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283A -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283A
KR20230057283A KR1020220134871A KR20220134871A KR20230057283A KR 20230057283 A KR20230057283 A KR 20230057283A KR 1020220134871 A KR1020220134871 A KR 1020220134871A KR 20220134871 A KR20220134871 A KR 20220134871A KR 20230057283 A KR20230057283 A KR 2023005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st solution
test
test liqui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333B1 (ko
Inventor
김주민
장인혁
안경현
남재욱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2/01611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68860A1/ko
Publication of KR2023005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0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 G01N11/04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through a restricted passage, e.g. tube, aper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2011/0006Calibrating, controlling or cleaning visc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2011/0026Investigating specific flow properties of non-Newtonian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2011/006Determining flow properties indirectly by measuring other parameters of the system
    • G01N2011/008Determining flow properties indirectly by measuring other parameters of the system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액 저장소에 저장된 시험액을 기판으로 공급되는 시험액 공급부; 상기 시험액 공급부를 통해 상기 시험액 저장소에서 상기 기판으로 공급되는 시험액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부; 상기 유동제어부에 의해 상기 시험액 공급부에서 상기 기판으로 공급되는 시험액의 공급이 중단 시 공급되는 시험액이 상기 시험액 공급부의 모세관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가늘어지면서 상기 기판에서 탈착되는 핀치오프(Pinch-off) 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험액의 신장 유변 물성을 측정하며 상기 유동제어부와 상기 촬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부를 포함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유기물, 무기 입자 혹은 이들 혼합물들이 분산되어 있는 이차전지 슬러리가 필연적으로 가지는 비뉴턴유체의 신장 이변 물성을 측정할 수 있고, 시험액과 유사한 전단 이력들을 겪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조성에 따라 전단율이 증가함에 따라 신장 이완 시간 및 신장 점도의 증감 양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Elongational rheological properties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기물, 무기 입자 혹은 이들 혼합물이 분산되어 있는 시험액이 겪는 유동 이력에 따라 산장 유변 물성이 달라지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52710호에 기재된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유체 내에는 유체가 흐를 때 유동에 저항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성질을 점성(viscosity)이라고 한다. 즉, 유체가 흐르고 있을 때, 유체 내의 각 층 사이 또는 유체와 고체 사이에서 분자간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서로 운동을 막으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성질이 점성이며, 이러한 점성의 크기를 점성계수 또는 점도라고 한다.
보통 유체의 점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다른데, 액체의 경우에는 온도가 높아지면 점도는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하면 점도는 증가한다. 유체는 뉴턴유체와 비뉴턴유체로 구분할 수 있으며, 뉴턴유체는 점성계수가 전단률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가지는 유체를 말하며, 비뉴턴유체는 전단률에 따라 점성계수가 비선형적으로 변하는 유체를 말한다. 즉, 운동중인 유체에서 인접 부분의 유체요소가 서로 다른 속도로 흐를 때 그 인접 두 부분 사이에는 속도구배가 발생하며 이 속도구배는 전단응력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전단응력이 속도구배에 정비례하는 유체를 뉴턴유체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모든 유체를 비뉴턴유체라고 한다.
액체의 점도와 관련된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전단률이 매우 낮은 영역의 점도, 즉 영전단률 점도와 중간 전단률 영역의 점도를 나타내는 멱법칙 점도, 그리고 전단률이 매우 큰 영역의 점도인 무한전단률 점도를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이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기를 점도계(viscometer)라 하며, 현재 많이 사용되는 종류는 모세관 점도계, 회전식 점도계, 낙구식 점도계 등이 있으며, 이 중 모세관 점도계는 정상유동상태인 유체의 질량유량과 압력강하량을 측정하여 퐈죄이유(Poiseuille) 법칙을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유체의 정상유동(steady flow) 상태란 유체의 흐름상태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유동을 말하며, 과도유동 또는 비정상(transient flow)유동은 흐름의 상태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유체의 유동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기존의 모세관 점도계는 점도측정에 있어서 정상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주어진 전단률에서 실험결과를 얻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다양한 전단률에 걸친 점도를 측정할 때 환경변화에 의한 오차발생의 우려가 있었다. 이에 더하여, 혈액이나 고형물이 함유된 유체와 같은 비뉴턴유체의 점도측정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 장치로는 관의 직경이 좁아지는 수축 유동에서 발생하는 신장 흐름 해석을 위해서, 유동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신장 점도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기물, 무기 입자 혹은 이들 혼합물들이 분산되어 있는 이차전지 슬러리가 필연적으로 가지는 비뉴턴유체인 시험액의 신장 유변 점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시험액과 유사한 전단 이력들을 겪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조성에 따라 전단율이 증가함에 따라 신장 이완 시간 및 신장 점도의 증감 양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험액 저장소에 저장된 시험액을 기판으로 공급되는 시험액 공급부; 상기 시험액 공급부를 통해 상기 시험액 저장소에서 상기 기판으로 공급되는 시험액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부; 상기 유동제어부에 의해 상기 시험액 공급부에서 상기 기판으로 공급되는 시험액의 공급이 중단 시 공급되는 시험액이 상기 시험액 공급부의 모세관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가늘어지면서 상기 기판에서 탈착되는 핀치오프(Pinch-off) 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험액의 신장 유변 물성을 측정하며 상기 유동제어부와 상기 촬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부를 포함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시험액이 상기 기판에서 탈착되는 핀치오프 과정을 촬영 시 상기 촬영부의 전면부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기판을 중심으로 상기 촬영부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컴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시험액은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싱기 시험액은 점도에 따른 신장 유변 물성 측정을 위해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을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제1시험액 내지 제2시험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험액 내지 제2시험액은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은 각각 5 ~ 200mM의 범위 내에서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시험액 내지 제3시험액을 제조하기 위해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 시 교반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시험액 공급부는 상기 시험액 저장소에 일단이 연결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기판으로 시험액을 흘러보내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튜브의 길이는 5cm ~ 100cm일 수 있고, 상기 튜브의 내경은 0.1mm ~ 10.0mm일 수 있다.
상기 노즐의 내경과 외경은 각각 0.100mm ~ 10.00mm, 0.2mm ~ 15.00mm일 수 있고, 상기 노즐과 상기 기판 사이의 거리(H)는 상기 노즐 외경의 0.5 ~ 5배일 수 있다.
상기 유동제어부는 상기 시험액 저장소에 저장된 시험액을 상기 시험액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시험액 저장소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질소, 아르곤, 혹은 헬륨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 저장소와, 상기 가스 저장소와 상기 시험액 저장소를 연결하는 연결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배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연결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 저장소에서 상기 시험액 저장소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정기와, 상기 개폐밸브와 상기 압력조정기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압력조절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밸브로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컴퓨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시험액의 공급이 중단 시 공급되는 시험액이 상기 시험액 공급부의 모세관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가늘어지면서 상기 기판에서 탈착되는 핀치오프 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전면에 구비되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촬영부의 전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에 의하면,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유기물, 무기 입자 혹은 이들 혼합물들이 분산되어 있는 이차전지 슬러리가 필연적으로 가지는 비뉴턴유체의 신장 이변 물성을 측정할 수 있고, 시험액과 유사한 전단 이력들을 겪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조성에 따라 전단율이 증가함에 따라 신장 이완 시간 및 신장 점도의 증감 양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와 주사기 펌프가 적용된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비교액인 글리세린 용액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모세관력에 의한 가늘어지는 목의 반경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2의 글리세린 용액이 기판에서 탈착 시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즐에 매달린 글리세린 용액이 액적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험액 저장소에 유사한 압력이 가해졌을 때 시간경과에 따른 목의 반경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제1시험액 내지 제3시험액의 신장 점도와 변형률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100)는 무기 입자들이 분산되어 있는 시험액이 겪는 유동 이력에 따라 산장 유변 물성이 달라지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시험액 공급부(1100)와, 유동제어부(1200)와, 촬영부(1300)와, 컴퓨터부(1400)를 포함하고, 조명부(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험액 공급부(1100)는 시험액 저장소(10)에 저장된 시험액을 상기 시험액 저장소(1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기판(2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시험액 공급부(1100)는 상기 시험액 저장소(10)와 일단이 연결되는 튜브(1110)와, 상기 튜브(1110)의 타단에 연결되는 노즐(1120)을 포함한다.
상기 시험액 저장소(10)로는 원추형 튜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험액 저장소(10)의 내부에는 상기 기판(20)으로 공급되면서 신장 유변 물성을 측정하는 시험액이 저장되며, 상기 시험액은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험액은 점도에 따른 신장 유변 물성 측정을 위해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을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제1시험액 내지 제3시험액을 포함한다.
상기 제1시험액 내지 제3시험액은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은 각각 5mM ~ 200mM의 범위 내에서 각기 다른 비율을 가지도록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시험액 내지 제3시험액을 제조하기 위해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 시 교반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 50℃의 온도에서 10RPM ~ 300RPM의 회전속도로 제1시험액 내지 제3시험액을 0.5시간 ~ 5시간동안 혼합하며, 혼합된 상기 제1시험액 내지 제3시험액은 혼합 시 발생되는 기포를 안정화하고 제거하기 위해 실온에서 24시간 이상 보관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험액 저장소(10)에 일단이 연결되는 상기 튜브(1110)로는 타이곤튜브가 사용되며, 상기 튜브(1110)의 길이는 5cm ~ 100cm이고, 상기 튜브의 내경은 0.1mm ~ 1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곤튜브의 내벽이 매끄러워 내벽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시험액의 잔류가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튜브(1110)의 타단에는 상기 튜브(1110)를 통해 이동된 상기 시험액을 상기 기판(20)으로 흘러보내는 노즐(1120)이 장착된다.
상기 노즐(1120)의 내경과 외경은 각각 0.100mm ~ 10.00mm, 0.2mm ~ 15.00mm이고, 상기 노즐(1120)과 상기 기판(20) 사이의 거리(H)는 상기 노즐(1120) 외경의 0.5 ~ 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험액 공급부(1100)를 통해 상기 시험액 저장소(10)에서 상기 기판(20)으로 공급되는 시험액은 유동제어부(1200)에 의해 유동이 제어되며, 상기 유동제어부(1200)는 가스 저장소(1210)와, 개폐밸브(1220)와, 압력조정기(1230)와, 컨트롤러(12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저장소(1210)에는 상기 시험액 저장소(10)에 저장된 시험액을 상기 시험액 공급부(1100)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시험액 저장소(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질소, 아르곤, 혹은 헬륨 가스가 저장되며, 상기 가스 저장소(1210)는 상기 시험액 저장소(10)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시험액 저장소(10)와 연결배관(CP)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가스 저장소(1210)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시험액 저장소(10) 내의 압력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시험액 저정소(10) 내의 시험액이 상기 시험액 공급부(1100)를 통해 상기 기판(20) 측으로 공급되거나 상기 시험액의 공급이 중단되게 된다. 상기 시험액 저장소(10) 내의 압력이 주변압력보다 높아지면 상기 시험액 저장소(10) 내의 시험액이 상기 시험액 공급부(1100)을 통해 상기 기판(20) 측으로 공급되고 상기 시험액 저장소(10) 내의 압력이 주변압력과 동일하거나 감소하게 되면 시험액의 공급이 중단되게 된다.
상기 가스 저장소(1210)와 상기 시험액 저장소(10)를 연결하는 연결배관(CP) 상에는 개폐밸브(1220)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밸브(1220)는 상기 연결배관(CP)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개폐밸브(1220)로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배관(CP) 상에는 압력조정기(1230)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조정기(1230)는 상기 가스 저장소(1210)에서 상기 시험액 저장소(10)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밸브(1220)와 상기 압력조정기(1230)는 컨트롤러(1240)와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1240)는 연결된 상기 개폐밸브(1220) 및 상기 압력조절기(1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트롤러(1240)는 랩뷰(Labview) 혹은 아두이노(Arduino)를 이용하여 상기 개폐밸브(1220)와 상기 압력조절기(12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1240)는 후술되는 컴퓨터부(14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1220)와 상기 압력조절기(1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랩뷰라 불리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상에서 실제의 기기를 보는 듯한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흔히 버츄얼 인스트루먼트(Virtual Instrument)라고도 하며, 베이직(Basic), C-언어 등의 텍스트(Text)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언어와는 달리, 다이아그램(diagram)을 만드는 식으로 프로그래밍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래픽 프로그래밍 랭귀지라고도 부른다.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언어는 행에서 행으로 넘어가면서 순차적으로 실행이 되는 반면에, 랩뷰에서는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순서가 데이터의 흐름에 따르고, 이러한 랩뷰는 각종 기기를 컴퓨터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제어가 용이하도록 개발된 아두이노(Arduino)를 통해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통신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유동제어부(1200)에 의해 상기 시험액 공급부(1100)에서 상기 기판(20)으로 공급되는 시험액의 공급이 중단 시 공급되는 시험액이 상기 시험액 공급부(1100)의 상기 튜브(1110) 및 상기 노즐(1120)의 모세관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가늘어지면서 상기 기판(20)에서 탈착되는 핀치오프 과정은 촬영부(1300)가 촬영하며, 상기 촬영부(1300)는 카메라(1310)와, 렌즈(132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1310)는 시험액의 공급이 중단 시 공급되는 시험액이 상기 시험액 공급부(1100)의 상기 튜브(1110) 및 상기 노즐(1120)의 모세관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가늘어지면서 상기 기판(20)에서 탈착되는 핀치오프 과정을 촬영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카메라(1310)로는 고속카메라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1320)는 상기 카메라(13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1320)로는 대물렌즈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대물렌즈는 일반적인 것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촬영부(1300)은 컴퓨터부(1400)와 연결되며, 상기 컴퓨터부(1400)는 상기 촬영부(1300)가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험액의 신장 유변 물성을 측정하며 상기 유동제어부(1200)와 상기 촬영부(1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20)를 중심으로 상기 촬영부(1300)와 대응되게 조명부(1500)가 구비되며, 상기 조명부(1500)는 상기 촬영부(1300)가 시험액이 상기 기판(20)에서 탈착되는 핀치오프 과정을 촬영 시 상기 촬영부(1300)의 전면부로 조명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부(1500)는 상기 컴퓨터부(1400)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부(14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조명부(1500)는 광원(1510)과, 디퓨저(152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1510)는 상기 촬영부(1300)의 전면으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디퓨저(1520)는 상기 광원(15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1510)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조명부(1500)로 사용되는 상기 광원(1510)과 상기 디퓨저(1520)는 일반적인 것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시험액이 아닌 비교액(95 중량%의 글리세린 수용액)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유변 측정장치와 주사기 펌프가 적용된 신장 유변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비교액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모세관력에 의해 목의 반경 변화와 비교액이 기판에서 탈착 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즐에 매달린 비교액의 액적의 변화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액은 시험액 저장소(10)에 저장되며 비교액의 액적이 기판(20)에 닿을 때 주사기 펌프(미도시)를 끄거나 유동제어부(1200)를 이용하여 시험액 저장소(10)의 압력을 주변 압력으로 변경하여 비교액의 흐름을 중지 후 시험액 공급부(1100)의 노즐(1120)과 기판(20) 사이의 비교액 브릿지의 모세관 얇아짐 및 핀치오프 과정을 촬영부(1300)로 촬영 후 이를 저장하고 분석한다.
상기 노즐(1120)로부터 비교액의 유량을 주사기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제어할 때 핀치오프 시간은 유동제어부(1200)를 이용하여 제어할 때보다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관찰한 핀치오프 시간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핀치오프 후 노즐(1120)에 남아 있는 액적의 크기 변화를 관찰한 바, 상기 노즐(1120)에 매달려 있는 액적의 크기는 유동제어부(1200)를 이용할 때는 약간 변경되었으나, 주사기 펌프(미도시)를 이용할 경우에는 액적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주사기 펌프(미도시)를 이용하는 경우 주사기 펌프(미도시)가 꺼진 후에도 비교액이 노즐(1120)에서 계속 흘러나와 모세과 얇아짐 및 핀치오프 과정을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동제어부(1200)를 적용 시 비교액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험액 저장소에 유사한 압력이 가해졌을 때 시간경과에 따른 목의 반경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제1시험액 내지 제3시험액의 신장 점도와 변형률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시험액 내지 제3시험액이 저정된 시험액 저장소(10)에 유사한 압력이 가해졌을 때 모세관 얇아짐 및 핀치오프 역학에 대한 유동 이력의 효과는 시험액의 농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팽창 점도에 대한 유동 이력의 영향을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유기물, 무기 입자 혹은 이들 혼합물들이 분산되어 있는 이차전지 슬러리가 필연적으로 가지는 비뉴턴유체의 신장 이변 물성을 측정할 수 있고, 시험액과 유사한 전단 이력들을 겪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조성에 따라 전단율이 증가함에 따라 신장 이완 시간 및 신장 점도의 증감 양상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1100 : 시험액 공급부
1110 : 튜브 1120 : 노즐
1200 : 유동제어부 1210 : 가스 저장소
1220 : 개폐밸브 1230 : 압력조정기
1240 : 컨트롤러 1300 : 촬영부
1310 : 카메라 1320 : 렌즈
1400 : 컴퓨터부 1500 : 조명부
1510 : 광원 1520 : 디퓨저

Claims (9)

  1. 시험액 저장소에 저장된 시험액을 기판으로 공급되는 시험액 공급부;
    상기 시험액 공급부를 통해 상기 시험액 저장소에서 상기 기판으로 공급되는 시험액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부;
    상기 유동제어부에 의해 상기 시험액 공급부에서 상기 기판으로 공급되는 시험액의 공급이 중단 시 공급되는 시험액이 상기 시험액 공급부의 모세관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가늘어지면서 상기 기판에서 탈착되는 핀치오프(Pinch-off) 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험액의 신장 유변 물성을 측정하며 상기 유동제어부와 상기 촬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부를 포함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시험액이 상기 기판에서 탈착되는 핀치오프 과정을 촬영 시 상기 촬영부의 전면부로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기판을 중심으로 상기 촬영부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컴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험액은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하여 제조하며,
    싱기 시험액은 점도에 따른 신장 유변 물성 측정을 위해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을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제1시험액 내지 제2시험액을 포함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시험액 내지 제2시험액은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은 각각 5 ~ 200mM의 범위 내에서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제1시험액 내지 제2시험액을 제조하기 위해 탈이온수에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PyCl)와 살리실산나트륨(NaSal), 브로민화 세트리모늄(CTAB)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 시 교반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험액 공급부는,
    상기 시험액 저장소에 일단이 연결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기판으로 시험액을 흘러보내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의 길이는 5cm ~ 100cm이고, 상기 튜브의 내경은 0.1mm ~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내경과 외경은 각각 0.100mm ~ 10.00mm, 0.2mm ~ 15.00mm이고,
    상기 노즐과 상기 기판 사이의 거리(H)는 상기 노즐 외경의 0.5 ~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부는,
    상기 시험액 저장소에 저장된 시험액을 상기 시험액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시험액 저장소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질소, 아르곤, 혹은 헬륨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 저장소와,
    상기 가스 저장소와 상기 시험액 저장소를 연결하는 연결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배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연결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 저장소에서 상기 시험액 저장소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정기와,
    상기 개폐밸브와 상기 압력조정기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압력조절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밸브로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사용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랩뷰 프로그램을 이용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컴퓨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시험액의 공급이 중단 시 공급되는 시험액이 상기 시험액 공급부의 모세관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가늘어지면서 상기 기판에서 탈착되는 핀치오프 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전면에 구비되어 렌즈를 포함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촬영부의 전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KR1020220134871A 2021-10-21 2022-10-19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KR102589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6112 WO2023068860A1 (ko) 2021-10-21 2022-10-21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908 2021-10-21
KR20210140908 2021-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283A true KR20230057283A (ko) 2023-04-28
KR102589333B1 KR102589333B1 (ko) 2023-10-16

Family

ID=8614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871A KR102589333B1 (ko) 2021-10-21 2022-10-19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3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710B1 (ko) * 2000-03-30 2002-09-16 서상호 과도유동 모세관 점도계 및 점도측정방법
KR20030066534A (ko) * 2003-01-08 2003-08-09 신세현 혈액 점도와 혈구 응집률을 동시에 측정하는 혈액 유변계의 방법과 장치
KR20170026716A (ko) * 2015-08-27 2017-03-09 나노비즈 주식회사 진단유체점도측정방법
KR20170099955A (ko) * 2014-12-19 2017-09-01 헬스 온벡터, 아이엔씨. 점도계 및 액체 점도 측정 방법
KR20200106390A (ko) * 2019-03-04 2020-09-14 (주)아이에스엠아이엔씨 적외선 이미징 기반 무채혈 점도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710B1 (ko) * 2000-03-30 2002-09-16 서상호 과도유동 모세관 점도계 및 점도측정방법
KR20030066534A (ko) * 2003-01-08 2003-08-09 신세현 혈액 점도와 혈구 응집률을 동시에 측정하는 혈액 유변계의 방법과 장치
KR20170099955A (ko) * 2014-12-19 2017-09-01 헬스 온벡터, 아이엔씨. 점도계 및 액체 점도 측정 방법
KR20170026716A (ko) * 2015-08-27 2017-03-09 나노비즈 주식회사 진단유체점도측정방법
KR20200106390A (ko) * 2019-03-04 2020-09-14 (주)아이에스엠아이엔씨 적외선 이미징 기반 무채혈 점도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333B1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lsson et al. Effect of fluid rheology on enhanced oil recovery in a microfluidic sandstone device
Triplett et al. Gas–liquid two-phase flow in microchannels Part I: two-phase flow patterns
Hoffman A study of the advancing interface. I. Interface shape in liquid—gas systems
Petsev et al. Dynamic equilibrium explanation for nanobubbles' unusual temperature and saturation dependence
Chang et al. Co-axial capillaries microfluidic device for synthesizing size-and morphology-controlled polymer core-polymer shell particles
US11918961B2 (en) Droplet and/or bubble generator
Yang et al.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bubbly flow in microchannels
Varges et al. Exchange flows between yield stress materials and Newtonian oils
Chen et al. Pressure-driven microfluidic droplet formation in Newtonian and shear-thinning fluids in glass flow-focusing microchannels
Lerdwijitjarud et al. Influence of weak elasticity of dispersed phase on droplet behavior in sheared polybutadiene/poly (dimethyl siloxane) blends
Chen et al. The dynamic mass transfer of surfactants upon droplet formation in coaxial microfluidic devices
Sang et al. Dynamic formation and scaling law of hollow droplet with gas/oil/water system in dual‐coaxial microfluidic devices
KR20230057283A (ko)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Du et al. Self‐similar breakup of viscoelastic thread for droplet formation in flow‐focusing devices
Chen et al. The dynamic adsorption of different surfactants on droplet formation in coaxial microfluidic devices
WO2023068860A1 (ko) 신장 유변 물성 측정장치
Cubaud Swelling of diffusive fluid threads in microchannels
Li et al. Spreading and receding of oil droplets on silanized glass surfaces in water: Role of three-phase contact line flow direction in spontaneous displacement
Soori et al. Stable and unstable miscible displacement of a shear-thinning fluid at low Reynolds number
Motagamwala A microfluidic, extensional flow device for manipulating soft particles
Changzh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drop deformation and breakup in simple shear flows
CN110426293B (zh) 黏弹性颗粒抗剪切性能与孔喉配伍性评价方法
Lin et al. Role of interfacial tensions in the formation and the detachment of air bubbles. 2. A single orifice on an inclined plane immersed in water
Chandra et al. Instability driven by shear thinning and elasticity in the flow of concentrated polymer solutions through microtubes
CN109307640A (zh) 一种测定滑溜水中降阻剂含量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