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907A - 색분산 개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색분산 개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907A
KR20230063907A KR1020210146404A KR20210146404A KR20230063907A KR 20230063907 A KR20230063907 A KR 20230063907A KR 1020210146404 A KR1020210146404 A KR 1020210146404A KR 20210146404 A KR20210146404 A KR 20210146404A KR 20230063907 A KR20230063907 A KR 2023006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temperature
rgb
rgb light
laser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직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3907A/ko
Publication of KR2023006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010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13Details of control of colour illumination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10Spectral composition
    • G03H2222/12Single or narrow bandwidth source, e.g. laser, 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분산 개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개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색분산 개선장치는, RGB 영역의 빛을 방출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에 있어서, RGB 광원에 온도 센서, 가열 소자 및 냉각 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광원의 온도 변화에 근거하여 파장 변이 테이블로부터 각 광원의 목표 온도를 추출하고, 각 광원이 추출된 상기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 소자 또는 상기 냉각 소자를 구동하는 온도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색분산 개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Color dispersion improving device and laser projector for holographic displ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색분산 개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개시한다.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를 적용한 홀로그래픽 HUD 기술은 빛의 회절 특성을 이용한 광학소자로서 mirror나 렌즈와 같은 기하광학소자 대비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홀로그래픽 HUD 기술에서는 HOE가 빛의 파장에 민감한 소자이기 때문에 HOE와 대응되는 광원인 레이저를 주로 사용한다. 홀로그래픽 HUD에서는 HOE를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방식과 도광판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있으며, 두 방식 모두 기존의 HUD(기하광학계만 사용한 방식)보다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HOE는 회절광학소자로 입사되는 빛의 파장에 민감하다는 점에서, 입사되는 빛의 경로가 같더라도 파장이 달라지면 회절하는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결국, 운전자의 위치에서 봤을 때 영상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RGB 레이저는 동일한 온도변화에도 파장의 변화량이 각각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HOE에서의 회절되는 각도가 달라져 영상의 색분산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홀로그램 광학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는 패널(LCoS, DMD 등)의 표시 영역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의 시야각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공개특허 10-2021-0009203호에는 '레이저 프로젝터 기반 홀로그래픽 HUD의 색분리 보상장치 및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의 레이저 프로젝터는 제어부에서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정보와 기준온도의 온도차이가 발생할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GPU에 R/G/B 각각의 영상 이동량을 전송하고, GPU는 전송받은 영상 이동량 정보를 기초로 R/G/B로 영상을 분리하여 그 분리한 영상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위치를 이동시킨 R/G/B 영상을 다시 합성하는 방법으로 색분리를 보상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레이저 프로젝터는 홀로그래픽 HUD에서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온도, 파장 등 특성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영상의 색분산 현상이 초래하는 HUD 화상의 품질 저하된 영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레이저 프로젝터는 R/G/B 영상을 이동하여 재생하므로, 이미지 표시소자 내에서 다른 위치에 영상이 재생됨에 따라 시야각이 줄어들고, 운전자의 전방 주시를 어렵게 하며, 증강 현실 효과를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의 레이저 프로젝터는 복수 개의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 모든 광원에 대하여 영상을 이동하고 다시 합성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반복하여야 하므로, 장치에 큰 부하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 프로젝터 기반의 기반 홀로그래픽 HUD에 있어서 색분산은 온도 외에도 매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고, 광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차이로 발생하는데, 선행문헌의 레이저 프로젝터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지 못하여 색분산의 개선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21-0009203호(2021.01.26.출원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Red, Green, Blue 영상의 색분산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색분산을 개선하면서 이미지 표시소자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영상을 재생하여, 시야각을 최대로 하고 운전자의 전방 주시를 방해하지 않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휘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색분산 개선장치는, RGB 영역의 빛을 방출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에 있어서, RGB 광원에 온도 센서, 가열 소자 및 냉각 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광원의 온도 변화에 근거하여 파장 변이 테이블로부터 각 광원의 목표 온도를 추출하고, 각 광원이 추출된 상기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 소자 또는 상기 냉각 소자를 구동하는 온도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비디오 신호 입력부,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를 패널 구동부와 LD 구동부에 전송하고, RGB 광원에서 감지되는 온도 변화에 근거하여 파장 변이 테이블로부터 각 RGB 광원의 목표 온도를 추출한 후 각 RGB 광원이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RGB 광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LD 구동부, 및, 상기 패널 구동부의 신호 및 LD 구동부의 광을 받아 RGB 영상을 구현하는 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GB 광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RGB 광원에 열을 가하거나 상기 RGB 광원의 열을 방출하여 상기 RGB 광원이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열 소자 및 냉각 소자와, 상기 가열 소자 및 상기 냉각 소자를 구동하는 온도 제어기 및 상기 RGB 광원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파장 변이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장 변이 테이블은, 홀로그램 기록광과 재생광의 파장 차이에 매질의 수축률에 따라 야기되는 재생각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RGB 광원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파장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GB 광원은, 630nm 내지 650nm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RED 레이저 다이오드, 515nm 내지 530nm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GREEN 레이저 다이오드 및 440nm 내지 450nm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BLUE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가열 소자와 상기 냉각 소자는, 상기 RGB 광원의 온도를 10℃ 내지 80℃의 범위에서 가변할 수 있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소자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RGB 광원을 가열하고 온도를 유지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소자는, 대류, 전도 또는 전달 방식으로 상기 RGB 광원의 열을 냉각하고 온도를 유지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RGB 광원에 대하여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홀로그래픽 영상의 색분산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분산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면서 넓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RGB 광원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고휘도의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레이저 프로젝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파장 변이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레이저 프로젝터의 색분산 개선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색분산 개선 프로세스에서의 입력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3의 색분산 개선 프로세스에서의 각 파장의 색분리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3의 색분산 개선 프로세스에 의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일 측, 타 측 등과 같은 표현은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레이저 프로젝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파장 변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홀로그래픽 레이저 프로젝터는 원본의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비디오 신호 입력부(100)와,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따라 전반적인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제어부(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300)와, 제어부(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LD 구동부(400)와, 패널 구동부(300) 및 LD 구동부(400)의 신호를 받아 RGB 영상을 구현하는 패널(500)과, 패널 표시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렌즈(600)와, 렌즈(600)를 통과한 최종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7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어부(200)는 각 RGB 광원(410,420,43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220), 각 RGB 광원(410,420,430)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가열/냉각 소자(211,212), 가열/냉각 소자(211,212)를 구동하여 RGB 광원(410,420,430)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기(210) 및 RGB 광원(410,420,430)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파장과 회절 각도의 변이값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23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홀로그래픽 레이저 프로젝터는 비디오 신호 입력부(100)의 영상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부(200)에서 패널 구동부(300)와 LD 구동부(4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패널 구동부(300)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패널(500)을 구동하여 영상을 생성하며, 패널(500)은 DLP, MEMS scanner, LCoS, LCD, DM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LD 구동부(400)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RGB 광원(410,420,430)의 구동을 제어하고, RGB 광원(410,420,430)은 RED LD(410), GREEN LD(420) 및 BLUE LD(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RED LD(410)는 630nm 내지 650nm 범위의 파장을 갖고, GREEN LD(420)는 515nm 내지 530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며, BLUE LD(430)는 44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또한, RED LD(410), GREEN LD(420) 및 BLUE LD(430)는 고휘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레이저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널(5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렌즈(600)를 거쳐 스크린(700)에 투사되고, 스크린(700)에 투사(project)된 영상을 차량의 윈드스크린(미도시)에 투사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홀로그램 광학 소자를 이용한 레이저 프로젝터는 온도에 따른 광원의 파장 변화로 인하여 색분리 현상이 발생하며, 색분리는 기록 광원과 홀로그램이 기록되는 포토폴리머(매질)의 수축률, 그리고 홀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 광원의 파장 차이 등으로 인해 회절 각도가 기록 각도 대비 틀어지는 현상(재생 각, θ)이 발생함에 기인한다. 색분리를 초래하는 재생 각(θ)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재생 각(θ) =
Figure pat00001
(여기서, n : 매질 수출률, λrec : 기록 파장, λplay : 재생 파장, θrec : 기록 각을 의미한다.)
일 예로, 온도 상승에 따른 각 RGB 광원(410,420,430)의 파장과 회절 각도 변이는 표 1과 같은 테이블로 정리될 수 있으며, 각 RGB 광원(410,420,430)은 도 2와 같이 광원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파장이 변이된다.
광원 온도(℃) 파장 변이(△λ) 회절 각도 변이(△°)


RED
0 0 0
15 1 0.12
30 2 0.25
45 2.5 0.31

GREEN
0 0 0
20 1 0.11
40 1.5 0.16


BLUE
0 0 0
10 2 0.17
20 4 0.34
25 5 0.42
이와 같이 온도 변화에 기인한 각 RGB 광원의 색분리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레이저 프로젝터는 온도 제어기(210)와 함께 온도 센서(220), 가열 소자(211), 냉각 소자(212) 및 메모리(230)를 구비한다.
온도 제어기(210)는 가열 소자(211) 및 냉각 소자(212)의 구동을 제어하여 RGB 광원(410,420,430)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의한 색분리를 최소로 한다. 가열 소자(211)와 냉각 소자(212)는 각 RGB 광원(410,420,43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원의 온도를 10℃ 내지 80℃의 범위에서 가변할 수 있는 소자로 구성된다. 가열 소자(211)는 광원에 열을 가하는 소자로서, 일 예로, 니크롬선, 핫 플레이트 등의 가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소자(212)는 대류, 전도, 전달 등의 방식으로 광원의 열을 흡수 및 방출하여 광원을 냉각하고 온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소자로서, 일 예로, 팬, 알루미늄 플레이트, 펠티에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제어기(210)는 가열 소자(211) 및 냉각 소자(212)의 구동을 제어하여 광원의 온도를 10℃ 내지 80℃의 범위에서 가변하며, 목표값의 ±2.5℃ 범위에서 광원의 온도를 설정 및 유지한다. 이와 같은 온도의 제어에 따라 RGB 광원의 회절각(재생각) 차이는 ±0.1°이내의 범위가 유지되도록 한다.
온도 센서(220)는 각 RGB 광원(410,420,430)에 배치되어 광원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200)에 전송한다. 제어부(200)는 메모리(230)로부터 감지된 광원의 온도에 따라 색분리를 최소로 하는 각 광원의 목표 온도 데이터를 추출하여 온도 제어기(21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메모리(230)로부터 미리 설정된 온도(Ref)를 기준으로 하거나 RED LD(410), GREEN LD(420) 또는 BLUE LD(430) 중 특정 광원의 온도를 기준으로 해당 온도에 대응하는 파장 및 회절각의 변이를 참고하여 다른 광원의 목표 온도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광원은 온도 변화가 가장 작은 광원이나 평균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광원이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제어기(210)는 가열 소자(211) 또는 냉각 소자(212)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각 RGB 광원(410,420,430)이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각 광원의 색분리를 최소로 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에서 이루어지는 색분산을 개선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레이저 프로젝터의 색분산 개선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색분산 개선 프로세스에서의 입력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색분산 개선 프로세스에서의 각 파장의 색분리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색분산 개선 프로세스에 의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비디오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고(S11),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패널 구동부(300)와 LD 구동부(400)에 영상 정보를 전송한다(S12). 이때, 도 4와 같은 영상이 입력될 수 있으며, LD 구동부(400)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도 5와 같이 RED, GREEN 및 BLUE로 분리하여 RED LD(410), GREEN LD(420) 및 BLUE LD(430)를 구동한다.
이와 동시에 온도 센서(220)는 각 RGB 광원(410,420,430)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하고(S13), 제어부(200)는 온도 변화가 없는 경우 패널(500)에 패널(500)은 패널 구동부(300) 및 LD 구동부(400)의 신호를 받아 RGB 영상을 구현하여 출력한다(S14,S15). 온도 센서(220)를 통하여 각 RGB 광원(410,420,430)에서 온도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메모리(230)로부터 각 RGB 광원(410,420,430)의 목표 온도를 추출하여 온도 제어기(210)에 전송한다(S14,S16). 이때, 목표 온도는 기준 온도가 미리 설정되거나(예컨대 25℃), RGB 광원 중 온도 변화가 가장 작은 광원 또는 변화된 온도의 평균값 등이 선택될 수 있다(예컨대 GREEN LD). 목표 온도 정보를 전송받은 온도 제어기(210)는 가열 소자 또는 냉각 소자를 구동하여 RGB 광원이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S17). 따라서, RGB 광원의 온도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파장 및 회절각의 변이를 최소로 하여 색분산을 개선하고, 도 6과 같은 양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비디오 신호 입력부
200 : 제어부
210 : 온도 제어기 220 : 온도 센서
230 : 메모리 211 : 가열 소자
212 : 냉각 소자
300 : 패널 구동부
400 : LD 구동부
500 : 패널
600 : 렌즈
700 : 스크린

Claims (8)

  1. RGB 영역의 빛을 방출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에 있어서,
    RGB 광원에 온도 센서, 가열 소자 및 냉각 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광원의 온도 변화에 근거하여 파장 변이 테이블로부터 각 광원의 목표 온도를 추출하고, 각 광원이 추출된 상기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 소자 또는 상기 냉각 소자를 구동하는 온도 제어기를 포함하는, 레이저 프로젝터의 색분산 개선장치.
  2.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비디오 신호 입력부;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를 패널 구동부와 LD 구동부에 전송하고, RGB 광원에서 감지되는 온도 변화에 근거하여 파장 변이 테이블로부터 각 RGB 광원의 목표 온도를 추출한 후 각 RGB 광원이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RGB 광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LD 구동부;
    상기 패널 구동부의 신호 및 LD 구동부의 광을 받아 RGB 영상을 구현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GB 광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RGB 광원에 열을 가하거나 상기 RGB 광원의 열을 방출하여 상기 RGB 광원이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열 소자 및 냉각 소자와, 상기 가열 소자 및 상기 냉각 소자를 구동하는 온도 제어기 및 상기 RGB 광원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파장 변이 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변이 테이블은,
    홀로그램 기록광과 재생광의 파장 차이에 매질의 수축률에 따라 야기되는 재생각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RGB 광원의 온도 변화에 따른 파장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GB 광원은,
    630nm 내지 650nm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RED 레이저 다이오드, 515nm 내지 530nm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GREEN 레이저 다이오드 및 440nm 내지 450nm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BLUE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소자와 상기 냉각 소자는,
    상기 RGB 광원의 온도를 10℃ 내지 80℃의 범위에서 가변할 수 있는 소자로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소자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RGB 광원을 가열하고 온도를 유지하는 소자로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소자는,
    대류, 전도 또는 전달 방식으로 상기 RGB 광원의 열을 냉각하고 온도를 유지하는 소자로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KR1020210146404A 2021-10-29 2021-10-29 색분산 개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KR20230063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04A KR20230063907A (ko) 2021-10-29 2021-10-29 색분산 개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04A KR20230063907A (ko) 2021-10-29 2021-10-29 색분산 개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907A true KR20230063907A (ko) 2023-05-10

Family

ID=8638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404A KR20230063907A (ko) 2021-10-29 2021-10-29 색분산 개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9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203A (ko) 2019-07-16 2021-01-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레이저프로젝터 기반 홀로그래픽 hud의 색분리 보상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203A (ko) 2019-07-16 2021-01-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레이저프로젝터 기반 홀로그래픽 hud의 색분리 보상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0318B1 (en) Foveated mems scanning display
JP4216161B2 (ja) 拡張色域を有する画像化装置、色域を有する画像化装置、および画像化装置に拡張色域を提供する方法
US1047717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JP5416129B2 (ja) 立体的デジタル画像プロジェクタ
US7116455B2 (en) Imaging apparatus
KR101658787B1 (ko) 주사 진폭 변화에 의한 주사 프로젝터 왜곡 교정
US9069105B2 (en) Low thermal stress birefringence imaging lens
US8096665B2 (en) Spatially offset multi-imager-panel architecture for projecting an image
JP5731636B2 (ja) 応力複屈折性能基準を用いたレンズ設計方法
JP2009520217A (ja) Lcdパネルを用いる立体視表示装置
JP2015513686A (ja) 傾斜フィルタ付立体視眼鏡
US6530666B1 (en) Focusing projection displays
US9841578B2 (en) Projector
CN111279250B (zh) 导光板、导光板制造方法和影像显示装置
US109727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color separation of image in a laser projector-based holographic head-up 3 display
JP2015508611A (ja) 可調光輻射器を使用する立体投射システム
JP2022516641A (ja)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のバーチャル像の色補正
JP5353572B2 (ja) 画像表示装置
KR20230063907A (ko) 색분산 개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프로젝터
US20060279708A1 (en) Electronic display apparatus having adaptable color gamut
US20190018306A1 (en)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JP2006313201A (ja) 画像プロジェクタ装置
WO2022196204A1 (ja) 表示装置
JP3108223B2 (ja) 小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H06130326A (ja) 投写型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