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880A -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 Google Patents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880A
KR20230057880A KR1020210142161A KR20210142161A KR20230057880A KR 20230057880 A KR20230057880 A KR 20230057880A KR 1020210142161 A KR1020210142161 A KR 1020210142161A KR 20210142161 A KR20210142161 A KR 20210142161A KR 20230057880 A KR20230057880 A KR 20230057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adjusting
piece
pouch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현
오웅근
김지환
여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4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880A/ko
Priority to PCT/KR2022/015172 priority patent/WO2023068615A1/ko
Priority to EP22883838.9A priority patent/EP4269074A1/en
Priority to US18/282,738 priority patent/US20240170774A1/en
Priority to CN202280010059.1A priority patent/CN116761711A/zh
Priority to JP2023542646A priority patent/JP2024503466A/ja
Publication of KR20230057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6Battery-c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의 실링부를 압착하여 실링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로서, 파우치의 실링부를 압착하여 실링하는 한 쌍의 실링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조정장치는,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일면을 가압하는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편;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타면을 가압하는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이 마련되며, 회전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 중 어느 하나의 조정면을 상기 지지편에 지지시켜서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SPACE ADJUSTER APPARATUS AND SEALING FACILITY FO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및 전기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에 내장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된다. 상기 캔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전해액,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캔, 캔의 개구부에 실장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전해액,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파우치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파우치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수용한 다음, 파우치의 테두리면을 실링하여 밀봉하여 제조된다. 이때 파우치의 테우리면은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를 사용하여 실링하고 있으며, 상기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는 파우치에 구비된 실링부의 양쪽 표면을 압착하여 실링하는 한 쌍의 실링블록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는, 파우치의 실링부 두께 조정을 위해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에 삽입하여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심링(Shim Ring)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차전지용 실링장치에서 심링은, 파우치의 실링부 두께를 조정할 때마다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에 삽입하거나 또는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연속성과 효율성이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단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높이를 가진 심링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크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번호 제2014-0086907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작업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비용지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는 파우치의 실링부를 압착하여 실링하기 위한 것으로, 파우치의 실링부를 압착하여 실링하는 한 쌍의 실링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조정장치는,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일면을 가압하는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편; 및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타면을 가압하는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이 마련되며, 회전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 중 어느 하나의 조정면을 상기 지지편에 지지시켜서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복수개의 조정면 중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의 높이는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 가압면 보다 119㎛~139㎛ 높게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실링블록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조정면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편의 지지면 높이는, 하나의 실링블록 가압면 보다 119㎛~139㎛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정면은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에서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까지 동일한 높이 차이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정면은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에서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까지 18~22㎛의 높이 차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조정면은, 상기 간격 조정편의 둘레를 따라 높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호 지지되는 상기 지지편의 지지면과 복수개의 조정면은 면밀착되게 수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호 대응하는 조정면 사이의 경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과 상기 간격 조정편은 합금 공구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에 상기 간격 조정편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볼트는, 조이면 상기 간격 조정편을 상기 실링블록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풀면 상기 결합 볼트를 중심으로 간격 조정편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상기 하나의 실링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간격 조정장치는 파우치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일면을 가압하는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편; 및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타면을 가압하는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이 마련되며, 회전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 중 어느 하나의 조정면을 상기 지지편에 지지시켜서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는 파우치의 실링부를 압착하여 실링하는 한 쌍의 실링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 조정장치는 지지편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의 조정편이 마련된 간격 조정편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작업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비용지출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의 지지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의 간격 조정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지지편과 간격 조정편의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지지편과 간격 조정편의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편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한편, 파우치는 적용 제품 또는 크기에 따라 두께가 다를 수 있고, 파우치의 두께에 따라 한 쌍의 실링블록에 마련된 가압면 사이의 간격 조정이 필요하다. 즉, 한 쌍의 실링블록이 파우치의 실링부를 강하게 압착할 경우 실링부가 훼손될 수 있고, 약하게 가압할 경우 실링부의 실링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우치의 두께에 따라 한 쌍의 실링블록에 마련된 가압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파우치의 실링부를 안정적으로 실링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를 이용하면 한 쌍의 실링블록에 마련된 가압면 사이의 간격을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다양한 두께를 가진 파우치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는 파우치의 실링부를 압착하여 실링하는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작업의 연속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파우치의 실링부(미도시)를 압착하여 실링하는 한 쌍의 실링블록(10)(20), 및 상기 한 쌍의 실링블록(10)(20) 사이의 간격을 다단계로 조정하는 간격 조정장치(100)를 포함한다.
실링블록
실링블록(sealing block)(10)(20)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실링블록(10)(20)은 도 1을 참조하면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실링블록(10)(20)은 상호 대응하는 대응면에 각각 가압면(1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으로 파우치의 실링부(미도시)를 압착하여 실링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실링블록(10)(20) 중 상부에 배치되는 실링블록(10)을 하나의 실링블록이라 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실링블록(20)을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이라 한다.
간격 조정장치
간격 조정장치(10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간격 조정장치(100)는 지지편(110)과 간격 조정편(120)을 포함한다.
지지편(110)은 도 3을 참조하면, 원통 형태를 가지고,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일면을 가압하는 하나의 실링블록(10) 양쪽 단부(도 1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실링블록 좌우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특히 지지편(110)은 일면(도 1에서 보았을 때 상부면)이 상기 하나의 실링블록에 고정볼트(112)를 통해 결합되어 있고, 타면이(도 1에서 보았을 때 하부면)이 간격 조정편에 지지되게 지지면(111)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고정볼트(112)는 지지편(110)에 형성된 삽입홈을 관통하여 하나의 실링블록에 결합되는 나사부와, 삽입홈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머리부를 포함한다.
특히 지지편(110)은 고정볼트(112)를 통해 하나의 실링블록(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면(111)이 설정 깊이로 마모가 발생할 경우 고정볼트(112)를 풀어서 마모가 발생한 지지편(110)을 제거한 다음, 새로운 지지편(110)을 고정볼트(112)를 이용하여 하나의 실링블록(10)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지지편(110)은 하나의 실링블록(10)에 홈과 돌기를 이용하여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실링블록(10)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110)에 하나의 실링블록(10)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되는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간격 조정편(12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타면을 가압하는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20) 양쪽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도 4에서 보았을 때 간격 조정편의 상면 둘레)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121)이 마련되어 있다.
즉, 간격 조정편(120)은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20)에 지지되는 저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지지편을 향하는 상면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121)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호 대응하는 조정면 사이의 경계면은 간격 조정편(120)의 중심점을 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조정면(121)은 지지편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면적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간격 조정편(120)을 회전시키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121)이 순차적으로 지지편(110)에 지지되는데, 이때 복수개의 조정면(121) 중 어느 하나의 조정면(121)을 상기 지지편(110)에 지지시키면, 지지편에 지지되는 조정면의 높이에 따라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 사이의 간격을 벌어지게 증대시키거나 또는 좁아지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간격 조정편(120)에 형성된 복수개의 조정면(121)은 간격 조정편(12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며, 이에 따라 지지편에서 보았을 때 간격 조정편(120)에 형성된 복수개의 조정면(121)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간격 조정편(120)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121) 중 어느 하나를 지지편(110)에 지지시킴으로써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 사이의 간격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20)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복수개의 조정면(121) 중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121a)의 높이는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20) 가압면(21) 보다 119㎛~139㎛, 바람직하게는 128㎛~131㎛, 최적은 129㎛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실링블록(10)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조정면(121)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편(110)의 지지면(111) 높이는, 하나의 실링블록(10) 가압면(11) 보다 119㎛~139㎛, 바람직하게는 128㎛~131㎛, 최적은 129㎛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 사이의 최소 간격을 238㎛~278㎛, 최적은 258㎛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 사이를 258㎛ 이격시키는 이유는 한 쌍의 실링블록(10)(20)끼리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간격이며, 이 이하의 간격을 가질 경우 열전달에 의해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압착되는 파우치의 실링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조정면(121)은 도 4를 참조하면,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에서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까지 동일한 높이 차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은 도면에서 "A"로 표시하고,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은 도면에서 "B"로 표시한다.
일례로, 복수개의 조정면(121)은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에서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까지 18~22㎛, 바람직하게는 20㎛의 높이 차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측정 없이도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 사이의 간격을 20㎛ 단위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20)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과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 사이의 높이 차이는 100㎛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 사이의 간격을 최대 100㎛까지 증대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 사이의 간격이 100㎛ 이상 증대될 경우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 사이에 압착되는 파우치의 실링부 압착력이 약화되면서 실링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조정면(121)은, 상기 간격 조정편(120)의 둘레(도 4를 참조하면 반시계방향)를 따라 높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격 조정편(120)의 작은 조작만으로도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11)(21) 사이의 간격을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조정면(121)은 도 4를 참조하면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계단 형태를 가진다.
한편, 상호 지지되는 상기 지지편(110)의 지지면(111)과 복수개의 조정면(121)은 면밀착되게 수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편(110)의 지지면(111)과 복수개의 조정면(121)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편(110)과 상기 간격 조정편(120)은 합금 공구강으로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강 금형 공구강인 SKD 61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주기를 크게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열강 금형 공구강인 SKD 61은 장시간 고온에 노출되더라도 강도와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열강 금형 공구강인 SKD 61은 고온강도 우수하고, 인성이 크며, 높은 내연화 저항성을 가지고, 열처리 변형이 적은 성질을 가진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정편(120)은,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20)에 결합볼트(13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볼트(130)는, 조이면 상기 간격 조정편(120)을 상기 실링블록(20)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고, 풀면 상기 결합볼트(130)를 중심으로 간격 조정편(1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볼트(130)는 머리부와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간격 조정편(120)에 마련된 삽입홈(123)에 삽입되면서 외부 돌출을 방지한다.
한편, 간격 조정편(120)은 복수의 조정면에 맞게 다각형 형태를 가진다. 즉, 간격 조정편이 6개의 조정면을 가지면 6각 형태를 가지고, 간격 조정편이 4개의 조정면을 가지면 4각 형태를 가진다.
한편,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20)은 도 6을 참조하면, 다각형 형태를 가진 간격 조정편(120)의 측면이 지지되게 측벽(12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벽(12b)에 간격 조정편(120)의 측면이 지지되면서 간격 조정편(12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간격 조정편(12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볼트를 풀어서 간격 조정편(120)을 측벽(12b) 보다 높게 들어올린 상태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결합볼트(130)를 푼 다음, 간격 조정편(120)을 회전시켜서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121)을 지지편(110)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조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볼트(130)를 조여서 간격 조정편(120)을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20)에 고정한다. 그러면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의 간격(α) 조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한 쌍의 실링블록(10)(20)을 대응되게 이동시키면,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121)과 지지편(110)의 지지면(111)이 지지되면서 한 쌍의 실링블록의 가압면이 파우치의 실링부를 압착하여 실링한다. 이때 한 쌍의 실링블록의 가압면 사이는 제일 크게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결합볼트(130)를 푼 다음, 간격 조정편(120)을 회전시켜서 제일 작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121)을 지지편(110)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조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볼트(130)를 조여서 간격 조정편(120)을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20)에 고정한다. 그러면 한 쌍의 실링블록(10)(20)에 마련된 가압면의 간격(β) 조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한 쌍의 실링블록을 대응되게 이동시키면, 제일 작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121)과 지지편(110)의 지지면(111)이 지지되면서 한 쌍의 실링블록의 가압면이 파우치의 실링부를 압착하여 실링한다. 이때 한 쌍의 실링블록의 가압면 사이는 제일 작게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한 쌍의 실링블록에 마련된 가압면 사이의 간격을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는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고, 특히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다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작업의 연속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한 쌍의 실링블록(10)(20) 사이의 간격을 다단계로 조정하는 간격 조정장치(100)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 조정장치(100)는 지지편(110)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조정면(121)이 마련된 간격 조정편(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호 대응하는 조정면(121) 사이의 경계면(122)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호 대응하는 조정면(121) 사이의 경계면(122)이 훼손되는 것을 크게 방지할 수 있고, 외부 물체가 상호 대응하는 조정면 사이의 경계면에 충돌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정장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정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설비에서 간격 조정장치(100)만 별도로 제작하여 실링공정에 설치된 실링설비에 설치할 수 있다. 즉, 간격 조정장치(100)만 별도로 제품화하여 생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호환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정장치(100)는 파우치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정장치(100)는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일면을 가압하는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편(110),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타면을 가압하는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이 마련되며, 회전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 중 어느 하나의 조정면을 상기 지지편에 지지시켜서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편(120)을 포함한다.
한편, 간격 조정장치(10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간격 조정장치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10, 20: 실링블록
11, 12: 가압면
100: 간격조정장치
110: 지지편
111: 지지면
112: 고정볼트
120: 간격 조정편
121: 조정면
122: 경사면
130: 결합볼트

Claims (12)

  1. 파우치의 실링부를 압착하여 실링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로서,
    파우치의 실링부를 압착하여 실링하는 한 쌍의 실링블록; 및
    상기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조정장치는,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일면을 가압하는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편;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타면을 가압하는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이 마련되며, 회전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 중 어느 하나의 조정면을 상기 지지편에 지지시켜서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편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복수개의 조정면 중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의 높이는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 가압면 보다 119㎛~139㎛ 높게 마련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의 실링블록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조정면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편의 지지면 높이는, 하나의 실링블록 가압면 보다 119㎛~139㎛ 높게 마련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의 조정면은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에서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까지 동일한 높이 차이로 마련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개의 조정면은 제일 낮은 높이를 가진 조정면에서 제일 큰 높이를 가진 조정면까지 18~22㎛의 높이 차이로 마련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조정면은, 상기 간격 조정편의 둘레를 따라 높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마련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호 지지되는 상기 지지편의 지지면과 복수개의 조정면은 면밀착되게 수평면으로 마련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호 대응하는 조정면 사이의 경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과 상기 간격 조정편은 합금 공구강으로 마련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에 상기 간격 조정편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볼트는, 조이면 상기 간격 조정편을 상기 실링블록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풀면 상기 결합볼트를 중심으로 간격 조정편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을 해제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하나의 실링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12. 파우치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장치로서,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일면을 가압하는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편;
    상기 파우치의 실링부 타면을 가압하는 다른 하나의 실링블록 양쪽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이 마련되며, 회전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복수개의 조정면 중 어느 하나의 조정면을 상기 지지편에 지지시켜서 한 쌍의 실링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편을 포함하는 간격 조정장치.
KR1020210142161A 2021-10-22 2021-10-22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KR20230057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161A KR20230057880A (ko) 2021-10-22 2021-10-22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PCT/KR2022/015172 WO2023068615A1 (ko) 2021-10-22 2022-10-07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EP22883838.9A EP4269074A1 (en) 2021-10-22 2022-10-07 Gap adjustment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sealing equipment including same
US18/282,738 US20240170774A1 (en) 2021-10-22 2022-10-07 Gap Adjustment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Sealing Equipment Including Same
CN202280010059.1A CN116761711A (zh) 2021-10-22 2022-10-07 间隙调节装置以及包括该间隙调节装置的二次电池密封设备
JP2023542646A JP2024503466A (ja) 2021-10-22 2022-10-07 間隔調整装置及びそれを含む二次電池用シール設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161A KR20230057880A (ko) 2021-10-22 2021-10-22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880A true KR20230057880A (ko) 2023-05-02

Family

ID=8605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161A KR20230057880A (ko) 2021-10-22 2021-10-22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70774A1 (ko)
EP (1) EP4269074A1 (ko)
JP (1) JP2024503466A (ko)
KR (1) KR20230057880A (ko)
CN (1) CN116761711A (ko)
WO (1) WO202306861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907A (ko)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903A (ja) * 2001-11-20 2003-05-30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517062B1 (ko) * 2012-09-07 2015-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164254B1 (ko) * 2017-11-15 2020-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76860B1 (ko) * 2018-03-30 2023-09-1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FR3094000B1 (fr) 2019-03-22 2022-01-28 Coradin Sas Capsule adaptee pour obturer l’ouverture d’un recipient et ensemble comprenant un recipient et ladite capsule
KR102254203B1 (ko) * 2020-09-23 2021-05-20 김덕군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주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907A (ko)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9074A1 (en) 2023-11-01
JP2024503466A (ja) 2024-01-25
US20240170774A1 (en) 2024-05-23
WO2023068615A1 (ko) 2023-04-27
CN116761711A (zh)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5397B2 (en) Clamping device for an electrochemical cell stack
US8071230B2 (en) High rate charging and discharging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EP3611782B1 (en) Electrolyte removal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N213072387U (zh) 定子绕组装配工装和轮毂电机装配系统
KR20230057880A (ko) 간격 조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설비
US9227239B2 (en) Forming die apparatus and die member
KR20210032916A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EP0968561B1 (en) Electrical lead bushing for a turbine generator
EP2309571A1 (en) Secondary battery
JP3627400B2 (ja) 電解用アノード板矯正装置
CN211469517U (zh) 一种化工容器组对连接装置
US10071411B2 (en) Press die
JP2864175B2 (ja) 角形密閉式電池
KR20190029927A (ko) 배터리 셀 평가용 지그
CN214742784U (zh) 一种托轮轴瓦室用防尘快开型观察窗
CN218799639U (zh) 应用于薄壁零件攻牙的夹具装置
CN214278230U (zh) 一种测试夹具
CN213124534U (zh) 一种镍氢电池顶封硬封封头
CN220679818U (zh) 压紧装置、焊接设备及电池生产系统
KR20230067936A (ko) 원통형 전지케이스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전지셀 제조방법
KR102656887B1 (ko) 이차전지 제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CN213398651U (zh) 电池夹持工装
KR102488728B1 (ko) 베터리셀 핫프레스 장치
CN211667014U (zh) 一种高密封性搪瓷螺栓
CN210744011U (zh) 一种锂电池保护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