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738A -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738A
KR20230063738A KR1020210149124A KR20210149124A KR20230063738A KR 20230063738 A KR20230063738 A KR 20230063738A KR 1020210149124 A KR1020210149124 A KR 1020210149124A KR 20210149124 A KR20210149124 A KR 20210149124A KR 20230063738 A KR20230063738 A KR 20230063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shell
capsule
shell sheet
thickness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648B1 (ko
Inventor
황량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창
Priority to KR102021014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6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738A/ko
Priority to KR1020240011812A priority patent/KR20240023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4Filling capsules; Related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7Manufacturing capsule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시트드럼과, 상기 시트드럼 상측에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드럼 외부로 내부에 수용된 캡슐 쉘을 공급하여 캡슐 쉘 시트를 형성하는 신전박스를 구비하는 캡슐 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전박스의 일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보드부; 및 상기 신전박스 일측 상부에 상기 개폐보드부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상하작동부;를 포함하는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Gelatin capsule molding device for easy adjustment of the thickness of the capsule shell sheet}
본 발명은 캡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시트드럼 회전축의 미세한 변동이 발생 시에도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는 액체 상태의 캡슐 쉘(shell) 용액을 냉각시켜 얇은 캡슐 쉘 시트를 생성한 후, 성형 롤러를 통하여 상기 캡슐 쉘 시트를 캡슐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약액을 충진 시킴으로 복용하기 용이한 형태의 캡슐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캡슐 쉘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드럼, 캡슐 쉘 시트를 캡슐화 하는 성형 롤러, 캡슐 쉘 시트로 약액을 배출하는 웨지, 그리고 웨지를 승강 시키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드럼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시트드럼은 본체 내부에 설치된 시트드럼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동력 연결되고 상기 시트드럼 모터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시트드럼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시트드럼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시트드럼의 외부 둘레면에는 신전박스에서 배출되는 용융 캡슐 쉘이 도포된다.
도포 된 용융 캡슐 쉘은 상기 시트드럼이 회전되면서 냉각되어 시트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캡슐 쉘 시트는 본체에 구비된 안내롤러의 안내로 한 쌍의 성형 롤러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성형 롤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본체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는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접해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 롤러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동력 연결된다.
이때 한 쌍의 성형 롤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 사이로 시트드럼에서 공급된 캡슐 쉘 시트가 통과한다.
한편, 상기 성형 롤러의 외부 둘레면에는 캡슐 성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슐 성형 홈은 통과하는 캡슐 쉘 시트를 커팅하여 캡슐화 한다.
상기 웨지는 한 쌍의 성형 롤러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웨지의 하단부는 성형 롤러의 외부 둘레면과 대응된다. 이에 따라 웨지의 하단부는 한 쌍의 성형 롤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는 웨지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웨지와 성형 롤러사이로 캡슐 쉘 시트가 통과한다.
한편, 상기 웨지의 하단부에는 캡슐 성형 홈과 대응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로 약액 공급부에서 공급된 약액이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소프트 캡슐 성형장치의 경우는 외부의 진동이나 시트드럼의 회전축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미세변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캡슐 쉘 시트의 두께가 변동되어 최종 생산되는 캡슐 쉘 캡슐의 품질 확보가 힘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677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캡슐 쉘 두께의 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캡슐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지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소프트 캡슐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시트드럼과, 상기 시트드럼 상측에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드럼 외부로 내부에 수용된 캡슐 쉘을 공급하여 캡슐 쉘 시트를 형성하는 신전박스를 구비하는 캡슐 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전박스의 일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보드부; 및 상기 신전박스 일측 상부에 상기 개폐보드부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상하작동부;를 포함하는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작동부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드럼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센싱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드럼 표면에 형성되는 캡슐 쉘 시트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센싱부; 및 상기 제1센싱부와 상기 제2센싱부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캡슐 쉘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에 의하면, 캡슐 쉘 시트를 공급하는 신전박스 개방부 하부 폭을 상하작동부를 작동시키어 상기 개폐보드부의 상하 이동을 통하여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센싱부와 제2센싱부를 이용 수시로 캡슐 쉘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개폐보드부의 상하 이동량을 조절함으로써 시트드럼 축의 미세한 이동 또는 외부 진동에 상관 없이 수시로 캡슐 쉘 시트의 균일한 두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최종 생산되는 캡슐의 상품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신전박스와 개폐보드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개폐보드부가 신전박스의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개폐보드부가 상측으로 일정 높이 이동하여 신전박스의 개방부 하부를 일부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시트드럼과 신전박스 및 개폐보드부를 이용하여 캡슐 쉘 시트가 형성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전박스와 개폐보드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시트드럼 외측으로 제1표식부와 제2표식부가 적용된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제1표식부를 이용 캡슐 쉘 시트에 표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제2표식부를 이용 캡슐 쉘 시트에 표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신전박스와 개폐보드부를 나타낸 일측 정면도이며, 도 3은 개폐보드부가 신전박스의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개폐보드부가 상측으로 일정 높이 이동하여 신전박스의 개방부 하부를 일부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시트드럼과 신전박스 및 개폐보드부를 이용하여 캡슐 쉘 시트가 시트드럼 외부면에 형성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101)와, 시트드럼(110)과, 신전박스(170)와, 개폐보드부(182)를 포함한다.
공지된 기술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 쉘 캡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드럼(110)은 표면에 캡슐 쉘 시트가 형성되는 구성을 이루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101)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시트드럼(110)은 상기 본체(101) 내부에 설치된 시트드럼 모터(미도시)와 동력 연결되어, 상기 시트드럼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시트드럼(110)이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시트드럼(11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시트드럼(110)의 외부 둘레면에는 상기 신전박스(170) 전방 일측으로 배출되는 용융 캡슐 쉘이 도포된다.
도포 된 용융 캡슐 쉘은 상기 시트드럼(110)이 회전되면서 냉각되어 소정 두께를 지니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캡슐 쉘 시트(10)는 별도로 구비된 안내롤러의 안내를 따라서 본체(101)에 구비된 한 쌍의 성형 롤러(40) 측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본체(101)에는 캡슐 쉘 시트를 캡슐화 하는 전술한 성형 롤러(30), 캡슐 쉘 시트로 약액을 배출하는 웨지(30), 그리고 상기 웨지(30)를 승강 시키는 승강 장치(11)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 롤러(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1)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30)는 일부분이 서로 접해진 형태를 이룬다.
상기 성형 롤러(30)는 상기 본체(101)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 장치와 동력 연결되고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으로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30)는 회전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4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성형 롤러(30) 사이로 시트드럼(110)에서 공급된 캡슐 쉘 시트가 통과한다.
한편, 상기 성형 롤러(30)의 외부 둘레면에는 캡슐 성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슐 성형 홈은 통과하는 캡슐 쉘 시트를 커팅하여 캡슐화 한다.
또한, 상기 웨지(30)가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30) 위에 배치되고, 상기 웨지(30)의 하단부는 상기 성형 롤러(30)의 외부둘레면과 대응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웨지(30)의 하단부는 한 쌍의 성형 롤러(3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30)는 웨지(3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웨지(30)와 성형 롤러(30) 사이로 캡슐 쉘 시트(10)가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웨지(30)의 하단부에는 캡슐 성형 홈과 대응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로 약액 공급부(20)에서 공급된 약액이 배출된다.
즉, 상기 약액 공급부(20)에서 상기 웨지(30)로 약액이 간헐적으로 공급되면 약액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약액은 캡슐 성형 홈 부분에 위치한 캡슐 쉘 시트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약액의 압력에 의하여 캡슐 쉘 시트(10)는 상기 캡슐 성형 홈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성형 롤러(30)가 회전되면서 캡슐 쉘 시트가 캡슐 성형 홈 모양으로 절단된다.
상기 성형 롤러, 웨지, 약액 공급부 등의 구성은 등록번호 제10-1126778호에 제시된 기술과 같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전박스(170)는 상기 시트드럼(110)이 회전되는 측으로 내부 캡슐 쉘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내외부를 관통하는 개방부(172)가 형성되되, 상기 개방부(172)를 통하여 배출되는 시트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상기 개방부(172)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여 폐쇄 및 하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보드부(18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신전박스(170) 상부에는 상기 개폐보드부(182)를 상하 이동시키어 상기 개방부(172) 하부 개방폭을 조절하는 상하작동부(198)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작동부(198)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1)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드럼(110)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센싱부(1)와, 상기 본체(101)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드럼(110) 표면에 상기 신전박스(170)로부터 배출되어 형성된 캡슐 쉘 시트(10)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센싱부(2) 및 상기 제1센싱부(1)와 상기 제2센싱부(2)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캡슐 쉘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에 의하면, 캡슐 쉘 시트(10)를 공급하는 신전박스(170) 개방부(172) 하부 폭을 상기 상하작동부(198)를 작동시키어 상기 개폐보드부(182)의 상하 이동을 통하여 캡슐 쉘 시트(10)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센싱부(1)와 제2센싱부(2)를 이용 수시로 캡슐 쉘 시트(10)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개폐보드부(182)의 상하 이동량을 조절함으로써 시트드럼(110) 축의 미세한 이동 또는 외부 진동에 상관 없이 수시로 캡슐 쉘 시트(10)의 균일한 두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최종 생산되는 캡슐의 상품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전박스와 개폐보드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보드부 개방된 전방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보드부(182)가 구비되되, 상기 개폐보드부(182) 하부에 롤러부(185)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부(185)는 상기 개폐보드부(182)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보드부(182)가 소정폭 상기 신전박스(170)의 전방 하부를 개방 시 내부에 수용된 캡슐 쉘이 외부로 공급될 때 보다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보드부(182) 전방 외측에는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한 후 상기 롤러부(185)로 공급하는 가열부(187) 및 분사부(188)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부(185)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부(185)를 수시로 상기 가열부(187) 및 분사부(188)를 이용하여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신전박스(170) 외부로 공급되는 캡슐 쉘이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시트드럼 외측으로 제1표식부와 제2표식부가 적용된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제1표식부를 이용 캡슐 쉘 시트에 표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제2표식부를 이용 캡슐 쉘 시트에 표식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드럼(110) 외부에 형성되는 젤리틴 시트(10)에 표식을 가하는 제1표식부와 제2표식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표식부는 제1로드부(212), 상기 제1로드부(21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상하작동부(214) 및 상기 제1로드부(212) 하부 단부에 제1회전축(215)을 형성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개의 제1롤러부(2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표식부는 제2로드부(222), 상기 제2로드부(22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상하작동부(224) 및 상기 제2로드부(222) 하부 단부에 제2회전축(225)을 형성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제2롤러부(2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보드부(182)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제1표식부 또는 제2표식부가 작동하여 캡슐 쉘 시트(10) 표면에 한 줄 또는 두 줄의 표식선이 나오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는 기 설정 두께 이하의 경우 상기 제1표식부를 이용 한 개의 표식선이 나오도록 하고, 기 설정 두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표식부를 이용 두 개의 표식선이 나오도록 하여 현장에서 캡슐 쉘 시트의 두께 파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1센싱부
2: 제2센싱부
101: 본체
110: 드럼시트
170: 신전박스
182: 개폐보드부
198: 상하작동부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시트드럼과, 상기 시트드럼 상측에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드럼 외부로 내부에 수용된 캡슐 쉘을 공급하여 캡슐 쉘 시트를 형성하는 신전박스를 구비하는 캡슐 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전박스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보드부; 및
    상기 신전박스 일측 상부에 상기 개폐보드부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상하작동부;
    를 포함하는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부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지는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드럼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센싱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드럼 표면에 형성되는 캡슐 쉘 시트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센싱부; 및
    상기 제1센싱부와 상기 제2센싱부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캡슐 쉘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KR1020210149124A 2021-11-02 2021-11-02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KR10263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24A KR102635648B1 (ko) 2021-11-02 2021-11-02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KR1020240011812A KR20240023538A (ko) 2021-11-02 2024-01-25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24A KR102635648B1 (ko) 2021-11-02 2021-11-02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1812A Division KR20240023538A (ko) 2021-11-02 2024-01-25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738A true KR20230063738A (ko) 2023-05-09
KR102635648B1 KR102635648B1 (ko) 2024-02-13

Family

ID=864090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124A KR102635648B1 (ko) 2021-11-02 2021-11-02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KR1020240011812A KR20240023538A (ko) 2021-11-02 2024-01-25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1812A KR20240023538A (ko) 2021-11-02 2024-01-25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356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372U (ko) * 1994-11-11 1996-06-17 김덕흥 소프트젤라틴 캡슐제조기의 젤라틴 공급장치
KR100586019B1 (ko) * 2004-01-12 2006-06-01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젤라틴캡슐제조기의 젤라틴시트 두께검출장치
KR101074483B1 (ko) * 2011-09-07 2011-10-17 주식회사 보창 약물 충진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KR101126778B1 (ko) 2011-10-24 2012-03-29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KR20150136700A (ko) * 2014-05-27 2015-12-0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젤라틴 시트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372U (ko) * 1994-11-11 1996-06-17 김덕흥 소프트젤라틴 캡슐제조기의 젤라틴 공급장치
KR100586019B1 (ko) * 2004-01-12 2006-06-01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젤라틴캡슐제조기의 젤라틴시트 두께검출장치
KR101074483B1 (ko) * 2011-09-07 2011-10-17 주식회사 보창 약물 충진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KR101126778B1 (ko) 2011-10-24 2012-03-29 주식회사 보창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KR20150136700A (ko) * 2014-05-27 2015-12-0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젤라틴 시트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648B1 (ko) 2024-02-13
KR20240023538A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9252B (zh) 用于制造香烟包装件的方法和设备
ITMI952675A1 (it) Macchina per produrre, da film continuo, cialde di caffe' rotonde, e non, per macchine automatiche da caffe' espresso
JPH01154760A (ja) スクリーンローラと協働するインキレール
KR20230063738A (ko) 캡슐 쉘 시트의 두께 자동 조절 가능 연질캡슐 성형장치
US20160288389A1 (en) Side gating hot runner apparatus with continuous valve pin movement
KR200448172Y1 (ko) 캡슐제조장치의 다이롤 셋팅 보조장치
JP6778302B2 (ja) 軟質カプセル成形機のゼラチン供給装置
JP2007319822A (ja) 材料塗布装置及び材料塗布方法
KR101299853B1 (ko) 연주 슬라브의 길이측정장치
KR102533266B1 (ko) 인쇄유닛이 구비된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KR100603751B1 (ko) 사출압 조절장치를 구비한 사출성형기
EP384215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bject coated with coating substance
JP2006240042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389857B1 (ko) 연속주조장치 및 연속주조방법
KR101818755B1 (ko) 마스터모델 및 주형 제작이 가능한 주조 장치
JPS629537B2 (ko)
JP3808574B2 (ja) 充填量調整装置を備えた内容物充填装置と該内容物充填装置を備えた包装容器製造機械
KR101670142B1 (ko) 턴디쉬용 예열장치
JP7266957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100682627B1 (ko) 금속판재제조용 원심주조주형
KR102315559B1 (ko) 회동형 원심 주조 장치
JP2674192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1243292B1 (ko) 다이캐스팅 금형
JP2006231398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0702445B1 (ko) 스페이서 필름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