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623A -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623A
KR20230062623A KR1020237011662A KR20237011662A KR20230062623A KR 20230062623 A KR20230062623 A KR 20230062623A KR 1020237011662 A KR1020237011662 A KR 1020237011662A KR 20237011662 A KR20237011662 A KR 20237011662A KR 20230062623 A KR20230062623 A KR 20230062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ocation
identification data
tra
t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앙투안 모우일레온
딘 투이 판 후이
츠위 알트만
필리페 리게이
Original Assignee
오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2010551A external-priority patent/FR3115383A1/fr
Application filed by 오렌지 filed Critical 오렌지
Publication of KR2023006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5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the management of goods or merchand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는 단계(E1O, G10)로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T)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S) 간에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를 따라 송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P)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LOC,,OBJ)를 결정하는 단계(E30, G3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S)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T) 간에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를 따라 송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P)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TRACEMD)를 결정(E3Q, G30)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본 발명은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통신 방법,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상기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된 객체 위치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언급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객체, 특히 객체들의 뱃치(batch)의 요소들로서 분배 회로에 도입된 객체들의 추적성에 적용될 수 있다.
객체의 추적성은, 객체의 수명 주기를 (아마도 소급하여) 확인하는 데 필요하고 충분한 정보를 생성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이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는 가능성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추적성은, 예를 들어, 객체의 등록된 식별을 통해 상기 객체의 사용 및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 이력을 생성하고 찾을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추적성은, 일부 상황에서, 제품이 거쳤을 수 있는 변형 단계 및 이의 경로를 통해, 제품의 생성(생산)부터 파괴(소비)에 이르기까지 제품을 추적하고 이에 따라 제품을 찾는 것을 도울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객체의 추적성의 효과는 공간 및/또는 시간에서 관심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능력에 의존한다. 이를 위해, 추적성은 비접촉식 식별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 IT의 발전 및 전자 소형화와 관련된 발전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따라서, 객체에 부착된 바코드가 사용되어 왔고 오늘날에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코드들은, 광학 판독기가 장착된 전용 수단을 사용하여 판독될 수 있으며, 각각 연관된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널리 사용되는 다른 해결책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무선 주파수 식별)의 약어)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추적하고자 하는 객체에 부착되는 무선 태그라고도 하는 전자 칩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RFID 기술은, 특히 수동적이라는 짐(즉, 칩이 동작하기 위해 에너지 소스에 연결될 필요가 없다는 점),그리고 이러한 칩에 포함된 정보를 바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고려할 수 있는 거리보다 더 먼 거리에서 판독할 수 있다는 점을 포함하여 소정의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객체-위치확인 기술에는 소정의 사용 제한이 있다는 사실이 여전히 존재한다. 실제로, 이들 기술에서는 전용의 고가 하드웨어를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를 판독하려면 광학 판독기가 장착된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RFID 칩은 예를 들어 휴대용 RFID 판독기의 형태나 게이트 형태의 전용 판독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무겁고 설치가 복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 중 일부 또는 전부, 예를 들어, 상술한 단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소정의 해결책보다 (예를 들어 구현 용이성, 비용 및/또는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의 위치를 더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물류 회로 외부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객체 추적이 전통적으로 구현되는 적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 간에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상에서 송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 간에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 방법은, 주변 후방산란 통신 기술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객체에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식별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러한 후방산란 기술의 사용은, 데이터(예를 들어, 상기 식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주변 신호를 후방산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 장치를 제외하고 구현되기 위해 특정 하드웨어 요소들의 배치를 요구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맞게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실제로, 하나 이상의 주변 신호는, 객체(셀폰, 기지국 등)의 환경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요소들에 의해 또는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요소들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주변 후방산란에 의해 생성되는 식별 데이터는, 또한, 객체(휴대폰, 기지국 등)의 환경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요소들, 예를 들어, 기성품 하드웨어 요소들 또는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요소들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위치 데이터는 객체의 환경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요소들에 의해 생성 및/또는 수집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는, 객체의 환경에서 이미 이용가능한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얻은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는 한 하드웨어 절약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전념하는 작업 인력의 사용을 피하거나 또는 피하지는 못해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객체의 환경에 존재하는 위에서 언급한 하드웨어 요소들 중 일부는 모든 사용자에게 속할 수 있다.
주변 후방산란 통신 기술이 에너지 효율적이고 이용하기 쉬운 기술이라는 사실이 추가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특징(하드웨어 및 노동력에 대한 잠재적 절약)으로 인해,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는 물류 현장을 넘어 이에 따라 임의의 물류 프로세스를 넘어 하나 이상의 객체의 검출, 위치확인, 및 추적성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물류 프로세스"는 객체의 모든 조작 및 이러한 객체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의 변경을 지칭한다. 이러한 물류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이 목적을 위한 전용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는 서버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정보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는 추적성 이벤트의 이력을 객체에 각각 부착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이력은, 예를 들어, 생산, 보관, 주문 준비, 및/또는 다른 객체와 함께 그룹화(예컨대, 동일한 종류의 객체들을 뱃치 형태로 함께 그룹화),출하, 그룹해제된 객체의 배송 등과 같은 단계들 동안의 연속적인 식별을 따르는 물류 프로세스 동안 수명 주기에 걸쳐 객체의 이동을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객체로서 작용하는 제1 제품의 경우를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제1 제품은 매장에서 판매된다. 따라서, 현재 판매 중인 이러한 제1 제품은 물류 현장을 떠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제1 제품 상에 송신기 장치(또는 "태그")를 배치하여 이러한 제1 제품의 식별 데이터가 주변 후방산란에 의해 생성될 수 있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의해 상기 제1 제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에 존재하는 다른 제품들의 잠재적인 구매자에 속하는 스마트폰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주변 신호에 추가하여, 상기 제1 제품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제품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제품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르면, 스마트폰은 제1 제품의 식별 데이터가 주변 후방산란에 의해 생성되는 주변 신호의 소스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제품의 위치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성되고 상기 제1 제품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터를 소유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소정의 실시예는 주변 신호의 소스에 있어서 스마트폰에서 본 발명의 구현을 요구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치확인 방법의 소정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소정의 해결책과는 달리, 이를 위해 훈련된 조작자에 의해 구체적이고 의도적으로 수행되는 동작(제스처)에 의지할 필요없이 하나 이상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추적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객체의 위치확인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물류 현장의 종래의 회로(생산, 보관, 주문 준비, 제품들의 그룹화, 출하, 배송 등)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이 이러한 고려 사항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위치확인 방법의 소정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일단 객체가 유통 지점에서 구매 후 물류 현장을 떠나면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물류의 추적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 방법의 소정의 실시예는, 또한, 객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의도적으로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는 점에서(즉, 객체가 표적 검색되지 않을 아닐 수 있고, "우연히" 검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다를 수 있다.
실제로, 무엇보다도, (다운링크의 경우 수신기 장치에 의한 또는 업링크의 경우 송신기 장치에 의한) 위치 데이터의 송신이 반드시 (다운링크의 경우 수신기 장치에 의한) 식별 데이터의 수신과 혹은 (업링크의 경우 송신기 장치에 의한) 주변 신호의 송신과 상관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위치 데이터의 송신은 객체의 식별 데이터의 수신이나 주변 신호의 송신과는 무관한 송신 프로토콜의 구현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두 번째로, 객체의 식별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링크가 업링크인지 다운링크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수신기 장치에 의한) 후방산란 신호의 디코딩은 주변 신호가 후방산란되자마자 반드시 활성화되는 것은 아니다. 완전히 비제한적인 예로서, 다운링크의 경우에, 스마트폰을 소유한 사용자는 원하는 대로 가능한 후방산란된 주변 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딩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동일한 사용자는, 또한, 이러한 효과에 대한 권장 메시지가 그/그녀에게 송신되는 경우(예를 들어, 주어진 지리적 영역 내의 주어진 뱃치로부터 오염된 제품의 위치를 확인하려 시도하는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위치확인 방법은 그 자체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으로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는, 단일 위치 데이터가 획득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식별 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와 연관짓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위치 데이터(P)가 획득되고,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S_AMB)가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상에서 송신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송신기 장치(T)에 의해 송신되어 있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S_AMB)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수신기 장치(T)에 의해 송신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위치(TRACE_MD)를 결정(E30, G30)하는 단계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식별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제1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 위치 데이터와 연관짓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제2 위치 데이터는 제1 위치 데이터 사이의 삼각측량을 통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위치 데이터가 획득되고,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상에서 송신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송신기 장치에 의해 송신되어 있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수신기 장치에 의해 송신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 상기 복수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정된 위치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식별 데이터를 상기 조정된 위치 데이터와 연관짓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조정된 위치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 사이의 삼각측량을 통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의 후방산란 시간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의 생성 시각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상기 제1 및 제2 시간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특정 구현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 수준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고려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후방산란된 주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장치에서 구현되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신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는 상기 주변 신호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하는 단계;
- 상기 주변 신호가 송신기 장치와 수신기 장치 사이의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수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를 객체-위치확인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 상기 주변 신호가 송신기 장치와 수신기 장치 사이의 업링크를 통해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객체-위치확인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주변 신호가 업링크를 통해 송신될 때, 상기 송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를 상기 객체-위치확인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 수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위치확인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이력을 생성 및/또는 보강하게 하도록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비일시적 정보 또는 기록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른 객체"로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 본 발명에 따른 객체-위치확인 방법에 따라 결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된 객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이웃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공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식별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구현 모드에서, 해당 객체들 사이의 과거 및/또는 예정된 근접(이웃) 링크가 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이러한 정보 부족(주어진 객체에 대한 식별 데이터의 부재)을 보상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그 자체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으로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된 객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과거 및/또는 예정된 지리적 근접성이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웃은 제1 기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된 객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과거 및/또는 예정된 지리적 근접성이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객체-위치확인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집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컴파일링된 형태 또는 다른 임의의 바람직한 형태와 같이 소스 코드, 객체 코드, 또는 소스 코드와 객체 코드 사이의 중간 코드의 형태일 수 있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 정보 매체 또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보 매체 또는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개체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는, 예를 들어, CD-ROM 또는 마이크로전자 회로 ROM과 같은 ROM, USB 키 또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기록 수단과 같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매체 또는 기록 매체는, 전기 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을 통해, 무선에 의해,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라우팅될 수 있는 전기 신호 또는 광 신호와 같은 송신가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특히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정보 매체 또는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이 통합된 집적 회로일 수 있으며, 회로는 해당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되거나 해당 방법의 실행에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객체-위치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세서는,
-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함)를 획득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 간에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 간에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후방산란된 주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세서는,
-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는 상기 주변 신호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함)를 획득하고,
- 상기 주변 신호가 송신기 장치와 수신기 장치 간에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수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를 객체-위치확인 장치에 송신하고,
- 상기 주변 신호가 송신기 장치와 수신기 장치 간에 업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객체-위치확인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 장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은,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이력을 생성 및/또는 보강하게 하도록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파일과 같이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비일시적 정보 또는 기록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다른 객체"라고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상기 위치확인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된 객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이웃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확인, 통신, 및/또는 수집 장치는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그룹의 요소이다:
- 스마트폰;
- 이동 단말기;
- 기지국;
- 서버;
- 네트워크 상호연결 게이트웨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또는 장점은 결코 제한적이지 않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주어진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라 그 환경에서 송신기 장치와 수신기 장치 간의 다운링크 상에 후방산란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위치확인 시스템에 속하는 위치확인 장치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수신기 장치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위치확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방법의 일부 단계를 흐름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수신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일부 단계를 흐름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도 6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도 1의 위치확인 시스템에 속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 장치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송신기 장치와 수신기 장치 간의 다운링크 상에서 후방산란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장치가 송신기 장치 외부에 있는,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라 그 환경에서 송신기 장치와 수신기 장치 간의 업링크 상에서 후방산란을 구현하는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도 4의 위치확인 시스템에 속하는 위치확인 장치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의 수신기 장치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도 9의 위치확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방법의 일부 단계를 흐름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의 수신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일부 단계를 흐름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도 13은, 송신기 장치와 수신기 장치 간의 업링크 상에서 후방산란을 구현하고 상기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장치가 수신기 장치의 외부에 있는,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다운링크 상에 후방산란 및 업링크 상에 후방산란을 구현하는,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라 그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도 6의 데이터 수집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 방법의 일부 단계를 흐름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유통 회로와 같은 물류 회로를 이동하기 전에 및/또는 후에 객체, 예를 들어 제품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구현의 적어도 소정의 모드는, 예를 들어, 상기 유통 회로를 넘어, 다시 말하면, 물류 분야 및 이에 따라 임의의 물류 프로세스를 넘어 하나 이상의 객체의 검출, 위치확인, 및 추적성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류 프로세스 동안 기록되는 추적성 이벤트는, 특히, 식별된 객체의 목록, 식별의 타임스탬프, 식별 장소, 및 예를 들어 주문 준비와 같이 식별에서 수행되는 비즈니스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드는, 또한, 예를 들어 주문의 의도된 수신자와 같은 다른 필드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추적성 이벤트는, 예를 들어, EDIFACT("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행정, 상업 및 운송을 위한 전자 데이터 교환)의 약어)에 의해 제공되는 것,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창고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또는 비즈니스 관리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기업 자원 계획)의 약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용되는 것,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s"(전자 제품 코드 정보 서비스)의 약어) 표준과 같이 GS1 그룹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표준과 호환될 수 있거나 이러한 표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물류 분야를 넘어"라는 표현은 객체가 이전에 부착된 물류 회로를 떠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객체는, 물류 현장을 떠날 때, 유통 장소(이는 제품이 예를 들어 슈퍼마켓과 같은 유통 지점으로 배송되는 경우이므로,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음),소비 장소(예를 들어, 레스토랑),폐기물 회수를 위한 장소, 공공 장소(예를 들어, 거리), 사적 개인 공간(예를 들어, 주거지)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히 객체가 물류 현장을 떠나자마자,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의해 위치될 수 있는 객체가 위치할 수 있는 장소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특정 해결책과는 달리) 특히 의도적으로 행동(식별 및 활동적인 위치확인)하는 전담 인력의 재배치를 요구하지 않고 물류 현장을 떠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는, 구현하기 쉽고 종래 기술의 소정의 해결책보다 저렴하고 하나 이상의 객체의 위치를 수동적으로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특별히 배치된 인력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음)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그리고 설명을 본질적으로 단순화하기 위해,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단일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객체가 판매 지점(예를 들어, 스포츠 장비 판매 전용 상점)에 위치한 제품(예를 들어, 스포츠 용품)에 대응하는 점이 또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는 위치를 확인할 객체의 수 및 이러한 객체의 특성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하며, 설명된 실시예의 일반화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는 사실이 여전히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라 그 환경에서 객체(MD)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의 위치확인 시스템(10)은, 나머지 설명에서 "트레이서"(TRA)라고 칭하며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객체(MD)의 위치를 확인하는 처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위치확인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상기 트레이서(TRA)의 하드웨어 구성 및 이에 의해 구현되는 위치확인 방법에 관한 기술적 세부사항은 나중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시스템(10)은, 또한,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후방산란 신호를 수신하고 위치 데이터(P)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T)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상기 통신 장치(T)의 하드웨어 구성 및 이에 의해 구현되는 통신 방법에 관한 기술적 세부사항은 나중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 시스템(10)은, "송신 대역"이라 칭하는 주어진 주파수 대역 내에 포함된 송신 주파수(F_E)에서 "주변 신호"(S_AMB)라고 칭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장치(S)를 포함하는 환경에 배치된다. 주변 신호(S_AMB)는, 예를 들어, 항상 또는 반복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나머지 설명을 위해,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주변 신호(S_AMB)가 단일 송신기 장치(S)에 의해서만 송신되는 경우를 고려할 것이다. 단일 송신기 장치를 고려하는 선택은 여기서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될 수 있는 송신기 장치의 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사실상 다음과 같은 발전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어려움 없이 복수의 송신기 장치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무선 수단에 의해 전파되는 전자파를 가리키며, 그 주파수는 전통적인 무선파 스펙트럼(수 헤르츠 내지 수백 기가헤르츠) 내에 포함된다.
완전히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변 신호(S_AMB)는 송신기 장치(S)에 의해 송신 대역([811 MHz, 821 MHz]) 내에서 송신되는 4G 이동 전화 신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가, 예를 들어, 4G 이외의 이동 전화 신호(예를 들어 3.5 GHz에서의 2G, 3G, 5G, 700 MHz에서의 5G 등), Wi-Fi 신호, WiMax 신호, DVB-T 신호, 또는 이러한 신호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유형의 무선 신호에 적용될 수 있음이 특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고려될 수 있는 주변 무선 신호에는 제한이 없다. 결과적으로, 송신기 장치(S)에 장착된 안테나의 수는 본 발명의 제한 요소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1에 예시된 예의 범위 내에서는, 주변 신호(S_AMB)가 송신기 장치(S)와 통신 장치(T) 간의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통신 장치(T)는 주변 신호(S_AMB)를 통해 송신기 장치(S)에 의해 서빙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공으로부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기 장치(S)와 통신 장치(T)는 통신 장치(T)가 주변 신호(S_AMB) 및 상기 신호(S_AMB)로부터 후방산란된 신호를 또한 수신하는 "수신기 장치"(receiver device)의 역할을 하는 통신 시스템의 두 개의 장치로 고려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해진다.
도 1의 실시예의 나머지 설명을 위해, 송신기 장치(S)는 기지국이고 수신기 장치(T)는 사용자에 속하는 스마트폰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상기 사용자는 물류 프로세스의 구현을 전담하는 인력에 속하지 않는 사람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그/그녀는, 예를 들어, 객체(MD)가 위치하는 판매 지점을 통해 이동하는 소비자와 같이 객체(MD) 근처에서 이동하는 대중의 구성원이다.
그러나, 송신기 장치(S)와 수신기 장치(T)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면 이들 장치(T)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일례에 따르면, 송신기 장치(S)는 Wi-Fi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고, 수신기 장치(T)는 Wi-Fi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태블릿, PDA, 또는 심지어 개인용 컴퓨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치확인 방법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T)가 송신할 수 있는 위치 데이터(P)는 트레이서(TRA)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위치 데이터(P)는, "위치 신호"(S_LOC)라고 칭하는 신호에 의해 송신되며, 상기 위치 신호(S_LOC)가 송신될 때의 단말기(T)의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데이터(P)는 단말기(T)의 지리적 좌표를 나타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의 약어) 데이터일 수 있다.
그러나, GPS 데이터 이외의 위치 데이터를 고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데이터(P)는, 상기 통신 단말기(T)와 기지국(S)이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모든 셀 중에서 단말기(T)가 속하는 통신 셀에 부착된 식별자일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는, 예를 들어, 식별자에 부착된 통신 셀의 중심의 지리적 좌표를 가리킨다.
위치확인 시스템(10)이 위치하는 환경은, 또한, 상기 시스템(10)을 통해 위치가 확인될 수 있는 객체(MD)를 포함한다. 상기 객체(MD)에는, 예를 들어, 객체(MD)의 표면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RF "송신기 장치"(transmitter device)(문헌에서 "태그"라고도 함)라고 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RF 송신기 장치는 주변 신호(S_AMB)의 주변 후방산란을 통해 신호(S_RETRO)를 단말기(T)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주변 후방산란 통신은, 여기서 상기 신호(S_RETRO)를 통해 상기 단말기(T)에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주변 신호(S_AMB)를 이용하는 RF 송신기 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메시지는 상기 RF 송신기 장치의 식별 데이터(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데이터(M)는 객체(MD)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식별자는, 예를 들어, 대량 생산의 경우 유사한 객체들 중에서 상기 객체(MD)를 구별하기 위한 제조 번호이다.
식별 데이터(M)는, 예를 들어,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을 가변함으로써 송신되며, 이러한 변동은, 송신될 식별 데이터(M)에 따라 RF 송신기 장치가 자신에 장착된 안테나(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제시되는 임피던스를 수정할 가능성에 기초한다.
특히, RF 송신기 장치는 자신에 장착된 안테나에 제시되는 임피던스에 따라 동작 상태에 연관될 수 있다.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제한 없이, 이러한 상태들은 "후방산란" 상태라고 칭하는 상태(RF 송신기 장치가 신호(S_AMB)를 후방산란할 수 있음) 및 "비후방산란"(non-backscatter) 상태라고 칭하는 반대 상태(RF 송신기 장치가 신호(S_AMB)를 후방산란할 수 없으며, 또는 다시 말하면, 신호(S_AMB)에 대하여 "투명"함)라고 고려될 것이다. 후방산란 상태에 연관된 임피던스는, 예를 들어, 0 또는 무한 임피던스에 해당하는 반면, 비후방산란 상태에 연관된 임피던스는, 예를 들어, 고려 중인 전파 매체 및 고려 중인 주파수에서의 안테나의 특성 임피던스의 복소 공액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단지 두 개의 상태, 각각 완벽한 후방산란 및 완벽한 비후방산란이 고려되는 이러한 이상적인 경우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는, 식별 데이터(M)를 수신하도록 의도된 단말기(T)에서 후방산란 파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면, 두 개의 상태(제1 상태 및 제2 상태)가 완벽하게 후방산란/비후방산란이 아닌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신호(S_RETRO)를 통해 RF 송신기 장치에 의해 단말기(T)로 송신되는 식별 데이터(M)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예컨대 제1 값(예를 들어, 값 "1"을 갖는 비트들의 세트 또는 비트)을 갖는 "하이" 심볼이라 칭하는 심볼 및/또는 제2 값(예를 들어, 값 "0"을 갖는 비트들의 세트 또는 비트)을 갖는 "로우" 심볼이라 칭하는 심볼을 포함하는 심볼들의 세트에 의해 인코딩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후방산란의 가변에 의한 식별 데이터(M)의 송신은 상기 후방산란 상태와 비후방산란 상태 간을 교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들의 각각은 심볼들 중 하나의 송신에 전용된다(예를 들어 후방산란 상태에 대하여 하이 심볼 및 비후방산란 상태에 대하여 로우 심볼이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RF 송신기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 데이터(M)는 주변 신호(S_AMB)의 파동을 변조함으로써(즉, 역변조를 통해) 단말기(T)에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신호(S_AMB)를 후방산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처리 동작은, 예를 들어, 후방산란 방법(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구현함으로써 RF 송신기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RF 송신기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저장 수단(자기 하드 디스크, 전자 메모리, 광학 디스크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저장 수단에 데이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상기 후방산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의 세트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RF 송신기 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후방산란 방법을 구현하도륵 설계된, FPGA, PLO 등의 유형의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논리 회로, 및/또는 특수 집적 회로(ASIC), 및/또는 이산 전자 부품들의 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RF 송신기 장치는, 후방산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특정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하드웨어(FPGA, PLD, ASIC 등)로서 구성된 수단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단말기(T)는, 특히 RF 송신기 장치의 식별 데이터(M)를 얻기 위해 후방산란된 신호(S_RETRO)를 디코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데이터(M)는, 소정의 실시예에서, 디코딩 방법(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구현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T)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저장 수단(자기 하드 디스크, 전자 메모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저장 수단에는 데이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디코딩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의 세트의 형태로 저장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단말기(T)는, 디코딩 방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FPGA, PLD 등의 유형의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논리 회로, 및/또는 특수 집적 회로(ASIC), 및/또는 이산 전자 부품들의 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기(T)는 디코딩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특정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하드웨어(FPGA, PLD, ASIC 등)로 구성된 수단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주변 후방산란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신호 처리 및 이들 데이터의 디코딩은, 다양한 기술, 특히 통상의 기술자가 참조할 수 있는 다음 문헌에 설명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Ambient Backscatter Communications: A Contemporary Survey", N. Van Huynh, D. Thai Hoang, X. Lu, D. Niyato, P. Wang, D. In Kim, IEEE Communications Surveys & Tutorials, vol. 20, no. 4, pp, 2889-2922, Fourthquarter 2018.
주변 후방산란 통신과 관련하여, 기지국(S), 단말기(T), 트레이서(TRA), 및 RF 송신기 장치는 서로 분리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서(TRA)는,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기지국(S)에 통합될 수 있다.
후방산란 신호(S_RETRO)(각각 위치 신호(S_LOC))는 지금까지 식별 데이터(M)(각각 위치 데이터(P))를 포함하는 것으로만 설명되었지만, 추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 신호를 고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일례에 따르면, 후방산란 신호(S_RETRO)는, 식별 데이터(M)에 더하여,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 시간을 나타내는(또는 이 시간에 매우 가까운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르면, 또는 아마도 이전 예에 더하여, 위치 신호(S_LOC)는, 위치 데이터(P)에 더하여, 위치 데이터(P)의 생성 시각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트레이서(TRA)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서(TRA)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서(TRA)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_TRA1),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2_TRA1), 적어도 하나의 판독 전용 메모리(3_TRA1), 및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4_TRA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서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5_TRA1)을 갖는다.
트레이서(TRA)의 판독 전용 메모리(3_TRA1)는, 프로세서(1_TRA1)에 의해 판독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PROG_TRA1)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PROG_TRA1)은, 예를 들어, 트레이서(TRA)의 위에서 언급한 하드웨어 요소(1_TRA1 내지 5_TRA1)를 기반으로 하거나 제어하는 트레이서(TRA)의 기능 모듈들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듈들은 특히, 하기를 포함한다:
- 식별 데이터(여기서는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모듈,
- 위치 데이터(여기서는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
- 상기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P)에 기초하여 객체(여기서는 객체(MD))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따라서, 트레이서(TRA)의 프로세서(1_TRA1)는, 프로그램(PROG_TRA1)을 실행할 때, 하기를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식별 데이터(여기서는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식별 데이터(M)는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하며,
- 상기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여기서는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에 기초하여 객체(여기서는 객체(MD))의 위치를 결정함.
통신 모듈(5_TRA1)은, 특히, 트레이서(TRA)가 다른 장치, 예를 들어, (단말기(T)와 같은) 후방산란된 신호를 수신하는 (도 1의 예에 따라 트레이서(TRA)가 통합되는) 수신기 장치 및/또는 기지국(S)과 데이터를 교환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5_TRA1)은,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컴퓨터 데이터 버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고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Ethernet, Wi-Fi, Bluetooth, 3G, 4G, 5G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듈(5_TRA1)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는 제한이 없다. 통신 모듈(5_TRA1)은 트레이서(TRA)에 장착된 상기 제1 및 제2 획득 모듈을 통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3은 도 1의 단말기(T)의 하드웨어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T)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T)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_T),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2_T), 적어도 하나의 판독 전용 메모리(3_T), 및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4_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5_T)을 갖는다.
단말기(T)의 판독 전용 메모리(3_T)는, 프로세서(1_T)에 의해 판독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PROG_T)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PROG_T)은, 예를 들어, 단말기(T)의 상술한 하드웨어 요소들(1_T 내지 5_T)을 기반으로 하거나 제어하는 단말기(T)의 기능 모듈들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듈들은 특히 하기를 포함한다:
- 객체(여기서는 객체(MD))의 식별 데이터(여기서는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객체(MD)의 상기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여기서는 단말기(T)의 식별 데이터(P))를 트레이서(TRA)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따라서, 단말기(T)의 프로세서(1_T)는, 프로그램(PROG_T)을 실행할 때, 하기를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객체(여기서는 객체(MD))의 식별 데이터(여기서는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식별 데이터(M)는 상기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하며,
- 객체(MD)의 상기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여기서는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를 트레이서(TRA)에 송신함.
도 4는 도 2의 트레이서(TRA)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학인 방법의 일부 단계를 흐름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위치확인 방법의 나머지 설명에 대해,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간주될 것이다:
- 후방산란 신호(S_RETRO)는, 또한,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T_RETRO)를 포함하고,
- 위치 신호(S_LOC)는, 또한, 위치 데이터(P)의 생성 시각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T_LOC)를 포함함.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 방법은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는 단계(E10)를 포함한다. 이 단계(E10)는, 예를 들어, 트레이서(TRA)에 장착된 제1 획득 모듈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된다.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는 단계(E10)는, 소정의 실시예에서, 트레이서(TRA)가 예를 들어 통신 모듈(5_TRA1)을 통해 식별 데이터(M)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S_RETRO)가 단말기(T)에 송신되는 한, 상기 식별 데이터(M)를 포함하는 다른 신호는, 단말기(T)에 의해 기지국(S)에 송신될 수 있다(이러한 다른 신호의 송신은 여기에서 예시된 실시예에서 단말기(T)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단계로 간주된다). 이러한 다른 신호는, 기지국(S)에 의해 수신되어 식별 데이터(M)가 도 1의 예에서 기지국(S)에 통합된 트레이서(TRA)에 송신(따라서 획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위치확인 방법은, 또한, 식별 데이터(M)를 포함하는 후방산란된 신호(S_RETRO)의 단말기(T)(예를 들어, 도 1에 따른 통신 장치(12))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하는 단계(E20)를 포함한다. 이 단계(E20)는 트레이서(TRA)에 장착된 제2 획득 모듈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E20)는, 소정의 실시예에서, 식별 데이터(M)를 포함하는 후방산란된 신호(S_RETRO)를 수신하는 단말기(T)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P)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예시된 예에서, 획득하는 단계(E20)는, 기지국(S)이 신호(S_LOC)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여기서, 신호(S_LOC)의 송신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단말기(T)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단계로 간주된다). 상기 신호(S_LOC)는 기지국(S)에 의해 수신되어, 위치 데이터(P)가 기지국(S)에 통합된 트레이서(TRA)에 송신(따라서 획득)될 수 있다.
소정의 구현 모드에서, 단계(E1O 및 E20)는 두 개의 개별 단계로 간주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단계(E1O 및 E20)가 하나의 동일한 단계에 대응하여 단말기(T)가 공동으로(예를 들어 동시에)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하는 다른 구현 모드를 고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이것은 식별 데이터(M)를 포함하는 신호와 위치 신호(S_LOC)를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른 일례에 따라, (예를 들어, 위치 신호(S_LOC)가 상기 식별 데이터(M)를 포함하는 경우) 식별 데이터(M)와 위치 데이터(P)를 모두 포함하는 단일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이 경우, 예를 들어, 단말기(T)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동시에 또는 비동시적으로 구현되는 두 개의 송신 또는 단일 송신을 포함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식별 데이터(M)와 위치 데이터(P)가 트레이서(TRA)에 의해 동시에 획득되지 않는다면, 이들 데이터가 획득되는 순서에 제한이 없다. 따라서, 식별 데이터(M)는 위치 데이터(P)보다 먼저 획득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단계(E10 및 E20)의 종료시, 트레이서(TRA)는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P)를 소유하고 있다. 따라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 방법은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P)에 기초하여 객체(MD)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E30)를 포함한다. 이 단계(E30)는 트레이서(TRA)에 장착된 결정 모듈에 의해 구현된다.
객체(MD)의 위치는, 트레이서(TRA)에 의해 결정되므로, 나머지 설명에서는 "TRACE_MD"로 표시한다.
소정의 구현 모드에서, 객체(MD)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하는 단계는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와 연관짓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모드에서, 단일 위치 데이터(P)가 단계(E20)의 구현에 따라 트레이서(TRA)에 의해 획득되는 한, 각각 후방산란 신호(S_RETRO) 및 위치 신호(S_LOC)에 연관된 시간 데이터(T_RETRO 및 T_LOC)와는 독립적으로(즉, 고려하지 않고) 객체(MD)가 단말기(T)가 점유한 위치와 동일한 위치를 점유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시 말하면, 이들 시간 데이터는 선택적이며,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다른 특정 구현 모드에 따르면, 객체(MD)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하는 단계는, 또한, 시간 데이터(T_RETRO 및/또는 T_LOC)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데이터(T_RETRO와 T_LOC) 사이의 시간 차이가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시간 차이가 제1 값(예를 들어, 몇 분 내지 몇 일 사이의 일정한 임계값, 또는 상대적 임계값) 미만이면, 소정의 실시예에서, 객체(MD)는 전술한 구현 모드의 경우에서와 같이 단말기(T)가 점유한 위치와 동일한 위치를 점유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1 값의 사용을 통해 상기 시간 차이에 상한을 부과하는 것은 결정된 위치(TRACE_MD)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시간 차이가 매우 큰 경우(즉, 제1 고정 값보다 큰 경우),위치 신호(S_LOC)가 송신될 때 통신 장치(12)가 객체(MD)의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P)를 점유할 위험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제1 값보다 크면, 객체(MD)의 위치(TRACE_MD)가 결정될 수 없다고 간주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도 5는 도 3의 단말기(T)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일부 단계를 흐름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통신 방법의 상기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는 도 4의 위치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동안 위에서 이미 언급되었다. 따라서 여기서는 간략하게만 언급한다.
따라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방법은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는 단계(F10)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데이터(M)는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한다.
통신 방법은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하는 단계(F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할 것은, 식별 데이터(M)와 위치 데이터(P)가 하나의 동일한 신호를 통해 송신되지 않을 때 이 단계(F20)가 소정의 구현 모드에서 두 개의 송신 하위 단계에 종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통신 방법은 단말기(T)의 식별 데이터(M)와 위치 데이터(P)를 트레이서(TRA)에 송신하는 단계(F30)를 포함한다.
객체(MD)의 위치(TRACE_MD)가 시간 데이터(T_RETRO 및 T_LOC)와는 독립적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위치(TRACE_MD)는, 예를 들어, 트레이서(TRA) 및/또는 기지국(S)의 저장 수단에 위치 데이터(P)와 식별 데이터(M)를 포함하는 한 쌍의 데이터, 즉, TRACE_MD = (P, M)의 형태로 저장된다.
변형예로서, 상기 위치(TRACE_MD)는, 예를 들어, 위치 데이터(P), 식별 데이터(M) 및 적어도 하나의 시간 데이터, 예컨대, 시간 데이터(T_RETRO), 시간 데이터(T_LOC), 식별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의 획득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 및/또는 상기 위치(TRACE_MD)의 결정 시간(즉, 단계(E30)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n-튜플의 형태로 트레이서(TRA) 및/또는 기지국(S)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다.
객체(MD)의 위치(TRACE_MD)가 시간 데이터(T_RETRO 및 T_LOC)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경우, 상기 위치(TRACE_MD)는, 예를 들어, 트레이서(TRA) 및/또는 기지국(S)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다. 특히, 상기 저장은 데이터(T_RETRO 및 T_LOC)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 데이터(P), 식별 데이터(M) 및 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n-튜플의 형태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의 n-튜플에 포함된 시간 데이터는 데이터(T_RETRO)일 수 있다. 그러나, T_RETRO과는 다르며 예를 들어 T_LOC와 같은 데이터의 n-튜플에 포함된 시간 데이터, 아니면 T_RETRO 내지 T_LOC 사이의 시간(예를 들어, 1/2 × (T_RETRO + T_LOC))과 같은 평균)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 아니면 상기 위치(TRACE_MD)의 결정 시간(즉, 단계(E30)의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를 고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데이터 수집 장치(D_MEM)도 포함한다는 점이 객체(MD)의 위치(TRACE_MD)의 저장과 관련하여 방금 설명한 양태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모드에서, 트레이서(TRA) 또는 기지국(S)은 이 데이터 수집 장치(D_MEM)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레이서(TRA) 및 기지국(S)과는 별개의 장치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이러한 다른 장치는 트레이서(TRA)로부터 해당 위치(TRACE_MD)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다른 장치는,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 서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수집 장치(D_MEM)는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은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갖는다(데이터 수집 장치(D_MEM)는, 또한, 도 1, 및 후술하는 도 8과 도 14에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예시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 장치(D_MEM)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집 장치(D_MEM)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_MEM),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2_MEM), 적어도 하나의 판독 전용 메모리(3_MEM), 및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4_ME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5_MEM)을 갖는다.
데이터 수집 장치(D_MEM)의 판독 전용 메모리(3_MEM)는, 프로세서(1_MEM)에 의해 판독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PROG_MEM)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PROG_MEM)은,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 장치(D_MEM)의 전술한 하드웨어 요소들(1_MEM 내지 5_MEM)을 기반으로 하거나 제어하며 특히 트레이서(TRA)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객체(MD)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TRACE_MD)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수집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D_MEM)의 기능 모듈들을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은,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이력을 구성하기 위해 파일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장치(D_MEM)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PROG_MEM)을 실행할 때, 트레이서(TRA)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객체(MD)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TRACE_MD)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이력을 구성하기 위해 파일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술한 바로부터, 데이터 수집 장치(D_MEM)에 의해 구현되는 데이터 수집 방법(예를 들어, 도 15에 예시됨)이 트레이서(TRA)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객체(MD)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TRACE_MD)를 저장하는 단계(K10)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은,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이력을 구성하기 위해 파일에서 수행된다는 점이 명백해진다.
상기 위치 이력은, 소정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n-튜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n-튜플은, 예를 들어, 시간 데이터에 따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객체(MD)가 점유하는 소정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력은, 예를 들어, 객체(MD)가 결함있는(또는 오염된) 제품들의 뱃치에 속한다고 식별되었다면, 상기 객체(MD)를 소유할 가능성(또는 소유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소비자) 또는 개체(매장)를 포함하는 지리적 영역을 정의하고 이들에 경고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고려 중인 구현 모드에 관계없이(객체(MD)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할 때 시간 데이터(T_RETRO 및 T_LOC)를 고려하거나 고려하지 않고),객체(MD)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위치(TRACE_MD)에 대한 신뢰 수준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고려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확률은, 예를 들어, 시간 데이터(T_RETRO와 T_LOC) 사이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연산될 수 있으며, 이 시간 차이가 클수록, 상기 확률은 낮아진다(즉, 객체(MD)의 위치(TRACE_MD)의 정확도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
또 다른 일례에 따르면, 또는 이전 예와 조합하여, 상기 확률은 위치 데이터(P)의 정밀도를 고려하도록 연산된다. 이러한 정밀도는 통상적으로 상기 위치 데이터(P)가 획득되는 방식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해당 정밀도는, GPS 판독의 특징적 정밀도이거나 심지어 오차 한계(예를 들어, 지리적 좌표 주위의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미터 단위의 반경, 객체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 등)를 고려하도록 수동으로 구현되는 정밀도일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르면, 기지국(S) 또는 트레이서(TRA)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 중 하나의 품질과 관련된 확률 또는 가중 계수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위치확인 방법은 지금까지 단계(E10, E20 및 E30)에 의해 형성된 단계들의 그룹들이 한 번만 실행된 것을 고려하여 지금까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따라서, 소정의 구현 모드에서, 위치확인 방법의 단계들(E10, E20 및 E30)은 반복적으로,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서(TRA)가 단계(E30)의 실행 시 단말기(T)에 의해 송신되는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소유하고 있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위치 신호(S_LOC)가 단말기(T)에 의해 반복적으로,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송신된다는 사실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획득한다"는 표현은, 상기 단계(E20)의 구현과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단계(E20)의 구현 후에 획득되는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위치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이다.
다른 일례에 따르면, 획득되는 위치 데이터는, 단말기(T)로부터 수신된 마지막 위치 데이터일 수 있고, 또는 식별 데이터의 획득 직전 및 직후에 수신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는, 후방산란 신호(S_RETRO) 및 위치 신호(S_LOC)에 각각 포함된 시간 데이터(T_RETRO 및 T_LOC)가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E20)의 구현에 따라 획득되는 데이터는, 연관된 시간 데이터가 단계(E10)의 구현에 따라 트레이서(TRA)에 의해 획득되는 식별 데이터(M)에 연관된 시간 데이터에 시간상 가장 가까운 상기 복수의 위치 데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도 1과 관련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트레이서(TRA)가 기지국(S)에 통합되는 것도 고려되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서(TRA)가 기지국(S)의 외부에 있음을 고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위치 데이터(P) 및 식별 데이터(M)는, 예를 들어, 단말기(T)에 의해 트레이서(TRA)에 직접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은, 상기 위치 데이터(P) 및 식별 데이터(M)가 트레이서(TRA)에 의해 획득되기 전에 기지국(S)을 경유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대안으로, 트레이서(TRA)가 기지국(S)의 외부에 있을 때에도, 상기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가 단말기(T)에 의해 트레이서(TRA)에 직접 송신될 수 있고, 해당 부분에 대한 나머지 데이터는 트레이서(TRA)에 의해 획득되기 전에 기지국(S)을 경유할 수 있다. 도 7은,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위치 데이터(P) 및 식별 데이터(M)가 상기 기지국(S)의 외부에 있는 트레이서(TRA)에 의해 획득되기 전에 기지국(S)을 경유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주변 신호(S_AMB)가 기지국(S)과 단말기(T) 간에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되는 도 1의 위치확인 시스템(10)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환경 및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체(MD)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의 실시예는 이제 주변 신호(S_AMB)가 단말기(T)에 의해 송신되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점에서 특히 도 1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주변 신호(S_AMB)는 단말기(T)와 기지국(S) 간에 업링크 상에서 송신된다. 결과적으로, 그리고 도 1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기지국(S)과 단말기(T)는 여기에서 통신 시스템의 두 개의 장치로 간주될 수 있으며, 단말기(T)는 주변 신호(S_AMB)와 관련하여 "송신기 장치"의 역할을 하고, 기지국(S)은 지금부터 후방산란 신호(따라서 객체(MD)의 식별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장치"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공으로부터, 도 8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RF 송신기 장치는 단말기(T)에 의해 송신되는 주변 신호(S_AMB)의 주변 후방산란을 통해 신호(S_RETRO)를 기지국(S)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해진다.
따라서, 도 8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기지국(S)은, 특히, 신호(S_RETRO)에 포함된 RF 송신기 장치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도록 후방산란 신호(S_RETRO)를 디코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데이터(M)는, 예를 들어, 디코딩 방법(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구현함으로써 획득된다.
기지국(S)은, 예를 들어, 데이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상기 디코딩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의 세트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저장 수단(자기 하드 디스크, 전자 메모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기지국(S)은, 또한, 디코딩 방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FPGA, PLD 등의 유형의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논리 회로, 및/또는 특수 집적 회로(ASIC), 및/또는 이산 전자 부품들의 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S)은 디코딩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특정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하드웨어(FPGA, PLD, ASIC 등)로서 구성된 수단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 1과 관련하여 다운링크 상에서 후방산란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장치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8과 관련된 일부 실시예는 업링크 상에서, 즉, 도 8에 예시된 단말기(T)에서 주변 신호(S_AMB)를 송신하는 송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이제 기지국(S)이 후방산란된 신호의 수신기인 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소정의 실시예는 기지국(S)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것이다.
이들 양태와는 별개로, 위치확인 시스템(10) 및 이의 환경에 포함된 요소들과 관련하여 전술하였으며 도 8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기술적으로 적용가능한 기술적 특징이 여기서 다시 채택되며, 객체(MD)의 식별 데이터의 획득은 여기서 기지국(S)으로부터 획득되고, 주변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기(T)에 관한 위치 데이터는 트레이서(TRA)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어 기지국을 통해) 획득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우선,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그리고 도 1의 시스템(10)에 대해 행해진 바와 같이), 트레이서(TRA)가 기지국(S)에 통합되는 것을 고려할 것이다.
도 9는 도 8의 트레이서(TRA)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서(TRA)는, 예를 들어, 컴퓨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서(TRA)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_TRA2),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2_TRA2), 적어도 하나의 판독 전용 메모리(3_TRA2), 및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4_TRA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서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5_TRA2)을 가질 수 있다.
트레이서(TRA)의 판독 전용 메모리(3_TRA2)는, 프로세서(1_TRA2)에 의해 판독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확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PROG_TRA2)이 기록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성한다. 프로그램(PROG_TRA2)은, 예를 들어, 트레이서(TRA)의 위에서 언급한 하드웨어 요소들(1_TRA2 내지 5_TRA2)을 기반으로 하거나 제어하는 트레이서(TRA)의 기능 모듈들을 정의하며, 이러한 모듈들은 특히 하기를 포함한다:
- 식별 데이터(여기서는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모듈,
- 위치 데이터(여기서는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획득 모듈,
- 상기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P)에 기초하여 객체(여기서는 객체(MD))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따라서, 트레이서(TRA)의 프로세서(1_TRA2)는, 프로그램(PROG_TRA2)을 실행할 때, 하기를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식별 데이터(여기서는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데이터(M)는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하며,
- 상기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여기서는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에 기초하여 객체(여기서는 객체(MD))의 위치를 결정함.
통신 모듈(5_TRA2)은, 특히, 트레이서(TRA)가 다른 장치, 예를 들어, (단말기(T)와 같이) 후방산란된 신호를 송신하는 (도 8의 예에 따라 트레이서(TRA)가 통합되는) 송신기 장치 및/또는 기지국(S)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5_TRA2)은,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컴퓨터 데이터 버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으며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Ethernet, Wi-Fi, Bluetooth, 3G, 4G, 5G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듈(5_TRA2)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는 제한이 없다. 통신 모듈(5_TRA2)은 트레이서(TRA)에 장착된 상기 제1 및 제2 획득 모듈을 통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10은 도 8의 기지국(S)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S)은 컴퓨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S)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_S),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2_S), 적어도 하나의 판독 전용 메모리(3_S), 및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4_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5_S)을 갖는다.
기지국(S)의 판독 전용 메모리(3_S)는, 프로세서(1_S)에 의해 판독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PROG_S)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PROG_S)은, 예를 들어, 기지국(S)의 전술한 하드웨어 요소들(1_S 내지 5_S)을 기반으로 하거나 제어하는 기지국(S)의 기능 모듈들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듈들은 특히 하기를 포함한다:
- 객체(여기서는 객체(MD))의 식별 데이터(여기서는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객체(MD)의 상기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여기서는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를 트레이서(TRA)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따라서, 기지국(S)의 프로세서(1_S)는, 프로그램(PROG_S)을 실행할 때, 하기를 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객체(여기서는 객체(MD))의 식별 데이터(여기서는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데이터(M)는 상기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하며,
- 객체(MD)의 상기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여기서는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를 트레이서(TRA)에 송신함.
도 11은 도 9의 트레이서(TRA)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방법의 일부 단계를 흐름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위치확인 방법의 나머지 설명에 대해서는,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간주될 것이다:
- 후방산란된 신호(S_RETRO)는, 또한,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T_RETRO)를 포함하고,
- 위치 신호(S_LOC)는, 또한, 위치 데이터(P)의 생성 시각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T_LOC)를 포함한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 방법은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는 단계(G10)를 포함한다. 이 단계(G10)는, 예를 들어, 트레이서(TRA)에 장착된 제1 획득 모듈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된다.
도 4의 위치확인 방법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것과는 달리, 후방산란 신호(S_RETRO)는 여기서 기지국(S)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수신된다는 점에 주목할 것이다(트레이서(TRA)에 송신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M)의 획득은 여기서 기지국(S)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단계로 간주된다).
여기서 "직접 수신됨"은 신호(S_RETRO)가 RF 송신기 장치와 기지국(S) 사이에서 가로채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가리키며, 여기서 도 1과 관련된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신호(S_RETRO)는 우선 (아마도 소스(SO)를 통해) 식별 데이터(M)를 트레이서(TRA)에 송신하기 위해 단말기(T)에 의해 수신되었다.
따라서, 단계(G10)의 종료시, 트레이서(TRA)는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소유하게 된다.
도 11의 위치확인 방법은, 또한,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하는 단계(G20)를 포함한다. 이 단계(G20)는, 예를 들어, 트레이서(TRA)에 장착된 제2 획득 모듈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된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G20)는 단말기(T)에 의해 신호(S_LOC)가 기지국(S)에 송신된 후에 이어진다. 상기 신호(S_LOC)는 기지국(S)에 의해 수신되어, 위치 데이터(P)가 송신 소스(SO)에 통합된 트레이서(TRA)에 송신될 수 있다(따라서 트레이서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기지국(S)에 의한 트레이서(TRA)로의 위치 데이터(P)의 송신은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단계인 것으로 간주된다).
소정의 구현 모드에서, 단계들(G10 및 G20)은 두 개의 개별적인 단계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들(G10 및 G20)이 하나의 동일한 단계에 대응하여 도 1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트레이서(TRA)가 공동으로(예를 들어 동시에)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하는 다른 구현 모드를 고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식별 데이터(M)와 위치 데이터(P)가 트레이서(TRA)에 의해 동시에 획득되지 않는다면, 이들 데이터가 얻어지는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식별 데이터(M)는 위치 데이터(P)보다 먼저 획득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단계들(G10 및 G20)의 종료시, 트레이서(TRA)는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P)를 소유하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 방법은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P)에 기초하여 객체(MD)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하는 단계(G30)를 포함한다. 이 단계(G30)는 트레이서(TRA)에 장착된 결정 모듈에 의해 구현된다.
단계(G30)의 구현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E30)의 구현과 동일하다.
도 12는 도 10의 기지국(S)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일부 단계를 흐름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통신 방법의 상기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는 도 11의 위치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동안 위에서 이미 언급되었다. 따라서, 여기서는 간략하게만 언급한다.
따라서,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방법은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는 단계(H10)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데이터(M)는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한다.
통신 방법은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를 획득하는 단계(H20)를 더 포함한다. 도 11의 위치확인 방법의 단계(G10 및 G20)에 대해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단계(H20)는,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P)가 기지국(S)에 의해 동시에 또는 비동시적으로 수신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신 방법은 상기 식별 데이터(M) 및 위치 데이터(P)를 기지국(S)으로부터 트레이서(TRA)로 송신하는 단계(H30)를 포함한다.
도 11의 위치확인 방법에 따라 트레이서(TRA)에 의해 결정된 위치(TRACE_MD)는,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객체(MD)의 위치 이력을 구성하기 위해 파일에 저장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수집 장치(도 6)의 사용 및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데이터 수집 방법의 구현과 관련하여 전술한 양태들은 여전히 도 8의 시스템(20)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도 8과 관련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트레이서(TRA)가 기지국(S)에 통합되는 것이 지금까지 고려되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서(TRA)가 기지국(S)의 외부에 있음을 고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위치 데이터(P)와 식별 데이터(M)는 우선 기지국(S)에 의해 수신되고, 기지국은 이들 데이터를 트레이서(TRA)에 송신한다. 도 13은,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위치 데이터(P) 및 식별 데이터(M)가 기지국(S)의 외부에 있는 트레이서(TRA)에 의해 획득되기 전에 기지국(S)을 경유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도 8과 관련하여 트레이서(TRA)가 기지국(S)의 외부에 있을 때 하기를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 상기 기지국(S)은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을 통해 상기 객체(MD)의 식별 데이터(M)를 RF 송신기 장치로부터(따라서 객체(MD)로부터) 수신하고;
- 트레이서(TRA)는 상기 단말기(T)의 위치 데이터(P)를 단말기(T)로부터 직접 수신한다.
다시 말하면, 이들 실시예에서, 식별 데이터(M)만이 트레이서(TRA)에 송신되기 전에 기지국(S)을 경유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또한 위치확인 시스템(10, 20)이 단일 통신 장치(T)만을 포함하는 것을 고려하여 지금까지 설명되었다(도 1 및 도 8). 그러나, 단일 통신 장치(T)를 고려하는 것은 본 발명의 단지 하나의 변형 실시예를 구성한다.
따라서 트레이서(TRA)에 의해 획득되는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위치 데이터는 복수의 통신 장치에 의해 송신되었다(이 경우, 주변 신호가 업링크 상에서 송신되는 것이 고려된다면 "송신기" 장치들이 있고, 또는 주변 신호가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되는 것이 고려된다면 "수신기" 장치들이 있고, 또는 심지어 송신기 및 수신기 장치들의 조합이 있다). 따라서, 객체(MD)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복수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정된 위치 데이터를 결정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식별 데이터를 상기 조정된 위치 데이터와 연관짓는다.
완전히 비제한적인 예로서, 조정된 위치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 간의 삼각측량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따라서, 이것은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풀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조정된 위치 데이터가 삼각측량 이외의 방식으로 결정됨을 고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가, 상기 조정된 위치 데이터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위치 데이터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송신기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객체의 식별 데이터를 적어도 반송하는 후방산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위치확인 시스템(10, 20)의 환경에 위치하는 다수의 객체가 주변 신호를 후방산란시킬 수 있는 상기 송신기 장치를 각각 갖추고 있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위치확인 시스템은 송신기 장치(RF_1, RF_2, RF_3)가 각각 장착된 복수의 객체(MD_1, MD_2, MD_3)를 포함한다. 위치확인 시스템은, 또한, 기지국(S)을 향해 송신기 장치(RF_1, RF_2, RF_3)에 의해 후방산란될 수 있는 주변 신호를 송신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단말기(T_E1, T_E2)를 포함한다. 위치확인 시스템은, 기지국(S)에 의해 송신된 주변 신호의 송신기 장치(RF_1, RF_2, RF_3)에 의한 후방산란의 결과인 후방산란된 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단말기(T_R1, T_R2, T_R3, T_R4)를 더 포함한다. 도 14의 위치확인 시스템은, 또한, 기지국(S)에 통합된 트레이서(TRA), 및 데이터 수집 장치(D_MEM)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객체의 식별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주변 신호를 후방산란시킬 수 있는 송신기 장치가 장착된 상기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소정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트레이서(TRA)에 의해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다른 객체"로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머지 설명은,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결정된 바와 같은 단일 객체(MD)의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의 다른 객체(MC)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는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상기 객체(MC)는 도 7 및 도 13에 예로서 예시되어 있다). 물론, 그리고 각각의 송신기 장치가 장착된 객체의 위치와 관련하여 이미 그랬던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해 위치가 확인될 수 있는 다른 객체(즉, 각각의 송신기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객체)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그리고 이를 단순화하기 위해,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상기 다른 객체(MC)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개체가 또한 트레이서(TRA)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이를 위해, 트레이서(TRA)는, 또한, 상기 위치확인된 객체(MD)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MC)의 이웃을 고려하여 상기 다른 객체(MC)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객체(MD)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결정 모듈과는 별개인)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트레이서(TRA)의 프로세서(1_TRA1)는, 프로그램(PROG_TRA1)을 실행할 때, 상기 위치확인된 객체(MD)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MC)의 이웃을 고려하여 상기 다른 객체(MC)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제공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른 객체(MC)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장치가 트레이서(TRA)와 분리되어 있으면서 위치확인 시스템에 포함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트레이서(TRA)와 분리된 상기 위치확인 장치는 도 2 및 도 9를 참조하여 트레이서(TRA)에 대해 전술한 바와 유사한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갖는다.
전술한 구현 모드에 관계없이, 그리고 상기 다른 객체(MC)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 방법은 상기 위치확인된 객체(MD)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MC)의 이웃(V)을 고려하여 상기 다른 객체(MC)의 위치(TRACE_MC)를 결정하는 단계(도 4에서 단계(E40) 및 도 11에서 단계(G40)로 표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웃(V)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된 객체(MD) 및 상기 다른 객체(MC)의 과거 및/또는 예정된 지리적 근접성이다. 또한, 이웃은 제1 기간 동안 과거 및/또는 예정된 지리적 근접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간은 상기 객체(MD, MC)의 설계 또는 저장 또는 수송 단계를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을 고려하는 것은 뱃치로 판매되는 대량 생산된 객체의 경우에 특히 관련이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실제로, 상기 이웃(V)은, 적어도 이웃 기준(CR_V)의 상기 평가의 구현 전에 객체(MD) 및 상기 다른 객체(MC)가 서로 가까이 위치하였는지 여부 및/또는 이들 객체(MD, MC)가 서로 가깝게 위치하도록 예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이웃 기준(CR_V)을 평가함으로써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이웃 기준(CR_V)이 충족되면, 상기 다른 객체(MC)의 위치(TRACE_MC)는 적어도 객체(MD)의 위치에 근접한 것으로 간주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적인 구현에서, 상기 다른 객체(MC)의 위치(TRACE_MC)는 객체(MD)의 위치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그리고 객체(MD)의 위치가 TRACE_MD = (t, P, MD)(t는, 다시 말하지만, 선택 사항일 뿐인 시간 정보에 해당함)라고 결정되었다면, 다른 객체(MC)의 위치는 TRACE_MC = (t, P, MC)이다.
객체(MD)에 대해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객체(MC)의 위치(TRACE_MC)는, 또한, 상기 위치(TRACE_MC)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 수준을 고려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TRACE_MC)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 수준을 나타내는 확률이 연산될 수 있다. 위치(TRACE_MC)에 부여되는 확률은, 예를 들어, 객체(MD)의 위치(TRACE_MD)에 부여되는 확률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객체(OBJ 및 OBJ_BIS)가 과거에 서로 이웃이었는지 여부 및/또는 이들 객체(MD, MC)가 서로 가깝게 위치하도록 예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면, 상기 이웃 기준(CR_V)의 정의에는 제한이 없다. 실제로, 이러한 이웃 기준(CR_V)을 사용하는 목적은, 적어도 객체(MD)와 다른 객체(OBJ_BIS) 사이에 근접성 링크가 있었고/있었거나 있을 것임을 보장하는 것이다.
상기 이웃(즉, 근접성) 기준(CR_V)을 평가하기 위해, 트레이서(TRA)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는 서버(BDD)에 있고 도 13에서 완전히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예시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객체(MD 및 M)C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물류 프로세스 동안 기록된 하나 이상의 추적성 이벤트 이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이웃 기준(CR_V)은 새로운 정보 또는 정보 업데이트에 기초하여 사후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객체(MD 및 MC)는 과거에 서로 이웃이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은, 객체(MD)와 동일한 생산 뱃치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OBJ에 의해 잠재적으로 오염된 잠재적으로 결함이 있거나 오염된 객체(OBJ_BIS)의 경로를 재구성하기 위해 건강 경고 또는 뱃치 리콜의 맥락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서(TRA)가 액세스할 수 있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적성 이벤트 이력은, 예를 들어, EDIFACT, WMS, ERP, GS1 EPCIS와 같은 다양한 표준에 따를 수 있다.
더욱더 구체적으로, 트레이서(TRA)가 액세스할 수 있는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객체들(OBJ 및 OBJ_BIS)이 속한 또는 속해야 하는 제품들의 공통 그룹(식별자를 갖는 그룹)에 대한 정보에 관한 것이다(일반 수송 수단: 배, 비행기, 일반 수송 수단: 트럭, 글로벌 개별 자산 식별자(Global Individual Asset Identifier: GIAI) 또는 GRAI = 기업 자산(글로벌 반환가능 자산 식별자: Global Returnable Asset Identifier)에 의해 식별되는 해상 컨테이너, 예를 들어 일련 선적 컨테이너 코드(Serial Shipping Container Code: SSCC)에 의해 식별되는 필름 포장 팔레트와 같은 공통 선적 단위(SSCC), 예를 들어 GTIN(일반 거래 품목 번호(General Trade Item Number) = 13자리 바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박스 또는 GIAI/GRAI에 의해 식별되는 스페이서(판지 팔레트) 또는 GRAI에 의해 식별되는 재사용가능 목재 팔레트 또는 컨테이너(플라스틱 상자)와 같은 일반 포장 단위).
본 발명은 송신기 장치 또는 수신기 장치가 특히(업링크인지 다운링크인지에 따라) 스마트폰 또는 기지국일 수 있었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고려하여 설명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확인, 통신, 및/또는 수집 장치는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그룹의 요소인 것을 고려할 수 있다:
- 스마트폰;
- 이동 단말기;
- 기지국;
- 서버;
- 네트워크 상호연결 게이트웨이.

Claims (15)

  1.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는 단계(E10, G10)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T)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S) 간에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상에서 송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 데이터(P)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하는 단계 (E30, G30),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S)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T) 간에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하는 단계(E30, G30)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위치 데이터(P)가 획득되고, 상기 제1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S_AMB)가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상에서 송신되면 하나 이상의 송신기 장치(T)에 의해 송신되어 있고,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S_AMB)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되면 하나 이상의 수신기 장치(T)에 의해 송신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하는 단계(E30, G30)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식별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제1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얻은 제2 위치 데이터와 연관짓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 간의 삼각측량을 통해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의 후방산란 시간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시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P)의 생성 시각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시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상기 제1 및 제2 시간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 수준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고려하는, 방법.
  6. 후방산란된 주변 신호(S_AMB)를 수신하는 수신기 장치(S, T)에서 구현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M)를 획득하는 단계(F10, H10)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는 상기 주변 신호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하는, 단계;
    - 상기 주변 신호가 송신기 장치(S)와 상기 수신기 장치(T) 간에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수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P)를 객체-위치확인 장치(TRA)에 송신하는 단계(F30, H30); 및
    - 상기 주변 신호가 송신기 장치(T)와 상기 수신기 장치(S) 간에 업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객체-위치확인 장치(TRA)에 송신하는 단계(F30, H30)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신호가 업링크 상에서 송신되는 경우, 상기 송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 데이터(P)를 상기 객체-위치확인 장치(TRA)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이력을 생성 및/또는 보강하기 위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에 대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TRACE_MD)를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단계(K10)를 포함하는, 방법.
  9. "다른 객체"(MC)로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위치(TRACE_MD)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확인된 객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이웃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위치(TRACE_MC)를 결정하는 단계(E40, G40)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확인된 객체(MD)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MC)의 과거 및/또는 예정된 지리적 근접성인, 방법.
  11.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 혹은 제6항 또는 제7항의 방법 혹은 제8항의 방법 혹은 제9항 또는 제10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객체-위치확인 장치(TRA)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M)(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S_AMB)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함)를 획득하고(E10, G1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T)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S) 간에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P)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TRACE_MD)를 결정하고(E30, G3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장치(S)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T) 간에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 데이터(P)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TRACE_MD)를 결정(E30, G30)하도록 구성된, 객체-위치확인 장치.
  13. "수신기 장치"라고 칭하는 후방산란된 주변 신호(S_AMB)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S, T)로서, 상기 수신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M)(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는 상기 주변 신호의 후방산란으로부터 발생함)를 획득하고(F10, H10),
    - 상기 주변 신호가 송신기 장치(S)와 상기 수신기 장치(T) 간에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 및 상기 수신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데이터(P)를 객체-위치확인 장치(TRA)에 송신하고,
    - 상기 주변 신호가 송신기 장치(T)와 상기 수신기 장치(S) 간에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상에서 송신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터를 객체-위치확인 장치(TRA)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
  14.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D_MEM)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2항에서와 같이 위치확인 장치(TRA)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에 대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TRACE_MD)를 저장(K10)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이력을 구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파일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수집 장치.
  15. 제12항의 위치확인 장치(TRA)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MD)의 위치(TRACE_MD)에 기초하여 "다른 객체"(MC)라고 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 장치(TRA)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위치확인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된 객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이웃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객체의 위치(TRACE_MC)를 결정(E40, G40)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위치확인 장치.
KR1020237011662A 2020-09-09 2021-09-07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KR20230062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009134 2020-09-09
FRFR2009134 2020-09-09
FRFR2010551 2020-10-15
FR2010551A FR3115383A1 (fr) 2020-10-15 2020-10-15 Procédé de localisation d’objet
PCT/FR2021/051532 WO2022053758A1 (fr) 2020-09-09 2021-09-07 Procédé de localisation d'obj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623A true KR20230062623A (ko) 2023-05-09

Family

ID=7799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662A KR20230062623A (ko) 2020-09-09 2021-09-07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37178A1 (ko)
EP (1) EP4211633A1 (ko)
JP (1) JP2023545618A (ko)
KR (1) KR20230062623A (ko)
CN (1) CN116134445A (ko)
BR (1) BR112023004210A2 (ko)
WO (1) WO20220537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0684B2 (en) * 2011-06-17 2014-11-18 Checkpoint Systems, Inc. Background object sensor
EP2976734B1 (en) * 2013-03-22 2019-09-18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Ambient backscatter tranceivers,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using backscatter of ambient rf signals
WO2016010653A1 (en) * 2014-07-16 2016-01-21 Clairvoyant Technology Llc Rfid tag tracking using phase likelihood
CN107861100B (zh) * 2017-11-10 2021-09-28 西京学院 一种基于三维波束的室内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34445A (zh) 2023-05-16
US20230337178A1 (en) 2023-10-19
JP2023545618A (ja) 2023-10-31
EP4211633A1 (fr) 2023-07-19
WO2022053758A1 (fr) 2022-03-17
BR112023004210A2 (pt)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33400A1 (en) Intelligent tracking system and methods and systems therefor
US11244355B2 (en) Geofencing with wireless beacon based consumer product marketing
US11170409B2 (en) Wireless beacon based systems utilizing printable circuits
Sardroud Influence of RFID technology on automated manag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mponents
Chawathe et al. Managing RFID data
US8686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 search-based lost bag search and recovery
KR20170026087A (ko) 아이템을 검색하고 위치 인식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3632122B (zh) 一种智能管理系统及智能管理方法
US11928544B2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reading device, article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abachinski An introduction to RFID
Khosravi et al. An adoption of halal food recognition system using mobi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S20210074106A1 (en) Solid-state miniature atomic clock and methods of use
KR20230062623A (ko)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CN103970912A (zh) 物品信息的上报方法、处理方法、装置和系统
Muddinagiri et al. Proximity marketing using Bluetooth low energy
US20230224672A1 (en) Methods for identifying items in close proximity to a mobile device or within a digital image
US20060094399A1 (en) Asset security system application using mobile station having an integrated transponder reader
Angulo et al. Towards a traceability system based on RFID technology to check the content of pallets within electronic devices supply chain
JP2021109750A (ja) 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物品管理方法
WO2023178287A1 (en) Methods for identifying an event of concern for an item in a supply chain
CN106021469A (zh) 可循环物流器具的非法交割检测方法
US20220198862A1 (en) Solid-state miniature atomic clock and methods of use
Kasanga Passenger and luggage tracking system using sensor networks for public transport
Jaffer Enhancement of design and development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zigbee mesh network for material flow system
Pang et al. Design of electronic commerce infrastructure for cross-border postal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