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749A -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 Google Patents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749A
KR20230057749A KR1020210141898A KR20210141898A KR20230057749A KR 20230057749 A KR20230057749 A KR 20230057749A KR 1020210141898 A KR1020210141898 A KR 1020210141898A KR 20210141898 A KR20210141898 A KR 20210141898A KR 20230057749 A KR20230057749 A KR 20230057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oller
coupling
shaf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완
Original Assignee
(주) 현진오에이테크
서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현진오에이테크, 서종완 filed Critical (주) 현진오에이테크
Priority to KR102021014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749A/ko
Publication of KR2023005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083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에 결합되는 코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회전축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 코어와 동일한 폭을 갖는 롤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성능 및 디자인을 향상시킨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Roller assembly for paper money counting}
본 발명은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 상에 결합되는 코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회전축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 코어와 동일한 폭을 갖는 롤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성능 및 디자인을 향상시킨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계수기나 현금입출금기 등에서 지폐를 계수할 때 사용되는 롤러조립체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롤러가 결합되어 롤러가 회전하면서 지폐를 한 장씩 계수하는 구조를 갖는다.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의 일례를 들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5221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종래의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는 회전축 상에 코어가 결합되고 코어 상에 롤러가 압입식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회전축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코어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며, 코어의 상부와 하부의 내면에는 축조립홈이 형성되고, 이 축조립홈에는 회전축의 결합공과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코어가 회전축 상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는 코어의 양단부에 롤러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방지편 만큼 설치공간이 더 필요하여 제품의 디자인 상에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이탈방지편 만큼 지폐와 닿는 면적이 줄어들어 그 기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랜 시간 사용해서 롤러가 마모되었을 때 롤러를 실수로 늦게 교체하게 되면 이탈방지편이 지폐와 닿아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이탈방지편이 손상되면 코어를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5221호(등록일: 2011년02월09일), 발명의 명칭: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3637호(등록일: 2014년04월03일), 발명의 명칭: "지폐처리기용 롤러장치"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7403호(등록일: 2019년10월22일), 발명의 명칭: "지폐 계수기용 어퍼가이드 롤러구조"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0477호(등록일: 2011년08월24일), 발명의 명칭: "사무기기 부품용 견인형 롤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축 상에 결합되는 코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암수 구분없이 회전축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코어 양단의 이탈방지편을 제거하여 롤러가 코어와 동일한 폭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이탈방지편의 문제점을 개선함으로 성능 및 디자인을 향상 시킨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회전축에 코어가 결합되고, 코어 외면에 고무 재질의 롤러가 압입식으로 끼워지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코어가 설치되는 부분에 상하로 관통되는 축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코어부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코어부는 회전축에 밀착 조립될 수 있도록 내면에 회전축조립홈이 형성된 반원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의 코어부를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도록 한 후 회전축에 밀착되도록 서로 조립하는 바, 상기 코어부의 회전축조립홈의 중앙에는 회전축의 축결합공과 대응되는 축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축결합돌기가 축결합공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의 외면 중간 부분에는 외주면을 따라 롤러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내면 중간 부분에는 롤러고정홈과 대응되는 코어결합돌출링부가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롤러가 코어에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때 코어결합돌출링부가 롤러고정홈에 삽입되어 유동없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어의 폭과 롤러의 폭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하여 롤러가 코어에 결합되었을 때 롤러의 양단부와 코어의 양단부가 서로 일치되게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부의 내면에는 회전축조립홈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코어결합돌기와 코어결합홈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부에 위치한 코어결합돌기, 코어결합홈과 하부에 위치한 코어결합돌기, 코어결합홈은 서로 대각선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코어부를 상하로 뒤집으면 동일한 형상을 갖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는 코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암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축에 끼움방식으로 용이하게 조립 및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는 코어의 양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편을 제거하고 롤러와의 결합 구조를 코어 중간에서 잡아주는 구조로 개선하였기 때문에 디자인이 깔끔할 뿐만 아니라 롤러가 지폐와 전체적으로 닿기 때문에 지폐를 계수하는 기능이 향상되며 롤러를 오랜 시간 사용하여 늦게 교체하더라고 롤러가 없어지지 않는 한 코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코어 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코어끼리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코어부와 롤러의 결합 측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의 조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는 회전축(100)에 코어(200)가 결합되고, 코어(200) 외면에 고무 재질의 롤러(300)가 압입식으로 끼워지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코어(200)의 구조 및 롤러(300)의 조립 구조 상에 특징을 갖는다.
먼저, 회전축(100)에는 코어(200)가 설치되는 부분에 상하로 관통되는 축결합공(110)이 형성도니다.
다음으로, 코어(200)는 회전축(100)에 조립되는 것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코어부(210)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코어부(210)는 회전축(100)에 밀착 조립될 수 있도록 내면에 회전축조립홈(212)이 형성된 반원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코어부(210)는 회전축(100)을 사이에 두고 2개를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도록 한 후 회전축에 밀착되도록 서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그리고 코어부(210)의 회전축조립홈(212)의 중앙에는 회전축(100)의 축결합공(110)과 대응되는 축결합돌기(214)가 돌출 형성되어 코어부(210)가 회전축(100)에 밀착되도록 조립될 때 축결합돌기(214)가 축결합공(11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코어부(210)의 내면에는 회전축조립홈(212)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코어결합돌기(216)와 코어결합홈(218)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부에 위치한 코어결합돌기(216), 코어결합홈(218)과 하부에 위치한 코어결합돌기(216), 코어결합홈(218)은 서로 대각선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코어부(210)를 상하로 뒤집으면 동일한 형상을 갖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어부(210)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코어부(210)를 어느 위치에 놓고 조립하는가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코어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와 하부의 코어부를 각각 제조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원가를 절감하고 편리함과 우수한 호환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코어부(210)의 외면 중간 부분에는 외주면을 따라 롤러고정홈(220)이 반원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롤러(3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롤러(300)는 코어(200)이 외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롤러(300)의 내면 중간 부분에는 롤러고정홈(220)과 대응되는 코어결합돌출링부(310)가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롤러(300)가 코어(200)에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때 코어결합돌출링부(310)가 롤러고정홈(220)에 삽입되어 유동없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어(200)와 롤러(300)는 종래와 같이 코어(200) 양단에 롤러(300)를 잡아주는 돌출부가 없어도 코어결합돌출링부(310)와 롤러고정홈(220)을 통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코어(200)의 폭과 롤러(300)의 폭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하여 롤러(300)가 코어(200)에 결합되었을 때 롤러(300)의 양단부와 코어(200)의 양단부가 서로 일치되게 조립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어부(210)의 롤러고정홈(220)에는 원뿔 형상의 박힘핀(222)이 적어도 1군데 이상 돌출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롤러(300)의 코어결합돌출링부(310)가 코어부(210)의 롤러고정홈(220)에 삽입될 때 박힘핀(222)이 코어결합돌출링부(310)에 박혀 롤러(300)가 유동없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210)의 롤러고정홈(220)의 바닥면 양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롤러(300)의 코어결합돌출링부(310)가 코어부(210)의 롤러고정홈(220)에 삽입될 때 코어결합돌출링부(310)의 하단부가 눌리면서 걸림홈/으로 파고 들어가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의 조립 및 작용 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를 조립할 때는 도 6과 같이 회전축(100)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코어부(210)를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코어부(210)의 축결합돌기(214)가 회전축(100)의 축결합공(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7과 같이 상부와 하부의 코어부(210)가 회전축(100)에 밀착되도록 서로 조립하여 회전축(100)에 코어(20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코어부(210)의 축결합돌기(214)가 회전축(100)의 축결합공(11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게 한다.
그런 다음, 도 7과 같이 코어(200)의 외면에 롤러(300)를 압입식으로 끼워서 결합한다. 이때, 롤러(300)의 코어결합돌출링부(310)는 코어(200)의 롤러고정홈(220)에 삽입되어 롤러(300)가 유동없이 결합되도록 돕게 된다. 그러면, 코어(200)의 폭과 롤러(300)의 폭은 동일한 폭을 갖고 있기 때문에 롤러(300)의 양단부와 코어(200)의 양단부에서 돌출되거나 부족함 없이 서로 일치되게 깔끔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코어부(210)를 암수 구분없이 위치에 맞게 사용하게 되고 회전축(100)에 단순한 끼움방식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200)의 양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편을 제거하고 롤러와의 결합 구조를 코어 중간에서 잡아주는 구조로 개선하였기 때문에 디자인이 깔끔할 뿐만 아니라 롤러가 지폐와 전체적으로 닿기 때문에 지폐를 계수하는 기능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회전축(100)은 금속, 코어부(210)는 합성수지, 롤러(300)를 고무로 제조되는데, 코어부(210)는 어느 합성수지로 제조할 수 있으나 항균 기능을 부가하면 더 좋을 것이다.
일례를 들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어부(210)는 폴리프로필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식물성 유황 3.5중량부, 시클로피록스(Ciclopirox) 1.0중량부, 오레가노 오일(oregano oil) 3.5중량부 및 이산화티탄 나노분말 2.5중량부가 혼합된 상태에서 사출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물성 유황은 강한 항균성 및 자정능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고, 시클로피록스는 대표적인 무좀균인 richophyton rubrum 진균의 세포막 구성성분인 에르고스테롤의 생합성에 관련된 라노스테롤 14-α-탈메틸효소(Lanosterol 14-α-demethylase)를 억제함으로써 진균세포를 사멸시키는 항진균 효과를 얻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오레가노 오일은 진균 사멸과정에서 흔하게 빈발할 수 있는 오염에 대한 항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이산화티탄은 전이금속으로서 공기 중에서 산소와 반응하면서 이산화티타늄 피막을 형성하는데 그 과정에서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고, 자외선에 의한 광촉매반응이 촉진되면서 진균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균을 강화하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회전축 110: 축결합공
200: 코어 210: 코어부
212: 회전축조립홈 214: 축결합돌기
216: 코어결합돌기 218: 코어결합홈
220: 롤러고정홈 300: 롤러
310: 코어결합돌출링부

Claims (3)

  1. 회전축에 코어가 결합되고, 코어 외면에 고무 재질의 롤러가 압입식으로 끼워지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코어가 설치되는 부분에 상하로 관통되는 축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코어부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코어부는 회전축에 밀착 조립될 수 있도록 내면에 회전축조립홈이 형성된 반원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의 코어부를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도록 한 후 회전축에 밀착되도록 서로 조립하는 바, 상기 코어부의 회전축조립홈의 중앙에는 회전축의 축결합공과 대응되는 축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축결합돌기가 축결합공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구성되며,
    상기 코어부의 외면 중간 부분에는 외주면을 따라 롤러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내면 중간 부분에는 롤러고정홈과 대응되는 코어결합돌출링부가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롤러가 코어에 압입식으로 끼워져 결합될 때 코어결합돌출링부가 롤러고정홈에 삽입되어 유동없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어의 폭과 롤러의 폭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하여 롤러가 코어에 결합되었을 때 롤러의 양단부와 코어의 양단부가 서로 일치되게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내면에는 회전축조립홈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코어결합돌기와 코어결합홈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부에 위치한 코어결합돌기, 코어결합홈과 하부에 위치한 코어결합돌기, 코어결합홈은 서로 대각선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코어부를 상하로 뒤집으면 동일한 형상을 갖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롤러고정홈에는 원뿔 형상의 박힘핀이 돌출 형성되어 롤러의 코어결합돌출링부가 롤러고정홈에 삽입될 때 박힘핀이 코어결합돌출링부에 박혀 롤러가 유동없이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KR1020210141898A 2021-10-22 2021-10-22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KR20230057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898A KR20230057749A (ko) 2021-10-22 2021-10-22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898A KR20230057749A (ko) 2021-10-22 2021-10-22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749A true KR20230057749A (ko) 2023-05-02

Family

ID=8638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898A KR20230057749A (ko) 2021-10-22 2021-10-22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774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221B1 (ko) 2009-09-08 2011-02-18 서종완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0477B1 (ko) 2011-02-22 2011-08-30 (주)신우T&R 사무기기 부품용 견인형 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101383637B1 (ko) 2013-03-18 2014-04-09 김선호 지폐처리기용 롤러장치
KR102037403B1 (ko) 2018-03-06 2019-10-28 (주)넥스빌 지폐 계수기용 어퍼가이드 롤러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221B1 (ko) 2009-09-08 2011-02-18 서종완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0477B1 (ko) 2011-02-22 2011-08-30 (주)신우T&R 사무기기 부품용 견인형 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101383637B1 (ko) 2013-03-18 2014-04-09 김선호 지폐처리기용 롤러장치
KR102037403B1 (ko) 2018-03-06 2019-10-28 (주)넥스빌 지폐 계수기용 어퍼가이드 롤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063B2 (en) Hinge assembly
US5234355A (en) Premold for a twist locking female connector
KR20230057749A (ko)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US6397647B1 (en) Protective cover for a keyhole of a lock
WO2012143088A2 (de) Statorsegment für einen segmentiert ausgeführten stator eines elektromotors, stator aus gleichartigen statorsegment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ators aus statorsegmenten
WO2018002569A1 (en) A cam assembly for a lock and a lock comprising same
US20070257427A1 (en) Stacker wheel
EP1832521B1 (de) Verpackung
JP5875071B2 (ja) シリンダ錠
US20170130488A1 (en) Tamper-evident ring assemblies
US20160218588A1 (en) Motor vibration device
US4300269A (en) Cord locks or the like resistant to tampering
JP5791752B1 (ja) ロールペーパー格納箱
EP2578514A1 (de) Behälter mit Verschlusssicherung
US1267558A (en) Spinning-top.
KR101015221B1 (ko) 지폐 계수용 롤러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DE19844904C1 (de) Vakuumpumpe
JP4912984B2 (ja) 紙幣搬送路の接続ユニット
US4051921A (en) Grease plug
DE102006039386A1 (de) Bedien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Gerät
KR100754031B1 (ko) 비닐팩 지퍼 슬라이더
EP1932460B1 (de) Adaptervorrichtung für einen Staubsaugerfilterbeutel
KR100780241B1 (ko) 풀리 결합구조
JP4738359B2 (ja) 表紙
KR200421497Y1 (ko) 경첩용 축의 이탈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