고, 압착하여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 제조단계는,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복수의 내장재 층을 압축 접착하여 내장재를 제조하는 내장재 제조단계,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와 복지 섬유가 이중구조를 이루도록 합성하여 친환경 섬유 외장재를 제조하는 외장재 제조단계, 상기 외장재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를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외장재에 각각 저융점(LM) 섬유를 가접착 시키는 가접착단계, 상기 외장재가 상기 내장재를 감싸도록 배치시켜, 열 압착하여 상기 매트를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 1차 성형된 상기 매트를 압착하여 상기 저융점 섬유를 숙성시키는 2차 성형단계 및 상기 매트의 모서리를 열 용접하여 마감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은, 상기 매트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보호 어셈블리를 상기 다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하는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는, 폴리에스터 섬유 및 친환경 섬유를 사용하여 제1 단위매트 및 제2 단위매트를 제조하는 단위매트 제조단계, 상기 제1 단위매트에 거치부재를 구비하는 거치부재 구비단계, 상기 제1 단위매트 또는 상기 제2 단위매트에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구비단계, 제1 연결부재가 상기 제1 단위매트와 상기 다리를 연결하는 제1 단위매트 연결단계 및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단위매트와 상기 제2 단위매트를 연결하는 제2 단위매트 연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은, 상기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 이전에, 상기 상판의 상면 둘레를 따라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가이드 홈 형성단계 및 탈부착 어셈블리를 제조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구비하는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는, 양 끝 단면에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원기둥 형태의 막대에 나선으로 꼬아 올라가는 나선 홈 및 상기 나선 홈 내부에 상기 나선 홈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나선홈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내부 홈을 형성하여 몸체부재를 제조하는 몸체부재 제조단계, 상기 몸체부재의 상기 내부 홈에 제거부재를 안착시키는 제거부재 구비단계 및 상기 탈부착 어셈블리를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하는 탈부착 어셈블리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은, 받침 어셈블리가 상기 탁자 프레임에 구비되는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는, 로프가 다수개의 권취부재에 권취되는 로프 구비단계, 상기 다수개의 권취부재가 상기 상판의 측면에 일면이 노출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매립되는 권취부재 매립단계 및 받침부재가 상기 로프에 연결되는 받침부재 구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은 내장재에 PET 섬유, 친환경 섬유를 사용하고, 매트 자체의 우수한 탄력성 및 완충성으로 안전한 특성을 가지는 친환경 안전 매트가 사용되어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매트의 외장재에 PVC를 코팅하여 매트의 스크래치, 찢김,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트와 탁자 프레임 사이에 탈부착 부재를 형성하여 매트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어셈블리를 형성하여 탁자 다리에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형태를 변형하여 탁자 활용 면적을 넓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 어셈블리를 형성하여 탈부착 부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를 하방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에 보호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에 도 4에 도시된 보호 어셈블리와는 다른 형태의 보호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보호 어셈블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 도 6의 (a)의 보호 어셈블리를 하방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탈부착 어셈블리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탈부착 어셈블리로부터 탈부착 부재가 제거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에 받침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받침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0의 받침 어셈블리의 로프가 권취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로프가 풀린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0의 받침 어셈블리의 고정 손잡이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b)는 고정 손잡이가 기립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매트 제조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에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가 추가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에 가이드 홈 형성단계 및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가 추가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에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가 추가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실험 예 2에 따른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를 하방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에 보호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에 도 4에 도시된 보호 어셈블리와는 다른 형태의 보호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보호 어셈블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 도 6의 (a)의 보호 어셈블리를 하방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탈부착 어셈블리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탈부착 어셈블리로부터 탈부착 부재가 제거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에 받침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받침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0의 받침 어셈블리의 로프가 권취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로프가 풀린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0의 받침 어셈블리의 고정 손잡이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b)는 고정 손잡이가 기립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매트 제조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에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가 추가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에 가이드 홈 형성단계 및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가 추가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에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가 추가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실험 예 2에 따른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를 하방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에 보호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는 매트(100), 탁자 프레임(200) 및 탈부착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의자, 침대 등의 다른 가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매트(100)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의 탁자 상판 역할을 하며, 물건을 얹을 공간을 확보하는 구성으로,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를 활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매트(100)는, 내장재(110) 및 외장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1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탁자 프레임(200)은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의 탁자를 이루기 위한 틀 역할을 하며, 매트(100)의 하면이 안착되는 상판(210) 및 상판(210)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2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탁자 프레임(200)은 원목, 철재,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210)의 탈부착 부재(300)가 부착되는 면은 사상 공정을 적용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함으로써 탈부착 부재(300)가 보다 강하게 부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탈부착 부재(300)와 상판(210)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300)는 매트(100)와 탁자 프레임(200)을 연결하고 탈부착하는 역할을 하며, 매트(100)의 하면 및 상판(210)의 상면에 다수개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탈부착 부재(300)로 벨크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석, 흡착패드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탈부착 부재(300)는 매트(100) 오염, 손상 등의 문제 또는 매트(100)컬러 및 문양에 대한 변심 발생 시, 탈부착 부재(300) 착탈을 통해 간단하게 매트(100)를 교체할 수 있어 해당 문제에 대해 매트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탈부착 부재(300)는 오래되거나, 부착 강도가 저하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 3을 참조하면, 매트(100)는 내장재(110) 및 외장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재(110)는, 매트(100)의 탄성을 확보하는 구성으로, 폴리에스터 섬유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는 복수의 내장재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터 섬유는 압축을 받은 후 원상으로 회복되는 성질, 즉 탄성, 탄력 및 복원력이 우수하고, 기존 내장재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PU 소재와 달리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며 매연 및 유독성 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유기용매가 적용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 매트 탁자(1)는, 카페, 식당, 요양시설, 교육시설, 복지시설, 상업시설 등의 시설에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유해한 성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장재(110)는 폴리에스터 섬유로 제작됨으로써, 황변현상 및 경화가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장재(110)는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일정온도에서 용융되는 성질을 갖고 있어, 항균성을 가진 고분자 물질과 블렌딩하여 항균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장재(110)는 접착에 일반적인 접착제 대신 저융점(LM) 섬유가 사용되어, 보다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탄성과 압축영구변형율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매트(100)는, 무거운 물건이 얹어지거나, 사용자가 누르는 등 외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졌을 때 꺼지지(눌리지) 않고, 탁자 상판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터 섬유로 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섬유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폴리에스터 섬유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내장재(110)의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는 복수의 내장재층(미도시)은, 저융점(LM) 섬유를 통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내장재층이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며 구비되는 것은 내장재(110)의 내부 밀도가 높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보다 바람직한 밀도, 탄성 및 변형율 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복수의 내장재층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내장재층의 밀도가 가장 높고, 하층으로 갈수록 밀도가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최상층에 위치하는 내장재층의 밀도가 가장 높고 나머지 내장재층의 밀도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등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여기서, 최상층의 내장재층은 우수한 탄성을 가지며 외부 힘에 의한 꺼짐(눌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장재층 중 밀도가 가장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최상층의 내장재층은 니들 펀칭(Niddle-Punching) 공정을 적용하여 폴리에스터 섬유간의 결속력을 높임으로써 보다 높은 밀도와 탄성이 구현되어 하중 분산 효과가 향상되고 전체 면적에 대해 균일한 탄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최상층의 내장재층의 밀도는 150 내지 300K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최상층의 내장재층은 상면에 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후에 이루어질 외장재(120)와의 열 압착 접착 시 열 압착 온도를 줄여 열처리 비용을 감소시키고, 저융점 섬유가 용융되어 내장재(110)와 외장재(120)의 접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중간층의 내장재층은 하나 이상의 내장재층으로 형성되어 최상층의 내장재층의 탄성을 받쳐주는 층으로, 최상층의 내장재층 보다는 밀도가 낮게 형성되되 외부 하중에 의한 충격 시 빨리 복원되도록 밀도와 탄성을 어느 정도는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에 중간층의 내장재층의 밀도는 80 내지 100K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최하층의 내장재층은 최하층의 상측에 위치하는 내장재층들을 받쳐주는 층으로서, 일정한 밀도를 가져 꺼짐(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하층의 내장재층은 하면에 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저융점 섬유가 용융되어 내장재(110)와 외장재(120)의 접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최하층의 내장재층의 밀도는 80 내지 100K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장재층들은 사이에 가열된 저융점 섬유가 배치되어 서로 접착되고 일정 압력이 가해져 접착상태가 고정되어 하나의 내장재(110)를 이룰 수 있다.
외장재(120)는, 폴리에스터 섬유와 복지 섬유로 이중 구조를 가지는 친환경 섬유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이 코팅된 친환경 합성피혁으로 형성되되, 내장재(110)를 감싸도록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외장재(120)는, 내장재(110)의 모든 면을 감싸도록 접착되고, 열 용접을 통해 모서리 등에 마감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외장재(120)는 내장재(110)에 지퍼나 재봉선 없이 접착됨으로써, 이물질 또는 습기 등의 침투를 방지하여 내구성이 보다 극대화되고,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외장재(120)가 늘어나고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에도 외장재(120)가 내장재(110)로부터 들뜨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장재(120)는 열처리 사출 압축 성형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폴리염화비닐 섬유와 복지 섬유 간의 결속력을 높이고 잔류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외장재(120)는 보다 장기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장재(120)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가 코팅 됨으로써, 스크래치, 찢김,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장재(120)는, 다양한 컬러 및 문양의 프린팅을 통해 심미성을 높여 인테리어성이 우수한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외장재(120)는 내장재(110)와 저융점 섬유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친환경 매트 탁자(1)는 보호 어셈블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어셈블리(400)는, 매트(10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다리(22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 어셈블리(400)는 매트(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이에 매트(100)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보호 어셈블리(400)는, 우수한 탄력성 및 완충성으로 안전한 특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다리(220)에 부딪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호 어셈블리(400)는 다리(220)의 모양에 따라 절곡되어 다리(220)에 형성될 수 있으나, 하나 이상이상으로 다리(220)의 모든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에 도 4에 도시된 보호 어셈블리와는 다른 형태의 보호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a)는 도 5의 보호 어셈블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 도 6의 (a)의 보호 어셈블리를 하방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의 보호 어셈블리(400)는 제1 단위매트(411), 제1 연결부재(420), 거치부재(430), 제2 단위매트(412), 제2 연결부재(440), 고정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위매트(411)와 제2 단위매트(412)는 매트(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이에 매트(100)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보호 어셈블리(400)는, 무거운 물건이 얹어지거나, 사용자가 누르는 등 외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졌을 때 꺼지지(눌리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탄력성 및 완충성으로 안전한 특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다리(220)에 부딪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단위매트(411)는 제1 연결부재에 의해 다리(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420)는, 다리(220)와 제1 단위매트(411) 사이에 힌지 형태로 형성되어 다리(220)와 제1 단위매트(411)를 폴딩 구조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재(420)는, 제1 연결부재 유닛(421)이 다리(220)의 상단에 형성되고 제1 연결부재 몸체(422)가 제1 단위매트(411)에 형성되어, 제1 연결부재 유닛(421)과 제1 연결부재 몸체(422)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 축(423)에 의해 다리(220)와 제1 단위매트(411)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보호 어셈블리(400)는, 다리(220)에 수직되게 펼쳐져 매트(100)로부터 연장되거나, 다리(220)와 면접촉하여 다리(220)를 보호할 수 있다.
거치부재(430)는 제1 단위매트(411)의 다리(220)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어 다리(220)으로 회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부재(430)는 제1 단위매트(411)에 매립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거치부재 축(미도시)에 의해 제1 단위매트(411)에 축 연결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거치부재(430)는 제1 단위매트(411)와 다리(220)사이에서 제1 단위매트(411)에 가해지는 하중을 다리(220)로 분산시켜 제1 단위매트(411)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단위매트(411)에 물건을 올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단위매트(412)는 제2 연결부재(430)에 의해 제1 단위매트(4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440)는, 제1 단위매트(411)와 제2 단위매트(412)가 맞닿는 면에 다수의 제2 연결부재 유닛(441)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1 단위매트(411)와 제2 단위매트(412)를 폴딩 구조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재(440)는, 제1 단위매트(411)와 제2 단위매트(412)에 제2 연결부재 유닛(441)이 지그재그 형태로 번갈아가며 형성되어, 다수의 제2 연결부재 유닛(441)을 관통하는 제2 연결부재 축(442)에 의해 제1 단위매트(411)와 제2 단위매트(4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보호 어셈블리(400)는, 더 많은 물건을 받칠 수 있다.
고정부재(450)는 제1 단위매트(411) 또는 상기 제2 단위매트(412)에 형성되어 제1 단위매트(411)와 상기 제2 단위매트(412)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위매트(411) 또는 제2 단위매트(412)는 하면에 내면이 곡률을 갖는 슬라이딩 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450)는 양 측면이 슬라이딩 홈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되 슬라이딩 홈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위매트(411) 또는 제2 단위매트(412)는 고정부재(450)의 끝 단이 결합되는 결합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고정부재(45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450)는 제1 단위매트(411)와 제2 단위매트(412)의 각각에 가해지는 하중을 다리(220)로 분산시켜 각각의 단위매트에 물건을 올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보호 어셈블리(400)의 형태 변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보호 어셈블리(400)가 다리(220)를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단위매트(412)가 제2 연결부재(440)에 의해 제1 단위매트(411)와 수평을 이루며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단위매트(411)가 제1 연결부재(420)에 의해 다리(220)와 수평을 이루며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 어셈블리(400)가 다리(220)를 감싸고 있는 상태일 경우, 보호 어셈블리(400)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다리(220)에 부딪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어셈블리(400)가 펼쳐진 상태에서 거치부재(430)에 의해 다리(220)에 거치될 수 있으며, 이후, 제1 단위매트(411)와 제2 단위매트(412)가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보호 어셈블리(400)는, 물건을 받칠 수 있는 면적을 늘릴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형태를 변형하여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탈부착 어셈블리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탈부착 어셈블리로부터 탈부착 부재가 제거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의 탁자 프레임(200)은 가이드 홈(230) 및 탈부착 어셈블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230)은 탈부착 부재(300)가 구비되는 상판(2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230)은 탈부착 어셈블리(240)의 형태에 대응되되, 탈부착 어셈블리(240)가 삽탈될 수 있도록 깊이를 가지며, 탈부착 어셈블리(240)의 크기보다 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탈부착 어셈블리(240)는 탈부착 부재(300)가 구비되어 가이드 홈(230)으로부터 삽탈되며, 몸체부재(241) 및 제거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10을 참조하면, 몸체부재(241)는, 양 끝 단면에 삽입돌기(241a)를 구비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탈부착 부재(300)가 구비되는 나선 홈(241b) 및 나선 홈(241b) 내부에 나선 홈(241b) 보다 작은 폭으로 대응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부 홈(241c)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돌기(241a)는 가이드 홈(230)에 끼워 맞춰지게 형성되되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 가이드 홈(230)에 고정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나선 홈(241b)은 몸체부재(241)의 외주면을 따라 꼬아져 올라가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폭은 탈부착 부재(30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탈부착 부재(300)는 나선 홈(241b)에 따라 부착되고, 몸체부재(241)의 한쪽 면에 형성된 탈부착 부재(300)의 접착력이 떨어졌을 경우, 몸체부재(241)를 회전시켜 타측 면의 탈부착 부재(300)가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내부 홈(241c)은 나선 홈(241b)의 내부에 나선 홈(241b)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폭은 나선 홈(241b)보다 좁게 형성되어야 하며, 폭은, 제거부재(242)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거부재(242)는 내부 홈(241c)에 안착되되, 구부러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 홈(241c)으로부터 삽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거부재(242)와 내부 홈(241c)의 폭은 제거부재(242)의 이탈 및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폭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는 여기서 제거부재(242) 재질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EPDN(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인체에 무해한 고무 재질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거부재(242)는 한쪽 끝 단이 탈부착 부재(3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끝단이 내부 홈(241c)를 따라 몸체부재(24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몸체부재(241)의 외부로 돌출된 제거부재(242)의 끝 단을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탈부착 부재(300)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교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받침 어셈블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받침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의 (a)는 도 10의 받침 어셈블리의 로프가 권취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b)는 로프가 풀린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의 (a)는 도 10의 받침 어셈블리의 고정 손잡이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b)는 고정 손잡이가 기립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는 받침 어셈블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 어셈블리(500)는 탁자 프레임(200)의 하방에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물건을 받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받침 어셈블리(500)는 권취부재(510), 로프(520)및 받침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부재(510)는 상판(210)에 일면이 노출되도록 매립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권취부재(510)는 중단에 곡률을 형성하는 원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권취부재(510)의 중단에 로프(520)가 권취되어 풀어지거나 감아질 수 있다.
또한, 권취부재(510)는 상판(210)의 양 측면에 두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비되는 방향과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판(210)은 권취부재(520)가 노출되는 면에, 다수개의 돌출돌기(21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권취부재(510)는 노출되는 면에 힌지 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다수개의 돌출돌기(211) 사이로 삽탈되는 고정 손잡이(5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손잡이(511)는, 권취부재(510)의 노출되는 면에 반 구의 반경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 손잡이(511)가 돌출돌기(211) 사이에 삽입되었을 경우, 권취부재(510)가 고정되어 로프(5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 손잡이(511)가 돌출돌기(211) 사이로부터 탈거되었을 경우, 권취부재(510)가 회동되어 로프(520)가 풀릴 수 있다.
로프(520)는 권취부재(510)에 권취되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프(520)는 상판(210)의 하면에 형성된 로프 홀(미도시)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받침부재(530)는 물건이 올려지도록 형성되어 로프(520)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재(530)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프(520)의 끝 단에 받침부재(530)의 외주면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재(530)는 상판(21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판(2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크기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2의 (a), (b) 참조하여 받침 어셈블리(500)가 연장되는 동작을 정리하자면, 도 12의 (a)는 권취부재(510)에 로프(520)가 모두 감겨 받침부재(530)가 상판(210)과 가깝게 구비되는 상태로 이때, 받침부재(530)에 필기도구, 책 등 크기가 작은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는 권취부재(510)에 로프(520)가 모두 풀려져 받침부재(530)가 상판(210)에서 멀어지되, 지면과 이격을 형성한 상태로 이때, 받침부재(530)에 사용자가 다리를 올려놓거나 화분, 신발 등을 올려놓고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a), (b)를 참조하여 받침 어셈블리(500)가 고정되는 동작을 정리하자면, 도 13의 (a)는 고정 손잡이(511)가 권취부재(500)와 수평을 이뤄 돌출돌기(211)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이때, 고정 손잡이(511)가 돌출돌기(211)에 걸려 권취부재(50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는 고정 손잡이(511)가 권취부재(500)와 수직을 이뤄 돌출돌기(211)사이에 탈거된 상태로 이때, 사용자는 고정 손잡이(511)를 잡고 권취부재(500)를 회동시켜 로프(520)를 감거나 풀어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받침 어셈블리(5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14 내지 도 21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매트 제조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S1)은 매트 제조단계(S100), 탁자 프레임 제조단계(S200),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S300) 및 결합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 제조단계(S100)는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를 사용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매트 제조단계(S100)는 내장재 제조단계(S110), 외장재 제조단계(S120), 코팅단계(S130), 가접착단계(S140), 1차 성형단계(S150), 2차 성형단계(S160) 및 마감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트 제조단계(S100)는 도 15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탁자 프레임 제조단계(S200)는 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210)에 다수개의 다리(220)를 결합시켜 탁자 프레임(200)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탁자 프레임 제조단계(S200)는 원목, 철재,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자가 제작하고자 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의 크기에 따라 재단하고, 재단된 상판(2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다수개의 다리(2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탁자 프레임 제조단계(S200)는 재단된 상판(210)의 상면에 사상 공정을 적용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판(210)에 부착되는 탈부착 부재(300)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S300)는 다수의 탈부착 부재(300)를 매트(100)의 하면 및 탁자 프레임(200)의 상면에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S300)는 각각의 탈부착 부재(300)가 대응되도록 매트(100) 및 탁자 프레임(20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탈부착 부재(300)로 벨크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석, 흡착패드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S300)는 탈부착 부재(300)가 오래되거나, 부착 강도가 저하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결합단계(S400)는 매트(100)와 탁자 프레임(200)을 탈부착 부재(300)가 대응하도록 배치시키고, 압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압착강도는 사람이 누르는 정도의 강도이며, 탈착시에도, 사람이 들어올릴 수 있는 강도로 탈착할 수 있다.
이에, 매트(100)나 탁자 프레임(200)에 불량이 있을 경우, 용이하게 탈착하여 교체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5를 참조하면, 매트 제조단계(S100)는 내장재 제조단계(S110), 외장재 제조단계(S120), 코팅단계(S130), 가접착단계(S140), 1차 성형단계(S150), 2차 성형단계(S160) 및 마감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재 제조단계(S110)는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복수의 내장재층을 압축 접착하여 내장재(110)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장재 제조단계(S110)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부직포 형태로 생산한 다음, 열 압축하여 내장재층을 생산할 수 있는데, 복수의 내장재층을 각각 생산하여 밀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내장재 제조단계(S110)는 각각의 내장재층이 240 내지 260℃의 동일한 온도로 열 압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각각의 밀도에 따라 밀도가 높은 내장재층은 압축강도를 강하게 하여 150 내지 300K의 밀도를 가진 내장재층을 형성하고, 밀도가 낮은 내장재층은 압축강도를 약하게 하여 80 내지 100K의 밀도를 가진 내장재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내장재 제조단계(S110)는 각각의 내장재층을 열 압축하는 온도가 240℃ 미만일 경우 바람직한 밀도로 열 압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260℃ 초과일 경우 섬유 손상,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내장재 제조단계(S110)는 복수의 내장재층을 최상층에 150 내지 300K의 밀도를 가진 내장재층이 위치하도록 하며, 중간층 및 최하층에는 80 내지 100K의 밀도를 가진 내장재층이 위치하도록 포개어 배치시킨 후 각각의 내장재층 사이에 저융점(LM) 섬유를 배치시키고 열 압착하여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저융점 섬유에 80 내지 100℃의 열을 가할 수 있는데, 이는 저윰점 섬유에 열을 가하여 점성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가열이 80℃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점성 형성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으며, 100℃ 초과일 경우 과용해로 접착 작업성이 저하되고 층 간에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내장재 제조단계(S110)는 최상층의 내장재층에 니들 펀칭 공정을 적용하여 밀도를 더욱 높여 전체 면에 충격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장재 제조단계(S110)는 최하층의 내장재층에 열 처리를 적용하여 표면을 매끄럽게함으로써 외장재(120)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외장재 제조단계(S120)는 폴리에스터 섬유와 복지 섬유가 이중구조를 이루도록 합성하여 친환경 섬유 외장재(1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외장재 제조단계(S120)는 폴리에스터 섬유와 복지 섬유가 저융점 섬유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내장재 제조단계(S110), 외장재 제조단계(S120)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S1)에서 진행되는 순서는 한정사항이 아니며, 다양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코팅단계(S130)는 외장재(120)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을 코팅할 수 있다.
이에, 외장재(120)의 스크래치, 찢김,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가접착단계(S140)는 외장재(120)에 저융점 섬유를 가 접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접착단계(S140)는 외장재(120) 모든 면에 가열을 통해 접착력을 가지되 완전히 녹이지 않은 상태의 저융점 섬유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때, 가접착단계(S140)는 라미네이팅기 또는 합지기를 이용하여 저융점 섬유에 80 내지 100℃의 열을 가하여 외장재(120)에 가접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접착단계(S140)는 가열이 80℃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점성 형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외장재(120)에 가접착 시킬 수 없으며, 100℃ 초과일 경우 과용해로 접착 작업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1차 성형단계(S150)는 외장재(120)가 내장재(130)를 감싸도록 배치시켜, 열 압착하여 매트(100)를 성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성형단계(S150)는 내장재(110) 및 외장재(120)를 제작하고자 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의 크기에 따라 재단할 수 있다.
이때, 외장재(120)는 내장재(110)의 모든 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재단하고, 외장재(120)와 내장재(110)의 중심을 동일하게 맞워 내장재(110)에 외장재(120)을 덮어 일정한 틀에 넣고 열 압착하여 매트(100)를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성형단계(S150)는 9.0bar이하의 압력으로 1 내지 2분동안 압착할 수 있으며, 9.0bar를 초과할 경우 매트(100)의 형태유지가 어려울 수 있고, 저융점 섬유가 측면으로 유출되는 등 성형성에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1)의 매트(100)의 모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2차 성형단계(S160)는 1차 성형된 매트(100)를 압착하여 상기 저융점 섬유를 숙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차 성형단계(S160)는 1차 성형된 매트(100)를 12MPa 이하의 압력으로, 8 내지 12시간 동안 압축하여 숙성할 수 있다.
이에 내장재(110)와 외장재(120)가 들뜨지 않도록 저융점 섬유가 골고루 퍼지도록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12MPa 초과 압력으로 진행될 경우 내장재(110)와 외장재(120)의 밀도가 변형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매트(100)를 제조할 수 없다.
또한, 8시간 미만으로 압축이 진행될 경우 내장재(110)와 외장재(120)가 들뜨지 않도록 저융점 섬유가 골고루 퍼지도록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으며 12시간 초과로 진행될 경우 이미 충분히 접착이 완료된 상태로 작업의 비효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마감단계(S170)는 2차 성형단계(S160) 이후에 진행되는 단계로 매트(100)의 모서리를 열 용접하여 마감할 수 있다.
이는 2차 성형단계(S160)를 진행하지 않고 마감단계(S170)을 진행할 경우, 내장재(110)와 외장재(120)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매트(100)의 형태 변형,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차 성형단계(S160)는 외장재(120)의 열 용접을 통해 외장재(120)가 내장재(110)의 모든 면을 감싸도록 마감하여 매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장재(120)의 마감이 이루어져 이물질 및 습기 등의 내부 침투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매트 및 그 제조방법은 내장재에 PET 섬유, 외장재에 친환경 원단이 적용되고, 일반 접착제 대신 저융점(LM) 섬유가 사용되어,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장재를 서로 밀도가 다른 다수 층으로 구성하되, 상부 및 하부 층에 니들 펀칭(Niddle-Punching) 공정을 적용하여, 면적 전체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으로 인한 매트 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 용접을 통해 외장재 마감을 진행하여, 외부 오염물질 및 습기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외장재에 프린트를 적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에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가 추가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S1)은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S500)는 매트(10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호 어셈블리(400)가 다리(22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단위매트(410)는 매트 제조단계(S10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되, 크기만 다르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S500)는 하나의 보호 어셈블리(400)를 다리(220) 모양에 대응되도록 절곡하여 구비할 수 있으나, 하나 이상이상으로 다리(220)의 모든 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S500)는, 단위매트 제조단계(S510), 거치부재 구비단계(S520), 고정부재 구비단계(S530), 제1 단위매트 연결단계(S540) 및 제2 단위매트 연결단계(S5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매트 제조단계(S510)는, 폴리에스터 섬유 및 친환경 섬유를 사용하여 제1 단위매트(411) 및 제2 단위매트(412)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단위매트 제조단계(S510)는 상기에서 매트 제조단계(S10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단위매트(411) 및 제2 단위매트(412)를 제조하되, 크기만 다르게 제조할 수 있다.
즉, 단위매트 제조단계(S510)는 내장재 제조단계(S110), 외장재 제조단계(S120), 코팅단계(S130), 가접착단계(S140), 1차 성형단계(S150), 2차 성형단계(S160) 및 마감단계(S170)를 포함하되 크기만 다르게 하여 제1 단위매트(411) 및 제2 단위매트(412)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단위매트 제조단계(S510)를 통해 제조되는 제1 단위매트(411) 및 제2 단위매트(412)는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거치부재 구비단계(S520)는 제1 단위매트(411)에 거치부재(43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거치부재 구비단계(S520)는 제1 단위매트(411)의 다리(220)와 접촉하는 면에 거치부재(430)가 매립될 수 있는 크기의 홈을 깎아내고 깎아진 홈에 거치부재(430)가 축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단위매트(411)에 형성되는 홈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재 구비단계(S520)는 제1 단위매트(411)의 거치부재(430)가 형성되는 부분을 열 용접하여 제1 단위매트(411)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마감할 수 있다.
고정부재 구비단계(S530)는 제1 단위매트(411) 또는 상기 제2 단위매트(412)에 고정부재(45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 구비단계(S530)는 제1 단위매트(411) 또는 제2 단위매트(412)의 하면에 내면이 곡률을 갖는 슬라이딩 홈(미도시)을 형성하도록 깎아내고 슬라이딩 홈에 고정부재(450)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슬라이딩 홈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 구비단계(S530)는 고정부재(450)가 구비되지 않는 제1 단위매트(411) 또는 제2 단위매트(412)는 하면에 고정부재(450)의 끝 단이 결합되는 결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단위매트 연결단계(S540)는 제1 연결부재(420)가 제1 단위매트(411)와 다리(220)를 연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1 단위매트 연결단계(S540)는 제1 연결부재 유닛(421)을 다리(220)의 상단에 연결하고 제1 연결부재 몸체(422)를 제1 단위매트(411)에 연결하며, 제1 연결부재 유닛(421)과 제1 연결부재 몸체(422)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1 연결부재 축(423)을 삽입하여 다리(220)와 제1 단위매트(411)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단위매트 연결단계(S550)는 제2 연결부재(440)가 제1 단위매트(411)와 제2 단위매트(412)를 연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2 단위매트 연결단계(S550)는 제1 단위매트(411)와 제2 단위매트(412)에 제2 연결부재 유닛(441)을 지그재그 형태로 번갈아가며 배치하고, 다수의 제2 연결부재 유닛(441)을 관통하는 제2 연결부재 축(442)을 삽입하여 제1 단위매트(411)와 제2 단위매트(412)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보호 어셈블리(4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형태를 변형하여 활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에 가이드 홈 형성단계 및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가 추가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S1)은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S300) 이전에 가이드 홈 형성단계(S230) 및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S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 형성단계(S230) 상판(210)의 상면 둘레를 따라 가이드 홈(2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 형성단계(S230)는 탈부착 어셈블리(240)의 형태에 대응되되, 탈부착 어셈블리(240)가 삽탈될 수 있도록 깊이로 가이드 홈(230)을 깎아내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이드 홈(230)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S260)는 탈부착 어셈블리(300)를 제조하여 가이드 홈(230)에 구비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S260)는 몸체부재 제조단계(S261), 제거부재 구비단계(S262) 및 탈부착 어셈블리 결합단계(S26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재 제조단계(S261)는 양 끝 단면에 삽입돌기(241a)를 구비하는 원기둥 형태의 막대에 나선으로 꼬아 올라가는 나선 홈(241b) 및 나선 홈(241b) 내부에 상기 나선 홈(241b)보다 작은 폭으로 나선홈(241b)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내부 홈(241c)을 형성하여 몸체부재(241)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재 제조단계(S261)는 나선 홈(241b) 및 내부 홈(241c)를 깎아내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거부재 구비단계(S262)는 몸체부재(241)의 내부 홈(241c)에 제거부재(242)를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제거부재 구비단계(S262)는 제거부재(242)의 한쪽 끝 단이 탈부착 부재(3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게 구비하여 그 끝단이 내부 홈(241c)를 따라 몸체부재(24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탈부착 어셈블리 결합단계(S263)는 탈부착 어셈블리(240)를 가이드 홈(230)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탈부착 어셈블리 결합단계(S263)는 삽입돌기(241a)를 가이드 홈(240)에 끼워 맞춰지게 고정하여 탈부착 어셈블리(24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에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가 추가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S1)은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S600)는 받침 어셈블리(500)가 탁자 프레임(200)에 구비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21을 참조하면,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S600)는 로프 구비단계(S610), 권취부재 매립단계(S620) 및 받침부재 구비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프 구비단계(S610)는 로프(520)가 다수개의 권취부재(510)에 권취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로프 구비단계(S610)는 중단에 곡률을 형성하는 원통의 형태의 권취부재(510)에 중단으로부터 좌, 우로 이동하면서 로프(520)가 권취될 수 있다.
권취부재 매립단계(S620)는 다수개의 권취부재(510)가 상판(210)의 측면에 일면이 노출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매립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권취부재 매립단계(S620)는 권취부재(510)가 상판(210)의 양 측면에 두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권취부재 매립단계(S620)는 권취부재(510)에 권취된 로프(520)가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로프 홀(미도시)를 형성하여 로프 홀을 로프(520)가 관통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받침부재 구비단계(S630)는 받침부재(530)가 로프(520)에 연결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받침부재 구비단계(S630)는 로프 홀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된 로프(520) 끝 단에 받침부재(530)의 외주면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S1)은 돌출돌기 형성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S600)는 권취부재 고정손잡이 구비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돌기 형성단계는 상판(210)의 권취부재(510)가 노출되는 면에 다수개의 돌출돌기(21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돌출돌기 형성단계는 다수개의 돌출돌기(211)가 원의 형태를 이루며,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돌출돌기(211)를 형성할 수 있다.
권취부재 고정손잡이 구비단계는 권취부재(510)의 노출되는 면에 돌출돌기(211)로부터 삽탈되는 고정 손잡이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권취부재(510)의 노출되는 면에 힌지 핀을 형성하고 힌지 핀을 축으로 고정 손잡이(511)를 축 결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안전 매트탁자 및 그 제조방법은 내장재(110)에 PET 섬유, 외장재(120)에 친환경 원단이 적용되고, 일반 접착제 대신 저융점 섬유가 사용되어,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장재(110)를 서로 밀도가 다른 다수 층으로 구성하되, 상부 및 하부 층에 니들 펀칭(Niddle-Punching) 공정을 적용하여, 면적 전체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으로 인한 매트 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 용접을 통해 외장재(120) 마감을 진행하여, 외부 오염물질 및 습기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외장재(120)에 프린팅을 적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실시 예 1]
부직포 형태의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섬유를 250℃에서 동일한 강도로 열 압축하여 밀도가 180K인 내장재층 한개와 밀도가 90K인 내장재층 두개를 제작하며, 180K의 내장재층을 최상층에 위치하게 하고, 90K인 내장재층을 각각 중간층과 최하층에 위치하게 하여 각각의 내장재층을 저융점(LM) 섬유로 접착함으로써 내장재를 제작하였다.
[실험 예 1] 내장재의 항균성 평가
본 실험에서는 항균성 평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황색포도상구균 ATCC 6538 및 폐렴막대균 ATCC 4352를 사용하여 실시 예 1의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비교를 위해, 1 플레이트에는 실시 예 1을 깔고 ATCC 6538 또는 ATCC 4352를 투입하였으며, 2 플레이트에는 플레이트에 일반 면을 깔고 ATCC 6538 또는 ATCC 4352를 투입하였다.
구분 | 1 플레이트 | 2 플레이트 | |
ATCC 6538 | 초기균수 (균수/ml) |
2.2 x 104 | 2.2 x 104 |
18시간 경과 후 균수 (균수/ml) |
1.2 x 107 | < 10 | |
정균감소율(%) | - | 99.9 | |
ATCC 4352 | 초기균수 (균수/ml) |
2.2 x 104 | 2.2 x 104 |
18시간 경과 후 균수 (균수/ml) |
3.8 x 107 | < 10 | |
정균감소율(%) | - | 99.9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 예 1이 깔린 1 플레이트와 일반 면이 깔린 2 플레이트와 비교해 봤을 때, 2 플레이트의 경우, 그 ATCC 6538 및 ATCC 4352 균수가 확연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반해, 1 플레이트의 정균감소율이 99.9%로 ATCC 6538 및 ATCC 4352 균수가 확연히 감소된 것으로 확인된 바, 실시 예 1은 항균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예 2] 내장재의 가스유해성 평가
본 실험에서는 실험체를 온도 19℃, 상대습도 40%의 상자에 넣고, 실험 예1을 LPG로 3분동안 가열하고, 이후 전열로 3분동안 가열하여 생성되는 가스를 상자에 투입하여 실험체가 15분간 가스에 노출된 상태에서 실험체의 행동을 분석하였다.
이때, 실험체로 가스유해성 평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5주령의 ICR계 암컷 쥐 8마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예 2는, 동일한 방법으로 총 두 번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도 22 및 도24와 같다.
이때, X축은 경과시간(분)이며, Y축은 실험체의 번호이다.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예 1의 첫 번째 실험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노출된 실험체가 특별한 행동정지 없이 지속해서 행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예 1의 두 번째 실험에서도 첫 번째 실험에서와 같이 발생하는 가스에 노출된 실험체가 특별한 행동정지 없이 지속해서 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 1은, 가스유해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또는 제조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 그 장치가 제작되는 방법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100 : 매트
110 : 내장재
120 : 외장재
200 : 탁자 프레임
210 : 상판
211 : 돌출돌기
220 : 다리
230 : 가이드 홈
240 : 탈부착 어셈블리
241 : 몸체부재
241a : 삽입돌기
241b : 나선 홈
241c : 내부 홈
242 : 제거부재
300 : 탈부착 부재
400 : 보호 어셈블리
410 : 단위매트
411 : 제1 단위매트
412 : 제2 단위매트
420 : 제1 연결부재
421 : 제1 연결부재 유닛
422 : 제1 연결부재 몸체
423 제1 연결부재 축
430 : 거치부재
440 : 제2 연결부재
441 : 제2 연결부재 유닛
442 : 제2 연결부재 축
450 : 고정부재
500 : 받침 어셈블리
510 : 권취부재
511 : 고정 손잡이
520 : 로프
530 : 받침부재
100 : 매트
110 : 내장재
120 : 외장재
200 : 탁자 프레임
210 : 상판
211 : 돌출돌기
220 : 다리
230 : 가이드 홈
240 : 탈부착 어셈블리
241 : 몸체부재
241a : 삽입돌기
241b : 나선 홈
241c : 내부 홈
242 : 제거부재
300 : 탈부착 부재
400 : 보호 어셈블리
410 : 단위매트
411 : 제1 단위매트
412 : 제2 단위매트
420 : 제1 연결부재
421 : 제1 연결부재 유닛
422 : 제1 연결부재 몸체
423 제1 연결부재 축
430 : 거치부재
440 : 제2 연결부재
441 : 제2 연결부재 유닛
442 : 제2 연결부재 축
450 : 고정부재
500 : 받침 어셈블리
510 : 권취부재
511 : 고정 손잡이
520 : 로프
530 : 받침부재
Claims (13)
-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로 제조되는 매트;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매트의 하면이 안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를 형성하는 탁자 프레임 및
상기 매트의 하면 및 상기 상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는 복수의 내장재층을 포함하는 내장재 및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와 복지 섬유로 이중 구조를 가지는 친환경 섬유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가 코팅된 친환경 합성피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장재를 감싸도록 접착되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는,
상기 매트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보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어셈블리는,
상기 매트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와 연결되는 제1 단위매트;
상기 다리 및 상기 제1 단위매트 사이에 형성되어 폴딩 구조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매트의 상기 다리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리 방향으로 회동하는 거치부재;
상기 매트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위매트와 연결되는 제2 단위매트;
상기 제1 단위매트와 상기 제2 단위매트 사이에 형성되어 폴딩 구조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단위매트 또는 상기 제2 단위매트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위매트와 상기 제2 단위매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탁자 프레임은,
상기 탈부착 부재가 구비되는 상기 상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탈부착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삽탈되는 탈부착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어셈블리는,
양 끝 단면에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탈부착 부재가 구비되는 나선 홈 및 상기 나선 홈 내부에 상기 나선 홈 보다 작은 폭으로 대응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부 홈을 형성하는 몸체부재 및
상기 내부 홈에 안착되되, 구부러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홈으로부터 삽탈되도록 구비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는,
상기 탁자 프레임의 하방에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물건을 받치는 받침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 어셈블리는,
상기 상판에 일면이 노출되도록 매립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권취부재;
상기 권취부재에 권취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프 및
물건이 올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프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권취부재가 노출되는 면에, 다수개의 돌출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재는,
노출되는 면에 힌지 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다수개의 돌출돌기 사이로 삽탈되는 고정 손잡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섬유 및 친환경 섬유를 사용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매트 제조단계;
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판에 다수개의 다리를 결합시켜 탁자 프레임을 제조하는 탁자 프레임 제조단계;
상기 매트의 하면 및 상기 탁자 프레임의 상면에 다수의 탈부착 부재를 부착하는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 및
상기 매트와 상기 탁자 프레임을 상기 탈부착 부재가 대응하도록 배치시키고, 압착하여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제조단계는,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복수의 내장재 층을 압축 접착하여 내장재를 제조하는 내장재 제조단계;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와 복지 섬유가 이중구조를 이루도록 합성하여 친환경 섬유 외장재를 제조하는 외장재 제조단계;
상기 외장재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를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외장재에 각각 저융점(LM) 섬유를 가접착 시키는 가접착단계;
상기 외장재가 상기 내장재를 감싸도록 배치시켜, 열 압착하여 상기 매트를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
1차 성형된 상기 매트를 압착하여 상기 저융점 섬유를 숙성시키는 2차 성형단계 및
상기 매트의 모서리를 열 용접하여 마감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은,
상기 매트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보호 어셈블리를 상기 다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하는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어셈블리 구비단계는,
폴리에스터 섬유 및 친환경 섬유를 사용하여 제1 단위매트 및 제2 단위매트를 제조하는 단위매트 제조단계;
상기 제1 단위매트에 거치부재를 구비하는 거치부재 구비단계;
상기 제1 단위매트 또는 상기 제2 단위매트에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구비단계;
제1 연결부재가 상기 제1 단위매트와 상기 다리를 연결하는 제1 단위매트 연결단계 및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단위매트와 상기 제2 단위매트를 연결하는 제2 단위매트 연결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은,
상기 탈부착 부재 부착단계 이전에,
상기 상판의 상면 둘레를 따라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가이드 홈 형성단계 및
탈부착 어셈블리를 제조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구비하는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어셈블리 구비단계는,
양 끝 단면에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원기둥 형태의 막대에 나선으로 꼬아 올라가는 나선 홈 및 상기 나선 홈 내부에 상기 나선 홈보다 작은 폭으로 상기 나선홈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내부 홈을 형성하여 몸체부재를 제조하는 몸체부재 제조단계;
상기 몸체부재의 상기 내부 홈에 제거부재를 안착시키는 제거부재 구비단계 및
상기 탈부착 어셈블리를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하는 탈부착 어셈블리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제조방법은,
받침 어셈블리가 상기 탁자 프레임에 구비되는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 어셈블리 구비단계는,
로프가 다수개의 권취부재에 권취되는 로프 구비단계;
상기 다수개의 권취부재가 상기 상판의 측면에 일면이 노출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매립되는 권취부재 매립단계 및
받침부재가 상기 로프에 연결되는 받침부재 구비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매트 탁자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0015A KR102687328B1 (ko) | 2021-11-03 | 2021-11-03 |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0015A KR102687328B1 (ko) | 2021-11-03 | 2021-11-03 |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4431A true KR20230064431A (ko) | 2023-05-10 |
KR102687328B1 KR102687328B1 (ko) | 2024-07-22 |
Family
ID=8638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0015A KR102687328B1 (ko) | 2021-11-03 | 2021-11-03 |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732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6100B1 (ko) * | 2001-06-27 | 2004-01-24 | (주)대한솔루션 | 자동차용 흡차음재 |
JP3134098U (ja) * | 2007-05-24 | 2007-08-02 | 株式会社山本パッキング製作所 | デスクマット |
KR200449075Y1 (ko) * | 2009-07-10 | 2010-06-17 | (주)디너팩토리 |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한 가구 |
KR20110090541A (ko) * | 2010-02-04 | 2011-08-10 | 해성테크 주식회사 | 보강피혁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4098B2 (ja) * | 1991-04-13 | 2001-02-13 | 宏 谷川 | コンクリート型枠用可撓性成形合板及び型枠組立工法 |
-
2021
- 2021-11-03 KR KR1020210150015A patent/KR1026873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6100B1 (ko) * | 2001-06-27 | 2004-01-24 | (주)대한솔루션 | 자동차용 흡차음재 |
JP3134098U (ja) * | 2007-05-24 | 2007-08-02 | 株式会社山本パッキング製作所 | デスクマット |
KR200449075Y1 (ko) * | 2009-07-10 | 2010-06-17 | (주)디너팩토리 |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한 가구 |
KR20110090541A (ko) * | 2010-02-04 | 2011-08-10 | 해성테크 주식회사 | 보강피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7328B1 (ko) | 2024-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02227B2 (en) | Mattresses including spacer fabric and related methods | |
EP2931084B1 (en) | Hybrid mattress assemblies | |
US8646136B2 (en) | Assembli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employing interlocking components to provide at least a portion of an encasement, particularly for bedding and seating applications | |
CN109793391B (zh) | 包括弹性体缓冲元件和袋装弹簧层的床垫及相关方法 | |
US2009002515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hinged bedding assemblies | |
US20110173757A1 (en) | Cushioning devices and methods | |
US20100170042A1 (en) | Memory Foam Mattress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WO2012105466A1 (ja) | マットレス | |
CA2800552A1 (en) | Component with multiple layers | |
EP2034870B1 (en) | Foams formulated with rubber composition based springs | |
US10849450B1 (en) | Anti-fatigue mat with an encapsulatively sealed gel member | |
WO2012038737A1 (en) | A padding layer | |
US20200376824A1 (en) | Assembly for and Method of Automated Manufacture of Multi-Layer Foam Laminate Mattresses | |
KR20230064431A (ko) | 친환경 안전 매트 탁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71324B1 (ko) | 친환경 운동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 |
US10765227B2 (en) | Mattress | |
KR102653390B1 (ko) | 충격 보호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76775B1 (ko) | 침대용 매트리스의 테두리 완충마감재 | |
KR20230061106A (ko) | 흡음매트 및 그 제조방법 | |
WO2023177385A1 (en) | Anti-hammocking performance fabric and device for multi-layered modular mattress systems and multi-layered modular mattresses using same. | |
KR20130005468U (ko) | 패브릭 매트 | |
TWM628580U (zh) | 環保床墊結構 | |
AU2001100052B4 (en) | Mattress under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