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303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303A
KR20230057303A KR1020227041923A KR20227041923A KR20230057303A KR 20230057303 A KR20230057303 A KR 20230057303A KR 1020227041923 A KR1020227041923 A KR 1020227041923A KR 20227041923 A KR20227041923 A KR 20227041923A KR 20230057303 A KR20230057303 A KR 20230057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flexible display
speaker
display devi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환 전
동욱 정
병길 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5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3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바디, 제2 바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포함한다. 제1 바디는 데코프레임, 제1 음방사부 및 제2 음방사부를 포함한다. 제1 음방사부와 제2 음방사부는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제1 바디의 외부로 전달되는 출구를 이룬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 바디에 고정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의 테두리 부분의 외측면이 데코프레임과 이격되면서 상기 제2 음방사부가 구비된다.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제1 음방사부 및 제2 음방사부를 통해 제1 바디의 외부로 전달됨으로써 스피커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 음방사부가 외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할 수 있으며, 2개의 바디가 서로 상대이동하면서 전체 크기가 가변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정보를 표시하면서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소개되고 있다.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기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여 여러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다.
먼저, 두 개의 바디가 폴딩 구조(예컨대, 힌지부)로 연결된 장치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폴더블 타입의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 구조를 거쳐 두 개의 바디 전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장치에서 대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다른 장치로서, 디스플레이가 감기는 구조를 갖는 롤러블 타입의 장치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감겨지면서 전체 디스플레이의 크기 또는 면적이 줄어들 수 있고,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풀리면서 전체 디스플레이의 크기 또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또 다른 장치로서, 2개의 바디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중간 부분이 휘어져 U자 형태를 이루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 어느 한 쪽에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의 면적이 가변되는 형태의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휴대성,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체 면적은 상대적으로 크고,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바디 부분(베젤)은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장치가 비교적 얇고 가볍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휴대용 장치에는, PCB, 배터리, 카메라, 스피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가 휴대용 장치의 내부에 구비될 때, 스피커의 소리(음파)는 휴대용 장치의 외부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스피커의 소리가 방사되는 구멍이 휴대용 장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은 휴대용 장치의 베젤에 형성되거나 베젤에 인접하여 형성 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의 상대적인 크기 증가, 방수의 필요성, 미감의 손상 방지 등의 이유로, 이러한 구멍은 비교적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소리가 방사되는 구멍이 작게 이루어지는 경우 스피커의 음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2개의 바디가 서로 상대이동 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되는 장치에서, 스피커의 소리가 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구멍이 외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스피커의 음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의 전체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2개의 바디가 서로 상대이동 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되는 장치에서, 스피커의 소리가 장치의 외부로 방사되는 경로가 2개 이상으로 분할되는 구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2개의 바디가 서로 상대이동 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되는 장치에서, 장치의 두께 증가 방지, 이물질의 유입 방지, 견고한 조립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스피커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2개의 바디가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되는 구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2개의 바디가 서로 상대회전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변형되는 구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술한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파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상의 이동 단말기와 비슷한 정도의 크기 및 무게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바디, 제2 바디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상대이동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이하, '제1 결합구조')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이하, '제2 결합구조')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를 상대로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왕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회전하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왕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한 상기 제2 바디의 상대적인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 또한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한 상기 제2 바디의 상대적인 위치이다.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는 제1 상태이고,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는 제2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 위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상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2 위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상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바디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영역이다.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이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된다.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2 바디가 이동할 때, 상기 제2 영역은 그 형태가 변형된다.
상기 제1 영역은 메인영역 및 에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영역은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영역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메인영역은 상기 제1 바디의 앞에 고정되어 앞을 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메인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2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메인영역은 상기 제1 바디의 앞에 고정되어 앞을 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메인영역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상기 메인영역의 앞쪽 방향이 제3 방향이다.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에지영역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메인영역에서 연장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단부를 이룬다. 상기 에지영역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이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제2 바디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2 방향의 회전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롤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체는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2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서로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1 바디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제2 바디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2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접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제2 영역은 일부가 굽어진다. 상기 제2 영역은 그 일부가 반원 형태로 굽어지고(curved), 상기 제2 바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의 굽은 부분의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바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영역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면적이 가변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결합구조가 적용되고,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영역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이 커진다.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영역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이 작아진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지지체의 주변에서 굽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지지체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곡률중심라인을 중심으로 일부가 휘어져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제2 영역은 제1 연결영역 및 제2 연결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영역이다.
상기 제2 연결영역은 상기 제1 연결영역에서 연장되는 영역이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영역은 상기 지지체의 주변에서 곡면을 이루며 굽어지고(curved) 상기 제2 연결영역은 상기 메인영역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영역은 상기 지지체에 걸쳐져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영역은 상기 곡률중심라인을 중심으로 반원 형태의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영역은 상기 메인영역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 연결영역의 일부는 상기 지지체의 주변에서 곡면을 이루며 굽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의 일부는 상기 지지체에 걸쳐져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영역의 일부는 상기 곡률중심라인을 중심으로 반원 형태의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2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제2 영역은 제3 연결영역 및 제4 연결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영역은 상기 메인영역에서 연장되는 영역이다.
상기 제4 연결영역은 상기 제3 연결영역에서 연장되는 영역이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2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접혀져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위치할 수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펼쳐져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연결영역은 곡면을 이루며 굽어지고(curved) 상기 제4 연결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4 연결영역은 상기 메인영역과 마주한다.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연결영역은 상기 메인영역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4 연결영역 또한 상기 메인영역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바디는 데코프레임, 제1 음방사부 및 제2 음방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바디 내부에 위치하고, 소리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데코프레임은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다.
상기 제1 음방사부는,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방사되는 출구를 이루며, 상기 데코프레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음방사부는,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방사되는 출구를 이루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데코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음방사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영역의 길이의 1/3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코프레임은 상기 에지영역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데코프레임은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에지영역보다 더 외측에 위치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데코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에지영역과 겹쳐진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바디는 내측채널 및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채널은, 상기 제1 바디 내부의 공간으로서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고, 상기 제1 음방사부 및 상기 제2 음방사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는 상기 데코프레임과 상기 내측채널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필터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된 음방사홀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된다.
상기 음방사홀의 직경은, 상기 제1 음방사부의 폭과 같거나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음방사부와 상기 음방사홀은 겹쳐진다.
상기 제1 바디는 외측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채널은, 상기 데코프레임과 상기 필터 사이의 공간이다. 상기 외측채널은,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고, 상기 제1 음방사부 및 상기 제2 음방사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데코프레임은, 제1 데코프레임, 제2 데코프레임 및 제3 데코프레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데코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데코프레임 및 상기 제3 데코프레임은, 상기 제1 데코프레임의 양 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음방사부 및 상기 제2 음방사부는 상기 제1 데코프레임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 데코프레임의 내측면 및 상기 제3 데코프레임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영역에 밀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데코프레임은 중간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채널은, 상기 데코프레임을 내외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제1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채널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프레임은 접촉부 및 연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데코프레임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음방사부와 상기 제2 음방사부의 사이에서 상기 필터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제1 음방사부와 상기 제2 음방사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를 관통하는 통로이다.
상기 제1 바디는 스피커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피커하우징은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이 상기 제3 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스피커가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된다.
상기 스피커하우징에는,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방사되도록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스피커덕트가 구비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스피커덕트의 내측단의 단면적의 합인 A1보다, 상기 스피커덕트의 외측단의 단면적의 합인 A2가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결합구조가 적용될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바, 제1 이동가이드홈 및 제2 이동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바는 제1 지지슬라이더, 제2 지지슬라이더 및 연결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슬라이더는 상기 지지바의 일측 단부를 이룬다.
상기 제2 지지슬라이더는, 상기 제1 지지슬라이더의 반대쪽에서 상기 지지바의 단부를 이룬다.
상기 연결암은, 상기 제1 지지슬라이더와 상기 제2 지지슬라이더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이동가이드홈 및 상기 제2 이동가이드홈은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이동가이드홈은, U자 형태의 홈(groove)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슬라이더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이룬다.
상기 제2 이동가이드홈은, U자 형태의 홈(groove)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지지슬라이더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이룬다.
일 실시예에서, 데코프레임의 양쪽에 제1 음방사부 및 제2 음방사부가 각각 형성된다. 제2 음방사부는 제1 영역의 에지영역과 데코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틈)이다. 데코프레임은 에지영역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제3 방향에서 데코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에지영역과 겹쳐진다. 따라서, 제1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피커의 소리는 제1 음방사부 및 제2 음방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어 스피커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 음방사부가 외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 내부에는 내측채널 및 필터가 구비된다. 내측채널은, 제1 바디 내부의 공간으로서 제3 방향을 따라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고, 필터는 데코프레임과 내측채널 사이에 위치한다. 필터에는, 제3 방향으로 관통된 음방사홀이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된다. 스피커의 소리는 내측채널 및 필터의 음방사홀을 거쳐 제1 음방사부 및 제2 음방사부를 통하여 방사되며, 필터는 제1 음방사부 및 제2 음방사부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코프레임은 제2 방향과 평행한 제1 데코프레임과, 제1 방향과 평행한 제2 데코프레임 및 제3 데코프레임을 포함한다. 제2 데코프레임의 내측면 및 상기 제3 데코프레임의 내측면은 제1 영역에 밀착된다. 데코프레임은 접촉부 및 연통부를 포함하고, 접촉부 및 연통부는 제1 데코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는 제1 음방사부와 제2 음방사부의 사이에서 필터에 접촉하고, 연통부는, 제1 음방사부와 제2 음방사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제1 방향으로 접촉부를 관통하는 통로이다. 따라서, 스피커의 소리는 연통부를 통하여 제2 음방사부로 방사될 수 있고, 데코프레임 및 필터가 제1 바디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변형된 제2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b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3 사이드에지부 및 제2 에지부의 내측면 쪽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제4 사이드에지부 및 제2 에지부의 내측면 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지지바, 내측플레이트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변형된 제2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b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a의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에서 제1 바디 부분을 단면 형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에서 데코프레임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에서 제1 바디 부분을 단면 형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에서 데코프레임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스피커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스피커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에서 제1 바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스피커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프레임과 필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에서 확대하여 도시된 부분들은, 데코프레임이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에 결합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5a와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모듈의 음향 성능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디스플레이 장치'로 칭하여질 수 있음)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의 이동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 단말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의 예시로서 우선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 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 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 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300)를 구비한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모듈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펴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모듈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및 펴짐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일 부분이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 부분은 평평한 상태 또는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 부분이 펼쳐진 상태 또는 휘어진 상태에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 또는 바디(200)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 부분이 펼쳐진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그 부분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상 표시된 제1 방향(X방향), 제2 방향(Y방향) 및 제3 방향(Z방향)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바디(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200)는 2개 이상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바디(200)는, 제1 바디(200a) 및 제2 바디(2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는 서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바디(200b)는 제1 바디(200a)를 상대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왕복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200a)를 상대로 한 제2 바디(200b)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태는 제1 상태이고(도 2a 또는 도 6a 참조), 제1 바디(200a)를 상대로 한 제2 바디(200b)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태는 제2 상태(도 2b 또는 도 6b 참조)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그 형태가 변형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에서 동일 평면을 이루는 면적의 크기가 변형된다.
제1 상태에서 동일 평면을 이루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고, 제2 상태에서 동일 평면을 이루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동일 평면을 이루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면적이 가장 작고, 제2 상태에서 동일 평면을 이루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면적이 가장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바디(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프레임을 이룰 수 있다. 바디(200)는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카본, 금속 또는 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200)에 디스플레이 장치(1)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이 결합될 수 있다.
바디(200)는 이에 결합되는 다른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200)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곡면과 같이 굽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200)는 그 내부가 전체적으로 채워진 형태일 수 있고, 일부가 채워지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앞쪽(제3 방향의 앞쪽)에서 바라볼 때 바디(2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또한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쪽 또는 뒤쪽에서 바라볼 때, 제1 위치(제1 상태)에서 바디(200)가 차지하는 전체 면적(Z방향으로 투영된 바디(200)의 면적)이 가장 작고(도 2a, 도 6a 등 참조), 제2 위치(제2 상태)에서 바디(200)가 차지하는 전체 면적(Z방향으로 투영된 바디(200)의 면적)이 가장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도 2b, 도 6b 등 참조).
앞쪽 또는 뒤쪽에서 바라볼 때, 제1 위치에서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가 서로 겹쳐지는 면적이 가장 크고(도 2a, 도 6a 등 참조), 제2 위치에서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가 서로 겹쳐지는 면적이 가장 작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도 2b, 도 6b 등 참조).
제1 바디(200a)는 제1 방향(X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Y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바디(200a)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Z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제3 방향에서의 길이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충분히 작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1 바디(200a)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대체로 평평하거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200a)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위치(제1 상태) 또는 제2 위치(제2 상태)를 기준으로, 제2 바디(200b)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바디(200b)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제2 바디(200b)는, 제3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제3 방향에서의 길이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충분히 작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2 바디(200b)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대체로 평평하거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200b)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위치(제1 상태) 또는 제2 위치(제2 상태)에서,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는 서로 평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서로 슬라이드 이동(M1) 가능하게 결합(제1 결합구조)될 수 있고(도 2a 및 도 2b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서로 회전 이동(M2) 가능하게 결합(제2 결합구조)될 수 있다.(도 6a 및 도 6b 참조)
이하에서는, 제1 결합구조를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고, 다음으로 제2 결합구조를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결합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도 2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변형된 제2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b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3 사이드에지부(250) 및 제2 에지부(206)의 내측면 쪽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제4 사이드에지부(260) 및 제2 에지부(206)의 내측면 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지지바(370), 내측플레이트(35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 320)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지지바(370) 및 지지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로 대향하는(opposite) 2개의 면(1a, 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면(1a)과 제2 면(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면(1a)이 향하는 방향(제1 면(1a)에 수직하거나 대체로 수직한 방향)과 제2 면(1b)이 향하는 방향(제2 면(1b)에 수직하거나 대체로 수직한 방향)은 서로 반대를 이룬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면(1a)이 제3 방향(Z방향)을 향하도록 놓일 수 있고, 제2 면(1b)이 제3 방향(Z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놓일 수 있다. 제1 면(1a)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앞쪽 면이라면, 제2 면(1b)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뒤쪽 면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앞쪽 방향을 제3 방향(Z방향),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뒤쪽 방향을 제3 방향(Z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2 바디(200b)는 제1 바디(200a)를 상대로 슬라이드 이동 및 왕복이동(M1)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앞쪽(Z)에서 바라볼 때 바디(200)가 차지하는 전체 면적이 가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200a)를 상대로 한 제2 바디(200b)의 이동방향은 제1 방향(X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체(400)는 제2 바디(200b)에 결합된다. 지지체(400)는 제2 바디(200b)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400)는 제2 방향(Y)을 따라 형성된다. 지지체(400)는 제2 방향(Y)을 따라 길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지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지지체(4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내측면 중 일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그 일부가 지지체(400)에 걸처지며, 지지체(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그 형성방향이 전환된다.
지지체(400)는, 제2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401)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지체(400)는 그 중심축(401)을 회전축(axis)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형태로 제2 바디(200b)에 결합(지지체(400)의 중심축(401)의 위치가 제2 바디(200b)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400)는 롤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얇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측면 및 내측면을 구비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외측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이고, 내측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안쪽을 향하는 면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영상이 표시된다.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도록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제1 바디(200a)를 상대로 제2 바디(200b)가 이동할 때 그 형태가 변형되도록 이루어진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서로 연결된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영역(310), 제2 영역(320) 및 제3 영역(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메인영역(311) 및 에지영역(3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바디(200)에 결합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펴진다면, 에지영역(312), 메인영역(311), 제2 영역(320) 및 제3 영역(330)은 모두 같은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도 2b에서 점선들은, 메인영역(311)과 제2 영역(320)(제1 연결영역(321))의 경계, 제1 연결영역(321)과 제2 연결영역(322)의 경계를 나타내는 가상의 선이다.
제1 영역(310)은 소정의 면적을 이루며 바디(200)의 어느 한 쪽에서 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제1 바디(200a)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바디(200a)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310)은 제1 바디(200a)를 상대로 한 상대이동이 없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영역(311)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영역(311)은 제1 바디(200a)의 앞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영역(311)은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바디(200a)의 앞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영역(311)과 제1 바디(200a)는 서로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영역(311)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메인영역(311)의 곡률은 제1 상태에서 제1 연결영역(321)의 곡률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고, 메인영역(311)의 곡률반경이 제1 상태에서 제1 연결영역(321)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영역(311)의 곡률반경은 제1 상태에서 제1 연결영역(321)의 곡률반경보다 충분히 크게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상태에서 제1 연결영역(321)의 곡률반경이 a일 때, 메인영역(311)의 곡률반경은 10*a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영역(311)은 적체적으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메인영역(311)은 평면인 외측면을 이루고 바디(200)의 앞쪽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영역(311)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메인영역(311)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메인영역(311)이 향하는 방향(메인영역(311)의 외측면이 향하는 방향)은 제3 방향일 수 있다. 메인영역(31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 면(1a)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에지영역(312)은 메인영역(311)으로부터 연장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단부를 이룰 수 있다. 에지영역(312)은 제2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지영역(312)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더미 부분을 이룰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에지영역(312)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영역(320)은, 메인영역(311)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일부가 지지체(400)에 걸쳐져 휘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제2 영역은 지지체(400)의 주변을 지나면서 그 형성방향이 전환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영역(320)은 제2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영역(320)은 그 일부가 반원 형태로 굽어지고, 제2 바디(200b)의 이동에 따라 제2 영역(320)의 굽은 위치가 변경된다.
제2 영역(320)은 제1 연결영역(321) 및 제2 연결영역(3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1 연결영역(321)이 반원 형태로 굽어지고, 제2 위치에서 제2 연결영역(322)의 일부가 반원형태로 굽어진다.
제1 연결영역(321)은 메인영역(311)과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제2 연결영역(322)은 제1 연결영역(321) 및 제3 영역(33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1 연결영역(321)은 지지체(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굽어진 곡면을 이룬다.
제1 위치에서 제1 연결영역(321)은 곡률중심라인(CL1)을 중심으로 곡면인 외측면을 이룰 수 있다. 곡률중심라인(CL1)은 제1 위치에서 제1 연결영역(321)의 곡률중심(center of curvature)을 이루는 가상의 직선이고,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1 위치에서 제1 연결영역(321)의 단면(section)은 반원을 이룰 수 있다.
곡률중심라인(CL1)은 지지체(400)의 중심축(401)과 일치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곡률중심라인(CL1)은 곡면을 이루는 제2 연결영역(322)의 곡률중심을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영역(321)과 메인영역(311)에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메인영역(311)의 면적은 제1 연결영역(321)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영역(322)은, 제1 위치에서 메인영역(311)의 반대쪽 면인 외측면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 위치에서 메인영역(311)이 제3 방향(Z방향)을 향할 때, 제2 연결영역(322)은 제3 방향(Z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2 연결영역(322)에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연결영역(322)은 제2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2 연결영역(322)은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메인영역(311), 제1 연결영역(321) 및 제2 연결영역(322) 순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제1 위치에서 메인영역(311), 제1 연결영역(321) 및 제2 연결영역(322)은 전체적으로 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위치에서, 제2 연결영역(322)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영역(322)의 곡률은 제1 연결영역(321)의 곡률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연결영역(322)의 곡률반경이 제1 연결영역(321)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2 연결영역(322)의 곡률반경은 제1 연결영역(321)의 곡률반경보다 충분히 크게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연결영역(321)의 곡률반경이 a일 때, 제2 연결영역(322)의 곡률반경은 10*a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위치에서, 제2 연결영역(322)은 적체적으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영역(322)은 메인영역(311)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제1 위치에서, 제2 연결영역(322)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메인영역(311)과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제3 영역(330)은, 메인영역(311)의 반대쪽에서 제2 영역(320)으로부터 연장된다. 제3 영역(330)은 제2 연결영역(322)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단부를 이룬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에서, 메인영역(311), 제2 영역(320) 및 에지영역(312)은 그 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이루어지고, 제3 영역(330)은 그 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에서 제3 영역(330)은 디스플레이 기판의 연장부분을 이룰 수 있고,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더미 부분을 이룰 수 있다.
제3 영역(3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와 별개로 이루어진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에 결합될 수 있고,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제조과정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영역(3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영역(330)은 플라스틱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21)는 바디(200)의 정면에 고정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제1 바디(200a)의 정면에 고정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바디(20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제3 방향(Z방향)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제1 바디(200a)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지지체(400)로부터 먼 쪽에서 바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체(40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측으로 치우쳐 바디(200)에 결합된다면, 카메라(12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측에 치우쳐 바디(200)에 결합된다. 카메라(121)는, 지지체(400)와 가장 먼 제1 바디(200a)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카메라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바디(200a)는 지지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30)는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영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30)의 외측(앞쪽)에 제1 영역이 적층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230)는 제1 영역을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바디(200a)는 제1 에지부(2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에지부(20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어느 한 쪽 테두리를 이룬다. 제1 에지부(205)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어느 한쪽 변을 이룰 수 있다.
제1 에지부(205)는 제1 바디(200a)의 상측 테두리를 이룰 수 있다.
제1 에지부(205)는 제1 바디(200a)에 고정된다. 제1 에지부(205)는 제1 바디(200a)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이루어져 제1 바디(200a)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에지부(205)는 대체로 제2 방향(Y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제1 에지부(205)는, 적어도 일부가 제2 방향(Y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에지부(205)는 외측면이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고, 그 단면(section)이 반원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200a)는 제1 사이드에지부(210) 및 제2 사이드에지부(220)를 포함한다. 제1 사이드에지부(210)와 제2 사이드에지부(220)는 제1 바디(200a)의 양쪽 테두리를 이루고,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사이드에지부(210)는 제1 바디(200a)의 어느 한쪽 테두리의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사이드에지부(220)는 제1 바디(200a)의 어느 한쪽 테두리의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이드에지부(210)와 제2 사이드에지부(220)는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사이드에지부(210)가 제1 바디(200a)의 좌측테두리를 이룰 때, 제2 사이드에지부(220)는 제1 바디(200a)의 우측테두리를 이룬다.
제2 바디(200b)는 제2 에지부(2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에지부(206)는, 제1 에지부(205)와 반대쪽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테두리를 이룬다. 제1 에지부(205)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측 테두리를 이룰 경우, 제2 에지부(206)는 하측 테두리를 이룬다.
제2 에지부(206)는 지지체(4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2 에지부(206)와 지지체(400) 사이에는 비교적 좁은 공간인 틈(207)이 구비되며, 이러한 틈(207)을 통하여 곡면을 이루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이동하게 된다.(도 3a 및 도 3b 참조)
또한, 지지바(370)의 연결암(373)은 상기 틈(207)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 에지부(206)는 제2 바디(200b)에 고정된다. 제2 에지부(206)는 제2 바디(200b)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이루어져 제2 바디(200b)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에지부(206)는 대체로 제2 방향(Y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제2 에지부(206)는, 적어도 일부가 제2 방향(Y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에지부(206)는 외측면이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고, 그 단면(section)이 반원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200b)는 제3 사이드에지부(250) 및 제4 사이드에지부(260)를 포함한다. 제3 사이드에지부(250)와 제4 사이드에지부(260)는 제2 바디(200b)의 양쪽 테두리를 이루고,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사이드에지부(250)와 제4 사이드에지부(260)는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사이드에지부(250)가 제2 바디(200b)의 좌측테두리를 이룰 때, 제4 사이드에지부(260)는 제2 바디(200b)의 우측테두리를 이룬다.
제3 사이드에지부(250)는 제1 사이드에지부(21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사이드에지부(210)와 밀착되거나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사이드에지부(250)는 제1 사이드에지부(210)의 바깥쪽에 위치하거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사이드에지부(260)는 제2 사이드에지부(22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사이드에지부(220)와 밀착되거나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사이드에지부(260)는 제2 사이드에지부(220)의 바깥쪽에 위치하거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백커버(270) 및 제2 백커버(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백커버(270)는 제1 방향(X방향) 및 제2 방향(Y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백커버(270)는 메인영역(311)과 평행하거나 대체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백커버(270)는 제1 바디(200a)의 배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백커버(270)는 제1 바디(200a)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착탈가능하게 제1 바디(200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백커버(270)는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불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백커버(270)의 면적은 메인영역(311)의 면적에 상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제1 영역(310)의 면적보다 작거나 크거나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백커버(280)는 제1 방향(X방향) 및 제2 방향(Y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백커버(280)는 메인영역(311)과 평행하거나 대체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백커버(280)는 제2 바디(200b)의 배면을 이룰 수 있다. 제2 백커버(280)는 제2 바디(200b)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착탈가능하게 제2 바디(200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백커버(280)는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불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2 백커버(280)의 면적은 제2 연결영역(322)의 면적에 상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제2 연결영역(322)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백커버(280)가 투명하게 이루어질 때, 제1 위치에서, 제2 연결영역(322)에 표시되는 영상은 제2 백커버(280)를 통하여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 개의 지지바(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지지바(370)는, 대체로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고, 제2 영역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바(370)는, 제2 영역에 직접 고정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수단을 매개로 하여 제2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바(370)는 제1 연결영역(321) 또는 제2 연결영역(322)을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지지바(370)가 제1 연결영역(321) 및 제2 연결영역(322)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지지바(370)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지지바(3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지지바(370)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내측플레이트(3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플레이트(3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내측면에 적층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내측플레이트(350)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플레이트(350)는 초탄성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플레이트(350)는 비교적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플레이트(350)는 0.05~0.2mm 범위에서 임의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0.1mm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플레이트(3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내측면 전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측플레이트(350)는 제2 영역(3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져, 제2 영역(32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플레이트(3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탄성변형 및 탄성회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내측플레이트(350)가 구비될 때, 지지바(370)는 내측플레이트(350)를 매개로 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내측플레이트(3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지지바(370)는 내측플레이트(35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60)는, 대체로 제2 방향을 따라 긴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60)는 금속,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단부에 고정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60)는 제3 영역(330)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60)는 제2 바디(200b)에 결합되되, 제2 바디(200b)를 상대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60)는 제2 바디(200b)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360)의 양쪽 단부가 제1 후방가이드홈(252)과 제2 후방가이드홈(262)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200b)는, 제1 이동가이드홈(251) 및 제2 이동가이드홈(2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이동가이드홈(251)은, U자 형태의 홈(groove)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할 제1 지지슬라이더(371)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이룰 수 있다.
제2 이동가이드홈(261)은, U자 형태의 홈(groove)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할 제2 지지슬라이더(372)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이룰 수 있다.
제1 이동가이드홈(251)은 제1 후방가이드홈, 제1 전방가이드홈 및 제1 연결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이동가이드홈(261)은, 제2 후방가이드홈, 제2 전방가이드홈 및 제2 연결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후방가이드홈(252)과 제1 전방가이드홈(253)은 제3 사이드에지부(250)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방가이드홈(262)과 제2 전방가이드홈(263)은 제4 사이드에지부(26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가이드홈(254)은 제3 사이드에지부(250)에 형성되고, 제2 연결가이드홈(264)은 제4 사이드에지부(26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연결가이드홈(254)과 제2 연결가이드홈(264)은 제2 에지부(20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방가이드홈(252)은, 제3 사이드에지부(250) 내부의 공간을 이루고,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고 제3 사이드에지부(250)의 뒤쪽에서 내측으로 개구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방가이드홈(253)은, 제3 사이드에지부(250) 내부의 공간을 이루고,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고 제3 사이드에지부(250)의 앞쪽에서 내측으로 개구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방가이드홈(253)은 제1 후방가이드홈(252)과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가이드홈(254)은 제2 바디(200b)의 제2 에지부(206) 내부에서 반원 형태의 공간을 이루면서, 제1 후방가이드홈(252)과 제1 전방가이드홈(253)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후방가이드홈(252), 제1 연결가이드홈(254) 및 제1 전방가이드홈(253)은 서로 조합되어 U자 형의 공간을 이루며, 이들은 후술할 지지바(370)(특히, 제1 지지슬라이더(371))의 이동경로를 이루면서 레일과 같은 기능을 한다.
제2 후방가이드홈(262)은, 제4 사이드에지부(260) 내부의 공간을 이루고,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고, 제4 사이드에지부(260)의 뒤쪽에서 내측으로 개구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방가이드홈(263)은, 제4 사이드에지부(260) 내부의 공간을 이루고, 제1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고, 제4 사이드에지부(260)의 앞쪽에서 내측으로 개구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방가이드홈(263)은 제2 후방가이드홈(262)과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2 연결가이드홈(264)은 제2 바디(200b)의 제2 에지부(206) 내부에서 반원 형태의 공간을 이루면서, 제2 후방가이드홈(262)과 제2 전방가이드홈(263)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후방가이드홈(262), 제2 연결가이드홈(264) 및 제2 전방가이드홈(263)은 서로 조합되어 U자 형의 공간을 이루며, 이들은 후술할 지지바(370)(특히, 제2 지지슬라이더(372))의 이동경로를 이루면서 레일과 같은 기능을 한다.
제1 후방가이드홈(252), 제1 전방가이드홈(253) 및 제1 연결가이드홈(254)은, 제2 후방가이드홈(262), 제2 전방가이드홈(263) 및 제2 연결가이드홈(264)과 대칭을 이룰 수 있다.
각 지지바(370)는 전체적으로 제2 방향(Y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각 지지바(370)는 제1 지지슬라이더(371), 제2 지지슬라이더(372) 및 연결암(3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슬라이더(371)는 지지바(370)의 어느 한쪽 단부를 이룬다.
제1 지지슬라이더(371)는, 제1 후방가이드홈(252), 제1 연결가이드홈(254) 및 제1 전방가이드홈(253)에 삽입되어, 제1 후방가이드홈(252), 제1 연결가이드홈(254) 및 제1 전방가이드홈(253)이 이루는 공간(경로)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지지슬라이더(372)는, 제1 지지슬라이더(371)의 반대쪽에서 지지바(370)의 단부를 이룬다.
제2 지지슬라이더(372)는, 제2 후방가이드홈(262), 제2 연결가이드홈(264) 및 제2 전방가이드홈(263)에 삽입되어, 제2 후방가이드홈(262), 제2 연결가이드홈(264) 및 제2 전방가이드홈(263)이 이루는 공간(경로)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연결암(373)은 제2 방향(Y방향)을 따라 단면일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암(373)은 제1 지지슬라이더(371)와 제2 지지슬라이더(372)를 연결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내측면을 지지하며, 제1 연결영역(321) 및 제2 연결영역(322)이 안정된 평면 또는 곡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연결암(373)은,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배면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속하여 배열된 복수 개의 지지바(370)가 제1 영역(310)과 평행한 평면을 이룰 때, 지지바(370)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영역(320)이 제1 영역(310)과 같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지지바(37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연결암(373)의 앞쪽면과 지지플레이트(230)의 앞쪽면은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다.
지지바(370)에 의해 제2 영역(320)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제2 영역(320)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터치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지지바(370)에 의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진다.
제2 결합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도 6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변형된 제2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b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a의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힌지장치(600)는 개념적으로 단순하게 표시되어 있다.
제2 결합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는 서로 회전(M2)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결합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310)은 메인영역(311) 및 에지영역(3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제2 영역(320) 제1 연결영역(321) 및 제2 연결영역(3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제2 영역(320)은 제3 연결영역(323) 및 제4 연결영역(3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 연결영역(323) 및 제4 연결영역(324)은, 그 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영역(310)은 제1 바디(200a)쪽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4 연결영역(324)는 제2 바디(200b)쪽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제3 연결영역(323)은 제1 영역(310)과 제4 연결영역(324) 사이의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가변될 때, 제3 연결영역(323) 부분에서 변형이 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가변될 때, 제3 연결영역(323) 부분에서만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형될 때, 제3 연결영역(323) 부분에서 휘어지면서 제1 영역(310)과 제4 연결영역(324)는 서로 평행하게 놓일 수 있고 또한 마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는 서로 회전(M2)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폴딩 및 언폴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폴딩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언폴딩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폴딩되는 제1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바깥쪽에서 서로 접혀져 포개어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7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안쪽으로 접힌 상태인 폴딩(제1 상태)에 해당하는 도면이고, 도 6b 및 도 7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가 펼쳐진 상태인 언폴딩(제2 상태)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폴딩 상태'는 도 6a 및 도 7a와 같이 메인영역(311)과 제4 연결영역(324)이 서로 평행하도록 접힌 상태 및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가 서로 평행하도록 접힌 상태를 의미하고, '언폴딩 상태'는 도 6b 및 도 7b와 같이 메인영역(311)과 제4 연결영역(324)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 및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가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폴딩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의 안쪽에 배치된다. 이처럼, 본 예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안쪽으로 접히는(in-foldable, 인폴더블)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쪽으로 접히는 구조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는 폴딩시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를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폴딩시, 제1 바디(200a) 및 제2 바디(200b)는 서로 중첩되고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제1 영역(310)과 제4 연결영역(324) 사이의 제3 연결영역(323)은 곡면을 이루면서 구부러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00)의 제3 연결영역(32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폴딩시에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 내부에 위치하며, 폴딩시 상기 제3 연결영역(323)은 제1 바디(200a)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수용부(204a) 및 제2 바디(200b)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수용부(204b)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04a)는 제1 바디(200a) 내부의 공간이고, 제2 수용부(204b)는 제2 바디(200b) 내부의 공간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는 힌지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힌지장치(600)는 제1 바디(200a)와 제2 바디(200b)를 서로 연결한다. 힌지장치(600)는 제1 바디(200a)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제2 바디(200b)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장치(600)는 제1 회전축(602)에서 제1 바디(200a)와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제2 회전축(603)에서 제2 바디(200b)와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다.
제1 회전축(602)과 제2 회전축(603)은 제2 방향(Y)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장치(600)는 제1 회전링크(610)와 제2 회전링크(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링크(610)와 제2 회전링크(620)는 중심회전축(601)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링크(610)는 제1 회전축(602)에서 제1 바디(200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회전링크(620)는 제2 회전축(603)에서 제2 바디(200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중심회전축(601), 제1 회전축(602) 및 제2 회전축(603)은,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에서 제1 바디(200a) 부분을 단면 형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의 단면의 모습은, 도 2a의 A-A'에서 바라본 단면의 일부일 수 있고, 또는, 도 6b의 C-C'에서 바라본 단면의 일부일 수 있다.
도 8b는 도 8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에서 데코프레임(240)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에서 제1 바디(200a) 부분을 단면 형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a와 단면의 위치 및 방향이 대응된다.
도 9b는 도 9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에서 데코프레임(240)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스피커모듈(5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스피커모듈(50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에서 제1 바디(200a)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스피커모듈(5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는 스피커모듈(500) 및 데코프레임(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는 내측채널(201), 필터(202) 및 외측채널(2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데코프레임(240)의 주변에는 제1 음방사부(246)와 제2 음방사부(247)가 구비되며, 제1 음방사부(246)와 제2 음방사부(247)는 제1 바디(200a) 내부에서 발생된 소리(특히, 스피커모듈(500)에서 발생된 소리)가 제1 바디(200a) 외부로 방사되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즉, 제1 음방사부(246)와 제2 음방사부(247)는 소리가 제1 바디(200a)의 외부로 방사되는 최종개구를 이룬다.
데코프레임(2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스피커모듈(500)은 스피커하우징(520) 및 스피커(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피커(5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향 출력부(152)의 일 구성을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510)는, 통상의 스피커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피커(510)는, 자석, 보이스코일 및 진동판(5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석과 보이스코일이 서로 반응하면서 보이스코일이 왕복이동하고, 보이스코일에 결합된 진동판(511)이 함께 움직이면서(진동하면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에서, 스피커(510)는 그 외형만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피커(510)에서 진동판(511)은, 그 면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평행하도록, 제1 바디(200a)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이 이루는 면이 제3 방향과 직교하는 형태로 스피커(510)가 스피커하우징(520)의 내부에 실장되고,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은 제1 영역(310)의 메인영역(311)과 평행하도록 제1 바디(200a)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바디(200a)의 두께(제3 방향에서의 제1 바디(200a)의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의 면적이 비교적 커지도록 할 수 있고, 스피커(510)의 음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은 그 면이 제3 방향을 향하도록 놓일 수 있다.(도 8a, 도 9a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은 그 면이 제3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놓일 수 있다.(도 12 참조)
스피커하우징(520)은, 그 내부에 스피커(510)가 실장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가지며, 상기 스피커(510)에서 발생된 소리(음파)가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스피커덕트(521)를 포함한다.
스피커하우징(520)은 상기 제1 바디(200a)의 내부에 고정된다.
스피커하우징(520)은, 스피커덕트(521)를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피커(510)에서 발생된 소리는 주로 또는 완전히 스피커덕트(521)를 통하여 스피커하우징(520)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스피커(510)가 스피커하우징(520) 내부에 실장된 상태에서, 스피커(510)의 앞쪽(스피커(510)의 진동판(511)이 위치한 쪽)에는 전방공간(522)이 구비되고, 스피커(510)의 뒤쪽(스피커(510)의 진동판(511)이 위치한 쪽의 반대쪽)에 후방공간(523)이 구비된다.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에서 발생한 소리는 전방공간(522) 및 스피커덕트(521)를 통하여 스피커하우징(520)의 외부로 방사되고, 후방공간(523)은 스피커(510)의 울림통으로 작용한다. 후방공간(523, 울림통)이 구비됨으로써, 스피커(510)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저음이 보강될 수 있다.
스피커덕트(521)는 덕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스피커하우징(520) 내부의 소리가 스피커하우징(520) 외부로 방사되는 통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덕트(521)는,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피커덕트(521)는 그 내측단(내측개구, 521a)에서 그 외측단(외측개구, 521b)으로 향하는 방향이 대체로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이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덕트(521)에 의하여 제1 바디(200a)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피커(510)에서 발생한 소리가 스피커하우징(520) 외부로 잘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덕트(521)는 그 내측단(내측개구, 521a)에서 그 외측단(외측개구, 521b)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덕트(521)의 내측단(내측개구, 521a)의 단면적의 합을 A1이라고 하고, 스피커덕트(521)의 외측단(외측개구, 521b)의 단면적의 합을 A2라고 할 때, A2는 A1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스피커(510)에서 발생한 소리는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스피커하우징(520) 외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스피커(510)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내측채널(201)은, 제1 바디(200a) 내부의 공간이다. 내측채널(201)은 제1 에지부(205)의 바로 안쪽에서 제1 에지부(205)의 내측 공간을 이룰 수 있다.
내측채널(201)은 스피커(510)에서 발생된(전달된) 소리가 제3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내측채널(201)은, 제3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또한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내측채널(201)은 제1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제3 방향에서의 길이 및 제2 방향에서의 길이가 더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피커덕트(521)의 외측단(외측개구, 521b)은 내측채널(201)과 바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내측채널(201)은 스피커덕트(521)의 내부와 연통된다.
또한 내측채널(201)은 제1 음방사부(246) 및 제2 음방사부(247)와 연통된다.
필터(202)는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필터(202)의 길이방향이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202)는 얇은 필름, 또는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터(202)가 이루는 면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202)는 데코프레임(240)과 내측채널(201) 사이에 위치한다.
필터(202)에는, 제3 방향(Z)으로 관통된 구멍인 음방사홀(202a)이 형성된다. 음방사홀(202a)은 제2 방향(Y)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고 각각 서로 이격된다.
각각의 음방사홀(202a)의 직경은, 제1 음방사부(246)의 폭과 같거나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202)는, 제1 바디(200a) 외부의 이물질 등이 제1 바디(200a) 내부의 공간(예컨대, 내측채널(20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아울러, 스피커(510)에서 발생된 소리가 제1 바디(200a)의 외부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한다.
외측채널(203)은, 제1 바디(200a) 내부의 공간이다. 외측채널(203)은, 데코프레임(240)과 필터(202) 사이의 공간이다. 외측채널(203)은, 스피커(510)의 소리(음파)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고, 제1 음방사부(246) 및 제2 음방사부(247)와 바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외측채널(203)은 제1 에지부(205)의 바로 안쪽에서 제1 에지부(205)의 내측 공간을 이룰 수 있다.
필터(202)를 기준으로 내측채널(201)과 외측채널(203)이 서로 구분된다.
외측채널(203)은, 스피커(510)에서 발생된(전달된) 소리가 제3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고, 또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외측채널(203)은, 제3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또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외측채널(203)은 제1 방향에서의 길이 및 제3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제2 방향에서의 길이가 더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데코프레임(240)은 제1 바디(200a)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데코프레임(240)은 제1 바디(200a)의 테두리 부분을 이룰 수 있다.
데코프레임(240)은 제1 영역(310)의 테두리를 따라 제1 바디(200a)에 결합되고, 제3 방향 또는 제3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볼 때, 데코프레임(240)은 제1 영역(310)과 일부가 겹쳐지도록 이루어진다.
데코프레임(240)은 제1 데코프레임(241), 제2 데코프레임(242) 및 제3 데코프레임(24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데코프레임(241)은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즉, 제1 데코프레임(241)의 길이방향이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1 데코프레임(241)은 제1 에지부와 바로 인접하여 제1 바디(200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데코프레임(241)은, 에지영역(312)의 단부(제1 방향의 반대방향의 단부)가 제1 데코프레임(241)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에지영역(312)과 결합된다. 즉, 제3 방향의 앞쪽에서 볼 때, 에지영역(312)의 단부 모서리는 제1 데코프레임(241)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제3 방향의 앞쪽에서 볼 때, 제1 데코프레임(241)은 메인영역(311)과는 겹쳐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데코프레임(241)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에지영역(312)의 외측면과 이격되며, 제1 데코프레임(241)과 에지영역(312)의 사이의 틈(공간)이 제2 음방사부(247)를 이룬다.
제2 데코프레임(242) 및 제3 데코프레임(243)은, 제1 데코프레임(241)의 양 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2 데코프레임(242)이 데코프레임(240)의 좌측 부분을 이룰 때, 제3 데코프레임(243)이 데코프레임(240)의 우측을 이룬다. 제2 데코프레임(242)과 제3 데코프레임(243)은 제1 데코프레임(24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2 데코프레임(242)은 메인영역(311)의 어느 한쪽 테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고, 제3 데코프레임(243)은 메인영역(311)의 다른 한쪽 테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제2 데코프레임(242)은, 메인영역(311)의 단부(제2 방향의 반대방향의 앞쪽 단부)가 제2 데코프레임(242)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메인영역(311)과 결합된다. 즉, 제3 방향의 앞쪽에서 볼 때, 메인영역(311)의 단부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데코프레임(242)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제3 데코프레임(243)은, 메인영역(311)의 단부(제2 방향의 앞쪽 단부)가 제2 데코프레임(242)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메인영역(311)과 결합된다. 즉, 제3 방향의 앞쪽에서 볼 때, 메인영역(311)의 단부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는 제3 데코프레임(243)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제2 데코프레임(242)의 내측면 및 제3 데코프레임(243)의 내측면은 제1 영역(310)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특히, 제2 데코프레임(242)의 내측면 및 제3 데코프레임(243)의 내측면은 메인영역(311)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음방사부(246)와 제2 음방사부(247)는 제1 데코프레임(241)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음방사부(246)는, 스피커(510)의 소리(음파)가 제1 바디(200a)의 외부로 전달되는 출구(구멍)를 이루며, 데코프레임(240)를 기준으로 제1 영역(310)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제1 음방사부(246)는 제1 에지부(205)와 제1 데코프레임(24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에지부(205)와 제1 데코프레임(241)은 일부의 모서리가 서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다른 일부의 모서리가 서로 이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에지부(205)와 제1 데코프레임(241)이 서로 이격되는 부분에서 제1 음방사부(24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음방사부(246)는 제2 방향을 따라 그 폭(제1 에지부(205)와 제1 데코프레임(241)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음방사부(246)의 폭은 약 0.3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음방사부(246)와 상기 음방사홀(202a)은 겹쳐진다.
제2 음방사부(247)는, 스피커(510)의 소리(음파)가 제1 바디(200a)의 외부로 전달되는 출구(구멍)를 이룬다.
제2 음방사부(247)는 제1 영역(310)과 데코프레임(240)의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제2 음방사부(247)는 데코프레임(240)과 에지영역(312)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음방사부(247)는 제2 방향을 따라 그 폭(제1 데코프레임(241)과 에지영역(312)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음방사부(247)의 폭은 약 0.1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방향에서, 제2 음방사부(247)의 길이(d1)는 제1 영역(310)의 길이(d2)의 1/3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방향에서, 제2 음방사부(247)의 길이(d1)는 제1 음방사부(246)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방향에서, 제2 음방사부(247)의 길이(d1)는 제1 음방사부(246)의 길이의 약 2배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피커(510)의 작동에 의하여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에서 발생된 소리(음파)는, 스피커덕트(521), 내측채널(201), 필터(202)의 음방사홀(202a), 외측채널(203)을 거친 후 제1 음방사부(246) 및 제2 음방사부(247)를 통하여 제1 바디(200a) 외부로 방사된다.
일 실시예에서, 데코프레임(240)에는 중간채널(248)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채널(248)은, 데코프레임(240)을 내외로 관통하는 구멍이다.
중간채널(248)은, 스피커(510)의 소리(음파)가 제1 바디(200a)의 외부로 방사되는 출구를 이룬다. 즉, 중간채널(248)은, 제1 음방사부(246) 및 제2 음방사부(247)와 함께 또 다른 음방사부가 되며, 이에 따라, 중간채널(248)은 제3 음방사부일 수 있다.
중간채널(248)은,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제1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202)의 음방사홀(202a)을 거친 소리가 중간채널(248)로 자연스럽게 전달될 수 있고, 중간채널(248)을 통하여 이동하는 소리의 경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중간채널(248)을 통한 소리의 방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채널(248)은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에서, 중간채널(248)의 길이는 제1 음방사부(246)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2 방향에서, 중간채널(248)의 길이는 제2 음방사부(247)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프레임(240)과 필터(202)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에서 확대하여 도시된 부분들은, 데코프레임(24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에 결합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데코프레임(240)은 접촉부(244) 및 연통부(2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부(244)는 데코프레임(240)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특히, 접촉부(244)는 제1 데코프레임(241)의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접촉부(244)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각 접촉부(244)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접촉부(244)는, 제1 음방사부(246)와 제2 음방사부(247)의 사이에서 필터(202)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연통부(245)는, 제1 음방사부(246)와 제2 음방사부(247)가 서로 연통되도록 제1 방향으로 접촉부(244)를 관통하는 통로이다.
따라서, 접촉부(244)가 필터(202)에 접촉하면서 데코프레임(240)과 필터(202) 간의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고, 특히, 제1 바디(200a) 내부에서 필터(202)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피커(510)에서 발생된 소리는 연통부(245)를 통하여 제2 음방사부(247)로 방사될 수 있다.
도 15a와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모듈(500)의 음향 성능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와 도 15b에는 주파수 영역에 따라 스피커(510)의 음압 세기(Sound Pressure Level, SPL)의 결과가 나타나 있다.
스피커(510)에서 발생된 소리가 외부로 방사될 때, 즉, 스피커(510)에서 발생된 소리가 최종적으로 제1 바디(200a)를 벗어날 때 소리가 방사되는 구멍(최종개구)이 작을수록 스피커(510)의 음질이 저하되고, 상기 구멍(최종개구)이 클수록 스피커(510)의 음질이 향상된다.
스피커(510)의 소리가 가장 이상적으로 전달되려면,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에서 발생된 소리가 진동판(511)의 바로 앞쪽으로 방사되어야 하고, 이때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의 면적의 100% 이상에 해당되는 최종개구가 형성되어야 한다.
도 15a에서 ①의 그래프는,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의 바로 앞으로 소리가 진행할 때의 주파수별 음압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즉, ①의 그래프는 스피커(510)의 소리가 가장 이상적으로 전달될 때의 그래프이다.
도 15a 및 도 15b에서 ②의 그래프는, 본 발명과 달리, 제2 음방사부(247)가 구비되지 않고, 제1 음방사부(246)만 구비된 경우, 주파수별 음압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②의 그래프는 ①의 그래프와 비교할 때, 주파수별 음압 특성이 고르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2차 공진이 이루어지는 고주파 영역에서 음압 감소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에서 발생된 소리가, 바로 앞쪽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진행하고, 또한, 제1 음방사부(246)가 이루는 최종개구의 면적이 스피커(510)의 진동판(511)의 면적에 비하여 매우 작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덕트(521)는 그 내측단(내측개구)의 단면적보다 그 외측단(외측개구)의 단면적이 크게 이루어지는데, 제1 음방사부(246)가 이루는 최종개구의 단면적은 스피커덕트(521)의 외측단(외측개구)의 단면적보다 작기 때문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제1 음방사부(246) 및 제2 음방사부(247)가 구비된 경우, 제1 음방사부(246)와 제2 음방사부(247)는 서로 함께 소리가 방사되는 최종개구를 이루며, 최종개구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서 ③의 그래프는, 본 발명과 같이, 제1 음방사부(246) 및 제2 음방사부(247)가 구비된 경우, 주파수별 음압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③의 그래프는 ②의 그래프와 비교할 때, 저주파 영역에서는 비슷한 음압 특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2차 공진이 이루어지는 고주파 영역에서 음압 증가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③의 그래프는 ②의 그래프와 비교할 때 고주파 영역(10KHz 주변)에서 스피커(510)의 성능이 개선(10~20dB 수준으로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 장치(1)에 의하면, 데코프레임(240)의 양쪽에 제1 음방사부(246) 및 제2 음방사부(247)가 각각 형성되어, 스피커(510)의 소리가 외부로 방사되는 최종개구의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방사부(246) 및 제2 음방사부(247)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어 스피커(510)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음방사부(247)는 제1 영역(310)의 에지영역(312)과 데코프레임(24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틈)이며, 제3 방향에서 데코프레임(240)의 적어도 일부는 에지영역(312)과 겹쳐진다. 따라서, 제2 음방사부(247)가 외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형적인 미감 손상 방지, 이물질의 내부침투 가능성 방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음방사부(246) 및 제2 음방사부(247)와 함께 중간채널(248)이 형성되는 경우, 스피커(510)에서 형성된 소리는 제1 음방사부(246), 제2 음방사부(247) 및 중간채널(248)을 통하여 외부로 방사되며, 이에 따라 최종개구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스피커(510)의 음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제1 음방사부 및 제2 음방사부를 통해 제1 바디의 외부로 전달됨으로써 스피커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 음방사부가 외부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현저하다.

Claims (20)

  1.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고정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변형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바디 내부에 위치하고, 소리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데코프레임;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방사되는 출구를 이루며, 상기 데코프레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제1 음방사부; 및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방사되는 출구를 이루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데코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음방사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평행한 평면을 이루는 메인영역;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영역의 단부를 이루고, 볼록한 곡면을 이루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에서 상기 데코프레임과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는 에지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이 이루는 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이 이루는 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바디 내부의 공간으로서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고, 상기 제1 음방사부 및 상기 제2 음방사부와 연통되는 내측채널; 및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데코프레임과 상기 내측채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된 음방사홀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음방사부와 상기 음방사홀은 겹쳐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데코프레임과 상기 필터 사이의 공간으로서,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고, 상기 제1 음방사부 및 상기 제2 음방사부와 연통되는 외측채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제1 데코프레임;
    상기 제1 데코프레임의 양 단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제2 데코프레임 및 제3 데코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음방사부 및 상기 제2 음방사부는 상기 제1 데코프레임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코프레임의 내측면 및 상기 제3 데코프레임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영역에 밀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프레임은,
    상기 데코프레임을 내외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제1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간채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데코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된 음방사홀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프레임은,
    내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음방사부와 상기 제2 음방사부의 사이에서 상기 필터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제1 음방사부와 상기 제2 음방사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를 관통하는 통로인 연통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이 상기 제3 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스피커가 그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방사되도록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스피커덕트가 구비되는 스피커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덕트의 내측단의 단면적의 합인 A1보다, 상기 스피커덕트의 외측단의 단면적의 합인 A2가 더 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영역, 및 상기 제1 연결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연결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영역은 상기 지지체의 주변에서 곡면을 이루며 굽어지고(curved) 상기 제2 연결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평행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 연결영역의 일부는 상기 지지체의 주변에서 곡면을 이루며 굽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서로 접혀지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서로 펼쳐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1 바디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바디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접히도록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를 상대로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고정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바디 내부에 고정되고, 소리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가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방사되도록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스피커덕트가 구비되는 스피커하우징을 포함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평행한 평면을 이루는 메인영역;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단면(section)이 일정한 에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메인영역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면적이 커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데코프레임; 및
    상기 스피커덕트를 거친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방사되는 출구를 이루며, 상기 에지영역과 상기 데코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음방사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덕트를 거친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상기 제1 바디의 외부로 방사되는 출구를 이루며, 상기 데코프레임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음방사부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제1 음방사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바디 내부의 공간으로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을 따라 상기 스피커덕트를 거친 상기 스피커의 소리(음파)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고, 상기 제1 음방사부 및 상기 제2 음방사부와 연통되는 내측채널; 및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데코프레임과 상기 내측채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음방사부의 폭과 같거나 작은 직경으로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된 음방사홀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음방사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영역의 길이의 1/3 이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일측 단부를 이루는 제1 지지슬라이더;
    상기 제1 지지슬라이더의 반대쪽에서 단부를 이루는 제2 지지슬라이더;
    상기 제1 지지슬라이더와 상기 제2 지지슬라이더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지지하는 연결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U자 형태의 홈(groove)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슬라이더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이루는 제1 이동가이드홈; 및
    U자 형태의 홈(groove)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지지슬라이더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이루는 제2 이동가이드홈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7041923A 2020-08-27 2020-08-2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573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1503 WO2022045397A1 (ko) 2020-08-27 2020-08-2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303A true KR20230057303A (ko) 2023-04-28

Family

ID=8035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923A KR20230057303A (ko) 2020-08-27 2020-08-2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91819A1 (ko)
KR (1) KR20230057303A (ko)
WO (1) WO2022045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0812A (zh) * 2022-05-25 2023-10-31 苏州清听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发声显示单元及装置
WO2024063503A1 (ko) * 2022-09-19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3944B1 (en) * 2011-03-21 2017-11-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KR20170078431A (ko) * 2015-12-29 2017-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408112B1 (ko) * 2018-01-12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KR102266152B1 (ko) * 2018-02-2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4049B1 (ko) * 2019-02-18 2023-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397A1 (ko) 2022-03-03
US20230291819A1 (en)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217B1 (ko) 이동 단말기
US11140252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EP3907580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1221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36017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032920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398836B1 (ko) 이동 단말기
KR102252032B1 (ko) 이동 단말기
KR102415655B1 (ko) 이동 단말기
US20200326751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2015415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839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1453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01389A (ko) 전자장치
KR102364083B1 (ko) 이동 단말기
KR10254407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193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4643B1 (ko) 이동 단말기
KR20190076658A (ko) 이동 단말기
KR2023005730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4601A (ko) 거치대 모듈 및 이동 단말기
KR20230008825A (ko) 알림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954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937368A (zh) 移动终端
KR2023005730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