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227A -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 Google Patents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227A
KR20230062227A KR1020210147257A KR20210147257A KR20230062227A KR 20230062227 A KR20230062227 A KR 20230062227A KR 1020210147257 A KR1020210147257 A KR 1020210147257A KR 20210147257 A KR20210147257 A KR 20210147257A KR 20230062227 A KR20230062227 A KR 2023006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lider
vehicle body
painting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360B1 (ko
Inventor
최민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충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충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충청
Priority to KR102021014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3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6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227A/ko
Priority to KR1020240018616A priority patent/KR20240023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05D1/64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Repair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은, 도로에 천공하거나 차선을 도색하는 등 도로에 작업하는 차량에 있어서, 도로를 구르는 바퀴가 결합된 차체를 포함하고, 차체에 천공장치 및 도색장치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장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차선 정비 사업의 비용이 감소하며, 차선 도색 작업과 도로 천공 작업의 높은 작업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construction equipment with changeable work tools}
본 발명은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선을 도색하고 도로에 구멍을 뚫도록 이루어지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에 관한 것이다.
야간 교통사고의 주 원인은 야간에 도로교통 시설물에 대한 시인성 악화로 도로의 상황 예측정보 제공량이 극히 낮아져 운전자의 사전인지 반응 작용이 늦어지기 때문이며, 최근 이러한 시인성 확보 문제는 도로의 주행차로를 구분하면서 교통안전 운행을 지원하는 차선표시 부분에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차선표시는 도색 후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달리는 차량의 타이어나 제설차량 등에 의해 마모되므로 주기적인 재도색 작업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71994호(이하 '선행문헌1')는 차선을 보수하기 위한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을 개시한다.
선행문헌1의 차선 도색 장치는 차량을 이용하여 차선을 보수하기 위한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도료 저장부, 도료 분사노즐, 액츄에이터,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료 저장부는 도로를 주행 가능한 차량에 장착된다. 도료 분사노즐은 도료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분사한다. 액츄에이터는 도료 분사노즐을 이동 가능하게 한다. 카메라는 도색하기 위한 차선 부분을 촬영한다. 디스플레이는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기초로 도료 분사노즐과 액츄에이터를 제어한다.
선행문헌1의 차선 도색 방법은, 최초에 작업자가 경계 부분을 포함하여 보수할 차선의 일부분을 도색한 상태에서, 카메라는 최초 도색 부분을 포함하여 보수할 차선을 촬영하고, 제어부는 카메라의 영상을 기초로 최초 도색 부분의 양쪽 경계선으로부터 연장되는 경계 라인과, 보수할 차선을 감지한 보수 라인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제어부는 경계 라인과 보수 라인에 기초하여 도료 분사노즐을 제어한다.
선행문헌1의 차선 도색 장치 및 차선 도색 방법은,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차선 경계선을 명확하게 설정하면서 차선을 도색하는 도료 분사노즐이 차선 경계선 안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차선 도색이 완료되면, 도로의 중앙선 또는 차선에는 분리대(median)가 설치 또는 재설치될 수 있다. 분리대로는 가드레일(guard rail), 울타리(fence), 시선유도봉(tubular marker) 등이 있다. 표지병 및 분리대는 도로에 구멍을 뚫고 앙카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4645호(이하 '선행문헌2')는 도로 천공장치를 개시한다.
선행문헌2의 도로 천공장치는 하부로 휠이 구비되어 이동 가능한 베이스의 상부 각 모서리 측으로 일정길이의 높이를 가지는 수직지주부가 각각 형성되고, 각 수직지주부 내측에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승하강하는 드릴 이동부와 도로를 천공하는 드릴이 구비되고, 드릴 이동부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드릴 고정부를 포함한다.
선행문헌2의 도로 천공장치는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드릴 고정부에 연결된 드릴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승하강하여 천공작업을 진행해, 다수개의 천공을 반자동으로 용이하게 형성하고, 도로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별도의 드릴이나 위치선정장치 등을 작업자가 휴대하지 않아, 천공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차선 정비 사업을 진행하는 업체는 차선 도색 장치와 도로 천공장치를 모두 보유해두었다가, 차선 도색 작업을 진행할 때는 차선 도색 장치를 현장에 투입하고, 표지병이나 분리대 설치시에는 도로 천공장치를 현장에 투입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장비의 개별 운행은 업체의 비용부담을 야기한다.
또한, 종래 차선 정비 사업을 진행하는 업체는 차선 도색 장치의 전문인력과 도로 천공장치의 전문인력을 개별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물론, 특정 작업자를 2대 장비의 전문인력으로 양성할 수는 있으나, 서로 다른 작업방식을 가지는 장비들을 모두 전문적으로 다루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는 작업의 품질이 낮아지는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현장 조건에 따라 차선 도색 작업을 중단하고 표지병이나 분리대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표지병이나 분리대를 설치시 차선 도색 장치는 현장에서 운행되지 않는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차선 도색 작업시 도로 천공장치는 현장에서 운행되지 않는다. 즉, 2대의 장비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2대 장비의 개별 운용은 현장 작업의 비효율성을 야기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71994호 (등록일: 2021.06.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4645호 (등록일: 2011.07.30)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차선 정비 사업의 비용이 감소하며, 차선 도색 작업과 도로 천공 작업의 높은 작업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로에 작업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도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차체와, 상기 차체에 구비되며 작업에 따라 교체 가능한 작업 장치; 및 상기 차체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 장치를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작업 장치는 상기 차체에 천공장치 및 도색장치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작업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차체의 저면에 상기 도로를 향해 뚫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서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제1 수평방향으로 서로 나란한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천공장치 또는 상기 도색장치의 하중을 나누어 지지하는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장치 또는 상기 도색장치의 상기 제1 수평방향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천공장치 및 상기 도색장치는 상기 제1 수평방향과 직각인 제2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천공장치 또는 상기 도색장치의 서로 반대쪽 측면에 결합되는 제3 슬라이더 및 제4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장치 또는 상기 도색장치의 상기 제1 수평방향 길이에 따라 상기 제3 슬라이더와 상기 제4 슬라이더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3 슬라이더 및 상기 제4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천공장치 및 상기 도색장치는 상기 제1 수평방향과 직각인 제2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상기 제3 슬라이더 및 상기 제3 슬라이더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천공장치 및 상기 도색장치를 제어하고,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장치 및 상기 도색장치에 제2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치의 종류를 자동인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상기 차선을 인식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가 상기 차선을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체의 이동방향을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 상기 바퀴의 조향 조작을 하는 조향장치; 및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상기 차선을 인식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가 상기 차선을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체에 구비되는 입출력장치; 및 상기 제어부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연결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장치 또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작업정보가 입출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에 천공장치 및 도색장치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탑재됨으로써, 현장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차선 정비 사업의 비용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지장치가 차선을 인식하면, 제어부는 차체의 이동 방향을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함과 동시에 천공장치 또는 도색장치를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함으로써, 차선 도색 작업과 도로 천공 작업의 높은 작업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차체에 천공장치 또는 도색장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결합부가 구비됨으로써, 크기가 서로 다른 천공장치와 도색장치를 개구부를 기준으로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외력에 의한 수평방향 유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의 사용상태(차선 재도색)를 나타내는 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의 사용상태(도로 천공)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의 작업모듈(천공기) 및 고정모듈을 나타내는 전면투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의 작업모듈(천공기) 및 고정모듈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전면투시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4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의 작업모듈(천공기) 및 고정모듈을 나타내는 전면투시도이다.
도 6(b)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의 작업모듈(도색기) 및 고정모듈을 나타내는 전면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은, 현장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차선 정비 사업의 비용이 감소하며, 차선 도색 작업과 도로 천공 작업의 높은 작업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사용상태(차선 재도색)를 나타내는 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사용상태(도로 천공)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작업모듈(천공장치(210)) 및 고정모듈을 나타내는 전면투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작업모듈(천공장치(210)) 및 고정모듈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전면투시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4의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작업모듈(천공장치(210)) 및 고정모듈을 나타내는 전면투시도이다. 도 6(b)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작업모듈(도색장치(220)) 및 고정모듈을 나타내는 전면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은 차선(1)을 도색하고 도로에 구멍을 뚫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며, 차체(100), 작업장치(200), 결합부(300), 구동장치(400), 감지장치(600), 입출력장치(700), 통신장치(80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더욱이, 조향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0)는 작업장치(200)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외면을 형성한다. 차체(100)의 하부에 도로를 구르는 바퀴(110)가 결합된다.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은 3륜 자동차 또는 4륜 자동차로 제작될 수 있다. 작업 차량(10)은 구동장치(400)로 이동되는 것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이동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을 4륜 자동차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차체(100)는 도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차체(100)는 내부에 공간(이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내부공간에 작업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차체(100)의 측면에 도어(12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어(120)는 차체(100)의 측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면 등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때, 작업장치(200)는 모듈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도어(120)를 개방하고 작업장치(200)를 내부공간에 투입하거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내부공간은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의미한다. 차체(100)는 내부공간에 구비된 작업장치(200)를 외부의 비, 눈, 바람, 먼지, 이물질로부터 보호한다.
차체(100)의 측면에 투명창(130)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투명창(130)을 통해 내부공간의 작업장치(200)를 관찰할 수 있다.
차체(100)의 앞쪽에 라이트(140)가 설치될 수 있다. 차체(100)의 앞쪽에 광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광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빛이 일정 조도 이하가 되면, 라이트(140)를 자동점등시킬 수 있다. 감지장치(600)는 라이트(140)의 조명에 의해 야간에도 차선(1)의 인식이 가능한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차체(100)의 하부에 발판(150)이 형성될 수 있다. 발판(150)은 핸들(510)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발판(150)은 미사용시 회전하여 차체에 상면이 밀착될 수 있다.
작업 차량(10)은 작업자의 필요시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핸들(510) 또는 입출력장치(700)에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수동제어 또는 자동제어를 선택(입력)하는 작업창 또는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수동제어시, 작업자는 발판(150) 상면에 올라간 상태에서 핸들(510)을 잡고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을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0)의 저면에 도로를 향해 뚫린 개구부(101)가 형성된다. 개구부(101)는 사각형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치(200)는 천공장치(210)와 도색장치(220)를 포함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장치(200)는 다른 작업을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간에서 차체(100)에 천공장치(210) 및 도색장치(220)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탑재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치(210)는 천공기(211)와 제1 케이스(212)를 포함한다. 천공기(211)는 도로에 구멍(이하 '천공홀(2)')을 천공하는 장치이다. 제1 케이스(212)는 천공기(211)의 외면에 구비된다. 제1 케이스(212)는 천공기(211)의 하측을 제외하고 천공기(211)의 외면을 에워쌀 수 있다.
천공기(211)는 회전하는 드릴에 의해 도로에 천공홀(2)을 천공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천공기(211)를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할 수 있다. 즉, 천공기(211)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승강하며 도로에 천공홀(2)을 천공할 수 있다. 작업정보는 천공홀(2)의 간격, 깊이,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병(3) 및 분리대는 천공홀(2)에 삽입되는 앵커볼트(미도시)에 의해 도색된 차선(1) 위에 고정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22352호의 천공 드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도로 천공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승강하며 도로에 천공홀(2)을 천공하는 천공기(211)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천공기(211)의 자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색장치(220)는 도색기(221)와 제2 케이스(22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색기(221)는 훼손된 차선(1A)을 재도색하는 장치이다. 제2 케이스(222)는 도색기(221)의 외면에 구비된다. 제2 케이스(222)는 도색기(221)의 하측을 제외하고 도색기(221)의 외면을 에워쌀 수 있다.
천공장치(210)와 도색장치(220)는 모듈화될 수 있다. 천공기(211)와 도색기(221)는 서로 다른 구조와 크기를 형성함에 따라, 제1 케이스(212)와 제2 케이스(222)는 다른 크기를 형성하지만 유사한 외관 형태 및 결합부(300)와의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212)와 제2 케이스(222)는 공통적으로 장공(201) 및 나사홀(2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도색기(221)를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할 수 있다. 즉, 도색기(221)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훼손된 차선(1A)을 재도색할 수 있다. 작업정보는 도색될 훼손된 차선(1A)의 총 길이, 도색될 훼손된 차선(1A)의 폭, 도료의 분사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71994호의 차선을 보수하기 위한 차선 도색 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보수할 차선(1A)을 도색하는 도색기(221)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도색기(221)의 자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0)에 천공장치(210) 또는 도색장치(22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결합부(300)가 구비된다. 결합부(300)는 작업장치(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장치(200)는 그 종류에 따라 크기, 드릴등의 공구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300)는 적합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작업장치(200)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결합부(300)는 한 쌍의 레일(350), 제1 슬라이더(310), 제2 슬라이더(320), 제3 슬라이더(330) 및 제4 슬라이더(34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레일(350)은 개구부(101)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서 차체(100)에 결합된다. 한 쌍의 레일(350)은 제1 수평방향(D1)으로 서로 나란한 형태를 형성한다. 제1 수평방향(D1)은 차선(1) 도색 장치의 진행방향(전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더(310)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 및 연결부(30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는 레일(35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부(302)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를 제1 수평방향(D1)과 직각방향(이하 '제2 수평방향(D2)')으로 연결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 및 연결부(302)에 복수의 나사홀(305)이 형성된다. 제1 슬라이더(310)는 나사홀(305)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레일(350)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볼트에 의해 제1 슬라이더(310)의 슬라이드 이동이 차단된다.
제2 슬라이더(320)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 및 연결부(30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는 레일(35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부(302)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를 제2 수평방향(D2)으로 연결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 또는 연결부(302)에 복수의 나사홀(305)이 형성된다. 제2 슬라이더(320)는 나사홀(305)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레일(350)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볼트에 의해 제2 슬라이더(320)의 슬라이드 이동이 차단된다.
작업장치(200)는 제1 슬라이더(310) 및 제2 슬라이더(320)의 연결부(302) 상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더(310) 및 제2 슬라이더(320)는 천공장치(210) 또는 도색장치(220)의 하중을 나누어 지지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장치(210) 또는 도색장치(220)의 제1 수평방향(D1) 길이에 따라 제1 슬라이더(310)와 제2 슬라이더(320)의 간격이 조절된다. 따라서 천공장치(210)와 도색장치(220)의 제1 수평방향(D1) 길이가 서로 다르더라도 제1 슬라이더(310) 및 제2 슬라이더(320)는 천공장치(210) 또는 도색장치(2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케이스(212) 및 제2 케이스(222)의 하부에 복수의 장공(201)이 형성된다. 볼트가 장공(201)을 통해 나사홀(202)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작업장치(200)가 제1 슬라이더(310) 및 제2 슬라이더(320)의 연결부(302)에 고정된다.
장공(201)은 제2 수평방향(D2)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천공장치(210) 및 도색장치(220)는 제1 슬라이더(310) 및 제2 슬라이더(320)에 제2 수평방향(D2)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슬라이더(310)와 제2 슬라이더(320)의 간격이 제1 수평방향(D1)으로 조절되고, 장공(201)이 제2 수평방향(D2)으로 긴 형태를 형성함에 따라, 천공장치(210)의 드릴 및 도색장치(220)의 노즐을 개구부(101)를 기준으로 하는 설정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제3 슬라이더(330)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 및 지지부(30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는 레일(35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304)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를 연결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에 복수의 나사홀(306)이 형성된다. 제3 슬라이더(330)는 나사홀(306)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레일(350)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볼트에 의해 제3 슬라이더(330)의 슬라이드 이동이 차단된다.
지지부(304)는 기둥(304A) 및 연결대(304B)를 포함한다. 기둥(304A)은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연결대(304B)는 제2 수평방향(D2)으로 한 쌍의 기둥(304A)을 연결한다. 연결대(304B)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대(304B)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다.
연결대(304B)에 복수의 장공(307)이 형성된다. 제1 케이스(212) 및 제2 케이스(222)에 복수의 나사홀(202)이 형성된다. 볼트가 장공(307)을 통해 나사홀(202)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작업장치(200)가 제3 슬라이더(330)의 지지부(304)에 고정된다.
장공(307)은 제2 수평방향(D2)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천공장치(210) 및 도색장치(220)는 제2 수평방향(D2)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제3 슬라이더(330)에 결합된다.
제4 슬라이더(340)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 및 지지부(30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는 레일(35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304)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를 연결한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에 복수의 나사홀(306)이 형성된다. 제4 슬라이더(340)는 나사홀(306)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레일(350)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볼트에 의해 제4 슬라이더(340)의 슬라이드 이동이 차단된다.
지지부(304)는 기둥(304A) 및 연결대(304B)를 포함한다. 기둥(304A)은 한 쌍의 슬라이딩부(30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연결대(304B)는 제2 수평방향(D2)으로 한 쌍의 기둥(304A)을 연결한다. 연결대(304B)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대(304B)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다.
연결대(304B)에 복수의 장공(307)이 형성된다. 제1 케이스(212) 및 제2 케이스(222)에 복수의 나사홀(202)이 형성된다. 볼트가 장공(307)을 통해 나사홀(202)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작업장치(200)가 제4 슬라이더(340)의 지지부(304)에 고정된다.
장공(307)은 제2 수평방향(D2)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천공장치(210) 및 도색장치(220)는 제4 슬라이더(340)에 제2 수평방향(D2)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슬라이더(330)와 제4 슬라이더(340)의 간격이 제1 수평방향(D1)으로 조절되고, 장공(307)이 제2 수평방향(D2)으로 긴 형태를 형성함에 따라, 천공장치(210)의 드릴 및 도색장치(220)의 노즐이 개구부(101)를 기준으로 하는 설정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제3 슬라이더(330) 및 제4 슬라이더(340)가 천공장치(210) 또는 도색장치(220)의 수평방향 유동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는 작업장치(200), 구동장치(400), 추가적으로 조향장치(5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감지장치(600), 입출력장치(700) 및 통신장치(8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에 제1 커넥터(C1)가 구비된다. 그리고 작업장치(200)에 제2 커넥터(C2)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작업장치(200)를 결합부(300)에 결합시키고 나서 제1 커넥터(C1)와 제2 커넥터(C2)를 연결하면, 제어부(900)와 작업장치(200)가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커넥터(C1)와 제2 커넥터(C2)가 연결되면, 제어부(900)는 작업장치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한다. 예컨대, 제어부(900)는 차체(100)에 탑재된 천공장치(210) 및 도색장치(220)를 자동인식하게 된다.
차체(100) 외면(상면)에 입출력장치(700)가 구비된다. 입출력장치(700)는 평판 디스플레이 (flat panel display)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출력장치(700)에 작업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T)에 작업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700) 및 단말기(T)는 작업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장치(800)는 제어부(900)를 사용자의 단말기(T)에 연결하는 구성이다. 통신장치(800)는 이동통신, 주파수 공용 통신(Trunked Radio System), 위성 이동통신 등 무선통신(wireless communications) 기술에 의해 제어부(900)를 사용자의 단말기(T)에 연결할 수 있다.
구동장치(400)는 바퀴(1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구동장치(400)는 바퀴(110)에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장치(400)는 모터, 배터리, 체인전동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장치(400)는 뒷바퀴(110)에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 및 체인전동장치 등은 뒷바퀴(110)쪽에 구비될 수 있다.
차체의 이동 방향 제어에 대해 설명하면, 차체는 구동장치(400)가 각각의 바퀴(110)의 회전속도 조절을 통하여, 차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향장치(500)를 포함하여, 바퀴(110)의 조향 조작을 통하여 차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터리는 차체(100)의 일측에 결합된다.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인전동장치는 체인전동(chain drive)에 의해 모터의 회전력을 뒷바퀴(110)의 차축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조향장치(500)는 바퀴(110)의 조향 조작을 하는 구성이다. 조향장치(500)는 앞바퀴(110) 및 뒷바퀴(110) 중 하나 이상의 조향 조작을 할 수 있다.
조향장치(500)는 제어부(900)의 작업정보에 의해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진행방향을 자동전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한 작업정보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이 차선(1)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장치(200)가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조향장치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감지장치(600)는 차선(1)을 인식하는 구성이다. 감지장치(600)는 도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감지장치(600)는 차체(100)의 진행방향 앞쪽에 결합될 수 있다. 감지장치(600)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운행 중 도로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생성한다. 제어부(900)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선(1)을 인식할 수 있다.
도로안전시설물이 설치되는 도로의 차선(1)은 단선의 차선과 복선의 차선이 있다. 감지장치(600)는 단선의 차선과 복선의 차선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90527호의 차선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와 제어부(900)에 의한 차선 인식 기술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자동제어시 감지장치(600)가 차선(1,1A)을 인식하면, 제어부(900)는 차체의 이동 방향을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할 수 있다. 작업정보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의 속도 및 가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정보는 차선(1)을 기준으로 하는 설정위치(개구부(101)를 기준으로 하는 천공장치(210)의 드릴 및 도색장치(220)의 노즐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900)는, 설정위치(개구부(101)를 기준으로 하는 천공장치(210)의 드릴 및 도색장치(220)의 노즐의 위치)가 차선(1)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이 차선(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장치(400)의 자동제어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900)는 구동장치(400) 및 조향장치(500)를 자동제어할 수 있다.
차선(1)을 기준으로 자율주행하는 차량에서 제어부(900)가 구동장치(400) 및 조향장치(500)를 정밀제어하는 기술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동장치(400) 및 조향장치(500)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가 작업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작업장치(200)를 자동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색장치(220)를 자동인식한 상태에서 감지장치(600)가 훼손된 차선(1A)을 인식하면, 제어부(900)는 도색장치(220)를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할 수 있다. 즉, 도색기(221)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훼손된 차선(1A)을 도색할 수 있다. 작업정보는 도색될 차선(1A)의 총 길이, 도색될 차선(1A)의 폭, 도료의 분사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900)는, 설정위치(개구부(101)를 기준으로 하는 도색장치(220)의 노즐의 위치)가 차선(1A)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이 훼손된 차선(1A)을 따라 이동하며 도료를 분사하여 차선(1A)을 설정된 폭으로 재도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가 천공장치(210)를 자동인식한 상태에서 감지장치(600)가 차선(1)을 인식하면, 제어부(900)는 천공장치(210)를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할 수 있다. 즉, 천공기(211)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승강하며 도로에 천공홀(2)을 천공할 수 있다. 작업정보는 천공홀(2)의 간격, 깊이,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900)는, 설정위치(개구부(101)를 기준으로 하는 천공장치(210)의 드릴의 위치)가 차선(1,1A)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이 차선(1)을 따라 이동하며 일정 간격마다 설정된 개수의 천공홀(2)을 일정한 깊이로 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100)에 천공장치(210) 및 도색장치(220)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탑재됨으로써, 현장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차선(1) 정비 사업의 비용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지장치(600)가 차선(1)을 인식하면, 제어부(900)는 차체의 이동 방향을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함과 동시에 천공장치(210) 또는 도색장치(220)를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함으로써, 차선(1) 도색 작업과 도로 천공 작업의 높은 작업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차체(100)에 천공장치(210) 또는 도색장치(22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결합부(300)가 구비됨으로써, 크기가 서로 다른 천공장치(210)와 도색장치(220)를 개구부(101)를 기준으로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외력에 의한 수평방향 유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100 : 차체 300 : 결합부
101 : 개구부 310 : 제1 슬라이더
110 : 바퀴 320 : 제2 슬라이더
120 : 도어 301 : 슬라이딩부
130 : 투명창 302 : 연결부
140 : 라이트 330 : 제3 슬라이더
150 : 발판 340 : 제4 슬라이더
200 : 작업장치 303 : 슬라이딩부
210 : 천공장치 304 : 지지부
211 : 천공기 304A : 기둥
212 : 제1 케이스 304B : 연결대
201 : 장공 305 : 나사홀
220 : 도색장치 306 : 나사홀
221 : 도색기 307 : 장공
222 : 제2 케이스 350 : 레일
202 : 나사홀 400 : 구동장치
700 : 입출력장치 500 : 조향장치
800 : 통신장치 510 : 핸들
900 : 제어부 600 : 감지장치
D1 : 제1 수평방향 C1 : 제1 커넥터
D2 : 제2 수평방향 C2 : 제2 커넥터
2 : 천공홀 T : 단말기
3 : 표시봉

Claims (11)

  1. 도로에 작업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도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차체;
    상기 차체에 구비되며, 작업에 따라 교체 가능한 작업 장치; 및
    상기 차체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 장치를 고정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는 상기 차체에 천공장치 및 도색장치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작업장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저면에 상기 도로를 향해 뚫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서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제1 수평방향으로 서로 나란한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천공장치 또는 상기 도색장치의 하중을 나누어 지지하는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장치 또는 상기 도색장치의 상기 제1 수평방향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장치 및 상기 도색장치는 상기 제1 수평방향과 직각인 제2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천공장치 또는 상기 도색장치의 서로 반대쪽 측면에 결합되는 제3 슬라이더 및 제4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장치 또는 상기 도색장치의 상기 제1 수평방향 길이에 따라 상기 제3 슬라이더와 상기 제4 슬라이더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3 슬라이더 및 상기 제4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장치 및 상기 도색장치는 상기 제1 수평방향과 직각인 제2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상기 제3 슬라이더 및 상기 제3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장치 및 상기 도색장치를 제어하고,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장치에 제2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치의 종류를 자동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상기 차선을 인식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가 상기 차선을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체의 이동 방향을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상기 차선을 인식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가 상기 차선을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입력된 작업정보대로 자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구비되는 입출력장치; 및
    상기 제어부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연결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장치 또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작업정보가 입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KR1020210147257A 2021-10-29 2021-10-29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KR102636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257A KR102636360B1 (ko) 2021-10-29 2021-10-29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KR1020240018616A KR20240023225A (ko) 2021-10-29 2024-02-07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257A KR102636360B1 (ko) 2021-10-29 2021-10-29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8616A Division KR20240023225A (ko) 2021-10-29 2024-02-07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227A true KR20230062227A (ko) 2023-05-09
KR102636360B1 KR102636360B1 (ko) 2024-02-14

Family

ID=864094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257A KR102636360B1 (ko) 2021-10-29 2021-10-29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KR1020240018616A KR20240023225A (ko) 2021-10-29 2024-02-07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8616A KR20240023225A (ko) 2021-10-29 2024-02-07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363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80A (ko) * 2003-10-07 2005-04-14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노면 도색장치
KR101054645B1 (ko) 2008-11-06 2011-08-04 제일종합안전(주) 반자동식 도로 천공장치
KR102222352B1 (ko) * 2020-09-25 2021-03-04 주식회사 충청 간격 조절이 가능한 도로안전시설물 설치용 천공 드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도로 천공기 및 도로안전시설물의 시공방법
KR102271994B1 (ko) 2020-04-28 2021-07-02 유한회사 삼신기업 차선을 보수하기 위한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80A (ko) * 2003-10-07 2005-04-14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노면 도색장치
KR101054645B1 (ko) 2008-11-06 2011-08-04 제일종합안전(주) 반자동식 도로 천공장치
KR102271994B1 (ko) 2020-04-28 2021-07-02 유한회사 삼신기업 차선을 보수하기 위한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KR102222352B1 (ko) * 2020-09-25 2021-03-04 주식회사 충청 간격 조절이 가능한 도로안전시설물 설치용 천공 드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도로 천공기 및 도로안전시설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225A (ko) 2024-02-20
KR102636360B1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80680Y (zh) 自驱动道路铣刨机械
KR101002255B1 (ko)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WO2007018362A1 (en) Road line-marking vehicle
KR102222352B1 (ko) 간격 조절이 가능한 도로안전시설물 설치용 천공 드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도로 천공기 및 도로안전시설물의 시공방법
DE102010007591A1 (de) Arbeitsvorrichtung mit Roboter auf verfahrbarer Plattform sowie Arbeitsverfahren
CN109974745B (zh) 车载相机综合标定检测台
KR20180115073A (ko) 로봇타입의 도로표식을 페인팅 하는 장치
CN102877423B (zh) 路锥自动摆放与自动回收装置
KR102636360B1 (ko) 작업장치가 교체 가능한 건설 시공 장비
DE102010020822A1 (de) Messung unterirdischer Bauwerke, insbesondere beim unterirdischen Vortrieb, mit Fröschen
DE19722292A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bsicherung einer beweglichen Arbeitsstelle auf einer Fahrbahn
CN111877118B (zh) 一种道路交通标线画线装置
CN203092754U (zh) 混凝土预制梁用多轴成孔橡胶棒穿棒设备
KR102409259B1 (ko) 차선 도색차량용 차선 안내장치
CN111206484B (zh) 一种全自动道路标线划线机
KR102495834B1 (ko) 도로안전시설물 설치를 위한 수동식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천공홀의 천공과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 방법
CN208802076U (zh) 可调轮式行走机械人平台
CN203867450U (zh) 隧道侧壁打孔专用梯车
KR102407720B1 (ko) 도로안전시설물 설치를 위한 자율주행 도로공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노면 공사와 도로안전시설물의 설치 방법
CN220977649U (zh) 一种路面施工划线组件
KR200433471Y1 (ko) 차량탑재용 도색장치
CN112411325A (zh) 一种道路标线放样分段机
AT507338B1 (de) Fahrbarer bohrlochpositionierer, insbesondere selbstfahrender, automatischer bohrroboter
DE102014015442B4 (de) Verfahren zum Setzen von Leitdrahtträgern und Setzvorrichtung
CN214883166U (zh) 一种高度可调整的高速公路标志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