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761A -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 - Google Patents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761A
KR20230063761A KR1020210149164A KR20210149164A KR20230063761A KR 20230063761 A KR20230063761 A KR 20230063761A KR 1020210149164 A KR1020210149164 A KR 1020210149164A KR 20210149164 A KR20210149164 A KR 20210149164A KR 20230063761 A KR20230063761 A KR 20230063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uide wire
suction
adsorption unit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서
Original Assignee
박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서 filed Critical 박현서
Priority to KR102021014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3761A/en
Publication of KR2023006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7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a wind turb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a wind turbine, which can perform various maintenance tasks on a blade, such as blade surface cleansing, crack inspection, abnormal noise measurement, and coating application, while running in the state of being adsorb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of a wind generator, and in particular, can perform maintenance without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blade by running on the outer surface of a single blade without a separate fixture on a tower, and at the same time has significantly improved installation workability. To this end, the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a wind turbine comprises a first adsorption unit, a second adsorption unit, a first guide wire, a second guide wire, and a plurality of spacing and supporting units.

Description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주행하면서 블레이드의 각종 유지보수 작업, 예컨대, 블레이드의 표면 클렌징, 균열검사, 이상소음 측정, 코팅제 도포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되, 특히, 타워에 별도의 고정체를 마련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단일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주행함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이동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동시에, 유지보수기의 설치 작업성을 대폭 개선한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tenance machine for wind turbine blades, and more particularly, various maintenance operations of the blades, such as cleaning the surface of the blades, inspecting cracks, It is possible to perform tasks such as measuring abnormal noise and applying coating agents, but in particular, by driving the outer surface of a single blade in a state where a separate fixture is not provided on the tower, maintenance is performed without stopp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ade. It relates to a maintenance machine for a wind turbine blade that can perform work and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improves the installation workability of the maintenance machine.

풍력 발전은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비교적 효율이 높으며 시장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기술 개발 및 활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 풍력 발전은 육상 풍력 발전을 위주로 발달했으나, 터빈의 대형과, 소음 및 진동, 장소의 제한 등의 문제로 최근 해상 풍력 발전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인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해상 풍력 발전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어, 전망이 매우 밝다고 볼 수 있다.Wind power generation is relatively efficient among new and renewable energies and has market competitiveness, so technolog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re gradually increasing. Early wind power generation developed mainly onshore wind power generation, but recently,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has been in the limelight due to problems such as the large size of the turbine, noise and vibration, and location limitations. In particular, Korea has very favorable condition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due to it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being sea on three sides, so it can be seen that the prospect is very bright.

이러한 풍력 발전기는 발전기, 타워, 타워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때, 지지구조물은 해저 설치면까지 연장 매립되어 상부구조물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Such a wind power generator has a structure including a generator, a tower, and a support structure supporting the tower from the bottom. At this time, the support structure extends to the subsea installation surface and is buried to firmly support the superstructure.

한편, 풍력 발전기는 고장이나 사고를 예방하고 동작효율을 높이기 위해 설치 후에도 발전기 블레이드의 청소, 검사, 디아이싱(Deicing: 블레이드 등에 형성된 얼음을 제거하는 일) 등의 주기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wind power generators require periodic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inspection, and deicing (removing ice formed on blades) of generator blades even after installation in order to prevent failures or accidents and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그러나 풍력 발진기는 타워의 높이가 대략 100미터에 이르고, 블레이드 길이도 40 ~ 70미터 또는 그 이상에 이르는 큰 구조물이기 때문에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블레이드는 고공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지관리를 위해 작업자가 공중에 매달려야 하는 등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위험하다.However, since the wind generator is a large structure with a tower height of about 100 meters and a blade length of 40 to 70 meters or mo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In particular, since the blade is located at high altitude, the working environment is poor and dangerous, such as a worker having to hang in the air for maintenance.

이러한 문제로, 근래에는 작업자가 블레이드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서도 블레이드의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Due to this problem, in recent years, devices that allow operators to perform blade maintenance without directly approaching the blades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대부분의 유지관리 장치는 블레이드 주변에 장치를 장착할 때 고정점을 타워에 마련한 상태에서 블레이드를 향해 장치를 연장 설치하였기 때문에,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복수의 블레이드를 유지관리함에 있어, 타워에 근접한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에만 장치를 연결할 수밖에 없는 관계로, 작업 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졌고, 특히, 블레이드의 회전이동을 반드시 중지시킨 다음 장치를 작동시켜야 했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유지관리를 하는 동안 발전을 수행할 수 없었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maintenance devices extend the device towards the blade with a fixing point provided on the tower when the device is mounted around the blade, the structure is quite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plurality of blades. However, since the device had to be connected to only one blade close to the tower, the work efficiency was remarkably reduc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possible to carry out development during the period.

등록특허 10-1720561Registered Patent No. 10-172056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주행하면서 블레이드의 각종 유지보수 작업, 예컨대, 블레이드의 표면 클렌징, 균열검사, 이상소음 측정, 코팅제 도포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되, 특히, 타워에 별도의 고정체를 마련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단일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주행함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이동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동시에, 유지보수기의 설치 작업성을 대폭 개선한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view of the various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various maintenance operations of the blades, such as cleaning the surface of the blades and inspecting cracks, while driving while being adsorb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s of the wind power generator. , abnormal noise measurement, coating agent application, etc. can be performed, but in particular, by driving the outer surface of a single blade in a state where a separate fixture is not provided on the towe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ade is maintained without stopp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intenance machine for wind turbine blades capable of performing maintenance work and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improving installation workability of the maintenance machin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블레이드의 일측면에 흡착력을 통해 부착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제1 흡착부; 블레이드의 타측면에 흡착력을 통해 부착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제2 흡착부; 상기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 각각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블레이드의 둘레방향으로 감기는 제1 가이드와이어; 상기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 각각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와이어에 반대되는 블레이드의 둘레방향으로 감기는 제2 가이드와이어; 및 상기 제1 가이드와이어와 제2 가이드와이어가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제1 가이드와이어와 제2 가이드와이어를 이격 지지하는 복수 개의 이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에는 유지보수수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adsorption unit traveling in a st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lade through the adsorption force; A second adsorption unit traveling in a state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blade through adsorption force; A first guide wire connected to the front of each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and wou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A second guide wire connected to the rear of each of the first suction part and the second suction part and wou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opposite to the first guide wire; and a plurality of spaced support units spaced apart and supporting the first guide wire and the second guide wire so that the first guide wire and the second guide wire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tenance mean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part.

또한, 상기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는 제1 가이드와이어와 제2 가이드와이어를 각각 내측으로 감거나 풀어주면서 블레이드의 둘레방향을 따라 주행하고, 흡착 고정된 제자리에서 방향을 선회하여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의 주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dsorption unit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trave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while winding or unwinding the first guide wire and the second guide wire inward, respectively, and rotate in the direction where the adsorption is fixed to the length of the bla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riving in the direction is possible.

또, 상기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 각각은, 상면에 제1 관통홀이, 하면에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 하면에는 제2 관통홀을 중심에 두고 도넛형태의 끼움턱이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 전후로 장착되는 하게 복수 개의 바퀴; 좌우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바퀴를 각각 연결하며, 외측으로 축기어가 결합되는 차축; 상기 차축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결합되며 상기 축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 한 쌍의 좌측 바퀴와 한 쌍의 우측 바퀴에 각각 둘러지며 복수 개의 흡착판이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 구성되는 한 쌍의 벨트;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되 복수 개의 흡착판 각각에 제1 진공호스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흡착판으로 흡착력을 제공하는 진공흡착펌프;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선회모터의 구동축 상에 결합되는 제1 선회기어; 내공간을 가지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턱 내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며 하면에는 상기 제2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하우징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선회기어와 치합되는 제2 선회기어가 형성되며 마주하는 전후면에 상기 제1 가이드와이어와 제2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한 쌍의 와이어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는 드럼케이스; 상기 드럼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2 관통홀과 연통홀을 상호 통과하여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액츄에이터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여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촉 지지되며, 상기 진공흡착펌프에 제2 진공호스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어 흡착력을 가지는 부양판; 상기 드럼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된 제1 견인모터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통과공을 통해 드럼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된 제1 가이드와이어를 외측으로 감거나 풀어주는 제1 견인롤; 및 상기 드럼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된 제2 견인모터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통과공을 통해 드럼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된 제2 가이드와이어를 외측으로 감거나 풀어주는 제2 견인롤;을 포함하는 터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has a first through hole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through hole on the lower surface, and a donut-shaped fitting jaw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at the center on the inner lower surface. a protruding housing;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An axle that connects a pair of wheels facing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is coupled with a shaft gear to the outside; a drive gear coupled to a drive shaft of a drive motor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xle shaft and meshed with the shaft gear; A pair of belts respectively surrounded by a pair of left wheels and a pair of right wheels and configured to connect a plurality of suction plates in an endless track; and a vacuum suction pump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ction plates via a first vacuum hose to provide suction power to the plurality of suction plates; and a first swing gear coupled to a drive shaft of a swing motor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t is made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inner space and is rotatably seated inside the fitting jaw,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part extends 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 drum case in which a pair of wire passage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wire and the second guide wire pass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second swing gear meshing with the first swing gea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 actuator that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drum case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mutually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It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actuat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and is selectively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and is connected to the vacuum suction pump via a second vacuum hose to provide suction power Floating plate having; A first traction roll tha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by a first traction motor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drum case and winds or unwinds the first guide wire introduced into the drum case through the wire passage hole to the outside; And a second pull roll that rotates forward and reverse by a second pull motor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drum case and winds or unwinds the second guide wire introduced into the drum case through the wire passage hole to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urning unit comprising a.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가 부양판을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향해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부양판이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흡착 고정되면 본체가 블레이드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며 이 상태에서 선회모터가 작동되면 흡착 고정된 드럼케이스를 중심으로 하여 본체가 상대회전됨으로써 제1 흡착부 또는 제2 흡착부의 주행방향이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the actuator operates the lifting plate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when the lifting plate is adsorb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the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at a certain height, and in this state, when the swing motor is operated, the suction is fixed As the main body is relatively rotated with the drum case as the center,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or the second adsorption unit is turned.

또, 상기 진공흡착펌프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연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진공흡착펌프가 상기 차축의 회전방향과 동기 회전되며, 상기 부양판은, 상기 제2 진공호스가 연결되며 제1 진공유로가 형성되는 스테이지; 및 상기 스테이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진공유로의 대응개소에 제1 진공유로와 연통되는 제2 진공유로가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이격지지부 각각은, 블레이드의 외측면으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가이드와이어 또는 제2 가이드와이어를 접선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되는 복수 개의 캐스터; 및 상기 캐스터와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진공호스에는 관로를 개폐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결합되며, 각각의 흡착판에는 블레이드의 외측면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접촉센서와 외측면에 흡착되는 흡착패드가 각각 내장되고 상기 제1 진공호스는 상기 흡착패드와 직결되어 흡착패드가 흡착력을 가지며, 상기 흡착판의 접촉센서가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제1 진공호스의 관로를 개방하여 진공흡착펌프의 흡착력이 해당 흡착판의 흡착패드 상에 가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interlocking gear engaged with the drive gear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vacuum suction pump so that the vacuum suction pump rotates synchronously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axle shaft, and the lift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cuum hose and the first a stage in which a vacuum passage is formed; and an elastic pad coupled to the stage and having a second vacuum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vacuum passage form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cuum passage 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d support parts includes a blade Supports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Guide rolle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and guiding the first guide wire or the second guide wire in a tang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casters that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and an elastic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caster and the support, wherein a solenoid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pe is coupled to the first vacuum hose, and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detecting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on each suction plate. The generated contact sensor and the suction pad adsorbed to the outer surface are built-in, and the first vacuum hos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pad, so that the suction pad has an adsorption force, and the contact sensor of the suction plate detects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When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solenoid valve opens the duct of the first vacuum hose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suction pump is applied to the suction pad of the corresponding suction plate.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주행하면서 블레이드의 각종 유지보수 작업, 예컨대, 블레이드의 표면 클렌징, 균열검사, 이상소음 측정, 코팅제 도포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되, 특히, 타워에 별도의 고정체를 마련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단일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주행함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이동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동시에, 유지보수기의 설치 작업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maintenance tasks of the blade, such as surface cleansing of the blade, crack inspection, abnormal noise measurement, coating agent application, etc. In particular, by driving the outer surface of a single blade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fixture on the tower,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rup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ade, and at the same time, the installation workability of the maintenance machine can be improved. can be vas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a는 흡착부의 정면을, 도 3b는 흡착부의 측면을 도 3c는 흡착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a의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a의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a의 C-C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부양판의 단면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체가 블레이드로부터 부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드럼케이스를 회전기준으로 본체가 일정 각도 회전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흡착판과 진공흡착펌프의 연결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2의 이격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6은 흡착부가 블레이드의 둘레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maintenance machine for wind turbine bla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line AA shown in Figure 1;
3a is a front view of the adsorption unit, FIG. 3b is a side view of the adsorption unit, and FIG. 3c is a view showing a bottom view of the adsorption unit.
Figur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line BB of Figure 3a.
Figure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line AA of Figure 3a;
Figure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line CC of Figure 3a.
7 is an enlarged view of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floating plat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lifted from the blade;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main body is rotated at a certain angle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drum case.
10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an adsorption plate and a vacuum adsorption pump.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paration support portion of FIG. 2;
12 to 16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suction unit travels in the circumferent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blade.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s are sometime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이하, 유지보수기라 함)은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주행하면서 블레이드(1)의 각종 유지보수 작업, 예컨대, 블레이드(1)의 표면 클렌징, 균열검사, 이상소음 측정, 코팅제 도포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되, 특히, 타워에 별도의 고정체를 마련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단일 블레이드(1)의 외측면을 주행함으로써, 블레이드(1)의 회전이동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동시에, 유지보수기의 설치 작업성을 대폭 개선하였다.The wind turbine blade maintenance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intenanc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various maintenance tasks of the blade 1 while traveling in a state of adsorption and fixatio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of the wind turbine, for example, the blade It is possible to perform tasks such as surface cleansing, crack inspection, abnormal noise measurement, and coating agent application in (1). ,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even without stopp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ade 1, and at the same time, installation workability of the maintenance machine is greatly improv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기는 크게, 제1 흡착부(10), 제2 흡착부(20), 제1 가이드와이어(30), 제2 가이드와이어(40), 이격지지부(50) 및 유지보수수단(6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intenanc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first adsorption unit 10, a second adsorption unit 20, a first guide wire 30, a second guide wire 40, a separation support unit 50, and It can be defined as including a maintenance means (60).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는 각각 블레이드(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흡착력을 통해 부착된 상태에서 주행할 수 있다.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may travel while being attach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lade 1 through adsorption force, respectively.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에는 유지보수수단(6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는데, 이때, 유지보수수단(60)이라 함은, 블레이드(1)의 유지보수에 사용하는 도구들, 예컨대, 청소용 브러쉬, 압축수 내지 압축공기분사장치, 소음측정기, 경사도측정기, 표면균열검출센서, 약제도포기 등 다양한 구성이 채택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사항으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maintenance means 6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At this time, the maintenance means 60 refers to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blade 1.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tools used for cleaning, for example, a cleaning brush, a compressed water or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a noise meter, an inclination meter, a surface crack detection sensor, and a chemical applicator may be adopted, which can be referred to from known matters.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below.

다시,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는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블레이드(1)의 둘레방향을 따라 주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도 방향을 선회하여 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으로까지도 주행을 가능케 하는 구조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부를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흡착부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Again,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can trave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1 while being adsorb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and adsorbed and fixed as needed. Even in the state, it has a structure that enables driving ev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 by turning th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adsorption unit is limited to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but in some cases, a larger number of adsorption units may be added, and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와이어(30)는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 각각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블레이드(1)의 둘레방향으로 감기고, 제2 가이드와이어(40)는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 각각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와이어(30)에 반대되는 블레이드(1)의 둘레방향으로 감김으로써 블레이드(1)의 둘레방향을 따라 폐쇄루프의 구조가 갖춰진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first guide wire 30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each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and is wou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1, The second guide wire 40 is installed connected to the rear of each of the first suction part 10 and the second suction part 20 and is wou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1 opposite to the first guide wire 30. As a result, a structure of a closed loop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1).

이에, 서로 이격된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가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에 의해 양측에서 서로 연결 지지되어,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이 가능해진다.Thus,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connected and supported on both sides by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40, so that the blade 1 It is possible to drive more stably on the outer surface.

또한, 불측의 사유로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흡착력 파괴가 발생해 블레이드(1)로부터 탈락될 경우에도,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에 의해 서로 연결 지지된 상태가 되므로, 낙하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is destroyed and detached from the blade 1 due to an unexpected reason,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Since they are connected and supported by the two guide wires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all accident.

한편, 블레이드(1)는 단부로 갈수록 둘레길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구조적 특징이 있는데, 이에,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는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를 각각 내측으로 감거나 풀어주면서 블레이드(1)의 둘레방향을 따라 주행함으로써 블레이드(1)의 둘레길이 변화에 대응해 적절한 조임력을 가하면서 블레이드(1)의 외측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On the other hand, the blade 1 has a structural featur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leng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and thus,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are provided by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By driv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1 while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40 inward, respectively,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is more stable while applying an appropriate clamping forc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blade 1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riven.

또한,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는 블레이드(1)의 둘레방향으로의 주행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흡착 고정된 제자리에서 방향을 선회하여 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으로의 주행까지 가능하게 하여, 블레이드(1)의 전체적인 면적의 유지보수를 가능케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not only trave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1, but also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adsorbed and fixed as needed to ro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 It is possible to travel to, enabling maintenance of the entire area of the blade (1).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structures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바, 제1 흡착부(1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Since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have the same structure,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착부(10)는 크게, 제1 흡착부(10)의 외관을 구성하며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흡착력을 가지고 흡착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100)의 하부로 선택적으로 출몰하여 상기 본체(100)를 블레이드(1) 상에서 부양시키고,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를 감거나 풀어주게 작동하는 터닝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largely constitutes the appearance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is adsorbed with an adsorption for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in a specific direction. The main body 100 that provides driving force for traveling to the main body 100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o be relatively rotatable and selectively protrudes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to lift the main body 100 on the blade 1 And, it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turning unit 200 that operates to wind or release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40.

먼저 본체(100)는 크게 하우징(110), 바퀴(120), 차축(130), 구동모터(140), 구동기어(150), 벨트(160) 및 진공흡착펌프(17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First, the main body 10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housing 110, wheels 120, an axle 130, a drive motor 140, a drive gear 150, a belt 160, and a vacuum suction pump 170. It can be.

하우징(110)은 내공간을 가지는 함체 형태로 마련되며 상면에 제1 관통홀(111)이, 하면에 제2 관통홀(112)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 하면에는 제2 관통홀(112)을 중심에 두고 도넛형태의 끼움턱(113)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housing 1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enclosure having an inner space, and a first through hol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through hole 1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12 is center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It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donut-shaped fitting jaw 113 protrudes.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전술한 유지보수수단(6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aintenance means 6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끼움턱(113)의 내측으로는 후술 될 터닝유닛(200)의 드럼케이스(230)가 안착 결합되어. 드럼케이스(230)가 본체(1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Inside the jaw 113, the drum case 230 of the turning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and coupled. The drum case 230 may be provid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

다음으로, 바퀴(120)는 하우징(110)의 좌우측 전후로 장착되며, 예컨대, 좌우 전방의 한 쌍, 좌우 후방의 한 쌍으로서 차축(130)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질 수 있다.Next, the wheels 120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connected by the axle 130 as, for example, a left and right front pair and a left and right rear pair.

차축(130)은 좌우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바퀴(120)를 각각 연결하며, 외측으로 축기어(131)가 결합될 수 있다. 차축(130)은 좌우 전방의 한 쌍의 바퀴(120)를 연결하는 전방 차축(130)과 좌우 후방의 한 쌍의 바퀴(120)를 연결하는 후방 차축(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Axle 130 connects a pair of wheels 120 facing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an axis gear 131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The axle 130 may include a front axle 130 connec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120 and a rear axle 130 connec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120 .

다음으로, 구동모터(140)는 상기 차축(1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차축(130)이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 상에는 구동모터(140)가 전방 차축(1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다.Next, the driving motor 14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xle 130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to enable the axle 130 to be rotationally driven.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drive motor 14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axle 130 .

다음으로, 구동기어(150)는 구동모터(140)의 구동축 상에 결합되며 상기 축기어(131)와 치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을 차축(130)으로 전달하여 바퀴(1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driving gear 150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140 and meshes with the shaft gear 131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40 to the axle 130 so that the wheels 120 allow it to rotate.

전술한 바퀴(120), 차축(130), 구동모터(140), 구동기어(150) 등의 구성은 전동주행장치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동력전달계통 구성으로서, 본체(100)는 전술한 구성 외, 통상적인 전동주행장치의 필수 동력전달계통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밝힌다.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such as the wheel 120, the axle 130, the drive motor 140, and the drive gear 150 are components of a power transmission system generally included in an electric driving device, and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than those described above. However, it is revealed that essential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onents of a conventional electric driving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다음으로, 벨트(160)는 한 쌍의 좌측 바퀴(120)와 한 쌍의 우측 바퀴(120)에 각각 둘러져 각각의 바퀴(120)를 연동시키며,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면대 면으로 접촉해 마찰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복수 개의 흡착판(161)이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 구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Next, the belt 160 is wrapped around a pair of left wheels 120 and a pair of right wheels 120 to interlock each wheel 120, and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face-to-face. As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frictional resistance, a plurality of suction plates 161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인접한 흡착판(161)은 경첩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서로 유연하게 연결되어져 각각의 흡착판(161)이 곡면의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고루 흡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Adjacent suction plates 161 are flexi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hinge so that each suction plate 161 can be evenly suctioned and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blade 1.

각각의 흡착판(161)은 제1 진공호스(171)를 매개로 후술 될 진공흡착펌프(170)에 연결 설치되어 진공 흡착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Each suction plate 161 may be connected to a vacuum suction pump 170 to be described later via a first vacuum hose 171 to receive vacuum suction force.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진공호스(171)에는 관로를 개폐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171a)가 결합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흡착판(161)에는 블레이드(1)의 외측면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접촉센서(162)와 외측면에 흡착되는 흡착패드(163)가 각각 내장될 수 있으며, 제1 진공호스(171)는 상기 흡착패드(163)와 직결되어 흡착패드(163)가 흡착력을 가지는 구조를 갖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0 , a solenoid valve 171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vacuum hose 171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pipeline. In addition, a contact sensor 162 for detecting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and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and a suction pad 163 adsorbed to the outer surface may be embedded in each suction plate 161, respectively. The first vacuum hose 17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pad 163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ction pad 163 has an adsorption force.

한편, 솔레노이드밸브(171a)는 상기 접촉센서(162)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제어될 수 있는데, 예컨대, 흡착판(161)의 접촉센서(162)가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71a)가 제1 진공호스(171)의 관로를 개방하여 진공흡착펌프(170)의 흡착력이 해당 흡착판(161)의 흡착패드(163) 상에 가해지도록 한다.Meanwhile, the solenoid valve 171a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ontact sensor 162. For example, the contact sensor 162 of the suction plate 161 detects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When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solenoid valve 171a opens the duct of the first vacuum hose 171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suction pump 170 is applied to the suction pad 163 of the corresponding suction plate 161.

반대로, 흡착판(161)이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접촉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밸브(171a)가 제1 진공호스(171)의 관로를 폐쇄함으로써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벨트(160)에서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아니하는 흡착판(161)에서는 불필요한 흡착력의 낭비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춘다.Conversely,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late 161 does not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the solenoid valve 171a closes the duct of the first vacuum hose 171 so that the blade 160 rotates in an endless orbit. The adsorption plate 161, which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1), has a structure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adsorption force.

다음으로, 진공흡착펌프(170)는 하우징(110)에 내장되며 복수 개의 제1 진공호스(171)를 매개로 각각의 흡착판(161)의 흡착패드(163)와 연결 설치되어 흡착패드(163)로 흡착력을 제공한다.Next, the vacuum suction pump 170 is built into the housing 110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pad 163 of each suction plate 161 via a plurality of first vacuum hoses 171, so that the suction pad 163 provides adsorption power.

이때, 벨트(160)의 무한궤도의 회전이동에 따라 각각의 흡착판(161)에 연결 설치된 제1 진공호스(171)들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진공흡착펌프(170)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기어(150)와 치합되는 연동기어(173)가 형성되어 상기 진공흡착펌프(170)가 상기 차축(130)의 회전방향과 동기 회전되는 구조를 갖춘다.At this time, the outer side of the vacuum suction pump 170 to prevent the first vacuum hoses 171 connected to each suction plate 161 from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endless orbit of the belt 160, the drive gear ( 150) is formed so that the vacuum suction pump 170 rotates synchronously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axle 130.

이에, 구동모터(140)가 차축(130)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진공흡착펌프(170)도 제자리에서 함께 회전하는 구조가 되어 진공흡착펌프(170)에 연결된 각각의 제1 진공호스(171)가 서로 엉키지 아니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e motor 140 rotates the axle 130, the vacuum suction pump 170 also rotates in place in conjunction with this, so that each of the first vacuum hoses 171 connected to the vacuum suction pump 170 ) are not intertwined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터닝유닛(200)은 크게, 선회모터(210), 제1 선회기어(220), 드럼케이스(230), 액츄에이터(240), 부양판(250), 제1 견인모터(260), 제1 견인롤(270), 제2 견인모터(280) 및 제2 견인롤(29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Next, the turning unit 200 largely includes a swing motor 210, a first swing gear 220, a drum case 230, an actuator 240, a lift plate 250, a first traction motor 260,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first traction roll 270 , a second traction motor 280 and a second traction roll 290 .

먼저, 선회모터(21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어 본체(100)의 방향을 선회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한다.First, the swing motor 210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to provide rotational force for turning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

선회모터(210)가 작동하게 되면 하우징(110)을 포함한 본체(100) 전체는 후술 될 드럼케이스(230)를 회전기준으로 하여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swing motor 210 operates, the entire main body 100 including the housing 110 can be rotated in place with the drum case 230 to be described later as a reference for rotation.

다음으로, 제1 선회기어(220)는 선회모터(210)의 구동축 상에 결합되어 선회모터(2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Next, the first swing gear 220 may be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swing motor 210 and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wing motor 210 .

다음으로, 드럼케이스(230)는 내공간을 가지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10)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턱(113) 내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끼움턱(113)과 드럼케이스(230)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Next, the drum case 230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ner space and is rotatably seated inside the fitting jaw 113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t this time, a bea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jaw 113 and the drum case 230 as needed.

드럼케이스(230)의 하면에는 제2 관통홀(112)과 연통되는 연통홀(231)이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1 관통홀(111)을 통해 하우징(110)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A communication hole 231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1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rum case 230, and the upper part extends outward from the top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1.

하우징(110) 외측으로 연장된 드럼케이스(230)의 상부로는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가 관통되어질 수 있다.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40 may pass through the top of the drum case 230 extending outside the housing 110 .

드럼케이스(230)의 외주면에는 제1 선회기어(220)와 치합되는 제2 선회기어(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선회모터(210)의 구동력이 제1 선회기어(220)와 제2 선회기어(232)에 의해 드럼케이스(230)로 전달되는 구조가 갖춰지며, 선회모터(210)가 작동하게 되면 드럼케이스(230)와 본체(100) 사이에 상대회전이 일어날 수 있다.A second swing gear 232 engaged with the first swing gear 2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case 230 . Thus, a structure is provided in which the driving force of the swing motor 210 is transmitted to the drum case 230 by the first swing gear 220 and the second swing gear 232, and when the swing motor 210 operates, the drum Relative rotation may occur between the case 230 and the main body 100 .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드럼케이스(230)의 상부의 마주하는 전후면에는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가 통과하는 한 쌍의 와이어통과공(233)이 관통 형성되어 드럼케이스(230)의 내측으로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를 감거나 또는 풀어줄 수 있도록 한다.A pair of wire passage holes 233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40 pass are formed on the facing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part of the drum case 2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Penetration is formed so that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40 can be wound or unwound to the inside of the drum case 230 .

다음으로, 액츄에이터(240)는 드럼케이스(23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제2 관통홀(112)과 연통홀(231)을 상호 통과하여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Next, the actuator 240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drum case 230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by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12 and the communication hole 231.

액츄에이터(240)는 상하로 왕복 직선운동을 가능케 하는 선에서, 공지의 전자제어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actuator 240 may use a well-known electronically controlled cylinder or the like in a line that enables linear reciprocating motion up and down.

다음으로, 부양판(250)은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액츄에이터(24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240)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여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부양판(250)은 진공흡착펌프(170)에 제2 진공호스(172)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어 흡착력을 가질 수 있다.Next, the lift plate 25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actuator 24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240 to selectively can be supported by contact. At this time, the buoyancy plate 250 is installed connected to the vacuum suction pump 170 via the second vacuum hose 172 to have adsorption force.

즉, 제1 흡착부(10)의 주행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착부(10)의 선회 과정에서 액츄에이터(240)가 부양판(250)을 블레이드(1)를 향해 이동시키게 되면 부양판(250)은 블레이드(1)의 외측면 상에 흡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running state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s shown in FIG. 6, it can mainta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blade 1, and as shown in FIG. 8, the turning process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When the actuator 240 moves the lifting plate 250 toward the blade 1 in , the lifting plate 250 may maintain a suction-fixed stat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

이에 더해, 액츄에이터(240)가 더 신장하게 되면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흡착되었던 본체(100)의 벨트(160)가 블레이드(1)로부터 이격되면서 본체(100)가 일정 높이에 부양되어질 수 있다. 제1 흡착부(10)의 구체적인 선회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actuator 240 is further extended, the belt 160 of the main body 100 adsorb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is separated from the blade 1 so that the main body 100 can be floated at a certain height. there is. A specific turning action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판(250)은 제2 진공호스(172)가 연결되며 제1 진공유로(251a)가 형성되는 스테이지(251) 및 상기 스테이지(251)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진공유로(251a)의 대응개소에 제1 진공유로(251a)와 연통되는 제2 진공유로(252a)가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패드(25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lift plate 250 is coupled to the stage 251 to which the second vacuum hose 172 is connected and the first vacuum passage 251a is formed and the stage 251, and the first vacuum A second vacuum passage 252a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vacuum passage 251a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location of the passage 251a and may include an elastic pad 252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이와 같이,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대향되는 부양판(250)의 접촉부위를 탄성패드(252)로 구성하여 곡면으로 이루어진 블레이드(1)의 외측면 상에 부양판(250)이 보다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In this way, the contact portion of the lift plate 250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is configured with an elastic pad 252 so that the lift plate 250 adheres more close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blade 1.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contact.

다음으로, 제1 견인모터(260)는 드럼케이스(230)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견인롤(270)은 제1 견인모터(26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제1 견인모터(260)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할 수 있다.Next, the first traction motor 26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drum case 230, and the first traction roll 270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traction motor 260 to form a first traction motor 260 It can rotate forward and backward by

제1 견인롤(270)은 와이어통과공(233)을 통해 드럼케이스(2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제1 가이드와이어(30)를 외측으로 감거나 풀어줄 수 있다. 제1 견인모터(260)와 제1 견인롤(270)은 하나의 전동윈치로 대체될 수 있다.The first pull roll 270 may wind or unwind the first guide wire 30 introduced into the drum case 230 through the wire passage hole 233 to the outside. The first traction motor 260 and the first traction roll 270 may be replaced with one electric winch.

제2 견인모터(280)와 제2 견인롤(290)은 전술한 제1 견인모터(260)와 제1 견인롤(270)에 대칭되는 구조로서, 예컨대, 제2 견인모터(280)는 드럼케이스(230)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2 견인롤(290)은 제2 견인모터(28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제2 견인모터(280)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할 수 있다. 제2 견인롤(290)은 와이어통과공(233)을 통해 드럼케이스(2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제2 가이드와이어(40)를 외측으로 감거나 풀어줄 수 있다. 제2 견인모터(280)와 제2 견인롤(290)은 하나의 전동윈치로 대체될 수 있다.The second traction motor 280 and the second traction roll 290 are symmetrical to the aforementioned first traction motor 260 and the first traction roll 270, and for example, the second traction motor 280 is a drum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case 230 and the second traction roll 290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second traction motor 280 and can be rotated forward and reverse by the second traction motor 280 . The second pull roll 290 may wind or unwind the second guide wire 40 introduced into the drum case 230 through the wire passage hole 233 to the outside. The second traction motor 280 and the second traction roll 290 may be replaced with one electric winch.

블레이드(1)의 둘레방향으로 제1 흡착부(10)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제1 견인롤(270)은 제1 가이드와이어(30)를 감을 수 있으며, 반대로 제2 견인롤(290)은 제2 가이드와이어(40)를 일정 속도로 풀어줄 수 있다. While the first suction unit 10 trave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1, the first traction roll 270 can wind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traction roll 290, on the contrary, 2 The guide wire 40 can be released at a constant speed.

이에, 제1 흡착부(10), 제2 흡착부(20), 제1 가이드와이어(30) 및 제2 가이드와이어(40) 상에 작용하는 장력이 적절히 유지되고 동시에, 블레이드(1)로 향하는 조임력이 유지되면서 제1 흡착부(10)가 보다 안정적으로 블레이드(1)의 외측면을 주행할 수 있다.Thus, the tension acting on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40 is appropriately maintained and at the same time directed toward the blade 1. While the clamping force is maintained,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can more stably trave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

아울러, 블레이드(1)의 둘레길이가 달라지더라도,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가 제1 견인롤(270)과 제2 견인롤(290)에 각각 감기거나 풀리는 양을 적절히 조절 제어함으로써 장력과 조임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blade 1 is different,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40 are wound or unwound on the first pull roll 270 and the second pull roll 290, respectively. By appropriately adjusting and controlling the amount, tension and tightening force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흡착부(20) 역시 전술한 제1 흡착부(10)와 동일한 방식으로 블레이드(1)의 외측면을 주행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may also trave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described above.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가 블레이드(1)의 외측면을 주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trave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가 블레이드(1)의 둘레방향을 따라 주행하며 일 지점의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블레이드(1)의 일 지점의 둘레를 유지보수 완료하였다면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는 방향을 선회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 주행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trave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1 and perform maintenance at one point, and the blade 1 When maintenance is completed around a point,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turn and travel a certain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가 선회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240)가 부양판(250)을 블레이드(1)의 외측면을 향해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부양판(250)이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흡착 고정되어진다.Looking at the process of turning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in detail, first, as shown in FIG. 8, the actuator 240 moves the lift plate 250 to the outside of the blade 1 As it operates toward the side, the lifting plate 250 is adsorb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이어서, 액츄에이터(240)가 더 신장됨에 따라, 본체(100)가 블레이드(1)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며 이 상태에서 선회모터(210)가 작동되면 부양판(250)이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흡착 고정된 관계로, 드럼케이스(230) 자체도 부양판(250)과 함께 블레이드(1) 상에 흡착 고정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케이스(230)의 제2 선회기어(232)에 치합된 제1 선회기어(220), 선회모터(210) 등의 모든 본체(100) 구성이 일제히 흡착 고정된 드럼케이스(230)를 중심으로 하여 상대회전됨으로써 제1 흡착부(10) 또는 제2 흡착부(20)의 주행방향이 선회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the actuator 240 is further extended, the main body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 this state, when the swing motor 210 is operated, the lift plate 250 moves along the blade 1 Due to the adsorption and fix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case 230 itself is also adsorbed and fixed on the blade 1 together with the floating plate 250,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the drum case ( 230), the first swing gear 220 meshed with the second swing gear 232, and all main body 100 components such as the swing motor 210 are simultaneously adsorbed and fixed relative to the drum case 230 as the center As a resul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or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may be turned.

이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를 90도 간격으로 회전시켜 본체(100)의 주행방향을 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으로 향하게 한 뒤 액츄에이터(240)가 작동하여 부양되었던 본체(100)를 다시 블레이드(1)의 외측면 상에 다시 흡착 고정시키고, 흡착 고정된 제1 흡착부(10)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 주행하게 한 다음,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흡착부(10)의 방향을 도 15에 도시된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3, the main body 100 is rotated at 90 degree intervals so that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s di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 and then the actuator 240 operates to lift the main body ( 100) is adsorbed and fixed agai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and the adsorbed and fixed first adsorption unit 10 is allowed to travel a certain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 as shown in FIG. ,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ction unit 10 is rotated 90 degrees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15 in the same way as the above method.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흡착부(20)를 이동시킨 후, 블레이드(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를 다시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moving the second adsorbing part 20 in the same way, the first adsorbing part 10 and the second adsorbing part 20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1 are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gain for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performed.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기는 블레이드(1)의 둘레방향과 길이방향을 고루 주행하며 블레이드(1)의 전체적인 면적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maintenanc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maintenance of the entire area of the blade 1 while traveling evenly in the circumferent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blade 1 .

다음으로, 이격지지부(50)는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가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를 블레이드(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Next, the spaced support portion 50 is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40 to preven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 40)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and serves to support it.

복수 개의 이격지지부(50) 각각은, 블레이드(1)의 외측면으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지지대(51), 상기 지지대(51) 상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가이드와이어(30) 또는 제2 가이드와이어(40)를 접선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52), 블레이드(1)의 외측면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되는 복수 개의 캐스터(53) 및 상기 캐스터(53)와 지지대(51)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5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d support parts 50 is installed rotatably in place on the support 51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guide wire 30 or the first guide wire 30. 2 A guide roller 52 for guiding the guide wire 40 in a tang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casters 53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1 in a rolling manner, and between the casters 53 and the support 51 It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n elastic spring 54 to be installed.

이에,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가 제1 흡착부(10)와 제2 흡착부(20)를 향해 감기거나 또는 풀릴 때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지지하고 또한, 제1 가이드와이어(30)와 제2 가이드와이어(40) 상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짐으로 인한 조임력을 탄성스프링(54) 부분에서 일정 부분 완충하여 줌으로써 않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40 are wound or unwound toward the first adsorption unit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20,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30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guide wire 40 more smoothly, and also reduces the tightening force due to excessive tensile force applied on the first guide wire 30 and the second guide wire 40 to a certain portion in the elastic spring 54 portion It is prevented by buffering it.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제1 흡착부
20: 제2 흡착부
30: 제1 가이드와이어
40: 제2 가이드와이어
50: 이격지지부
10: first adsorption unit
20: second adsorption unit
30: first guide wire
40: second guide wire
50: separation support

Claims (5)

블레이드의 일측면에 흡착력을 통해 부착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제1 흡착부;
블레이드의 타측면에 흡착력을 통해 부착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제2 흡착부;
상기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 각각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블레이드의 둘레방향으로 감기는 제1 가이드와이어;
상기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 각각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와이어에 반대되는 블레이드의 둘레방향으로 감기는 제2 가이드와이어; 및
상기 제1 가이드와이어와 제2 가이드와이어가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제1 가이드와이어와 제2 가이드와이어를 이격 지지하는 복수 개의 이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에는 유지보수수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
A first adsorption unit traveling in a st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lade through adsorption force;
A second adsorption unit traveling in a state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blade through adsorption force;
A first guide wire connected to the front of each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and wou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A second guide wire connected to the rear of each of the first suction part and the second suction part and wou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opposite to the first guide wire; and
A plurality of spaced support units spaced apart and supporting the first guide wire and the second guide wire so that the first guide wire and the second guide wire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The maintenance unit of the wind turbin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tenance mean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dsorption unit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는 제1 가이드와이어와 제2 가이드와이어를 각각 내측으로 감거나 풀어주면서 블레이드의 둘레방향을 따라 주행하고, 흡착 고정된 제자리에서 방향을 선회하여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의 주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dsorption unit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trave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lade while winding or unwinding the first guide wire and the second guide wire inward, respectively, and tur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adsorbed and fix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de. Maintenance machine of wind turbine bla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of.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착부와 제2 흡착부 각각은,
상면에 제1 관통홀이, 하면에 제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 하면에는 제2 관통홀을 중심에 두고 도넛형태의 끼움턱이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 전후로 장착되는 하게 복수 개의 바퀴; 좌우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바퀴를 각각 연결하며, 외측으로 축기어가 결합되는 차축; 상기 차축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결합되며 상기 축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 한 쌍의 좌측 바퀴와 한 쌍의 우측 바퀴에 각각 둘러지며 복수 개의 흡착판이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 구성되는 한 쌍의 벨트;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되 복수 개의 흡착판 각각에 제1 진공호스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흡착판으로 흡착력을 제공하는 진공흡착펌프;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선회모터의 구동축 상에 결합되는 제1 선회기어; 내공간을 가지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턱 내측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며 하면에는 상기 제2 관통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하우징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선회기어와 치합되는 제2 선회기어가 형성되며 마주하는 전후면에 상기 제1 가이드와이어와 제2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한 쌍의 와이어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는 드럼케이스; 상기 드럼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2 관통홀과 연통홀을 상호 통과하여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액츄에이터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여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촉 지지되며, 상기 진공흡착펌프에 제2 진공호스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어 흡착력을 가지는 부양판; 상기 드럼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된 제1 견인모터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통과공을 통해 드럼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된 제1 가이드와이어를 외측으로 감거나 풀어주는 제1 견인롤; 및 상기 드럼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된 제2 견인모터에 의해 정역방향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통과공을 통해 드럼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된 제2 가이드와이어를 외측으로 감거나 풀어주는 제2 견인롤;을 포함하는 터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first adsorption unit and the second adsorption unit,
A housing in which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a donut-shaped fitting protrudes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at the center;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An axle that connects a pair of wheels facing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is coupled with a shaft gear to the outside; a drive gear coupled to a drive shaft of a drive motor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xle shaft and meshed with the shaft gear; A pair of belts respectively surrounded by a pair of left wheels and a pair of right wheels and configured to connect a plurality of suction plates in an endless track; and a vacuum suction pump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ction plates via a first vacuum hose to provide suction power to the plurality of suction plates; and
a first swing gear coupled to a drive shaft of a swing motor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t is made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inner space and is rotatably seated inside the fitting jaw,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part extends 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 drum case having a pair of wire passage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wire and the second guide wire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second swing gear meshing with the first swing gear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actuator that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drum case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mutually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It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actuat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and is selectively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and is connected to the vacuum suction pump via a second vacuum hose to provide suction power Floating plate having; A first traction roll that rotates forward and reverse by a first traction motor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drum case and winds or unwinds the first guide wire introduced into the drum case through the wire passage hole to the outside; And a second traction roll that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by a second traction motor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drum case and winds or unwinds the second guide wire introduced into the drum case through the wire passage hole to the outside. A maintenance machine for a wind turbin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urning unit comprising 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부양판을 블레이드의 외측면을 향해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부양판이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흡착 고정되면 본체가 블레이드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며 이 상태에서 선회모터가 작동되면 흡착 고정된 드럼케이스를 중심으로 하여 본체가 상대회전됨으로써 제1 흡착부 또는 제2 흡착부의 주행방향이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
The method of claim 3,
As the actuator operates the lifting plate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when the lifting plate is adsorb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the main body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at a certain height, and in this state, when the swing motor is operated, the suction fixed drum A maintenance machine for a wind turbin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first suction part or the second suction part turns as the main body is relatively rotated about the cas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펌프의 외측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연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진공흡착펌프가 상기 차축의 회전방향과 동기 회전되며,
상기 부양판은,
상기 제2 진공호스가 연결되며 제1 진공유로가 형성되는 스테이지; 및
상기 스테이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진공유로의 대응개소에 제1 진공유로와 연통되는 제2 진공유로가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이격지지부 각각은,
블레이드의 외측면으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가이드와이어 또는 제2 가이드와이어를 접선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구름 가능하게 접촉되는 복수 개의 캐스터; 및
상기 캐스터와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진공호스에는 관로를 개폐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결합되며, 각각의 흡착판에는 블레이드의 외측면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접촉센서와 외측면에 흡착되는 흡착패드가 각각 내장되고 상기 제1 진공호스는 상기 흡착패드와 직결되어 흡착패드가 흡착력을 가지며, 상기 흡착판의 접촉센서가 블레이드의 외측면에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제1 진공호스의 관로를 개방하여 진공흡착펌프의 흡착력이 해당 흡착판의 흡착패드 상에 가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유지보수기.
The method of claim 4,
An interlocking gear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vacuum suction pump so that the vacuum suction pump rotates synchronously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axle shaft,
The floating plate,
a stage to which the second vacuum hose is connected and a first vacuum flow path is formed; and
An elastic pad coupled to the stage and having a second vacuum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vacuum passage is form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cuum passage 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d support parts,
Supports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Guide rolle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and guiding the first guide wire or the second guide wire in a tang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casters that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and
Including; an elastic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caster and the support,
The first vacuum hose is coupled with a solenoid valve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ipeline, and each suction plate has a contact sensor for detecting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and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and a suction pad adsorbed to the outer surface. The first vacuum hos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pad so that the suction pad has suction power, and when the contact sensor of the suction plate detects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the solenoid valve opens the duct of the first vacuum hose. Wind turbine blade maintenanc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by opening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suction pump is applied on the suction pad of the suction plate.
KR1020210149164A 2021-11-02 2021-11-02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 KR202300637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64A KR20230063761A (en) 2021-11-02 2021-11-02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64A KR20230063761A (en) 2021-11-02 2021-11-02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761A true KR20230063761A (en) 2023-05-09

Family

ID=8640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164A KR20230063761A (en) 2021-11-02 2021-11-02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76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561B1 (en) 2016-05-03 2017-03-29 한국에너지종합기술(주) A Cleaning System for Wind Turbine Bla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561B1 (en) 2016-05-03 2017-03-29 한국에너지종합기술(주) A Cleaning System for Wind Turbine Bla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120B1 (en) Maintenance robot for wind power generator
RU2008143654A (en) WINCH
KR101324974B1 (en) Maintenance apparatus for blade of wind turbine and wind turbine having the same
KR102149670B1 (en) Winding apparatus for 3-phase power cable and installing system for 3-phase power cable having the same
GB2460587A (en) Device for wave-powered generator
KR101246567B1 (en)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
CN102132035A (en) Device for enabling access to a wind turbine
KR101245780B1 (en)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
JP2011032860A (en) Tower climbing and inspection/maintenance system
CN103343568B (en) Transformer substation flood prevention device
CN201363508Y (en) Underground pipeline robot
KR20230063761A (en) Blade maintenance device for wind turbine
CN202214597U (en) Special bobbin winder for sewing machine
CN107724360B (en) A kind of Refloatation method of energy-saving floater dragging device
CN112499405B (en) Hydraulic reel system of soil detection and remediation workstation and control method
JP2009106186A (en) Water supply apparatus of paddy field
CN209688347U (en) A kind of crawler belt type pipeline robot
CN205990093U (en) A kind of Anti-shake constant tension traction device
WO2019006572A1 (en) Surface cleaning vehicle
CN102408025B (en) Pipe winding device and engineering plant
KR102191086B1 (en) Power supply for heavy equipment
CN109422146A (en) A kind of PVF film intelligence winding and packing machine and its application method
JPH09118223A (en)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rack monitoring device of cableway
KR101372288B1 (en) Wind turbine carriage, and wind turbine maintenance system having the same
KR20090124183A (en) A cable installing device by using double braid r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