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134A -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 - Google Patents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134A
KR20230063134A KR1020210148051A KR20210148051A KR20230063134A KR 20230063134 A KR20230063134 A KR 20230063134A KR 1020210148051 A KR1020210148051 A KR 1020210148051A KR 20210148051 A KR20210148051 A KR 20210148051A KR 20230063134 A KR20230063134 A KR 20230063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y
payload
platform
upper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552B1 (ko
Inventor
최상현
임석희
탁경모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스페이스베이(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페이스베이(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스페이스베이(주)
Priority to KR102021014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5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002Launch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의 측벽 외부 뿐만 아니라 베이의 내부에도 페이로드를 장착시킬 수 있는,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Pillar-type Bay for Mounting Serveral Payload for System for Loading Multiple Satellite for Space Launch Vehicle}
본 발명은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의 측벽 외부 뿐만 아니라 베이의 내부에도 페이로드를 장착시킬 수 있는,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 인공위성이 전세계적으로 확대 적용됨에 따라, 초소형 인공위성의 시장규모와 전체 위성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큐브위성(Cubesat)은 대표적인 초소형 인공위성으로, 규격화된 다양한 크기를 갖고 있으며 3U크기(10cm X 10cm X 30cm)의 위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큐브위성은 분리장치인 디플로이어의 내부에 장착되어 우주발사체의 페어링 내측에 고정되며, 우주발사체가 우주궤도에 진입했을 때 디플로이어로부터 분리되어 우주로 전개될 수 있다. 전개된 큐브위성은 지구관측, 및 우주 데이터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주로 대학, 정부기관, 및 기업 등에서 연구용 및 상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초소형 인공위성을 페어링에 대량으로 탑재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페어링 내측 공간은 비교적 좁아 내부에 적재할 수 있는 초소형 인공위성 또는 소형 인공위성의 크기, 종류, 및 개수 등이 매우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우주발사체의 페어링 내측에 크기, 종류, 및 개수가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위성들을 다중으로 적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베이의 측벽 외부 뿐만 아니라 베이의 내부에도 페이로드를 장착시킬 수 있는,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제3결합홀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어퍼프레임; 상기 어퍼프레임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탈착가능한 제2어퍼데크; 상기 어퍼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측벽; 상기 제2측벽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제4결합홀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플랫폼프레임; 및 상기 플랫폼프레임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탈착가능한 제2플랫폼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벽의 외부의 공간에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가 배치되고, 상기 어퍼프레임, 상기 제2어퍼데크, 상기 제2측벽, 상기 플랫폼프레임, 및 상기 제2플랫폼데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1 이상의 제3디플로이어 또는 1 이상의 페이로드가 수용될 수 있는, 기둥형베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어퍼데크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어 탈착가능하고, 상기 어퍼프레임의 상기 관통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상기 어퍼프레임에 결합 시 상기 어퍼프레임과 하나의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플랫폼데크는 상기 플랫폼프레임의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어 탈착가능하고, 상기 플랫폼프레임의 상기 관통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상기 플랫폼프레임에 결합 시 상기 플랫폼프레임과 하나의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측에 1 이상의 페이로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어퍼프레임이 상기 페이로드의 결합플랜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프레임의 상기 제3결합홀과 상기 페이로드의 상기 결합플랜지의 페이로드결합홀이 체결요소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기둥형베이와 상기 페이로드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측벽은, 상기 어퍼프레임에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고, 복수의 제5결합홀이 길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론조런; 및 복수의 제6결합홀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사이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론조런의 외부면이 상기 사이드패널의 내부면과 접촉된 상태, 또는 상기 론조런의 내부면이 상기 사이드패널의 외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론조런의 제5결합홀과 상기 사이드패널의 제6결합홀이 체결요소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론조런과 상기 사이드패널이 서로 결합하여 상기 제2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패널의 외부면에 상기 제2디플로이어가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측벽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형상의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고, 상부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일부에 접촉하고 하부는 상기 플랫폼프레임의 일부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둥형베이는 상기 제2측벽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상기 어퍼프레임 및 상기 플랫폼프레임에 의하여 플랜지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주발사체의 페어링 내부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베이가 적층된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페이로드들을 한 번에 적재할 수 있어 하나의 우주발사체를 통해 전개될 수 있는 페이로드의 종류에 대한 제한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베이와 제2베이가 플랜지형 구조를 이루고 있어, 복수의 조합을 포함하는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수량을 갖는 큐브위성, 초소형위성, 및 소형위성을 보다 유연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베이는 불필요한 보강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중량이 비교적 가볍고, 소형 디플로이어를 배치하는 데에 최적화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플레이트가 제1베이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발사지연으로 인한 디플로이어 및 페이로드의 충전 또는 상태점검 시 제1베이 위에 이미 적재된 다른 위성 혹은 또다른 베이를 우주발사체로부터 해체하지 않고 디플로이어와 패이로드를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엔지니어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베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위성 또는 디플로이어를 추가 배치함에 따라, 우주발사체에 적재시킬 수 있는 페이로드의 수를 증가시키고, 페이로드를 보다 다양한 궤도로 전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베이의 제2측벽이 론조런에 의하여 결합되어 형성되어, 제2측벽에 결합된 디플로이어의 하중이 론조런으로 전달되어 크기가 비교적 크거나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디플로이어 혹은 페이로드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이 적용된 우주발사체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이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디플로이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요소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이 적용된 우주발사체(2)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3단엔진을 포함하는 상단구조체(2100), 및 페어링(2200)을 포함하는 우주발사체(2)는 탑재물을 지구 표면으로부터 우주 공간으로 옮기는 데 사용되는 로켓으로서, 상기 탑재물은 위성, 탐사선, 및 탑재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주발사체(2)는 상기 페어링(2200)의 내부에 상기 페이로드(3)를 적재하며, 발사대로부터 발사되어 우주궤도에 진입하면 상기 페이로드(3)를 임무궤도로 전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페어링(2200)의 내부공간은 한정적인 크기를 가지고 있어, 내부에 탑재되는 상기 페이로드(3)의 크기, 종류, 및 개수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을 상기 페어링(2200)의 내부에 적용하였다.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베이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의 내부에 다양한 페이로드를 탑재할 수 있어, 상기 페어링(2200)의 내부에 적재될 수 있는 상기 페이로드에 대한 제한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으로서, 1 이상의 제1베이(1100); 및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 혹은 하측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1 이상의 제2베이(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제1베이(1100)를 준비하고,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에 상기 제2베이(1200)를 배치하고, 상기 제2베이(1200)의 상측에 상기 페이로드(3)를 배치하여 하나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조합을 형성하는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어댑터(1300)의 상측에 고정된 후에 상기 어댑터(1300)를 상기 상단구조체(2100)의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페어링(2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1100) 및 상기 제2베이(1200) 각각은 복수의 페이로드(3)를 배치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베이(1100) 또는 상기 제2베이(1200)는 상측에도 페이로드(3)를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로드(3)은 상기 제1디플로이어 내부에 탑재되는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 상기 제2디플로이어 내부 또는 외부에 탑재되는 1 이상의 제2페이로드(32), 및 상기 제1베이(1100) 또는 상기 제2베이(1200) 상측에 장착되는 1 이상의 제3페이로드(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페이로드(31) 및 상기 제2페이로드(32)는 큐브위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페이로드(33)는 상기 큐브위성 대비 비교적 크기가 큰 소형위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페이로드(33)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복수의 페이로드결합홀(미도시)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결합플랜지(미도시)를 하측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페이로드(33)는 상기 결합플랜지(미도시)에 의하여 플랜지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와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가 어떠한 순서나 어떠한 개수로 이루어지더라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우주발사체용 페이로드 다중탑재 시스템(1)은 실시예에 따라 1 이상의 제1베이(1100)-1 이상의 제3페이로드(33)의 조합, 제1베이(1100)-제1베이(1100)-페이로드(3)의 조합, 1 이상의 제1베이(1100)-제1베이(1100)-제1베이(1100)-제1베이(1100)의 조합, 1 이상의 제1베이(1100)-1 이상의 제2베이(1200)-1 이상의 제3페이로드(33)의 조합(도 1에 도시된 조합), 1 이상의 제2베이(1200)-1 이상의 제1베이(1100)-1 이상의 제3페이로드(33)의 조합, 1 이상의 제2베이(1200)-1 이상의 제3페이로드(33)의 조합, 및 1 이상의 제2베이(1200)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우주발사체(2)의 페어링(2200) 내부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베이가 적층된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페이로드(3)들을 한 번에 적재할 수 있어 하나의 우주발사체(2)를 통해 전개될 수 있는 페이로드(3)의 종류에 대한 제한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을 이루는 상기 제1베이(1100) 및 상기 제2베이(1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11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베이(110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제1결합홀(1111)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제1어퍼데크(1110);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부에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된 제1측벽(1130); 및 상기 제1측벽(1130)의 하측에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제2결합홀(1121)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제1플랫폼데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베이(1100)는 삽입형베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어퍼데크(1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어퍼데크(1110)는 상기 제1베이(1100)가 인접하는 제1베이(1100), 제2베이(1200), 또는 1 이상의 페이로드(3)와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어퍼데크(1110)는 상기 페이로드(3)의 형상에 따라 다각형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어퍼데크(1110)는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 플랜지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어퍼데크(1110)는 일부에 복수의 그리드가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 플레이트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그리드는 허니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그리드는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중심부의 원형영역 및 링형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그리드는 상기 영역에 한해서만 형성되지 않고, 기설정된 설계요구조건에 상응하는 설계안전계수를 갖는 한도 내에서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어퍼데크(1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결합홀(1111)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베이(1100)는 상측에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상기 페이로드(3) 중 1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베이(1100)는 상기 제1어퍼데크(111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결합홀(1111)을 통해 후술하는 체결요소(14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상기 페이로드(3) 중 1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측벽(11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부에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벽(1130)은 중심부가 비어있는 링 형상의 원주형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1100)의 측벽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1130)의 일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는 정면에서 본 시야를 기준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측벽(1130)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두 벽에 직사각형 형태로 각각 형성된 상기 복수의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측벽(1130)의 하측에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는 상기 제1베이(1100)가 인접하는 제1베이(1100), 제2베이(1200), 또는 페이로드(3)와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는 상기 제1베이(1100)의 하측 플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어퍼데크(1110)는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 플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베이(1100)는 상기 제1측벽(1130)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상기 제1어퍼데크(1110) 및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에 의하여 플랜지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랜지형 구조에 의하여,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하나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다른 하나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 플랜지 및 하측 플랜지가 서로 접촉하여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베이(1100)가 상측 및 하측 부재에 의하여 플랜지형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1베이(1100)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또는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와 다른 형상을 갖는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또는 1 이상의 제3페이로드(33)와의 임의의 조합에서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는 상기 제1어퍼데크(1110)에 상응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플레이트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의 직경은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직경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측벽(1130)의 직경은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 및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결합홀(1121)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베이(1100)는 하측에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어댑터(1300) 중 1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베이(1100)는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2결합홀(1121)을 통해 후술하는 체결요소(14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어댑터(1300) 중 1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베이(1100)는 비교적 가벼운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우주발사체(2)의 연료효율 향상의 관점에서, 상기 우주발사체(2)의 상기 페어링(2200) 내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무게를 절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베이(1100)를 경량화구조로 형성하여 불필요한 중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베이(1100)는 별도의 보강구성이 필요하지 않은 소형 디플로이어를 배치시키는 데에 적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베이(1100)는 불필요한 보강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중량이 비교적 가볍고, 소형 디플로이어를 배치하는 데에 최적화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1100)는 상기 소형 디플로이어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중형 또는 대형 디플로이어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베이(11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탑재할 수 있는 제1디플로이어(1150)를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베이(110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를 탑재할 수 있는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가 상기 제1어퍼데크(1110), 상기 제1측벽(1130), 및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의 일부는 상기 관통부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는 본 출원인의 특허기술(등록특허공보 제10-2002306호; 큐브위성 우주 분리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10-2192978호; 큐브위성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큐브위성 우주 분리장치)에 개시된 큐브위성 분리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는 3U사이즈의 디플로이어, 및 6U사이즈의 디플로이어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 외에도 설계 환경에 따라,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의 사이즈는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베이(1100)에 배치될 수 있는 제1디플로이어(1150)의 개수가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베이(1100)에 3U사이즈의 제1디플로이어(1150)를 복수개 배치하는 경우에는 4개를 배치할 수 있고, 상기 제1베이(1100)에 3U사이즈와 6U사이즈의 제1디플로이어(1150)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3U사이즈 2개와 6U사이즈 1개를 배치할 수 있고, 상기 제1베이(1100)에 6U사이즈의 제1디플로이어(1150)를 복수 개 배치하는 경우에는 2개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1100)는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의 내부에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 페이로드(3)는 상기 제1페이로드(3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페이로드(31)는 1U사이즈, 2U사이즈, 3U사이즈, 및 6U사이즈 중 1 이상의 사이즈를 갖는 큐브위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페이로드(31)는 이 외에도 설계 환경에 따라 전술한 사이즈 이외의 사이즈를 갖는 위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의 내부에 탑재할 수 있는 상기 제1페이로드(31)의 크기 및 개수가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3U사이즈의 제1디플로이어(1150)는 내부에 1U사이즈의 큐브위성 1개와 2U사이즈의 큐브위성 1개를 배치하거나, 1U사이즈의 큐브위성 3개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는 내부에 수용된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를 횡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1100)는 제1어퍼데크(1110)의 상측에 상기 제3페이로드(33)를 탑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베이(110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제1시퀀서(1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퀀서(1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시퀀서(1160)는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 각각의 개폐부(1152)의 열림동작 및 닫힘동작을 포함하는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이 적용된 상기 우주발사체(2)가 우주궤도에 진입했을 경우에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 각각의 개폐부(115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 각각의 내부에 탑재된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우주궤도 상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시퀀서(116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는 내부에 수용된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횡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1페이로드(3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시퀀서(116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상측에 배치된 페이로드(3)를 종방향으로 전개하거나,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제2어퍼데크(1220)의 상측에 배치된 페이로드(3)를 종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베이(1100)는 상기 제1시퀀서(116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를 횡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고,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1 이상의 제3페이로드(33)를 종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복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을 이용하여 다양한 수량을 갖는 큐브위성, 초소형위성, 및 소형위성을 보다 유연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1100)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베이(1100)는, 상기 제1어퍼데크(1110), 상기 제1측벽(1130), 및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가 배치되어 고정된 어댑터플레이트(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상 문제 등의 이유로 인하여 우주발사체(2)의 발사가 지연되는 경우에는 상기 우주발사체(2)의 페어링(2200) 내부에 적재된 페이로드(3)의 컨디션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페이로드(3)의 상태 점검을 위해서 베이 상측에 적재되어 있는 페이로드(3)를 제1베이(1100) 및 상기 우주발사체(2)로부터 완전히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베이(1100)에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를 적용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는,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와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1130)의 상기 관통부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는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의 이동에 의하여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는 모서리부측에 어댑터플레이트결합홀(11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의 상기 어댑터플레이트결합홀(1141)과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의 상기 제2결합홀(1121)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가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요소(1400)를 제거하는 경우에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는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에 탈착가능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는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와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는 상기 제1측벽(1130)의 상기 관통부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는 상기 제1베이(110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의 상측에 배치되어 고정된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 또한 함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가 상기 제1베이(1100)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베이(1100)는 발사지연으로 추가적인 충전이 필요하거나 혹은 상태를 점검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어댑터플레이트결합홀(1141)에 체결된 체결요소(1400)를 제거하고,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를 외부로 이동시켜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를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제1베이(1100)에 배치된 상기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 및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의 내부에 적재된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보다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댑터플레이트(1140)가 상기 제1베이(1100)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발사지연으로 인한 디플로이어 및 페이로드(3)의 충전 또는 상태점검 시 제1베이(1100) 위에 이미 적재된 다른 위성 혹은 또다른 베이를 우주발사체로부터 해체하지 않고 디플로이어와 패이로드를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엔지니어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이(1100)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1100)는, 상기 제1어퍼데크(1110), 상기 제1측벽(1130), 및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벽(1130)에 형성된 관통부의 가로길이는 상기 제1측벽(1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제1디플로이어(1150) 각각의 가로길이의 합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복수의 제1디플로이어(1150) 각각의 가로길이의 합이 상기 관통부의 가로길이보다 크다면, 상기 복수의 제1디플로이어(1150)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측벽(1130)의 외부로 노출되지 못할 수 있어 상기 복수의 제1디플로이어(1150)의 내부에 적재된 상기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가 전개되는 데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방해요소를 선제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측벽(1130)의 상기 관통부의 가로길이를 비교적 크게 설계하였고, 이로 인하여 상기 복수의 제1디플로이어(1150)의 일부를 상기 제1측벽(1130)의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를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이(12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베이(1200)는,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제3결합홀(1211)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어퍼프레임(1210);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측벽(1250); 및 상기 제2측벽(12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제4결합홀(1231)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플랫폼프레임(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베이(1200)는 기둥형베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어퍼프레임(1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어퍼프레임(1210)은 상기 제2베이(1200)가 인접하는 제1베이(1100), 제2베이(1200), 또는 페이로드(3)와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프레임(1210)은 상기 제2베이(1200)의 상측 플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다각형 형상의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프레임(1210)은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 플레이트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프레임(1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3결합홀(1211)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베이(1200)는 상측에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상기 페이로드(3) 중 1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어퍼프레임(121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3결합홀(1211)을 통해 후술하는 체결요소(14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상기 페이로드(3) 중 1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프레임(1210)은 상측에 1 이상의 페이로드(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상측에 상기 페이로드(3)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어퍼프레임(1210)이 상기 페이로드(3)의 결합플랜지(미도시)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제3결합홀(1211)과 상기 페이로드(3)의 상기 결합플랜지(미도시)의 페이로드결합홀(미도시)이 체결요소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2베이(1200)와 상기 페이로드(3)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12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측벽(1250)은 복수의 사이드패널(1252)을 이용한 다각형 혹은 단일 구조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드패널(1252) 각각의 한 변은 상기 어퍼프레임(1210)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를 이루는 복수의 변 중 한 변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사이드패널(1252) 각각은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관통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2측벽(1250)은 상기 어퍼프레임(1210)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다각형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관통부의 형상이 8각형 형상인 경우, 상기 제2측벽(1250)은 8각형 형상을 갖는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측벽(12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은 상기 제2베이(1200)가 인접하는 제1베이(1100), 제2베이(1200), 또는 페이로드(3)와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은 상기 제2베이(1200)의 하측 플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퍼프레임(1210)은 상기 제2베이(1200)의 상측 플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제2측벽(1250)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상기 어퍼프레임(1210) 및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에 의하여 플랜지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랜지형 구조에 의하여,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중 하나와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중 다른 하나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상측 플랜지 및 하측 플랜지가 서로 접촉하여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베이(1200)가 상측 및 하측 부재에 의하여 플랜지형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2베이(1200)가 상기 제2베이(1200) 또는 상기 제2베이(1200)와 다른 형상을 갖는 상기 제1베이(1100) 또는 상기 페이로드(3)와의 임의의 조합에서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1100)는 상기 제1측벽(1130)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상기 제1어퍼데크(1110) 및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에 의하여 플랜지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3페이로드(33)는 상기 결합플랜지(미도시)에 의하여 플랜지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상기 페이로드(3)가 플랜지형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이용한 1 이상의 조합을 갖는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 형성 시 각각의 플랜지를 서로 접촉시켜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은 상기 어퍼프레임(1210)에 상응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플레이트 부재일 수 있다.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직경은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직경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측벽(1250)의 직경은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 및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4결합홀(1231)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베이(1200)는 하측에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어댑터(1300) 중 1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4결합홀(1231)을 통해 후술하는 체결요소(14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어댑터(1300) 중 1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베이(1200)는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탑재할 수 있는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1260)를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제2측벽(1250)의 외부의 공간에 1 이상의 제2페이로드(32)를 탑재할 수 있는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1260)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1260)는 상기 제2측벽(1250)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디플로이어(1260)는 상기 제2측벽(125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디플로이어(1260)는 우주발사체(2) 혹은 주변의 페이로드(3)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는 상기 복수의 제1디플로이어(1150)와 상응하게 본 출원인의 특허기술(등록특허공보 제10-2002306호; 큐브위성 우주 분리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10-2192978호; 큐브위성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큐브위성 우주 분리장치)에 개시된 큐브위성 분리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1260)는 12U사이즈의 디플로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 외에도 설계 환경에 따라,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의 사이즈는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는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면적은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 및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면으로 절단한 평면의 면적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는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 대비 비교적 많은 페이로드(3)를 내부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페이로드(32)는, 1U사이즈, 2U사이즈, 3U사이즈, 6U사이즈, 및 12U사이즈 중 1 이상의 사이즈를 갖는 큐브위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 외에도 설계 환경에 따라, 상기 제2페이로드(32)의 사이즈는 가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1260)는 내부에 수용된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횡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탈착가능한 제2어퍼데크(1220); 및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탈착가능한 제2플랫폼데크(1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어퍼데크(12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탈착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어퍼데크(1220)는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어 탈착가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어퍼데크(1220)는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관통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관통부를 막는 일종의 마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어퍼데크(1220)는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관통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상기 어퍼프레임(1210)에 결합 시 상기 어퍼프레임(1210)과 하나의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관통부가 8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2어퍼데크(1220)는 상기 관통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8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어퍼데크(1220)는 상측에 1 이상의 페이로드(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플랫폼데크(1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탈착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플랫폼데크(1240)는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어 탈착가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플랫폼데크(1240)는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관통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관통부를 막는 일종의 마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플랫폼데크(1240)는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관통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에 결합 시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과 하나의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예를들어,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관통부가 8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2플랫폼데크(1240)는 상기 관통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8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베이(12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페이로드(3)를 탑재할 수 있는 제3디플로이어(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베이(1200)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에 페이로드(3) 혹은 제3디플로이어(미도시)를 수용하여 상기 제2베이(1200)의 외주면과 수직하는 방향, 즉 종방향으로 상기 페이로드(3)를 추가적으로 전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어퍼프레임(1210), 상기 제2어퍼데크(1220), 상기 제2측벽(1250),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 및 상기 제2플랫폼데크(124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1 이상의 제3디플로이어(미도시) 또는 1 이상의 페이로드(3)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1페이로드(31), 및 제2페이로드(32) 중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제2어퍼데크(1220)의 상측에 1 이상의 제3페이로드(33)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 제3디플로이어(미도시)는,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 및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와 상응하는 본 출원인의 특허기술(등록특허공보 제10-2002306호; 큐브위성 우주 분리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10-2192978호; 큐브위성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큐브위성 우주 분리장치)에 개시된 큐브위성 분리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제3디플로이어(미도시)의 내부에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 페이로드(3)는 제1페이로드(31), 및 제2페이로드(32) 중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1 이상의 제3디플로이어(미도시)는 상기 제2어퍼데크(1220)가 상기 어퍼프레임(1210)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내부에 수용된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종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베이(120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제2시퀀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시퀀서(미도시)는 상기 어퍼프레임(1210), 상기 제2어퍼데크(1220), 상기 제2측벽(1250),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 및 상기 제2플랫폼데크(124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1 이상의 제3디플로이어(미도시), 상기 페이로드(3), 및 상기 제2어퍼데크(1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시퀀서(미도시)는 상기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1260) 각각의 개폐부(1152)의 열림동작 및 닫힘동작을 포함하는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이 적용된 상기 우주발사체(2)가 우주궤도에 진입했을 경우에 상기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1260) 각각의 개폐부(115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1260) 각각의 내부에 탑재된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횡방향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1페이로드(31), 및 제2페이로드(32)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들어, 상기 제2시퀀서(미도시)는 상기 1 이상의 제3디플로이어(미도시) 각각의 개폐부(1152)의 열림동작 및 닫힘동작을 포함하는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이 적용된 상기 우주발사체(2)가 우주궤도에 진입했을 경우에 상기 1 이상의 제3디플로이어(미도시) 각각의 개폐부(115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1 이상의 제3디플로이어(미도시) 각각의 내부에 탑재된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종방향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1페이로드(31), 및 제2페이로드(32)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시퀀서(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1260)는 내부에 수용된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횡방향으로 전개하거나, 상기 1 이상의 제3디플로이어(미도시)는 상기 제2어퍼데크(1220)가 상기 어퍼프레임(1210)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내부에 수용된 1 이상의 페이로드(3)를 종방향으로 전개하거나,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는 상기 제2어퍼데크(1220)가 상기 어퍼프레임(1210)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종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2페이로드(3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시퀀서(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상측에 배치된 페이로드(3)를 종방향으로 전개하거나,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제2어퍼데크(1220)의 상측에 배치된 페이로드(3)를 종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복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을 이용하여 다양한 수량을 갖는 큐브위성, 초소형위성, 및 소형위성을 보다 유연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이(1200)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측벽(1250)은, 상기 어퍼프레임(1210)에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고, 복수의 제5결합홀(1251.1)이 길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론조런(1251); 및 복수의 제6결합홀(1252.1)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사이드패널(1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론조런(12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프레임(1210)에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고, 복수의 제5결합홀(1251.1)이 길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론조런(1251)은 상기 제2측벽(1250)의 모서리부의 내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론조런(1251)은 외부면이 상기 제2측벽(1250)의 상기 사이드패널(1252)의 내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드패널(125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6결합홀(1252.1)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사이드패널(1252)에 형성된 상기 제6결합홀(1252.1)은 상기 론조런(1251)에 형성된 상기 제5결합홀(1251.1)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드패널(1252) 각각은 상기 론조런(1251)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론조런(1251)의 외부면이 상기 사이드패널(1252)의 내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론조런(1251)의 제5결합홀(1251.1)과 상기 사이드패널(1252)의 제6결합홀(1252.1)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론조런(1251)과 상기 사이드패널(1252)이 서로 결합하여 상기 제2측벽(1250)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패널(1252)의 외부면에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가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는 상기 제2측벽(1250)을 이루는 상기 사이드패널(1252)의 외면에 결합되어 하중을 상기 사이드패널(1252)로 전달하고, 상기 사이드패널(1252)은 상기 론조런(1251)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지지하거나 상기 론조런(125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의 내부에 탑재된 상기 제2페이로드(32)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상기 제2베이(1200)에 비교적 크거나 무거운 페이로드(3) 혹은 디플로이어를 배치시키기에 적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제2측벽(1250)의 내측에 보강부재인 상기 론조런(1251)을 배치하고, 상기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1260) 혹은 페이로드(3) 각각의 외주면을 상기 사이드패널(1252)이 둘러싸며 하중을 지지하고 있어, 대형 디플로이어나 위성 자체를 배치하는 데 최적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베이(1200)의 제2측벽(1250)이 론조런(1251)에 의하여 결합되어 형성되어, 제2측벽(1250)에 결합된 디플로이어의 하중이 론조런(1251)으로 전달되어 크기가 비교적 크거나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디플로이어 혹은 페이로드(3)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이(1200)는 상기 무거운 디플로이어 혹은 페이로드(3)뿐만 아니라, 필요 시 비교적 가벼운 소형 디플로이어 또는 위성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론조런(1251)의 내부면이 상기 사이드패널(1252)의 외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론조런(1251)의 제5결합홀(1251.1)과 상기 사이드패널(1252)의 제6결합홀(1252.1)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론조런(1251)과 상기 사이드패널(1252)이 서로 결합하여 상기 제2측벽(1250)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패널(1252)의 외부면에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가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측벽(1250)의 일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시퀀서는 상기 제2측벽(1250)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널 중에서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가 배치되지 않은 패널의 외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측벽(1250)은, 상기 론조런(1251) 및 상기 복수의 사이드패널(1252)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측벽(1250)은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측벽(1250)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형상의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고, 상부는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일부에 접촉하고 하부는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일부에 접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디플로이어(115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는 상기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는 컨테이너부(1151); 상기 컨테이너부(1151)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가 출입할 수 있는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1152); 및 개폐구동부(1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부(1151)는 상기 제1페이로드(31)의 규격에 맞추어 상기 제1페이로드(31)가 내부에 고정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3U사이즈의 큐브위성이 수납될 수 있는 상기 컨테이너부(1151)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페이로드(31)를 상기 컨테이너부(115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부(1151)의 길이방향 일단은 출구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개폐부(1152)는 상기 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구동부(1153)는 상기 개폐부(1152)의 개폐를 조절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구동부(1153)는 상기 개폐부(1152)가 상기 컨테이너부(1151)와 힌지로 연결된 반대측에 개폐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1152)가 폐쇄상태일 때 상기 개폐고정핀을 고정하여 상기 개폐부(1152)를 폐쇄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시퀀서(1160)는 상기 복수의 제1디플로이어(1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시퀀서(116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개폐구동부(1153)는 상기 개폐부(115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는 상기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가 분리될 때 상기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에 힘을 가하여 밀어내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는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페이로드(31)와 접촉하여 상기 제1페이로드(31)가 분리될 때 상기 제1페이로드(31)에 힘을 전달하는 위성접속부; 상기 제1페이로드(31)가 분리될 때 상기 위성접속부에 힘을 공급하는 메인스프링부; 및 상기 위성접속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페이로드(31)가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의 내부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위성접속부 및 상기 컨테이너부(1151)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성접속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는 내부에 배치된 상기 1 이상의 제1페이로드(31)가 내부의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발사체의 발사 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하여 상기 제1페이로드(3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은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는 있으나, 디플로이어의 전체적인 크기를 제외하면 상기 제2베이(1200)에 배치되는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 및 상기 제3디플로이어(미도시) 또한 상기 제1디플로이어(1150)와 상응하는 특징 및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는 상기 제2페이로드(32)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는 컨테이너부(1151); 상기 컨테이너부(1151)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페이로드(32)가 출입할 수 있는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1152); 개폐구동부(1153); 및 상기 제2페이로드(32)가 분리될 때 상기 제2페이로드(32)에 힘을 가하여 밀어내는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디플로이어(1260)는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페이로드(32)가 내부의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발사체의 발사 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하여 상기 제2페이로드(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디플로이어(미도시)는 상기 제1페이로드(31) 및 상기 제2페이로드(32) 중 1 이상을 내부에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는 컨테이너부(1151); 상기 컨테이너부(1151)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위성 및 상기 제2페이로드(32) 중 1 이상이 출입할 수 있는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1152); 개폐구동부(1153); 및 상기 제1페이로드(31) 및 상기 제2페이로드(32) 중 1 이상이 분리될 때 상기 제1페이로드(31) 및 상기 제2페이로드(32) 중 1 이상에 힘을 가하여 밀어내는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디플로이어(미도시)는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페이로드(31) 및 상기 제2페이로드(32) 중 1 이상이 내부의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발사체의 발사 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하여 상기 제1페이로드(31) 및 상기 제2페이로드(32) 중 1 이상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가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제4결합홀(1231)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1베이(1100)와 상기 제2베이(120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로 형성할 수 있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베이(1200)의 위에 상기 제1베이(110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가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제4결합홀(1231)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1베이(1100)와 상기 제2베이(120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어퍼프레임(1210)이 상기 페이로드(3)의 결합플랜지(미도시)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베이(1200)의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제3결합홀(1211)과 상기 페이로드(3)의 상기 결합플랜지(미도시)의 페이로드결합홀(미도시)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2베이(1200)와 상기 페이로드(3)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베이(1200)의 위에 상기 제1베이(1100)가 장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베이(1100)의 위에 상기 페이로드(3)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페이로드(3)으로 형성할 수 있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요소(140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1 이상의 페이로드(3)으로 조합할 수 있는 1 이상의 쌍을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요소(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요소(1400)는 분리가능하거나, 제어가능한 체결요소(14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요소(140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및 상기 볼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1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요소(1400)는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로 형성할 수 있는 조합을 구성하는 데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1410)는, 상기 제1결합홀(1111)과 상기 제2결합홀(1121)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를 서로 결합시키거나(도 10(a)에 도시),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1결합홀(1111)과 상기 제4결합홀(1231)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베이(1100)와 상기 제2베이(1200)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제2베이(1200) 위에 상기 제1베이(1100)를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1결합홀(1111)과 상기 제2결합홀(1121)에 동시에 삽입되고 상기 제1결합홀(1111)과 상기 제4결합홀(1231)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및 상기 제2베이(12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체결요소(140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상을 갖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고정부재(1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1420)는,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단부 하측과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의 단부 상측을 고정하여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를 서로 고정시키거나(도 10(b)에 도시),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를 서로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단부 하측과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단부 상측을 고정하여 상기 제1베이(1100) 및 상기 제2베이(1200)를 서로 고정시키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제2베이(1200) 위에 상기 제1베이(1100)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단부 하측과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의 단부 상측을 고정하고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단부 하측과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단부 상측을 고정하여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및 상기 제2베이(1200)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142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상기 제1결합홀(1111),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의 상기 제2결합홀(1121), 상기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제3결합홀, 및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제4결합홀(1231)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고정핀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부재(1420)에 상응하는 체결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및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를 결합 또는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와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로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체결요소(1400)는 전술한 쌍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으로 조합할 수 있는 1 이상의 쌍을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는 상기 제1베이(1100), 및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페이로드(3)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가 상기 페이로드(3)의 결합플랜지(미도시)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베이(1100)의 제1어퍼데크(1110)의 상기 제1결합홀(1111)과 상기 페이로드(3)의 상기 결합플랜지(미도시)의 페이로드결합홀(미도시)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1베이(1100)와 상기 페이로드(3)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b)는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1베이(1100), 및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페이로드(3)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하나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하나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의 상기 제2결합홀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하나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다른 하나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가 상기 페이로드(3)의 결합플랜지(미도시)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베이(1100)의 제1어퍼데크(1110)의 상기 제1결합홀(1111)과 상기 페이로드(3)의 상기 결합플랜지(미도시)의 페이로드결합홀(미도시)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1베이(1100)와 상기 페이로드(3)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c)는 4개의 상기 제1베이(1100)가 차례로 적층된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하나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하나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상기 제1결합홀(1111)과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제1플랫폼데크(1120)의 상기 제2결합홀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하나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중 다른 하나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결합이 1회 이상 반복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및 상기 1 이상의 페이로드(3) 중 1 이상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는 상기 제2베이(1200), 및 상기 제2베이(120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페이로드(3)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가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제4결합홀(1231)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1베이(1100)와 상기 제2베이(120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어퍼프레임(1210)이 상기 페이로드(3)의 결합플랜지(미도시)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베이(1200)의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제3결합홀(1211)과 상기 페이로드(3)의 상기 결합플랜지(미도시)의 페이로드결합홀(미도시)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2베이(1200)와 상기 페이로드(3)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b)는 상기 제2베이(1200)만을 포함하는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가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베이(1100)의 상기 제1어퍼데크(1110)의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제4결합홀(1231)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1베이(1100)와 상기 제2베이(120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어퍼프레임(1210)이 상기 페이로드(3)의 결합플랜지(미도시)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베이(1200)의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제3결합홀(1211)과 상기 페이로드(3)의 상기 결합플랜지(미도시)의 페이로드결합홀(미도시)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2베이(1200)와 상기 페이로드(3)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어댑터(1300)의 상측에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50)를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2(c)는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2베이(1200), 및 상기 제2베이(120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페이로드(3)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이(1200)의 상기 어퍼프레임(1210)이 상기 페이로드(3)의 결합플랜지(미도시)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베이(1200)의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제3결합홀(1211)과 상기 페이로드(3)의 상기 결합플랜지(미도시)의 페이로드결합홀(미도시)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2베이(1200)와 상기 페이로드(3)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로드(3)는 제3페이로드(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d)는 상기 제1베이(1100), 상기 제1베이(110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2베이(1200), 및 상기 제2베이(120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페이로드(3)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d)는 전술한 도 12(c)에서 상기 어댑터(1300)의 상측에 1 이상의 제1디플로이어(1160)가 배치된 실시예에 해당한다.
즉,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어댑터(1300)의 상측에 1 이상이 제1디플로이어(116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중 하나의 상기 어퍼프레임(1210)이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중 하나의 어퍼프레임(1210)의 상기 제3결합홀(1211)과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플랫폼프레임(1230)의 상기 제4결합홀(1231)이 체결요소(1400)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중 하나와 상기 1 이상의 제2베이(1200) 중 다른 하나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제2베이(120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1)은 상기 1 이상의 제1베이(1100), 상기 제2베이(1200), 및 상기 페이로드(3) 중 1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주발사체의 페어링 내부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베이가 적층된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페이로드들을 한 번에 적재할 수 있어 하나의 우주발사체를 통해 전개될 수 있는 페이로드의 종류에 대한 제한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베이와 제2베이가 플랜지형 구조를 이루고 있어, 복수의 조합을 포함하는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수량을 갖는 큐브위성, 초소형위성, 및 소형위성을 보다 유연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베이는 불필요한 보강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중량이 비교적 가볍고, 소형 디플로이어를 배치하는 데에 최적화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플레이트가 제1베이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발사지연으로 인한 디플로이어 및 페이로드의 충전 또는 상태점검 시 제1베이 위에 이미 적재된 다른 위성 혹은 또다른 베이를 우주발사체로부터 해체하지 않고 디플로이어와 패이로드를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엔지니어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베이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위성 또는 디플로이어를 추가 배치함에 따라, 우주발사체에 적재시킬 수 있는 페이로드의 수를 증가시키고, 페이로드를 보다 다양한 궤도로 전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베이의 제2측벽이 론조런에 의하여 결합되어 형성되어, 제2측벽에 결합된 디플로이어의 하중이 론조런으로 전달되어 크기가 비교적 크거나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디플로이어 혹은 페이로드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
1100: 제1베이
1110: 제1어퍼데크 1111: 제1결합홀
1120: 제1플랫폼데크 1121: 제2결합홀
1130: 제1측벽
1140: 어댑터플레이트 1141: 어댑터플레이트결합홀
1150: 제1디플로이어 1151: 컨테이너부
1152: 개폐부 1153: 개폐구동부
1160: 제1시퀀서
1200: 제2베이
1210: 어퍼프레임 1211: 제3결합홀
1220: 제2어퍼데크
1230: 플랫폼프레임 1231: 제4결합홀
1240: 제2플랫폼데크
1250: 제2측벽 1251: 론조런
1251.1: 제5결합홀 1252: 사이드패널
1252.1: 제6결합홀
1260: 제2디플로이어
1300: 어댑터 1400: 체결요소
1410: 결합부재 1420: 고정부재
2: 우주발사체
2100: 상단구조체 2200: 페어링
3: 페이로드
31: 제1페이로드 32: 제2페이로드
33: 제3페이로드

Claims (6)

  1.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제3결합홀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어퍼프레임;
    상기 어퍼프레임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탈착가능한 제2어퍼데크;
    상기 어퍼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측벽;
    상기 제2측벽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제4결합홀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플랫폼프레임; 및
    상기 플랫폼프레임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탈착가능한 제2플랫폼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벽의 외부의 공간에 1 이상의 제2디플로이어가 배치되고,
    상기 어퍼프레임, 상기 제2어퍼데크, 상기 제2측벽, 상기 플랫폼프레임, 및 상기 제2플랫폼데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에 1 이상의 제3디플로이어 또는 1 이상의 페이로드가 수용될 수 있는, 기둥형베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어퍼데크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어 탈착가능하고, 상기 어퍼프레임의 상기 관통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상기 어퍼프레임에 결합 시 상기 어퍼프레임과 하나의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플랫폼데크는 상기 플랫폼프레임의 상기 관통부에 배치되어 탈착가능하고, 상기 플랫폼프레임의 상기 관통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상기 플랫폼프레임에 결합 시 상기 플랫폼프레임과 하나의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는, 기둥형베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측에 1 이상의 페이로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어퍼프레임이 상기 페이로드의 결합플랜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프레임의 상기 제3결합홀과 상기 페이로드의 상기 결합플랜지의 페이로드결합홀이 체결요소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기둥형베이와 상기 페이로드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기둥형베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은,
    상기 어퍼프레임에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고, 복수의 제5결합홀이 길이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론조런; 및
    복수의 제6결합홀이 테두리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사이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론조런의 외부면이 상기 사이드패널의 내부면과 접촉된 상태, 또는 상기 론조런의 내부면이 상기 사이드패널의 외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론조런의 제5결합홀과 상기 사이드패널의 제6결합홀이 체결요소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론조런과 상기 사이드패널이 서로 결합하여 상기 제2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패널의 외부면에 상기 제2디플로이어가 배치되어 고정되는, 기둥형베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은,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형상의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고, 상부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일부에 접촉하고 하부는 상기 플랫폼프레임의 일부에 접촉하는, 기둥형베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베이는 상기 제2측벽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상기 어퍼프레임 및 상기 플랫폼프레임에 의하여 플랜지형 구조를 형성하는, 기둥형베이.
KR1020210148051A 2021-11-01 2021-11-01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 KR10264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51A KR102643552B1 (ko) 2021-11-01 2021-11-01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51A KR102643552B1 (ko) 2021-11-01 2021-11-01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134A true KR20230063134A (ko) 2023-05-09
KR102643552B1 KR102643552B1 (ko) 2024-03-05

Family

ID=8640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051A KR102643552B1 (ko) 2021-11-01 2021-11-01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5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327B1 (en) * 1999-03-31 2001-03-2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odular spacecraft bus
US9994336B1 (en) * 2013-03-14 2018-06-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sa System and methods for deploying payloads
US20210139169A1 (en) * 2019-11-08 2021-05-13 The Boeing Company Payload adapter having a truss support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327B1 (en) * 1999-03-31 2001-03-2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odular spacecraft bus
US9994336B1 (en) * 2013-03-14 2018-06-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sa System and methods for deploying payloads
US20210139169A1 (en) * 2019-11-08 2021-05-13 The Boeing Company Payload adapter having a truss suppor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552B1 (ko)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77798B (zh) 用于部署航天器的系统和方法
CN108137172B (zh) 包括形成堆的立柱的航天器,包括放在发射器中安放至少两个这种航天器的堆,以及空投航天器的方法
JP7145975B2 (ja) 単一又はスタックした複数の打ち上げのための効率的な衛星構造の概念
EP3578466B1 (en) Multiple space vehicle launch system
JPH07257499A (ja) 打上げ機用の複数衛星ディストリビュータ
US7036773B2 (en) Compact external launcher for small space payloads
US7832687B1 (en) On-orbit storage, plane change, and injection to final orbit of space vehicles
US11932425B2 (en) Rideshare adapter, a configurable-mass, distributed architecture rideshare dispenser for a rideshare adapt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ideshare dispenser
US8720830B1 (en) Efficient solar panel wing-stowage on a space launch vehicle
US5350138A (en) Low-cost shuttle-derived space station
JPH02500509A (ja) 多数の宇宙船の同一打上げビークルにおけるコンパクト収容を可能にする宇宙船構造
CN107933976B (zh) 立方星弹射器及其弹射方法
KR20230063137A (ko)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
KR20230063134A (ko) 복수의 페이로드를 장착하기 위한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기둥형베이
KR20230063131A (ko) 탈착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우주발사체용 위성 다중탑재 시스템용 삽입형베이
US5133517A (en) Access door pallet
JP6933506B2 (ja) 宇宙機
RU2569966C1 (ru) Космическая головная часть
US20200354090A1 (en) Innovative System for Deploying Satellites from Launch Vehicles
CN117073471B (zh) 卫星运载火箭的载荷舱和卫星运载火箭
KR102529856B1 (ko) 인공위성 탑재 장치 및 인공위성 운용 방법
Haskett et al. EELV secondary payload adapter (ESPA)
Adams Jr et al. JEM-EUSO Design for Accommodation on the SpaceX Dragon Spacecraft
Hill et al. Structural Design, Integration, and Testing of the STEREO Dual-Spacecraft System
Garvey et al. Responsive Payload Accommodations & Integration Operations for Dedicated CubeSat Mi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