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101A - 바이오 필름 제거기능을 갖는 텀블러 - Google Patents

바이오 필름 제거기능을 갖는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101A
KR20230064101A KR1020210149316A KR20210149316A KR20230064101A KR 20230064101 A KR20230064101 A KR 20230064101A KR 1020210149316 A KR1020210149316 A KR 1020210149316A KR 20210149316 A KR20210149316 A KR 20210149316A KR 20230064101 A KR20230064101 A KR 2023006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electrodes
electrode
power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006B1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1014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006B1/ko
Priority to PCT/KR2021/019130 priority patent/WO2023080330A1/ko
Publication of KR2023006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21Handling or manipulating containers, e.g. moving or rotating containers in cleaning devices, conveying to or from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복수의 제1 전극들, 복수의 제2 전극들 및 복수의 지지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들은 텀블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텀블러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들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텀블러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들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의 각각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의 각각 사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텀블러의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텀블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텀블러 내벽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 및 복수의 제2 전극들에 전원(직류 및 교류의 선택적 조합)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텀블러 내부에 생성되는 바이오 필름을 효과적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 필름 제거기능을 갖는 텀블러{TUMBLER HAVING BIO-FILM REMOVAL FUNCTION}
본 발명은 바이오 필름 제거기능을 갖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텀블러는 주로 음료를 가지고 다니면서 마시기 위해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플라스틱 용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해서도 텀블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텀블러를 오래 사용하는 경우, 텀블러 입구주위나 바닥 등에 바이오 필름이 형성되어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등록특허문헌) KR 제10-1587244호 (등록일자, 2016.01.2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텀블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텀블러 내벽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 및 복수의 제2 전극들에 전원(직류 및 교류의 선택적 조합)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텀블러 내부에 생성되는 바이오 필름을 효과적을 제거할 수 있는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복수의 제1 전극들, 복수의 제2 전극들 및 복수의 지지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들은 텀블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텀블러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들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텀블러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들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의 각각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의 각각 사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텀블러의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에 해당하는 기준각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집중 케어 영역 및 일반 케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집중 케어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의 개수는 상기 일반 케어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의 개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전원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는 복수의 동작모드들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1 동작모드는 상기 제1 전원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텀블러를 관리하는 관리모드이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는 상기 텀블러가 무선충전장치에 장착되어 충전되는 충전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가 복수의 동작모들 중 상기 관리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집중 케어 영역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 및 상기 일반 케어 영역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의 각각과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의 각각 사이의 폭은 0.1mm이상 50m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의 각각의 폭은 50m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2 전원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 중 일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는 텀블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텀블러 내벽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 및 복수의 제2 전극들에 전원(직류 및 교류의 선택적 조합)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텀블러 내부에 생성되는 바이오 필름을 효과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도 1의 텀블러에 포함되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텀블러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지지대의 배치상태를 펼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4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지지대의 배치상태를 펼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도 1의 텀블러의 동작모드에 따른 수행내용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텀블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3은 도 1의 텀블러에 포함되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10)는 복수의 제1 전극들(P1), 복수의 제2 전극들(P2) 및 복수의 지지대들(GG)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들(P1)은 텀블러(10)의 길이방향(LD)을 따라 텀블러(10) 내벽(IB)에 배치될 수 있다. 텀블러(10)의 중심(CP)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에 해당하는 기준각도(RD) 간격으로 복수의 지지대들(GG)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전극들(P1)은 양극일 수 있고, 기준각도(RD)는 90도일 수 있다. 기준각도(RD)가 90도인 경우, 복수의 제1 전극들(P1)은 2개의 양극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양극은 제1_1 전극(P1_1) 및 제1_2 전극(P1_2)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전극들(P2)은 길이방향(LD)을 따라 텀블러(10) 내벽(IB)에 배치될 수 있다. 텀블러(10)의 중심(CP)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에 해당하는 기준각도(RD) 간격으로 복수의 지지대들(GG)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전극들(P2)은 음극일 수 있고, 기준각도(RD)는 90도일 수 있다. 기준각도(RD)가 90도인 경우, 복수의 제2 전극들(P2)은 2개의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양극은 제2_1 전극(P2_1) 및 제2_2 전극(P2_2)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대들(GG)은 복수의 제1 전극들(P1)의 각각 및 복수의 제2 전극들(P2)의 각각 사이에 길이방향(LD)을 따라 텀블러(10)의 내벽(IB)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대(GG1)는 제1_1 전극(P1_1) 및 제2_1 전극(P2_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지대(GG2)는 제2_1 전극(P2_1) 및 제1_2 전극(P1_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대(GG3)는 제1_2 전극(P1_2) 및 제2_2 전극(P2_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지지대(GG4)는 제2_2 전극(P2_2) 및 제1_1 전극(P1_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기준각도(RD)가 90도인 경우의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기준각도(RD)는 90도 이외에도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텀블러(10)의 중심(CP)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에 해당하는 기준각도(RD) 간격으로 복수의 지지대들(GG)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전극들(P1)의 각각은 제1 전극들(P1)의 각각에 상응하는 제2 전극과 매칭되어 텀블러(10) 내부의 바이오 필름(BF)을 제거하기 위한 전자기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전극들(P1)은 제1_1 전극(P1_1) 및 제1_2 전극(P1_2)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전극들(P2)은 제2_1 전극(P2_1) 및 제2_2 전극(P2_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_1 전극(P1_1)에 상응하는 제2 전극은 제2_1 전극(P2_1)일 수 있고, 제1_2 전극(P1_2)에 상응하는 제2 전극은 제2_2 전극(P2_2)일 수 있다. 제1_1 전극(P1_1) 및 제2_1 전극(P2_1) 사이를 차단하기 위해서 제1 지지대(GG1)가 사용될 수 있고, 제1_1 전극(P1_1) 및 제2_1 전극(P2_1)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은 직류 또는 교류 전류의 선택적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_1 전극(P1_1) 및 제2_1 전극(P2_1)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전기장이 형성되어 전자기파가 발생할 수 있다. 제1_1 전극(P1_1) 및 제2_1 전극(P2_1)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는 텀블러(10) 내벽(IB)에서 바이오 필름(BF)을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이오 필름(BF) 제거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전원으로 사용되는 직류 및 교류의 크기 비율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1_2 전극(P1_2) 및 제2_2 전극(P2_2)을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10)는 텀블러(10)의 길이방향(LD)을 따라 텀블러(10) 내벽(IB)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P1) 및 복수의 제2 전극들(P2)에 전원(직류 및 교류의 선택적 조합)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텀블러(10) 내부에 생성되는 바이오 필름(BF)을 효과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텀블러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지지대의 배치상태를 펼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4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지지대의 배치상태를 펼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텀블러(10)는 길이방향(LD)을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텀블러(10)는 제1 영역(RE1) 및 제2 영역(RE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텀블러(10)의 제1 영역(RE1)은 텀블러(10)의 입구 및 텀블러(10)의 입구 하단의 굴곡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텀블러(10)의 입구는 텀블러 사용자의 입과 접촉이 일어나는 부분으로 박테리아 등으로 인한 바이오 필름(BF)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텀블러(10)의 입구 하단 굴곡진 부분은 음료의 찌꺼기 등으로 인하여 바이오 필름(BF)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일 수 있다. 반면에, 제2 영역(RE2)은 일자형 형상으로 인하여 제1 영역(RE1)에 비하여 바이오 필름(BF)이 덜 형성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복수의 영역들은 바이오 필름(BF)이 형성될 가능성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P1), 복수의 제2 전극들(P2) 및 복수의 지지대들(GG)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들은 제1 영역(RE1) 및 제2 영역(R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RE1)에 적용되는 기준각도(RD)는 60도일 수 있다. 도 5의 제1 영역(RE1)을 펼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RE1)에 적용되는 기준각도(RD)가 60도인 경우, 복수의 지지대들(GG)은 텀블러(10) 중심(CP)을 기준으로 60도 간격으로 6개의 지지대들(GG)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전극들(P1)은 3개의 양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극들(P2)은 3개의 음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RE1)에 포함되는 6개의 지지대들(GG)은 제1_1 지지대(GG1_1), 제2_1 지지대(GG2_1), 제3_1 지지대(GG3_1), 제4_1 지지대(GG4_1), 제5_1 지지대(GG5_1), 제6_1 지지대(GG6_1)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RE1)에 포함되는 3개의 제1 전극들(P1)은 제1_1_1 전극(P1_1_1), 제1_2_1 전극(P1_2_1), 제1_3_1 전극(P1_3_1)일 수 있고, 제1 영역(RE1)에 포함되는 3개의 제2 전극들(P2)은 제2_1_1 전극(P2_1_1), 제2_2_1 전극(P2_2_1), 제2_3_1 전극(P2_3_1)일 수 있다. 제1 하부 지지대(HGG1)는 제1 영역(RE1)과 제2 영역(RE2)을 분리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영역(RE2)에 적용되는 기준각도(RD)는 90도일 수 있다. 도 6의 제2 영역(RE2)을 펼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RE2)에 적용되는 기준각도(RD)가 90도인 경우, 복수의 지지대들(GG)은 텀블러(10) 중심(CP)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의 지지대들(GG)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전극들(P1)은 2개의 양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극들(P2)은 2개의 음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RE2)에 포함되는 4개의 지지대들(GG)은 제1_2 지지대(GG1_2), 제2_2 지지대(GG2_2), 제3_2 지지대(GG3_2), 제4_2 지지대(GG4_2)일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RE2)에 포함되는 2개의 제1 전극들(P1)은 제1_1_2 전극(P1_1_2), 제1_2_2 전극(P1_2_2)일 수 있고, 제2 영역(RE2)에 포함되는 2개의 제2 전극들(P2)은 제2_1_2 전극(P2_1_2), 제2_2_2 전극(P2_2_2)일 수 있다. 제2 하부 지지대(HGG2)는 양극과 음극 사이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오 필름(BF)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은 제1 영역(RE1)에 배치되는 제1 전극(P1) 및 제2 전극(P2)의 개수를 제2 영역(RE2)에 배치되는 제1 전극(P1) 및 제2 전극(P2)의 개수 보다 많이 배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텀블러(10) 내부의 바이오 필름(BF)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 내지 9는 도 1의 텀블러의 동작모드에 따른 수행내용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텀블러(10)는 길이방향(LD)을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2 전원 제어신호(PC2)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P1) 및 복수의 제2 전극들(P2) 중 일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제1 전원 제어신호(PC1) 및 제2 전원 제어신호(PC2)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원 제어신호(PC1)는 복수의 영역들 중 일부 영역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제2 전원 제어신호(PC2)는 일부 영역에 포함되는 제1 전극들(P1) 및 제2 전극들(P2) 중 일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텀블러(10)의 제1 영역(RE1)에 바이오 필름(BF)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RE1)에 포함되는 제1 전극들(P1) 및 제2 전극들(P2) 모두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자기파를 형성하지 않고, 제1 영역(RE1)에 포함되는 제1_1_1 전극(P1_1_1), 제2_1_1 전극(P2_1_1)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영역(RE1)의 바이오 필름(BF)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들은 집중 케어 영역 및 일반 케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집중 케어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P1), 복수의 제2 전극들(P2) 및 복수의 지지대들(GG)의 개수는 일반 케어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P1), 복수의 제2 전극들(P2) 및 복수의 지지대들(GG)의 개수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텀블러(10)의 제1 영역(RE1)은 텀블러(10)의 입구 및 텀블러(10)의 입구 하단의 굴곡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텀블러(10)의 입구는 텀블러(10) 사용자의 입과 접촉이 일어나는 부분으로 박테리아 등으로 인한 바이오 필름(BF)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텀블러(10)의 입구 하단 굴곡진 부분은 음료의 찌꺼기 등으로 인하여 바이오 필름(BF)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일 수 있다. 반면에, 제2 영역(RE2)은 일자형 형상으로 인하여 제1 영역(RE1)에 비하여 바이오 필름(BF)이 덜 형성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집중 관리가 요구되는 집중 케어 영역은 제1 영역(RE1)일 수 있고, 일반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일반 케어 영역은 제2 영역(RE2)일 수 있다. 바이오 필름(BF)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은 집중 케어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전극(P1) 및 제2 전극(P2)의 개수를 일반 케어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전극(P1) 및 제2 전극(P2)의 개수 보다 많이 배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텀블러(10) 내부의 바이오 필름(BF)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텀블러(10)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 전원 제어신호(PC1)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들은 제1 영역(RE1) 및 제2 영역(R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 전원 제어신호(PC1)를 전원 공급부(200)에 제공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200)는 제1 영역(RE1) 및 제2 영역(RE2) 중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텀블러(10)는 복수의 동작모드들(OM)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들(OM) 중 제1 동작모드는 제1 전원 제어신호(PC1) 및 제2 전원 제어신호(PC2)에 따라 복수의 제1 전극들(P1), 복수의 제2 전극들(P2)에 전원을 인가하여 텀블러(10)를 관리하는 관리모드(MM)이고, 복수의 동작모드들(OM) 중 제2 동작모드는 텀블러(10)가 무선충전장치에 장착되어 충전되는 충전모드(CM)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동작모드들(OM) 중 제3 동작모드는 일반모드(GM)로서 제1 전극들(P1) 및 제2 전극들(P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해 텀블러(10)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텀블러(10)가 복수의 동작모들 중 관리모드(MM)로 동작하는 동안, 집중 케어 영역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 및 일반 케어 영역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들은 제1 영역(RE1) 및 제2 영역(R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RE1)은 집중 케어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RE2)은 일반 케어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시간들은 제1 시간(T1), 제2 시간(T2) 및 제3 시간(T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동작모드들 중 관리모드(MM)로 동작하는 시간은 제1 시간(T1)부터 제3 시간(T3)까지 일 수 있다. 집중 케어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RE1)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간격은 제1 시간(T1)부터 제3 시간(T3)까지 일 수 있고, 일반 케어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RE2)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간격은 제1 시간(T1)부터 제2 시간(T2)까지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중 케어 영역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을 일반 케어 영역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보다 많이 할당함으로써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면서 텀블러(10) 내부의 바이오 필름(BF)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전극들(P1)의 각각과 상응하는 복수의 제2 전극들(P2)의 각각 사이의 폭(PW)은 0.1mm이상 50mm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지지대들(GG)의 각각의 폭(PW)은 50mm 이하일 수 있다. 실험적으로 제1 전극들(P1)의 각각과 상응하는 복수의 제2 전극들(P2)의 각각 사이의 폭(PW)을 0.1mm이상 50mm 이하로 형성하여 전극들을 배치하는 경우, 전자기파로 인한 바이오 필름(BF) 제거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전원 공급부(200)는 제1 전극(P1) 및 제2 전극(P2)에 연결되어 AC 전압 또는 DC 전압 중 선택적 조합으로 구성되는 전원을 텀블러에 포함되는 제1 영역(RE1) 및 제2 영역(RE2)에 인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00)가 제공하는 전원의 주파수는 0.1MHz ~ 100MHZ일 수 있고, AC전압 및 DC 전압의 크기는 0.001V ~ 2.0V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200)가 제공하는 전원의 주파수가 0.1MHz ~ 100MHZ이고, AC전압 및 DC 전압의 크기가 0.001V ~ 2.0V인 경우, 제1 영역(RE1) 및 제2 영역(RE2)에 생성된 바이오 필름(BF)을 제거하는 효과가 가장 우수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0: 텀블러 100: 제어부
200: 전원 공급부

Claims (10)

  1. 텀블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텀블러 내벽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텀블러 내벽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의 각각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의 각각 사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텀블러의 내벽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들을 포함하는 텀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의 중심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각도에 해당하는 기준각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의 개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텀블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집중 케어 영역 및 일반 케어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집중 케어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의 개수는 상기 일반 케어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의 개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전원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는 복수의 동작모드들로 동작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1 동작모드는 상기 제1 전원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전원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텀블러를 관리하는 관리모드이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들 중 제2 동작모드는 상기 텀블러가 무선충전장치에 장착되어 충전되는 충전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가 복수의 동작모들 중 상기 관리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집중 케어 영역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 및 상기 일반 케어 영역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의 각각과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의 각각 사이의 폭은 0.1mm이상 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의 각각의 폭은 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2 전원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들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들 중 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KR1020210149316A 2021-11-03 2021-11-03 바이오 필름 제거기능을 갖는 텀블러 KR102581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316A KR102581006B1 (ko) 2021-11-03 2021-11-03 바이오 필름 제거기능을 갖는 텀블러
PCT/KR2021/019130 WO2023080330A1 (ko) 2021-11-03 2021-12-15 바이오 필름 제거기능을 갖는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316A KR102581006B1 (ko) 2021-11-03 2021-11-03 바이오 필름 제거기능을 갖는 텀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101A true KR20230064101A (ko) 2023-05-10
KR102581006B1 KR102581006B1 (ko) 2023-09-21

Family

ID=8624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316A KR102581006B1 (ko) 2021-11-03 2021-11-03 바이오 필름 제거기능을 갖는 텀블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1006B1 (ko)
WO (1) WO202308033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7210A (zh) * 2014-10-21 2015-01-07 毛江波 利用电场和磁场消毒的水杯
KR101587244B1 (ko) 2014-04-04 2016-01-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바이오필름의 제거방법
KR20180073595A (ko) * 2015-10-09 2018-07-02 쿠안타이드, 엘엘씨 접속된 약학적 패키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2529A (ja) * 2005-08-16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容器及び容器加熱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販売機
KR20160047654A (ko) * 2014-10-22 2016-05-03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소수 음용을 위한 컵
KR102151351B1 (ko) * 2019-05-15 2020-09-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열 컵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244B1 (ko) 2014-04-04 2016-01-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바이오필름의 제거방법
CN104257210A (zh) * 2014-10-21 2015-01-07 毛江波 利用电场和磁场消毒的水杯
KR20180073595A (ko) * 2015-10-09 2018-07-02 쿠안타이드, 엘엘씨 접속된 약학적 패키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006B1 (ko) 2023-09-21
WO2023080330A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0304757A (pt) Sistema de soldagem a arco elétrico
ATE258337T1 (de) Reaktives gleichstrom-zerstäubungssystem
SG159545A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capacitive load
RU2000124590A (ru) Аппарат для электродуговой сварки
CA2312456A1 (en) Npc inverter control system
EP0320307A3 (en) Dc supply having low and high constant voltages for powering an inverter controller
CA2253044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to reduce common mode voltage from current source drives
CA2523983A1 (en) Ion generating element, ion generator, and electric device
WO2003041041A3 (en) Displ ay panel driving apparatus with reduced power loss
KR20230064101A (ko) 바이오 필름 제거기능을 갖는 텀블러
EP1089414A3 (en) Power source unit
GB2317706B (en) Zeta-potential determining apparatus
MXPA00004407A (es) Sistema y metodo de descarga de gas que produce luz, energeticamente eficiente, sin bobina de inductancia, no termionico.
AU2611199A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EP0652631A3 (en) AC / DC power supply.
EP1055477A3 (en) Fusing processing method
US20110236591A1 (en) Bipolar rectifier power supply
JP2009064618A (ja) プラズマプロセス装置
JP2001067657A5 (ko)
WO2005009090A1 (ja)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その電極構造
MY131945A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and power supply method
EP0326681A3 (en) Arc welding apparatus for direct and alternating current supply
WO1999010563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ergiesparenden gleichzeitigen elektrolytischen behandeln von mehreren werkstücken
JP3205898U (ja) 水素機の交流電及び直流電の変換回路
ES2101640A1 (es) Circuito convertidor de alimentac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