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039A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039A
KR20230062039A KR1020210146906A KR20210146906A KR20230062039A KR 20230062039 A KR20230062039 A KR 20230062039A KR 1020210146906 A KR1020210146906 A KR 1020210146906A KR 20210146906 A KR20210146906 A KR 20210146906A KR 20230062039 A KR20230062039 A KR 20230062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unit
transfer unit
wire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563B1 (ko
Inventor
이동연
김내원
장효석
이동준
고경철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21014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563B1/ko
Priority to CN202122964625.8U priority patent/CN216924848U/zh
Publication of KR2023006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8Sticking or clogging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이송부와 제 2 이송부의 와이어에 대해 중간의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나선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일방향 회전시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얼음의 이송 방향이 서로 다르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얼음의 일방향 집중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더욱 균일하게 얼음을 분산 교반할 수 있고, 얼음의 엉김이나 덩어리 발생을 방지하고 조각 얼음의 저장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이송부와 제 2 이송부의 와이어에 대해 중간의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나선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일방향 회전시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얼음의 이송 방향이 서로 다르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얼음의 일방향 집중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더욱 균일하게 얼음을 분산 교반할 수 있고, 얼음의 엉김이나 덩어리 발생을 방지하고 조각 얼음의 저장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제품으로 얼음 정수기 및 제빙기의 사용 또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는 외부에서 제작된 얼음을 단순히 내부에 저장하는 냉동 저장고 형태로 별도의 배출기능 없이 사용자가 스쿠프를 이용하여 얼음을 퍼내는 수동 방식으로 사용하는 방식 또는 별도의 버튼조작을 통해 내부 저장된 얼음을 단순 배출하는 방식의 제빙기가 업소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가정에서 제빙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얼음을 자동으로 생성 및 저장하고, 이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자동화된 형태의 제빙기에 대한 기술 개발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얼음을 자동으로 생성, 저장 및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 제빙기는 일반적으로 본체 내부에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얼음 생성부와, 얼음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통과, 사용자의 조작시 얼음통으로부터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는 얼음 배출 수단 등이 구비된다.
제빙기의 작동 중에는 얼음통 내부에 항상 다량의 얼음이 얼음 조각의 형태로 저장되고, 사용자의 버튼 조작시 얼음통에 저장된 얼음이 즉시 배출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얼음통 내부에는 얼음이 상당 시간 동안 저장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얼음통 내부에서 얼음이 서서히 녹아 다량의 조각 얼음이 서로 엉겨붙거나 덩어리 형태로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얼음을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얼음통 내부에는 조각 얼음을 배출 이송시킴과 동시에 교반시키기 위한 수단들이 구비되는데, 현재 개발된 교반 수단들은 얼음의 교반이 원활하지 못하는 등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10409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내부의 얼음통으로부터 얼음 배출구를 통해 얼음을 자동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얼음통 내부의 얼음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를 제 1 이송부와 제 2 이송부 2개로 형성함으로써, 얼음통 내부에서 얼음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얼음 배출구를 통한 얼음 배출시 얼음 배출 과정이 중단 없이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이송부와 제 2 이송부는 와이어를 나선 방향으로 권취하는 형태로 중간의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나선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일방향 회전시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얼음의 이송 방향이 서로 다르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얼음의 일방향 집중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더욱 균일하게 얼음을 분산 교반할 수 있고, 얼음의 엉김이나 덩어리 발생을 방지하고 조각 얼음의 저장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이송부와 제 2 이송부의 방향 전환부를 서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얼음의 분산 교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고, 이미 엉겨붙은 얼음이 존재하더라도 일부 영역에서 얼음을 파쇄하여 조각 얼음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얼음을 생성할 수 있도록 내부에 얼음 생성부가 배치되는 본체; 및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얼음통을 포함하고, 상기 얼음통은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바닥면 일측에는 얼음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얼음 배출구가 형성되는 얼음 수용부; 및 상기 얼음 수용부에 수용된 얼음을 교반함과 동시에 상기 얼음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부는 일정 두께의 와이어가 나선 형상을 따라 권취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나선 형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얼음통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 부위에는 상기 와이어의 나선 권취 방향이 반전되는 방향 전환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상기 와이어의 나선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얼음통은 상기 제 1 이송부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얼음 수용부에 수용된 얼음을 교반시키는 제 2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송부는 일정 두께의 와이어가 나선 형상을 따라 권취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나선 형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얼음통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 부위에는 상기 와이어의 나선 권취 방향이 반전되는 방향 전환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상기 와이어의 나선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송부의 방향 전환부와 상기 제 2 이송부의 방향 전환부는 상기 중심축에 대한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송부는 축방향 전체 거리 중 상기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상기 얼음 배출구에 인접한 일측 끝단까지의 거리가 타측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이송부는 축방향 전체 거리 중 상기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상기 얼음 배출구에 인접한 일측 끝단까지의 거리가 타측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송부의 방향 전환부는 상기 와이어의 중심축에 대한 직각 방향의 직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직선 경로를 갖는 상기 방향 전환부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나선 권취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고, 상기 제 2 이송부의 방향 전환부는 상기 와이어의 중심축에 대한 직각 방향의 직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직선 경로를 갖는 상기 방향 전환부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나선 권취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얼음통이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이송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이송부를 회전 작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이송부는 별도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이송부와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송부가 얼음을 상기 얼음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정방향 회전시, 상기 제 1 이송부는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고, 상기 제 2 이송부 또한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내부의 얼음통으로부터 얼음 배출구를 통해 얼음을 자동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얼음통 내부의 얼음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를 제 1 이송부와 제 2 이송부 2개로 형성함으로써, 얼음통 내부에서 얼음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얼음 배출구를 통한 얼음 배출시 얼음 배출 과정이 중단 없이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이송부와 제 2 이송부는 와이어를 나선 방향으로 권취하는 형태로 중간의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나선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일방향 회전시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얼음의 이송 방향이 서로 다르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얼음의 일방향 집중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더욱 균일하게 얼음을 분산 교반할 수 있고, 얼음의 엉김이나 덩어리 발생을 방지하고 조각 얼음의 저장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이송부와 제 2 이송부의 방향 전환부를 서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얼음의 분산 교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고, 이미 엉겨붙은 얼음이 존재하더라도 일부 영역에서 얼음을 파쇄하여 조각 얼음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얼음통 및 수통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수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이송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마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갖는 얼음통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이송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 1 이송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 2 이송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이송부의 얼음 이송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얼음통 및 수통을 분리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본체(110), 얼음통(130), 수통(140) 및 물받침(148)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얼음통(130) 및 수통(14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얼음통(130)에 얼음이 보관되도록 내부에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본체(110)는 얼음통(130) 및 수통(1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면에 얼음통 수용부(IBH) 및 수통 수용부(WBH)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에 형성된 얼음통 수용부(IBH)는 수통 수용부(WBH)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얼음통 수용부(IBH)는 얼음통(13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얼음통 수용부(IBH)의 내측면에 얼음통(130)이 정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GD)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GD)는 얼음통(130)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36)에 대응되도록 개방된 면을 향한 방향으로 형성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GD)는 얼음통 수용부(IBH)의 양측에 배치된 내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통 수용부(IBH)의 내면에 제1 모터(M1) 및 배수부(ID)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터(M1)는 후술할 얼음통(130)에 배치된 이송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배수부(ID)는 후술할 얼음통(130)에 형성된 얼음통 배수구(138)와 물리적으로 접촉되며, 얼음통 배수구(138)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 모터(M1) 및 배수부(ID)의 형상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그리고 본체(110)에 형성된 수통 수용부(WBH)는 얼음통 수용부(IBH)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수통(14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얼음통 수용부(IBH) 및 수통 수용부(WBH)는 본체(110)에 각각 배치되며, 본체(110)의 전방면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통 수용부(WBH)의 내면에는 물 공급 연결부(WS)가 배치된다. 물 공급 연결부(WS)는 수통(140)에 형성된 물 공급구(144)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며, 수통(140)에 수용된 물을 얼려 얼음이 생성되도록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수통(140)의 전방면에는 배출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홈(146)은 상부에 배치된 얼음통(130)에서 얼음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홈이다. 이러한 수통(140)의 전방면 하부에는 물받침(148)이 배치될 수 있다. 물받침(148)은 얼음통(130)에서 배출된 얼음으로 인해 발생된 물이 외부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물받침(148)의 상부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판이 배치되고, 하부에 물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받침(148)은 수통(140)에서 탈착할 수 있게 수통(140)에 결합될 수 있다.
얼음통 수용부(IBH)와 수통 수용부(WBH)의 사이에 조작부(150)가 배치된다. 조작부(150)에는 사용자가 얼음통(130)에서 얼음을 배출하기 위해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 배치되고, 또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 제빙기(100)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전원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5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얼음 관통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 얼음 관통홀(152)은 얼음통(130)에서 하부 방향으로 얼음이 배출될 때, 조작부(150)의 얼음 관통홀(15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얼음을 받을 수 있는 용기를 물받침(148)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작부(150)의 얼음 관통홀(152)을 통해 배출되는 얼음을 용기에 담을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측면에는 개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홈(112)은 얼음통(130) 및 수통(140)을 본체(110)에서 사용자가 쉽게 이탈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개방홈(112)은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수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수통(14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통(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에 배출홈(146)이 형성되고, 하부에 물받침(148)이 배치된다. 그리고 내측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 수용부(142)가 배치된다.
물 수용부(1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물 수용부(142)의 내부 벽면에 물 공급구(144)가 형성된다.
물 공급구(144)는 물 수용부(142)의 내부 벽면의 하부에 형성되며, 물 수용부(142)의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로 연결된 물 공급구(144)가 앞서 설명한 본체(110)의 수통 수용부(WBH) 내에 배치된 물 공급 연결부(WS)와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물 수용부(142) 내에 수용된 물은 물 공급구(144) 및 물 공급 연결부(WS)를 통해 본체(1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물 공급구(144)의 내부에는 밸브(CV)가 배치될 수 있다.
배출홈(146)은 전방면에 형성되고, 수통(140)의 전방면에 양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사이에 형성된다. 배출홈(146)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얼음을 받기 위한 용기가 배출홈(146)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얼음 생성부(12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본체(110)의 상부커버(116) 및 측면커버(114)를 분리한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얼음 생성부(120)는 제빙기(100)의 본체(110) 상부에 배치된다. 얼음 생성부(120)는 본체(110)의 상부커버(116)의 하부에 배치되며, 얼음 상승 배출부(121), 얼음 절단부(123), 경사면(125), 얼음 이송구(127), 및 얼음 생성부 커버(129)를 포함한다.
얼음 상승 배출부(121)는 별도의 얼음 생성 용기(미도시)의 상단에 형성되며, 얼음 생성 용기의 내부 공간에서 냉각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얼음이 상승하여 외부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얼음 상승 배출부(121)의 하부에 형성된 얼음 생성 용기에는 수통(140)으로부터 배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며, 본체(110) 내부에는 얼음 생성 용기 내부의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시킬 수 있는 냉각 시스템이 구비된다. 냉각 시스템은 압축기(CP),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갖는 냉동 사이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순환 파이프가 얼음 생성 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얼음 생성 용기의 내부에서는 공급된 물이 냉각 시스템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얼음은 완전하게 단단한 상태가 아니라 상대적으로 덜 단단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생성된다. 얼음 생성 용기의 내부에는 이러한 얼음을 상승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얼음 상승 이송 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얼음 생성 용기의 내부에서 얼음 상승 이송 장치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얼음은 상단부에 형성된 얼음 상승 배출부(121)를 통과하며 상승 이동하여 외부 배출된다. 이때, 얼음 생성 용기의 내부에 생성된 얼음은 상승 이동하는 과정에서 냉각 작용이 계속 진행되어 상승 이동할수록 상대적으로 단단한 상태의 얼음으로 변화하게 되고, 얼음 상승 배출부(12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장 단단한 상태의 얼음으로 변화하게 된다.
얼음 상승 배출부(121)는 얼음 절단부(123)를 기준으로 그 주변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얼음 상승 배출부(121) 각각은 원형의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얼음 절단부(123)는 복수개의 얼음 상승 배출부(121)의 배치 중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얼음 상승 배출부(121)보다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얼음 절단부(123)의 상단은 돌출된 형상의 상부에 역경사면을 가지는 원뿔 절두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얼음 절단부(123)는 얼음 상승 배출부(121)를 통과하며 상승하는 얼음이 얼음 절단부(123)의 상단의 역경사면에 걸려 외측 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얼음 상승 배출부(121)를 통해 상승하는 얼음은 얼음 절단부(123)에 걸려 꺾이고, 꺽이는 과정에서 일정 구간마다 절단되며, 절단될 때마다 하나의 얼음 조각이 생성된다.
경사면(125)은 얼음 상승 배출부(121)의 일측에 배치되고, 얼음 절단부(123)에 의해 꺾이고 절단되어 생성된 얼음 조각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면(125)의 하단부에는 경사면(120)을 따라 이동한 얼음이 낙하하도록 얼음 이송구(127)가 형성된다. 얼음 이송구(127)는 하부에 배치된 얼음통(130)과 연통되며, 얼음 이송구(127)를 통해 낙하하는 얼음은 얼음통(130)의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다.
얼음 생성부 커버(129)는 얼음 생성부(12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얼음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얼음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 본체(110) 내의 다른 부분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체(110)의 후면에는 제빙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연결부(118)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밸브(CV)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통(130)에 대해 설명한다. 얼음통(130)은 내부에 얼음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얼음이 수용된다. 그리고 얼음통(130)은 본체(110)의 얼음통 수용부(IBH)에 수용될 수 있으며, 본체(110)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얼음통(130)에 수용된 얼음을 다량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얼음통(130)을 제빙기(100) 본체(110)에서 분리하여 얼음통(130)에 수용된 얼음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얼음통(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얼음 수용부(132)가 형성되고, 얼음 수용부(132)의 하부 일 측에 얼음 배출구(134)가 형성될 수 있다. 얼음 배출구(134)는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 얼음이 사용자에 의해 소량 배출되기 위해 형성되며, 얼음 배출구(134)를 통해 배출된 얼음은 조작부(150)의 얼음 관통홀(152)(도 2 참조)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 수용부(132)에서 얼음 배출구(134)에 대향된 내면에 얼음통 배수구(138)가 형성될 수 있다. 얼음통 배수구(138)는 외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얼음통 수용부(IBH)에 수용된 얼음이 일부 녹아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얼음통 배수구(138)는 본체(110)에 형성된 배수부(ID)와 연결될 수 있어, 얼음통 배수구(138)를 통해 배출된 물은 배수부(ID)를 통해 제빙기(100)의 본체(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얼음통 배수구(138)의 내부에는 밸브(CV)가 배치될 수 있다. 밸브(CV)는, 앞서 언급한 물 공급구(144)에 배치된 밸브(CV)와 동일한 종류의 밸브(CV)가 이용될 수 있다. 밸브(CV)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얼음통 배수구(138)에 고정되며, 폐쇄되는 경우에 얼음통 배수구(138)를 폐쇄하여 얼음통(13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CV)의 타 측은 본체(110)에 배치된 배수부(ID)와 접촉될 수 있으며, 얼음통(130)이 본체(110)의 얼음통 수용부(IBH)에 삽입되면, 밸브(CV)의 타 측이 본체(110)의 배수부(ID)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밸브(CV)의 타 측은 본체(110)의 배수부(ID)에 의해 압박되며, 그에 따라 밸브(CV)가 개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밸브(CV)에는 스프링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 수용되면, 본체(110)에 배치된 배수부(ID)가 얼음통 배수구(138) 내의 밸브(CV)를 눌러 밸브(CV)를 개방시킨다. 그에 따라 얼음통 수용부(IBH)에서 생성된 물이 얼음통 배수구(138)와 배수부(I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서 이탈되면, 본체(110)에 배치된 배수부(ID)와 얼음통 배수구(138) 내에 배치된 밸브(CV)가 이격되고, 그에 따라 밸브(CV)에 가해진 압력이 없어져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얼음통 배수구(138)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서 이탈되면 얼음통 배수구(138)를 통해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수통(140)의 물 공급구(144)에 배치된 밸브(CV)도 얼음통 배수구(138)에 배치된 밸브(CV)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얼음통 수용부(IBH) 내에 이송부(TS)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부(TS)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얼음 배출구(134)에 배치되고, 타 측이 얼음 배출구(134)에 대향된 얼음 수용부(132) 내면에 배치된다. 이송부(TS)는 길이 방향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게 얼음 수용부(132) 내에 설치되며, 회전하면서 얼음 수용부(132) 내에 수용된 얼음을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송부(TS)의 타 측은 얼음 수용부(132)의 외측에 배치된 이송 회전부(TSR)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회전부(TSR)가 회전하면, 그에 따라 이송부(TS)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이송 회전부(TSR)는 얼음통 수용부(IBH)의 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얼음통 수용부(IBH)를 관통하더라도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실링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송 회전부(TSR)는 본체(110)에 배치된 제1 모터(M1)(도 2 참조)와 접촉되어 제1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회전부(TSR)의 타 측단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모터(M1)의 일 측단에는 이송 회전부(TSR)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에 걸릴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M1)에 형성된 돌기가 이송 회전부(TSR)의 타 측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에 걸려 제1 모터(M1)의 구동에 따라 이송 회전부(TSR)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이송 회전부(TSR)와 제1 모터(M1)의 접촉은 얼음통(130)이 본체(110)의 얼음통 수용부(IBH)에 삽입되었을 때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T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와이어가 나선 형상을 따라 권취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 측에서 일 측으로 갈수록(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갈수록) 나선의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 얼음이 이송부(TS)가 회전됨에 따라 점차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송된다.
돌출부(13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통 수용부(IBH)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하나의 외측면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 수용될 때, 돌출부(136)가 얼음통 수용부(IBH)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GD)를 따라 가이드되어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 정확한 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통에 설치된 마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통(130)의 일 측 하부에 얼음 배출구(134)가 형성된다. 얼음 배출구(134)는 얼음 수용부(132)의 내부에 수용된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얼음 배출구(134)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마개부(160)는 일 측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얼음통(130)에 설치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스프링(168)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얼음 배출구(134)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해 마개부(160)는, 얼음 배출마개(162), 배출마개 동작부(164), 배출마개 고정부(166) 및 작동 스프링(168)을 포함한다.
얼음 배출마개(162)는, 얼음 배출구(134)를 폐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 측에 배치된다.
배출마개 동작부(164)는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타 측에 배치되고,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외력이 가해질 수 있게 소정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배출마개 고정부(166)는 배출마개 동작부(164)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개부(160)를 얼음통(130)의 하면에 고정하기 위해 배치된다. 따라서 마개부(160)는 배출마개 고정부(166)가 얼음통(130)의 하면에 고정되고, 배출마개 동작부(164)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얼음 배출마개(162) 및 배출마개 동작부(164)가 회전할 수 있다. 이렇게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되면, 얼음 배출구(134)가 개방된다.
작동 스프링(168)은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되는 회전축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배출마개 동작부(16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얼음 배출마개(162)에 복원력을 작용하여 얼음 배출마개(162)가 얼음 배출구(134)를 폐쇄하도록 한다. 따라서 얼음 배출구(134)에 얼음이 배치되어 얼음 배출마개(162)의 상부에 얼음이 배치되더라도 얼음의 무게에 의해 얼음 배출마개(162)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어 얼음 배출구(13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마개 동작부(164)에 외력을 가하기 위해 배출마개 작동부(170) 및 제2 모터(M2)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마개 작동부(170) 및 제2 모터(M2)는 조작부(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잠시 도 2를 참조하면, 조작부(150)의 상면에 배출마개 작동부(170)의 상부 끝단이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배출마개 작동부(17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마개 작동부(170)는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배출마개 작동부(170)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배출마개 동작부(164)에 외력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마개 작동부(170)의 일 측면에는 작동 기어(172)가 형성될 수 있다. 작동 기어(172)는 배출마개 작동부(170)의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랙 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터(M2)는 조작부(15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제2 모터(M2)에 설치된 구동 기어(MG)가 회전될 수 있다. 구동 기어(MG)는 작동 기어(172)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모터(M2)의 구동에 따라 구동 기어(MG)가 회전하고, 구동 기어(MG)의 회전에 따라 작동 기어(172)의해 배출마개 작동부(17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모터(M2)는 구동 기어(MG)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모터(M1) 및 제2 모터(M2)는 서로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150)에 배치된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제1 모터(M1)가 구동되어 이송부(TS)를 회전시킬 수 있고, 동시에 제2 모터(M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마개 작동부(17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 얼음은 얼음 수용부(132)에서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동하고, 얼음 배출구(134)를 폐쇄하고 있는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하여 얼음 배출구(134)를 개방함에 따라 얼음 배출구(1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동안 얼음이 얼음 배출구(134)로 배출되거나 사용자가 얼음의 배출을 중지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면, 제1 모터(M1)의 구동이 정지되며, 제2 모터(M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출마개 작동부(17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 얼음이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송되는 것이 정지되고, 얼음 배출마개(162)가 회전하여 얼음 배출구(134)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갖는 얼음통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이송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 1 이송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 2 이송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이송부의 얼음 이송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TS)는 도 5 및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가 나선 형상을 따라 권취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와이어의 회전에 의해 얼음을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일방향 이송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TS)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 얼음을 교반함과 동시에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TS1)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제 1 이송부(TS1)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얼음 수용부(132)에 수용된 얼음을 교반시키는 제 2 이송부(TS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이송부(TS1)는 일정 두께의 와이어(181)가 나선 형상을 따라 권취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와이어(181)가 나선 형상의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얼음통(130)에 결합된다. 이때, 와이어(181)의 일측 부위에는 와이어(181)의 나선 권취 방향이 반전되는 방향 전환부(182)가 형성되고, 방향 전환부(182)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와이어(181)의 나선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방향 전환부(182)는 와이어(181)의 중심축(C1)에 대한 직각 방향의 직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직선 경로를 갖는 방향 전환부(182)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나선 권취 방향으로 와이어(181)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송부(TS1)의 와이어(181)는 중심축(C1)을 중심으로 나선 방향으로 권취되며 도 1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좌측단으로부터 전방 우측단으로 진행한다. 이때, 방향 전환부(182) 이전 구간에서는 와이어(181)가 시계 방향으로 권취되는데, 방향 전환부(182) 이후 구간에서는 와이어(181)가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 1 이송부(TS1)가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방향 전환부(182)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 구간에서 얼음을 이송시키는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제 2 이송부(TS2)는 제 1 이송부(TS1)와 마찬가지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이송부(TS1)로부터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 2 이송부(TS2)는 일정 두께의 와이어(183)가 나선 형상을 따라 권취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와이어(183)가 나선 형상의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얼음통(130)에 결합된다. 이때, 와이어(183)의 일측 부위에는 와이어(183)의 나선 권취 방향이 반전되는 방향 전환부(184)가 형성되고, 방향 전환부(184)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와이어(183)의 나선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방향 전환부(184)는 와이어(183)의 중심축(C2)에 대한 직각 방향의 직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직선 경로를 갖는 방향 전환부(184)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나선 권취 방향으로 와이어(183)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송부(TS2)의 와이어(183)는 중심축(C2)을 중심으로 나선 방향으로 권취되며 도 13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좌측단으로부터 전방 우측단으로 진행한다. 이때, 방향 전환부(184) 이전 구간에서는 와이어(183)가 시계 방향으로 권취되는데, 방향 전환부(184) 이후 구간에서는 와이어(183)가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 2 이송부(TS2)가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방향 전환부(184)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 구간에서 얼음을 이송시키는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이송부(TS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송부(TS1)가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얼음을 배출 이송하는 정방향 회전 작동시, 와이어(181)의 전체 구간 중 방향 전환부(182)를 기준으로 얼음 배출구(134) 측에 인접하게 형성된 구간에서는 얼음이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동하도록 방향 전환부(18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음이 이송되고, 방향 전환부(182)를 기준으로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부터 먼 구간에서는 얼음이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방향 전환부(18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음이 이송된다. 즉, 방향 전환부(182)를 기준으로 양측단 방향으로 얼음이 이송된다. 도 14에서 얼음의 이송 방향은 굵은 화살표로 표시된다.
반대로,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송부(TS2)가 역방향 회전 작동하면, 도 14의 (a)와는 반대 방향으로 얼음이 이송된다. 즉, 와이어(181)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방향 전환부(182)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얼음이 이송된다.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 조작 버튼을 조작하면, 제 1 이송부(TS1)는 얼음 배출을 위해 정방향 회전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고, 사용자의 버튼 조작이 중단된 상태에서, 얼음통(130) 내부의 얼음이 녹아 서로 엉겨붙어 덩어리가 되지 않도록 일정 시간 간격마다 제 1 이송부(TS1)는 역방향 회전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제 1 이송부(TS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얼음을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면, 얼음이 얼음 수용부(132) 내부의 어느 일측 공간에 집중되므로, 오히려 얼음의 엉김 현상이나 덩어리가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되고, 전체적인 얼음의 교반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이송부(TS1)의 와이어(181)가 방향 전환부(182)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얼음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므로, 얼음의 교반시 얼음을 양측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얼음의 엉김 현상이나 덩어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교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제 2 이송부(TS2) 또한 제 1 이송부(TS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 2 이송부(TS2)의 회전시 얼음의 이송 방향이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 1 이송부(TS1)의 회전시 제 2 이송부(TS2) 또한 동시에 회전하는데, 이와 같이 제 1 이송부(TS1)와 제 2 이송부(TS2)가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제 1 이송부(TS1)에 의한 얼음의 분산 교반에 더하여 제 2 이송부(TS2)에 의한 얼음의 분산 교반 기능이 추가되므로, 전체적으로 더욱 균일하고 원활한 교반 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특히, 제 1 이송부(TS1)의 방향 전환부(182)와 제 2 이송부(TS2)의 방향 전환부(184)는 중심축(C1,C2)에 대한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제 1 이송부(TS1)와 제 2 이송부(TS2)에서 얼음의 이송 방향이 일정 구간에서 서로 반대 방향이 되고, 어느 한 영역(예를 들면, 방향 전환부에 인접한 영역)에 집중되지 않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얼음을 분산 교반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이때, 제 1 이송부(TS1)는 정방향 회전시 얼음 배출구(134)를 통한 얼음의 배출량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얼음을 얼음 배출구(134) 측으로 이송시키는 얼음의 이송량이 반대 반향의 이송량보다 더 많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1 이송부(TS1)는 축방향 전체 거리 중 방향 전환부(182)를 기준으로 얼음 배출구(134)에 인접한 일측 끝단까지의 거리가 타측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제 2 이송부(TS2)는 축방향 전체 거리 중 방향 전환부(184)를 기준으로 얼음 배출구(134)에 인접한 일측 끝단까지의 거리가 타측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이송부(TS1)의 방향 전환부(182)와 제 2 이송부(TS2)의 방향 전환부(184)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 1 이송부(TS1)의 정방향 회전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이송부(TS1)는 방향 전환부(182)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고, 제 2 이송부(TS2) 또한 방향 전환부(184)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을 얼음통(130)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 교반할 수 있다. 또한, 얼음을 일부 영역에 일부 집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미 서로 엉겨붙은 얼음이 존재하더라도, 이러한 엉겨붙은 얼음을 해당 영역에서 제 1 이송부(TS1)와 제 2 이송부(TS2)의 와이어(181,183) 회전에 의해 파쇄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되어 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 1 이송부(TS1)의 정방향 회전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이송부(TS1)는 방향 전환부(182)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고, 제 2 이송부(TS2)는 이와 반대로 방향 전환부(18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제 1 이송부(TS1)와 제 2 이송부(TS2)에서 얼음 이송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얼음의 전체적인 분산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10) 내부에는 얼음통(130)이 본체(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이송부(TS1)와 결합하여 제 1 이송부(TS1)를 회전 작동시키는 모터(M1)가 구비되고, 제 2 이송부(TS2)는 별도의 동력 전달 수단(187)을 통해 제 1 이송부(TS1)와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 이송부(TS1)의 와이어(181)는 끝단에 제 1 이송 회전 블록(185)이 장착되고, 제 1 이송 회전 블록(185)를 통해 얼음통(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이송 회전 블록(185)의 외주면에는 실링을 위해 별도의 실링 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이송부(TS2)의 와이어(183)는 끝단에 제 2 이송 회전 블록(186)이 장착되고, 제 2 이송 회전 블록(186)를 통해 얼음통(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이송 회전 블록(186)의 외주면에는 실링을 위해 별도의 실링 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110) 내부에는 이송부(TS)를 회전 작동시키는 모터(M1)가 구비되는데, 이때, 모터(M1)는 얼음통(130)이 얼음통 수용부(IBH)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이송 회전 블록(185)과 결합하여 제 1 이송부(TS1)를 회전 작동시키도록 배치되고, 제 2 이송부(TS2)는 별도의 동력 전달 수단(187)을 통해 제 1 이송부(TS1)와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 전달 수단(187)은, 제 1 이송 회전 블록(185)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제 1 이송 회전 블록(185)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동 기어(187-1)와, 구동 기어(187-1)에 맞물림되도록 얼음통(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기어(187-3)와, 연결 기어(187-3)에 맞물림되도록 배치되며 제 2 이송 회전 블록(186)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제 2 이송 회전 블록(18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종동 기어(18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동력 전달 수단(187)에 대해 복수개의 기어를 이용한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벨트, 체인 등 다양한 동력 전달 기계 요소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빙기
110: 본체
112: 개방홈 114: 측면커버
116: 상부커버 118: 전원연결부
120: 얼음 생성부 121: 얼음 상승부
123: 얼음 절단부 125: 경사면
127: 얼음 이송구 129: 얼음 생성부 커버
130: 얼음통
132: 얼음 수용부 134: 얼음 배출구
136: 돌출부 138: 얼음통 배수구
140: 수통
142: 물 수용부 144: 물 공급구
146: 배출홈 148: 물받침
150: 조작부 152: 얼음 관통홀
160: 마개부
162: 얼음 배출마개 164: 배출마개 동작부
166: 배출마개 고정부 168: 작동 스프링
170: 배출마개 작동부 172: 작동 기어
181,183: 와이어 182,184: 방향 전환부
185: 제 1 이송 회전 블록 186: 제 2 이송 회전 블록
187: 동력 전달 수단
187-1: 구동 기어 187-2: 종동 기어
187-3: 연결 기어
CP: 압축기 CV: 밸브
IBH: 얼음통 수용부 ID: 배수부
GD: 가이드부
M1: 제1 모터 M2: 제2 모터
MG: 구동 기어
TS: 이송부 TSR: 이송 회전부
TS1: 제 1 이송부 TS2: 제 2 이송부
WBH: 수통 수용부 WS: 물 공급 연결부

Claims (7)

  1. 얼음을 생성할 수 있도록 내부에 얼음 생성부가 배치되는 본체; 및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얼음통
    을 포함하고, 상기 얼음통은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바닥면 일측에는 얼음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얼음 배출구가 형성되는 얼음 수용부; 및
    상기 얼음 수용부에 수용된 얼음을 교반함과 동시에 상기 얼음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송부는 일정 두께의 와이어가 나선 형상을 따라 권취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나선 형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얼음통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 부위에는 상기 와이어의 나선 권취 방향이 반전되는 방향 전환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상기 와이어의 나선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통은
    상기 제 1 이송부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상기 얼음 수용부에 수용된 얼음을 교반시키는 제 2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송부는 일정 두께의 와이어가 나선 형상을 따라 권취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나선 형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얼음통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 부위에는 상기 와이어의 나선 권취 방향이 반전되는 방향 전환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양측 구간에서 상기 와이어의 나선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부의 방향 전환부와 상기 제 2 이송부의 방향 전환부는 상기 중심축에 대한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부는 축방향 전체 거리 중 상기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상기 얼음 배출구에 인접한 일측 끝단까지의 거리가 타측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이송부는 축방향 전체 거리 중 상기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상기 얼음 배출구에 인접한 일측 끝단까지의 거리가 타측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부의 방향 전환부는 상기 와이어의 중심축에 대한 직각 방향의 직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직선 경로를 갖는 상기 방향 전환부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나선 권취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고,
    상기 제 2 이송부의 방향 전환부는 상기 와이어의 중심축에 대한 직각 방향의 직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직선 경로를 갖는 상기 방향 전환부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나선 권취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얼음통이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이송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이송부를 회전 작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이송부는 별도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이송부와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부가 얼음을 상기 얼음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정방향 회전시,
    상기 제 1 이송부는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고, 상기 제 2 이송부 또한 방향 전환부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음을 이송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1020210146906A 2021-10-29 2021-10-29 제빙기 KR10261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906A KR102613563B1 (ko) 2021-10-29 2021-10-29 제빙기
CN202122964625.8U CN216924848U (zh) 2021-10-29 2021-11-29 制冰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906A KR102613563B1 (ko) 2021-10-29 2021-10-29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039A true KR20230062039A (ko) 2023-05-09
KR102613563B1 KR102613563B1 (ko) 2023-12-14

Family

ID=8225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906A KR102613563B1 (ko) 2021-10-29 2021-10-29 제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3563B1 (ko)
CN (1) CN216924848U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93U (ja) * 1991-10-02 1993-05-07 ハニツクス工業株式会社 可搬式浄化装置
JPH0533893Y2 (ko) * 1988-05-19 1993-08-27
KR200191367Y1 (ko) * 1999-12-11 2000-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얼음 이송장치
KR20070104093A (ko) 2006-04-21 2007-10-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제빙기 및 제빙기 겸용 냉온수기
KR20180068071A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오거의 제조방법
KR20210017692A (ko) * 2019-08-09 2021-02-17 (주)원봉 제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93Y2 (ko) * 1988-05-19 1993-08-27
JPH0533893U (ja) * 1991-10-02 1993-05-07 ハニツクス工業株式会社 可搬式浄化装置
KR200191367Y1 (ko) * 1999-12-11 2000-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얼음 이송장치
KR20070104093A (ko) 2006-04-21 2007-10-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제빙기 및 제빙기 겸용 냉온수기
KR20180068071A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오거의 제조방법
KR20210017692A (ko) * 2019-08-09 2021-02-17 (주)원봉 제빙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924848U (zh) 2022-07-08
KR102613563B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961B2 (en)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making unit configuration
US9810471B2 (en) Refrigerator
CN102102930B (zh) 冰箱
CA2793581C (en) Ice dispenser with crush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1101201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ushing ice within a refrigerator
US20080295538A1 (en) Auger in ice bin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9980083739A (ko) 냉장고용 얼음 공급 장치
US11976865B2 (en) Refrigerator and ice-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CN103486811A (zh) 冰箱
EP2876388A1 (en) Ice bin and method of crushing ice using the same
CN103528303A (zh) 冰箱
WO2008054161A2 (en) Refrigerator and apparatus for ice discharging therein
CN111213021A (zh) 冰箱
US4856682A (en) Hopper and agitator assembly for an ice dispenser
KR20230062039A (ko) 제빙기
KR102255896B1 (ko) 제빙기
US7992407B2 (en) Refrigerator having ice bank
CN101506601B (zh) 冰盘组件及具有这种冰盘组件的冰箱
KR200191367Y1 (ko) 냉장고용 얼음 이송장치
KR20080016370A (ko) 냉장고
KR102186813B1 (ko) 제빙기
CN219415334U (zh) 一种制冰机和冰箱
KR200152160Y1 (ko) 대형 냉장고의 얼음 저장통 지지 구조
KR101658551B1 (ko) 냉동 장치용 얼음 보관함
JPH03171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