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845A - 스마트 팽이 - Google Patents

스마트 팽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845A
KR20230057845A KR1020210142083A KR20210142083A KR20230057845A KR 20230057845 A KR20230057845 A KR 20230057845A KR 1020210142083 A KR1020210142083 A KR 1020210142083A KR 20210142083 A KR20210142083 A KR 20210142083A KR 20230057845 A KR20230057845 A KR 20230057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se member
control body
support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350B1 (ko
Inventor
권오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350B1/ko
Priority to PCT/KR2022/012582 priority patent/WO2023068524A1/ko
Publication of KR20230057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과 같은 작동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스마트 팽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팽이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본체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회전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정보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며, 사용자 인식을 위한 스마트칩이 장착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스마트칩이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칩 슬롯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 팽이 {Smart top}
본 발명은 스마트 팽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과 같은 작동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스마트 팽이에 관한 것이다.
팽이는 어린이들에게 매우 인기가 높은 장난감 중 하나로서, 주로 채로 치거나 끈을 몸통에 감았다가 끈을 잡아당겨 푸는 힘으로 돌리면 구심력과 회전관성 때문에 평형을 유지하여 회전력이 소멸될 때까지 쓰러지지 않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이러한 팽이는 회전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실을 원추형의 몸체에 감아 팽이를 던지는 방식, 랙과 피니언 구조를 응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방식, 팽이에 와인더를 끼우고 와인더를 당김으로써 팽이를 회전시키는 방식 등이 있다.
최근에는 팽이경기장 내에 돌고 있는 팽이를 서로 맞부딪치게 하여 어느 하나의 팽이를 쓰러뜨리는 이른바 배틀(battle) 방식의 놀이가 유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팽이는 무작위적인 상황에서 단순히 팽이를 회전시키고 바라만 보는 수동적이며 간접체험의 형태를 가진다. 즉, 사용자는 한번 팽이를 회전시켜 놓고 상대편 팽이와 충돌에 따른 회전력의 저하로 승부를 가릴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놀이(게임) 방식이 단조로워 몰입감이 낮고 박진감이 떨어지며 흥미 유발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팽이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9747호에 원격제어가 가능한 팽이형 로봇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1193호에 스마트폰을 활용한 팽이완구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들의 팽이 또는 팽이를 이용한 게임장치들은 복수의 팽이들이 상호 부딪히며 회전력을 누가 더 오래 유지하는지로만 게임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임 형태가 단조로울 수 밖에 없고, 반드시 둘 이상의 팽이가 함께 회전하면서 게임을 즐겨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9747호: 원격제어가 가능한 팽이형 로봇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1193호에 스마트폰을 활용한 팽이완구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팽이 본체의 회전속도와 수직도 등 회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팽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스마트 팽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팽이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본체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회전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정보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며, 사용자 인식을 위한 스마트칩이 장착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스마트칩이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칩 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유닛은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베이스바디와,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지지면에 지지되는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이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칩 슬롯이 형성된 제어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칩 슬롯은 상기 제어바디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어바디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칩 슬롯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바디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바디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는 제1 가이드홈과, 상기 제1 가이드홈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바디의 상면을 통해 상부와 연결되는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바디는 내주면에 상기 제2 가이드홈의 폭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홈을 통해 제1 가이드홈으로 진입한 후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진행하면서 상기 커버바디가 상기 제어바디의 외주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바디는 상기 제어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칩슬롯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칩슬롯을 차단할 수 있게 개폐하는 칩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커버바디가 상기 칩슬롯이 개방되지 않도록 닫히는 위치에 상기 칩장착홀이 위치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커버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고정부는 상기 제어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커버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재와, 상기 커버바디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고정홈에 삽입될 때 상기 커버바디가 상기 제어바디에 대해 회전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웨이트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 베이스부재의 웨이트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유닛의 무게중심이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측에 형성되도록 마련된 밸런스웨이트와, 상기 제1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로 노출되며 지지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1 베이스부재를 관통해 상기 베이스바디의 내부 중심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축과, 상기 연장축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재에 지지되는 축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바디는 상기 칩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제어바디와, 상기 메인제어바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이 장착되는 보조제어바디와, 상기 보조제어바디와 상기 메인제어바디의 체결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체결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체결방향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방향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제어바디의 하부에 형성되며, 세 개의 꼭지점부를 상호 연결하는 원호 형상의 연결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세 개의 꼭지점 부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호 다른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돌출가이드, 제2 돌출가이드 및 제3 돌출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바디에는 상기 제1 돌출가이드, 제2 돌출가이드 및 제3 돌출가이드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제1 가이드홀, 제2 가이드홀 및 제3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베이스부재는 외주면에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두 개 이상의 바디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는 상부 내경이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외경에 대응하되, 상단부 내주면에 상기 바디체결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제1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바디는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패턴링을 더 구비하되, 상기 패턴링은 상기 바디체결홈에 대응하는 제2 체결돌기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2 베이스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의 상단이 상기 패턴링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패턴링이 상기 제2 베이스부재에 구속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 팽이는 상기 본체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팽이받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팽이받침부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하단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안착부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상방으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있고, 상면이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하단 형상에 대응하도록 된 축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직경의 축관통홀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본체유닛의 하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본체유닛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팽이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 칩이 장착될 수 있도록 칩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 칩을 장착 또는 탈거할 수 있도록 칩 슬롯이 팽이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다수의 팽이를 활용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팽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 팽이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마트 팽이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베이스바디를 발췌한 분리사시도,
도 5는 제어바디 및 커버바디를 발췌한 분리사시도,
도 6은 체결방향 가이드부와 메인제어바디 및 보조제어바디를 발췌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메인제어바디와 커버바디를 발췌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메인제어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분리사시도,
도 9는 상판부재와 커버바디 및 메인제어바디가 칩슬롯이 개방되게 체결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10은 상판부재와 커버바디 및 메인제어바디가 칩슬롯이 폐쇄되게 체결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11은 팽이받침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팽이받침부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팽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팽이(10)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본체유닛(100)과, 상기 본체유닛(100)을 정지상태에서 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팽이받침부(400)와, 상기 본체유닛(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유닛(100)의 회전정보를 측정하고 전송하는 제어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500)은 본체유닛(100)이 회전할 때 회전속도와 회전시간, 회전량 등의 회전정보 측정과 팽이를 때릴 때의 충격데이터를 측정하며,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전송한다. 특히 제어유닛(500)은 일측에 스마트칩(51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칩(510)을 통해 사용자정보를 구별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칩(510)은 본 발명의 스마트 팽이(10)를 통한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팽이의 회전정보가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전송되면 모바일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회전정보에 따라 선정된 캐릭터의 움직임을 설정된 회전정보에 따라 전환하거나, 캐릭터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고, 실제 팽이들을 부딛혀 게임을 하지 않더라도 각 팽이의 회전속도, 회전시간 등을 지표로 승자와 패자를 나누는 등의 게임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핵심사항은 스마트칩(510)을 본체유닛(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어유닛(500)으로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에 관한 것이며, 스마트칩(510)의 역할, 종류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것 외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100)은 상기 제어유닛(500)을 내장하며,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본체유닛(100)은 상기 제어유닛(500)에 장착되는 스마트칩(510)을 본체유닛(100)의 외부에서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경우 스마트칩(510)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스마트칩(51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마트칩(5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장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본체유닛(10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지지부재(16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유닛(500)이 장착되는 제어바디(200)와, 상기 제어바디(200)를 감싸는 커버바디(300)와, 상기 제어바디(200)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판부재(3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 베이스부재(111)와, 상기 제1 베이스부재(111)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유닛(100)의 무게중심이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하부측에 형성되도록 마련된 밸런스웨이트(120)와, 상기 제1 베이스부재(111)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터리(150)가 장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 베이스부재(130)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재(130)의 외주면을 감싸는 패턴링(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부재(111)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반구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방이 개구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밸런스웨이트(120)가 장착되는 웨이트장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장착부(112)를 구성하기 위해 제1 베이스부재(111)의 내주면으로부터 다수의 리브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웨이트장착부(112)는 밸런스웨이트(12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웨이트(120)는 상술한 것처럼 본체유닛(100)의 무게중심이 베이스바디(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중량이 있는 금속재로 형성되는데,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밸런스웨이트(120)는 하부에 와셔(121)가 배치된다.
상기 제2 베이스부재(130)는 제1 베이스부재(111)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2 베이스부재(130)는 외형이 소정 폭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외경이 상기 제1 베이스부재(111)의 상부측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2 베이스부재(130)의 외주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된 세 개의 바디체결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베이스부재(130)는 상단과 하단 사이에 중간판(13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중간판(132)의 상측에는 배터리(150)가 장착될 수 있게 배터리장착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배터리(150)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에 대응하도록 배터리장착부(133)가 형성되어 있으나, 배터리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판(132)에는 상기 배터리(15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후술하는 회전지지부재(160)의 축체결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축체결부(163)는 금속재이며, 제2 베이스부재(130)를 사출 성형할 때 인서트사출된다. 그러나 축체결부(163)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2 베이스부재(13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중간판(132)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런스웨이트(120)의 상면에 지지되는 웨이트지지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베이스부재(130)의 외주에는 패턴링(140)이 장착된다. 상기 패턴링(140)은 제2 베이스부재(130)의 외주면을 깜싸는 링 형상이며, 외주면에는 심미성을 높이기 위한 패턴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턴링(140)은 내주면에 상기 바디체결홈(131)에 대응하는 제2 체결돌기(14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재(130)가 제1 베이스부재(111)와 체결되기 전에 제2 베이스부재(130)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승강하면서 제2 베이스부재(130)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2 체결돌기(141)가 바디체결홈(131)에 끼워지기 때문에 패턴링(140)이 제2 베이스부재(130)의 상부로 인출되지 못하며, 제2 베이스부재(130)에 대하여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도 차단되고 제2 베이스부재(130)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제1 베이스부재(111)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바디체결홈(131)에 대응하는 제1 체결돌기(11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패턴링(140)이 제2 베이스부재(130)를 감싸도록 장착된 후 제2 베이스부재(130)를 제1 베이스부재(111)의 상단에 결합할 때 상기 제1 체결부재가 패턴링(140)의 하부에서 바디체결홈(131)에 삽입되면서 패턴링(140)이 하방으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구속하게 된다.
상기 회전지지부재(16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하부로 노출되며 지지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헤드부(161)와, 상기 헤드부(161)로부터 상기 제1 베이스부재(111)를 관통해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내부 중심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축(162)과, 상술한 축체결부(163)를 포함한다.
헤드부(161)는 지지면에 대하여 본체유닛(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베이스부재(111)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관통되는 축 삽입홀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헤드부(161)가 제1 베이스부재(111)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못한다.
상기 연장축(162)은 제1 베이스부재(111)의 내부와 밸런스웨이트(120)를 관통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체결부(163)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헤드부(161)의 상단은 연장축(162)과 축체결부(163)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패너 또는 렌치를 통해 체결할 수 있게 육각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재(160)가 베이스바디(110)에 체결되면 상기 헤드부(161)와 축체결부(163)에 의해 제1 베이스부재(111)와 제2 베이스부재(130)가 상호 결합된 상태로 구속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바디(200)는 상기 제2 베이스부재(130)의 상부에 안착되는 메인제어바디(210)와, 상기 메인제어바디(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어유닛(500)이 장착되는 보조제어바디(220)와, 상기 보조제어바디(220)와 메인제어바디(210)의 체결방향을 일정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체결방향 가이드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제어바디(220)에는 제어유닛(500)이 장착되고, 메인제어바디(210)의 하부에 위치한다. 보조제어바디(220)에는 제2 베이스부재(13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체결로드에 대응하는 제1 지지홈(221)과 제2 지지홈(2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 베이스부재(130)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제어바디(210)에는 일측에 제어유닛(500)으로 스마트칩(510)이 장착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칩슬롯(211)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제어바디(210)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는 제1 가이드홈(212)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세 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홈(212)은 일측 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메인제어바디(210)의 상면을 통해 상방으로 연통되는 제2 가이드홈(213)이 연결된다.
상기 체결방향 가이드부(230)는 상기 메인제어바디(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세 개의 꼭지점부를 상호 연결하는 원호 형상의 연결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프레임부(231)와, 상기 세 개의 꼭지점부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가이드(232), 제2 돌출가이드(233) 및 제3 돌출가이드(2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출가이드(232), 제2 돌출가이드(233) 및 제3 돌출가이드(234)는 상호 다른 형상의 돌출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돌출가이드(232)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돌출가이드(233)는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제3 돌출가이드(234)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제어바디(210)는 상기 제1 돌출가이드(232), 제2 돌출가이드(233) 및 제3 돌출가이드(234)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는 제1 가이드홀(214), 제2 가이드홀(215) 및 제3 가이드홀(2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돌출가이드(232), 제2 돌출가이드(233) 및 제3 돌출가이드(234)의 형상과 제1 가이드홀(214), 제2 가이드홀(215) 및 제3 가이드홀(216)의 형상이 상호 대응하기 때문에 상기 체결방향 가이드부(230)에 대하여 메인제어바디(210)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방향 가이드부(230)는 보조제어바디(220)에 장착되는 제어유닛(500)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보조제어바디(220)에 장착되는 제어유닛(500)과 메인제어바디(210) 역시 일정한 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메인제어바디(210)의 칩슬롯(211)의 위치와 제어유닛(500)에 형성되는 칩장착부의 위치 역시 일정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방향가이드부(230)가 상호 모양이 다른 제1 돌출가이드(232), 제2 돌출가이드(233) 및 제3 돌출가이드(234)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돌출가이드(232), 제2 돌출가이드(233) 및 제3 돌출가이드(234)가 본 실시예와는 달리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돌출가이드(232), 제2 돌출가이드(233) 및 제3 돌출가이드(234)가 통과하는 제1 내지 제6 가이드홀들도 일정한 모양의 관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메인제어바디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메인제어바디(240)는 앞선 실시예의 메인제어바디(210)와 마찬가지로 제1 돌출가이드(232), 제2 돌출가이드(233) 및 제3 돌출가이드(234)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는 제1 가이드홀(245), 제2 가이드홀(246) 및 제3 가이드홀(24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에는 스마트칩(510)이 장착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칩슬롯(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제1 가이드홈(243) 및 제2 가이드홈(244)이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메인제어바디(240)는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지지홀(242)이 형성되어 있고, 메인제어바디(240)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홀(242)로 삽입될 수 있는 스프링지지체(2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지지체(250)는 상기 지지홀(242)에 대응하는 메인지지체(251)와, 메인지지체(25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지지홀(242)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는 확장지지체(252)를 포함하며, 메인지지체는 하면에 상방으로 인입된 스프링삽입홈(2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지지체(250)는 확장지지체(252)에 의해 메인제어바디(240)의 하면에 걸려 구속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스프링지지체(250)의 스프링삽입홈(253)에는 압축스프링(260)이 장착되는데, 압축스프링(260)은 상단이 스프링지지체(250)의 스프링삽입홈(253) 단부에 지지되고, 하단은 제어유닛(500)에 지지되어 제어유닛(500)이 본체유닛(10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팽이의 회전 및 충돌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대해서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바디(210)의 상부에는 상판부재(340)가 결합되는데, 상기 상판부재(340)도 상기 제1 돌출가이드(232)와 제2 돌출가이드(233) 및 제3 돌출가이드(234)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4 가이드홀(341), 제5 가이드홀(342) 및 제6 가이드홀(343)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부재(340)의 경우 상기 제4 가이드홀(341), 제5 가이드홀(342) 및 제6 가이드홀(343)의 사이에 각각 커버고정홈(344)이 상면으로부타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커버고정홈(344)은 후술하는 커버바디(30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바디(300)는 메인제어바디(21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2 가이드홈(213)과 제1 가이드홈(212)으로 진입할 수 있는 가이드돌기(31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바디(300)는 제2 가이드홈(213)이 형성된 지점에 가이드돌기(310)가 위치한 상태에서 메인제어바디(210)의 하방으로 진입한 후 제1 가이드홈(212)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커버바디(300)는 메인제어바디(21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바디(300)에는 일측에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칩장착홀(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커버바디(300)가 메인제어바디(210)의 외주면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칩장착홀(320)이 칩슬롯(211)이 형성된 지점으로 이동하여 칩슬롯(211)을 외부로 노출시키며, 이 상태에서 스마트칩(510)을 장착하거나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커버바디(300)가 메인제어바디(210)의 외주면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칩장착홀(320)이 칩슬롯(21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칩슬롯(211)은 커버바디(300)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가려게 된다.
상기 커버바디(300)의 상부에는 커버고정돌기(3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고정돌기(330)는 상하로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는데,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상판부재(340)의 커버고정홈(344)에 인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상판부재(340)에 형성된 커버고정홈(344)은 상기 커버바디(300)에 의해 칩슬롯(211)의 노출이 차단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스마트칩(510)의 장착 완료 후 커버바디(300)를 회전하여 칩슬롯(211)을 닫은 상태에서 커버고정돌기(330)가 커버고정홈(344)으로 진입하면서 인위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커버바디(300)가 메인제어바디(210)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고 칩슬롯(211)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칩슬롯(211)을 개방하기 위해 커버바디(300)를 인위적으로 힘을 가해 회전시키면 상기 커버고정돌기(33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커버고정홈(344)으로부터 인출되어 커버바디(30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커버고정돌기(330)가 상판부재(340)에 형성된 제4 가이드홀(341), 제5 가이드홀(342) 및 제6 가이드홀(343)에 위치하게 되면 커버고정돌기(330)들은 제4 가이드홀(341), 제5 가이드홀(342) 및 제6 가이드홀(343)로 진입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칩슬롯(211)과 칩장착홀(320)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어 스마트칩(510)의 장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상기 팽이받침부(400)는 상기 본체유닛(100)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유닛(100)을 지지한다.
상기 팽이받침부(400)는 하부몸체(410)와, 상기 하부몸체(4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몸체(4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420)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지지부재(160)의 하단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안착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몸체(410)는 상기 안착부(421)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축지지부(411)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축지지부(411)의 상면은 회전지지부재(160)의 헤드부(161)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421)는 헤드부(161)의 상단 형상 즉, 육각 볼트 형상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는데, 헤드부(161)가 안착부(421)를 관통해 축지지부(411)에 안착될 수 있게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안착부(421)의 내주면이 상기 헤드부(161)의 상부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팽이(10)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팽이의 회전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다수의 팽이를 사용할 때 회전 정보 전송 및 본인확인을 위한 스마트칩(51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 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스마트 팽이
100: 본체유닛
110: 베이스바디
111: 제1 베이스부재 112: 웨이트장착부
113: 제1 체결돌기 120: 밸런스웨이트
121: 와셔 130: 제2 베이스부재
131: 바디체결홈 132: 중간판
133: 배터리장착부 134: 웨이트지지부
140: 패턴링 141: 제2 체결돌기
150: 배터리
160: 회전지지부재
161: 헤드부 162: 연장축
163: 축체결부
200: 제어바디
210: 메인제어바디 211: 칩슬롯
212: 제1 가이드홈 213: 제2 가이드홈
214: 제1 가이드홀 215: 제2 가이드홀
216: 제3 가이드홀 220: 보조제어바디
221: 제1 지지홈 222: 제2 지지홈
230: 체결방향 가이드부 231: 프레임부
232: 제1 돌출가이드 233: 제2 돌출가이드
234: 제3 돌출가이드
300: 커버바디
310: 가이드돌기 320: 칩장착홀
330: 커버고정돌기
340: 상판부재
341: 제4 가이드홀 342: 제5 가이드홀
343: 제6 가이드홀 344: 커버고정홈
400: 팽이받침부
410: 하부몸체 411: 축지지부
420: 상부몸체 421: 안착부
500: 제어유닛
510: 스마트칩

Claims (16)

  1.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본체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회전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정보를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며, 사용자 인식을 위한 스마트칩이 장착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스마트칩이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칩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 팽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베이스바디와,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지지면에 지지되는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유닛이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칩 슬롯이 형성된 제어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칩 슬롯은 상기 제어바디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어바디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칩 슬롯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바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바디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는 제1 가이드홈과, 상기 제1 가이드홈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바디의 상면을 통해 상부와 연결되는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바디는 내주면에 상기 제2 가이드홈의 폭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홈을 통해 제1 가이드홈으로 진입한 후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진행하면서 상기 커버바디가 상기 제어바디의 외주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바디는 상기 제어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칩슬롯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칩슬롯을 차단할 수 있게 개폐하는 칩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커버바디가 상기 칩슬롯이 개방되지 않도록 닫히는 위치에 상기 칩장착홀이 위치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커버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부는 상기 제어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커버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재와,
    상기 커버바디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고정홈에 삽입될 때 상기 커버바디가 상기 제어바디에 대해 회전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바디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웨이트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 베이스부재의 웨이트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유닛의 무게중심이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측에 형성되도록 마련된 밸런스웨이트와,
    상기 제1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로 노출되며 지지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1 베이스부재를 관통해 상기 베이스바디의 내부 중심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축과,
    상기 연장축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재에 지지되는 축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바디는 상기 칩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제어바디와,
    상기 메인제어바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이 장착되는 보조제어바디와,
    상기 보조제어바디와 상기 메인제어바디의 체결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체결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체결방향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팽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방향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제어바디의 하부에 형성되며,
    세 개의 꼭지점부를 상호 연결하는 원호 형상의 연결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세 개의 꼭지점 부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호 다른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돌출가이드, 제2 돌출가이드 및 제3 돌출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바디에는 상기 제1 돌출가이드, 제2 돌출가이드 및 제3 돌출가이드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제1 가이드홀, 제2 가이드홀 및 제3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바디는 상기 칩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제어바디와,
    상기 메인제어바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이 장착되는 보조제어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바디는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지지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홀의 직경에 대응하는 메인지지체와, 상기 메인지지체의 외주면에 상기 지지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는 확장지지체를 구비하는 스프링지지체와,
    상단이 상기 스프링지지체에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보조제어바디 또는 상기 보조제어바디에 장착되는 제어유닛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재는 외주면에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두 개 이상의 바디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는 상부 내경이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외경에 대응하되, 상단부 내주면에 상기 바디체결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제1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바디는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패턴링을 더 구비하되,
    상기 패턴링은 상기 바디체결홈에 대응하는 제2 체결돌기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2 베이스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재의 상단이 상기 패턴링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패턴링이 상기 제2 베이스부재에 구속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14. 제 2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팽이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팽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받침부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하단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안착부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상방으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있고, 상면이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하단 형상에 대응하도록 된 축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대응하는 직경의 축관통홀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본체유닛의 하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본체유닛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팽이.
KR1020210142083A 2021-10-22 2021-10-22 스마트 팽이 KR102672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083A KR102672350B1 (ko) 2021-10-22 2021-10-22 스마트 팽이
PCT/KR2022/012582 WO2023068524A1 (ko) 2021-10-22 2022-08-23 스마트 팽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083A KR102672350B1 (ko) 2021-10-22 2021-10-22 스마트 팽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845A true KR20230057845A (ko) 2023-05-02
KR102672350B1 KR102672350B1 (ko) 2024-06-04

Family

ID=8605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083A KR102672350B1 (ko) 2021-10-22 2021-10-22 스마트 팽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72350B1 (ko)
WO (1) WO202306852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447A (ko) * 2005-05-27 2006-11-30 임영복 회전끈을 일체로 구비한 팽이
KR101469747B1 (ko) 2014-04-11 2014-12-05 김준석 원격제어가 가능한 팽이형 로봇 시스템
KR101611193B1 (ko) 2014-12-23 2016-04-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활용한 팽이완구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JP2016515899A (ja) * 2013-11-21 2016-06-02 グワーンドーン アルファ アニメーション アンド カルチ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操作が容易なコマ採点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のデータ情報を読み書きする方法
CN208582969U (zh) * 2018-04-28 2019-03-08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陀针可伸缩的陀尖组件
KR20210120649A (ko) * 2020-03-27 2021-10-07 강아영 스마트 팽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12179U1 (de) * 1988-09-27 1988-11-17 Lorenz Bolz - GmbH & Co, 8502 Zirndorf Spielzeugkreisel
JP2003190646A (ja) * 2001-12-26 2003-07-08 Mineo Yorizumi 倒れない独楽と、独楽の台
KR20050076986A (ko) * 2004-01-26 2005-07-29 공종일 놀이기구
KR20170054774A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라이온시큐리티 학습용 블록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447A (ko) * 2005-05-27 2006-11-30 임영복 회전끈을 일체로 구비한 팽이
JP2016515899A (ja) * 2013-11-21 2016-06-02 グワーンドーン アルファ アニメーション アンド カルチ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操作が容易なコマ採点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のデータ情報を読み書きする方法
KR101469747B1 (ko) 2014-04-11 2014-12-05 김준석 원격제어가 가능한 팽이형 로봇 시스템
KR101611193B1 (ko) 2014-12-23 2016-04-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활용한 팽이완구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CN208582969U (zh) * 2018-04-28 2019-03-08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陀针可伸缩的陀尖组件
KR20210120649A (ko) * 2020-03-27 2021-10-07 강아영 스마트 팽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524A1 (ko) 2023-04-27
KR102672350B1 (ko) 202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1897B1 (en) Toy top
US20070021029A1 (en) Games with adjustable spinning tops
US9643095B2 (en) Spinning top and spinning top play device using same
RU2643132C2 (ru) Игрушка йо-йо, ускоряемая вручную
US6401970B1 (en) Spin-top candy dispenser
US9238164B2 (en) Game apparatus
KR20230057845A (ko) 스마트 팽이
WO2010003159A1 (en) Soccer goal post assembly
EP2243522A1 (en) Training device for tennis players
US6224523B1 (en) Cord controller of exercise device
WO2016193723A2 (en) Novelty toy
KR101339914B1 (ko) 골프클럽 및 골프백 보관 장치
WO2009106786A1 (en) Apparatus for ball training
KR20060085421A (ko) 골프공 받침용 티
KR102415729B1 (ko) 셀프 탁구연습기
US3834069A (en) Hand manipulated toy
US6440007B1 (en) Game apparatus having a spherical object drop mechanism
KR20050082995A (ko) 골프공용 가이드 라인 표시구
CN2431025Y (zh) 套叠式陀螺
CN208193643U (zh) 一种转动持久型陀螺
KR102638329B1 (ko) 스마트 팽이 시스템 및 스마트 팽이를 이용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RU2019239C1 (ru) Игра "олимпийский факел"
JP3242808U (ja) 遊具
KR102657868B1 (ko) 길이 연장용 로드가 내장된 당구 큐대
KR200359528Y1 (ko) 수평, 수직 겸용 골프스윙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