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327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327A
KR20230064327A KR1020210149795A KR20210149795A KR20230064327A KR 20230064327 A KR20230064327 A KR 20230064327A KR 1020210149795 A KR1020210149795 A KR 1020210149795A KR 20210149795 A KR20210149795 A KR 20210149795A KR 20230064327 A KR20230064327 A KR 2023006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327A/ko
Publication of KR2023006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흡입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굴곡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설치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는 등 정화시키거나, 냉각하거나, 가열하거나, 가습하거나, 제습하여 배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공기조화기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있으며,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하거나, 가습 모듈이나 필터 등을 통해 실내에 가습 또는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압축기, 열교환기, 및 팬 등을 포함하며, 열교환기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실외기는 설치면과 수평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따라서, 보행자의 불편을 막기 위한 베인 등의 설치가 필요하였을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에 대해서도 제약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외기는 일반적으로 제1 측면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제2 측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며, 부피도 컸기 때문에 설치 공간에 대한 제약도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00-0059639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면서도,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형화가 가능하여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면에 형성된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는 흡입구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되,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굴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흡입구에서 코안다 효과를 발생시켜 공기를 소용돌이치게 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부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흡입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굴곡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상기 흡입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돌기가 이루는 각은 직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상기 케이스의 단면의 형상과 상기 열교환기의 단면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상기 케이스의 단면의 형상과 상기 열교환기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고, 단면이 형성하는 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와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리어, 및 상기 배리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커버하고,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배수구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연결되고, 자바라 형태를 가지는 배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부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코안다 효과를 발생시키는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상기 케이스의 단면의 형상과 상기 열교환기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고, 단면이 형성하는 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와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리어, 및 상기 배리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커버하고,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를 설치면에 수직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어 보행자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코안다효과를 발생시키는 케이싱에 의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소형화가 가능하여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설치 공간의 제약 없이 보다 자유롭게 설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하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단면도로서, 도 3의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단면도로서, 도 3의 B-B'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의 하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는 케이스(110), 팬(120), 및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팬(120), 압축기, 응축기, 열교환기, 및 이를 구동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110)의 상부에 그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110)의 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1)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흡입구(111)에서 코안다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흡입구(111)로 흡입된 공기를 케이스(110)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케이스(110)의 상면에 토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케이스(110)의 상부의 개구가 토출구(11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케이스(110)의 형상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인 것을 나타내었으나, 케이스(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10)의 형상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일 수도 있고, 역사다리꼴일 수도 있다.
팬(120)은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팬(120)은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120)은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팬(120)의 동작에 의해, 공기는 케이스(11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11)를 통해 흡입되고, 케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된 토출구(115)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케이스(110)의 하부면을 폐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케이스(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형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30)에는 배수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31)는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131)는 흡입구(111)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구(111)를 세척하기 위해 뿌린 물이 이물질과 함께 배수구(131)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구(131)는 압축기의 아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배수가(131)가 실외기(100) 내부의 공기 흐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131)를 형성함으로써, 흡입구(111) 등을 물로 쉽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가장자리에서 배수구(131)가 형성된 부부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수구(131)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가운데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의 단면도로서, 도 3의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는 케이스(110), 열교환기(140), 배리어(150), 및 압축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측면에는 흡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110)의 내면에는 돌기(11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점선 화살표는
케이스(1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140)는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160)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40)는 내부에 흐르는 냉매와, 주변의 공기 사이에 열교환을 발생시킨다. 열교환기(140)는 케이스(110)의 내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열교환기(140)는 케이스(1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열교환기(14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완전한 폐곡선이 아니라 일부가 단절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11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경우, 열교환기(140)도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열교환기(140)의 곡률은 케이스(110)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케이스(110)가 사다리꼴 원통형이거나, 역사다리꼴 원통형인 경우, 열교환기(140)도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원통형이거나, 역사다리꼴 원통형일 수 있다.
배리어(150)는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160)에 배치되되, 열교환기(1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150)는 케이스(1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배리어(15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완전한 폐곡선이 아니라 일부가 단절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110)가 원통형 형상을 가질 경우, 배리어(150)도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리어(150)는 압축기(170) 등이 배치된 공간과 열교환기(14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압축기(170)는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160)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50)는 배리어(1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70)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는 흡입구(111)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대하여 코안다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부(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홀(111-1)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홀(111-1)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10)는 코안다 효과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12)는 흡입홀(111-1)의 가장자리로부터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케이스(110)의 내면쪽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112)와 케이스(110)의 내면 사이의 각은 직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흡입홀(111-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돌기(112)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코안다 효과).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단면도로서, 도 3의 B-B'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에서 화살표는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케이스(110), 흡입구(111), 돌기(112), 배출구(115), 팬(120), 베이스 플레이트(130), 열교환기(140), 배리어(150), 및 압축기(17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열교환기(140)는 복수개의 냉매관을 포함할 수 있고, 냉매관은 도 7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즉,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는 와류 방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류 방지부(180)는 팬(120)과 열교환기(14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와류 방지부(180)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형성하는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10)가 원통 형상을 가질 경우, 와류 방지부(180)는 전체적으로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와류 방지부(180)는 팬(120)과 열교환기(140)의 직경 차이에 기인한 와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외기(100)의 상부에 배치된 팬(120)이 동작하면, 실외기(100)의 내부가 상대적으로 저기압이 되고, 이로 인해 케이스(110)의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111)로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케이스(110)에 의해 발생된 코안다 효과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부로 유동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부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기와 보다 효율적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써(즉, 열교환기와 공기가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설치를 위해 필요한 면적을 줄일 수 있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할 경우, 실외기(100) 내부의 온도가 바깥보다 높고 밀도가 낮음으로 인해,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부력을 받아 위로 상승하게 된다(굴뚝 효과). 결과적으로 냉방시 공기의 흐름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설치하여도 공기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정면도로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200)는 케이스(210), 흡입구(211), 베이스 플레이트(230), 배기관(291), 흡입구 스크린(292), 및 배수구 스크린(293)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 흡입구(211), 및 베이스 플레이트(230)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케이스(110), 흡입구(111), 및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 배기관(291), 흡입구 스크린(292), 및 배수구 스크린(293)을 더 포함한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실외기(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배기관(291)은 케이스(2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배기관(291)은 자바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의 높이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흡입구 스크린(292)은 흡입구(2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 스크린(292)은 메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흡입구 스크린(292)은 흡입구로 큰 이물질이나 동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구 스크린(292)은 케이스(21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배수구 스크린(293)은 베이스 플레이트(230)를 케이스(2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과 분리시킬 수 있다. 배수구 스크린(293)은 케이스(210)의 하단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배수구 스크린(293)은 베이스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배수구와 케이스(21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동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10 : 케이스 111: 흡입구
111-1 : 흡입홀 112 : 돌기
115 : 배출구 120 : 팬
130 : 베이스 플레이트 140 : 열교환기
150 : 배리어 170 : 압축기
180 : 와류 방지부

Claims (15)

  1. 하부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흡입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굴곡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돌기가 이루는 각은 직각보다 작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단면의 형상과 상기 열교환기의 단면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단면의 형상과 상기 열교환기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고, 단면이 형성하는 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와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리어; 및
    상기 배리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커버하고,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로 갈수록 낮아지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배수구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연결되고, 자바라 형태를 가지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하부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코안다 효과를 발생시키는 돌기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단면의 형상과 상기 열교환기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고, 단면이 형성하는 면적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와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리어; 및
    상기 배리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커버하고,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210149795A 2021-11-03 2021-11-03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30064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795A KR20230064327A (ko) 2021-11-03 2021-11-03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795A KR20230064327A (ko) 2021-11-03 2021-11-03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327A true KR20230064327A (ko) 2023-05-10

Family

ID=8638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795A KR20230064327A (ko) 2021-11-03 2021-11-03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3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639A (ko) 1999-03-05 2000-10-05 구자홍 에어컨 실외기 그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639A (ko) 1999-03-05 2000-10-05 구자홍 에어컨 실외기 그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270B1 (ko) 공기 조화기
KR100524849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응축기 유닛
CN105509145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CN106196332B (zh) 空调机的室外机
CN105992917A (zh) 空调的室外单元
CN113007812A (zh) 空调器
EP3070410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29362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0809597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230064327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5860752B2 (ja) 空気調和機
JP201704895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60117832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KR100589911B1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접지구조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3075017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751121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200163495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80011510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7147231A (ja) 空気調和機
KR20060124391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20050048777A (ko) 이동식 공기 조화기
KR10228242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N219865609U (zh) 蜗壳组件及移动式空调器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