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127A -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127A
KR20230062127A KR1020210147088A KR20210147088A KR20230062127A KR 20230062127 A KR20230062127 A KR 20230062127A KR 1020210147088 A KR1020210147088 A KR 1020210147088A KR 20210147088 A KR20210147088 A KR 20210147088A KR 20230062127 A KR20230062127 A KR 20230062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den
information
user
match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규리
Original Assignee
강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규리 filed Critical 강규리
Priority to KR1020210147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2127A/ko
Priority to PCT/KR2021/018132 priority patent/WO2023075005A1/ko
Publication of KR2023006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미리 등록된 가든 공급자 단말로부터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 및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가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METHOD, USER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GARDEN SHARING INFORMATION AND MACHING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야외 활동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소재지에 위치한 정원, 수목원, 농장 등(이하, 가든)을 방문하는 이용객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이용객들은 주로 인터넷의 블로그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를 통해 타 사용자들이 방문했던 몇몇 장소를 접하면, 확인한 장소들 중 자신이 갈 수 있는 곳을 결정한 후 시간을 내어 방문하는 형태로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자신이 방문해보고 싶은 장소를 검색해야만 하고,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방법을 별도로 검색해야만 하는 등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만 방문하기 적합한 장소를 찾고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수많은 정보들이 혼재하는 인터넷 상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가든을 검색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일부 검색한 후보 가든이 존재하더라도 자신의 위치 및 시간을 기준으로 방문하기 적합한 가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 상황 조건에 적합한 가든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7178호 (2020.12.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든 공급자가 제공한 가든 정보를 대상으로 가든 수요자가 입력한 지역 선호도별 검색 정보와 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든 제공 및 큐레이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다른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미리 등록된 가든 공급자 단말로부터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공공데이터인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 및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가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별 선호도 및 지역별 검색 정보와, 기 입력된 설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마이데이터를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입력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입력값에 대응하여 매칭되는 가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상기 기 입력된 설문 정보는 사용자의 MBTI 설문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상기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MBTI 설문 정보에 따른 태도 지표(외향-내향, 판단-인식) 및 기능 지표(감각-직관, 사고-감정)의 조합 결과별 가중치를 상기 개인별 선호도 정보에 반영하여 상기 가든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의 지역 정보, 일정 정보, 액티비티 취향 정보에 상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공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공 데이터를 대상으로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자연어 처리 수행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별 민간 및 시립 가든을 추출하여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를 제공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이데이터를 수집하면, 미리 등록된 가든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 및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수집된 공공데이터인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킨 후, 매칭된 가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일일이 자신에게 맞는 가든을 검색하던 종래와 달리,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매칭되는 가든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로컬 정원, 농장의 방문 및 체험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는 농가 소득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100, 이하 관리 서버), 가든 공급자 단말(200) 및 가든 수요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로 지칭되기도 한다)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100)는 가든 공급자 단말(200) 및 가든 수요자 단말(300)을 매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100)는 가든 공급자 단말(200)로부터 가든 정보를 수집하고, 가든 수요자 단말(300)로 매칭되는 가든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획득한 공공데이터 즉,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토대로 추출된 가든 정보 중 매칭되는 가든 정보를 가든 수요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가든 공급자 단말(200)은 로컬 가든, 농장(이하, 통칭하여 가든이라 한다)과 같은 개인이 소유한 가든을 관리 서버(100)에 등록되도록 정보를 전송한다. 즉, 가든 공급자는 자신이 소유한 가든이 가든 수요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그 정보를 관리 서버(100)를 통해 공개 및 제공하고, 가든 수요자들이 해당 가든을 이용함에 따라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가든 공급자 단말(200)에는 가든 공급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어, 개인 소유 가든의 정보(소개, 사진, 동영상, 체험학습 등 프로그램, 식음료 제공 여부 및 이용 가격 정보 등)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든 공급자 단말(200)을 통해 업로드된 정보를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라 한다.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는 관리 서버(100)를 통해 소정의 검증 과정을 거친 후, 관리 서버(100)에서 운영하는 가든 수요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포맷에 맞도록 변형되어 제공된다.
가든 수요자 단말(300)은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가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말이다. 가든 수요자 단말(300)은 가든 공급자 단말(200)을 통해 수집된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 및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기반으로 마이데이터에 매칭되는 가든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가든 공급자 단말(200) 및 가든 수요자 단말(3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데스크톱, 서버 등과 같은 컴퓨터 장치 또는 전기 통신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가든 공급자 단말(200) 및 가든 수요자 단말(300)은 휴대용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패드(Pa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wearable) 단말, 기타 이동통신 단말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의 블록도이다.
한편, 가든 수요자 단말(300)은 통신모듈(310), 메모리(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모듈(310)은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를 제공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은 통신 모듈(310)은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유선 통신 모듈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20)에는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프로세서(33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여기에서, 메모리(3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이데이터를 수집하면, 미리 등록된 가든 공급자 단말(200)로부터 수집된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 및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수집된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킨 후, 매칭된 가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먼저, 미리 등록된 가든 공급자 단말(200)로부터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를 수집한다(S110). 여기에서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는 개인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는 로컬 가든, 농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의 수집은 공급자 단말의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든 관리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만 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급자 단말에 저장된 위치 정보, 사진, 동영상, SNS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수집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수신한다(S120).
일 실시예로,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는 소정의 공개된 공공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관리 서버(100)는 공개 데이터를 수신하면, 공공 데이터를 대상으로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고, 자연어 처리 수행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별 민간 및 시립 가든을 추출하여 공공 가든 지역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0)의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이데이터를 수집한다(S130).
일 실시예로, 예를 들어 키워드 중심의 설문 정보를 제공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일 실시예로, 마이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마이데이터는 소정의 설문 정보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소정의 설문 정보의 일 예로는 키워드 중심의 설문 정보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설문 정보를 통한 선택 결과를 조합한 결과를 마이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ㄱ) 아래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꽃을 고르시오
장미 / 코스모스 / 연꽃 / 해바라기 / 메리골드 / 기타
(ㄴ) 좋아하는 정원의 스타일을 고르시오
한국 / 일본 / 프랑스 / 영국 / 중국 / 기타
소정의 설문 정보의 다른 예로는 MBTI 설문 정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MBTI 설문 정보에 따른 태도 지표(외향-내향, 판단-인식) 및 기능 지표(감각-직관, 사고-감정)를 조합하여 조합별 결과를 마이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이데이터는 개인별 선호도 및 지역별 검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인별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가든 형태를 직접 입력받는 직접적 데이터와,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추청되는 가든 형태를 간접 입력받는 간접적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적 데이터는 '양평'에 위치한 'A 가든', '가평'에 위치한 'B 가든'과 같이 지역별 검색 정보와 융합되어 입력될 수 있다. 즉, 직접적 데이터는 '세미원'과 같은 공간적 키워드 데이터와, '연꽃', '연못정원', '항아리', '분수', '해바라기', '화려', '아기자기', '포토존', '전통놀이' 등과 같은 공간적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위 키워드 정보의 직접 입력을 통해 구성되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직접적 데이터의 입력을 통해 가든 정보의 매칭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간접적 데이터는 소정의 설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추청되는 가든 형태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 데이터로, 전술한 MBTI 설문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설문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위 간접적 데이터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밴드, 유튜브 등과 같은 사용자 SNS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 SNS 데이터를 통해, 검색 결과, 지역, 날씨, 여행 타입, 체험 타입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간접적 데이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고(S140), 매칭된 가든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S150).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개인별 선호도 및 지역별 검색 정보와, 기 입력된 설문 정보를 포함하는 마이데이터를 수신하면, 마이데이터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입력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된 입력값에 대응하여 매칭되는 가든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CNN, RNN 등의 신경망 기반 알고리즘이거나,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에 상응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의 지역 정보, 일정 정보, 액티비티 취향 정보를 가든 정보와 매칭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한 지역, 즉 위치 정보를 제1 입력 요소로 하고, 일정 정보를 제2 입력 요소로 하여, 평일에 다녀올 수 있는 근거리에 위치한 가든 정보를 매칭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주말에 다녀올 수 있는 장거리에 위치한 가든 정보를 매칭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m월 d일에 A지역으로 h1시부터 h2시까지 출장이 있는 일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출장일에 다녀올 수 있는 가든 정보를 매칭하여 제공해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MBTI 설문 정보에 따른 태도 지표 및 기능 지표의 조합 결과별 가중치를 생성하고, 조합 결과별 가중치를 개인 선호도 정보에 반영하여 가든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해줄 수도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든 공급자 단말(200)을 통해 소정의 바우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해줄 수도 있다. 소정의 바우처 정보는 입장권, 식음료권, 체험 프로그램권, 할인권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매칭된 가든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방문 확인 또는 예약 입력을 하면, 사용자 단말(300)로 전술한 바우처를 제공하거나, 할인된 가격으로 가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든 방문자 수가 증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가든 공급자는 방문자 수의 증가를 통한 수익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의 내용은 도 3의 내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
200: 가든 공급자 단말
300: 사용자 단말
310: 통신모듈
320: 메모리
330: 프로세서

Claims (8)

  1.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미리 등록된 가든 공급자 단말로부터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공공데이터인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 및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가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별 선호도 및 지역별 검색 정보와, 기 입력된 설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마이데이터를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입력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입력값에 대응하여 매칭되는 가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입력된 설문 정보는 사용자의 MBTI 설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MBTI 설문 정보에 따른 태도 지표(외향-내향, 판단-인식) 및 기능 지표(감각-직관, 사고-감정)의 조합 결과별 가중치를 상기 개인별 선호도 정보에 반영하여 상기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는 것인,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의 지역 정보, 일정 정보, 액티비티 취향 정보에 상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하여 제공하는 것인,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공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공 데이터를 대상으로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자연어 처리 수행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별 민간 및 시립 가든을 추출하여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8.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를 제공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이데이터를 수집하면, 미리 등록된 가든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개인 가든 지역 쉐어링 정보 및 지자체 서버, 산림청 서버를 통해 수집된 공공데이터인 공공 가든 지역 정보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마이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든 정보를 매칭시킨 후, 매칭된 가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210147088A 2021-10-29 2021-10-29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KR20230062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088A KR20230062127A (ko) 2021-10-29 2021-10-29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PCT/KR2021/018132 WO2023075005A1 (ko) 2021-10-29 2021-12-02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088A KR20230062127A (ko) 2021-10-29 2021-10-29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127A true KR20230062127A (ko) 2023-05-09

Family

ID=8616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088A KR20230062127A (ko) 2021-10-29 2021-10-29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2127A (ko)
WO (1) WO202307500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178A (ko) 2019-05-29 2020-12-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학습을 이용한 의료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9941A (ja) * 2002-06-21 2004-01-29 Tak One Kk 庭園情報提供システム
KR20210023216A (ko) * 2019-08-22 2021-03-04 지혜령 빅데이터 기반 농장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0949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다이얼커뮤니케이션즈 빅데이터와 사용자 취향 분석을 이용한 여행 스케쥴링 서비스 방법
KR102236546B1 (ko) * 2020-07-14 2021-04-06 김재영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관광목적에 따른 선택이 가능한 스마트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178A (ko) 2019-05-29 2020-12-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학습을 이용한 의료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005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3497B2 (en) Performance-efficient system for predicting user activities based on time-related features
Wang et al. Assessing hotel-related smartphone apps using online reviews
Ghaderi et al. Destination selection by smart tourists: the case of Isfahan, Iran
Do et al. A probabilistic kernel method for human mobility prediction with smartphones
Costa-Montenegro et al. Which App? A recommender system of applications in markets: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 for monitoring users’ interaction
US104898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 driven hyper-personalized recommendation
US8812416B2 (en) Predictive service for third party application developers
US20150186535A1 (en) Determining an Active Persona of a User Device
CN102301358A (zh) 使用社交联系的文本消歧
CN102591911A (zh) 位置相关实体的实时个性化推荐
Shang et al. Design theory, modelling and the applic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
CN105357638A (zh) 预测预定时刻的用户位置的方法和装置
US20190213480A1 (en) Personalized question-answering system and cloud server for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method of providing shared neural model thereof
CN103473036A (zh) 一种输入法皮肤推送方法及系统
CN103294801A (zh) 基于情境感知的联系人个性化推荐服务器、客户端及方法
US201900820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signage
Ballestín et al. Looking for the best modes helps solving the MRCPSP/max
KR20120087303A (ko) 소셜 에이전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432038A (zh) 应用排名计算装置和使用信息收集装置
US20220167034A1 (en) Device topological signatures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mobile device users based on mobile browsing patterns
Perra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urban mobility applications
KR20230062127A (ko) 사용자 맞춤형 가든 쉐어링 정보 및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기록매체
CN104317973B (zh) 一种地理空间信息自适应主动服务方法
Du et al. Monte-carlo tree search aided contextual online learning approach for wireless caching
Ferrari et al.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of whereabouts patterns from the reality mining data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